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2237A - 폴더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폴더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2237A
KR20190072237A KR1020170173438A KR20170173438A KR20190072237A KR 20190072237 A KR20190072237 A KR 20190072237A KR 1020170173438 A KR1020170173438 A KR 1020170173438A KR 20170173438 A KR20170173438 A KR 20170173438A KR 20190072237 A KR20190072237 A KR 20190072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display device
groove
adhesive layer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2043B1 (ko
Inventor
박영주
장세진
원유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3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043B1/ko
Publication of KR20190072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폴더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버부재와, 커버부재 하부에 배치된 제1 접착층과, 제1 접착층 하부에 배치된 표시패널과,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된 제2 접착층과, 제2 접착층 하부에 배치된 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폴더블 표시장치는 폴딩 영역과, 폴딩 영역의 양 측에 위치하는 비 폴딩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커버부재의 적어도 한 측면에서 폴딩 영역과, 상기 폴딩 영역 및 상기 비 폴딩 영역의 경계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커버부재 홈이 있는 폴더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폴더블 표시장치의 외측 및 내측 폴딩이 가능하게 하면서, 폴더블 표시장치 구성들의 균열을 방지해줄 수 있다.

Description

폴더블 표시장치{FOLD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 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와 같은 여러 가지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TV(Television), 자동차 디스플레이, 웨어러블(wearable) 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기 위해, 구조적 변형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벤더블(bendable), 폴더블(foldable) 커브드(curved), 롤러블(rolable), 및 플렉서블(flexible) 폴더블 표시장치(이하, 벤더블, 폴더블 커브드, 롤러블 및 플렉서블 폴더블 표시장치는 폴더블 표시장치로 용어를 통일하여 명명함)와 같이 휘거나 접을 수 있는 폴더블 표시장치가 각광받고 있다.
표시장치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기 시작함에 따라, 휨 또는 접힘 가능한 폴더블 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휨 또는 접힘 가능한 폴더블 표시장치는 커버부재, 광학층, 표시패널 및 백 플레이트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휨 또는 접힘 가능한 폴더블 표시장치는 폴더블 표시장치를 이루는 구성들의 휨 또는 접힘이 가능해야 한다.
그러나 폴더블 표시장치를 휘거나 접을 때, 커버부재, 광학층, 표시패널 및 백 플레이트에는 응력(stress)이 발생하게 된다. 커버부재, 광학층, 표시패널 및 백 플레이트에 파괴 강도 이상의 응력이 발생하는 경우, 각 구성에 균열(crack)이 생기게 된다.
특히, 폴더블 표시장치를 휘거나 접는 방향에 따라 커버부재, 광학층, 표시패널 및 백 플레이트에 전달되는 응력의 크기가 달라져, 균열이 시작되는 구성 역시 달라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외측 방향으로 휨 또는 접힘이 가능한 폴더블 표시장치에서 커버부재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폴더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내측 방향으로 휨 또는 접힘이 가능한 폴더블 표시장치에서 광학층과 표시패널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폴더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외측과 내층 방향으로 휨 또는 접힘이 가능한 폴더블 표시장치에서 폴더블 표시장치의 포함되는 구성들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폴더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폴더블 표시장치에 있어서, 커버부재와, 커버부재 하부에 배치된 제1 접착층과, 제1 접착층 하부에 배치된 표시패널과,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된 제2 접착층과, 제2 접착층 하부에 배치된 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폴더블 표시장치는 폴딩 영역과 폴딩 영역의 양 측에 위치하는 비 폴딩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폴딩 영역에서 커버부재의 적어도 한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부재 홈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폴더블 표시장치에서, 커버부재의 적어도 한 측면의 폴딩 영역의 경계 영역과 폴딩 영역 내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커버부재 홈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 및 제1 접착층 사이에는 광학층이 더 배치되고, 폴딩 영역에서 광학층의 적어도 한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층 홈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폴딩 영역에서, 제1 접착층의 적어도 한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착층 홈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커버부재 홈, 광학층 홈 및 제1 접착층 홈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서 서로 대응되는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폴더블 표시장치에 있어서, 커버부재와, 커버부재 하부에 배치된 제1 접착층과, 제1 접착층 하부에 배치된 표시패널과,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된 제2 접착층과, 제2 접착층 하부에 배치된 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커버부재, 제2 접착층, 표시패널, 제2 접착층 및 백 플레이트는 폴딩 가능하고, 커버부재의 적어도 한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부재 홈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외측 방향으로 휨 또는 접힘이 가능한 폴더블 표시장치에서 커버부재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폴더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내측 방향으로 휨 또는 접힘이 가능한 폴더블 표시장치에서 광학층과 표시패널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폴더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외측과 내측 방향으로 휨 또는 접힘이 가능한 폴더블 표시장치에서 광학층과 표시패널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폴더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가 외측 방향으로 폴딩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구성 중 커버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와 비교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를 외측 방향으로 폴딩하였을 때, 폴더블 표시장치에 가해지는 응력의 경향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도3의 커버부재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구성 중 커버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8의 커버부재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가 내측 방향으로 폴딩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구성 중 커버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와 비교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를 내측 방향으로 폴딩하였을 때, 폴더블 표시장치에 가해지는 응력의 경향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5는 도12의 커버부재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구성 중 커버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16의 커버부재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커버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예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커버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소자(element)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 (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폴딩 영역(BA)과 적어도 두 개의 비 폴딩 영역(NBA1, NBA2)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100)이다. 도 1a에는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하나의 폴딩 영역(BA)과 두 개의 비 폴딩 영역(NBA1, NBA2)을 포함하는 구조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수의 폴딩 영역(BA)을 포함할 수도 있고, 비 폴딩 영역(NBA1, NBA2) 영역을 포함하지 않거나, 3개 이상의 비 폴딩 영역(NBA1, NBA2)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외력에 의해 구부려진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구동 될 수 있는 폴더블 표시장치(100)일 수 있다. 한편, 도 1a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폴더블(foldable) 표시장치(100)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벤더블(bendable) 표시장치, 커브드(curved) 표시장치, 롤러블(rolable) 표시장치, 및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장치일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텔레비전 또는 외부 광고판과 같은 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휴대 전화,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개인 디지털 단말기, 자동차 네이게이션 유닛, 게임기, 휴대용 전자 기기,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카메라와 같은 중소형 전자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가 표시되는 표시면(IM)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과 평행하다. 표시면의 법선 방향은 제3 방향(DR3)과 평행하다. 즉, 제3 방향(DR3)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DR1, DR2)과 수직하다. 제3 방향(DR3)은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두께 방향을 지시할 수 있다. 각 부재들의 전면과 배면은 제3 방향(DR3)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표시면 상에서 구분되는 다수개의 영역들을 포함한다.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해당 영역이 이미지를 표시 하는지 여부에 따라 표시영역(A/A) 및 비 표시영역(N/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는 표시영역(A/A)를 통해 이미지를 표시한다. 비 표시영역(N/A)은 이미지를 표시 하지 않는다. 비 표시영역(N/A)에는 표시 영역(A/A)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또는 배선들이 배치 될 수 있다. 비 표시영역(N/A)은 표시영역(A/A)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인가된 외력에 따라 휘어지는 폴딩 영역(BA)과 인가된 외력에 따라 휘어지지 않는 제1 비 폴딩 영역(NBA1), 및 제2 비 폴딩 영역(NBA2)으로 구분 될 수 있다. 폴딩 영역(BA)은 제1 및 제2 비 폴딩 영역(NBA1, NBA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폴딩 영역(BA)은 예를 들어, 제2 방향(DR2)과 평행한 폴딩축(BX)을 기준으로 휘어질 수 있다.
