KR20190077480A - 짧은 tti를 이용한 통신 - Google Patents

짧은 tti를 이용한 통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7480A
KR20190077480A KR1020197015566A KR20197015566A KR20190077480A KR 20190077480 A KR20190077480 A KR 20190077480A KR 1020197015566 A KR1020197015566 A KR 1020197015566A KR 20197015566 A KR20197015566 A KR 20197015566A KR 20190077480 A KR20190077480 A KR 20190077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wireless device
tti
uplink
tti1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4935B1 (ko
Inventor
무함마드 카즈미
이마두르 라만
조아킴 악스몬
크리스토퍼 칼렌더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to KR1020217006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071B1/ko
Publication of KR20190077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9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additional or different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23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for simultaneous baseba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7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셀의 시스템 정보(SI)를 취득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사용을 위한 방법으로서, 제1 셀은 둘 이상의 송신 시구간들(TTI들)을 사용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방법은 제2 셀의 SI를 취득하기 위한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기간(T0) 동안 제2 셀의 SI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1 셀에서 사용되는 TTI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시간 T0 동안 제1 셀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결정된 TTI 길이가 제1 TTI 값(TTI1)일 때, 그 방법은, T0 동안 제1 셀의 업링크에서 제1 최소 수(N1)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리고 결정된 TTI 길이가 제2 TTI 값(TTI2)일 때, 그 방법은, T0 동안 제1 셀의 업링크에서 제2 최소 수(N2)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짧은 TTI를 이용한 통신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실시예들은, 대체로,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짧은 송신 시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TTI)을 이용한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SI) 취득을 위한 서빙 셀 성능에 관한 것이다.
소개
제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 장기 진화(Long Term Evolution)(LTE)는 각각의 다운링크 심볼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OFDM) 심볼이라고 지칭될 수 있는 OFDM을 다운링크에서, 그리고 각각의 업링크 심볼이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화(single carrier-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SC-FDMA) 심볼이라고 지칭될 수 있는 이산 푸리에 변환(Discrete Fourier Transform)(DFT) 분산 OFDM을 업링크에서 사용한다. 기본 LTE 다운링크 물리적 리소스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시간-주파수 그리드를 포함한다.
도 1은 예시적인 다운링크 라디오 서브프레임을 도시한다. 수평 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다른 축은 주파수를 나타낸다. 각각의 리소스 엘리먼트는 하나의 OFDM 심볼 구간 동안의 하나의 OFDM 서브캐리어에 해당한다. 시간 도메인에서, LTE 다운링크 송신물(transmission)들은 라디오 프레임들로 편성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라디오 프레임을 도시한다. 각각의 라디오 프레임은 10 ㎳이고, 길이 Tsubframe = 1 ㎳의 10 개의 동일 사이즈로 된 서브프레임들로 이루어진다. 정상적인 주기적 전치부호(cyclic prefix)의 경우,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14 개 OFDM 심볼들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심볼의 지속기간은 대략 71.4 ㎲이다.
사용자들은 미리 결정된 시간량 동안 특정 수의 서브캐리어들을 할당 받는다. 이것들은 물리적 리소스 블록들(physical resource blocks)(PRB들)이라 지칭된다. PRB들은 따라서 시간 및 주파수 차원 둘 다를 가진다. 리소스 블록이 시간 도메인에서의 하나의 슬롯(0.5 ㎳)과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12 개의 연속적인 서브캐리어들에 해당한다. 시간 방향(1.0 ㎳)에서의 한 쌍의 두 개의 인접한 리소스 블록들이 리소스 블록 쌍으로서 알려져 있다. 시간 간격은 송신 시구간(TTI)이라 지칭될 수 있다.
다운링크 송신물들은 동적으로 스케줄링된다(즉, 각각의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이, 현재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해, 어떤 단말들에 데이터가 송신되는지 그리고 어떤 리소스 블록들에 기초하여 데이터가 송신되는지에 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제어 시그널링은 각각의 서브프레임에서 처음의 1, 2, 3 또는 4 개 OFDM 심볼들로 통상적으로 송신되고 숫자 n=1,2,3 또는 4는 제어 영역의 첫 번째 심볼에서 송신되는 물리적 CFI 채널(physical CFI channel)(PCFICH)에 의해 표시된 제어 포맷 표시자(Control Format Indicator)(CFI)로서 알려져 있다. 제어 영역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s)(PDCCH)를 또한 포함하고 아마도 업링크 송신을 위한 ACK/NACK를 운반하는 물리적 HARQ 표시 채널들(physical HARQ indication channels)(PHICH)을 또한 포함한다.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은 공통 기준 심볼들(common reference symbols)(CRS)을 또한 포함하는데, 이것들은 수신기에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제어 정보의, 코히어런트 복조를 위해 사용된다. CFI=3 개 OFDM 심볼들을 제어로서 갖는 다운링크 시스템이 도 1에 예시된다. Rel-8 TTI에서, 다운링크 송신물의 하나의 이러한 부분이 하나의 TTI라고 지칭된다.
패킷 데이터 레이턴시는 벤더들, 오퍼레이터들 그리고 또한 최종 사용자들이 (속력 테스트 애플리케이션들을 통해) 정기적으로 측정하는 성능 메트릭들 중 하나이다. 레이턴시 측정들은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시스템 수명의 모든 단계들에서, 이를테면 새로운 소프트웨어 릴리스 또는 시스템 컴포넌트를 검증할 때, 시스템을 전개할 때, 그리고 시스템이 상업적 동작 중일 때 행해진다.
3GPP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radio access technologies)(RAT들)의 이전 세대들보다 더 짧은 레이턴시가 LTE의 설계를 안내했던 하나의 성능 메트릭이다. LTE는 모바일 라디오 기술들의 이전 세대들보다 데이터 레이턴시들을 낮추고 인터넷에 대한 더 빠른 액세스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최종 사용자들에 의해 인식된다.
패킷 데이터 레이턴시는 시스템의 인지된 응답성에 중요할 뿐만 아니라, 또한 시스템의 스루풋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이기도 하다. HTTP/TCP는 오늘날 인터넷 상에서 사용되는 지배적인 애플리케이션 및 전송 계층 프로토콜 스위트이다. HTTP 아카이브(트렌드 하의 httparchive.org 참조)에 따르면 인터넷을 통한 HTTP 기반 트랜잭션들의 전형적인 사이즈는 수10 Kbyte에서 1 Mbyte까지의 범위에 있다. 이 사이즈 범위에서, TCP 저속 시작 기간은 패킷 스트림의 전체 전송 기간의 상당한 부분이다. TCP 저속 시작 동안 성능은 레이턴시 제한된다. 따라서, 개선된 레이턴시는 이 유형의 TCP 기반 데이터 트랜잭션들에 대한 평균 스루풋을 개선시킬 수 있다.
레이턴시 감소들은 라디오 리소스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더 낮은 패킷 데이터 레이턴시는 특정한 지연 경계 내에서 가능한 송신 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더 높은 블록 에러 레이트(Block Error Rate)(BLER) 타겟들이 라디오 리소스들을 확보하고 시스템의 용량을 잠재적으로 개선시키는 데이터 송신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패킷 레이턴시 감소들에 관해서 해결해야 할 하나의 영역은 TTI 길이를 수정하는 것에 의한 데이터 및 제어 시그널링의 전송 시간의 감소이다. LTE 릴리스 8에서, TTI가 길이 1 밀리초의 하나의 서브프레임(one subframe)(SF)에 해당한다. 하나의 이러한 1 ㎳ TTI는 정상적인 주기적 전치부호의 경우 14 개 OFDM 또는 SC-FDMA 심볼들 그리고 확장된 주기적 전치부호의 경우 12 개 OFDM 또는 SC-FDMA 심볼들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LTE 릴리스 13은 LTE 릴리스 8 TTI보다 훨씬 더 짧은 TTI들로 송신물들을 특정할 수 있다. 더 짧은 TTI들은 임의의 지속시간을 가지고 1 ㎳ SF 내에서 다수의 OFDM 또는 SC-FDMA 심볼들 상에 리소스들을 포함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짧은 TTI의 지속기간은 0.5 ㎳(즉, 정상적 주기적 전치부호를 갖는 경우에 대해 7 개의 OFDM 또는 SC-FDMA 심볼들)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짧은 TTI의 지속기간은 2 개 심볼들일 수 있다.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TTI 길이는 14 개 OFDM 심볼들로 이루어진다. 단축된 TTI의 경우, TTI 길이는 2-OFDM 심볼들, 4-OFDM 심볼들 또는 7-OFDM 심볼들로 감소될 수 있다. 이것들은 2-OS sTTI, 4-OS sTTI, 7-OS sTTI로서 각각 표시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OFDM 심볼은 또한 SC-FDMA 심볼 또는 임의의 유형의 심볼일 수 있다.
단축된 TTI는 상이한 방향, 이를테면 다운링크 및 업링크에서 상이한 값들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가 2-OS sTTI를 사용할 수 있는 반면, 업링크는 동일한 셀에서 4-OS sTTI를 사용할 수 있다.
상이한 프레임 구조들, 이를테면 FS1, FS2 및 FS3는, 상이한 길이의 sTTI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서의 시간 도메인 구조는 FS1에 관련된다. 2-OS, 4-OS 및 7-OS TTI는 FS1에 사용 가능하다. TDD에 사용되는 FS2의 경우, 7-OS sTTI가 단축된 TTI 모드들 중 하나이다. 일부 예시적인 TTI 지속기간들은 도 3 내지 도 6에서 도시된다.
예를 들어, 특정 네트워크들은 다운링크에서 7-심볼 TTI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7-심볼 TTI의 일 예를 도시한다. 7-심볼 TTI의 경우, 도 3에서의 sTTI 구조는 업링크에는 지원된다.
특정 네트워크들은 다운링크에서 4-심볼 TTI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4-심볼 TTI의 일 예를 도시한다. 4-심볼 업링크 sTTI가 지원되면, 도 4에서의 sTTI 구조는 채택된다.
도 5는 업링크에 대한 짧은 TTI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5에서의 예는 다양한 TTI 길이들을 보여준다. 2-OS sTTI는 두 개의 예시된 옵션들 중 하나를 가질 수 있다.
다음 특성들은 업링크 sTTI에 적용된다. 세 가지 상이한 TTI 길이들이 업링크에 사용될 수 있다. 세 가지 중, 2-OS TTI에 대해 상이한 패턴들이 가능하다. 빠른 업링크 허가가 TTI 길이의 동적 표시 및/또는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DMRS) 포지션의 동적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TTI 패턴들의 경우, 공유된 DMRS가 UE들 간에 가능하다. 일부 UE들의 경우, 이는 UE가 이웃하는 TTI들에 걸쳐 스케줄링될 때 UE가 두 개의 TTI들에 대한 DMRS를 전송할 것임을 또한 의미한다.
무선 디바이스, 이를테면 UE가, 자율 갭들을 사용하여 시스템 정보(SI)를 취득할 수 있다. E-UTRAN에서 서빙 셀은 셀을 독특하게 식별하는, 셀의 셀 글로벌 식별자(cell global identifier)(CGI)를 취득할 것을 UE에 요청할 수 있다. 셀의 CGI를 취득하기 위해, UE는, 나중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마스터 정보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MIB)과 해당 셀의 관련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SIB)을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SI)의 적어도 일부를 판독한다. CGI의 취득을 위한 SI의 판독은 UE에 의해 자율적으로 생성되는 측정 갭들 동안 수행된다(즉, 갭들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구성되지 않고, UE가 생성하도록 남겨진다). CGI 또는 SI 또는 ECGI는 UE 측정결과인 것으로 또한 간주되며, 이를 UE는 네트워크 노드에 또한 보고할 수 있다.
LTE에서, UE가 타겟 셀인 E-UTRAN 셀의 MIB 및 SIB1를 그 셀의 CGI(즉, 타겟 셀이 E-UTRAN 주파수 내(intra-frequency) 또는 주파수 간(inter-frequency) 셀일 때 ECGI)를 취득하기 위해 판독한다. MIB는 셀로부터 다른 정보를 취득할 필요가 있는 제한된 수의 필수적이고 자주 송신되는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고, BCH 상에서 송신된다. 특히 다음의 정보는 MIB에 현재 포함된다: 다운링크 대역폭, PHICH 구성, 및 시스템 프레임 번호(system frame number)(SFN).
