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276A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Google Patents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9276A
KR20190069276A KR1020180065047A KR20180065047A KR20190069276A KR 20190069276 A KR20190069276 A KR 20190069276A KR 1020180065047 A KR1020180065047 A KR 1020180065047A KR 20180065047 A KR20180065047 A KR 20180065047A KR 20190069276 A KR20190069276 A KR 20190069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circuit
housing
connector
retain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0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30277B1 (en
Inventor
최성욱
Original Assignee
(주)연호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호엠에스 filed Critical (주)연호엠에스
Priority to KR1020180065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277B1/en
Publication of KR20190069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2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2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which is structurally simple. The electric connector assembly comprises: a first connector mounted on a circuit board; and a second connector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ircuit board. The first connector includes: a wafer having a housing accommodation unit formed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and a terminal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nd protrudes to the housing accommodation unit. The second connector includes: a flexible circuit accommodation unit extended downwards from an upper portion; a housing having an opening part on a lower portion thereof to expose a terminal unit of a flexible circuit accommodated in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on unit to bring the terminal unit into contact with the terminal; and a retainer inserted into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on unit to fix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ed in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on unit.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ELECTRICAL CONNECTOR ASSEMBLY}[0001]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0002]

본 발명은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단위(unit)들 사이를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electrical power between a power source and a device, a device and a device, or between internal units of the device.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단윈들 사이를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접속 기구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암·수 커넥터로 대응되게 구성된다.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is a connection mechanism that constitutes an electric circuit by connecting between a power source and a device, a device and a device, or internal windings of the device. Generally, th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are correspondingly configured with female / male connectors so as to be mutually engageable.

수 커넥터의 터미널, 단자핀, 연성 회로 등은 암 커넥터의 터미널에 접속되어 신호를 전달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The terminal, terminal pin, and flexible circuit of the male connector are connected to the terminals of the female connector to transmit signals or supply power.

여기서, 연성 회로(Flexible circuit)는 플렉시블 케이블이라도 불리우며, FFC(Flexible Flat Cable) 타입과 FPC(Flexible Printed Circuit) 타입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즉,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이러한 연성 회로와 기기를 연결시켜 주는데 이용될 수 있다.Here, the flexible circuit is also referred to as a flexible cable, and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n FFC (Flexible Flat Cable) type and an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type. That is, th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may be used to connect such a flexible circuit to the device.

한편, 연성 회로는 수용부에 정확한 위치 및 일정한 방향으로 삽입되어야 한다. 종래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수용부로 연성 회로를 삽입시켜 수용부 내에 배치된 터미널에 연성 회로를 접속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와 연성 회로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기 때문에, 조립 과정에서 연성 회로가 수용부로부터 인출되거나, 정위치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여 터미널과의 접속이 불완전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lexible circuit must be inserted in the correct position and in a certain direction in the receptacle. The conventional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s a structure in which a flexible circuit is inserted into a receiving portion to connect a flexible circuit to a terminal disposed in the receiving portion. As a resul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flexible circuit, so that the flexible circuit is not easily pulled out from the accommodating portion or inserted into the correct position during the assembling process, so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may be incomplete.

종래에는 상기 틈새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있어 왔지만, 그에 상응하여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구조가 복잡해져 제조 공정상 많은 시간과 노력이 투입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Conventionally, efforts have been made to reduce the above-mentioned gap, but the structure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is complicated correspondingly, so that a lot of time and efforts are requir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한편,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접속 기구로서 신호 전달, 전원 공급 등의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전자기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기기 내에서 다른 전자 부품의 장착 공간을 제한하지 않도록 소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needs to be miniaturized so as not to limit the mounting space of other electronic components in electronic devices, for example, display devices, as well as performing signal transmission, power supply, etc. as a connection mechanism.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043918호 (2001.02.16.)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043918 (Feb.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조립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structure of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that is structurally simple and easy to assemble.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연성 회로가 연성 회로 수용부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면서도, 조립 과정 또는 조립 후 연성 회로 수용부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structure that can prevent the flexible circuit from being drawn out from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after assembly process or assembly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more easily .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한 일 예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제1커넥터; 및 상기 회로기판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하우징 수용부를 구비하는 웨이퍼; 및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수용부로 돌출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상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성 회로 수용부와,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수용된 연성 회로의 단자부가 노출되어 상기 터미널과 접촉되도록 하부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수용된 연성 회로를 고정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or mounted on a circuit board; And a second connector configured to be engageable with the first connecto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ircuit board, the first connector including: a wafer having a housing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nd projecting to the housing receiving portion, wherein the second connector includes: a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an upper portion; and a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ed in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A housing having an opening at a bottom so that the terminal portion is exposed and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And a retainer that is inserted into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and fixes the flexible circuit received in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의 좌우 양단부에는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의 내부면으로부터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연성 회로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연성 회로의 상방 인출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upling protrusion is protrud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formed at the end of the flexible circuit So that the flexible circu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rawn upwar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면에는 상기 연성 회로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경사면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까지 연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clined surface for guiding insertion of the flexible circuit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o extend to the latching protrus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걸림턱에 의해 걸린 연성 회로의 인출을 제한하도록 상기 연성 회로의 일면과 상기 걸림턱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ainer may be disposed so as to cover one surface of the flexible circuit and the latching jaw so as to limit the pull-out of the flexible circuit caught by the latching jaw.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연성 회로를 덮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내외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의 좌우 내측벽에 형성되는 리테이너 걸림부에 걸림되는 걸림 후크를 구비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ainer includes: a plate portion disposed to cover the flexible circuit; And a fastening portion protruding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ate portion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inwardly and outwardly and having a retaining hook formed in left and right inner side walls of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리테이너 걸림부는 제1걸림홈과 상기 제1걸림홈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걸림홈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 후크가 상기 제1걸림홈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연성 회로는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걸림 후크가 상기 제2걸림홈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연성 회로는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고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ainer retaining portion includes a first retaining groove and a second retaining groov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retaining groove, wherein when the retaining hook is engaged with the first retaining groove The flexible circuit may be inserted into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flexible circuit may be fixed to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engagement hook is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 후크가 상기 제1걸림홈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걸림 후크가 상기 제2걸림홈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retaining hook is engaged with the first retaining groove, the retainer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when the retaining hook is engaged with the second retaining groove, The retainer may be flush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리테이너의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리테이너에는 상기 가이드 슬롯에 대응되는 가이드 리브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slot extending along a moving direction of the retainer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and a guide rib corresponding to the guide slot may be protruded from the retaine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에는 상방으로 연장되고 일면에 록킹 돌기를 구비하는 탄성암이 형성되고, 상기 웨이퍼에는 상기 록킹 돌기가 걸려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록킹 홈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s formed with an elastic arm extending upwardly and having a locking protrusion on one side thereof, and the wafer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for engaging the locking protrus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암은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the elastic arm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opposite to the one sid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개구부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ortion disposed to face the opening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por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제1접속부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구부의 반대되는 상기 하우징의 타면을 연장되는 제2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extending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opposite to the opening por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may be arranged to cover a lower end portion of the housing received in the housing receiving por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이 상기 웨이퍼의 상면 중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may be arranged to cover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afer.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한 일 변형예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제1커넥터; 및 상기 회로기판을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하우징 수용부를 구비하는 웨이퍼; 및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수용부로 돌출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성 회로 수용부와,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수용된 연성 회로의 단자부가 노출되어 상기 터미널과 접촉되도록 하부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수용된 연성 회로를 고정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variant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connector mounted on a circuit board; And a second connector configured to be able to engage with the first connector in a horizontal direction while being disposed to cover the circuit board, wherein the first connector includes: a wafer having the housing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nd projecting to the housing receiving portion, wherein the second connector includes: a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extended from the front to the back; and a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ed in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A housing having an opening at a bottom so that the terminal portion is exposed and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And a retainer inserted in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and fixing the flexible circuit received in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의 좌우 양단부에는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의 내부면으로부터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연성 회로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연성 회로의 측방 인출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upling protrusion is protrud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formed at the end of the flexible circuit So that lateral extraction of the flexible circuit can be prevent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면에는 상기 연성 회로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경사면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까지 연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clined surface for guiding insertion of the flexible circuit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o extend to the latching protrus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걸림턱에 의해 걸린 연성 회로의 인출을 제한하도록 상기 연성 회로의 일면과 상기 걸림턱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ainer may be disposed so as to cover one surface of the flexible circuit and the latching jaw so as to limit the pull-out of the flexible circuit caught by the latching jaw.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턱은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ching jaw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opening is form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하우징의 측단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may be arranged to cover the side end portion of the housing received in the housing receiving portion.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obtain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solution are as follows.

