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7692A - Water suit - Google Patents

Water su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7692A
KR20190067692A KR1020180138056A KR20180138056A KR20190067692A KR 20190067692 A KR20190067692 A KR 20190067692A KR 1020180138056 A KR1020180138056 A KR 1020180138056A KR 20180138056 A KR20180138056 A KR 20180138056A KR 20190067692 A KR20190067692 A KR 20190067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ser
air
fixed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0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76999B1 (en
Inventor
박영찬
Original Assignee
박영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찬 filed Critical 박영찬
Priority to CN201811472572.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9895975A/en
Priority to EP18210612.0A priority patent/EP3495025A1/en
Priority to JP2018229428A priority patent/JP6717920B2/en
Priority to US16/211,252 priority patent/US10702746B2/en
Priority to AU2018274962A priority patent/AU2018274962A1/en
Publication of KR20190067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6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9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 A41D13/01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with buoyancy ai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8Trousers specially adapted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8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with waterproof fea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04Resilient s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46Divers' sleds or like craft, i.e. craft on which man in diving-suit r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087Body suits, i.e. substantially covering the user's body ; Immersion suits, i.e. substantially completely cover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04Resilient suits
    • B63C2011/043Dry suits; Equipment therefor

Abstract

Disclosed is a water suit capable of continuously generating buoyancy by allowing a user to manually or automatically inject additional air to a water suit jacket and water suit pants when an accident that the user falls into water occurs while the user wears the water suit jacket and the water suit pants having a predetermined buoyancy and enjoys water sports, and allowing the user to float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n erect posture in water or to move to a destination in a posture of lying downward in water by using self-power when an accident that the user falls into water occurs while the user enjoys water sports. The water sui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ater suit jacket (100) worn on an upper body of a user and configured to automatically inject or discharge air to the inside by using a wireless battery by operation of the user or detection of a water level sensor; water suit pants (200) worn on a lower body of the user and configured to automatically inject or discharge air to the inside by using a wireless battery by operation of the user or detection of the water level sensor; and a propulsion generation portion (300) worn on a waist of the user to be detached therefrom or attached thereto, and allowing the user to automatically generate propulsion for pushing water to a rear direction of soles of the user by using a wireless battery by operation of the user or detection of the water level sensor.

Description

수상 슈트{Water suit}Water Suit {Water suit}

본 발명은 수상 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상 스포츠를 즐기는 도중에 물속에 빠진 경우, 별도의 구조장비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물속에서 일정 시간 떠있거나 자체 추진력을 발생시켜 목적지로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수상 슈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chu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chute capable of automatically moving to a destination by floating in wat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ithout using any rescue equipment, It is about a prize suit.

오늘날 서핑과 스쿠버다이빙 등 다양한 동호회를 중심으로 해양레저스포츠를 즐기려는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미래의 안정적인 삶을 위해 오늘을 헌신했던 과거와 달리, 현재의 삶 속에서 여유를 찾는 시대적 흐름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Today, the population to enjoy marine leisure sports around surf clubs and scuba diving clubs is increasing rapidly. This tendency seems to reflect the current trend of finding a room in the present life, unlike the past that devoted to the stable life of the future.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에서 여가의 개념으로 해양레저스포츠가 자리잡은 것은 불과 얼마 지나지 않았다. 올해 초 크루즈법과 마리나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고, 정부가 해양레저산업을 본격 육성하기로 하면서 국내 해양산업도 활기를 띌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In Korea, which is surrounded by sea on three sides, marine leisure sports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concept of leisure. Earlier this year, the Cruise Law and Marina Act passed the plenary ses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government is expected to nurture the marine leisure industry and expect the domestic marine industry to revitalize.

수상 스포츠는 강이나 바다와 같이 물에서 하는 모든 스포츠를 일컫는 말로, 전통적인 수영, 조정, 카누, 카약, 요트, 고무보트를 포함할 뿐 아니라 최근 들어서는 윈드서핑, 서핑과 패러글라이딩을 접목한 카이트보딩 혹은 카이트서핑, 수상스키, 웨이크보드, 제트스키, 플라이피쉬, 바나나 보트 등 수상 스포츠의 종류가 날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Water sports include all kinds of water sports such as rivers and seas, including traditional swimming, canoeing, canoeing, kayaking, yachting and rubber boating, as well as kite boarding with windsurfing, surfing and paragliding Kite surfing, water skiing, wakeboarding, jet skiing, fly fishing, and banana boats are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이와 같은 수상 스포츠의 종목은 매년 다양해지고, 이러한 수상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상 스포츠의 장소도 하천이나 강 그리고 바다 및 바다속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수상 안전의 중요성 또한 더욱 증가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구명조끼나 잠수복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These kinds of water sports are diversified every year, and the people who enjoy these water sports are not only increasing continuously, but also the places of water sports are diversified into rivers, rivers, seas and seas, The importance is also increasing, but it is still dependent on life jackets and wet suits.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5-0000511호 (1995년01월03일)에는 잠수구의 깊이에 따라 항시 중성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특징은 압력형성부(10)에 고무막판(20)을 끼우고 이에 지지부를 결합시킨 후 고무막판(20)에 접촉되게 스프링(40)과 비상버튼(50)을 끼워 압력조절부(60)를 결합시킴에 있어서 압력조절부(60)에는 유입구(61)와 부력조정눈금위치부(62,62',62")를 지지부(30)에는 체중표시부(3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잠수복의 부력조절기가 기재되어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5-0000511 (Jan. 03, 1995) has been developed to maintain neutral buoyancy at all times according to the depth of a submerged sill. The pressure regulating part 60 is provided with the inlet 40 and the emergency button 50 so that the spring 40 and the emergency button 5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pressure regulating part 6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ubber film plate 20, And the weight indicator 31 is formed on the support 30 on which the buoyancy adjusting graduation positioning portions 62, 62 ', 62 "and the buoyancy adjusting graduation positioning portions 62, 62', 62" are formed.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2974호(2011년03월09일)에는 물과 같은 액체는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게 하고 몸에서 나는 수증기(땀)는 밖으로 배출시키는 특성을 가지며, 내화성, 착용감, 보온성, 방수성능이 뛰어나고 착용 및 탈의가 손쉽도록 착/탈복용 방수지퍼와 소변용 방수지퍼가 구비된 항공 조종사용 방수복 및 그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22974 (Mar. 09, 2011) discloses that a liquid such as water is prevented from penetrating into the inside, and water vapor (sweat) A waterproof zipper for waterproofing and waterproofing, a waterproof zipper for easy wearing and dismounting, and a waterproof zipper for urin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2957호 (2012년09월07일)에는 구명조끼가 가지는 부력재에 의해 사용자의 가슴부위 특히, 심장에 가해지는 충격력이나 압박력 등을 흡수완화하고 차가운 날씨에 보온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사용자가 물에 입수하게 되면 1차적으로 부력이 작용하여 침수를 방지하며, 이와 함께 구명조끼에 내재하여 있는 공기팽창식 에어튜브의 높은 부력에 의해 입수자의 심장부위를 수면 위로 충분히 부상시켜 익사사고를 방지함에 따라, 평상시에나 입수시 복합적인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된 팽창튜브와 부력재를 복합시킨 구명조끼가 기재되어 있다.In addition,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82957 (September 07, 2012), the buoyant material of the life jacket absorbs impact force and compression force applied to the user's bust area, especially the heart, In addition, when the user obtains water, buoyancy acts primarily to prevent flooding. At the same time, the buoyancy of the inflatable air tube of the inflatable air tube inside the life jacket allows the heart portion of the user to float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 life jacket comprising a combination of an expansion tube and a buoyant material is provided to prevent a drowning accident, and to ensure multiple safety at normal times and at the time of arrival.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0790호 (2014년10월14일)에는 잠수복하의의 내부에 온열패드가 구성되되, 전력을 전달하는 케이블을 상기 잠수복하의의 내부에 구성하되 허리둘레를 따라 구성하여 수중 속 활동을 함에 있어 편리성을 부여하고, 상기 잠수복하의의 외부에 부착부를 구성하여 벨크로가 구성된 버튼부를 선택적으로 탈, 부착 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구성들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발열장치가 구성된 잠수복하의가 기재되어 있다.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120790 (October 14, 2014), a warm pad is formed inside a wet suit, and a cable for transmitting electric power is formed inside the wet suit below the wais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button portion constituted by a velcro to an attachment portion on the outside of the wetsuit, And a heat-generating device including the heat-generating device.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의 수상 스포츠용 잠수복이나 구명조끼는 사용자가 물속에 빠진 상태에서 구조되기 전까지 부력을 이용하여 물속에서 일정 시간 동안 떠있게 하기 위한 것이 주목적이며, 사용자가 생존을 위한 골든타임(약 1시간)이 도달하기 전에 이동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잠수복을 입은 상태로 수영이나 잠수를 통해서 원하는 목적지로 이동해야만 하는데, 수상 스포츠를 잘하지 못하는 일반인이나 어린이 또는 노인들의 경우에는 구명조끼나 잠수복을 착용하였더라도 물속에서 오래 동안 떠있거나 일정 거리 이상의 수영이나 잠수를 하기에는 역부족일 것이다. However, the conventional water sports wetsuit or life vest described above is mainly intended to allow the user to float in water for a predetermined time using buoyancy until the user is left in the water, If you think you need to move before reaching about 1 hour, you have to go to your desired destination by swimming or diving while wearing a wetsuit. For ordinary people, children or seniors who are not good at water sports, life jackets or wetsuits Even if you wear it, it will not be long enough to float in the water or to swim or dive over a certain distanc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5-0000511호 (1995년01월03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5-0000511 (January 03, 199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2974호(2011년03월09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022974 (Mar. 09, 201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2957호 (2012년09월07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82957 (September 07, 201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0790호 (2014년10월14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20790 (October 14, 2014)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일정한 부력이 있는 수상슈트 상의 및 수상슈트 하의를 착용하고 수상 스포츠를 즐기는 도중에 물속에 빠진 사고 발생시 사용자가 수상슈트 상의 및 수상슈트 하의에 수동 또는 자동으로 공기를 추가로 주입하여 부력을 지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수상 슈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Is to provide a water chute capable of constantly generating buoyancy by further injecting air manually or automatically into the top of the water-jet chute and the water-chute botto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수상 스포츠를 하는 즐기는 도중에 물속에 빠진 사고 발생시 자체 추진력을 발생시켜 물속에서 직립자세로 일정 시간 떠 있을 수 있는 수상 슈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chute capable of floating in water in a standing posture for a certain time by generating self propulsion when an accident occurs in the water while a user enjoys water sport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수상 스포츠를 하는 즐기는 도중에 물속에 빠진 사고 발생시 자체 추진력을 발생시켜 물속에서 가슴부위를 수면 위로 부상시키면서 엎드린 자세로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수상 슈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chute capable of generating self-propelling force in the event of an accident occurring in water during a user's enjoyment of water sports, so that the chest area is raised above the water surface while being moved in a prone position to a destinati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다양한 방식의 무선 동력발생장치를 내부에 구현하여 제공할 수 있는 수상 슈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chute capable of internally implementing and providing various types of wireless power generating device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상 슈트는,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조작 또는 미리 설정된 동작에 따라 공기를 내부에 주입 또는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상슈트 상의(100)와; 상기 사용자의 하체에 착용되는 수상슈트 하의(200)와; 상기 사용자의 허리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착용되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또는 미리 설정된 동작에 따라 자체 추진력을 발생시켜 물을 사용자 발바닥의 후미방향으로 밀어내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력 발생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ater-suited top surface (100) which is worn on an upper body of a user and is capable of injecting or discharging air into the interior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or a predetermined operation; A water chute bottom 200 worn by the user's lower body; And an urging force generating unit 300 which is worn so as to be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waist of the user and generates propulsive force to generate self propulsion forc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user or a preset operation so as to push water in a tail direction of the user's sole .

