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7329A - Bim 기반의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Bim 기반의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7329A
KR20190067329A KR1020170167149A KR20170167149A KR20190067329A KR 20190067329 A KR20190067329 A KR 20190067329A KR 1020170167149 A KR1020170167149 A KR 1020170167149A KR 20170167149 A KR20170167149 A KR 20170167149A KR 20190067329 A KR20190067329 A KR 20190067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construction
design support
module
mod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현
엄진업
이명도
차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우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우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우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70167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7329A/ko
Publication of KR20190067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3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06F17/5004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있어서의 BIM 을 기반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듈러 건축물의 설계, 제작, 시공 및 유지관리의 모든 단계를 BIM 기반으로 통합적으로 운영하여 관리할 수 있는 BIM 기반의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BIM 기반의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Intergrated managing system based on the BIM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있어서의 BIM 을 기반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듈러 건축물의 설계, 제작, 시공 및 유지관리의 모든 단계를 BIM 기반으로 통합적으로 운영하여 관리할 수 있는 BIM 기반의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분야에 있어서 '비아이엠(BIM)'이라 함은 건축, 토목, 플랜트를 포함한 건설의 전 분야에서 건축물의 물리적 또는 기능적 특성에 의하여 건축물의 신축 및 수명 주기 동안 의사 결정을 하는데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디지털 모델과 그 작성을 위한 업무 절차를 포함하여 지칭하는 것으로서, 빌딩 정보 모델링(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의 약칭이다.
이러한 BIM 은 건축설계에 있어서 시공, 유지 관리에 이르는 건설의 전 단계를 관리하기 위한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효용성과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서 발생된 것으로서, 설계와 시공 프로세스를 관통하는 통합 데이터의 활용 가치를 인정받아 널리 활용되고 있다.
건축물의 BIM 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을 물리적 단위인 공간 객체와 부위 객체로 분류하여 목록(list)을 작성한다.
상기 공간 객체는 건축물의 층, 구역, 실 등 공간의 범위를 정의하는 객체를 말하고, 상기 부위 객체는 건축물의 공간을 둘러싸고 공간의 기능을 지원하는 시설물의 구성 요소를 말하는 것으로서 기둥, 벽, 문, 창 등과 같은 객체를 말하며, 상기 공간 객체와 상기 부위 객체에 식별, 형상, 물성, 참고 등의 각 객체별 속성을 부여한다.
건설 분야에 있어서 BIM 에 관한 공지 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0-20060 호의 세견 기반의 BIM 정보 관리 시스템, 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제 976544 호의 BIM을 활용한 공간모델링 장치 및 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제 1224627 호의 구조 비아이엠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설계 및 물량 산출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한편, 근래 건축 공법중 하나인 모듈러 건축공법에 의하여 설계되고 시공되는 모듈러 건축물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모듈러 건축공법은 건축물의 벽체, 바닥, 지붕, 욕실, 화장실, 창호, 대문 등의 건축용 단위 구성요소들을 미리 규격화시켜 놓은 모듈로 제조하고, 건축물 제작시 모듈화된 각 구성요소들을 상호 결합시켜 건축물을 시공하는 건축공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모듈러 건축물은 BIM 기반으로 운용 및 유지관리하는 기술은 개발된 바가 없어, 날로 증가 추세에 있는 모듈러 건축 전용의 BIM 기반의 통합 운영 시스템과 운영 방법을 개발할 필요성이 상존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모듈러 건축 전용의 BIM 기반의 통합 운영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모듈러 건축물의 설계, 제작, 시공 및 유지 관리에 이르는 모듈러 건축물의 건축을 위한 모든 단계를 통합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BIM 기반의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모듈러 건축물 전용 라이브러리 및 매뉴얼을 기반으로 하여 건축물을 이루는 건축용 단위 구성요소들을 모델링하여 각 단위모듈을 생성하고, 생성된 각 단위모듈들을 배치하여 건축물 모델을 생성하는 설계지원모듈과, 상기 설계지원모듈에서 모델링 완료된 건축물 모델을 로드하고, 공장제작 공정과 건축물 모델 객체를 연결하여 공장제작에 대한 전체 공정을 모니터링하는 공장제작지원모듈과, 상기 설계지원모듈에서 모델링 완료된 건축물 모델을 로드하여 현장 시공 공정을 모니터링하는 현장시공관리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BIM 기반의 건축물 전용 라이브러리 및 매뉴얼을 기반으로 하여 건축물을 이루는 건축용 단위 구성요소들을 모델링하여 각 단위모듈을 생성하고, 생성된 각 단위모듈들을 배치하여 건축물 모델을 생성하는 설계지원모듈(10); 상기 설계지원모듈(10)에서 모델링 완료된 건축물 모델을 로드하고, 공장제작 공정과 건축물 모델 객체를 연결하여 공장제작에 대한 전체 공정을 모니터링하는 공장제작지원모듈(20); 상기 설계지원모듈(10)에서 모델링 완료된 건축물 모델을 로드하여 현장 시공 공정을 모니터링하는 현장시공관리모듈(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계지원모듈(10)은, 구조해석 프로그램과 인터페이스되어 모델링 완료된 건축물 모델을 로드하여 구조해석을 실시하는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계지원모듈(10)은, 구조검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델링 완료된 건축물 모델의 구조적 안정성을 검토하는 구성 수도 있다.