첫째, 하우징이 웨이퍼에 결합 시, 하우징에 삽입된 연성 회로의 단자부가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어, 웨이퍼의 터미널이 상기 단자부와 접속됨으로써,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간의 전기적 접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First, when the housing is coupled to the wafer, the terminal portion of the flexible circuit inserted in the housing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and the terminal of the wafer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ortion so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can be smoothly performed .

아울러, 하우징의 일단부가 웨이퍼의 하우징 수용부에 수용되고, 하우징의 록킹 돌기가 웨이퍼의 록킹 홈에 걸림으로써,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간의 체결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one end of the housing is housed in the housing receiving portion of the wafer, and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housing is engaged with the locking groove of the wafer, the fastening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can be firmly established.

둘째, 연성 회로가 연성 회로 수용부에 삽입 시, 연성 회로가 하우징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고, 연성 회로의 걸림부가 하우징의 걸림턱에 의해 걸림되며, 리테이너가 하우징 내측으로 이동되며 삽입된 연성 회로의 일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음으로써, 연성 회로가 하우징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예상치 못한 사태(예를 들어, 연성 회로를 잡아 댕기는 경우)에 의해 연성 회로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이 방지될 수 있다.Secondly, when the flexible circuit is inserted into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the flexible circuit is mov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housing, the retaining portion of the flexible circuit is caught by the retaining jaw of the housing, the retainer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By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one surface, the flexible circuit can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more easily, and the flexible circu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ulled out of the housing by an unexpected situation (for example, when the flexible circuit is picked up) .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연성 회로가 하우징에 수용되어 고정됨으로써 제2커넥터의 조립이 마쳐지고, 제2커넥터가 제1커넥터에 수용되고 체결됨으로써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조립이 마쳐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커넥터의 조립 공정이 단계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조립자의 조립 실수가 줄어들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커넥터 간의 조립이 용이하여 제조 공정상 투입되는 시간과 노력이 줄어들 수 있다.Third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ing of the second connector is completed by receiving and fixing the flexible circuit in the housing, and the second connector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connector and fastened, thereby completing assembly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s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connector proceeds stepwise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assembling members of the assembler can be reduced, and the assembl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is easy, so that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the assembling process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가 회로기판에 실장된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분리하여 보인 개념도.
도 3은 제1커넥터의 주요 구성을 분리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제2커넥터의 주요 구성을 분리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연성 회로가 수용된 제2커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커넥터의 개구부가 보이도록 배치해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5의 평면도.
도 8은 하우징과 연성 회로 간의 결합 구조를 상세하게 보인 개념도.
도 9는 하우징과 리테이너 간의 결합 구조를 상세하게 보인 개념도.
도 10의 (a) 내지 (c)는 도 7에 도시된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커넥터 공정을 통하여 연성 회로가 제2커넥터에 조립되는 과정을 보인 개념도.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2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의 변형예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주요 구성들을 분리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circuit board.
FIG. 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shown in FIG. 1 separated; FIG.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structure of the first connector separate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structure of the second connector separated;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connector accommodating a flexible circuit;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ning of the second connector shown in Fig. 5 being seen. Fig.
7 is a plan view of Fig.
8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housing and the flexible circuit;
9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housing and the retainer;
10 (a) to 10 (c)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BB in FIG. 7, showing a process of assembling a flexible circuit to a second connector through a connector process.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shown i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mponents shown in Fig. 12 separated;
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CC shown in Fig. 12; Fig.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의 설명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연성회로(flexible circuit)는 FFC(Flexible Flat Cable) 및 FPC(Flexible Printed Circuit)를 포함하는 총괄적인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A flexible circuit can be understood as a general concept including an FFC (Flexible Flat Cable) and an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10)가 회로기판(1)에 실장된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를 분리하여 보인 개념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circuit board 1. Fig. FIG. 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shown in FIG. 1 separated.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10)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단위들 사이를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10 connects an electric power source, a device, a device and a device, or internal units of the device to constitute an electric circuit.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10)는 제1커넥터(100) 및 제2커넥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10)는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암·수 커넥터로 대응되게 구성된다. 본 도면에서, 제1커넥터(100)는 암 커넥터로, 제2커넥터(200)를 수 커넥터로 이해될 수 있다.Th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10 may include a first connector 100 and a second connector 200. Th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10)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an arm / male connector so as to be mutually engageable. In this figure, the first connector 100 can be understood as a female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as a male connector.

제1커넥터(100)는 회로기판(1)에 장착될 수 있다. 회로기판(1)에는 전자소자(미도시)가 장착되어,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 간의 전기적 연결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회로기판(1)에 발광소자가 장착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을 출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100 may b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 [ An electronic element (not shown)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 and can be configured to be driven by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 and may be configured to output ligh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제2커넥터(200)는 제1커넥터(100)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고, 연성 회로(2)를 수용하여 결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커넥터(200)는 회로기판(1)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1커넥터(100)와 결합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or 20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ngage with the first connector 100 and can be configured to receive and couple the flexible circuit 2. [ Specifically, the second connector 200 can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1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ircuit board 1.