MIB는 40 ㎳의 주기와 40 ㎳ 내에서 이루어진 반복들로 주기적으로 송신된다. MIB의 첫 번째 송신은 SFN mod 4 = 0인 라디오 프레임들의 서브프레임 #0에 스케줄링되고, 반복들은 모든 다른 라디오 프레임들의 서브프레임 #0에 스케줄링된다.
LTE에서, SIB1은 적어도 다음의 정보를 포함한다: PLMN 아이덴티티, 셀 아이덴티티, CSG 아이덴티티 및 표시(indication), 주파수 대역 표시자, SI-윈도우 길이, 다른 SIB들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등. LTE SIB1, 뿐만 아니라 다른 SIB 메시지들은, 물리 채널, 이를테면 PDSCH 상에서 송신된다. UE에 의해 생성된 자율 갭들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MIB 및 SIB1 취득의 일 예가 도 6에 도시된다.
도 6은 E-UTRA FDD MIB 및 SIB1의 취득을 도시한다. SIB1은 80 ㎳의 주기와 80 ㎳ 내에서 이루어진 반복들로 송신된다. SystemInformationBlockType1의 첫 번째 송신은 SFN mod 8 = 0인 라디오 프레임들의 서브프레임 #5에 스케줄링되고 반복들은 SFN mod 2 = 0인 모든 다른 라디오 프레임들의 서브프레임 #5에 스케줄링된다.
현재 규격들과 함께하는 문제가 UE는 하나의 TTI(즉, 1 ㎳)만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타겟 셀의 SI 취득을 위한 UE 요건들은 단지 1 ㎳의 TTI에만 기초하여 정의된다. 그 요건들은 SI 취득 지연 및 서빙 셀에서 UE에 의해 송신되는 ACK/NACK의 수의 측면에서 정의된다. 이는 UE가 타겟 셀의 SI를 취득할 때 UE가 불필요한 자율 갭들을 생성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더 짧은 TTI를 지원하는 UE는 동일한 요건들이 적용되면 상당한 성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UE 및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여러 방법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UE에서의 방법이,
단계-1: 제2 셀(cell2)의 시스템 정보(SI)를 취득하기 위한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단계-2: 기간(T0) 동안 자율 갭들에서 cell2의 SI를 취득하는 단계;
단계-3: 제1 TTI(TTI1)가 T0 동안 cell1에서의 UE에 의해 사용되면 제1 셀(cell1)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cell1에서 제1 최소 수(N1)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그리고 제2 TTI(TTI2)가 T0 동안 cell1에서의 UE에 의해 사용되면 cell1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cell1에서 제2 최소 수(N2)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송신하는 단계;
단계-4: 하나 이상의 운영 태스크들(예컨대, 셀 글로벌 아이덴티티(cell global identity)(CGI)를 결정하는 것, 그 결과들을 다른 노드에 송신하는 것, 셀 변경 등)을 수행하기 위해 cell2의 취득된 SI의 결과들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이,
단계-1: 기간(T0) 동안 자율 갭들을 사용하여 제2 셀(cell2)의 시스템 정보(SI)를 취득하도록 UE를 구성하는 단계;
단계-2: 제1 TTI(TTI1)가 T0 동안 cell1에서의 UE에 의해 사용되면 cell1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UE가 제1 셀(cell1)에서 송신할 수 있는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의 제1 최소 수(N1), 또는 제2 TTI(TTI2)가 T0 동안 cell1에서의 UE에 의해 사용되면 cell1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UE가 cell1에서 송신할 수 있는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의 제2 최소 수(N2)를 결정하는 단계;
단계 3: cell1에서 T0 동안 UE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단계-4: TTI1이 T0 동안 cell1에서의 UE에 의해 사용되면 cell1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cell1에서의 UE로부터 N1 개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또는 TTI2가 T0 동안 cell1에서의 UE에 의해 사용되면 cell1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cell1에서의 UE로부터 N2 업링크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
단계-5: 하나 이상의 운영 태스크들을 수행하기 위해 cell1에서의 UE로부터의 상기 수의 수신된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의 결과들 및/또는 cell1의 취득된 SI의 결과들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셀이 둘 이상의 송신 시구간들(TTI들)을 사용하도록 동작 가능한, 상기 제1 셀과는 제2 셀의 시스템 정보(SI)를 취득하기 위해 통신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사용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그 방법은, 제2 셀의 SI를 취득하기 위한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기간(T0) 동안 제2 셀의 SI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1 셀에서 무선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TTI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 시간 T0 동안 제1 셀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결정된 TTI 길이가 제1 TTI 값(TTI1)일 때, 그 방법은, T0 동안 제1 셀의 업링크에서 제1 최소 수(N1)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리고 결정된 TTI 길이가 제2 TTI 값(TTI2)일 때, 그 방법은, T0 동안 제1 셀의 업링크에서 제2 최소 수(N2)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TTI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1 셀에서 사용되는 업링크 TTI 길이 및 제1 셀에서 사용되는 다운링크 TTI 길이 중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셀의 SI를 획득하는 단계는 다수의 측정 갭들에서 신호들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방법은, 무선 디바이스가 T0 동안 N1 또는 N2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송신할 수 없을 때, 측정 갭들의 수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T0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측정 갭들은 시간 T0 동안 적어도 제1 셀에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는 자율 갭들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TTI1은 TTI2보다 더 짧은 지속기간이고 N1은 N2보다 더 크다. 예를 들어, TTI1은 1 ㎳보다 더 짧을 수 있고 N1은 60보다 더 클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N1 및 N2는 제1 셀의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TDD) 업링크/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 의존적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셀은 주파수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FDD) 동작을 위해 구성될 수 있으며; T0는 150 ㎳이며; TTI1이 2-os일 때, N1은 465이며; TTI1이 4-os일 때, N1은 279이며; TTI1이 7-os일 때, N1은 164이고; TTI1이 14-os일 때, N1은 60이다.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은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HARQ) 확인응답(acknowledgment)(ACK) 및 부정 확인응답(negative acknowledgement)(NACK)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가 제2 셀의 SI를 취득하기 위해 제1 셀과 통신한다. 제1 셀은 둘 이상의 TTI들을 사용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무선 디바이스는, 제2 셀의 SI를 취득하기 위한 요청을 획득하며; 기간(T0) 동안 제2 셀의 SI를 획득하며; 그리고 제1 셀에서 무선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TTI 길이를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한 프로세싱 회로부를 포함한다. 시간 T0 동안 제1 셀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결정된 TTI 길이가 제1 TTI 값(TTI1)일 때, 프로세싱 회로부는 T0 동안 제1 셀의 업링크에서 제1 최소 수(N1)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며; 결정된 TTI 길이가 제2 TTI 값(TTI2)일 때, 프로세싱 회로부는 T0 동안 제1 셀의 업링크에서 제2 최소 수(N2)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회로부는 제1 셀에서 사용되는 업링크 TTI 길이 및 제1 셀에서 사용되는 다운링크 TTI 길이 중 하나를 결정함으로써 TTI 길이를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프로세싱 회로부는 다수의 측정 갭들에서 신호들을 측정함으로써 제2 셀의 SI를 획득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부는, 무선 디바이스가 T0 동안 N1 또는 N2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송신할 수 없을 때, 측정 갭들의 수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T0를 증가시키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하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측정 갭들은 시간 T0 동안 적어도 제1 셀에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는 자율 갭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TTI1은 TTI2보다 더 짧은 지속기간이고 N1은 N2보다 더 크다. 예를 들어, TTI1은 1 ㎳보다 더 짧을 수 있고 N1은 60보다 더 클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N1과 N2는 제1 셀의 TDD 업링크/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 의존적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셀은 FDD 동작을 위해 구성되며; T0은 150 ㎳이며; TTI1이 2-os일 때, N1은 465이며; TTI1이 4-os일 때, N1은 279이며; TTI1이 7-os일 때, N1은 164이고; TTI1이 14-os일 때, N1은 60이다.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은 HARQ ACK/NACK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셀이 둘 이상의 TTI들을 사용하도록 동작 가능한, 상기 제1 셀의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해 제2 셀의 SI를 취득하도록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그 방법은, 기간(T0) 동안 제2 셀의 SI를 취득하도록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단계; 제1 셀에서 무선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TTI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시간 T0 동안 무선 디바이스에 다운링크 데이터의 연속 할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결정된 TTI 길이가 제1 TTI 값(TTI1)일 때, 그 방법은, T0 동안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1 최소 수(N1)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리고 결정된 TTI 길이가 제2 TTI 값(TTI2)일 때, 그 방법은, T0 동안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2 최소 수(N2)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TTI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1 셀에서 사용되는 업링크 TTI 길이 및 제1 셀에서 사용되는 다운링크 TTI 길이 중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가 T0 동안 N1 또는 N2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하지 않을 때, 그 방법은 T0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TTI1은 TTI2보다 더 짧은 지속기간을 포함하고 N1은 N2보다 더 크다. 예를 들어, TTI1은 1 ㎳보다 더 짧고 N1은 60보다 더 크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N1과 N2는 제1 셀의 TDD 업링크/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 의존적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셀은 FDD 동작을 위해 구성되며; T0은 150 ㎳이며; TTI1이 2-os일 때, N1은 465이며; TTI1이 4-os일 때, N1은 279이며; TTI1이 7-os일 때, N1은 164이고; TTI1이 14-os일 때, N1은 60이다.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은 HARQ ACK/NACK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셀의 네트워크 노드가 제2 셀의 SI대로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셀은 둘 이상의 TTI들을 사용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네트워크 노드는, 기간(T0) 동안 제2 셀의 SI를 취득하도록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며; 제1 셀에서 무선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TTI 길이를 결정하고; 시간 T0 동안 무선 디바이스에 다운링크 데이터의 연속 할당을 송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프로세싱 회로부를 포함한다. 결정된 TTI 길이가 제1 TTI 값(TTI1)과 동일할 때, 프로세싱 회로부는 T0 동안 무선 디바이스 동안 제1 최소 수(N1)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하며; 그리고 결정된 TTI 길이가 제2 TTI 값(TTI2)과 동일할 때, T0 동안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2 최소 수(N2)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는 제1 셀에서 사용되는 업링크 TTI 길이 및 제1 셀에서 사용되는 다운링크 TTI 길이 중 하나를 결정함으로써 TTI 길이를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노드가 T0 동안 N1 또는 N2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하지 않을 때, T0를 증가시키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TTI1은 TTI2보다 더 짧은 지속기간을 포함하고 N1은 N2보다 더 크다. 예를 들어, TTI1은 1 ㎳보다 더 짧고 N1은 60보다 더 크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N1과 N2는 제1 셀의 TDD 업링크/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 의존적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셀은 FDD 동작을 위해 구성되며; T0은 150 ㎳이며; TTI1이 2-os일 때, N1은 465이며; TTI1이 4-os일 때, N1은 279이며; TTI1이 7-os일 때, N1은 164이고; TTI1이 14-os일 때, N1은 60이다.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은 HARQ ACK/NACK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가 제2 셀의 SI를 취득하기 위해 제1 셀과 통신한다. 제1 셀은 둘 이상의 TTI들을 사용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무선 디바이스는 획득 모듈, 결정 모듈, 및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획득 모듈은 제2 셀의 SI를 취득하기 위한 요청을 획득하고, 기간(T0) 동안 제2 셀의 SI를 획득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결정 모듈은 제1 셀에서 무선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TTI 길이를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시간 T0 동안 제1 셀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결정된 TTI 길이가 제1 TTI 값(TTI1)과 동일할 때, 송신 모듈은 T0 동안 제1 셀의 업링크에서 제1 최소 수(N1)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결정된 TTI 길이가 제2 TTI 값(TTI2)과 동일할 때, 송신 모듈은 T0 동안 제1 셀의 업링크에서 제2 최소 수(N2)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셀의 네트워크 노드가 제2 셀의 SI를 취득하도록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셀은 둘 이상의 TTI들을 사용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네트워크 노드는 구성 모듈, 결정 모듈, 수신 모듈, 및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구성 모듈은 기간(T0) 동안 제2 셀의 SI를 취득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결정 모듈은 제1 셀에서 무선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TTI 길이를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송신 모듈은 시간 T0 동안 무선 디바이스에 다운링크 데이터의 연속 할당을 송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결정된 TTI 길이가 제1 TTI 값(TTI1)과 동일할 때, 수신 모듈은 T0 동안 무선 디바이스 동안 제1 최소 수(N1)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결정된 TTI 길이가 제2 TTI 값(TTI2)과 동일할 때, 수신 모듈은 T0 동안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2 최소 수(N2)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또한 개시된 것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2 셀의 SI를 취득하기 위한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기간(T0) 동안 제2 셀의 SI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1 셀에서 무선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TTI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되는 명령들을 포함한다. 시간 T0 동안 제1 셀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결정된 TTI 길이가 제1 TTI 값(TTI1)과 동일할 때, 명령들은 T0 동안 제1 셀의 업링크에서 제1 최소 수(N1)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하고; 결정된 TTI 길이가 제2 TTI 값(TTI2)과 동일할 때, 명령들은 T0 동안 제1 셀의 업링크에서 제2 최소 수(N2)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하다.