그리고, 폴딩 영역(BA)의 양쪽 경계 영역에 제1 및 제2 폴딩 경계 영역(BA-NBA1, BA-NBA2)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비 폴딩 영역(NBA1)과 폴딩 영역(BA)의 사이에는 제1 폴딩 경계 영역(BA-NBA1)이 위치하고 제2 비 폴딩 영역(NBA2)의 일부와 폴딩 영역(BA)의 일부 사이에는 제2 폴딩 경계 영역(BA-NBA2)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폴딩 경계 영역(BA-NBA1)과 제2 폴딩 경계 영역(BA-NBA2)은 폴딩 영역(BA)과 제1 및 제2 비 폴딩 영역(NBA1, NBA2) 모두에 포함되지 않거나, 폴딩 영역(BA)에만 포함되거나, 제1 및 제2 비 폴딩 영역(NBA1, NBA2)에만 포함되거나, 폴딩 영역(BA)과 제1 및 제2 비 폴딩 영역(NBA1, NBA2)에만 포함되는 영역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폴딩 영역"은 사용자 등의 폴딩 처리에 의해 폴딩 처리 이전의 상태와는 달라지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폴딩 영역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존재할 수 있으며, 폴딩 영역이 둘 이상인 경우 각기 폴딩 상태(예: 폴딩곡률, 폴딩된 표면상태 등)가 동일할 수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또한, 폴딩 영역의 위치는 폴더블 표시장치에서 고정된 위치일 수도 있고, 사용자 등의 폴딩처리 위치에 따라 가변될 수도 있다.
또한, 폴딩 영역의 크기는 항상 동일할 수도 있고, 사용자 등의 폴딩처리 방식 등에 따라 가변될 수도 있다.
한편, "비 폴딩 영역"은 폴딩 영역이 아닌 영역으로서, 폴딩 처리 이전의 상태를 유지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비 폴딩 영역의 개수, 위치 및 크기 등은 전술한 바와 같은 폴딩 영역의 개수, 위치 및 크기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폴딩 형태는 일반적으로 완만한 곡선 형태일 수 있으나, 꺾인 형태인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재(110), 커버부재(110) 하부에 배치된 광학층(160), 광학층(160) 하부에 배치된 제1 접착층(120), 제1 접착층(120) 하부에 배치된 표시패널(130), 표시패널(130) 하부에 배치된 제2 접착층(140) 및 제2 접착층(140) 하부에 배치된 백 플레이트(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커버부재(110)는 표시패널(130) 상에 위치하여, 표시패널(13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광학층(160)은 광의 방향을 바꾸고 광의 세기를 조절하거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층(160)은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구성된 편광층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접착층(120, 140)은 광학용 투명 장착 필름 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OCA)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및 제2 접착층(120, 140)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표시패널(130)은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패널(130)은 하부기판 상에 배치된 터치패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터치패널이 내장형 터치패널이거나 외장형 터치패널인 구성을 모두 포함한다.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내장형 또는 외장형의 터치패널은 표시패널(130)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설명한다. 즉, 후술하는 설명에서 표시패널(130)이라함은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표시패널(130)은 액정표시 패널 또는 유기발광 표시패널, 전기영동 표시패널 등일 수 있고,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유기발광 폴더블 표시장치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백 플레이트(150)는 커버 바텀, 백커버 등 표시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표시패널(100)을 보호하는 구성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커버부재(110), 광학층(160), 제1 접착층(120), 표시패널(130), 제2 접착층(140) 및 백 플레이트(150)는 폴딩 영역(BA)영역에서 휘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재(110), 광학층(160), 제1 접착층(120), 표시패널(130), 제2 접착층(140) 및 백 플레이트(150)는 폴딩축(BX)을 기준으로 외측(outer) 방향 또는 내측(inner)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가 외측 방향으로 폴딩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폴딩축(BX)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폴딩될 때, 제1 및 제2 비 폴딩 영역(NBA1, NBA2)의 표시면(IM)들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폴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부재(110), 광학층(160), 제1 접착층(120), 표시패널(130), 제2 접착층(140) 및 백 플레이트(150)는 모두 휘어지거나 접힐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예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에 포함되는 구성들은 휘거나 접기에 용이하도록 대부분 유기물로 이루어져 있거나, 두께가 매우 얇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표시패널(130)에는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다수의 유기발광 소자가 존재하므로 과도한 폴딩이 이루어질 경우 박막 트랜지스터와 유기발광 소자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폴딩 시 표시패널(130)에 다수의 중립면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중립면은 구성에 가해지는 외력이 0이되는 지점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면, 표시패널(130)에서 박막 트랜지스터가 위치하는 영역에 중립면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유기발광소자가 위치한 영역 역시 중립면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계될 경우,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외측 방향으로 폴딩될 때, 표시패널(130) 상부에 위치한 커버부재(110)에 응력이 가해져, 커버부재(110)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외측 방향으로 폴딩될 경우, 폴더블 표시장치(100) 구성 중 커버부재(110)에 가장 큰 인장 응력(tensile stress)이 가해지고, 특히, 폴딩 영역(BA)의 중앙 지점에 가장 큰 인장 응력이 가해질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재(110)가 파손될 때, 커버부재(110)의 가장자리(edge)에서 균열이 발생하여 내측으로 전파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큰 외력으로 인해 외측 방향으로 폴딩되거나, 폴딩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때(외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질 때), 폴딩 영역(BA)의 중앙 지점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한 커버부재(110)의 가장자리에서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결국에는 파손에 이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외측 방향으로 폴딩될 경우, 커버부재(110)의 가장자리에서 균열이 시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구성 중 커버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커버부재(110)는 적어도 한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커버부재 홈(311)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재 홈(311)은 폴딩 영역(BA)에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재 홈(311)은 폴딩 영역(BA) 내 중앙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커버부재 홈(311)은 폴더블 표시장치의 폴딩축(BX)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커버부재 홈(311)이 폴딩 영역(BA) 내 중앙 지점에만 위치하는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커버부재(110)는 폴딩 영역(BA) 내 중앙 지점에 위치하는 커버부재 홈(311)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폴딩 영역(BA) 내에 더 배치된(중앙 지점 제외) 적어도 하나의 커버부재 홈(311)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커버부재 홈(311)의 외관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비 (Wavy) 형태일 수 있다. 즉, 커버부재 홈(311)은 평면 상으로 모서리가 없는 형태일 수 있다.
