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5390A - 입력정보 관리방법 및 입력정보관리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입력정보 관리방법 및 입력정보관리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5390A
KR20190075390A KR1020170176939A KR20170176939A KR20190075390A KR 20190075390 A KR20190075390 A KR 20190075390A KR 1020170176939 A KR1020170176939 A KR 1020170176939A KR 20170176939 A KR20170176939 A KR 20170176939A KR 20190075390 A KR20190075390 A KR 20190075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information
information management
biometric
inpu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9826B1 (ko
Inventor
권남열
Original Assignee
권남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남열 filed Critical 권남열
Priority to KR1020170176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826B1/ko
Publication of KR20190075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atholog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ethics (AREA)
  • Bio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를 구성하는 각각의 세부 내용에 대한 작성자 또는 입력자가 누구인지를 구별할 수 있는 입력정보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내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되는 입력정보 관리방법으로서, 입력장치로부터 입력자가 입력한 입력내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생체정보센서로부터 상기 입력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입력자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입력자의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입력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자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상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상황정보와 상기 입력내용을 매칭한 입력정보가 저장장치에 저장되도록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정보 관리방법이다.

Description

입력정보 관리방법 및 입력정보관리 프로그램{MANAGEMENT METHOD OF INPUT INFORMATION AND THE PROGRAM THEREOF}
본 발명은 입력정보를 관리하는 입력정보 관리방법 및 입력정보관리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입력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에서 입력자 및 입력상황에 대한 정보를 입력내용과 함께 관리하고 저장하는 입력정보 관리방법 및 그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장치 및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사회활동이 디지털 상황에서 행해지는 경우가 늘고 있고, 이에 따라 디지털로 작성된 문서, 계약서, 결재서류, 게시글 등의 다양한 컨텐츠에서 해당 컨텐츠를 구성하는 세부 내용별로 작성자가 누구인지를 구별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온라인 상에서 두 당사자가 계약 내용에 대한 합의를 하고 계약 내용이 결정된 후에 계약이 최종 성사되기 위해서는 두 당사자가 오프라인에서 만나서 계약서에 날인을 하는 절차를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만약 온라인 상에서 누가 어떤 내용을 제안하고 어떻게 합의했는지에 대한 입증이 가능하다면 두 당사자는 굳이 오프라인에서 만나서 계약서에 날인을 하는 절차를 거치지 않을 수 있다. 보험사 등에서 사용하는 음성 녹취를 이용한 계약 등이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볼 수 있지만, 아직 온라인 상에서 공동으로 작성된 디지털 문서 자체를 날인된 계약서로 사용하는 방법이 알려진 바는 없다. 만약 온라인 상에서 공동으로 작성된 디지털 문서에서 누가 어느 부분을 작성하고 어떻게 수정했는지에 대한 입증이 가능하다면 작성이 완료된 문서 자체를 날인된 계약서와 유사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를 들면, 구매자가 판매자와 온라인 상에서 구매 조건에 대한 상담을 하고 합의가 성립한 경우, 구매자와 판매자 사이의 온라인 상담 내용에 대한 입증이 추후 가능하다면 별도의 구매 계약 절차를 거칠 필요가 없이 온라인 상담 자체를 계약 성립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직장 내에서 다수의 직원이 공동으로 보고서를 작성하는 경우, 누가 해당 보고서 중의 어느 부분을 작성하고 어느 부분을 어떻게 수정했는지에 대한 입증이 가능하다면 추후 보고서 내용 중의 어떤 부분에 공과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 누구에 의한 공로이고 누구에 의한 과실인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 장치 및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컨텐츠를 공동으로 작성하는 경우가 늘고 있고, 해당 컨텐츠 내의 각각의 내용에 대해 누가 작성한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면 여러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까지는 로그인 또는 전자서명 등의 방법으로 해당 문서 전체에 대한 작성자 인증 등의 방법은 알려진 바 있으나, 컨텐츠를 구성하는 각각의 내용에 대해 작성자가 누구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은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컨텐츠를 구성하는 각각의 세부 내용에 대한 작성자 또는 입력자가 누구인지를 구별할 수 있는 입력정보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입력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입력정보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정보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내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되는 입력정보 관리방법으로서, 입력장치로부터 입력자가 입력한 입력내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생체정보센서로부터 상기 입력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입력자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입력자의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입력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자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상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상황정보와 상기 입력내용을 매칭한 입력정보가 저장장치에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정보 관리방법일 수 있다.