본 발명에 따른 수상 슈트에 따르면, 사용자가 일정한 부력이 있는 수상슈트 상의 및 수상슈트 하의를 착용하고 수상 스포츠를 즐기는 도중에 물속에 빠진 사고 발생시 사용자가 수상슈트 상의 및 수상슈트 하의에 수동 또는 자동으로 공기를 추가로 주입하여 지속적으로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어, 수상 스포츠를 즐길 때에는 움직임을 부자연스럽게하는 구명조끼나 잠수복을 착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수상슈트 만을 착용하여 수상 스포츠의 즐거움을 극대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water chut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wears a water chute on a water chute having a constant buoyancy and a water sport under a water chute, he or she can manually or automatically So that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njoyment of the water sports by wearing only the water suits without wearing the life vest or the wet suit which makes the movement unnatural when enjoying the water sports.

또한, 사용자가 수상 스포츠를 하면서 즐기는 도중에 물속에 빠진 사고 발생시 자체 추진력을 발생시켜 물속에서 직립자세로 일정 시간(약 1시간 정도) 떠 있을 수 있어, 물속에 빠진 상태에서 심장부위를 수면 위로 일정 시간 동안 부상시킬 수 있어 사용자 구조시간을 연장 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is engaged in water sports while experiencing water sports, he / she can generate self propulsion when an accident occurs in the water, and can float in a standing posture for a certain time (about 1 hour) So that the user rescue time can be extended.

또한, 사용자가 수상 스포츠를 하면서 즐기는 도중에 물속에 빠진 사고 발생시 자체 추진력을 발생시켜 물속에서 가슴부위를 수면위로 충분히 부상시키면서 엎드린 자세로 목적지까지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가 어린이나 노약자 또는 수영을 잘하지 못하는 초보자라 할지라도 생존을 위한 골든타임 내에 원하는 피난처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is engaged in water sports while experiencing water sports, it generates self propulsion when an accident occurs in the water, so that the user can move to the destination automatically in a prone position while raising the chest area on the water surface sufficiently. Even if you are a beginner, you can easily move to a desired shelter within Golden Time for Survival.

또한, 다양한 방식의 무선 동력발생장치를 내부에 구현하여 제공할 수 있어, 수상슈트가 장시간 자체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wireless power generation devices can be implemented and provided inside, so that the water chute can generate self-propelling force for a long time and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enhanc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상 슈트가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상 슈트의 제1 또는 제2 송풍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상 슈트에 구비된 무선 동력발생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상 슈트에 구비된 구동모터가 스카치요크 모터인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상 슈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물속에서 수영을 하지 않고도 직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상 슈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물속에서 가슴부위를 수면 위로 충분히 부상시키면서 엎드린 자세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chu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by a user;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first or second blower of a water chu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3A to 3D are views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wireless power generating unit included in a water chu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in the case where the drive motor provided in the water chut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otch yoke motor;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upright operation without swimming in water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suit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worn;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moving a chest area to a destination in a prone position while raising the chest area on the water surface in water while wearing a water chu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상 슈트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a water chu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상 슈트의 사시도이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상 슈트(1000)는,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조작 또는 미리 설정된 동작 (예를 들어, 한 쌍의 수위감지센서(337a,337b)가 감지하는 경우)에 의해 제1 무선 충전용 배터리(121)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공기를 내부에 주입 또는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상슈트 상의(100)와, 사용자의 허리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착용되며, 사용자의 조작 또는 한 쌍의 수위감지센서(337a,337b)의 감지결과에 따라 자체 추진력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물을 후미방향으로 밀어내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력 발생부(300)로 구성된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chu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water chute 10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a user's upper body, And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automatically injecting or discharging air into the interior by using the first wireless rechargeable battery 121 by a predetermined operation (for example, when the pair of water level sensors 337a and 337b detect) The water jacket 100 is worn so that i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o the waist of the user and generates its own propulsive for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or the detection result of the pair of water level sensors 337a and 337b, And an impulse generating unit 300 for generating an impelling force for pushing in the aft direction.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상 슈트(1000)는, 사용자의 하체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조작 또는 미리 설정된 동작 (예를 들어, 한 쌍의 수위감지센서(337a,337b)의 감지)에 의해 제2 무선 충전용 배터리(221)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공기를 내부에 주입 또는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상슈트 하의(20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수상슈트 하의(200)를 더 구비하는 경우 착용자의 부력은 더욱 향상될 것이다. Here, the water chute 10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user's lower body and is operated by a user's operation or a predetermined operation (for example, detection of a pair of water level sensors 337a and 337b) (200), which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inject air into or discharge air from the inside of the water-chute (200) by using the second wireless rechargeable battery (221) The buoyancy of the wearer will be further improved.

여기서, 수상슈트 상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제1 공기 주입구(112)가 형성되고, 내부는 주입된 공기가 저장될 수 있는 내부가 밀폐된 2중 구조로 형성되며, 필요시 내부에 저장중인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제1 공기 배출구(114)가 상단부에 형성된 상의 본체(110)와, 상의 본체(1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1 방수포켓(170)의 내부에 형성된 제1 공기주입구(112)의 전단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 또는 한 쌍의 수위감지센서(337a,337b)의 감지에 의해 제1 무선 충전용 배터리(121)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물속에서 바람을 발생시켜 상의 본체(110)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제1 송풍기(120)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상의 본체(110)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사용자가 물속에서 엎드린 자세로 이동할 때 어께부위에 양력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양력날개(130,140)와, 상의 본체(110)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물을 후미방향으로 밀어내는 추진력에 의해 회전되어 부력을 생성하기 위한 기포를 발생시키는 한 쌍의 기포 발생기(150,160)를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1, a first air inlet 112 for injecting air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chute 100, and the inside of the water chute 100 is filled with air, A first waterproof pocket (not shown)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body 110, and a second waterproof pocket (not shown)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body 110. The first waterproof pocket The first wireless charging battery 121 is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air inlet 112 formed in the inside of the first wireless charging port 170. By sens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or a pair of the water level sensors 337a and 337b, And a first blower 120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ir in the water and injecting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body 110. The first blower 120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110, When you move from prone to prone position, And a pair of bubble generators (130, 140) which are fixed to upper ends of the body (110) of the body and generate bubbles to be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pushing the water in a trailing direction to generate buoyancy 150, and 160 may be additionally configured.

