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0019A - Cap for deciduous tooth with internal protrusion based on zirconia - Google Patents

Cap for deciduous tooth with internal protrusion based on zirconi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0019A
KR20190070019A KR1020170170471A KR20170170471A KR20190070019A KR 20190070019 A KR20190070019 A KR 20190070019A KR 1020170170471 A KR1020170170471 A KR 1020170170471A KR 20170170471 A KR20170170471 A KR 20170170471A KR 20190070019 A KR20190070019 A KR 20190070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rconia
tube
protrusion
inner protrusion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4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보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보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보디에스
Priority to KR1020170170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0019A/en
Publication of KR20190070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01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3Porcelain or ceramic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30Securing inlays, onlays or crowns
    • A61K6/0023
    • A61K6/02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iduous tooth prosthesis having an inner protrusion based on zirconia. The deciduous tooth prosthesi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eciduous tooth prosthesis body (110) formed by molding a deciduous tooth shape, inserting a deciduous tooth into a lower portion thereof through an opening (120), and having an inner protrusion (130) of an uneven shap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tegrally formed therein and made of a zirconia material; and an opening (120) formed to be within a preset error range with an inner diameter equal to an outer diameter of the diameter of a lower end edge of the deciduous tooth to be covered by a deciduous tooth prosthesis (100). Accordingly, an adhesive is input between the deciduous tooth prosthesis and a tooth to widen an adhesive area during bonding by including the inner protrusion. Also, the deciduous tooth prosthesis has physical resistance to resist by vertical force, thereby being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tooth, and improving folding strength and rupture strength in addition to tensile strength from the attached deciduous tooth.

Description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Cap for deciduous tooth with internal protrusion based on zirconia}Cap for deciduous tooth with internal protrusion based on zirconia < RTI ID = 0.0 >

본 발명은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돌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유치관과 치아 사이에 접착제를 넣어 접착시의 접착면적을 넓히도록 하고, 물리적 저항성을 갖게 되어 상하의 힘에 의하여 저항하게 되어 치아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ner tube having a zirconia-based inner protrusion, and more specifically, by providing an inner protrusion, an adhesive is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tooth to enlarge the bonding area at the time of bonding, And a zirconia-based inner protrusion for preventing the tooth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tooth by being held by upper and lower forces.

소아보철로 유치관은 치아우식증이나 외상에 의해 심하게 손상된 유치의 치관을 수복하는 시술이다. 유치관 수복이 제때에 치료되지 않으면 주변 치아가 빠진 자리로 밀려와서 나중에 그 자리로 나올 영구치가 나올 수 없게 되므로 빠진 자리를 영구치가 나올 때까지 유지해 주는 장치 또는 수복물을 해주어야 한다.Pediatric prosthodontic tube is a procedure that restores the crown of a tooth that is severely damaged by dental caries or trauma. If the retained tube restoration is not treated in time, the surrounding teeth will be pushed to the missing position and the permanent tooth will not be able to come out later. Therefore, a device or restoration should be provided to maintain the missing position until the permanent tooth is removed.

유치관은 현재까지 금속 및 레진으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강도와 심미성을 동시에 만족시키지 못하고, 색조안정성 및 강도 저하로 변색 및 파절이 발생하며, 심미적으로 중요한 부위인 상악전치부에서는 미적으로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Although the tube has been made of metal and resin to date, it does not satisfy strength and aesthetics at the same time, discoloration and fracture occur due to color stability and strength decrease, and it is disadvantageous in aesthetically not good in the upper anterior portion as an esthetically important region .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치관으로 지르코니아를 사용하는데 지르코니아는 강도가 우수하고, 생체 친화적인 바이오 세라믹이다.To solve these drawbacks, zirconia is used as an inlet tube, and zirconia is a bioceramic material having excellent strength and biocompatibility.

