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5583A - Prefabricated Work Structure with Multi-Function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Work Structure with Multi-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75583A KR20190075583A KR1020170177290A KR20170177290A KR20190075583A KR 20190075583 A KR20190075583 A KR 20190075583A KR 1020170177290 A KR1020170177290 A KR 1020170177290A KR 20170177290 A KR20170177290 A KR 20170177290A KR 20190075583 A KR20190075583 A KR 201900755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sts
- work
- frame
- connection
- frame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1
- 230000005283 ground stat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5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4—Scaffold constructions able to be folded in prismatic or flat parts or able to be turned dow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0—Steps or ladders specially adapted for scaffol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기능 조립식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건축물 공사시 높이 및 좌우 방향으로 복수로 조립하여 간편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작업 물품을 효과적으로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assembly type workben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al prefabricated workbench, which can be easily assembl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workpieces in height and lateral direction during construction of various kinds of structures, thereby effectively storing and using workpieces.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 시공시에는 작업중 안전을 위한 여러가지 임시 가설물(소위 비트)을 설치하는데, 작업자가 통행을 위한 발판, 낙하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안전망 등을 설치한다. Generally, when constructing various buildings, various temporary scaffolds (so-called bits) are installed for safety during work. Workers are provided with footsteps for traffic and safety nets to prevent falling objects.
이러한 공사 현장에서, 작업자가 높은 곳에 접근하여 작업을 하거나 또는 점검 등을 하고자 할 때에는 임시 가설물을 이용하여 접근해야 하기 때문에, 위험하고,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In such a construction site, when a worker approaches to a high place and performs work or inspection, the worker must approach using a temporary construction, which is often dangerous and difficult to access.
따라서, 종래에는 소정 높이를 가지는 작업대(비계장치)를 마련하여 원하는 위치에 비치하고, 작업자가 비치한 작업대에 올라가서 작업을 하게 되는데, 종래의 작업대는 작업 높이가 변함에 따라 그에 맞는 구조물을 마련하기 어려워서 작업 조건에 따라 한계가 있고, 작업대를 높게 제작하는 경우에는 작업대의 상단부에서 작업시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하여 작업자가 높은 작업대로부터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Accordingly, conventionally, a workbench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provided at a desired position, and the workbench is lifted up to the workbench provided by the worker. In the conventional workbench, as the work height changes, There is a limit according to the working conditions. In case of manufacturing the work table at a high level,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worker may fall off from the high work table due to a safety problem during the work at the upper end of the work table.
또한, 종래의 작업대는 구조물이 고정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부피가 크기 때문에,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worktable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easy to move and store because the structure is fixed and has a large volum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접이식으로 구성 가능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작업 높이 및 좌우로 여러 개로 조립이 가능하여 공사 현장에 따라 적절한 구조물로 구현 가능하며, 작업시 필요한 각종 물품을 용이하게 보관 및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다기능 조립식 작업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lding type portable terminal which is easy to carry and st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functional prefabricated work structure that can be implemented as an appropriate structure according to a construction site, and can easily store and use various articles required for a work.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 수단은, 각종 공사현장에서 다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조립식 작업 구조물로서,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multifunctional prefabricated work structure capable of being used in various functions at various construction sites,
작업 구조물은,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4개의 포스트와;The work structure includes four posts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포스트간에 연결되도록 상부 연결 프레임과 하부 연결 프레임이 형성되는 연결 프레임과;A connection frame in which an upper connection frame and a lower connection frame are formed to be connected between the posts;
상기 각 포스트의 외주면에 각 포스트의 길이방향(수직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씩의 연결링을 포함하여 접혔다가 펼쳐지도록 구성되고, And two connecting rings rotatably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posts at interval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of each of the posts to be folded and unfolded,
상기 연결링은 포스트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The connecting ring is rotatabl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st and is slidably enga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연결링간에는 상기 연결 프레임이 각각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은 연결링에 결합되지 않고, 한쌍의 포스트와 다른 한쌍의 포스트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The connection frames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connection rings, and the connection frame is no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ring but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pair of posts and the pair of posts.
또한, 본 발명은 2개의 측면을 이루는 상기 상부 연결 프레임과 하부 연결 프레임 사이에는 세로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지지 프레임이 연결되는 것이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support frame is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upper connection frame and the lower connection frame, which form two sides.
또한, 상부 연결 프레임과 하부 연결 프레임의 사이에는 작업자가 밟고 올라갈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Further, a ladder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connection frame and the lower connection frame so that the operator can step on it.
또한, 본 발명은 2개의 측면을 이루는 연결 프레임을 구성하는 하부 연결 프레임은 포스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링의 하단부에 해당하는 포스트에 고정되어서 연결링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connection frame constituting the two side connection frames is fixed to a post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ring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ost, thereby supporting the connection ring.
또한, 작업구조물의 하부에는 하부 구조물이 더 조립되고, 상기 하부 구조물은 4면을 이루도록 하는 연결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 프레임은 서로 만나는 위치에 조인트가 고정되게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하부 구조물의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연결 프레임에는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이 각각 마련되는 것이다. In addition, a lower structure is further assemb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working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is composed of a connecting frame to form four sides. The connecting frames are integrally joined to each other so that joints are fixed to each other, And a support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pair of connection frames facing each other.
또한, 2개의 측면에 해당하는 연결 프레임간에는 보강 프레임이 결합되는 것이다. Further, the reinforcing frame is coupled between the connection frames corresponding to the two side surfaces.
또한, 지지 프레임은 절곡되어 형성되고, 연결 프레임에는 연결관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시키는 것이다. Further, the support frame is formed by bending, and is fixed to the connection frame through the coupling member while being rotatably coupled through the connection pipe.