여기서, 상의 본체(110)는 습식, 건식, 세미 드라이 형식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재질 또한 스킨지의 발수성과 저지의 내구성을 겸비하고 유연한 착용감이 좋은 USRD (울트라소프트래디알), 일반 저지에 비하여 4방향으로 500%의 신축율을 지닌 울트라스판 저지를 겉감으로하고 안감에는 울트라스판의 신축성을 최대로 유지하면서 피부와의 잔 마찰을 통해 보온성을 높여주는 BGX원단이 사용된 New Megoflex (뉴메가플렉스), 라이크라보다 내 마모성이 뛰어난 소재로써 BCD로부터 어깨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TX (터프텍스), 색감이 뛰어나고 광택감이 있으며, 탈색이 거의 없으며 다양한 색상을 활용하여 디자인을 원하는대로 지정할 수 있는 LY (라이크라), 물을 차단하는 성질이 뛰어난 폴리에스터와 보온성을 보강하고 부드러운 촉감을 강화한 공기층을 형성한 나일론 실을 이상적으로 편직한 NP (에어나프), 흡습발열 기능으로 슈트 내의 환경을 개선. 땀이나 결로 등으로 인한 수분을 흡착하고 물 분자의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열하는 AB (에어로반), 잠수복에 가장 일반적으로 또 가장 오래 사용된 원단으로 거미줄보다 가늘고 마찰에 강하여 인장강도가 다른 섬유에 비해 월등한 NY (나일론), 유연성이 높은 네오프렌에 티타늄과 알루미늄의 미세분말을 특수 코팅하여 단열효과와 박테리아의 발생을 억제하는 항균효과를 발휘하는 Glitron (글라이트론)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Here, the upper body 110 can be selected from the wet, dry and semi-dry types. The material also has the water repellency of the skin paper and the durability of the lower paper. The USRD (ultra soft radial) New Megoflex (New Megaflex) which uses BGX fabric which enhances the warmth through the friction with the skin while keeping the elasticity of the ultra span at the maximum, while the ultra span jersey with the expansion ratio of 500% , TX (Tuftex) used to protect the shoulder area from BCD as a material with superior abrasion resistance than Lycra, excellent color and shiny feeling, almost no discoloration, LY Lycra), polyester with excellent water-blocking properties, reinforced warmth and air layer with enhanced soft touch NP (air nap), which is formed by knitting nylon yarns ideally, improves the environment of the suit by the hygroscopic heat generation function. AB (Aeroban) which absorbs moisture by sweat and condensation and converts the kinetic energy of water molecules into thermal energy. It is the most commonly used and most used fabric in wet suit. It is thinner than web, strong in friction and has different tensile strength. NY (nylon) superior to fiber, neoprene with high flexibility can be selected from Glitron (Glitron) which exhibits antimicrobial effect which suppresses the insulation effect and the generation of bacteria by specially coating fine powder of titanium and aluminum .

여기서, 제1 송풍기(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제1 무선 충전용 배터리(121)가 삽입 장착되고, 외표면에 제1 송풍기용 전원 스위치(122)가 장착된 제1 송풍기용 손잡이부(123)와, 제1 송풍기용 손잡이부(123)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내부에 제1 무선 충전용 배터리(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송풍기용 전기모터(124)를 구비한 제1 송풍기용 몸통부(125)와, 제1 송풍기용 몸통부(125)의 제1 송풍기용 전기모터(124)에 연동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축에 고정된 제1 송풍기용 날개(126) 및 제1 송풍기용 날개(126)의 외측에 설치된 제1 송풍기용날개 보호망(127)을 구비한 제1 송풍기용 날개부(128)로 구성된다.2, the first blower 120 includes a first wireless rechargeable battery 121 inserted therein and a first blower power switch 122 having a first blower power switch 122 mounted on its outer surface, A blower handle 123 and an electric motor 124 for the first blower which ar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blower handle 123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wireless rechargeable battery 121 A first blower blade 126 fixed to the shaft so as to be rotatable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blower electric motor 124 of the first blower body 125, And a first blower blade 128 having a first blower blade protection net 127 provided outside the first blower blade 126.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제1 송풍기(120)가 상의 본체(110)의 내측 하단부에 형성된 제1 방수포켓(17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사용자가 필요시 손을 넣거나 외부에서 원격으로 제1 송풍기용 전원 스위치(122)를 조작할 수 있다.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lower 120 is installe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waterproof pocket 170 formed at the inner lower end of the body 110 of the upper body, The power switch 122 for the first blower can be operated.

그리고, 한 쌍의 양력날개(130,140)는 사용자가 물속에서 업드린 자세로 빠르게 이동할 때 물에 의한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면에 빠른 물의 흐름에 대해 외측부를 원호형 곡선빔(arccurved beam)으로 형성하여 수면의 윗부분이 수면의 아랫부분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상부방향으로 부상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The pair of lifting blades 130 and 140 are installed to minimize friction caused by water when the user moves quickly from the water to an uphill posture. The swinging blade 130, 140 is provided with an arccurved beam ),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water surface generates relatively lower pressure than the lower part of the water surface, so that the user can float upward.

또한, 수상슈트 하의(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제2 공기 주입구(212)가 형성되고, 내부는 주입된 공기가 저장될 수 있는 내부가 밀폐된 2중 구조로 형성되며, 내부에 저장중인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제2 공기 배출구(214)가 하단부에 형성된 하의 본체(210)와, 하의 본체(2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2 방수포켓(270)의 내부에 형성된 제2 공기주입구(212)의 전단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또는 한 쌍의 수위감지센서(337a,337b)의 감지에 따라 제2 무선 충전용 배터리(221)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물속에서 바람을 발생시켜 하의 본체(210)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제2 송풍기(220)와, 사용자가 수상슈트 하의(200)를 입은 상태로 물속에 사용자의 무릎관절의 회전 동작을 유연하게 만들어주기 위해 하의 본체(210)의 무릎 부위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관절 스프링(230,240)과, 추진력 발생부(300)에 구비된 제1 및 제2 동력발생부(330:330a,330b)를 고정하기 위해 하의 본체(210)의 무릎부위에 설치되는 한 쌍의 무릎 보호대(250,260)와, 한 쌍의 무릎 보호대(250,260)에 각각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대(252,262)로 구성된다.1, a second air inlet 212 for injecting air is formed at an upper end portion of the water chute 200, and the inside thereof is filled with air And a second waterproof pocket 270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lower body 210. The second waterproof pocket 270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lower body 210, And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battery 221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or when the pair of the water level sensors 337a and 337b detect the air. A second blower 220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ir in the water and injecting air into the main body 210 of the lower body and a second blower 220 for blowing air into the water in the state where the user is wearing the water- In order to make the rotation operation flexible, A pair of joint springs 230 and 240 installed on the knee region and a pair of joint springs 230 and 240 installed on the lower body 210 to fix the first and second power generating units 330 and 330a and 330b provided in the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300 A pair of knee guards 250 and 260 provided at the knee region and a pair of fixing bars 252 and 262 fixed to the pair of knee guards 250 and 260, respectively.

여기서, 하의 본체(210)는 상의 본체(11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제조되며, 제2 송풍기(220)는 하의 본체(210)의 내측 하단부에 형성된 제2 방수포켓(27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사용자가 필요시 손을 넣거나 외부에서 원격으로 제2 송풍기용 전원 스위치(222)를 조작할 수 있다.Here, the lower body 210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terial of the body 110, and the second blower 22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waterproof pocket 270 formed at the lower inner side of the lower body 210 And the user can operate the power switch 222 for the second blower by putting his or her hand in need or remotely from the outside.

여기서, 제2 송풍기(220)의 구조는 제1 송풍기(120)의 구성요소와 동일하게, 내부에 제2 무선 충전용 배터리(221)가 삽입 장착되고, 외표면에 제2 송풍기용 전원 스위치(222)가 장착된 제2 송풍기용 손잡이부(223)와, 제2 송풍기용 손잡이부(223)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내부에 제2 무선 충전용 배터리(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송풍기용 전기모터(224)를 구비한 제2 송풍기용 몸통부(225)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제2 송풍기용 몸통부(225)의 제2 송풍기용 전기모터(224)에 연동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축에 고정된 제2 송풍기용 날개(226) 및 제2 송풍기용 날개(226)의 외측에 설치된 제2 송풍기용날개 보호망(227)을 구비한 제2 송풍기용 날개부(228)를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second blower 22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first blower 120. The second blower 220 has a second wireless rechargeable battery 221 inserted therein and a second blower power switch A second blower handle 223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lower handle 223 and having a second blower batter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wireless rechargeable battery 221, And a second blower body 225 having an electric motor 224 so that the second blower body 225 can rotate with the second blower electric motor 224 of the second blower body 225, The second blower fan blade 228 having the second fan blade 226 fixed to the first fan blade 226 and the second fan blade guard 227 installed outside the second fan blade 226 can be additionally constructed have.