커버부재(110)가 모서리를 갖는 형태의 커버부재 홈(311)을 구비할 경우, 이러한 커버부재(110)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폴딩하면, 커버부재 홈(311)의 모서리에서부터 균열이 시작되어 결국에는 커버부재(110)가 파손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버부재 홈(311)의 외관이 웨이비 형태이므로, 상술한 모서리를 갖는 홈의 형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커버부재(110)를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의 구조와 효과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3의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와 비교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를 외측 방향으로 폴딩하였을 때, 폴더블 표시장치에 가해지는 응력의 경향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도3의 커버부재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비교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가 포함되지 않은 폴더블 표시장치일 수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적어도 한 측면에 적어도 한 개의 커버부재 홈(311)을 구비하는 커버부재(110)를 포함한다. 이러한 커버부재(110) 하부에는 광학층(160), 제1 접착층(120), 표시패널(130), 제2 접착층(140) 및 백 플레이트(150)가 차례로 배치된다.
커버부재(110)와 광학층(160)의 모듈러스(Modulus)는 제1 접착층(120)의 모듈러스보다 높고, 제1 접착층(120)의 모듈러스는 표시패널(130)의 모듈러스 낮고, 표시패널(130)의 모듈러스는 제2 접착층(140)의 모듈러스보다 높으며, 제2 접착층(140)의 모듈러스는 백 플레이트(150)의 모듈러스보다 낮을 수 있다.
여기서, 모듈러스는 응력과 변형의 비를 나타내는 탄성계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에서는 모듈러스가 높은 구성과 낮은 구성이 교번하여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구부릴 때 모듈러스가 비교적 높은 커버부재(110), 광학층(160) 및 백 플레이트(150) 내에 발생하는 인장 응력(외측 방향으로 폴딩 일 때)의 분포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재(110) 및 광학층(160)과, 표시패널(130) 사이에 모듈러스가 낮은 제1 접착층(120)이 배치되고, 표시패널(130)과 백 플레이트(150) 사이에 모듈러스가 낮은 제2 접착층(140)이 위치하여, 커버부재(110)와 광학층(160) 사이에 중립면을 만들고 표시패널(130)과 백 플레이트(150)에 각각 중립면을 만들 수 있다.
한편, 표시패널(130)에 터치패널이 포함될 경우, 모듈러스가 비교적 낮은 제1 접착층(120)이 표시패널(130)과 광학층(16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균열에 취약한 터치패널에도 중립면을 갖도록 인장 응력의 분포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부재(110)와 광학층(160) 사이, 표시패널(130, 터치패널 포함) 및 백 플레이트(150)가 각각 휨에 대한 응력이 0인 중립면을 가짐으로써,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구부릴 때에도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층(160)은 커버부재 홈(311)에 의해 상면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된 광학층(160)의 상면은 커버부재 홈(311)이 있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노출된 광학층(160)의 상면은 폴딩 영역(BA)에 위치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폴딩 영역(BA) 내 중앙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외측 방향으로 폴딩될 때, 주로 폴딩 영역(BA)의 중앙 지점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한 커버부재(110)의 가장자리에서 균열이 발생하는 현상을 설명한 바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부재(110)는 폴딩 영역(BA)의 중앙 지점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커버부재(110)의 적어도 한 측면에 커버부재 홈(311)이 있을 수 있다. 커버부재 홈(311)은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외측 방향으로 폴딩될 때, 폴딩 영역(BA)의 중앙 지점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한 커버부재(110)의 가장자리에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커버부재 홈(311)으로 인해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두께 변화가 생기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커버부재 홈(311)이 위치한 영역에서의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두께(T1)는 커버부재 홈(311)이 위치하지 않은 영역에서의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두께(T2)보다 얇을 수 있다. 이 때, 커버부재 홈(311)이 위치한 영역과 위치하지 않는 영역의 두께 차이는 커버부재(110)의 두께와 동일하다.
여기서, 커버부재 홈(311)이 위치한 영역에서의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두께(T1)는 백 플레이트(150)의 배면에서부터 광학층(160)의 상면까지의 길이이고, 커버부재 홈(311)이 위치하지 않은 영역에서의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두께(T2)는 백 플레이트(150)의 배면에서부터 커버부재(110)의 상면까지의 길이이다.
한편, 물체를 휘거나 접기 위해서는 물체가 구부러질 수 있을 정도의 외력을 물체에 가해야 하는데, 물체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물체를 휘거나 접기 위해 필요한 외력은 커지게 된다. 그리고, 물체에 가해지는 외력의 크기가 클수록, 물체 내에 발생하는 응력의 크기가 커져 물체가 파손될 확률이 커지게 된다.