또한, 상기 작업 구조물의 상단부에는 지지 구조물이 더 끼워지고, 상기 지지 구조물은,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게 마련되는 지지대와, 상기 한쌍의 지지대의 양쪽 끝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측면 지지대와, 상기 각 측면 지지대의 양쪽 단부에 형성되어서 작업 구조물의 연결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는 훅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Further, a supporting structure is further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working structure, and the supporting structure includes a support which is provided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a gap therebetween, a side support which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pair of supports, And a hook member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frame and detachably fitted to the connection frame of the work structure.
또한, 상기 양측의 지지대의 사이에는 견고한 지지 구조물이 되도록 보강대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구조이다. In addition, there is a structure which is connected across the reinforcing bars so as to form a rigid supporting structure between the both side supporting rods.
또한, 상기 지지 구조물에는 작업자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발판이 안치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supporting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footrest so that the worker can easily perform the work.
또한, 상기 작업 구조물을 이루는 각 포스트의 하단부에는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하여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In addition, a height adjusting device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each post of the work structure to adjust the height thereof,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각 포스트의 하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부재와 나사결합되면서 관통하는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의 하단부에 결합되면서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The height adjusting device includes an insertion member inserted into a lower end portion of each post, a screw rod penetrating through the insertion member while being screwed with the support member, and a support member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crew rod and supported by the ground.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면에는 나사봉이 유격을 가지고 관통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이다. In addition, a coupling hol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to penetrate the screw rod with a clearance.
또한, 상기 작업 구조물을 이루는 각 포스트의 하단부에는 작업 구조물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퀴 조립체가 구비되는 구조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each post of the work structure has a structure in which a wheel assembly for easily moving a work structure is provid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 구조물은 지면 상태에 맞게 수평이 이루어지도록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고, 상,하,좌,우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여러 개의 작업 구조물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or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justed so as to be horizontally aligned in accordance with the ground state, and various work structures can be freely assembled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또한, 본 발명은 작업 구조물의 하단부에 바퀴 조립체를 마련하여 작업 구조물을 간편하게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heel assembly at the lower end of the work structure, so that the work structure can be easily moved to a desired 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작업 구조물의 내부를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 여러가지 물품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고, 필요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utilize the interior of the work structure as a storage space, so that various articles can be easily stored and can be easily used when necessary.
또한, 본 발명은 작업 구조물을 절첩가능하여 사용하지 않을때에는 접어서 최대한 부피를 축소하여 적은 공간만으로 보관할 수 있고, 다시 사용하고자 할때에는 원하는 위치로 간편하게 원하는 수량의 작업 구조물을 운반해와서 펼쳐서 원하는 수직 높이 및 좌우 길이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현장 상황에 맞게 설치, 운반,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work structure is foldable, the work structure can be folded, the volume can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work structure can be stored in a small space. When the work structure is to be used again, the desired work structure can be easily transported to a desired position, And can b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left and right lengths, so that it is easy to install, carry and store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in the fiel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 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작업 구조물의 하부에 조립되는 하부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 구조물의 하부에 하부 구조물이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 구조물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지지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 구조물의 측면에 구비되는 보호망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 구조물을 접은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 구조물을 소정의 높이로 높게 조립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 구조물을 측면방향으로 여러 개 연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 구조물 하부에 마련되는 높이조절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 구조물 하부에 마련되는 바퀴 조립체의 결합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r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Fig.
3A is a front view of a wor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side view of a wor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structure to be assemb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ork structure of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ower structure of a wor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structur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a wor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tection net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a wor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of a wor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folded state.