또한, 추진력 발생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되도록 착용되는 벨트본체(310)와, 벨트본체(310)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고 지면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1 및 제2 지지대(320a,320b)와, 제1 및 제2 지지대(320a,320b)에 각각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 또는 한 쌍의 수위감지센서(337a,337b)의 감지에 따라 물속에서 일방향으로 각각 회전동작과 역회전운동을 반복적으로 실행하는 제1 및 제2 동력발생부(330:330a,330b)과, 제1 및 제2 동력발생부(330:330a,330b)의 후단에 각각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제1 및 제2 동력발생부(330:330a,330b)의 회전동작(정회전운동 또는 역회전운동)을 이용하여 물을 사용자의 후미방향으로 각각 반복적으로 밀어내도록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제1 및 제2 구동 모터(340:340a,340b)로 구성된다. 1, the pro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300 includes a belt body 310 fixed to both sides of the belt body 310 a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belt body 310,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rods 320a and 320b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rods 320a and 320b are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rods 320a and 320b. The first and second power generators 330 and 330b and the first and second power generators 330 and 330a and 330b that repeatedly perform the rotational motion and the reverse rotational motion in one direction in the water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ower generators 330 and 330a, 330b so that the water is repetitively repeated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user by using the rotational motion (forward rotation or revers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ower generators 330 (330a, 330b)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340 (340a, 340b) generate driving force for pushing the driving motor 340 (340a, 340b).

또한, 각각의 제1 또는 제2 동력발생부(330:330a,330b)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스위치(332a,332b)를 구비한 몸체(331:331a,331b)와, 몸체(331:331a,331b)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전기모터(333:333a,333b)와, 몸체(331:331a,331b)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모터(333:333a,333b)에 전기를 공급하는 무선 충전용 배터리(334:334a,334b)와, 무선 충전용 배터리(334:334a,334b)의 충방전 동작 또는 전기모터(333:333a,333b)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35:335a,335b)와, 제어부(335:335a,335b)의 제어에 따라 좌우 또는 상하방향으로 회전동작되는 꼬리부(336:336a,336b)와, 주변의 물의 레벨을 감지하여 제어부(335:335a,335b)로 전달하기 위한 한 쌍의 수위감지센서(337a,337b)와, 꼬리부(336:336a,336b)에 각각 연결되어 꼬리부(336:336a,336b)의 회전동작에 따른 회전 구동력을 제1 및 제2 구동 모터(340:340a,340b)로 각각 전달하는 커넥팅로드(338:338a,338b)를 포함한다. 여기서, 커넥팅로드(338)는 피스톤(345)과 크랭크 샤프트를 연결하는 연결봉의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3A, each of the first or second power generating units 330 (330a, 330b) includes a body 331 (331a, 331b) having power switches 332a, 332b, 333a, 333b provided inside the bodies 331: 331a, 331b for generating driving force and electric motors 333, 333a, 333b provided inside the bodies 331: 334a and 334b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electric motors 333 and 333a and 333b and a control unit 335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perations of the electric rechargeable batteries 334 and 334b and the electric motors 333 and 333a and 333b, 335a and 335b and tails 336 and 336b rotating in the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direction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s 335 and 335b and the control units 335 and 335a, A pair of water level sensors 337a and 337b for delivering the rotational force to the tail portions 336 and 336b and 336b and 336b and 336b and 336b, 1 and the second drive motor 340 (340a, 340b) It comprises: (338a, 338b 338), each connecting rod passing. Here, the connecting rod 338 serves as a connecting rod connecting the piston 345 and the crankshaf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수위감지센서(337a,337b)는 수조에 담긴 물의 수위에 따라 물의 레벨을 측정하여(수조에 수분량이 증가하여 수위가 높아지면 저항이 감소하고,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며, 반대로 수조에 수분량이 감소하면, 저항이 증가하면서 전류는 감소하게 되는 원리를 이용), 사용자의 몸에 단순히 물이 튄 경우와 물에 빠진 경우를 구분하여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제어부(335:335a,335b)로 전달한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water level sensors 337a and 337b measures the level of water according to the level of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the resistance decreases as the water amount increases in the water tank, The water is divided into the water splashes and the water splashes in the user's body, and the detection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335: 335a, 335b.

또한, 수중에서 제1 및 제2 동력발생부(330:330a,330b)가 일정 거리를 운행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작고 가벼우며 최대한 소비전력이 적은 전기모터(333:333a,333b)가 사용되며, 이러한 전기모터(333:333a,333b)에 전기를 공급해줄 무선 충전용 배터리(334:334a,334b)는 가볍고 얇으면서 많은 용량을 탑재한 리튬폴리머(Li-Po) 배터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Electric motors 333 (333a, 333b) are used as small and light as possible and have low power consumption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power generators 330 (330a, 330b) It is preferable that a lithium-polymer (Li-Po) battery, which is light and thin and has a large capacity, is used as the wireless rechargeable batteries 334: 334a and 334b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motors 333: 333a and 333b.

여기서, 무선 충전용 배터리(334) 대신에, 도 3b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위스트론을 이용한 제1 내지 제3 무선 충전장치(400~500)가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별도의 전기발생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전기모터(333)에 사용되는 전기를 자체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Here, instead of the wireless rechargeable battery 334, as shown in FIGS. 3B to 3C, the first to third wireless charging devices 400 to 500 using the twistedron are selectively applied, The electricity used for the electric motor 333 can be supplied by itself without using the apparatus.

즉, 도 3b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무선 충전장치(400)는, 제1 베이스 판(411)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제1 축봉(413)에 삽입된 상태로 회동가능토록 설치된 제1 회전원판(415)과, 축봉(413)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상 바람개비(417) 또는 전기 모터(418)로 이루어진 제1 회전부(410)와; 제2 베이스판(421)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제2 축봉(423)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단면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봉(424)를 구비한 제2 회전원판(425)을 구비한 제2 회전부(420)과; 제1 회전부(410)의 제1 회전원판(415)과 제2 회전부(420)의 제2 축봉(423) 사이에 설치된 제1 벨트(430)와; 전해질 물질이 밀봉되도록 채워진 원통형 케이스(441)와, 원통형 케이스(441)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설치되며, 탄소나노튜브 구조(442)로 형성된 제1 트위스트론(443)과, 제1 트위스트론(443)의 양측단에 각각 설치된 제1 전극(444,445)과, 일단은 제1 트위스트론(443)의 상측 끝단부에 고정되며, 타단은 제2 회전원판(425)의 돌출봉(424)에 고정되는 제1 케이블(447)로 이루어진 제1 자체 발전부(440)로 구성된다.3B to 3C, the first wireless charging device 400 is rotatable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shaft rod 413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irst base plate 411 A first rotary part 410 including an air vane 417 or an electric motor 418 rotatably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shaft rod 413; The second base plate 421 is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end of a second shaft rod 423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ase plate 421 and is rotatably supported by a second rotary disk 422 having a protrusion rod 424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thereof. A second rotating part 420 having a first rotating part 420 and a second rotating part 420; A first belt 430 installed between the first rotating disk 415 of the first rotating part 410 and the second shaft rod 423 of the second rotating part 420; A first twisted rhombus 443 formed of a carbon nanotube structure 442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interior of the cylindrical case 441; The first electrodes 444 and 445 are fixed to the upper ends of the first twisted rods 443 and the other ends of which are fixed to the protruding rods 424 of the second rotary disc 425 And a first cable 447 fixed to the first power generating unit 440.

여기서, 도 3c에 도시된 제2 무선 충전 장치는 도 3b에 도시된 제2 무선 충전장치와 비교할 때 수상 바람개비(417)를 사용하지 않고 전기 모터(418)를 사용하는 차이만 있을 뿐이다. Here,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shown in FIG. 3C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shown in FIG. 3B in that the electric vane 417 is not used but the electric motor 418 is used.

또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무선 충전장치(500)는, 파도 해류의 흐름에 따라 자유방향으로 표류하는 헬륨 풍선(510)와; 전해질 물질이 밀봉되도록 채워진 원통형 케이스(521)와, 원통형 케이스(521)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설치되며, 탄소나노튜브 구조(522)로 형성된 제2 트위스트론(523)과, 제2 트위스트론(523)의 양측단에 각각 설치된 제2 전극(524,525)과, 일단은 제2 트위스트론(523)의 상측 끝단부에 고정되며, 타단은 헬륨 풍선(510)에 고정되는 제2 케이블(527)로 이루어진 제2 자체 발전부(520)로 구성된다.Also, as shown in FIG. 3D, the third wireless charging device 500 includes: a helium balloon 510 that drifts in a free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wave current; A second twistron 523 formed of a carbon nanotube structure 522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cylindrical case 521 and filled with an electrolyte material to be sealed; A second cable 524 and a second cable 525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twistron 523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helium balloon 510, And a second self-power generating unit 520 composed of a plurality of power generating units 527 and 527.

도 3b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무선 충전장치에서 원통형 케이스(441,521)는 원통형 유리병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해질 물질은 물처럼 극성을 띤 용매에 녹아서 이온을 형성함으로써 전기를 통하는 물질로서, 용매에 녹은 전해질은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나뉘어져 용액 전체에 고르게 퍼진다. 이 상태의 용액은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I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configured as shown in FIGS. 3B to 3D, the cylindrical case 441 and 521 are preferably cylindrical glass bottles, and the electrolyte material is dissolved in a polar solvent such as water to form ions, , The electrolyte dissolved in the solvent is divided into cations and anions and spreads evenly throughout the solution. The solution in this state is electrically neutral.

