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987A -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987A
KR20190073987A KR1020170175297A KR20170175297A KR20190073987A KR 20190073987 A KR20190073987 A KR 20190073987A KR 1020170175297 A KR1020170175297 A KR 1020170175297A KR 20170175297 A KR20170175297 A KR 20170175297A KR 20190073987 A KR20190073987 A KR 20190073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support member
contact portion
contac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0775B1 (ko
Inventor
김주윤
김지호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닷
Priority to KR1020170175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775B1/ko
Publication of KR20190073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cameras, photodiodes or infrar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03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military purposes and tactic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일정 공간에서의 운동을 통하여 사용자의 이동을 시뮬레이팅하는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외주면에 구비하는 회전 접촉부, 상기 회전 접촉부의 상기 외주면으로 싸인 공간에 배치되고 제1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회전 지지 부재 및 상기 회전 접촉부의 상기 외주면으로 싸인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회전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Movement simulating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의 경제적 수준이 높아지고 있고, 이에 따라 사람들의 만족을 위한 다양한 활동 분야가 존재한다.
한편, 사람들은 다양한 활동을 위하여 야외 또는 특별한 공간으로 이동하여 다양한 액티비티를 경험하기도 한다.
그러나, 다양한 액티비티를 경험하려면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되고, 아울러 많은 체력적 부담으로 인하여 의지가 있더라도 경험을 실제로 하는 것이 쉬운 것은 아니다.
특히, 신체적으로 약한 부분이 있거나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경우 이러한 액티비티 체험은 거의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한편, 전자 기술 및 인터넷등의 발달로 다양한 게임들, 예를들면 전투 시뮬레이션 게임등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게임을 진행 시 실제로는 움직이지 못하고 캐릭터를 조종하는 것에 불과하여 사용자의 체감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직접 체감성을 향상하는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일정 공간에서의 운동을 통하여 사용자의 이동을 시뮬레이팅하는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외주면에 구비하는 회전 접촉부, 상기 회전 접촉부의 상기 외주면으로 싸인 공간에 배치되고 제1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회전 지지 부재 및 상기 회전 접촉부의 상기 외주면으로 싸인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회전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회전 지지 부재는 상기 회전 접촉부의 외주면으로 둘러싸인 내부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접촉면과 접하면서 움직일 때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접촉부는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회전의 개시와 종료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회전 지지 부재는 회전을 구동하는 엑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접촉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 접촉부의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 구동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회전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접촉부의 외부에 상기 회전 접촉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접촉부와 상기 베이스부간의 간격을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회전 접촉부의 접촉면에 접촉 시 사용자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관한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직접 체감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의 투과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변형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과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과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과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과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ⅩⅢ-ⅩⅢ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A 방향에서 본 지지부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의 투과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Ⅳ-Ⅳ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100)은 회전 접촉부(105), 제1 회전 지지 부재(110) 및 제2 회전 지지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접촉부(105)는 외주면에 접촉면(105A)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면(105A)은 회전 접촉부(105)의 외주면으로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촉면(105A)은 사용자(MUH)와 접하는 면으로서, 예를들면 사용자(MUH)가 서있을 경우 사용자(MUH)는 접촉면(105A)위에 서서 사용자(MUH)의 발이 접촉면(105A)과 접하고, 사용자가 무릅 꿇은 경우 무릎이 접촉면(105A)과 접할 수 있고, 사용자가 엎드릴 경우 사용자의 배나 가슴, 다리가 접촉면(105A)과 접할 수 있다.
사용자는 회전 접촉부(105)의 위에 위치하거나 움직일 수 있고, 이 때 접촉면(105A)과 접할 수 있다.
회전 접촉부(105)는 적어도 상면과 하면의 사이에 공간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가장자리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된 박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MUH)는 접촉면(105A)에서 운동할 수 있고, 다양한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MUH)는 보행 시뮬레이션을 진행할 수 있고, 예를들면 시뮬레이팅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고글(GG) 및 게임용총(GU)를 소지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고글(GG)은 VR기능을 갖는 부재일 수 있다.
제1 회전 지지 부재(110)는 회전 접촉부(10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박스와 유사한 회전 접촉부(10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회전 지지 부재(110)는 회전 접촉부(105)의 내부에 제1 방향(도 1, 2의 X축 방향)을 따라서 서로 간격을 갖고 이격되도록 나란히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회전 지지 부재(110)는, 적어도 제1 방향(도 1, 2의 X축 방향)을 따라서 회전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회전 지지 부재(110)는 회전 가능한 원기둥과 같은 롤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회전 지지 부재(120)는 회전 접촉부(10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박스와 유사한 회전 접촉부(10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회전 지지 부재(120)는 회전 접촉부(105)의 내부에 상기 제1 방향(도 1, 2의 X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 예를들면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 1, 2의 Y축 방향)을 따라서 서로 간격을 갖고 이격되도록 나란히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회전 지지 부재(120)는, 적어도 제2 방향(도 1, 2의 Y축 방향)을 따라서 회전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회전 지지 부재(120)는 회전 가능한 원기둥과 같은 롤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회전 접촉부(105)는 연속적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회전 접촉부(105)의 위에 서있는 동안 회전할 수 있고, 그 위에서 움직임, 예를들면 발을 움직여 걸어갈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회전 접촉부(105)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걷는 것 또는 움직임을 계속적으로 지속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회전 접촉부(105)는 X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와 반대 방향인 X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들어 회전 접촉부(105)가 X1방향으로 회전 시 사용자는 X2 방향으로 걷거나, 뛰는 등 움직임이 있어야 위치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회전 접촉부(105)는 X1, X2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Y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와 반대 방향인 Y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들어 회전 접촉부(105)가 Y1방향으로 회전 시 사용자는 Y2 방향으로 걷거나, 뛰는 등 움직임이 있어야 위치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회전 지지 부재(110)의 제1 방향(도 1,2의 X축 방향)을 따라서 회전 운동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 접촉부(105)가 X1 방향 또는 X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들면, 양쪽에 배치된 제1 회전 지지 부재(110)가 회전하면 제1 회전 지지 부재(110)와 회전 접촉부(105)가 접하면서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 접촉부(105)가 회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회전 지지 부재(110)는 회전 가능한 원기둥과 같은 롤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회전 지지 부재(110)는 무선으로 구동되는 엑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 경우 제1 회전 지지 부재(110)는 무선 전력 통신으로 전력을 인가받을 수도 있고, 무선 충전을 할 수도 있다.