상기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계지원모듈(10)은, 물량산출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건축물의 건축비용 내역서를 도출하여 시공비를 산출하는 구성 수도 있다.
상기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BIM 기반의 매뉴얼에 따라 입력된 유지관리 정보를 해당 건축물의 유지관리 시스템에 전송하여 해당 건축물의 유지관리에 활용하도록 하는 유지관리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BIM 기반의 건축물 전용 라이브러리 및 매뉴얼을 기반으로 하여 건축물을 이루는 건축용 단위 구성요소들을 모델링하여 각 단위모듈을 생성하고, 생성된 각 단위모듈들을 배치하여 건축물 모델을 생성하는 설계지원수순(S10); 상기 설계지원모듈(10)에서 모델링 완료된 건축물 모델을 로드하고, 공장제작 공정과 건축물 모델 객체를 연결하여 공장제작에 대한 전체 공정을 모니터링하는 공장제작지원수순(S20); 상기 설계지원모듈(10)에서 모델링 완료된 건축물 모델을 로드하여 현장 시공 공정을 모니터링하는 현장시공관리수순(S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설계지원수순(S10)은, 모듈러 건축물의 기본안을 설정하는 단계(S11), 상기 모듈러 건축물의 기본안을 설정하는 단계(S11)가 완료되면 BIM 기반의 건축물 전용 라이브러리 및 매뉴얼을 기반으로 하여 건축물을 이루는 단위 구성요소들을 모델링하여 각 단위모듈을 생성하는 단계(S12); 상기 단위모듈 생성단계(S12)가 완료되면 전체 건축물을 실시 설계수준으로 모델링하여 건축물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S13);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설계지원수순(S10)은, 구조해석 프로그램과 인터페이스하여 건축물 모델의 구조 검토를 실시하는 단계(S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설계지원수순(S10)은, 상기 구조 검토(S14)가 실시되면, 물량산출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건축물 모델에 대한 건축비용 내역서를 도출하여 시공비를 산출하는 단계(S15); 를 더 포함하여 구성 수도 있다.