이하에서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10)의 각 구성 간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제1커넥터(100)의 주요 구성을 분리하여 보이고, 제1커넥터(100)와 회로기판(1) 간의 결합 방법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4는 제2커넥터(200)의 주요 구성을 분리하여 보이고, 제2커넥터(200)와 연성 회로(2) 간의 결합 방법을 보인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main structure of the first connector 100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or 100 and showing a coupling metho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circuit board 1.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main structure of the second connector 200 in a separated manner and showing a coupling method between the second connector 200 and the flexible circuit 2. FIG.

도 5는 제2커넥터(200)에 연성 회로(2)가 수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커넥터(200)의 개구부(212)가 보이도록 배치해 보인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5의 평면도이다.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circuit 2 is housed in the second connector 200.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pening 212 of the second connector 200 shown in FIG. Fig. 7 is a plan view of Fig. 5. Fig.

제1커넥터(100)는 회로기판(1) 상에 장착되고, 웨이퍼(110) 및 터미널(120)을 포함한다.A first connector 100 is mounted on a circuit board 1 and includes a wafer 110 and a terminal 120.

웨이퍼(110)는 제1커넥터(100)의 몸체를 이루며,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웨이퍼(110)는 사출 성형, 3D 프린팅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wafer 110 forms the body of the first connector 100 and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wafer 110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3D printing, or the like.

웨이퍼(110)에는 후술할 제2커넥터(200)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수용부(111)가 형성된다. 하우징 수용부(111)는 상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움푹 들어간 리세스된 형태를 가진다.The wafer 110 is formed with a housing receiving portion 111 for housing one end of a second connector 200 to be described later. The housing receiving portion 111 extends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and has a recessed recessed shape.

웨이퍼(110)에는 회로기판(1)의 형성된 보스홀(1a)에 대응하여 제1커넥터(100)를 회로기판(1)의 정위치로 가이드하는 보스(1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웨이퍼(110)가 회로기판(1)의 정위치에 안착되고, 후술할 터미널(120)이 회로기판(1)에 형성된 전기 접속부(1b)에 올바르게 접촉되어 회로기판(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wafer 110 may be provided with a boss 112 for guiding the first connector 100 to the correct position of the circuit board 1 corresponding to the boss hole 1a formed in the circuit board 1. [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wafer 110 is seated in the correct position on the circuit board 1 and the terminal 120 to be described later is proper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lectrical contact 1b formed on the circuit board 1,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웨이퍼(110)의 양측에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후크(113)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후크(113)는 회로기판(1)에 납땜 또는 실장되어 웨이퍼(110)를 회로 기판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Hooks 113 formed of metal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wafer 110, respectively. The hook 113 may be soldered or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 to firmly fix the wafer 110 to the circuit board.

웨이퍼(110)에는 회로기판(1)과 연성회로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터미널(120)이 장착된다. 터미널(120)은 회로기판(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터미널(120)은 웨이퍼(1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좌우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wafer 110 is mounted with a terminal 120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ircuit board 1 and the flexible circuit. The terminal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 The terminals 120 are dispose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wafer 110, and are provided 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ateral direction.

터미널(120)은 웨이퍼(110)에 장착되고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 결합 시 연성 회로(2)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터미널(120)은 웨이퍼(110)에 장착되고, 웨이퍼(110)의 내부로 삽입된 후 단부가 하우징 수용부(111)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terminal 120 is mounted on the wafer 11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exible circuit 2 when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are coupled. Specifically, the terminal 120 is mounted on the wafer 110, inserted into the wafer 110, and installed at an end of the terminal 120 so as to protrude into the housing receiving portion 111.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터미널(120)은 연성 회로(2)의 단자부(2b) 및 회로 기판의 피치(pitch, P)에 대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미널(120)은 0.5mm, 1.0mm, 1.25mm 및 1.5mm 피치 등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도 있다.The terminal 120 may be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portion 2b of the flexible circuit 2 and the pitch P of the circuit board. For example, the terminals 120 may be spaced corresponding to 0.5 mm, 1.0 mm, 1.25 mm, and 1.5 mm pitches or the like.

제2커넥터(200)는 하우징(210) 및 리테이너(220)를 포함한다. The second connector 200 includes a housing 210 and a retainer 220.

하우징(210)은 제2커넥터(200)의 몸체를 이루며,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하우징(210)은 사출 성형, 3D 프린팅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210 forms the body of the second connector 200 and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housing 210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3D printing, or the like.

하우징(210)은 회로기판(1)에 수직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커넥터(100)의 하우징 수용부(111)에 수용되고, 수용된 상태에서 제2커넥터(200)와의 결합을 위한 록킹 돌기(230')를 구비한 탄성암(230)을 구비한다.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housing 210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circuit board 1 and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receiving portion 111 of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locking protrusion 230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connector 200 ').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하우징(210)에는 연성 회로(2)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210)에는 연성 회로(2)를 수용하는 연성 회로 수용부(211)가 형성된다. 연성 회로 수용부(211)는 상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움푹 들어간 리세스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A flexible circuit (2)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210). To this end, a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211 for receiving the flexible circuit 2 is formed in the housing 210.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211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and have a recessed recessed shape.

하우징(210)에는 연성 회로(2)의 단자부(2b)가 터미널(120)과 전기적 접속을 하기 위한, 연성 회로 수용부(211)에 수용된 연성 회로(2)의 단자부(2b) 노출시키는 개구부(212)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 개구부(212)는 하우징 수용부(111)와 연성 회로 수용부(211)를 연통시킨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터미널(120)이 개구부(212)를 통과하여 연성 회로(2)의 단자부(2b)와 접촉됨에 의해, 회로기판(1)이 연성 회로(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terminal portion 2b of the flexible circuit 2 is provided with an opening portion for exposing the terminal portion 2b of the flexible circuit 2 housed in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211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120 212 are formed. In other words, the opening 212 allows the housing accommodating portion 111 and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211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circuit board 1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exible circuit 2 by allowing the terminal 120 to contact the terminal portion 2b of the flexible circuit 2 through the opening 212. [

본 도면에서는 개구부(212)가 하우징(210) 하단부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하우징(210)의 타면 상측에 탄성암(230)이 구비된 것을 보이고 있다.In this figure, the opening 21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210, and the elastic arm 23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210 opposite to the one side.

하우징(210)은 웨이퍼(110)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하우징(210)은 웨이퍼(110)에 지지되도록, 적어도 웨이퍼(110)의 일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하우징(210)의 일단부가 웨이퍼(110)의 내부로 삽입되고, 하우징(210)의 하부면이 웨이퍼(110)의 일면에 안착된 것을 보이고 있다. 하우징(210)과 웨이퍼(110)의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housing 210 is inserted into the wafer 110 and mounted thereon. The housing 210 may be disposed to cover at least one surface of the wafer 110 so as to be supported on the wafer 110. In this figure, one end of the housing 210 is inserted into the wafer 1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210 is seated on one side of the wafer 110.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ing 210 and the wafer 11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리테이너(22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성 회로 수용부(211)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The retainer 22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211.

