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513A -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513A
KR20190073513A KR1020197015443A KR20197015443A KR20190073513A KR 20190073513 A KR20190073513 A KR 20190073513A KR 1020197015443 A KR1020197015443 A KR 1020197015443A KR 20197015443 A KR20197015443 A KR 20197015443A KR 20190073513 A KR20190073513 A KR 20190073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uplink control
time domain
transmitting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4803B1 (ko
Inventor
다 왕
지안 왕
윤 류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17026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9648A/ko
Publication of KR20190073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W72/041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 방법은 제1 디바이스가,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디바이스가, 제1 심볼 수량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자원상에서 제2 디바이스에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 상향링크 제어 신호에 포함된 심볼의 수량은 제2 심볼 수량이며, 제2 심볼 수량은 제1 심볼 수량보다 크거나 동일함 -를 포함한다.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에 따르면, 상향링크 제어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자원 상에서 송신됨으로써,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의 지연이 감소될 수 있고, 자원 오버헤드가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2 디바이스 및 제1 디바이스는 통신 프로세스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또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를 전송한다(transmit).
또한, 종래 기술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각각의 상향링크 전송 서브 프레임의 심볼의 수량은 고정되어 14이고, 각각의 상향링크 제어 신호는 오직 하나의 자원상에서만 송신(send)된다.
그러나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각 자원에 포함되는 심볼의 수량이 변하고, 모든 자원이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해 14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향링크 제어 신호에 의해 점유되는 심볼의 수량 및 전송 전력에 대한 통신 서비스의 요건 또한 다양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14보다 크거나 같거나 작은 심볼 수량을 점유하는 것에 의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자원에 포함된 심볼 수량이 상향링크 제어 신호의 전송 전력 요건을 만족시킬 수 없을 수 있다. 이 경우, 자원의 고정된 심볼 수량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종래의 전송 방법이 사용되면, 단말 디바이스는 자원에 포함되는 심볼 수량이 전송 전력 요건을 만족할 수 있을 때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는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고 상향링크 제어 신호의 전송 지연을 증가시킨다.
본 출원은 통신 자원의 낭비를 감소시키고 상향링크 제어 신호의 전송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측면에 따르면,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은, 제1 디바이스가,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디바이스가, 제1 심볼 수량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자원 상에서 제2 디바이스에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 상향링크 제어 신호에 포함된 심볼의 수량은 제2 심볼 수량이며, 제2 심볼 수량은 제1 심볼 수량보다 크거나 동일함 -를 포함한다.
상향링크 제어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자원을 통해 송신된다. 자원에 포함된 심볼의 수량이 제1 심볼 수량보다 작은 경우, 상향링크 제어 신호가 상기 자원을 포함하는 복수의 자원을 점유하는 것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이는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의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고, 자원 오버헤드(overhead)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신호는 제1 심볼 수량보다 수량을 가지는 심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송신되어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동안 자원 스케줄링 유연성을 개선시킨다.
제1 측면을 참조하여 제1 측면의 제1 구현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참조 신호에 기반하여 제1 측정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디바이스가, 제1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참조 신호를 사용하여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하며, 제1 참조 신호는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의 채널 품질을 반영한다. 따라서, 제1 참조 신호를 사용하여 결정되는 제1 심볼 수량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 품질과 연관된다. 이는 제2 디바이스와 제1 디바이스 간의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측면 및 제1 측면의 전술한 구현을 참조하여,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은,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1 정보는 제1 측정 결과와 제1 심볼 수량 사이의 매핑 관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됨 -;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1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1 디바이스가, 매핑 관계 및 제1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 및 제1 측면의 전술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1 측면의 제3 구현에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은, 제1 디바이스가, 제2 정보를 제2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 제2 정보는 제2 심볼 수량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를 더 포함한다.
상향링크 제어 신호에 포함된 심볼의 수량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 제2 정보가 제2 디바이스로 송신됨으로써, 제2 디바이스는 보다 의도적으로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이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정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제1 측면 및 제1 측면의 전술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1 측면의 제4 구현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3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3 정보는 제1 심볼 수량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및 제1 디바이스가, 제3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참조 신호에 기반하여 제2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되는 제1 심볼 수량이 제1 디바이스에 송신되며, 제1 심볼 수량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의 채널 품질과 연관된다. 이는 제2 디바이스와 제1 디바이스 사이의 상향링크제어 신호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상향링크 제어 신호의 전송 범위를 보장할 수 있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전술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1 측면의 제5 구현에서, 적어도 하나의 자원을 점유하는 것에 의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제1 디바이스가,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하고,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에 위치되는 상향링크 전송 심볼과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이후에 위치되는 상향링크 전송 심볼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디바이스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기 위한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하고,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에 위치되는 상향링크 전송 심볼 및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이후에 위치되는 상향링크 전송 심볼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제2 디바이스는 보다 의도적으로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이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정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제1 측면 및 제1 측면의 전술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1 측면의 제6 구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원을 점유하는 것에 의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제1 디바이스가,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및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이후에 위치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들 중 적어도 하나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 및 제1 측면의 전술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1 측면의 제7 구현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하는 것은,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4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4 정보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를 포함한다.
제2 디바이스가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을 제1 디바이스에 지시함으로써, 제1 디바이스가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전송할 때 점유되는 시간-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보다 유연하게 된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전술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1 측면의 제8 구현에서, 적어도 하나의 자원을 점유하는 것에 의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제1 디바이스가,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 M≥≥1임 -; 및 제1 디바이스가,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상향링크 전송 심볼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디바이스가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하고,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제2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보다 의도적으로 수신한다. 이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정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제1 측면 및 제1 측면의 전술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1 측면의 제9 구현에서, 제1 디바이스가,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M이 1보다 클 때, 제1 디바이스가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 적어도 하나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 및 제1 측면의 전술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1 측면의 제10 구현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5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5 정보는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됨 -를 포함한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전술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1 측면의 제11 구현에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은, 제1 디바이스가, 제1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자원을 점유하는 것에 의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제1 디바이스가 제1 자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 제1 자원은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포함함 -를 포함한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전술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1 측면의 제12 구현에서, 상기 제1 심볼 수량은 제2 디바이스와 제1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의 채널 품질과 연관된다.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의 채널 품질과 연관된 제1 심볼 수량을 생성하는 것은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운반하는 데 사용된 심볼의 수량에 기반하여 결정된 상향링크 제어 신호의 전력이 현재 채널 상태를 만족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디바이스와 제1 디바이스 사이의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의 신뢰성은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심볼의 수량을 결정하는 유연성(flexibility)에 기반하여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자원의 낭비를 회피할 수 있고, 통신 신뢰성 및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측면에 따르면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은, 제2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자원 상에서, 제1 심볼 수량에 기반하여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향링크 제어 신호에 포함된 심볼의 수량은 제2 심볼 수량이며, 제2 심볼 수량은 제1 심볼 수량보다 크거나 동일함 -를 포함한다.
