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115A - 자기간섭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기간섭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9115A
KR20190069115A KR1020170169518A KR20170169518A KR20190069115A KR 20190069115 A KR20190069115 A KR 20190069115A KR 1020170169518 A KR1020170169518 A KR 1020170169518A KR 20170169518 A KR20170169518 A KR 20170169518A KR 20190069115 A KR20190069115 A KR 20190069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agnetic interference
interference signal
frequency offset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진혁
백명선
권해찬
정준영
김흥묵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69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9115A/ko
Publication of KR20190069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1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178Arrangements involving sequence estimation techniques
    • H04L25/03248Arrangements for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other apparatus
    • H04L25/0328Arrangements for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other apparatus with interference cancellation circui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04B15/02Reducing interference from electric apparatus by means located at or near the interfer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178Arrangements involving sequence estimation techniques
    • H04L25/03248Arrangements for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other apparatus
    • H04L25/03292Arrangements for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other apparatus with channel estimation circui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자기간섭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간섭신호 제거 장치는 송신 신호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송신단을 통해 전송하는 상향 DAC 부; 수신단을 통해 수신한 수신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는 하향 ADC 부 및 상기 송신 신호로부터 생성한 보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서 자기간섭신호를 제거하는 자기간섭 제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기간섭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SELF-INTERFERENCE SIGNAL CANCELLATION}
본 발명은 전이중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이중 통신에서 인접한 단말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간섭신호를 추정 및 제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송신과 수신 신호의 분리를 위해서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통신방식 또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통신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 때, FDD 통신방식 보호 대역이 필요하고, TDD 방식에서는 보호 구간이 필요하게 되어 주파수 이용효율을 감소시키게 된다.
동일대역 전이중(In-band Full Duplex) 통신방식은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전송시스템으로써 제한된 대역에서 주파수 자원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하나의 대역에서 신호의 송신과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동일대역 전이중 통신방식은 이론적으로 주파수 효율을 2배 향상 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동일대역 전이중 통신 방식은 동일 단말 또는 기지국에서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송신신호가 수신안테나에 그대로 인가된다.
따라서, 근거리의 수신안테나에 인가되는 송신신호는 수신신호 보다 크기가 매우 큰 간섭의 형태로 더해지며 이러한 신호를 자기간섭(Self-Interference)신호라고 한다.
결국, 수신성능 향상과 수신신호의 정확한 복원을 위해 수신신호에 대한 간섭뿐만 아니라 자기간섭신호까지 제거해주는 신호처리가 필요하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 10-2016-0131400 호“풀 듀플렉스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자기 간섭 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는 통신 시스템에서 자기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풀 듀플렉스(full duplex)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자기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동일대역 전이중 통신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자기간섭신호를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 신호에서 자기간섭신호를 제거하고, 신호를 복원할 때 발생하는 수신 신호의 왜곡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간섭신호 제거 장치는 송신 신호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송신단을 통해 전송하는 상향 DAC 부; 수신단을 통해 수신한 수신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는 하향 ADC 부 및 상기 송신 신호로부터 생성한 보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서 자기간섭신호를 제거하는 자기간섭 제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자기간섭신호 제거 장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비트스트림 생성부; 상기 비트스트림을 이용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변조부; 상기 자기간섭신호가 제거된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 및 복조된 수신 신호로부터 비트스트림을 복원하는 비트스트림 복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자기간섭신호 제거부는 상기 수신 신호로부터 주파수 옵셋 추정값을 산출하는 주파수 옵셋 추정부 및 상기 송신 신호 및 상기 주파수 옵셋 추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 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보상 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 옵셋 보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자기간섭신호 제거부는 상기 송신 신호의 주파수 옵셋값에 상응하는 상기 주파수 옵셋 추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 