FIG. 9 is a view showing a wor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ed at a high height.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plurality of work structures connected in a lateral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a height adjusting device provided under a wor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a wheel assembly provided under a wor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As used herein,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selected from the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whil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functions,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artisan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iques.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by the applicant at will, in which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part of the corresponding specifica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relative to the actual meaning of the term rather than the nomenclature, and its scope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r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 구조물(1)은,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4개의 포스트(10)(11)(12)(13)와, 상기 포스트(10)(11)(12)(13)간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20)(30)으로 이루어져서 직사각 형태를 이룬다.1, a work structur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ur
또한, 상기 포스트(10)(11)(12)(13)는 중공형의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각 포스트(10)(11)(12)(13)의 외주면에는 각 포스트의 길이방향(수직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2개씩의 연결링(40)(41)(42)(43)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링(40)(41)(42)(43)간에는 상기 2개의 측면을 이루는 연결 프레임(20)이 각각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Two connecting
상기 연결링(40)(41)(42)(43)은 소정의 길이(수직방향)를 가지는데, 대략 연결 프레임(20)(30)의 단부 길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길이로 형성할 수 있다.The connecting
또한, 상기 연결링(40)(41)(42)(43)은 포스트(10)(11)(12)(13)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또한, 상기 연결링(40)(41)(42)(43)과 연결 프레임(20)은 용접 등을 통해 일체로 고정되게 결합할 수 있다.The connection rings 40, 41, 42, and 43 and the
다시 말해서, 상기 연결 프레임(20)은 2개의 포스트(10)(11) 사이와, 이 포스트(10)(11)와 마주보는 2개의 포스트(12)(13)에 연결되어서 2개의 측면을 이루고, 각 포스트(10)(11)(12)(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링(40)(41)(42)(43)에는, 각각 상기 상,하 방향으로 2개의 연결 프레임(20)이 일체로 결합된다.In other words, the connecting
또한, 상기 다른 연결 프레임(30)은 2개의 포스트(10)(12)의 사이와, 다른 2개의 포스트(11)(13) 사이에 연결되어서 나머지 2개의 측면을 이루도록 한다.The other connecting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연결 프레임(20)은 한쌍의 포스트(10)(11)와 포스트(12)(13)의 사이에 연결되는데, 한쪽 포스트(10)(1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부 연결 프레임(21)과 하부 연결 프레임(21a)이 마련되고, 2개의 상,하부 연결 프레임(21)(21a)의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지지 프레임(23)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프레임(20)은, 상기 상부 연결 프레임(21)과 하부 연결 프레임(21a)과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상부 연결 프레임(22)과 하부 연결 프레임(22a)이 연결되고, 마찬가지로, 상부 연결 프레임(22)과 하부 연결 프레임(22a)의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 프레임(23)이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3A, the
따라서, 상기 상,하부 연결 프레임(22)(22a)은 포스트(12)와 포스트(13) 사이에 연결되고, 포스트(12)(13)에 결합된 링(41)(43)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The upper and
또한, 상기 연결 프레임(30)은 작업 구조물(1)의 다른 2개의 측면에 연결되는데, 연결링(40)(41)(42)(43)에 결합되지 않고, 한쌍의 포스트(10)(12)와 다른 한쌍의 포스트(11)(13)의 외주면에 직접 용접 등으로 처리하여 결합시켜서 고정되는 구조이다. The connecting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연결 프레임(30)은 각 포스트의 상부 및 하부 외주면에 상부 연결 프레임(31)(32)과 하부 연결 프레임(31a)(32a)이 각각 고정되게 결합된다. More specifically, the
또한, 상기 상,하부 연결 프레임(31)(31a)(32)(32a)중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연결 프레임(31)(32)은 연결링(40)(41)의 상부에 결합하고,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연결 프레임(31a)(32a)은 각 포스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링(42)(43)의 하부에 결합되어 연결링(42)(43)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포스트의 수직방향 하부로 연결링(42)(43)이 미끄러져 이동하지 않게 저지한다. The upper connection frames 31 and 32 located at the upper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 frames 31a to 32a ar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connection rings 40 and 41, The
다시 말해서, 측면에 위치하는 상,하부 연결 프레임(31)(31a)(32)(32a)은 연결링(42)(43)에 직접 결합되지 않고, 각 포스트(10)(11)(12)(13)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In other words,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또한, 작업 구조물(1)의 측면에 해당하는 상부 연결 프레임(31)(32)과 하부 연결 프레임(31a)(32a)의 사이에는 작업자가 밟고 올라갈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부(34)가 형성될 수 있다. A
다시 말해서, 상기 사다리부(34)는 종방향의 수직 프레임(34a)이 포스트(10)(12)의 사이와, 포스트(11)(13)의 사이이면서, 상부 연결 프레임(31)(32)과 하부 연결 프레임(31a)(32a)의 사이에 걸쳐서 형성되고, 수직 프레임(34a)과 포스트(11)(12)의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수평 프레임(34b)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이러한 작업 구조물(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방향(수직 방향)으로 높게 조립할 수 있는데, 각 포스트(10)(11)(12)(13)의 상단부에 별도의 조인트(50)를 결합하고, 그 위에 작업 구조물(1)을 결합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하여 조립할 수 있다. 9, a separate joint 5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상기 조인트(50)는 상부 및 하부에 직경이 작은 연결편(51)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The joint 50 has a structure in which a connecting
또한, 작업 구조물(1)의 하단부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하부 구조물(60)이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lower structure of the work structure 1 may be provided with a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하부 구조물(60)은 4면을 이루도록 하는 연결 프레임(61)(61a)(62)(62a)으로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또한, 상기 연결 프레임(61)(61a)(62)(62a)은 서로 만나는 위치에 조인트(64)가 고정되게 결합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Also, the joint frames 61, 61a, 62, and 62a may be integrally formed by fixing
상기 조인트(64)는 상기 조인트(50)와 동일하게 상,하부에 직경이 작은 연결편(64a)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Like the joint 50, the joint 64 has a structure in which a connecting
또한, 상기 하부 구조물(60)의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연결 프레임(61)(61a)에는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65)이 각각 마련될 수 있고, 나머지 2개의 측면에 해당하는 연결 프레임(63)간에는 보강 프레임(66)이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
상기 각 지지 프레임(65)은 절곡되어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연결 프레임(61)(61a)에는 연결관(65a)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upport frames 65 may be bent to be substantially U-shaped, and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frames 61 and 61a through a
