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555A - 제한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 핸들링 - Google Patents

제한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 핸들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555A
KR20190073555A KR1020197016090A KR20197016090A KR20190073555A KR 20190073555 A KR20190073555 A KR 20190073555A KR 1020197016090 A KR1020197016090 A KR 1020197016090A KR 20197016090 A KR20197016090 A KR 20197016090A KR 20190073555 A KR20190073555 A KR 20190073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wireless device
slice
network node
network sl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5626B1 (ko
Inventor
군나르 밀드
안젤로 센톤자
페터 헤드만
파울 쉴리와-베르트링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ublication of KR20190073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2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the same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어느 것이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 각각에 의해 지원되는지를 지시한다. 방법은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Description

제한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 핸들링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제한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핸들링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슬라이싱은 LTE 에볼루션(LTE Evolution)과 새로운 5G RAT(본 문헌에서는 NR이라고 함)에 모두 적용되는 새로운 개념이다.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도입하기 위한 핵심 동력은 애플리케이션 확장, 즉, 예를 들어, 상이한 네트워크 특성들(성능, 보안, 견고성 및 복잡성)을 갖는 연결성 서비스들을 제공함으로써 셀룰러 오퍼레이터의 다른 산업 분야들에 서빙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슬라이싱은 네트워크의 논리적으로 분리된 파티션들을 생성하여, 상이한 애플리케이션들을 다룬다. 이들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그들 나름의 네트워크들로서 간주되고 관리될 수 있을 정도로 논리적으로 분리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상이한 슬라이스 테넌트(slice tenant)들, 즉,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통해 최종 사용자에게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엔티티들과 연관될 수 있다. 슬라이스 테넌트들의 예는, 예를 들어, 전용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통해 음성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군대들, 예를 들어, 전용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통해 차량 진단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차량 제조 업체들 등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서비스 레벨 협약(Service Level Agreement)(SLA)을 연관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SLA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내에 제공되는 트리트먼트 서비스들이 따라야 하는 것을 지시한다.
다뤄지지 않았던 문제는 네트워크에서의 제한된 슬라이스 가용성과 관련된다. 제한된 슬라이스 가용성은 주어진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든 셀들에서 지원되는 것은 아니거나 또는 모든 셀들의 모든 무선 디바이스들/가입자들에 대해 지원되는 것은 아닌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무선이 상이한 슬라이스 지원을 갖는 영역들을 오가며 이동 중일 때 문제들이 발생할 것이다. 또한, 무선 디바이스가 연결되고 싶어하거나 이미 등록되어 있는 슬라이스가 해당 영역에서 사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 무선 디바이스가 처음으로 네트워크에 연결 중일 때(또는 재연결 중일 때), 문제들이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네트워크에서 제한된 슬라이스 가용성을 핸들링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어느 것이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 각각에 의해 지원되는지를 지시한다. 방법은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동작 가능한 스토리지 및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획득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어느 것이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 각각에 의해 지원되는지를 지시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하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획득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어느 것이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 각각에 의해 지원되는지를 지시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설명된 방법,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다음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각각은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의 네트워크 기능들과 상이한 특성들을 갖는 개개의 네트워크 기능을 지원하는 개개의 논리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각각은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의해 지원되는 비즈니스 동작들과 독립적인 개개의 비즈니스 동작을 지원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이웃 노드는 복수의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을 포함하고,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무선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어느 것을 사용하기를 요청하는지를 지시하는 슬라이스 식별자를 수신한다.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를 추가로 선택하며, 선택된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슬라이스 식별자에 의해 지시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한다.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무선 디바이스에게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액세스를 추가로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이웃 노드는 복수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을 포함하고,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무선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어느 것에 연결되는지를 결정함으로써 무선 디바이스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한다.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핸드오버를 위해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무선 디바이스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추가로 관리한다. 선택된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들)를 지원한다.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무선 디바이스의 선택된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로의 핸드오버를 개시함으로써 무선 디바이스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추가로 관리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하고,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 라디오 액세스 노드에 연결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간의 연결을 제거함으로써 무선 디바이스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하고,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라디오 액세스 노드에 연결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간의 연결을 추가함으로써 무선 디바이스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하고,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무선 디바이스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 라디오 액세스 노드에 연결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무선 디바이스를 연결하기 위한 요청을 거부함으로써 무선 디바이스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 간의 초기 연결 셋업 동안 획득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 간의 핸드오버 시그널링으로부터 획득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의 적어도 일부는 무선 디바이스가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상태 전이를 수행하는 것에 응답하여 획득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제1 네트워크 노드에서 슬라이스 연결 정보를 유지한다. 슬라이스 연결 정보는 무선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어느 것에 연결되는지를 지시한다.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또한 무선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하나에 대한 연결을 추가 또는 제거하였다는 지시를 수신한다.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또한 수신된 지시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유지되는 슬라이스 연결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하고,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일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갖는 페이징 영역을 생성한다. 페이징 영역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또한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페이징 영역의 지시를 무선 디바이스에 통신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무선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하나에 대한 연결을 추가 또는 제거하였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일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갖는 새로운 페이징 영역을 생성한다.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또한 새로운 페이징 영역을 무선 디바이스에 통신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디바이스와 관련된 핸드오버 절차를 위해 선택된 이웃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간의 연결 제거를 개시함으로써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함으로써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한다.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요청을 거부하고, 무선 디바이스를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재지향시킴으로써 슬라이스 연결성을 추가로 관리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함으로써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한다.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무선 디바이스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 이웃 네트워크 노드로 이동할 가능성에 기초하여, 요청을 거부하고, 무선 디바이스를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재지향시킴으로써 슬라이스 연결성을 추가로 관리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제1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파라미터를 브로드캐스트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제1 네트워크 노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 이상에 통신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이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이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성 요청을 추가로 통신한다.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동작 가능한 스토리지 및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무선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성 요청을 통신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하다.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성 요청을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된다.
상기 설명된 방법, 무선 디바이스 및/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다음 중 다음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브로드캐스트로 수신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하기 전에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 기초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 연결의 셋업을 개시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 연결의 제거를 개시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정보에 기초하여 셀, 주파수, 또는 라디오 액세스 기술 중 하나 이상의 것의 재선택을 수행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은 무선 디바이스가 동작 중인 현재의 셀, 주파수 또는 라디오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RAT)이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결정함으로써 재선택을 수행한다.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새로운 셀, 주파수 또는 RAT를 추가로 선택함으로써 재선택을 수행한다.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은 새로운 셀, 주파수 또는 RAT를 통해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추가로 액세스함으로써 재선택을 수행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시하는 슬라이스 식별자를 통신한다.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은 슬라이스 식별자에 의해 지시된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추가로 액세스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은 제2 네트워크 노드로의 핸드오버 절차의 개시를 수신한다.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한다.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은 제2 네트워크 노드로의 핸드오버를 추가로 완료한다.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은 제2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추가로 액세스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상태 전이를 수행할 때,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정보를 다른 네트워크 노드에 통신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은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일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갖는 페이징 영역을 수신한다. 페이징 영역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를,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포함한다.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은, 무선 디바이스가 페이징 영역 내에 있을 때, 이동성 시그널링의 생성을 추가로 방지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은, 무선 디바이스가 수신된 페이징 영역 외부로 이동할 때,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영역 업데이트 시그널링을 통신한다.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은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일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갖는 새로운 페이징 영역을 추가로 수신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은 무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연결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에 통신한다.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핸드오버 시그널링을 추가로 수신한다. 핸드오버 시그널링은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 및 무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후보를 포함한다. 방법/무선 디바이스/컴퓨터 프로그램은 핸드오버 후보에 추가로 연결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핸드오버 후보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으며, 방법은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연결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기술적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성을 관리함으로써 제한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갖는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대한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특정 실시예들은 무선 디바이스가 사용하기를 요청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을 지시하는 슬라이스 식별자를 사용하여 연결성을 유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특정 실시예들은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일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갖는 페이징 영역을 유리하게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선 디바이스가 페이징 영역 내에서 이동할 때, 무선 디바이스는 불필요하게 이동성 시그널링을 생성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서, 특정 실시예들은 무선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연결될 때, 무선 디바이스에 유리하게 통지할 수 있다. 다른 이점들도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은 언급된 이점들 중 어느 것도 가질 없을 수도 있고, 이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가질 수도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 및 그들의 특징들 및 이점들의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이제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취해진 다음의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슬라이스들을 갖는 네트워크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 및 기지국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4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라디오 영역 네트워크 기능 분리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비-로밍 참조 아키텍처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다수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들을 갖는 로컬 및 중앙 데이터 네트워크들에 대한 동시 액세스에 적용되는 비-로밍 참조 아키텍처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단일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을 갖는 로컬 및 중앙 데이터 네트워크들에 대한 동시 액세스에 적용되는 비-로밍 참조 아키텍처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홈 라우팅 시나리오에서의 비-로밍 참조 아키텍처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로컬 브레이크아웃 시나리오에서의 비-로밍 참조 아키텍처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다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연결된 사용자 장비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네트워크 슬라이싱에 대한 지원은 차세대 아키텍처에 대한 비전의 중요한 부분이다. 차세대 모바일 네트워크들(Next Generation Mobile Networks)과 같은 상이한 포럼들에 의해 언급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슬라이싱은 독립적인 비즈니스 동작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엔드-투-엔드 논리 네트워크들을 배치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슬라이스의 각각의 인스턴스(청사진)는, 독립적인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를 배치하는 것과는 달리, (공유 프로세싱, 스토리지, 전송, 라디오 스펙트럼 및 하드웨어 플랫폼들을 포함한) 공유 인프라스트럭처에 대응하는 논리 네트워크로서 실현할 수 있어야 하며, 이것은 잠재적으로 상이한 특성들을 갖는 다른 슬라이스들과 공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논리적 분리가 안정성 및 보안을 손상시키지 않고 슬라이스들의 유연하고 독립적인 구성 및 관리를 허용하는 동안, 인프라스트럭처 및 자산들의 활용도는 훨씬 더 비용 효율적이고 에너지 효율적이다. 공통의 물리적 인프라스트럭처를 통해 슬라이스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전용 자원들 및 자산들에 의해 슬라이스 인스턴스를 실현하는 것도 물론 방지할 것이다.
3GPP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싱의 개념은 상이한 수직적 산업 분야들에 대한 요구를 다루는 방식으로서 도입되어, 차세대 아키텍처의 광범위한 사용 사례들로 전환되었다. 몇 가지 예를 들면, 3GPP TR 22.891 V14.0.0 (2016-03)은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특정 사용 사례(들)의 통신 서비스 요구 사항들을 지원해야 한다고 명시적으로 언급한다. 네트워크 슬라이싱과 연관된 서비스 및 동작 요구 사항들의 세트가 제공되었다. 3GPP SA2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싱은 높은 레벨의 아키텍처 요구 사항들 중 하나로서 제시되며, 오퍼레이터가 다양한 요구 사항들을 제시하는 상이한 마켓 시나리오들에 대해 최적화된 솔루션들을 제공하기 위해 커스터마이즈된 네트워크들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핵심 이슈들 중 하나로서 열거된다. 이러한 커스터마이즈된 논리 네트워크들에 대한 예시적인 사용 사례들은 공공 안전, V2X, 사물 인터넷(Internet-of-Things)(IoT)을 포함하며, 여러 산업 분야들을 다루기 위한 공통 플랫폼으로서 네트워크 슬라이싱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네트워크 슬라이싱에 대한 지원은, 3GPP TR 38.913 V0.3.0 (2016-03)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새로운 RAT에 대한 요구 사항으로서도 열거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3GPP SID Proposal RP-160671에 열거된 목표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의 실현을 가능하게 할 때, 규격의 영향들을 연구하고 식별하는 것이다. 또한, 일부 초기 연구들은 연구 공동체 내에서 수행되었다. RAN3에서, TR 38.801의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위해 다음의 양태들이 포착되었다(편집자의 메모는 제거되었다).
슬라이스들에 대한 RAN의 인식
- RAN은 사전 구성된 상이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대해 차별화된 트래픽 핸들링을 지원해야 한다. RAN 기능들(즉, 각각의 슬라이스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능들의 세트) 측면에서 RAN이 슬라이스 실행을 지원하는 방식은 구현에 따라 달라진다.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RAN 부분의 선택
- RAN은 PLMN에서 사전 구성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하나를 모호하지 않게 식별하는 UE에 의해 제공된 슬라이스 ID에 의해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RAN 부분의 선택을 지원해야 한다.
슬라이스들 간의 자원 관리
- RAN은 서비스 레벨 협약에 따라 슬라이스들 간의 정책 시행을 지원해야 한다. 단일 RAN 노드가 다수의 슬라이스들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RAN은 각각의 지원되는 슬라이스에 SLA에 대한 최상의 RRM 정책을 자유로이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QoS의 지원
- RAN은 슬라이스 내에서 QoS 차별화를 지원해야 한다.
RAN의 CN 엔티티에 대한 선택
- RAN은 수신된 슬라이스 ID 및 RAN 노드에서의 매핑(CN 엔티티, 지원되는 슬라이스들)에 기초하여 업링크 메시지들의 초기 라우팅을 위한 CN 엔티티에 대한 초기 선택을 지원해야 한다. 슬라이스 ID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RAN은 NNSF 유사 기능, 예를 들어, UE 임시 ID에 기초하여 CN 엔티티를 선택한다.
