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6536A - 개선된 바닥 청소기 - Google Patents

개선된 바닥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6536A
KR20190066536A KR1020180092081A KR20180092081A KR20190066536A KR 20190066536 A KR20190066536 A KR 20190066536A KR 1020180092081 A KR1020180092081 A KR 1020180092081A KR 20180092081 A KR20180092081 A KR 20180092081A KR 20190066536 A KR20190066536 A KR 20190066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ain brush
main
brush
driv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구
Original Assignee
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구 filed Critical 정진구
Priority to KR1020180092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6536A/ko
Publication of KR20190066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5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1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14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 A47L11/18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the tools being roll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8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282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having rotary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개선된 바닥 청소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개선된 바닥 청소기는, 내부에는 저장부(11)가 형성되고 하측면에는 저장부(11)에 연결되는 개구부(12)가 형성되며 둘레부에는 구동휠(13)이 구비된 본체(10); 본체(10)의 하측면에 개구부(12)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걸레부(19); 본체(10)의 개구부(12) 전방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구동휠(13)에 연결되어 구동휠(13)이 회전되면 이에 연동되어 회전되어 바닥에 있는 먼지나 쓰레기를 후방으로 밀어 상기 개구부(12)로 밀어 넣는 메인브러시(20); 본체(10)의 하측면에 메인브러시(20)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구동휠(13)과 메인브러시(20)에 연결되어 구동휠(13)과 메인브러시(20)가 회전되면 회전되어 메인브러시(20)의 전방 양측에 있는 먼지나 쓰레기를 메인브러시(20)쪽으로 수집하는 한 쌍의 보조브러시(30); 본체(10)에 마련되어 메인브러시(20)의 전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부(50); 메인브러시(20)에 연결되며 본체(10)에 마련되는 레버(L)의 조작에 의해 메인브러시(20)를 회전시키는 메인브러시 구동부(60); 구동휠(13)의 후방 영역의 본체(10)에 마련되어 금속을 부착시키는 자석부(70); 저장부(11)에 마련되며 저장부(11)로 유입된 쓰레기가 저장되는 수집통(80); 및 수집통(80)의 저면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롤러(90)를 포함하고, 수집통(80)의 하측부에는 돌출 라운딩부(81)가 마련되어 수집통(80)에 저장된 물의 넘침을 방지하고, 메인 브러시(20)가 마련된 영역의 본체(10)에는 본체(10)의 걸림시 본체(10)의 탈출을 가이드하는 단턱 탈출부(120)가 마련되고, 단턱 탈출부(120)는 메인 브러시(20)가 마련된 영역의 본체(10)에 마련되는 단턱 탈출 바디(121) 및 일측부는 단턱 탈출 바디(121)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본체(10)에 결합 되어 단턱 탈출 바디(121)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체(122)를 포함하고 구동휠의 회전력을 기초로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가 저장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충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선된 바닥 청소기{IMPROVED FLOOR CLEANER}
본 발명은, 개선된 바닥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이 편리하면서 바닥에 있는 먼지나 쓰레기, 금속 등을 효과적으로 수거할 수 있고, 메인브러시를 회전시켜 무소음으로 작동됨과 아울러 물을 분사하여 찌든 때를 제거할 수 있으며, 저장된 물의 넘침을 방지함과 아울러 외부 물체에 걸림 시 탈출할 수 있는 개선된 바닥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에 있는 먼지나 쓰레기 등을 청소할 때 사용되는 바닥 청소기는 진공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나 쓰레기를 흡입하여 청소하는 진공식 청소기나, 하측면에 부착된 걸레를 이용하여 바닥을 닦아낼 수 있도록 된 걸레타입의 청소기 등과 같이 다양한 것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진공식 청소기는 다량의 전기를 소비할 뿐 아니라, 소음이 발생 되고 무거워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걸레타입의 청소기는 소음이 발생 되지 않고 사용이 편리한 반면 바닥에 있는 먼지나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수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59228호(장호선) 2014. 01. 28.