그러나, 거칠기가 작기 때문에 치아에 접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어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유치 내면을 수작업으로 직접 샌드블라스팅을 수행하나 이러한 경우 시간이 오래 소요되며, 샌드블라스팅 외에 전처리제 및 하이퍼포먼스 레진 시멘트를 사용함으로써, 고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However, since the roughness is small, it is difficult to adhere to the teeth. To solve this problem, conventionally, the sandblasting is manually performed manual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 but in this case, it takes a long time. In addition to the sandblasting, the pretreatment agent and high-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high cost is caused by using resin cement.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1-0034464호 "항균 코팅된 치과용 보철(DENTAL PROSTHESIS COATED ANTIBIOTIC)"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1-0034464 "DENTAL PROSTHESIS COATED ANTIBIOTIC"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17-0120787호 "치과용 성형체 및 치과용 수지재료(DENTURE BASE AND MOLD, AND DENTAL RESIN MATERIAL)"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7-0120787 entitled " DENTURE BASE AND MOLD, AND DENTAL RESIN MATERIAL "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9-0108053호 "치아용 크라운(CROWN FOR TOOTH)"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9-0108053 "CROWN FOR TOOTH"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 돌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유치관과 치아 사이에 접착제를 넣어 접착시의 접착면적을 넓히도록 하고, 물리적 저항성을 갖게 되어 상하의 힘에 의하여 저항하게 되어 치아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rnal protruding portion, in which an adhesive is inserted between the inlet tube and the teeth to widen the adhesive area at the time of bonding, And a zirconia-based inner protrusion for preventing the inner tube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inner tube.