제2 회전 지지 부재(120)의 제2 방향(도 1, 2의 Y축 방향)을 따라서 회전 운동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 접촉부(105)가 회전할 수 있다. 예를들면, 양쪽에 배치된 제2 회전 지지 부재(120)가 회전하면 제2 회전 지지 부재(120)와 회전 접촉부(105)가 접하면서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 접촉부(105)가 회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회전 지지 부재(120)는 회전 가능한 원기둥과 같은 롤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회전 지지 부재(120)는 무선으로 구동되는 엑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 경우 제2 회전 지지 부재(120)는 무선 전력 통신으로 전력을 인가받을 수도 있고, 무선 충전을 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100')은 외부 구동 부재(MBU)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회전 접촉부(105')의 일면, 예를들면 바닥면으로서 접촉면(105A')의 반대면에 위치하는 외부 구동 부재(MBU)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구동 부재(MBU)는 회전 접촉부(105')의 외부에 위치하여 회전 접촉부(105')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엑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엑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변형예이다.
또 다른 예로서 도 6을 참조하면 외부 구동 부재(MBU)가 회전 접촉부(105")의 일면(예를들면 접촉면(105A")) 및 이와 반대면(예를들면 접촉면(105A")의 반대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외부 구동 부재(MBU)는 회전 접촉부(105")의 일면(예를들면 접촉면(105A"))에 배치 시에 적어도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양측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반대면에도 외부 구동 부재(MBU)는 서로 마주보도록 양측 및 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갖는 외부 구동 부재(MBU)를 이용하여 회전 접촉부(105")를 안정적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 경우 외부 구동 부재(MBU)는 롤러와 같은 회전 부재를 포함하여 회전 접촉부(105")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외부 구동 부재(MBU)는 지속적으로 회전 접촉부(105")를 당기거나 미는 형태로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 5 및 도 6의 외부 구동 부재(MBU)가 포함될 경우 제1 회전 지지 부재(110', 110") 및 제2 회전 지지 부재(120', 12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체적으로 구동력을 갖지 않을 수 도 있다. 또한, 제1 회전 지지 부재(110', 110") 및 제2 회전 지지 부재(120', 120")가 전술한 것과 같이 엑추에이터등을 포함하여 자체적으로 구동력을 가져 외부 구동 부재(MBU)와 함께 회전 접촉부(105', 105")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은 사용자와 접하는 접촉부를 갖는 회전 접촉부를 포함하고, 사용자는 접촉부와 접하면서 회전 접촉부의 회전 운동과 함께 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X1 방향 및 이와 반대의 X2 방향, 그리고 이와 교차(예를들면 직교)하는 Y1 방향 및 이와 반대의 Y2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은 전술한 것과 같이 제1 회전 지지 부재 및 제2 회전 지지 부재에 의한 것일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와 별도 또는 이와 함께 회전 접촉부의 외부에 배치된 외부 구동 부재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은, 사용자가 걸음걸이, 또는 도보로서 일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할 때, 예를들면 전술한 X1 방향으로 움직이고자 발을 움직일 때, 이러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 구체적 예로서 마찰력을 감지하여 회전 접촉부를 X2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X1 방향으로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실제 지면에서의 움직임을 위하여 필요한 힘보다 훨씬 적은 힘으로 X1 방향으로 이동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회전 접촉부에서만 움직이는 것을 통하여 다양한 보행 시뮬레이션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시뮬레이션 게임, 서바이벌 게임, 구체적인 예로서 VR을 이용한 전투 시뮬레이션 게임등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회전 접촉부의 접촉면상에서 접하면서 운동하는 것만으로도 넓은 공간, 특히 무한대의 넓은 공간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게임을 진행하는 것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서버(미도시)로부터 회전 접촉부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회전의 개시와 종료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전달받을 수 있고, 이는 예를들면 시뮬레이션 게임에서의 게임이 진행되는 스테이지별 배경의 정보와 연동되어 있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회전 지지 부재 및 제2 회전 지지 부재는 사용자의 움직임, 예를들면 회전 접촉부의 접촉면과의 마찰력을 통한 감지를 통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그리고 그 속도 또는 정도를 감지하도록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과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Ⅷ-Ⅷ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200)은 회전 접촉부(205), 제1 회전 지지 부재(210), 제2 회전 지지 부재(220) 및 접촉 지지 부재(29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접촉부(205)는 외주면에 접촉면(205A)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면(205A)은 회전 접촉부(205)의 외주면으로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촉면(205A)은 사용자와 접하는 면으로서, 예를들면 사용자가 서있을 경우 사용자는 접촉면(205A)위에 서서 사용자의 발이 접촉면(205A)과 접하고, 사용자가 무릅 꿇은 경우 무릎이 접촉면(205A)과 접할 수 있고, 사용자가 엎드릴 경우 사용자의 배나 가슴, 다리가 접촉면(205A)과 접할 수 있다.
사용자는 회전 접촉부(205)의 위에 위치하거나 움직일 수 있고, 이 때 접촉면(205A)과 접할 수 있다.