슬라이스들 간의 자원 분리
- RAN은 슬라이스들 간의 자원 분리를 지원해야 한다. RAN 자원 분리는 RRM 정책들과 하나의 슬라이스에서 공유 자원이 부족하면 다른 슬라이스에 대한 서비스 레벨 협약을 중단하는 보호 메커니즘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특정 슬라이스에 RAN 자원들을 완전히 전용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한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갖는 네트워크들 내의 네트워크 노드들 및 무선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강화시키는 것이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다. 네트워크 슬라이싱은 네트워크의 논리적으로 분리된 파티션들을 생성하여,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목적들을 다루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들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그들 나름의 네트워크들로서 간주되고 관리될 수 있을 정도로 논리적으로 분리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상이한 슬라이스 테넌트들, 즉,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통해 최종 사용자에게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엔티티들과 연관될 수 있다. 슬라이스 테넌트들의 예는, 예를 들어, 전용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통해 음성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군대들, 예를 들어, 전용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통해 차량 진단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차량 제조 업체들 등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서비스 레벨 협약(SLA)을 연관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SLA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내에 제공되는 트리트먼트 서비스들이 따라야 하는 것을 지시한다.
네트워크 슬라이싱은 LTE 에볼루션과 새로운 5G RAT(본 문헌에서는 NR이라고 함)에 모두 적용되는 새로운 개념이다.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도입하기 위한 핵심 동력은 애플리케이션 확장, 즉, 예를 들어, 상이한 네트워크 특성들(성능, 보안, 견고성 및 복잡성)을 갖는 연결성 서비스들을 제공함으로써 셀룰러 오퍼레이터의 다른 산업 분야들에 서빙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현재 작동 중인 가정은 이볼브드 패킷 코어(Evolved Packet Core)(EPC) 인스턴스들(네트워크 슬라이스 당 하나의 EPC 인스턴스) 또는 추가적인 EPC 진화와 같은 여러 코어 네트워크 인스턴스들에 연결될 하나의 공유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 인프라스트럭처가 있을 것이라는 것이다. CN 기능들(예를 들어, EPC 기능)이 가상화됨에 따라, 새로운 슬라이스가 지원되어야 할 때, 오퍼레이터가 새로운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CN)를 인스턴스화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다른 경우에,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특수 목적 하드웨어에 기초한 기존의 모놀리 식(monolithic) EPC 아키텍처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들(140)을 갖는 네트워크(100)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네트워크(110)는 무선 디바이스들(110),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RAN)(120), 코어 네트워크 기능들(130A 및 130B),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들(140)(즉, 슬라이스 0 및 슬라이스 1)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들(110)은 RAN(120) 및 코어 네트워크 기능들(130A 또는 130B) 중 하나의 네트워크 기능을 통해 네트워크 슬라이스들(140) 중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코어 네트워크 기능들(130A 또는 130B) 각각은 네트워크 슬라이스들(140) 중 특정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 기능(130A)은 슬라이스 0을 지원할 수 있고, 코어 네트워크 기능(130B)은 슬라이스 1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RAN(120)을 통해 네트워크 슬라이스들(140) 중 특정 하나를 지원하는 코어 네트워크 기능들의 그룹(130) 중 특정 하나 또는 하나에 연결됨으로써 네트워크 슬라이스들(140) 중 특정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들(140) 각각은 상이한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들(140)의 슬라이스 0은 모바일 광대역 슬라이스일 수 있고, 네트워크 슬라이스들(140)의 슬라이스 1은 머신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네트워크 슬라이스일 수 있다. 비록 무선 디바이스들(110)이 네트워크 슬라이스들(140) 중 하나에만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특정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들(110) 하나 이상은 네트워크 슬라이스들(140) 중 2개 이상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솔루션들은 임의의 적절한 컴포넌트들을 사용하는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지만, 설명된 솔루션들의 특정 실시예들은 도 2에 예시된 예시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통신 및 다른 타입들의 서비스들을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제공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에 대한 무선 디바이스들의 액세스 및/또는 그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네트워크 노드들의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무선 디바이스들 사이 또는 무선 디바이스와 유선 전화와 같은 다른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추가적인 엘리먼트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220)는 하나 이상의 IP 네트워크, 공중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PSTN),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광 네트워크,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WAN), 근거리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LAN),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WLAN), 유선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대도시 지역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 및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임의의 타입의 통신, 원격 통신, 데이터, 셀룰러 및/또는 라디오 네트워크 또는 다른 타입의 시스템을 나타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특정 표준들 또는 다른 타입들의 사전 정의된 규칙들 또는 절차들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특정 실시예들은 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SM),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UMT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 및/또는 다른 적절한 2G, 3G, 4G 또는 5G 표준들; IEEE 802.11 표준들과 같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 표준들; 및/또는 월드와이드 인터오퍼러빌리티 포 마이크로웨이브 액세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WiMax), 블루투스(Bluetooth) 및/또는 지그비(ZigBee) 표준들과 같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무선 통신 표준과 같은 통신 표준들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200) 및 무선 디바이스(wireless device)(WD)(210)의 보다 상세한 도면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예시한다. 간략화를 위해, 도 2는 네트워크(220), 네트워크 노드들(200 및 200a) 및 WD(210)만을 도시한다. 네트워크 노드(200)는 프로세서(202), 스토리지(203), 인터페이스(201) 및 안테나(201a)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WD(210)는 프로세서(212), 스토리지(213), 인터페이스(211) 및 안테나(211a)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연결들을 제공하는 것과 같이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는 임의의 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들, 네트워크 노드들, 기지국들, 제어기들, 무선 디바이스들, 중계국들, 및/또는 유선 연결을 통하든 무선 연결을 통하든 간에 데이터 및/또는 신호들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거나 이에 참여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고/하거나 제공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다른 장비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하도록 배치된 및/또는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장비를 지칭한다. 네트워크 노드들의 예들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AP)들, 특히 라디오 액세스 포인트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네트워크 노드는 라디오 기지국들과 같은 기지국(base station)(BS)들을 나타낼 수 있다. 라디오 기지국들의 특정 예들은 노드 B들 및 이볼브드 노드 B(evolved Node B)(eNB)들을 포함한다. 기지국들은 그들이 제공하는 커버리지의 양(또는, 다르게 말하자면, 그들의 송신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분류될 수 있고, 이후 펨토 기지국들, 피코 기지국들, 마이크로 기지국들 또는 매크로 기지국들로 지칭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중앙 집중식 디지털 유닛들, 및/또는 때때로 원격 라디오 헤드(Remote Radio Head)(RRH)들로도 지칭되는 원격 라디오 유닛(remote radio unit)(RRU)들과 같은 분산형 라디오 기지국의 하나 이상의(또는 전체)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원격 라디오 유닛들은 안테나 일체형 라디오로서 안테나와 통합될 수도 있고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분산형 라디오 기지국들의 일부들은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DAS)에서 노드들로도 지칭될 수도 있다.
특정 비제한적인 예로서, 기지국은 중계 노드 또는 중계를 제어하는 중계 도너 노드일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들의 추가적인 예들은 멀티-표준 라디오(multi-standard radio)(MSR) 라디오 장비(MSR BS들 등),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RNC)들 또는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BSC)들과 같은 네트워크 제어기들,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BTS)들, 송신 포인트들, 송신 노드들, 멀티-셀/멀티캐스트 조정 엔티티(Multi-cell/multicast Coordination Entity)(MCE)들,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예를 들어, MSC들, MME들), O&M 노드들, OSS 노드들, SON 노드들, 위치결정 노드들(예를 들어, E-SMLC들), 및/또는 MDT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보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노드들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디바이스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고 및/또는 제공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무선 디바이스에 일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가능하게 하고 제공하도록 구성된, 가능하게 하고 제공하도록 배치된 및/또는 가능하게 하고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한 임의의 적절한 디바이스(또는 디바이스들의 그룹)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라디오 노드"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무선 디바이스들 및 네트워크 노드들 모두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들 각각은 위에서 각각 설명되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노드(200)는 프로세서(202), 스토리지(203), 인터페이스(201) 및 안테나(201a)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단일의 더 큰 박스 내에 위치한 단일 박스들로서 도시된다. 그러나, 실제로, 네트워크 노드는 단일 예시된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상이한 물리적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인터페이스(201)는 유선 연결을 위한 와이어들 및 무선 연결을 위한 라디오 송수신기를 위한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네트워크 노드(200)는 네트워크 노드(200)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상이한 물리적으로 분리된 컴포넌트들이 상호 작용하는 가상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예를 들어, 프로세서(202)는 3개의 개별 인클로저에 위치하는 3개의 개별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노드(200)의 특정 인스턴스에 대해 상이한 기능을 담당한다). 유사하게, 네트워크 노드(200)는 다수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NodeB 컴포넌트 및 RNC 컴포넌트, BTS 컴포넌트 및 BSC 컴포넌트 등)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자신들 각각의 프로세서, 스토리지 및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를 가질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200)가 다수의 분리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BTS 및 BSC 컴포넌트)을 포함하는 특정 시나리오들에서, 개별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은 여러 네트워크 노드들 간에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RNC는 다수의 NodeB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각각의 유일한 NodeB 및 BSC 쌍은 개별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200)는 다수의 라디오 액세스 기술(RAT)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일부 컴포넌트들이 복제될 수 있고(예를 들어, 상이한 RAT들에 대한 개별 스토리지(203)), 일부 컴포넌트들은 재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동일한 안테나(201a)가 RAT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중앙 처리 장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컴퓨팅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의 것의 조합, 자원, 또는 하드웨어와 단독으로 또는 스토리지(203)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노드(200) 컴포넌트들과 함께 네트워크 노드(200) 기능을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인코딩된 로직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2)는 스토리지(203)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징들 또는 이점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WD(210)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에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다양한 무선 특징들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202)는 도 13과 관련하여 논의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스토리지(203)는 영구 스토리지, 고상 메모리, 원격 장착 메모리, 자기 매체, 광학 매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RAM),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ROM), 이동식 매체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로컬 또는 원격 메모리 컴포넌트를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203)는 네트워크 노드(200)에 의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및 인코딩된 로직을 포함하여 임의의 적절한 명령어들,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203)는 프로세서(202)에 의해 이루어진 임의의 계산들 및/또는 인터페이스(201)를 통해 수신된 임의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200)는 또한 네트워크 노드(200), 네트워크(220) 및/또는 WD(210) 간의 시그널링 및/또는 데이터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사용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201)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201)는 네트워크 노드(200)가 유선 연결을 통해 네트워크(220)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하는 데 필요할 수 있는 임의의 포맷팅, 코딩 또는 번역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01)는 또한 안테나(201a) 또는 그 일부에 커플링될 수 있는 라디오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는 무선 연결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 또는 WD들로 전송될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라디오는 디지털 데이터를 적절한 채널 및 대역폭 파라미터들을 갖는 라디오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라디오 신호는 안테나(201a)를 통해 적절한 수신자(예를 들어, WD(210))에 송신될 수 있다.
안테나(201a)는 데이터 및/또는 신호들을 무선으로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안테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테나(201a)는, 예를 들어, 2GHz와 66GHz 사이에서 라디오 신호들을 송신/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나 이상의 무지향성, 섹터 또는 패널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지향성 안테나는 임의의 방향으로 라디오 신호들을 송신/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섹터 안테나는 특정 영역 내의 디바이스들로부터 라디오 신호들을 송신/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패널 안테나는 상대적으로 직선으로 라디오 신호들을 송신/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가시선 안테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WD)는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하도록 배치된 및/또는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은 전자기 신호들, 전파들, 적외선 신호들 및/또는 대기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데 적절한 다른 타입들의 신호들을 사용하여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들은 직접적인 인간 상호 작용 없이 정보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는 사전 결정된 스케줄에 따라, 내부 또는 외부 이벤트에 의해 트리거링될 때, 또는 네트워크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네트워크에 정보를 송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이를 위해 구성되고, 이를 위해 배치되고, 및/또는 이를 위해 동작 가능한 임의의 디바이스, 예를 들어, 라디오 통신 디바이스들을 나타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들의 예들은 스마트폰들과 같은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적인 예들은 무선 카메라들, 무선 가능형 태블릿 컴퓨터들, 랩톱-임베디드형 장비(laptop-embedded equipment)(LEE), 랩톱-마운팅형 장비(laptop-mounted equipment)(LME), USB 동글들, 및/또는 무선 고객 댁내 장비(customer-premises equipment)(CPE)를 포함한다.