또한, 본 발명은 부착되는 유치로부터의 인장 강도 외에 내절 강조, 파열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한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ube having a zirconia-based inner protrusion for enhancing the end-effect stress and the burst strength in addition to the tensile strength from the attached die.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은, 유치의 형상을 본 떠서 형성되며, 하부로 개구부(120)를 통해 유치를 삽입하며, 내측으로는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형의 내부 돌출부(130)가 일체로 지르코니아 재질로 형성되는 유치관 본체(110); 및 유치관(100)이 덮어지는 대상 유치의 하단 테두리의 지름의 외경과 일치하는 내경과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 내가 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eenhouse having a zirconia-based inner protrusion is formed in a shape of a greenhouse, a greenhouse is inserted through an opening 120 to the bottom, (110) having a recessed and protruded inner protrusion (130)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integrally formed of a zirconia material; And an opening 120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diameter of the lower end edge of the target die to be covered with the drawing tube 100 and a predetermined error range; And a control unit.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에 있어서, 내부 돌출부(130)는, 유치관 본체(110) 내측으로는 유선형(streamlined shape) 형상의 돌기구(131)가 상호 등간격 또는 이간격으로 배열되는 돌기구 집합체로 유치관 본체(110)의 내측 상 전면 및 후면으로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inner protrusion 130 of the inner tube of the zirconia-based inner protrusion 1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treamlined shape-shaped protrusion 131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r at equal intervals, and are formed as a pair on the inner upper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tube main body 110.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에 있어서, 각 돌기구(131)는, 유치관 본체(110)의 내측 중 전면과 후면 영역 각각 중 내측 중앙 영역에 앞 부분이 하향으로 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inlet pipe having the zirconia-based inner protrus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rotrusions 131 is formed in the inner central region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second side wall is directed downwar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에 있어서, 각 돌기구(131)로 이루어진 내부 돌출부(130)는 각 돌기구(131)의 형성 외에도 유치관 본체(110)의 내측의 중앙 영역 중 상향 보단 하향으로 치우쳐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let pipe having the zirconia-based inner protrusion, the inner protrusion 130 formed of the respective protrusion 131 may be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pipe (110), and is arranged to be downwardly shifted downward than the upward central region of the inner side of the center portion (110).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은, 유치관 본체(110) 내면의 내부 돌출부(130)를 이루는 돌기구(131)는 가로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거나, 가로 방향으로 물결 모양으로 다수 개 배치되어 돋을 무늬에 해당하는 엠보싱 구조를 가지도록 3차원 절삭기를 이용하여 절삭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pipe having the zirconia-based inner protrusion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131 formed in the inner protrusion 13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pipe main body 110, Or a plurality of wafer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having an embossed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embossed pattern, using a three-dimensional cutte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은, 레진시멘트로 형성되는 접착제 형성층(140); 을 더 포함하며, 접착제 형성층(140)은, 레진시멘트를 상하로 이격된 돌기구(131) 사이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ube having a zirconia-based inner protrusion includes an adhesive-forming layer 140 formed of resin cement; And the adhesive-forming layer 140 is formed by applying the resin cement between the vertically spaced piercing tools 131.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에 있어서, 접착제 형성층(140)은, 최상 위치에 형성된 돌기구(131)의 상부 영역, 최하 위치에 형성되는 돌기구(131)의 하부 영역에 레진시멘트를 선택적으로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inlet tube having the zirconia-based inner protrus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formation layer 140 may include an upper region of the protrusion 131 formed at the uppermost position, And is formed by selectively applying resin cement to the lower region of the mechanism (13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은, 내부 돌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유치관과 치아 사이에 접착제를 넣어 접착시의 접착면적을 넓히도록 하고, 물리적 저항성을 갖게 되어 상하의 힘에 의하여 저항하게 되어 치아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Since the inner tube having zirconia-based inner protrus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inner protrusion, an adhesive is put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tooth to widen the adhesive area at the time of adhering, And is resistant to forces so as not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teeth.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은, 부착되는 유치로부터의 인장 강도 외에 내절 강조, 파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attracting tube having the zirconia-based inner projecting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enhancing the end-effect enhancement and the bursting strength in addition to the tensile strength from the attracting targe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100)의 사시도(도 1a), 상면도(도 1b), 저면도(도 c)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100)의 측면도(도 2a) 및 정면도(도 2b)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100)의 도 2b에서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100)에서 내부 돌출부의 유무에 따른 인장, 내절, 파열 강도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100)이 실제로 제작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shows a perspective view (FIG. 1A), a top view (FIG. 1B), and a bottom view (FIG. C) of a feed pipe 100 having a zirconia-based inner protru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side view (FIG. 2A) and a front view (FIG. 2B) of the inlet tube 100 having a zirconia-based inner protru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B of a tube 100 having a zirconia-based inner protru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to 6 are graphs for explaining differences in tensile, bending, and burst strength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inner protrusion in the inner tube 100 having the zirconia-based inner protrus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that the inlet tube 100 having the zirconia-based inner protrus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tually manufactur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100)의 사시도(도 1a), 상면도(도 1b), 저면도(도 c)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100)의 측면도(도 2a) 및 정면도(도 2b)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100)의 도 2b에서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100)에서 내부 돌출부의 유무에 따른 인장, 내절, 파열 강도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100)이 실제로 제작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shows a perspective view (FIG. 1A), a top view (FIG. 1B), and a bottom view (FIG. C) of a feed pipe 100 having a zirconia-based inner protru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side view (FIG. 2A) and a front view (FIG. 2B) of the inlet tube 100 having a zirconia-based inner protru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B of a tube 100 having a zirconia-based inner protru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to 6 are graphs for explaining differences in tensile, bending, and burst strength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inner protrusion in the inner tube 100 having the zirconia-based inner protrus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that the inlet tube 100 having the zirconia-based inner protrus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tually manufactured.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100)(이하, '유치관(100)')은 유치관 본체(110), 개구부(120), 내부 돌출부(130), 접착제 형성층(140)을 포함함으로써, 어린이의 유치를 덮어씌워 보호하도록 하며, 유치관 본체(110), 내부 돌출부(130)를 지르코니아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여기서, 지르코니아는 강도가 우수하고, 생체 친화적인 바이오 세라믹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지르코니아 재질 100 전체 중량부에 대해서 1 마이크론 미만의 입자를 갖는 알루미나 25 내지 33 중량부, 가열 방식 연신, 니들 스플릿(needle split) 방식에 의한 메쉬(mesh) 공정에 따라 다이아몬드 격자 구조를 생성에 따라 연신시 가열 온도에 비해 2.5 내지 2.7 배로 설정되어 수행되는 가열에 의한 안정화를 통해 형성된 2.2 내지 2.7 데니어(denier)의 탄소섬유 12 내지 13 중량부에 해당하는 소결된 세라믹 그레인을 재질로 활용함으로써,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1 to 3, a drawing pip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rawing pipe 100) having a zirconia-based inner protruding portion includes a drawing pipe main body 110, an opening portion 120, The inner tube 130 and the adhesive-forming layer 140 to cover and protect the inner tooth of the child, and the inner tube 110 and the inner protrusion 130 are formed using zirconia material. Here, zirconia is a bioceramic material having excellent strength and being biocompatib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to 33 parts by weight of alumina having particles less than 1 micron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zirconia material is subjected to a heating process, a mesh process by a needle split method, A sintered ceramic grain corresponding to 12 to 13 parts by weight of carbon fibers of 2.2 to 2.7 denier formed through stabilization by heating performed by setting the diamond lattice structure to 2.5 to 2.7 times as much as the heating temperature at the time of drawing,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strength.

