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870A -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9870A
KR20190069870A KR1020170170190A KR20170170190A KR20190069870A KR 20190069870 A KR20190069870 A KR 20190069870A KR 1020170170190 A KR1020170170190 A KR 1020170170190A KR 20170170190 A KR20170170190 A KR 20170170190A KR 20190069870 A KR20190069870 A KR 20190069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external device
display device
extern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7418B1 (ko
Inventor
정진주
강우석
김두현
나상권
이철우
황두찬
유기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0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418B1/ko
Priority to CN201880079789.0A priority patent/CN111466119A/zh
Priority to PCT/KR2018/012668 priority patent/WO2019117451A1/ko
Priority to EP18887329.3A priority patent/EP3691283A4/en
Priority to EP23153406.6A priority patent/EP4213490A1/en
Priority to US16/765,334 priority patent/US11503364B2/en
Publication of KR20190069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418B1/ko
Priority to US17/964,618 priority patent/US1182515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7Establishing a secure communication between the client and a peripheral device or smart c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UI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응하는 제1 항목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제2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된 외부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가 구분되도록 표시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외부장치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 또는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된 외부장치와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를 한눈에 구분하여 표시하며, 간단한 사용자 입력으로 특정 장치를 연결 또는 연결해제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DISPLA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장치와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TV)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에는 셋탑박스, 블루레이나 DVD 등의 광학 디스크 재생장치, AV 리시버, 게임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단말장치 등의 다양한 외부장치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된다. 사용자는 메뉴선택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된 장치 또는 연결 가능한 장치를 각각 확인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는 단순하게 연결된 장치 또는 연결 가능한 장치의 목록을 각각 화면을 통해 표시한다. 또한, 복수의 장치가 연결 또는 연결 가능한 경우, 모델명으로 이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화면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정보가 매우 제한적이며, 디스플레이장치와 외부장치간의 연결 상태를 한눈에 파악하기 어려운 불편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장치와 외부장치 간의 연결 정보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면으로 표시된 연결 정보를 이용한 간단한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외부장치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UI는 디스플레이장치에 대응하는 제1 항목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제2 항목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된 외부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가 구분되도록 표시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외부장치가 통신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 또는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된 외부장치와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를 한눈에 구분하여 표시하며, 간단한 사용자 입력으로 특정 장치를 연결 또는 연결해제 할 수 있게 된다.
UI는, 연결된 외부장치의 제2 항목을, 제1 항목에 인접되게 표시하며,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의 제2 항목을, 연결된 외부장치의 제2 항목보다 제1항목으로부터 멀리 이격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연결된 장치와 연결되지 않은 장치를 사용자가 보다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의 제2 항목을 제1항목에 접근되게 이동시키는 사용자입력에 응답하여, 이동된 제2 항목의 외부장치가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되도록 제어하거나,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연결된 외부장치의 제2 항목을 제1항목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사용자입력에 응답하여, 이동된 제 2항목의 외부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드래그를 이용한 간편한 사용자입력으로 쉽게 외부장치를 연결 또는 연결해제 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 및 제2 외부장치가 상호 연결되도록, 통신부를 통해 제1 외부장치의 식별정보가 제2 외부장치로 송신되고, 제2 외부장치의 식별정보가 제1 외부장치로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외부장치간의 통신 설정이 자동으로 수행됨으로써 사용자 편의가 향상된다.
UI는, 연결된 외부장치의 제2 항목을, 대응되는 외부장치가 현재 연결되어 있는지, 또는 이전에 연결되었던 것인지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즉시 이용 가능한 장치에 대한 식별이 가능하다.
UI는, 외부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하며, 제2 항목의 모양, 색상 또는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대응되는 외부장치의 종류, 모델명 또는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UI는, 제2 항목을,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외부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동일한 종류의 복수의 장치가 표시되더라도, 사용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UI는, 복수의 외부장치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제2 항목을, 복수의 외부장치 상호간 연결 여부가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중심 기기로서 주변장치의 통신연결 상태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제2 항목 중에서 제1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제2 항목을 제2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제2 항목에 접근되게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외부장치가 상호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간편한 사용자입력에 의해 주변장치 간을 연결 또는 연결해제 할 수 있게 된다.
프로세서는, 복수의 제2 항목 중에서 2 이상의 제2 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면, 대응되는 2 이상의 외부장치 간을 상호 연결하거나, 상호간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중심기기를 이용한 주변장치의 관리 편의가 보다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 관계된 소정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이벤트 감지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대응하는 제1 항목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제2 항목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된 외부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가 구분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제2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외부장치가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 또는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된 외부장치와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를 한눈에 구분하여 표시하며, 간단한 사용자 입력으로 특정 장치를 연결 또는 연결해제 할 수 있게 된다.
UI는,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의 제2 항목을, 연결된 외부장치의 제2 항목보다 제1항목으로부터 멀리 이격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연결된 장치와 연결되지 않은 장치를 사용자가 보다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의 제2 항목을 제1항목에 접근되게 이동시키는 사용자입력에 응답하여, 이동된 제2 항목의 외부장치가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또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된 외부장치의 제2 항목을 제1항목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사용자입력에 응답하여, 이동된 제 2항목의 외부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드래그를 이용한 간편한 사용자입력으로 쉽게 외부장치를 연결 또는 연결해제 할 수 있다.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의 제2 항목을 연결된 외부장치의 제2 항목으로 이동하거나, 연결된 외부장치의 제2 항목을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의 제2 항목으로 이동하는 사용자입력에 응답하여,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하고, 연결된 외부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와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UI의 위치를 교환하는 한 번의 사용자입력으로 2개 장치의 연결 및 연결해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사용자 편의가 향상된다.
UI는, 연결된 외부장치의 제2 항목을, 대응되는 외부장치가 현재 연결되어 있는지, 또는 이전에 연결되었던 것인지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즉시 이용 가능한 장치에 대한 식별이 가능하다.
UI는, 외부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UI는, 복수의 외부장치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제2 항목을, 복수의 외부장치 상호간 연결 여부가 구분되도록 표시하며, 복수의 제2 항목 중에서 제1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제2 항목을 제2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제2 항목에 접근되게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외부장치가 상호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중심 기기로서 주변장치의 통신연결 상태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며, 간편한 사용자입력에 의해 주변장치 간을 연결 또는 연결해제 할 수 있게 된다.