또한, 제1 및 제2 트위스트론(443,523)은 머리카락 굵기의 1만분의1에 달하는 얇은 탄소나노튜브를 한쪽 방향으로 과도하게 꼬아서 고무밴드와 같은 코일 형태로 만들어, 물질이 수축하거나 움직일 때 부피가 바뀌면서 전기에너지가 생기는 원리를 이용해 스스로 전력을 생산하는 실이다. 이와 같은 트위스트론은 탄소 6개로 이루어진 육각형들이 서로 연결되어 관모양을 이루는 원통(튜브) 형태를 갖는 스프링 모양구조로 인해 수축 이완(약 30%)을 쉽게 할 수 있다. 우선 탄소나노튜브를 꼬아서 고강도 고경량 실 형태를 만들고, 고탄성을 부여하기 위해 이 실을 더 꼬아서 코일 형태의 실을 제조한다. 제1 및 제2 트위스트론(443,523) 실은 전해질 속에서 잡아당기면 꼬임이 증가하면서 밀도는 증가하는 반면 내부표면적은 감소되어서, 결국 커패시턴스(Capacitance: 축전기에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능력, 전기용량)가 감소하게 된다. 이 커패시턴스의 변화량 만큼 전기적 포텐셜에너지(potential energy 위치에너지. 압력)의 변화가 발생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twisted rods 443 and 523 are made of thin carbon nanotubes having a thickness of 1 / 10th of a hair excessively twisted in one direction to form a coil like a rubber band. When the material contracts or moves, Is a room where electric power is produced by using the principle of generating electric energy. Such a twisted rhombus can easily relax the shrinkage (about 30%) due to a spring-like structure having a tube shape in which six hexagons are connected to form a tubular shape. First, the carbon nanotubes are twisted to form a high-strength, lightweight yarn type yarn. Further, the yarns are further twisted to form a coil-shaped yarn to give high elasticity. When the first and second twisted rods 443 and 523 are pulled in the electrolyte, the twist increases while the density increases, while the internal surface area decreases, resulting in a decrease in capacitance (capacity to store charge in the capacitor, capacitance) . The electric potential energy (potential energy position energy, pressure) is changed by the change amount of the capacitance, and electric energy can be produced.

또한, 제1 전극(444,445) 및 제2 전극(524,525)이 원통형 케이스(341,521)에 각각 설치된 상태에서 두 전극사이에 전압이 걸리면 양이온은 전자를 내어 놓는 전극(음극)쪽으로 모이고, 음이온은 전자를 받아들이는 전극(양극)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용액 속의 이온은 전하운반자(carrier of electric charge)로 행동하여 전류를 흐르게 하는 역할을 한다. When the first electrodes 444 and 445 and the second electrodes 524 and 525 are installed in the cylindrical cases 341 and 521, when a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two electrodes, the positive ions gather toward the electrode (cathode) The ions in the solution act as a carrier of electric charge to flow current because they move toward the receiving electrode (anode).

이에따라, 트위스트론에 연결된 수상 바람개비(417)나 전기모터(418)에 연결된 회전원판이 풍력이나 전기의 힘으로 전해질 속에서 초당 30회 수축, 이완 반복하면 1㎏에 250w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rotary vane 417 connected to the twist drone or the rotary disk connected to the electric motor 418 is shrunk and relaxed 30 times per second in the electrolyte due to the force of wind or electricity, 250 watt power can be produced per kilogram.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각각의 제1 또는 제2 구동 모터(340:340a,340b)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스카치요크(scotch yoke) 모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r second drive motor 340 (340a, 340b) is preferably a scotch yoke motor as shown in Figs. 4a and 4b.

한편, 제1 또는 제2 구동 모터(340:340a,340b)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카치요크 모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구성은 제1 또는 제2 꼬리부(336:336a,336b)가 하우징(344:344a,344b)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90°정회전 및 역회전운동을 왕복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요크(343:343a,343b)와, 일측은 제1 또는 제2 동력발생부(330:330a,330b)의 꼬리부(336:336a,336b)에 연결된 커넥팅로드(338:338a,338b)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하우징(344:344a,344b)의 요크(343:343a,343b)와 연결되도록 실린더(342:342a,342b)의 내부에 설치되며, 요크(343:343a,343b)의 90° 정회전 및 역회전운동에 의해 물을 실린더의 내부에서 부터 후미방향으로 밀어내는 피스톤(345:345a,345b)으로 구성된다.The first or second driving motor 340 (340a, 340b)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 scotch yoke motor, as shown in FIGS. 4a and 4b, and its configuration may include a first or second tail 336 343a, 343b which are inserted into the housings 344 (344a, 344b) to convert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s of 90 占 to reciprocating linear motion, and a yoke 338a and 338b connected to the tail portions 336a and 336b of the first and second power generating units 330 and 330a and 330b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s 338a and 338b of the housings 344 and 344a and 344b 343a and 343b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yokes 343 and 343a and 343b and 343b and 343b and 343b in such a manner that wate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345: 345a, 345b) pushing the piston in the rearward direction.

이때, 배터리(334:334a,334b)를 사용하는 꼬리부(336:336a,336b)는 커넥팅로드(338:338a,338b)에 의하여 요크(343:343a,343b)와 일직선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요크(343:343a,343b)는 와이퍼 모터에서 자기회로를 형성하여 90°정회전 및 역회전운동을 왕복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동작을 실시한다. At this time, the tail portions 336: 336a and 336b using the batteries 334: 334a and 334b are connected to the yokes 343: 343a and 343b in a straight line by the connecting rods 338: 338a and 338b. Here, the yoke 343 (343a, 343b) forms a magnetic circuit in the wiper motor to perform an operation of converting 90 ° positive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into reciprocating linear motion.

여기서, 실린더(342:342a,342b)의 하단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45:345a,345b)이 실린더(342:342a,342b)의 후미방향으로 밀리면서 실린더(342:342a,342b)의 내부의 물이 후미방향으로 빠져나갈 때 수압에 의하여 실린더 개폐기(347:347a,347b)가 열리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342:342a,342b) 내부에 설치된 제1 또는 제2 피스톤(345:345a,345b)이 앞으로 당겨지면서 실린더 개폐기(347:347a,347b)가 닫히게 되어, 당겨진 피스톤(345:345a,345b)에 의하여 실린더(342:342a,342b)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B, a piston 345 (345a, 345b) is pushed to the lower end of the cylinder 342 (342a, 342b)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cylinder 342 (342a, 342b) The cylinder switches 347a and 347b are opened by hydraulic pressure when the water inside the cylinders 342a and 342b is released in the rearward direction and the first or the second The cylinder openers 347a and 347b are closed as the second pistons 345a and 345b are pulled forward and the pistons 345a and 345b are pulled by the drawn pistons 345a and 345b into the cylinders 342a and 342b Can be prevented.

여기서, 실린더 개폐기(347:347a,347b)의 일측단은 제1 또는 제2 피스톤(345:345a,345b)의 일측 밑면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실린더 개폐기(347:347a,347b)를 구성하는 판스프링(346:346a,346b)의 형상으로 인해 피스톤(345:345a,345b)의 타측 밑면에 착탈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피스톤(345:345a,345b)이 후미방향으로 밀릴때 실린더 개폐기(347:347a,347b)를 구성하는 판스프링(346:346a,346b)이 수압에 의해 후미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수압에 의하여 실린더 개폐기(347:347a,347b)가 열리게된다. One end of the cylinder switches 347a and 347b is fixed to on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or second piston 345a and 345b and the other end of the cylinder switches 347a and 347b constitute the cylinder switches 347a and 347b 345a and 345b are preferably attached and detached to the other bottom surface of the piston 345 (345a, 345b) due to the shape of the leaf springs 346 (346a, 346b). When the piston 345 The leaf spring 346 (346a, 346b) constituting the spring 347 (347a, 347b) is deployed in the trailing direction by the water pressure, and the cylinder switch 347 (347a, 347b) is opened by the water pressure.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상 슈트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water chut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상슈트 상의(100)와, 수상슈트 하의(200) 그리고 추진력 발생부(3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본인이 원하는 수상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데, 이때 수상슈트 상의(100)와, 수상슈트 하의(200)의 내부에는 일정한 공기가 들어가 있어서 생기는 일정한 부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어떤 수상 스포츠를 즐기더라도 움직임에 거추장스럽지 않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user can enjoy the water sports desired by the user while wearing the water-winning chute 100, the water-chute 200, and the pro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300. At this time, Since a certain amount of buoyancy is generated due to a certain amount of air entering into the interior of the water tank 100 and the underwater chute 200, the user may not be intimidated by any water sports.