유치관 본체(110)는 유치의 형상을 본 떠서 형성되며, 하부로 개구부(120)를 통해 유치를 삽입하며, 내측으로는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형의 내부 돌출부(13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치관 본체(110) 제작시, 스캐너를 이용하여 유치의 모형을 스캔하여 유치 모형의 외부 표면 좌표를 얻고, 유치 모형의 외부 표면좌표를 3D 디자인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3D 디자인 데이터에 대한 도포 가능한 유치관 형상을 지르코니아 재질을 3차원 밀링기로 가공하여 제작한 뒤, 유치관 형상에 대해서 후술하는 개구부(120)를 형성하는 동시에 내부 돌출부(130)를 3차원 절삭기를 이용하여 절삭 성형할 수 있다. The inlet pipe main body 110 is formed integrally with a recessed and protruded inner protrusion 130 formed in the shape of a recess and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through the opening 120, desirable. More specifically,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tube main body 110, the model of the tentacle is scanned using the scanner to obtain the outer surface coordinates of the tentative model, the coordinat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entative model are converted into the 3D design data, The inner protruding portion 130 is cut by using a three-dimensional cutting machine while the opening 12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inner tube shape, and at the same time, Can be molded.

여기서, 개구부(120)는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100)이 덮어지는 대상 유치의 하단 테두리의 지름의 외경과 일치하는 내경과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100㎛ 내지 300㎛) 내가 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유치관 본체(110)가 삽입시 유치 하단과 유치관 본체(110)의 마모를 최소화하면서 유치관 본체(110)와 유치 하단 간의 체결력을 극대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Here, the opening 120 has an inner diamete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diameter of the lower edge of the target tooth covered with the inner tube 100 having the zirconia-based inner protrusion, and a predetermined error range (+/- 100 to 300 mu m) So as to maximize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inlet pipe main body 110 and the lower end of the inlet pipe while minimizing wear of the lower inlet end and the inlet pipe main body 110 when the inlet pipe main body 110 is inserted.

내부 돌출부(130)는 유치관 본체(110) 내측으로는 유선형(streamlined shape) 형상의 돌기구(131)가 상호 등간격 또는 이간격으로 배열되는 돌기구 집합체로 유치관 본체(110)의 내측 상 전면 및 후면으로 한 쌍이 형성된다.The inner protruding portion 130 is a set of stone tools whose streamlined shape i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r at equal intervals o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tube main body 110, A pair of front and rear surfaces are formed.

이때, 각 돌기구(131)는 유치관 본체(110)의 내측 중 전면과 후면 영역 각각 중 내측 중앙 영역에 앞 부분이 하향으로 향하게 형성됨으로써, 유치로의 유치관 본체(110) 삽입시 저항성을 극대화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of the stone mechanisms 131 is formed such that the front portion thereof is directed downward in the inner central region of the front and rear regions of the inside of the inlet pipe main body 110, so that the resistance against the insertion of the inlet pipe main body 11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aximizing structur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각 돌기구(131)로 이루어진 내부 돌출부(130)는 각 돌기구(131)의 형성 외에도 도 3과 같이 유치관 본체(110)의 내측의 중앙 영역 중 상향 보단 하향으로 치우쳐서 배열됨으로써, 유치 중 곡률이 큰 영역과 맞닿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유치로의 유치관 본체(110) 삽입시의 저항성 극대화 외에 유치와의 접착제 형성층(140)을 이용한 체결시 접착점의 집합인 접착면이 최대화되는 효과로 체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3, the inner protruding portion 130 formed by each of the protruding protrusions 131 may be formed to be lower than the upward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protruding pipe main body 110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that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a region having a large curvature during pulling so as to maximize the resistance when inserting the tube main body 110 into the pulling furnac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astening strength by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adhesion surface.

왜냐하면, 유치관 본체(110) 내면의 내부 돌출부(130)를 이루는 돌기구(131)는 가로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거나, 가로 방향으로 물결 모양으로 다수 개 배치되어 결과적으로 돋을 무늬에 해당하는 엠보싱 구조를 가지도록 3차원 절삭기를 이용하여 절삭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is is because a plurality of the stone tools 131 constituting the inner protrusion 13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pipe main body 110 may be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or a plurality of wavy shapes may be arranged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embossed structure By using a three-dimensional cutting machine.