제1 및 제2 외부장치가 상호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제1 외부장치의 식별정보를 제2 외부장치로 송신하고, 제2 외부장치의 식별정보를 제1 외부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외부장치간의 통신 설정이 자동으로 수행됨으로써 사용자 편의가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독취가능한 비휘발성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 관계된 소정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이벤트 감지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대응하는 제1 항목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제2 항목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된 외부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가 구분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제2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외부장치가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 또는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된 외부장치와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를 한눈에 구분하여 표시하며, 간단한 사용자 입력으로 특정 장치를 연결 또는 연결해제 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된 외부장치와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 각각에 대응하는 항목이 한 화면 내에서 그 상태정보와 함께 구분되어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그 외부장치간의 연결 상태를 한눈에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에 따르면, 표시된 항목을 선택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외부장치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예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들의 설명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사항들을 참조하는 바,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의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복수의 요소 전부뿐만 아니라, 복수의 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예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시스템은,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3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 1과 같이,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방송정보/방송데이터에 기초한 방송 영상을 처리하는 텔레비전(TV)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수신되는 방송신호는 지상파, 케이블, 위성 등을 통해서도 수신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의 영상공급원은 방송국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 또는 스테이션이라면 본 발명의 영상공급원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다양한 형식의 외부장치(200)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내부/외부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신호/데이터에 기초한 동영상, 정지영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D(on-screen display),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등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200)의 연결관계를 도식화하여 UI로서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스마트 TV 또는 IP TV(Internet Protocol TV)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TV는 실시간으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고,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가지고 있어 실시간 방송신호의 표시와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검색 및 소비가 가능하고 이를 위하여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TV이다. 또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에게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예를 들어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예를 들어 SNS, 금융, 뉴스, 날씨, 지도, 음악, 영화, 게임, 전자 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 바, 디스플레이장치(100)는 TV 이외에도 영상을 처리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구현 예시 예를 들어, 컴퓨터 본체에 접속된 모니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다양한 형식의 외부장치(200)과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외부장치(200)는, 예를 들면 도 1과 같이, 셋탑박스(set-top box, STB)(201), 스마트폰(smart phone)(202), 노트북 컴퓨터(203), 게임기(203)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연결 가능한 외부장치(200)는 도 1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table)과 같은 스마트 패드(smart pad)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 랩탑(laptop) 또는 데스크탑(desktop)을 포함하는 컴퓨터(PC), 블루레이나 DVD 등의 광학 디스크 재생장치나 AV 리시버와 같은 컨텐츠 제공장치(영상소스), 3D 안경, VR(virtual reality) 장치 등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통신 가능한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수신부(110), 영상처리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사용자입력부(140), 통신부(150), 저장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영상수신부(110)는 외부로부터 영상신호(컨텐츠)를 수신하여 영상처리부(120)로 전달한다. 수신되는 신호의 규격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수신부(110)는 방송국(미도시)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 등에 의한 영상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수신부(110)는 영상신호가 방송신호인 경우, 이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기 위한 튜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는 외부장치(200)를 포함한 다양한 주변기기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후술하는 통신부(150)를 통해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는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의 저장부(160)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저장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외부에 마련되는 경우 저장부(160)가 연결되는 연결부(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20)는 영상수신부(110)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음성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생성 또는 결합한 출력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30)에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영상처리부(120)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도록 디코드하는 디코더(decoder),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0)의 출력규격에 맞도록 조절하는 스케일러(scaler)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디코더는 예를 들어, 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디코더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영상처리부(12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바, 예를 들면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방송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라인 스캐닝(line scanning) 다양한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 구성의 그룹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메인 SoC(System-on-Chip)에 포함되는 형태로서 구현 가능하다. 메인 SoC는 후술하는 제어부(170)를 구현하는 일례인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CPU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칩셋, 메모리, 전자부품, 배선 등의 회로 구성이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실장된 영상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에는 영상수신부(110), 영상처리부(120) 및 제어부(170)가 단일의 영상보드에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일례에 불과하고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부(130)로 출력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처리부(120)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구동부)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4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기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사용자입력부(1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본체에 마련된 전원키, 숫자키, 메뉴키 등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또는 입력패널)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입력부(1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게 기설정된 커맨드/데이터/정보/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하는 입력장치를 포함한다. 입력장치는 리모컨(remote control), 키보드(keyboard), 마우스 등의 디스플레이장치(100) 본체와 이격 분리되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리모컨에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감지부 및/또는 사용자에 의한 자체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입력장치는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폰과 같은 단말장치를 포함하며, 이 경우 터치스크린을 통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수신 가능하다.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본체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외부장치가 되며,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RF 통신, 무선랜,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입력부(140)는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사운드를 수신하는 음성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입력부는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입력 등에 의해 발생되는 소정 이벤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연결된 또는 연결 가능한 외부장치(200)가 예를 들어, 방사형 등으로 도식화된 UI가 표시된다. 표시되는 UI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200)에 대응하는 복수의 항목들을 포함하고, 사용자는 이 항목들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통해 소정 항목의 외부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연결 또는 기존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또한, UI는 그 대응되는 항목들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연결된 외부장치와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가 구분되도록 표시하며, 외부장치(200)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표시한다.
통신부(150)는 사용자입력부(140)로서 마련되는 입력장치를 포함한 다양한 외부장치와 유선 혹은 무선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통신 가능하게 마련된다. 통신부(150)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50) 는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ban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모듈은 AP(access point)없이 무선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외부장치(200) 사이에 다이렉트로 통신을 지원하도록 마련된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50)는 무선랜유닛을 포함한다. 무선랜유닛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AP를 통해 무선으로 외부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유닛은 와이파이(Wi-Fi)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50)는 이더넷(Ethernet) 등과 같은 유선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50)는 LTE와 같은 이동통신, 자기장을 포함하는 EM 통신, 가시광통신, 음파통신 등의 다양한 통신방식에 의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통신부(150)는 성능에 따라 근거리 통신모듈, 무선랜유닛, 유선통신모듈, 이동통신모듈, EM 통신모듈, 가시광통신모듈, 음파통신모듈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통신부(150)를 통해 외부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외부장치(300)와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저장부(160)에는 통신 대상 기기에 대한 식별정보(예를 들어, MAC address각 또는 IP address)가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복수의 외부장치들간의 통신을 위한 중계기 이른바, AP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160)에는 외부장치들 각각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MAC address 또는 IP address)가 저장 및 관리되며, 저장된 식별정보는 그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다른 외부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저장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데이터들이 남아있어야 하며, 변동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writable ROM)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저장부(160)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EPROM 또는 EEPROM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읽기 또는 쓰기 속도가 비휘발성 메모리에 비해 빠른 DRAM 또는 S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16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이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6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제공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UI, UI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들,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160)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통신이력에 대한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통신이력 정보는 연결된 외부장치의 정보를 포함한다. 연결된 외부장치는 현재 통신부(150)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있는 외부장치뿐 아니라 이전에 한번 이상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연결된 바 있는 외부장치를 포함한다. 즉, 저장부(160)에는 연결된 외부장치(200)의 정보를 등록장치 정보로서 저장된다.
