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786A - Detachable dehumidifier to indicate humidity - Google Patents

Detachable dehumidifier to indicate humid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4786A
KR20190074786A KR1020170176396A KR20170176396A KR20190074786A KR 20190074786 A KR20190074786 A KR 20190074786A KR 1020170176396 A KR1020170176396 A KR 1020170176396A KR 20170176396 A KR20170176396 A KR 20170176396A KR 20190074786 A KR20190074786 A KR 20190074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umidity
air
dehumidifier
fin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3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중진
Original Assignee
힐링팟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힐링팟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힐링팟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6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4786A/en
Publication of KR20190074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78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tachable dehumidifier to indicate humidity, comprising: a main body in which an air circulation fan is included, and of which a side surface has a ventilation hole; scandia mos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and indicating a humidity state; a storage unit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a dehumidification box mounted on the storage unit,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allowing a plurality of boreholes to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and allowing a trivet-shaped supporter to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and a dehumidifying agent stored in the dehumidification box.

Description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Detachable dehumidifier to indicate humidity}{Detachable dehumidifier to indicate humidity}

본 발명은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te type dehumidifier for indicating humidity.

공기 중 수분이 많은 경우 곰팡이와 세균이 번식해 음식물 등이 쉽게 부패하거나, 옷장의 옷이나 신발장의 신발 등에 곰팡이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공기 중 수분을 흡습하여 제거하는 제습제가 사용되고 있다.Dehumidifying agents that absorb moisture in the air are used because moisture and moisture in the air can cause mold and germs to multiply and food and the like can easily corrode and fungus can form on the clothes of a wardrobe or the shoe of a shoe shoe.

종래 제습제 용기는 제습제의 흡습에 의해 생성된 액체 상태의 물을 담는 본체,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편상 염화칼슘 등의 제습제를 담을 수 있으며 상기 제습제의 흡습에 의해 생성된 액체 상태의 물을 상기 본체 하부로 누출시키는 제습제 지지판, 본체 상부면을 커버하여 상기 제습제가 상기 본체 밖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공기 중 수증기를 통화시킬 수 있는 흡습지, 뚜껑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ventional dehumidifying agent container is disposed in the main body of the main body for containing the water in the liquid state generated by the moisture absorption of the desiccant and may contain a dehumidifying agent such as flaked calcium chloride. A desiccant supporting plate for leaking, a desiccant which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an communicate water vapor in the air while preventing the desiccant from flowing out of the main body, a lid, and the like.

그런데, 상기 종래 제습제 용기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desiccant container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제습제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흡습지를 제거한 상태로 작업해야 하는데, 제습제 교체 후 제거된 흡습지를 다시 본체에 부착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용기의 재활용이 곤란하므로, 제습제와 함께 용기도 폐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First, in order to replace the desiccant, it is necessary to work with the desiccant removed.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attach the desiccant to the main body again after the replacement of the desiccant, it is difficult to recycle the container. .

둘째, 제습제가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당한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상기 본체는 그 하부에 제습에 의해 생성된 물을 담는 공간이 불충분하여 용기의 수명이 짧다.Secondly, since the dehumidifying agent is disposed inside the body and occupies a considerable space, the space for storing the water generated by the dehumidification is insufficient in the bottom of the body, so that the life of the container is short.

따라서, 제습제의 교체가 가능하고 용이하며, 제습제의 흡습에 의해 생성된 액체 상태의 저장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제습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dehumidifier capable of replacing the dehumidifying agent and easily discharging the stored water in the liquid state generated by moisture absorption of the dehumidifying agent.

