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901A - Opening and closing labels for packages, and packages having the sam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packages - Google Patents

Opening and closing labels for packages, and packages having the sam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packag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901A
KR20190065901A KR1020170165506A KR20170165506A KR20190065901A KR 20190065901 A KR20190065901 A KR 20190065901A KR 1020170165506 A KR1020170165506 A KR 1020170165506A KR 20170165506 A KR20170165506 A KR 20170165506A KR 20190065901 A KR20190065901 A KR 20190065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opening
closing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5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이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현 filed Critical 이승현
Priority to KR1020170165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5901A/en
Publication of KR20190065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90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3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lled out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3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 G09F3/0305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 G09F3/0341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having label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ing/closing label for a package, a package having the sam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hich improve a structure of an opening/closing film and a cut film to move the cut film only in a fixed path at all times in a process that the opening/closing film covers a withdrawal port to accurately match and insert the cut film into the withdrawal port to reliably realize a dual sealing structure by the cut film with the opening/closing film. Moreover, a forming structure of the cut film and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cut film and the opening/closing film are improved to prevent the opening/closing film from being unintentionally turned back to an original position to close the withdrawal port while the opening/closing film is turned and opened. A structure of a fixed film and the forming structure of the cut film are improved to maintain a state that the withdrawal port is perfectly blocked and sealed in a process of a movement before the first use to prevent an accommodated object from being spoiled by air contact even if storage time is prolonged before the first use. In addition, multiple withdrawal ports and opening/closing films can be simultaneously formed on an accommodation body and a fixed film in accordance with a structure of the accommodation body or a type of an accommodated object to improve user convenience and minimize a spoiling possibility of the accommodated object.

Description

포장패키지용 개폐라벨과 이를 갖는 포장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Opening and closing labels for packages, and packages having the sam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package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 / close label for a package, a packaging packag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물티슈나 미용 마스크팩, 각종 식품 등의 피 수용체가 수용되는 수용본체에 설치되어 수용본체를 개폐하는 용도의 개폐라벨 및 이를 갖는 포장패키지와 포장패키지 용 개폐라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able and closable label for opening and closing a receiving body provided in a receiving body such as a wet tissue, a beauty mask pack, various foods and the like, and a packaging package, ,

특히 인출구를 갖는 고정필름이 수용본체 상에 부착되고 개폐필름이 고정부착구간을 통해 부착되어 고정부착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비 고정부착구간이 고정부착구간과의 경계지점에 형성된 접이유도라인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면서 인출구를 개폐하 는 기본구조를 갖고,In particular, when a fixing film having an outlet is attached to the receiving body and the opening / closing film is attached through the fixing attachment section, the remaining non-fixing attachment section excluding the fixing attachment section is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Has a basic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while rotating,

고정필름에 인출구를 절개 형성시킬 때 고정필름 중 인출구형상 및 크기대로 인출구 지점으로부터 절개 분리 형성된 절개필름이 개폐필름의 하부면에 적층 부착되어 함께 상하 회동되되 절개필름을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인출구 테두리 전체를 절개하지 않고 일부 비 절개구간이 형성되도록 함에 따라 절개필름이 적어도 개폐필름하부면 중 접이유도라인 지점에 적층되도록 함으로써,When the cut-out film is formed on the fixed film, the cutting film formed by cutting and separating from the exit point in the shape and size of the outflow hole of the fixing film is stacked on the lower 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and is vertically rotated together.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cut film, The incision film is laminated at least on the folding guide line of the lower face of the opening / closing film by forming a part of the non-incision section without incision,

개폐필름이 접이유도라인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젖혀졌을 때 개폐필름 중 접이유도라인 지점의 두께가 증가됨에 따라 개폐필름이 젖혀진 상태가 유지되고 원치 않게 아래쪽을 향해 회동하여 인출구가 닫혀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As the thickness of the folding guide line of the opening / closing film increases when the opening / closing film is turned upwards around the folding guide line, the opening / closing film is kept in a folded state, and the folding of the opening opening is prevented It is a technology that can be done.

그리고 고정필름에 인출구를 절개하여 절개필름을 형성시킬 때 인출구 테두리 전체를 절개하여 절개필름이 고정필름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하지 않고 인출구 테두리 일부 구간에 비 절개구간이 형성되어 절개필름 일부 구간이 고정필름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개폐필름 하부면에 적층부착됨에 따라,When the cut-out film is formed on the fixing film, the entire cut-out portion of the cut-out film is cut so that the cut film is not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fixing film, but a non-cut section is formed in a part of the cut- As the films are laminated and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 / close film in an integrated state,

열려있던 개폐필름이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인출구를 닫는 과정에서 절개필름이 항시 정해진 경로를 따라 회동하여 인출구에 정확히 삽입되어 인출구를 정확히막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밀폐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기술이다.The opening film is pivoted downward to close the outlet, and the cutting film is rotated along the predetermined path at all times to be accurately inserted into the outlet so that the outlet can be precisely blocked, thereby improving the sealing efficiency.

또한 필요에 따라 고정필름을 다중필름 형태로 구현하고 인출구를 형성시킬 때 필요에 따라 인출구 테두리를 단순 절개시키는 것이 아니라 다중 형 고정필름을 구성하는 필름 중 내측필름에 절취라인이 인출구 테두리 라인을 따라 사전에 형성되도록 하는 형태로 제작함에 따라,In addition, when the fixing film is formed in the form of a multi-film as required and the outlets are formed, it is not necessary to simply cut out the outlets in the form of a film, but the cut lines in the inner film, As shown in FIG.

최초 사용하기 전 유통 등의 과정에서는 항시 인출구가 완전히 밀폐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에 따라 피 수용체와 공기 간 접촉을 완전히 차단하여 피 수용체의 변질 등의 훼손 가능성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반면, 최초 사용시에는 고정필름의 내부 필름층에 형성된 절취라인에 의해 절개필름이 쉽게 인출공으로부터 떼어져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높이도록 한 기술이다.In the process of distribution before the first use, the outlet is always kept in a completely closed state so that the contact between the receptor and the air is completely blocked, thereby minimizing the possibility of deterioration such as deterioration of the receptor. On the other hand, The cut film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draw-out hole by the cut line formed in the inner film layer of the inner film layer.

그리고 수용본체의 수용공간 형태나 피 수용체의 종류 등에 따라 고정필름에 복수개의 인출구과 절개필름 및 개폐필름을 형성시키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더욱 높이도록 한 기술이다.Further, a plurality of outflow ports, a cutting film and an opening / closing film are formed on the fixing film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receiving body, the type of the receiving body, and the like.

최근에 물티슈나 미용 마스크팩, 일외용 콘텍트렌즈 등 수분이나 약액이 함유된 상태로 보관되어야 하는 것이나 편의점 등에서 판매하는 밀폐성 식품은 개폐가 용이하도록 수용본체 상에 필름이 부착되어 필름을 젖혀 개폐하는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Recently, a hermetically sealed food such as a wet tissue, a cosmetic mask pack, a contact lens for external use, etc., which must be stored in a state containing moisture or a chemical solution, or a hermit food sold at a convenience store, Is used.

일 예로 물티슈의 경우 비닐팩 형태의 수용본체 상에 인출공이 형성되고 수용본체 표면상에 개폐필름이 부착되어 개폐필름이 상하 회동하면서 인출공을 덮거나 개방하여 개폐하는 구조를 갖는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wet tissue, a draw-out hole is formed on a receptacle body in the form of a plastic pack, and an opening / closing film is attached on the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to open / close the opening / closing film while covering the opening hole.

또 다른 일 예로 음식 등을 위한 일회용 밀폐포장패키지는 사출구조물 형태의 수용본체 상에 고정필름이 덮여져 테두리가 부착고정됨에 따라 밀폐구조를 갖고 고정필름 전체 또는 일부를 수용본체로부터 떼어내 개방하는 일회성 개방구조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disposable sealed packaging package for food or the like has a sealing structure in which the fixing film is covered on the receiving body in the form of an injection structure and the frame is attached and fixed, and a one-time There is also an open structure.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들 중 반복개폐구조에 해당하는 기술은,Among the related arts, the technology corresponding to the repeated open /

인출공을 형성시킬 때 고정필름 중 인출공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구간을 완전히 절개하여 완전한 홀 형태로 형성시키고 고정필름 중 인출공에 해당하는 부분으로부터 완전히 떼어진 절개필름이 고정필름 하부면에 부착된 상태로 개폐필름과 함께 상하 회동하는 구조를 갖고, 개폐필름이 인출공을 덮는 과정에서 절개필름이 인출공 내부에 삽입되어 인출공을 이중으로 막고자 하는 구조를 갖는다.When forming the draw-out hole, th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rim of the draw-out hole is completely cut out to form a complete hole form of the fixing film, and a cutting film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raw-out hole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film The film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ut-off film is inserted into the take-out hole to block the take-out hole in the process of covering the take-out hole.