반대로, 두께가 물체의 두께가 얇을수록 물체를 휘거나 접기 위해 필요한 외력은 작아진다. 그리고, 물체에 가해지는 외력의 크기가 작을수록, 구부림으로 인해 물체가 파손될 확률이 작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에서는 폴딩 영역(BA)에 중앙 지점에 적어도 하나의 커버부재 홈(311)이 있고, 커버부재 홈(311)이 있는 영역에서는 커버부재 홈(311)이 위치하지 않는 영역보다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두께가 얇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커버부재 홈(311)이 있는 영역에서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휘거나 접을 때, 커버부재 홈(311)이 있지 않는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구부릴 때보다 작은 외력으로 구부릴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커버부재 홈(311)으로 인해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휘거나 접기 위한 외력의 크기가 비교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를 휘거나 접기 위한 외력의 크기보다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외측 방향으로 폴딩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110)에 가해지는 인장 응력의 크기(A 지점에 해당하는 응력) 역시 비교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커버부재에 가해지는 인장 응력의 크기(B 지점에 해당하는 응력)보다 줄어들 수 있다.
즉, 인장 응력으로 인해 폴딩 영역(BA)의 중앙 지점에서 커버부재(110)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에서 커버부재 홈(3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10)의 적어도 한 측면의 일부에 있을 수 있다. 이 때, 커버부재 홈(311)은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비 표시영역(N/A)과 대응되는 영역에 있을 수 있다. 즉, 커버부재 홈(311)은 표시영역(A/A)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리고, 커버부재 홈(311)이 커버부재(110)의 적어도 한 측면의 일부에만 있으므로, 도 4에서 커버부재 홈(311)이 있는 영역을 정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단면 형상은 도 6의 형상일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재 홈(311)이 있는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한 측면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커버부재 홈(311)은 커버부재(110)의 한 측면에서 다른 측면까지 있는 형태가 아니므로 커버부재 홈(311)이 위치한 영역에서도 커버부재(110) 파여있지 않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6에서는 커버부재(110)의 한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커버부재 홈(311)이 구비되는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된 구성일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110)는 두 측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커버부재 홈(311)이 있다.
이 때, 커버부재(110)가 마주보는 두 측면에서 커버부재 홈(311)이 구비됨으로써,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구부릴 때 집중적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폴딩 영역(BA)에서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두께가 얇아지는 영역 대칭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폴딩 영역(BA)에서 외력이 대칭적으로 분포될 수 있으므로, 외측 방향으로 폴딩 시 가장 큰 외력을 받는 커버부재(110)의 파손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커버부재 홈(311)은 폴딩 영역(BA)에서 커버부재(110)의 적어도 한 측면의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커버부재 홈(311)의 위치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를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구성 중 커버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에 포함되는 커버부재(110)는 적어도 한 측면에 하나의 커버부재 홈(311)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커버부재 홈(311)의 폭(W1)은 폴딩 영역(BA)의 폭(W2)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장치를 외측 방향으로 휘거나 접기 위해 폴더블 표시장치에 외력을 가할 때, 폴딩 영역(BA)의 중앙 지점과 대응되는 영역뿐 만 아니라 폴딩 영역(BA) 전반에 걸쳐 폴더블 표시장치(100)에 가해지는 인장 응력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폴딩 시 커버부재(110)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110)에 구비된 커버부재 홈(311)의 외관은 웨이비 형태로, 모서리가 없는 형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부재 홈(311)의 모서리에서 균열이 시작되어 커버부재(110) 내측으로 전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커버부재 홈(311)이 커버부재(110)의 한 측면에 있는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커버부재(110)의 다수의 측면에 커버부재 홈(311)이 있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커버부재(110)를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의 구조를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자세히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도 8의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8의 커버부재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적어도 한 측면에 한 개의 커버부재 홈(311)이 있는 커버부재(110)를 포함한다. 이 때, 커버부재 홈(311)의 폭은 폴딩 영역(BA)의 폭과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재 홈(311)이 위치한 영역에서의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두께(T1)는 커버부재 홈(311)이 위치하지 않는 영역에서의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두께(T2)보다 얇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나의 커버부재 홈(311)이 폴딩 영역(BA) 전체에 위치함으로써, 폴딩 영역(BA)에서의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두께(T1)는 비 폴딩 영역(NBA1, NBA2)에서의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두께(T2)보다 얇을 수 있다.
따라서, 폴딩 영역(BA)의 전체 영역에서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휘거나 접는데 필요한 외력이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폴딩 영역(BA)에 위치한 커버부재(110)의 가장자리에서 균열이 일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재 홈(311)이 커버부재(110)의 적어도 한 측면의 폴딩 영역(BA)의 일부에 구비되므로, 도 9에서 커버부재 홈(311)이 구비된 영역을 정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단면 형상은 도 10의 형상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0을 통해서는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외측 방향으로 폴딩 될 경우,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커버부재(110)가 인장 응력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이어서,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내측 방향으로 폴딩 될 경우,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커버부재(110)가 압축 응력(compressive stress)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가 내측 방향으로 폴딩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폴딩축(BX)을 기준으로 내측 방향으로 폴딩될 때, 제1 및 제2 비 폴딩 영역(NBA1, NBA2)의 표시면(IM)들이 폴딩된 상태의 폴더블 표시장치(100) 내측에 위치하도록 폴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내측 방향으로 폴딩될 경우, 폴더블 표시장치(100) 구성 중 광학층(160)과, 표시패널(130)이 터치패널을 포함할 경우 터치패널에 가장 큰 압축 응력이 가해지고, 특히, 광학층(160)과 터치패널에는 폴딩 영역(BA)과 비 폴딩 영역(NBA1, NBA2)의 경계 영역에서 가장 큰 압축 응력이 가해질 수 있다.
즉. 폴더블 표시장치(100)에 외력을 가하여 내측 방향으로 폴딩 시키거나, 폴딩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때(또는 외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질 때), 폴딩 영역(BA)과 비 폴딩 영역(NBA1, NBA2)의 경계 영역에서 광학층(160)과 터치패널의 가장자리에는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결국에는 파손에 이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내측 방향으로 폴딩될 경우, 커버부재(110)의 가장자리에서 균열이 시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2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구성 중 커버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구성 중 커버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커버부재(110)는 적어도 한 측면에 두 개의 커버부재 홈(311)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재(110)의 적어도 한 측면에서, 폴딩 영역(BA)의 양쪽 경계 영역(제1 및 제2 폴딩 경계 영역, BA-NBA1, BA-NBA2) 각각에 커버부재 홈(311)이 위치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커버부재 홈(311)이 커버부재(110)의 한 측면에 있는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커버부재(110)의 다수의 측면에 커버부재 홈(311)이 있을 수 있다.
커버부재 홈(311)의 외관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비 (Wavy) 형태일 수 있다. 즉, 커버부재 홈(311)은 평면 상으로 모서리가 없는 형태일 수 있다.