상기 연결관(65a)에는 볼트 및 너트의 조합 또는 다른 관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체결부재(65b)를 통해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하부 구조물(60)의 각 모서리부에 해당하는 위치의 조인트(64)에는 각각 지지 포스트(67)를 결합할 수 있고, 만일, 공사 현장의 지면이 고르지 않고 경사진 경우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구조물(1)의 수평 상태가 유지 되도록 맞추기 위해서, 양측의 길이를 달리하는 지지 포스트(67)를 결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posts 67 can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다시 말해서, 상기 하부 구조물(60)의 지지 포스트(67)는 중공형의 파이프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지지 포스트(67)의 상단부는 작업 구조물(1)의 포스트(10)(11)(12)(13)의 하단부와 조인트(64)를 통해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In other words, the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 구조물(1)의 상단부에는 별도의 지지 구조물(70)을 착탈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 6, a separate supporting
즉, 상기 지지 구조물(70)은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게 마련되는 지지대(71)와, 이 한쌍의 지지대(71)의 양쪽 끝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측면 지지대(72)와, 상기 각 측면 지지대(72)이 양쪽 단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작업 구조물(1)의 연결 프레임(30)에 착탈가능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는 훅크부재(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또한, 상기 양측의 지지대(71)의 사이에는 보강대(74)를 가로질러 견고한 구조물이 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Also, between the support posts 71 on both sides, the reinforcing
상기 지지 구조물(70)은 작업 구조물(1)의 상부에 안치하고, 발판 등을 올려놓고 작업자가 통행로로 사용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작업 구조물(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때, 직사각형이 되도록 연결프레임(20)의 길이가 다른 연결 프레임(3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2, the working structure 1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물론, 연결 프레임(20)(30)의 길이가 모두 동일하게 구성하여 정사각형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런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구조물(1)을 접었을때, 접혀지는 범위가 직사각형일때에 비해 적어질 수 있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8, when the work structure 1 is folded, the folding range is set to be a rectangular shape, Can be reduced compared to when.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구조물(1)의 각 측면에는 보호망 부재(8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보호망 부재(8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면서 대략 사각형을 이루는 망(81)과, 상기 망(81)의 상단부 양쪽 끝단부에 연결 클립(82)를 형성하여 작업 구조물(1)의 측면에 형성되는 연결 프레임(30)에 끼워서 구비되게 할 수 있다. Further, as shown in Fig. 7, a protective
작업 구조물(1)의 측면에 보호망 부재(80)를 조립하는 경우, 바깥쪽 및 안쪽에서 끼울 수 있다. When the protective
다시 말해서, 작업 구조물(1)의 사다리부(34)가 형성된 위치에서는 작업자가 사다리부(34)를 타고 승강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보호망 부재(80)를 안쪽에서 끼우고, 나머지 측면에는 바깥쪽에서 끼울 수 있다. In other words, at the position where the
또한, 상기 연결 클립(82)은 절곡되어서 대략 원형을 이루고, 연결 프레임(30)을 이루면서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연결 프레임(21)에 결합한 다음, 연결 클립(82)의 한쌍의 단부에 체결부재(83)로 체결하여 고정되게 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보호망 부재(80)의 하부에는 훅크부재(84)를 형성하여 연결 프레임(30)을 이루면서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연결 프레임(3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A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구조물(1)은 측면방향으로 늘려서 조립할 수 있는데, 상기 지지 구조물(70)을 이용하여 작업 구조물(1)과 작업 구조물(1) 사이에 연결하여 작업 구조물(1)의 갯수를 필요한 만큼 늘릴 수 있다.10, the working structure 1 can be assembled by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supporting
또한, 도 10에 있어서, 보호망 부재(80)를 작업 구조물(1)의 전면에 조립해서 안전망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10, the
즉, 지지 구조물(70)은 작업 구조물(1)과 작업 구조물(1)을 연결해주는 역할도 담당함과 동시에, 이러한 작업 구조물(1)들의 모든 전면에 걸쳐서 보호망 부재(80)를 조립할 수 있으므로, 다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상기 작업 구조물(1)과 작업 구조물(1)의 사이에 연결되는 지지 구조물(70)은, 작업 구조물(1)에 조립되는 지지 구조물(70)보다 폭을 크게 형성한 것을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보호망 부재(80)의 조립시, 일렬로 정렬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건축물 공사현장에서 작업 구조물(1)을 비치하고, 작업자가 올라가서 여러가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데, 먼저 작업 구조물(1)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은 상태에서 펼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0)(11)(12)(13)를 통해 세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work structure 1 may be provided at a building construction site, and an operator may perform various operations by climbing the work structure. First, , Folded and laid up through the
작업 구조물(1)은 4개의 포스트(10)(11)(12)(13)가 연결 프레임(20)(30)으로 연결되어서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때, 한쪽 연결 프레임(20)과 직교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 프레임(30)을 하나의 연결체로 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되게 맞은편에도 마찬가지로 연결 프레임(20)과 연결 프레임(30)을 다른 하나의 연결체로 하여 포스트(11)과 포스트(12)를 대각선 방향 안쪽으로 밀면, 한쪽(도면상 좌측) 연결체를 이루는 연결 프레임(30)이 포스트(10)와 포스트(12) 사이에 용접되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포스트(12)를 대각선 방향 안쪽으로 밀면, 포스트(10)도 자체 회전이 된다.The working structure 1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our
그러면, 포스트(12)와 포스트(13) 사이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20)은 펴지면서 포스트(13)가 우측방향으로 밀려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포스트(12)가 대각선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n, the connecting
이때, 포스트(12)와 포스트(13) 사이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20)을 이루는 상부 연결 프레임(22)과 하부 연결 프레임(22a)은, 각각 연결링(41)(43)에 용접처리되어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데, 연결링(41)(43)은 포스트(12)(13)의 외주면상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포스트(11)(12)의 이동시 상부 연결 프레임(22)과 하부 연결 프레임(22a)은 연결링(41)(43)이 회전됨에 따라 동시에 회전 이동이 가능해진다. At this time, the
이와 동시에, 맞은편 포스트(11)의 이동시에도 마찬가지로, 연결 프레임(20)을 이루는 상부 연결 프레임(21)과 하부 연결 프레임(21a)은 포스트(10)와 포스트(11) 사이에서 각각 연결링(40)(42)을 통해 결합되어 있어, 포스트(11)의 이동시 포스트(10)와 포스트(11)의 사이에 연결된 상,하부 연결 프레임(21)(21a)은 연결링(40)(42)이 회전됨에 따라 동시에 회전 이동이 되고, 그러면 포스트(11)와 포스트(13) 사이에 연결,고정된 연결 프레임(30)은 펴지면서 접혀지게 되며, 이때 포스트(11)(13)는 고정된 연결 프레임(30)의 회전 이동에 따라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The upper connecting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1)(12)는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 근접되면서 접혀질 수 있게 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8, the
그러면, 작업 구조물(1)은 부피가 대폭 축소되어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해지며, 이 상태에서 공사작업을 위해 필요한 경우, 소정의 위치로 운반해와서 접을때와 반대 동작으로 펼쳐서 설치한다. Then, the work structure 1 is greatly reduced in volume, which makes it easy to store and carry. In this state, if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work, the work structure 1 is transpor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spread and installed in a reverse operation to the folding operation.