상기 입력정보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자정보는 상기 입력자를 식별할 수 있는 입력자에 대한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자의 생체정보는 상기 입력자정보와 매칭되어 상기 입력정보와는 별도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입력정보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상황정보는 상기 입력내용이 입력되는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정보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상황정보는 상기 입력내용이 입력되는 전자장치 및 상기 입력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정보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상황정보는 보안상태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상태정보는 상기 생체정보를 이용한 상기 입력자의 인식 가능성 관점에서 상기 생체정보의 품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정보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를 통해 상기 입력자가 인식되지 않거나 복수의 입력자가 인식되는 경우 비정상 상황임을 의미하는 정보를 보안상태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입력정보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내용이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보안상태정보를 상기 입력내용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입력정보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는 블록체인 방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입력정보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상황정보는 소정의 시간 동안 입력내용이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입력내용이 입력되는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정보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상황정보는 상기 입력자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정보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자의 변경은 상기 생체정보센서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자의 이동 여부를 검출하여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정보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자의 이동 여부는 상기 입력자의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안면, 손 및 몸체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을 검출하여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정보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자의 변경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입력자의 생체정보를 재인식하도록 상기 생체정보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입력정보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상황정보는 상기 입력내용의 최소 단위마다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정보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 관리방법은 상기 입력정보를 관리하는 용도 이외의 소정의 용도를 가지는 응용프로그램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입력정보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 관리방법은 복수의 응용프로그램에 입력되는 내용을 관리할 수 있도록 특정 응용프로그램에 종속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전자장치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한 입력정보 관리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한 입력정보 관리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기록 매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자가 입력한 입력내용에 대한 정보를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입력내용 처리부; 생체정보센서가 획득한 상기 입력자의 생체정보를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입력자정보를 생성하는 입력자정보 처리부; 상기 입력자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입력상황정보 처리부; 및 상기 입력상황정보와 상기 입력내용을 매칭한 입력정보가 저장장치에 저장되도록 하는 입력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입력정보 관리서버이다.
상기 입력정보 관리서버는 복수의 전자장치로부터 입력내용에 대한 정보 및 입력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입력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입력상황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입력내용이 입력되는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입력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입력자의 생체정보로부터 보안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안상태정보를 다른 전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를 구성하는 각각의 세부 내용에 대한 입력자가 누구인지를 구별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시점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입력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정보 관리에 있어서 보안 수준을 높임으로써 생성된 입력정보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입력정보 관리방법이 수행되는 전자장치 및 외부와의 연결 관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입력정보관리부 및 관련 구성들의 상호 작용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입력정보 관리방법을 예시한다.
도 4는 입력정보관리부의 입출력 정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입력정보관리부의 정보관리 흐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입력정보관리부의 내부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입력정보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하나의 전자장치를 이용한 경우의 입력상황정보를 예시한다.
도 9는 복수의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하나의 파일을 생성하는 경우의 입력상황정보를 예시한다.