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이 편리하면서 바닥에 있는 먼지나 쓰레기, 금속 등을 효과적으로 수거할 수 있고, 메인브러시를 회전시켜 무소음으로 작동됨과 아울러 물을 분사하여 찌든 때를 제거할 수 있으며, 저장된 물의 넘침을 방지함과 아울러 외부 물체에 걸림 시 탈출할 수 있는 개선된 바닥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는 저장부(11)가 형성되고 하측면에는 상기 저장부(11)에 연결되는 개구부(12)가 형성되며 둘레부에는 구동휠(13)이 구비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 상기 개구부(12)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걸레부(19);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2) 전방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구동휠(13)에 연결되어 구동휠(13)이 회전되면 이에 연동되어 회전되어 바닥에 있는 먼지나 쓰레기를 후방으로 밀어 상기 개구부(12)로 밀어 넣는 메인브러시(20);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 상기 메인브러시(20)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구동휠(13)과 상기 메인브러시(2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휠(13)과 상기 메인브러시(20)가 회전되면 회전되어 상기 메인브러시(20)의 전방 양측에 있는 먼지나 쓰레기를 상기 메인브러시(20)쪽으로 수집하는 한 쌍의 보조브러시(30); 상기 본체(10)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브러시(20)의 전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부(50); 상기 메인브러시(20)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10)에 마련되는 레버(L)의 조작에 의해 상기 메인브러시(20)를 회전시키는 메인브러시 구동부(60); 상기 구동휠(13)의 후방 영역의 상기 본체(10)에 마련되어 금속을 부착시키는 자석부(70); 상기 저장부(11)에 마련되며 상기 저장부(11)로 유입된 쓰레기가 저장되는 수집통(80); 및 상기 수집통(80)의 저면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롤러(90)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통(80)의 하측부에는 돌출 라운딩부(81)가 마련되어 상기 수집통(80)에 저장된 물의 넘침을 방지하고, 상기 메인 브러시(20)가 마련된 영역의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본체(10)의 걸림시 상기 본체(10)의 탈출을 가이드하는 단턱 탈출부(120)가 마련되고, 상기 단턱 탈출부(120)는 상기 메인 브러시(20)가 마련된 영역의 상기 본체(10)에 마련되는 단턱 탈출 바디(121) 및 일측부는 상기 단턱 탈출 바디(121)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본체(10)에 결합 되어 상기 단턱 탈출 바디(121)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체(122)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휠의 회전력을 기초로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가 저장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충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바닥 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걸레부(19)는 상기 본체(10)에 마련된 홈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 되는 걸레 바디(19a); 및 일측부는 상기 본체(10)의 상기 홈에 결합 되고 타측부는 상기 걸레 바디(19a)에 결합 되어 상기 걸레 바디(19a)에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 부재(19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10)의 측면이 외부 물체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충격 가이드 롤러(100); 및 상기 수집통(80)의 저면부에 상기 복수의 롤러(90)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돌출부재(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수집통의 하측부에 돌출 라운딩부를 마련하여 수집통에 저장된 물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가 외부 물체에 걸림시 단턱 탈출부에 의해 본체의 걸림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닥 청소기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바닥 청소기의 구동축과 메인브러시 및 보조브러시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바닥 청소기의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바닥 청소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물 분사부의 작동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롤러의 영역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닥 청소기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바닥 청소기의 구동축과 메인브러시 및 보조브러시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바닥 청소기의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바닥 청소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주요부의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물 분사부의 작동도이고,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롤러의 영역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 