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2869A - 신개념 융·복합 수익형 공동주택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신개념 융·복합 수익형 공동주택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2869A
KR20190072869A KR1020170173980A KR20170173980A KR20190072869A KR 20190072869 A KR20190072869 A KR 20190072869A KR 1020170173980 A KR1020170173980 A KR 1020170173980A KR 20170173980 A KR20170173980 A KR 20170173980A KR 20190072869 A KR20190072869 A KR 20190072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unit
households
revenue
prof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건
Original Assignee
김동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건 filed Critical 김동건
Priority to KR1020170173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2869A/ko
Publication of KR20190072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8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세대 주택이나 아파트와 같은 복수의 세대들이 입주하여 생활하는 주거부와, 농업이나 수산업과 같은 수익을 실현하기 위한 사업이 수행되는 수익사업창출부가 공존하는 형태의 수익형 공동주택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익형 공동주택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세대(121)가 입주해 있는 주거부(120), 상기 주거부(120)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내부에서 수익 창출이 이루어지는 사업이 수행되는 수익창출사업부(110) 및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의 운영 주체로서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에서 수행되는 사업을 통해 발생된 수익을 상기 주거부(120)에서 생활하는 입주 세대 각각에 일정 비율만큼 지급하는 운용사(1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개념 융·복합 수익형 공동주택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MANAGEMENT SYSTEM OF NEW CONCEPT CONVERGENCE PROFITABLE MULTI-UNIT HOUSING AND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단독 주택 단지 및 공동주택과 같이 복수의 세대들이 입주하여 생활하는 영역인 주거부와, 농업이나 수산업과 같이 수익을 실현하기 위한 사업이 수행되는 영역인 수익사업창출부가 공존하는 형태의 수익형 공동주택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거부에서 생활하는 세대들이 입주 비용을 지급함으로써 발생하는 해당 주택과 토지에 대한 소유권 뿐만 아니라, 상기 수익사업창출부에서 발생된 수익의 일부를 분배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추가로 보유할 수 있는 수익형 공동주택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세대가 일정 공간 내에 함께 입주하여 생활하는 다세대 주택이나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의 경우, 각 세대의 입주자들에게 식생 재배와 쉼터 기능을 하는 공간으로서의 텃밭이 확보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공동주택 관리자들이 지정한 지상이나 옥상의 일정 공간을 식생 재배를 위한 공동 텃밭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동 텃밭이 전체 입주자들에게 공평하고 충분한 재배공간을 배당하지 못하고 공간적인 제약 때문에 세대 간의 갈등을 불러일으키는 요인이 되었다.
다른 방안으로, 일부 세대의 주민들은 공동 주택 근교의 주말농장을 이용하고 있으나, 주말농장까지 이동함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발생되며, 교통체증 등에 따른 스트레스도 동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도심 주거지에서 농작물을 재배 및 수확할 수 있도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27366호(이하, "특허문헌 1")에는 각 입주 세대의 발코니 외측으로 슬라브층을 일체로 연장 형성하여 식생 재배 및 쉼터의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는 텃밭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발코니 외측으로 일정크기의 식생 재배 공간을 연장 설치하여 각각 텃밭이나 소규모 정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동주택 입주자들로 하여금 식생 재배 공간을 자신의 집 앞마당이나 정원처럼 이용하게 하였다. 이에 따라, 각 세대의 주민들이 직접 채소나 야채를 친환경으로 재배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거실 바로 옆에 일정크기의 자연친화적인 쉼터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주민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문헌에 따른 텃밭은 아파트 등의 발코니에 설치된다는 점에서, 그 공간의 제약에 의해 재배되는 농작물량이 매우 소량에 불과하다. 따라서, 재배되는 농작물에 대한 사업화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재배량을 늘리기 위해 슬라브층의 크기를 증가시킬 경우, 하층에 설치된 텃밭이 가려져서 태양광의 공급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세대 간의 갈등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더하여, 도시에 인접한 토지를 단순히 공터로 두는 것이 아니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최근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리고, 도시문화생활과 전원환경이 모두 보장된 주거공간에 대한 필요성 역시 점점 크게 대두되고 있었다. 또한, 현재에는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근교의 토지에서 재배된 농산물이나 수산물을 통해 수익을 공유하여 고 부가가치 산업에 함께 참여하고자 하는 요구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2736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도시적인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주거 공간과 전원환경을 느낄 수 있는 수익창출사업 공간이 수익형 공동주택 영역 내에 함께 형성됨으로써 주거 공간에 입주한 주민들의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입주 주민들이 수익창출사업 공간에서 발생된 수익의 일부를 분배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주민들의 만족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신개념 융·복합 수익형 공동주택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 하기와 같은 기술적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익형 공동주택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세대(121)가 입주해 있는 주거부(120), 상기 주거부(120)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내부에서 수익 창출이 이루어지는 사업이 수행되는 수익창출사업부(110) 및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의 운영 주체로서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에서 수행되는 사업을 통해 발생된 수익을 상기 주거부(120)에서 생활하는 입주 세대 각각에 일정 비율만큼 지급하는 운용사(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거부(120)에 입주해 있는 세대(121)들은 입주 시 상기 운용사(10)에 지불한 비용을 통해 얻은 토지와 건물에 대한 등기권 및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로부터 발생된 수익 중 일정 부분에 대한 수익권을 동시에 보유한다.