다시 말해 유치관 본체(110) 형성시 변환된 3D 디자인 데이터에 대한 도포 가능한 유치관 형상을 지르코니아 재질을 3차원 밀링기로 가공하여 제작하여 가공된 상태에서 내부 돌출부(130) 형성을 위한 3차원 절삭이 연속되어 수행된 지르코니아 블록을 알루미나 붕판 위에 얹어 전기로에 넣고 15℃/min의 승온 속도로 1800℃까지 가열하고 2시간 유지한 다음, -4℃/min의 냉각 속도로 상온까지 냉각하여 제조한 지르코니아 소결체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소결체의 밀도를 아르키메데스법으로 측정한 결과, 소결체의 밀도는 5.2 내지 5.5g/cm3를 보였으며 이는 99.2 내지 99.4%의 상대밀도를 갖는 아주 치밀한 소결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other words, a three-dimensional (3D) cutting process for forming the inner protrusion 130 is performed by machining a zirconia material with a three-dimensional milling machine, which is applicable to the converted 3D design data when the inlet pipe main body 110 is formed, The successive zirconia block was placed on an alumina slab and placed in an electric furnace, heated to 1800 캜 at a heating rate of 15 캜 / min and maintained for 2 hours, cooled to room temperature at a cooling rate of -4 캜 / min, to be. The density of the sintered body thus produced was measured by the Archimedes' method. As a result, the density of the sintered body was 5.2 to 5.5 g / cm 3 , which was confirmed to be a very dense sintered body having a relative density of 99.2 to 99.4%.

이러한 구조 및 소결체에 해당하는 내부 돌출부(130)를 갖는 유치관(100)과 내부 돌출부(130)를 갖지 않는 유치관 각각에 대한 인장 강도 확인 시험을 하였다.Tensile strength test was performed on each of the inlet pipe having the inner protrusion 130 corresponding to this structure and the sintered body and each of the inlet pipes having no inner protrusion 130.

시험 조건으로 내부 돌출부(130)를 갖는 유치관(100)과 내부 돌출부(130)를 갖지 않는 유치관에 각각 직경 6mm, 길이 36mm 금속나사를 치관 접착용 레진시멘트(제품명: Mazic Cem 제조사 : [주]베리콤)를 이용하여 금속나사 끝 부분이 각각의 유치관 본체(110) 내면 교두(막혀 있는 부분)에 닿도록 접착시킨 후 완전 경화되도록 24시간 건조한 그늘에 보관하여 둔다. As a test condition, a metal tube having a diameter of 6 mm and a length of 36 mm was attached to an inlet pipe having an inner protrusion 130 and an inner pipe having no inner protrusion 130, respectively, using a cemented resin cement (trade name: Mazic Cem, ] VERICOM), the metal screw ends are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each of the inlet pipe main bodies 11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cusps, and then stored in a shade dried for 24 hours so as to be completely cured.

이후, 완전 경화된 내부 돌출부(130)를 갖지 않은 유치관과 연결된 금속나사 시료의 금속나사 부분을 무게 10kg의 중량판이 담긴 바구니에 연결한 뒤, 내부 돌출부(130)를 갖지 않는 유치관으로 삽입된 금속나사 부분에 대해서 바이트플러거로 잡고 중량판이 담긴 바구니를 바닥에서 30cm 높이까지 위로 들어올려서 이탈 시간을 측정한다(시험예 1).Thereafter, the metal screw portion of the metal screw sample connected to the inlet pipe without the fully cured inner protrusion 130 is connected to the basket containing the weight plate of the weight of 10 kg, and then inserted into the inlet pipe without the inner protrusion 130 Take the basket of metal screws with the bite flusher and lift the basket containing the weight plate up to a height of 30 cm from the floor to measure the time of detachment (Test Example 1).

또한, 완전 경화된 내부 돌출부(130)를 갖는 유치관(100)과 연결된 금속나사 시료의 금속나사 부분을 무게 10kg의 중량판이 담긴 바구니에 연결한 뒤, 내부 돌출부(130)를 갖는 유치관(100)으로 삽입된 금속나사 부분에 대해서 바이트플러거로 잡고 중량판이 담긴 바구니를 바닥에서 30cm 높이까지 위로 들어올려서 이탈 시간을 측정한다(시험예 2).After the metal thread portion of the metal screw sample connected to the inlet pipe 100 having the fully cured inner protrusion 130 is connected to the basket containing the weight plate having the weight of 10 kg and then the inlet pipe 100 having the inner protrusion 130 ), And the basket containing the weight plate is lifted up to a height of 30 cm from the floor to measure the release time (Test Example 2).

시험 결과로, 시험예 1의 경우 내부 돌출부(130)를 갖지 않은 유치관은 중량판 바구니를 6초간 들어올린 후 유치관과 유치관 내면에 접착되어 있던 금속나사가 분리되었다. 이때 유치관 내면에 접착되었던 레진시멘트는 유치관 내면과 완전히 분리되어 금속나사에만 접착되어 있었다. As a result of the test, in the case of Test Example 1, the metal tube having no inner protrusion 130 was lifted from the weighing basket for 6 seconds, and the metal screw adhered to the inner tube and the inner tube was separated. At this time, the resin cement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jection tube wa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injection tube and adhered only to the metal screw.