상향링크 제어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자원 상에서 송신된다. 자원에 포함된 심볼의 수량이 제1 심볼 수량보다 작은 경우, 상기 자원을 포함하는 복수의 자원을 점유하는 것에 의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가 송신될 수 있다. 이는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의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전송 범위를 만족시키면서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신호는 제1 심볼 수량보다 큰 수량을 가지는 심볼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이는 전송 범위를 만족시키면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동안 자원 스케줄링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측면을 참조하여 제2 측면의 제1 구현에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은, 제1 디바이스가 제1 참조 신호에 기반하여 제1 측정 결과를 결정하고, 제1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하도록, 제2 디바이스가, 제1 참조 신호를 제1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참조 신호를 사용하여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하며, 제1 참조 신호는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의 채널 품질을 반영한다. 따라서, 제1 참조 신호를 사용하여 결정되는 제1 심볼 수량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 품질과 연관된다. 이는 제2 디바이스와 제1 디바이스 간의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측면 및 제2 측면의 전술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2 측면의 제2 구현에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은, 제2 디바이스가, 제1 정보를 제1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 제1 정보는 제1 측정 결과와 제1 심볼 수량 사이의 매핑 관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됨-를 더 포함한다.
제2 측면 및 제2 측면의 전술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2 측면의 제3 구현에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은, 제2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2 정보는 제2 심볼 수량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2 디바이스가, 제2 정보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향링크 제어 신호에 포함되고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심볼의 수량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제2 정보가 수신됨으로써, 제2 디바이스는 보다 의도적으로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이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정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제2 측면 및 제2 측면의 전술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2 측면의 제4 구현에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은, 제2 디바이스가, 제3 정보를 제1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 제3 정보는 제1 심볼 수량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를 더 포함한다.
제2 참조 신호에 기반하여 제2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되는 제1 심볼 수량이 제1 디바이스로 송신되며, 제1 심볼 수량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의 채널 품질과 연관된다. 이는 제2 디바이스와 제1 디바이스 사이의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상향링크 제어 신호의 전송 범위를 보장할 수 있다.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전술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2 측면의 제5 구현에서, 적어도 하나의 자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제2 디바이스가,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하고,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에 위치되는 상향링크 전송 심볼 및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이후에 위치되는 상향링크 전송 심볼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디바이스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기 위한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하고,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에 위치되는 상향링크 전송 심볼 및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이후에 위치되는 상향링크 전송 심볼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제2 디바이스는 보다 의도적으로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이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정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제2 측면 및 제2 측면의 전술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2 측면의 제6 구현에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제2 디바이스가,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및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이후에 위치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들 중 적어도 하나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 및 제2 측면의 전술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2 측면의 제7 구현에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은, 제2 디바이스가, 제4 정보를 제1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 제4 정보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를 더 포함한다.
제2 디바이스가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을 제1 디바이스에 지시함으로써, 제1 디바이스가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전송할 때 점유되는 시간-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보다 유연하게 된다.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전술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2 측면의 제8 구현에서, 적어도 하나의 자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제2 디바이스가,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 M≥≥1임 -; 및 제2 디바이스가,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상향링크 전송 심볼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디바이스는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하고,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상향링크 전송 심볼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제2 디바이스가 보다 의도적으로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향리읔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이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정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제2 측면 및 제2 측면의 전술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2 측면의 제9 구현에서, 제2 디바이스가,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M이 1보다 클 때, 제2 디바이스가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 적어도 하나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 및 제2 측면의 전술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2 측면의 제10 구현에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은, 제2 디바이스가, 제5 정보를 제2 디바이스에 제5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제5 정보는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됨 -를 더 포함한다.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전술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2 측면의 제11 구현에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은, 제2 디바이스가, 제1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자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제2 디바이스가, 제1 자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제1 자원은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포함함 -를 포함한다.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전술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2 측면의 제12 구현에서, 상기 제1 심볼 수량은 제2 디바이스와 제1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의 채널 품질과 연관된다.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의 채널 품질과 연관된 제1 심볼 수량을 생성하는 것은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운반하는 데 사용된 심볼의 수량에 기반하여 결정된 상향링크 제어 신호의 전력이 현재 채널 상태를 만족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디바이스와 제1 디바이스 사이의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의 신뢰성은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심볼의 수량을 결정하는 유연성에 기반하여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자원의 낭비를 회피할 수 있고, 통신 신뢰성 및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측면에 따르면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는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유닛들을 포함한다.
제4 측면에 따르면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는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유닛들을 포함한다.
제5 측면에 따르면,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1 디바이스가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한다.
제6 측면에 따르면,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2 디바이스가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한다.
제7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제2 디바이스의 처리 유닛 및 송신 유닛 또는 제2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및 송신기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할 때, 제1 디바이스는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게 된다.
제8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제1 디바이스의 처리 유닛 및 송신 유닛 또는 제1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및 송신기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할 때, 제2 디바이스는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게 된다.
제9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프로그램은 제1 디바이스가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제10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프로그램은 제2 디바이스가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라 포함된 상향링크 제어 신호의 전송 범위와 심볼 수량사이의 관계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라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이 점유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상향 제어 신호 전송 유닛의 유형의 일례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유닛의 유형의 다른 일례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유닛의 유형의 또 다른 일례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에 따라 상이한 심볼 및 상이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점유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다음은 본 출원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에서 사용된 "컴포넌트", "모듈" 및 "시스템"과 같은 용어는 컴퓨터 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object), 실행 가능한 파일, 실행 스레드(thread),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디바이스는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에 상주할 수 있으며,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 위치할 수 있고 및/또는 둘 이상의 컴퓨터 간에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컴포넌트는 다양한 데이터 구조를 저장하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부터 실행될 수 있다. 컴포넌트는 예를 들어 로컬 프로세스 및/또는 원격 프로세스를 사용하고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예를 들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 및/또는 신호를 사용하여 다른 시스템과 상호 작용하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의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 작용하는 2개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을 가지는 신호에 기반하여 통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방안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이동 통신 시스템용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롱 텀 에볼루션 개선된(Advanced long term evolution, "LTE-A") 시스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5G 신규 무선 통신 시스템(5G New Radio, "NR"), 또는 차세대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은 기존의 통신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기계 대 기계(Machine to Machine, "M2M") 통신 또는 차량 대 차량(Vehicle to Vehicle, "V2V")을 지원한다. M2M 통신은 기계 유형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이라고도 지칭된다.