또한, 상기 운용사(10)는 건설사(20)를 통해 상기 주거부(120) 내에 상기 세대(121)들이 입주하기 위한 건물 제작을 의뢰하고, 상기 운용사(10)는 상기 세대(121)들이 입주할 때에 얻은 수익의 일부를 상기 건설사(20)에 지급하는 데에 사용한다.
또한,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에서 발생된 수익은 상기 운용사(10)와 상기 다수의 세대(121)에 나누어 분배되고, 상기 운용사(10)에 분배되는 수익(a)이 상기 다수의 세대(121)에 총 분배되는 수익(b)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책정된다.
또한, 상기 주거부(120) 또는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에는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의 기초설비를 작동시키는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태양광 발전기의 설치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에는 수익이 실현될 수 있는 농업 또는 수산업이 수행된다.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익형 공동주택 관리 방법은, 다수의 세대(121)가 주거부(120)에 입주할 수 있도록 상기 주거부(120) 내에 다수의 건물이 설치되는 단계, 상기 주거부(120)와 인접한 공터에는 내부에서 수익 창출이 이루어지는 사업이 수행되는 수익창출사업부(110)가 형성되는 단계 및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에서 수행되는 사업을 통해 발생된 수익을 상기 주거부(120)에서 생활하는 입주 세대(121) 각각에 일정 비율만큼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거부(120)의 세대(121)들로부터 발생된 입주 수익의 일부는 상기 주거부(120) 내에 다수의 건물을 설치하는 건설사(20)에 지급된다.
또한,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에서 발생된 수익을 상기 주거부(120)의 입주 세대 각각에 일정 비율만큼 지급하는 단계는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의 운영 주체인 운용사(10)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에서 발생된 수익 중 상기 운용사(10)에 분배되는 수익은 상기 다수의 세대(121)에 총 분배되는 수익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책정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주거 공간과 수익창출사업 공간이 공동주택 영역 내에 함께 형성되므로 도시에서도 농업이나 수산업 등의 수익활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주거부 근교에 거대한 크기의 환경친화적인 쉼터가 확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주거부에 입주해 있는 주민들이 별도의 주말농장을 예약할 필요 없이 상기 주거부 인근에 위치하는 수익창출사업부를 이용함으로써 아이들의 정서함양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고 주민들의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주거부에 입주해 있는 주민들이 상기 수익창출사업부에서 발생된 수익을 공유하도록 구성되어 고 부가가치 산업에 함께 참여할 수 있으므로, 종전 단순 주거를 목적으로 하는 주택 구입 목적에서 주택을 구입하는 순간부터 정기적으로 수익이 창출하기 위한 주거 및 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구입 목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주거 주민들의 만족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첨부된 도면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개념 융·복합 수익형 공동주택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수익형 공동주택을 설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상기 수익형 공동주택을 통해 발생된 수익의 분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개념 융·복합 수익형 공동주택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수익형 공동주택을 설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상의 용어, "공동주택"이라 함은, 복수의 세대가 주거하는 공간을 통칭하는 의미로서, 예를 들어 다세대 주택, 아파트, 빌라촌, 단독 주택 단지의 조합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개념 융·복합 수익형 공동주택 부지(100)는 다수의 세대가 입주해 있는 주거부(120) 및 상기 주거부(120)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내부에서 수익 창출이 이루어지는 사업이 수행되는 수익창출사업부(11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거부(120)와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는 유한회사 또는 영농법인 등과 같이 운영 주체가 될 수 있는 운용사(10)에 의해 전체적인 관리가 이루어진다. 즉, 상기 운용사(10)는 상기 수익형 공동주택 부지(100)의 운영 주체라 할 수 있다.