하나의 특정 예로서, 무선 디바이스는 제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의 GSM, UMTS, LTE 및/또는 5G 표준들과 같은 3GPP에 의해 공표된 하나 이상의 통신 표준에 따라 통신하도록 구성된 UE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 또는 "UE"는 관련 디바이스를 소유 및/또는 동작시키는 인간 사용자의 의미에서의 "사용자"를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다. 그 대신에, UE는 인간 사용자에 대한 판매 또는 그 사용자에 의한 동작을 위해 의도되지만, 특정 인간 사용자와 초기에 연관될 수 없는 디바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3GPP 표준을 구현함으로써 디바이스-대-디바이스(D2D) 통신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D2D 통신 디바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예로서, 사물 인터넷(IoT) 시나리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모니터링 및/또는 측정들을 수행하고, 이러한 모니터링 및/또는 측정들의 결과들을 다른 무선 디바이스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머신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에, 무선 디바이스는 머신-대-머신(M2M)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이는 3GPP 컨텍스트에서는 머신-타입 통신(MTC) 디바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예로서, 무선 디바이스는 3GPP 협대역 사물 인터넷(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NB-IoT) 표준을 구현하는 UE일 수 있다. 이러한 머신들 또는 디바이스들의 특정 예들은 센서들, 전력 계량기들과 같은 계량 디바이스들, 산업용 머신, 또는 예를 들어, 냉장고들, 텔레비전들, 시계들과 같은 개인용 웨어러블들 등과 같은 가정용 또는 개인용 기기들이다. 다른 시나리오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자신의 동작 상태 또는 그 동작과 연관된 다른 기능들을 모니터링 및/또는 보고할 수 있는 차량 또는 다른 장비를 나타낼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연결의 엔드포인트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 경우, 디바이스는 무선 단말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된 무선 디바이스는 이동식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는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단말로도 지칭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WD(210)는 임의의 타입의 무선 엔드포인트, 이동국, 모바일폰, 무선 로컬 루프 폰, 스마트폰, 사용자 장비, 데스크톱 컴퓨터, PDA, 셀폰, 태블릿, 랩톱, 네트워크 노드(200) 및/또는 다른 WD들과 같은 네트워크 노드에 무선으로 데이터 및/또는 신호들을 전송하고 이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는 VoIP 전화 또는 핸드셋일 수 있다. WD(210)는 프로세서(212), 스토리지(213), 인터페이스(211) 및 안테나(211a)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노드(200)와 마찬가지로, WD(210)의 컴포넌트들은 단일의 더 큰 박스 내에 위치한 단일 박스들로서 도시되지만, 실제로, 무선 디바이스는 단일 예시된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상이한 물리적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스토리지(213)는 다수의 분리된 마이크로칩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마이크로칩은 총 저장 용량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프로세서(212)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중앙 처리 장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컴퓨팅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의 것의 조합, 자원, 또는 하드웨어와, 단독으로 또는 스토리지(213)와 같은 다른 WD(210) 컴포넌트들과 함께 WD(210) 기능을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인코딩된 로직의 조합일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징들 또는 이점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무선 특징들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212)는 도 14와 관련하여 논의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스토리지(213)는 영구 스토리지, 고상 메모리, 원격 장착 메모리, 자기 매체, 광학 매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이동식 매체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로컬 또는 원격 메모리 컴포넌트를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213)는 WD(210)에 의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및 인코딩된 로직을 포함하여 임의의 적절한 데이터, 명령어들 또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213)는 프로세서(212)에 의해 이루어진 임의의 계산들 및/또는 인터페이스(211)를 통해 수신된 임의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211)는 WD(210)와 네트워크 노드(200) 간의 시그널링 및/또는 데이터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211)는 WD(210)가 무선 연결을 통해 네트워크 노드(200)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하는 데 필요할 수 있는 임의의 포맷팅, 코딩 또는 번역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11)는 또한 안테나(211a) 또는 그 일부에 커플링될 수 있는 라디오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는 무선 연결을 통해 네트워크 노드(201)에 전송될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라디오는 디지털 데이터를 적절한 채널 및 대역폭 파라미터들을 갖는 라디오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라디오 신호는 안테나(211a)를 통해 네트워크 노드(200)에 송신될 수 있다.
안테나(211a)는 데이터 및/또는 신호들을 무선으로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안테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테나(211a)는, 예를 들어, 2GHz와 66GHz 사이에서 라디오 신호들을 송신/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나 이상의 무지향성, 섹터 또는 패널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순화를 위해, 안테나(211a)는 무선 신호가 사용되는 정도까지 인터페이스(211)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인 사용자 장비(UE)(300)를 예시한다. UE(300)는 안테나(305), 라디오 프론트-엔드 회로(310), 프로세싱 회로(315),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330)를 포함한다. 안테나(305)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또는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무선 신호들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라디오 프론트-엔드 회로(310)에 연결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300)는 안테나(305)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안테나(305)는 대신에 무선 디바이스(30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또는 포트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300)에 연결될 수 있다.
라디오 프론트-엔드 회로(310)는 다양한 필터들 및 증폭기들을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305) 및 프로세싱 회로(315)에 연결되며, 안테나(305)와 프로세싱 회로(315) 간에 통신되는 신호들을 컨디셔닝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300)는 라디오 프론트-엔드 회로(31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프로세싱 회로(315)는 대신에 라디오 프론트-엔드 회로(310) 없이 안테나(305)에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315)는 라디오 주파수(radio frequency)(RF) 송수신기 회로, 기저 대역 프로세싱 회로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싱 회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RF 송수신기 회로, 기저 대역 프로세싱 회로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싱 회로는 개별 칩셋들 상에 있을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는, 기저 대역 프로세싱 회로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싱 회로 중 일부 또는 전부가 하나의 칩셋으로 결합될 수 있고, RF 송수신기 회로는 개별 칩셋 상에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는, RF 송수신기 회로 및 기저 대역 프로세싱 회로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칩셋 상에 존재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싱 회로는 개별 칩셋 상에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는, RF 송수신기 회로, 기저 대역 프로세싱 회로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싱 회로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칩셋 내에 결합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315)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CPU),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 및/또는 하나 이상의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330) 상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회로(315)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는 하드 와이어 방식에서와 같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지 않고 프로세싱 회로(315)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해당 특정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프로세싱 회로가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 의해 제공되는 이점들은 프로세싱 회로(315) 단독 또는 UE(300)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제한되지 않고, 전체로서의 무선 디바이스, 및/또는 일반적으로 최종 사용자들 및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활용된다.
안테나(305), 라디오 프론트-엔드 회로(310), 및/또는 프로세싱 회로(315)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수신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정보, 데이터 및/또는 신호들은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315)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결정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315)에 의해 수행되는 바와 같은 결정은, 예를 들어, 획득된 정보를 다른 정보로 변환하고, 획득된 정보 또는 변환된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고, 및/또는 획득된 정보 또는 변환된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프로세싱 회로(315)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프로세싱하고, 상기 프로세싱의 결과로서 결정을 내리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회로는 도 13과 관련하여 논의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안테나(305), 라디오 프론트-엔드 회로(310), 및/또는 프로세싱 회로(315)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송신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정보, 데이터 및/또는 신호들은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330)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로직, 규칙들, 코드, 테이블들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다른 명령어들과 같은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330)의 예들은 컴퓨터 메모리(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대용량 저장 매체(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이동식 저장 매체(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CD) 또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k)(DVD)), 및/또는 프로세싱 회로(315)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정보,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임의의 다른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및/또는 컴퓨터 실행 가능 메모리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회로(315)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330)는 통합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UE(300)의 대안적인 실시예들은 도 3에 도시된 것들 이외의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 중 임의의 것 및/또는 위에서 설명된 솔루션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임의의 기능을 포함하여 UE의 기능의 특정 양태들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단지 하나의 예로서, UE(300)는 입력 인터페이스들, 디바이스들 및 회로들, 및 출력 인터페이스들, 디바이스들 및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들, 디바이스들 및 회로들은 UE(300)에 대한 정보의 입력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싱 회로(315)에 연결되어 프로세싱 회로(315)가 입력 정보를 프로세싱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들, 디바이스들 및 회로들은 마이크로폰, 근접 또는 기타 센서, 키들/버튼들, 터치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카메라, USB 포트 또는 기타 입력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들, 디바이스들 및 회로들은 UE(300)로부터의 정보의 출력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싱 회로(315)에 연결되어 프로세싱 회로(315)가 UE(300)로부터 정보를 출력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출력 인터페이스들, 디바이스들 또는 회로들은 스피커, 디스플레이, 진동 회로, USB 포트, 헤드폰 인터페이스, 또는 기타 출력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및 회로를 사용하여, UE(300)는 최종 사용자들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으로부터 이들이 이익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다른 예로서, UE(300)는 전원(335)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335)은 전력 관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335)은 전원(335)에 포함되거나 또는 전원(335) 외부에 있을 수 있는 전력 공급기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300)는 전원(335)에 연결되거나 이에 통합되는 배터리 또는 배터리 팩의 형태로 전력 공급기를 포함할 수 있다. 광전지 디바이스들과 같은 다른 타입들의 전원들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UE(300)는 입력 회로 또는 전기 케이블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기 콘센트와 같은) 외부 전력 공급기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외부 전력 공급기가 전원(335)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335)은 라디오 프론트-엔드 회로(310), 프로세싱 회로(315) 및/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3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프로세싱 회로(315)를 포함하여 UE(300)에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E(300)는 또한, 예를 들어, GSM, WCDMA, LTE, NR, Wi-Fi 또는 블루투스 무선 기술들과 같이 무선 디바이스(300)에 통합된 상이한 무선 기술들에 대한 다수의 세트들의 프로세싱 회로(315),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330), 라디오 회로(310) 및/또는 안테나(30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기술들은 무선 디바이스(300) 내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칩셋들 및 다른 컴포넌트들에 통합될 수 있다.
LTE 아키텍처
제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는 현재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 개념의 릴리스 13 표준화 작업을 진행 중이다. 라디오 액세스 노드들(eNB들, 홈 eNB들-HeNB들, HeNB GW) 및 진화된 패킷 코어 노드들(MME/S-GW)을 포함하는 LTE 시스템의 아키텍처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S1 인터페이스는 HeNB들/eNB들을 MME/S-GW에, HeNB들을 HeNB GW에 연결하고, X2 인터페이스는 피어 eNB들/HeNB들을 임의적으로 X2 GW를 통해 연결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가정된 관리 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eNodeB라고도 지칭되는 노드 엘리먼트들(node elements)(NE)은 운영 및 지원 시스템(operation and support system)(OSS)이라고도 지칭되는 도메인 관리자(domain manager)(DM)에 의해 관리된다. DM은 네트워크 관리자(network manager)(NM)에 의해 추가로 관리될 수 있다. 2개의 NE는 X2에 의해 인터페이스되는 반면, 2개의 DM 간의 인터페이스는 Itf-P2P로 지칭된다.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을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의 피처들과 연관된 관찰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DM은 NE들을 관찰하고 구성하고, NM은 DM을 관찰하고 구성할 뿐만 아니라 DM을 통해 NE를 관찰하고 구성한다. DM, NM 및 관련 인터페이스들을 통한 구성에 의해, X2 및 S1 인터페이스들을 통한 기능은 결국 코어 네트워크, 즉, MME 및 S-GW들을 포함하는 RAN을 통해 조정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LTE 아키텍처 이볼루션 및 5G RAN 아키텍처
LTE 아키텍처가 5G 시간 프레임의 과제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진화되어야 하는 경우 및 방법이 아직 3GPP에 의해 특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S1, X2 및 Uu 인터페이스들의 진화된 카운터파트들이 있을 것이고, 임의의 새로운 RAT는 LTE 듀얼 연결이 정의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RAN 레벨에서 LTE 라디오 인터페이스와 통합될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체 원리들은 LTE-유사 아키텍처 및 S1 인터페이스의 진화에 기초한 새로운 아키텍처 모두에 대해 작동할 것이다.
5G RAN 아키텍처에 관한 한, 예를 들어, 일부 동기식 기능과 비동기식 기능 간에 새로운 인터페이스들이 있을 수 있다. 현재 RAN 아키텍처의 가능한 향후 진화에 대해 산업 분야에서 상이한 논의들이 진행되고 있다. 매크로 사이트 기반 토폴로지의 출발점으로부터, 저전력 셀들의 도입, 상이한 라디오 기지국 사이트들 간의 전송 네트워크의 진화, 라디오 기지국 하드웨어 진화, 프로세싱 능력에 대한 증가된 필요성 등이 새로운 과제들 및 기회들을 생기게 하였다. RAN 아키텍처에 몇 가지 강력한 힘들이 작용하여, 때로는 상이한 방향들로 이끌었다. 조정의 이득들, 하드웨어 풀링 이득들, 에너지 절감 이득들 및 백홀(backhaul)/프론트홀(fronthaul) 네트워크의 진화와 같은 일부는 더 중앙 집중화된 배치에 유리하게 작용하고, 다른 것들은 일부 5G 사용 사례들, 예를 들어, 미션 크리티컬 MTC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매우 낮은 레이턴시 요구 사항들과 같이 탈-중앙 집중화를 향해 작용하고 있다. 프론트홀 및 백홀과 같은 용어들은 기지국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프론트홀에 대한 통상적인 정의는 기저 대역(메인 유닛)과 라디오 유닛 간의 CPRI 기반 광섬유 링크이다. 백홀은 S1/X2 인터페이스들에 사용되는 송신 네트워크를 지칭한다.
백홀/프론트홀의 최근 진화는 실제로 C-RAN이라고 지칭되는 기저 대역을 중앙 집중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게 되었다. C-RAN은 상이한 방식들로 해석될 수 있는 용어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이는 많은 사이트들로부터의 기저 대역들이 중앙 사이트에 함께 위치하지만, 사이트들 간에 긴밀한 연결 및 데이터의 고속 교환이 없는 "기저 대역 호텔" 유사 솔루션들을 의미한다. 가장 일반적인 해석은 기저 대역들 간에 적어도 일부 종류의 조정이 있는 "중앙 집중식 RAN(Centralized RAN)"일 수 있다. 잠재적으로 매력적인 솔루션은 매크로 기지국 및 이에 의해 커버되는 더 낮은 전력 노드들에 기초하는 더 작은 중앙 집중식 RAN이다. 이 구성에서, 매크로 노드와 저전력 노드 간의 긴밀한 조정은 종종 상당한 이득들을 부여할 수 있다. "조정식 RAN(Coordinated RAN)"이라는 용어는 중앙 집중화의 조정 이득들에 초점을 맞춘 자주 사용되는 해석이다. C-RAN의 다른 보다 미래 지향적인 해석들은 라디오 네트워크 기능이 일반 하드웨어(범용 프로세서)에서, 가능하게는 가상 머신 들로서 지원되는 "클라우드" 기반 및 "가상화된" RAN 솔루션들을 포함한다.