저장부(160)에 저장되는 등록장치 정보는 해당 외부장치의 식별정보(Mac address 등), 사용자계정정보, 모델명, 연결된 일시 및/또는 횟수, 주로 사용되는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저장부 라는 용어는 저장부(160), 제어부(170) 내 롬(ROM)(도시되지 아니함), 램(RAM)(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장착 가능한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정의된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170)는 이러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혹은 인스트럭션)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복수의 프로세서,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및 슬립 모드(sleep mode, 예를 들어, 대기 전원만 공급되고 디스플레이장치로서 동작하지 않는)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롬 및 램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모니터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GPU(Graphic Processing Unit, 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디지털 TV로 구현되는 경우, 프로세서가 GPU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코어(core)와 GPU가 결합된 SoC(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70)를 구현하는 일례인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내장되는 PCB 상에 실장되는 메인 SoC(Main SoC)에 포함되는 형태로서 구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메인 SoC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조 시에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100)로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외부 서버는, 본 발명의 컴퓨터프로그램제품의 일례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통신부(150)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와 연결 가능한 외부장치를 검색하고, 그 연결된 외부장치 및 연결 가능한 외부장치가 구분된 UI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연결 가능한 외부장치는, 현재 및 과거 이력에서도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로서 검색을 통해 발견된 새로운 장치가 된다.
제어부(170)는, 소정 이벤트(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외부장치와 관계된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입력, 네트워크 상태의 변경, 연결 가능한 새로운 장치의 발견 등)의 발생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응하는 제1 항목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제2 항목을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제2 항목의 외부장치는 연결된 외부장치와 연결되지는 않았으나 검색된 외부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면, 그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외부장치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연결 또는 연결을 해제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식별정보(MAC address)를 연결하고자 하는 외부장치로 송신하고, 해당 외부장치로부터 그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함으로써, 상호간의 연결설정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연결설정 과정에는 패스워드 입력, 인증서 교환과 같은 보안인증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와 같은 제어부(170)의 동작은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별도로 마련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미도시)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컴퓨터프로그램제품은 컴퓨터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인스트럭션이 저장된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인스트럭션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200)를 도식화한 UI를 표시하고, 표시된 UI에 대한 사용자입력에 응답하여 소정 외부장치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별도의 컴퓨터프로그램제품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및 실행하여, 제어부(17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외부장치(200)의 연결상태를 표시하고, 사용자입력에 따라 외부장치를 연결 또는 연결을 해제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장치와 관계된 소정 이벤트를 감지한다(301). 이벤트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발생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벤트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외부장치와 관계된 메뉴 즉, 외부입력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입력,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네트워크 상태변경, 연결 가능한 새로운 외부장치의 발견, 그 외 사용자, 제조사, 방송서비스 제공자 등에 의해 설정된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부(160)는 단계 301의 이벤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응하는 제1 항목과 외부장치(200)에 대응하는 제2 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302). 여기서, 제어부(160)는 통신부(150)를 통한 가장 최근의 외부부장치(200)와의 연결상황을 UI로서 표시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UI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응하는 제1 항목(401)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200)에 대응하는 제2 항목(411, 412, 413)을 포함한다.
UI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된 외부장치인 태블릿 A와 스마트폰 A에 대응하는 제2 항목(411, 412)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인 스마트폰 B에 대응하는 제2 항목(413)을 구분되게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 외부장치인 태블릿 A와 스마트폰 A에 대응하는 제2 항목(411, 412)은 제1 항목(401)과 선으로 연결되게 표시되며,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인 스마트폰 B에 대응하는 제2 항목(413)은 제1 항목(401)간에는 연결선이 없다.
또한, UI는 연결된 외부장치의 제2 항목을 표시하는데 있어, 대응되는 외부장치가 현재 연결되어 있는지, 또는 이전에 연결되었던 것인지를 구분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연결되어 있는 외부장치인 태블릿 A에 대응하는 제2 항목(411)은 제1 항목(401)과 실선으로 연결되게 표시되며, 이전에 연결되었던 외부장치인 스마트폰 A에 대응하는 제2 항목(412)는 제1 항목(401)과 점선으로 연결되게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실선과 점선은 예를 들어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현재 연결되어 있는 외부장치와 이전에 연결되었던 외부장치를 다양한 방식으로 구분되게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의 실시예에서도, 도 4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UI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응하는 제1 항목(501)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200)에 대응하는 제2 항목(511, 512, 513)을 포함한다.
UI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된 외부장치인 태블릿 A와 스마트폰 A에 대응하는 제2 항목(511, 513)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인 노트북에 대응하는 제2 항목(514)을 구분되게 표시한다. 또한, UI는 현재 연결되어 있는 외부장치인 태블릿 A에 대응하는 제2 항목(511)은 제1 항목(501)과 실선으로 연결되게 표시되며, 이전에 연결되었던 외부장치인 스마트폰 A에 대응하는 제2 항목(513)는 제1 항목(501)과 점선으로 연결되게 표시함으로써, 현재 연결되어 있는 장치와 이전에 연결되었던 장치를 구분하여 표시한다.
제어부(170)는 상기와 같이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외부장치가 통신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연결 또는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소정 제2 항목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303).
단계 303에서의 사용자입력에 응답하여, 제어부(170)는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외부장치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연결된 장치인지 여부를 결정한다(304).
단계 304에서 연결된 장치가 아닌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70)는 해당 외부장치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연결하도록 제어한다(305).