상기 주거부(120)는 아파트, 다세대 주택, 다세대 빌라 등과 같이 복수의 세대가 함께 생활하는 공간이다. 이러한 상기 주거부(120) 내의 건물들은 별도의 건설사(20)를 통해 설립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운용사(10)는 상기 주거부(120) 내에 복수의 건물이 설치되도록 상기 건설사(20)에 건물 구축을 의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주거부(120) 내에 다수의 세대가 생활할 수 있는 복수의 건물이 건설되는 것이다.
상기 주거부(120)에 인접한 공터 부분에는 환경친화적인 사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수익창출사업부(110)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익형 공동주택 부지(100)은 경계선(130)을 기준으로 목적과 기능이 서로 다른 상기 주거부(120)와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로 구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영역인 수익형 공동주택 부지(100) 내에 도심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주거부(120)와 친환경적인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수익창출사업부(110)가 공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계부(130)에는 별도의 출입문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주거부(120)와 수익창출사업부(110)가 상기 출입문에 의해 공간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상기 주거부(120) 근교의 공터 부분이 데드 스페이스로 활용되지 못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터 부분이 여러 사업을 통해 수익이 발생될 수 있는 수익창출사업부(110)로 활용됨으로써 토지의 활용 가치가 크게 증대되고 상기 주거부(120)에서 생활하는 입주민들이 친환경적인 분위기를 느낄 수 있으므로 거주 만족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에서는 농업, 수산업 등 환경친화적이면서도 수익이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사업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에서 농업이 행해진다면,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 내에는 다양한 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복수의 식생판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생판들에 태양광을 적절히 조사하기 위해, 상기 식생판들이 설치된 하우스를 감싸는 벽체 부분에는 태양광을 투과 또는 굴절시킬 수 있는 투명창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식물서식 하우스의 투명창은 중간 부분을 기준으로 상부에는 태양광을 굴절시킬 수 있는 굴절부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태양광을 그대로 하우스 내로 조사시킬 수 있는 투과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식물서식 하우스의 내부 또는 내벽에는 태양광을 상기 식생판에 널리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반사판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식물서식 하우스로 유입된 태양광은 상기 투명창 및 반사판들에 의해 광의 반사, 굴절 및 산란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식생판들에 골고루 태양광이 전달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내용은,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의 일 예로서 농업을 예시로 하여 설명한 것일 뿐,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의 종류,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의 세부 구성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보다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주거부(120) 또는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에는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의 기초설비를 작동시키는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태양광 발전기의 설치 공간이 형성된다. 즉, 상기 수익형 공동주택 부지(100) 내에는 에너지 생산을 위한 태양광 발전기가 설치된다. 상기 태양광 발전기는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의 기초설비를 작동시키는 에너지뿐만 아니라, 상기 주거부의 입주 세대들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수익형 공동주택 부지(100)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방식이 태양광 발전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다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밝혀둔다.