리테이너(220)의 상부에는 하우징(210)의 상부 일측을 덮도록 걸림돌출부(223)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출부(223)가 하우징(210)의 일측면에 닿았는지, 여부에 따라, 조립자는 연성 회로 수용부(211)에 리테이너(220)가 얼마만큼 수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At the upper portion of the retainer 220, a locking protrusion 223 is formed to cover one side of the top of the housing 210. It is advantageous that the assembler can confirm how much the retainer 220 is accommodated in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211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latch projection 223 touches one side of the housing 210. [

또한, 리테이너(220)의 삽입에 문제(예를 들어, 불완전한 삽입, 마감 불량 등)가 발생하여 재조립이 필요한 경우, 조립자는 걸림돌출부(223)를 파지하고 들어 올림으로써 연성 회로 수용부(211)로부터 리테이너(22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When the reassembly is necessary due to a problem (for example, incomplete insertion, finishing failure, or the like) in inserting the retainer 220, the assembler grips and lifts the engaging protrusion 223,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the retainer 220 from the retainer 220.

리테이너(220)는 연성 회로(2)와 마주하는 연성 회로 수용부(211)의 일측 사이에 개재되어 연성 회로 수용부(211)에 삽입된 연성 회로(2)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리테이너(220)가 연성 회로(2)를 고정하는 상세 구조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The retainer 220 is configured to fix the flexible circuit 2 interposed between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211 and the one side of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211 facing the flexible circuit 2 and inserted into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211. The detailed structure in which the retainer 220 fixes the flexible circuit 2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 하우징(210), 리테이너(220) 및 연성 회로(2) 간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housing 210, the retainer 220 and the flexible circuit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은 하우징(210)과 연성 회로(2) 간의 결합 구조를 상세하게 보인 개념도이다. 도 9는 하우징(210)과 리테이너(220) 간의 결합 구조를 상세하게 보인 개념도이다.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housing 210 and the flexible circuit 2. As shown in FIG. 9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housing 210 and the retainer 220. As shown in FIG.

먼저, 하우징(210)과 연성 회로(2) 간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 살펴본다.First,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housing 210 and the flexible circuit 2 will be described.

하우징(210)은 연성 회로 수용부(211)를 한정하는 내부면을 형성하고, 그 내부면에는 걸림턱(213)이 돌출 형성된다. The housing 210 forms an inner surface defining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211, and a latching protrusion 213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10.

걸림턱(213)은 내부면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되어, 연성 회로 수용부(211)에 수용되는 연성 회로(2)의 일면을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latching jaws 213 may b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inner surface so as to face one surface of the flexible circuit 2 accommodated in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211.

걸림턱(213)은 연성 회로(2)에 구비되는 걸림부(2a)의 적어도 일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걸림부(2a)는 연성 회로(2)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걸림턱(213)이 걸림부(2a)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The latching jaw 213 may be formed to cover at least one surface of the latching portion 2a provided in the flexible circuit 2. [ Referring to this figure, the latching portion 2a is protruded from both sides of the flexible circuit 2, and the latching jaw 213 can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latching portion 2a.

상기 구조에 따르면, 걸림부(2a)가 걸림턱(213)에 걸림으로써 연성 회로(2)의 이동이 구속된다. 이에 따라, 걸림턱(213)은 연성 회로(2)가 연성 회로 수용부(211)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movement of the flexible circuit 2 is restricted by the engagement of the engagement portion 2a with the engagement step 213. [ Thus, the latching jaw 213 can restrict the flexible circuit 2 from being pulled out from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211. [

하우징(210)의 내부면에는 경사면(214)이 형성된다. 경사면(214)은 상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되고, 걸림턱(213)까지 연장 형성된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연성 회로(2)는 경사면(214)을 따라 이동하며 연성 회로 수용부(21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연성 회로(2)의 걸림부(2a)가 걸림턱(213)에 걸림될 수 있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An inclined surface 214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10. The inclined surface 214 is formed to protrude so as to be inclined upward, and extends to the engaging step 213.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flexible circuit 2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214 and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211, and the engagement portion 2a of the flexible circuit 2 is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step 213 As shown in Fig.

상기 구성에 따르면, 연성 회로(2)가 연성 회로 수용부(211)에 삽입 시, 연성 회로(2)가 하우징(210)의 경사면(214)을 따라 이동되고, 연성 회로(2)의 걸림부(2a)가 하우징(210)의 걸림턱(213)에 의해 걸림됨으로써, 연성 회로(2)가 하우징(210)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커넥터 조립 과정 중에 연성 회로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이 제한될 수 있다The flexible circuit 2 is mov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214 of the housing 210 when the flexible circuit 2 is inserted into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211. When the flexible circuit 2 is inserted into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211, The flexible circuit 2 can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210 more easily and the flexible circu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withdrawn from the housing during the connector assembly process by the housing 2a being hooked by the latching jaws 213 of the housing 210. [ Be able to

다음은 리테이너(220)와 하우징(210) 간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 살펴본다.Next,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retainer 220 and the housing 210 will be described.

리테이너(220)는, 연성 회로(2)가 연성 회로 수용부(211)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성 회로(2)의 일면과 걸림턱(213)을 덮도록 배치되고, 연성 회로 수용부(211)에 수용되어 하우징(210)과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된다.The retainer 220 is disposed so as to cover one surface of the flexible circuit 2 and the latching jaw 213 so as to prevent the flexible circuit 2 from being pulled out of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211, 211 and is coupled to and fixed to the housing 210.

이를 위해 리테이너(220)는 플레이트부(221) 및 리테이너 체결부(222)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retainer 220 includes a plate portion 221 and a retainer engagement portion 222.

플레이트부(221)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성 회로 수용부(211) 내에 배치된 연성 회로(2)의 일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plate portion 22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so as to cover at least a part of one surface of the flexible circuit 2 disposed in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211.

리테이너 체결부(222)는 플레이트부(221)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고, 내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테이너 체결부(222)는 내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외팔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 체결부(222)가 외력에 의해 내측으로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리테이너 체결부(222)는 외측으로 복원될 수 있다.The retainer fastening portions 222 may protrude from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ate portion 221 and may be elastically deformed inward. Specifically, the retainer fastening portion 222 may have a cantilever shape tha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inward. Accordingly, in a state where the retainer engagement portion 222 is elastically deformed inward by an external force, the retainer engagement portion 222 can be restored to the outsid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리테이너 체결부(222)는 연성 회로 수용부(211)의 좌우 내측벽에 형성되는 후술할 리테이너 걸림부(215)에 걸림되는 걸림 후크(2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tainer engagement portion 222 may include a retaining hook 222 'formed on left and right inner side walls of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211 and engaged with a retainer retaining portion 215 described later.

하우징(210)은 걸림 후크(222')가 걸림되는 리테이너 걸림부(21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리테이너 걸림부(215)는 제1걸림홈(215a) 및 제2걸림홈(215b)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210 includes a retainer retaining portion 215 to which the retaining hook 222 'is caught. More specifically, the retainer retaining portion 215 may include a first retaining groove 215a and a second retaining groove 215b.

