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0608A - 폐각 껍질을 이용한 수질 정화 및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폐각 껍질을 이용한 수질 정화 및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0608A
KR20190070608A KR1020170171293A KR20170171293A KR20190070608A KR 20190070608 A KR20190070608 A KR 20190070608A KR 1020170171293 A KR1020170171293 A KR 1020170171293A KR 20170171293 A KR20170171293 A KR 20170171293A KR 20190070608 A KR20190070608 A KR 20190070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composition
seawater
present
impr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석현
전보영
황서현
전준표
Original Assignee
황석현
황서현
전준표
전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석현, 황서현, 전준표, 전보영 filed Critical 황석현
Priority to KR1020170171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0608A/ko
Publication of KR20190070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6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각 껍질을 이용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각 껍질은 다공성 구조의 불규칙한 표면으로 인한 넓은 표면적을 가지면서 알칼리 성분을 함유함으로 인해 바닷물의 pH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바닷물의 수질을 정화하고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 폐각 껍질을 이용하여 바닷물 등의 수질 정화 및 개선용 조성물, 또는 해산물의 신선도 유지용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폐각 껍질을 이용한 수질 정화 및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Water Purification and Improvement using Shell}
본 발명은 폐각 껍질을 이용한 수질 정화 및 개선용 조성물 및 해산물 신선도 유지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공업의 발달, 인간의 도시 밀집 현상, 축산업의 대규모화 등에 따른 공장 폐수, 가정 하수, 농·축산 폐수 등의 대량 배출로 수질 오염은 계속하여 악화되고 있다.
수질 오염은 먹이사슬(Food Chain)을 통하여 인간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수은의 체내 축적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미나타병이나 카드뮴의 체내 축적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이따이이따이병 등이 그 대표적인 사례로서 자주 언급된다.
이러한 수질 오염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은 장치를 이용한 기술과 미생물이나 천연물질, 화학물질 등의 제제를 이용한 기술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수질 오염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서는, 칼슘아스코르브산염과 건조 산호 조류를 수질 개선에 사용한 기술(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70983호)과, 적니(Red Mud)를 산업폐수의 정화에 이용한 기술(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74308호) 등이 알려져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25만 톤의 조개 껍질이 대부분 그냥 폐기되고 있기 때문에 이렇게 버려지는 조개 껍질을 재활용 할 수 있다면 유용한 자원이 될 수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70983호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74308호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바닷물의 수질을 정화하고 개선하여 해산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물질을 규명하고, 이를 이용한 수질 정화 및 개선용 조성물과, 해산물 신선도 유지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각 껍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정화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폐각 껍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 신선도 유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각 껍질은 다공성 구조의 불규칙한 표면으로 인한 넓은 표면적을 가지면서 알칼리 성분을 함유함으로 인해 바닷물의 pH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바닷물의 수질을 정화하고 개선할 수 있다. 이에, 폐각 껍질을 이용하여 바닷물 등의 수질 정화 및 개선용 조성물, 또는 해산물의 신선도 유지용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굴 껍질과 가리비 껍질 사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대조군 및 각 실험군 어항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대조군 및 각 실험군 어항의 pH를 시간이 변화함에 따라 측정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해산물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 노력하던 중, 버려지는 폐각 껍질을 이용하면 바닷물의 pH를 조절할 수 있어 바닷물의 보다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음을 밝혀 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폐각 껍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정화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폐각 껍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 신선도 유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폐각 껍질은 굴 껍질 또는 가리비 껍질 중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폐각 껍질은 폐각 껍질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를 분말화하여 폐각 껍질 분말의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폐각 껍질은 바닷물을 총 부피의 4/5 정도 채운 어항에 총 부피의 1/5 정도의 부피로 채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폐각 껍질은 다공성 구조의 불규칙한 표면으로 인한 넓은 표면적을 가지면서 알칼리 성분을 함유함으로 인해 바닷물의 pH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바닷물의 수질을 정화하고 개선할 수 있다
특히 해산물 신선도 유지용 조성물에 사용할 경우 상기 폐각 껍질은 세척한 후 건조하여 부직포 팩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폐각을 이용한 수질 정화 및 개선 효과 검토
1. 폐각 준비
굴 껍질과 가리비 껍질이 바닷물의 수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하기 위해 버리진 굴 껍질과 가리비 껍질을 노량진 수산시장에서 모아왔다(도 1). 껍질 안쪽의 관자를 깨끗이 제거하고 수돗물에 여러 번 세척하였다. 이후 다시 2시간 동안 수돗물에 담가 두었다가 신문을 깔고 햇볕이 잘 드는 곳에 한 달간 말렸다.
2. 바닷물 pH 변화 측정
본 실험을 위해 30 x 45 x 32 cm의 어항을 준비하고, 상기 어항에 바닷물을 총 부피의 4/5 부피 정도 채웠다. 그 후 상기 어항에 총 부피의 1/5 정도의 부피를 채울 수 있도록 앞서 준비한 굴 껍질 또는 가리비 껍질을 놓아 두었고, 어항의 여과기를 2시간 동안 작동시켰다. 이때, 어항의 바닷물 온도는 10℃ 이내로 유지하였고, 대조군으로 폐각 껍질 대신 모래를 놓아 둔 어항을 별도로 준비하였다. 도 2에서 대조군 및 각 실험군 어항을 나타내었다.
이후 각 어항에 소라, 개조개, 방게를 동일하게 넣고 매일 정해진 시간에 어항 바닷물의 pH를 측정하였다. 이때, pH 측정기를 바닷물에 20초 이상 담가 3회 측정한 후 그 평균을 기록으로 작성하였다.