(특허등록문헌 0001) KR 제10-1783232호 (공고일자, 2017.10.23.)(Patent registration document 0001) KR 10-1783232 (Publication date, October 23, 2017)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습제의 교체가 가능하여,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재활용이 가능한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복잡하지 않아 제조비용이 절감되면서 제습제의 흡습에 의해 생성된 액체 상태의 물을 상시로 확인하고 비우기가 용이한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movable dehumidifier capable of replacing a dehumidifying agent and indicating a humidity that can be conveniently recycle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parate type dehumidifier that can confirm the liquid state water generated by the moisture absorption of the dehumidifying agent at all times and inform the user of the humidity easily to be emptied while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because the structure is not complicated.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는 내부에 공기순환팬을 포함하고, 측면에 형성된 통풍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에 거치되며, 습도상태를 알려주는 스칸디아모스; 상기 본체의 하단과 결합하며, 상부가 개방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거치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외면에 다수의 천공이 형성되고, 하면에 삼발이 형상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제습함; 및 상기 제습함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습제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separate type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n air circulation fan therein and a vent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A scandia moth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and indicating a humidity state; A receiving portion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 dehumidifier which is mounted on the receiving portion, has an upper portion opened, a plurality of perforations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a tributary support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 dehumidifying agent accommodated in the dehumidifying chamber.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공기순환팬의 하면과 접하여 형성되며, 공기유통공을 포함하는 격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diaphragm formed in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air circulation fan and including an air flow hole.

또한, 상기 수용부는, 내부에 요철이 없이 매끈하게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smoothly formed without irregularities inside.

또한, 상기 수용부는, 측면에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관측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observation window formed of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on a side surface thereof and capable of confirming the inside thereof.

또한, 상기 본체는, 상단이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순환팬의 동작상태에 따라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단으로 빛을 비추는 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may be formed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at the upper end, and may further include a lamp that illuminates light from the inside to the top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an operation state of the air circulation fan.

또한, 상기 본체는, 실내공기의 습도상태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및 상기 습도센서의 측정결과에 따라 특정한 색상의 빛을 비추는 습도센서표시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the humidity of the room air; And a humidity sensor indicator for illuminating light of a specific color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humidity sensor.

또한, 상기 본체는, 실내공기의 미세먼지상태를 측정하는 미세먼지센서; 및 상기 미세먼지센서의 측정결과에 따라 특정한 색상의 빛을 비추는 미세먼지센서표시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fine dust sensor for measuring a fine dust state of the room air; And a fine dust sensor indicator for illuminating light of a specific color according to a measurement result of the fine dust sensor.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 set forth in the description which follows, or may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and the claims.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은 본체에 스칸디아모스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스칸디아모스와 접촉만으로 손쉽게 실내습도를 확인하여 가습필터 사용여부를 결정 할 수 있으며, 또한, 본체에 구비된 스칸디아모스는 실내환경에 미적 및 조경적 효과를 줄 수 있다.By using Scandia Moss in the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asily determine the indoor humidity by contacting with the Scandia Mos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use the humidifying filter. In addition, the Scandia Moss provided in the main body can be aesthetically pleasing It can be effective.

또한, 본 발명은 본체를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여러 개의 소본체부로 나누어 구성함으로써, 내부의 세척 및 소독이 용이하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leaned and disinfected inside by dividing the main body into a plurality of small main body portions which can be separated and combined.

또한, 본 발명은 본체와 수용부를 끼움결합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수용부에 물을 저장하거나 필터의 장착 또는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and the receiving portion are coupled with each other in a fitting manner so that water can be stored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mounting or exchange of the filter can be facilitated.

또한, 본 발명은 수용부의 측면에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관측창을 형성함으로써, 내부의 저장되는 물의 양이나 내부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onfirm the amount of stored water or the internal state of the inside by forming an observation window on the side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공기의 유동 경로에서 각 구성요소의 일면이 서로 접하여 틈새를 밀폐시킴으로써, 틈새로 공기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each component in the air flow path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close a gap, thereby preventing air from moving into a gap,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dehumidification.

또한, 본 발명은 수용부의 내면을 요철이 없이 매끈하게 사출성형하여 형성함으로써, 수용면 내부에 구석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내부 세척이 용이하다.Further, since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by injection molding smoothly without protrusions and recesses, it is easy to clean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because no corner is formed inside the receiving surface.

또한, 본 발명은 투명 또는 불투명한 본체의 상단부를 구비하고, 본체의 내부에 램프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쉽게 공기순환팬의 작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무드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upper end portion of a transparent or opaque main body. By providing a lamp inside the main body,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operation state of the air circulation fan, and can use it as a mood or the like.