제1걸림홈(215a)은 연성 회로 수용부(211)의 좌우 내측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걸림홈(215a)은 상부를 한정하는 리테이너 제1걸림턱(ST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latching grooves 215a may b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inner side walls of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211,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first latching groove 215a may be formed by a retainer first latching stitch ST1 that defines an upper portion.

리테이너 제1걸림턱(ST1)에는 상기 내측벽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리테이너 제1경사면(S1)이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 제1경사면(S1)은, 걸림 후크(222')가 제1걸림홈(215a)에 끼워질 수 있도록 리테이너(2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리테이너 체결부(222)를 가압하여 내측으로 탄성 변형 시킬 수 있다.The retainer first inclined surface S1, which is formed so as to project from the inner side wall in an inclined manner, can be extended to the retainer first stopping step ST1. The retainer first inclined surface S1 guides the movement of the retainer 220 so that the retaining hook 222 'can be fitted into the first retaining groove 215a, So that i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inward.

제2걸림홈(215b)은 제1걸림홈(215a)의 하부로부터 이격 형성되고, 연성 회로 수용부(211)의 좌우 내측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latching groove 215b may be spac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latching groove 215a and may b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inner walls of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211, respectively.

본 도면을 참고하면, 제2걸림홈(215b)은 제1걸림홈(215a)과 제2걸림홈(215b) 사이에 제2걸리홈의 상부를 한정하는 리테이너 제2걸림턱(ST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second retaining groove 215b is formed between the first retaining groove 215a and the second retaining groove 215b by a retainer second retaining tab ST2 that defines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retaining groove .

리테이너 제2걸림턱(ST2)에는 내측벽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리테이너 제2경사면(S2)이 연장 될 수 있다. The retainer second hooking step ST2 can be extended with the retainer second inclined surface S2 projecting obliquely from the inner side wall.

리테이너 제2경사면(S2)은, 일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예를 들어, 본 도면은 하방으로 가입된 경우이다)에 의해 걸림 후크(222')를 제1걸림홈(215a)로부터 이탈시키고, 리테이너 체결부(222)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220)는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고, 걸림 후크(222')는 제2걸림홈(215b)에 끼워져 질 수 있다.The retainer second inclined surface S2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etaining hook 222 'is released from the first retaining groove 215a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the figure is joined downward) The engaging portion 222 can be elastically deformed by being pressed inward. Accordingly, the retainer 220 can be moved downward, and the engaging hook 222 'can be fitted in the second engaging groove 215b.

상기 리테이너 걸림부(215)에 따르면, 걸림 후크(222')가 상기 리테이너 걸림부(215)에 걸림됨에 의해 리테이너(220)는 하우징(210)에 고정될 수 있고, 리테이너(220)의 높이가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tainer retaining portion 215, the retainer 220 can be fixed to the housing 210 by engaging the retaining hook 222 'with the retainer retaining portion 215, and the height of the retainer 220 Can be adjusted stepwise.

한편, 하우징(210)에는 리테이너(22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217)이 형성될 수 있다. 리테이너(220)에는 가이드 슬롯(217)에 삽입 가능하도록 가이드 리브(22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guide slot 217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210 to exten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etainer 220. A guide rib 224 may be formed on the retainer 220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slot 217.

도 10의 (a) 내지 (c)는 도 7에 도시된 B-B를 취한 단면도로서, 커넥터 공정을 통하여 연성 회로(2)가 제2커넥터(200)에 조립되는 과정을 보인 개념도이다.FIGS. 10A to 10C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B-B shown in FIG. 7, and are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assembling the flexible circuit 2 to the second connector 200 through a connector process.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제1걸림홈(215a)에 걸림 후크(222')가 걸림된 상태에서, 연성 회로(2)는 연성 회로 수용부(211)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테이너(220)와 하우징(210)에 형성되는 걸림턱(213) 사이에는 연성 회로(2)의 단자부(2b)가 통과할 수 있는 이격 공간(S)이 형성된다.10 (a), the flexible circuit 2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able into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211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locking hook 222 'is engaged with the first interlocking recess 215a have. A space S is formed between the retainer 220 and the stopping protrusion 213 formed in the housing 210 so that the terminal portion 2b of the flexible circuit 2 can pass therethrough.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연성 회로(2)의 걸림부(2a)가 경사면(214)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고, 연성회로가 상기 이격 공간(S)을 통과하여 연성 회로(2)가 연성 회로 수용부(211)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리테이너(220)는 하우징(2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것을 보이고 있다.10 (b), the retaining portion 2a of the flexible circuit 2 is moved down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214, the flexible circuit is passed through the spacing space S, Can be accommodated in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211. [ At this time, the retainer 220 is show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10.

도 10의 (c)를 참조하면, 연성 회로(2)의 걸림부(2a)가 걸림턱(213)에 의해 덮힌 상태에서, 제1걸림홈(215a)에 걸림된 걸림 후크(222')는 하방 외력에 의해 이동하여 제2걸림홈(215b)에 걸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리테이너(220)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리테이너 제2걸림턱(ST2)에 걸림에 따라 하우징(21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도 있다. 10 (c), in the state in which the engagement portion 2a of the flexible circuit 2 is covered by the engagement protrusion 213, the engagement hook 222 'engaged in the first engagement recess 215a And may be moved by a downward external force to be caught in the second latching groove 215b. On the other hand, the retainer 220 may be moved downward to be coplanar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10 as the retainer 220 is hooked on the retainer second stopping step ST2.

이에 따라, 이격 공간(S)은 플레이트부(221)에 의해 채워지고, 리테이너(220)가 제2걸림홈(215b)에 걸려 하우징(210)에 고정됨으로써, 연성 회로(2)가 제2커넥터(200)에 조립되는 과정이 마쳐지게 된다.Thus, the spacing space S is filled by the plate portion 221, and the retainer 220 is fixed to the housing 210 by being caught by the second latching groove 215b, The process of assembling to the main body 200 is completed.

상기 구조에 의하면, 리테이너(220)가 하우징(210)의 내측으로 이동되며 삽입된 연성 회로(2)의 일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음으로써 제2커넥터(200)의 조립이 완료되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의 조립 과정이 간단하다. 그리고, 간단한 조립 과정을 거치면서도, 걸림턱(213)에 의해 연성 회로(2)의 인출이 방지되고, 리테이너(220)에 의해 연성 회로(2)의 인출이 방지됨에 따라, 연성 회로(2)와 제2커넥터(200) 간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retainer 220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210 and the assembly of the second connector 200 is completed by covering at least a part of one surface of the inserted flexible circuit 2, The assembly process is simple. The flexible circuit 2 is prevented from being pulled out by the retaining jaws 213 while the flexible circuit 2 is being pulled out by the retainer 22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can b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이하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 간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Hereinafter,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도 11을 앞선 도면들과 함께 참조하면, 웨이퍼(110)에는 하우징(210)과 결합할 수 있는 록킹 홈(114)이 구비된다. 록킹 홈(114)은 웨이퍼(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하우징(210)의 록킹 돌기(23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With reference to FIG. 11, the wafer 110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114 which can be engaged with the housing 210. The locking groove 11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wafer 110 and is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locking protrusion 230 'of the housing 210.

