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091A - 소구경 로켓형 탄체 - Google Patents

소구경 로켓형 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4091A
KR20190074091A KR1020170175471A KR20170175471A KR20190074091A KR 20190074091 A KR20190074091 A KR 20190074091A KR 1020170175471 A KR1020170175471 A KR 1020170175471A KR 20170175471 A KR20170175471 A KR 20170175471A KR 20190074091 A KR20190074091 A KR 20190074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rear side
front side
present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민규
Original Assignee
휴먼스화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먼스화공(주) filed Critical 휴먼스화공(주)
Priority to KR1020170175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4091A/ko
Publication of KR20190074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0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0/00Means for influencing, e.g. improving, the aerodynamic properties of projectiles or missiles; Arrangements on projectiles or missiles for stabilising, steering, range-reducing, range-increasing or fall-retarding
    • F42B10/02Stabilising arrangements
    • F42B10/04Stabilising arrangements using fixed fins
    • F42B10/06Tail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7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에 비하여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탄체; 및 상기 탄체의 후방측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탄체의 발사시 압력을 일정하게 분산시킴과 동시에, 상기 탄체의 비행시 요동을 규제하는 균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강선이 없는 발사기에서 발사하여도 안정적인 탄도 형성이 가능하며, 특수작전부대가 건물이나 항공기 차량내 진입시 강화유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진입하거나, 소방관이 건물 화재시 유리창을 파쇄하여 진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소구경 로켓형 탄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구경 로켓형 탄체{SMALL-CALLIBRE ROCKET TYPE BALLISTIC BODY}
본 발명은 소구경 로켓형 탄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선이 없는 발사기에서 발사하여도 안정적인 탄도 형성이 가능하며, 특수작전부대가 건물이나 항공기 차량내 진입시 강화유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진입하거나, 소방관이 건물 화재시 유리창을 파쇄하여 진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소구경 로켓형 탄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테러 및 범죄 양상은 양적인 측면에서도 팽창일로에 있을 뿐만 아니라, 질적인 측면에서도 기동화, 조직화, 흉포화되어 가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서 구체적인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대응자의 무기 사용 요건은 대응자의 직무와 관련한 집행법의 규정에 따라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직무 관련 집행법의 규정 또한 법규정상 흠결과 미비점 및 불명확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며, 대응자의 교육 및 훈련 부족 등으로 인하여 대응자가 실제 상황에서 오판하여 불의의 인명 사고를 일으켰을 경우에는 공권력을 행사한 대응자가 책임을 져야하는 부담을 안게 된다.
한편, 초기 진화는 갑작스러운 화재의 발생시 그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며, 고층건물과 같이 소방차나 사다리차의 진입이 힘든 구조물에서 구조 및 탈출 작업과 진화 작업시에는 진입로의 확보가 중요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등록특허 제10-0709299호의 "소구경 변형 발사체 및 그 생산 방법"(이하 선행기술)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기저부재와, 기저부재의 구멍으로 캡 코어가 부분적으로 도입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가스 및 화약의 압력에 의하여 발사기로부터 발사되는 과정에서 압력의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무게중심이 흐트러짐에 따라 안정적인 탄도 형성이 불가능하므로, 정확한 목표물에 조준하여 파쇄시키거나 하는 진입 용도로 활용하는 것이 힘든 한계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070929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강선이 없는 발사기에서 발사하여도 안정적인 탄도 형성이 가능하며, 특수작전부대가 건물이나 항공기 차량내 진입시 강화유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진입하거나, 소방관이 건물 화재시 유리창을 파쇄하여 진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소구경 로켓형 탄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에 비하여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탄체; 및 상기 탄체의 후방측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탄체의 발사시 압력을 일정하게 분산시킴과 동시에, 상기 탄체의 비행시 요동을 규제하는 균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 로켓형 탄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체는, 상기 전방측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제1 몸체부와, 상기 후방측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몸체부에 비하여 직경이 점차 좁아지게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균형 유닛은 상기 제2 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탄체는, 상기 전방측 단부에 라운드지게 곡면을 형성하는 비살상충격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체와 상기 균형 유닛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균형 유닛은, 상기 탄체의 후방측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형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날개형 블레이드는 상기 탄체의 후방측 외측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날개형 블레이드는,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탄체의 후방측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의 가장자리면은 상기 탄체의 전방측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외주면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개형 블레이드는,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탄체의 후방측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블레이드 본체와, 상기 블레이드 본체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전방측 단부 가장자리를 향하여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압력 분산면과, 상기 압력 분산면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블레이드 본체의 돌출된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탄체의 외주면까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 본체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절개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전방에 비하여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탄체; 및 탄체의 후방측 외측면에 형성되어 탄체의 발사시 압력을 일정하게 분산시킴과 동시에, 탄체의 비행시 요동을 규제하는 균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강선이 없는 발사기에서 발사하여도 안정적인 탄도 형성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특수작전부대가 건물이나 항공기 차량내 진입시 강화유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진입하거나, 소방관이 건물 화재시 유리창을 파쇄하여 진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의 사용범위상 무기가 아닌 장비로 분류됨으로써, 관련법의 테두리 내에서 사용 범위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시 대응 및 판단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무기사용의 요건과 한계를 극복하여 제반 문제점 발생에 따른 사용자의 부담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좀더 능동적이며 적극적인 대응 활동이 가능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탄체는, 