또한, 본 발명은 실내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습도센서와 실내습도를 표시할 수 있는 습도센서표시등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는 쉽게 실내공기의 습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umidity sensor capable of measuring indoor humidity and a humidity sensor indicator capable of displaying indoor humidit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humidity state of the indoor air.

또한, 본 발명은 미세먼지를 측정할 수 있는 미세먼지센서와 실내미세먼지 농도를 표시할 수 있는 미세먼지센서표시등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는 쉽게 실내공기의 미세먼지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ne dust sensor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and a fine dust sensor indicator capable of displaying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fine dust state of the room air.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newly understood thr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를 나타내는 조립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의 A-A'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A-A'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에서 제습함과 제습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에서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에서 스칸디아모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type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parate type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separate type dehumidifier showing the humidity shown in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to illustrate the flow of air flowing in the separate type dehumidifier showing the humidity.
FIG. 5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dehumidifying agent and a dehumidifying agent in a separate type dehumidifier for indicating humid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eceiving portion in a separate type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type dehumid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Scandia Moss in a separate type dehumidifier that indicates humid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elements, but they are number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The singular < RTI ID = 0.0 > expression < / RTI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 plurality of representat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 "at least one" includes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and the third item" means not only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or the third item, but also the second item and the second item among the first item, Means any combination of items that can be presented from more than one.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되는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be limitations on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ncludes water and alternativ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10)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10)를 나타내는 조립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10)의 A-A'선에 의한 단면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type dehumidifier 10 for indicating humid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d type dehumidifier 10 for indicating humid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separable dehumidifier 10 showing the humidity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10)는 본체(110), 수용부(130), 제습함(150), 제습제(170) 및 스칸디아모스(180)를 포함한다.1 to 3, a separate type dehumidifier 10 for indicating humid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 receiving portion 130, a dehumidifying chamber 150, a desiccant 170, And a moss 180.

즉, 본체(110)는 수용부(130)와 결합되고, 수용부(130)에 제습함(150)이 거치되고, 제습함(150)에는 제습제(170)가 수용되며, 본체(110)의 상단에는 스칸디아모스(180)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스칸디아모스(180)를 통해 쉽게 실내공기의 습도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본체(110)에 포함된 공기순환팬(111)을 가동시켜 보다 빠르게 제습을 진행할 수 있다.That is, the main body 110 is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130, the dehumidifying chamber 150 is mounted on the receiving portion 130, the dehumidifying chamber 150 receives the dehumidifying agent 170, And a Scandia Moss 180 is provided at the top.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humidity state of the indoor air through the Scandia Moss 180, and if necessary, the air circulation fan 111 included in the main body 110 can be operated to dehumidify more quickly.

보다 구체적으로, 스칸디아모스(180)는 실내공기의 습도상태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지표계로 사용되는데, 이에 관한 것은 뒤에서 후술한다.More specifically, the Scandia Moss 180 is used as an indicator system that allows to know the humidity state of the indoor ai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본체(110)는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110) 하단의 원주면은 수용부(130) 상단의 원주면과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The main body 1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pened bottom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10 is coupl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130 in a detachable manner.

본체(110)는 공기순환팬(111)을 포함한다. 공기순환팬(111)은 모터(113)에 의해 회전되며, 유입된 공기는 필터를 거쳐 외부로 배출한다.The main body 110 includes an air circulating fan 111. The air circulating fan 111 is rotated by the motor 113, and the introduc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lter.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공기순환팬(111)은 본체(110)에 구비되는 전원부에서 전원을 공급받고, 본체(110)에 구비되는 온오프스위치에 의해 작동할 수 있으며, 온오프스위치는 공기순환팬(111)의 단계별 속도제어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반응을 통한 제습제 방식의 경우, 제습제(170) 주위의 공기에서 수분을 생성한다, 그러므로, 공기순환팬(111)을 사용하여 제습제(170) 주위의 공기를 순환시켜주면, 제습제(170)가 제습하는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air circulation fan 111 is powered by a power supply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and can be operated by an on-off switch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The 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peed control of the stepping motor 111 is possible. Therefore, if the air circulating around the dehumidifying agent 170 is circulated by using the air circulating fan 111, the dehumidifying agent 170 can be circulated in the air around the dehumidifying agent 170, The efficiency of dehumidification can be increased.

