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7083A - Electrode assembly for rechargeable battery and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ode assembly for rechargeable battery and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7083A
KR20190067083A KR1020180109692A KR20180109692A KR20190067083A KR 20190067083 A KR20190067083 A KR 20190067083A KR 1020180109692 A KR1020180109692 A KR 1020180109692A KR 20180109692 A KR20180109692 A KR 20180109692A KR 20190067083 A KR20190067083 A KR 20190067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tress relieving
secondary battery
electrode tab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6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79224B1 (en
Inventor
최솔
엄혜리
이승재
한다운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212,322 priority Critical patent/US11056710B2/en
Publication of KR20190067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0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2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01M2/0275
    • H01M2/2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with excellent flexibility and durability for a secondary battery, and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comprises: a first electrode including a first coating part and a first uncoated part plac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coating part; a second electrode including a second coating part and a second uncoated part plac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econd coating part; a separat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at least one between a first stress relief part placed in at least a part of region of the first uncoated part and a second stress relief part placed in at least a part of region of the second uncoated part. The first and second stress relief parts are formed with a film including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hydrogenated hydrocarbon polymer, and polyethylene.

Description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ELECTRODE ASSEMBLY FOR RECHARGEABLE BATTERY AND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and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본 개시는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and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이차 전지는, 예를 들면, 양극과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로 구성된 전극 조립체가 수납된 케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또한,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는 상기 양극 및 음극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 탭이 인출된다.The secondary battery includes, for example, a case accommodating an electrode assembly composed of an anode and a cath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Also, an electrode tab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is drawn out from the case.

최근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웨어러블(wearable) 휴대폰 및 시계 등과 같이 플렉서블 전자기기의 개발 및 상용화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플렉서블 전자기기에 대한 전원 공급 장치인 이차 전지에 대해서도 플렉서블 특성 구현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Recently,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flexi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flexible displays, wearable mobile phones and watches. Accordingly,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a flexible secondary battery, which is a power supply device for such a flexible electronic device, to realize flexible characteristics.

특히,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면서도 반복적인 벤딩(bending)에도 내구성이 우수한 플렉서블 이차 전지를 구현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다.Particularly, researches are actively carried out to realize a flexible secondary battery having excellent durability with repeated bending while having flexible characteristics.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유연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having excellent flexibility and durability and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일 측면에서, 본 개시는, 제1 코팅부 및 상기 제1 코팅부의 적어도 일 측에 위치하는 제1 무지부를 포함하는 제1 전극, 제2 코팅부 및 상기 제2 코팅부의 적어도 일 측에 위치하는 제2 무지부를 포함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세퍼레이터, 그리고 상기 제1 무지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응력 완화부 및 상기 제2 무지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위치하는 제2 응력 완화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응력 완화부 및 상기 제2 응력 완화부는,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소화 탄화수소 고분자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필름으로 구성된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를 제공한다.In one aspect,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of forming a coating comprising a first electrode comprising a first coating portion and a first uncoated portion locat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coating portion, a second coating portion and a second coating portion locat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econd coating portion A second electrode including a second uncoated portion,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a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located at least in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uncocked portion, Wherein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and the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comprise at least one of a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and a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located in a partial region, wherein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and the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are made of a film comprising an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a hydrogenated hydrocarbon polymer and a polyethylene, Assembly.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는, 전술한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외장재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disclosure provides a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and an exterior membe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for the secondary battery.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는, 뛰어난 유연성을 가지면서도 반복적인 벤딩(bending)에도 내구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The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and th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remarkably improve durability even with repeated bending with excellent flexibility.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의 xy 평면을 나타낸 수평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제1 전극 탭 및 제2 전극 탭의 위치를 변경한 전극 조립체의 변형 예를 나타내었다.
도 4는 도 1에서 제1 전극 탭 및 제2 전극 탭의 형태를 변경한 전극 조립체의 변형 예를 나타내었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에 따른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의 xy 평면을 나타낸 수평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기재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기재의 제2 실시예에 다른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xy plane of the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FIG. 1;
FIG. 3 shows a modifica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in which the positions of the first electrode tab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are changed in FIG.
FIG. 4 shows a modified example of the electrode assembly in which the shapes of the first electrode tab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are changed i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xy plane of the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since the sizes and thicknesse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Also,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의 xy 평면을 나타낸 수평 단면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2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n xy plane of the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10)는, 제1 전극(11), 제2 전극(12) 및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13)를 포함한다.1 and 2, an electrode assembly 10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lectrode 11, a second electrode 12, a first electrode 11, And a separator (13)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s (12).

전극 조립체(10)는, 예를 들면, 사각 시트(sheet)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이 세퍼레이터(13)를 사이에 두고 순차로 적층 배치되어 적층형으로 구성된다. The electrode assembly 10 includes a first electrode 11 and a second electrode 12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sheet and is stacked in a stacked manner with the separator 13 interposed therebetween .

도 1 및 도 2에는 편의상 각각 하나의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만 도시하였으나, 이들이 세퍼레이터(13)를 사이에 두고 복수 개가 적층되어 전극 조립체(10)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only one first electrode 11 and one second electrode 12 are illustrated in FIGS. 1 and 2 for convenience, a plurality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1 and 12 may be stacked with the separator 13 interposed therebetween to form the electrode assembly 10 Of course.

또한, 본 개시에서,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의 극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전극(11)이 양극이고, 제2 전극(12)이 음극일 수도 있고, 제1 전극(11)이 음극이고, 제2 전극(12)이 양극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제1 전극(11)이 양극이고, 제2 전극(12)이 음극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polarities of the first electrod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12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hat is, the first electrode 11 may be an anode, the second electrode 12 may be a cathode, the first electrode 11 may be a cath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2 may be a cathode. Hereinafter, a case where the first electrode 11 is an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2 is a cathod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먼저, 세퍼레이터(13)는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을 분리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차 전지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즉, 전해질의 이온 이동에 대하여 저저항을 가지면서 전해액 함습 능력이 우수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First, the separator 13 separates the first electrod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12 and provides a passage for lithium ion. Any separator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commonly used in a secondary battery. That is, a material having a low resistance to ion movement of an electrolyte and having an excellent ability to impregnate an electrolyte can be used.

