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6759A - Goods transfer apparatus for a vending machine - Google Patents

Goods transfer apparatus for a vend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6759A
KR20190066759A KR1020170166471A KR20170166471A KR20190066759A KR 20190066759 A KR20190066759 A KR 20190066759A KR 1020170166471 A KR1020170166471 A KR 1020170166471A KR 20170166471 A KR20170166471 A KR 20170166471A KR 20190066759 A KR20190066759 A KR 20190066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goods
lever
driving means
ve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4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9161B1 (en
Inventor
정현균
Original Assignee
정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균 filed Critical 정현균
Priority to KR1020170166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161B1/en
Publication of KR20190066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7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1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ods transfer apparatus for a vending machine which moves by a weight of a roller conveyor installed to be inclined in a manner of transferring goods displayed on a goods receiving shelf, and transfers the goods by an operation of a selected basket, thereby selling various goods and improving customer convenience.

Description

자동판매기 상품인출장치{Goods transfer apparatus for a vending machin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ods transfer apparatus for a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 상품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품수용선반에 진열되는 상품을 인출하는 방식을 경사지게 설치된 롤러 콘베이어를 타고 자중에 의하여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선택되는 상품을 바스켓의 작동에 의하여 상품을 인출되도록 함으로서 다양한 상품의 판매가 가능하여 고객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ding machine product retriev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nding machine product retrieving apparatus for retrieving a commodity displayed on a commodity receiving shelf by a self-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nding machine capable of selling a variety of commodities by allowing a commodity to be withdrawn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customer can be improved.

자동판매기는 동전이나 지폐 등의 금품을 투입하고, 그 가치에 상당하는 물품을 자동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장치이다.A vending machine is a device made to input money such as a coin or a banknote, and to automatically withdraw goods corresponding to the value.

자동판매기는 무인판매방식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좁은 장소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운영할 수 있다는 편리함 때문에 많은 장소에서 사용되고 있다. Since vending machines are operated by unattended sales methods, they can be used in many places because they can save labor costs, can be installed in narrow places, and can be operated with no time.

또한, 그 판매 물품에 있어서도 음료, 스낵 등의 식품뿐만 아니라 캔 음료 등 다양한 상품을 그 판매 대상으로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sales target is not only food such as beverages and snacks but also various products such as canned drinks.

이러한 종래 자동판매기에서 상품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장치는 나선형 코일방식과 PUSH방식으로 구분되며 나선형 코일방식의 경우 상품의 적재 및 배출을 담당하는 나선형 코일과 상기 나선형 코일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다수개 배열되고, 상기 다수개 코일은 각각 분리판에 의하여 분리되어 상품들이 이송과정에서 섞이거나 코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해주어, 대금이 투입되면 투입된 금액을 제어부에서 확인하고, 상품선택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어부에서 확인하여 해당 상품의 대금 이상의 금액이 투입된 경우에는 해당 상품의 모터를 구동시켜 코일을 회전시킴으로서 상품이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In the case of the spiral type coil system, a spiral type coil for carrying and discharging goods and a motor for rotating the spiral type coil are arranged The plurality of coils are separated by a separating plate to prevent the commodities from being mixed in the conveying process or escaping from the coils. When the commodity is charged, the control unit confirms the input amount, and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mmodity selection switch When the amount of money of the commodity is inputted, the motor of the commodity is driven to rotate the coil so that the commodity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그러나, 이러한 종래 인출장치에 의하면 상품이 코일과 마찰하면서 비틀리거나 상품이 이송중 바닥면과 마찰하면서 상품에 손상이 발생하고, 코일을 회전시키는 모터에 피로도를 증가시켜 모터의 수명을 단축하며, 코일사이에 상품이 적재되므로 적재 깊이가 깊어질수록 상품의 기울기도 커지게 되어 내용물의 손상 등이 발생될 수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such a conventional take-out apparatus, a product is twisted while rubbing against a coil or a product is rubbed against a bottom surface during transportation, damage to the product occurs, fatigue is increased in the motor for rotating the coil, As the depth of loading increases, the inclination of the product increases, which may cause damage to the contents.

아울러, 배출구는 통상 사각형구조로 되어 있고 바닥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어 상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손을 넣어서 상품의 위치를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discharge port is generally rectangular in shape and the bottom is formed fl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must insert his / her hand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product in order to take out the product.