본 도면을 참조하면, 록킹 홈(114)은 제2커넥터(200)가 하우징 수용부(111)에 수용된 상태에서 후술할 탄성암(230)의 록킹 돌기(230')가 내측으로부터 걸려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록킹 홈(114)과 록킹 돌기(230')는 제2커넥터(200)를 제1커넥터(10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this figure,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connector 200 is housed in the housing receiving portion 111, the locking protrusion 230 'of the elastic arm 2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 / RTI > Accordingly, the locking groove 114 and the locking protrusion 230 'can firmly fix the second connector 200 to the first connector 100.

하우징(210)에는 록킹 홈(114)에 대응하는 위치에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암(230)이 형성된다. 탄성암(230)은 내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외팔보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housing 210 is formed with an elastic arm 230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groove 114. The elastic arm 230 may have a cantilever shape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inward.

하우징(210)의 록킹 홈(114)에 마주보는 탄성암(230)의 일면 상에는 록킹 돌기(230')가 돌출 될 수 있다. 하우징(210)을 하우징 수용부(111)에 삽입 시, 탄성암(230)이 웨이퍼(110)에 의해 내측으로 탄성 변형 되며 록킹 돌기(230')가 록킹 홈(114)에 걸림되도록 구성된다.A locking protrusion 230 'may be protruded on one surface of the elastic arm 230 facing the locking groove 114 of the housing 210. The elastic arm 230 is elastically deformed inward by the wafer 110 and the locking protrusion 230 'is caught in the locking recess 114 when the housing 21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receiving portion 111. [

탄성암(230)의 일단에는 누름 조작 가능한 누름부(230")가 구비된다. 누름부(230") 조작 시(도면을 참조하면, 누름부(230")를 내측으로 가압 시), 탄성암(230)은 하향 경사지고, 록킹 돌기(230')는 록킹 홈(114)으로부터 분리되어 제2커넥터(200)가 제1커넥터(10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에 따라, 제2커넥터(200)를 제1커넥터(10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One end of the elastic arm 230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art 230 "which can be pushed in. When the pressing part 230" is operated (referring to the drawing, when the pressing part 230 "is pressed inward) The first connector 230 is inclined downward and the locking protrusion 230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114 so that the second connector 200 is detachable from the first connector 100. Accordingly, (2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or (100).

하우징(210)에는 탄성암(230)의 외측으로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리브(216)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리브(216)는 탄성암(230)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탄성암(230)의 좌우로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고, 걸림리브(216)가 돌출된 부분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The housing 210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rib 216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elastic arm 230 to the outside. The latching rib 216 may be formed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elastic arm 230. In this figure, left and right projecting portions of the elastic arm 230 are formed and are formed so as to cover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engagement rib 216.

한편, 도 11을 앞선 도면들과 함께 참조하면, 터미널(120)은 회로기판(1)과 연성회로 간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베이스부(121), 제1접속부(122) 및 제2접속부(123)를 포함한다.11, the terminal 120 includes a base portion 121, a first connection portion 122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123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ircuit board 1 and the flexible circuit ).

베이스부(121)는 웨이퍼(110)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하우징(210)의 터미널(120) 장착부에 설치된다. 베이스부(121)에는 웨이퍼(110)의 하부로 돌출되어 회로기판(1)의 상면과 접촉되는 하부접촉부(121')가 구비된다.The base portion 121 is elongat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wafer 110 and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terminal 120 of the housing 210. The base portion 121 is provided with a lower contact portion 121 'that protrudes below the wafer 110 and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 [

제1접속부(122)는 연결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연성 회로(2)가 연성 회로 수용부(211)에 삽입 시 연성 회로(2)의 단자부의 적어도 일측면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1접속부(122)는 적어도 일 지점에서 벤딩되어 단자부(2b)를 탄성 가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접속부(122)가 개구부(212)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제1접속부(122)의 일단부가 개구부(212)를 통과하여 단자부(2b)의 일측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122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connection part and is configured to press at least one side of the terminal part of the flexible circuit 2 when the flexible circuit 2 is inserted into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art 211. Specifically,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2 may be formed so as to be bent at least at one point to elastically press the terminal portion 2b.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2 is arranged to face the opening portion 212, and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2 may be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opening portion 212 to press one side of the terminal portion 2b have.

제2접속부(123)는 연결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접속부(122)터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접속부(123)는 개구부(212)의 반대되는 하우징(210)의 타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접속부(123)는 연성 회로 수용부(211)에 삽입된 하우징(210)의 일측면을 지지할 수도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123 may extend from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art and may b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connection part 122. In other words,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23 may be arranged to cover the other surface of the opposite housing 210 of the opening 212. Accordingly,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3 may support one side of the housing 210 inserted into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art 211.

본 도면에서는 터미널(120)은 하우징(2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제1접속부(122)와 제2접속부(123)를 포함하고, 제1접속부(122)와 제2접속부(123)에 의해 하우징(21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The terminal 12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rt 122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123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housing 210. The first connection part 122, 2 connecting portion 123 so as to surrou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housing 210.

한편, 상술한 결합 구조에 따르면, 연성 회로(2)를 간단한 조립 공정이 간단하면서도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 간의 견고한 결합을 형성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10)가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upling structur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10 that forms a simpl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have.

구체적으로, 하우징(210)이 웨이퍼(110)에 결합 시, 하우징(210)에 삽입된 연성 회로(2)의 단자부(2b)가 개구부(212)를 통해 노출되어, 웨이퍼(110)의 터미널(120)이 상기 단자부(2b)와 접속됨으로써,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 간의 전기적 접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housing 210 is coupled to the wafer 110, the terminal portion 2b of the flexible circuit 2 inserted into the housing 210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212, 120 are connected to the terminal portion 2b,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can be smoothly performed.

아울러, 하우징(210)의 일단부가 웨이퍼(110)의 하우징 수용부(111)에 수용되고, 하우징(210)의 록킹 돌기(230')가 웨이퍼(110)의 록킹 홈(114)에 걸림으로써,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 간의 체결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One end of the housing 210 is received in the housing receiving portion 111 of the wafer 110 and the locking protrusion 230 'of the housing 210 is engaged with the locking groove 114 of the wafer 110,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can be firmly established.

또한, 연성 회로(2)가 연성 회로 수용부(211)에 수용되고 리테이너(22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연성 회로(2)와 제2커넥터(200) 간의 조립이 마쳐지고, 하우징(210)이 하우징 수용부(111)에 수용되고 록킹 홈(114)과 록킹 돌기(230')에 의해 웨이퍼에 체결됨으로써,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간의 조립이 마쳐지게 된다.The connection between the flexible circuit 2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is completed when the flexible circuit 2 is received in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211 and fixed by the retainer 220, The assembly between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is completed by being received in the housing receiving portion 111 and fastened to the wafer by the locking groove 114 and the locking protrusion 230 '.