청소기는, 내부에는 저장부(11)가 형성되고 하측면에는 상기 저장부(11)에 연결되는 개구부(12)가 형성되며 둘레부에는 구동휠(13)이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2)의 전방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메인브러시(20)와,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 상기 메인브러시(20)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보조브러시(30)와, 본체(10)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브러시(20)의 전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부(50)와, 상기 메인브러시(20)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10)에 마련되는 레버(L)의 조작에 의해 상기 메인브러시(20)를 회전시키는 메인브러시 구동부(60)와, 상기 구동휠(13)의 후방 영역의 상기 본체(10)에 마련되어 금속을 부착시키는 자석부(70)와, 상기 저장부(11)에 마련되며 상기 저장부(11)로 유입된 쓰레기가 저장되는 수집통(80)과, 상기 저장부(11)에 결합 되는 수집통(11a)의 저면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롤러(90)와, 본체(10)의 측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충격 가이드 롤러(100)와, 구동휠(13)이 마련된 영역의 본체(10)에 마련되는 구동휠 브러시(110)와, 상기 메인 브러시(20)가 마련된 영역의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본체(10)의 걸림시 상기 본체(10)의 탈출을 가이드하는 단턱 탈출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0)는 합성수지 재질의 통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면 전방에는 상기 메인브러시(20)가 삽입되는 오목부(14)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구부(12)는 상기 오목부(14)의 후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오목부(14)의 후측면은 상기 메인브러시(20)의 후측면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구성되며, 상기 저장부(11)에는 상기 개구부(12)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먼지와 쓰레기를 수집하는 수집통(80)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수집통(80)의 저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롤러(90)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복수의 롤러(90)는 한 쌍의 보조브러시(30)의 최하단이 지면에 접촉되는 높이를 유지하도록 마련되어 한 쌍의 보조브러시(30)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본체(10)의 전방부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롤러(90)가 마련된 영역의 수집통(80) 저면부에는, 도 2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부재(91)가 마련되어 복수의 롤러(90)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휠(13)은 상기 본체(10)의 후방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구동축(16)의 양단에, 본체(10)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둘레면은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구성되어, 본체(10)를 바닥에 놓고 전후진시키면, 상기 구동휠(13)이 정역회전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구동휠(13)은 우레탄 고무로 제작될 수 있고, 표면에 홈이 마련되어 접지력을 극대화하여 메인브러시(20)의 고속 회전 시 구동휠(13)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후방 하측면 양측에는 상기 구동휠(13)이 삽입되는 오목홈(15)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16)은 양단이 상기 오목홈(15)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휠(13)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의 손잡이(17)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17)는 하단부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된 결합부(18)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17)에는 물 분사부(50)를 작동시키는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는 상기 개구부(12)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걸레부(19)가 구비된다.
상기 걸레부(19)는 벨크로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걸레부(19)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저면부에 마련된 홈에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걸레부(19)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 마련된 홈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 되는 걸레 바디(19a)와, 일측부는 상기 본체(10)의 상기 홈에 결합 되고 타측부는 상기 걸레 바디(19a)에 결합 되어 상기 걸레 바디(19a)에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 부재(19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브러시(20)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21)과, 