한편, 시험예 2의 경우 내부 돌출부(130)를 갖는 유치관(100)은 중량판 바구니를 들어올린 후 유치관(100)과 유치관(100) 내면의 금속나사가 분리되지 않았다. 이에 중량판 바구니의 무게를 15kg으로 증가시킨 후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여 시간을 측정하였을 때 12분 경과 후 유치관(100)과 유치관(100) 내면의 금속나사가 분리되었다.On the other hand, in Test Example 2, the metal pip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pipe 100 and the inner pipe of the inner pipe 100 was not separated from the inner pipe 130 having the inner protrusion 130 after lifting the weight plate basket. Then, the weight of the heavy plate basket was increased to 15 kg, and then the same test was carried out to measure the time. After 12 minutes, the metal screws were separated from the inner pipe 100 and the inner pipe 100.

이때에도 유치관(100) 내면 요철 부위에 접착된 레진시멘트는 여전히 유효하게 접착되어 있는 상태로 오히려 금속나사와 레진시멘트의 접착부위가 분리되었다.At this time, the resin cement adhered to the concavo-convex por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pipe 100 was still effectively adhered, and the adhered portions of the metal screw and the resin cement were separated.

이 시험은 내부 돌출부(130)가 있는 유치관(100)이 내부 돌출부(130)가 없는 유치관에 비해 뛰어난 인장 강도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구강 내 타액, 수분 등에 유치관이 직접 노출되는 것을 고려해 볼 때 내부 돌출부(130)가 있고 없고에 따라 인장 강도 차이는 더 클 것이다. This test shows that the inlet tube 100 with the inner protrusion 130 has an excellent tensile strength compared to the inlet tube without the inner protrusion 130. In addition, considering the direct exposure of the injection tube to saliva and moisture in the oral cavity, there is an inner protrusion 130, and the difference in tensile strength will be larger depending on the absence of the protrusion 130. [

요철에 해당하는 돌기구(131)의 높이를 깊게 할수록 인장 강도는 강해지지만 이는 돌기구(131)가 너무 유치관 본체(110) 내면으로 돌출됨으로써, 시술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반대로 돌기구(131)의 높이를 너무 얕게 한다면 강력한 인장 강도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돌기구(131)의 높이는 0.03mm 내지 0.05mm 사이가 적합하며 최대한의 높이는 유치관 본체(110)의 두께의 크기의 25% 이내에서 결정되는 것이 적합하다. The tensile strength becomes stronger as the height of the stone tool 131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and convex is deeper, but this causes the stone tool 131 to protrude too much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tube main body 110, thereby making it inconvenient for the operator. Conversely, if the height of the stone tool 131 is too shallow, a strong tensile strength can not be obtain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stone tool 131 is between 0.03 mm and 0.05 mm, and the maximum height is determined within 25% of the thickness of the inlet pipe main body 110.

접착제 형성층(140)은 레진시멘트로 형성되며, 레진시멘트를 상하로 이격된 돌기구(131) 사이에는 필수적으로 도포되어 형성되며, 추가로 최상 위치에 형성된 돌기구(131)의 상부 영역, 최하 위치에 형성되는 돌기구(131)의 하부 영역에 선택적으로 도포되어 형성됨으로써, 유치 접합면과 유치관 본체(110) 내부면 사이에 접착을 유지하도록 한다. The adhesive-forming layer 140 is formed of resin cement. The resin cement is essentially applied between the vertically spaced stone tools 131, and further form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stone mechanism 131 formed at the uppermost position, So as to maintain the adhesion between the attracting bonding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of the tub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접착제 형성층(140)에 해당하는 접착제 도포 영역에 해당하는 유치관 본체(110) 내면에 알루미늄 샌드를 고속으로 충돌시켜 스크래치를 형성하고, 접착제 형성층(140)을 도포한 후 광을 조사하여 광중합 결합이 개시되도록 한 뒤, 유치로의 삽입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접착제 형성층(140)이 도포되지 않은 유치 하단과 맞닿는 유치관 본체(110)의 내면 영역에는 레진 페이스트를 일부 주입하여 유치관 하단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한 뒤, 광을 조사하여 광중합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uminum sand is collided at a high spe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pipe body 110 corresponding to the adhesive application region corresponding to the adhesive agent formation layer 140 to form a scratch, and the adhesive agent- After the application, the light is irradiated to initiate the photopolymerization, and then the injection into the infiltration path is performed. In this process, a resin paste is partially injected into the inner surface area of the inlet pipe main body 110 where the adhesive layer 140 is not applied and a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inlet pipe is formed. Then, So that the strength can be reinforced.