중앙 집중식 배치는, 예를 들어, 유지 보수의 가능한 용이성, 업그레이드 및 사이트들에 대한 필요성 감소뿐만 아니라 조정 이득들의 수확과 같은 하나 또는 여러 힘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오해는 중앙 집중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큰 풀링 이득 및 대응하는 HW 절감이 있다는 것이다. 풀링 이득은 제1 개수의 풀링 셀들에 비해 크지만, 신속하게 감소한다. 더 많은 수의 사이트들로부터의 기저 대역들을 함께 배치하고 상호 연결시키는 하나의 핵심적인 이점은 이것이 허용하는 긴밀한 조정이다. 이들의 예들은 UL CoMP 및 여러 섹터들/캐리어들을 하나의 셀로 결합하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의 이득들은, 예를 들어, 기저 대역을 함께 배치하지 않고 표준 인터페이스들(X2)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eICIC와 같은 더 느슨한 조정 방식들의 이득들과 관련하여 때때로 중요할 수 있다.
조정 이득의 관점에서 볼 때 매력적인 C-RAN 배치는 일반적으로 여러 주파수 대역들을 갖는 더 큰 매크로 사이트 주위에 구축된 C-RAN이며, 매크로 사이트에 의해 커버되고 고속 상호 연결을 통해 매크로에 긴밀하게 통합되는 다수의 저전력 라디오들을 갖는다. 더 큰 이득들은 경기장들 및 쇼핑몰들과 같은 배치 시나리오들에서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임의의 C-RAN 배치에 대한 중요한 고려 사항은 프론트홀을 통한 전송, 즉, 중앙 집중식 기저 대역 부분과 라디오들 간의 연결인 "퍼스트 마일(first mile)"이다. 시장들 간에 다소 크게 변하는 프론트홀의 비용이 이점들과 비교 검토될 필요가 있다.
3GPP에서의 향후 논의들은 도 6에 도시된 RAN 기능 분할로 이어질 수 있다. 여기서, RAN 기능들은 동기식 기능(s-eNB라고 하는 논리 노드에 위치) 및 비동기식 기능(a-eNB라고 하는 논리 노드에 위치)으로 분류된다. s-eNB와 연관된 기능들의 인스턴스들, 즉, 동기식 기능(synchronous function)(SF)들은 에어 인터페이스에 가장 가까운 노드에 배치된다. 이들은 동기식 기능 그룹(synchronous functional group)(SFG)이라고 불리는 것을 형성할 것이다. 한편, (본 문헌에서 a-eNB라고도 하는) eNB-a와 연관된 비동기식 기능(asynchronous function)(AF)들의 인스턴스들은 에어 인터페이스와 가장 가까운 노드(즉, (본 문헌에서 eNB-s라고도 하는) s-eNB 기능들이 인스턴스화되는 동일한 노드) 또는 고정 네트워크 노드(fixed network node)(FNN)들 중 어느 것에서 유연하게 인스턴스화될 수 있다.
5G 코어 네트워크 아키텍처
3GPP TR 23.799v1.0.2에서 논의되고 문서화된 몇 가지 아키텍처 옵션들이 있다. 다음은 진행 중인 연구 과정에서 확실히 수정될 옵션을 반영한 옵션 6로서, 따라서 수정들이 예상될 수 있다. 아래는 3GPP TR 23.799v1.0.2의 섹션 7.6이다.
7.6.1 일반 사항
NextGen 네트워크 참조 아키텍처는 다음의 양태들을 고려해야 한다.
1) 5G 사용 사례들 및 서비스 요구 사항들 지원
2) 운영 민첩성 실행(극한의 자동화 실행(더 빠른 배치들, 업그레이드들, TCO 절감)
3) 네트워크의 상이한 부분들(예를 들어, 액세스 및 코어)의 독립적인 진화 허용
핵심 아키텍처 원리들 :
- 3GPP 네트워크 기능들로부터 전송 도메인을 추상화하여 독립적인 진화를 허용하고, 오퍼레이터들이 상이한 전송 기술들(예를 들어, 이더넷, MPLS, SDN-기반 전송 등)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3GPP 네트워크 기능들은 전송 도메인에서 이러한 기술들 중 임의의 것에 대한 지원을 위임하지도 배제하지도 않아야 한다.
UP 및 CP 기능들의 확장성을 독립적으로 허용한다.
- CP와 별도로 UP의 유연한 배치, 즉, 중앙식 위치 또는 분산식(원격) 위치를 허용(즉, 위치 제한 없음).
- 상이한 PDU 타입들, 예를 들어, IP, 이더넷의 송신 지원
- 최종 사용자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들로부터 가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 기능들의 분리
- 네트워크 거동 및 최종 사용자 경험을 관리하기 위한 정책 기능의 분리
- 상이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서 상이한 네트워크 구성들 허용.
제어 평면 :
- UE가 특정 기능들이 네트워크에서 지원된다는 것을 신뢰하는 것이 중요하며, 따라서 UE와 네트워크 기능들 간의 멀티-벤더 인터워킹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UE 관점에서, 그것이 네트워크 내에 어떻게 그리고 어디에 존재하는지(예를 들어, 어떤 기능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가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지)는 무관하다.
- 라디오와 코어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기능들 간, 및 코어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기능들 간의 멀티-벤더 인터워킹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동시에, 코어 네트워크에서 지원되는 모듈식(단위(elementary)) 기능들을 추상화하면서, 단일 인터페이스가 라디오를 향해 노출되면 충분하다.
사용자 평면 :
- 다양한 사용자-평면 동작들(다른 UP 기능들/데이터 네트워크들/제어-평면에 대한 포워딩 동작들, 비트레이트 시행 동작들, 서비스 검출 동작들 등 포함)을 지원하는 일반 사용자-평면 기능(UP 기능)이 정의된다
메모 1 : 사용자-평면 동작들의 세부 리스트는 핵심 이슈 4의 결론에 기초할 것이다.
- 제어 평면은 세션에 필요한 트래픽 핸들링 기능을 제공하는 UP 기능을 구성한다. 주어진 사용자-평면 시나리오에 대해 필요에 따라, 세션 당 하나 또는 다수의 UP 기능이 제어-평면에 의해 활성화 및 구성될 수 있다.
- 낮은 레이턴시 서비스들 및 로컬 데이터 네트워크들에 대한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자 평면 기능들이 라디오에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중앙 데이터 네트워크들의 경우, UPF들이 중앙 집중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로컬 및 중앙 집중식 서비스들에 대한 동시 액세스는 다음과 같이 지원된다.
- 로컬 UP 기능(로컬 데이터 네트워크들에 대한 액세스 제공)과 중앙 UP 기능(중앙 데이터 네트워크들에 대한 액세스 제공) 모두에 대한 다수의 PDU 세션들; 또는
- 제어 평면이 2개의 UP 기능을 구성한 단일 PDU 세션 : 하나의 UP 기능은 트래픽 분류 및 로컬 데이터 네트워크 또는 중앙 데이터 네트워크 중 어느 것을 향한 트래픽 스티어링을 수행하고, 다른 UP 기능은 중앙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도 7.6.2-3에 도시됨).
메모 2 : 제어 평면은 또한 로컬 데이터 네트워크 액세스에 대한 단일 PDU 세션 경우에 다수의 UP 기능들을 구성할 수 있다.
도 7.6.2 참조 아키텍처
도 7(3GPP TR 23.799v1.0.2의 섹션 7.6에서는 도 7.6.2-1로 라벨링됨)은 비-로밍 아키텍처 기능도를 도시한다.
도 7.6.2-1 : 비-로밍 참조 아키텍처
도 8(3GPP TR 23.799v1.0.2의 섹션 7.6에서는 도 7.6.2-2로 라벨링됨)은 다수의 PDU 세션들을 사용하여 로컬 및 중앙 데이터 네트워크에 동시에 액세스하는 UE들에 대한 비-로밍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도 7.6.2-2 : 로컬 및 중앙 데이터 네트워크들에 대한 동시 액세스를 위한 비-로밍 참조 아키텍처 적용(다중 PDU 세션 옵션)
도 9(3GPP TR 23.799v1.0.2의 섹션 7.6에서는 도 7.6.2-3으로 라벨링됨)는 로컬 및 중앙 데이터 네트워크들에 대한 동시 액세스가 단일 PDU 세션 내에 제공되는 경우의 비-로밍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도 7.6.2-3 : 로컬 및 중앙 데이터 네트워크들에 대한 동시 액세스를 위한 비-로밍 참조 아키텍처 적용(단일 PDU 세션 옵션)
도 10(3GPP TR 23.799v1.0.2의 섹션 7.6에서는 도 7.6.2-4로 라벨링됨)은 홈 라우팅 시나리오의 경우의 로밍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도 7.6.2-4 : 로밍 참조 아키텍처 - 홈 라우팅 시나리오
도 11(3GPP TR 23.799v1.0.2의 섹션 7.6에서는 도 7.6.2-5로 라벨링됨)은 로컬 브레이크 아웃 시나리오의 경우의 로밍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도 7.6.2-5 : 로밍 참조 아키텍처 - 로컬 브레이크 아웃 시나리오
편집자 메모 : NG6*과 NG6 간의 선택은 PDU 세션이 단일 IP 어드레스/프리픽스를 갖는지 또는 다수의 IP 어드레스/프리픽스들을 갖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두 타입이 모두 지원되어야 하는지 여부는 FFS이다. NG6과 NG6* 간의 구별이 필요한지 여부는 FFS이다.
편집자 메모 : 모든 제어 평면 네트워크 기능들에 대한 상호 연결 모델은 FFS이다.
편집자 메모 : NG8의 H-SMF로부터 NG-SDM으로(즉, 가정 라우팅 시나리오)의 필요성은 FFS이다.
메모 3 : CCF들의 수에 관계없이, UE와 CN 간에는 단 하나의 NAS 인터페이스 인스턴스가 있으며, 이는 적어도 액세스 인증 및 이동성 관리를 구현하는 CCF들 중의 하나에서 종단된다.
메모 4 : 멀티-벤더 개방형(표준화) 인터페이스들을 선택하는 기준이 결정되어야 한다.
7.6.3 네트워크 기능들 및 참조 포인트들
5G 참조 아키텍처는 다음의 기능들로 구성된다.
- NG 가입자 데이터 관리(NG Subscriber Data Management)(NG SDM)
- NG 인증 서버 및 크리덴셜 리포지토리(NG Authentication Server and Credential Repository)(NG ASR)
- NG 정책 제어 기능(NG Policy Control function)(NG PCF)
- NG 코어 이동성 관리 기능(NG Core Mobility Management Function)(NG MMF)
- NG 코어 세션 관리 기능(NG Core Session Management Function)(NG SMF)
- NG 인증 기능(NG Authentication Function)(NG AUF)
- NG 코어 사용자 평면 기능(NG Core User plane function)(NG UPF)
- NG RAN
- NG UE
- 데이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오퍼레이터 서비스들, 인터넷 액세스 또는 제3자 서비스들.
다음은 제어 평면과 사용자 평면 간의 하이 레벨의 기능 분리이다.
NG 이동성 관리 기능(MMF)은 다음의 기능을 포함한다.
- RAN CP 인터페이스(NG2)의 종단
- NAS(NG1)의 종단, NAS 암호화 및 무결성 보호
- 이동성 관리
- 합법적인 차단(MM 이벤트들 및 LI 시스템에 대한 인터페이스의 경우)
- 라우팅 액세스 인증 및 SM 메시지들을 위한 투명한 프록시.
NG 인증 기능(AUF)은 다음의 기능들을 포함한다.
- 액세스 인증
- UE를 서빙하기 위해 NGC의 다른 기능들에 의해 요구되는 키들의 도출.
편집자 메모 : AUF 기능 및 로밍 아키텍처는 NextGen를 위한 보안 프레임워크에 대한 핵심 이슈 #12, SA3 작업의 결과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NG 세션 관리 기능(SMF)은 다음의 기능을 포함한다.
- 세션 관리
- UE IP 어드레스 할당 및 관리(임의적인 허가 포함)
- UP 기능의 선택 및 제어
- 정책 제어 및 과금 기능들에 대한 인터페이스들의 종단
- 시행 및 QoS의 제어 부분을 포함하는 정책 및 과금 규칙들 핸들링
- 합법적인 차단(SM 이벤트들 및 LI 시스템에 대한 인터페이스의 경우)
메모 5 : 모든 MMF, SMF, AUF 기능들이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CCF들의 인스턴스에서 지원될 필요는 없다.
NG 코어 사용자 평면 기능은 다음의 기능을 포함한다.
- 인트라-/인터-RAT 이동성을 위한 앵커 포인트(해당되는 경우)
- 상호 연결의 외부 PDU 세션 포인트(예를 들어, IP).
- 패킷 라우팅 및 포워딩
- 사용자 평면에 대한 QoS 핸들링
- 패킷 검사 및 정책 규칙 시행
- 합법적인 차단(UP 수집)
- 트래픽 어카운팅 및 보고
메모 6 : 모든 UPF 기능들이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사용자 평면 기능의 인스턴스에서 지원될 필요는 없다.