세퍼레이터(13)로는, 예를 들면, 유리 섬유, 폴리에스테르, 테프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이들의 조합물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서, 부직포 또는 직포 형태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내열성 또는 기계적 강도 확보를 위해 세라믹 성분 또는 고분자 물질이 포함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된 세퍼레이터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선택적으로 단층 또는 다층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The separator 13 may be a nonwoven fabric or a woven fabric selected from, for example, glass fiber, polyester, Teflon,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order to secure heat resistance or mechanical strength, a separator coated with a composition containing a ceramic component or a polymer material may be used, and may be optionally used as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structure

다음으로, 제1 전극(11)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진 양극 집전체와 양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양극 활물질이 코팅된 제1 코팅부(1)를 포함한다. 이때, 양극 활물질은 양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전체적으로 코팅되는 것은 아니다.Next, the first electrode 11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de of a thin metal plate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and a first coating portion 1 hav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t this time, the cathode active material is not entirely co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athode current collector.

즉, 제1 코팅부(1)의 적어도 일 측에는 제1 무지부(2)가 위치한다. 제1 무지부(2)는 양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 면 중 양극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영역, 즉, 양극 집전체가 노출되어 있는 영역과 상기 양극 집전체가 노출된 영역과 일체로 형성되어 제1 전극 탭(51)으로 작용하는 영역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전극 탭(51)은 양극 집전체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That is, the first uncoated portion 2 is locat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coated portion 1. The first uncoated portion 2 is formed integrally with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on a region where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not coated, that is, a region where the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is exposed and a region where the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is exposed, All of which serve as the electrode tabs 51. Therefore, the first electrode tab 51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결과적으로, 제1 전극(11)은 양극 활물질이 코팅된 제1 코팅부(1)와 제1 코팅부(1)의 적어도 일 측에 위치하며 양극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영역인 제1 무지부(2)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무지부(2)는 제1 코팅부(1)가 형성되지 않아 노출된 양극 집전체 영역과 상기 양극 집전체와 일체로 연결되어 제1 전극 탭(51)으로 기능하는 영역으로 구분된다. As a result, the first electrode 11 includes a first coating portion 1 coated with a cathode active material and a first non-coated portion (not shown)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coated portion 1 and not coated with the cathode active material 2). At this time, the first uncoated portion 2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exposed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region and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without forming the first coated portion 1, and is divided into a region functioning as the first electrode tab 51 do.

제1 전극 탭(51)은 제1 전극(11)을 외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tab 51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electrode 11 to an external terminal.

양극 집전체는, 예를 들면, 메쉬(mesh)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금속 포일(foil)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양극 집전체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anode current collector may be,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esh, or may be in the form of a metal foil. As the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for example,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may be used.

제1 코팅부(1)는, 예를 들면, 코발트, 망간, 니켈, 코발트산 리튬, 니켈산 리튬, 니켈 코발트산 리튬, 니켈 코발트 알루미늄산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산 리튬, 망간산 리튬 및 인산철 리튬과 같은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황화 니켈, 황화 구리, 황, 산화철, 산화 바나듐,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과 리튬과의 복합 산화물을 포함하는 슬러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coating portion 1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cobalt, manganese, nickel, lithium cobalt oxide, lithium nickel oxide, lithium nickel cobaltate, lithium nickel cobalt aluminum oxide, lithium nickel cobalt manganese oxide, lithium manganese oxide and iron phosphate May be formed using a lithium transition metal oxide such as lithium or formed using a slurry containing a complex oxide of lithium and metal selected from nickel sulfide, copper sulfide, sulfur, iron oxide, vanadium oxide, and combinations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2 전극(12)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진 음극 집전체와 음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음극 활물질이 코팅된 제2 코팅부(3)를 포함한다. 이때, 음극 활물질은 음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전체적으로 코팅되지 않는다.The second electrode 12 includes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de of a thin metal plate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and a second coating portion 3 coated with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t this time,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not entirely co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즉, 제2 코팅부(3)의 적어도 일 측에는 제2 무지부(4)가 위치한다.That is, the second uncoated portion 4 is locat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econd coated portion 3.

제2 무지부(4)는 음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 면 중 음극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영역, 즉, 음극 집전체가 노출되어 있는 영역과 상기 음극 집전체가 노출된 영역과 일체로 형성되어 제2 전극 탭(52)으로 작용하는 영역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제2 전극 탭(52)은 음극 집전체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uncoated portion 4 is formed integrally with at least on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on a region where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not coated, that is, a region where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is exposed and a region where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is exposed, All of which serve as the electrode tabs 52. Therefore, the second electrode tab 52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결과적으로, 제2 전극(12)은 음극 활물질이 코팅된 제2 코팅부(3)와 제2 코팅부(3)의 적어도 일 측에 위치하며 음극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영역인 제2 무지부(4)를 포함한다. 이때, 제2 무지부(4)는 제2 코팅부(3)가 형성되지 않아 노출된 음극 집전체 영역과, 상기 음극 집전체와 일체로 연결되어 제2 전극 탭(52)으로 기능하는 영역으로 구분된다. As a result, the second electrode 12 is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econd coating portion 3 coated with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second coated portion 3, and the second uncoated portion 4). At this time, the second uncoated portion 4 is formed with the exposed negative current collector region where the second coated portion 3 is not formed, and a region tha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and functions as the second electrode tab 52 Respectively.

제2 전극 탭(52)은 제2 전극(12)을 외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tab 52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electrode 12 to the external terminal.

음극 집전체는, 예를 들면, 메쉬(mesh)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금속 포일(foil)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음극 집전체로는, 예를 들면, 구리 또는 구리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anode current collector may be,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esh, or may be in the form of a metal foil. As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for example, copper or a copper alloy can be used.