종래에는 각 세대(121)들이 가지는 권리로, 입주 비용을 지급함으로써 발생되는 등기권만을 보유하는 것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주거부의 입주 세대(121)들은 등기권뿐만 아니라,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에서 발생되는 수익의 일부에 대한 권리인 수익권까지 가질 수 있으므로 상기 입주 세대(121)들의 거주 만족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익형 공동주택 부지(100)의 운용 방식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상기 수익형 공동주택을 통해 발생된 수익의 분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수익형 공동주택 부지(100)의 운영 주체인 운용사(10)는 건설사(20)에 의뢰하여 주거부(120) 내에 복수의 건물을 설치한다. 상기 건설사(20)를 통한 건물 구축이 완료되면 상기 주거부(120) 내의 복수의 세대에 대한 입주 절차가 시행된다. 상기 주거부(120) 내 건물들에 다수의 세대(121)들이 입주하게 되면, 운용사(10)는 상기 다수의 세대(121)로부터 입주 비용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각 세대(121)가 운용사(10)에 입주 비용을 지급하게 되면, 상기 세대들은 해당 토지 및 건물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소유권은 소유권등기를 함으로써 각 세대는 해당 토지 및 건물에 대한 소유권을 보호받을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운용사(10)는 상기 주거부(120) 내에 건물을 설립한 건설사(20)에 건설 비용을 지급한다. 상기 운용사(10)가 상기 건설사(20)에 지급하는 비용은 상기 주거부의 입주 세대(121)들로부터 받은 입주 비용의 일부를 지급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에서의 사업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운용사(10)는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의 기초 설비를 미리 세팅한다.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의 기초설비는 상기 운용사(10)의 자비로 직접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운용사(10)가 상기 주거부의 입주 세대(121)들로부터 받은 입주 비용 중 상기 건설사(20)에 지급하는 비용을 제외한 나머지 비용을 사용하여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에서 농업 또는 수산업과 같은 수익이 실현될 수 있는 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준비 절차가 이루어지게 된다.
위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에서는 본격적으로 농업 또는 수산업이 수행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에서는 별도의 수익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이 발생된 수익은 상기 운용사(10)와 상기 주거부의 입주세대(121)에 각각 분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의 수익 중 일부(a)는 상기 운용사(10)로 분배되고, 다른 일부(b)는 상기 주거부의 총 입주 세대(121)로 각각 분배된다. 이때, 상기 운용사(10)로 분배되는 수익(a)은 상기 주거부의 입주 세대(121)로 분배되는 총 수익(b)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책정된다. 이와 같이 책정되는 이유는, 상기 운용사(10)가 상기 수익형 공동주택 부지(100)의 총 관리자이자 운영 주체임을 알리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기 운용사(10)로 분배되는 수익(a)은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에서 발생되는 전체 수익의 52%일 수 있고, 상기 주거부의 입주 세대(121)로 분배되는 총 수익(b)은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에서 발생되는 전체 수익의 48%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운용사(10)와 상기 주거부의 입주 세대(121) 간의 수익 분배 비율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상기 주거부의 입주 세대(121)는 입주 비용을 지불함으로써 발생되는 토지와 건물에 대한 등기권 뿐만 아니라,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에서 행해지는 사업에 대한 수익의 일부를 분배 받을 수 있는 수익권도 함께 보유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주거부에 입주해 있는 주민들의 만족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운용사
20 : 건설사
100 : 수익형 공동주택 부지
110 : 수익창출사업부
120 : 주거부
121 : 입주 세대
130 : 경계부

Claims (10)

  1. 다수의 세대(121)가 입주해 있는 주거부(120);
    상기 주거부(120)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내부에서 수익 창출이 이루어지는 사업이 수행되는 수익창출사업부(110); 및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의 운영 주체로서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에서 수행되는 사업을 통해 발생된 수익을 상기 주거부(120)에서 생활하는 입주 세대 각각에 일정 비율만큼 지급하는 운용사(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익형 공동주택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거부(120)에 입주해 있는 세대(121)들은 입주 시 상기 운용사(10)에 지불한 비용을 통해 얻은 토지와 건물에 대한 등기권 및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로부터 발생된 수익 중 일정 부분에 대한 수익권을 동시에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익형 공동주택 관리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사(10)는 건설사(20)를 통해 상기 주거부(120) 내에 상기 세대(121)들이 입주하기 위한 건물 제작을 의뢰하고,
    상기 운용사(10)는 상기 세대(121)들이 입주할 때에 얻은 수익의 일부를 상기 건설사(20)에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익형 공동주택 관리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에서 발생된 수익은 상기 운용사(10)와 상기 다수의 세대(121)에 나누어 분배되고,
    상기 운용사(10)에 분배되는 수익(a)이 상기 다수의 세대(121)에 총 분배되는 수익(b)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책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익형 공동주택 관리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거부(120) 또는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에는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의 기초설비를 작동시키는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태양광 발전기의 설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익형 공동주택 관리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에는 수익이 실현될 수 있는 농업 또는 수산업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익형 공동주택 관리 시스템.