본 출원은 제1 디바이스를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한다. 제1 디바이스는 또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사용자 장비, 액세스 단말,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이동 콘솔(mobile console), 원격국, 원격 단말, 이동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는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의 스테이션(Station, "ST")일 수 있으며, 또는 셀룰라 폰, 코드리스 폰, 세션 초기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폰,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디지털 처리(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디바이스, 무선 통신기능을 가지는 핸드헬드(handheld)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 디바이스, 차량용 디바이스(in-vehicle device),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 5세대(fifth-generation, "5G") 네트워크와 같은 차세대 통신시스템의 제1 디바이스, 미래의 진화된 공용 랜드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네트워크의 제1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제2 디바이스를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한다. 제2 디바이스는 이동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2 디바이스와 같은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제2 디바이스는 WLAN 내의 기지국(ACCESS POINT, 간단히 "AP"), GSM 또는 CDMA의 기지국 트랜시버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 "BTS"), WCDMA의 노드 B(NodeB, "NB"), LTE의 진화된 노드B(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용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미래의 5G 네트워크의 제2 디바이스, 미래의 진화된 PLMN 네트워크의 제2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방법 및 장치는 제1 디바이스 또는 제2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 또는 제2 디바이스는 하드웨어 계층, 하드웨어 계층 위에서 실행되는 운영 체제 계층 및 운영 체제 계층 위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포함한다. 하드웨어 계층은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메모리 관리 유닛(Memory Management Unit, "MMU") 및 메모리(메인 메모리라고도 함)와 같은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운영 체제는 Linux 운영 체제, Unix 운영 체제, Android 운영 체제, iOS 운영 체제 또는 Windows 운영 체제와 같은 프로세스(Process)를 사용하여 서비스 처리를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운영 체제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브라우저, 연락처 목록, 워드 프로세싱 소프트웨어 및 인스턴트 메시징 소프트웨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신호 전송 방법의 실행 주체의 구체적인 구조는, 본 출원에서 통신이 본 출원의 신호 전송 방법의 코드를 기록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본 출원의 신호 전송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는 한, 본 출원에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본 출원의 피드백 정보 전송 방법의 실행 주체는, 제1 디바이스 또는 제2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제1 디바이스 또는 제2 디바이스에 있으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할 수 있는 기능 모듈일 수도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측면 또는 특징은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하는 방법, 장치 또는 제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제품"이라는 용어는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디바이스, 캐리어(carrier), 또는 매체로부터 액세스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커버(cover)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광학 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또는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 "DVD"), 스마트 카드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소거 가능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카드, 스틱(stick) 또는 키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및/또는 다른 기계 판독 가능 매체를 나타낼 수 있다. "기계 판독 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무선 채널, 그리고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포함 및/또는 운반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출원의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00)은 제2 디바이스(102)를 포함한다. 제2 디바이스(102)는 안테나(104), 안테나(106), 안테나(108), 안테나(110), 안테나(112) 및 안테나(114)와 같은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바이스(102)는 송신기 링크 및 수신기 링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송신기 링크 및 수신기 링크 모두가 신호 송신 및 수신과 관련된 복수의 부분(예를 들어, 프로세서, 변조기, 멀티플렉서, 복조기, 디멀티플렉서, 또는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102)는 복수의 제1 디바이스(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16) 및 제1 디바이스(122))와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디바이스(102)는 제1 디바이스(116) 또는 제1 디바이스(122)와 유사한 임의의 수량의 제1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16) 및 제1 디바이스(122)는 예를 들어 셀룰러 폰, 스마트폰, 포터블 컴퓨터, 핸드헬드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 위성 무선 장치(satellite radio apparatuses),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s), PDA, 및/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116)는 제2 디바이스(102)와 통신한다. 이 경우, 안테나(112) 및 안테나(114)는 순방향 링크(118)를 통해 제1 디바이스(116)에 정보를 전송하고 역방향 링크(120)를 통해 제1 디바이스(116)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제1 디바이스(122)는 제2 디바이스(102)와 통신한다. 이 경우, 안테나(104) 및 안테나(106)는 순방향 링크(124)를 통해 제1 디바이스(122)에 정보를 송신하고, 역방향 링크(126)를 통해 제1 디바이스(122)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순방향 링크(118) 및 역방향 링크(120)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상이하고, 순방향 링크(124) 및 역방향 링크(126)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이 상이하다.
다른 예로서,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 및 전이중(Full Duplex) 시스템에서, 순방향 링크(118) 및 역방향 링크(120)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동일할 수 있고, 순방향 링크(124) 및 역방향 링크(126)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동일할 수 있다.
각각의 안테나(또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그룹) 및/또는 통신을 위해 설계된 영역은 제2 디바이스(102)의 섹터로 지칭된다. 예를 들어, 안테나 그룹은 제2 디바이스(102)의 커버리지 영역의 섹터에서 제1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102)가 순방향 링크(118) 및 순방향 링크(124)를 사용하여 제1 디바이스(116) 및 제1 디바이스(122)와 각각 통신하는 프로세스에서, 제2 디바이스(102)의 송신 안테나는 빔포밍(beamforming)을 통해 순방향 링크(118) 및 순방향 링크(124)의 신호대 잡음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디바이스가 단일 안테나를 사용하여 제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모든 제1 디바이스로 신호를 송신하는 방식과 비교하면, 제2 디바이스(102)가 빔포밍을 통해 관련된 커버리지 영역에 랜덤하게 분포된 제1 디바이스(116) 및 제1 디바이스(122)로 신호를 송신할 때 인접하는 셀의 이동 디바이스에 대한 간섭이 비교적 작다.
특정 시간에, 제2 디바이스(102), 제1 디바이스(116) 또는 제1 디바이스(122)는 무선 통신 송신 장치 및/또는 무선 통신 수신 장치일 수 있다. 데이터를 송신할 때, 무선 통신 송신 장치는 전송을 위해 데이터를 인코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송신 장치는 채널을 통해 무선 통신 수신 장치에 송신될 특정 수량의 데이터 비트(예를 들어, 특정 수량의 비트가 생성되고,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에 저장됨)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비트는 데이터의 전송 블록(transport block)(또는 복수의 전송 블록)에 포함될 수 있고, 전송 블록은 복수의 코드 블록을 생성하도록 분할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100)은 PLMN 네트워크, D2D 네트워크, M2M 네트워크 또는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다. 도 1은 단지 예시로서 사용된 단순화된 개략도이다. 네트워크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제2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송신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102)일 수 있거나 또는 제1 디바이스(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16) 또는 제1 디바이스(122))일 수 있다. 대응하여, 수신 장치는 제1 디바이스(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16) 또는 제1 디바이스(122))일 수도 있고 제2 디바이스(102)일 수도 있다. 이것은 본 출원에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기존의 LTE(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상향링크 시간 슬롯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두 종단(end)을 주파수 도메인에서 점유하고, 두 종단 각각에서 물리적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일부를 점유하며, 시간 도메인에서 14개의 심볼을 점유하고, 각각 심볼의 지속 기간이 1ms이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 및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모두 고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미래의 제5세대 이동 통신(5th-Generation, "5G")에서, 모든 시간 슬롯 또는 서브 프레임이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해 14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서브 캐리어 간격의 변화 때문에 모든 시간 슬롯 또는 서브 프레임이 1ms의 지속 기간(duration)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14개 이하의 심볼을 포함하는 시간 슬롯에서, 대응하는 시간 슬롯의 지속 기간이 1ms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에 의한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의 전송 범위를 보장할 수 없다.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동안, 상향링크 제어 신호에 포함된 심볼의 수량과 상향링크 제어 신호의 전송 범위 사이의 관계가 도 2에 도시된다. 상향링크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심볼의 수량이 증가하는 경우, 상향링크 제어 신호의 전송 범위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의 제1 디바이스는, 도 1의 제1 디바이스(116) 및 제1 디바이스(122)일 수 있으며, 도 3의 제2 디바이스는 도 1의 제2 디바이스(102) 일 수 있다. 실제로, 실제 시스템에서, 제2 디바이스의 수량과 제1 디바이스의 수량이 본 실시 예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의 예에서 한정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하에서 반복되지 않는다.