제2 코팅부(3)는, 예를 들면, 결정질 탄소, 비정질 탄소, 탄소 복합체, 탄소 섬유 등의 탄소 재료, 리튬 금속, 금속 산화물 및 리튬 합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coating portion 3 is formed using a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of a carbon material such as crystalline carbon, amorphous carbon, carbon composite, and carbon fiber, a lithium metal, a metal oxide, and a lithium alloy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이 세퍼레이터(13)를 사이에 두고 적층된 상태에서, 제1 전극 탭(51) 및 제2 전극 탭(52)은, 전극 조립체(10)의 폭 방향(x축 방향)의 양측으로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2에서 제1 전극 탭(51)은 전극 조립체(10)의 폭 방향(x축 방향) 우측에 배치되고, 제2 전극 탭(52)은 전극 조립체(10)의 폭 방향(x축 방향) 좌측에 제1 전극 탭(51)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tab 51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52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electrode tab 11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12 are stacked with the separator 13 interposed therebetween. Can be alternately arrang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2, the first electrode tab 51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in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52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The first electrode tab 5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tab 5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한편, 본 개시에 따른 전극 조립체(10)에서 제1 무지부(2)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제1 응력 완화부(P1)가 위치한다. 또한, 제2 무지부(4)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제2 응력 완화부(P2)가 위치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lectrode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P1 is located at least in a region of the first uncoated portion 2. In addition, the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P2 is located in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uncoated portion 4.

도 2에는 제1 응력 완화부(P1)는 제1 무지부(2) 상에 위치하며, 제1 코팅부(1)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2 응력 완화부(P2)는 제2 무지부(4) 상에 위치하며, 제2 코팅부(3)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2,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P1 is located on the first non-coated portion 2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ated portion 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P2 is disposed on the second non- Is disposed on the non-coated portion (4)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oating portion (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즉, 제1 응력 완화부(P1)는 제1 무지부(2) 중 제1 전극 탭(51)으로 기능하는 영역의 일부에 위치하고, 제2 응력 완화부(P2)는 제2 무지부(4) 중 제2 전극 탭(52)으로 기능하는 영역의 일부에 위치한다. That is,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P1 is located in a portion of the first uncoated portion 2 that functions as the first electrode tab 51 and the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P2 is located in the second uncoated portion 4 Of the second electrode tab 52. The second electrode tab 52 is a part of the second electrode tab 52,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개시의 전극 조립체는 제1 응력 완화부 및 제2 응력 완화부 중 하나만 포함할 수도 있음을 물론이다. 다만, 이차 전지의 내구성 향상 측면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10)에는 제1 응력 완화부(P1) 및 제2 응력 완화부(P2)가 모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Needless to say, the electrode assembly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only one of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and the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both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P1 and the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P2 are inclu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erms of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secondary battery.

구체적으로, 제1 응력 완화부(P1) 및 제2 응력 완화부(P2)는, 각각,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소화 탄화수소 고분자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P1 and the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P2 may be composed of a film containing an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a hydrogenated hydrocarbon polymer, and polyethylene, respectively.

이때, 제1 응력 완화부(P1) 및 제2 응력 완화부(P2)를 구성하는 상기 필름은, 예를 들면, 상기 필름 전체를 기준으로,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35 중량 내지 45 중량%, 상기 수소화 탄화수소 고분자 35 중량 내지 45 중량%, 및 상기 폴리에틸렌 10 중량% 내지 2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lm constituting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P1 and the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P2 is, for example, based on the entirety of the film, from 35 to 45% by weight of an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From 35 to 45% by weight of a hydrocarbon polymer, and from 10 to 25% by weight of the polyethylene.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응력 완화부(P1) 및 제2 응력 완화부(P2)를 구성하는 필름은, 예를 들면, 상기 필름 전체를 기준으로,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35 중량 내지 45 중량%, 상기 수소화 탄화수소 고분자 35 중량 내지 45 중량%, 및 상기 폴리에틸렌 10 중량% 내지 25 중량%를 포함할 수도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lm constituting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P1) and the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P2) is, for example, from 35 to 45% by weight of an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based on the whole film, 35 to 45 wt% of a hydrogenated hydrocarbon polymer, and 10 to 25 wt% of the polyethylene.

한편, 상기 필름은 80℃ 내지 200℃ 범위, 보다 구체적으로 170℃ 내지 190℃ 범위 에서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름에 전술한 범위로 열을 가하여 용융시킨 후 제1 무지부(2)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제2 무지부(4)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각각 도포한 후 냉각시킴으로써 제1 응력 완화부(P1) 및 제2 응력 완화부(P2)를 형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lm may have an adhesive strength in a range of 80 ° C to 200 ° C, more specifically 170 ° C to 190 ° C. Therefore, after the film is melted by applying heat to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film is coated on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uncoated portion 2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uncoated portion 4,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P1 and the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P2 can be formed.

일반적으로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이차 전지도 반복적으로 벤딩(bending)되는 경우에는, 음극 및 양극과 각각 연결되어 외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갖는 무지부 영역에 압축응력(compressive stress) 및 인장 응력(tensile stress)을 지속적으로 받기 때문에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지부 영역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양극 및 음극의 직접 접촉에 의해 내부 단락(short circuit)이 발생할 수 있다. Generally, when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is repeatedly bended, compressive stress and tensile stress (tensile stress) are applied to an uncoated region having a function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terminal, tensile stress) can be easily damaged. If the uncoated region is damaged, an internal short circuit may occur due to direct contact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또는 상기 무지부 영역이 전해액 내에서 접착력이 유지되지 않아 양극 및 음극의 직접 접촉에 의해 내부 단락(short circuit)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Or the uncoated region does not maintain the adhesive force in the electrolyte, so that an internal short circuit may occur due to direct contact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그러나, 본 개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무지부(2)의 적어도 일부 영역 및 제2 무지부(4)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각각 제1 응력 완화부(P1) 및 제2 응력 완화부(P2)를 위치시킴으로써 본 개시에 따른 전극 조립체(10)를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이차 전지에 적용하는 경우, 전술한 것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present disclosur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P1 and the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are provided in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uncoated portion 2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uncoated portion 4, P2, the above-described problems can be solved when the electrode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applied to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즉, 본 개시에 따른 전극 조립체(10)를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이차 전지에 적용함으로써, 뛰어난 유연성을 가지면서도 반복적인 벤딩(bending)에도 불구하고 무지부 중 각 전극을 외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전극 탭 영역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In other words, by applying the electrode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o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it is possible to electrically connect each electrode in the non-solid portion to the external terminal in spite of repeated bending while having excellent flexibility And the durability of the electrode tab region can be remarkably improved.