전방측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제1 몸체부와, 후방측을 형성하며 제1 몸체부에 비하여 직경이 점차 좁아지게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며, 균형 유닛은 제2 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로켓형 탄체의 사거리와 안정적인 탄도 형성에 따른 비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탄체는, 전방측 단부에 라운드지게 곡면을 형성하는 비살상충격편을 더 포함함으로써, 인명 사고의 발생을 방지 또는 극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탄체와 균형 유닛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고무 또는 합성 고무와 같이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인명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균형 유닛은, 탄체의 후방측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형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복수의 날개형 블레이드는 탄체의 후방측 외측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발사시 가스 압력을 탄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후방측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키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탄도 형성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날개형 블레이드는,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탄체의 후방측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의 가장자리면은 탄체의 전방측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외주면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탄피에 본 발명에 따른 탄체를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 및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날개형 블레이드는,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탄체의 후방측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블레이드 본체와, 블레이드 본체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전방측 단부 가장자리를 향하여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압력 분산면과, 압력 분산면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블레이드 본체의 돌출된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탄체의 외주면까지 경사지게 형성되어 블레이드 본체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절개사면을 포함함으로써, 발사시 공기 저항을 균일하게 분산시킴과 동시에 발사시 가스 압력을 탄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후방측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키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탄도 형성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구경 로켓형 탄체가 탄피에 수납된 내부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구경 로켓형 탄체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
도 3은 도 2의 III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구경 로켓형 탄체의 배면 개념도
도 4는 도 3의 IV-IV선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구경 로켓형 탄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구경 로켓형 탄체가 탄피에 수납된 내부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구경 로켓형 탄체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III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구경 로켓형 탄체의 배면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4는 도 3의 IV-IV선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구경 로켓형 탄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1에서 미설명 부호로 32는 격발뇌관을 가리킨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비하여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탄체(10)와, 탄체(10)의 후방측 외측면에 형성되어 탄체(10)의 발사시 압력을 일정하게 분산시키는 균형 유닛(2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균형 유닛(20)은 탄체(10)의 비행시 요동을 규제함으로써 안정적인 탄도 형성이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탄체(10)는, 전방측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제1 몸체부(11)와, 후방측을 형성하며 제1 몸체부(11)에 비하여 직경이 점차 좁아지게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몸체부(12)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균형 유닛(20)은 도 3과 같이 제2 몸체부(1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제2 몸체부(12)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제1 몸체부(11)의 후방측 끝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하거나,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몸체부(11)의 후방측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탄체(10)와 균형 유닛(20)은 고무 또는 PR~Thiocol과 같은 합성고무 등의 탄성을 지닌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PR~Thiocol은 내유성과 전온 유연성과 내마모성과 내열성 및 내연료성이 우수하며, 난연성도 우수한 재질이다.
특히, 전온 유연성의 경우 섭씨 영하 40도 내지 섭씨 150도의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유연성을 잃지않고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극지방과 같은 특수한 지역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인간의 거주구역이라면 어느 지역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탄체(10)는, 전방측 단부에 라운드지게 곡면을 형성하는 비살상충격편(13)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비살상충격편(13)은 탄체(10)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비살상충격편(13)은 목표물에 타격할 때 관통되거나 박힘으로 인한 문제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단지 목표물을 충격하여 파쇄시키는 정도의 결과를 도출시킴으로써, 인명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탄체(10)는, 도 4와 같이 비살상충격편(13)의 후방측 끝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비살상충격편(13)과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편(14)과, 탄체(10)의 전방측 끝면에 고정편(14)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1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살상충격편(13)은 금속 등과 같이 탄체(10)보다 경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강화유리나 특수재질로 이루어진 창문이나 유리 등을 뚫고 진압 작전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에 파쇄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균형 유닛(20)은,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탄체(10)의 후방측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형 블레이드(21)를 포함하며, 복수의 날개형 블레이드(21)는 탄체(10)의 후방측 외측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날개형 블레이드(21)는,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탄체(10)의 후방측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의 가장자리면은 탄체(10)의 전방측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외주면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날개형 블레이드(21) 각각의 돌출된 단부 가장자리면이 제1 몸체부(11)의 외주면과 일직선상에 배치되어야 함은, 본 발명에 따른 소구경 로켓형 탄체(10)를 발사시 화약(31, 이하 도 1 참조)이 장전된 탄피(30, 이하 도 1 참조)에 내장시켜 발사함에, 탄피(30) 내부 공간에 원활하게 탄체(10) 및 균형 유닛(20) 등 일체를 수용하기 위한 치수상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날개형 블레이드(21)는, 크게 블레이드 본체(21b)와 압력 분산면(21p)과 절개사면(22)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블레이드 본체(21b)는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탄체(10)의 후방측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것이다.