  7. 다수의 세대(121)가 주거부(120)에 입주할 수 있도록 상기 주거부(120) 내에 다수의 건물이 설치되는 단계;
    상기 주거부(120)와 인접한 공터에는 내부에서 수익 창출이 이루어지는 사업이 수행되는 수익창출사업부(110)가 형성되는 단계; 및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에서 수행되는 사업을 통해 발생된 수익을 상기 주거부(120)에서 생활하는 입주 세대(121) 각각에 일정 비율만큼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익형 공동주택 관리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주거부(120)의 세대(121)들로부터 발생된 입주 수익의 일부는 상기 주거부(120) 내에 다수의 건물을 설치하는 건설사(20)에 지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익형 공동주택 관리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에서 발생된 수익을 상기 주거부(120)의 입주 세대 각각에 일정 비율만큼 지급하는 단계는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의 운영 주체인 운용사(10)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익형 공동주택 관리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창출사업부(110)에서 발생된 수익 중 상기 운용사(10)에 분배되는 수익은 상기 다수의 세대(121)에 총 분배되는 수익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책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익형 공동주택 관리 방법.
KR1020170173980A 2017-12-18 2017-12-18 신개념 융·복합 수익형 공동주택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201900728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980A KR20190072869A (ko) 2017-12-18 2017-12-18 신개념 융·복합 수익형 공동주택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980A KR20190072869A (ko) 2017-12-18 2017-12-18 신개념 융·복합 수익형 공동주택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869A true KR20190072869A (ko) 2019-06-26

Family

ID=67105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980A KR20190072869A (ko) 2017-12-18 2017-12-18 신개념 융·복합 수익형 공동주택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286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7366A (ko) 2009-05-26 2010-12-06 강석수 발코니 외 측으로 식생 재배 및 쉼 공간으로서의 텃밭을 갖는 공동주택 건축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7366A (ko) 2009-05-26 2010-12-06 강석수 발코니 외 측으로 식생 재배 및 쉼 공간으로서의 텃밭을 갖는 공동주택 건축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dams et al. Land tenure policy and practice in Botswana-Governance lessons for southern Africa
Norton-Griffiths Property rights and the marginal wildebeest: an economic analysis of wildlife conservation options in Kenya
KR20010108384A (ko) 대화식 건물 모듈
Blomkvist et al. An analytical framework for common-pool resource–large technical system (CPR-LTS) constellations
Gorzym-Wilkowski Spatial planning as a too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Polish realities
Vidal Merino et al. Resilient governance regimes that support urban agriculture in Sub-Saharan cities: Learning from local challenges
Jensen Green buildings in an infrastructure perspective
Wiseman et al. Community-scale renewable energy
KR20190072869A (ko) 신개념 융·복합 수익형 공동주택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Baganz et al. Urban rooftop uses: Competition and potentials from the perspective of farming and aquaponics–A Berlin Case Study
Delshammar Urban greening strategies for compact areas-case study of Malmö, Sweden
Van Tuyen Dynamics of property rights in the Tam Giang Lagoon
Ubukata et al. Local struggles for the coproduction of natural capital: Payment for forest environmental services in Central Vietnam
Ortlepp et al. Building heat-resilient neighborhoods—Testing the implementation on buildings and in open spaces in two sample quarters Dresden and Erfurt
Winch et al. Making the case for green infrastructure: lessons from best practice
Ahmad et al. Buffer zone concept and its potential implementation in Tasek Bera
Castell Involving tenants in open space management: experiences from Swedish rental housing areas
Silva et al. Triple helix as a strategic tool to fast-track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rural Kenya: Case study of Marsabit County
Jing Measures for Improvement of the Land Acquisition and Compensation System in Urban-Rural Integrated Construction Land Market
Gould et al. TreeHAUS: Forest-Inspired Multifamily Housing for a Truly Regenerative Future
Ntshona et al. Rural development, institutional change and livelihoods in the Eastern Cape, South Africa: a case study of Mdudwa village
Dening et al. What is Community-led Housing? Proposal for a Co-operative Housing Development
Mosha The impact of architectural designs and practices on the cost of housing in Tanzania
Rydhagen Feminist Sanitary Engineering in Vioolsdrif, South Africa
Meyer-McLean et al. Towards sustainability: The feasibility of a sustainability hub in Clare and the mid North, South Austral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