다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기간(T0) 동안 제2 셀의 SI를 취득하도록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단계; 제1 셀에서 무선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TTI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시간 T0 동안 무선 디바이스에 다운링크 데이터의 연속 할당을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되는 명령들을 포함한다. 결정된 TTI 길이가 제1 TTI 값(TTI1)과 동일할 때, 명령들은 T0 동안 무선 디바이스 동안 제1 최소 수(N1)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하고; 결정된 TTI 길이가 제2 TTI 값(TTI2)과 동일할 때, 명령들은 T0 동안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2 최소 수(N2)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하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기술적 장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의 특정 장점이, UE가 타겟 셀의 SI를 취득할 때 서빙 셀 성능에 관한 UE 행동이 잘 정의된다는 것이다. 다른 장점은 서빙 셀에서의 UE에 대한 데이터의 스케줄링 성능이 향상된다는 것이다. 이는 스케줄링 허가들이 더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SI 취득 성능은, 심지어 UE가 자신의 서빙 셀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 상이한 TTI들을 사용하더라도, 적어도 유지되거나 또는 심지어 향상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들이 언급된 장점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아무것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들 및 그것들의 특징들 및 장점들의 더 완전한 이해를 위해, 첨부 도면들과 연계하여 취해지는 다음의 설명이 이제 참조되며, 도면들 중:
도 1은 예시적인 다운링크 라디오 서브프레임을 도시하며;
도 2는 예시적인 라디오 프레임을 도시하며;
도 3은 7-심볼 TTI의 일 예를 도시하며;
도 4는 4-심볼 TTI의 일 예를 도시하며;
도 5는 업링크를 위한 짧은 TTI의 예들을 도시하며;
도 6은 E-UTRA FDD MIB 및 SIB1의 취득을 예시하며;
도 7은 특정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를 도시하며;
도 8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9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4os/4os 및 7os/7os에 대한 다운링크/업링크 구성을 위한 예시적인 HARQ 피드백을 도시하며;
도 10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2os/2os 및 2os/1ms에 대한 다운링크/업링크 구성을 위한 예시적인 HARQ 피드백을 도시하며;
도 11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12a는 무선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12b는 무선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13a는 네트워크 노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그리고
도 13b는 네트워크 노드의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장기 진화(LTE)의 경우, 패킷 데이터 레이턴시는 시스템의 인지된 응답성에 중요할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스루풋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이기도 하다. 레이턴시 감소들은 라디오 리소스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패킷 레이턴시 감소의 하나의 양태는 송신 시구간(TTI) 길이를 수정하는 것에 의한 데이터 및 제어 시그널링의 전송 시간의 감소이다. 오래된 LTE 릴리스들에서, TTI는 길이 1 밀리초의 하나의 서브프레임(SF)에 해당한다. 더 새로운 LTE 릴리스들은 1 밀리초보다 더 짧은 TTI들을 갖는 송신물들을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짧은 TTI의 지속기간은 0.5 ㎳(즉, 정상적 주기적 전치부호를 갖는 경우에 대해 7 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또는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화(SC-FDMA) 심볼들)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짧은 TTI의 지속기간은 2 개 심볼들 또는 4 개 심볼들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 이를테면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가 자율 갭들을 사용하여 시스템 정보(SI)를 취득할 수 있다. E-UTRAN에서 서빙 셀은 셀을 독특하게 식별하는, 셀의 셀 글로벌 식별자(cell global identifier)(CGI)를 취득할 것을 UE에 요청할 수 있다. 셀의 CGI를 취득하기 위해, UE는 마스터 정보 블록(MIB)과 해당 셀의 관련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SI)의 적어도 일부를 판독한다. CGI의 취득을 위한 SI의 판독은 UE에 의해 자율적으로 생성되는 측정 갭들 동안 수행된다(즉, 갭들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구성되지 않고, UE가 생성하도록 남겨진다).
현재 LTE 규격들과 함께하는 문제가 UE는 하나의 TTI(즉, 1 ㎳)만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타겟 셀의 SI 취득을 위한 UE 요건들은 단지 1 ㎳의 TTI에만 기초하여 정의된다. 그 요건들은 SI 취득 지연 및 서빙 셀에서 UE에 의해 송신되는 ACK/NACK의 수의 측면에서 정의된다. 이는 UE가 타겟 셀의 SI를 취득할 때 UE가 불필요한 자율 갭들을 생성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더 짧은 TTI를 지원하는 UE는 동일한 요건들이 적용되면 상당한 성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은 위에서 설명된 문제들을 제거한다. CGI를 판독하기 위한 ACK 요건들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둘 다에 대해 1ms TTI 지속기간을 가정하여 도출되었다. 더 짧은 TTI가 사용될 때, 송신된 ACK/NACK의 더 많은 수가 예상된다. 특정 실시예들은 TTI 지속기간에 기초한 최소 수의 업링크 수신확인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은 "노드"라는 용어를 지칭한다. 노드의 일 예가 더 일반적인 용어일 수 있는 그리고 임의의 유형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 또는 UE와 그리고/또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하는 임의의 네트워크 노드에 해당할 수 있는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들의 예들은 NodeB, 기지국(BS), MSR BS와 같은 멀티-표준 라디오(multi-standard radio)(MSR) 라디오 노드, eNodeB, gNodeB, MeNB, SeNB, 네트워크 제어기,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RNC),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BSC), 중계기, 도너 노드 제어 중계기, 기지국 트랜시버(base transceiver station)(BTS),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AP), 송신 포인트들, 송신 노드들, RRU, RRH,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DAS)에서의 노드들, 코어 네트워크 노드(예컨대, MSC, MME 등), O&M, OSS, SON, 포지셔닝 노드(예컨대, E-SMLC), MDT, 또는 임의의 적합한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할 수 있는 임의의 종류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은 기지국, 라디오 기지국, 기지국 트랜시버, 기지국 제어기, 네트워크 제어기, 진화형 노드 B(eNB), 노드 B, 중계 노드, 액세스 포인트, 라디오 액세스 포인트, 원격 라디오 유닛(Remote Radio Unit)(RRU) 원격 라디오 헤드(Remote Radio Head)(RRH) 등과 같은 임의의 종류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는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 또는 간단히 "네트워크 노드(NW 노드)"와 같은 일반적 기술용어를 지칭한다.
노드의 다른 예가 사용자 장비일 수 있는데, 이는 비제한적 용어의 사용자 장비(UE)이고 네트워크 노드와 그리고/또는 셀룰러 또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의 다른 UE와 통신하는 임의의 유형의 무선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UE의 예들은 타겟 디바이스, D2D(device to device) UE, 머신 유형 UE 또는 M2M(machine to machine) 통신할 수 있는 UE, PDA, 태블릿, 모바일 단말들, 스마트 폰, LEE(laptop embedded equipped), LME(laptop mounted equipment), USB 동글들 등이다.
라디오 액세스 기술, 또는 RAT라는 용어는, 임의의 RAT, 이를테면 UTRA, E-UTRA, 협 대역 사물 인터넷(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 NB-IoT), WiFi, 블루투스, 차세대 RAT(NR), 4G, 5G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노드들 중 임의의 것이 단일 또는 다수의 RAT들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신호"라는 용어는 임의의 물리적 신호 또는 물리 채널일 수 있다. 물리적 신호들의 예들은 PSS, SSS, CRS, PRS 등과 같은 기준 신호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예컨대, 채널 수신의 맥락에서의) "물리 채널"이란 용어는 "채널"이라고 또한 지칭된다. 물리 채널들의 예들은 MIB, PBCH, NPBCH, PDCCH, PDSCH, sPUCCH, sPDSCH, sPUCCH, sPUSCH, MPDCCH, NPDCCH, NPDSCH, E-PDCCH, PUSCH, PUCCH, NPUSCH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시간 리소스"는 시간 길이의 측면에서 표현되는 임의의 유형의 물리적 리소스 또는 라디오 리소스에 해당할 수 있다. 시간 리소스들의 예들은, 심볼, 시간 슬롯, 서브프레임, 라디오 프레임, TTI, 인터리빙 시간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TTI"라는 용어는 물리 채널이 송신을 위해 인코딩되고 옵션적으로 인터리빙되는 임의의 기간(T0)에 해당할 수 있다. 물리 채널은 그것이 인코딩되었던 동일한 기간(T0) 동안 수신기에 의해 디코딩된다. TTI는 짧은 TTI(sTTI), 송신 시간, 슬롯, 서브슬롯, 미니슬롯, 짧은 서브프레임(short subframe)(SSF), 미니 서브프레임 등으로 또한 교환적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라디오 측정"이란 용어는 라디오 신호 또는 채널을 수신하는 것에 기초한 임의의 측정, 예컨대, 수신 신호 강도(예컨대, RSRP 또는 CSI-RSRP) 또는 품질 측정들(예컨대, RSRQ, RS-SINR, SINR, Es/Iot, SNR)과 같은 전력 기반 측정들; 셀 식별; 동기화 신호들 측정들; 도래각(angle of arrival)(AOA)과 같은 각도 측정들; Rx-Tx, RTT, RSTD, TOA, TDOA, 타이밍 어드밴스와 같은 타이밍 측정들; 스루풋 측정들; CSI, CQI, PMI, 채널 측정(예컨대, MIB, SIB들, SI, CGI 취득들 등)과 같은 채널 품질 측정들을 지칭할 수 있다. 측정이 공통 기준과 관련하여 또는 다른 측정, 복합 측정 등과 관련하여 절대적일 수 있다. 측정이 하나의 링크 또는 하나를 초과하는 링크(예컨대, RSTD, 타이밍 어드밴스드, RTT, 상대 RSRP 등) 상에 있을 수 있다. 측정들은 목적에 의해 또한 차별화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목적들, 예컨대, RRM, MDT, SON, 포지셔닝, 타이밍 제어 또는 타이밍 어드밴스드, 동기화 중 하나 이상을 위해 수행될 수 있다. 비제한적 예에서, 특정 실시예들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임의의 측정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라디오 측정"이란 용어는 더 넓은 의미로, 예컨대, 채널을 수신하는 것(예컨대,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채널을 통해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요건들"이란 용어는 이를테면 측정 요건들, RRM 요건들, 이동성 요건들, 포지셔닝 측정 요건들 등과 같은 UE 측정들에 관련된 임의의 유형의 UE 요건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 측정들에 관련된 UE 요건들의 예들은 측정 시간, 측정 보고 시간 또는 지연, 측정 정확도(예컨대, RSRP/RSRQ 정확도), 측정 시간에 걸쳐 측정될 셀들의 수 등이다. 측정 시간의 예들은 L1 측정 기간, 셀 식별 시간 또는 셀 검색 지연, CGI 취득 지연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인터럽션" 또는 "인터럽션 레벨" 또는 "인터럽션 성능"이란 용어는 UE와 그것의 서빙 셀(예컨대, PCell, SCells, PSCell) 사이의 신호들의 임의의 유형의 인터럽션에 해당할 수 있다. 인터럽션은 서빙 셀 성능의 손실 또는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인터럽션들은 임의의 하나 이상의 서빙 셀들, 예컨대, PCell, PSCell, SCell 등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서빙 셀 성능에서의 손실 또는 인터럽션은 절대적 또는 상대적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메트릭들, 이를테면 패킷들의 에러 레이트 또는 손실 또는 패킷 손실 레이트 또는 손실된 패킷 수 또는 패킷 드롭(drop) 레이트 또는 검출 확률에서의 감소 또는 오검출 확률 또는 심지어 누락 또는 드롭 또는 손실된 패킷들의 확률의 증가의 측면에서 표현될 수 있다. 인터럽션 레벨은 인터럽트되는 하나 이상의 시간 리소스들(예컨대, 1 서브프레임, 5 개 서브프레임들, 1 TTI, 2 TTI 등의 인터럽션 시간)의 측면에서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패킷이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에서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의 임의의 블록, 이를테면 전송 블록을 지칭한다. 패킷 손실 레이트 또는 손실 패킷들의 수는 특정한 시구간(예컨대, 라디오 측정의 측정 시간, 미리 정의된 시간 등)을 통해 통상적으로 추정된다. 하나의 예에서 손실 패킷들의 수는 특정한 기간에 걸친 UE로의 그 UE의 서빙 셀로부터의 데이터의 연속적인 송신에 응답하여 누락된 ACK/NACK의 총 수로서 표현된다.