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보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자기간섭신호 제거부는 상기 자기간섭신호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서 상기 보상 신호를 제거하여 상기 수신 신호의 위상 왜곡을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간섭신호 제거 방법은 간섭신호 제거 장치를 이용하는 자기간섭신호 제거 방법에 있어서, 송신 신호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송신단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수신단을 통해 수신한 수신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신호로부터 생성한 보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서 자기간섭신호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자기간섭신호 제거 방법은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비트스트림을 이용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자기간섭신호가 제거된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 및 복조된 수신 신호로부터 비트스트림을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자기간섭신호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신호로부터 주파수 옵셋 추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신호 및 상기 주파수 옵셋 추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보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자기간섭신호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신호의 주파수 옵셋값에 상응하는 상기 주파수 옵셋 추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 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송신 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보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자기간섭신호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자기간섭신호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서 상기 보상 신호를 제거하여 상기 수신 신호의 위상 왜곡을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일대역 전이중 통신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자기간섭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 신호에서 자기간섭신호를 제거하고, 신호를 복원할 때 발생하는 수신 신호의 왜곡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분할 통신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간 분할 통신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일대역 전이중 통신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간섭신호 제거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간섭신호 제거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자기간섭신호 제거 단계의 일 예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분할 통신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간 분할 통신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통신방식과 시간분할 듀플랙스(Time Division Duplex, TDD) 통신방식을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일대역 전이중 통신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간섭신호 제거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일대역 전이중 통신시스템은 단말 1(100)과 단말2(2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단말 1(100)과 단말 2(200)는 기지국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때, 동일대역 전이중 통신시스템은 단말 1(100)의 송신단(TX1)에서 단말 2(200)에 상향 송신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단말 2(200)에서 전송한 송신신호를 단말 1(100)의 수신단(RX1)에서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단말 1(100)은 신호의 송수신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이루어진다면 단말 1(100)의 송신신호는 단말 1(100)의 수신단(RX1)에 더해져 수신될 수 있다.
또한, 단말 1(100)의 수신단(RX1)은 단말 1(100)의 송신신호가 자기간섭신호에 상응하는 간섭의 형태로 작용할 수 있다.
자기간섭신호는 동일 단말 내의 인접한 송신안테나로부터 수신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서 수신되는 실제 수신신호 보다 훨씬 큰 크기의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때, 동일대역 전이중 통신시스템은 수신신호의 정확한 복원을 위해 실제 수신채널을 통과하며 발생한 간섭뿐만 아니라 자기간섭신호의 제거가 필수적이다.
단말 1(100)의 세부 구성요소는 아래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 1(10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간섭신호 제거 장치에 상응할 수 있다.
자기간섭신호 제거 장치는 비트스트림 생성부(110), 변조부(120), 상향 DAC 부(130), 하향 ADC 부(140), 자기간섭 제거부(150), 복조부(160) 및 비트스트림 복원부(170)를 포함한다.
비트스트림 생성부(110)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변조부(120)는 비트스트림을 이용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변조부(120)는 비트스트림을 이용하여 디지털 심볼열
Figure pat00001
을 생성할 수 있다.
상향 DAC 부(130)는 송신 신호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송신단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향 DAC 부(130)는 상향샘플링(Up-sampling)과 DAC(Digital-to-Analog converter)를 통해 수학식 1과 같은 송신 신호
Figure pat00002
를 생성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이 때, 송신 신호
Figure pat00004
는 자기간섭신호 제거 장치의 수신단(RX1)에서 자기간섭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
송신단(TX1)과 수신단(RX1) 사이의 채널을 통해 수신단에 수신되는 자기간섭신호는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5
수학식 2에서
Figure pat00006
는 송신 신호
Figure pat00007
가 채널을 통과하며 발생하는 자기간섭신호의 주파수 옵셋값에 상응할 수 있다.
수학식 2의 자기간섭신호는 채널을 통해 수신한 신호
Figure pat00008
와 더해져 수학식 3과 같은 수신 신호
Figure pat00009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수학식 3에서,
Figure pat00012
는 다른 단말이 전송한 신호이며, 최종적으로 복원되어야 할 신호이다.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는 채널에서 발생한 주파수 옵셋값에 상응할 수 있다.
하향 ADC 부(140)는 수신단을 통해 수신한 수신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할 수 있다.