회전 접촉부(205)는 적어도 상면과 하면의 사이에 공간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가장자리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된 박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회전 지지 부재(210)는 회전 접촉부(20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박스와 유사한 회전 접촉부(20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회전 지지 부재(210)는 회전 접촉부(205)의 내부에 제1 방향(도 7의 X축 방향)을 따라서 서로 간격을 갖고 이격되도록 나란히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회전 지지 부재(210)는, 적어도 제1 방향(도 7의 X축 방향)을 따라서 회전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회전 지지 부재(210)는 회전 가능한 원기둥과 같은 롤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회전 지지 부재(220)는 회전 접촉부(20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박스와 유사한 회전 접촉부(20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회전 지지 부재(220)는 회전 접촉부(205)의 내부에 상기 제1 방향(도 7의 X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 예를들면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 7의 Y축 방향)을 따라서 서로 간격을 갖고 이격되도록 나란히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회전 지지 부재(220)는, 적어도 제1 방향(도 7의 Y축 방향)을 따라서 회전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회전 지지 부재(220)는 회전 가능한 원기둥과 같은 롤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회전 접촉부(205)는 연속적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회전 접촉부(205)의 위에 서있는 동안 회전할 수 있고, 그 위에서 움직임, 예를들면 발을 움직여 걸어갈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회전 접촉부(205)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걷는 것 또는 움직임을 계속적으로 지속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회전 접촉부(205)는 X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와 반대 방향인 X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들어 회전 접촉부(205)가 X1방향으로 회전 시 사용자는 X2 방향으로 걷거나, 뛰는 등 움직임이 있어야 위치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회전 접촉부(205)는 X1, X2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Y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와 반대 방향인 Y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들어 회전 접촉부(205)가 Y1방향으로 회전 시 사용자는 Y2 방향으로 걷거나, 뛰는 등 움직임이 있어야 위치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회전 지지 부재(210)의 제1 방향(도 7의 X축 방향)을 따라서 회전 운동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 접촉부(205)가 X1 방향 또는 X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들면, 양쪽에 배치된 제1 회전 지지 부재(210)가 회전하면 제1 회전 지지 부재(210)와 회전 접촉부(205)가 접하면서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 접촉부(205)가 회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회전 지지 부재(210)는 회전 가능한 원기둥과 같은 롤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회전 지지 부재(210)는 무선으로 구동되는 엑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 경우 제1 회전 지지 부재(210)는 무선 전력 통신으로 전력을 인가받을 수도 있고, 무선 충전을 할 수도 있다.
제2 회전 지지 부재(220)의 제2 방향(도 7의 Y축 방향)을 따라서 회전 운동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 접촉부(205)가 회전할 수 있다. 예를들면, 양쪽에 배치된 제2 회전 지지 부재(220)가 회전하면 제2 회전 지지 부재(220)와 회전 접촉부(205)가 접하면서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 접촉부(205)가 회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회전 지지 부재(220)는 회전 가능한 원기둥과 같은 롤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회전 지지 부재(220)는 무선으로 구동되는 엑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 경우 제2 회전 지지 부재(220)는 무선 전력 통신으로 전력을 인가받을 수도 있고, 무선 충전을 할 수도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는 외부 구동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도 5와 같이 회전 접촉부(205)의 일면, 예를들면 바닥면으로서 접촉면(205A)의 반대면에 위치하는 외부 구동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구동 부재(미도시)는 회전 접촉부(205)의 외부에 위치하여 회전 접촉부(205)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엑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엑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전술한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외부 구동 부재(미도시)가 회전 접촉부(205)의 일면 및 이와 반대면에, 각각 배치되고, 일면에 적어도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 배치되고, 이와 반대면에도 서로 마주보도록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갖는 외부 구동 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회전 접촉부(205)를 안정적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구동 부재(미도시)가 포함될 경우 제1 회전 지지 부재(210) 및 제2 회전 지지 부재(22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체적으로 구동력을 갖지 않을 수 도 있다. 또한, 제1 회전 지지 부재(210) 및 제2 회전 지지 부재(220)가 전술한 것과 같이 엑추에이터등을 포함하여 자체적으로 구동력을 가져 외부 구동 부재(미도시)와 함께 회전 접촉부(205)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접촉 지지 부재(290)는 회전 접촉부(20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박스와 유사한 회전 접촉부(20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접촉 지지 부재(290)는 접촉면(205A)과 중첩되는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회전 접촉부(205)의 접촉면(205A)과 접촉 시 회전 접촉부(205)의 내부 공간을 유지하면서 회전 접촉부(205)가 회전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접촉면(205A)과 접촉 시 사용자의 압력으로 인하여 회전 접촉부(205)가 비정상적으로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접촉 지지 부재(29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양쪽에 배치된 제1 회전 지지 부재(2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양쪽에 배치된 제2 회전 지지 부재(2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접촉 지지 부재(290)는 제1 회전 지지 부재(210) 및 제2 회전 지지 부재(220)로 둘러 싸인 공간에 회전 접촉부(20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접촉 지지 부재(290)는 회전 접촉부(205)가 회전하는 동안 회전하거나 이동하지 않을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회전 접촉부(205)가 위치를 유지하고, 이와 함께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하면서 걸음 또는 도보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은 사용자와 접하는 접촉부를 갖는 회전 접촉부를 포함하고, 사용자는 접촉부와 접하면서 회전 접촉부의 회전 운동과 함께 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X1 방향 및 이와 반대의 X2 방향, 그리고 이와 교차(예를들면 직교)하는 Y1 방향 및 이와 반대의 Y2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은 전술한 것과 같이 제1 회전 지지 부재 및 제2 회전 지지 부재에 의한 것일 수 있고, 이와 별도 또는 이와 함께 회전 접촉부의 외부에 배치된 외부 구동 부재(미도시)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은, 사용자가 걸음걸이, 또는 도보로서 일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할 때, 예를들면 전술한 X1 방향으로 움직이고자 발을 움직일 때, 이러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 구체적 예로서 마찰력을 감지하여 회전 접촉부(205)를 X2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X1 방향으로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실제 지면에서의 움직임을 위하여 필요한 힘보다 훨씬 