도 10은 복수의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담을 수행하는 경우의 입력상황정보를 예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입력정보 관리방법이 입력정보 관리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입력정보 관리서버의 내부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입력정보 관리방법이 수행되는 전자장치(100-1) 및 해당 전자장치(100-1)가 외부와 연결되는 상황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장치(100-1)는 생체정보센서(110), 프로세서(120), 저장장치(130), 버스(14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입력장치(160) 및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1)는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과 같이 입력장치(16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춘 다양한 종류의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전자장치(100-1) 내부의 프로세서(120), 버스(14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및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컴퓨터 등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생체정보센서(110)는 입력장치(160)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자의 생체정보를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생체정보센서(110)에는 홍채인식센서, 안면인식센서, 지문인식센서, 정맥인식센서, 음성인식센서, 영상센서 등과 같이 생체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생체정보센서(110)를 이용하여 획득된 정보는 입력자 인식뿐만 아니라 안면, 몸체, 손의 위치나 움직임을 검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체정보센서(110)는 모니터에 설치되어 입력자의 안면, 상체 및 손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영상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영상센서로부터 획득된 정보로부터 입력자를 인식하거나 입력자의 안면, 상체 및 손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입력자가 교체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입력장치(160)는 입력자가 전자장치(100-1)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널, 마이크 등이 입력장치(160)가 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장치(13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장치이면 되고, 그 종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RAM, ROM, Flash 메모리, SSD, 하드 디스크 드라이버, USB, 플로피 디스크 등일 수 있다. 저장장치(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정보관리 프로그램 및 입력정보관리 프로그램에서 생성한 입력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입력정보관리 프로그램은 전자장치(100-1)에 설치되어 입력정보관리 기능을 수행하면서 입력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네트워크(180)를 통해 다른 전자장치(100-2, 100-3)와 통신하며 전자장치(100-1)에서 생성된 입력정보를 다른 전자장치(100-2, 100-3)에서 생성한 입력정보와 교환할 수 있다. 다른 전자장치(100-2, 100-3)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정보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입력정보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입력정보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정보관리부(210) 및 이와 관련된 구성들의 상호 작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입력정보관리부(210)는 생체정보센서(110), 저장장치(130), 입력장치(160) 및 응용프로그램(220)과 상호 작용하며 입력정보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정보관리 프로그램은 도 1에 예시된 프로세서(120) 및 그 주변회로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입력정보관리부(210)는 별도의 하드웨어가 아니라 입력정보관리 프로그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입력정보관리부(210)는 입력정보관리 프로그램을 내장한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입력정보관리부(210)는 생체정보센서(110)로부터 입력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생체정보에 대응되는 입력자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입력자정보는 입력자의 생체정보에 대응하여 입력자를 식별할 수 있는 아이디와 같은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자 생체정보로부터 입력자정보를 효과적으로 획득하기 위해 입력자 생체정보와 입력자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생체정보센서(110)와 같은 다른 장치 또는 다른 프로그램에서 생체정보를 처리하여 입력자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입력정보관리부(210)는 다른 장치 또는 다른 프로그램으로부터 입력자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자 생체정보와 입력자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된 데이터는 입력정보관리부(210)가 동작하는 전자장치 내부의 저장장치(130)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해당 전자장치 내부의 저장장치(130)가 아니라 해당 전자장치 외부의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저장장치에 저장된 매칭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입력정보관리부(210)는 입력장치(160)로부터 입력자가 입력한 입력내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내용은 입력자가 입력장치(160)를 통해 입력한 내용에 관한 정보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고, 그 종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입력내용은 문서를 구성하는 내용, 디지털 방식으로 작성되는 예술작품을 구성하는 내용, 메신저 프로그램에 입력되는 내용, 웹사이트 등에서 온라인 상담을 진행할 때 입력되는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정보관리부(210)는 응용프로그램(220)과 정보를 주고받으며 입력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220)은 워드, 한글 등의 문서작성 프로그램, 카카오톡이나 페이스북과 같은 SNS 프로그램, 또는 온라인 상담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웹사이트 접속 프로그램 등일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응용프로그램은 디지털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형태의 프로그램은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입력정보관리부(210)는 입력장치(160)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내용이 어떤 응용프로그램의 어떤 파일명에 입력되고 있는 내용인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입력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입력정보관리부(210)는 