하향 ADC 부(140)는 하향샘플링(Down-Sampling)과 ADC(Analog-to-Digital Converter)를 통해 수학식 3의 수신 신호를
Figure pat00015
로 디지털 변환할 수 있다.
수학식 3에서, 실제 수신 신호에 대한 항
Figure pat00016
는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서 수신되는 자기간섭신호에 비해 매우 낮은 크기이므로, 주파수 옵셋 추정시에는 실제 수신 신호에 대한 주파수 옵셋값
Figure pat00017
은 무시하고, 타이밍 옵셋값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자기간섭 제거부(150)는 송신 신호로부터 생성한 보상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에서 자기간섭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자기간섭 제거부(150)는 주파수 옵셋 추정부(151) 및 주파수 옵셋 보상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주파수 옵셋 추정부(151)는 수신 신호로부터 주파수 옵셋 추정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주파수 옵셋 추정부(151)는 디지털 변환된 수신 신호
Figure pat00018
에 대한 주파수 옵셋값
Figure pat00019
을 추정할 수 있다.
주파수 옵셋 보상부(152)는 송신 신호 및 주파수 옵셋 추정값을 이용하여 송신 신호에 상응하는 보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주파수 옵셋 보상부(152)는 송신 신호의 주파수 옵셋값에 상응하는 주파수 옵셋 추정값을 이용하여 송신 신호에 상응하는 보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주파수 옵셋 보상부(152)는 수학식 4와 같이 추정된 주파수 옵셋값
Figure pat00020
과 변조부(120)에서 생성된 송신 신호
Figure pat00021
을 이용하여 보상 신호
Figure pat00022
를 생성할 수 있다.
Figure pat00023
이 때, 자기간섭 제거부(150)는 자기간섭신호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서 상기 보상 신호를 제거하여 수신 신호의 위상 왜곡을 보상할 수 있다.
이러한 자기간섭신호에 대한 주파수옵셋의 추정과 보상은 자기간섭신호의 생성과 수신신호의 신호처리가 동일한 장치에서 이루어지고, 변조된 심볼
Figure pat00024
을 장치 내에서 알고 있는 정보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수학식 4에서, 자기간섭신호의 주파수 옵셋값에 대한 보상 신호
Figure pat00025
는 수학식 1 및 2와 같이, 동일한 장치에서 생성한 송신 신호
Figure pat00026
를 이용하여 생성되므로 자기간섭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간섭 제거부(150)는 수학식 5와 같이 수신 신호
Figure pat00027
에서 보상 신호
Figure pat00028
를 제거하여 자기간섭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30
Figure pat00031
이므로,
Figure pat00032
복조부(160)는 자기간섭신호가 제거된 수신 신호를 복조 할 수 있다.
이 때, 복조부(160)는 수학식 5에서, 자기간섭신호게 제거된 수신 신호
Figure pat00033
를 복조 할 수 있다.
비트스트림 복원부(170)는 복조된 수신 신호로부터 비트스트림을 복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간섭신호 제거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자기간섭신호 제거 단계의 일 예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간섭신호 제거 방법은 먼저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210).
즉, 단계(S210)는 먼저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10)는 비트스트림을 이용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10)는 비트스트림을 이용하여 디지털 심볼열
Figure pat00034
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10)는 송신 신호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송신단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10)는 상향샘플링(Up-sampling)과 DAC(Digital-to-Analog converter)를 통해 수학식 1과 같은 송신 신호
Figure pat00035
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송신 신호
Figure pat00036
는 자기간섭신호 제거 장치의 수신단(RX1)에서 자기간섭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
송신단(TX1)과 수신단(RX1) 사이의 채널을 통해 수신단에 수신되는 자기간섭신호는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2에서
Figure pat00037
는 송신 신호
Figure pat00038
가 채널을 통과하며 발생하는 자기간섭신호의 주파수 옵셋값에 상응할 수 있다.