적은 힘으로 X1 방향으로 이동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회전 접촉부(205)에서만 움직이는 것을 통하여 다양한 보행 시뮬레이션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시뮬레이션 게임, 서바이벌 게임, 구체적인 예로서 VR을 이용한 전투 시뮬레이션 게임등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회전 접촉부(205)의 접촉면(205A)상에서 접하면서 운동하는 것만으로도 넓은 공간, 특히 무한대의 넓은 공간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게임을 진행하는 것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서버(미도시)로부터 회전 접촉부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회전의 개시와 종료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전달받을 수 있고, 이는 예를들면 시뮬레이션 게임에서의 게임이 진행되는 스테이지별 배경의 정보와 연동되어 있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회전 지지 부재(210) 및 제2 회전 지지 부재(220)는 사용자의 움직임, 예를들면 회전 접촉부(205)의 접촉면(205A)과의 마찰력을 통한 감지를 통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그리고 그 속도 또는 정도를 감지하도록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200')은 회전 접촉부(205'), 제1 회전 지지 부재(210'), 제2 회전 지지 부재(220'), 접촉 지지 부재(290') 및 접촉 지지 회전 부재(29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200')은 도 7 및 도 8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200)과 유사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200')은 접촉 지지 회전 부재(295')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지지 회전 부재(295')는 접촉 지지 부재(290')상의 접촉면(205A')를 향하는 면에 형성된 수용부(291')에 배치되고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들면 접촉 지지 회전 부재(295')는 구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접촉 지지 회전 부재(295')는 회전 접촉부(205')의 회전을 통한 운동 시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특히 사용자가 회전 접촉부(205')의 접촉면(205A')상에 있을 때에 회전 접촉부(205')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과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200")은 회전 접촉부(205"), 제1 회전 지지 부재(210"), 제2 회전 지지 부재(220"), 접촉 지지 부재(290") 및 제3 회전 지지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200")은 도 7 및 도 8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200)과 유사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200")은 제3 회전 지지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회전 지지 부재(230")는 회전 접촉부(20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회전 지지 부재(230")는 제1 회전 지지 부재(210")와 제2 회전 지지 부재(220")의 사이에 배치되고, 접촉 지지 부재(290")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회전 지지 부재(230")는 제1 회전 지지 부재(210")의 일단부의 연장선과 제2 회전 지지 부재(220")의 일단부의 연장선이 중첩되는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회전 지지 부재(230")는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들면 제3 회전 지지 부재(230")는 구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3 회전 지지 부재(230")는 회전 접촉부(205")의 X1 및 이와 반대의 X2 회전 방향 시 회전 접촉부(205")의 회전 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이와 아울러 회전 접촉부(205")의 Y1 및 이와 반대의 Y2 회전 방향 시 회전 접촉부(205")의 회전 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과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300)은 회전 접촉부(305), 제1 회전 지지 부재(310), 제2 회전 지지 부재(320) 및 접촉 지지 부재(3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300)은 도 7 및 도 8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200)과 유사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300)은 회전 접촉부(305)의 평면상의 형태가 곡면을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원형일 수 있고, 특히 구체적 예로서 접촉면(305A)의 평면 형태가 원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접촉면(305A)에서 움직임의 방향을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어서 이동의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접촉부(305)의 X1 방향 및 이와 반대의 방향인 X2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 Y1 방향 및 이와 반대의 Y2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과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ⅩⅢ-ⅩⅢ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400)은 회전 접촉부(405), 제1 회전 지지 부재(410), 제2 회전 지지 부재(420), 제3 회전 지지 부재(430), 제4 회전 지지 부재(440) 및 접촉 지지 부재(49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접촉부(405)는 외주면에 접촉면(405A)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면(405A)은 회전 접촉부(405)의 외주면으로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촉면(405A)은 사용자와 접하는 면으로서, 예를들면 사용자가 서있을 경우 사용자는 접촉면(405A)위에 서서 사용자의 발이 접촉면(405A)과 접하고, 사용자가 무릅 꿇은 경우 무릎이 접촉면(405A)과 접할 수 있고, 사용자가 엎드릴 경우 사용자의 배나 가슴, 다리가 접촉면(405A)과 접할 수 있다.
사용자는 회전 접촉부(405)의 위에 위치하거나 움직일 수 있고, 이 때 접촉면(405A)과 접할 수 있다.
회전 접촉부(405)는 적어도 상면과 하면의 사이에 공간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가장자리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된 박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회전 접촉부(405)는 원형과 유사한 형태의 평면을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접촉면(405A)은 원형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회전 지지 부재(410)는 회전 접촉부(40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박스와 유사한 회전 접촉부(40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회전 지지 부재(410)는 회전 접촉부(405)의 내부에 제1 방향(도 12의 X축 방향)을 따라서 서로 간격을 갖고 이격되도록 나란히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회전 지지 부재(410)는, 적어도 복수의 방향을 따라서 회전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회전 지지 부재(410)는 도 12에 도시한 적어도 4개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A1-A2축을 중심으로 회전, B1-B2축을 중심으로 회전, C1-C2축을 중심으로 회전 및 D1-D2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회전 지지 부재(410)는 복수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4개의 방향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수도 있다.
제2 회전 지지 부재(420)는 회전 접촉부(40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박스와 유사한 회전 접촉부(40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회전 지지 부재(420)는 회전 접촉부(405)의 내부에 상기 제1 방향(도 12의 X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 예를들면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 12의 Y축 방향)을 따라서 서로 간격을 갖고 이격되도록 나란히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회전 지지 부재(420)는, 적어도 복수의 방향을 따라서 회전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회전 지지 부재(420)는 도 12에 도시한 제1 회전 지지 부재(410)와 같이 적어도 4개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A1-A2축을 중심으로 회전, B1-B2축을 중심으로 회전, C1-C2축을 중심으로 회전 및 D1-D2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회전 지지 부재(420)는 복수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회전 지지 부재(420)는 상기 4개의 방향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수도 있다.