NG 정책 기능은 다음의 기능을 포함한다.
- 네트워크 거동을 관리하기 위한 통합 정책 프레임워크 지원.
- 정책 규칙들을 제공하여 이들을 시행할 평면 기능(들) 제어.
편집자 메모 : NG 정책 기능과 SDM 간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필요성은 FFS이다.
NG ASR은 다음의 기능을 지원한다.
- 인증 크리덴셜 리포지토리 및 프로세싱 기능 - 이 기능은 인증에 사용된 장기 보안 크리덴셜들을 저장한다.
- 인증 서버 기능(AUS) - 이 기능은 AUF와 상호 작용한다.
편집자 메모 : ASR 기능은 NextGen을 위한 보안 프레임워크에 대한 SA3 작업의 결과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NG SDM은 다음의 기능을 지원한다.
- 가입 리포지토리.
5G 참조 아키텍처는 다음의 참조 포인트들을 포함한다.
NG1 : UE와 NG 이동성 관리 기능 간의 참조 포인트.
NG2 : RAN과 NG 이동성 관리 기능 간의 참조 포인트.
NG3 : RAN과 NG 코어 사용자 평면 기능 간의 참조 포인트.
NG4 : NG 코어 세션 관리 기능과 NG 코어 사용자 평면 기능 간의 참조 포인트.
NG5 : NG 코어 세션 관리 기능과 애플리케이션 기능 간의 참조 포인트.
NG11 : 이동성 관리 기능과 세션 관리 기능 간의 참조 포인트.
NG12 : 이동성 관리 기능과 인증 기능 간의 참조 포인트.
NGt : 인증 기능과 ASR 기능 간의 참조 포인트.
NG6 : NG 코어 UP 기능과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DN) 간의 참조 포인트.
NG6* : NG 코어 UP 기능과 로컬 데이터 네트워크 간의 참조 포인트(단일 IP 어드레스/프리픽스로 하나의 PDU 세션에 대해 로컬 및 중앙 데이터 네트워크 모두에 대한 동시 액세스가 제공될 때).
메모 7 : NG6* 메커니즘의 세부 사항들은 3GPP의 범위를 벗어난다.
NG7 : NG 세션 관리 기능과 NG 정책 제어 기능 간의 참조 포인트.
NG8 : NG 이동성 관리 기능, 인증 기능 및 가입자 데이터 관리 간의 참조 포인트.
NG9 : 2개의 NG 코어 사용자 평면 기능 간의 참조 포인트.
NG7r : V-PCF와 H-PCF 간의 참조 포인트.
NG-RC : V-SMF와 H-SMF 간의 참조 포인트.
도 12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다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연결된 사용자 장비(UE)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UE는 공통 CP 기능(Common CP Function)(CCF)에서 단일 NAS 종단 포인트를 갖는다. 이는 RAN이 해당 UE에 대한 단일 제어 평면(CP) 인터페이스를 갖게 한다. 사용자 평면(UP)은 코어 네트워크 인스턴스(Core Network Instance)(CNI) 당 분리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사용되는 하나의 물리적 RAN에 관한 한, 두 가지 양태가 고려되어야 한다. 제1 양태는, 네트워크 슬라이싱이 상이한 사용 사례 또는 비즈니스 시나리오들을 위해 개별 네트워크들을 배치하는 것과 비교하여 비용과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동일한 물리적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에서 여러 개의 상이한 가능 네트워크들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점을 충분히 활용하려면, 슬라이싱 개념에 의해 라디오 자원들 및 인프라스트럭처와 같은 공통 자원들, 및 프론트홀 및 백홀과 같은 슬라이스들 간의 전송 링크들의 효율적 사용을 허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2 양태는, 시스템에 액세스하는 UE들에 사용되는 공통 채널들 또는 자원들을 보호하기 위한 메커니즘들이 필요하므로, 하나의 슬라이스에서의 혼잡이 다른 슬라이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종종 슬라이스 분리라고 함). 현재, 3GPP 시스템에는, 상이한 서비스들로부터의 광범위한 부하에 대해 공통 제어 채널들을 보호하기 위한 일부 지원이 있다. 이러한 메커니즘들은 액세스 클래스 금지(Access Class Barring), 강화된 액세스 금지(Enhanced Access Barring), 서비스 특정 액세스 금지(Service Specific Access Barring)뿐만 아니라 구현 특정 승인 제어 등을 포함한다. 이것들은 다음 섹션에서 설명된다.
다뤄지지 않았던 한 가지 문제는 네트워크에서의 제한된 슬라이스 가용성과 관련된다. 제한된 슬라이스 가용성은 주어진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든 셀들에서 지원되는 것은 아니거나 또는 모든 셀들의 모든 UE들/가입자들에 대해 지원되는 것은 아닌 경우의 시나리오들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UE가 상이한 슬라이스 지원을 갖는 영역들을 오가며 이동 중일 때 문제들이 발생할 것이다. 또한, UE가 연결되고 싶어하거나 이미 등록되어 있는 슬라이스가 해당 영역에서 사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 UE가 처음으로 네트워크에 연결 중일 때(또는 재연결 중일 때),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네트워크에서 제한된 슬라이스 가용성을 핸들링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다. 솔루션들의 이점은 제한된 슬라이스 가용성이 다음과 같은 이슈들을 피하면서 일관된 방식으로 핸들링된다는 것이다.
·제한된 슬라이스 가용성의 영역들에서 이동하는 UE들에 대한 빈번한 시그널링
·UE가 슬라이스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실히 알아서, UE가 연결되어 있지만 UE가 슬라이스가 지원되지 않는 영역으로 이동하였다고 생각하는 경우들을 피하는 것에 의한 일관된 사용자 경험.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들(CN 노드들, 기지국들)이 서로 간에 상이한 슬라이스들에 대한 지원을 동기화하는 것에 의한 네트워크의 슬라이스 가용성의 효율적인 관리
·이것은 슬라이스 가용성을 고려한 이동성 제어를 허용하기 때문에, CN이 RAN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UE에 대한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할 수도 있게 한다는 몇 가지 하위 이점들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특징은, 적절한 경우, 임의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대한 임의의 이점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도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첨부된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기술분야에서의 그들의 일반적인 의미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엘리먼트, 장치, 컴포넌트, 수단, 단계 등"에 대한 모든 참조들은 명시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엘리먼트, 장치, 컴포넌트, 수단, 단계 등의 적어도 하나의 인스턴스를 참조하는 것으로 개방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방법의 단계들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개시된 정확한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이제,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는 실시예들 중 일부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도 본 개시내용의 범주 내에 포함되고,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만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개념의 범주를 전달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된다. 유사한 번호들은 설명 전반에 걸쳐 유사한 엘리먼트들을 지칭한다.
텍스트는 다음와 같이 구조화되어 있다.
·제한된 슬라이스 가용성에 관한 일부 가정들
·네트워크에서 슬라이스 가용성 정보를 핸들링하기 위한 샘플 실시예들. 이들 솔루션들은 진행 중인 UE 세션들과는 독립적이다.
·UE에 대해 네트워크에서 슬라이스 가용성을 핸들링하기 위한 샘플 실시예들
·제한된 슬라이스 가용성을 갖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기 위한 UE에서의 샘플 실시예들
·슬라이스 자원들에 대한 액세스를 관리하기 위한 샘플 방법들
제한된 슬라이스 가용성에 관한 가정들
3GPP 회의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싱에 대한 작업이 진행되고, 일부 텍스트 및 협약은 기술 보고서 등으로 캡처되었다. 그러나, 많이 논의되지 않은 한 가지 토픽은 주어진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모든 기지국들/셀들에서 사용 가능해야 하는지 또는 개념이 기지국/셀들의 서브세트에서만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을 지원해야 하는지이다.
모든 슬라이스들이 모든 기지국 또는 셀에서 사용 가능한 경우가 기술적으로는 간단할지라도, 이것은 가능하지 않다고 가정한다. 오퍼레이터는 특정 지역에서만 슬라이스를 제공하고, 다른 지역들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이 동일한 슬라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하지 않기를 선호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스에 대한 액세스가 네트워크 전반에 제공될 수 없는 일부 특정 비즈니스 또는 성능 수요들을 충족시키는 기업체 사옥, 공장, 가공 지구... 내에서만 매우 위치 의존적인 시나리오들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로부터, 우리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이 셀룰러 네트워크의 모든 기지국에서 사용 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다. 즉, 네트워크들은 통상적으로 제한된 가용성을 갖는 슬라이스들을 지원할 것이다. 제한된 가용성은 본 명세서에서 다음을 의미할 수 있다.
·슬라이스가 특정 영역, 예를 들어, 셀, 영역, 추적 영역에서만 지원되는 것
·슬라이스가 특정 시간 동안에만, 예를 들어, 하루 동안에만, 또는 몇 시간, 며칠, 몇 달, 년이 될 수 있는 주어진 시간 기간 동안에만 사용 가능한 것.
·슬라이스가 특정 사용자들에 대해서만 사용 가능한 것.
·상기의 것의 조합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들에 대해, 특정 영역에서, 특정 시간에만 사용 가능한 것.
네트워크에서 슬라이스 가용성 정보를 핸들링하기 위한 샘플 실시예들.
슬라이스들이 항상 사용 가능하지는 않다는 가정 하에, 가용성에 관한 정보가 네트워크 내에서 어떻게 핸들링될 수 있는지에 대한 솔루션들이 여기에서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다. 솔루션들은 다음과 같다.
·상이한 노드들은 자신들이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관한 지식을 알거나, 또는 이에 의해 구성된다. 여기서, 상이한 노드들은, 예를 들어, 상이한 기지국들(예를 들어, eNB들, gNB)뿐만 아니라 상이한 CN 노드들(MME들, MMF들, NG CN 노드들)일 수 있다.
·노드가 지원하는 슬라이스들에 관한 정보는 그 후 다른 노드들과 교환된다. 이는, 예를 들어, 다음을 가능하게 한다.
o RAN 노드들은 각각의 CN 노드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을 안다. 이것은, UE가 네트워크에 진입하고 슬라이스 ID를 RAN 노드에 제공할 때, CN 노드 선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o 상이한 RAN 노드들은 다른 RAN 노드들이 어떤 슬라이스들을 지원하는지 또는 주어진 슬라이스가 다른 RAN 노드들의 어떤 셀들에서 지원되는지를 알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나중에 UE가 연결되는 슬라이스가 타겟 RAN 노드/셀에서 지원된다는 지식에 기초하여 특정 셀에 대한 UE 핸드오버의 트리거링에 사용될 수 있다.
o CN 노드들은 상이한 RAN 노드들에서 어떤 슬라이스들이 지원되는지를 알기 때문에,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UE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 UE가 연결되는 RAN 노드에서 더 이상 사용 가능하지 않은 슬라이스들에 대한 연결들을 제거한다
■ UE가 새로운 RAN 노드로 이동할 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슬라이스들에 대한 연결들을 추가한다.
■ UE가 통신 중인 RAN 노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지원되지 않는 경우, 슬라이스 연결성을 위해 UE로부터 들어오는 요청을 거부한다.
메모 : 상기 예들은 이후의 실시예들에서 더 정교해진다.
·슬라이스 지원 시그널링은 네트워크 노드들 간의 초기 연결 셋업에서(예를 들어, RAN 노드들 간의 X2/Xn 셋업 또는 CN 노드와 RAN 노드 간의 S1/NG 셋업에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슬라이스 가용성이 변경될 때(예를 들어, 이벤트가 트리거링될 때) 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슬라이스 가용성은 또한,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UE 관련 시그널링과 함께 전달될 수도 있다.
o 기지국들 간의 핸드오버 시그널링에서.
o IDLE로부터 활성 상태로 상태 전이를 수행하는 UE들에 대한 (RAN으로부터 CN으로의) 초기 UE 메시지 동안.
o
UE에 대해 네트워크에서 슬라이스 가용성을 핸들링하기 위한 샘플 실시예들
일관된 UE 성능을 얻기 위해, UE에 대해 제한된 슬라이스 가용성을 핸들링하는 방법에 대한 솔루션들이 제안된다. 몇 가지 실시예들이 고려된다.
UE가 (네트워크 구성에 기초하여) 자체적으로 셀 선택을 수행하는 특징이 있는 저전력 상태의 UE들
셀룰러 네트워크들은 통상적으로 UE가 네트워크에 통지하지 않고 영역을 이동하여 네트워크로부터 페이징을 청취하도록 허용되는 CN IDLE과 같은 절전 단계를 지원한다. CN IDLE에서, 이 영역은 추적 영역 리스트(Tracking Area List)의 영역이다. 그러나, 이것은 셀 또는 셀들의 리스트의 영역일 수도 있다.