한편, 수상 스포츠를 즐기는 사용자가 예기치 않은 상황으로 인해 물속에 빠진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초) 안에 제1 송풍기(120) 및 제2 송풍기(220)의 전원 스위치(122,222)와 그리고 제1 및 제2 동력발생부(330:330a,330b)의 전원 스위치(332:332a,332b)를 수조작으로 직접 파워 온시키거나,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초)이 경과하는 경우 한 쌍의 수위감지센서(337a,337b)의 감지값에 따라 제어부(335:335a,335b)는 무선제어기술을 이용하여 제1 송풍기(120) 및 제2 송풍기(220)의 전원 스위치(122,222)와 그리고 제1 및 제2 동력발생부(330:330a,330b)의 전원 스위치(332:332a,332b)를 자동으로 파워 온시킨다. Meanwhile, when a user who enjoys a water sport has a situation in which water is lost due to an unexpected situation, if the user presses the first blower 120 and the second blower 220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3 seconds) The power switches 122 and 222 and the power switches 332 and 332a and 332b of the first and second power generating units 330 and 330a and 330b are directly powered on by a manual operation, The control unit 335 controls the first blower 120 and the second blower 220 by using the radio control technology according to the detection values of the pair of the water level sensors 337a and 337b And the power switches 332: 332a and 332b of the first and second power generators 330 and 330a and 330b are automatically powered on.

이에 따라 제1 송풍기(120)는 물속에서 바람을 발생시켜 상의 본체(110)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고, 제2 송풍기(220) 또한 물속에서 바람을 발생시켜 하의 본체(210)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어, 상의 본체(110)와 하의 본체(210)의 내부에서 각각 추가로 생성된 부력으로 인해 사용자가 물속에 빠지더라도 수면으로 떠오를 수 있게 한다. 이때, 제1 송풍기(120) 및 제2 송풍기(220)는 물이 닿지 않는 수상 위에 있는 상태이다.Accordingly, the first blower 120 generates air in the water to inject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body 110, and the second blower 220 also generates wind in the water, So that buoyancy, which is additionally generated inside the body 110 of the upper body and the body 210 of the lower body, can float to the water even if the user falls into the water. At this time, the first blower 120 and the second blower 220 are in a state of being on the water which is not exposed to water.

또한, 제1 및 제2 동력발생부(330:330a,330b)의 전원 스위치(332:332a,332b)가 파워 온 되는 경우, 제1 및 제2 동력발생부(330:330a,330b)의 제어부(335:335a,335b)는 각각의 전기모터(333:333a,333b)를 구동시켜, 꼬리부(336:336a,336b)를 일정방향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시켜, 제1 및 제2 구동 모터(340:340a,340b)를 정회전 및 역회전운동시켜 연결동작에 의하여 피스톤(345:345a,345b)을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왕복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피스톤(345:345a,345b)이 요크(343:343a,343b)의 90°정회전 및 역회전운동에 의해 왕복직선운동으로 전환된 피스톤이 물을 실린더에서 부터 후미로 밀어내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행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한다. When the power switches 332a and 332b of the first and second power generators 330 and 330a and 330b are powered on, the control of the first and second power generators 330 and 330a and 330b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335 335a and 335b drive the respective electric motors 333 333a and 333b so that the tail portions 336 336a and 336b are rotated forward and revers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345a, 345b, 345b) can be converted into reciprocating linear motion, as shown in Figs. 4A and 4B, by forward and reverse rotations of the piston 340 (340a, 340a, 340b). Accordingly, when the first and second pistons 345 (345a and 345b) are rotated by reciprocating linear motion by 90 ° positive and reverse rotations of the yokes 343 (343a and 343b) So that the driving force can be generated.

이에 따라 사용자가 물에 빠진 상태에서 직립자세를 취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의 본체(110)와 하의 본체(210)의 내부에서 각각 생성된 부력과 제1 및 제2 피스톤(345:345a,345b)의 추진력으로 인해 사용자가 물속으로 가라앉지 않고 일정 시간(1시간 이상) 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직립자세의 동작은 사용자가 수상 스포츠를 즐기는 도중에 물속에 빠진 후 구조자가 가시거리 내에 있는 비교적 빠른 시간 내에 구조가 가능할 경우에 취하는 자세로 바람직 할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user takes an upright posture in the state of falling into the water, the buoyancy generated in the body 110 of the upper body and the buoyancy generated in the body 210 of the lower body and the first and second pistons 345 : 345a, 345b) allows the user to float for a period of time (one hour or more) without sinking into the water. Such an upright posture may be desirable for a posture that is taken when the user is in water while enjoying water sports and then rescued within a visual distance with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그러나, 구조자가 가시거리 내에 있지 않은 상황에서는 물속에 빠진 사용자는 구조가 가능한 위치나 구조물 또는 육지로 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사용자가 목적지를 향하면서 몸을 수면에 업드린 자세를 취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의 본체(110)와 하의 본체(210)의 내부에서 각각 생성된 부력과 제1 및 제2 피스톤(345:345a,345b)의 왕복운동으로 발생되는 추진력으로 인해 수영을 하지 않더라도 사용자를 목적지로 이동시켜줄 수 있다. However, in a situation where the rescuer is not within the visible range, it is desirable for the user who is in the water to move to a position, structure or land where the structure is possible. If the user takes a posture up to the water while facing the destination, As shown in FIG. 6, due to the buoyancy generated in each of the body 110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210, and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istons 345: 345a and 345b, The user can be moved to the destinatio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무선 충전용 배터리(334:334a,334b)가 수중에서 제1 및 제2 동력발생부(330:330a,330b)의 운행을 위해 전기모터(333:333a,333b)에 전기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나, 무선 충전용 배터리(334) 대신에, 도 3b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위스트론을 이용한 제1 내지 제3 무선 충전장치(400~500)가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별도의 전기발생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전기모터(333)에 사용되는 전기를 자체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rechargeable batteries 334, 334a and 334b are connected to the electric motors 333 (333a, 333b) for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ower generators 330 (330a, The first to third wireless charging devices 400 to 500 using the twistron may be used instead of the wireless charging battery 334 as shown in FIGS. 3B to 3C So that electricity to be used for the electric motor 333 can be supplied by itself without using a separate electricity generating devic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수상슈트 상의 110 : 상의 본체
112 : 제1 공기 주입구 114 : 제1 공기 배출구
120 : 제1 송풍기 121 : 제1 무선 충전용 배터리
122 : 제1 송풍기용 전원스위치 123 : 제1 송풍기용 손잡이부
124 : 제1 송풍기용 전기모터 125 : 제1 송풍기용 몸통부
126 : 제1 송풍기용 날개 127 : 제1 송풍기용 날개보호망
128 : 제1 송풍기용 날개부 130, 140 : 양력날개
150,160 : 기포 발생기 170 : 제1 방수포켓
200 : 수상슈트 하의 210 : 하의 본체
212 : 제2 공기 주입구 214 : 제2 공기 배출구
220 : 제2 송풍기 221 : 제2 무선 충전용 배터리
222 : 제2 송풍기용 전원스위치 223 : 제2 송풍기용 손잡이부
224 : 제2 송풍기용 전기모터 225 : 제2 송풍기용 몸통부
226 : 제2 송풍기용 날개 227 : 제2 송풍기용 날개보호망
228 : 제2 송풍기용 날개부 230, 240 : 관절 스프링
250,260 : 무릎 보호대 252,262 : 고정대
270 : 제2 방수포켓 300 : 추진력 발생부
310 : 벨트본체 320:320a,320b : 지지대
330:330a,330b : 동력발생부 331:331a,331b : 몸체
332:332a, 332b : 전원 스위치 333:333a,333b : 전기모터
334:334a,334b : 배터리 335:335a,335b: 제어부
336:336a,336b : 꼬리부 337a,337b : 수위감지센서
338:338a,338b : 커넥팅로드 340:340a,340b : 구동모터
342:342a,342b : 실린더 343:343a,343b : 요크
344:344a,344b : 하우징 345:345a,345b : 피스톤
346:346a,346b : 판 스프링 347:347a,347b : 실린더 개폐기
400 : 제1 무선 충전장치 410 : 제1 회전부
411 : 제1 베이스 판 413 : 제1 축봉
415 : 제1 회전원판 417 : 수상 바람개비
418 : 전기 모터 420 : 제2 회전부
421 : 제2 베이스판 423 : 제2 축봉
424 : 돌출봉 425 : 제2 회전원판
430 : 제1 벨트 440 : 제1 자체 발전부
441 : 원통형 케이스 442 : 탄소나노튜브 구조
443 : 제1 트위스트론 444,445 : 제1 및 제2 전극
447 : 제1 케이블 500 : 제2 무선 충전장치
510 : 헬륨 풍선 520 : 제2 자체 발전부
521 : 원통형 케이스 522 : 탄소나노튜브 구조
523 : 제2 트위스트론 524, 525 : 제2 전극
527 : 제2 케이블 1000 : 수상슈트
100: 110 on the prize chute: upper body
112: first air inlet 114: first air outlet
120: first blower 121: first wireless rechargeable battery
122: first blower power switch 123: first blower handle
124: electric motor for the first blower 125: body for the first blower
126: first blower blade 127: first blower blade protection net
128: first blower blade 130, 140: lift blade
150, 160: bubble generator 170: first waterproof pocket
200: Award Chute 210: Lower Body
212: second air inlet 214: second air outlet
220: Second blower 221: Second wireless rechargeable battery
222: power switch for the second blower 223: handle for the second blower
224: Electric motor for the second blower 225: Body for the second blower
226: second blower blade 227: second blower blade protection net
228: second blower blade 230, 240: joint spring
250,260: knee protector 252,262:
270: second waterproof pocket 300: propulsion generating part
310: belt body 320: 320a, 320b:
330: 330a, 330b: Power generating unit 331: 331a, 331b: Body
332: 332a, 332b: power switch 333: 333a, 333b: electric motor
334: 334a, 334b: battery 335: 335a, 335b:
336: 336a, 336b: tail portions 337a, 337b:
338: 338a, 338b: connecting rod 340: 340a, 340b: drive motor
342: 342a, 342b: cylinder 343: 343a, 343b: yoke
344: 344a, 344b: housing 345: 345a, 345b: piston
346: 346a, 346b: leaf spring 347: 347a, 347b: cylinder actuator
400: first wireless charging device 410: first rotating part
411: first base plate 413: first shaft rod
415: first rotating disc 417: water vane
418: electric motor 420: second rotating part
421: second base plate 423: second shaft rod
424: projecting rod 425: second rotating disk
430: first belt 440: first self-
441: Cylindrical case 442: Carbon nanotube structure
443: first twisted rhombus 444, 445: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47: first cable 500: second wireless charging device
510: Helium balloon 520: Second self-
521: Cylindrical case 522: Carbon nanotube structure
523: second twistron 524, 525: second electrode
527: Second cable 1000: Award chute