그런데 해당 종래기술은 절개필름을 인출공의 추가적인 밀폐용도로 활용하고자 한 것이지만 이를 전혀 구현하지 못하고 있다.However, the related art attempts to utilize the cutting film as an additional sealing application of the draw-out ball, but does not implement it at all.

그 이유는, 일단 개폐필름이 얇은 필름 구조이고 이 상태에서 절개필름이 고정필름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개폐필름에 부착된 구조이기 때문에,The reason is that once the opening / closing film is a thin film structure and the cutting film is attached to the opening / closing film with the cutting film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fixing film in this state,

개폐필름을 젖혀 인출공을 덮는 과정에서 개폐필름이 얇은 필름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잡는 부분이 어디냐에 따라 형태가 약간씩 변형된 상태로 수용본체에 부착될 수밖에 없다.Since the opening / closing film is a thin film structure in the process of covering the draw-out hole by bending the opening / closing film, the shape of the opening / closing film is inevitably adhered to the receiving body in a slightly deformed state depending on the part of the user.

이렇게 개폐필름의 형상이 변형된 상태로 부착되에 따라 이와 함께 이동되는 절개필름 전체가 정확하게 인출공 내부에 삽입될 수 없고 일부가 수용본체 표면에 부착되어, 결국 인출공 일부가 개방된 상태가 될 수밖에 없다.As the shape of the opening / closing film is attached in a deformed state, the entire incision film moved together with the opening / closing film can not be correctly inserted into the draw-out hole, and a part thereof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There is no other choice.

이 경우 만약 개폐필름이 주름진 형태로 부착되면 외부공기가 개폐필름과 수용본체 사이로 쉽게 유입됨은 물론 인출공의 일부 개방된 지점을 통해 수용본체 내부까지 쉽게 유입되는 경우가 빈번하다.In this case, if the opening / closing film is attached in a corrugated form, the outside air can easily flow into the opening / closing film and the receiving body, and can easily flow into the receiving body through the opened portion of the drawing hole.

따라서 해당 구조의 기술들은 절개필름의 활용도가 전무하다.Therefore, there is no utilization of the incision film in the structure of the corresponding structure.

이 외에 반복 개폐형 구조에서 개폐필름의 두께가 얇다보니 개폐필름의 비 고정부착구간이 접이유도라인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젖혀져 들어올려진 상태에서쉽게 다시 원위치로 젖혀지게 되고 이에 따라 피 수용체의 인출 과정에서 어쩔 수없이 양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 등이 수반된다.In addi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opening / closing film in the repeated opening-closing structure is thin, the non-fixed attachment section of the opening / closing film is easily turned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while being lifted upwards around the folding guide line. And the necessity of using both hands inevitably.

이 외에 반복 개폐형 구조에서 개폐라벨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이미 인출공이 완전히 절개된 상태에서 절개필름이 인출공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제작되는데,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opening / closing label in the repeated opening-closing type structure, the cutting film is already inserted into the drawing hole while the drawing hole is completely cut.

최초 사용 전에 인출공 내부에 삽입되어 막고 있기는 하지만 그렇더라도 인출공은 완전히 절개된 상태이기 때문에 인출공 테두리와 절개필름 테두리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공기가 유입될 수밖에 없다.Even though it is inserted inside the drawer before the first use, the drawer is completely incised so that the air can flow through the gap formed between the edge of the drawer and the edge of the incision film.

따라서 기존의 반복 개폐형 구조의 종래기술은 유통등의 과정에서 최초 사용 전 까지의 기간동안 피 수용체의 수분이 증발되는 등의 훼손 가능성이 매우 크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technology of the conventional repeated opening-and-closing type structure is very likely to be damaged such as evaporation of the water of the receptor during the period before the first use in the process of distribution and the like.

이러한 반복 개폐형 구조의 종래 기술 외에 일회성 개방구조의 종래기술은 단순히 고정필름 전체가 플라스틱 사출물 등 형태의 수용본체 상부를 완전히 덮는 상태에서 테두리가 수용본체 테두리에 열 융착 등을 통해 부착된 밀폐구조를 갖는다.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y of the repeated opening-and-closing type structure, the conventional technique of the one-time opening structure simply has the sealing structure in which the entirety of the fixing film completely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body in the form of a plastic injection mold or the like, .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은 피 수용체를 인출하고자 할 때 고정필름을 찢거나 수용본체로부터 떼어내는 형태로 개방되는데 한번 개방되고 나서는 다시 밀폐가 이루어질 수 없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rt, the fixing film is torn or peeled off from the receiving body when the receptor is to be drawn out, and there is a fatal disadvantage that the sealing film can not be sealed once it is opened.

뿐만 아니라 기존 기술은 수용본체의 수용공간이 나누어져 있거나 두 종류 이상의 피 수용체가 수용되어 있더라도 단순히 하나의 고정필름이 수용본체 전체를 동시에 덮은 구조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피 수용체를 수용한 구조에서는 적용 자체가 불가능한 단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s a structure in which a receiving space of the receiving body is divided or two or more types of receiving members are accommodated, only one fixing film covers the entire receiving body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application itself is impossibl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들을 해소함과 동시에 추가적인 개선사항을 동시에 제안하고자 하는 것으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개폐필름과 절개필름의 구조를 개선하여 개폐필름이 인출구를 덮는 과정에서 항시 절개필름이 일정한 경로로만 이동하여 항상 인출구 내에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삽입되도록 함에 따라, 개폐필름을 비롯해 절개필름에 의한 이중밀폐구조가 확실히 구현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structure of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and the incision film is improved so that the incision film is constantly moved in a constant path at all times in the process of covering the exit open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so that it is always inserted exactly in the exit opening so that the double- So that it can be surely implemented.

또한 절개필름의 형성구조와 개폐필름과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개폐필름의 젖혀져 열려진 상태에서 개폐필름이 원치 않게 원취치로 다시 젖혀져 인출구가 닫히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is unwound from the opened state when the open / close film is opened and closed, thereby preventing the opening of the outlet from being closed.

그리고 고정필름의 자체 구조와 절개필름의 형성구조를 개선하여 최초 사용 전 유동 등의 과정에서 인출구가 완벽하게 막혀 밀폐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최초 사용 전 보관 등의 기간이 길어지더라도 공기 접촉에 의한 피 수용체의 변질 현상 등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since the self-structure of the fixing film and the forming structure of the incision film are improved, the outlet is completely clogged in the course of flow and the like before the first use so that the sealed state can be maintained. Deterioration of the receptor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또한 수용본체의 구조나 수용되는 피 수용체의 종류 등에 따라 하나의 수용본체 및 고정필름에 여러개의 인출구와 개폐필름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과 피 수용체의 변질 가능성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receiving body, the type of the receiving body to be accommodated, and the lik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form a plurality of outlets and an opening / closing film on one receiving body and the fixing film, thereby minimizing the convenience of use and the possibility of deterioration of the receiving body .