단계 304에서 연결된 장치인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70)는 해당 외부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제어한다(306).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제2 항목(411, 412, 413) 중에서 어느 하나(413)를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선택된 항목(413)을 포인터 또는 커서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30) 상에서 식별 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선택된 항목(413)에 대응하는 외부장치가 연결된 장치인지 또는 연결되지 않은 장치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결정결과, 선택된 항목(413)의 외부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장치인 경우, 제어부(170)는 해당 항목(413)에 대응하는 외부장치인 스마트폰 B가 통신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제2 항목(413)의 선택 후 사용자입력부(140)로서 마련된 리모컨에 대한 소정 키에 대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면, 해당 항목의 외부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연결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선택된 항목(413)의 장치의 연결여부에 대한 사용자선택을 수신 가능한 메시지(421)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고, 표시된 메시지(421)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해당 항목(413)의 외부장치가 통신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연결요청을 나타내는 패킷을 해당 항목(413)의 외부장치인 스마트폰 B로 송신하고, 스마트폰 B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응답을 나타내는 패킷을 수신한다. 수신되는 응답은 스마트폰 B에서의 사용자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스마트폰 B로부터 응답 패킷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스마트폰 B간의 연결설정을 완료한다. 또한, 연결설정 과정은 패스워드 입력, 인증서 송수신과 같은 보안인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스마트폰 B로부터 수신된 인증서를 통한 보안인증을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선택된 항목(413)에 대응하는 외부장치 간의 연결설정이 완료되면, 이를 반영하여 해당 항목(413)이 제1 항목(401)과 연결되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제2 항목(511, 513, 514) 중에서 어느 하나(511)를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선택된 항목(413)을 포인터 또는 커서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30) 상에서 식별 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선택된 항목(511)에 대응하는 외부장치가 연결된 장치인지 또는 연결되지 않은 장치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제2 항목(511)의 선택 후 사용자입력부(140)로서 마련된 리모컨에 대한 소정 키에 대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면, 해당 항목의 외부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연결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결과, 선택된 항목(511)의 외부장치가 연결된 장치인 경우, 제어부(170)는 해당 항목(511)에 대응하는 외부장치인 태블릿 B와 디스플레이장치(100) 간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한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새로운 태블릿 B를 사용하고, 기존의 태블릿 A는 더 이상 사용하고자 하는 의사가 없을 경우, 해당 항목(521)에 대한 연결을 해제하도록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선택된 항목(511)의 장치의 연결여부에 대한 사용자선택을 수신 가능한 메시지(521)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고, 표시된 메시지(521)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해당 항목(511)의 외부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100) 간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170)는 태블릿 A의 연결을 위한 정보를 저장부(160)로부터 삭제한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연결해제를 요청하는 패킷을 해당 항목(511)의 외부장치인 태블릿 A로 송신하고, 태블릿 A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응답을 나타내는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태블릿 A에서는 수신된 연결해제 요청에 따른 사용자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0)와의 연결을 위한 정보가 삭제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선택된 항목(511)에 대응하는 외부장치 간의 연결해제가 완료되면, 이를 반영하여 해당 항목(511)과 제1 항목(401)의 연결선이 삭제되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이후 추가적인 외부장치의 연결 또는 연결해제가 발생하지 않으면, 다음 번 단계 301의 이벤트 수신 시 표시되는 UI는 도 4 및 도 5에서 연결 및 연결해제가 반영된 UI가 된다.
한편, 단계 302에서 표시되는 UI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200)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제2 항목의 모양, 색상 또는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대응되는 외부장치의 종류, 모델명 또는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 가능하도록 UI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제2 항목의 텍스트를 통해 외부장치의 종류를 나타내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동일한 종류의 외부장치가 복수인 경우, 도 4 및 도 5의 스마트폰 A와 스마트폰 B 또는 태블릿 A와 태블릿 B와 같이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UI는 동일한 종류의 외부장치에 대해 사용자, 모델명 등으로,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UI는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제2 항목의 모양 또는 색상에 의해 그 외부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블릿 A와 태블릿 B의 항목은 태블릿 모양의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두 장치는 색상에 의해 서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된 UI는 외부장치(200)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는 네트워크 상태정보, 위치정보, 안내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블릿 A의 네트워크 연결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대응하는 제2 항목(611)에 그 네트워크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메시지(631)를 추가하여 표시할 있다. 셋탑과 같이 네트워크 연결상태가 안정적인 경우, 그에 대응하는 제2 항목에는 연결상태가 양호함을 나타내는 메시지(632)를 추가하여 표시한다.
제어부(170)는, 도 6과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외부장치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메시지(634)를 추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위치정보는 거리, 방향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거리정보는 통신부(150)의 수신감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에 의해 추정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에서는 수신감도의 측정이 가능하며, 제어부(170)는 이 측정된 수치를 거리로 환산하여 표현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의 거리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위치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마련된 센서, 카메라 등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외부장치의 위치를 공간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주위환경을 촬상하고, 촬상된 영상을 통해 각 외부장치의 위치를 위치를 파악하여, 그 파악된 위치에 해당하는 외부장치를 위치되게 표시하는 실시예도 구현 가능할 것이다.
안내정보는 예를 들면, 연결되었으나 현재 사용 중이 아닌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제2 항목(612)에 표시되는 메시지(633)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외부장치 즉, 3D 안경을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안내 메시지(633)를 확인하고, 해당 외부장치의 전원을 온 하고, TV 근처에 위치시킴으로써 즉시 사용이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UI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연결정보를 메시지(621)에 의해 더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메시지(621)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와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의 개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메시지들(631, 632, 633, 634) 중 적어도 하나를 UI로서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UI를 통해 표시되는 상태정보는 연결된 외부장치의 사용이력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는 연결된 외부장치들 중 사용빈도가 높은 장치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추가하거나, 또는 가장 최근에 사용된 외부장치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추가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빈도가 높은 장치의 소정 기간, 예를 들어 최근 1개월 간 사용횟수를 표시하거나, 가장 최근의 사용시기에 대한 정보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이렇게 표시된 UI를 통해 주로 사용하는 외부장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로부터 소정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제2 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70)는 대응되는 외부장치의 메뉴로 바로 진입하여, 사용자가 그 외부장치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서 사용자가 태블릿 A에 대응하는 제2 항목(411)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해당 기기의 사용모드로 진입하여 태블릿 A에서 표시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표시하는 미러링 기능을 바로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해당 기능에 대해 기설정된 밝기, 음량 등으로 설정을 세팅하여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4에서 사용자가 셋탑에 대응하는 제2 항목을 선택하면 사용자의 선호채널 목록이 표시될 수 있으며, 게임기에 대응하는 제2 항목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거나 최근에 이용한 게임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UI는 복수의 외부장치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제2 항목을, 복수의 외부장치 상호간 연결 여부가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장치 셋탑과 태블릿 A가 상호 연결된 경우, 해당 장치들 각각에 대응하는 제2 항목(711, 721)가 선(721)에 의해 연결되게 표시됨으로써, 복수의 외부장치 상호 간 연결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양 장치가 연결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722)가 추가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복수의 제2 항목 중에서 2 이상의 제2 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면, 대응되는 2 이상의 외부장치 간을 상호 연결하거나, 상호간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과 같이, 사용자가 셋탑에 대응하는 제2 항목(711)과 스마트폰 B에 대응하는 제2 항목(713)을 모두 선택하면, 제어부(170)는 선택된 두 항목(711,713)을 포인터 또는 커서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30) 상에서 식별 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선택된 두 장치의 상호 연결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731)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고, 표시된 메시지(731)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양 장치가 상호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두 장치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셋탑의 식별정보(MAC address)를 다른 하나의 외부장치 즉, 스마트폰 B로 송신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통신부(150)를 통해 스마트폰 B로부터 식별정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제어부(170)는 스마트폰 B의 식별정보(MAC address)를 통신부(150)를 셋탑으로 송신함으로써 양 장치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170)가 두 장치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셋탑의 식별정보를 다른 하나의 외부장치 즉, 스마트폰 B로 송신하면, 스마트폰 B가 셋탑으로 직접 연결요청 패킷을 송신한다. 셋탑에서 연결요청에 대한 응답을 자신의 식별정보와 함께 스마트폰 B로 송신하면, 양 장치간의 연결설정이 이루어진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170)가 양 장치에 동시에 상대방 장치의 식별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양 장치에서 동시에 연결요청을 발송하는 경우 충돌에 의한 연결 지연 가능성이 있으므로, 연결요청을 먼저 발송하는 호스트를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시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외부장치 간의 연결하는 연결설정 과정에서도 패스워드 입력, 인증서 송수신과 같은 보안인증이 포함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도 7에서, 사용자가 노트북에 대응하는 제2 항목(714)와 게임기에 대응하는 제2 항목(745)을 모두 선택하면, 제어부(170)는 양 장치간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의 실시예는, 외부장치와 관계된 UI로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제2 항목을 표시하는데 있어, 연결된 외부장치의 제2 항목과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의 제2 항목의 서로 다른 위치에 표시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표시되는 UI를 제외하면,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일 실시예의 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부(170)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UI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의 연결상태를 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통신 연결은 무선 네트워크에 한정되지 않는 바, 무선 네트워크뿐 아니라, 이더넷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 또는 HDMI와 같은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되는 외부장치도 도 8 내지 도 10의 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그 연결상태를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연결된 외부장치의 제2 항목을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 항목에 인접되게 표시하며,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의 제2 항목은 그 보다 이격된 위치에 표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UI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응하는 제1 항목(801)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200)에 대응하는 제2 항목(811, 812, 813)을 포함한다.