제3 회전 지지 부재(430)는 회전 접촉부(40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박스와 유사한 회전 접촉부(40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회전 지지 부재(430)는 회전 접촉부(405)의 내부에 상기 제1 방향,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서 서로 간격을 갖고 이격되도록 나란히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 회전 지지 부재(430)는 제1 회전 지지 부재(410)와 제2 회전 지지 부재(4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회전 지지 부재(430)는, 적어도 복수의 방향을 따라서 회전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회전 지지 부재(430)는 도 12에 도시한 제1 회전 지지 부재(410)와 같이 적어도 4개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A1-A2축을 중심으로 회전, B1-B2축을 중심으로 회전, C1-C2축을 중심으로 회전 및 D1-D2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회전 지지 부재(430)는 복수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3 회전 지지 부재(430)는 상기 4개의 방향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수도 있다.
제4 회전 지지 부재(440)는 회전 접촉부(40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박스와 유사한 회전 접촉부(40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4 회전 지지 부재(440)는 회전 접촉부(405)의 내부에 상기 제1 방향,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4 방향을 따라서 서로 간격을 갖고 이격되도록 나란히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방향은 상기 제3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구체적인 예로서 제3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4 회전 지지 부재(440)는 제1 회전 지지 부재(410)와 제2 회전 지지 부재(4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회전 지지 부재(440)는, 적어도 복수의 방향을 따라서 회전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4 회전 지지 부재(440)는 도 12에 도시한 제1 회전 지지 부재(410)와 같이 적어도 4개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A1-A2축을 중심으로 회전, B1-B2축을 중심으로 회전, C1-C2축을 중심으로 회전 및 D1-D2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4 회전 지지 부재(440)는 복수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4 회전 지지 부재(440)는 상기 4개의 방향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수도 있다.
회전 접촉부(405)는 연속적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회전 접촉부(405)의 위에 서있는 동안 회전할 수 있고, 그 위에서 움직임, 예를들면 발을 움직여 걸어갈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회전 접촉부(405)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걷는 것 또는 움직임을 계속적으로 지속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12를 참조하면 회전 접촉부(405)는 X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와 반대 방향인 X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들어 회전 접촉부(405)가 X1방향으로 회전 시 사용자는 X2 방향으로 걷거나, 뛰는 등 움직임이 있어야 위치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회전 접촉부(405)는 X1, X2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Y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와 반대 방향인 Y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들어 회전 접촉부(405)가 Y1방향으로 회전 시 사용자는 Y2 방향으로 걷거나, 뛰는 등 움직임이 있어야 위치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회전 접촉부(405)는 X1, Y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K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와 반대 방향인 K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접촉부(405)는 X1, Y1 및 K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L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와 반대 방향인 L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회전 지지 부재(410)가 도 12의 B1-B2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 접촉부(405)가 X1 방향 또는 X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들면, 양쪽에 배치된 제1 회전 지지 부재(410)가 회전하면 제1 회전 지지 부재(410)와 회전 접촉부(405)가 접하면서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 접촉부(405)가 회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회전 지지 부재(410)는 회전 가능한 원기둥과 같은 롤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제2 회전 지지 부재(420), 제3 회전 지지 부재(430) 및 제4 회전 지지 부재(440)가 도 12의 B1-B2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 접촉부(405)가 X1 방향 또는 X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회전 지지 부재(410)는 무선으로 구동되는 엑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 경우 제1 회전 지지 부재(410)는 무선 전력 통신으로 전력을 인가받을 수도 있고, 무선 충전을 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회전 지지 부재(420), 제3 회전 지지 부재(430) 및 제4 회전 지지 부재(440)는 무선으로 구동되는 엑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 경우 제2 회전 지지 부재(420), 제3 회전 지지 부재(430) 및 제4 회전 지지 부재(440)는 무선 전력 통신으로 전력을 인가받을 수도 있고, 무선 충전을 할 수도 있다.
제1 회전 지지 부재(410)가 도 12의 A1-A2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 접촉부(405)가 Y1 방향 또는 Y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들면, 양쪽에 배치된 제1 회전 지지 부재(410)가 회전하면 제1 회전 지지 부재(410)와 회전 접촉부(405)가 접하면서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 접촉부(405)가 회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회전 지지 부재(410)는 회전 가능한 원기둥과 같은 롤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제2 회전 지지 부재(420), 제3 회전 지지 부재(430) 및 제4 회전 지지 부재(440)가 도 12의 A1-A2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 접촉부(405)가 Y1 방향 또는 Y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회전 지지 부재(410)가 도 12의 D1-D2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 접촉부(405)가 K1 방향 또는 K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들면, 양쪽에 배치된 제1 회전 지지 부재(410)가 회전하면 제1 회전 지지 부재(410)와 회전 접촉부(405)가 접하면서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 접촉부(405)가 회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회전 지지 부재(410)는 회전 가능한 원기둥과 같은 롤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제2 회전 지지 부재(420), 제3 회전 지지 부재(430) 및 제4 회전 지지 부재(440)가 도 12의 D1-D2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 접촉부(405)가 K1 방향 또는 K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회전 지지 부재(410)가 도 12의 C1-C2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 접촉부(405)가 L1 방향 또는 L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들면, 양쪽에 배치된 제1 회전 지지 부재(410)가 회전하면 제1 회전 지지 부재(410)와 회전 접촉부(405)가 접하면서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 접촉부(405)가 회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회전 지지 부재(410)는 회전 가능한 원기둥과 같은 롤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제2 회전 지지 부재(420), 제3 회전 지지 부재(430) 및 제4 회전 지지 부재(440)가 도 12의 C1-C2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 접촉부(405)가 L1 방향 또는 L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는 외부 구동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도 5 및 도 