제한된 슬라이스 가용성을 갖는 네트워크들에서, 주어진 슬라이스가 모든 셀들에서 지원되지는 않을 수 있다. 그러면, 절전 상태에 있는 UE가 UE가 연결되는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 셀에 캠프 온하는 경우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셀이 자신이 지원하는 모든 슬라이스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거나 또는 절전을 위해 UE가 이러한 정보를 판독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슬라이스가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다는 것을 UE가 알 방법이 없다. 이 문제는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다뤄진다.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CN 노드 또는 RAN 노드)가 UE에 대한 페이징 영역들(페이징 영역은 UE가 이동성 관련 시그널링을 수행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지만, 여전히 네트워크로부터 도달 가능한 영역임)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페이징 영역은 셀들, 추적 영역들, 노드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특정 UE들에 대한 일관된 슬라이스 가용성을 갖는 페이징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주변 네트워크 노드들 및 셀들에서의 슬라이스 가용성에 관한 정보와, UE가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연결되도록 허용되는 슬라이스들에 관한 정보를 결합한다. 이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정보는 과거의 UE 이동성 이력, UE 가입 파라미터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o 여기서, 일관된 슬라이스 가용성은 페이징 영역에 속하는 모든 노드들 또는 셀들에서 동일한 슬라이스에 액세스 가능함을 의미한다.
·그러면, 페이징 영역이 UE로 전달된다. UE는 이동성 시그널링을 생성하지 않고 페이징 영역 내에서 이동하도록 허용된다. UE가 네트워크 외부로 이동하는 경우, UE는 네트워크에 대한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영역 업데이트 절차를 트리거링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노드는 UE가 페이징 영역을 떠났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일단 네트워크 노드들이 UE로부터 영역 업데이트 시그널링을 수신하면, 네트워크 노드는, 필요한 경우,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의 추가 또는 제거를 트리거링할 수 있다. 또한, 잠재적으로 새롭거나 제거되는 슬라이스 연결성을 고려하여, 일관된 슬라이스 가용성을 갖는 새로운 페이징 영역을 생성할 수도 있다. 예로서, UE가 슬라이스 1, 2 및 3에 대한 지원을 갖는 페이징 영역 밖으로 이동하는 경우, UE는 페이징 영역 유지를 담당하는 네트워크 노드를 향해 이동성 시그널링을 수행할 것이다. 그 결과, UE가 슬라이스 1 및 2만이 지원되는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네트워크 노드는 슬라이스 1 및 2가 일관되게 사용 가능한 새로운 페이징 영역을 UE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오버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의해 제어되는 이동성을 갖는 활성 상태의 UE들
UE가 시스템에서 활성화될 때, UE는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전송/수신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네트워크는 핸드오버 절차를 사용하여 이 상태에서 이동성을 제어한다. 네트워크가 모든 노드들, 셀들 또는 주파수 대역들에서 모든 슬라이스들을 지원하지는 않는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UE는, 슬라이스가 지원되지 않는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슬라이스 연결성을 잃게 될 것이다. 이는 서비스 성능의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이 문제는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다뤄진다.
·네트워크 노드가, 예를 들어, UE 이동성, 라디오 측정들, ...을 고려하여, UE들에 대한 네트워크에 의해 제어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UE가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연결되도록 허용되는 슬라이스들을 지원하는 핸드오버 후보 노드 또는 셀 또는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해, 주변 네트워크 노드들 및 셀들에서의 슬라이스 가용성에 관한 정보와, UE가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연결되도록 허용되는 슬라이스들에 관한 정보를 결합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슬라이스가 특정 주파수 계층 또는 라디오 액세스 기술(RAT)에서만 지원되는 사례들을 다룰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UE가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계층 또는 RAT로 지향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인터럽션이 회피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가 강제로 핸드오버를 수행하지만, UE가 연결되는 슬라이스들을 지원하는 노드, 영역, 셀, ...에 대한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할 수 없는 경우, 네트워크 노드(또는 타겟 네트워크 노드)는 UE가 연결되는 슬라이스의 제거를 개시할 수 있다. 능동적으로 제거를 개시함으로써, UE의 숙련된 성능이, 예를 들어, 서비스 타임 아웃에 의존하는 것과 비교하여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솔루션에서, 슬라이스 가용성에 관한 지식을 사용하여 타겟 노드에 의해 명목상 지원되지 않는 슬라이스를 상이한 슬라이스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타겟 노드에서 더 이상 사용 가능하지 않은 슬라이스에 할당된 서비스들은 이제, 허용되는 경우, 타겟 노드에서 사용 가능한 다른 슬라이스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저전력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리턴 중인 UE
이 경우, UE는 활성 상태로 전이하기 위한 요청을 네트워크에 전송, 예를 들어, 시그널링 또는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것이다. 수신 네트워크 노드는 UE 요청을 수락 또는 거부하는 결정을 하기 위해, 네트워크에서의 슬라이스 가용성에 관한 정보와 함께, UE가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되기를 원하는 슬라이스들에 대한 지식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네트워크 노드 A에 연결되어, 슬라이스 B에 대한 연결성을 요청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슬라이스 B를 지원하지 않거나(예를 들어, 일시적일 수 있음), 또는 현재 더 많은 슬라이스 B 사용자들을 지원할 자원들이 남아 있지 않다.
·네트워크 노드는 UE 요청을 거부하거나 또는 다른 슬라이스로 요청을 재지향시킨다.
다른 예는 다음과 같다.
·UE가 네트워크 노드 A에 연결되어, 슬라이스 B에 대한 연결성을 요청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슬라이스 B를 지원하지만 이웃 노드가 슬라이스 B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네트워크 노드들은, UE가 나중에 슬라이스 B를 지원하지 않는 노드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UE 성능이 그다지 양호하지 않을 수 있다고 결정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UE 요청을 거부하거나 또는 다른 슬라이스로 요청을 재지향시킨다.
네트워크가 UE에 전송하는 거부 메시지는 슬라이스가 지원되는 다른 주파수 대역들 등으로의 재지향 지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한된 슬라이스 가용성을 갖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기 위한 UE에서의 샘플 실시예들
또한, 제한된 슬라이스 가용성을 핸들링하기 위한 UE에서의 실시예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UE가 시스템의 브로드캐스트 채널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정보는 네트워크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다). 정보는 셀에서의 슬라이스 가용성, 브로드캐스트 정보가 연관된 주파수와 관련된다. 상이한 하위 실시예들이 다음과 같이 존재한다.
·네트워크가 셀/노드에서의 슬라이스 가용성을 브로드캐스트한다.
·네트워크는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파라미터를 브로드캐스트하며, 이 파라미터로부터 슬라이스 가용성에 대한 매핑은 가능하게는 초기 단계에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구성에 기초하여 UE에서 수행된다.
o 이 실시예의 이점은 셀에서 가능하게는 더 적은 정보가 브로드캐스트될 필요가 있을 수 있으며, 실제 슬라이스 가용성은 이를 알도록 구성된 UE들에 대해서만 알려질 수 있다는 것이다.
UE는, 슬라이스 가용성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면, 다음과 같은 상이한 액션들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에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슬라이스 연결의 셋업 또는 제거를 개시할 수 있다.
·주어진 슬라이스가 지원되지 않는 경우, UE는, 예를 들어, 슬라이스가 지원되는 상이한 셀 또는 주파수 또는 RAT로 셀 또는 주파수 또는 RAT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UE의 하위 계층들은 브로드캐스트된 정보에 기초하여 슬라이스가 사용 가능하다고 또는 사용 가능하지 않다고 상위 계층들에 통지할 수 있다.
·다른 액션들도 가능하다.
슬라이스 자원들에 대한 액세스를 관리하기 위한 샘플 방법들
네트워크에서, 슬라이스 가용성에 관한 지식은 액세스 제어에서뿐만 아니라, 자원들을 너무 상이한 UE들에 할당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가 특정 슬라이스 또는 슬라이스의 그룹과 연관된 슬라이스 정책 파라미터를 UE에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UE가 이 슬라이스 정책 파라미터를 지시하는 슬라이스에 대한 자원들을 요청할 때, RAN은, 예를 들어, 슬라이스가 사용 가능한지 여부에 기초하여 UE 연결을 수락할 수도 있고 거부할 수도 있다.
하나의 노드가 UE가 연결되는 슬라이스에 대한 자원들을 요청하고 있을 때, 유사한 기능이 네트워크 노드들 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자원 요청은 UE가 사용하기를 원하거나 연결되는 슬라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겟 노드(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 또는 핸드오버에서의 타겟 기지국)는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요청을 수락할 수도 있고 거부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슬라이스들에 대한 자원들은 수락되지만 다른 슬라이스들에 대한 자원들은 수락되지 않는 경우, 부분적인 거부도 가능하다.
네트워크 노드들 간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기능은 하나의 노드, 예를 들어, CN 노드가 다른 노드, 예를 들어, RAN 노드로 전송되는 이동성 제한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 이동성 제한 리스트는 UE가 연결되거나 액세스할 수 있는 슬라이스들에 관한 정보, 및 다른 노드들에서의 슬라이스 가용성에 관한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이 이동성 제한 리스트는 그 후 UE가 주어진 슬라이스가 지원되지 않는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UE의 이동성을 제어할 때, 다른 노드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이동성 제한 리스트는 또한 UE 셀 선택을 제어하기 위해 UE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3은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방법은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네트워크 노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들 및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의 예들은 도 1 내지 도 12에 예시되어 있다. 하나의 예로서, 방법은 도 2의 네트워크 노드(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1310)에서, 네트워크 노드(200)는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된 슬라이스 가용성을 획득한다.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은 방법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노드와 동일한 타입의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eNB의 이웃 노드들은 다른 eNB들을 포함할 수 있고, MME의 이웃 노드들은 다른 MME들을 포함할 수 있고, 게이트웨이의 이웃 노드들은 다른 게이트들을 포함할 수 있고, 기타 등등 마찬가지이다).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이웃 노드들은 상이한 타입들의 노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로서, 특정 실시예들에서,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된 슬라이스 가용성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특정 실시예들에서, 라디오 액세스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과 연관된 슬라이스 가용성을 획득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어느 것이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 각각에 의해 지원되는지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서,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은,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 이상이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의 제한된 서브세트만을 지원할 수 있고/있거나,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이 상이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을 지원할 수 있도록, 제한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가질 수 있다.