210 : 제1 디바이스가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참조 신호에 기반하여 제1 측정 결과를 결정하고, 제1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제1 심볼 수량은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의 채널 품질과 연관된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에서,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한다. 제1 참조 신호는 셀 특정 참조 신호(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RS"), UE-특정 참조 신호(UE-specific Reference Signals, "URS),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DRS"), MBSFN 참조 신호(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Reference Signals, "MBSFN-RS"), 포지셔닝 참조 신호(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FBS"), 및 CSI 참조 신호(CSI Reference Signals, "CSI-RS")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1 디바이스는 제1 참조 신호를 측정하여 제1 참조 신호의 제1 측정 결과를 획득한다. 제1 측정 결과는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의 채널 품질과 연관된다. 제1 측정 결과는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RSRP"),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ing Quality, "RSRQ"), 또는 수신 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1 디바이스는 제1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측정 결과에 대응하는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의 채널 품질 상태를 결정하고,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의 채널 품질 상태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디바이스가 제1 심볼 수량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제2 디바이스는 정상적으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것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을 위한 전력 요건을 만족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의 전송 범위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하는 방법은 제1 디바이스가 제1 참조 신호에 기반하여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하는 예를 사용하여서만 설명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르게는,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제1 심볼 수량이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에서,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정보는 제1 측정 결과와 제1 심볼 수량 간의 매핑 관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제1 디바이스는 매핑 관계 및 제1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에서,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정보는 제1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복수의 측정 결과와 제1 심볼 수량을 포함하는 복수의 심볼 수량 사이의 매핑 관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1 정보는 복수의 측정 결과와 복수의 심볼 수량 사이의 매핑 관계 또는 매핑 관계식 x = f(y)(여기서, x는 심볼 수량이고 y는 측정 결과임)을 지시하는 매핑 관계 테이블일 수 있다. 측정 결과 y는 수식 x = f(y)로 대체되어 계산을 통해 제1 심볼 수량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y가 I2와 같은 경우, 제1 심볼 수량 x=4가 수식을 사용하여 계산을 통해 획득된다. 매핑 관계표가 표 1에 도시되어 있다. 제1 디바이스는 매핑 관계표에 기반하고 표를 검색(search)하는 것에 의해, 제1 측정 결과에 대응하는 심볼 수량에 대한 매핑 관계표를 검색하고, 제1 측정 결과에 대응하는 심볼들을 제1 심볼 수량으로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제1 측정 결과의 값이 표에서 I3일 때, 표의 심볼 수량인 7이 제1 심볼 수량으로 결정된다.
Figure pct00001
본 출원에서, 측정 결과의 값과 표 1의 심볼 수량 사이의 대응 관계(correspondence)는 설명의 예로서 단지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특정 값 사이의 대응 관계는 표 1에 나열된 값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에서, 매핑 관계표 또는 매핑 관계 수식은 복수의 측정 결과와 복수의 심볼 수량 사이의 매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로서 단지 사용됨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르게는, 복수의 측정 결과와 복수의 심볼 수량 사이의 매핑 관계는 다른 방식으로 기술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3 정보를 수신하고, 제3 정보는 제1 심볼 수량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제1 디바이스는 제3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에서, 제1 디바이스가 제2 참조 신호를 제2 디바이스에 송심함으로써, 제2 디바이스가 제2 참조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여 제2 측정 결과를 결정하고, 제2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한다. 제2 참조 신호는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및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2 디바이스는 제2 측정 참조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여 제2 측정 결과를 결정한다. 제2 디바이스는 다르게는 UE 위치 정보를 측정하여 제2 측정 결과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측정 결과는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RSRP"),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ing Quality, "RSRQ"), 또는 수신 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2 디바이스는 제2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한다.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3 정보를 수신하고, 제3 정보는 제1 심볼 수량을 제1 디바이스에게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제1 디바이스는 제3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한다. 제3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 및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디바이스로 송신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2 디바이스가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 RRC 구성 시그널링 또는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사용하여 제1 디바이스에 제3 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단지 예로서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르게는, 제2 디바이스는 다른 정보를 사용하여 제3 제어 정보를 제3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3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content)는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자원에 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자원은 하나 이상의 서브 프레임 또는 하나 이상의 시간 슬롯일 수 있다. 자원에 포함되는 상향링크 전송 심볼의 수량은 제1 심볼 수량이다.
220 : 제1 디바이스는 제1 심볼 수량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자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상향링크 제어 신호에 포함된 심볼 수량은 제2 심볼 수량이며, 제2 심볼 수량은 제1 심볼 수량보다 많거나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가 결정된 제1 심볼 수량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자원을 통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제2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은, 제1 디바이스가 단지 하나의 자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거나 복수의 자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향링크 제어 신호에 포함된 심볼 수량은 제2 심볼 수량이며, 제2 심볼 수량은 제1 심볼 수량보다 크거나 동일하다.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복수의 자원 상에서 송신하는 것은, 자원에 포함되는 심볼의 수량이 제1 심볼 수량보다 작은 경우, 제2 디바이스와 제1 디바이스 사이의 전송 채널의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력 요건이 복수의 자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에 의해 만족됨을 보장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1 디바이스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하고,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에 위치되는 상향링크 전송 심볼 및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이후에 위치되는 상향링크 전송 심볼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가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한다는 것은 제1 디바이스가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시작 서브프레임 또는 시작 시간 슬롯을 결정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시작 서브 프레임 또는 시작 시간 슬롯부터 시작하여, 제1 디바이스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에 위치되는 상향링크 전송 심볼 및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이후에 위치되는 상향링크 전송 심볼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는 (n+k)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k)번째 시간 슬롯부터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할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디바이스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의 번호이고, k는 음수가 아닌 정수이다.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n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번째 시간 슬롯에서 수신한다. k가 0일 때,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은 제1 디바이스에 의해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n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번째 시간 슬롯이다. n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번째 시간 슬롯부터 시작하여, 제1 디바이스는 n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번째 시간 슬롯에 있거나 또는 n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번째 시간 슬롯 이후에 있으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이 허용되는 심볼들 중 일부 또는 전부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이 완료될 때까지,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k가 0보다 큰 경우,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은 제1 디바이스에 의해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 이후의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이다. (n+k)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k)번째 시간 슬롯부터 시작하여, 제1 디바이스는 (n+k)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k)번째에 있고 상향링크 전송이 허용되는 후속(subsequent) 서브프레임 또는 후속 시간 슬롯에 있는 심볼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이 완료될 때까지,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는 (n+k)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k)번째 시간 슬롯부터 시작하여, (n+k)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k)번째 시간 슬롯 및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이 허용되는 후속 서브프레임 또는 후속 시간 슬롯에 있는 모든 심볼에서,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또는 (n+k)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k)번째 시간 슬롯부터 시작하여, (n+k)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k)번째 시간 슬롯 및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이 허용되는 후속 서브 프레임 또는 후속 시간 슬롯에 있는 일부 심볼에서만,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는 본 출원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디바이스가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및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이후의 자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할 때,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시간 도메인 자원이 점유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복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은 연속적인(consecutive) 시간 도메인 자원일 수 있거나 비연속적인 시간 도메인 자원일 수 있다. 이는 본 출원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1 디바이스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및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이후에 있는 시간 도메인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가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한다는 것은 제1 디바이스가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시작 서브 프레임 또는 시작 시간 슬롯을 결정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시작 서브 프레임 또는 시작 시간 슬롯부터 시작하여, 제1 디바이스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및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이후에 있는 시간 도메인 자원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는 (n+k)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k)번째 시간 슬롯부터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할 수 있고, 하나의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완료할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디바이스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의 번호이며, k는 음이 아닌 정수이다.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n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번째 시간 슬롯에서 수신한다. k가 0과 같을 때, 제1 디바이스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n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번째 시간 슬롯에서 또는 n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번째 시간 슬롯 이후의 하나의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완료한다. k가 0보다 클 때, 제1 디바이스는 (n+k)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k)번째 시간 슬롯에서, 또는 (n+k)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k)번째 시간 슬롯 이후의 하나의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완료한다.