한편, 종래의 자동판매기는 통상 상품의 특성에 따라 자동판매기에서 판매할 상품목록이 정해지는 것으로, 예를 들면 음료 자동판매기의 경우에는 다수 종류의 음료들만이 전시되고 있고, 휴지류 자동판매기의 경우에는 다수 종류의 휴지류만 전시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a conventional automatic vending machine, a list of goods to be sold by a vending machin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odity.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drink vending machine, only a large number of drinks are displayed. Only a large number of kinds of waste paper are exhibited.

상기한 자동판매기가 특정한 상품류만 판매하는 이유는 인출방식이 나선형 코일 방식 또는 PUSU방식으로 구별되어 있어 하나의 자동판매기에 다양한 상품을 비치하지 못하여 판매되는 상품 류가 한정될 수 밖에 없는 것이었다.The reason why the above-described vending machine sells only a specific commodity is that the type of the commodity to be sold is inevitably limited because it can not provide various commodities to one vending machine because the commissioning method is classified into the spiral coil system or the PUSU system.

공개특허 10-2011-0004638호Patent Document 10-2011-0004638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품수용선반에 진열되는 상품의 정확한 인출은 물론 상품종류의 다양화와 유지, 보수 및 운영적인 측면에서 보다 경제성이 높은 자동판매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urately retrieving goods displayed on a product acceptance shelf, It is intended to provide a high vending machin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판매기는 상품수용선반에 수납 보관되는 상품을 경사지게 설치된 롤러 콘베이어를 타고 자중에 의하여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선택되는 상품을 X,Y,Z 축으로 이동되는 바스켓의 작동에 의하여 상품을 인출되도록 함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미끄럼 방식에 의하여 이동되도록 하여 이동의 정확성과 인출동작이 정확하도록 구성한 것이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o that a product stored on a product receiving shelf is moved by its own weight on a roller conveyor installed at an inclined position, and a selected product is transported to a basket So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and is moved by the sliding method, so that the accuracy of the movement and the drawing operation are accurately corrected.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는 후면에서 전면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롤러 콘베이어를 타고 후면에서 전면으로 상품이 이동되므로 전기적인 방식이 아닌 자유낙하에 의한 이동이므로 전기 모터의 설치가 필요 없어 이에 따른 원가 절감은 물론 이동되는 상품을 X,Y,Z 축으로 이동되는 바스켓의 작동에 의하여 인출되도록 하여 콘베이어 방식에 의한 복합적으로 구비할 수 있어 특정한 상품군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상품을 판매 가능하여 소비자의 선택을 높임은 물론 소비자의 신뢰를 얻을 수 있어 상품 판매실적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ree from falling down because it is moved from the rear side to the front side on a roller conveyor mounted obliquely from the rear side to the front side, Can be taken out by the operation of the basket moved in the X, Y, and Z axes, and can be provided in a complex manner by the conveyor system. Thus, not only the specific product group but also various products can be sol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ales performance of the produ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상품수용선반과 배출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수용선반을 구성하는 롤러 콘베이어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수용선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을 인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roduct receiving shelf and a discharge device of a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oller conveyor constituting a product receiving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goods receiving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of withdrawing a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상품수용선반과 배출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수용선반을 구성하는 롤러 콘베이어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수용선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을 인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roduct receiving shelf and a discharging device of a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oller conveyor constituting a product receiving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of withdrawing a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는 상자형의 하우징이 외관을 이루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상품을 적재하기 위한 상품수용선반과, 적재된 상품을 하나씩 인출하기 위한 인출장치와 상기한 인출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리고 상품이 소정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품을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x-shaped housing, which is made up of a product receiving shelf for loading goods, a drawing device for taking out the loaded merchandise one by one, And a drive unit for driving the drawing device, and a device for cooling or heating the product so that the product can maintai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상기한 하우징에 복층식으로 구비되는 상품수용선반(2)은 롤러(21)를 평행으로 배열하여 그 위를 상품이 미끄러지면서 이동하도록 블록(23) 단위로 구성하고 상기 블록을 상품수용선반(2) 상면에 복수개 결합하여 상품수용선반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상품이 자중에 의하여 미끄러지면서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한다.The goods receiving shelf 2 provided in the housing in a multilayer manner is constituted by arranging the rollers 21 in parallel and uniting the blocks 23 in such a manner that the goods slip and move on the rollers 21, ) So that the goods receiving shelf is inclin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so that the goods are automatically moved while being slid by their own weight.

상기한 롤러는 원기둥 형태로 구성하거나 또는 원형 구 형태로 구성하면 도는 것이다.The roller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r a circular sphere.