상기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장제작지원수순(S20)은, 상기 설계지원수순(S10)에서 생성된 건축물 모델의 결과물 파일을 로드(S21)하여, 모듈의 갯수를 셋팅하고(S22), 공정을 셋팅한 후(S23). 모듈의 갯수와 공정이 셋팅되면 이를 시뮬레이션하여(S24), 전체적인 제작계획을 수립하고(S25), 공장제작에 대한 공정을 모니터링을 실시(S25)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BIM 기반의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모듈러 건축물의 설계, 제작, 시공 및 유지관리의 전과정을 BIM 기반으로 통합적으로 운영 및 관리가 가능하므로, 모듈러 건축물의 모델링과 제작 및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듈러 건축물의 설계와 제작 및 시공이 BIM 기반으로 운영될 수 있으므로 분석상의 정확성을 확보하여 모듈러 건축물의 설계 및 제작상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의 블럭다이어그램,
도 2 는 본 발명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의 상세도,
도 3 은 본 발명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방법의 플로우챠트,
도 4a 내지 도 4c 는 본 발명의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방법의 설계지원수순의 각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방법의 공장제작지원수순의 각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방법의 현장시공지원수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BIM 기반의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구성 및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의 블럭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은 BIM 기반의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은, 모듈러 건축 프로젝트의 전 생애 주기인 설계, 공장생산, 현장시공 및 유지관리 단계를 BIM 모델을 활용하여 시스템화하고, 건축 관리자가 모듈러 건축물의 건축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일종의 플랫폼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은, 설계, 공장생산, 현장시공 및 유지관리를 수행하는 각각의 전용 모듈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은, 설계지원모듈(10), 공장제작지원모듈(20) 및 현장시공지원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설계지원모듈(10)은, BIM 기반의 건축물 전용 라이브러리 및 매뉴얼을 기반으로하여 건축물을 이루는 벽체, 바닥, 지붕, 욕실, 화장실, 창호, 대문 등의 건축용 단위 구성요소들을 모델링하여 각 단위모듈을 생성하고, 생성된 각 단위모듈들을 배치하고 파라메트릭(Parametric)을 활용하여 전체 건축물을 실시 설계수준으로 모델링하여 건축물 모델을 생성하고, 마이다스(MAIDAS) 등의 공지된 구조해석 프로그램으로 직접적으로 익스포트(EXPORT,출력)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조해석을 완료한 후, 완료된 구조해석을 다시 피드백하여 나비스웍스(NavisWorks) 등의 공지된 구조검토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모델링 완료된 건축물 모델의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연동된 물량산출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건축물의 건축비용 내역서를 도출하여 시공비를 산출할 수 있는 모듈이다.
상기 설계지원모듈(20)에 의한 실시 설계수준 모델링 과정에서 활용되는 파라메트릭(Parametric)은, BIM 기반의 빌딩정보모델링 소프트웨어중 하나인 레빗(Revit)이 제공하는 좌표 및 변경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모든 모델 요소간의 관계를 말하여, 이러한 관계는 사용자가 작업하면서 직접 생성하거나 소프트웨어가 자동적으로 생성한다.
이때, 모델 요소간의 종류의 관계를 정의하는 숫자나 특징을 매개변수(Parameter)라고 하며, 이러한 것을 소프트웨어로 작업하는 것이 파라메트릭(Parametric)이다.
그러므로, 파라메트릭을 활용하면 BIM 기반의 빌딩정보모델링에서 제공하는 조정 및 생산성의 기본적인 잇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레빗(Revit)이 제공하는 좌표 및 변경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모든 모델 요소간의 관계의 예를 들면, 건축물의 바닥이나 지붕의 모서리는 외부벽과 관련되므로 외부벽이 이동되면 바닥이나 지붕이 연결된 상태로 유지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매개변수가 연관 또는 연결 중 하나가 되는 것이다.
상기 공장제작지원모듈(20)은. 상기 설계지원모듈(10)에서 모델링 완료된 건축물 모델을 로드(load)하고, 공장제작 공정과 건축물 모델 객체를 연결하여 공장제작에 대한 전체 공정을 모니터링하는 부분이다.
상기 현장시공관리모듈(30)은, 상기 설계지원모듈(10)에서 모델링 완료된 건축물 모델을 로드하고, 현장 지장물, 현장 특이사항, 양중장비 등의 모델을 추가 삽입하며, 현장 시공 공정을 모니터링하는 부분이다.