입력자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상황정보를 생성하고, 입력상황정보와 입력내용을 매칭한 입력정보를 저장장치(130)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입력정보관리부(210)가 생성한 입력정보는 입력정보관리부(210)가 동작하는 전자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지만, 해당 전자장치 외부의 저장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입력정보는 블록체인 방식으로 저장될 수도 있고, 이 경우 데이터의 위변조가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생성된 입력정보가 계약서를 대체하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입력정보 관리방법을 예시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입력정보 관리방법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입력정보관리부(210)는 입력장치(160)로부터 입력자가 입력한 입력내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10). 입력내용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문서를 구성하는 내용, 디지털 방식으로 작성되는 미술작품을 구성하는 내용, 메신저 프로그램에 입력되는 내용, 웹사이트 등에서 온라인 상담을 진행할 때 입력되는 내용 등일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입력정보관리부(210)는 생체정보센서(110)로부터 입력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입력자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다른 장치/프로그램에서 입력자의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 입력자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30). 입력자정보는 입력자의 생체정보에 대응하여 입력자를 식별할 수 있는 아이디 등의 식별자일 수 있다. 입력자 생체정보로부터 입력자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입력자 생체정보와 입력자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정보관리부(210)는 입력자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상황정보를 생성하고(S350), 입력상황정보와 입력내용을 매칭한 입력정보가 저장장치(130)에 저장되도록 지시할 수 있다(S370). 입력상황정보와 입력정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예시된 입력정보 관리방법은 문서작성 프로그램, SNS 프로그램, 웹사이트 접속 프로그램 등과 같이 소정의 용도를 가지는 응용프로그램 내에 구현되거나, 혹은 입력정보관리를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입력정보관리 프로그램'이라는 용어는 소정의 용도를 가지는 다른 응용프로그램에 함께 구현되거나 혹은 입력정보관리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입력정보관리 프로그램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저장장치(130) 등과 같은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필요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
도 3에는 입력내용에 대한 정보 수신 단계(S310)가 생체정보 또는 입력자정보 수신 단계(S330)에 비해 먼저 수행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들의 순서는 바뀌어도 무방하다. 또한, 입력상황정보 생성 단계(S350)와 입력정보 저장 단계(S370)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들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정보관리부(210)의 입출력 정보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입력정보관리부(210)의 정보관리 흐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입력정보관리부의 입력정보관리 기능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입력정보관리부(210)는 입력자생체정보(또는 입력자정보), 입력장치정보, 입력내용, 응용프로그램정보 및 기타정보를 수신하고 입력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입력자생체정보는 생체정보센서로부터 수신한 입력자의 생체정보일 수 있다. 입력자생체정보는 입력자의 홍채, 안면, 지문, 정맥, 음성, 몸체, 손 등에 관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정보관리부(210)가 생체정보센서로부터 입력자생체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입력정보관리부(210)는 입력자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입력자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입력자정보는 입력자의 생체정보에 대응하여 입력자를 식별할 수 있는 아이디와 같은 식별자일 수 있다. 만약 다른 장치 또는 다른 프로그램이 생체정보를 사용하여 입력자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입력정보관리부(210)는 다른 장치/프로그램으로부터 입력자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자생체정보 자체는 데이터량이 많아 중복해서 저장되는 경우 데이터 관리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입력자정보를 사용할 경우 입력자생체정보에 매칭되는 입력자정보를 입력상황정보에 포함시키고 입력자정보와 입력자생체정보를 별도로 매칭시켜 저장함으로써 저장되는 데이터량을 줄일 수 있다.
입력정보관리부(210)는 입력자정보와 기타상황정보를 취합하여 입력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기타상황정보에는 날짜, 시각, 전자장치, 입력장치, 응용프로그램 및 보안등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상황정보는 입력정보관리를 위해 필요한 내용 중에서 입력자가 입력하는 입력내용을 제외한 나머지 필요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기타상황정보에는 도 5에 예시된 정보들 외에도 필요에 따라 다른 정보들이 부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래에서 기타상황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날짜와 시각은 입력내용이 입력된 정확한 시각 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므로 초단위 또는 그보다 더 세부 단위로 구분된 정보일 수 있다.