압력 분산면(21p)은 블레이드 본체(21b)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전방측 단부 가장자리를 향하여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절개사면(22)은 압력 분산면(21p)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블레이드 본체(21b)의 돌출된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탄체(10)의 외주면까지 경사지게 형성되어 블레이드 본체(21b)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절개사면(22)의 외측 단부는 블레이드 본체(21b)의 돌출된 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절개사면(22)의 내측 단부는 제2 몸체부(12)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절개사면(22)의 외측 단부가 절개사면(22)의 내측 단부에 비하여 탄체(10)의 비행 방향에 대하여 전방측에 배치되도록 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절개사면(22)의 외측 단부 및 내측 단부의 위치와 절개사면(22)이 경사지게 형성되어야 할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탄체(10)가 발사될 때 탄체(10)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받는 공기저항이, 즉 제1 몸체부(11)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받는 공기저항은 제1 몸체부(11)와 제2 몸체부(12)의 연결부에 이르면 탄피(30)에 내장된 화약(31)의 가스압력으로 탄체(10)가 추진되는 순간, 탄체(10) 자체의 무게 중심이 흐트러져 일정한 탄도가 아니라 회전하거나 탄도 이탈하는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
따라서, 절개사면(22)은 날개형 블레이드(21)와 함께 탄피(30)에 내장된 화약(31)의 폭발 추진력에 따른 일정한 탄도로 일정한 비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즉, 날개형 블레이드(21)를 기준으로 공기 저항을 균일하게 분산시킴과 동시에 전술한 절개사면(22)의 형상에 따라 공기의 흐름을 균일하게 유도 안내하면서 탄체(10)의 비행 탄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구경 로켓형 탄체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전방에 비하여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탄체(10); 및 탄체(10)의 후방측 외측면에 형성되어 탄체(10)의 발사시 압력을 일정하게 분산시킴과 동시에, 탄체(10)의 비행시 요동을 규제하는 균형 유닛(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강선이 없는 발사기에서 발사하여도 안정적인 탄도 형성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특수작전부대가 건물이나 항공기 차량내 진입시 강화유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진입하거나, 소방관이 건물 화재시 유리창을 파쇄하여 진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의 사용범위상 무기가 아닌 장비로 분류됨으로써, 관련법의 테두리 내에서 사용 범위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시 대응 및 판단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무기사용의 요건과 한계를 극복하여 제반 문제점 발생에 따른 사용자의 부담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좀더 능동적이며 적극적인 대응 활동이 가능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탄체(10)는, 전방측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제1 몸체부(11)와, 후방측을 형성하며 제1 몸체부(11)에 비하여 직경이 점차 좁아지게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몸체부(12)를 포함하며, 균형 유닛(20)은 제2 몸체부(12)의 외주면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로켓형 탄체(10)의 사거리와 안정적인 탄도 형성에 따른 비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탄체(10)는, 전방측 단부에 라운드지게 곡면을 형성하는 비살상충격편(13)을 더 포함함으로써, 인명 사고의 발생을 방지 또는 극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탄체(10)와 균형 유닛(20)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고무 또는 합성 고무와 같이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인명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균형 유닛(20)은, 탄체(10)의 후방측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형 블레이드(21)를 포함하며, 복수의 날개형 블레이드(21)는 탄체(10)의 후방측 외측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발사시 가스 압력을 탄체(10)의 이동 방향에 따라 후방측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키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탄도 형성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날개형 블레이드(21)는,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탄체(10)의 후방측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의 가장자리면은 탄체(10)의 전방측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외주면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탄피(30)에 본 발명에 따른 탄체(10)를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 및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날개형 블레이드(21)는,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탄체(10)의 후방측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블레이드 본체(21b)와, 블레이드 본체(21b)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전방측 단부 가장자리를 향하여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압력 분산면(21p)과, 압력 분산면(21p)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블레이드 본체(21b)의 돌출된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탄체(10)의 외주면까지 경사지게 형성되어 블레이드 본체(21b)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절개사면(22)을 포함함으로써, 발사시 공기 저항을 균일하게 분산시킴과 동시에 발사시 가스 압력을 탄체(10)의 이동 방향에 따라 후방측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키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탄도 형성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강선이 없는 발사기에서 발사하여도 안정적인 탄도 형성이 가능하며, 특수작전부대가 건물이나 항공기 차량내 진입시 강화유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진입하거나, 소방관이 건물 화재시 유리창을 파쇄하여 진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소구경 로켓형 탄체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탄체