본체(110)는 측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통풍구(115)가 형성되고, 하단의 원주면에는 수용부(130)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는 결합돌기(117)가 형성된다. 통풍구(115)는 사출성형에 의해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110 has a ventilation hole 115 through which air can move and a coupling protrusion 117 which is engageable with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130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The ventilation hole 115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110 by injection molding.

본체(110)는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여러 개의 소본체부(119)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내부의 세척 및 소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mall main body portions 119 which can be separated and combined. This allows the user to facilitate internal cleaning and disinfection.

수용부(13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용부(130)에는 물이 저장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1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upper portion, and water can be stored in the receiving portion 130.

수용부(130)는 상단의 원주면에, 결합돌기(117)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131)을 포함한다. 결합홈(131)은 결합돌기(117)와 끼움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용부(130)로부터 본체(110)를 들어올리면 내부가 개방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수용부(130)에 저장된 물을 빼거나, 제습함(150)의 장착 또는 제습제(17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130 includes a coupling groove 131 which can be engaged with the coupling projection 117 on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groove 131 is coupled with the coupling projection 117 in a fitting engagement manner. That is, when the main body 110 is lifted from the accommodating portion 130, the inside is opened, so that the user can remove the water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30, install the dehumidifier 150 or replace the dehumidifier 170 It can be facilitated.

수용부(130)는 측면에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되어,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관측창(133)이 형성될 수 있다. 관측창(133)은 저장된 물의 양을 확인하거나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부위이다. 이로 인해, 물의 양이 많을 경우 물을 빼거나, 또는 내부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다.The receiving portion 130 may be formed to be transparent or translucent on the side surface so that an observation window 133 for confirming the inside can be formed. The observation window 133 is a region where the amount of stored water can be confirmed or the internal state can be confirmed. Therefore, when the amount of water is large, it is easy to remove the water or visually confirm the state of the inside.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10)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A-A'선에 의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for explaining the flow of air flowing in the separate type dehumidifier 10, which indicates the humidity shown in FIG.

도3 및 4를 참조하면, 본체(110)는 공기순환팬(111)과 필터의 사이에, 격막(1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3 and 4, the main body 110 may further include a diaphragm 121 between the air circulating fan 111 and the filter.

격막(121)은 중앙에 개구된 제1 공기유통공(121a)을 포함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격막(121)은 본체(110)에 수평으로 형성되는데, 이 때 측면에 형성된 통풍구(115)를 이분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aphragm 121 is formed in a disk shape including a first air flow hole 121a that is open at the center. The diaphragm 121 is formed horizontally in the main body 110,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phragm 121 is formed at a position bisecting the ventilation hole 115 formed at the side.

보다 상세하게, 격막(121)은 통풍구(115)를 이분하여, 격막(121)의 하측은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15a)로 사용되고, 격막(121)의 상측은 내부 공기가 유출되는 공기유출구(115b)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통로와 유출되는 공기통로가 분리하여 형성되어, 제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iaphragm 121 is used as an air inlet 115a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lower side of the diaphragm 121, and the upper side of the diaphragm 121 is communicated with the air And can be used as the outlet 115b. Accordingly, the inflow air passages and the outflow air passages are formed separately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dehumidification.

제습함(15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습함(150)의 외면에는 다수의 천공(151)이 형성되고, 제습함(150)의 하면에는 삼발이 형상의 지지대(15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습함(150)의 내부에는 제습제(170)가 수용된다.A plurality of perforations 151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ehumidifying container 150 and a triple prism support 153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ehumidifying container 150 . A dehumidifier 170 is accommodated in the dehumidifying chamber 150.

보다 구체적으로, 제습함(150)이 수용부(130)에 고정되는 구조와 공기의 흐름에 관하여 설명한다.More specifically, the structure in which the dehumidifying chamber 150 is fixed to the receiving portion 130 and the flow of air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는 본체(110)와 수용부(130)를 분리하여, 수용부(130)에 제습함(150)을 거치 시킨다. 이 때, 본체(110)와 수용부(130)는 끼움방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다.First, the user separates the main body 110 from the receiving part 130, and places the dehumidifying part 150 in the receiving part 130. At this time, since the main body 110 and the receiving portion 130 are coupled with each other in the fitting manner, separation and coupling are easy.