이와 같은 구조로 설계되는 유치관(100)에서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130)의 유/무 여부(내부 돌출부(130)가 있는 경우 'L1', 내부 돌출부(130)가 없는 경우 'L2')에 대한 유치관 내면에 접착되어 있던 금속나사와의 인장 강도 및 내절 강도, 그리고 파열 강도에 대한 측정의 결과는 도 4 내지 도 6의 그래프와 같이 나타나며, 모두 내부 돌출부(130)를 구비한 경우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인장 강도는 TAPPI T 404 om-87에 따라 Hounsfield사의 인장 강도 측정기를 사용하고 내절 강도는 TAPPI T 511 om-83에 의하여 MIT 형을 사용한다. 내절 강도 측정시 인장하중은 0.4 kg으로 하였고 stiffness는 TAPPI T 451 cm-84에 따라 Clark 형을 사용하며, 파열 강도는 TAPPI T 403 om-85에 따라 Mullen 저압형 시험기를 사용한다.If there is no zirconia-based inner protrusion 130 in the inlet pipe 100 designed with such a structure ('L1' when there is the inner protrusion 130 and 'L2' when there is no inner protrusion 130)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of the tensile strength, the bending strength, and the tear strength with the metal screws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rehole are shown in the graphs of FIGS. 4 to 6, and are improved when all the inner protrusions 130 are provided . The TAPPI T 404 om-87 and TAPPI T 511 om-83 were used for tensile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respectively. The tensile load was 0.4 kg. The stiffness was determined by Clark type according to TAPPI T 451 cm-84. The tear strength was measured using a Mullen low-pressure tester according to TAPPI T 403 om-85.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have been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 :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
110 : 유치관 본체
120 : 개구부
130 : 내부 돌출부
140 : 접착제 형성층
100: Attachment tube with zirconia-based inner protrusion
110:
120: opening
130: inner protrusion
140: Adhesive forming layer

Claims (7)

유치의 형상을 본 떠서 형성되며, 하부로 개구부(120)를 통해 유치를 삽입하며, 내측으로는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형의 내부 돌출부(130)가 일체로 지르코니아 재질로 형성되는 유치관 본체(110); 및
유치관(100)이 덮어지는 대상 유치의 하단 테두리의 지름의 외경과 일치하는 내경과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 내가 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
And a protrusion-like inner protrusion 130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inside the inserting tube main body 110 (see FIG. 1) formed integrally with the zirconia material, ); And
An opening 120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diameter of the lower edge of the target tooth covered with the attracting tube 100 and a predetermined error range; And a zirconia-based inner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내부 돌출부(130)는,
유치관 본체(110) 내측으로는 유선형(streamlined shape) 형상의 돌기구(131)가 상호 등간격 또는 이간격으로 배열되는 돌기구 집합체로 유치관 본체(110)의 내측 상 전면 및 후면으로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nner protrusion (130)
In the inside of the inlet pipe main body 110, there are provided a pair of piercing main bodies 110 having a streamlined shape of piercing mechanism 131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r at equal intervals, Wherein the zirconia-based inner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tube.
제2항에 있어서, 각 돌기구(131)는,
유치관 본체(110)의 내측 중 전면과 후면 영역 각각 중 내측 중앙 영역에 앞 부분이 하향으로 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each of the stone mechanisms (131)
Wherein the front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inlet pipe main body (110) is formed with its front portion directed downward in an inner central region of the front and rear regions, respectively.
제3항에 있어서,
각 돌기구(131)로 이루어진 내부 돌출부(130)는 각 돌기구(131)의 형성 외에도 유치관 본체(110)의 내측의 중앙 영역 중 상향 보단 하향으로 치우쳐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
The method of claim 3,
The inner protruding portion 130 formed of each of the stone mechanisms 131 is arranged to be inclined downward than the upward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inner tube main body 110 in addition to the formation of the respective stone mechanisms 131. [ A tube having a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유치관 본체(110) 내면의 내부 돌출부(130)를 이루는 돌기구(131)는 가로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거나, 가로 방향으로 물결 모양으로 다수 개 배치되어 돋을 무늬에 해당하는 엠보싱 구조를 가지도록 3차원 절삭기를 이용하여 절삭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the stone tools 131 constituting the inner protrusion 13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pipe body 110 may be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or in a plurality of wavy shapes in the lateral direction to form an embossed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embossed pattern. Wherein the inner protrusions are formed by cutting the inner protrusions with a zirconia-based cutting tool.
제1항에 있어서,
레진시멘트로 형성되는 접착제 형성층(140); 을 더 포함하며,
접착제 형성층(140)은, 레진시멘트를 상하로 이격된 돌기구(131) 사이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dhesive-forming layer 140 formed of resin cement; Further comprising:
The adhesive tube (140) is formed by applying resin cement between vertically spaced stone tools (131), and the zirconia-based inner protrusion is formed.
제6항에 있어서, 접착제 형성층(140)은,
최상 위치에 형성된 돌기구(131)의 상부 영역, 최하 위치에 형성되는 돌기구(131)의 하부 영역에 레진시멘트를 선택적으로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르코니아 기반의 내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유치관.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adhesive-forming layer (140)
And a resin cement is selectively applied to an upper region of the stone mechanism (131) formed at the uppermost position and a lower region of the stone mechanism (131) formed at the lowermost position. .
KR1020170170471A 2017-12-12 2017-12-12 Cap for deciduous tooth with internal protrusion based on zirconia KR2019007001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471A KR20190070019A (en) 2017-12-12 2017-12-12 Cap for deciduous tooth with internal protrusion based on zirconi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471A KR20190070019A (en) 2017-12-12 2017-12-12 Cap for deciduous tooth with internal protrusion based on zirconi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019A true KR20190070019A (en) 2019-06-20