도 3에는 도 2에서 제1 전극 탭 및 제2 전극 탭의 위치를 변경한 전극 조립체의 변형 예를 나타내었다. FIG. 3 shows a modifica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in which the positions of the first electrode tab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are changed in FIG.

도 3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전극 조립체(10)에서 제1 및 제2 전극 탭(51, 52)은 전극 조립체(1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고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전극 탭(51)은 전극 조립체(1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의 일 측에 위치하고, 제2 전극 탭(52)은 전극 조립체(10)의 길이 방향(y축 방향) 타 측에 위치할 수 있다.3,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51 and 52 in the electrode assembly 10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positioned facing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That is, the first electrode tab 51 is locat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52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located on the other side.

본 변형예에서 제1 전극 탭(51) 및 제2 전극 탭(52)의 위치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각 구성과 동일한 바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In this modified example, other configurations except for the positions of the first electrode tab 51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52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It will be omitted.

도 4에는 도 1에서 제1 전극 탭 및 제2 전극 탭의 형태를 변경한 전극 조립체의 변형 예를 나타내었다.FIG. 4 shows a modified example of the electrode assembly in which the shapes of the first electrode tab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are changed in FIG.

도 4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전극 조립체(10)에서 제1 및 제2 전극 탭(51, 52)은 그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511, 5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 탭(51, 52)에 절곡부(511, 521)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구조적으로 탄성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전극 탭(51, 52)과 리드 탭(도시하지 않음)이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n the electrode assembly 10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51 and 52 may include bent portions 511 and 521 b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51 and 52 may be structurally resilient by including the bent portions 511 and 521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51 and 52 Lead tabs (not shown) can be connected more stably.

이 때, 상기 제1 및 제2 응력 완화부(P1, P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부(511, 521)와 중첩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절곡부(511, 521)와 중첩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는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4, the first and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s P1 and P2 may be overlapped with the bending portions 511 and 521 or may be overlapped with the bending portions 511 and 521,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본 변형예에서 제1 전극 탭(51) 및 제2 전극 탭(52)이 절곡부(511, 521)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각 구성과 동일한 바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1 and 2, except that the first electrode tab 51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52 include the bent portions 511 and 521 in this modified example, Which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is omitted here.

도 5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의 xy 평면을 나타낸 수평 단면도이다.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6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n xy plane of the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FIG.

본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described in Figs. 1 to 4 will not be described, and different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1 응력 완화부(P1)는, 제1 무지부(2)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응력 완화부의 일 측이 상기 제1 코팅부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5 and 6,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P1 is located on the first uncoated portion 2, and one side of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coating portion .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1 코팅부(1)는 양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 전체에 위치하며, 양극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아 양극 집전체가 노출되는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응력 완화부(P1)는 제1 전극 탭(51)으로 기능하는 제1 무지부(1) 영역에 위치하며, 제1 코팅부(1)와 접촉하는 영역까지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ating portion 1 is located on at least one entire surface of the cathode current collector, and does not include the region where the cathode current collector is exposed because the cathode active material is not coated.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P1 is formed in a region extending from the first uncoated portion 1 which functions as the first electrode tab 51 to a region in contact with the first coated portion 1, .

한편, 제2 코팅부(3)는 음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 전체에 위치하며, 음극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아 음극 집전체가 노출되는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제2 응력 완화부(P2)는 제2 전극 탭(52)으로 기능하는 제2 무지부(3) 영역에 위치하며, 제2 코팅부(3)와 접촉하는 영역까지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ating portion 3 is located on at least one entir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does not include a region where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exposed because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not coated. The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P2 is located in the region of the second uncoated portion 3 functioning as the second electrode tab 52 and formed in a shape extending to the region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ating portion 3 .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응력 완화부(P1, P2) 각각의 면적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1 및 제2 응력 완화부(P1, P2) 각각의 면적 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area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s P1 and P2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s P1, and P2, respectively.

제1 및 제2 응력 완화부(P1, P2)가 본 실시예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10)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When the first and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s P1 and P2 are formed as in this embodiment, the durability of the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ssembly 10 can be further improved.

도 7은 본 기재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FIG.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전술한 전극 조립체(10) 중 하나의 형태일 수 있고, 이러한 전극 조립체(10)를 수용하며 가요성을 갖는 외장재(15)를 포함한다. 도 8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 전극 조립체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따라서, 도 3, 도 4 및 도 5와 6을 참고하여 설명한 전극 조립체가 수납될 수도 있음을 물론이다. 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n the form of one of the electrode assemblies 10 described above, 15). In FIG. 8, the electrode assemb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FIG. 2 is exemplarily shown.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electrode assemb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4, 5, and 6 may be housed.

전극 조립체(10)에 대한 내용은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The details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and thus will not be described here.

외장재(15)에는 전극 조립체(10)와 함께 전해액이 수용될 수 있다.The electrolyte 15 can be accommodated together with the electrode assembly 10.

전해액은, 예를 들면,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 디메틸 카보네이트 (DMC)와 같은 유기 용매에 LiPF6, LiBF4와 같은 리튬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해액은 액체, 고체 또는 겔상일 수 있다.Electrolyte solution, for example, ethylene carbonate (EC), propylene carbonate (PC), diethyl carbonate (DEC), ethylmethyl carbonate (EMC), in an organic solvent such as dimethyl carbonate (DMC), such as LiPF 6, LiBF 4 Lithium salt. The electrolytic solution may be liquid, solid or gel.

전극 조립체(10)는 전극 조립체의(10)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외장재(15)에 수용된다. 이때, 제1 전극 탭(51) 및 제2 전극 탭(52)은 외장재(15)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형성된다.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housed in a pair of facings 15 locat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tab 51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52 are formed to be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member 15.