커버부재(110)가 모서리를 갖는 형태의 커버부재 홈(311)을 구비할 경우, 이러한 커버부재(110)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폴딩하면, 커버부재 홈(311)의 모서리에서부터 균열이 시작되어 결국에는 커버부재(110)가 파손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커버부재(110)를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의 구조와 효과를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자세히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은 도 12의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와 비교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를 내측 방향으로 폴딩하였을 때, 폴더블 표시장치에 가해지는 응력의 경향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5는 도12의 커버부재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비교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가 포함되지 않은 폴더블 표시장치일 수 있다.
먼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적어도 한 측면에서, 폴딩 영역(BA)의 양쪽 경계 영역(BA-NBA1, BA-NBA2) 각각에 위치한 커버부재 홈(311)을 구비하는 커버부재(110)를 포함한다.
광학층(160)은 커버부재 홈(311)에 의해 상면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된 광학층(160)의 상면은 커버부재 홈(311)이 있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노출된 광학층(160)의 상면은 폴딩 영역(BA)의 양쪽 경계 영역(BA-NBA1, BA-NBA2) 각각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내측 방향으로 폴딩될 때, 주로 폴딩 영역(BA)의 양쪽 경계 영역(BA-NBA1, BA-NBA2) 에 위치한 광학층(160)과 터치패널의 가장자리에서 균열이 발생하는 현상을 설명한 바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부재(110)는 폴딩 영역(BA)의 양쪽 경계 영역(BA-NBA1, BA-NBA2)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커버부재(110)의 적어도 한 측면에 커버부재 홈(311)이 존재할 수 있다.
커버부재 홈(311)이 위치한 영역에서의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두께(T1)는 커버부재 홈(311)이 위치하지 않은 영역에서의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두께(T2)보다 얇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에서는 폴딩 영역(BA)에 적어도 한 개의 커버부재 홈(311)이 위치하고, 커버부재 홈(311)이 구비된 영역에서는 커버부재 홈(311)이 위치하지 않는 영역보다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두께가 얇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재 홈(311)이 있는 영역에서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휘거나 접을 때, 커버부재 홈(311)이 구비되지 않은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구부릴 때보다 작은 외력으로 구부릴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광학층(160)과 터치패널에 균열이 발생할 확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커버부재 홈(311)으로 인해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휘거나 접기 위한 외력의 크기가 비교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를 휘거나 접기 위한 외력의 크기보다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내측 방향으로 폴딩될 경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110)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의 크기(C 지점에 해당하는 응력) 역시 비교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커버부재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의 크기(D 지점에 해당하는 응력)보다 줄어들 수 있다.
즉, 큰 압축 응력으로 인해 광학층(160)과 터치패널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재 홈(311)이 커버부재(110)의 적어도 한 측면의 일부에만 있으므로, 도 13에서 커버부재 홈(311)이 있는 영역을 정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단면 형상은 도 15의 형상일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재 홈(311)이 구비된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한 측면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커버부재 홈(311)은 커버부재(110)의 한 측면에서 다른 측면까지 존재하는 형태가 아니므로 커버부재 홈(311)이 위치한 영역에서도 커버부재(110) 파여있지 않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구성 중 커버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커버부재(110)는 적어도 한 측면에 세 개의 커버부재 홈(311)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재(110)의 적어도 한 측면에서, 폴딩 영역(BA)의 양쪽 경계 영역(BA-NBA1, BA-NBA2) 각각에는 커버부재 홈(311)이 구비되고, 폴딩 영역(BA) 내 중앙 지점에도 커버부재 홈(311)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6에서는 커버부재 홈(311)이 커버부재(110)의 한 측면에 구비된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커버부재(110)의 다수의 측면에 커버부재 홈(311)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재 홈(311)이 폴딩 영역(BA)의 양쪽 경계 영역(BA-NBA1, BA-NBA2) 각각과 폴딩 영역(BA) 내 중앙 지점에 위치함으로써, 폴더블 표시장치를 내측 방향으로 폴딩하거나 외측 방향으로 폴딩하더라도 커버부재(110), 광학층(160) 및 터치패널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커버부재(110)를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의 구조와 효과를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자세히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7은 도 16의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16의 커버부재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적어도 한 측면에서 폴딩 영역(BA)의 양쪽 경계 영역(BA-NBA1, BA-NBA2) 각각에 위치한 커버부재 홈(311)을 구비하고, 폴딩 영역(BA) 내 중앙 지점에도 커버부재 홈(311)을 구비하는 커버부재(110)를 포함한다.
광학층(160)은 커버부재 홈(311)에 의해 상면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된 광학층(160)의 상면은 커버부재 홈(311)이 구비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노출된 광학층(160)의 상면은 폴딩 영역(BA)의 양쪽 경계 영역(BA-NBA1, BA-NBA2) 각각과 폴딩 영역(BA)의 중앙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에서는 폴딩 영역(BA)의 양쪽 경계 영역(BA-NBA1, BA-NBA2)에 커버부재 홈(311)이 구비된 영역에서는 커버부재 홈(311)이 위치하지 않는 영역보다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두께가 얇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재 홈(311)이 구비된 영역에서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내측 방향으로 휘거나 접을 때, 커버부재 홈(311)이 구비되지 않은 영역에서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내측 방향으로 구부릴 때보다 작은 외력으로 구부릴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광학층(160)과 터치패널에 균열이 발생할 확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에서는 폴딩 영역(BA) 내의 중앙 지점에 커버부재 홈(311)이 위치한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외측 방향으로 휘거나 접을 때, 커버부재 홈(311)이 구비되지 않은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구부릴 때보다 작은 외력으로 구부릴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커버부재(110)에 균열이 발생할 확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반복적으로 내측 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번갈아 구부려지더라도, 광학층(160), 터치패널 및 커버부재(110)에 가해지는 외력이 작아져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버부재(110)의 구조는 상술한 구조들에 국한되지 않으며, 도 19 및 도 20과 같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커버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할 수 있다.