수학식 2의 자기간섭신호는 채널을 통해 수신한 신호
Figure pat00039
와 더해져 수학식 3과 같은 수신 신호
Figure pat00040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3에서,
Figure pat00041
는 다른 단말이 전송한 신호이며, 최종적으로 복원되어야 할 신호이다.
Figure pat00042
는 채널에서 발생한 주파수 옵셋값에 상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간섭신호 제거 방법은 수신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S220).
즉, 단계(S220)는 수신단을 통해 수신한 수신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20)는 하향샘플링(Down-Sampling)과 ADC(Analog-to-Digital Converter)를 통해 수학식 3의 수신 신호를
Figure pat00043
로 디지털 변환할 수 있다.
수학식 3에서, 실제 수신 신호에 대한 항
Figure pat00044
는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서 수신되는 자기간섭신호에 비해 매우 낮은 크기이므로, 주파수 옵셋 추정시에는 실제 수신 신호에 대한 주파수 옵셋값
Figure pat00045
은 무시하고, 타이밍 옵셋값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간섭신호 제거 방법은 자기간섭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S230).
즉, 단계(S230)는 송신 신호로부터 생성한 보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서 자기간섭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S230)는 먼저 주파수 옵셋을 추정할 수 있다(S231).
즉, 단계(S231)는 수신 신호로부터 주파수 옵셋 추정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31)는 디지털 변환된 수신 신호
Figure pat00046
에 대한 주파수 옵셋값
Figure pat00047
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단계(S230)는 주파수 옵셋을 보상할 수 있다(S232).
즉, 단계(S232)는 송신 신호 및 주파수 옵셋 추정값을 이용하여 송신 신호에 상응하는 보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32)는 송신 신호의 주파수 옵셋값에 상응하는 주파수 옵셋 추정값을 이용하여 송신 신호에 상응하는 보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32)는 수학식 4와 같이 추정된 주파수 옵셋값
Figure pat00048
과 변조부(120)에서 생성된 송신 신호
Figure pat00049
을 이용하여 보상 신호
Figure pat00050
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단계(S230)는 자기간섭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S233).
즉, 단계(S233)는 송신 신호로부터 생성한 보상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에서 자기간섭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33)는 자기간섭신호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서 상기 보상 신호를 제거하여 수신 신호의 위상 왜곡을 보상할 수 있다.
이러한 자기간섭신호에 대한 주파수옵셋의 추정과 보상은 자기간섭신호의 생성과 수신신호의 신호처리가 동일한 장치에서 이루어지고, 변조된 심볼
Figure pat00051
을 장치 내에서 알고 있는 정보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수학식 4에서, 자기간섭신호의 주파수 옵셋값에 대한 보상 신호
Figure pat00052
는 수학식 1 및 2와 같이, 동일한 장치에서 생성한 송신 신호
Figure pat00053
를 이용하여 생성되므로 자기간섭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S233)는 수학식 5와 같이 수신 신호
Figure pat00054
에서 보상 신호
Figure pat00055
를 제거하여 자기간섭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간섭신호 제거 방법은 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S240).
즉, 단계(S240)는 자기간섭신호가 제거된 수신 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40)는 수학식 5에서, 자기간섭신호게 제거된 수신 신호
Figure pat00056
Figure pat00057
Figure pat00058
를 복조 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40)는 복조된 수신 신호로부터 비트스트림을 복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기간섭신호제거 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단말 1 200: 단말2
110: 비트스트림 생성부 120: 변조부
130: 상향 DAC 부 140: 하향 ADC 부
150: 자기간섭 제거부 151: 주파수 옵셋 추정부
152: 주파수 옵셋 보상부 160: 복조부
170: 비트스트림 복원부

Claims (10)

  1. 송신 신호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송신단을 통해 전송하는 상향 DAC 부;
    수신단을 통해 수신한 수신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는 하향 ADC 부; 및
    상기 송신 신호로부터 생성한 보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서 자기간섭신호를 제거하는 자기간섭 제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간섭신호 제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기간섭신호 제거 장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비트스트림 생성부;
    상기 비트스트림을 이용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변조부;
    상기 자기간섭신호가 제거된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 및
    복조된 수신 신호로부터 비트스트림을 복원하는 비트스트림 복원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간섭신호 제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기간섭신호 제거부는
    상기 수신 신호로부터 주파수 옵셋 추정값을 산출하는 주파수 옵셋 추정부; 및
    상기 송신 신호 및 상기 주파수 옵셋 추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보상 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 옵셋 보상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간섭신호 제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기간섭신호 제거부는
    상기 송신 신호의 주파수 옵셋값에 상응하는 상기 주파수 옵셋 추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 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보상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간섭신호 제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자기간섭신호 제거부는
    상기 자기간섭신호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서 상기 보상 신호를 제거하여 상기 수신 신호의 위상 왜곡을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간섭신호 제거 장치.