상기한 상품수용선반(2)의 전방 블록(23)과 블록(23) 사이에는 절개부(22)를 형성하여 상기 절개부(22)에 힌지축(25)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레버(24)를 형성하여 상부에 올려진 상품을 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상품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한다.A cutout 22 is formed between the front block 23 and the block 23 of the merchandise receipt shelf 2 and the cutter 22 is provided with a lever 24 rotated about the hinge axis 25, So that the product placed on the upper par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상기한 레버(24)는 전방으로는 상품이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로 돌출된 가림판(26)이 형성되고, 하측으로는 레버를 밀어 회전하기 위한 밀림판(27)이 돌출 형성되며, 후단으로는 상품이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28)가 형성된다.The lever 24 is formed with a blocking plate 26 protruding upward to prevent the product from being forwardly moved forward and a pushing plate 27 for pushing the lever to push the lever downward And a stopper 28 is formed at the rear end to prevent the article from being continuously moved.

상기한 레버(24)에 형성되는 스토퍼(28)는 상품의 크기에 따라 그 길이가 가변되도록 돌기와 홈에 의한 분해 결합식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크기의 상품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The stopper 28 formed on the lever 24 may be constructed by disassembling and combining the projections and the grooves so that the length of the stopper 28 vari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oduct.

싱기한 레버의 가변에 따라 상품수용선반에 형성된 절개부의 길이 또한 그 회전을 억제하지 않도록 절개하여야 함은 물론인 것이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length of the cut-out portion formed on the product receiving shelf should also be cut so as not to inhibit the rotation according to the variable length of the lever.

상품수용선반의 전방에 형성되며 레버의 하단부 밀림판을 밀어주기 위한 인출장치는 수직축 형태로 구비된 제1구동수단(200)과, 상기 제1구동수단에 장착되며 상하 이동과 전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30) 장치와, 상기 제1구동수단의 상하에 장착되며 수직축 형태의 제1구동수단을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구동수단(202)으로 구성되어 바스켓(30)을 X,Y,Z축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레버의 하단부 밀림판을 밀어 레버가 회전되면서 상품을 바스켓에 담아 배출구로 이송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drawing device for forming the lower end of the merchandise receiving shelf is provided with a first driving means (200) provided in the form of a vertical shaft, a second driving means (200) mounted on the first driving means, And a second driving means 202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driving means and capable of moving left and right by a first driving means in the form of a vertical axis, Y, and Z axes, pushing the lower push plate of the lever so that the product can be transported to the discharge port while the lever is being rotated.

상기한 바스켓을 X,Y축으로 이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은 타이밍벨트에 의한 작동방식으로 구동하고 바스켓을 밀어주는 방식은 렉기어 방식으로 구동하여 그 동작이 정확하여 모터에 의하여 작동되는 방식보다 더욱 세밀한 구동이 가능하여 소형 상품의 판매가 가능함은 물론 적재용량의 확대에 따른 상품 판매의 다양화를 노릴 수 있는 것이다.The driving means for moving the basket in the X and Y axes is driven by the timing belt and the basket is driven by the lever gear type so that the operation is precise and more detailed than the operation by the motor It is possible to sell small-sized products, and it is also possible to diversify the sales of products due to the increase in the load capacity.

본 발명의 상품 인출장치는 기존의 자동판매기의 상품수용선반을 제거하고 장착 가능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것이다.The product retrie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removing the commodity receiving shelf of a conventional automatic vending machine and mounting the product, so that the product can be upgraded at low cost.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판매할 상품의 크기에 따라 롤러 콘베이어 블록을 설치하고 블록과 블록의 사이에 상품을 인출하는 레버를 설치한 상품수용선반을 하우징에 복수개 설치한다.First, a plurality of commodity receiving shelves are installed in the housing, each of which has a roller conveyor block installed according to the size of a commodity to be sold and a lever for taking out the commodity between the block and the block.

상품수용선반에 상품을 적재하면 상품수용선반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자중에 의하여 무조건 전방으로 미끄러지면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merchandise receipt shelf is mounted on the merchandise receipt shelf, the merchandise receipt shelf slides forward without any unconditionally due to its own weight since it is installed obliquely forward from the rear.

미끄럼운동을 하는 상품은 레버의 전방에 상부로 돌출된 가림판에 의하여 더 이상 진행하지 않고 레버의 상부에 올려져 있는 상태로 있게 되는 것이다.The slippery product is in the state of being rai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ever without advancing further by the closure plate protruding upward from the front of the lever.

