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973A - Fruit packaging box - Google Patents
Fruit packaging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69973A KR20190069973A KR1020170170381A KR20170170381A KR20190069973A KR 20190069973 A KR20190069973 A KR 20190069973A KR 1020170170381 A KR1020170170381 A KR 1020170170381A KR 20170170381 A KR20170170381 A KR 20170170381A KR 20190069973 A KR20190069973 A KR 201900699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uit
- upper case
- case
- lower case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6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components
- B65D11/18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components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two mating h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3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e.g. tr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과일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된 과일의 파손을 방지하고 적층이 용이한 과일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uit packing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uit packing box that prevents breakage of stored fruit and facilitates stacking.
일반적으로 과일은 생산자로부터 판매자나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운송 과정 중 상처가 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손상된 과일은 쉽게 상하거나 상품 가치가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운송 도중 손상되기 쉬운 과일은 적절한 과일 포장재로 포장된 후 운송되어야 한다.Generally, fruit can be scarred during the transportation process from the producer to the seller or consumer. In such a case, the damaged fruits are easily scratched or have a disadvantage that the value of the product is greatly reduced. Therefore, fruits that are susceptible to damage during transit should be packed in appropriate fruit packaging and then transported.
과일 포장재는 과일을 수납하여 과일의 선도를 유지하고 과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과일이 포장 상자에 넣어지거나 또는 완충재 등에 낱개로 감싸서 유통된다.The fruit packaging material is intended to house the fruit to maintain the leading edge of the fruit and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fruit. The fruit is put into a box or wrapped separately in a buffer.
그러나 유통 과정에서의 외부 충격으로부터 과일 포장용 상자 내부에 수납된 과일을 적절히 보호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특히, 사과, 배 등 구형상의 과일은 운반이나 보관 도중 포장 상자 내부에서 쉽게 유동될 수 있고, 포장 상자 외부의 충격이 과일에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어 쉽게 멍이 들거나 손상될 수 있다.However,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fruit contained in the fruit packing box can not be adequately protected from external impacts during the distribution process. In particular, spherical fruits such as apples and pears can easily flow inside the packaging box during transportation or storage, and the impact from the outside of the packaging box can be transmitted directly to the fruit, making it easily bruised or damaged.
또한, 과일은 계절 및 기상변화에 따른 온도에 민감하며 외부 온도에 따라 그 상품성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보관과정에서 과일 포장용 상자는 다단적재되어 보관되며 보관 장소 및 기상환경에 따라 과일의 보존성이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fruits are sensitive to temperature in the season and the weather, and their commerciality can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external temperature. During the storage process, the fruit packing boxes are stored in multiple stages and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fruit may vary depending on the storage location and weather conditions.
습도가 높은곳에 보관되는 경우 외부 물이 포장용 상자 내부로 침입하여 과일이 썩게 될 수 있으며, 다단적재시 외부충격에 따라 적재된 상자가 무너질 경우 과일의 상품성이 크게 손상될 수 있다.When stored in a high humidity environment, external water may enter the packaging box and cause the fruits to decay. If the stacked boxes collapse due to an external impact during multi-stacking, the merchantability of the fruit may be seriously damaged.
따라서 과일의 신선도가 유지되며, 유통 및 보관과정에서 과일에 충격을 방지하도록 견고한 재질 및 구조를 갖춘 동시에 제작비용상 이점이 있는 과일 포장용 상자가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fruit packing box having a sturdy material and structure to maintain the freshness of the fruit, and preventing the impact on the fruit during distribution and storage, while at the same time being advantageous in production cost.