11...제1 몸체부
12...제2 몸체부
13...비살상충격편
14...고정편
15...고정홈
20...균형 유닛
21...날개형 블레이드
21b...블레이드 본체
21p...압력 분산면
22...절개사면
30...탄피
31...화약
32...격발뇌관

Claims (7)

  1. 전방에 비하여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탄체; 및
    상기 탄체의 후방측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탄체의 발사시 압력을 일정하게 분산시킴과 동시에, 상기 탄체의 비행시 요동을 규제하는 균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 로켓형 탄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체는,
    상기 전방측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제1 몸체부와,
    상기 후방측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몸체부에 비하여 직경이 점차 좁아지게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균형 유닛은 상기 제2 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 로켓형 탄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체는,
    상기 전방측 단부에 라운드지게 곡면을 형성하는 비살상충격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 로켓형 탄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체와 상기 균형 유닛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 로켓형 탄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균형 유닛은,
    상기 탄체의 후방측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형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날개형 블레이드는 상기 탄체의 후방측 외측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 로켓형 탄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날개형 블레이드는,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탄체의 후방측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의 가장자리면은 상기 탄체의 전방측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외주면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 로켓형 탄체.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날개형 블레이드는,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탄체의 후방측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블레이드 본체와,
    상기 블레이드 본체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전방측 단부 가장자리를 향하여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압력 분산면과,
    상기 압력 분산면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블레이드 본체의 돌출된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탄체의 외주면까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 본체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절개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구경 로켓형 탄체.
KR1020170175471A 2017-12-19 2017-12-19 소구경 로켓형 탄체 KR201900740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471A KR20190074091A (ko) 2017-12-19 2017-12-19 소구경 로켓형 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471A KR20190074091A (ko) 2017-12-19 2017-12-19 소구경 로켓형 탄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091A true KR20190074091A (ko) 2019-06-27

Family

ID=67057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471A KR20190074091A (ko) 2017-12-19 2017-12-19 소구경 로켓형 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409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299B1 (ko) 2000-05-15 2007-04-20 루아그 암모텍 소구경 변형 발사체 및 그 생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299B1 (ko) 2000-05-15 2007-04-20 루아그 암모텍 소구경 변형 발사체 및 그 생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3477B1 (en) Enhanced performance insensitive penetrator warhead
ES2458620T3 (es) Munición no letal
CA2741343C (en) Irritation element with additional effect
RU2288761C2 (ru) Способ пожаротушения (вариан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20150000939A1 (en) Fire retardation missile
US8468946B2 (en) Low shrapnel door breaching projectile system
KR20070101675A (ko) 장거리 화재 진화용 소화로켓탄
US20120061109A1 (en) Silent responder fire fighting systems
KR20190074091A (ko) 소구경 로켓형 탄체
KR20070048843A (ko) 화재 진압용 소화탄
US20060225600A1 (en) Projectile dispersing apparatus
US5461982A (en) Missiles having means for marking targets destroyed by said missiles to prevent further expenditure of munitions to said target
KR20070101676A (ko) 중거리 화재 진화용 소화탄
US5247889A (en) Subcalibre cartridges for recoilless training weapons
US6955125B1 (en) Practice projectile with smoke signature
RU2314482C1 (ru) Противолодочная авиабомба
KR20070048845A (ko) 화재 진압용 소화탄
KR101885644B1 (ko) 다목적 유탄 발사체
RU2491500C1 (ru) Патрон охотничий для нарезного оружия
US7314006B1 (en) Nonlethal canister tank round
US7621220B1 (en) Wall penetrating, agent dispensing warhead
KR100872085B1 (ko) 화재 진압용 소화탄
KR102671665B1 (ko) 건물 유리창 파괴를 위한 드론용 발사체
US8783184B1 (en) Broadhead push-out bullet
KR20240027414A (ko) 소화용 포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