  6. 자기간섭신호 제거 장치를 이용하는 자기간섭신호 제거 방법에 있어서,
    송신 신호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송신단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수신단을 통해 수신한 수신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신호로부터 생성한 보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서 자기간섭신호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간섭신호 제거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자기간섭신호 제거 방법은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비트스트림을 이용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자기간섭신호가 제거된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 및
    복조된 수신 신호로부터 비트스트림을 복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간섭신호 제거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자기간섭신호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신호로부터 주파수 옵셋 추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신호 및 상기 주파수 옵셋 추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보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간섭신호 제거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자기간섭신호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신호의 주파수 옵셋값에 상응하는 상기 주파수 옵셋 추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 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보상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간섭신호 제거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자기간섭신호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자기간섭신호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서 상기 보상 신호를 제거하여 상기 수신 신호의 위상 왜곡을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간섭신호 제거 방법.
KR1020170169518A 2017-12-11 2017-12-11 자기간섭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 KR20190069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518A KR20190069115A (ko) 2017-12-11 2017-12-11 자기간섭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518A KR20190069115A (ko) 2017-12-11 2017-12-11 자기간섭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115A true KR20190069115A (ko) 2019-06-19

Family

ID=67104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518A KR20190069115A (ko) 2017-12-11 2017-12-11 자기간섭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91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839B1 (ko)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거를 위한 중계국 장치 및 방법
KR101497613B1 (ko) 전이중 중계 방식의 통신시스템에서 간섭채널 추정을 통한간섭제거 및 동기유지 장치 및 방법
US8725067B2 (en)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relay using the same frequency band in OFDM-based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0902336B1 (ko) 동일채널 중계장치 및 그 방법
KR100879334B1 (ko) 초소형 일체형 간섭 제거 무선중계 장치 및 그 방법
JP518622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KR100717830B1 (ko) 동일채널 중계기 및 그 방법
JP4464651B2 (ja) 回り込みキャンセラ、中継システム及び回り込みキャンセル方法
US2010019554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mobile full duplex relay
US10523283B2 (en) LOS-MIMO demodul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LOS-MIMO transmission system, LOS-MIMO demodulation method and program
EP1901506B1 (en) Inter-symbol interference cancellation method fo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JP4740069B2 (ja) 回り込みキャンセラ
KR100793571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간섭 제거를 위한 무선 중계장치
KR20090037268A (ko) 파일럿 분할을 통해 궤환신호를 제거하는 동일채널중계장치 및 그 방법
JP2007228057A (ja) 衛星通信システム及び衛星通信用送信局
CA2721190C (en) Co-channel feedback signal cancelling regenerative repeater of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KR100873487B1 (ko) 동일채널 중계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69115A (ko) 자기간섭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060093B1 (ko) 무선 간섭신호 제거 중계기 및 그 구현 방법
KR10131477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옵셋을 보상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100976726B1 (ko) 동일채널 중계장치 및 그 방법
KR100903871B1 (ko) 동일 채널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0929584B1 (ko) 적응형 간섭 제거기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이동 다중홉 중계 시스템의 중계 장치
KR100936662B1 (ko) 에이티에스씨식 동일채널 궤환신호 제거형 재생중계기
KR101090766B1 (ko) 동일채널 중계장치 및 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