Claims (11)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조작 또는 미리 설정된 동작에 따라 공기를 내부에 주입 또는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상슈트 상의(100)와;
상기 사용자의 하체에 착용되는 수상슈트 하의(200)와;
상기 사용자의 허리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착용되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또는 미리 설정된 동작에 따라 자체 추진력을 발생시켜 물을 사용자 발바닥의 후미방향으로 밀어내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력 발생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슈트(1000).
(100) which is worn on a user's upper body and is configured to inject or discharge air into the interior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or a preset operation;
A water chute bottom 200 worn by the user's lower body;
And an urging force generating unit 300 which is worn so as to be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waist of the user and generates propulsive force to generate self propulsion forc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user or a preset operation so as to push water in a tail direction of the user's sole (10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슈트 상의(100)는,
하단부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제1 공기 주입구(112)가 형성되고, 내부는 주입된 공기가 저장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며, 필요시 내부에 저장중인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제1 공기 배출구(114)가 상단부에 형성된 상의 본체(110)와;
상기 상의 본체(1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1 방수포켓(170)의 내부에 형성된 제1 공기주입구(112)의 전단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또는 미리 설정된 동작에 따라 물속에서 바람을 발생시켜 상기 상의 본체(110)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제1 송풍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슈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100) on the water chute,
And a first air inlet 112 for injecting air into the lower end of the body 110. The first air inlet 112 for discharging air stored in the first air outlet 114 (110) formed on an upper end thereof;
And is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air inlet 112 formed in the first waterproof pocket 17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110 of the upper body, And a first blower (120) for generating air by injecting air into the main body (110) of the ima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슈트 상의(100)는,
상기 상의 본체(110)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사용자가 물속에서 엎드린 자세로 이동할 때 어께부위에 양력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양력날개(130,140)와;
상기 상의 본체(110)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물을 후미방향으로 밀어내는 추진력에 의해 회전되어 부력을 생성하기 위한 기포를 발생시키는 한 쌍의 기포 발생기(150,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슈트.
3. The method of claim 2,
(100) on the water chute,
A pair of lifting vanes (130, 140)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110) of the upper body and generating lifting force in the shoulder area when the user moves from the water to the prone position;
And a pair of bubble generators (150, 160)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10) of the image forming body to generate bubbles for generating buoyancy by being rotated by an urging force pushing water in a trailing direction. Award sui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슈트 하의(200)는 상기 사용자 또는 미리 설정된 동작에 따라 자동으로 공기를 내부에 주입 또는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슈트(10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chute bottom (200) is formed to automatically inject or discharge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water chute (200) according to the user or a preset oper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슈트 하의(200)는,
상단부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제2 공기 주입구(212)가 형성되고, 내부는 주입된 공기가 저장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며, 내부에 저장중인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제2 공기 배출구(214)가 하단부에 형성된 하의 본체(210)와;
상기 하의 본체(2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2 방수포켓(270)의 내부에 형성된 제2 공기주입구(212)의 전단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또는 미리 설정된 동작에 따라 물속에서 바람을 발생시켜 상기 하의 본체(210)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제2 송풍기(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슈트.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A second air inlet 212 for injecting air into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air conditioner 200, and a second air outlet 214 for discharging the air being stored therein A lower body 210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And is fixed to a front end portion of a second air inlet 212 formed in a second waterproof pocket 270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lower body 210. The air inlet 212 is formed in the water And a second blower (220) for generating air by injecting air into the lower body (2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슈트 하의(200)는,
상기 사용자가 수상슈트 하의(200)를 입은 상태로 물속에서 상기 사용자의 무릎관절의 회전 동작을 유연하게 만들어주기 위해 상기 하의 본체(210)의 무릎 부위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관절 스프링(230,240)과;
상기 추진력 발생부(300)에 구비된 제1 및 제2 동력발생부(330:330a,330b)를 고정하기 위해 무릎부위에 각각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대(252,26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슈트.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A pair of joint springs 230 and 240 installed on knee portions of the lower body 210 to flex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user's knee joint in the water while the user is wearing the water- and;
And a pair of fixing tables 252 and 262 fixed to the knees to fix the first and second power generating units 330 and 330a and 330b provided in the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300 And the lik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력 발생부(300)는,
상기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되도록 착용되는 벨트 본체(310)와;
상기 벨트 본체(310)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고, 지면방향으로 일정 길이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1 및 제2 지지대(320a,320b)와;
상기 제 및 제2 지지대(320a,320b)에 각각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조작 또는 미리 설정된 동작에 따라 물속에서 일방향으로 각각 반복적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행하는 제1 및 제2 동력발생부(330:330a,330b)과;
상기 제1 및 제2 동력발생부(330:330a,330b)에 각각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동력발생부(330:330a,330b)의 정회전 및 역회전동작을 이용하여 물을 상기 사용자의 후미방향으로 각각 반복적으로 밀어내도록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제1 및 제2 구동 모터(340:340a,340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슈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rust generating unit 300 may include:
A belt body 310 worn to be fixed to the waist of the user;
First and second supports 320a and 320b fix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belt body 310 and extending for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paper surface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320 and 320 are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320a and 320b,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320 and 320b repeatedly perform forward and reverse rotations in a single direction 2 power generating part 330 (330a, 330b);
The first and second power generators 330 and 330b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power generators 330 and 330a and 330b so as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power generators 330 and 330b. (340a, 340b) generating driving force to repeatedly push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340, 340a, 340b) repeatedly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us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동력발생부(330:330a,330b)는,
전원 스위치(332a,332b)를 구비한 몸체(331:331a,331b)와;
상기 몸체(331:331a,331b)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전기모터(333:333a,333b)와;
상기 몸체(331:331a,331b)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모터(333:333a,333b)에 전기를 공급하는 무선 충전용 배터리(334:334a,334b)와;
상기 무선 충전용 배터리(334:334a,334b)의 충방전 동작 또는 상기 전기모터(333:333a,333b)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35:335a,335b)와;
상기 제어부(335:335a,335b)의 제어에 따라 좌우 또는 상하방향으로 회전동작되는 꼬리부(336:336a,336b)와;
상기 주변의 물의 레벨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335:335a,335b)로 전달하기 위한 한 쌍의 수위감지센서(337a,337b)와;
상기 꼬리부(336:336a,336b)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꼬리부(336:336a,336b)의 회전동작에 따른 회전 구동력을 외부로 전달하는 커넥팅로드(338:338a,338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슈트.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or second power generating unit 330 (330a, 330b)
A body 331 (331a, 331b) having power switches (332a, 332b);
Electric motors 333 (333a, 333b) installed inside the bodies (331: 331a, 331b) and generating driving force;
A wireless rechargeable battery (334: 334a, 334b) installed inside the body (331: 331a, 331b)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electric motor (333: 333a, 333b);
A control unit (335: 335a, 335b) for controlling the charge / discharge operation of the wireless rechargeable battery (334: 334a, 334b) or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motor (333: 333a, 333b);
A tail portion 336 (336a, 336b) which is rota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r the up-down dire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portion 335 (335a, 335b);
A pair of water level sensors 337a and 337b for sensing the level of the surrounding water and delivering it to the controller 335 (335a and 335b);
And connecting rods (338: 338a, 338b) connected to the tail portions (336: 336a, 336b) for transmitting rotational driving forc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tail portions (336: 336a, 336b) to the outside, Wherein said water sucker compris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용 배터리(334:334a,334b)를 대신하여 제1 무선 충전장치(400)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무선 충전장치(400)는,
제1 베이스 판(411)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제1 축봉(413)에 삽입된 상태로 회동가능토록 설치된 제1 회전원판(415)과, 상기 축봉(413)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상 바람개비(417) 또는 전기 모터(418) 이루어진 제1 회전부(410)와;
상기 제2 베이스판(421)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제2 축봉(423)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단면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봉(424)를 구비한 제2 회전원판(425)을 구비한 제2 회전부(420)와;
상기 제1 회전부(410)의 제1 회전원판(415)과 상기 제2 회전부(420)의 제2 축봉(423) 사이에 설치된 제1 벨트(430)와;
전해질 물질이 밀봉되도록 채워진 원통형 케이스(441)와, 원통형 케이스(441)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설치되며, 탄소나노튜브 구조(442)로 형성된 제1 트위스트론(443)과, 제1 트위스트론(443)의 양측단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전극(444,445)과, 일단은 제1 트위스트론(443)의 상측 끝단부에 고정되며, 타단은 제2 회전원판(425)의 돌출봉(424)에 고정되는 제1 케이블(447)로 이루어진 제1 자체 발전부(4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슈트.
9. The method of claim 8,
A first wireless charging device 400 is provided instead of the wireless charging battery 334 (334a, 334b)
The first wireless charging device (400)
A first rotating disk 415 rotatably mounted on a first shaft rod 413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ase plate 411 and a second rotating disk 415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haft rod 413 A first rotating part 410 made up of a water vane 417 or an electric motor 418;
And a second rotary disk 423 rotatably mounted on an upper end of a second shaft rod 423 installed vertically above the second base plate 421 and having a protruding rod 424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A second rotation part 420 having a second rotation part 425;
A first belt 430 installed between the first rotating disk 415 of the first rotating part 410 and the second shaft rod 423 of the second rotating part 420;
A first twisted rhombus 443 formed of a carbon nanotube structure 442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interior of the cylindrical case 441;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44 and 445 are fixed to the upper ends of the first twisted rods 443 and the second ends of the second rotating disks 425 are fixed to the upper ends of the first twisted rods 443, And a first self-generating part (440) composed of a first cable (447) fixed to the rod (42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용 배터리(334:334a,334b)를 대신하여 제2 무선 충전장치(500)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무선 충전장치(5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헬륨 풍선(510)과;
전해질 물질이 밀봉되도록 채워진 원통형 케이스(521)와, 원통형 케이스(521)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설치되며, 탄소나노튜브 구조(522)로 형성된 제2 트위스트론(523)과, 제2 트위스트론(523)의 양측단에 각각 설치된 제2 전극(524,525)과, 일단은 제2 트위스트론(523)의 상측 끝단부에 고정되며, 타단은 헬륨 풍선(510)에 고정되는 제2 케이블(527)로 이루어진 제2 자체 발전부(5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슈트.
9. The method of claim 8,
A second wireless charging device 500 is provided instead of the wireless charging battery 334 (334a, 334b)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device (500)
At least one helium balloon (510);
A second twistron 523 formed of a carbon nanotube structure 522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cylindrical case 521 and filled with an electrolyte material to be sealed; A second cable 524 and a second cable 525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twistron 523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helium balloon 510, And a second self-power generating unit (520) composed of a first power generating unit (52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구동 모터(340:340a,340b)는,
상기 제1 또는 제2 꼬리부(336:336a,336b)의 내부에 하우징(344:344a,344b)이 삽입 설치되어, 90°정회전 및 역회전운동을 왕복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요크(343:343a,343b)와;
일측은 제1 또는 제2 동력발생부(330:330a,330b)의 꼬리부(336:336a,336b)에 연결된 커넥팅로드(338:338a,338b)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하우징(344:344a,344b)의 상기 요크(343:343a,343b)와 연결되도록 상기 실린더(342:342a,342b)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요크(343:343a,343b)의 90° 정회전 및 역회전운동에 의해 물속의 물을 후미방향으로 밀어내는 피스톤(345:345a,345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슈트.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or second driving motor 340 (340a, 340b)
A housing 344 (344a, 344b) is inserted into the first or second tail 336 (336a, 336b), and a yoke 343 (344a, 344b) 343a, 343b;
One side is connected to a connecting rod 338 (338a, 338b) connected to the tail portion 336 (336a, 336b) of the first or second power generating portion 330 (330a, 330b)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housing 344 342a and 343b of the yoke 343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yokes 343a and 343b of the yokes 343a and 344b, And a piston (345: 345a, 345b) for pushing the water in the water toward the rear direction.
KR1020180138056A 2017-12-07 2018-11-12 Water suit KR1020769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472572.4A CN109895975A (en) 2017-12-07 2018-12-04 Suit waterborne
EP18210612.0A EP3495025A1 (en) 2017-12-07 2018-12-06 Wet suit
JP2018229428A JP6717920B2 (en) 2017-12-07 2018-12-06 Water suit
US16/211,252 US10702746B2 (en) 2017-12-07 2018-12-06 Wet suit
AU2018274962A AU2018274962A1 (en) 2017-12-07 2018-12-06 Wet s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199 2017-12-07
KR20170167199 2017-1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692A true KR20190067692A (en) 2019-06-17
KR102076999B1 KR102076999B1 (en) 2020-04-07