이 때, 제습함(150)의 지지대(153)가 수용부(13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지지대(153)는 제습제(170)가 수용되는 제습함(150)의 공간부위를 수용부(130)의 상면과 일정 간격을 띄움으로써, 제습제(170)로 인해 생성된 물이 제습제(170)와 분리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At this time, the support 153 of the dehumidifying chamber 150 can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30. 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base 153 is provided with a space portion of the dehumidification chamber 150 in which the dehumidifying agent 170 is accommodated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30, (Not shown).

이어서, 수용부(130)에 안착된 제습함(150)은 상면이 격막(121)과 밀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습함(150)의 상면과 공기유통공(121a)을 제외한 격막(121)의 하면이 밀착되므로, 필터와 격막(121)의 틈새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입되는 모든 공기는 제습함(150)을 통과하게 됨으로, 제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dehumidifying chamber 150 se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3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iaphragm 121. More specifically,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dehumidification chamber 15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diaphragm 121 except for the air flow hole 121a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ir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into the gap between the filter and the diaphragm 121. As a result, all the introduced air passes through the dehumidifying chamber 150,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dehumidification.

계속해서, 제습함(150)의 상면에 밀착된 격막(121)은 상면에 공기순환팬(111)이 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습함(150)을 거쳐 이동한 공기가 공기순환팬(111)에 의해서 내부에서 외부로 원할하게 유출되게 된다.The air circulating fan 111 may be close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aphragm 121 close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ehumidifying chamber 150. In this case, the air moved through the dehumidifying chamber 150 is smoothly discharg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by the air circulating fan 111.

이상에서와 같이, 외부의 공기는 제습함(150), 공기유통공(121a) 및 공기순환팬(111)을 차례대로 통과하여 다시 외부로 유출된다. 이 때, 유입된 공기는 제습제(170)가 수용된 제습함(150)을 반드시 거치고, 바로 공기순환팬(111)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므로, 제습의 효율성은 증가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outside air passes through the dehumidifying chamber 150, the air circulation hole 121a and the air circulation fan 111 in order, and then flows out to the outside. At this time, since the introduced air passes through the dehumidifying chamber 150 in which the dehumidifying agent 170 is accommodated, and then flows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circulating fan 111, the efficiency of dehumidification is increas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10)에서 제습함(150)과 제습제(17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10)에서 수용부(130)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5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dehumidifying agent 150 and a dehumidifying agent 170 in a separate type dehumidifier 10 for indicating humid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accommodating portion 130 in the separate type dehumidifier 10,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습함(150)은 화학반응에 의해 제습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제습제(170)를 수용한다.5 to 6, the dehumidifying chamber 150 receives a dehumidifying agent 170 capable of performing a dehumidifying function by a chemical reaction.

제습제(170)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과 신속하게 화학반응을 하여, 물을 발생하는 조해성 무기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Desiccant 170 desirably uses a corrosive inorganic material that rapidly chemically reacts with moisture contained in the room air to generate water.

조해성 무기물은 장기간 흡습력이 좋고, 자체 중량의 수배에 달하는 수분 흡습량을 갖기 때문에 제습력이 매우 뛰어난 물질로 알려져 있다. 조해성 무기물은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수분을 흡수하여 수용액 상태가 되는 물질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Deliquescent inorganic matter is known as a substance having excellent dehumidifying ability because it has long-term moisture absorption capacity and moisture absorption amount corresponding to several times its own weight. The corrosive inorganic substance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lcium chloride, magnesium chloride, calcium sulfate, magnesium sulfate,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may include all substances that absorb water and become an aqueous solution.

또한, 실내공기와의 표면적을 넓히기 위해, 제습제(170)의 형상은 구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제습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In order to widen the surface area with the room air, it is preferable to use a desiccant 170 having a spherical shape. As a result, the dehumidifying force can be further improved.