6과 같이 회전 접촉부(405)의 외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 구동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지지 부재(490)는 회전 접촉부(40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박스와 유사한 회전 접촉부(40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접촉 지지 부재(490)는 접촉면(405A)과 중첩되는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회전 접촉부(405)의 접촉면(405A)과 접촉 시 회전 접촉부(405)의 내부 공간을 유지하면서 회전 접촉부(405)가 회전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접촉면(405A)과 접촉 시 사용자의 압력으로 인하여 회전 접촉부(405)가 비정상적으로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접촉 지지 부재(49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양쪽에 배치된 제1 회전 지지 부재(4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양쪽에 배치된 제2 회전 지지 부재(4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양쪽에 배치된 제3 회전 지지 부재(4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양쪽에 배치된 제4 회전 지지 부재(4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접촉 지지 부재(490)는 제1 회전 지지 부재(410), 제2 회전 지지 부재(420), 제3 회전 지지 부재(430) 및 제4 회전 지지 부재(440)로 둘러 싸인 공간에 회전 접촉부(40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접촉 지지 부재(490)는 회전 접촉부(405)가 회전하는 동안 회전하거나 이동하지 않을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회전 접촉부(405)가 위치를 유지하고, 이와 함께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하면서 걸음 또는 도보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은 사용자와 접하는 접촉부를 갖는 회전 접촉부를 포함하고, 사용자는 접촉부와 접하면서 회전 접촉부의 회전 운동과 함께 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X1 방향 및 이와 반대의 X2 방향, 그리고 이와 교차(예를들면 직교)하는 Y1 방향 및 이와 반대의 Y2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고, 또한, 이와 교차하는 K1 방향 및 이와 반대의 K2 방향, 그리고 이와 교차(예를들면 직교)하는 L1 방향 및 이와 반대의 L2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의 방향들 이외에도 다양한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은 전술한 것과 같이 제1 회전 지지 부재, 제2 회전 지지 부재, 제3 회전 지지 부재 및 제3 회전 지지 부재에 의한 것일 수 있고, 이와 별도 또는 이와 함께 회전 접촉부의 외부에 배치된 외부 구동 부재(미도시)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은, 사용자가 걸음걸이, 또는 도보로서 일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할 때, 예를들면 전술한 X1 방향으로 움직이고자 발을 움직일 때, 이러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 구체적 예로서 마찰력을 감지하여 회전 접촉부(405)를 X2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X1 방향으로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실제 지면에서의 움직임을 위하여 필요한 힘보다 훨씬 적은 힘으로 X1 방향으로 이동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회전 접촉부(405)에서만 움직이는 것을 통하여 다양한 보행 시뮬레이션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시뮬레이션 게임, 서바이벌 게임, 구체적인 예로서 VR을 이용한 전투 시뮬레이션 게임등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회전 접촉부(405)의 접촉면(405A)상에서 접하면서 운동하는 것만으로도 넓은 공간, 특히 무한대의 넓은 공간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게임을 진행하는 것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서버(미도시)로부터 회전 접촉부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회전의 개시와 종료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전달받을 수 있고, 이는 예를들면 시뮬레이션 게임에서의 게임이 진행되는 스테이지별 배경의 정보와 연동되어 있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회전 지지 부재(410), 제2 회전 지지 부재(420), 제3 회전 지지 부재(430), 제4 회전 지지 부재(440)는 사용자의 움직임, 예를들면 회전 접촉부(405)의 접촉면(405A)과의 마찰력을 통한 감지를 통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그리고 그 속도 또는 정도를 감지하도록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400')은 회전 접촉부(405'), 제1 회전 지지 부재(410'), 제2 회전 지지 부재(420'), 제3 회전 지지 부재(430'), 제4 회전 지지 부재(440'), 제5 회전 지지 부재(450'), 제6 회전 지지 부재(460') 및 접촉 지지 부재(4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400')은 전술한 도 13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400)과 유사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400')은 제1 회전 지지 부재(410')와 제2 회전 지지 부재(420')의 사이에 제3 회전 지지 부재(430'), 제4 회전 지지 부재(440'), 제5 회전 지지 부재(450') 및 제6 회전 지지 부재(460')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회전 지지 부재(430'), 제4 회전 지지 부재(440'), 제5 회전 지지 부재(450') 및 제6 회전 지지 부재(460')는 각각 서로 이격되도록 나란히 배치된 2개를 구비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제3 회전 지지 부재(430'), 제4 회전 지지 부재(440'), 제5 회전 지지 부재(450') 및 제6 회전 지지 부재(460')의 각각의 2개의 배열 방향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제1 회전 지지 부재(410'), 제2 회전 지지 부재(420'), 제3 회전 지지 부재(430'), 제4 회전 지지 부재(440'), 제5 회전 지지 부재(450'), 제6 회전 지지 부재(460')를 통하여 회전 접촉부(405')의 정밀한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회전 운동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회전 접촉부(405')의 접촉면(405A')의 위에서 운동 시 효과적으로 회전 접촉부(405')를 운동하게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500)은 접촉면(505A)를 갖는 회전 접촉부(505), 제1 회전 지지 부재(510), 제2 회전 지지 부재(520) 및 접촉 지지 부재(590), 의자부(58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면(505A)를 갖는 회전 접촉부(505), 제1 회전 지지 부재(510), 제2 회전 지지 부재(520) 및 접촉 지지 부재(590)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고,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 실시예들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의자부(580)는 사용자(MUH)가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MUH)는 앉은 채로 회전 접촉부(505)의 접촉면(505A)에 발을 올려놓고 발을 움직이면서 이동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MUH)가 앉은 채로도 다양한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MUH)는 보행 시뮬레이션을 진행할 수 있고, 예를들면 시뮬레이팅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고글(GG) 및 게임용총(GU)를 소지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고글(GG)은 VR기능을 갖는 부재일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600)은 접촉면(605A)를 갖는 회전 접촉부(605), 제1 회전 지지 부재(610), 제2 회전 지지 부재(620), 접촉 지지 부재(690), 의자부(680), 하우징(FR) 및 중간 부재(BF)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면(605A)를 갖는 회전 접촉부(605), 제1 회전 지지 부재(610), 제2 회전 지지 부재(620) 및 접촉 지지 부재(690)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고,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 실시예들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의자부(680)는 사용자(MUH)가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MUH)는 앉은 채로 회전 접촉부(505)의 접촉면(505A)에 발을 올려놓고 발을 움직이면서 이동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MUH)가 앉은 채로도 다양한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MUH)는 보행 시뮬레이션을 진행할 수 있고, 예를들면 시뮬레이팅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고글(GG) 및 게임용총(GU)를 소지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고글(GG)은 VR기능을 갖는 