본 실시예에서, 제1 전극 탭(51) 및 제2 전극 탭(52)은 각각 외장재(15)와 접촉하는 부분이 절연 테이프(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감싸진 후, 외장재(15)에 수용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tab 51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52 are formed so that the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tab 51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52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case member 15 is covered with an insulating tape .

도 8을 참조하면, 한 쌍의 외장재(15)는 각각 최외곽으로부터 순서대로 적층되는 외부 수지층(15a), 투습 방지층(15b) 및 내부 수지층(15c)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the pair of outer casings 15 includes an outer resin layer 15a, a moisture permeation preventive layer 15b, and an inner resin layer 15c, which are stacked in order from the outermost portion.

외부 수지층(15a)은 보호층으로 기능하며 이차 전지(100)의 최외곽에 위치한다. The outer resin layer 15a functions as a protective layer and is located at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

외부 수지층(15a)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및 나일론필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outer resin layer 15a is compos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butylene naphthalate, copolymerized polyester, polycarbonate and nylon fil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외부 수지층(15a)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 내지 100㎛, 보다 구체적으로 10㎛ 내지 50㎛ 범위일 수 있다. 외부 수지층(15a)의 두께가 10㎛ 이상인 경우에는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쉽게 손상되지 않고, 100㎛ 이하인 경우에는 사출, 포밍 등의 성형성이 우수하며, 이차 전지(100)에 적용하는 경우 단위 부피당 우수한 전지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external resin layer 15a may be, for example, in the range of 10 탆 to 100 탆, more specifically in the range of 10 탆 to 50 탆. When the thickness of the external resin layer 15a is 10 mu m or more, it is not easily damaged because of its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When the thickness is 100 mu m or less, the moldability such as injection and forming is excellent. When applied to the secondary battery 100 An excellent battery capacity per unit volume can be secured.

외부 수지층(15a)의 전극 조립체(10)가 위치하는 측의 일면에는 투습 방지층(15b)이 위치한다. 투습 방지층(15b)은 전해액이 누액되거나 수분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리어층으로 작용하는 중간층이다. 투습 방지층(15b)은 박형의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ve layer 15b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side of the external resin layer 15a where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located.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ve layer 15b is an intermediate layer serving as a barrier layer that can prevent leakage of electrolyte or penetration of moisture and the like.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ve layer 15b may be formed of a thin plate-like member.

투습 방지층(15b)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ve layer 15b may be made of, for example, aluminum and an aluminum alloy.

투습 방지층(15b)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 내지 100㎛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10㎛ 내지 50㎛ 또는 10㎛ 내지 30㎛ 범위일 수 있다. 투습 방지층(15b)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가공성이 우수하면서도 전해액 누액이나 외부로부터 수분 등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layer 15b may be, for example, 10 占 퐉 to 100 占 퐉, and more specifically, 10 占 퐉 to 50 占 퐉 or 10 占 퐉 to 30 占 퐉. When the thickness of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layer 15b satisfies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penetration of electrolyte leakage and moisture or the like from the outside with excellent workability.

내부 수지층(15c)은 투습 방지층(15b)의 일 면에 위치하며, 외부 수지층(15a)이 위치하는 면의 반대 면에 위치한다. 또한, 내부 수지층(15c)은 절연 및 열 융착 기능을 가질 수 있다. The inner resin layer 15c is located on one surface of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ve layer 15b and is locat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urface where the outer resin layer 15a is located. In addition, the inner resin layer 15c may have insulation and heat fusion function.

내부 수지층(15c)은,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올레핀의 공중합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poly ethylene, P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PP)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inner resin layer 15c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copolymer of a polyolefin or a polyolefin. More specifically, the polyolefin may be composed of polyethylene (PE) or polypropylene (PP) But is not limited thereto.

내부 수지층(15c)의 두께는 10 ㎛ 내지 100㎛,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50㎛ 범위일 수 있다. 내부 수지층(15c)의 최대 두께가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성형성, 접착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다. The thickness of the inner resin layer 15c may be in the range of 10 탆 to 100 탆, more specifically in the range of 20 탆 to 50 탆. When the maximum thickness of the internal resin layer 15c satisfies the above numerical range, the moldability, adhesion and chemical resistance are excellent.

한 쌍의 외장재(15)는 내부에 전극 조립체(10)를 위치시킨 후 테두리에 가스켓을 개재시켜 밀봉할 수도 있고, 별도의 가스켓을 구비하지 않고 내부 수지층(15c)들을 상호 융착시켜 밀봉할 수도 있다. The pair of outer sheaths 15 may be sealed with a gasket interposed therebetween after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positioned in the inner portion. Alternatively, the inner resin layers 15c may be sealed and sealed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gasket have.

도 9는 본 기재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described in Figs. 7 and 8 are not described, and different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에 포함되는 전극 조립체(10)에서 제1 응력 완화부(P1) 및 제2 응력 완화부(P2) 중 적어도 하나는, 한 쌍의 외장재(15)의 테두리 중 일부와 접촉하는 영역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at least one of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P1 and the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P2 in the electrode assembly 10 included in th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air of And may extend to a region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rim of the casing 15.

도 9에는 도 5의 전극 조립체에서 제1 응력 완화부(P1) 및 제2 응력 완화부(P2)가 외장재(15)의 테두리 중 일부와 접촉하는 영역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 전극 조립체가 수납되는 경우에도 제1 응력 완화부(P1) 및 제2 응력 완화부(P2)가 외장재(15)의 테두리 중 일부와 접촉하는 영역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FIG. 9 exemplarily shows a case where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P1 and the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P2 of the electrode assembly of FIG. 5 are extended to a region contacting with a part of the rim of the casing 15 . Therefore, even when the electrode assemb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is accommodated,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P1 and the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P2 extend to a region where they contact with a part of the rim of the casing 15 Of course.