먼저, 도 19를 참조하면, 폴딩 영역(BA) 내 중앙 지점에 위치하는 커버부재 홈(311)과, 폴딩 영역(BA) 내에 위치하되, 중앙 지점이 아닌 영역에 위치하는 커버부재 홈(311)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다수의 커버부재(311) 홈이 폴딩 영역(BA) 내 중앙 지점을 포함한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외측 방향으로 휘거나 접을 때, 폴딩 영역(BA) 전반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추가로, 비 폴딩 영역(BA)에서 커버부재(110)의 적어도 한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부재 홈(31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휘거나 접을 때, 비 폴딩 영역(BA)에도 가해질 수 있는 잔류 응력에 의해 커버부재(110)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롤러블 폴더블 표시장치일 경우, 도 19에 도시된 제1 및 제2 비 폴딩 영역(NBA1, NBA2)는 모두 폴딩 영역일 수 있다. 즉,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전 영역이 폴딩 영역(BA)일 수 있다.
또한, 도 20에서는, 폴딩 영역(BA)의 양쪽 경계 영역(BA-NBA1, BA-NBA2)에 위치하는 커버부재 홈(311)과 폴딩 영역(BA) 내에 위치하는 다수의 커버부재 홈(311)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폴딩 영역(BA) 내에 위치하는 다수의 커버부재 홈(311) 중 어느 하나는 중앙 지점에 위치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커버부재 홈(311)이 폴딩 영역(BA)의 양쪽 경계 영역(BA-NBA1, BA-NBA2)에 위치하고, 이와 더불어, 폴딩 영역(BA) 내에 다수의 커버부재 홈(311)이 위치됨으로써,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내측 방향으로 휘거나 접을 때, 폴딩 영역(BA)의 양쪽 경계 영역(BA-NBA1, BA-NBA2)뿐만 아니라, 폴딩 영역(BA) 전반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20을 통해서는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외측 또는 내측 방향으로 폴딩 될 경우,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커버부재(110) 인장 응력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거나, 광학층(160) 및 터치패널이 압축 응력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부재(110)의 적어도 한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커버부재 홈(311)이 구비되는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이어서,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사시도를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21을 참조하면, 광학층(160)의 적어도 한 측면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광학층 홈(2111)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폴딩 영역(BA) 내에 구비된 커버부재 홈(311)과 폴딩 영역(BA)의 양쪽 경계에 구비된 커버부재 홈(311)을 구비한다. 그리고, 광학층(160)의 적어도 한 측면에서는 폴딩 영역(BA)과 폴딩 영역(BA)의 양쪽 경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광학층 홈(2111)이 구비된다.
이 때, 각각의 커버부재 홈(311)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광학층 홈(2111)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접착층(160)의 상면의 일부는 광학층 홈(2111)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즉, 광학층 홈(2111)이 위치한 영역에서는 커버부재(110) 및 광학층 (160)이 위치하지 않는다.
한편, 커버부재 홈(311)과 광학층 홈(2111)이 구비된 영역에서 표시패널의 두께(T3)는 커버부재 홈(311)과 광학층 홈(2111) 구비되지 않은 영역에서 표시패널의 두께(T2)보다 얇을 수 있다. 즉, 광학층 홈(2111)이 커버부재 홈(311)과 대응되도록 위치함으로써, 커버부재 홈(311)이 있는 영역에서 광학층 홈(2111)을 통해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두께를 더욱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재 홈(311)과 광학층 홈(2111)이 구비된 영역에서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외측 또는 내측 방향으로 휘거나 접을 때, 커버부재 홈(311)과 광학층 홈(2111)이 구비되지 않은 영역에서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외측 또는 내측 방향으로 구부릴 때보다 작은 외력으로 구부릴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폴더블 표시장치를 휘거나 접을 때, 커버부재(110), 광학층(160) 및 터치패널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광학층 홈(2111)의 외관은 커버부재 홈(311)의 외관과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층 홈(211)의 외관은 커버부재 홈(311)의 외관과 동일하게 웨이비 형태일 수 있다. 즉, 광학층 홈(2111) 역시 평면 상으로 모서리가 없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광학층 홈(2111)을 구비하는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휘거나 접더라도, 광학층 홈(211)에 모서리가 없으므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광학층 홈(2111)이 커버부재 홈(3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대응되는 형상을 갖기 때문에 광학층 홈(2111)과 커버부재 홈(311)을 동일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이루는 구성들을 적층한 후, 레이저를 이용하여 외곽을 커팅(cutting) 또는 트리밍(trimming)한다. 이를 통해,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대략 사각형의 형상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이러한 레이저 커팅 또는 트리밍 단계에서, 커버부재(110)과 광학층(160)에 홈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이저 세기를 조절하여, 커버부재 홈(311)과 광학층 홈(2111)이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재 홈(311)과 광학층 홈(2111)을 형성하는 공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도 22에서는, 제1 접착층(120)의 적어도 한 측면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접착층 홈(2211)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폴딩 영역(BA) 내에 커버부재 홈(311), 광학층 홈(2111)과 제1 접착층 홈(2211)이 구비된다. 그리고,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폴딩 영역(BA) 내에 커버부재(311), 광학층 홈(2111)과 제1 접착층 홈(2211)이 구비된다.
광학층 홈(2111)과 제1 접착층 홈(2211)은 커버부재 홈(3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광학층 홈(2111)과 제1 접착층 홈(2211)의 외관은 커버부재 홈(311)의 외관과 대응될 수 있다.
제1 접착층(120) 하부에 배치된 표시패널(130)의 상면의 일부는 제1 접착층 홈(2211)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즉, 제1 접착층 홈(2211)이 위치한 영역에서는 커버부재(110), 광학층(160) 및 제1 접착층(120)이 위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커버부재 홈(311), 광학층 홈(2111) 및 제1 접착층 홈(2211)이 구비된 영역에서 표시패널의 두께(T4)는 커버부재 홈(311), 광학층 홈(2111) 및 제1 접착층 홈(2211)이 구비되지 않은 영역에서 표시패널의 두께(T2)보다 얇을 수 있다. 즉, 제1 접착층 홈(2211)이 커버부재 홈(311) 및 광학층 홈(2111)과 대응되도록 위치함으로써, 커버부재 홈(311) 및 광학층 홈(2111)이 있는 영역에서 제1 접착층 홈(2211)을 통해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두께를 더욱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재 홈(311)과 광학층 홈(2111)이 구비된 영역에서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외측 또는 내측 방향으로 휘거나 접을 때, 커버부재 홈(311)과 광학층 홈(2111)이 구비되지 않은 영역에서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외측 또는 내측 방향으로 구부릴 때보다 작은 외력으로 구부릴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폴더블 표시장치를 휘거나 접을 때, 커버부재(110), 광학층(160) 및 터치패널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3을 참조하여,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외장형 터치패널(2330)을 구비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구성들이 적용된 구조를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23을 참조하면,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커버부재(110), 커버부재(110) 하부에 배치된 광학층(160), 광학층(160) 하부에 배치된 제1 접착층(120), 제1 접착층(120) 하부에 배치된 터치패널(2330), 터치패널(2330) 하부에 배치된 접착부재(2331), 접착부재(2331) 하부에 배치된 표시패널(130a), 표시패널(130a) 하부에 배치된 제2 접착층(140) 및 제2 접착층(140) 하부에 배치된 백 플레이트(150)를 포함한다.