이러한 해결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 중 포장패키지 전체 구성에 대한 해결수단으로는,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s a solution to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ackaging package of the present invention,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 일부 또는 전체에 걸쳐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수용본체, 상기 개방부의 면적 이상의 면적을 갖는 필름 형태이고 하부면에는 부착구간이 형성되어 상기 부착구간이 상기 수용본체 표면에 부착됨에 따라 상기 개방부를 덮어 막고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 내 피 수용체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필름, 상기 인출구보다 큰 면적을 갖는 필름 형태이고 하부면에는 점착제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이 상기 고정필름 표면에 부착되되 일측에는 항시 고정필름에 고정부착되어 있는 고정부착구간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인출구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필름 표면에 탈부착 가능한 비 고정부착구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착구간과 비 고정부착구간 간 경계지점에는 접이 유도라인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비 고정부착구간이 상기 접이 유도라인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면서 상기 인출구를 개폐하는 개폐필름, 상기 인출구와 동일한 모양 및 면적을 갖는 필름 형태이고 일측단부가 고정필름 중 상기 인출구의 일측 테두리와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필름의 하부면 중 상기 접이 유도라인이 형성된 지점에 적층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필름의 상하 회동 과정에서 상기 인출구 테두리와의 경계지점을 중심으로 함께 상하 회동하되 아래쪽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인출구에 정확히 일치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인출구 전체를 막는 절개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 receiving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on a part or the whole of the upper side and the receiving spac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a film form having an area equal to or larger than the area of the opening; A fixing film which covers the opening and is formed with an outlet for withdrawing the receptor in the accommodation space as the attachment section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and a film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outlet A lower surface of the fixing film is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film, and a fixing attachment section fixedly attached to the fixing film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xing film, while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film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xing film surface, A possible non-fixed attachment section is formed, An opening / closing film for opening / closing the outlet while vertically rotating the non-fixed attachment section about the folding guide line as the folding guide line is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fixed attachment section and the non-fixed attachment section; Wherein at least one end of the fixing film is integrally connected to one side edge of the fixing film and is lamin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at a point where the folding guide line is formed, And an incision film which is rotated vertically together with a center point of the boundary with the exit opening and is rotated downwar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exit opening precisely to close the entire exit opening.

그리고 개폐라벨에 관련된 해결수단으로는,As a solution for the opening / closing label,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 일부 또는 전체에 걸쳐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수용본체에 부착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기 위해 사용되되,Wherein the receptacle is attached to an accommodating body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on a part or the entire upper side thereof and the accommodating space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to be use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상기 개방부의 면적 이상의 면적을 갖는 필름 형태이고 하부면에는 부착구간이 형성되어 상기 부착구간이 상기 수용본체 표면에 부착됨에 따라 상기 개방부를 덮어 막고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 내 피 수용체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필름, 상기 인출구보다 큰 면적을 갖는 필름 형태이고 하부면에는 점착제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이 상기 고정필름 표면에 부착되되 일측에는 항시 고정필름에 고정부착되어 있는 고정부착구간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인출구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필름 표면에 탈부착 가능한 비 고정부착구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착구간과 비 고정부착구간 간 경계지점에는 접이 유도라인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비 고정부착구간이 상기 접이 유도라인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면서 상기 인출구를 개폐하는 개폐필름, 상기 인출구와 동일한 모양 및 면적을 갖는 필름 형태이고 일측단부가 고정필름 중 상기 인출구의 일측 테두리와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필름의 하부면 중 상기 접이 유도라인이 형성된 지점에 적층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필름의 상하 회동 과정에서 상기 인출구 테두리와의 경계지점을 중심으로 함께 상하 회동하되 아래쪽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인출구에 정확히 일치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인출구 전체를 막는 절개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attachment sect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o cover the opening section as the attachment section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and an outlet for withdrawing the receptor in the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And a lower surface of the fixing film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fixing film, and a fixing attachment section fixed to the fixing film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xing film at all times And the non-fixed attachment section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xed attachment section and the non-fixed attachment section, and the non-fixed attachment section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xed attachment section and the non- While vertically rotating about the fold induction line, The film is in the form of a film having the same shape and area as those of the lead-out opening. One end of the film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one side edge of the lead-out hole of the fixing film. And a cutting film which is vertically pivoted together with a boundary point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and the opening edge of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while rotating in a downward direction while being precisely aligned with the outlet so as to cover the entire outlet .

그리고 상기 절개필름은 일측이 상기 일출구 테두리 중 상기 개폐필름의 접이 유도라인 하측 지점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체가 상기 개폐필름의 하부면 중 접이 유도라인 형성지점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utting film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 / close film at a point where the folding line is formed in a state where one side of the cutting film is integrally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folding guide line of the open / close film.

그리고 상기 고정필름은 복수개의 적층필름이 상하 중첩된 다중 필름 형태이고 각 적층필름 중 최 상단에 위치한 적층필름을 제외한 나머지 적층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인출구의 테두리라인을 따라 절개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필름이 상기 인출구로부터 최초 절개 분리되기 전 상태에서 상기 절개필름을 인출구로부터 떼어낼 때 사전에 절개형성되어 있던 상기 절개라인을 따라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film may be a multi-film type in which a plurality of laminated films are stacked on top and bottom, and at least one of the laminated films except for the laminated film positioned at the uppermost one of the laminated films is provided with a cutting line along a frame line of the outgoing port And the incision film is incised along the incision line previously formed when the incision film is detached from the withdrawal port in a state before the incision film is firstly incised from the withdrawal port.

그리고 상기 개방부는 상기 수용본체 상부가 완전히 개방된 형태이고 상기 고정필름은 상기 수용본체의 개방부 전체를 덮은 상태에서 테두리가 하부면이 상기 수용본체 표면에 열융착 형태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a state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body is completely opened, and the fixing film covers the entire opening portion of the receiving body, and the lower surface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by thermal fusion.

그리고 상기 수용본체의 수용공간은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나위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필름의 인출구는 고정필름 중 각 수용공간 상에 각각 형성되고 각 고정필름마다 개폐필름과 절개필름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ceiving space of the receiving body is formed at least in two or more spaces, and the opening of the fixing film is formed on each receiving space of the fixing film, and each opening and closing film and a cutting film are formed for each of the fixing films .

그리고 이에 대한 제작방법으로,In addition,

개폐필름원지와 고정필름원지를 개별적으로 준비시키는 필름원지 준비공정, 상기 개폐필름원지 하부면에 점착제를 도포시키는 작업과 상기 개폐필름원지 표면 및 상기 고정필름원지 표면에 인쇄하는 작업 중 어느하나 이상을 실시하는 형태의 필름표면 가공공정, 상기 고정필름원지에 상기 인출구 및 절개필름을 절개 형성시키는 제1절개공정, 상기 필름표면 가공공정과 상기 제1절개공정 사이에 진행되거나 상기 제1절개공정 이후에 실시되고 상기 개폐필름원지의 하부면이 상기 고정필름원지 상부면 중 상기 인출구가 형성되는 지점을 덮는 형태로 적층 합지시키는 합지공정, 합지공정 이전 또는 이후에 실시되고 상기 개폐필름에 접힘유도 절개부(15)를 절개 형성시키는 제2절개공정, 합지되어 있는 상기 개폐필름원지 및 고정필름원지 간 결합체 중 상기 개폐필름 및 고정필름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경로를 따라 커팅하여 개폐필름과 고정필름 간 결합체를 생성하는 재단공정, 상기 재단공정과 상기 제2절개공정 사이 또는 상기 재단공정 이전에 실시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필름원지와 고정필름원지간 결합체 또는 상기 개폐필름과 고정필름 간 결합체를 수용본체 상단부에 부착고정시켜 수용본체 내부를 밀폐시키는 부착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least one of a film raw paper preparation step of separately preparing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raw paper and the fixed film raw paper, an operation of applying an adhesiv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raw paper, and a job of printing the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raw paper and the surface of the fixed film raw paper A first incision process for cutting out the exit port and the incision film on the fixed film raw paper; and a second incision process performed between the film surface processing step and the first incision process or after the first incision process A folding step of laminating a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film base material in a laminated state in a manner of covering a point where the outlet port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film base material, a preliminary laminating process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laminating process, 15), a second incision process for cutting the open / close film between the open / close film stock and the fixed film stock, A cutting process for cutting the opening / closing film and the fixing film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films and the fixing film to form a combined body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and the fixing film, the cutting process being performed between the cutting step and the second cutting step or before the cutting step, And an attaching step of sealing the inside of the receiving body by attaching or fixing the combined body of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raw paper and the fixing film base or the combined body of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and the fixing film to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body.

이와 같은 본 발명은,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고정필름에 인출구를 절개 형성시킬 때 고정필름 중 인출구형상 및 크기대로 인출구 지점으로부터 절개 분리 형성된 절개필름이 개폐필름의 하부면에 적층 부착되어 함께 상하 회동되되 절개필름을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인출구 테두리 전체를 절개하지 않고 일부 비 절개구간이 형성됨에 따라 절개필름이 적어도 개폐필름하부면 중 접이유도라인 지점에 적층됨으로써,When the cut-out film is formed on the fixed film, the cutting film formed by cutting and separating from the exit point in the shape and size of the outflow hole of the fixing film is stacked on the lower 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and is vertically rotated together.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cut film, The incision film is laminated at least on the folding guide line side of the lower face of the opening / closing film as a part of the non-incision section is formed without incision,

개폐필름이 접이유도라인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젖혀졌을 때 개폐필름 중 접이 유도라인 지점의 두께가 증가됨에 따라 개폐필름이 젖혀진 상태가 유지되고 원치 않게 아래쪽을 향해 회동하여 인출구가 닫혀지는 현상이 방지된다.As the thickness of the folding guide line of the opening / closing film is increased when the opening / closing film is turned upwards about the folding guide line, the opening / closing film is kept in a folded state and the folding of the opening do.