도 8의 UI에서, 연결된 외부장치인 셋탑과 스마트폰 A에 대응하는 제2 항목(811, 812)는 제1 항목(801)을 중심으로 연결 및 인접되게 표시되며,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인 태블릿 B에 대응하는 제2 항목(813)은 제1 항목(801)으로부터 이격되어, 별도의 리스트 즉, 목록으로서 표시된다. 그에 따라, 연결된 장치와 연결되지 않은 장치의 구분이 좀더 용이하며, 사용자가 연결된 외부장치의 개수를 한눈에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도 8과 같은 UI를 표시하기 위해 통신부(150)에서 지원되는 무선 네트워크 채널을 스캔하고, 그에 따른 연결상태를 도식화하여 표시하게 된다. 사용자는 UI를 확인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 점유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UI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 외부장치의 제2 항목을 표시하는데 있어, 대응되는 외부장치가 현재 연결되어 있는지, 또는 이전에 연결되었던 것인지를 선의 색상, 형태 등에 의해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연결된 장치의 전원상태를 온(ON) 또는 오프(OFF)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네트워크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메시지(822)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UI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 즉 연결 가능한 외부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메시지(8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는 거리정보를 포함하며, 이렇게 연결 가능한 외부장치의 거리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외부장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위치정보를 아는 방식은 앞서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일 실시예에서,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도 3의 단계 303에서 설명한 제2 항목에 대한 사용자입력으로서, 사용자입력부(140)를 통해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인 태블릿 B의 제2 항목(813)을 제1 항목(801)에 접근되게 이동시키는 사용자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이 사용자입력에 응답하여, 이동된 제2 항목(813)의 외부장치 즉, 태블릿 B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연결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항목(813)을 제1 항목(801)에 접근되게 이동시키는 사용자입력은 드래그 또는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3의 단계 303에서 설명한 제2 항목에 대한 사용자입력으로서, 사용자입력부(140)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예를 들어 스마트폰 A)의 제2 항목(812)을 제1 항목(801)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사용자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이 사용자입력에 응답하여, 이동된 제2 항목의 외부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항목(801)으로부터 멀어지지는 위치는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의 제2 항목(813)의 목록일 수 있으며, 그 이동시키는 사용자입력은 드래그 또는 드래그 앤 드롭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도 3의 단계 303에서 설명한 제2 항목에 대한 사용자입력으로서, 사용자입력부(140)를 통해 수신되는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인 태블릿 B의 제2 항목(813)을 선택한 상태에서, 연결버튼(931)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을 더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연결버튼(931)의 선택에 응답하여 그 선택된 외부장치 즉, 태블릿 B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연결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3의 단계 303에서 설명한 제2 항목에 대한 사용자입력으로서, 사용자입력부(140)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예를 들어 스마트폰 A)의 제2 항목(912)을 선택한 상태에서, 해제버튼(932)를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을 더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해제버튼(932)의 선택에 응답하여, 그 선택된 외부장치 즉, 스마트폰 A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50)를 통한 외부장치의 연결설정 또는 연결해제의 과정은 앞서 도 4 내지 도 6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의 제2 항목을 연결된 외부장치의 제2 항목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연결된 외부장치의 제2 항목을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의 제2 항목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하고 동시에 연결된 외부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와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인 태블릿 B의 제2 항목(1013)을 연결된 외부장치인 게임기의 제2 항목(1012)의 위치로 이동하는 사용자입력(예를 들어, 드래그 앤 드롭)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0과 같은 드래그 앤 드롭에 응답하여, 제어부(170)는 두 항목(1012, 1013)의 위치가 상호 교환되어 디스플레이부(130) 상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면서, 연결되지 않은 장치인 태블릿 B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연결되고 연결된 장치인 게임기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두 항목(1012, 1013)의 위치교환 여부 또는 연결/연결해제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고, 표시된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0)와 해당 외부장치의 연결 및 연결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통신부(150)를 통한 외부장치의 연결설정 또는 연결해제의 과정은 앞서 도 4 내지 도 6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같은 방식으로, 제어부(170)는, 도 10에서, 연결된 외부장치인 게임기의 제2 항목(1012)을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인 태블릿 B의 제2 항목(1013)의 위치로 이동하는 사용자입력(예를 들어, 드래그 앤 드롭)을 수신할 수 있으며, 그에 응답하여, 제어부(170)는 두 항목(1012, 1013)의 위치가 상호 교환되어 디스플레이부(130) 상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면서, 연결되지 않은 장치인 태블릿 B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연결되고 연결된 장치인 게임기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30) 상에 표시된 2개의 제2 항목(1012, 1013)의 UI 위치를 상호 교환하는 간편한 사용자입력으로, 대응되는 외부장치들을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연결 혹은 그 연결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도 4 내지 도 7의 실시예와 도 8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연결된) 외부장치(200)의 관계를 방사형으로 도식화된 UI로 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외부장치(200)의 연결관계를 디스플레이장치, 즉 TV를 중심으로 한눈에 확인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것이므로, 그 UI의 형태가 방사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는 복수의 외부장치(200)에 대응하는 오브젝트 즉, 제2 항목(1111, 1112)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응하는 제1 항목(1101)를 중심으로 하는 하나의 원(1102)을 따라 배치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물론, 도 11의 원(1102)을 이용한 형태 또한 일례로서, 디스플레이부(130) 상에 사용자가 외부장치(200)의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UI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연결된 외부장치(200)의 상태정보를 아이콘(1121, 1122) 또는 텍스트(1123)로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아이콘(1121)을 통해 해당 항목(1111)의 외부장치인 태블릿 A의 네트워크 연결상태가 좋지 않으며, 아이콘(1122)를 통해 해당 항목(1112)의 외부장치의 셋탑의 네트워크 연결상태는 좋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1123)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들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네트워크 연결상태가 good 또는 bad와 같은 텍스트로서 표시되는 경우도 본 발명의 UI에 포함된다.