한편, 단열재로 사용되는 스티로폼은 발포폴리스티렌의 상표명이 보통명칭화 된 것으로, 널리 사용되는 스티렌의 중합체이다. 무색투명한 열가소성 물질로, 희고 가벼우며, 내수성ㅇ단열성ㅇ방음성ㅇ완충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그릇, 접시, 육류 포장용기, 달걀 포장용기, 전자제품이나 기타 부서지기 쉬운 물품의 운송용 포장재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yrofoam used as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a polymer of styrene which is commonly called a brand name of expanded polystyrene and widely used. It is a colorless and transparent thermoplastic material, white and light, waterproof. ㅇ Insulation ㅇ Soundproofing ㅇ It is excellent in buffering property. It can be used for containers, plates, meat packing containers, egg packing containers, and transportation packing materials for electronic products and other fragile items. have.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과일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과일에 전달될 수 있는 외부 충격을 방지하고, 유통 및 보관과정에서 과일의 상품성 유지되며 제조공정상 가격이 저렴한 과일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to provide a fruit packing box which can prevent an external shock that can be transmitted to fruit in a fruit packing box, maintains the merchandise of the fruit during distribution and storage, .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일 포장용 상자에 따르면,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로 구성되어 상,하 대응결합되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과일이 수납되는 복수개의 과일수납부와,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의 내측 둘레에 구비되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가 대응결합되도록 결착돌기와 결착홈이 형성된 결착부와, 상부케이스의 외측 상단에 구비되어 상부케이스 상측에 적층되는 하부케이스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이탈방지부와, 하부케이스의 외측 하단에 상기 제1 이탈방지부와 대응형상으로 구비되어 하부케이스 하측에 배치되는 상부케이스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ruit pack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upper and lower cases, A binding portion provided on an inner periphery of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nd provided with a binding protrusion and a binding groove so that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re correspondingly coupled to each other; And a second detachment preventing portion provided at a lower outer end of the lower case in a corresponding shape to the first detachment preventing portion to prevent the upper cas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ower case, .
또한, 본체는 발포폴리스틸렌(EPS)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may be formed of expanded polystyrene (EPS).
또한, 이탈방지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 상단 및 외측 하단에 형성되되, 복수개의 이탈방지돌기와 이탈방지홈이 반복형성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is formed at the outer upper end and the lower outer end of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s and the separation preventing grooves may be repeatedly formed.
또한, 과일수납부는 내측에 과일의 꼭지가 안착되는 안착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uit storag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eating protrusion on which a nipple of fruit is seated.
또한,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의 결합시 외부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 load supporting part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nd supporting an external load whe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re engaged can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부케이스의 상단 및 하부케이스의 하단에는 과일수납부의 개수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 display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case to indicate the number of fruit storage units.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포장용 상자에 의하면, 본체가 단열재로 형성되어 과일의 신선도 유지에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fruit pack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main body is formed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which is advantageous in maintaining the freshness of fruits.
또한, 과일 포장용 상자의 보관과정에서 외부에서 유입될 수 있는 습기 등을 차단하여 과일의 보존성이 뛰어나다.In addition, the preservation of fruits is excellent by blocking the moisture that may enter from the outside during the storage process of the fruit packing box.
또한, 외부충격에 강하며, 외부에서 상기 과일 포장용 상자로 가해질 수 있는 하중이 수납된 과일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과일의 상품성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Also, it is resistant to external impact and prevents the load, which can be externally applied to the fruit packing box,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stored fruit, thereby preventing the fruit of the fruit from being damaged.
또한, 과일 포장용 상자의 유통과정에서 상자 내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과일의 유동을 최소화하고, 다단적재시 적재된 과일 포장용 상자의 이탈이 방지된다.In addition, the flow of fruit that may occur inside the box during distribution of the fruit packing box is minimized, and the separation of the fruit packing box loaded in the multi-stage loading is prevented.
또한, 과일의 종류 및 과일 수납부의 개수가 표시될 수 있어 밀폐된 상자의 개봉 없이 과일의 종류와 개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ype of fruit and the number of fruit receptions can be displayed, so that the type and number of fruits can be easily identified without opening the sealed box.