또한 고정필름에 인출구를 절개하여 절개필름을 형성시킬 때 인출구 테두리 전체를 절개하여 절개필름이 고정필름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인출구 테두리 일부 구간에 비 절개구간이 형성되어 절개필름 일부 구간이 고정필름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개폐필름 하부면에 적층부착됨에 따라, 열려있던 개폐필름이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인출구를 닫는 과정에서 절개필름이 항시 정해진 경로를 따라 회동하여 인출구에 정확히 삽입되어 인출구를 정확히막을 수 있어 밀폐효율이 향상된다.In addition, when the cut-out film is formed on the fixing film, the entire cut-out portion of the cut-out film is cut so that the incision film is not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fixing film, and a non-cut section is formed in a part of the cut- The open / close film that is opened is pivoted downward, so that the cut film is rotated along the predetermined path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exit port, so that the exit opening can be precisely inserted by being inserted exactly into the exit port, The efficiency is improved.

그리고 필요에 따라 고정필름을 다중필름 형태로 구현하고 인출구를 형성시킬 때 필요에 따라 인출구 테두리를 단순 절개시키는 것이 아니라 다중 형 고정필름을 구성하는 필름 중 내측필름에 절취라인이 인출구 테두리 라인을 따라 사전에 형성되도록 하는 형태로 제작함에 따라, 최초 사용하기 전 유통 등의 과정에서는 항시 인출구가 완전히 밀폐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에 따라 피 수용체와 공기 간 접촉을 완전히 차단하여 피 수용체의 변질 등의 훼손 가능성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반면, 최초 사용시에는 고정필름의 내부 필름층에 형성된 절취라인에 의해 절개필름이 쉽게 인출공으로부터 떼어져 분리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이 극대화 된다.In addition, when the fixing film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film as required, and the needles are not simply cut in the case of forming the outlets, the cut lines on the inner film among the films constituting the multi-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deterioration of the receptor by completely blocking the contact between the receptor and the air as the outlet is kept in a completely closed state at all times during the process of circulation before the first use 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initial use, the cut film can be separated from the draw-out hole by the cut line formed in the inner film layer of the fixed film, thereby maximizing ease of use.

그리고 수용본체의 수용공간 형태나 피 수용체의 종류 등에 따라 고정필름에 복수개의 인출구과 절개필름 및 개폐필름을 형성시킴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이 더욱 향상된다.Further, by forming a plurality of outflow ports, a cutting film, and an opening / closing film on the fixing film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receiving body, the type of the receiving body, and the like, ease of use is further improved.

도 1은 전체 분해사시도
도 2는 전체 결합 상태에서 개폐필름이 인출구를 덮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전체 결합 상태에서 개폐필름이 위쪽으로 젖혀져 인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절개필름이 개폐필름과의 부착되기 전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3의 상태에서 절개필름이 비 절개지점을 중심으로 젖혀져 개폐필름에 적층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4의 단면도
도 6은 도2의 단면도
도 7은 하나의 수용본체에 복수개의 인출구와 개폐필름 및 절개필름이 적용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고정필름이 복수개의 적층필름이 상하 중첩된 형태에서 절개라인이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전체 제작 공정흐름도
도11 및 도12는 개폐필름과 절개필름이 복수개 구비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특정 개폐필름과 절개필름이 고정필름으로부터 완전히 떼어지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13 및 도 14는 개폐필름의 변형 예를 나타낸 입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cutting film is attached to the opening / closing film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 closing film is turned upward in the entire combined state,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utting film in the state of Fig. 3 in a state in which the cutting film is folded around the non-
5 is a cross-
Figure 6 is a cross-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outlets, an opening and closing film and a cutting film are applied to one receiving body,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cutting line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laminated films are vertical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in a fixing film
Figs. 9 and 10 show the entire manufacturing process flow chart
FIGS. 11 and 12 show a case in which a specific opening / closing film and a cutting film are completely separated from a fixing film when necessary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films and cutting films are provided
Figs. 13 and 14 are diagrams showing stereoscopic views

다음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을 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의한 포장패키지용 개폐라벨 및 이를 갖는 포장패키지는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것처럼 수용본체(1)와 고정필름(5), 개폐필름(10) 및 절개필름(16)으로 구성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label for a packaging pack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ackaging package having the opening and closing lab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posed of the receiving body 1, the fixing film 5,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10 and the cutting film 16 as shown in Figs. 1 to 8 .

수용본체(1)는 물티슈나 마스크팩, 식품 등의 피 수용체(2)가 수용되어 보관되기 위한 공간 제공 역할을 하는 요소이다.The accommodating main body 1 is an element serving as a space for accommodating and storing the receptive body 2 such as a wet tissue, a mask pack, food or the like.

해당 수용본체(1)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 일부 또는 전체에 걸쳐 개방된 개방부(4)가 형성된 형태이며, 이때 내부는 개방부(4)를 통해 수용공간(3)이 외부에 노출된 구조를 갖는다.The accommodating main body 1 has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nd an open part 4 opened to a part or the whole of the upper part is formed. As shown in FIG.

이때 이러한 수용본체(1)는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체가 플라스틱 사출구조물형태로 구현되거나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물티슈 포장팩과 같은 비닐포장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receiving body 1 may be embodied in the form of a plastic injection structure as shown in FIG. 1 or a plastic wrapping material such as a general wet tissue packing pack as shown in FIG.

즉 본 발명의 수용본체(1)는 피 수용체의 종류에 따라 그 재질이나 형상 및 구조가 특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내부의 피 수용체(2)가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형태라면 선택 적용이 가능하다.That is, the receiving bod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particular type, shape and structur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receiving body, but can be stored in a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body 2 inside the receiving body 2 is blocked from the outside If there is a form, it can be applied selectively.

그리고 수용본체(1)의 내부 수용공간(3)은 통합되어 하나만 형성되거나 내부 에 구획구조를 통해 여러개의 독립된 공간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ner receiving space 3 of the receiving body 1 may be integrally formed, or may be formed as a plurality of independent spaces through a divided structure.

이와 같은 수용본체(1)에는 고정필름(5)이 설치된다.The receiving body 1 is provided with the fixing film 5.

고정필름(5)은 기본적으로 수용본체(1)의 개방부(4)를 막아 차단하여 피 수용체(2)의 외부노출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요소이다.The fixing film 5 is basically an element that blocks the opening 4 of the receiving body 1 and blocks the external exposure of the receiving body 2. [

해당 고정필름(5)은 전체적으로 얇은 합성수지 필름 형태이고 수용본체(1)의 개방부(4) 면적 이상의 면적을 갖고 개방부의 모양과 동일한 모양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fixing film 5 is in the form of a thin synthetic resin film and has an area equal to or larger than the area of the opening portion 4 of the receiving body 1 and has the same shape as the shape of the opening portion.

이러한 고정필름(5)은 하부면에 수용본체(1)와의 부착 고정을 위한 부착구간(6)이 형성되고 부착구간(6)이 수용본체(1)의 상단 테두리에 동시에 부착됨에 따라 고정필름(5)이 개방부 전체를 동시에 덮어 내부의 수용공간(3)을 외부와 차단시키는 구조가 된다.The fixing film 5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with an attachment section 6 for attachment and fixing with the receiving body 1 and the attachment section 6 is simultaneously attached to the upper edge of the receiving body 1, 5) covers the entire opening portion at the same time and blocks the inside accommodation space (3) from the outside.