한편, 미도시되었으나 유지관리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유지관리모듈은 매뉴얼에 따라 입력된 유지관리 정보를 익스포트(EXPORT)하여 해당 건축물의 유지관리 시스템에 전송함으로써 건축물 관리자가 건축물의 유지관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의 상세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설계지원모듈(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BIM 기반의 빌딩정보모델링 소프트웨어의 파라메트릭, 라이브러리 및 메뉴얼을 참조하여, 해당 모듈러 건축물에 대한 건축분야, 토목분야, MEP 분야(Mechanical, electrical and plumbing, 기계, 전기 및 배관) 및 구조 분야의 결과물 파일들을 생성하고(도면에서는 REVIT 프로그램의 결과물인 .RVT 파일이 생성되는 것으로 도시함), 각 분야의 결과물 파일들을 설계 통합하여, 시방서, 설계도서, 구조도면, 구조물(Erection), 샵(SHOP), 단품 및 구조계산서를 생성할 수 있는 통합 결과물 파일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설계지원모듈(10)은 마이다스(MIDAS)와 같은 공지된 구조해석 프로그램과 인터페이스되어 상기 설계지원모듈(10)에서 모델링 완료된 건축물 모델을 로드하여 구조해석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계지원모듈(10)이 각 분야의 결과물 파일들을 설계 통합하여, 생성한 통합 결과물 파일(REVIT 프로그램의 경우 확장자가 NWD,NWC,IFC 인 통합 결과물 파일)은 다시 피드백되어 나비스웍스(NavisWorks) 등의 공지된 구조검토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모델링 완료된 건축물 모델의 구조적인 안정성, 간섭, 정합성, 시공성등을 검토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통합 결과물 파일은 공장제작지원모듈(20) 및 현장시공지원모듈(30)로 전송되어 각 모듈에서 활용된다.
상기 공장제작지원모듈(10)은 설계지원모듈(10)에서 모델링 완료된 건축물 모델을 로드하여 모듈러 건축물 프로젝트 지원, 제작관리 지원 및 시공관리 지원을 수행한다.
도 3 은 본 발명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방법의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방법은, 전술한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모듈러 건축 프로젝트의 전 생애 주기인 설계, 공장생산, 현장시공 및 유지관리 단계를 BIM 모델을 활용하여 시스템화하고, 건축 관리자가 모듈러 건축물의 건축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설계지원수순(S10), 공장제작지원수순(S20) 및 현장시공지원수순(S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설계지원수순(S10)은, 모듈러 건축물 전용 라이브러리 및 매뉴얼을 기반으로하여 건축물을 이루는 벽체, 바닥, 지붕, 욕실, 화장실, 창호, 대문 등의 건축용 단위 구성요소들을 모델링하여 각 단위모듈을 생성하고, 생성된 각 단위모듈들을 배치하고 파라메트릭(Parametric)을 활용하여 전체 건축물을 실시 설계수준으로 모델링하여 건축물 모델을 생성하고, 마이다스(MAIDAS) 등의 공지된 구조해석 프로그램으로 직접적으로 익스포트(EXPORT,출력)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조해석을 완료한 후, 완료된 구조해석을 다시 피드백하여 나비스웍스(NavisWorks) 등의 공지된 구조검토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모델링 완료된 건축물 모델의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연동된 물량산출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건축물의 건축비용 내역서를 도출하여 시공비를 산출할 수 있는 수순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계지원수순(S10)은,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러 건축물의 기본안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1). 상기 S11 단계는, 최상층, 기준층 또는 최하층으로 층에 대한 설정을 완료하고 모듈들의 갯수를 확정하고, 건축물의 외층 또는 내층을 설정하는 수순이다.
상기 모듈러 건축물의 기본안을 설정하는 단계(S11)가 완료되면 BIM 기반의 건축물 전용 라이브러리 및 매뉴얼을 기반으로하여 건축물을 이루는 벽체, 바닥, 지붕, 욕실, 화장실, 창호, 대문 등의 건축용 단위 구성요소들을 모델링하여 각 단위모듈을 생성하는 단계(S12)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상기 단위모듈 생성단계(S12)가 완료되면 전체 건축물을 실시 설계수준으로 모델링하여 건축물 모델을 생성하고(S13), 마이다스(MAIDAS) 등의 공지된 구조해석 프로그램으로 직접적으로 익스포트(EXPORT,출력)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조검토를 실시한다(S14).
그리고, 구조검토가 실시되면, 공지된 물량산출 프로그램을 연계하여 건축물 모델에 대한 건축비용 내역서를 도출하여 시공비를 산출하게 된다(S15).
상기 공장제작지원수순(S20)은 상기 설계지원수순(S10)에서 모델링 완료된 건축물 모델을 로드(load)하고, 공장제작 공정과 건축물 모델 객체를 연결하여 공장제작에 대한 전체 공정을 모니터링하는 수순이다.