Family

ID=67103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471A KR20190070019A (en) 2017-12-12 2017-12-12 Cap for deciduous tooth with internal protrusion based on zirconi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001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497A (en) * 2019-09-06 2021-03-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Ready-made Zirconia Crown Space Maintainer For Dentition of Permanent Tooth, And Install Method Using The Same
KR20210062840A (en)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디오 crown for deciduous too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17-0120787호 "치과용 성형체 및 치과용 수지재료(DENTURE BASE AND MOLD, AND DENTAL RESIN MATERIAL)"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9-0108053호 "치아용 크라운(CROWN FOR TOOTH)"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1-0034464호 "항균 코팅된 치과용 보철(DENTAL PROSTHESIS COATED ANTIBIOTIC)"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497A (en) * 2019-09-06 2021-03-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Ready-made Zirconia Crown Space Maintainer For Dentition of Permanent Tooth, And Install Method Using The Same
KR20210062840A (en)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디오 crown for deciduous too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16871T3 (en) PROCEDURE FOR MANUFACTURING MEDICAL, DENTISTRY, DENTAL TECHNIQUE AND CERAMIC TECHNIQUES.
KR100678362B1 (en) Production of replacement teeth from a three-dimensionally determined and digitised positive model
US5939211A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dental reconstructions and blank for carrying out this method
JP5635982B2 (en) Molded member manufactured from shape stabilizing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299888B2 (en) Pedodontic/veterinary dental crown system
US20100028835A1 (en) Pedodontic/veterinary dental crown system
JP5952381B2 (en) Porous silicate ceramic body, dental restora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282868B2 (en) Dental implant having a surface made of ceramic material
KR101234295B1 (en) Dental implant abutment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10206767B2 (en) Dental prosthesis for determining abrasion facets
US20130288026A1 (en) Fireable dental blank assembly
KR20190070019A (en) Cap for deciduous tooth with internal protrusion based on zirconia
JP2007505649A (en) Tooth structure and method
EP1228744A2 (en) Orthodontic appliance
US9308063B2 (en) Incisor tooth or canine tooth, and set of teeth, and method for producing and incisor tooth or canine tooth
ITRM20130047A1 (en) METHOD FOR THE CREATION OF PERSONALIZED GLASS FIBER OR CARBON FIBER PINS.
KR101645357B1 (en) Lithium Disilicate implant
US20200022787A1 (en) Zirconium Post
US9034225B2 (en) Process for producing implants and components by directing shaping
KR101752211B1 (en) Glass fiber photopolymerization resin stiffening member to reinforce of fracture and stiffening member therefrom
Ezzat et al. Effect of veneering material and technique on the fracture resistance of porcelain-veneered zirconia crowns
US20190110867A1 (en) Dental implant analog and methods of making same
EP1613234B1 (en) Inserts for tooth repair
GB2502331A (en) A replica for moulding a dental implant with a through hole
US20120183925A1 (en) Dental Hydrostatic Relief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