또한, UI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 즉 연결 가능한 외부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메시지(1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는 거리정보를 포함하며, 이렇게 연결 가능한 외부장치의 거리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외부장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위치정보를 아는 방식은 앞서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일 실시예에서,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도 3의 단계 303에서 설명한 제2 항목에 대한 사용자입력으로서, 사용자입력부(140)를 통해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인 태블릿 B의 제2 항목(1113)을 제1 항목(1101)에 접근되게, 즉, 원(1102)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사용자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이 사용자입력에 응답하여, 이동된 제2 항목(1113)의 외부장치 즉, 태블릿 B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연결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항목(1113)을 제1 항목(1101)을 중심으로 하는 원(1102)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사용자입력은 드래그 또는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을 포함한다. 통신부(150)를 통한 외부장치의 연결설정의 과정은 앞서 도 4 내지 도 6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2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의 실시예에서는, 소정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제2 항목을 이동시키는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해당 항목의 외부장치를 디스플레이장치(100) 또는 다른 외부장치와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장치와 관계된 소정 이벤트를 감지한다(1201). 이벤트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발생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벤트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외부장치와 관계된 메뉴 즉, 외부입력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입력,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네트워크 상태변경, 연결 가능한 새로운 외부장치의 발견, 그 외 사용자, 제조사, 방송서비스 제공자 등에 의해 설정된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부(160)는 단계 1201의 이벤트에 응답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응하는 제1 항목(1301)과 외부장치(200)에 대응하는 제2 항목(1311, 1312, 1313)을 포함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1202).
UI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된 외부장치인 셋탑과 스마트폰 A에 대응하는 제2 항목(1311, 1312)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인 스마트폰 B에 대응하는 제2 항목(1313)을 구분되게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3과 같이, 연결된 외부장치인 셋탑과 스마트폰 A에 대응하는 제2 항목(1311, 1312)은 제1 항목(401)에 인접되게 표시되며,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인 스마트폰 B에 대응하는 제2 항목(1313)은 연결된 장치의 항목보다 제1 항목(1301)로부터 멀리 이격된 위치에 표시된다. 연결된 외부장치의 제2 항목(1311, 1312)가 제1 항목(1101)으로부터 방사형으로 표현되는 것은 본 발명 UI의 일례가 된다. UI는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의 상태정보로서, 거리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1323) 등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UI는 연결된 외부장치의 제2 항목을 표시하는데 있어, 대응되는 외부장치가 현재 연결되어 있는지, 또는 이전에 연결되었던 것인지를 구분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연결되어 있는 외부장치인 셋탑에 대응하는 제2 항목(1311)은 제1 항목(1301)과 실선으로 연결되게 표시되며, 이전에 연결되었던 외부장치인 스마트폰 A에 대응하는 제2 항목(1312)는 제1 항목(1301)과 점선으로 연결되게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실선과 점선은 예를 들어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현재 연결되어 있는 외부장치와 이전에 연결되었던 외부장치를 다양한 방식으로 구분되게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연결되지 않은 제1 외부장치인 스마트폰 B에 대응하는 제2 항목(1313)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1203). 여기서, 수신되는 사용자입력은 제2 항목(1313)을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또는 드래그 앤 드롭인 것을 일례로 한다.
단계 1203에서의 사용자입력에 응답하여, 제어부(170)는 선택된 항목(1313)이 이동되는 위치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응하는 제1 항목(1301)의 위치인지를 결정한다(1204).
단계 1204의 결정결과 선택된 제2 항목(1313)이 제1 항목(1301)의 위치로 이동 즉, 드래그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제2 항목(1313)에 대응하는 제1 외부장치 즉, 스마트폰 B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연결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한다. 이 드래그입력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와의 연결설정은 도 8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단계 1204의 결정결과 선택된 제2 항목(1313)이 제1 항목(1301)의 위치로 이동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70)는 해당 항목(1313)이 이동되는 위치가 다른 외부장치 즉, 제2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제2 항목(1311)의 위치인지를 결정한다(1206). 도 13은 제2 외부장치가 셋탑박스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다.
단계 1206의 결정결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제2 항목(1313)이 제2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제2 항목(1311)의 위치로 이동 즉, 드래그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제2 항목(1313)에 대응하는 제1 외부장치 즉, 스마트폰 B와 제2 항목(1311)에 대응하는 제2 외부장치 즉, 셋탑박스가 상호 연결되도록 제어한다(1207).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연결된 외부장치인 셋탑과 연결되지 않은(즉, 연결 가능한) 외부장치인 스마트폰 B가 상호 연결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외부장치 간의 연결설정은 도 7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어부(170)는 제1 및 제2 외부장치 간의 연결이 완료되면, 이를 반영하여 양 장치에 대응하는 제2 항목(1313)의 위치가 이동되어, 2개의 제2 항목(1311, 1322)가 서로 연결되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의 표시를 갱신한다.