이 경우 전극 조립체(10)를 외장재(15)에 수납하는 공정에서 제1 및 제2 전극 탭(51, 52)이 외장재(15)와 접촉하는 부분에 절연 테이프 등을 피복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In this case, in the step of housing the electrode assembly 10 in the casing 15, it is not necessary to cover the insulating tape 15 or the like at the por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51 and 52 are in contact with the casing 15, do.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실시예Example 1 One

사각 시트 형상의 양극, 음극 및 세퍼레이터를 복수 개 준비하였다.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s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sheet,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were prepared.

이때, 양극 무지부 및 음극 무지부에는 각각 양극 탭 및 음극 탭을 일체로 형성하였다. At this time,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were integrally formed on the uncoated portion and the non-coated portion, respectively.

필름 A를 175℃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이를 각 전극의 코팅부와 소정 간격 이격된 무지부(탭 부분)의 일부에 도포하여 도 1과 같은 형태로 제1 응력 완화부 및 제2 응력 완화부가 각각 형성된 양극 및 음극을 제조하였다.The film A was melted by heating at 175 DEG C and then applied to a part of the non-coated portion (tab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coating portion of each electro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and the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Thereby preparing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respectively.

이 후 양극 및 음극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복수 개 적층한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였다.Thereafter, a plurality of electrode assemblies were produced by interposing a separator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상기 전극 조립체를 한 쌍의 외장재 사이에 위치시킨 후 외장재의 테두리를 밀봉하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The electrode assembly was placed between a pair of outer sheaths, and then the rim of the outer sheath was sealed to manufacture a secondary battery.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One

제1 응력 완화부 및 제2 응력 완화부로 사용할 필름으로 175℃에서 가열하여 용융 가능한 필름 B를 준비하였다. A film B to be melted was prepared by heating at 175 캜 with a film to be used as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and the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 2

제1 응력 완화부 및 제2 응력 완화부로 사용할 필름으로 175℃에서 가열하여 용융 가능한 필름 C를 준비하였다. A film C to be melted was prepared by heating at 175 ° C with a film to be used as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and the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3 3

제1 응력 완화부 및 제2 응력 완화부로 사용할 필름으로 175℃에서 가열하여 용융 가능한 필름 D를 준비하였다. A film D to be melted was prepared by heating at 175 ° C with a film to be used as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and the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4 4

제1 응력 완화부 및 제2 응력 완화부로 사용할 필름으로 175℃에서 가열하여 용융 가능한 필름 E를 준비하였다. A film E to be melted was prepared by heating at 175 DEG C with a film to be used as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and the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5 5

제1 응력 완화부 및 제2 응력 완화부로 사용할 필름으로 175℃에서 가열하여 용융 가능한 필름 F를 준비하였다. A film F to be melted was prepared by heating at 175 DEG C with a film to be used as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and the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6 6

양극 무지부 및 음극 무지부에 각각 양극 탭 및 음극 탭을 용접으로 연결시킨 후 제1 및 제2 응력 완화부를 형성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A secondary battery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were respectively weld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and then the first and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s were not formed.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사용한 필름 A 내지 필름 F의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The compositions of the films A to F us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are shown in Table 1 below.

구분division 구성Configuration 필름 AFilm A 폴리올레핀 필름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40wt% + 수소화 탄화수소 고분자 40wt% + 폴리에틸렌 20wt%)Polyolefin film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40 wt% + hydrogenated hydrocarbon polymer 40 wt% + polyethylene 20 wt%) 필름 BFilm B 폴리아마이드 필름Polyamide film 필름 CFilm C 폴리에스터 필름Polyester film 필름 DFilm D 폴리우레탄 필름Polyurethane film 필름 EFilm E 폴리올레핀 필름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50wt% + 수소화 탄화수소 고분자 40wt% + 폴리에틸렌 10wt%) Polyolefin film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50 wt% + hydrogenated hydrocarbon polymer 40 wt% + polyethylene 10 wt%) 필름 FFilm F 폴리올레핀 필름(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50wt% + 수소화 탄화수소 고분자 50wt%)Polyolefin film (50 wt% of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 50 wt% of hydrogenated hydrocarbon polymer)

실험예 1 - 부착력 테스트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준비한 필름 A 내지 필름 F에 대하여 부착력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Experimental Example 1-Adhesion Test Adhesion tests were conducted on Film A to Film F prepar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부착력 테스트는 80mm×20mm 크기의 알루미늄 포일(foil)과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사용한 필름 A 내지 필름 F를 준비한 후 알루미늄 포일과 각 필름의 한쪽 끝을 서로 열 부착 한 후 부착되지 않은 다른 쪽을 각각 인장시험기(Tinius olsen社의 HT400)에 고정한다. The adhesion test was carried out by preparing an aluminum foil having a size of 80 mm x 20 mm and the films A to F us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and then attaching the aluminum foil and one end of each film to each other,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each of the tensile tester (HT400 of Tinius olsen).

이후 열 부착되지 않은 알루미늄 포일과 각 필름의 끝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잡아당겨 부착력을 측정한다. The adhesive force is then measured by pulling the ends of each film with an unattached aluminum foil in different directions at a constant speed.

구분division 부착력 (N/mm)Adhesive force (N / mm) 실시예 1Example 1 0.8260.826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0.2190.219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0.2560.256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0.4010.401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0.6620.662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0.5310.531

표 2를 참고하면,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필름 A의 경우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에서 사용한 필름 B 내지 필름 F와 비교할 때 알루미늄 포일과 의 부착력이 현저하게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from Table 2,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film A used in Example 1 has remarkably excellent adhesion to aluminum foil as compared with the films B to F used in Comparative Examples 1 to 5.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2 - 인장력 테스트  2 - Tension Test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에 준비한 필름 A 내지 필름 F에 대하여 인장력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A tensile test was conducted on the films A to F prepar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일정한 규격의 알루미늄 포일과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사용한 필름 A 내지 필름 F을 각각 부착한 샘플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6의 경우 필름이 알루미늄 포일만으로 이루어진 샘플을 준비하였다. Samples having aluminum foils of a certain standard and the films A to F us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respectively, were prepared.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6, a sample in which the film was composed of aluminum foil alone was prepared.

이후 각 샘플에 대하여 인장 시험기(Tinius olsen社 HT400)를 이용하여 인장력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Each sample was then subjected to a tensile test using a tensile tester (HT400 from Tinius olsen).