구체적으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계지원수순(S10)에서 생성된 건축물 모델의 결과물 파일(REVIT 프로그램의 경우 확장자가 NWD,NWC,IFC 인 통합 결과물 파일)을 로드(S21)하여, 모듈의 갯수를 셋팅하고(S22), 공정을 셋팅한다(S23).
그리고, 모듈의 갯수와 공정이 셋팅되면 이를 시뮬레이션하여(S24), 전체적인 제작계획을 수립하고(S25), 이후 공장제작에 대한 공정을 모니터링한다(S25).
만일, 공정상의 일정이 변경되면(S26), 상기 공정을 셋팅하는 단계(S23)로 리턴하여 공정을 재셋팅한다.
한편, 도 5 는 공장제작지원수순(S20)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공장제작지원용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현장시공관리수순(S30)은, 상기 설계지원수순(S10)에서 모델링 완료된 건축물 모델을 로드하고, 현장 지장물, 현장 특이사항, 양중장비 등의 모델을 추가 삽입하며, 현장 시공 공정을 모니터링하는 수순이다.
도 6 은 상기 현장시공관리수순(S30)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현장시공관리용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건축물의 유지관리수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지관리수순은매뉴얼에 따라 입력된 유지관리 정보를 익스포트(EXPORT)하여 해당 건축물의 유지관리 시스템에 전송함으로써 건축물 관리자가 건축물의 유지관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순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설계지원모듈
20; 공장제작지원모듈
30; 현장시공지원모듈

Claims (10)

  1. BIM 기반의 건축물 전용 라이브러리 및 매뉴얼을 기반으로 하여 건축물을 이루는 건축용 단위 구성요소들을 모델링하여 각 단위모듈을 생성하고, 생성된 각 단위모듈들을 배치하여 건축물 모델을 생성하는 설계지원모듈(10);
    상기 설계지원모듈(10)에서 모델링 완료된 건축물 모델을 로드하고, 공장제작 공정과 건축물 모델 객체를 연결하여 공장제작에 대한 전체 공정을 모니터링하는 공장제작지원모듈(20);
    상기 설계지원모듈(10)에서 모델링 완료된 건축물 모델을 로드하여 현장 시공 공정을 모니터링하는 현장시공관리모듈(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지원모듈(10)은,
    구조해석 프로그램과 인터페이스되어 모델링 완료된 건축물 모델을 로드하여 구조해석을 실시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지원모듈(10)은,
    구조검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델링 완료된 건축물 모델의 구조적 안정성을 검토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지원모듈(10)은,
    물량산출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건축물의 건축비용 내역서를 도출하여 시공비를 산출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BIM 기반의 매뉴얼에 따라 입력된 유지관리 정보를 해당 건축물의 유지관리 시스템에 전송하여 해당 건축물의 유지관리에 활용하도록 하는 유지관리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
  6. BIM 기반의 건축물 전용 라이브러리 및 매뉴얼을 기반으로 하여 건축물을 이루는 건축용 단위 구성요소들을 모델링하여 각 단위모듈을 생성하고, 생성된 각 단위모듈들을 배치하여 건축물 모델을 생성하는 설계지원수순(S10);
    상기 설계지원모듈(10)에서 모델링 완료된 건축물 모델을 로드하고, 공장제작 공정과 건축물 모델 객체를 연결하여 공장제작에 대한 전체 공정을 모니터링하는 공장제작지원수순(S20);
    상기 설계지원모듈(10)에서 모델링 완료된 건축물 모델을 로드하여 현장 시공 공정을 모니터링하는 현장시공관리수순(S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지원수순(S10)은,
    모듈러 건축물의 기본안을 설정하는 단계(S11).