제습제(170)가 수용되는 제습함(150)은 외면에 공기와 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천공(151)이 조밀하게 형성되어 있다. 천공(151)은 제습제(170)보다 작아서, 제습제(170)가 제습함(150)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서, 제습제(170)의 성능이 저하되면, 제습제(170)의 교체가 용이하다.The dehumidifying container 150 in which the dehumidifying agent 170 is accommodated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erforations 151 through which air and water pass through on the outer surface. The perforations 151 are smaller than the dehumidifying agent 170 to prevent the dehumidifying agent 170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dehumidifying chamber 150. Further, when the performance of the dehumidifying agent 170 is lowered because the upper portion is opened, the dehumidifying agent 170 can be easily replaced.

제습함(150)의 하면에 구비된 삼발이 형상의 지지대(153)는 적어도 3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hree tumblers 153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ehumidifying chamber 150 are formed.

지지대(153)의 길이는 제습제(170)가 수용된 제습함(150)의 내부공간이 수용부(13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띄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지지대(153)의 길이는 제습함(150)의 내부공간과 공기유입구(115a)가 수평상에 위치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supporting table 153 is formed such that the inner space of the dehumidifying chamber 150 in which the dehumidifying agent 170 is accommodated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3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support member 153 may be such that the inner space of the dehumidifying chamber 150 and the air inlet 115a may be positioned on a horizontal plane.

수용부(130)의 내면은 요철이 없이 매끈하게 사출성형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내부에 구석이 형성되지 않아, 사용자는 내부 세척이 용이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30 is formed by injection-molding smoothly without irregularities. As a result, a corner is not formed in the interior, and the user can easily wash the interior.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10)에서 스칸디아모스(18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type dehumidifier 10 for indicating humid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umidity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체(110)의 상단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본체의 상단부가 별도로 분리되도록 탑커버(123)로 형성될 수도 있다.7 to 8,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1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Or the top cover 123 may be formed to separate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이와 더불어, 본체(110)는 본체(110) 내부에서 상단으로 빛을 비추는 램프(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램프(125)는 LED램프가 바람직하며, 공기순환팬(111)의 동작상태에 따라 빛의 정도가 달라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쉽게 공기순환팬(111)의 작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어두운 실내의 경우, 무드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10 may further include a lamp 125 that illuminates the top of the main body 110 from the top. In this case, the lamp 125 is preferably an LED lamp, and the degree of ligh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air circulation fan 111,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operation state of the air circulation fan 111. In the case of a dark room, it can be used as a mood or the like.

본체(110)는 습도센서(127)와 습도센서표시등(127a)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may further include a humidity sensor 127 and a humidity sensor indicator 127a.

습도센서(127)가 실내공기의 습도를 측정하여 발생한 신호에 의해, 습도센서표시등(127a)이 빛을 비춘다. 보다 구체적으로, 습도센서(127)에 의해 측정된 습도가 50%미만일 경우에 습도센서표시등(127a)은 파란색 빛을 비추며, 50%이상일 경우에 습도센서표시등(127a)은 빨간색 빛을 비추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쉽게 실내공기의 습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humidity sensor indicator 127a illuminates the light by a signal generated by the humidity sensor 127 measuring the humidity of the room air. More specifically, when the humidity measured by the humidity sensor 127 is less than 50%, the humidity sensor indicator 127a illuminates a blue light. When the humidity sensor indicator 127a is more than 50%, the humidity sensor indicator 127a turns red . In this case,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humidity state of the indoor air.

또한, 본체(110)는 미세먼지를 측정할 수 있는 미세먼지센서(129)와 실내미세먼지 농도를 표시할 수 있는 미세먼지센서표시등(129a)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10 may further include a fine dust sensor 129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and a fine dust sensor indicator 129a capable of displaying an indoor fine dust density.