인장력 테스트 결과,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필름 A를 부착하여 제조한 샘플 외에 다른 샘플들은 모두 알루미늄 포일과 필름의 파단이 동시에 진행되지 않고, 알루미늄 포일의 파단이 먼저 일어난 뒤에 필름 층이 파단되었다. 이는 충분한 부착이 되지 않아 필름이 알루미늄 포일의 파단을 충분히 지연시키지 못했음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연신율 및 탄성 변형률 데이터를 얻기가 어려웠다. As a result of the tensile strength test, in all the samples other than the sample prepared by attaching the film A used in Example 1, the fracture of the aluminum foil and the film did not proceed at the same time. This means that the film was not sufficiently adhered and the film failed to sufficiently retard the fracture of the aluminum foil, and thus it was difficult to obtain elongation and elastic strain data.

따라서, 하기 표 3에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6에 대한 인장력 테스트 결과만을 나타내었다. Therefore, only the tensile test results for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6 are shown in Table 3 below.

구분division 연신율(%)Elongation (%) 탄성 변형률(%)Elastic strain (%) 실시예 1Example 1 6.36.3 0.850.85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1.11.1 0.580.58

가장 우수한 부착력을 나타낸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필름 A를 부착하여 제조한 샘플은 인장력 테스트 결과 알루미늄 포일과 필름 A의 파단이 동시에 발생하였으며, 이는 충분한 부착력을 갖고 필름 A가 알루미늄 포일의 파단을 최대한 지연시켰음을 나타낸다. 또한, 표 3을 참고하면,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필름 A를 부착한 샘플의 경우, 비교예 6과 같이 응력 완화부 없이 알루미늄 포일만으로 이루어진 샘플에 대한 인장력 테스트 결과와 비교할 때, 연신율 및 탄성 변형률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tensile test, the sample produced by attaching the film A used in Example 1 exhibiting the best adhesive force simultaneously fractured the aluminum foil and the film A, which caused the film A to delay the breaking of the aluminum foil as much as possible with sufficient adhesion . Further, with reference to Table 3, in the case of the sample with the film A used in Example 1, as compared with the result of the tensile test on the sample made only of the aluminum foil without the stress relieving portion as in Comparative Example 6, the elongation and the elastic strain It can be confirmed that remarkably improved.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3 -  3 - 벤딩Bending 테스트  Test

실시예 1 및 비교예 6에 따른 이차 전지에 대하여 벤딩 테스트 및 벤딩 테스트를 실시하기 전과 후에 대한 이차 전지의 성능을 측정하였다.The performance of the secondary batteries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6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bending test and the bending test.

(1) 용량 유지율이 90% 이상을 유지하는 상태까지 가능한 (1)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apacity retention rate of 90% or more 벤딩Bending 횟수 Number of times

실시예 1 및 비교예 6에 대한 이차 전지에 대하여 0.5C로 충방전을 실시한 후, 용량 유지율이 90% 이상을 유지하는 상태까지 가능한 벤딩 횟수를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The secondary battery for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6 was charged and discharged at 0.5 C, and the number of times of bending possible to maintain the capacity retention rate at 90% or more was measured and shown in Table 4 below.

구분division 벤딩 횟수Bending times 실시예 1Example 1 20,000회 이상More than 20,000 times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1,000 이하1,000 or less

(2) 벤딩 횟수에 따른 방전 용량 및 용량 유지율벤딩 횟수에 따른 방전 용량 및 용량 유지율을 각각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2) to respectively measure the discharging capacity and the capacity upkeep ratio of the discharge capacity and capacity retention ratio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for bending the bending number of times shown in Table 5.

구분division 0회0 times 1000회1000 times 20,000회20,000 times 50,000회50,000 times 방전
용량
(mAh)
Discharge
Volume
(mAh)
방전용량
(mAh)
Discharge capacity
(mAh)
용량
유지율
(%)
Volume
Retention rate
(%)
방전
용량
(mAh)
Discharge
Volume
(mAh)
용량
유지율
(%)
Volume
Retention rate
(%)
방전
용량
(mAh)
Discharge
Volume
(mAh)
용량
유지율
(%)
Volume
Retention rate
(%)
실시예 1Example 1 37.237.2 37.037.0 99.599.5 36.836.8 98.898.8 30.230.2 81.281.2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39.439.4 19.719.7 5050 측정 불가Not measurable 측정 불가Not measurable

표 4 및 표 5를 참고하면,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소화 탄화수소 고분자 및 폴리에틸렌을 특정 함량으로 포함하는 필름 A를 제1 및 제2 응력 완화부로 적용한 실시예 1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경우, 제1 및 제2 응력 완화부를 형성하지 않는 비교예 6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와 비교할 때 우수한 벤딩 특성을 가짐과 동시에 우수한 용량 유지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s 4 and 5, in the cas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Example 1 in which the film A containing the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the hydrogenated hydrocarbon polymer and the polyethylene in a specific amount was applied as the first and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s, And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6 in which the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is not formed, as compared with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6, and exhibits excellent capacity retention ratio.

이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기재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기재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기재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hall include all modifications of the scope which are deemed to be equivalent.