회전축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 부재(22)와,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22)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솔부재(22)가 구비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하측 둘레부가 상기 본체(10)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회전축(21)의 양단이 상기 본체(10)의 오목부(1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상기 회전축(21)은 증속기(40)를 통해 상기 구동휠(13)의 회전축(21)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휠(13)이 회전되면 이에 연동하여 상기 메인브러시(20)가 고속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증속기(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 상기 구동축(16)과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 지지축(41,42)과, 상기 구동축(16)에 고정결합된 구동기어(43)와, 상기 구동축(16)과 제1 지지축(41)에 결합되며 상호 연결되는 복수개의 증속기어(44)와, 상기 제2 지지축(42)에 고정되며 상기 증속기어(44)에 연결된 종동기어(45)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지지축(42)은 동력전달 베벨기어(46a)와 기어축(46)을 통해 상기 메인브러시(20)의 회전축(21)에 마련된 구동 베벨기어(47)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휠(13)이 회전되면, 상기 구동축(16)과 구동기어(43)가 회전되며, 이에 따라, 상기 증속기어(44)에 의해 구동휠(13)의 회전속도가 증폭되어 상기 제2 지지축(42)과 종동기어(45)가 고속으로 회전되며, 이에 연동하여, 상기 메인브러시(20)가 고속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증속기(4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본체(10)를 전방으로 밀어 상기 구동휠(13)이 정회전(도면의 경우, 반시계방향)되면, 상기 메인브러시(20)가 상기 구동휠(13)과 같은 정방향(도면의 경우, 하단부가 후방으로 회전되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조브러시(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보조 회전축(31)과, 상기 보조 회전축(31)의 하단에 구비된 디스크(32)와, 상기 디스크(32)의 둘레부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보조 연결부재(33)와, 다수개의 보조 연결부재(33)에 마련되는 복수의 솔부재(34)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메인브러시(20)의 전방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축(31)이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보조브러시(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부가 상기 본체(10)의 전방 양측 모퉁이의 전방과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솔부재(34)의 길이가 충분히 길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솔부재(34)는 상기 디스크(32)의 둘레부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솔부재(34)의 단부가 바닥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브러시(30)의 회전축(31)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벨기어(35)를 통해 상기 메인브러시(20)의 회전축(21)에 구동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브러시(2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전방둘레부가 상호 인접방향으로 회전되어 주변의 먼지나 쓰레기를 상기 메인브러시(20)의 전방으로 모으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메인브러시(20)와 보조브러시(30)는 상기 본체(10)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바닥청소기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휠(13)이 바닥에 내려놓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17)를 잡고 본체(10)를 전방으로 밀면,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휠(13)이 회전되면서 이와 연동되어, 상기 메인브러시(20)와 보조브러시(30)가 회전된다.
이때, 상기 보조브러시(30)는 전단부가 인접방향으로 회전되어 주변의 먼지와 쓰레기를 상기 메인브러시(20)의 전방으로 모아주며, 상기 메인브러시(20)는 하측둘레부가 후방으로 회전되어 전방에 있는 먼지와 쓰레기를 빠르게 후방으로 밀어댐으로써, 바닥의 먼지와 쓰레기가 상기 개구부(12)를 통해 상기 저장부(11)에 구비된 수집통(80)에 수집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체(10)를 전방으로 미는 것만으로, 바닥의 먼지와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게가 가벼워서 사용이 편리하고,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보조브러시(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31)이 구비되며 둘레부가 상기 본체(10)의 전방 양측 모퉁이의 전방과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됨으로, 실내의 구석부분을 깔끔하게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는 상기 개구부(12)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걸레부(19)가 구비됨으로, 상기 본체(10)를 전방으로 전진시키면 상기 메인브러시(20)에 의해 