보다 구체적으로, 미세먼지센서(129)는 실내공기의 미세먼지를 측정하고, 미세먼지센서표시등(129a)은 미세먼지의 농도를 다양한 색상으로 표시한다. 또한, 미세먼지농도에 따라 공기순환팬(111)의 회전속도가 단계적으로 변하게 된다. 즉, 공기순환팬(111)의 속도가 1단에서 3단으로 속도조절 단계가 분리되어 있을 경우, 미세먼지농도가 16μg/m~50μg/m일 경우 공기순환팬(111)은 1단으로 작동되고, 미세먼지농도가 51μg/m~100μg/m일 경우 공기순환팬(111)은 2단으로 작동되고, 미세먼지농도가 50μg/m이상일 경우 공기순환팬(111)은 3단으로 작동된다. 이를 통해, 제습제(170)에 의해 생성되는 수분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의 미세먼지가 필터링 되는 효과가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ne dust sensor 129 measures fine dust in the room air, and the fine dust sensor indicator 129a display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various colors. In addition, the rotation speed of the air circulation fan 111 changes stepwise according to the fine dust concentration. That is, when the speed of the air circulation fan 111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age to the third stage, the air circulation fan 111 operates in one stage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s 16 μg / m to 50 μg / m The air circulating fan 111 operates in two stages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s 51 μg / m to 100 μg / m, and the air circulating fan 111 operates in three stages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s 50 μg / m or more. Thereby, the fine dust of the air introduced by the moisture generated by the dehumidifying agent 170 is filtered.

본체(110)의 상단에는 습도상태를 알려주는 스칸디아모스(180)(Scandia Moss)가 구비된다.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10, a Scandia Moss 180 for indicating the humidity state is provided.

보다 구체적으로, 실내습도가 약 30%미만일 경우 경화되며, 실내습도가 30%이상일 경우 탄성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제습기를 사용함과 더불어, 스칸디아모스(180)를 거치하여 실내습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계로 사용하고, 사용자는 스칸디아모스(180)와 접촉함으로써, 사용자는 손쉽게 실내습도를 확인하여 제습기 사용여부를 결정 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t is cured when the humidity of the room is less than about 30%, and the elasticity is maintained when the humidity of the room is more than 30%.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use of the dehumidifier, it is used as an indicator system which can check the indoor humidity state through the Scandia Moss 180. By allowing the user to contact the Scandia Moss 180,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indoor humidity, Can be determined.

또한, 스칸디아모스(180)는 실내환경에 미적 및 조경적 효과를 줄 수 있다. 스칸디아모스(180)는 극지의 숲에서 채취되는 이끼의 한 종류로, 더 이상 자라지 않으므로 별도의 관리가 필요하지 않으며, 관리에 있어서 어떠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또한, 스칸디아모스(180)는 일정 습도유지, 흡음성능 및 방화성능, 그리고 다양한 천연 미네랄로 보존처리에 의하여 다양한 색감의 연출이 가능하다.In addition, Scandia Moss 180 can provide aesthetic and landscaping effects to the indoor environment. Scandia Moss (180) is a kind of moss taken from the polar forests. It does not grow anymore, so there is no need for extra management and is not restricted by any space in management. In addition, Scandia Moss 180 can produce a variety of colors by maintaining a constant humidity,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fire resistance, and preservation treatment with various natural mineral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 110: 본체
111: 공기순환팬 113: 모터
115: 통풍구 115a: 공기유입구
115b: 공기유출구 117: 결합돌기
119: 소본체부 121: 격막
121a: 공기유통공 123: 탑커버
125: 램프 127: 습도센서
127a: 습도센서표시등 129: 미세먼지센서
129a: 미세먼지센서표시등 130: 수용부
131: 결합홈 133: 관측창
150: 제습함 151: 천공
153: 지지대 170: 제습제
180: 스칸디아모스 190: 손
10: a separable dehumidifier 110 for indicating the humidity; 110:
111: air circulation fan 113: motor
115: Ventilation hole 115a: Air inlet
115b: air outlet 117: engaging projection
119: Small main body 121: Diaphragm
121a: Air circulation hole 123: Top cover
125: Lamp 127: Humidity sensor
127a: Humidity sensor indicator 129: Fine dust sensor
129a: Fine dust sensor indicator 130:
131: coupling groove 133: observation window
150: Dehumidification 151: Perforation
153: support member 170: desiccant
180: Scandia Moss 190: Hands