    상기 모듈러 건축물의 기본안을 설정하는 단계(S11)가 완료되면 BIM 기반의 건축물 전용 라이브러리 및 매뉴얼을 기반으로 하여 건축물을 이루는 단위 구성요소들을 모델링하여 각 단위모듈을 생성하는 단계(S12);
    상기 단위모듈 생성단계(S12)가 완료되면 전체 건축물을 실시 설계수준으로 모델링하여 건축물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S1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지원수순(S10)은,
    구조해석 프로그램과 인터페이스하여 건축물 모델의 구조 검토를 실시하는 단계(S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지원수순(S10)은,
    상기 구조 검토(S14)가 실시되면, 물량산출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건축물 모델에 대한 건축비용 내역서를 도출하여 시공비를 산출하는 단계(S15);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장제작지원수순(S20)은,
    상기 설계지원수순(S10)에서 생성된 건축물 모델의 결과물 파일을 로드(S21)하여, 모듈의 갯수를 셋팅하고(S22), 공정을 셋팅한 후(S23). 모듈의 갯수와 공정이 셋팅되면 이를 시뮬레이션하여(S24), 전체적인 제작계획을 수립하고(S25), 공장제작에 대한 공정을 모니터링을 실시(S25)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방법.
KR1020170167149A 2017-12-07 2017-12-07 Bim 기반의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673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149A KR20190067329A (ko) 2017-12-07 2017-12-07 Bim 기반의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149A KR20190067329A (ko) 2017-12-07 2017-12-07 Bim 기반의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329A true KR20190067329A (ko) 2019-06-17

Family

ID=67064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149A KR20190067329A (ko) 2017-12-07 2017-12-07 Bim 기반의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7329A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8298A (zh) * 2019-09-04 2019-12-20 北京华科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设计施工一体化可视化管理工作平台
KR102130922B1 (ko) * 2019-10-28 2020-07-07 주식회사 글로텍 3차원 Surface 지형 및 도로(Corridor) 구조물의 위치별 구간(Station) 및 객체 정보의 자동추출을 통한 구간(Station)별 3차원 Solid 절토(Cut)/성토(Fill) 지형과 도로(Corridor) 구조물 객체 자동변환 및 물량 자동생성 시스템 및 방법
CN111859515A (zh) * 2020-07-30 2020-10-30 广东天元建筑设计有限公司 基于bim技术的泵房建模方法
CN112417634A (zh) * 2020-12-07 2021-02-26 浙江大东吴集团建设有限公司 一种基于bim技术的地下室管线布置方法
CN112446083A (zh) * 2020-11-30 2021-03-05 中建八局轨道交通建设有限公司 基于bim技术的监控模拟方法
CN113642851A (zh) * 2021-07-20 2021-11-12 中国路桥工程有限责任公司 基于bim的公路桥梁建养一体化管理系统
CN114036622A (zh) * 2021-11-23 2022-02-11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装配式混凝土建筑设计及施工方法
KR20220092044A (ko) 2020-12-24 2022-07-01 (주)미래환경플랜건축사사무소 Bim을 이용한 cfd 모델 설계 시스템 및 방법
KR102461217B1 (ko) * 2021-12-29 2022-11-01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도로 디지털 데이터를 활용한 변수 기반 bim 모델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220164193A (ko) * 2021-06-04 2022-12-13 삼성물산 주식회사 파라메트릭 설계를 이용한 모듈러 건축용 자동 분할 설계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521409B1 (ko) * 2022-11-02 2023-04-14 (주)베이시스소프트 3차원 디지털 모델을 활용한 교량 설계 시스템
KR20230061143A (ko) * 2021-10-28 2023-05-08 이주나 웹 플랫폼 기반 목구조물 설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03541B1 (ko) 2023-06-27 2023-11-17 조정식 Bim을 이용한 건축설계 방법
KR102627203B1 (ko) * 2023-07-10 2024-01-19 주식회사 체인지건축사사무소 Bim 대시보드를 통한 현장 관리 시스템
KR102627202B1 (ko) * 2023-07-10 2024-01-19 주식회사 체인지건축사사무소 Bim 기반 모듈러형 건축시스템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8298A (zh) * 2019-09-04 2019-12-20 北京华科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设计施工一体化可视化管理工作平台
KR102130922B1 (ko) * 2019-10-28 2020-07-07 주식회사 글로텍 3차원 Surface 지형 및 도로(Corridor) 구조물의 위치별 구간(Station) 및 객체 정보의 자동추출을 통한 구간(Station)별 3차원 Solid 절토(Cut)/성토(Fill) 지형과 도로(Corridor) 구조물 객체 자동변환 및 물량 자동생성 시스템 및 방법
CN111859515A (zh) * 2020-07-30 2020-10-30 广东天元建筑设计有限公司 基于bim技术的泵房建模方法
CN111859515B (zh) * 2020-07-30 2024-01-23 广东天元建筑设计有限公司 基于bim技术的泵房建模方法
CN112446083A (zh) * 2020-11-30 2021-03-05 中建八局轨道交通建设有限公司 基于bim技术的监控模拟方法