또한, 제조공정이 용이하며, 제조가격이 저렴하다.Further, the production process is easy and the production cost is 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일 포장용 용기의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상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적층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body of a fruit pac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upled state view showing an engaged state of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cking state of a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일 포장용 용기의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은 상기 본체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body of a fruit packing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main body, and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일 포장용 상자는,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20)로 구성되어 상,하 대응결합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과일이 수납되는 복수개의 과일수납부(200)를 포함한다.1 to 3, a fruit pack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20)가 대응결합되어 하나의 본체(10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20)는 동일한 구성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0)는 단열재로 형성되며, 상기 단열재는 발포폴리스틸렌(EPS)일 수 있다. 발포폴리스틸렌으로 형성된 상기 본체(100)는 외부충격에 강하며, 단열 및 차수성이 뛰어나 과일 포장용 상자의 유통 및 보관에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과일수납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과입수납부(200)의 상부케이스(110)측에 과일의 일부가 수납되고, 하부케이스(120)측에 과일의 타부가 수납될 수 있다. 과일 수납부(200)의 형상 및 개수는 과일의 종류 및 과일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과일수납부(200)는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내측면이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이와 대응결합되는 상기 하부케이스(120)의 내측면이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구성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상기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20)가 결합되어 형성된 상기 과일수납부(200)는 상기 과일수납부(200)에 과일이 수납되는 경우 상기 수납된 과일과 상기 본체(100)의 외부가 차단되므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습기를 차단하여 수납된 과일의 신선도가 유지된다.The
상기 과일수납부(200)의 내부에는 수납되는 과일의 유동을 방지하는 안착돌기(2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돌기(210)에 과일의 꼭지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므로 과일 포장용 상자의 유통과정에서 상기 상자 내부의 과일 유동이 최소화 되므로 과일의 상품성 손상이 방지된다.Inside the
상기 안착돌기(210)의 위치, 개수, 크기 및 형상은 수납되는 과일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position, number, size, and shape of the
상기 과일수납부(200)는 상기 복수개의 과일수납부(200) 중 인접한 과일수납부(20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연통부(2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연통부(220)는 상기 과입수납부(200)간에 기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과일수납부(200)의 일부가 절삭되어 형성되며, 과일에서 나오는 에틸렌 등의 가스는 상기 연통부(220)를 통해 다른 과일에 전달되므로 과일의 고른 숙성이 가능하게 된다.The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과일의 보존을 위한 보존제 등을 넣는 경우 상기 보존제 등의 기체성분은 상기 연통부(220)를 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과일수납부(200)에 전달되므로 보존이 용이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a preservative or the like for preserving fruits is placed inside the main body, the gas components such as the preservative are transferred to the plurality of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20)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상태도이고, 도 5은 상기 본체의 적층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FIG. 4 is an assembled state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상기 본체(100)는, 상기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20)의 내측 둘레에 구비되며 결착돌기(310)와 결착홈(320)으로 구성된 결착부(300),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외측 상단에 구비된 제1 이탈방지부(400), 상기 하부케이스(120)의 외측 하단에 구비된 제2 이탈방지부(500) 및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된 하중지지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결착부(300)는 상기 결착돌기(310) 및 상기 결착홈(320)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20)를 고정시키며, 상기 결착돌기(310) 및 결착부(300)의 방향, 높이 및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4, the binding unit 300 includes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결착부(300)는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하단 모서리에 형성된 상기 결착돌기(310) 또는 상기 결착홈(320)과, 이와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120)의 상단 모서리에 형성된 상기 결착홈(320) 또는 상기 결착돌기(31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상부케이스(110)와 상기 하부케이스(120)의 접촉면에서 수평방향의 이동이 구속되므로 상기 본체(100)의 구조적 안정성이 보조된다.The binding unit 300 may include the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결착부(300)는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하부케이스(120)의 내측 모서리에 높이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결착돌기(310)와, 이와 대응결합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110) 또는 하부케이스(120)의 내측 모서리에 높이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결착홈(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착홈(320)에 상기 결착돌기(310)가 상기 경사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결합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nding unit 300 includes a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이탈방지부(400)는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외측 상단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이탈방지부(400)는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외측 상단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이탈방지돌기(410) 및 내측방향으로 침강된 이탈방지홈(420)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5, the first escape prevention part 400 is formed on an outer upper end surface of the