Claims (7)

내부에 공기순환팬을 포함하고, 측면에 형성된 통풍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에 거치되며, 습도상태를 알려주는 스칸디아모스;
상기 본체의 하단과 결합하며, 상부가 개방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거치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외면에 다수의 천공이 형성되고, 하면에 삼발이 형상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제습함; 및
상기 제습함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습제를 포함하는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
A main body including an air circulation fan therein and including a vent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A scandia moth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and indicating a humidity state;
A receiving portion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 dehumidifier which is mounted on the receiving portion, has an upper portion opened, a plurality of perforations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a tributary support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nd a dehumidifying agent contained in the dehumidifying cha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공기순환팬의 하면과 접하여 형성되며, 공기유통공을 포함하는 격막을 더 포함하는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And a diaphragm formed in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air circulation fan, the diaphragm including an air flow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내부에 요철이 없이 매끈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Wherein the humidity indicator is formed smoothly without irregularities in the interior of the dehumidif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측면에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관측창을 더 포함하는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separate type dehumidifier, which is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on the side, and which further includes an observation window for confirming the interi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단이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순환팬의 동작상태에 따라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단으로 빛을 비추는 램프를 더 포함하는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The upper end is formed of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And a lamp for illuminating light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o the top depending on an operation state of the air circulation fa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실내공기의 습도상태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및
상기 습도센서의 측정결과에 따라 특정한 색상의 빛을 비추는 습도센서표시등을 더 포함하는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A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a humidity state of the indoor air; And
And a humidity sensor indicator for illuminating light of a specific color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humidity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실내공기의 미세먼지상태를 측정하는 미세먼지센서; 및
상기 미세먼지센서의 측정결과에 따라 특정한 색상의 빛을 비추는 미세먼지센서표시등을 더 포함하는 습도를 알려주는 분리형 제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A fine dust sensor for measuring the fine dust state of the room air; And
And a fine dust sensor indicator for illuminating light of a specific color according to a measurement result of the fine dust sensor.
KR1020170176396A 2017-12-20 2017-12-20 Detachable dehumidifier to indicate humidity KR2019007478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396A KR20190074786A (en) 2017-12-20 2017-12-20 Detachable dehumidifier to indicate humid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396A KR20190074786A (en) 2017-12-20 2017-12-20 Detachable dehumidifier to indicate humid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786A true KR20190074786A (en) 2019-06-28

Family

ID=67066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396A KR20190074786A (en) 2017-12-20 2017-12-20 Detachable dehumidifier to indicate humid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4786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232B1 (en) 2016-10-04 2017-10-23 문수미 Container for dehumidific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232B1 (en) 2016-10-04 2017-10-23 문수미 Container for dehumidif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6396B1 (en) Humidifier
TW558451B (en) Evaporative humidifier
KR20180065164A (en) Multiplex air cleaner
KR101248086B1 (en) Volatilizer
KR102050586B1 (en) Multi-purpose type air cleaner and air cleaner operation controlling method
KR20060129677A (en) A dehumidifier
KR20190074710A (en) Air-quality change device with filter selection
US20050044741A1 (en) Device for absorbing water vapor
KR20190074786A (en) Detachable dehumidifier to indicate humidity
EP1469933B1 (en) Device for absorbing water vapour
KR20060129678A (en) A dehumidifier
KR102009167B1 (en) air purifier with forest bathing function
JP6089203B2 (en) Air purifier
KR102128648B1 (en) MULTICHANNEL AROMA and AIRCLEANING APPARATUS
KR20030014595A (en) Humidifier
JPH0625773Y2 (en) Dehumidifier
JP2004028382A (en) Dehumidifier
JP3228240U (en) Space sterilization cleaning device
KR20200086971A (en) Humidifying Member And Humidifier Having The Same
KR102525208B1 (en) Portable device with functions of air circulation, dehumidification,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for furniture
JP2005052816A (en) Dehumidifier
CN218120098U (en) Air treatment device and air conditioner
JP2002147936A (en) Deodoriz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20170103165A (en) Air washer
JP2021176463A (en) Space sterilization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