고정필름(5)의 부착구간(6)은 수용본체(1)의 상단 테두리 모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일 예로 수용본체(1)의 상단 개방부가 단순히 하나의 사각 형태라면 부착구간(6)은 고정필름(5)의 하부면 테두리가 되어 고정필름(5) 테두리가 수용본체(1) 테두리에 부착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The attachment section 6 of the fixing film 5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body 1. For example, if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receiving body 1 is simply a rectangular shape, 6 may be a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film 5 so that the rim of the fixing film 5 is attached to the rim of the receiving body 1. [

그리고 고정필름(5)과 수용본체(1)간 부착방식은 피 수용체(2)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피 수용체(2)가 물티슈나 미용 마스크팩, 음식물처럼 오염에 의한 변질 가능성이 있는 형태일 경우 부착구간(6)에 별도의 접착제가 사용되지 않고 고정필름과 수용본체를 상호 열 융착 시키는 형태로 상호 부착고정시킬 수 있다.The attachment method between the fixing film 5 and the receiving body 1 may be variously appli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receiving body 2 and the likelihood of deterioration of the receiving body 2 due to contamination such as a wet tissue, It is possible to attach and fix the fixing film and the receiving body mutually in a heat fusion manner without using an adhesive in the attachment section 6. [

물론 피 수용체(2)가 접착제와 접촉되더라도 변질 가능성이 전혀 없는 형태라면 필요에 따라 별도의 접착제를 통해 고정필름과 수용본체를 상호 부착 고정시킬 수도 있다.Of course, if the receptacle 2 is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and there is no possibility of deterioration, the fixing film and the receptacle body may be fixed to each other through a separate adhesive if necessary.

그리고 고정필름(5)의 두께나 재질등은 특정 범위에 국한되지 않고 피 수용체(2)의 종류나 수용본체(1)의 형상, 재질,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The thickness and the material of the fixing film 5 are not limited to a specific range and can be variously select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receiving body 2 and the shape, material, size, etc. of the receiving body 1. [

또한 고정필름(5)은 다중적층 구조등을 통해 자체 두께가 두껍게 구현되도록 하여 수용본체(1)에 고정부착된 상태에서 주름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개폐필름(10)과 절개필름(16)이 인출구(9)를 닫는 과정에서 주름 등에 의한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film 5 is formed to have a thick thickness through a multiple lamination structure or the like so that wrinkles and the like are not generated in a state where the fixing film 5 is fixed to the receiving body 1,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outlet 9 is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by wrinkles or the like.

이렇게 설치된 고정필름(5)에는 인출구(9)가 형성되는데, 인출구(9)는 수용본체(1) 내부의 피 수용체(2)를 외부로 인출할 때 최소면적의 인출통로 역할을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The fixed film 5 thus formed is provided with a draw-out opening 9 which is formed to serve as a draw-out passage having a minimum area when the drawn-out body 9 is taken out to the outside .

이러한 인출구(9)는 고정필름에 상하 관통 구조의 단순 구멍형태로 이루어지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선택 구현할 수 있다.The outlet 9 is formed as a simple hole having a vertical through-hole structure in the fixing film,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as needed.

이때 인출구(9)는 사전에 고정필름(5)을 정해진 경로, 즉 형성될 인출구(9)의 테두리 라인을 따라 절개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이 과정에서 후술하는 절개필름(16)이 동시에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outlet 9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ixing film 5 is previously cut along a predetermined path, that is, along the edge line of the outlet 9 to be formed, and a cutting film 16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at the same time .

이렇게 인출구(9)가 형성된 고정필름(5)에는 개폐필름(10)이 연결 설치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film 10 is connected to the fixing film 5 on which the outlet 9 is formed.

개폐필름(10)은 인출구(9)의 실질적인 개폐기능을 하는 요소이다.The opening / closing film 10 is an element which substantially functions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9.

이러한 개폐필름(10)은 전체적으로 인출구(9)보다 큰 면적을 갖는 얇은 필름 형태이고 하부면에는 점착제(11)가 도포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점착제(11)를 통해 하부면이 고정필름(5) 표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film 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having an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outlet 9 as a whole and the lower surface thereof is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fixing film 5 through the adhesive 11 in a state in which the adhesive agent 11 is coat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As shown in Fig.

개폐필름(10)의 일측구간은 항시 고정필름(5) 표면에 고정부착되어 개폐필름(10)과 고정필름(5) 간 연결기능을 하는 고정부착구간(12)이 되고 타측구간은 인출구(9)를 덮으면서 고정필름(5) 표면에 부착되되 인출구의 개폐를 위해 수시로 고정필름(5) 표면으로부터 탈부착되는 비 고정부착구간(13)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The one side s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10 is fixed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fixing film 5 at all times and becomes the fixing attachment section 12 which functions as a connection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10 and the fixing film 5, And a non-fixed attachment section 13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fixing film 5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fixing film 5 from time to tim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즉 개폐필름(10)은 하나의 필름 형태이되 일측의 고정부착구간(12)을 통해 고정필름(5) 중 인출구(9) 부근에 항시 고정부착된 상태에서 타측의 비 고정부착구간(13)이 상하 젖혀져 회동하면서 인출구(9)를 개폐하는 구조를 갖는다.That is, the opening / closing film 10 is in the form of one film, and is fixedly attached to the vicinity of the outlet 9 of the fixing film 5 through the fixing section 12 on one side, while the non- And has a structure of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9 while being turned upside down.

이때 개폐필름(10) 중 비 고정부착구간(13)과 고정부착구간(12) 간 경계지점에는 비 고정부착구간(13)의 상하 젖혀짐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접이 유도라인(14)이 형성된다.At this time, a folding guide line 14 is provid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non-fixed attachment section 13 and the fixed attachment section 12 of the opening / closing film 10 so that the unfixed attachment section 13 can be smoothly pivoted up and down. .

접이 유도라인(14)은 고정부착구간(12)이 상하 젖혀지는 기준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인위적인 절곡구조를 형성시키는 형태나 비 고정부착구간(13)이 위쪽으로 젖혀지면서 자연스럽게 생기는 절곡지점이 접이 유도라인(14)이 되도록 할 수 있다.The folding guide line 14 has a shape that forms an artificial folding structure so that the fixed attachment section 12 can serve as a reference point to which the fixed attachment section 12 can be turned upside down, or a form in which the naturally occurring unfolding attachment section 13 is bent upward, Line 14 as shown in FIG.

그리고 접이 유도라인(14)이 형성되는 지점의 양측 단부 부근에는 개폐필름(10) 일부를 절개시켜 비 고정부착구간(13)이 위쪽으로 젖혀지는 과정에서 원활한 젖혀짐을 유도함과 동시에 젖혀짐 과정에서 개폐필름(10)의 찢어짐 등의 현상을 최소화 하기 위한 접힘유도 절개부(15)가 형성될 수 있다.A part of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10 is cut near both ends of the point where the folding guide line 14 is formed to induce smooth unfolding in the process of the unfixed attaching section 13 being turned upward and at the same time, A folding-inducing cutout 15 may be formed to minimize the phenomenon of tearing of the film 10 or the like.

참고로 접힘유도 절개부(15)의 절개 모양은 도면에 국한되지 않고 비 고정부착구간(13)의 원활한 젖혀짐을 유도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하게 변형 구현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cut-out shape of the folding-inducing cutout 15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s long as it can induce smooth unfolding of the non-fixed attachment section 13.

이러한 구조에 의해 고정필름(5)이 수용본체(1)의 상단을 덮어 막고 있는 상태에서 개폐필름(10)이 고정필름(5)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개폐필름(10)이 상하 젖혀지면서 고정필름(5)의 인출구(9)를 개폐하는 구조를 갖는다.With this structure,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10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fixing film 5 in a state that the fixing film 5 covers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body 1 and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10 is turned upside down And has a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9 of the film 5.

이 상태에서 개폐필름(10)에는 절개필름(16)이 연결된다.In this state, the cutting film 16 is connected to the opening / closing film 10.

절개필름(16)은 후술하는 개폐필름(10)의 접이 유도라인(14) 지점 두께를 조절하여 개폐필름(10)의 젖혀짐 상태유지를 돕는 역할과 더불어 개폐필름(10)과 함께 인출구(9)의 밀폐성을 더욱 높이는 역할을 하는 요소이다.The cut-off film 16 serves to maintain the open / close film 10 in a turned-up state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open / close film 10 at the point of the folding guide line 14 to be described later, ) To further enhance the airtightness.

이러한 절개필름(16)은 고정필름(5)을 절개하여 인출구(9)를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고정필름(5) 중 인출구(9)에 해당하는 지점이 인출구(9)로부터 분리되어 떼어진 부분이 된다.The cutting film 16 is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fixing film 5 corresponding to the extraction opening 9 from the extraction opening 9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extraction opening 9 by cutting the fixing film 5 do.