예를 들어 UE가 100 ㎳의 기간에 걸친 연속적인 다운링크 송신에 응답하여 업링크에서 10 ACK/NACK를 송신할 수 없으면 1 ㎳ TTI로 LTE에서 손실된 패킷들의 수는 10 개일 것이다. 이 예에서, 대응하는 패킷 손실 레이트는 10% 또는 0.1이다. 이는 기간에 걸친 연속적인 다운링크 송신에 응답하여 업링크에서 송신되는 ACK/NACK의 분율이 누락되거나 또는 드롭되거나 또는 손실되는 확률이라고 또한 말해질 수 있다. 이는 다음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둘 다의 비율로서 또한 표현될 수 있다: (a) 특정한 기간(T0)에 걸친 UE로의 그 UE의 서빙 셀로부터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연속적인 송신에 응답하여 UE에 의해 송신되는 누락된 ACK/NACK의 수; 또는 (b) 모든 데이터 블록들이 수신되면 UE로의 그 UE의 서빙 셀로부터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연속적인 송신에 응답하여 UE에 의해 송신되는 ACK/NACK의 총 수.
그러므로, 서빙 셀 성능(예컨대, PCell, SCell, 또는 PSCell 성능)은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누락된 ACK/NACK의 확률의 측면에서 또는 ACK/NACK의 총 수의 측면에서 표현될 수 있다. PCell에 대한 인터럽션은 "누락된 ACK/NACK의 수의 측면에서의 PCell 인터럽션"이라고 또한 지칭될 수 있다. 임의의 SCell에 대한 인터럽션은 "누락된 ACK/NACK의 수의 측면에서의 SCell 인터럽션"이라고 또한 지칭될 수 있다.
시스템 정보(SI)는 MIB, SIB1, SIB2, SIB3, SIB-NB, SIB-BR 등 중 임의의 하나 이상에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가 상이한 TTI 패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단일 캐리어 동작이라고 또한 지칭되는 하나의 서빙 셀(예컨대, PCell)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UE가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TTI들(예컨대, 1 ㎳의 TTI 및 2-OS의 TTI 등)을 할 수 있다. UE는 서빙 셀에서의 하나의 시간 리소스에서 UE에 의해 지원되는 복수의 TTI들 중 임의의 TTI로 구성될 수 있다. UE는 TTI가 서빙 셀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 변경되는 동작을 추가로 지원할 수 있다. UE는 서빙 셀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 상이한 TTI를 사용하여 동작을 추가로 지원할 수 있다. 일 예의 일부 기본 시나리오들이 아래의 표 1에서 설명된다.
표 1: TTI 패턴에 대한 기본 시나리오들의 예
Figure pct00001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들 중 도 7 내지 도 13b를 참조하여 설명되는데, 유사한 번호들은 다양한 도면들 중 유사 및 대응 부분들에 사용되고 있다. LTE는 본 개시내용의 전체에 걸쳐 예시적인 셀룰러 시스템으로서 사용되지만,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아이디어들은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특정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들(110)(이를테면 모바일 폰들, 스마트 폰들, 랩톱 컴퓨터들, 태블릿 컴퓨터들, MTC 디바이스들,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들)과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120)(이를테면 기지국들 또는 eNodeB들)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커버리지 영역(115)(또한 셀(115)이라 지칭됨)을 서빙한다.
일반적으로,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0)의 커버리지 내에 (예컨대, 네트워크 노드(120)에 의해 서빙되는 셀(115) 내에) 있는 무선 디바이스들(110)은 무선 신호들(130)을 송신하고 수신함으로써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0)와 통신한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들(110)과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0)는 보이스 트래픽, 데이터 트래픽(예컨대, 브로드캐스트 비디오), 및/또는 제어 신호들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들(130)을 통신할 수 있다. 보이스 트래픽, 데이터 트래픽, 및/또는 제어 신호들을 무선 디바이스(110)에 전달하는 네트워크 노드(120)가 무선 디바이스(110)를 위한 서빙 네트워크 노드(120)라고 지칭될 수 있다. 무선 신호들(130)은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0)로부터 무선 디바이스들(110)로의) 다운링크 송신물들과 (무선 디바이스들(110)로부터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0)로의) 업링크 송신물들 양쪽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110)는 비제한적 용어 "UE"에 의해 지칭될 수 있다. UE가 라디오 신호들을 통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UE와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UE는 라디오 통신 디바이스, 타겟 디바이스, D2D(device to device) UE, 머신 유형 UE 또는 M2M(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통신할 수 있는 UE, UE가 갖추어진 센서, iPAD, 태블릿, 모바일 단말들, 스마트 폰, LEE(laptop embedded equipped), LME(laptop mounted equipment), USB 동글들, 고객 구내 장비(Customer Premises Equipment)(CP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120)는 기지국, 라디오 기지국, 기지국 트랜시버, 기지국 제어기, 네트워크 제어기, 진화형 노드 B(eNB), gNB, 노드 B, 멀티-RAT 기지국, 멀티-셀/멀티캐스트 조정 엔티티(multicast Coordination Entity)(MCE), 중계 노드, 액세스 포인트, 라디오 액세스 포인트, 원격 라디오 유닛(RRU) 원격 라디오 헤드(RRH), 코어 네트워크 노드(예컨대, MME, SON 노드, 조정 노드 등), 또는 심지어 외부 노드(예컨대, 서드 파티 노드, 현재 네트워크 외부의 노드) 등과 같은 임의의 유형의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다양한 길이의 TTI(예컨대, 1 ㎳의 TTI, 또는 2os, 4os, 7os 등의 짧은 TTI, 또는 임의의 조합)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100)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에서 상이한 TTI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다른 셀(115)의 시스템 정보(SI)를 취득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0)는 자율 갭들에서 셀(115)의 SI를 취득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제1 TTI가 셀(115)에서 UE에 의해 사용되면 셀(115)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셀(115)에서 제1 수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그리고 제2 TTI가 셀(115)에서 UE에 의해 사용되면 셀(115)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셀(115)에서 제2 수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110)는 하나 이상의 운영 태스크들, 이를테면 셀 글로벌 아이덴티티(CGI)를 결정하는 것, 그 결과들을 다른 노드에 송신하는 것, 셀 변경 등을 수행하기 위해 셀(115)의 취득된 SI의 결과들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TTI는 제2 TTI와는 (즉, 심볼들의 수 또는 시간의 측면에서) 상이한 길이를 가진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자율 갭들을 사용하여 다른 셀(115)의 시스템 정보(SI)를 취득하도록 무선 디바이스(110)를 구성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제1 TTI가 셀(115)에서 무선 디바이스(110)에 의해 사용되면 셀(115)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110)가 셀(115)에서 송신할 수 있는 제1 수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또는 제2 TTI가 셀(115)에서 무선 디바이스(115)에 의해 사용되면 셀(115)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110)가 셀(115)에서 송신할 수 있는 제2 수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무선 디바이스(110)에 송신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120)는 무선 디바이스(110)로부터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120)는 무선 신호들(130)을 무선 디바이스들(110)로 송신하기 위한 단일 송신기 또는 다수의 송신기들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120)는 멀티-입력 멀티-출력(multi-input multi-output)(MIMO)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무선 디바이스(110)는 네트워크 노드들(120)로부터 신호들(130)을 수신하기 위한 단일 수신기 또는 다수의 수신기들을 가질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에서, 각각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0)는 임의의 적합한 라디오 액세스 기술, 이를테면 LTE(long term evolution), LTE-Advanced, NR, UMTS, HSPA, GSM, cdma2000, WiMax, WiFi, 및/또는 다른 적합한 라디오 액세스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하나 이상의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 목적으로, 다양한 실시예들은 특정한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의 맥락 내에서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개시내용의 범위는 예들로 제한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들이 상이한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을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들과, 무선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상이한 유형들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무선 디바이스들 사이 또는 무선 디바이스와 다른 통신 디바이스(이를테면 지상선 전화기)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추가적인 엘리먼트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 이를테면 무선 디바이스(110)가, 도 12a에 관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노드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 이를테면 네트워크 노드(120)가, 도 13a에 관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은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그리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들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방법들은 도 8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800)의 하나 이상의 단계들은 도 7를 참조하여 설명된 무선 네트워크(100)의 무선 디바이스(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800)은 단계 812에서 시작하며, 그 단계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제2 셀(cell2)의 SI를 취득하기 위한 요청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110)는 네트워크 노드(120)로부터 제2 셀(115)의 SI를 취득하기 위한 요청을 획득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cell2의 SI를 취득하도록 요청될 수 있는데, cell2는 서빙 셀의 캐리어와는 동일한 캐리어 상에서 또는 서빙 셀의 캐리어와는 상이한 캐리어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cell2는 제1 캐리어(F1)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cell2는 제2 캐리어(F2)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Cell2는 주파수 내 셀 또는 주파수 간 셀 또는 다른 RAT의 셀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다음의 메커니즘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cell2의 SI 또는 SI에 포함된 또는 정보의 서브세트의 요청을 획득하거나 또는 그 취득을 개시할 수 있다: (a) 다른 노드(예컨대,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측정 구성 메시지; (b) cell2의 SI를 취득할 필요성을 표시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또는 표시; (c) 무선 디바이스 cell2의 SI를 취득해야 하는 이벤트, 조건, 또는 트리거(예컨대, 현재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이 임계값 아래로 떨어지면 무선 디바이스 SI를 취득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예에서, 무선 디바이스가 cell2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셀들에 대해 동일한 PCI를 취득하면 무선 디바이스는 SI를 취득할 수 있음); 또는 (d) cell2의 SI가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취득될 것이 필요함을 표시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타이머.
수신된 요청의 하나의 특정 예는 "reportCGI", "report CSG 표시자" 또는 "reporting SI"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포함한다. SI"의 취득" 또는 "SI를 취득하는 것"은 "SI 판독", "SI의 판독", 'SI의 식별하는 것 또는 식별", "SI를 결정하는 것" 등을 또한 지칭할 수 있다.