전자장치는 입력자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입력상황정보에는 전자장치 정보뿐만 아니라 입력자가 데이터의 입력에 사용한 입력장치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 정보는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내용이 어떤 응용프로그램에 입력되고 있는 것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은 워드, 한글 등의 문서작성 프로그램, 카카오톡이나 페이스북과 같은 SNS 프로그램, 또는 온라인 상담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웹사이트 접속 프로그램 등일 수 있으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응용프로그램은 디지털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안상태정보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정보 관리방법은 입력자의 생체정보에 근거하여 입력자를 인식하고 이 정보를 입력내용과 함께 확보함으로써 추후 세부 입력내용에 대한 입력자를 확인/입증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입력자의 자세나 위치, 생체정보센서의 상태 등 상황에 따라 생체정보센서가 획득하는 입력자의 생체정보의 품질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생체정보센서가 획득한 생체정보의 품질이 낮을 경우 입력자의 인식이 불가능하거나 인식은 가능하더라도 인식 정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입력상황정보에는 생체정보센서가 획득한 생체정보의 품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정보 관리방법은 복수의 당사자가 계약 문서를 작성하는 경우나 온라인 상담 등과 같이 복수의 당사자가 관여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정보 관리방법을 사용하여 복수의 당사자가 계약 문서를 작성하는 경우를 가정해보면, 일방은 상대방에 대한 생체정보가 정확하게 인식되고 있다고 믿고 계약 문서를 작성하고 있는데 상대방의 생체정보가 부정확한 경우 추후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정보 관리방법은, 생체정보를 이용한 입력자의 인식 가능성 관점에서 생체정보의 품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보안상태정보를 생성하는 기능 및 생성된 보안상태정보를 다른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자의 생체정보를 통해 입력자가 인식되지 않거나 복수의 입력자가 인식되는 경우 비정상 상황으로 판단하고 비정상 상황임을 의미하는 정보를 보안상태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부정한 입력자가 의도적으로 자신이 인식되는 것을 방해하는 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보안상태정보는 생체정보를 통한 입력자의 인식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더욱 예시적으로 보안상태정보는 생체정보를 통한 입력자의 인식 가능 정도를 수치화한 보안등급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입력내용이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경우, 보안상태정보를 입력내용과 함께 전송함으로써 다른 전자장치를 사용하는 상대방에게 일방의 생체정보가 인식되지 않거나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입력상황정보가 생성되면, 입력정보관리부(210)는 입력상황정보와 입력내용을 매칭시켜 생성되는 입력정보를 저장장치(130)에 저장할 수 있다. 입력정보가 저장되는 저장장치는 입력정보관리부(210)가 동작하는 전자장치의 내부에 있거나 혹은 외부에 있을 수 있다. 입력정보에 대한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입력정보는 블록체인 방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입력정보관리부(210)의 내부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입력정보관리부(210)는 입력내용 처리모듈(612), 입력자정보 처리모듈(614), 입력상황정보 처리모듈(616) 및 입력정보 처리모듈(618)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내용 처리모듈(612)은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내용을 수신하고 입력내용을 처리하는 것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자정보 처리모듈(614)은 생체정보센서로부터 입력자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입력자정보를 생성하거나 혹은 생체정보센서 등의 다른 장치나 다른 프로그램으로부터 입력자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상황정보 처리모듈(616)은 다양한 외부 장치나 프로그램들로부터 날짜, 시각, 전자장치, 입력장치, 응용프로그램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입력자정보 처리모듈(614)로부터 입력자정보를 수신하여 입력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입력정보 처리모듈(618)은 입력내용 처리모듈(612)로부터 입력내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입력상황정보 처리모듈(616)로부터 입력상황정보를 수신하며, 입력내용과 입력상황정보를 매칭시킨 입력정보를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입력내용 처리모듈(612), 입력자정보 처리모듈(614), 입력상황정보 처리모듈(616) 및 입력정보 처리모듈(618)은 입력정보관리부(210)의 전체 기능을 개념적으로 구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실제 구현 관점에서는, 각 모듈은 프로그램 내에서 모듈 단위로 구분되어 구현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프로그램 내에 서로 혼재된 상태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7은 입력정보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입력정보는 입력내용 중간에 입력상황정보 식별자가 삽입된 형태일 수 있다. 입력상황정보 자체가 입력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지만 입력상황정보 식별자를 입력정보에 삽입하고 입력상황정보와 입력상황정보 식별자를 별도로 매칭시켜 저장하면 정보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입력정보의 구조는 도 7에 예시된 바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는 입력정보에 입력내용이 포함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는데, 입력정보에 포함되는 입력내용은 입력되는 내용 전체가 아닐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상황정보 식별자가 생성되는 시점에서 소정의 기간 내에 입력되는 내용이 입력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정보의 양을 줄일 수 있으므로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시점에 대해 설명한다.
입력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첫 번째 방법으로, 입력상황정보는 입력내용의 최소 단위마다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내용의 최소 단위를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하나의 키입력으로 정의하고 최소 단위의 입력내용이 있을 때마다 입력상황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내용의 최소 단위마다 입력상황정보가 저장되므로 입력내용에 대한 입력상황의 파악이 가장 정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입력내용의 세부 단위마다 입력상황 구분이 필요한 경우라면 이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입력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두 번째 방법으로, 입력상황정보는 소정의 시간 동안 입력내용이 입력되지 않은 이후 다시 입력내용이 입력되는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입력자의 교체가 있는 경우 일시적으로 입력행위가 중단될 것이므로 연속적인 입력 과정 중에는 입력자의 교체가 없을 것이라는 가정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소정의 시간은, 입력자의 교체를 위해 입력자의 입력 행위가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경우와 연속적인 입력행위가 있는 경우를 구분할 수 있는 정도의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입력내용의 최소 단위마다 입력상황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비해 데이터의 양을 줄이면서도 필요한 시점에서의 입력상황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다.