제거되지 못한 먼지 등이 상기 걸레부(19)에 의해 청소됨으로, 바닥을 더욱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보조브러시(30)는 상기 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메인브러시(20)에 연결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보조브러시(30)는 상기 증속기(40)를 통해 구동휠(13)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증속기(40)의 구동기어(43)는 상기 구동축(16)에 고정결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구동기어(43)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웨이베어링(48)을 통해 상기 구동축(16)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본체(10)를 전방으로 밀 때만, 상기 구동축(16)과 구동기어(43)가 구동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브러시(20)가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원웨이베어링(48)은 상기 구동축(16)의 외측에 결합되는 내륜(48a)과, 상기 내륜(48a)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륜(48b)과, 상기 내륜(48a)과 외륜(48b)의 사이에 구비되는 키부재(48c)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내륜(48a)의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축(16)이 정회전되는 방향(도면의 경우 반시계방향)으로 갈수록 깊어지는 경사홈(48d)이 형성되고, 상기 키부재(48c)는 상기 경사홈(48d)의 내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43)는 상기 외륜(48b)의 외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16)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내륜(48a)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키부재(48c)가 경사홈(48d)의 낮은 쪽으로 이동하여 내륜(48a)과 외륜(48b)이 상호 고정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내륜(48a)과 함께 외륜(48b) 및 구동기어(43)가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이와 반대로, 상기 구동축(16)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키부재(48c)는 경사홈(48d)의 깊은 쪽으로 이동하여 내륜(48a)과 외륜(48b)이 고정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외륜(48b)과 구동기어(43)는 정지된 상태에서 내륜(48a)만 공회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바닥청소기는 사용자가 본체(10)를 전방으로 밀어서 상기 구동휠(13)이 정회전될 때는 상기 원웨이베어링(48)에 의해 구동축(16)과 구동기어(43)가 상호 구동적으로 연결되어 구동기어(43)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메인브러시(20)가 회전되면서 청소를 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본체(10)를 후방으로 당길 때는 상기 원웨이베어링(48)의 내륜(48a)과 외륜(48b)의 고정이 해제되어 구동축(16)만 공회전됨으로써, 구동기어(43)와 메인브러시(20)는 회전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체(10)를 후방으로 당길 때 불필요하게 본체(10)에 부하가 걸려 사용자에게 부담이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메인브러시(20)가 증속기(40)를 통해 상기 구동휠(13)에 연결됨으로, 사용자가 본체(10)를 전후방으로 밀거나 당길 때, 상기 브러시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며, 이러한 경우, 메인브러시(20)를 회전시키기 위한 부하가 본체(10)에 작용됨으로, 본체(10)를 밀거나 당길 때 힘이 들게 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경우, 본체(10)를 후방으로 당길 때는 상기 구동축(16)만이 공회전됨으로, 본체(10)를 후방으로 당길 때는 적은 힘으로 손쉽게 본체(10)를 후방으로 당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 분사부(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에 마련되어 본체(10)의 전방부 방향으로 구동휠의 회전력을 동력으로 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물 분사부(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상측부에 마련되는 물 저장탱크(51)와, 상기 물 저장탱크(51)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10)에 마련되며 상기 물 저장탱크(51)에서 공급 되는 물이 유입 및 배출되는 펌프 바디(52)와, 상기 펌프 바디(52)의 유입구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유입볼(53)과, 상기 펌프 바디(52)의 배출구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유출볼(54)과, 상기 펌프 바디(52)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피스톤(55)과, 일측부는 상기 피스톤(55)에 마련되고 타측부는 상기 제2 지지축(42)에 연결되는 커넥팅 로드(56)와, 일측부는 상기 펌프 바디(52)의 내벽에 지지 되고 타측부는 상기 피스톤(55)에 지지 되는 스프링(57)과, 상기 본체(10)의 전방부에 마련되어 상기 펌프 바디(52)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본체(10)의 전방부로 분사하며 노즐을 포함하는 분사 부재(58)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예에서 물 저장탱크(51)와 펌프 바디(52), 펌프 바디(52)와 분사 부재(58)는 호스로 연결될 수 있다.