사용자는 단계 1206의 결정결과 선택된 제2 항목(1323)이 제2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제2 항목(1301)의 위치로도 이동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70)는 단계 1203에서 선택된 제2 항목(1313)의 제1 외부장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표시한다(1208). 여기서, 표시되는 정보는 제1 외부장치의 위치정보, 종류, 모델명, 사용자, 주요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207에서는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의 제2 항목을 연결된 외부장치의 제2 항목 측으로 이동시켜, 외부장치 간 연결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외부장치 간 연결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연결된 장치의 외부장치의 제2 항목을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의 제2 항목 측으로 이동 즉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외부장치 간 연결이 이루어지는 실시예도 본 발명에서 구현 가능하며, 드래그 입력이 아닌 UI에 대한 다른 다양한 방식의 사용자입력에 의해 외부장치 간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 13에 도시된 화면에서 사용자가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폰 B에 대응하는 제2 항목(1313)을 선택 즉, 클릭하는 경우, 해당 외부장치(스마트폰 B)와 연결 가능한 외부장치와 연결 불가능한 외부장치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연결된 장치 중 셋탑은 스마트폰 B와 연결 가능하나, 스마트폰 A는 스마트폰 B와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 셋탑에 대응하는 제2 항목(1311)는 선명하게 표시되고 스마트폰 A에 대응하는 제2 항목(1312)는 그레이와 같이 톤 다운된 컬러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항목(1311, 1312)를 톤 다운된 컬러에 의해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은 일례로서 두 항목(1311, 1312)은 형상, 애니메이션 효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분하여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 13에서 외부장치들 즉, 셋탑과 스마트폰 B가 연결되는 경우, 두 장치를 연결 시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서비스, 예를 들면 음악 또는 동영상의 재생, 통화, 데이터 전송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UI를 사용자에게 더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예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장치(101)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300) 외에 허브장치(102)를 더 포함하며, 디스플레이장치(101)가 허브장치(102)를 통해 외부장치(300)와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점에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도 1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며,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에 도시된 허브장치(102)는 디스플레이장치(101)와 연결된다. 도 14는 디스플레이장치(101)와 허브장치(102)가 유선으로 연결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허브장치(102)는 디스플레이장치(101)에 무선통신에 의해 접속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2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통신부(150), 저장부(160) 및 제어부(170)의 각 동작들을 수행하는 대응 구성들이 허브장치(102)에 마련된다. 즉, 전술한 일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화면에 UI를 표시하고, 표시된 UI에 대한 사용자선택에 따른 다양한 동작들은 허브장치(102) 내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며, 이러한 동작들의 수행을 위해 디스플레이장치(101)와 허브장치(102) 간에 데이터송수신이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장치(101)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UI가 표시되며, 표시된 UI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허브장치(102)에 의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허브장치(102)는 외부장치와 관계된 소정 이벤트를 감지하면, 자신의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와 연결 가능한 외부장치를 검색하고, 그 연결된 외부장치 및 연결 가능한 외부장치가 구분된 UI가 디스플레이장치(101)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벤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입력 또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발생 가능하며, 허브장치(102)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1)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표시되는 UI는 디스플레이장치(101)에 대응하는 제1 항목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제2 항목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 14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101)가 모든 외부와의 통신동작을 허브장치(102)를 통해 수행하므로, UI 상에서는 제1 항목이 디스플레이장치(101)인 것으로 표시되더라도, 이는 실질적으로 허브장치(102)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허브장치(10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면, 그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외부장치가 허브장치(102)에 연결 또는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허브장치(102)가 통신부로서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허브장치(102)는 자신의 식별정보(MAC address)를 연결하고자 하는 외부장치로 송신하고, 해당 외부장치로부터 그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함으로써, 상호간의 연결설정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연결설정 과정에는 패스워드 입력, 인증서 교환과 같은 보안인증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4의 허브장치(102)는 그 자신의 저장부에 외부장치(200)와의 통신을 위한 정보가 저장되게 구현된다. 허브장치(102)에는 통신이력에 대한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통신이력 정보는 연결된 외부장치의 정보를 포함한다. 연결된 외부장치는 현재 허브장치(102)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있는 외부장치뿐 아니라 이전에 한번 이상 허브장치(102)에 연결된 바 있는 외부장치를 포함한다. 즉, 허브장치(102)는 현재 및 과거에 연결된 외부장치(200)의 정보를 등록장치 정보로서 저장한다. 허브장치(102)에 저장되는 등록장치 정보는 해당 외부장치의 식별정보(Mac address 등), 사용자계정정보, 모델명, 연결된 일시 및/또는 횟수, 주로 사용되는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허브장치(102)는 복수의 외부장치들간의 통신을 위한 중계기 이른바, AP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허브장치(102) 내에 마련된 저장부에는 외부장치들 각각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MAC address 또는 IP address)가 저장 및 관리되며, 저장된 식별정보는 그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다른 외부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14의 실시예에서도 외부장치들 간의 연결이 허브장치(102)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연결된 외부장치와,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를 네트워크의 중심이 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중심으로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하며, 간단한 사용자입력에 의해 외부장치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 또는 연결해제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외부장치간의 연결 또는 연결해제까지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영상수신부
120 : 영상처리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사용자입력부 150 : 통신부
160 : 저장부 170 : 제어부
200, 201, 202, 203, 204 : 외부장치

Claims (20)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UI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응하는 제1 항목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제2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된 외부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가 구분되도록 표시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외부장치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 또는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연결된 외부장치의 상기 제2 항목을, 상기 제1 항목에 인접되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의 상기 제2 항목을, 연결된 외부장치의 상기 제2 항목보다 상기 제1항목으로부터 멀리 이격된 위치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의 상기 제2 항목을 상기 제1항목에 접근되게 이동시키는 사용자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된 제2 항목의 외부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연결된 외부장치의 상기 제2 항목을 상기 제1항목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사용자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된 제 2항목의 외부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의 제2 항목을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의 제2 항목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의 제2 항목을 상기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의 제2 항목으로 이동하는 사용자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연결된 외부장치의 상기 제2 항목을, 대응되는 외부장치가 현재 연결되어 있는지, 또는 이전에 연결되었던 것인지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상기 외부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상기 제2 항목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외부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복수의 외부장치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제2 항목을, 상기 복수의 외부장치 상호간 연결 여부가 구분되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복수의 제2 항목 중에서 제1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제2 항목을 제2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제2 항목에 접근되게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외부장치가 상호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및 제2 외부장치가 상호 연결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외부장치의 식별정보가 상기 제2 외부장치로 송신되고, 상기 제2 외부장치의 식별정보가 상기 제1 외부장치로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 관계된 소정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응하는 제1 항목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제2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된 외부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가 구분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외부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 또는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연결된 외부장치의 상기 제2 항목을, 상기 제1 항목에 인접되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의 상기 제2 항목을, 연결된 외부장치의 상기 제2 항목보다 상기 제1항목으로부터 멀리 이격된 위치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의 상기 제2 항목을 상기 제1항목에 접근되게 이동시키는 사용자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된 제2 항목의 외부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된 외부장치의 상기 제2 항목을 상기 제1항목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사용자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된 제 2항목의 외부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의 제2 항목을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의 제2 항목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의 제2 항목을 상기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의 제2 항목으로 이동하는 사용자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연결된 외부장치의 상기 제2 항목을, 대응되는 외부장치가 현재 연결되어 있는지, 또는 이전에 연결되었던 것인지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복수의 외부장치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제2 항목을, 상기 복수의 외부장치 상호간 연결 여부가 구분되도록 표시하며,
    상기 복수의 제2 항목 중에서 제1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제2 항목을 제2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제2 항목에 접근되게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외부장치가 상호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부장치가 상호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외부장치의 식별정보를 상기 제2 외부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제2 외부장치의 식별정보를 상기 제1 외부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0.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독취가능한 비휘발성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 관계된 소정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응하는 제1 항목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제2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된 외부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되지 않은 외부장치가 구분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외부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 또는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매체.