입력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세 번째 방법으로, 입력상황정보는 입력자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입력상황정보는 입력내용에 대응하여 입력자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므로 입력자의 변경이 없는 경우에는 입력상황정보를 생성할 필요성이 줄어든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이 가장 높으면서도 필요한 시점에 입력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입력자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방법의 일 예로는, 생체정보센서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입력자의 이동 여부를 검출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입력자의 이동 여부는 입력자의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안면, 손, 몸체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을 검출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생체정보센서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통해 입력자의 인식이 가능한 상황에서 입력자의 인식이 불가능하거나 인식 가능성이 낮아지는 경우 입력자의 변경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입력자의 변경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입력자의 생체정보를 재인식하도록 생체정보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체정보센서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입력자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입력자의 변경이 있다고 판단될 때 입력상황정보를 생성할 경우, 입력자의 교체에 대응하여 적절한 시점에 입력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정한 입력자가 의도적으로 입력자를 속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안성 강화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입력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위 세 가지 방법은 단독으로만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서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위 세 가지 방법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하면서 다른 기준을 함께 사용하여 추가적으로 입력상황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새로운 응용프로그램의 시작, 새로운 파일의 구동, 입력장치의 교체, 일정 시각 등의 기준에 따라 입력상황정보가 추가적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복수의 입력자가 하나의 전자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의 입력상황정보를 예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입력 전자장치는 전자장치 C로 일정하고, 입력자와 응용프로그램(파일명 포함) 및 보안등급 정보가 입력상황정보 식별자에 대응하여 달라지고 있다. 즉, 하나의 전자장치 C를 통해 복수의 입력자(입력자 A, 입력자 B)가 복수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복수의 파일 또는 컨텐츠를 생성하는 상황을 예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입력정보관리 프로그램은 복수의 응용프로그램에 입력되는 내용을 관리할 수 있도록 특정 응용프로그램에 종속되지 않은 상태로 전자장치 내에 구현되어 전자장치로 입력되는 입력내용의 전체 또는 일부를 관리할 수 있다.
도 9는 복수의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하나의 파일을 생성하는 경우의 입력상황정보를 예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입력상황정보 식별자에 따라 입력자정보와 입력전자장치 정보가 변경되지만 응용프로그램(파일명) 정보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즉, 복수의 입력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의 파일을 공동으로 작성하는 상황을 예시하는 것이다. 도 9에 예시된 입력상황정보는, 입력정보관리 프로그램이 소정의 용도를 가지는 응용프로그램 내부에 구현되어 복수의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한 입력정보를 취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각각의 전자장치에는 응용프로그램과는 별도로 입력정보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도 8에 예시된 입력상황정보를 생성하고, 복수의 전자장치에서 생성된 입력상황정보로부터 특정 응용프로그램 및/또는 특정 파일(도 9의 예시에서는 MS Word의 bbb.doc 파일)과 관련된 입력상황정보를 취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복수의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담을 수행하는 경우의 입력상황정보를 예시한다. 도 10은 입력자 I가 전자장치 K를 사용하고 입력자 J가 전자장치 L을 사용하여 진행하는 온라인 상담과 관련된 입력상황정보를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정보 관리방법은 이와 같은 온라인 상담에서 합의된 내용 자체를 완성된 계약으로 사용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런데 입력자 J에 대해 획득된 생체정보의 품질이 불량하여 입력자에 대한 인식 가능성이 낮은 경우에 입력자 I가 그러한 상황을 모르고 있으면 추후 문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자장치 L은 전자장치 K로 입력자 J에 대해 획득한 생체정보의 품질이 낮아 입력자에 대한 인식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울 수 있다는 정보, 즉 보안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입력자 I가 온라인 상담 상대방에 대한 정확한 생체정보를 확보하기가 곤란하다는 상황을 파악하고 온라인 상담을 중단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입력정보 관리방법이 입력정보 관리서버(1110)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입력정보 관리서버(1110)는 네트워크(180)를 통해 전자장치(100-1, 100-2)와 통신하며 입력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1, 100-2)는 입력정보 관리 기능을 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동작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1, 100-2)는 입력장치(160)를 통해 입력내용을 수집하고 생체정보센서(110)를 통해 입력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1, 100-2)는 수집된 입력내용 및 입력자의 생체정보를 네트워크(180)를 통해 입력정보 관리서버(1110)로 전송할 수 있다.