Family

ID=67064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056A KR102076999B1 (en) 2017-12-07 2018-11-12 Water su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99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649B1 (en) * 2020-04-08 2020-09-03 대한민국 Marine workwear having safety functio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511A (en) 1993-06-02 1995-01-03 조경호 Buoyancy automatic regulator of wet suit
KR200388455Y1 (en) * 2005-04-19 2005-06-29 김정숙 Water-repellent equipment for lifesaving
US20090258554A1 (en) * 2008-04-12 2009-10-15 Hector Gutierrez Electrically powered balanced buoyancy and velocity of movement controllable life-preserving vest and transport system
KR100967491B1 (en) * 2009-10-19 2010-07-07 안재주 Life jacket with screw
KR101022974B1 (en) 2010-03-29 2011-03-22 주식회사인스타 Flight suit for airline pilots having life jack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182957B1 (en) 2011-03-16 2012-09-13 김재홍 The life jacket
KR20140120790A (en) 2013-04-03 2014-10-14 윤삼걸 Fever device is configured in a wetsuit under
KR20140005564U (en) * 2013-04-18 2014-10-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ife jacket with a function of adjusting size and buoyancy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511A (en) 1993-06-02 1995-01-03 조경호 Buoyancy automatic regulator of wet suit
KR200388455Y1 (en) * 2005-04-19 2005-06-29 김정숙 Water-repellent equipment for lifesaving
US20090258554A1 (en) * 2008-04-12 2009-10-15 Hector Gutierrez Electrically powered balanced buoyancy and velocity of movement controllable life-preserving vest and transport system
KR100967491B1 (en) * 2009-10-19 2010-07-07 안재주 Life jacket with screw
KR101022974B1 (en) 2010-03-29 2011-03-22 주식회사인스타 Flight suit for airline pilots having life jack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182957B1 (en) 2011-03-16 2012-09-13 김재홍 The life jacket
KR20140120790A (en) 2013-04-03 2014-10-14 윤삼걸 Fever device is configured in a wetsuit under
KR20140005564U (en) * 2013-04-18 2014-10-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ife jacket with a function of adjusting size and buoyanc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999B1 (en)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17920B2 (en) Water suit
US2722021A (en) Surface and sub-surface human being propulsion device
US20190106190A1 (en) Personal Watercraft for Amplifying Manual Rowing or Paddling with Propulsion
CN107487425A (en) A kind of small-sized water survival gear of wireless remote control
US20180099734A1 (en) Personal Watercraft for Amplifying Manual Rowing or Paddling with Propulsion
US6439942B1 (en) Heated liner for wearing under an upper torso garment
US7351126B2 (en) Combination wetsuit and flot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US9878211B1 (en) Propulsion system
CA1333443C (en) Inflatable immersion suit
US8851006B2 (en) Hydro-aerodynamic surfing bib affixable to a wetsuit comprising retractable removable folding revolving motorizedly steerable pectoral flippers and keels, and with built-in rechargeable battery-propelled engine and solar energy capturer/collector
KR100986412B1 (en) Jet principle using underwater propulsive equipment
US3422787A (en) Propulsion system for swimmers
US9302753B2 (en) Underwater personal mobility device with on-board oxygen
CN107715413A (en) The wearable pump in four limbs sprays the device that moves under water
CN204507220U (en) Multifunctional overwater life combination suit
KR100967491B1 (en) Life jacket with screw
KR20190049988A (en) Buoyancy suit having under water propulsion apparatus
KR102076999B1 (en) Water suit
EP1272389A4 (en) Swimmer transport device
CN207346061U (en) A kind of small-sized water survival gear of wireless remote control
CN102530202B (en) Life jacket
US2851707A (en) Swimming and diving device
CN207477895U (en) The wearable pump in four limbs sprays the device that moves under water
CN207972761U (en) Multifunctional yacht
US5619948A (en) Powered swimming a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