그 결과, 다음 표 1 및 도 3과 같이 모래 대신 굴 껍질이나 가리비 껍질을 넣은 어항의 바닷물 pH가 더 높으며 보다 천천히 pH가 떨어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측정일자 여과재 1차 측정 2차 측정 3차 측정 평균 pH
16.05.25 모래 7.98 7.99 7.98 7.98
굴껍질 8.03 8.03 8.02 8.03
가리비껍질 8.11 8.09 8.10 8.10
16.05.26 모래 7.96 7.95 7.95 7.95
굴껍질 8.02 8.01 8.02 8.02
가리비껍질 8.05 8.03 8.06 8.05
16.05.27 모래 7.93 7.93 7.93 7.93
굴껍질 7.99 7.98 7.99 7.99
가리비껍질 8.01 7.99 8.00 8.00
16.05.28 모래 7.88 7.88 7.88 7.88
굴껍질 7.94 7.95 7.95 7.95
가리비껍질 7.95 7.95 7.97 7.96
16.05.29 모래 7.80 7.81 7.82 7.81
굴껍질 7.82 7.81 7.82 7.82
가리비껍질 7.85 7.82 7.85 7.84
16.05.30 모래 7.69 7.68 7.68 7.68
굴껍질 7.68 7.69 7.70 7.69
가리비껍질 7.74 7.75 7.75 7.75
16.05.31 모래 7.56 7.57 7.59 7.57
굴껍질 7.57 7.58 7.58 7.58
가리비껍질 7.64 7.62 7.63 7.63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폐각 껍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정화 및 개선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각 껍질은 굴 껍질 또는 가리비 껍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정화 및 개선용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폐각 껍질은 바닷물의 수질 정화 및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정화 및 개선용 조성물.
  4. 폐각 껍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 신선도 유지용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폐각 껍질은 굴 껍질 또는 가리비 껍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 신선도 유지용 조성물.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폐각 껍질은 세척한 후 건조하여 부직포 팩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 신선도 유지용 조성물.
KR1020170171293A 2017-12-13 2017-12-13 폐각 껍질을 이용한 수질 정화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900706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293A KR20190070608A (ko) 2017-12-13 2017-12-13 폐각 껍질을 이용한 수질 정화 및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293A KR20190070608A (ko) 2017-12-13 2017-12-13 폐각 껍질을 이용한 수질 정화 및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608A true KR20190070608A (ko) 2019-06-21

Family

ID=67056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293A KR20190070608A (ko) 2017-12-13 2017-12-13 폐각 껍질을 이용한 수질 정화 및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060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983A (ko) 1999-11-26 2002-09-11 헬스 바이 네이쳐 에이에스 산호모래를 함유하는 수질개선제
KR20030074308A (ko) 2002-03-14 2003-09-19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유체 온도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983A (ko) 1999-11-26 2002-09-11 헬스 바이 네이쳐 에이에스 산호모래를 함유하는 수질개선제
KR20030074308A (ko) 2002-03-14 2003-09-19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유체 온도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lazzo et al. Ocean acidification impairs vermetid reef recruitment
Humphries et al. Directly measured denitrification reveals oyster aquaculture and restored oyster reefs remove nitrogen at comparable high rates
Small et al. Stage-specific changes in physiological and life-history responses to elevated temperature and pCO2 during the larval development of the European lobster Homarus gammarus (L.)
Lu et al. Feeding and control of blue-green algal blooms by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Laffaille et al. Can thin-lipped mullet directly exploit the primary and detritic production of European macrotidal salt marshes?
Marshall et al. Has climate change disrupted stratification patterns in Lake Victoria, East Africa?
Tyner et al. Dreissenid metabolism and ecosystem-scale effects as revealed by oxygen consumption
Mignani et al. Coliform density in oyster culture waters and its relationship with environmental factors
Varadharajan et al. Effect of physico-chemical parameters on crabs biodiversity
Endo et al. Carbon storage in tidal flats
Ikhwanuddin et al. Live foods for Juveniles' production of blue swimming crab, Portunus pelagicus (Linnaeus, 1766)
Patra et al. Seasonal variation of physicochemical parameters and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water and bottom sediment at harboring areas of Digha coast, West Bengal, India
Taguchi et al. Evaluation of biological water purification functions of inland lakes using an aquatic ecosystem model
Mustafa Kamal et al.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from tiger shrimp aquaculture ponds at Malacca, Malaysia
Adeosun et al. Physical and chemical parameters of lower ogun river Akomoje, Ogun state, Nigeria
KR20190070608A (ko) 폐각 껍질을 이용한 수질 정화 및 개선용 조성물
Shaaban et al. Bioaccumulation of Cadmium and Lead in the freshwater crayfish Procambarus clarkii (Girard 1982) from the River Nile, Egypt
Jakubowska-Lehrmann et al. Do magnetic fields related to submarine power cables affect the functioning of a common bivalve?
Al-Musharafi et al. Contamination of marine fish by heavy metals from coastal sewage treated effluent runoff
Brunetti et al. Ascidians of the Laguna Veneta II Distribution and Ecological Observations
Kim et al. Mercury uptake by eastern oysters (Crassostrea virginica) in oyster restoration project of the New York Harbor
Hall et al. Copper and manganese influence the uptake of cadmium in marine macroalgae
Spespatri et al. The Effectiveness of Combining Gracilaria Sp. Seaweed Biofilter and Anadara granosa Shell with Zeolite in the Decrease in the Level of Mercury (Hg) Heavy Metal
Kaur et al. Comparison of immersion effects of idol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n the water quality parameters
Andriyono et al. First Record of The Burrowing Goby Trypuchen vagina from Pangpang Bay, Indones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