선택적으로,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4 정보를 수신하고, 여기서 제4 정보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의 위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4 정보를 수신하고, 여기서 제4 정보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의 위치를 제1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제1 디바이스는 제4 정보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의 위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4 정보는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의 서브 프레임 번호 또는 시간 슬롯 번호를 포함한다. 제1 디바이스는 제4 정보에 기반하여, (n+k)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k)번째 시간 슬롯부터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한다.
선택적으로, 제2 디바이스는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 RRC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 또는 사전 구성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제4 정보를 제1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전술한 몇몇 송신 방식들은 단지 제4 정보의 송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4 정보가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의 위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은, 단지 제4 정보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1 디바이스는 M≥1인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한다.
제1 디바이스는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 포함된 심볼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는 (n+k)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k)번째 시간 슬롯부터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시작할 수 있고, (n+m)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m)번째 시간 슬롯의 끝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완료할 수 있다.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심볼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점유되며, 여기서 n은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의 수이고, k는 음이 아닌 정수이고, m은 양의 정수이다. 제1 디바이스는 n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번째 시간 슬롯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시작한다. k=0인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는 n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번째 시간 슬롯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을 시작하고, (n+m)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m)번째 시간 슬롯의 끝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을 완료한다. 이 경우, 제1 디바이스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을 완료하기 위해 총 M(m = m+1)개의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을 점유한다. m이 2일 때, 이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을 완료하기 위해 제1 디바이스가 총 3개의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을 점유하고 있음을 지시한다. k가 0보다 클 때, 제1 디바이스는 (n+k)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k)번째 시간 슬롯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을 시작하고, (n+m)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m)번째 시간 슬롯의 끝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을 완료한다. 이 경우에, 제1 디바이스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을 완료하기 위해 총 M(m = m+1-k)개의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을 점유한다.
선택적으로, M이 1보다 클 때, 제1 디바이스는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M이 1보다 큰 경우, 이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자원이 있음을 지시하며, 제1 디바이스는 복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거나, 복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들 중 하나의 자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은 연속적인 시간 도메인 자원일 수 있거나 비연속적인 시간 도메인 자원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는 본 출원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1 디바이스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유닛을 결정하고,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유닛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유닛은 M개의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을 포함하며, M≥1이다. 제1 디바이스는 하나의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유닛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을 완료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유닛은 하나의 시간 슬롯을 포함하고, 시간 슬롯 1, 시간 슬롯 2, 시간 슬롯 3 및 시간 슬롯 4 각각은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유닛이다. 이 경우, 제1 디바이스는 하나의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유닛의 상향링크 전송 심볼의 전부 또는 일부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을 완료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유닛은 2개의 시간 슬롯을 포함하며, 시간 슬롯 1과 시간 슬롯 2는 제1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유닛으로 사용되며, 시간 슬롯 3과 시간 슬롯 4는 제2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유닛으로 사용된다. 이 경우, 제1 디바이스는 결정된 제1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유닛 또는 제2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유닛의 상향링크 전송 심볼의 전부 또는 일부에 상향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을 완료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유닛은 4개의 시간 슬롯을 포함하고, 시간 슬롯 1, 시간 슬롯 2, 시간 슬롯 3, 시간 슬롯 4는 함께 하나의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유닛을 구성한다. 이 경우, 제1 디바이스는 결정된 하나의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유닛의 상향링크 전송 심볼의 전부 또는 일부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을 완료한다.
본 출원에서, 전술한 몇몇 유형들의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유닛들은 단지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유닛의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예로서 사용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유닛은 다른 유형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연속적인 시간 슬롯은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유닛의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예로서 단지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유닛은 다르게는 비연속적인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유닛에 포함되는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의 유형은 본 출원에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유닛에 포함되는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은 주로 하향링크용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mainly-used-for-downlink subframe 또는 timeslot)일 수 있고, 주로 상향링크용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mainly-used-for-uplink subframe 또는 timeslot)일 수도 있고,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또는 상향링크 시간 슬롯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5 정보를 수신하고, 여기서 제5 정보는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5 정보를 수신하고, 여기서 제5 정보는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5 정보는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 하나를 지시할 수 있으며, 제1 디바이스는 제5 정보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의 위치를 결정하고,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부터 시작하여,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이후의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을 통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다른 예로서, 제5 정보는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 각각 또는 일부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정보는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 각각 또는 일부의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의 수를 지시할 수 있고, 제1 디바이스는 제5정보에 기반하여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전부 또는 일부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제2 디바이스는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 RRC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 또는 사전 구성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제5 정보를 제1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에서,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의 위치 및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의 위치는 시스템에 의해 미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점유된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위치 및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점유된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위치는 또한 시스템에 의해 미리 구성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가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을 위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시작 위치 또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에 의해 점유된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위치는 이미 시스템에 의해 미리 구성되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을 위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시작 위치는 피어 엔드(peer end)에 지시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시스템에 의해 미리 구성된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의 위치는 (n+k)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k)번째 시간 슬롯이다. 이 경우, 제1 디바이스는 (n+k)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k)번째 시간 슬롯부터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하고, 제2 디바이스는 (n+k)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k)번째 시간 슬롯부터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시작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시스템에 의해 미리 구성된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은 (n+k)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k)번째 시간 슬롯과 (n+m)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m)번째 시간 슬롯 사이의 M(M= m-k)개의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이다. 이 경우, 제1 디바이스는 (n+k)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k)번째 시간 슬롯과 (n+m)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m)번째 시간 슬롯 사이의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제2 디바이스는 (n+k)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k)번째 시간 슬롯과 (n+m)번째 서브 프레임 또는 (n+m)번째 시간 슬롯 사이의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제1 디바이스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제2 정보를 제2 디바이스에 송신하며, 여기서 제2 정보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에 포함된 심볼의 수량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디바이스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제2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전에, 먼저 제2 정보를 제2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제2 정보는 송신될 상향링크 제어 신호에 포함된 심볼의 수량 즉, 제2 심볼 수량을 제2 디바이스에게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2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보다 의도적으로 수신하도록,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될 상향링크 제어 신호에 포함된 심볼의 수량을 제2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한다. 이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정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에서, 제1 디바이스가 송신될 상향링크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심볼의 수량을 제2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전술한 경우는 단지 예일 뿐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다르게는, 송신될 상향링크 제어 신호에 포함된 심볼의 수량은 다른 방식으로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바이스는 자체적으로 송신될 제어 신호에 포함된 심볼의 수량을 결정하고, 그 다음에 특정 방식으로 제1 디바이스에게 심볼의 수량을 지시하거나; 또는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모두 심볼의 수량에 대해 알게 되면, 심볼의 수량이 시스템 규정(stipulation)에 따라 지시될 수 있다. 