단계 814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특정한 기간(T0) 동안 cell2의 SI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110)는 특정 기간(예컨대, 150 ㎳) 동안 다른 셀(115)의 SI를 취득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취득될 SI는 SI(예컨대, MIB, SIB1, SIB2 등)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는 cell2의 SI에서 송신하는 cell2의 CGI를 취득하도록 요청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SI는 cell2에 의해 송신되는 폐쇄형 가입자 그룹(closed subscriber group)(CSG)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특정한 기간(T0) 동안 cell2의 SI를 취득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서빙 셀들에서 자율 갭들을 생성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또는 다른 노드에 의해 구성되는 파라미터인 T0는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는 T0 동안 cell2의 MIB 및 SIB1를 취득하기 위해 5 ㎳의 적어도 8 개 갭들 각각을 생성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cell2의 AFC/AGC를 취득하기 위해 9 ㎳의 하나 이상의 갭들 각각을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제1 셀(cell1)(예컨대, PCell)에 의해 서빙된다. Cell1은 F1 상에서 또는 F2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자율 갭들 동안, 무선 디바이스는, 제1 셀(cell1)의 업링크에서 임의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고, cell1로부터 다운링크에서 임의의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816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제1 셀에서 무선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TTI 길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110)는 자신의 서빙 셀이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에서 짧은 TTI(예컨대, 2-os, 4-os, 7-os 등)를 사용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TTI 구성을 수신할 수 있거나, 또는 무선 디바이스(110)는 하나 이상의 TTI 지속기간들을 지원하도록 사전 구성될 수 있다. TTI를 결정하는 더 많은 예들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단계 818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시간 T0 동안 제1 셀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20)는 데이터를 무선 디바이스(110)에 연속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110)는 다른 셀에 대해 측정들을 수행하는 동안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110)는 네트워크 노드(120)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의 백분율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820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제1 TTI(TTI1)가 T0 동안 cell1에서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면 제1 셀(cell1)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cell1에서 제1 최소 수(N1)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그리고 제2 TTI(TTI2)가 T0 동안 cell1에서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면 cell1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cell1에서 제2 최소 수(N2)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110)는 T0 동안 제1 셀(cell1)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cell1의 다운링크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응답하여, UE는 cell1의 업링크에서 특정한 최소 수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T0 동안 cell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cell1에서 무선 디바이스(110)에 의해 송신될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의 최소 수(N)를 결정할 수 있다. 업링크 피드백 신호의 일 예는 ACK 또는 NACK 송신물이다. 무선 디바이스(110)에 의한 N의 결정은, 무선 디바이스(110)가 N을 결정하는 계산을 명시적으로 수행하는 것보다는, 무선 디바이스(110)에 의해 결정되는 자율 갭 스케줄링의 결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는 T0 동안 cell1 상의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무선 디바이스에 다운링크 시간 리소스들에서 다운링크 데이터(예컨대, PDSCH, sPDSCH, NPDSCH, 등)의 적어도 연속적인 송신에 응답하여 송신하도록 무선 디바이스가 요구되는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의 최소 수(N)를 획득할 수 있다. 최소 수인 N은 cell1에서 신호들에 작용하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TTI와 연관된다.
cell1에서의 TTI의 길이는 T0 동안 네트워크 노드가 cell1의 다운링크에서 무선 디바이스를 스케줄링(즉, cell1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다운링크 시간 리소스들의 수에 영향을 미친다. cell1에서 사용되는 TTI은 무선 디바이스가 cell1에서 다운링크 데이터에 응답하여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업링크 시간 리소스들의 수에 또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N의 값은 TTI가 더 짧을수록 증가한다. N의 값이 더 크다는 것은 무선 디바이스가 cell2의 SI를 취득할 때 네트워크가 cell1에서 무선 디바이스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더 많은 기회들을 가질 것임을 의미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TTI들(예컨대, TTI1 = 1 ㎳ 및 TTI = 2-OS)을 지원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2를 초과하는 TTI들(예컨대, TTI1=1 ㎳, TTI2=2-OS, TTI3=7-OS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연속적인 송신은 네트워크 노드가 SI 획득시간 동안(즉, 시간 T0 동안) cell1에서 모든 다운링크 시간 리소스들(예컨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의 데이터를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소 수인 N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 추가적인 조건들 또는 제약조건들 하에서 적용 가능할 수 있거나 또는 그러한 조건들 또는 제약조건들과 연관될 수 있다: (a) T0의 적어도 일부 동안, 무선 디바이스는 측정 갭으로 구성되지 않으며; (b) 무선 디바이스는 DRX 사이클로 구성되지 않으며; (c) 무선 디바이스는 DRX에서 동작하고 있지 않으며; (d) 무선 디바이스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의 미리 정의된 수의 코드 워드들(예컨대, 서브프레임 당 1 코드 워드)로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어떠한 MBSFN 서브프레임도 서빙 셀(또는 PCell)에서 구성되지 않는다. MBSFN 서브프레임들로서 구성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들의 예들은 FDD를 위한 서브프레임 # 1, 2, 3, 6, 7 및 8과 TDD를 위한 서브프레임 # 3, 4, 7, 8 및 9이다. MBSFN 서브프레임은 PMCH만을 포함하고 PDSCH(또는 sPDSCH)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파라미터 N은 파라미터 N1 또는 N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라미터 N(또는 N1 및 N2)은 cell1에서 사용되는 TDD 구성들(즉, TDD 업링크/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들)에 추가로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DD 업링크/다운링크 구성 # 0 및 TDD 업링크/다운링크 구성 # 1의 경우, N의 값들은 각각 18 및 35일 수 있다. 파라미터들(N1 및 N2)의 값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무선 디바이스에서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구성될 수 있다.
파라미터 N = N1, 여기서, N1은 무선 디바이스가 cell1에서 신호들에 작용하기 위해 제1 TTI(TTI1)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때 T0 동안 cell1 상의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무선 디바이스로의 다운링크 데이터(예컨대, PDSCH)의 적어도 연속적인 송신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가 cell1에서 송신하도록 요구되는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의 최소 수이다.
파라미터 N = N2, 여기서, N2는 무선 디바이스가 cell1에서 신호들에 작용하기 위해 제2 TTI(TTI2)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때 T0 동안 cell1 상의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무선 디바이스로의 다운링크 데이터(예컨대, PDSCH)의 적어도 연속적인 송신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가 cell1에서 송신하도록 요구되는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의 최소 수이다.
N(N1 또는 N2)의 값을 결정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와 cell1 사이에서 신호들에 작용하기 위해 구성되는 TTI의 값을 먼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는 cell1에서의 동작을 위해 TTI1 또는 TTI2로 구성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하나의 예에서, cell1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는 cell1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에서 동일한 TTI를 사용할 수 있는 반면, 다른 예에서, 상이한 TTI들은 cell1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에서 사용된다. 그러므로, 무선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cell1의 TTI 뿐만 아니라 업링크 cell1의 TTI를 추가로 획득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다음의 메커니즘들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cell1에서 신호들에 작용하기 위해 구성되는 TTI를 결정할 수 있다: (a) 네트워크 노드, 이를테면 PCell로부터 수신된 구성(예컨대, 무선 디바이스는 다운링크에서 제어 신호들을 수신함으로써 또는 RRC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cell1에서 사용되는 TTI를 결정할 수 있다); (b) TTI 및 캐리어 주파수에 관련된 미리 정의된 정보(예컨대, TTI와 cell1에서 사용되는 캐리어 주파수(F1)의 주파수 대역 사이의 관계), 또는 기준 셀(예컨대, PCell, PSCell)에서 사용되는 바와 동일한 TTI를 적용하는, 또는 (예컨대, 업링크 및 다운링크 cell1에서 동일한 TTI를 가정하거나, 또는 업링크 cell1이 다운링크 cell1의 TTI보다 더 짧지 않은 TTI를 사용한다고 가정한) cell1의 반대 방향에서 사용되는 TTI에 기초하는 것과 같은 미리 정의된 규칙; 및 (c) 자율적 결정(예컨대, 상이한 미리 정의된 TTI들의 다운링크 채널을 디코딩하도록 시도함으로써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블라인드 검출).
무선 디바이스는, cell1에서 사용되는 TTI를 결정한 후, T0, TTI들 및 N의 값들 사이의 관계를 사용함으로써 N(N1 또는 N2)의 값을 결정한다. 또 다른 예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T0, TTI들, N의 값들 및 TDD 구성(즉, 업링크/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 사이의 관계를 사용함으로써 N(N1 또는 N2)의 값을 결정한다. 파라미터들(N, TTI 및 T0)의 값과 그것들의 연관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무선 디바이스에서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구성될 수 있다. 관계는 함수 또는 매핑 테이블의 측면에서 표현될 수 있다.
N, TTI 및 T0을 관련시키는 함수의 일 예가 다음의 (1)에 의해 표현된다:
N = f(TTI, T0) (1)
cell1에서 사용되는 N, TTI, T0 및 TDD 서브프레임 구성(Cg)의 다른 예가 다음의 (2)에 의해 표현된다:
N = f(TTI, T0, Cg) (2)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동일한 TTI는 cell1의 업링크 및 cell1의 다운링크에서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의 추가의 양태에서, 상이한 TTI들이 cell1의 업링크 및 cell1의 다운링크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N의 값은 cell1의 다운링크에서 사용되는 TTI(TTId)와 cell1의 업링크에서 사용되는 TTI(TTIu)에 추가로 의존할 수 있다. N, TTId, TTIu 및 T0을 관련시키는 함수의 일 예가 다음의 (3)에 의해 표현된다:
N = f(TTId, TTIu, T0) (3)
cell1에서 사용되는 N, TTId, TTIu, T0 및 TDD 서브프레임 구성(Cg)을 관련시키는 함수의 다른 예가 다음의 (4)에 의해 표현된다:
N = f(TTId, TTIu, T0, Cg) (4)
TTI, N 및 T0을 관련시키는 매핑 테이블의 일 예가 표 2에서 도시된다. 표 2는 동일한 TTI가 cell1에서 사용된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가 TTI = 2-OS로 구성되면 N의 값 = X2 이다. 하지만 무선 디바이스가 TTI = 1 ㎳로 구성되면 N = X1 이다.
표 2: cell1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 동일한 TTI를 가정하는 상이한 TTI에 대한 N의 값의 예
Figure pct00002
표 3에서의 일 예가, 동일한 TTI가 cell1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 사용될 때 T0 동안 cell1에서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다수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예컨대, ACK/NACK)을 도시한다. 표 3에서의 예는 FDD에 대한 것이다.
표 3: cell1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의 동일한 TTI를 가정하여 상이한 TTI에 대해 cell1에서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N(업링크 ACK/NACK)의 특정 값들의 예
Figure pct00003
따라서, 제2 TTI 값보다 더 짧은 제1 TTI 값에 대해, 피드백 신호들의 제1 최소 수(N1)는 피드백 신호들의 제2 최소 수(N2)보다 더 높다. 예를 들어, 2 OS의 제1 TTI에 대해, 피드백 신호들의 제1 최소 수(N1)는 기간 내에서 465이다. 무선 디바이스가 제 2의, 더 긴, TTI, 예를 들어, 1ms TTI 즉, 14 심볼들에 따라 동작하고 있을 때, 피드백 신호들의 제2 최소 수(N2)는 동일한 기간, 예컨대, 60 개 피드백 신호들 동안 제1 TTI에서의 수보다 더 낮다. 이 관계는 TTI 길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적용 가능하다.
TTI, N 및 T0을 관련시키는 매핑 테이블의 다른 예가 표 4에 도시된다. 표 4에서, 일부 실시예들은 동일한 TTI가 cell1에서 사용된다고 가정하는 반면, 실시예들의 다른 세트는 상이한 TTI들이 cell1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 사용된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가 다운링크에서의 TTI = 2-OS와 업링크에서의 TTI= 1 ㎳로 구성되면, N의 값 = X31 이다. 하지만 무선 디바이스가 cell1의 다운링크에서의 TTI = 1 및 업링크에서의 TTI= 2-OS로 구성되면, N의 값 = X41 이다.
표 4: cell1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 동일한 또는 상이한 TTI들에 대한 N의 값의 예
Figure pct00004
표 5에서의 일 예가 상이한 TTI들이 cell1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 사용될 때 T0 동안 cell1에서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예컨대, ACK/NACK)의 예시적인 수들을 제공한다. 표 5에서의 예는 FDD에 대한 것이다.
표 5: 상이한 TTI들이 cell1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 사용된다고 가정하여 상이한 TTI에 대해 cell1에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N(업링크 ACK/NACK)의 특정 값들의 예
Figure pct00005
적어도 cell1에서 사용되는 TTI에 기초하여 N의 값을 결정한 후, 무선 디바이스는 T0 동안 cell1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cell1의 업링크에서 적어도 결정된 수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T0 동안 cell1의 SI를 더 취득한다.
무선 디바이스, 이를테면 무선 디바이스(110)는, 하나 이상의 운영 태스크들을 수행하기 위해 cell2의 취득된 SI의 결과들 또는 cell2의 SI에서의 정보의 서브세트를 사용할 수 있다. 운영 태스크들의 예들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a) SI 측정의 결과들을 다른 노드(예컨대,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에 보고하는 것; (b) 하나 이상의 동작들(예컨대, 포지셔닝, 전력 제어, 링크 적응, 핸드오버와 같은 셀 변경을 위함)에 대해 SI 측정 결과들을 사용하는 것; (c) 미리 정의된 요건(예컨대, 측정 시간(T1), T1 동안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의 최소 수, 올바르게 수신된 메시지들의 수 등)을 충족시키면서 SI 측정을 수행하는 것; (d) 결과들을 저장하고 그것들을 나중의 시간에 사용하는 것; 및/또는 (e) 셀의 검증(예컨대, cell1의 PCI 및 CGI를 비교하는 것.)