한편, 공사장인 경우에는 지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가 많고, 한쪽으로 경사진 경우도 있어 펼친 작업 구조물(1)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nstruction site, the ground is often uneven, and it may be inclined to one side, so it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horizontal state of the unfolded work structure 1.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 구조물(1)은 지면이 고르지 않고 경사진 곳에서 수평상태를 맞출 수 있는데, 작업 구조물(1)의 하부에 하부 구조물(60)을 조립하여 수평상태를 맞출 수 있다.The work structur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ign the work structure 1 in a horizontal state at an uneven and sloping ground. The
다시 말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업 구조물(1)은 하부 구조물(60)을 이루는 조인트(64)를 작업 구조물(1)의 각 포스트(10)(11)(12)(13)의 하단부에 삽입하고, 그 아래에 조립하는데, 지면이 경사진 경우, 수평이 되도록 정면에서 보았을때, 한쪽에 배치되는 지지 포스트(67)의 길이를 달리하여 수평을 맞추고, 조인트(64)에 끼워서 조립하면, 그 위에 배치되는 작업 구조물(1)은 수평상태가 될 수 있다. 5, the working struc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joint 64 forming the
또한, 하부 구조물(60)에는 연결 프레임(61)(61a)(62)(62a) 및 지지 프레임(65)이 갖추어져 있어, 지지 프레임(65)을 수평상태로 눕혀서 배치해두고, 망이나 받침판을 올려놓고, 작업 구조물(1)의 측면을 보호망부재(80)를 조립하여 두면, 그 위에 조립되는 작업 구조물(1)의 내부가 수납공간이 되어서 각종 다양한 물품을 보관 및 이용할 수 있다. The
다시 말해서, 하부 구조물(60)은 작업 구조물(1)의 하부에 조립되어서 받침 역할을 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각종 물품을 보관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또한, 작업 구조물(1)의 하부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곳에 비치하는 경우가 아닌 평평한 지면인 경우에는, 하부 구조물(60)을 조립하여 한셋트로 구성한 다음, 지게차를 이용하여 수직방향으로 여러 셋트의 작업 구조물(1)을 쌓아올릴 수 있다. 5, in the case of a flat ground instead of being sloped, as shown in FIG. 5, the
이때, 상기 하부 구조물(60)을 구성하는 조인트(64)의 하부 돌출길이는 지게차의 포크가 원활하게 삽입가능하도록 하는 길이로 형성한다. 물론, 조인트(64)의 상부 돌출길이도 마찬가지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wer protruding length of the joint 64 constituting the
한편, 작업 구조물(1)의 상단에 올라가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 작업 구조물(1)의 상단에는 지지 구조물(70)을 조립하여 작업 구조물(1)이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줌과 동시에, 발판(미도시) 등을 안치하여 작업자가 작업시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The supporting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작업 구조물(1)을 여러개 수직방향으로 높혀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렇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인트(50)를 최하단에 위치하는 작업 구조물(1)의 각 포스트(10)(11)(12)(13)의 상단부에 결합하고, 그 위에 동일 구조를 가지는 별도의 작업 구조물(1)을 구성하는 각 포스트(10)(11)(12)(13)의 하단부를 끼워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소정의 높이로 높혀서 사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the work structure 1 may be vertically elevated as required. In this case, the joint 50 may be mounted on each post of the work structure 1 positioned at the lowermost end, 11, 12 and 13 constituting a separate working structure 1 having the same structure are connected to the upper ends of the upper ends 10, 11, 12, So that it can be used at a desired height.
또한, 작업 구조물(1)의 높이를 높게하여 조립한 경우, 최상단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하게되면, 추락 등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아지게 되므로, 이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부 구조물(60)을 조립하고, 지지 프레임(65)을 세워서 고정되게 하고 발판을 깔아두면, 작업자가 그 위에서 작업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세워진 지지 프레임(65)으로 인해 안전 가아드 역할을 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work structure 1 is assembled with a high height, when the worker performs work at the top,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due to a fall or the like increases. At this time,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 구조물(1)은 측면 방향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구조물(70)을 작업 구조물(1)과 작업 구조물(1) 사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여러 개의 작업 구조물(1)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10, the supporting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개의 작업 구조물(1)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건축물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작업 구조물(1)을 비치하여 마치 안전 펜스 또는 안전망을 설치하여 보행자 등을 위험으로부터 보호해줄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10, when a plurality of work structures 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work structures 1 are provid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building to provide a safety fence or a safety net so as to protect pedestrians from danger You can play a role that can give you.