상기와 같은 조립 구조에 따르면, 커넥터의 체결 과정이 단계적으로 형성되어 조립자의 조립 실수가 줄어들 수 있으며, 연성 회로(2)-제2커넥터(200) 및 제2커넥터(200), 제1커넥터(100)-제2커넥터(200) 간의 조립이 용이하여 제조 공정상 투입되는 시간과 노력이 줄어들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assembling structure, the fastening process of the connector is formed stepwise so that the number of assembling members of the assembler can be reduced, and the number of assembly cycles of the connector 2 - the second connector 2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can be easily assembled, so that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the insertion can be reduced.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변형예이다. 구체적으로, 제2커넥터(400)는 회로기판(1)을 덮도록 배치되고, 수평 ?항에서 제1커넥터(300)와 결합된다. 이에 따라, 회로기판(1)과 제2커넥터(400)간의 간격을 좁힐 수 있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12 to 14 are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second connector 400 is disposed to cover the circuit board 1 and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3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ly, a structure for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 circuit board 1 and the second connector 400 can be realized. Hereinafter, th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2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20)의 변형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주요 구성들을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1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20.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main components shown in FIG. 12 in isola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shown in Fig.

앞선 실시예인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10)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20)는 제1커넥터(300) 및 제2커넥터(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커넥터(300)는 웨이퍼(310) 및 터미널(320) 등을 포함하며, 제2커넥터(400)는 하우징(410) 및 리테이너(4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Like th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10 of the previous embodiment, in this variation, th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20 includes a first connector 300 and a second connector 400. The first connector 300 includes the wafer 310 and the terminal 320 and the second connector 400 may include the housing 410 and the retainer 420. The description thereof is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본 도면을 참고하여, 제1커넥터(300) 및 제2커넥터(400)의 결합(또는 조립)을 위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structure for coupling (or assembling) the first connector 300 and the second connector 4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하우징 수용부(311)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움푹 들어간 리세스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housing receiving portion 311 may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have a recessed recessed shape.

연성 회로 수용부(411)는 상기 수평 방향(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움푹 들어간 리세스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411 may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front to back) to have a recessed recessed shape.

한편, 터미널(320)은 웨이퍼(310)의 측면에 장착되고, 내부로 삽입된 후 단부가 하우징 수용부(311)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Meanwhile, the terminal 320 is moun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wafer 310, and the terminal 32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terminal 310, and the end of the terminal 320 protrudes into the housing accommodating portion 311.

구체적으로, 베이스부(321)는 웨이퍼(310)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하우징(410)의 터미널(320) 장착부에 설치된다. 베이스부(321)는 웨이퍼(310)의 측부로 돌출되고, 일단에는 회로기판(1)의 상면과 접촉되는 하부접촉부(321')가 구비된다. Specifically, the base portion 321 is elongat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wafer 310 and installed i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terminal 320 of the housing 410. The base portion 321 protrudes to the side of the wafer 310 and has a lower contact portion 32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 at one end.

제1접속부(322)는 베이스부(321)의 일측으로부터 회로기판(1)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성 회로(2)가 연성 회로 수용부(411)에 삽입 시 연성 회로(2)의 단자부(2b)의 적어도 일측면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The first connection part 322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base part 321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ircuit board 1 and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art of the flexible circuit 2 when the flexible circuit 2 is inserted into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art 411 2b.

제2접속부(323)는 베이스부(32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접속부(322)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23 extends from the other side of the base portion 321 and may b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22.

즉, 본 변형예에서는 앞선 실시예 대비 제2커넥터(400)가 제1커넥터(300)에 결합하는 방향이 수직에서 수평 방향으로 전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따르면, 연성 회로(2)는 하우징(410)의 연성 회로 수용부(411)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된 후, 리테이너(420)에 의해 고정되고, 하우징(410)은 하우징 수용부(311)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웨이퍼(310)에 체결됨으로써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20)의 조립 공정이 마쳐지게 된다.That is, in this modifica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connector 400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300 is shifted from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horizontal direction, compared to the previous embodiment. The flexible circuit 2 is horizontally inserted into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411 of the housing 410 and then fixed by the retainer 420 and the housing 41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accommodating portion 311 The assembly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20 is comple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wafer 3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구조에 의하면, 회로기판(1)의 상부에 조립 공간이 확보되지 않더라도,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20)에 채택된 수평 결합 방식에 의해 제2커넥터(400)가 제1커넥터(300)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작업 공간 확보에 유리하다는 이점이 있다.The second connector 400 is mounted on the first connector 300 by the horizontal coupling method adopted in th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20 even if the assembly space is not secured on the circuit board 1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advantageous in securing a work space.

한편, 제1커넥터(300)와 제2커넥터(400)가 조립된 상태에서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20)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The structure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20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nnector 300 and the second connector 400 are assembled is as follows.

*제2커넥터(400)는 앞선 실시예인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제2커넥터(200)와 달리, 회로기판(1)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다시 말해, 제2커넥터(400)는 회로기판(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도록 배치된다. The second connector 4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ircuit board 1, unlike the second connector 200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10 of the previous embodiment. In other words, the second connector 400 is arranged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area of the circuit board 1.

상기 구조에 따르면, 제1커넥터(300)가 제2커넥터(400)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로기판(1)으로부터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20)의 상부까지의 간격을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기기 내부의 공간적 활용성이 증대되고, 두께 등이 감소된 기기가 구현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the distance from the circuit board 1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20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nnector 300 is coupled with the second connector 400 is reduced. This has the advantage that the spatial usability inside the device is increased and a device with reduced thickness etc. can be realized.

한편,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 예로서, TV가 고려될 수 있다.Meanwhile, th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display device. For reference, as an example of the display device, a TV can be considered.

디스플레이 기기는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회로기판(1) 및 상기 회로기판(1)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visual information, a circuit board 1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and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 [

예를 들어, 회로기판(1)에는 복수의 발광소자가 장착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복수의 발광소자 각각은 회로기판(1)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발광소자는,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가 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고휘도를 갖는 전자소자이면 어떤 것이든지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ar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 to output ligh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ircuit board 1. The light emitting element may be, for example, an LED (Light Emitting Diode) or any other electronic element having a high brightness.