수정들, 추가들, 또는 생략들이 도 8에 도시된 방법(800)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덧붙여, 방법(800)에서의 하나 이상의 단계들이 병렬로 또는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4os/4os 및 7os/7os에 대한 다운링크/업링크 구성을 위한 예시적인 HARQ 피드백을 도시하며; 그리고 도 10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2os/2os 및 2os/1ms에 대한 다운링크/업링크 구성을 위한 예시적인 HARQ 피드백을 도시한다.
도 11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1100)의 하나 이상의 단계들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무선 네트워크(100)의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1100)은 단계 1162에서 시작하며, 이 단계에서 네트워크 노드가 기간(T0) 동안 제2 셀(cell2)의 시스템 정보(SI)를 취득하도록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20)는 제2 셀(cell2)의 SI를 취득하기 위한 요청을 무선 디바이스(110)에 송신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가 cell2의 SI를 취득할 필요를 먼저 결정할 수 있다. 이는 하나 이상의 태스크들(예컨대, 셀 변경, SON, 포지셔닝 등)을 수행할 필요에 기초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요청을 도 8에 관하여 설명된 예들 중 임의의 예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1164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제1 셀에서 무선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TTI 길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20)는 무선 디바이스(110)가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에서 짧은 TTI(예컨대, 2-os, 4-os, 7-os 등)를 사용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TTI를 결정하는 더 많은 예들은 도 8에 관하여 아래에서 그리고 위에서 설명된다.
단계 1166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시간 T0 동안 다운링크 데이터의 연속적인 송신물을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20)는 cell1에서 T0 동안 다운링크 데이터를 무선 디바이스(110)에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cell1의 적어도 T0 동안 모든 다운링크 시간 리소스들에서 데이터를 무선 디바이스(110)에 송신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가 T0 동안 cell2의 SI를 취득할 수 없으면, 네트워크 노드는 T0보다 더 긴 기간 동안(예컨대, T1>T0 경우 T1 동안) 모든 다운링크 시간 리소스들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단계 1168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시간 T0 동안 최소 수(N)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20)는 무선 디바이스(110)로부터 N 개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제1 TTI(TTI1)가 T0 동안 cell1에서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면 cell1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가 제1 셀(cell1)을 송신할 수 있는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의 제1 최소 수(N1), 또는 제2 TTI(TTI2)가 T0 동안 cell1에서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면 cell1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cell1에서 무선 디바이스가 송신할 수 있는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의 제2 최소 수(N2)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20)는 cell1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100)가 제1 셀(cell1)에서 송신할 수 있는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의 특정한 최소 수(N)를 결정할 수 있다.
N의 값은 cell1에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TTI의 값에 의존한다. N의 값은 동일한 TTI가 cell1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 사용되는지, 또는 상이한 TTI들이 cell1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 사용되는지에 추가로 의존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도 8에 관하여 설명된 바와 동일한 원리들, 함수들 또는 매핑 테이블들에 기초하여 적어도 cell1에서 사용되는 TTI(또는 cell1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 사용되는 TTI들)의 함수로서 N의 값을 결정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TTI1이 T0 동안 cell1에서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면 cell1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cell1에서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N1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또는 TTI2가 T0 동안 cell1에서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면 cell1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cell1에서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N2 업링크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20)는 적어도 T0 동안 cell1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무선 디바이스(110)에 송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특정한 수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TTI1이 cell1에서 신호들에 작용하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면 무선 디바이스가 T0에서 SI를 취득할 수 있다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N1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할 것을 기대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TTI2가 cell1에서 신호들에 작용하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면 무선 디바이스가 T0에서 SI를 취득할 수 있다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N2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할 것을 기대한다. 적어도 T0 동안 cell1에서 무선 디바이스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신된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의 수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TTI들이 T0 동안 cell1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 사용되는지의 여부에 추가로 의존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 이를테면 네트워크 노드(120)는, cell1에서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의 수의 결과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운영 태스크들을 수행하기 위해 cell1의 취득된 SI의 결과들을 사용할 수 있다. 운영 태스크들의 예들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a) 하나 이상의 동작들에 대해(예컨대, 포지셔닝, 전력 제어, 링크 적응, 핸드오버와 같은 셀 변경 등에 대해) SI 측정 결과들을 사용하는 것; (b) 결과들을 저장하고 그것들을 나중의 시간에 사용하는 것; (c) 셀의 검증(예컨대, cell1의 PCI 및 CGI를 비교하는 것); (d) 무선 디바이스의 서빙 셀의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에서 무선 디바이스에의 데이터의 스케줄링을 적응시키는 것 또는 향상시키는 것; (d) 무선 디바이스에 측정 구성을 적응시키는 것 및 적응된 측정 구성을 송신하는 것; 및/또는 (e) 셀 파라미터들(예컨대, 송신 전력, 안테나 송신 모드 등)을 재구성하는 것.
수정들, 추가들, 또는 생략들이 도 11에 도시된 방법(1100)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덧붙여, 방법(1100)에서의 하나 이상의 단계들이 병렬로 또는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2a는 무선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무선 디바이스는 도 7에 도시된 무선 디바이스들(110)의 일 예이다. 특정 예들은 모바일 폰, 스마트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컴퓨터(예컨대, 랩톱, 태블릿), 센서, 모뎀, 머신 유형(MTC) 디바이스/사물통신(M2M) 디바이스, LEE(laptop embedded equipment), LME(laptop mounted equipment), USB 동글들,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가능 디바이스, NB-IoT 디바이스,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트랜시버(1210), 프로세싱 회로부(1220), 메모리(1230), 및 전원(1240)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트랜시버(1210)는 무선 신호들을 (예컨대, 안테나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 노드(120)에 송신하고 무선 신호들을 그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프로세싱 회로부(1220)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바와 같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하기 위한 명령들을 실행하고, 메모리(1230)는 프로세싱 회로부(122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들을 저장한다. 전원(1240)은 트랜시버(1210), 프로세싱 회로부(1220), 및/또는 메모리(1230)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110)의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에 전력을 공급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110)는 셀의 SI를 취득하기 위한 요청을 획득; 기간(T0) 동안 셀의 SI를 획득; 및 자신의 서빙 셀(들)에서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TTI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TTI 길이가 제1 TTI 값(TTI1)과 동일할 때, 무선 디바이스는 T0 동안 서빙 셀의 업링크에서 제1 최소 수(N1)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송신한다. 결정된 TTI 길이가 제2 TTI 값(TTI2)일 때, 무선 디바이스는 T0 동안 서빙 셀의 업링크에서 제2 최소 수(N2)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송신한다.
프로세싱 회로부(1220)는 무선 디바이스의 설명된 기능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명령들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조작하는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 또는 모듈들에서 구현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회로부(122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컴퓨터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들, 하나 이상의 중앙 프로세싱 유닛들(CPU들),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다른 로직, 그리고/또는 선행하는 것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부(1220)는 무선 디바이스(110)의 설명된 기능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회로부(1220)는 저항기들, 커패시터들, 인덕터들, 트랜지스터들, 다이오드들,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회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30)는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일반적으로 동작 가능하다. 메모리(1230)의 예들은 정보를 저장하는 컴퓨터 메모리(예컨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대용량 스토리지 미디어(예컨대, 하드 디스크), 착탈식 스토리지 미디어(예컨대, 콤팩트 디스크(CD) 또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및/또는 임의의 다른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및/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메모리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전원(1240)은 무선 디바이스(110)의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일반적으로 동작 가능하다. 전원(1240)은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배터리, 이를테면 리튬-이온, 리튬-에어, 리튬 폴리머, 니켈 카드뮴, 니켈 금속 수소화물, 또는 전력을 무선 디바이스에 공급하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트랜시버(1210)와 통신하는 프로세싱 회로부(122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 따라, 자율 갭에서 시스템 정보를 취득하고 측정 결과들을 네트워크 노드(120)에 송신한다. 무선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들은, 위에서 설명된 기능 및/또는 (위에서 설명된 해법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기능을 포함하는) 임의의 추가적인 기능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여, 무선 디바이스의 기능의 특정한 양태들을 제공하는 것을 담당하는 (도 12a에 도시된 것들을 넘어서는)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b는 무선 디바이스(110)의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컴포넌트들은 획득 모듈(1250), 결정 모듈(1252), 수신 모듈(1254), 및 송신 모듈(1256)을 포함할 수 있다.
획득 모듈(1250)은 무선 디바이스(110)의 획득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획득 모듈(1250)은 도 8에서의 단계 812 및 814의 획득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획득 모듈(1250)은 프로세싱 회로부(1220)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그러한 프로세싱 회로부에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획득 모듈(1250)은 결정 모듈(1252), 수신 모듈(1254) 및 송신 모듈(1254)과 통신할 수 있다.
결정 모듈(1252)은 무선 디바이스(110)의 결정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 모듈(1252)은 도 8에서의 단계 816의 결정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결정 모듈(1252)은 프로세싱 회로부(1220)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그러한 프로세싱 회로부에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결정 모듈(1252)은 획득 모듈(1250), 수신 모듈(1254) 및 송신 모듈(1254)과 통신할 수 있다.
수신 모듈(1254)은 무선 디바이스(110)의 수신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모듈(1254)은 도 8에서의 단계 818의 수신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송신 모듈(1254)은 프로세싱 회로부(1220)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그러한 프로세싱 회로부에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송신 모듈(1254)은 획득 모듈(1250) 및 취득 모듈(1252)과 통신할 수 있다.
송신 모듈(1256)은 무선 디바이스(110)의 송신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모듈(1256)은 도 8에서의 단계 820의 송신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송신 모듈(1256)은 프로세싱 회로부(1220)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그러한 프로세싱 회로부에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송신 모듈(1256)은 획득 모듈(1250), 결정 모듈(1252) 및 수신 모듈(1254)과 통신할 수 있다.
도 13a는 네트워크 노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eNodeB, nodeB, 기지국, 무선 액세스 포인트(예컨대, Wi-Fi 액세스 포인트), 저 전력 노드, 기지국 트랜시버(BTS), 송신 포인트 또는 노드, 원격 RF 유닛(remote RF unit)(RRU), 원격 라디오 헤드(RRH), 또는 다른 라디오 액세스 노드일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1310), 프로세싱 회로부(1320),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330), 및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40)를 포함한다. 트랜시버(1310)는 무선 신호들을 (예컨대, 안테나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 이를테면 무선 디바이스들(110)에 송신하는 것과 무선 신호들을 그러한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프로세싱 회로부(1320)는 네트워크 노드(120)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같은 위에서 설명된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하기 위한 명령들을 실행하며; 메모리(1330)는 프로세싱 회로부(132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40)는 신호들을 백엔드 네트워크 컴포넌트들, 이를테면 게이트웨이, 스위치, 라우터, 인터넷, 공중전화망(PSTN), 제어기,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120)에 통신한다. 프로세싱 회로부(1320) 및 메모리(1330)는 위의 도 12a의 프로세싱 회로부(1220) 및 메모리(1230)에 관해 설명된 바와 동일한 유형들일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기간(T0) 동안 셀의 SI를 취득하도록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 서빙 셀에서 무선 디바이스와는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TTI 길이를 결정; 및 시간 T0 동안 무선 디바이스에 다운링크 데이터의 연속 할당을 송신할 수 있다. 결정된 TTI 길이가 제1 TTI 값(TTI1)일 때, 네트워크 노드는 T0 동안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1 최소 수(N1)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결정된 TTI 길이가 제2 TTI 값(TTI2)일 때, 네트워크 노드는 T0 동안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2 최소 수(N2)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40)는 프로세싱 회로부(1320)에 통신적으로 커플링되고, 네트워크 노드(120)에 대한 입력을 수신, 네트워크 노드(120)로부터의 출력을 전송, 입력 또는 출력 또는 둘 다의 적합한 프로세싱을 수행, 다른 디바이스들로의 전송, 또는 선행하는 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하도록 동작 가능한 임의의 적합한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4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 프로토콜 변환 및 데이터 프로세싱 능력들을 포함하는 적절한 하드웨어(예컨대, 포트,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등)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트랜시버(1310)와 통신하는 프로세싱 회로부(1320)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무선 디바이스(110)에 송신하고 무선 디바이스(110)로부터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한다.