입력정보 관리서버(1110)는 입력정보 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도 1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입력내용 처리부(1212), 입력자정보 처리부(1214), 입력상황정보 처리부(1216) 및 입력정보 처리부(1218)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내용 처리부(1212)는 전자장치(100-1, 100-2)로부터 입력내용을 수신하고 입력내용을 처리하는 것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자정보 처리부(1214)는 입력자의 생체정보를 전자장치(100-1, 100-2)로부터 수신하여 입력자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입력자의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입력자정보를 전자장치(100-1, 100-2)로부터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입력자정보 처리부(1214)는 전자장치(100-1, 100-2)로부터 생체정보센서(110)가 검출한 입력자의 생체정보를 그대로 전송받을 수도 있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자장치(100-1, 100-2)가 생체정보를 가공한 후 입력정보 관리서버(1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1, 100-2)가 생체정보에 대한 필터링, 압축 등의 처리를 수행한 후 입력정보 관리서버(1110)로 전송하고, 입력자정보 처리부(1214)는 이렇게 가공된 생체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입력상황정보 처리부(1216)는 전자장치(100-1, 100-2)로부터 날짜, 시각, 전자장치에 대한 정보, 입력장치에 대한 정보,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생체정보센서에 대한 정보 등을 수신하고 입력자정보 처리부(1214)로부터 입력자정보를 수신하여 입력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입력상황정보 처리부(1216)는 입력자의 생체정보로부터 보안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안상태정보를 다른 전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입력정보 관리서버(1110)가 보안상태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방법은 앞서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입력정보 처리부(1218)는 입력내용 처리부(1212)로부터 입력내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입력상황정보 처리부(1216)로부터 입력상황정보를 수신하며, 입력내용과 입력상황정보를 매칭시킨 입력정보를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된 입력정보 관리서버(1110)는 복수의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들을 취합하여 입력정보를 생성하고, 관련된 복수의 전자장치들에게 해당 입력정보 또는 입력상황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복수의 전자장치가 입력정보 관리서버(1110)를 매개로 서로 상대방의 입력정보 또는 입력상황정보를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입력정보 관리서버(1110)가 복수의 전자장치로부터 특정 응용프로그램 또는 특정 웹사이트에 입력되는 정보들을 취합하여 입력정보를 관리하는 경우 도 9 및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은 입력상황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정보 관리서버(1110)는 하나의 전자장치의 입력정보를 관리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은 입력상황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도 12에 예시된 입력내용 처리부(1212), 입력자정보 처리부(1214), 입력상황정보 처리부(1216) 및 입력정보 처리부(1218)는 입력정보 관리서버(1210)의 입력정보 관리 기능을 개념적으로 구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실제 구현 관점에서는, 각 구성부는 입력정보 관리서버(1210)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 내에서 모듈 단위로 구분되어 구현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프로그램 내에 서로 혼재된 상태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입력정보 관리서버(1110)를 사용하여 입력정보를 관리하는 경우에서, 도 1 내지 도 10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내용은 전자장치(100-1, 100-2)에서 입력정보를 관리하던 것을 입력정보 관리서버(1110)가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변경되는 외에는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여기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면, 컨텐츠를 구성하는 각각의 세부 내용에 대한 입력자가 누구인지를 구별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시점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입력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정보관리에 있어서 보안 수준을 높임으로써 입력정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2)

  1.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내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되는 입력정보 관리방법으로서,
    입력장치로부터 입력자가 입력한 입력내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생체정보센서로부터 상기 입력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입력자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입력자의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입력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자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상황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상황정보와 상기 입력내용을 매칭한 입력정보가 저장장치에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정보 관리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자정보는 상기 입력자를 식별할 수 있는 입력자에 대한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자의 생체정보는 상기 입력자정보와 매칭되어 상기 입력정보와는 별도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정보 관리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상황정보는 상기 입력내용이 입력되는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정보 관리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상황정보는 상기 입력내용이 입력되는 전자장치 및 상기 입력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정보 관리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상황정보는 보안상태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상태정보는 상기 생체정보를 이용한 상기 입력자의 인식 가능성 관점에서 상기 생체정보의 품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정보 관리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를 통해 상기 입력자가 인식되지 않거나 복수의 입력자가 인식되는 경우 비정상 상황임을 의미하는 정보를 보안상태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정보 관리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입력내용이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보안상태정보를 상기 입력내용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정보 관리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는 블록체인 방식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정보 관리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상황정보는 소정의 시간동안 입력내용이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입력내용이 입력되는 경우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정보 관리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상황정보는 상기 입력자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정보 관리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입력자의 변경은 상기 생체정보센서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자의 이동 여부를 검출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정보 관리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입력자의 이동 여부는 상기 입력자의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안면, 손 및 몸체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을 검출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정보 관리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입력자의 변경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입력자의 생체정보를 재인식하도록 상기 생체정보센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정보 관리방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상황정보는 상기 입력내용의 최소 단위마다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정보 관리방법.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 관리방법은 상기 입력정보를 관리하는 용도 이외의 소정의 용도를 가지는 응용프로그램 내에 구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정보 관리방법.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 관리방법은 복수의 응용프로그램에 입력되는 내용을 관리할 수 있도록 특정 응용프로그램에 종속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전자장치 내에 구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정보 관리방법.