CN112417634B (zh) * 2020-12-07 2023-10-20 浙江大东吴集团建设有限公司 一种基于bim技术的地下室管线布置方法
CN112417634A (zh) * 2020-12-07 2021-02-26 浙江大东吴集团建设有限公司 一种基于bim技术的地下室管线布置方法
KR20220092044A (ko) 2020-12-24 2022-07-01 (주)미래환경플랜건축사사무소 Bim을 이용한 cfd 모델 설계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64193A (ko) * 2021-06-04 2022-12-13 삼성물산 주식회사 파라메트릭 설계를 이용한 모듈러 건축용 자동 분할 설계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N113642851A (zh) * 2021-07-20 2021-11-12 中国路桥工程有限责任公司 基于bim的公路桥梁建养一体化管理系统
KR20230061143A (ko) * 2021-10-28 2023-05-08 이주나 웹 플랫폼 기반 목구조물 설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4036622A (zh) * 2021-11-23 2022-02-11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装配式混凝土建筑设计及施工方法
KR102461217B1 (ko) * 2021-12-29 2022-11-01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도로 디지털 데이터를 활용한 변수 기반 bim 모델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521409B1 (ko) * 2022-11-02 2023-04-14 (주)베이시스소프트 3차원 디지털 모델을 활용한 교량 설계 시스템
KR102603541B1 (ko) 2023-06-27 2023-11-17 조정식 Bim을 이용한 건축설계 방법
KR102627203B1 (ko) * 2023-07-10 2024-01-19 주식회사 체인지건축사사무소 Bim 대시보드를 통한 현장 관리 시스템
KR102627202B1 (ko) * 2023-07-10 2024-01-19 주식회사 체인지건축사사무소 Bim 기반 모듈러형 건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7329A (ko) Bim 기반의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Solihin et al. Classification of rules for automated BIM rule checking development
Zhao et al. Prediction system for change management in construction project
Scherer et al. BIMification: How to create and use BIM for retrofitting
Ramaji et al. Product architecture model for multistory modular buildings
Cao et al. Cross-phase product configurator for modular buildings using kit-of-parts
O’Sullivan et al. Improving building operation by tracking performance metrics throughout the building lifecycle (BLC)
de Vries et al. Generation of a construction planning from a 3D CAD model
Eastman Modeling of buildings: evolution and concepts
Tatum et al. Coordinating building systems: Process and knowledge
Hiyama et al. A new method for re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s of past projects to optimize the default configuration for performance simulations
US20140180996A1 (en) Computer Guided Model Checking System and Method
KR20220064061A (ko) 대안 복수 건축물 모델 도출 가능한 bim 기반의 모듈러 건축용 통합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Liu et al. An automatic scheduling approach: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ased onsite scheduling for panelized construction
Liu et al. Automated production planning in panelized construction enabled by integrating discrete-event simulation and BIM
An et al. Ontology-based knowledge modeling for frame assemblies manufacturing
Cao et al. An overview of configurations for industralized construction: typologies, customer requirements, and technical approaches
Kim et al. Framework for automated generation of constructible steel erection sequences using structural information of static indeterminacy variation in BIM
De Vargas et al. Guidelines to develop a BIM model focused on construction planning and control
Schlenger et al. A comprehensive data schema for digital twin construction
Tauscher et al. Automated generation of construction schedules based on the IFC object model
CN113536542A (zh) 面向需求不确定和技术快速变化的体系工程敏捷开发方法
Petkov et al. Pathway: Performance analysis and tuning using workflows
Weldu Automated generation and visualization of initial construction schedules from building information models
Mladzievskiy et al. The Use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echnology in Desig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