이는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할 때, 제1 디바이스는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의 복수의 심볼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반복적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상향링크 제어 신호는 각각의 심볼 또는 복수의 심볼에서 한번씩 반복적으로 송신된다. 다르게는, 제1 디바이스는 복수의 점유된 심볼에서 조인트(joint) 코딩을 수행한 후에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디바이스는 상이한 심볼에 대응하는 상이한 주파수 자원을 점유하는 것에 의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는 상이한 심볼에 대응하는 상이한 주파수 자원을 점유하는 것에 의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더 큰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는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7개의 심볼을 점유하는 것에 의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7개의 심볼 중 3개에 대해, 제1 주파수 자원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점유될 수 있다. 나머지 4개의 심볼에 대해, 제2 주파수 자원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점유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로서, 전술한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동안의 자원 할당 방법이 단지 사용됨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2 디바이스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제1 디바이스에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제2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에 대한 명시적인 지시 방식으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지시한다. 예를 들어, 제2 디바이스는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의 시작 위치 및 점유된 PRB의 수량을 제1 디바이스에 지시함으로써,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의 지시 정보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PRB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명시적 지시 방식은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 RRC 시그널링, 또는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지시를 송신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PBR의 위치가 시스템에 의해 사전 구성 방식으로 미리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제2 디바이스는 암시적인 지시 방식으로 제1 디바이스에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지시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는 대응하는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에 의해 점유된 시간-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계산을 통해, 대응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 의해 점유된 시간 도메인 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인덱스를 사용하여 계산이 수행되거나, 하향링크 데이터에 의해 점유된 시간 도메인 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인덱스를 사용하여 계산이 수행된다. 암시적 계산 동안, 상향링크 제어 신호에 의해 점유된 심볼의 수량은 계산식의 파라메트릭 값(parametric value)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심볼의 수량은 제1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되고 그 다음에 제2 디바이스로 송신될 수 있거나 또는 제2 디바이스 자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2개의 지시 방식인 명시적 지시 및 암시적 지시는 단지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지시 송신을 설명하기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1 디바이스는 제1 자원을 결정하고, 제1 디바이스는 제1 자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며, 제1 자원은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포함한다.
제1 디바이스는 각각의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에 포함된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는 제1 자원을 결정하고, 제1 자원은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포함한다.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 있으며,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은 현재의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에 포함된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다르게는,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 또는 RRC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여기서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 또는 RRC 시그널링은 기간(period of time) 내에서 각각의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슬롯에 포함된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 또는 RRC 시그널링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의해 점유된 시간-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패턴을 지시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제2 디바이스는 각각의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에 포함된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사전 구성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 프레임의 7개의 심볼 또는 14개의 심볼에 포함된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해 제2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구성된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시스템 대역폭의 두 끝단 각각에 하나의 물리적 자원 블록 PRB를 점유한다. 제1 디바이스는 상향링크 전송이 허용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며,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위해 사용되지 않는 다른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각각의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에 포함된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는 전술한 방법은 단지 일례이며, 다르게는 각각의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에 포함된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다른 방식으로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는 각각의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에 포함된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결정한 다음,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제2 디바이스에 지시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제2 디바이스 및 제1 디바이스 모두가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대해 알면,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시스템 규정에 따라 지시될 수 있다. 이는 본 출원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230 : 제2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자원 상에서, 제1 심볼 수량에 기반하여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향링크 제어 신호에 포함된 심볼의 수량은 제2 심볼 수량이며, 제2 심볼 수량은 제1 심볼 수량보다 크거나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제2 디바이스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의 수신이 완료될 때까지,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의 위치부터 수신하기 시작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제2 디바이스는 M개의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의 상향링크 전송 심볼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제2 디바이스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유닛에서,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제2 디바이스는 하나의 서브 프레임 또는 시간 슬롯에서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1 디바이스가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제2 디바이스에 송신할 때, 송신될 상향링크 제어 신호에 포함된 심볼의 수량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의 채널 품질에 대응하게 된다. 이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가 전송 전력 요건을 만족시킬 수 있음을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심볼의 수량을 결정하는 유연성에 기반하여, 제2 디바이스와 제1 디바이스 사이의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의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자원의 낭비를 회피할 수 있고, 통신 신뢰성 및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출원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3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300)는 전술한 시스템(100) 또는 방법(200)에서 설명한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300)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은 전술한 시스템(100) 또는 방법(200)의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action) 또는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된다.
본 출원에서, 장치(300)는 프로세서 및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트랜시버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디바이스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연결된다. 추가로, 디바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메모리 및 트랜시버는 버스 시스템을 사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는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트랜시버가 정보 또는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9에 도시된 장치(300)의 결정 유닛은 프로세서에 대응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장치(300)의 송신 유닛은 트랜시버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0은 본 출원에 따른 통신 장치(4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 장치(400)는 전술한 시스템(100) 또는 방법(200)에서 설명된 제2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400)의 모듈 또는 유닛은 전술한 시스템(100) 또는 방법(200)에서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 동작 또는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한 설명은 반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된다.
본 출원에서, 장치(400)는 프로세서 및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트랜시버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디바이스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연결된다. 추가로, 선택적으로 디바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메모리 및 트랜시버는 버스 시스템을 사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는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트랜시버가 정보 또는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장치(400)의 수신 유닛은 트랜시버에 대응할 수 있고, 도 10에 도시된 장치(400)의 결정 유닛은 프로세서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전술한 방법 실시 예가 프로세서에 적용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프로세서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고 신호 처리 능력을 갖는다. 구현 프로세스에서, 전술한 방법 실시 예에서의 단계는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를 사용하거나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명령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완료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특정 용도의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또는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본 출원에 개시된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구현하거나 수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출원과 관련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수행될 수도 있고, 디코딩 프로세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와 같이 당해 기술 분야에서 성숙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정보를 판독하고, 프로세서의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전술한 방법의 단계를 완료한다.
본 출원의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 모두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프로그램 가능한 ROM(Programmable ROM, 간단히 "PROM"), 소거 가능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으며, 외부 캐시로서 사용된다. 한정보다는 일례로서, 예를 들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이중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램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싱크링크 DRAM(Synchlink DRAM, "SLDRAM") 및 직접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 등의 다양한 형태의 RAM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는 이러한 메모리 및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및/또는"은 단지 연관된 객체를 기술하기 위한 연관 관계일 뿐이며, 3개의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지시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만 존재하는 경우, A와 B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 그리고 B만 존재하는 경우의 세 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 문자는 일반적으로 이전 및 이후 연관된 객체간에 "또는" 관계가 있음을 지시한다.