또한, 도 11은 작업 구조물(1)을 이루는 각 포스트(10)(11)(12)(13)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장치(90)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로서, 높이조절장치(90)는 각 포스트(10)(11)(12)(13)의 하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재(91)와, 상기 삽입부재(91)를 나사결합되면서 관통하는 나사봉(92)과, 상기 나사봉(92)의 하단부에 결합되면서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재(9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1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showing a
상기 나사봉(92)의 양 측면에는 높이조절을 위해 나사봉(92)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핸들(94)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And a
또한, 상기 지지부재(93)의 상부면에는 상기 나사봉(92)이 통과되는 결합공(93a)이 형성되고, 이러한 결합공(93a)을 통과한 나사봉(92)의 하단부에는 걸림와셔(95)를 결합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A
이러한 높이조절장치(90)는 작업 구조물(1)의 각 포스트(10)(11)(12)(13)의 하단부에 결합하여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이 수평상태가 아니고 경사진 지면인 경우에, 각 포스트(10)(11)(12)(13)의 하단부에 따라 높이 조절을 하여 작업 구조물(1)이 수평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The
다시 말해서, 높이조절장치(90)를 통해 높이 조절을 하고자 하는 경우, 나사봉(92)의 양 측면에 마련된 핸들(94)을 회전시키면, 나사봉(92)은 삽입부재(91)와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나사봉(92)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면서 높이가 달리지게 되어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고, 따라서, 지면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 구조물(1)의 수평상태를 맞출 수 있다. In other words, when height adjustment is desired through the
또한, 상기 높이조절장치(9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93)의 결합공(93a)이 나사봉(92)과 약간의 유격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부재(93)의 상단부도 나사봉(92)과 약간의 간격을 두고 있어, 경사진 지면에 설치하는 경우에, 지지부재(93)가 약간 경사지게 되면서 경사진 지면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걸림와셔(95)가 나사봉(92)의 하단부에 결합되어서 지지부재(93)의 결합공(93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11, the
또한, 도 12는 작업 구조물(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서 작업 구조물(1)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퀴 조립체(100)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로서, 바퀴 조립체(100)는 각 포스트(10)(11)(12)(13)의 하단부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재(101)와, 상기 삽입부재(10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브래킷(102)과, 상기 브래킷(102)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103)로 이루어질 수 있다. 12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ngaged state of the
상기 바퀴 조립체(100)는 각 포스트(10)(11)(12)(13)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삽입부재(101)를 각 포스트(10)(11)(12)(13)의 하단부 내부에 나사결합하는 구조 또는 삽입부재(101)의 삽입후 측면 방향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결합할 수 도 있다. The
또한, 상기 바퀴 조립체(100)는 각 포스트(10)(11)(12)(13)의 하단부에 필요에 따라 용접작업을 통해 고정시켜서 일체화되게 할 수도 있다. Further, the
따라서, 작업 구조물(1)의 각 포스트(10)(11)(12)(13)의 하단부에 바퀴 조립체(100)를 구비한 경우, 작업 구조물(1)의 위치 이동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물론, 바퀴 조립체(100)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한 경우에, 바퀴 조립체(100)를 작업 구조물(1)의 각 포스트(10)(11)(12)(13)의 하단부에서 분리하고, 지면에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Of course, whe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 구조물(1)은 지면 상태에 맞게 수평이 이루어지도록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고, 상,하,좌,우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여러개의 작업 구조물(1)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 structure 1 can be adjusted so as to be horizontally aligned in accordance with the ground state, and the work structure 1 can freely move up, down, left, Can be assembled and used.
또한, 작업 구조물(1)의 내부를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 여러가지 물품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고, 필요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side of the work structure 1 can be utilized as a storage space, various articles can be easily stored and can be easily used when necessary.
또한, 본 발명의 작업 구조물(1)은 바퀴 조립체(100)를 마련하여 위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orking struc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Bu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 작업 구조물
10,11,12,13 : 포스트(post)
20,30 : 연결 프레임
21,22 : 상부 연결 프레임
21a,22a : 하부 연결 프레임
31,32 : 상부 연결 프레임
31a,32a : 하부 연결 프레임
34 : 사다리부
34a : 수직 프레임
34b : 수평 프레임
40,41,42,43 : 연결링
50 : 조인트
51 : 연결편
60 : 하부 구조물
61,61a,62,62a : 연결 프레임
64 : 조인트
64a : 연결편
65 : 지지 프레임
65a : 연결관
65b : 체결부재
66 : 보강 프레임
67 : 지지 포스트
70 : 지지 구조물
71 : 지지대
72 : 측면 지지대
73 : 훅크부재
74 : 보강대
80 : 보호망 부재
81 : 망(net)
82 : 연결 클립
83 : 체결부재
84 : 훅크부재
90 : 높이조절장치
91 : 삽입부재
92 : 나사봉
93 : 지지부재
93a : 결합공
94 : 핸들
95 : 걸림와셔
100 : 바퀴 조립체
101 : 삽입부재
102 : 브래킷
103 : 바퀴One ; Working structure
10, 11, 12, 13:
20, 30: connection frame
21, 22: upper connection frame
21a, 22a: Lower connection frame
31, 32: upper connection frame
31a, 32a: Lower connection frame
34: Ladder part
34a: Vertical frame
34b: horizontal frame
40, 41, 42, 43:
50: Joint
51: Connection
60: Substructure
61, 61a, 62, 62a: connection frame
64: Joint
64a: connecting piece
65: Support frame
65a: connector
65b: fastening member
66: reinforcement frame
67: support post
70: support structure
71: Support
72: side support
73: Hook member
74: Reinforcing bar
80: absence of protection network
81: net (net)
82: Connection clip
83: fastening member
84: Hook member
90: height adjustment device
91: insertion member
92: Nasaebong
93: Support member
93a: Combination ball
94: Handle
95: Jam washer
100: wheel assembly
101: insertion member
102: Bracket
103: Wheels
Claims (16)
작업 구조물(1)은,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4개의 포스트(10)(11)(12)(13)와;
상기 포스트(10)(11)(12)(13)간에 연결되도록 상부 연결 프레임(21)(22)(31)(32)과 하부 연결 프레임(21a)(22a)(31a)(32a)이 형성되는 연결 프레임(20)(30)과;
상기 각 포스트(10)(11)(12)(13)의 외주면에 각 포스트의 길이방향(수직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씩의 연결링(40)(41)(42)(43);
을 포함하여 접혔다가 펼쳐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링(40)(41)(42)(43)은 포스트(10)(11)(12)(13)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링(40)(41)(42)(43)간에는 상기 연결 프레임(20)이 각각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30)은 연결링(40)(41)(42)(43)에 결합되지 않고, 한쌍의 포스트(10)(12)와 다른 한쌍의 포스트(11)(13)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립식 작업 구조물.
As a multifunctional prefabricated work structure (1) that can be used as a multi-function in various construction sites,
The working structure (1)
Four posts (10), (11), (12) and (13)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connection frames 21, 22, 31 and 32 and the lower connection frames 21a, 22a, 31a and 32a are formed to be connected between the posts 10, 11, 12, A connecting frame (20) (30) which is made of a resin material;
Two connection rings 40, 41, and 42, which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respective posts 10, 11, 12, and 13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43;
And is configured to be unfolded,
The connecting rings 40, 41, 42 and 43 are rotatab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sts 10, 11, 12 and 13 and are slidably coup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connection frames 20 are integrally connected between the connection rings 40, 41, 42 and 43,
The connecting frame 30 is not fixed to the connecting rings 40, 41, 42 and 43 but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pair of posts 10 and 12 and the pair of posts 11 and 13 Wherein said multi-functional prefabricated work structure comprises:
2개의 측면을 이루는 상기 상부 연결 프레임(21)(22)과 하부 연결 프레임(21a)(22a) 사이에는 세로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지지 프레임(23)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립식 작업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upport frame (23) is connected longitudinally between the upper connection frame (21) (22) and the lower connection frame (21a) (22a) forming two sides.