단계(S1320)에서, 네트워크 노드(200)는,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도 2의 무선 디바이스(210) 또는 도 3의 UE(300)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선 디바이스(210) 및 네트워크 노드(200)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성능은 획득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사용하여 연결성을 관리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도 13에서 논의된 방법의 특정 단계들은 하위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이웃 노드는 복수의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계(S1320)는 임의적인 하위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위 단계(S1321)에서, 네트워크 노드(200)는 무선 디바이스(210)가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어느 것을 사용하기를 요청하는지를 지시하는 슬라이스 식별자를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단일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가 네트워크 노드(200)에서 수신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2개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가 수신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200)에서 수신된 슬라이스 식별자는 무선 디바이스(210)가 사용하기를 요청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각각에 대한 개별 슬라이스 식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위 단계(1322)에서, 네트워크 노드(200)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한다.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것은 단일 코어 네트워크 노드를 선택하는 것,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의 서브세트(예를 들어, 2개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지만, 모든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보다 적은 수의 코어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는 서브세트)를 선택하는 것, 또는 모든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는 그의 기능 그룹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선택된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슬라이스 식별자에 의해 지시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한다. 하위 단계(1323)에서, 네트워크 노드(200)는 무선 디바이스(210)에게 선택된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노드(200)는 무선 디바이스(210)가 요청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적절한 액세스를 제공받도록 보장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이것은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제한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같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에서 제한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이 있을 때 특히 중요하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이웃 노드는 복수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이웃 노드는 하나 이상의 진화된 NodeB 또는 임의의 다른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하나 이상의 이웃 노드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120)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는 단계(1320)는 하위 단계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200)는 무선 디바이스(210)가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어느 것에 연결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200)는 그 후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핸드오버를 위해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210)가 연결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들)를 지원한다. 네트워크 노드(200)는 무선 디바이스(210)의 선택된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로의 핸드오버를 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210)가 현재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들)를 지원하는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로 핸드오버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는 단계는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디바이스와 관련된 핸드오버 절차를 위해 선택된 이웃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간의 연결 제거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200)는, 핸드오버 동안 또는 핸드오버 이전에, 새로운 네트워크 노드에서 지원되지 않는 특정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대한 연결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노드(200)는 무선 디바이스(210)가 핸드오버 후에 지원되지 않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하려고 시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는 단계는, 무선 디바이스(210)로부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200)는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노드(200)는 요청을 거부하고, 무선 디바이스(210)를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재지향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노드(200)는 무선 디바이스(210)가 지원되지 않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하려고 시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는 단계는,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200)는 무선 디바이스(210)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 이웃 네트워크 노드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200)는 무선 디바이스(210)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음을 예측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210)의 이동에 관한 정보 또는 이력 연결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노드(200)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요청을 거부할 수 있고, (즉, 무선 디바이스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 이웃 네트워크 노드로 이동할 가능성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를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재지향시킬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도 13에서 논의된 방법은 임의적인 추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330)에서, 네트워크 노드(200)는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일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갖는 페이징 영역을 생성한다. 페이징 영역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페이징 영역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이 변경되지 않는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의 그룹, 예를 들어, 커버리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페이징 영역은 무선 디바이스(210)에 특정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징 영역은 무선 디바이스(210)가 연결되고/되거나 액세스하도록 요청할 수 있고,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210)에 의해 지원되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을 지원하는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적 단계(S1340)에서, 네트워크 노드(200)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페이징 영역의 지시를 무선 디바이스에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노드(200)는 무선 디바이스(210)에게 페이징 영역 내에서 이동할 때 불필요한 이동성 시그널링을 방지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200)는 무선 디바이스(210)가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하나에 대한 연결을 추가 또는 제거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노드(200)는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일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갖는 새로운 페이징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200)는 어느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이 변경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의 세트를 지원하는지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새로운 페이징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200)는 그 후 새로운 페이징 영역을 무선 디바이스에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노드(200)는, 무선 디바이스(210)가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대한 연결들을 추가 또는 제거하는 경우에도, 무선 디바이스(210)에 의한 불필요한 이동성 시그널링을 계속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10)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는 단계는 무선 디바이스(210)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간의 연결을 제거하는 하위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200)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 라디오 액세스 노드에 연결된다고 결정한다. 이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노드(200)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연결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선 디바이스(210)는 연결된 라디오 액세스 노드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하려고 시도되는 것이 방지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10)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는 단계는 무선 디바이스(210)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간의 연결을 추가하는 하위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라디오 액세스 노드에 연결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노드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연결을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선 디바이스(210)는, 라디오 액세스 노드를 통해 사용 가능할 때,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연결을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210)는 무선 디바이스(210)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10)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현재 연결된 라디오 액세스 노드 상에서 사용 가능하지 않을 때, 대안적인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동일한 라디오 액세스 노드를 통해 또는 라디오 액세스 노드들을 변경한 후에 사용 가능하게 되는 경우, 무선 디바이스(210)를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10)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는 단계는, 무선 디바이스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 라디오 액세스 노드에 연결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를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요청을 거부하는 하위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10)는 이전에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한 라디오 액세스 노드에 연결되었을 수 있지만, 지금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 제2 라디오 액세스 노드에 연결되었다. 다른 예로서, 연결된 라디오 액세스 노드가 더 이상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무선 디바이스(210)를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자원들을 더 이상 갖지 않을 수도 있으며, 따라서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각각은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의 네트워크 기능들과 상이한 특성들을 갖는 개개의 네트워크 기능을 지원하는 개개의 논리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각각은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의해 지원되는 비즈니스 동작들과 독립적인 개개의 비즈니스 동작을 지원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 간의 초기 연결 셋업 동안 획득된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의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는 그들 자신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 상에서 어떤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이 지원되는지에 액세스할 수 있다. 노드들 간의 초기 연결 셋업 동안, 네트워크 노드(200)는 자신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 정보를 통신하고, 이웃 노드들로부터 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노드(200)는 초기 연결 셋업 동안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 간의 핸드오버 시그널링으로부터 획득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들은, 무선 디바이스(210)의 핸드오버를 위해 신호를 통신할 때, 자신들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가 그의 이웃 노드들 중 하나의 노드(예를 들어, 이웃 노드 A)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획득하였으면, 네트워크 노드는 이웃 노드 A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그의 이웃 노드들 중 다른 노드(예를 들어, 이웃 노드 B)로 포워딩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노드들은 그들 자신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교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은, 예를 들어, 추가적인 파라미터 또는 메시지로서 기존의 핸드오버 시그널링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의 적어도 일부는 무선 디바이스가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상태 전이를 수행하는 것에 응답하여 획득된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10)는 상태 전이 동안 무선 디바이스(210)에 알려진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노드(200)는, 무선 디바이스(210)가 활성 상태로 전이함에 따라, 그의 연결을 관리하는 데 유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도 13에서 논의된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200)에서 슬라이스 연결 정보를 유지하는 추가적인 단계를 포함한다. 슬라이스 연결 정보는 무선 디바이스(210)가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어느 것에 연결되는지를 지시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200)는 무선 디바이스(210)가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하나에 대한 연결을 추가 또는 제거하였다는 지시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10)는 더 이상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액세스를 필요로 하지 않거나, 또는 다른 또는 추가적인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액세스를 원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200)는 수신된 지시에 기초하여 그 슬라이스 연결 정보(네트워크 노드(200)에 의해 유지되는 슬라이스 연결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노드(200)는 무선 디바이스(210)에 대한 현재의 슬라이스 연결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슬라이스 연결 정보는, 예를 들어, 슬라이스 연결 정보의 시그널링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관리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무선 디바이스(210)의 연결을 관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200)는 자신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 및/또는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파라미터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200)는 네트워크 노드(200)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 이상에 통신한다.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210)는 네트워크 노드(200) 및/또는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해 파라미터로부터 결정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노드(200)는 제한된 가용성 시나리오에서 연결들을 관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의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210) 또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단일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 또는 네트워크 전반에 분산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기능의 일부를 제공할 수 있고,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기능의 다른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 노드를 선택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 상에 구현된 하나 이상의 기능 그룹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200)는 몇몇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고, 몇몇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 전역의 해당 기능들에 대한 액세스를 무선 디바이스(210)에 제공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노드를 선택하는 것은 네트워크 노드를 전체적으로 선택하는 것, 또는 네트워크 노드 내의 컴포넌트들의 서브세트(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자원들, 메모리 등의 서브세트)에 제한되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 내의 기능 그룹 또는 기능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도 2의 무선 디바이스(210) 또는 도 3의 UE(300)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S1410)에서, 무선 디바이스(210)는, 네트워크 노드(200)와 같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정보를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브로드캐스트로 수신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하기 전에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 기초한다.
단계(S1420)에서, 무선 디바이스(210)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네트워크 노드(200)에 연결성 요청을 통신한다.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210)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10)는 네트워크 노드(200)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210)는 네트워크 노드(200)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그의 연결성 요청을 통신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무선 디바이스의 연결 요구에 기초한 무선 디바이스의 제1 선택일 수도 있고,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노드(200)에서의 가용성에 기초한 대안적인 선택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10)는,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상태 전이를 수행할 때,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200)에 통신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도 14에서 논의된 방법은 추가적인 임의적인 단계들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10)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 연결의 셋업을 개시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10)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 연결의 제거를 개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선 디바이스(210)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 연결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10)는 무선 디바이스(210)가 연결되는 네트워크 노드들 상에서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대한 연결을 유지하거나 확립하기만을 원할 수 있다. 그렇게 함에 있어서, 무선 디바이스(210)는 지원되지 않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액세스하려는 시도를 방지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10)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정보에 기초하여 셀, 주파수, 또는 라디오 액세스 기술 중 하나 이상의 것의 재선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특정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현재의 셀, 주파수 및/또는 라디오 액세스 기술에서 사용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10)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셀, 주파수 및/또는 라디오 액세스 기술을 선택하기 위한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재선택을 수행하는 단계는 무선 디바이스가 동작 중인 현재의 셀, 주파수 또는 라디오 액세스 기술(RAT)이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210)는 그 후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새로운 셀, 주파수 또는 RAT를 선택할 수 있다. 일단 선택되면, 무선 디바이스(210)는 그 후 새로운 셀, 주파수 또는 RAT를 통해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선 디바이스(210)는, 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현재의 셀, 주파수 또는 라디오 액세스 기술에서 사용 가능하지 않더라도, 이에 연결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10)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시하는 슬라이스 식별자를 통신한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10)는 슬라이스 식별자를 네트워크 노드(200)에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200)는 그 후 무선 디바이스가 어떤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하기를 요청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노드(200)는 어떤 코어 네트워크 노드가 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을 지원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0)는 그 후 슬라이스 식별자에 의해 지시된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선 디바이스(210)는 네트워크 노드(200)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원하는 연결들을 제공하기 위해 정확한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10)는 제2 네트워크 노드로의 핸드오버 절차의 개시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10)는 그 후 제2 네트워크 노드로의 핸드오버를 완료하고, 제2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선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 노드로 핸드오버됨에도 불구하고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계속 액세스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10)는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일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갖는 페이징 영역을 수신한다. 페이징 영역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를,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포함한다. 예를 들어, 페이징 영역은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 중 어느 것이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지에 대한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10)는, 무선 디바이스가 페이징 영역 내에 있을 때, 이동성 시그널링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노드들 간에 이동하는 경우에도, 페이징 영역 내에서 이동할 때에는 임의의 이동성 시그널링을 억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가 수신된 페이징 영역 외부로 이동할 때, 무선 디바이스(210)는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영역 업데이트 시그널링을 통신한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10)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 네트워크 노드로 이동하는 경우, 무선 디바이스(210)는 현재의 네트워크 노드에 전송할 영역 업데이트를 생성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10)는 그 후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일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갖는 새로운 페이징 영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10)는 무선 디바이스(210)가 연결된 현재의 네트워크 노드에서 지원되는 것과 동일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을 지원하는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을 포함하는 페이징 영역을 수신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10)는 무선 디바이스(210)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연결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에 통신한다. 무선 디바이스(210)는 그 후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핸드오버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 있다. 핸드오버 시그널링은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 및 무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후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오버 후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210)가 연결되거나 요청할 가능성이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각각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노드이도록 선택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10)는 그 후 핸드오버 후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선 디바이스(210)는 네트워크 노드(200)가 무선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적절한 핸드오버 후보를 선택하기에 충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핸드오버 후보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다. 무선 디바이스(210)는 그 후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10)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거나 또는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가장 중첩된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단계들 또는 특징들은 단지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한다. 모든 실시예들이 개시된 모든 단계들 또는 특징들을 포함할 필요도 없고, 또한 단계들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거나 설명된 정확한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가 없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단계들 중 하나 이상에 고유한 단계들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 예시되거나 설명되지 않은 단계들 또는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적절한 단계들, 방법들 또는 기능들은, 예를 들어, 위의 도면들 중 하나 이상에 예시된 컴포넌트들 및 장비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리지(203)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202)(및 인터페이스(201) 및 스토리지(203)와 같은 임의의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 엔티티들 및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임의의 적절한 단계들, 방법들 또는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각각의 기능 모듈은 소프트웨어, 컴퓨터 프로그램들, 서브 루틴들, 라이브러리들, 소스 코드, 또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기능 모듈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또는 모든 기능 모듈은 가능하게는 스토리지(213 및/또는 203)와 협력하여 프로세서들(212 및/또는 20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들(212 및/또는 202) 및 스토리지(213 및/또는 203)는 프로세서들(212 및/또는 202)이 스토리지(213 및/또는 203)로부터 명령어들을 패치하도록 허용하고, 페치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개개의 기능 모듈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단계들 또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의 특정 양태들은 일부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위에서 개시된 것들 이외의 실시예들도 동일하게 가능하고, 본 발명의 개념 의 범주 내에 있다. 유사하게, 다수의 상이한 조합들이 논의되었지만, 모든 가능한 조합들이 개시되지는 않았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른 조합들이 존재하고 또한 본 발명의 개념의 범주 내에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다른 표준 및 통신 시스템들에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며, 다른 특징들과 관련하여 개시된 특정 도면으로부터의 임의의 특징은 임의의 다른 도면에 적용될 수 있고, 또는 상이한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개시 내용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들 및 장치들에 대한 수정들, 추가들 또는 생략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시스템들 및 장치들의 컴포넌트들은 통합될 수도 있고 분리될 수도 있다. 또한, 시스템들 및 장치들의 동작들은 더 많은, 더 적은, 또는 다른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들 및 장치들의 동작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다른 로직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로직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문헌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각각의"는 세트의 각각의 구성원 또는 세트의 서브세트의 각각의 구성원을 지칭한다.
본 개시내용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에 대한 수정들, 추가들 또는 생략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방법들은 더 많은, 더 적은 또는 다른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들은 임의의 적절한 순서대로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특정 실시예들의 측면에서 설명되었지만, 실시예들의 변경들 및 치환들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들의 상기 설명은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지 않는다. 다음의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변경들, 대체들 및 수정들이 가능하다.

Claims (74)

  1. 제1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획득하는 단계(S1310) -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어느 것이 상기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 각각에 의해 지원되는지를 지시함 -;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는 단계(S1320)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각각은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의 네트워크 기능들과 상이한 특성들을 갖는 개개의 네트워크 기능을 지원하는 개개의 논리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각각은 상기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의해 지원되는 비즈니스 동작들과 독립적인 개개의 비즈니스 동작을 지원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웃 노드는 복수의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어느 것을 사용하기를 요청하는지를 지시하는 슬라이스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S1321);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상기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단계(S1322) - 상기 하나 이상의 선택된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슬라이스 식별자에 의해 지시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함 -;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게 상기 하나 이상의 선택된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단계(S1323)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스 식별자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사용하기를 요청하는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각각에 대한 개별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웃 노드는 복수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어느 것에 연결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핸드오버를 위해 상기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 상기 선택된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들)를 지원함 -;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상기 선택된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로의 핸드오버를 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 라디오 액세스 노드에 연결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간의 연결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라디오 액세스 노드에 연결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간의 연결을 추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 라디오 액세스 노드에 연결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요청을 거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 간의 초기 연결 셋업 동안 획득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 간의 핸드오버 시그널링으로부터 획득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상태 전이를 수행하는 것에 응답하여 획득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서 슬라이스 연결 정보를 유지하는 단계 - 상기 슬라이스 연결 정보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어느 것에 연결되는지를 지시함 -;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하나에 대한 연결을 추가 또는 제거하였다는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유지되는 상기 슬라이스 연결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일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갖는 페이징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S1330) - 상기 페이징 영역은,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상기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 -;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상기 페이징 영역의 지시를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통신하는 단계(S1340)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하나에 대한 연결을 추가 또는 제거하였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일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갖는 새로운 페이징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새로운 페이징 영역을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통신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 관련된 핸드오버 절차를 위해 선택된 이웃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간의 연결 제거를 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요청을 거부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재지향시키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 이웃 네트워크 노드로 이동할 가능성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을 거부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재지향시키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상기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파라미터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상기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 이상에 통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
  23.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410); 및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성 요청을 통신하는 단계(S1420) -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상기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됨 -
    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브로드캐스트로 수신되는 방법.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 기초하는 방법.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 연결의 셋업을 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7. 제23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 연결의 제거를 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8.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셀, 주파수, 또는 라디오 액세스 기술 중 하나 이상의 것의 재선택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재선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동작 중인 현재의 셀, 주파수 또는 라디오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RAT)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새로운 셀, 주파수 또는 RAT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새로운 셀, 주파수 또는 RAT를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0. 제23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시하는 슬라이스 식별자를 통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슬라이스 식별자에 의해 지시된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1. 제23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네트워크 노드로의 핸드오버 절차의 개시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함 -;
    제2 네트워크 노드로의 핸드오버를 완료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2. 제22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상태 전이를 수행할 때,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상기 정보를 다른 네트워크 노드에 통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3. 제23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일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갖는 페이징 영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페이징 영역은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를, 상기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포함함 -;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페이징 영역 내에 있을 때, 이동성 시그널링의 생성을 방지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수신된 페이징 영역 외부로 이동할 때,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영역 업데이트 시그널링을 통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일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갖는 새로운 페이징 영역을 수신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5. 제23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연결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통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핸드오버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핸드오버 시그널링은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후보를 포함함 -; 및
    상기 핸드오버 후보에 연결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후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으며, 상기 방법은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연결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7.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동작 가능한 스토리지(203) 및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프로세서(202)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200)로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획득하고 -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어느 것이 상기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 각각에 의해 지원되는지를 지시함 -,
    상기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도록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각각은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의 네트워크 기능들과 상이한 특성들을 갖는 개개의 네트워크 기능을 지원하는 개개의 논리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각각은 상기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의해 지원되는 비즈니스 동작들과 독립적인 개개의 비즈니스 동작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노드.