본 출원의 실시 예에서, 전술한 프로세스의 시퀀스 번호는 실행 시퀀스를 지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프로세스의 실행 시퀀스는 프로세스의 기능 및 내부 로직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지만, 본 출원의 구현 프로세스에 대한 제한을 구성해서는 안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기술된 예시에서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지의 여부는 기술적 해결방안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 사항에 따라 다르다. 당업자는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설명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상세한 작업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고 간결하게 하기 위해, 전술한 방법 실시 예에서 대응하는 프로세스가 참조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 제공된 몇몇 실시 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 실시 예는 단지 예일 뿐이다. 예를 들어, 유닛 구분은 논리적인 기능 구분일 뿐이며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구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가 결합되거나 다른 시스템으로 통합되거나, 일부 특징이 무시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지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커플링,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장치 또는 유닛 간의 간접적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부분들로 기술된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며, 유닛들로서 디스플레이된 부분들은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한 위치에 위치되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유닛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실시 예의 해결방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요건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되거나,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또는 2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기능들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방안 또는 선행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일부 기술적 해결방안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컴퓨터 디바이스(개인용 컴퓨터, 서버, 제2 디바이스 등일 수 있음)가 본 출원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방법의 모든 단계 또는 일부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몇 가지 명령을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탈착식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미디어(media)를 포함한다.
전술한 설명은 본 출원의 특정 구현 예일 뿐이며,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되는 임의의 변형 또는 대체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의 보호 범위를 따라야 한다.

Claims (52)

  1.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으로서,
    제1 디바이스가,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디바이스가, 제1 심볼 수량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자원 상에서 제2 디바이스에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 상향링크 제어 신호에 포함된 심볼의 수량은 제2 심볼 수량이며, 제2 심볼 수량은 제1 심볼 수량보다 크거나 동일함 -
    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참조 신호에 기반하여 제1 측정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디바이스가, 제1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은,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1 정보는 제1 측정 결과와 제1 심볼 수량 사이의 매핑 관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됨 -;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1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1 디바이스가, 매핑 관계 및 제1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4. 제2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은,
    제1 디바이스가, 제2 정보를 제2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 제2 정보는 제2 심볼 수량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를 더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3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3 정보는 제1 심볼 수량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및
    제1 디바이스가, 제3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자원을 점유하는 것에 의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제1 디바이스가,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하고,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에 위치되는 상향링크 전송 심볼과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이후에 위치되는 상향링크 전송 심볼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원을 점유하는 것에 의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제1 디바이스가,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및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이후에 위치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들 중 적어도 하나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하는 것은,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4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4 정보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자원을 점유하는 것에 의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제1 디바이스가,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 M≥≥1임 -; 및
    제1 디바이스가,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상향링크 전송 심볼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제1 디바이스가,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M이 1보다 클 때, 제1 디바이스가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 적어도 하나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5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5 정보는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됨 -
    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은,
    제1 디바이스가, 제1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자원을 점유하는 것에 의해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제1 디바이스가 제1 자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 제1 자원은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포함함 -
    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 수량은 제2 디바이스와 제1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의 채널 품질과 연관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14.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으로서,
    제2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자원상에서, 제1 심볼 수량에 기반하여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향링크 제어 신호에 포함된 심볼의 수량은 제2 심볼 수량이며, 제2 심볼 수량은 제1 심볼 수량보다 크거나 동일함 -
    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은,
    제1 디바이스가 제1 참조 신호에 기반하여 제1 측정 결과를 결정하고, 제1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하도록, 제2 디바이스가, 제1 참조 신호를 제1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은,
    제2 디바이스가, 제1 정보를 제1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 제1 정보는 제1 측정 결과와 제1 심볼 수량 사이의 매핑 관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됨-
    를 더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은,
    제2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2 정보는 제2 심볼 수량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2 디바이스가, 제2 정보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은,
    제2 디바이스가, 제3 정보를 제1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 제3 정보는 제1 심볼 수량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를 더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자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제2 디바이스가,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하고,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에 위치되는 상향링크 전송 심볼 및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이후에 위치되는 상향링크 전송 심볼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제2 디바이스가,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및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이후에 위치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들 중 적어도 하나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은,
    제2 디바이스가, 제4 정보를 제1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 제4 정보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를 더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22. 제1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자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제2 디바이스가,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 M≥≥1임 -; 및
    제2 디바이스가,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상향링크 전송 심볼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제2 디바이스가,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M이 1보다 클 때, 제2 디바이스가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 적어도 하나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은,
    제2 디바이스가, 제5 정보를 제2 디바이스에 제5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제5 정보는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됨 -
    를 더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25. 제14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은,
    제2 디바이스가, 제1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자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제2 디바이스가, 제1 자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제1 자원은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포함함 -
    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26. 제14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 수량은 제2 디바이스와 제1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의 채널 품질과 연관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27.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로서,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및
    제1 심볼 수량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자원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제2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 상향링크 제어 신호에 포함된 심볼의 수량은 제2 심볼 수량이며, 제2 심볼 수량은 제1 심볼 수량보다 크거나 동일함 - 구성된 송신 유닛
    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추가로,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참조 신호에 기반하여 제1 측정 결과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결정 유닛은 추가로,
    제1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 제1 정보는 제1 측정 결과와 제1 심볼 수량 사이의 매핑 관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됨 - 구성된 수신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 유닛은 추가로,
    매핑 관계 및 제1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
  30. 제28항 또는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추가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제2 정보를 제2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 제2 정보는 제2 심볼 수량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구성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추가로,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3 정보를 수신하도록 - 제3 정보는 제1 심볼 수량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결정 유닛은 추가로,
    제3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
  32. 제27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추가로,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송신 유닛은 추가로,
    상기 결정 유닛에 의해 결정된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에 위치되는 상향링크 전송 심볼 및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이후에 위치되는 상향링크 전송 심볼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추가로,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및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이후에 위치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들 중 적어도 하나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
  3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추가로,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4 정보를 수신하도록 - 제4 정보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구성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
  35. 제27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추가로,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하도록 - M≥≥1임 -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송신 유닛은 추가로,
    상기 결정 유닛에 의해 결정된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상향링크 전송 심볼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추가로,
    M이 1보다 클 때,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 적어도 하나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
  37.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추가로,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5 정보를 수신하도록 - 제5 정보는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됨 - 구성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
  38. 제27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추가로,
    제1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송신 유닛은 추가로,
    제1 자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 제1 자원은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포함함 - 구성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
  39. 제27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 수량은 제2 디바이스와 제1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의 채널 품질과 연관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
  40.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자원상에서, 제1 심볼 수량에 기반하여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 상향링크 제어 신호에 포함된 심볼의 수량은 제2 심볼 수량이며, 제2 심볼 수량은 제1 심볼 수량보다 크거나 동일함 - 구성된 수신 유닛
    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는,
    제1 디바이스가 제1 참조 신호에 기반하여 제1 측정 결과를 결정하고, 제1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심볼 수량을 결정하도록, 상향링크 제어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제1 참조 신호를 제1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을 더 포함하는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추가로,
    제1 정보를 제1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 제1 정보는 제1 측정 결과와 제1 심볼 수량 사이의 매핑 관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됨- 구성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
  43.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추가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정보를 수신하도록 - 제2 정보는 제2 심볼 수량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수신 유닛은 추가로,
    제2 정보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추가로,
    상향링크 제어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제3 정보를 제1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 제3 정보는 제1 심볼 수량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구성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
  45. 제40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 유닛은 추가로,
    상기 결정 유닛에 의해 결정된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에 위치되는 상향링크 전송 심볼 및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이후에 위치되는 상향링크 전송 심볼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추가로,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및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이후에 위치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들 중 적어도 하나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
  47. 제45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추가로,
    상향링크 제어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제4 정보를 제1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 제4 정보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구성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
  48. 제45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추가로,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하도록 - M≥≥1임 -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수신 유닛은 추가로,
    상기 결정 유닛에 의해 결정된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상향링크 전송 심볼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추가로,
    M이 1보다 클 때, 제2 디바이스가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 적어도 하나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
  50. 제48항 또는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추가로,
    상향링크 제어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제5 정보를 제2 디바이스에 제5 정보를 송신하도록 - 제5 정보는 M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됨 - 구성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
  51. 제45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추가로,
    제1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수신 유닛은 추가로,
    상기 결정 유닛에 의해 결정된 제1 자원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 제1 자원은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포함함 - 구성되는, 장치.