KR1020170170190A 2017-12-12 2017-12-12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KR102417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190A KR102417418B1 (ko) 2017-12-12 2017-12-12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CN201880079789.0A CN111466119A (zh) 2017-12-12 2018-10-24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和记录介质
PCT/KR2018/012668 WO2019117451A1 (ko) 2017-12-12 2018-10-24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EP18887329.3A EP3691283A4 (en) 2017-12-12 2018-10-24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FOR IT AND RECORDING MEDIUM
EP23153406.6A EP4213490A1 (en) 2017-12-12 2018-10-24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US16/765,334 US11503364B2 (en) 2017-12-12 2018-10-24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US17/964,618 US11825153B2 (en) 2017-12-12 2022-10-12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190A KR102417418B1 (ko) 2017-12-12 2017-12-12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870A true KR20190069870A (ko) 2019-06-20
KR102417418B1 KR102417418B1 (ko) 2022-07-07

Family

ID=66819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190A KR102417418B1 (ko) 2017-12-12 2017-12-12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503364B2 (ko)
EP (2) EP4213490A1 (ko)
KR (1) KR102417418B1 (ko)
CN (1) CN111466119A (ko)
WO (1) WO201911745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922A (ko) * 2019-09-05 2021-03-1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셋톱 박스와 리모콘 간의 연결 방법 및 장치
WO2021070976A1 (ko) * 2019-10-07 2021-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스 기기 및 무선 시스템
WO2023282369A1 (ko) * 2021-07-07 2023-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및 그 제어시스템
WO2024101606A1 (ko) * 2022-11-09 2024-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418B1 (ko) 2017-12-12 2022-07-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WO2022061293A1 (en) 2020-09-21 2022-03-24 VIDAA USA, Inc. Display apparatus and signal transmission method for display apparatus
CN112272320B (zh) * 2020-10-20 2022-04-15 Vidaa美国公司 一种显示设备及其重名检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300B1 (ko) * 2008-03-07 201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그 방법
KR101575991B1 (ko) * 2014-12-30 2015-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796B1 (ko) 2009-01-12 2014-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1019154A2 (en) * 2009-08-14 2011-02-17 Lg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device and remot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1749992B1 (ko) * 2009-11-13 2017-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시간 범위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방법
US8447070B1 (en) 2010-04-19 2013-05-21 Amazon Technologies, Inc. Approaches for device location and communication
KR101738527B1 (ko) * 2010-12-07 2017-05-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기기 및 그 제어방법
EP2501143A3 (en) * 2011-03-15 2016-12-2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thereof
US20130107022A1 (en) 2011-10-26 2013-05-02 Sony Corporation 3d user interface for audio video display device such as tv
KR20130048533A (ko) * 2011-11-02 2013-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CN102999251B (zh) * 2012-10-31 2016-02-10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终端和设备连接管理方法
US20150089371A1 (en) 2013-09-25 2015-03-26 WebTuner,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video/audio content and metadata for a broadband television service
KR102238214B1 (ko) * 2014-09-12 2021-04-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200552B1 (en) 2014-09-23 2020-02-1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60035535A (ko) * 2014-09-23 2016-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페어링 방법, 통신 매개 장치,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네트워크 시스템
KR20160041285A (ko) 2014-10-07 2016-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60117076A1 (en) 2014-10-22 2016-04-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240296B1 (en) * 2014-12-26 2023-04-05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571997B2 (ja) * 2015-06-08 2019-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64911B1 (ko) * 2015-08-19 2022-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55295A (ko) * 2015-11-11 2017-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411611B1 (ko) * 2016-01-05 2022-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70091426A (ko) * 2016-02-01 2017-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84135B1 (ko) * 2016-02-15 2023-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17418B1 (ko) 2017-12-12 2022-07-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300B1 (ko) * 2008-03-07 201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그 방법
KR101575991B1 (ko) * 2014-12-30 2015-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922A (ko) * 2019-09-05 2021-03-1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셋톱 박스와 리모콘 간의 연결 방법 및 장치
WO2021070976A1 (ko) * 2019-10-07 2021-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스 기기 및 무선 시스템
US11956495B2 (en) 2019-10-07 2024-04-09 Lg Electronics Inc. Source device and wireless system
WO2023282369A1 (ko) * 2021-07-07 2023-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및 그 제어시스템
WO2024101606A1 (ko) * 2022-11-09 2024-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17451A1 (ko) 2019-06-20
EP4213490A1 (en) 2023-07-19
US20230042014A1 (en) 2023-02-09
EP3691283A1 (en) 2020-08-05
CN111466119A (zh) 2020-07-28
KR102417418B1 (ko) 2022-07-07
EP3691283A4 (en) 2020-08-12
US20200359083A1 (en) 2020-11-12
US11503364B2 (en) 2022-11-15
US11825153B2 (en) 202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9870A (ko)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US922602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432740B2 (en) Enhanced information on mobile device for viewed program and control of internet TV device using mobile device
US8711285B2 (en) Output device, source apparatus, television set, system, output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A2830121C (en) Method and system for coupling a mobile device to an output device
US10560654B2 (en) Display device
US8412839B2 (en) Portable phone remote
US12028570B2 (en) Control device, broadcast receiver, method for controlling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10725732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813753B2 (en) Core device, audio/video control system, portable terminal device, audio/video control program, and audio/video control method
AU2013360531A1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US10327030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616634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a display device
US11956495B2 (en) Source device and wireless system
KR20120022156A (ko) 기기 간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
KR20120017555A (ko) 영상통화 단말기의 전환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통화 단말기
CN115968548A (zh) 显示装置及其动作方法
KR20210000520A (ko) 디스플레이 장치
AU202220484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240073470A1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 system
US20230048793A1 (en)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40236407A9 (en) Display device and system
US20240137604A1 (en) Display device and system
EP3992816A1 (en) Display device
CN116320564A (zh) 显示设备、终端设备和设备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