전원공급부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를 통해 회로기판(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광소자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 through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electrical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upply power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가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all is not to be construed in all aspects as limiting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0)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제1커넥터; 및
상기 회로기판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하우징 수용부를 구비하는 웨이퍼; 및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수용부로 돌출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상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성 회로 수용부와,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수용된 연성 회로의 단자부가 노출되어 상기 터미널과 접촉되도록 하부 일측면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연성 회로의 일면과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의 내측면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연성 회로가 상기 연성 회로가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제한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A first connector mounted on a circuit board; And
And a second connector configured to be engageable with the first connecto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ircuit board,
The first connector includes:
A wafer having a housing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d a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nd protruding into the housing receiving portion,
The second connector includes:
A housing having a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to extend from an upper portion to a lower portion and having an opening at a lower side thereof so that a terminal portion of a flexible circuit accommodated in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is ex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And
And a retainer insert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ed in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and an inner surface of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so that the flexible circuit restricts the flexible circuit from being drawn out from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Lt;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의 좌우 양단부에는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의 내부면으로부터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연성 회로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연성 회로의 상방 인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both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are formed with protruding engagement protrusion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Wherein the latching jaw is disposed so as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latching portion formed at the end of the flexible circuit to prevent the flexible circuit from being drawn out upward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면에는 상기 연성 회로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경사면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n inclined surface for guiding insertion of the flexible circuit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o extend to the engagement protrus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걸림턱에 의해 걸린 연성 회로의 인출을 제한하도록 상기 연성 회로의 일면과 상기 걸림턱을 덮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tainer is disposed so as to cover one side of the flexible circuit and the latching jaw so as to limit the withdrawal of the flexible circuit caught by the latching ja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연성 회로를 덮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내외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의 좌우 내측벽에 형성되는 리테이너 걸림부에 걸림되는 걸림 후크를 구비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tainer
A plate portion disposed to cover the flexible circuit; And
And a fastening portion protruding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ate portion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inwardly and outwardly and having a retaining hook formed in left and right inner side walls of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걸림부는 제1걸림홈과 상기 제1걸림홈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걸림홈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 후크가 상기 제1걸림홈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연성 회로는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걸림 후크가 상기 제2걸림홈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연성 회로는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Wherein the retainer retaining portion includes a first retaining groove and a second retaining groov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retaining groove,
Wherein the flexible circuit is insertable into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engagement hook i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ement groove,
And the flexible circuit is fixed to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engagement hook is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후크가 상기 제1걸림홈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걸림 후크가 상기 제2걸림홈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retainer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in a state where the retaining hook is engaged with the first retaining groove,
Wherein the retainer is flush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in a state where the retaining hook is engaged with the second retain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리테이너의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리테이너에는 상기 가이드 슬롯에 대응되는 가이드 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has a guide slot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tainer is moved,
And a guide rib corresponding to the guide slot is protruded from the re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방으로 연장되고 일면에 록킹 돌기를 구비하는 탄성암이 형성되고,
상기 웨이퍼에는 상기 록킹 돌기가 걸려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록킹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s formed with an elastic arm extending upward and having a locking protrusion on one surface thereof,
Wherein the wafer has a locking groove formed therein for engaging the locking protrus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암은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opening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Wherein the elastic arm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housing opposite to the one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개구부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terminal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ortion disposed to face the opening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por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제1접속부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구부의 반대되는 상기 하우징의 타면을 연장되는 제2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terminal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extending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opposite to the open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is arranged to cover a lower end portion of the housing received in the housing receiv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웨이퍼의 상면 중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housing is arranged to cover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afer.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제1커넥터; 및
상기 회로기판을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하우징 수용부를 구비하는 웨이퍼; 및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수용부로 돌출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성 회로 수용부와,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수용된 연성 회로의 단자부가 노출되어 상기 터미널과 접촉되도록 전방 하부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연성 회로의 일면과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의 내측면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연성 회로가 상기 연성 회로가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제한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A first connector mounted on a circuit board; And
And a second connector configured to be able to engage with the first connector in a horizontal direction while being arranged to cover the circuit board,
The first connector includes:
A wafer having a housing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nd a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nd protruding into the housing receiving portion,
The second connector includes:
A housing having a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to extend from a front side to a rear side and having an opening at a front lower portion so that a terminal portion of a flexible circuit accommodated in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is ex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And
And a retainer insert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ed in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and an inner surface of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to restrict the flexible circuit from pulling out the flexible circuit from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의 좌우 양단부에는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의 내부면으로부터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연성 회로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연성 회로의 측방 인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both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are formed with protruding engagement protrusion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lexible circuit accommodating portion,
Wherein the latching jaw is disposed so as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latching portion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flexible circuit to prevent lateral extraction of the flexible circui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면에는 상기 연성 회로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경사면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an inclined surface for guiding insertion of the flexible circuit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o extend to the engagement protrus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걸림턱에 의해 걸린 연성 회로의 인출을 제한하도록 상기 연성 회로의 일변과 상기 걸림턱을 덮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retainer is arranged to cover the one side of the flexible circuit and the latching jaw so as to restrict the withdrawal of the flexible circuit caught by the latching jaw.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the latching jaw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lexible circuit receiving portion where the opening is forme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하우징의 측단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the terminal is arranged to cover the side end portion of the housing received in the housing receiving portion.
KR1020180065047A 2018-06-05 2018-06-05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20302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047A KR102030277B1 (en) 2018-06-05 2018-06-05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047A KR102030277B1 (en) 2018-06-05 2018-06-05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600A Division KR101883377B1 (en) 2017-12-11 2017-12-11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276A true KR20190069276A (en) 2019-06-19
KR102030277B1 KR102030277B1 (en) 2019-10-08

Family

ID=67104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047A KR102030277B1 (en) 2018-06-05 2018-06-05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27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974A1 (en) * 2022-08-11 2024-02-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Connector module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3918A (en) 1999-05-27 2001-02-16 D D K Ltd Electric connector
US20020146932A1 (en) * 2001-03-23 2002-10-10 Calsonic Kansei Corporation Connector for connecting FFC
JP2006134728A (en) * 2004-11-05 2006-05-25 Jst Mfg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board
KR20150109140A (en) * 2014-03-19 2015-10-01 한성전자 주식회사 Flexible flat cable connector
JP2016046005A (en) * 2014-08-20 2016-04-04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connec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3918A (en) 1999-05-27 2001-02-16 D D K Ltd Electric connector
US20020146932A1 (en) * 2001-03-23 2002-10-10 Calsonic Kansei Corporation Connector for connecting FFC
JP2006134728A (en) * 2004-11-05 2006-05-25 Jst Mfg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board
KR20150109140A (en) * 2014-03-19 2015-10-01 한성전자 주식회사 Flexible flat cable connector
JP2016046005A (en) * 2014-08-20 2016-04-04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974A1 (en) * 2022-08-11 2024-02-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Connector module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277B1 (en)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377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TWI255076B (en) USB connector
US6733325B2 (en) Connector assembly for a flat wire member
JPH0532945Y2 (en)
US9812801B2 (en) Cable holding member, plug connector, connector device, flat cable, and method for assembling plug connector
JP2001283958A (en) Locking structure for board connector
US11404821B2 (en) First connector, second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030020384A (en) Wire connector
KR20110013383A (en) Electric connector
US6217358B1 (en) Connector coupling structure
US6520797B2 (en) Connector terminal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TW201830782A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423117B1 (en) Connector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90069276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739903B1 (en) Connector structure
JP2015026447A (en) Connector for flat cable
KR101626368B1 (en) Connector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658003B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626366B1 (en) Connector housing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KR101978925B1 (en) Poke in connector
KR101674450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366946Y1 (en) Connector
KR101837401B1 (en) Sliding-type connector asse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898944B1 (en) Wire to wire connector assembly
JP6135015B2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flat circuit body and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