네트워크 노드(120)의 다른 실시예들은, 위에서 설명된 기능 및/또는 임의의 추가적인 기능(위에서 설명된 해법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기능을 포함함)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의 기능의 특정한 양태들을 제공하는 것을 담당하는 (도 13a에 도시된 것들 외의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상이한 유형들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은 동일한 물리적 하드웨어를 갖지만 (예컨대, 프로그래밍을 통해) 상이한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부분적으로는 또는 전적으로 상이한 물리적 컴포넌트들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3b는 네트워크 노드(120)의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그 컴포넌트들은 구성 모듈(1350), 결정 모듈(1352), 송신 모듈(1354) 및 수신 모듈(1356)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 모듈(1350)은 네트워크 노드(120)의 구성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 모듈(1350)은 도 11에서 단계 1162의 구성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구성 모듈(1350)은 프로세싱 회로부(1320)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그러한 프로세싱 회로부에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구성 모듈(1350)은 결정 모듈(1352), 송신 모듈(1354) 및 수신 모듈(1356)과 통신할 수 있다.
결정 모듈(1352)은 네트워크 노드(120)의 결정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 모듈(1352)은 도 11에서 단계 1164의 결정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결정 모듈(1352)은 프로세싱 회로부(1320)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그러한 프로세싱 회로부에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결정 모듈(1352)은 구성 모듈(1350), 송신 모듈(1354), 및 수신 모듈(1356)과 통신할 수 있다.
송신 모듈(1354)은 네트워크 노드(120)의 송신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모듈(1354)은 도 11에서의 단계 1166의 송신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송신 모듈(1354)은 프로세싱 회로부(1320)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그러한 프로세싱 회로부에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송신 모듈(1354)은 구성 모듈(1250), 결정 모듈(1352), 및 수신 모듈(1356)과 통신할 수 있다.
수신 모듈(1356)은 네트워크 노드(120)의 수신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모듈(1356)은 도 11에서의 단계 1168의 수신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수신 모듈(1356)은 프로세싱 회로부(1320)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그러한 프로세싱 회로부에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수신 모듈(1356)은 구성 모듈(1350), 결정 모듈(1352) 및 송신 모듈(1354)과 통신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기술적 장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의 특정 장점이, UE가 타겟 셀의 SI를 취득할 때 서빙 셀 성능에 관한 UE 행동이 잘 정의된다는 것이다. 다른 장점은 서빙 셀에서의 UE에 대한 데이터의 스케줄링 성능이 향상된다는 것이다. 이는 스케줄링 허가들이 더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SI 취득 성능은, 심지어 UE가 자신의 서빙 셀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 상이한 TTI들을 사용하더라도, 적어도 유지되거나 또는 심지어 향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은 이들 장점들의 일부 또는 모두로부터 유익을 얻을 수 있다. 다른 기술적 장점들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쉽사리 확인될 수 있다.
비록 본 개시내용이 특정한 실시예들의 측면에서 설명되었지만, 실시예들의 개조들 및 치환물들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비록 일부 실시예들이 특정한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장기 진화(LTE), LTE-Advanced, NR, UMTS, HSPA, GSM, cdma2000, WiMax, WiFi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라디오 액세스 기술(RAT) 또는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의 위의 설명은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지 않는다. 다른 변경들, 치환들, 및 개조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가능하다.
일부 양태들에서, 예들은, 제2 셀의 SI를 취득하기 위한 요청을 획득하는 것; 기간(T0) 동안 제2 셀의 SI를 획득하는 것; 및/또는 제1 셀에서 사용되는 TTI 길이를 결정하는 것 중 하나 이상 없이 정의될 수 있다.
다음의 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의 특정한 양태들이 특정 통신 표준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의 예들이다. 특히, 다음의 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3GPP RAN 표준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의 비제한적 예를 제공한다. 예들에 의해 설명된 변경들은 단지 실시예들의 특정한 양태들이 특정 표준에서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를 예시하도록 의도되었다. 그러나, 실시예들은, 3GPP 규격 및 다른 규격들 또는 표준들 양쪽 모두에서, 다른 적합한 방식들로 또한 구현될 수 있다.
3GPP TS 36.133 v14.1.0에서 다음의 섹션들은 수정될 수 있다.
자율 갭들을 이용한 E- UTRAN FDD 인트라 주파수 측정들
자율 갭들을 이용한 E- UTRA 셀의 새로운 CGI의 식별
어떠한 명시적 이웃 리스트도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식별하기 위해 UE에 제공되지 않는다. UE는 'reportCGI' 목적으로 네트워크에 의해 요청될 때 CGI를 식별하고 보고해야 한다. UE는 TS 36.331의 5.5.3.1절에 따라 MIB 및 SIB1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다운링크 수신 및 업링크 송신에서 자율 갭들을 만들 수 있다. si-RequestForHO가 거짓으로 설정되면 UE가 자율 갭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에 주의한다. 자율 갭들이 'reportCGI' 목적으로 측정을 위해 사용되면, DRX 또는 eDRX_CONN이 사용되는지의 여부, 또는 SCell(들)이 구성되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UE는 다음 내에서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하며:
Figure pct00006
여기서 Tbasic _identify_CGI, intra = 150 ㎳ 이다. 이는 E-UTRA 셀이 UE에 의해 이미 식별되었다면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UE가 식별하기 위한 최대 허용 시간이 정의되는 위의 수식에서 사용되는 기간이다.
셀은 식별 가능한 다음의 조건들이 충족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a) 대응하는 대역에 대해 충족되는 9.1절에서 주어진 RSRP 관련된 측면 조건들; 및 (b) 대응하는 대역에 대한 부록 B.2.2에 따른 SCH_RP 및 SCH
Figure pct00007
s/Iot.
CGI가 식별되는 E-UTRA 셀의 MIB는, PBCH 복조 요건들이 충족되면, UE에 의해 디코딩 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DRX가 사용되지 않을 때 뿐만 아니라 TS 36.331에서 특정된 DRX 또는 eDRX_CONN 사이클들 중 임의의 것이 사용될 때, Tbasic _identify_CGI,. intra 내에서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식별하는 요건은 적용 가능하다.
UE가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식별하는 시간
Figure pct00008
내에서, 다음 중 하나 이상을 조건으로, UE는 표 6에 특정된 바와 같은 활성화된 SCell(들)의 각각 또는 PCell 상에서 적어도 Nmin 개의 ACK/NACK들을 송신해야 한다: (a) 연속 다운링크 데이터 할당이 있으며; (b) DRX와 eDRX_CONN 사이클 중 어느 것도 사용되지 않으며; (c) 측정 갭들이 구성되지 않으며; (d) 단지 하나의 코드 워드만이 각각의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며; 그리고 (e) MBSFN 서브프레임들이 활성화된 SCell(들)의 각각 또는 PCell에서 구성되지 않는다.
표 6: Tbasic _identify_CGI, intra 동안 송신할 ACK/NACK들의 최소 수에 대한 요건
Figure pct00009
자율 갭들을 이용한 E- UTRAN FDD-FDD 인터 주파수 측정들
자율 갭들을 이용한 E- UTRA FDD 셀의 새로운 CGI의 식별
어떠한 명시적 이웃 리스트도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식별하기 위해 UE에 제공되지 않는다. UE는 'reportCGI' 목적으로 네트워크에 의해 요청될 때 CGI를 식별하고 보고해야 한다. UE는 TS 36.331의 5.5.3.1절에 따라 MIB 및 SIB1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다운링크 수신 및 업링크 송신 둘 다에서 자율 갭들을 만들 수 있다. si-RequestForHO가 거짓으로 설정되면 UE가 자율 갭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에 주의한다. 자율 갭들이 'reportCGI' 목적으로 측정을 위해 사용되면, DRX 또는 eDRX_CONN이 사용되는지의 여부, 또는 SCell(들)이 구성되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UE는 다음 내에서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하며:
Figure pct00010
여기서 Tbasic _identify_CGI, inter = 150 ㎳ 이다. 이는 E-UTRA 셀이 UE에 의해 이미 식별되었다면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UE가 식별하기 위한 최대 허용 시간이 정의되는 위의 수식에서 사용되는 기간이다.
셀은 식별 가능한 다음의 조건들이 충족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a) 대응하는 대역에 대해 충족되는 9.1절에서 주어진 RSRP 관련된 측면 조건들; 및 (b) 대응하는 대역에 대한 부록 B.2.3에 따른 SCH_RP|dBm 및 SCH
Figure pct00011
s/Iot.
CGI가 식별되는 E-UTRA 셀의 MIB는, PBCH 복조 요건들이 충족되면, UE에 의해 디코딩 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DRX가 사용되지 않을 때 뿐만 아니라 TS 36.331에서 특정된 DRX 또는 eDRX_CONN 사이클들 중 임의의 것이 사용될 때, Tbasic _identify_ CGI,inter 내에서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식별하는 요건은 적용 가능하다.
UE가 E-UTRA 셀의 새로운 CGI를 식별하는 시간
Figure pct00012
내에서, 다음 중 하나 이상을 조건으로, UE는 표 7에 특정된 바와 같은 활성화된 SCell(들)의 각각 또는 PCell 상에서 적어도 Nmin 개 ACK/NACK들을 송신해야 한다: (a) 연속 DL 데이터 할당이 있으며; (b) DRX와 eDRX_CONN 사이클 중 어느 것도 사용되지 않으며; (c) 측정 갭들이 구성되지 않으며; (d) 단지 하나의 코드 워드만이 각각의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며; 그리고 (e) MBSFN 서브프레임들이 활성화된 SCell(들)의 각각 또는 PCell에서 구성되지 않는다.
표 7: Tbasic _identify_CGI, inter 동안 송신할 ACK/NACK들의 최소 수에 대한 요건
Figure pct00013
약어들:
3GPP 제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BLER 블록 에러 레이트
CGI 셀 글로벌 식별자
CFI 제어 포맷 표시자
CP 주기적 전치부호
CRS 공통 기준 신호
DFT 이산 푸리에 변환
DMRS 복조 기준 신호
eMTC 향상된 MTC
eNB 진화형 노드 B
eNodeB 진화형 노드 B
E-UTRA 향상된 UTRA
FDD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HARQ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LTE 장기 진화
MIB 마스터 정보 블록
MTC 머신 유형 통신
OFDM 직교 주파수
PCFICH 물리적 CFI 채널
PDCCH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SCH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PHICH 물리적 HARQ 표시 채널
PRB 물리적 리소스 블록
PSS 일차 동기화 소스
RAT 라디오 액세스 기술
RF 라디오 주파수
RRC 라디오 리소스 제어
SC-FDMA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화
SFN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시스템 프레임 번호
SI 시스템 정보
SIB 시스템 정보 블록
SSS 이차 동기화 소스
TDD 시분할 듀플렉스
TTI 송신 시구간
UE 사용자 장비
UMTS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UTRA UMTS 지상 라디오 액세스

Claims (36)

  1. 제1 셀과는 제2 셀의 시스템 정보(SI)를 취득하기 위해 통신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사용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셀은 둘 이상의 송신 시구간들(TTI들)을 사용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셀의 SI를 취득하기 위한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812);
    기간(T0) 동안 상기 제2 셀의 상기 SI를 획득하는 단계(814);
    상기 제1 셀에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TTI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816);
    시간 T0 동안 상기 제1 셀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818)에 응답하여:
    결정된 TTI 길이가 제1 TTI 값(TTI1)일 때, T0 동안 상기 제1 셀의 업링크에서 제1 최소 수(N1)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송신하는 단계(820); 및
    상기 결정된 TTI 길이가 제2 TTI 값(TTI2)일 때, T0 동안 상기 제1 셀의 업링크에서 제2 최소 수(N2)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송신하는 단계(820)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TI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816)는 상기 제1 셀에서 사용되는 업링크 TTI 길이 및 상기 제1 셀에서 사용되는 다운링크 TTI 길이 중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셀의 상기 SI를 획득하는 단계(814)는 다수의 측정 갭들에서 신호들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T0 동안 N1 또는 N2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송신할 수 없을 때, 상기 측정 갭들의 수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T0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갭들은 시간 T0 동안 적어도 상기 제1 셀에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자율 갭들을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TTI1은 TTI2보다 더 짧은 지속기간이고 N1은 N2보다 더 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TTI1은 1 ㎳보다 더 짧고 N1은 60보다 더 큰,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1과 N2는 상기 제1 셀의 시분할 듀플렉스(TDD) 업링크/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 의존적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은 주파수분할 듀플렉스(FDD) 동작을 위해 구성되며;
    T0은 150 ㎳이며; 그리고/또는
    TTI1이 2-os일 때, N1은 465이며; 그리고/또는
    TTI1이 4-os일 때, N1은 279이며; 그리고/또는
    TTI1이 7-os일 때, N1은 164이며; 그리고/또는
    TTI1이 14-os일 때, N1은 60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은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확인응답(ACK) 및 부정 확인응답(NACK) 신호들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1 셀(115)과는 제2 셀(115)의 시스템 정보(SI)를 취득하기 위해 통신하는 무선 디바이스(110)로서, 상기 제1 셀은 둘 이상의 송신 시구간들(TTI들)을 사용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제2 셀의 SI를 취득하기 위한 요청을 획득하며;
    기간(T0) 동안 상기 제2 셀의 상기 SI를 획득하며;
    상기 제1 셀에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TTI 길이를 결정하며;
    시간 T0 동안 상기 제1 셀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결정된 TTI 길이가 제1 TTI 값(TTI1)일 때, T0 동안 상기 제1 셀의 업링크에서 제1 최소 수(N1)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송신하며; 그리고
    상기 결정된 TTI 길이가 제2 TTI 값(TTI2)일 때, T0 동안 상기 제1 셀의 업링크에서 제2 최소 수(N2)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프로세싱 회로부(1120)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부는 상기 제1 셀에서 사용되는 업링크 TTI 길이 및 상기 제1 셀에서 사용되는 다운링크 TTI 길이 중 하나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TTI 길이를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한, 무선 디바이스.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부는 다수의 측정 갭들에서 신호들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제2 셀의 상기 SI를 획득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부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T0 동안 N1 또는 N2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송신할 수 없을 때, 상기 측정 갭들의 수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T0를 증가시키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한, 무선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갭들은 시간 T0 동안 적어도 상기 제1 셀에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자율 갭들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TTI1은 TTI2보다 더 짧은 지속기간이고 N1은 N2보다 더 큰, 무선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TTI1은 1 ㎳보다 더 짧고 N1은 60보다 더 큰, 무선 디바이스.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1과 N2는 상기 제1 셀의 시분할 듀플렉스(TDD) 업링크/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 의존적인, 무선 디바이스.