표시패널(130a)과 제1 접착층(120) 사이에 위치하는 터치패널(2330)은 표시패널(130a)에 포함된 상부기판 상에 접착부재(2331)를 통해서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폴딩 영역(BA) 내에 커버부재 홈(311), 광학층 홈(2111)과 제1 접착층 홈(2211)이 구비된다. 그리고,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폴딩 영역(BA) 내에 커버부재(311), 광학층 홈(2111)과 제1 접착층 홈(2211)이 구비된다.
터치패널(2330)은 상면의 일부는 제1 접착층 홈(2211)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즉, 제1 접착층 홈(2211)이 위치한 영역에서는 커버부재(110), 광학층(160) 및 제1 접착층(120)이 위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커버부재 홈(311), 광학층 홈(2111) 및 제1 접착층 홈(2211)이 구비된 영역에서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두께가 얇아지므로, 두께가 얇아진 만큼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휘거나 접는데 필요한 힘이 줄어들게 된다.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휘거나 접기 위해 작은 힘이 들어가게 되므로, 그만큼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구성들, 특히, 광학층(160)과 터치패널(2330)에 가해지는 응력도 줄어들어 파손이 일어날 확률이 줄어든다.
도 23에서는 터치패널(2330)이 외장형 터치패널인 구성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내장형 터치패널인 경우, 본 발명의 실시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구조는 도 4, 도 6, 도 9, 도 10, 도 13, 도 15, 도 17, 도 18, 도 21, 도 22에 도시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10)와 광학층(160) 사이에 제3 접착층(242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폴딩 영역(BA)에서 제3 접착층(2420)의 적어도 한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접착층 홈(2411)이 있을 수 있다.
제3 접착층 홈(2411)은 커버부재 홈(311)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제3 접착층 홈(2411)의 외관은 커버부재 홈(311)의 외관과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3 접착층 홈(2411)과 대응되는 위치에서는 광학층 홈(2411)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제3 접착층 홈(2411)이 구비된 영역에서는 커버부재(110), 제3 접착층(2420) 및 광학층(160)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커버부재 홈(311), 제3 접착층 홈(2411) 및 광학층 홈(2111)이 구비된 영역에서 표시패널의 두께(T5)는 커버부재 홈(311), 광학층 홈(2111) 및 제1 접착층 홈(2211)이 구비되지 않은 영역에서 표시패널의 두께(T2)보다 얇을 수 있다. 즉, 제3 접착층 홈(2411)이 커버부재 홈(311) 및 광학층 홈(2111)과 대응되도록 위치함으로써, 커버부재 홈(311) 및 광학층 홈(2111)이 있는 영역에서 제3 접착층 홈(2411)을 통해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두께를 더욱 얇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폴딩 영역(BA)의 일부 영역에서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두께가 얇아지므로,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휘거나 접는 데 필요한 힘이 줄어들고,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구성들에 가해지는 응력도 줄어들어 파손이 일어날 확률이 줄어든다.
한편, 도 24에서는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커버부재 홈(311), 제3 접착층 홈(2411) 및 광학층 홈(2111)을 구비하는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광학층 홈(2111) 하부에 구비되는 제1 접착층 홈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25를 참조하여, 폴더블 표시장치의 커버부재와 다른 구성들(예를 들어, 커버부재 등)의 배치관계를 검토한다.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예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커버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커버부재(2500)는 백 플레이트(150) 하부에 위치하고, 백 플레이트(150), 제2 접착층(140), 표시패널(130), 제1 접착층(120), 광학층(160) 및 커버부재(110)의 측면에 위치하며, 커버부재(110)의 상부의 일부를 감싸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부재(2500)는 커버부재(110), 광학층(160), 표시패널(130) 및 백 플레이트(150) 등의 구성을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재(2500)는 커버부재 홈(311)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커버부재(2500)는 커버부재 홈(311)과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커버부재 홈(311)은 커버부재(2500)에 의해 가려지게 되므로,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 홈(311)에 직접적으로 외부적 충격 등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재 홈(311)과 커버부재(2500)는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비 표시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커버부재 홈(311)과 커버부재(2500)는 표시영역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폴딩 영역(BA)에서도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기구와 구조에 구애 받지 않고,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130)이 터치패널을 포함할 경우, 폴딩 영역(BA)에서도 터치가 가능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25에서는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폴딩 영역(BA)이 하나이고, 비 폴딩 영역(NBA)이 두 개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도 26과 도 27에 도시한 구조의 폴더블 표시장치일 수도 있다.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할 수 있다.
먼저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제1 폴딩 영역(BA1)과 제2 폴딩 영역(BA2)을 포함한다. 제1 폴딩 영역(BA1)과 제2 폴딩 영역(BA2)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폴딩 영역(BA1)과 제2 폴딩 영역(BA2)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폴딩 영역(BA1, BA2) 각각에, 커버부재는 적어도 한 측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커버부재 홈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재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광학층 및 제1 접착층에도 각각 광학층 홈과 제1 접착층 홈이 있을 수도 있다.