상기 제2 이탈방지부(500)는 상기 하부케이스(120)의 외측 하단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이탈방지부(400)와 대응결합된다.The second departure prevention part 500 is formed on the outer lower end surface of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이탈방지돌기(410)에 상기 하부케이스의 이탈방지홈(420)이 끼워지고, 상기 상부케이스(100)의 이탈방지홈(420)에 상기 하부케이스의 이탈방지돌기(410)가 끼워지는 형태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상기 본체(100)가 적층될 때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상부와 적층되는 하부케이스(120)의 하부가 대응결합되어 상기 적층되는 본체(100)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과일 포장용 상자의 안정적인 보관 및 유통에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hen the
상기 이탈방지돌기(410) 및 상기 이탈방지홈(420)은 일정한 패턴을 그리며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이탈방지부(400)는 상기 이탈방지돌기(410)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반복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돌기(410)의 사이에 상기 이탈방지홈(420)이 반복형성됨으로써 일정한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eparture prevention part 400 is repeatedly formed with the
상기 제2 이탈방지부(500)는 상기 제1 이탈방지부(400)와 대응결합되도록 상기 이탈방지홈(420)과 이탈방지돌기(410)가 반복형성된다.The second release preventing part 500 is repeatedly formed with the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이탈방지돌기(410) 및 이탈방지홈(420)이 반복형성된 제1 이탈방지부(400) 및 제2 이탈방지부(500)는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충격이 분산되어 안정한 적층이 가능하며, 어느 하나의 이탈방지돌기(410)가 파손되더라도 충분히 제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departure prevention parts 400 and 500, in which the plurality of the
상기 하중지지부(600)는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20)의 결합시 외부 하중을 지지한다.The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하중지지부(600)는 상기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20)의 내측면에 높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20)의 결합시 상기 상부케이스(110) 및 상기 하부케이스(120)의 하중지지부(600)가 서로 접촉하게 된다.3 and 4,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하중지지부(600)는 상기 과일수납부(200)에 수납된 과일로 상기 본체(100) 외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직접적인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하중지지부(60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그 위치도 다양할 수 있으나, 상기 본체(100)의 내부 중심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본체(100)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과일수납부(200)의 개수를 표시하는 표시부(7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700)는 상기 결합된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20)를 분리시키지 않고 과일의 개수 또는 종류를 알 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 표시부(700)는 과일의 종류, 등급 및 개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0)에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100 : 본체
110 : 상부케이스
120 : 하부케이스
200 : 과일수납부
210 : 안착돌기
220 : 연통부
300 : 결착부
310 : 결착돌기
320 : 결착홈
400 : 제1 이탈방지부
410 : 이탈방지돌기
420 : 이탈방지홈
500 : 제2 이탈방지부
600 : 하중지지부
700 : 표시부100: main body 110: upper case
120: Lower case 200: Fruit compartment
210: mounting projection 220:
300: Binding part 310: Bonding projection
320: binding groove 400: first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410: release prevention protrusion 420: release prevention groove
500: second departure prevention part 600: load supporting part
700:
Claims (7)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과일이 수납되는 복수개의 과일수납부;
상기 상부케이스의 외측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케이스 상측에 적층되는 하부케이스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이탈방지부;
상기 하부케이스의 외측 하단에 상기 제1 이탈방지부와 대응형상으로 구비되어 하부케이스 하측에 배치되는 상부케이스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이탈방지부; 및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의 내측 둘레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가 대응결합되도록 결착돌기와 결착홈이 형성된 결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용 상자.
A main body which is composed of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and is upwardly and downwardly coupled;
A plurality of fruit compartment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and containing fruits therein;
A first detachment preventing portion provided at an outer upper end of the upper case to prevent detachment of a lower case stacked on the upper case;
A second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provided at an outer lower side of the lower cas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to prevent departure of the upper case disposed below the lower case; And
And a binding portion provided on an inner periphery of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nd having a binding protrusion and a binding groove formed so that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re correspondingly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본체는 발포폴리스틸렌(EPS)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용 상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is formed of expanded polystyrene (EPS).