유입볼(53)과 유출볼(54)은 펌프 바디(52)의 내벽에 마련된 돌기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지지축(42)은 자동차의 크랭크축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어 제2 지지축(42)의 회전력은 커넥팅 로드(56)를 통해 실린더로 직선 운동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 예의 작동을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구동휠(13)이 회전되면 구동기어(43)와 복수의 증속기어(44)에 의해 구동휠(13)의 회전력은 제1 지지축(41)과 제2 지지축(42)으로 차례로 전달된다. 제2 지지축(4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크랭크축과 같은 형상을 가져 제2 지지축(42)의 회전력은 커넥팅 로드(56)를 통해 피스톤(55)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후 피스톤(55)이 펌프 바디(52)의 내부에서 도 10의 (a)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펌프 바디(52)의 내부에 있는 물을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할 수 있다. 이때 펌프 바디(52)의 내부에 있는 스프링(57)이 피스톤(55)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고, 피스톤(55)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으로 유입볼(53)과 유출볼(54)은 이동되어 물이 흐르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메인브러시 구동부(60)는,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L)를 통해 제2 지지축(42)에 연결되어 제2 지지축(42)을 회전시킴으로써 메인브러시(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메인브러시 구동부(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축(42)에 일측부가 연결된 레버(L)의 타측부에 레버(L)의 좌우 이동에 의해 연결되어 제2 지지축(42)을 회전시키는 모터(61)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61)에 연결되어 모터(61)에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62)와, 배터리(62)에 연결 되는 충전기(6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지지축(42)과 모터(61)의 헤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C)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 커플러(C)는 레버(L)의 내부에서 레버(L)와 관계없이 베어링 등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고, 레버(L)의 이동 시 레버 바디(LB)의 내부에 마련된 홈에 걸려 모터(61)의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모터(61)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9를 기준으로 레버(L)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커플러(C)도 레버(L)와 같이 이동되어 모터(61)에 연결될 수 있고, 이때 커플러(C)와 제2 지지축(42)도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모터(61)의 회전력은 제2 지지축(42)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모터(61)는 구동휠(13)이 회전되지 않고 멈춘 상태에서 작동되어 메인브러시(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모터(61)는 발전기로 사용되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고, 발전기인 모터(61)에 의해 생산되는 전기 에너지는 충전기(63)에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충전기(63)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물 분사부(50)로 공급되어 물 분사부(50)의 작동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로 공급될 수 있다.
이를 본 실시 예에서 물 분사부(50)는 전기 에너지로 작동되는 공지된 타입의 전기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기 펌프는 물 저장탱크(51)에 저장된 물을 펌핑 하여 분사 부재(58)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6)에 펌프 구동 기어(16a)를 마련하고, 본체(10)에 펌프 구동 기어(16a)와 기어 맞물림 되는 펌프 구동 모터(130)를 마련하여 구동축(16)의 회전 시 펌프 구동 모터(130)를 작동시켜 전기 에너지를 작동시키고, 이 전기 에너지를 물 분사부(50)의 전기 펌프에 공급하여 물을 분사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펌프 구동 모터(130)에서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는 충전기(63)로 공급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물 분사부(50)는 손잡이(17)에 마련된 스위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충전기(6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62)에 연결될 수도 있고, 미 도시되었지만 펌프 구동 모터(13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충전기(63)는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충전될 수도 있다.
자석부(7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후방부에 마련되어 청소 중 바닥에 있는 금속을 부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자석부(70)는 영구 자석을 포함하고, 본체(10)에 마련된 홈에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 될 수 있다.