상부 연결 프레임(31)(32)과 하부 연결 프레임(31a)(32a)의 사이에는 작업자가 밟고 올라갈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부(3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립식 작업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a ladder portion (34) is formed between the upper connection frame (31) (32) and the lower connection frame (31a) (32a) so that the worker can step on it.
2개의 측면을 이루는 연결 프레임(30)을 구성하는 하부 연결 프레임(31a)(32a)은 포스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링(42)(43)의 하단부에 해당하는 포스트에 고정되어서 연결링(42)(43)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립식 작업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ower connecting frames 31a and 32a constituting the two side connecting frames 30 are fixed to the posts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s of the connecting rings 42 and 43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osts, (43). ≪ / RTI >
작업구조물(1)의 하부에는 하부 구조물(60)이 더 조립되고, 상기 하부 구조물(60)은 4면을 이루도록 하는 연결 프레임(61)(61a)(62)(62a)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 프레임(61)(61a)(62)(62a)은 서로 만나는 위치에 조인트(64)가 고정되게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하부 구조물(60)의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연결 프레임(61)(61a)에는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65)이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립식 작업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structure 60 is further assembled to the lower part of the working structure 1 and the lower structure 60 is composed of the connecting frames 61, 61a, 62 and 62a forming the four sides,
The joint frames 61, 61a, 62, and 62a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joint 64 is fixed at a position where the joint frames 61, 61a, 62,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ing frame (65)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air of connecting frames (61) (61a) facing each other of the lower structure (60).
2개의 측면에 해당하는 연결 프레임(63)간에는 보강 프레임(66)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립식 작업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5,
And a reinforcing frame (66) is coupled between the two side connecting frames (63).
지지 프레임(65)은 절곡되어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고, 연결 프레임(61)(61a)에는 연결관(65a)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체결부재(65b)를 통해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립식 작업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frame (65) is bent to be substantially U-shaped and fixed to the connection frame (61) (61a) through a coupling pipe (65a) Prefabricated work structures.
상기 작업 구조물(1)의 상단부에는 지지 구조물(70)이 더 끼워지고,
상기 지지 구조물(70)은,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게 마련되는 지지대(71)와, 상기 한쌍의 지지대(71)의 양쪽 끝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측면 지지대(72)와, 상기 각 측면 지지대(72)의 양쪽 단부에 형성되어서 작업 구조물(1)의 연결 프레임(30)에 착탈가능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는 훅크부재(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립식 작업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upporting structure 70 is further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working structure 1,
The support structure (70)
A side support 72 which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pair of supports 71 and which is provided at both ends of each of the side supports 72, And a hook member (73) for detachably engaging with the connection frame (30) of the structure (1).
상기 양측의 지지대(71)의 사이에는 견고한 지지 구조물(70)이 되도록 보강대(74)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립식 작업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8,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across the reinforcements (74) to form a rigid support structure (70) between the supports (71) on both sides.
상기 지지 구조물(70)에는 작업자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발판이 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립식 작업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Wherein the support structure (70) is provided with a footrest so that the worker can easily work.
상기 작업 구조물(1)은 측면방향으로 복수로 연결시, 작업 구조물(1)과 작업 구조물(1) 사이에,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게 마련되는 지지대(71)와, 상기 한쌍의 지지대(71)의 양쪽 끝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측면 지지대(72)와, 상기 각 측면 지지대(72)이 양쪽 단부에 형성되어서 작업 구조물(1)의 연결 프레임(30)에 착탈가능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는 훅크부재(73)를 가지는 지지 구조물(70)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립식 작업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ork structure 1 includes a support 71 provided between the work 1 and the work 1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a space therebetween and a pair of supports 71, And a hook member (72) which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ide support bracket so as to be detachably fitted to the connection frame (30) of the work structure (1) 73) with a support structure (70).
상기 작업 구조물(1)을 이루는 각 포스트(10)(11)(12)(13)의 하단부에는 높이조절장치(90)를 구비하여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높이조절장치(90)는 각 포스트(10)(11)(12)(13)의 하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재(91)와, 상기 삽입부재(91)를 나사결합되면서 관통하는 나사봉(92)과, 상기 나사봉(92)의 하단부에 결합되면서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재(9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립식 작업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eight adjusting device 90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each of the posts 10, 11, 12 and 13 constituting the working structure 1 so as to adjust the height thereof,
The height adjusting device 90 includes an insertion member 91 inserted into a lower end portion of each of the posts 10, 11, 12 and 13 and a screw rod 92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member 91 while being screwed And a support member 93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threaded rod 92 to be supported on the ground.
상기 지지부재(93)의 상부면에는 나사봉(92)이 유격을 가지고 관통 결합되는 결합공(93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립식 작업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2,
Characterized in that a coupling hole (93a)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93), the threaded rod (92) having a clearance to penetrate the coupling hole (93a).
상기 작업 구조물(1)을 이루는 각 포스트(10)(11)(12)(13)의 하단부에는 작업 구조물(1)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퀴 조립체(1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립식 작업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wheel assembly 100 for easily moving the work structure 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posts 10, 11, 12 and 13 constituting the work structure 1 Multifunctional prefabricated construction.