10: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1: 제1 코팅부
2: 제1 무지부
3: 제2 코팅부
4: 제2 무지부
11: 제1 전극
12: 제2 전극
13: 세퍼레이터
51: 제1 전극 탭
52: 제2 전극 탭
15: 외장재
P1: 제1 응력 완화부
P2: 제2 응력 완화부
10: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ssembly
1: first coating portion
2:
3: Second coating part
4:
11: first electrode
12: Second electrode
13: Separator
51: first electrode tab
52: second electrode tab
15: Outer material
P1: first stress relaxation portion
P2: the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Claims (16)

제1 코팅부 및 상기 제1 코팅부의 적어도 일 측에 위치하는 제1 무지부를 포함하는 제1 전극;
제2 코팅부 및 상기 제2 코팅부의 적어도 일 측에 위치하는 제2 무지부를 포함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세퍼레이터; 그리고
상기 제1 무지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응력 완화부 및 상기 제2 무지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위치하는 제2 응력 완화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응력 완화부 및 상기 제2 응력 완화부는,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소화 탄화수소 고분자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필름으로 구성된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A first electrode including a first coating portion and a first non-coating portion located at least on one side of the first coating portion;
A second electrode including a second coating portion and a second non-coating portion locat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econd coating portion;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At least one of a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located in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uncoated portion and a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located in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uncoated portion,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and the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may include:
An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a hydrogenated hydrocarbon polymer, and polyethyle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필름 전체를 기준으로,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35 중량 내지 45 중량%,
상기 수소화 탄화수소 고분자 35 중량 내지 45 중량%, 및
상기 폴리에틸렌 10 중량% 내지 25 중량%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lm has, on the basis of the entire film,
From 35 to 45% by weight of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35 to 45 wt% of the hydrogenated hydrocarbon polymer, and
And 10 wt% to 25 wt% of the polyethyle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80℃ 내지 200℃ 범위에서 접착력을 갖는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m has an adhesive strength in the range of 80 占 폚 to 200 占 폚.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응력 완화부는,
상기 제1 무지부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코팅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includes:
Wherein the second coating part is disposed on the first non-coating part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ating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응력 완화부는,
상기 제2 무지부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코팅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comprises:
And a second coating unit disposed on the second uncoated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oating uni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응력 완화부는,
상기 제1 무지부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응력 완화부의 일 측이 상기 제1 코팅부와 접촉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includes:
And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is disposed on the first uncoated portion, and one side of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contacts the first coate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응력 완화부는,
상기 제2 무지부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응력 완화부의 일 측이 상기 제2 코팅부와 접촉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comprises:
Wherein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is located on the second uncoated portion and the one side of the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ate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지부는 제1 전극 탭과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무지부는 제2 전극 탭과 일체로 구성된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unoided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electrode tab,
Wherein the second uncoated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electrode tab.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탭은,
상기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의 폭 방향 일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전극 탭은,
상기 제1 전극 탭과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되, 상기 제1 전극 탭과 소정 간격 이격된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electrode tab comprises:
A second electrode assembly disposed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assembly,
The second electrode tab may include:
Wherein the first electrode tab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are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electrode tab, and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tab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탭은,
상기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의 길이 방향 일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전극 탭은,
상기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의 길이 방향 타 측에 위치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electrode tab comprises:
The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The second electrode tab may include:
And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the electrode assembly being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assembl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탭 및 상기 제2 전극 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전극 탭 및 상기 제2 전극 탭의 길이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 tab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includes a bent portion b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tab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복수개가 교대로 적층된 것인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made of a metal,
Wherein a plurality of the electrode assemblies are stacked alternately with the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그리고
상기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외장재;
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A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And
An outer casing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for the secondary battery;
. ≪ / RTI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응력 완화부는 상기 외장재의 테두리 중 일부와 접촉하는 이차 전지.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stress reliev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rim of the casing.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응력 완화부는 상기 외장재의 테두리 중 일부와 접촉하는 이차 전지.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the second stress reliev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rim of the casing.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이차 전지.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econdary battery has a flexible characteristic.
KR1020180109692A 2017-12-06 2018-09-13 Electrode assembly for rechargeable battery and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22792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212,322 US11056710B2 (en) 2017-12-06 2018-12-06 Electrode assembly for flexible rechargeable battery and flexible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66909 2017-12-06
KR1020170166909 2017-1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083A true KR20190067083A (en) 2019-06-14
KR102279224B1 KR102279224B1 (en) 2021-07-19

Family

ID=66846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692A KR102279224B1 (en) 2017-12-06 2018-09-13 Electrode assembly for rechargeable battery and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22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0766A1 (en) * 2020-04-16 2021-10-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Secondary battery electrod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12238A1 (en) * 2005-02-01 2009-01-08 Prime Polymer Co., Ltd Resin composition, transparent film or sheet having elasticity recovering property, and wrap film
KR20150065142A (en) * 2013-12-04 2015-06-1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ower storage unit and electronic device
WO2016157685A1 (en) * 2015-03-30 2016-10-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Thin cell and cell-mount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12238A1 (en) * 2005-02-01 2009-01-08 Prime Polymer Co., Ltd Resin composition, transparent film or sheet having elasticity recovering property, and wrap film
KR20150065142A (en) * 2013-12-04 2015-06-1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ower storage unit and electronic device
WO2016157685A1 (en) * 2015-03-30 2016-10-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Thin cell and cell-mount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0766A1 (en) * 2020-04-16 2021-10-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224B1 (en) 202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5389B2 (en) Flexible battery
US10147915B2 (en) Flexible rechargeable battery
JP5207256B2 (en) Galvanic element
KR100619652B1 (en) Non-Aqueous Electrolyte Cell
EP2405506B1 (en) Pouch,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EP3333955B1 (en) Battery cell having improved insulation performance of electrode lead while having excellent manufacturing processability based on standardized structur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CN102195025B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20080102311A (en) Electric device with outer film cover
KR20180010073A (en) Flexible rechargeable battery
KR101405621B1 (en) Pouch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20160105124A (en)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EP2905837A1 (en) Electrochemical device and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anti-vibration- resistance
KR102279224B1 (en) Electrode assembly for rechargeable battery and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2278443B1 (en) Rechargeable battery
KR20100101762A (en) Battery pack module having enhanced stability
US11056710B2 (en) Electrode assembly for flexible rechargeable battery and flexible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160129595A (en) Battery case for pouch-type secondary battery and Pouch-typ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US11532859B2 (en) Rechargeable battery
EP4343932A1 (en) Pouch film laminate and secondary battery
KR20160058570A (en) insert injection molding and watch-band containing the same
KR102080502B1 (en) Pouch-typed Battery Cell Having Two or More Electrode Assemblies
KR102297821B1 (en) Pouch type rechargeable battery
EP4307460A1 (en) Battery cell comprising electrode tab having disconnection prevention function,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KR102207904B1 (en) Rechargeable battery
KR20240084497A (en) Pouch film and secondary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