  40.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웃 노드는 복수의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도록 동작 가능한 것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어느 것을 사용하기를 요청하는지를 지시하는 슬라이스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상기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 상기 선택된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슬라이스 식별자에 의해 지시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함 -,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게 상기 하나 이상의 선택된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한 것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스 식별자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사용하기를 요청하는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각각에 대한 개별 슬라이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42. 제37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웃 노드는 복수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도록 동작 가능한 것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어느 것에 연결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핸드오버를 위해 상기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 상기 선택된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들)를 지원함 -,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상기 선택된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로의 핸드오버를 개시하도록
    동작 가능한 것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43. 제37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도록 동작 가능한 것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 라디오 액세스 노드에 연결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간의 연결을 제거하도록 동작 가능한 것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44. 제37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도록 동작 가능한 것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라디오 액세스 노드에 연결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 간의 연결을 추가하도록 동작 가능한 것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45. 제37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도록 동작 가능한 것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 라디오 액세스 노드에 연결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요청을 거부하도록 동작 가능한 것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46. 제37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 간의 초기 연결 셋업 동안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하도록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47. 제37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 간의 핸드오버 시그널링으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하도록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48. 제37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상태 전이를 수행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하도록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49. 제37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서 슬라이스 연결 정보를 유지하고 - 상기 슬라이스 연결 정보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어느 것에 연결되는지를 지시함 -,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하나에 대한 연결을 추가 또는 제거하였다는 지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유지되는 상기 슬라이스 연결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50. 제37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일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갖는 페이징 영역을 생성하고 - 상기 페이징 영역은,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상기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 -,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상기 페이징 영역의 지시를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통신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하나에 대한 연결을 추가 또는 제거하였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일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갖는 새로운 페이징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새로운 페이징 영역을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통신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52. 제37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도록 동작 가능한 것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 관련된 핸드오버 절차를 위해 선택된 이웃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간의 연결 제거를 개시하도록 동작 가능한 것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53. 제37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도록 동작 가능한 것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요청을 거부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재지향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것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54. 제37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도록 동작 가능한 것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 이웃 네트워크 노드로 이동할 가능성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을 거부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재지향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것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55. 제37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상기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파라미터를 브로드캐스트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56. 제37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상기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 이상에 통신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57. 제37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인 네트워크 노드.
  58. 제37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인 네트워크 노드.
  59.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동작 가능한 스토리지(213, 330) 및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프로세싱 회로(212, 315)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211, 300)로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정보를 수신하고,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성 요청을 통신하도록 -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상기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됨 -
    동작 가능한 무선 디바이스.
  60. 제59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브로드캐스트로 수신되는 무선 디바이스.
  61. 제59항 또는 제60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 기초하는 무선 디바이스.
  62. 제59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 연결의 셋업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한 무선 디바이스.
  63. 제59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 연결의 제거를 개시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한 무선 디바이스.
  64. 제59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셀, 주파수, 또는 라디오 액세스 기술 중 하나 이상의 것의 재선택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한 무선 디바이스.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재선택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것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동작 중인 현재의 셀, 주파수 또는 라디오 액세스 기술(RAT)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결정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새로운 셀, 주파수 또는 RAT를 선택하고,
    상기 새로운 셀, 주파수 또는 RAT를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하도록
    동작 가능한 것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66. 제59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시하는 슬라이스 식별자를 통신하고,
    상기 슬라이스 식별자에 의해 지시된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액세스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한 무선 디바이스.
  67. 제59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 노드로의 핸드오버 절차의 개시를 수신하고 -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함 -,
    제2 네트워크 노드로의 핸드오버를 완료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한 무선 디바이스.
  68. 제59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상태 전이를 수행할 때,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상기 정보를 다른 네트워크 노드에 통신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한 무선 디바이스.
  69. 제59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일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갖는 페이징 영역을 수신하고 - 상기 페이징 영역은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를, 상기 이웃 네트워크 노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포함함 -,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페이징 영역 내에 있을 때, 이동성 시그널링의 생성을 방지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한 무선 디바이스.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수신된 페이징 영역 외부로 이동할 때,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영역 업데이트 시그널링을 통신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일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갖는 새로운 페이징 영역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한 무선 디바이스.
  71. 제59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연결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통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핸드오버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 상기 핸드오버 시그널링은 이웃 네트워크 노드들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후보를 포함함 -,
    상기 핸드오버 후보에 연결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한 무선 디바이스.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후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으며,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연결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한 무선 디바이스.
  73.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을 획득하기(S1310) 위한 프로그램 코드 -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은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 어느 것이 상기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 각각에 의해 지원되는지를 지시함 -;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이웃 네트워크 노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의 슬라이스 연결성을 관리하기(S1320) 위한 프로그램 코드
    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74.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정보를 수신하기(S1410)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성 요청을 통신하기(S1420) 위한 프로그램 코드 - 상기 제1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과 연관된 상기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됨 -
    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197016090A 2016-11-04 2017-11-03 제한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 핸들링 KR102205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17677P 2016-11-04 2016-11-04
US62/417,677 2016-11-04
PCT/IB2017/056895 WO2018083664A1 (en) 2016-11-04 2017-11-03 Handling limited network slice availabi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555A true KR20190073555A (ko) 2019-06-26
KR102205626B1 KR102205626B1 (ko) 2021-01-21

Family

ID=60543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090A KR102205626B1 (ko) 2016-11-04 2017-11-03 제한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 핸들링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638204B2 (ko)
EP (1) EP3536043A1 (ko)
JP (2) JP2020502884A (ko)
KR (1) KR102205626B1 (ko)
CN (1) CN110140386B (ko)
IL (1) IL266392B (ko)
MX (1) MX2019005226A (ko)
WO (1) WO2018083664A1 (ko)
ZA (1) ZA2019030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2579B (zh) * 2017-11-30 2022-05-17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装置
US10904947B2 (en) * 2018-05-16 2021-01-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ssage and system for application function influence on traffic routing
EP3570588B1 (en) * 2018-05-18 2023-08-30 Ntt Docomo, Inc. Core resource distribution
EP3589064B1 (en) * 2018-06-21 2021-06-23 Nokia Technologies Oy Connection re-establishment, connection setup and cell selection in wireless networks
CN110769458B (zh) * 2018-07-27 2021-09-07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接入网设备和终端设备
WO2020025121A1 (en) * 2018-08-01 2020-02-06 Nokia Technologies Oy Short stay handover with slice-unavailability
US11646942B2 (en) * 2018-08-09 2023-05-09 Ntt Docomo, Inc. Slice oper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slice operation method
EP3837881B1 (en) 2018-08-14 2022-10-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at network slice coverage boundary
CN113439450B (zh) * 2019-02-18 2023-10-27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通信的装置、方法、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954148A1 (en) * 2019-04-12 2022-02-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dating record of border cells
CN112073991B (zh) * 2019-06-10 2022-05-06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接入网的业务处理方法及设备
US11356940B2 (en) * 2019-07-30 2022-06-07 Qualcomm Incorporated Mobility enhancement with network slicing
US11483765B2 (en) 2019-11-06 2022-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network sl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039359B1 (en) 2019-11-19 2021-06-15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ndovers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lices
CN114747249A (zh) 2019-11-27 2022-07-12 内西亚公司 移动网络中的切片保证
US11870661B2 (en) 2020-01-02 2024-01-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slice instance provisioning based on a permissioned distributed ledger
WO2021147099A1 (zh) * 2020-01-23 2021-07-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切片重定向的方法和装置
CN113473509B (zh) * 2020-03-30 2023-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容灾处理方法及装置
CN111669792B (zh) * 2020-05-22 2022-02-18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小区切换方法及装置
CN111586807B (zh) * 2020-05-22 2022-04-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网络接入方法及通信装置
CN113747605B (zh) * 2020-05-28 2023-11-17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装置
US11979339B1 (en) * 2020-08-19 2024-05-07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Modular schedulers and associated methods
EP4152788A4 (en) * 2020-10-16 2023-12-06 NEC Corporation UE, CENTRAL NETWORK NODE, ACCESS NETWORK NODE, AMF DEVICE, TERMINAL AND RELATED METHOD
US20220217548A1 (en) * 2020-12-11 2022-07-07 Parallel Wireless, Inc. Continuously Evolving Network Infrastructure with Real-Time intelligence
KR20230149824A (ko) * 2021-03-04 2023-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스 특정 rach 설정을 사용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2205330A1 (en) * 2021-04-01 2022-10-06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slice selection for inactive state and reestablishment
CN116941291A (zh) * 2021-04-13 2023-10-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切片感知小区选择与随机接入技术
US20230058696A1 (en) * 2021-08-19 2023-02-23 T-Mobile Innovations Llc Wireless access node selection based on wireless network slice support
US11825407B2 (en) * 2021-08-27 2023-11-2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 slice and frequency selection
US20230254267A1 (en) * 2022-02-08 2023-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policy management in media applications using network slicing
US20240064183A1 (en) * 2022-08-18 2024-02-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exible orchestration of session content in venue network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7963A1 (en) * 2007-08-16 2009-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between heterogeneous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35846B2 (ja) 2012-08-29 2015-1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仮想ノードのマイグレーション方法
JP2016184853A (ja) * 2015-03-26 2016-10-20 株式会社Nttドコモ 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CN105813195B (zh) 2016-05-13 2019-05-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按需为终端选择移动性管理机制的方法及装置
CN106060900B (zh) 2016-05-13 2019-12-1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网络切片的接入控制方法及装置、终端化小区和sdn控制器
US11153813B2 (en) * 2017-08-11 2021-10-1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Network slice for visited networ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7963A1 (en) * 2007-08-16 2009-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between heterogeneous system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66931* *
3GPP TR23.799 v0.3.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66392A (en) 2019-06-30
CN110140386B (zh) 2022-08-19
JP2020502884A (ja) 2020-01-23
EP3536043A1 (en) 2019-09-11
JP7411703B2 (ja) 2024-01-11
CN110140386A (zh) 2019-08-16
US11638204B2 (en) 2023-04-25
WO2018083664A1 (en) 2018-05-11
ZA201903047B (en) 2022-11-30
JP2022095748A (ja) 2022-06-28
IL266392B (en) 2022-06-01
MX2019005226A (es) 2019-08-12
US20210282082A1 (en) 2021-09-09
KR102205626B1 (ko)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626B1 (ko) 제한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용성 핸들링
US11363435B2 (en) Network slicing-aware access network
US10638405B2 (en) Access control in a network comprising network slices
EP2868135B1 (en) Offloading of user plane packets from a macro base station to an access point
JP5970614B2 (ja) マルチネットワークジョイント伝送に基づくオフロード方法、システム及び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要素
CN110226337A (zh) 一种接入目标小区的方法以及设备
EP2996386B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cell updates within a small cell cluster for mobility in cell paging channel mode
EP2953405B1 (en) Method, non-transitory tangible media and apparatus for small cell gateway core network selection in a multi-operator core network environment
US9282465B2 (en) Multi-operator core network shared small cell deployment in a non-multi-operator macro network environment
US10986691B2 (en) Base station grouping for topology hiding
US88053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tuning in heterogeneous networks
TW201703567A (zh) 中立主機網路中的重定向
EP2724580B1 (en) Interference control
US20150341899A1 (en) Reducing paging delays using location analytics in communications networks
Frauendorf et al. The different architectures used in 1g, 2g, 3g, 4g, and 5g networks
WO2022151129A1 (en) P-bsr enhancements for iab networks to improve e2e latency
WO2021203267A1 (en) Cell selection for iab nodes
KR101612214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OA19342A (en) Handling limited network slice availability
US202400231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tocol conversion for low power wide area technologies
CA3228295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Baur Heterogeneous networks—meeting mobile broadband expectations with maximum efficien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