상기 제1 이탈방지부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외측 상단 둘레에 형성되되, 복수개의 이탈방지돌기와 이탈방지홈이 반복형성 되고,
상기 제2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1 이탈방지부와 대응결합되도록 복수개의 이탈방지홈과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용 상자.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escape prevention portion is form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outer side of the upper case, and a plurality of escape preventing projections and escape preventing grooves are repeatedly formed,
And the second release preventing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release preventing grooves and a release preventing protrusion so as to be associated with the first release preventing portion.
상기 과일수납부는 내측에 과일의 꼭지가 안착되는 안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용 상자.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ruit packing box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ating protrusion on which a nipple of fruit is seated.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본체의 결합시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부 및 하부케이스의 내부가 접촉되어 외부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용 상자.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load supporting portion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nd contacting the inside of the upper case and the inside of the lower case when the main body is coupled to support an external load.
상기 과일수납부의 사이에는 상기 과일수납부와 인접한 과일수납부 사이에 기체가 연통되는 연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용 상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ng portion between the fruit storage portion and the fruit storage portion adjacent to the fruit storage portion so that gas communicates with the fruit storage portion.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단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단에는 상기 과일수납부의 개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용 상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number of the fruit storage units at an upper end of the upper case and a lower end of the lower cas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0381A KR20190069973A (en) | 2017-12-12 | 2017-12-12 | Fruit packaging box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0381A KR20190069973A (en) | 2017-12-12 | 2017-12-12 | Fruit packaging box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9973A true KR20190069973A (en) | 2019-06-20 |
Family
ID=67103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0381A KR20190069973A (en) | 2017-12-12 | 2017-12-12 | Fruit packaging box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69973A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7422B1 (en) | 2013-07-23 | 2014-10-06 | 신윤미 | A packaging box for fruits |
KR101453736B1 (en) | 2013-06-11 | 2014-10-22 | 김남주 | A packaging box for fruits |
-
2017
- 2017-12-12 KR KR1020170170381A patent/KR20190069973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3736B1 (en) | 2013-06-11 | 2014-10-22 | 김남주 | A packaging box for fruits |
KR101447422B1 (en) | 2013-07-23 | 2014-10-06 | 신윤미 | A packaging box for fruit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732976A (en) | Package for fragile articles | |
CA2519533C (en) | System and method for packaging of fresh produce incorporating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 |
US5244094A (en) | Molded pulp tray for holding cold containers | |
KR101453736B1 (en) | A packaging box for fruits | |
KR200447103Y1 (en) | Fruit tray | |
US20070172563A1 (en) | Container for a whole egg | |
KR20190069973A (en) | Fruit packaging box | |
US3128933A (en) | Two-part packaging container of plastic for | |
JP2018104063A (en) | Fruit vegetables transport container | |
JP2005219795A (en) | Packaging method and packaging device used for the same | |
US4150745A (en) | Belt packaging tray | |
EP0518826B1 (en) | Modular packing containing trays for food | |
US20060263492A1 (en) | Produce packaging system and method of use | |
US20070246387A1 (en) | Floral bouquet packaging and display system | |
US4936075A (en) | Packaging | |
KR20230000902U (en) | useful packaging box | |
KR101570521B1 (en) | Fruits package and manufaturing method thereof | |
JP2006240709A5 (en) | ||
KR200412378Y1 (en) | Packing box | |
EP1513742B1 (en) | Packaging assembly | |
KR200363630Y1 (en) | The food wrapping a box for a support protrusion and support groove | |
KR20210058543A (en) | Packing box for agricultural products | |
JP6874958B2 (en) | Packaging container and transportation method of packaging container | |
KR200286786Y1 (en) | a fruit case free | |
JPH0640088Y2 (en) | Fruit tray packag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