즉 절개필름(16)은 고정필름(5)의 인출구와 동일한 모양과 면적을 갖는 형태를 띤다.That is, the cutting film 16 has the same shape and area as those of the fixing film 5.

이때 절개필름(16)은 인출구(9) 및 고정필름(5)으로부터 완전히 분리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고정필름(5)을 절개하여 인출구(9)를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인출구(9) 테두리 중 일부 구간은 비 절개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cutting film 16 is not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draw-out opening 9 and the fixing film 5, but is formed in a part of the frame of the drawing-out opening 9 in the process of cutting the fixing film 5 to form the drawing- Is a non-incisional form.

따라서 절개필름(16)은 인출구(9)와 동일한 모양과 면적을 갖도록 고정필름(5)으로부터 절개 분리되되, 특정지점은 절개가 이루어지지 않은 비 절개지점(17)을 이루게되고, 결국 절개필름(16)은 비 절개지점(17)을 통해 고정필름(5)과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나머지 구간만이 고정필름으로부터 절개분리된 형태가 된다.The cutting film 16 is cut away from the fixing film 5 so as to have the same shape and area as the cut-out opening 9, and a specific point becomes a non-cutting point 17 in which no cut is made, 16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xing film 5 through the non-cutting point 17, and only the remaining sections are cut out from the fixing film.

이때 절개필름(16)과 고정필름(5)간의 비 절개지점(17)은 인출구(9) 테두리 라인 중 개폐필름(10)의 접이 유도라인(14) 하측 지점에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non-cutting point 17 between the cutting film 16 and the fixing film 5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folding guide line 14 of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10 in the edge line of the drawing-

이렇게 형성된 절개필름은 인출구(9)로부터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상부면이 개폐필름(10)의 하부면에 부착됨에 따라 개폐필름(10)과 절개필름(16)은 상호 상하 적층된 다중 필름 구조를 갖는다.As the upper surface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 / close film 10 in a state where the cut-off film thus formed is lifted from the take-out opening 9, the open / close film 10 and the cut film 16 have a multi- .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절개필름(16)은 개폐필름(10)의 하부면 중 접이 유도라인(14) 형성지점을 덮은 형태로 부착된다.With this structure, the cutting film 16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film 10 so as to cover the formation point of the folding guide line 14.

따라서 절개필름(16) 중 적어도 접이 유도라인(14)이 형성되는 지점의 두께가 절개필름(16)에 의해 두꺼워지게 되고 개폐필름(10)의 비 고정부착구간(13)과 함께 상하 회동하는 구조를 갖는다.Therefore, at least the thickness of the incision film 16 at which the folding guide line 14 is formed is thickened by the incision film 16 and the swing film 16 is vertically rotated with the non-fixed attachment section 13 of the opening / closing film 10 .

이렇게 절개필름(16)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개폐필름(10)의 비 고정부착구간(13)이 절개필름(16)과 함께 들어올려지면서 접이 유도라인(14)이 형성될 때 해당 지점의 두께가 두꺼워진 상태로 접이 유도라인(14)이 형성됨에 따라, 개폐필름은 위쪽으로 젖혀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되어 인출구(9)가 열려진 상태에서 개폐필름(10)의 비 고정부착구간(13)이 원치 않게 아래쪽으로 다시 젖혀져 인출구를 덮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As the thickness of the cut-off film 16 becomes thick, when the non-fixed attachment section 13 of the opening / closing film 10 is lifted together with the cut film 16 and the folding guide line 14 is formed, As the folding guide line 14 is formed in a thickened state, the open / close film can be held in an upwardly tilted state, and the open / close film can be held in the non- 13) is undesirably turned back downward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covering the outlet.

따라서 사용자는 피 수용체(2)를 인출할 때 다른 한손으로 개폐필름(10)을 잡고 있을 필요가 없게 된다.Therefore, the user does not need to hold the opening / closing film 10 with the other hand when taking out the receptor 2.

즉 본 발명은 개폐필름(10)이 열려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개폐필름 자체를 별도로 두껍게 제작하는 등의 별도 조치 없이, 단순히 고정필름(5)의 인출구(9)를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생되는 절개필름(16)을 개폐필름의 두께 증가 용도로 활용하되,That is, in order to maintain the opened state of the open / close film 10, the present invention is naturally generat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outgoing opening 9 of the fixed film 5 without any additional measures such as separately making the open / close film itself thick The incision film 16 is used for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opening / closing film,

절개필름(16)의 형성구조 및 방식을 개선함으로써 개폐필름 중 절개필름의 세워진 상태 유지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접이 유도라인(14) 지점의 두께가 손쉽게 증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structure and the manner of formation of the cutting film 16 are improv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point of the folding guide line 14 directly related to the standing state of the cutting film in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can be easily increased.

이와 더불어 이렇게 절개필름(16)이 완전절개 방식이 아니라 특정지점에서의 비 절개방식을 적용하되, 인출구(9)의 테두리 중 개폐필름(10)의 접이 유도라인(14) 하측 지점의 테두리부근에 비 절개지점(17)이 형성된 상태에서 절개필름(16)이 들어올려져 개폐필름(10)과 상하 적층 구조를 가짐에 따라,In addition, the incision film 16 is not a complete incision but a non-incision method at a specific point. In the vicinity of the edge of the lower side of the folding guide line 14 of the opening / closing film 10, The incision film 16 is lifted in a state where the non-incision point 17 is formed, so that the incision film 16 and the open / close film 10 have the upper and lower lamination structure,

개폐필름(10)과 절개필름(16)이 함께 들어올려져 인출구(9)가 개방된 상태에서 아래쪽으로 함께 젖혀져 개폐필름이 인출구(9)를 덮어는 과정에서 절개필름(16)이 인출구(9) 내에 정확히 삽입되어 절개필름(16)의 테두리와 인출구(9)의 테두리가 상호 정확히 일치될 수 있게 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film 10 and the cutting film 16 are lifted together and are folded down together with the outlet 9 opened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covers the outlet 9, So that the rim of the cutting film 16 and the rim of the draw-out opening 9 can be exactly matched with each other.

이로 인해 개폐필름이 닫히는 과정에서 인출구(9)는 항상 절개필름(16)과 개폐필름(10)에 의해 2중밀폐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Thus,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opening / closing film, the outlet 9 can always have a double sealing effect by the cutting film 16 and the opening / closing film 10.

즉 절개필름 일측이 고정필름에 연결된 상태에서 개폐필름에 적층 부착되기 때문에 개폐필름의 젖혀짐 상태유지효과는 물론 절개필름(16)과 인출구 간 정확한 일치삽입이 가능하여 다중밀폐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since the one side of the cutting film is attached to the opening film in a state where the one side of the cutting film is connected to the fixing film,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turning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

참고로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고정필름(5)에 주름이 형성되지 않아야지만 개폐필름과 고정필름 사이에 틈새발생이 방지되는데, 이를 위해 고정필름 자체를 두꺼운 재질로 사용하기에는 재질의 선택폭이 너무 제한된다.For reference,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rinkle is not formed on the fixing film 5, but the gap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and the fixing film is prevented. For this reason, in order to use the fixing film itself as a thick material, Is limited.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고정필름을 여러 적층필름이 상하 적층된 형태의 다중필름 구조로 적용할 수 있고 이러한 구조를 이용해 밀폐력 향상 효과도 함께 얻도록 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multi-film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laminated films are stacked vertically, if necessary, and the seal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using such a structure.

이를 위해서 고정필름(5)을 여러 장의 적층필름(7)이 상하 적층된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한장의 두꺼운 재질로 고정필름을 구현하는 것에 비해 재질의 선택범위도 넓고 제작 가격 또한 적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is, the fixing film 5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laminated films 7 in a stacked manner so that the selection range of the material is wide and the production price is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level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fixing film is realized by a single thick material .

또한 이 경우 인출구(9)를 절개 형성시키기 전에 추후 형성될 인출구(9)의 테두리 라인을 따라 'v커팅' 형태나 절취선 형태 등의 절개라인(8)을 형성시키되, 절개라인(8)을 각 적층필름(7) 중 최 상단에 위치한 적층필름이 아니라 그 아래쪽에 위치한 적층필름에 형성시킨다.In this case, a cut line 8 such as a 'v-cutting' shape or a cut line shape is formed along the edge line of the take-out opening 9 to be formed before the cut-out of the cut-out opening 9, Is formed not on the uppermost laminated film among the laminated films 7 but on the laminated film located below the laminated film.