도 26에 도시된 다수의 폴딩 영역을 갖는 폴더블 표시장치(100)에 커버부재 홈이 구비되므로, 폴더블 표시장치(100) 폴딩 시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이루는 구성들이 외력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하나의 폴딩 영역(BA)을 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7의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롤러블 폴더블 표시장치 일 수 있다.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폴딩 영역(BA)에서, 커버부재는 적어도 한 측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커버부재 홈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광학층 및 제1 접착층에도 각각 광학층 홈과 제1 접착층 홈이 있을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적어도 하나의 폴딩 영역(BA)을 가질 수 있으므로 벤더블 폴더블 표시장치, 폴더블 표시장치, 커브드 폴더블 표시장치, 롤러블 폴더블 표시장치, 및 플렉서블 폴더블 표시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폴더블 표시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외측 방향으로 휨 또는 접힘이 가능한 폴더블 표시장치에서 커버부재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폴더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내측 방향으로 휨 또는 접힘이 가능한 폴더블 표시장치에서 광학층과 표시패널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폴더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외측과 내측 방향으로 휨 또는 접힘이 가능한 폴더블 표시장치에서 광학층과 표시패널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폴더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폴더블 표시장치
110: 커버부재
120: 제1 접착층
130: 표시패널
140: 제2 접착층
150: 백 플레이트
160: 광학층

Claims (18)

  1. 폴더블 표시장치에 있어서,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 하부에 배치된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 하부에 배치된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된 제2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 하부에 배치된 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폴더블 표시장치는 폴딩 영역과, 상기 폴딩 영역의 양 측에 위치하는 비 폴딩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딩 영역과, 상기 폴딩 영역 및 상기 비 폴딩 영역의 경계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커버부재의 적어도 한 측면에 커버부재 홈이 있는, 폴더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적어도 한 측면에서,
    상기 폴딩 영역의 양쪽 경계 영역 각각에는 커버부재 홈이 있는 폴더블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적어도 한 측면에서,
    상기 폴딩 영역 내 중앙 지점에 커버부재 홈이 있는 폴더블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적어도 한 측면에서,
    상기 폴딩 영역의 양쪽 경계 영역 각각에는 커버부재 홈이 있고, 상기 폴딩 영역 내 중앙 지점에 커버부재 홈이 있는 폴더블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커버부재의 적어도 한 측면에는 하나의 커버부재 홈이 있고,
    상기 하나의 커버부재 홈의 폭은 상기 폴딩 영역의 폭과 대응되는 폴더블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 홈의 외관은 웨이비 (Wavy) 형태인 폴더블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제1 접착층 사이에 광학층이 더 배치되고,
    상기 폴딩 영역 또는 폴딩 영역의 양쪽 경계 영역 각각에서,
    상기 광학층의 적어도 한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층 홈이 있는 폴더블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영역 또는 폴딩 영역의 양쪽 경계 영역 각각에서,
    상기 제1 접착층의 적어도 한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착층 홈이 있는 폴더블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 홈, 상기 광학층 홈 및 상기 제1 접착층 홈은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광학층 홈 및 상기 제1 접착층 홈의 외관은 상기 커버부재 홈의 외관과 대응되는 폴더블 표시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표시패널의 상면의 일부는 상기 제1 접착층 홈에 의해 노출된 폴더블 표시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제1 접착층 사이에 위치하는 터치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패널의 상면의 일부는 상기 제1 접착층 홈에 의해 노출된 폴더블 표시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광학층 사이에 배치된 제3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폴딩 영역 또는 폴딩 영역의 양쪽 경계 영역 각각에서,
    상기 제3 접착층의 적어도 한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접착층 홈이 있는폴더블 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 홈, 상기 광학층 홈 및 상기 제3 접착층 홈은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광학층 홈 및 상기 제3 접착층 홈의 외관은 상기 커버부재 홈의 외관과 대응되는 폴더블 표시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 폴딩 영역에서,
    상기 커버부재 적어도 한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 홈이 있는 폴더블 표시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모듈러스(Modulus)는 상기 제1 접착층의 모듈러스(Modulus)보다 높고,
    상기 제1 접착층의 모듈러스는 상기 표시패널의 모듈러스보다 낮고,
    상기 표시패널의 모듈러스는 상기 제2 접착층의 모듈러스보다 높으며,
    상기 제2 접착층의 모듈러스는 상기 백 플레이트의 모듈러스보다 낮은 폴더블 표시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플레이트 하부에 위치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백 플레이트, 상기 제2 접착층, 상기 표시패널,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커버부재의 측면과 상기 커버부재의 상부의 일부를 감싸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커버부재 홈 상부에 위치된 폴더블 표시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표시장치는 둘 이상의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18. 폴더블 표시장치에 있어서,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 하부에 배치된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 하부에 배치된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된 제2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 하부에 배치된 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 상기 제1 접착층, 상기 표시패널, 상기 제2 접착층 및 상기 백 플레이트는 폴딩 가능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적어도 한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부재 홈이 있는 폴더블 표시장치.
KR1020170173438A 2017-12-15 2017-12-15 폴더블 표시장치 KR102442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438A KR102442043B1 (ko) 2017-12-15 2017-12-15 폴더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438A KR102442043B1 (ko) 2017-12-15 2017-12-15 폴더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237A true KR20190072237A (ko) 2019-06-25
KR102442043B1 KR102442043B1 (ko) 2022-09-08

Family

ID=67065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438A KR102442043B1 (ko) 2017-12-15 2017-12-15 폴더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0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89653A (zh) * 2020-05-28 2020-08-0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WO2021027247A1 (zh) * 2019-08-09 2021-02-1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
WO2021145701A1 (ko) * 2020-01-15 2021-07-2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083A (ko) * 2013-12-24 2016-08-31 폴리에라 코퍼레이션 탈부착형 2차원 플렉서블 전자 기기용 지지 구조물
KR20160144912A (ko) * 2015-06-08 2016-12-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083A (ko) * 2013-12-24 2016-08-31 폴리에라 코퍼레이션 탈부착형 2차원 플렉서블 전자 기기용 지지 구조물
KR20160144912A (ko) * 2015-06-08 2016-12-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7247A1 (zh) * 2019-08-09 2021-02-1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
WO2021145701A1 (ko) * 2020-01-15 2021-07-2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CN111489653A (zh) * 2020-05-28 2020-08-0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11489653B (zh) * 2020-05-28 2022-04-08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043B1 (ko) 2022-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6377B2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489830B1 (ko) 표시장치
US9947882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robust flexible displays
KR101482629B1 (ko)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76296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24001183A (ja) 可撓性表示パネルを備える表示装置
KR102458284B1 (ko)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101799520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53483A (ko)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604087B1 (ko)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EP3671703B1 (en) Foldable cover plate, foldable display module, and foldable terminal device
KR20100092220A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US20120098739A1 (en) Spliced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KR20190072237A (ko) 폴더블 표시장치
KR101810049B1 (ko)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124041B1 (ko)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2689864A (zh) 可折叠显示屏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US11177458B2 (en) Display device having shock absorbing layer
KR20210074638A (ko) 폴더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