부재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 의자부(680)는 굴곡된 형태를 갖고, 이 중 본체는 지면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갖는데, 일 영역에 연장부(685)가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685)를 통하여 의자부(680)의 높이는 변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키에 따라 의자부(68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하우징(FR)은 회전 접촉부(605)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접촉면(605A)을 가리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우징(FR)은 회전 접촉부(605)의 측면에 대응되고 구체적 예로서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FR)은 회전 접촉부(605)의 측면을 보호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의자부(680)와 연결될 경우 의자부(680) 및 하우징(FR)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의자부(680)는 하우징(FR)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간 부재(BF)는 회전 접촉부(605)와 하우징(FR)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중간 부재(BF)를 통하여 하우징(FR)과 회전 접촉부(605)의 직접적 접촉을 피하면서 회전 접촉부(605)의 원활한 회전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중간 부재(BF)는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기둥 형태의 롤러 또는 베어링등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예로 구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700)은 접촉면(705A)를 갖는 회전 접촉부(705), 제1 회전 지지 부재(710), 제2 회전 지지 부재(720), 접촉 지지 부재(790), 하우징(FR), 중간 부재(BF), 베이스부(701) 및 연결부(702)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면(705A)를 갖는 회전 접촉부(705), 제1 회전 지지 부재(710), 제2 회전 지지 부재(720) 및 접촉 지지 부재(790)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고,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 실시예들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의자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하우징(FR)은 회전 접촉부(705)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접촉면(705A)을 가리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우징(FR)은 회전 접촉부(705)의 측면에 대응되고 구체적 예로서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간 부재(BF)는 회전 접촉부(705)와 하우징(FR)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중간 부재(BF)를 통하여 하우징(FR)과 회전 접촉부(605)의 직접적 접촉을 피하면서 회전 접촉부(705)의 원활한 회전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중간 부재(BF)는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롤러 또는 베어링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701)는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700)을 배치 공간에 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베이스부(701)는 지면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강성이 있는 재질로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회전 접촉부(705)의 회전 시 접촉면(705A)과 접하면서 운동을 할 때 실제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700)의 위치가 변동되거나 비정상적으로 흔들리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사용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연결부(702)는 베이스부(701)와 하우징(FR)의 사이에 배치되어 하우징(FR)과 베이스부(701)를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회전 접촉부(705)의 운동 시 회전 접촉부(705)와 베이스부(701)의 접촉을 피할 수 있다.
연결부(702)는 길이가 늘어나도록 구동 부재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베이스부(70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수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702)를 통하여 회전 접촉부(705)와 베이스부(701)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고, 특히 사용자가 접촉면(705A)에 접하면서 운동 시에 회전 접촉부(705)와 베이스부(701)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보다 사용자가 실제적인 환경에서의 시뮬레이팅 및 다양한 액티비티 유사 경험을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702)는 복수의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도 1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일 영역에서의 구동의 크기(H1)와 이와 다른 영역에서의 구동의 크기(H2)가 상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회전 접촉부(705)와 베이스부(701)간의 간격을 조정할 뿐 아니라 회전 접촉부(705)가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가 접촉면(705A)에 접하면서 운동 시에 사용자는 오르막 또는 내리막을 이동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사용자가 실제적인 환경에서의 시뮬레이팅 및 다양한 액티비티 유사 경험을 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700)은 접촉면(705A)를 갖는 회전 접촉부(705), 제1 회전 지지 부재(710), 제2 회전 지지 부재(720) 및 접촉 지지 부재(790), 지지부(79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면(705A)를 갖는 회전 접촉부(705), 제1 회전 지지 부재(710), 제2 회전 지지 부재(720) 및 접촉 지지 부재(790)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고,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 실시예들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지지부(790)는 사용자(MUH)가 움직이면서 자세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MUH)는 선 채로 회전 접촉부(705)의 접촉면(705A)에 발을 올려놓고 발을 움직이면서 지지부(790)에 기대거나 지지부(790)에 손을 대거나 손으로 잡은 채 이동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지지부(790)는 본체부(791) 및 연결부(792)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는 도 16에 도시한 것과 같은 하우징(FR) 및 중간 부재(BF)를 포함할 수 있고, 본체부(791)는 하우징(FR)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792)는 본체부(791)로부터 연장된 형태로서, 사용자(MUH)가 연결부(792)를 파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MUH)는 본체부(791)를 잡거나 본체부(791)에 기댈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A 방향에서 본 지지부의 개략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800)은 접촉면(805A)를 갖는 회전 접촉부(805), 제1 회전 지지 부재(810), 제2 회전 지지 부재(820) 및 접촉 지지 부재(890), 지지부(89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면(805A)를 갖는 회전 접촉부(805), 제1 회전 지지 부재(810), 제2 회전 지지 부재(820) 및 접촉 지지 부재(890)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고,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 실시예들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지지부(890)는 사용자(MUH)가 움직이면서 자세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MUH)는 선 채로 회전 접촉부(805)의 접촉면(805A)에 발을 올려놓고 발을 움직이면서 지지부(890)에 기대거나 지지부(890)에 손을 대거나 손으로 잡은 채 이동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지지부(890)는 본체부(891) 및 연결부(892)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는 도 16에 도시한 것과 같은 하우징(FR) 및 중간 부재(BF)를 포함할 수 있고, 본체부(891)는 하우징(FR)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891)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하우징(FR)에 연결될 수 있고, 예를들면 도 20에 도시한 것과 같이 3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연결부(892)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사용자(MUH)의 지지시에도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개수를 구비할 수 있고, 예를들면 1개, 2 개 또는 4개 이상을 구비할 수도 있다.