따라서 최초 개폐필름을 위쪽으로 열어 젖히기 전 유통과정 등에서는 절개라인(8)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는 외부 공기 등이 고정필름을 전혀 통과할 수가 없는 상태가 되므로 유동 등의 과정이 길어지더라도 피 수용체의 변질 가능성은 거의 발생되지 않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incision line 8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circulation process before the first opening / closing film is opened to the upper side, the outside air or the like can not pass through the fixing film at all, The possibility of deterioration of the receptor is scarcely generated.

그리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최초로 개폐필름을 위쪽으로 젖혀 올리면 그 과정에서 고정필름 중 인출구에 해당하는 지점의 표면이 고정필름과의 접착력에 의해 위쪽으로 당겨지면서 그 힘에 의해 절개라인(8)이 뜯어지면서 결국 고정필름으로부터 해당 지점이 뜯겨나가 절개필름(16)이 되고, 이 때에도 절개라인(8)은 인출구 테두리라인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분은 비 절개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절개필름(16)의 일측이 고정필름과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개폐필름과 함께 젖혀지는 구조를 갖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first lifts the opening / closing film upwards, the surface of the fixing film at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outlet is pulled upward by the adhesive force with the fixing film and the incision line 8 is torn The incision film 8 is not formed over the entire outline frame line but is partially cut into the incision film 16 so that the incision film 16 is cut off from the fixing film.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of the film is tilted together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while being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fixing film.

이 외에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용본체(1)의 구조 또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도7에 도시된 것처럼 비닐팩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도8에 도시된 것처럼 사출구조물 형태로 구현되되 수용공간이 하나의 통합 구조로 형성되거나 내부의 구획구조에 의해 복수개로 나뉜 형태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of the receiving body 1 may also be variously modified.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lastic pack as shown in FIG. 7,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injection structure as shown in FIG. 8, Or may be formed as a single integrated structure or a plurality of divided structures by an internal division structure.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고정필름(5)에 인출구(9)와 개폐필름(10) 및 절개필름(16)이 각 수용공간마다 따로 형성되는 구조로도 구현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the figure, the opening 9,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10, and the cutting film 16 may be separately formed in each holding space in one fixing film 5.

이러한 본 발명 중 고정필름(5)과 개폐필름(10) 및 절개필름(16)으로 구성되는 개폐라벨(100)에 대한 제조공정으로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필름원지 준비공정(S1)과 필름표면 가공공정(S2), 제1절개공정(S3), 합지공정(S4), 제2절개공정(S5), 부착공정(S6), 재단공정(S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9, the process for preparing the opening / closing label 100 composed of the fixing film 5, the opening / closing film 10 and the cutting film 16 is roughly divided into a film raw preparation step S1, And the film surface processing step S2, the first cutting step S3, the lapping step S4, the second cutting step S5, the attaching step S6, and the cutting step S7.

그 중 필름원지 준비공정(S1)은 개폐라벨(100)을 구성하는 고정필름(5)과 개폐필름(10)이 될 고정필름원지와 개폐필름원지를 각각 별개로 준비하는 과정이다.The film sheet preparing step S1 is a step of separately preparing the fixing film sheet to be the fixing film 5 and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10 constituting the opening and closing label 10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sheet separately.

이때 고정필름원지 및 개폐필름원지는 면적이 고정필름(5) 및 개폐필름보다 훨씬 크고 롤 형태로 감겨진 상태에서 풀어지면서 추후 공정들을 거치게 된다.At this time, the area of the fixed film original and the opening / closing film original is much larger than that of the fixing film 5 and the opening / closing film, and is loosened while being wound in a roll form.

이 상태에서는 인출구나 접힘유도 절개부 등은 전혀 형성되지 않은 아무런 가공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가 된다.In this state, no drawing process or no folding induction cut-out portion is formed.

참고로 고정필름원지는 하나의 층을 이루는 형태이거나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여러장의 적층필림이 상호 적층된 형태가 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fixed film substrate may be a single layer or may be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laminated films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필름원지 준비공정(S1)이 완료되면 필름표면 가공공정(S2)을 진행한다.When the film stock preparation step (S1) is completed, the film surface processing step (S2) proceeds.

필름표면 가공공정(S2)은 필요에 따라 고정필름원지와 개폐필름원지 표면에 인쇄를 하거나 개폐필름원지 하부면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등의 과정을 거치는 형태가 된다.The film surface processing step (S2) is a process in which the film is subjected to a process such as printing on the surface of the stationary film raw paper and the opening / closing film raw paper, or the application of an adhesiv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film raw paper.

이때 개폐필름원지 표면에는 거의 대부분 광고나 제품 명 등의 인쇄가 진행되는 반면 고정필름원지 표면에는 인쇄가 선택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At this time, almost all of the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film is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fixed film, while the printing of the advertisement or product name is mostly performed.

이와 같은 필름표면 가공공정(S2)이 완료되면 제1절개공정(S3)을 진행한다.When the film surface processing step S2 is completed, the first cutting step S3 is performed.

제1절개공정(S3)은 고정필름원지를 절개하여 인출구(9) 및 절개필름(16)을 형성시키는 과정이다.The first cutting step S3 is a step of cutting the fixed film raw paper to form the drawing-out opening 9 and the cutting film 16.

이때 제1절개공정(S3)은 커팅날을 통해 인출구(9) 테두리에 해당하는 경로를 따라 고정필름원지를 절개하되 추후 개폐필름(10)의 접이 유도라인(14)이 위치할 지점 쪽의 테두리부근은 비 절개하는 형태로 진행한다.At this time, the first cutting step S3 cuts the fixed film raw paper along a path corresponding to the rim of the draw-out opening 9 through the cutting blade, and thereafter the rim of the opening film The vicinity is proceeded in a non-incision form.

이로 인해 고정필름원지에 인출구(9)가 형성됨과 동시에 절개필름(16)이 인출구로부터 절개 분리 형성되되 일측부가 고정필름과 연결된 상태로 구현된다.As a result, the outflow opening 9 is formed on the base film of the fixed film, and the cutoff film 16 is cut out from the outflow opening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fixing film.

이러한 제1절개공정(S3)이 완료되면 합지공정(S4)을 실시한다.When the first cutting step S3 is completed, a lapping step S4 is performed.

합지공정(S4)은 고정필름원지 상에 개폐필름원지를 적층 형태로 부착시키는 과정이다.The laminating step (S4) is a process of adhering the opening / closing film base material in the form of a laminate on the fixed film base paper.

이때 합지공정(S4)과 제1절개공정(S3)은 상호 실시 순서가 바뀔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합지공정(S4)이 제1절개공정(S3) 이후에 실시될 경우에는 개폐필름원지 중 개폐필름에 해당하는 지점이 인출구(9)를 덮도록 진행되고,In this case, the order of the lapping step S4 and the first cutting step S3 may be changed. For example, when the lapping step S4 is performed after the first cutting step S3,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film is advanced to cover the outlet 9,

합지공정(S4)이 제1절개공정(S3) 이전에 실시될 경우에는 개폐필름원지와 고정필름원지가 상호 상하 중첩된 상태에서 제1절개공정(S3)을 실시하는데, 이 과정에서 고정필름원지의 인출구 절개는 절개칼날이 고정필름원지 하부에서 고정필름 하부면을 절개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laminating step S4 is performed before the first cutting step S3, the first cutting step S3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film and the fixed film are stacked one above the other, The incision blade can be a form in which the incision blade cuts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film from below the stationary film base.

이렇게 합지공정(S4)과 제1절개공정(S3)이 완료되면 제2절개공정(S5)을 실시한다.When the ligation step S4 and the first incision step S3 are completed, the second incision step S5 is performed.

제2절개공정(S5)은 개폐필름원지 상에 접힘유도 절개부(15) 등의 절개작업을 실시하는 과정으로, 개폐필름원지와 고정필름원지가 상하 합지된 상태에서 위쪽에서 칼날이 개폐필름원지 중 접힘유도 절개부(15)가 형성될 지점을 타공하는 형태로 진행된다.In the second cutting step S5, a cutting operation such as the folding inducing cutout 15 is performed on the open / close film original, and in the state where the open / close film original and the fixed film original ar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joined, And the point where the middle folding inducing cutout 15 is formed is punctured.

이때 제2절개공정(S5) 또한 합지공정(S4) 이전에 실시한 상태에서 개폐필름원지와 고정필름원지를 합지시킬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cutting step (S5) may also be performed by laminating the open / close film raw material and the fixed film raw paper in the state before the linting step (S4).