  52. 제40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 수량은 제2 디바이스와 제1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의 채널 품질과 연관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장치.
KR1020197015443A 2016-11-03 2016-12-28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294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26675A KR20210109648A (ko) 2016-11-03 2016-12-28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958406.X 2016-11-03
CN201610958406 2016-11-03
PCT/CN2016/112639 WO2018082173A1 (zh) 2016-11-03 2016-12-28 传输上行控制信号的方法和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6675A Division KR20210109648A (ko) 2016-11-03 2016-12-28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513A true KR20190073513A (ko) 2019-06-26
KR102294803B1 KR102294803B1 (ko) 2021-08-26

Family

ID=620755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6675A KR20210109648A (ko) 2016-11-03 2016-12-28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0197015443A KR102294803B1 (ko) 2016-11-03 2016-12-28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6675A KR20210109648A (ko) 2016-11-03 2016-12-28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04867B2 (ko)
JP (1) JP2020503727A (ko)
KR (2) KR20210109648A (ko)
CN (1) CN108886765B (ko)
WO (1) WO20180821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589A (ko) * 2017-05-05 2020-01-15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데이터 송신 방법 및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3562B (zh) * 2019-09-30 2022-08-26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的方法与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7063A (ko) * 2009-02-24 2010-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가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중계기
US20110013615A1 (en) * 2009-07-20 2011-01-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US20140293921A1 (en) * 2011-12-29 2014-10-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US20140369290A1 (en) * 2011-12-31 2014-12-18 Weiwei YANG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e Information
WO2015107600A1 (ja) * 2014-01-15 2015-07-23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ップリンク制御情報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無線端末、及び基地局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22439B2 (en) * 2008-12-31 2013-04-16 Motorola Mobility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control information over a data channel in the absence of user data
US8345535B2 (en) * 2009-07-13 2013-01-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ranging preamble c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351413B2 (en) * 2009-08-21 2013-01-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rang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522098B1 (en) * 2010-01-08 2014-05-2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CN102215085B (zh) * 2010-04-07 2014-05-07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上行控制信息的方法、系统、用户设备和基站
US9100155B2 (en) * 2010-05-03 2015-08-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and data multiplex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US8989156B2 (en) * 2010-06-18 2015-03-24 Sharp Kabushiki Kaisha Selecting a codeword and determining a symbol length for uplink control information
CN102104467A (zh) 2011-01-07 2011-06-2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确定uci传输资源的方法及装置
CN103167614A (zh) 2011-12-16 2013-06-1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动态调整lte物理上行共享信道跳频范围的方法
US20140369324A1 (en) * 2012-01-20 2014-12-18 Zte Corporation Uplink signal sending method and user equipment
US8831124B2 (en) * 2012-06-20 2014-09-09 MagnaCom Ltd. Multi-mod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transmitter for highly-spectrally-efficient communications
US20170041841A1 (en) * 2014-02-28 2017-02-0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Techniques for rach (random access channel)-less synchronized handover for wireless networks
WO2016185641A1 (ja) * 2015-05-15 2016-11-24 日本電気株式会社 HARQ ACK/NACK bits送信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WO2016185945A1 (ja) * 2015-05-15 2016-11-24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WO2017018762A1 (ko) * 2015-07-24 2017-0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 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신호 및 채널 전송 방법
WO2017126940A1 (en) * 2016-01-21 2017-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
US10425922B2 (en) * 2016-02-20 2019-09-24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US10333674B2 (en) * 2016-02-26 2019-06-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288627B1 (ko) * 2016-03-02 2021-08-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7150951A1 (ko) * 2016-03-04 2017-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임의 접속 채널(random access channel, rach)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CN109417430B (zh) * 2016-06-07 2020-01-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传输的方法及装置
EP3487250B1 (en) * 2016-08-08 2024-02-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nlicensed band, and devices supporting same
CN109845147B (zh) * 2016-11-03 2021-04-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传输上行信号的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7063A (ko) * 2009-02-24 2010-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가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중계기
US20110013615A1 (en) * 2009-07-20 2011-01-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KR20110009025A (ko) * 2009-07-20 2011-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140293921A1 (en) * 2011-12-29 2014-10-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US20140369290A1 (en) * 2011-12-31 2014-12-18 Weiwei YANG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e Information
WO2015107600A1 (ja) * 2014-01-15 2015-07-23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ップリンク制御情報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無線端末、及び基地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589A (ko) * 2017-05-05 2020-01-15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데이터 송신 방법 및 디바이스
US11153897B2 (en) 2017-05-05 2021-10-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2173A1 (zh) 2018-05-11
US20190357201A1 (en) 2019-11-21
KR102294803B1 (ko) 2021-08-26
CN108886765A (zh) 2018-11-23
CN108886765B (zh) 2021-03-02
KR20210109648A (ko) 2021-09-06
US10904867B2 (en) 2021-01-26
JP2020503727A (ja)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40271A1 (en) Uplink transmission instruction method, terminal, base station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13329501B (zh) 一种数据传输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CN113286371B (zh) 侧行通信的方法和终端设备
US11206054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US1095220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3316122B (zh) 侧行通信的方法和终端设备
CN114339987A (zh) 定位参考信号的传输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
CN112567842A (zh) 配置信息的传输方法和终端设备
CN112703779B (zh) 一种上行传输的功率控制方法及终端设备
RU2768851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а ни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и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8293255B (zh) 业务传输方法和通信设备
US116595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L267524A (en) Method and device for designing media variables
CN110880960B (zh) 探测参考信号传输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KR102294803B1 (ko)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CN112205051B (zh) 确定传输块大小tbs的方法和设备
CN114375054A (zh) 无线通信方法、装置和通信设备
CN112703808B (zh) Bwp切换的方法和设备
RU2744725C1 (ru) Способ,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RU2801816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CN113422674A (zh) 传输下行控制信息的方法和装置
CN112789918A (zh) 通信方法和通信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