배출 방지 가이더(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1)의 천정부에 마련되어 메인브러시(20)에 의해 저장부의 내부로 유입된 쓰레기가 다시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배출 방지 가이더(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롤러(9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통(80)의 저면부에 마련되고, 롤러(90)의 좌우측에는 한 쌍의 돌출부재(91)가 마련되어 롤러(90)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충격 가이드 롤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좌우측에 마련되어 본체(10)가 외부 물체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휠 브러시(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휠(13)이 마련된 영역의 본체(10)에 마련되어 구동휠(13)에 묻은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단턱 탈출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브러시(20)가 마련된 영역의 본체(10)에 마련되어 본체(10)가 외부 물체에 걸림 시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걸림을 탈출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단턱 탈출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브러시(20)가 마련된 영역의 상기 본체(10)에 마련되는 단턱 탈출 바디(121)와, 일측부는 상기 단턱 탈출 바디(121)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본체(10)에 결합 되어 상기 단턱 탈출 바디(121)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체(12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본체
20 : 메인브러시
30 : 보조브러시
40 : 증속기
50 : 물 분사부
60 : 에너지 저장부
70 : 자석부
80 : 배출 방지 가이더
90 : 롤러
100 : 충격 가이드 롤러
110 : 구동휠 브러시
120 : 단턱 탈출부
130 : 펌프 구동 모터

Claims (1)

  1. 내부에는 저장부(11)가 형성되고 하측면에는 상기 저장부(11)에 연결되는 개구부(12)가 형성되며 둘레부에는 구동휠(13)이 구비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 상기 개구부(12)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걸레부(19);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2) 전방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구동휠(13)에 연결되어 구동휠(13)이 회전되면 이에 연동되어 회전되어 바닥에 있는 먼지나 쓰레기를 후방으로 밀어 상기 개구부(12)로 밀어 넣는 메인브러시(20);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 상기 메인브러시(20)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구동휠(13)과 상기 메인브러시(2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휠(13)과 상기 메인브러시(20)가 회전되면 회전되어 상기 메인브러시(20)의 전방 양측에 있는 먼지나 쓰레기를 상기 메인브러시(20)쪽으로 수집하는 한 쌍의 보조브러시(30);
    상기 본체(10)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브러시(20)의 전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부(50);
    상기 메인브러시(20)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10)에 마련되는 레버(L)의 조작에 의해 상기 메인브러시(20)를 회전시키는 메인브러시 구동부(60);
    상기 구동휠(13)의 후방 영역의 상기 본체(10)에 마련되어 금속을 부착시키는 자석부(70); 및
    상기 저장부(11)에 마련되며 상기 저장부(11)로 유입된 쓰레기가 저장되는 수집통(80)을 포함하는 개선된 바닥 청소기.
KR1020180092081A 2018-08-07 2018-08-07 개선된 바닥 청소기 KR201900665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081A KR20190066536A (ko) 2018-08-07 2018-08-07 개선된 바닥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081A KR20190066536A (ko) 2018-08-07 2018-08-07 개선된 바닥 청소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068A Division KR101888474B1 (ko) 2017-12-05 2017-12-05 개선된 바닥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536A true KR20190066536A (ko) 2019-06-13

Family

ID=6684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081A KR20190066536A (ko) 2018-08-07 2018-08-07 개선된 바닥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65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2974A (zh) * 2020-07-20 2020-10-23 张宜恒 一种酒店房间地毯毛发清理装置
CN112914430A (zh) * 2021-03-24 2021-06-08 广州科语机器人有限公司 一种尘盒及扫地机器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228B1 (ko) 2012-06-05 2014-02-06 장호선 세척도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228B1 (ko) 2012-06-05 2014-02-06 장호선 세척도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2974A (zh) * 2020-07-20 2020-10-23 张宜恒 一种酒店房间地毯毛发清理装置
CN112914430A (zh) * 2021-03-24 2021-06-08 广州科语机器人有限公司 一种尘盒及扫地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514661A (ja) クリーナーヘッド
CN204158324U (zh) 一种多功能清洁机
CN112493940A (zh) 一种家用地面清洁装置
CN210392340U (zh) 一种便于清洗的环保垃圾桶
KR20190066536A (ko) 개선된 바닥 청소기
CN102293607A (zh) 自动地面清洁机
KR200483483Y1 (ko) 바닥 청소기
KR101888474B1 (ko) 개선된 바닥 청소기
CN104831798A (zh) 一键式清洁小便池
CN206550051U (zh) 一种键盘清洗装置
KR20150055743A (ko) 휴대용 수동 청소기
CN211511648U (zh) 一种盘刷扫地机
KR20180002554U (ko) 바닥 청소기
CN101721184A (zh) 清洗机
CN207384222U (zh) 清洗机
CN108577695A (zh) 一种刷地机
KR20180135676A (ko) 수동식 진공청소기
KR200483409Y1 (ko) 바닥청소기
CN202699051U (zh) 电动清扫装置
CN207846311U (zh) 扫地机的皮带齿轮转动结构
CN201258466Y (zh) 手推式扫地车
JP2019050968A (ja) 自走式ロボット掃除機
CN209770276U (zh) 家用双向清扫拖把
JP2021531897A (ja) 電池式掃除機
CN112294202A (zh) 一种室内地面电动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