이 상태에서 상품을 선택하여 제1구동수단과 제2구동수단에 의하여 바스케 장치가 X,Y축으로 움직이고 선택된 상품에 다다르면 바스켓이 Z축으로 움직이면서 레버의 하측 밀림판을 밀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barscope device moves in the X and Y axes by the first driving means and the second driving means and reaches the selected product, the basket moves in the Z axis and pushes the lower side push plate of the lever.

밀림판이 후방으로 밀리면 레버는 힌지축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고 따라서 레버의 상부에 적재된 상품은 전방으로 회전되면서 바스켓 안쪽에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When the push plate is pushed rearward, the lever is pivoted about the hinge axis so that the good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lever are rotated forward and fall inside the basket.

이때 레버의 후단에 돌출된 스토퍼가 배출되는 상품의 다음 상품을 막게 되므로 하나의 상품만 배출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topper protruding to the rear end of the lever blocks the next product of the discharged product, so only one product is discharged.

상품의 선택이 완료되면 바스켓은 출구로 향하게 되고 밀림판이 원상 회복되면서 레버가 하측으로 회전되고 따라서 다음 상품이 미끄러지면서 출구쪽으로 이동완료되는 것이다.When the selection of the product is completed, the basket is directed to the outlet, the lever is rotated downward as the plate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us the next product slides and is moved toward the outlet.

바스켓에 담겨진 상품은 출구쪽으로 이동하므로 소비자가 상품을 선택하면 되는 것이다.The product in the basket moves to the exit, so the consumer can select the product.

본 발명은 롤러 콘베이어를 블록식으로 조립하는 구성으로 블록의 확장 및 제거로 상품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 가능하여 종래의 자동판매기와는 차별이 가능하며 선택적인 설치에 의하여 기존에 설치된 자동판매기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하고 보다 다양한 상품의 판매가 가능한 것이다. A roller conveyor is assembled in a block form. The block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according to the size of a product by expanding and removing the block, so that it can be distinguished from a conventional vending machine and can be installed in an existing vending machine It is possible to upgrade and sell more variety of products.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2: 상품수용선반 21: 롤러
24: 레버
2: Goods receiving shelf 21: Roller
24: Lever

Claims (5)

상자형의 하우징이 외관을 이루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상품을 적재하기 위한 상품수용선반과, 적재된 상품을 하나씩 인출하기 위한 인출장치와 상기한 인출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리고 상품이 소정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품을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한 하우징에 복층식으로 구비되는 상품수용선반(2)은 롤러(21)를 평행하게 배열하여 그 위를 상품이 미끄러지면서 이동하도록 상품수용선반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구성하고, 상품수용선반(2)의 전방에 절개부(22)를 형성하여 상기 절개부(23)에 힌지축(25)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레버(24)를 형성하여 레버 상부에 올려진 상품을 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상품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인출장치는 수직축 형태로 구비된 제1구동수단(200)과, 상기 제1구동수단에 장착되며 상하 이동과 전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30) 장치와, 상기 제1구동수단의 상하에 장착되며 수직축 형태의 제1구동수단을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구동수단(202)으로 구성되어 바스켓(30)을 X,Y,Z축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레버의 하단부 밀림판을 밀어 레버가 회전되면서 상품을 바스켓에 담아 배출구로 이송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상품인출장치.
The box-shaped housing has an outer appearance. The housing includes a goods receiving shelf for loading the goods, a drawing device for drawing the loaded merchandise one by one, and a driver for driving the drawing device, And a device for cooling or heating the product so as to maintai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goods receiving shelf 2, which is provided in the housing in a multilayer manner, is constituted by arranging the rollers 21 in parallel and sloping the goods so that the goods are carried on the slant while the goods receiving shelves are inclined forward from the rear. A cutout 22 is formed in front of the shelf 2 and a lever 24 is formed on the cutout 23 so as to rotate about a hinge axis 25 so that the article placed on the lever is rotated (30) mounted on the first driving means and movable upward and downward and movable forward, and a second driving means (200) provided on the second driving means. The first driving means (200) And a second driving means 202 mounted above and below the first driving means and adapted to move the first driving means in the form of a vertical axis to the left and right so as to move the basket 30 in the X, Y and Z axes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lever The pushing member pushes the jumping plate to rotate the lever so that the product can be transported to the outlet and discharged to the baske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레버(24)는 전방으로는 상품이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로 돌출된 가림판(26)이 형성되고, 하측으로는 레버를 밀어 회전하기 위한 밀림판(27)이 돌출 형성되며, 후단으로는 상품이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2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상품인출장치.[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ver (24) is formed with a blocking plate (26) protruded upward to prevent a product from being detached forward, and a lower plate And a stopper (28) is formed at the rear end to prevent the article from being continuously mov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24)에 형성되는 스토퍼(28)는 상품의 크기에 따라 그 길이가 가변되도록 돌기와 홈에 의한 분해 결합식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크기의 상품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상품인출장치.The stopper (28)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pper (28) formed on the lever (24) is configured to be disassembled by a protrusion and a groove so as to vary its length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oduct, Features a vending machine product retrieval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21)는 블록(23) 단위로 평행으로 배열하여 상기 블록을 상품수용선반(2) 상면에 복수개 결합하여 상품수용선반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상품인출장치.The merchandise receiving shelf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llers (21) are arranged in parallel in units of blocks (23), and a plurality of the blocks ar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erchandise receiving shelf (2)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21)는 원기둥 형태로 또는 원형 구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상품인출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ller (2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r a circular sphere shape.