상기 작업 구조물(1)의 측면에는 보호망 부재(80)가 조립되고, 상기 보호망부재(8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망(81)과, 상기 망(81)의 상단부 양쪽 끝단부에 연결 클립(82)을 형성하며, 망(81)의 하단부 양쪽 끝단부에는 훅크부재(84)를 형성하여 작업 구조물(1)의 측면에 끼워서 구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립식 작업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A protective net member 80 is assembl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working structure 1 and the protective net member 80 includes a net 81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a hook member (84)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wer end of the net (81) so as to be fit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work structure (1).
작업 구조물(1)의 하부에 연결 프레임과 조인트(64)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구조물(60)을 구비하고, 각 측면에 보호망 부재(80)를 구비하여 다양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립식 작업 구조물.16. The method of claim 15,
A lower structure 60 including a connecting frame and a joint 64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ork structure 1 and a protective net member 80 is provided at each side of the working structure 1 to be used as a storage space for storing various articles Features multifunctional prefabricated constru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7290A KR102111617B1 (en) | 2017-12-21 | 2017-12-21 | Prefabricated Work Structure with Multi-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7290A KR102111617B1 (en) | 2017-12-21 | 2017-12-21 | Prefabricated Work Structure with Multi-Func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5583A true KR20190075583A (en) | 2019-07-01 |
KR102111617B1 KR102111617B1 (en) | 2020-05-15 |
Family
ID=67255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7290A KR102111617B1 (en) | 2017-12-21 | 2017-12-21 | Prefabricated Work Structure with Multi-Fun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1617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7512B1 (en) * | 2020-05-13 | 2020-10-20 | 김한오 | Module Type Scaffolding |
KR102300833B1 (en) * | 2020-11-24 | 2021-09-09 | 정옥순 | Safety device for construction workbench |
KR20230066848A (en) * | 2021-11-08 | 2023-05-16 | 정명래 | Flat bench using as working table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000544Y1 (en) * | 1989-07-28 | 1992-01-15 | 원용좌 | A railing for scaffolding |
KR200249870Y1 (en) | 2001-06-30 | 2001-11-16 | 김정오 | High altitude workbench with foldable guardrail |
JP3093078U (en) * | 2002-09-27 | 2003-04-18 | 日本仮設株式会社 | Connecting pipe for temporary scaffold |
KR20060071595A (en) * | 2004-12-22 | 2006-06-27 | 한국산업안전공단 | A moving work-stand adjustable in height and inclination |
KR20090099182A (en) * | 2008-03-17 | 2009-09-22 | 이노건설주식회사 | Integrated guard railing for built up scaffolding |
JP2009263906A (en) * | 2008-04-23 | 2009-11-12 | Japan Steels Group Kk | Movable working table |
KR20110009067U (en) * | 2010-03-17 | 2011-09-23 | 문상석 | The movable type scaffolding having the safety parapet able to control height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93078B2 (en) * | 1993-04-30 | 2000-10-03 | キヤノン株式会社 | Information recording / reproducing device |
-
2017
- 2017-12-21 KR KR1020170177290A patent/KR10211161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000544Y1 (en) * | 1989-07-28 | 1992-01-15 | 원용좌 | A railing for scaffolding |
KR200249870Y1 (en) | 2001-06-30 | 2001-11-16 | 김정오 | High altitude workbench with foldable guardrail |
JP3093078U (en) * | 2002-09-27 | 2003-04-18 | 日本仮設株式会社 | Connecting pipe for temporary scaffold |
KR20060071595A (en) * | 2004-12-22 | 2006-06-27 | 한국산업안전공단 | A moving work-stand adjustable in height and inclination |
KR20090099182A (en) * | 2008-03-17 | 2009-09-22 | 이노건설주식회사 | Integrated guard railing for built up scaffolding |
JP2009263906A (en) * | 2008-04-23 | 2009-11-12 | Japan Steels Group Kk | Movable working table |
KR20110009067U (en) * | 2010-03-17 | 2011-09-23 | 문상석 | The movable type scaffolding having the safety parapet able to control height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7512B1 (en) * | 2020-05-13 | 2020-10-20 | 김한오 | Module Type Scaffolding |
KR102300833B1 (en) * | 2020-11-24 | 2021-09-09 | 정옥순 | Safety device for construction workbench |
KR20230066848A (en) * | 2021-11-08 | 2023-05-16 | 정명래 | Flat bench using as working tab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11617B1 (en) | 2020-05-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29781B2 (en) |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 |
US10843718B1 (en) | Construction safety railing assemblies, components, and methods for storage, transport, and installation | |
CA2634573C (en) | Modular scaffold system | |
TWI662176B (en) | Scaffolding | |
EP1846631B1 (en) | Apparatus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
US3082843A (en) | Demountable scaffolding for side mounting on columns | |
US20100295007A1 (en) | Safety barriers | |
JP5753121B2 (en) | Modular pedestrian tunnel | |
US8662252B2 (en) | Leveling system for portable work platforms | |
KR20190075583A (en) | Prefabricated Work Structure with Multi-Function | |
US7624843B2 (en) | Multiple task working platform | |
US6827181B2 (en) | Low level adjustable scaffold with workbench | |
AU2015246631B2 (en) | Improved crowd control fence | |
KR20110009067U (en) | The movable type scaffolding having the safety parapet able to control height | |
CA1275137A (en) | Rolling scaffolding base | |
US7051838B1 (en) | Scaffolding system, integral safety rail therefo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 |
AU2017100073A4 (en) | Hoarding assembly | |
GB2545477A (en) | Modular working platform | |
WO2012064204A2 (en) | A scaffold and method for construction of same | |
JP5971878B1 (en) | Structure material for frame structure and frame structure using the same | |
US20230067310A1 (en) | Drill drive scaffold system | |
GB2456124A (en) | Shielding barrier for a wall | |
JPH032596Y2 (en) | ||
AU2015101866A4 (en) | Guard Rail System | |
JP6423256B2 (en) | Temporary scaffolding staircase fr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