연결부(892)는 본체부(891)로부터 연장된 형태로서, 사용자(MUH)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부(892)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형태, 예를들면 링과 유사한 형태를 갖고, 사용자(MUH)는 연결부(892)의 내부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MUH)는 연결부(892)의 내부에 공간에서 선 채로 회전 접촉부(805)의 접촉면(805A)에 발을 올려놓고 발을 움직이면서 이동하는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사용자는 연결부(892)를 손으로 직접 잡지 않더라도 몸을 필요할 때마다 연결부(892)에 지지할 수 있어 연결부(892)의 내부의 공간에서 자유로운 움직임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MUH)는 다양한 시뮬레이션, 구체적인 예로서 보행 시뮬레이션을 진행할 수 있고, 시뮬레이팅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고글(GG) 및 게임용총(GU)를 소지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고글(GG)은 VR기능을 갖는 부재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100', 100", 200, 200', 200", 300, 400, 400', 500, 600, 700: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
105, 105', 105", 205, 205', 205", 305, 405, 405', 505, 605, 705: 회전 접촉부
110, 110', 110", 210, 210', 210", 310, 410, 410', 510, 610, 710: 제1 회전 지지 부재
120, 120', 120", 220, 220', 220", 320, 420, 420', 520, 620, 720: 제2 회전 지지 부재
290, 290', 290", 390, 490, 490', 590, 690, 790: 접촉 지지 부재

Claims (10)

  1. 사용자의 일정 공간에서의 운동을 통하여 사용자의 이동을 시뮬레이팅하는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외주면에 구비하는 회전 접촉부;
    상기 회전 접촉부의 상기 외주면으로 싸인 공간에 배치되고 제1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회전 지지 부재; 및
    상기 회전 접촉부의 상기 외주면으로 싸인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회전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회전 지지 부재는 상기 회전 접촉부의 외주면으로 둘러싸인 내부의 공간에 배치되는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접촉면과 접하면서 움직일 때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형성된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접촉부는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회전의 개시와 종료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부터 전달받는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회전 지지 부재는 회전을 구동하는 엑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접촉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 접촉부의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 구동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회전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접촉부의 외부에 상기 회전 접촉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접촉부와 상기 베이스부간의 간격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회전 접촉부의 접촉면에 접촉 시 사용자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
KR1020170175297A 2017-12-19 2017-12-19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 KR102130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297A KR102130775B1 (ko) 2017-12-19 2017-12-19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297A KR102130775B1 (ko) 2017-12-19 2017-12-19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974A Division KR20200084830A (ko) 2020-06-29 2020-06-29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987A true KR20190073987A (ko) 2019-06-27
KR102130775B1 KR102130775B1 (ko) 2020-07-08

Family

ID=67057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297A KR102130775B1 (ko) 2017-12-19 2017-12-19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7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3190A (ko) * 2019-08-22 2021-03-04 소호성 전방향 트레드밀
US11954246B2 (en) 2022-07-06 2024-04-09 Walter L. Terry Smart individual motion capture and spatial translation (SIMCAST)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6829A (ja) * 1996-08-27 2000-12-19 イー イー カーメイン,デイヴィッド 全方向性トレッドミル
US20040048722A1 (en) * 2001-06-01 2004-03-11 Epstein Neil B. Omnidirectional moving surface
US20070270285A1 (en) * 2006-05-22 2007-11-22 Reel Efx, Inc. Omni-directional treadmill
KR20170077496A (ko) * 2015-12-28 2017-07-06 김근우 트레드밀 및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운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6829A (ja) * 1996-08-27 2000-12-19 イー イー カーメイン,デイヴィッド 全方向性トレッドミル
US20040048722A1 (en) * 2001-06-01 2004-03-11 Epstein Neil B. Omnidirectional moving surface
US6743154B2 (en) * 2001-06-01 2004-06-01 Neil B. Epstein Omnidirectional moving surface
US20070270285A1 (en) * 2006-05-22 2007-11-22 Reel Efx, Inc. Omni-directional treadmill
KR20170077496A (ko) * 2015-12-28 2017-07-06 김근우 트레드밀 및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운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3190A (ko) * 2019-08-22 2021-03-04 소호성 전방향 트레드밀
US11954246B2 (en) 2022-07-06 2024-04-09 Walter L. Terry Smart individual motion capture and spatial translation (SIMCAS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775B1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3317B2 (en) Omnidirectional mo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6743154B2 (en) Omnidirectional moving surface
EP3157644B1 (en) Moving floor for interactions with virtual reality systems and uses thereof
CN104461018B (zh) 电磁式多自由度虚拟漫游行进平台
US9545539B1 (en) Omnidirectional exercise platform and method of use
JP6879575B2 (ja) 身体運動のための可動プラットフォーム
US9199117B1 (en) Omnidirectional exercise platform
JP2021180859A (ja) 運動制御シート入力デバイス
CN104906750A (zh) 一种全方位跑步机及具有该跑步机的游戏系统
CN109310909A (zh) 腹部及核心锻炼装置
KR20190073987A (ko)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
KR20190027359A (ko) 상지를 재활하기 위한 휴대용 장치
US20160357258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Haptic Force Feedback to User Interacting With Virtual Object in Virtual Space
DE602005020785D1 (de) Vorrichtung zur schaftführung bei oszillationsbewegungen
Guo et al. ARMStrokes: a mobile app for everyday stroke rehabilitation
WO2015037999A1 (en) An active walking platform and a system for walking in place
US11013951B2 (en) Platform for enabling omnidirectional movement of an exercising machine
KR20150128184A (ko) 전방향 트레드밀
CN204745481U (zh) 一种全方位跑步机及具有该跑步机的游戏系统
KR101662550B1 (ko) 마우스형 재활 훈련 장치
KR20200084830A (ko) 이동 시뮬레이팅 시스템
JP2013210888A (ja) 入力装置、制御システム、校正方法及びプログラム
Sathya et al. Calico: Relocatable On-cloth Wearables with Fast, Reliable, and Precise Locomotion
US11433273B2 (en) Exercise tool
KR102001853B1 (ko) 가상현실용 전방향 트레드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