KR1020170166471A 2017-12-06 2017-12-06 Goods transfer apparatus for a vending machine KR1020191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471A KR102019161B1 (en) 2017-12-06 2017-12-06 Goods transfer apparatus for a vend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471A KR102019161B1 (en) 2017-12-06 2017-12-06 Goods transfer apparatus for a vend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759A true KR20190066759A (en) 2019-06-14
KR102019161B1 KR102019161B1 (en) 2019-11-05

Family

ID=66846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471A KR102019161B1 (en) 2017-12-06 2017-12-06 Goods transfer apparatus for a vend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16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1430A (en) * 2021-06-28 2021-09-17 江苏京生管业有限公司 Packing auxiliary device is used in metal collapsible tube process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73452B (en) * 2020-06-15 2021-10-08 舟山易享科技开发有限公司 Hinge shaft assembl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3374A (en) * 1999-06-23 2001-01-15 배길성 A vending machine for can goods
JP2001052252A (en) * 1999-08-04 2001-02-23 Sanden Corp Article carrying-out device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KR20080076480A (en) * 2007-02-16 2008-08-20 박명해 Vending machine system
KR20110004638A (en) 2009-07-08 2011-01-14 주식회사 로보큐 Vending machine for a baked fo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3374A (en) * 1999-06-23 2001-01-15 배길성 A vending machine for can goods
JP2001052252A (en) * 1999-08-04 2001-02-23 Sanden Corp Article carrying-out device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KR20080076480A (en) * 2007-02-16 2008-08-20 박명해 Vending machine system
KR20110004638A (en) 2009-07-08 2011-01-14 주식회사 로보큐 Vending machine for a baked fo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1430A (en) * 2021-06-28 2021-09-17 江苏京生管业有限公司 Packing auxiliary device is used in metal collapsible tube proces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9161B1 (en) 201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770B1 (en) Automatic selling machine for packed beef
RU2598869C2 (en) Merchandiser
US6755322B1 (en) Automated shopping system and apparatus
US6170702B1 (en) Beverage container vending machine
WO2008076558A2 (en) First in first out vending systems
KR20190066759A (en) Goods transfer apparatus for a vending machine
US4600121A (en) Article vendor
KR20180042611A (en) Goods transfer apparatus for a vending machine
US20110106301A1 (en) Novel Modular Vending Machine for Packaged Goods
KR100374758B1 (en) Goods Dispensing Device for Vending Machine
US3491870A (en) Vending machine with simultaneous dispensing means
JP7255244B2 (en) Product storage device
RU69391U1 (en) FRUIT SELLING MACHINE
KR101341528B1 (en) Food automatic vending machine
KR101260763B1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WO2000030961A1 (en) Vending machine
JP2010282588A (en) Vending machine
KR200452819Y1 (en) Automatic selling device
JP7420509B2 (en) Goods storage
JP2871074B2 (en) vending machine
JP2594150B2 (en) Vending machine product unloading device
US2957603A (en) Cartoned merchandise vending machine
JP3956899B2 (en) Vending machines and methods for pre-aligning products in vending machines
KR20160075237A (en) Apparatus for ice ejection save controlling of vending machine and method thereof
KR102565583B1 (en) The goods transfer apparatus of vending machine for railway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