  17. 컴퓨터를 이용하여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 중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8. 컴퓨터를 이용하여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 중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기록 매체.
  19.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자가 입력한 입력내용에 대한 정보를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입력내용 처리부;
    생체정보센서가 획득한 상기 입력자의 생체정보를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입력자정보를 생성하는 입력자정보 처리부;
    상기 입력자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입력상황정보 처리부; 및
    상기 입력상황정보와 상기 입력내용을 매칭한 입력정보가 저장장치에 저장되도록 하는 입력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입력정보 관리서버.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 관리서버는 복수의 전자장치로부터 입력내용에 대한 정보 및 입력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정보 관리서버.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입력상황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입력내용이 입력되는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정보 관리서버.
  22.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입력자의 생체정보로부터 보안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안상태정보를 다른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정보 관리서버.
KR1020170176939A 2017-12-21 2017-12-21 입력정보 관리방법 및 입력정보관리 프로그램 KR102009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939A KR102009826B1 (ko) 2017-12-21 2017-12-21 입력정보 관리방법 및 입력정보관리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939A KR102009826B1 (ko) 2017-12-21 2017-12-21 입력정보 관리방법 및 입력정보관리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390A true KR20190075390A (ko) 2019-07-01
KR102009826B1 KR102009826B1 (ko) 2019-08-12

Family

ID=67255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939A KR102009826B1 (ko) 2017-12-21 2017-12-21 입력정보 관리방법 및 입력정보관리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8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884A (ko) * 2013-09-13 2015-03-23 (주)휴노 행위자 인증 정보 처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행위자 인증 정보 처리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1789298B1 (ko) * 2016-06-20 2017-11-20 주식회사 피노텍 식별코드를 이용한 자필서명 검증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884A (ko) * 2013-09-13 2015-03-23 (주)휴노 행위자 인증 정보 처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행위자 인증 정보 처리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1789298B1 (ko) * 2016-06-20 2017-11-20 주식회사 피노텍 식별코드를 이용한 자필서명 검증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826B1 (ko) 201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son et al. An investigation of biometric authentication in the healthcare environment
US93919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sensor multi-factor identity verification
US10606988B2 (en) Security device, methods, and systems for continuous authentication
US9047464B2 (en) Continuous monitoring of computer user and computer activities
US201603354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 electronic signature on a first device and incorporating the signature into a document on a second device
US20110224509A1 (en) Secured personal data handling and management system
WO2021050343A1 (en) Computer implemented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for management of workplace incident reporting
US20180011973A1 (en) An integrated mobile personal electronic device and a system to securely store, measure and manage users health data
US20140282965A1 (en) Ongoing Authentication and Access Control with Network Access Device
CN107888557A (zh) 一种协议文件的生成方法及其系统
Kremic et al. Face recognition implementation for client server mobile application using PCA
CN105659243A (zh) 被告知的隐式登记和标识
Zirjawi et al. A survey about user requirements for biometric authentication on smartphones
KR20190075390A (ko) 입력정보 관리방법 및 입력정보관리 프로그램
Wells et al. Privacy and biometrics for smart healthcare systems: attacks, and techniques
Dike et al. Enhanced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 Biometrics System of Identification Based on Fingerprint
CN113838579A (zh) 一种医疗数据的异常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Zabidi et al. A survey of user preferences on biometric authentication for smartphones
JP6723056B2 (ja) 個人情報を収集するシステム、端末、プログラム及び方法
TWI807219B (zh) 依晶片預存影像與即時活體影像辨識身分之系統及方法
Gunasekar et al. Authentic cloud-biometric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for healthcare data management
Erdogan Check for A Need for Privacy-Assistive Technology in Notice and Consent Paradigm in IoT
US20230032328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ent-based biometric authentication
WO2017163227A1 (en) 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information
US20240143838A1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nonymizing user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