  17.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은 주파수분할 듀플렉스(FDD) 동작을 위해 구성되며;
    T0은 150 ㎳이며; 그리고/또는
    TTI1이 2-os일 때, N1은 465이며; 그리고/또는
    TTI1이 4-os일 때, N1은 279이며; 그리고/또는
    TTI1이 7-os일 때, N1은 164이며; 그리고/또는
    TTI1이 14-os일 때, N1은 60인, 무선 디바이스.
  18.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은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확인응답(ACK) 및 부정 확인응답(NACK) 신호들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19. 제2 셀의 시스템 정보(SI)를 취득하도록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제1 셀의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셀은 둘 이상의 송신 시구간들(TTI들)을 사용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상기 방법은:
    기간(T0) 동안 상기 제2 셀의 SI를 취득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단계(1162);
    상기 제1 셀에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TTI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1164);
    시간 T0 동안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다운링크 데이터의 연속 할당을 송신하는 단계(1166);
    결정된 TTI 길이가 제1 TTI 값(TTI1)일 때, T0 동안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1 최소 수(N1)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1168); 및
    결정된 TTI 길이가 제2 TTI 값(TTI2)일 때, T0 동안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2 최소 수(N2)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1168)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TTI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1164)는 상기 제1 셀에서 사용되는 업링크 TTI 길이 및 상기 제1 셀에서 사용되는 다운링크 TTI 길이 중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T0 동안 N1 또는 N2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하지 않을 때, T0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TTI1은 TTI2보다 더 짧은 지속기간을 포함하고 N1은 N2보다 더 큰,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TTI1은 1 ㎳보다 더 짧고 N1은 60보다 더 큰, 방법.
  24.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1과 N2는 상기 제1 셀의 시분할 듀플렉스(TDD) 업링크/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 의존적인, 방법.
  25.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은 주파수분할 듀플렉스(FDD) 동작을 위해 구성되며;
    T0은 150 ㎳이며; 그리고/또는
    TTI1이 2-os일 때, N1은 465이며; 그리고/또는
    TTI1이 4-os일 때, N1은 279이며; 그리고/또는
    TTI1이 7-os일 때, N1은 164이며; 그리고/또는
    TTI1이 14-os일 때, N1은 60인, 방법.
  26. 제19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은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확인응답(ACK) 및 부정 확인응답(NACK) 신호들을 포함하는, 방법.
  27. 제2 셀(115)의 시스템 정보(SI)를 취득하도록 무선 디바이스(110)를 구성할 수 있는 제1 셀(115)의 네트워크 노드(120)로서, 상기 제1 셀은 둘 이상의 송신 시구간들(TTI들)을 사용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기간(T0) 동안 상기 제2 셀의 SI를 취득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며;
    상기 제1 셀에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TTI 길이를 결정하며;
    시간 T0 동안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다운링크 데이터의 연속 할당을 송신하며;
    결정된 TTI 길이가 제1 TTI 값(TTI1)일 때, T0 동안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1 최소 수(N1)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하며; 그리고
    결정된 TTI 길이가 제2 TTI 값(TTI2)일 때, T0 동안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2 최소 수(N2)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프로세싱 회로부(122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셀에서 사용되는 업링크 TTI 길이 및 상기 제1 셀에서 사용되는 다운링크 TTI 길이 중 하나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TTI 길이를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T0 동안 N1 또는 N2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하지 않을 때, T0를 증가시키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30.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TTI1은 TTI2보다 더 짧은 지속기간을 포함하고 N1은 N2보다 더 큰, 네트워크 노드.
  31. 제30항에 있어서, TTI1은 1 ㎳보다 더 짧고 N1은 60보다 더 큰, 네트워크 노드.
  32.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1과 N2는 상기 제1 셀의 시분할 듀플렉스(TDD) 업링크/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 의존적인, 네트워크 노드.
  33.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은 주파수분할 듀플렉스(FDD) 동작을 위해 구성되며;
    T0은 150 ㎳이며; 그리고/또는
    TTI1이 2-os일 때, N1은 465이며; 그리고/또는
    TTI1이 4-os일 때, N1은 279이며; 그리고/또는
    TTI1이 7-os일 때, N1은 164이며; 그리고/또는
    TTI1이 14-os일 때, N1은 60인, 네트워크 노드.
  34. 제29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은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확인응답(ACK) 및 부정 확인응답(NACK) 신호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35. 제1 셀(115)과는 제2 셀(115)의 시스템 정보(SI)를 취득하기 위해 통신하는 무선 디바이스(110)로서, 상기 제1 셀은 둘 이상의 송신 시구간들(TTI들)을 사용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획득 모듈(1150), 결정 모듈(1152), 및 송신 모듈(1156)을 포함하며,
    상기 획득 모듈은,
    상기 제2 셀의 SI를 취득하기 위한 요청을 획득하며; 그리고
    기간(T0) 동안 상기 제2 셀의 상기 SI를 획득하도록 동작 가능하며,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제1 셀에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TTI 길이를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하며;
    시간 T0 동안 상기 제1 셀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결정된 TTI 길이가 제1 TTI 값(TTI1)일 때, 상기 송신 모듈은 T0 동안 상기 제1 셀의 업링크에서 제1 최소 수(N1)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며; 그리고
    결정된 TTI 길이가 제2 TTI 값(TTI2)일 때, 상기 송신 모듈은 T0 동안 상기 제1 셀의 상기 업링크에서 제2 최소 수(N2)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무선 디바이스.
  36. 제2 셀(115)의 시스템 정보(SI)를 취득하도록 무선 디바이스(110)를 구성할 수 있는 제1 셀(115)의 네트워크 노드(120)로서, 상기 제1 셀은 둘 이상의 송신 시구간들(TTI들)을 사용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구성 모듈(1250), 결정 모듈(1252), 수신 모듈(1254), 및 송신 모듈(1256)을 포함하며;
    상기 구성 모듈은 기간(T0) 동안 제2 셀의 SI를 취득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도록 동작 가능하며;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제1 셀에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TTI 길이를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하며;
    상기 송신 모듈은 시간 T0 동안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다운링크 데이터의 연속 할당을 송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며;
    결정된 TTI 길이가 제1 TTI 값(TTI1)일 때, 상기 수신 모듈은 T0 동안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1 최소 수(N1)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며; 그리고
    결정된 TTI 길이가 제2 TTI 값(TTI2)일 때, 상기 수신 모듈은 T0 동안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2 최소 수(N2)의 업링크 피드백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KR1020197015566A 2016-11-04 2017-11-03 짧은 tti를 이용한 통신 KR102224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06409A KR102303071B1 (ko) 2016-11-04 2017-11-03 짧은 tti를 이용한 통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17914P 2016-11-04 2016-11-04
US62/417,914 2016-11-04
PCT/EP2017/078173 WO2018083229A1 (en) 2016-11-04 2017-11-03 Communication with short tti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6409A Division KR102303071B1 (ko) 2016-11-04 2017-11-03 짧은 tti를 이용한 통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480A true KR20190077480A (ko) 2019-07-03
KR102224935B1 KR102224935B1 (ko) 2021-03-09

Family

ID=604525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566A KR102224935B1 (ko) 2016-11-04 2017-11-03 짧은 tti를 이용한 통신
KR1020217006409A KR102303071B1 (ko) 2016-11-04 2017-11-03 짧은 tti를 이용한 통신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6409A KR102303071B1 (ko) 2016-11-04 2017-11-03 짧은 tti를 이용한 통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288762A1 (ko)
EP (2) EP3852295A1 (ko)
JP (1) JP6812547B2 (ko)
KR (2) KR102224935B1 (ko)
ES (1) ES2872952T3 (ko)
PL (1) PL3535892T3 (ko)
WO (1) WO201808322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62137A1 (en) * 2014-01-31 2016-09-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Nodes Relating to System Information Acquisition During Flexible Subframe Operation
WO2016160330A1 (en) * 2015-03-31 2016-10-06 Qualcomm Incorporated Management of dynamic transmission time interval scheduling for low latency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2757A1 (en) * 2012-05-15 2013-11-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of sending feedback signaling under carrier specific measurement gaps in multi-carri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62137A1 (en) * 2014-01-31 2016-09-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Nodes Relating to System Information Acquisition During Flexible Subframe Operation
WO2016160330A1 (en) * 2015-03-31 2016-10-06 Qualcomm Incorporated Management of dynamic transmission time interval scheduling for low latency commun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88762A1 (en) 2021-09-16
EP3852295A1 (en) 2021-07-21
KR20210027545A (ko) 2021-03-10
KR102224935B1 (ko) 2021-03-09
PL3535892T3 (pl) 2021-10-04
ES2872952T3 (es) 2021-11-03
WO2018083229A1 (en) 2018-05-11
JP6812547B2 (ja) 2021-01-20
JP2020504479A (ja) 2020-02-06
EP3535892A1 (en) 2019-09-11
KR102303071B1 (ko) 2021-09-17
EP3535892B1 (en) 202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4988B2 (ja) Csiおよびharqフィードバックのためのpucchリソース指示
CN110178406B (zh) Fs3 scells上的频率间测量
EP3689017B1 (en) Configuration of cell quality derivation parameters
US2020013760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gap sharing between intra-frequency measurements of different types
CN108495370B (zh) 涉及灵活子帧操作期间的系统信息获取的方法和节点
US1057442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ruption level with RSSI-based measurements
KR20200116975A (ko) 스케줄링 요청 및 ack/nack의 우선 순위화
CN110249643B (zh) 扩展覆盖下的测量报告
JP6738489B2 (ja) ショートttiのためのオン/オフ時間マスク
KR20190099079A (ko) 멀티캐리어 동작을 위한 뉴머롤로지 조합 세트
US20210298012A1 (en) NR Peak Rate and Transport Block Size
US11139909B2 (en) Effective master information block acquisition for a user equipment device
WO2017061939A1 (en) Wireless device, network nod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US11425613B2 (en) Information block (IB) acquisition based on quasi-stationary IB content
KR20230044497A (ko)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 상에서의 msg3 및 msga 송신들의 통달범위 향상
KR102303071B1 (ko) 짧은 tti를 이용한 통신
EP4039045A1 (en) Adapting maximum allowed cca failures based on single occasion periodicity
WO2022060272A1 (en) Methods of reporting information collected by a communication device and related devices and n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