이후에는 부착공정(S6)을 실시한다.Thereafter, the attaching step (S6) is performed.

부착공정(S6)은 개폐필름원지와 고정필름원지간 결합체를 수용본체(1) 상단부에 안착시킨 후 부착고정시킴으로써 수용본체의 개방부를 밀폐시키는 과정으로,The attaching step S6 is a process of sealing the opening portion of the receiving main body by attaching and fixing the opening / closing film base material and the fixing film main body coupled to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receiving main body 1,

이때 고정필름원지의 부착구간(6)이 수용본체(1) 상단면에 열융착방식이나 점착제에 의해 점착방식을 통해 부착고정된다.At this time, the attachment section 6 of the fixed film original is fixedly attached to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receiving main body 1 by a heat fusion bonding method or an adhesive by an adhesive method.

이후에는 재단공정(S7)을 실시한다.Thereafter, a cutting step S7 is performed.

재단공정(S7)은 수용본체(1)에 결합되어진 개폐필름원지 및 고정필름원지 간 결합체 중 고정필름(5)과 개폐필름(10)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경로를 따라 커팅하여 개폐필름(10)과 고정필름(5) 간 결합체를 동시에 생성시키는 과정이다.The cutting process S7 cuts the open / close film 10 along the path corresponding to the rim of the fixed film 5 and the open / close film 10 among the open / close film raw material and the fixed film raw material joined to the receiving body 1, And the fixing film (5).

이로 인해 수용본체(1)의 개방부는 고정필름(5)에 의해 덮여져 밀폐된 상태가 되고 고정필름(5)의 인출구(9) 상에는 개폐필름(10)이 덮여진 상태에서 개폐필름(10) 하부면에 적층 부착되어 있는 절개필름(16)이 인출구(9) 내에 정확히 삽입되어 절개필름(16) 테두리와 인출구(9) 테두리가 상호 정확히 밀착된 상태의 구조를 갖게 된다.The opening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main body 1 is covered with the fixing film 5 to be in a sealed stat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10 is covered on the drawing opening 9 of the fixing film 5, The cutting film 16 stacked on the lower surface is correctly inserted into the outlet 9 so that the edge of the cutting film 16 and the edge of the outlet 9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참고로 개폐라벨만을 제작하는 업체와 수용본체(1)와 개폐라벨(100) 간의 최종 결합체를 제작하는 업체가 다를 경우,For reference, when a company that manufactures only the opening / closing label and a company that manufactures the final combination between the receiving body (1) and the opening / closing label (100)

이렇게 부착공정(S6) 이후에 재단공정(S7)을 실시할 때, 개폐라벨(100) 제작업체에서 합지된 개폐필름원지와 고정필름원지 간 결합체를 롤(roll) 형태로 만든 뒤 최종 결합체를 제작하는 업체에 납품하면 최종제작 업체에서 롤 형태의 결합체를 물어내면서 각 수용본체에 연속적으로 부착시키면서 재단공정(S7)을 진행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When performing the cutting step S7 after the adhering step S6, the maker of the opening / closing label 100 rolls the combination of the opening / closing film stock and the fixing film roll to form a final assembly (S7), while the final manufacturing company bids the roll-shaped assembly and continuously attaches the roll-shaped assembly to the respective receiving bodies.

물론 상황에 따라 재단공정(S7)과 부착공정(S6)은 실시 순서가 상호 바뀔 수도 있다.Of course, the order of the cutting step S7 and the attaching step S6 may be mutually chang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개폐필름원지와 고정필름원지 간 결합체를 수용본체(1)에 부착고정시키기 전에 테두리를 커팅하여 개폐필름(10)과 고정필름(5)간 결합체를 생성시킨 후 수용본체(1)에 부착시켜 최종 완성시키는 형태로도 진행될 수 있다.The edge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10 and the fixing film 5 is formed by cutting the edge of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10 before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10 and the fixing film 10 are attached and fixed to the receiving body 1, It can also be done in the form of comple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개폐필름(10)과 절개필름(16) 간 결합체를 고정필름(5)으로부터 완전히 떼어내도록 할 수도 있다.As another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user can completely separate the assembly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10 and the incision film 16 from the fixing film 5 as necessary .

일 예로 수용본체(1)내 수용공간이 여러개로 분할되고 각 수용공간마다 음식인 피 수용체가 수용된 상태에서 각 수용공간마다 별개의 개폐필름과 절개필름이 배치되었을 때, 사용자가 식사하면서 여러 개폐필름과 절개필름을 동시에 위로 젖혀 개방한 상태에서 각 인출구를 통해 음식을 인출할 때, 각 절개필름과 개폐필름이 동시에 세워져 있을 경우 특정 인출구는 앞쪽과 뒤쪽에 위치한 타 개폐필름에 의해 가려져 음식 인출에 방해가 된다.For example, when the accommodating space in the accommodating main body 1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nd the separate receiving and disposing films and the incision films are arranged in the accommodating spaces in a state where the receptors for food are accommodated for the respective accommodating spaces, When the cut-out film and the opening / closing film are simultaneously set up at the time of withdrawing the food through the respective outlets while the cut-out film is opened at the same time, the specific outlets are obstructed by the other open / .

이때 해당 수용공간들 내의 음식들을 그 자리에서 모두 먹고자 할 경우 어짜피 해당 인출구의 개폐필름과 절개필름은 다시 닫을 필요가 없고 음식물의 인출에 방해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개폐필름과 절개필름을 고정필름으로부터 완전히 떼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In this case, if the user intends to eat all of the food in the receptacles, the opening / closing film and the incision film of the corresponding outlet do not need to be closed again and can be an obstacle to the withdrawal of the food.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completely remove the film and the cutting film from the fixing film.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사용자가 개폐필름과 절개필름을 고정필름으로부터 힘으로 강제 찢어내는 형태가 아니라, 원하는 경로를 따라 쉽고 원활하게 분할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employ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and smoothly divide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and the incision film along a desired path, rather than forcefully tearing the incision film from the fixing film.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고정필름(5) 중 각 개폐필름의 고정부착구간(12)의 양측 지점에 고정필름(5)과 절개필름(16) 간 비 절개지점()으로부터 시작되는 v커팅 형태 등의 절취라인(19)을 미리 형성시킴에 따라 사용자가 개폐필름의 고정부착구간을 당기는 과정에서 점착제의 점착력에 의해 고정필름(5) 중 양 절취라인(19) 내측 구간, 즉 고정부착구간과 맞닿아 있던 지점이 절취되면서 떼어져 절개필름과 개폐필름이 함께 고정필름으로부터 완전히 떼어져 분리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the figure, a v-cut shape (not shown) starting from a non-cutting point () between the fixing film 5 and the cutting film 16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fixed attachment section 12 of each opening / The cutout line 19 of the fixing film 5 is formed in advance by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in the process of pulling the fixed attachment s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by the user, The point of contact can be peeled off, and the incision film and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fixing film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 외에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절개필름과 개폐필름을 쉽게 떼어낼 수 있는 구조라면 위와 같은 구조 외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incision film and the opening / closing film as needed, the structure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other than the above structure.

그리고 도13 및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필름의 전체 면적을 크게 형성시켜 고정부착구간(12)이 비 고정부착구간(13) 주변을 둘러싼 형태, 즉 개폐필름 일부를 절개하여 비 고정부착구간(13)이 형성되도록 하는 형태로도 제작될 수 있는데, 이렇게 개폐필름의 면적을 크게 할 경우 고정필름의 두께가 두꺼워져 주름등의 발생 가능성이 줄어드는 효과 등도 얻을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S. 13 and 14, the entire area of the opening / closing film is enlarged to form the fixed attachment section 12 surrounding the non-fixed attachment section 13, that is, a part of the opening / (13) is formed. If the area of the opening / closing film is increased, the thickness of the fixing film becomes thicker, thereby reducing the occurrence of wrinkles and the like.

1:수용본체 2:피 수용체
3:수용공간 4:개방부
5:고정필름 6:부착구간
7:적층필름 8:절개라인
9:인출구 10:개폐필름
11:점착제 12:고정부착구간
13:비 고정부착구간 14:접이 유도라인
15:접힘유도 절개부 16:절개필름
17:비 절개지점 S1:필름원지 준비공정
S2:필름표면 가공공정 S3:제1절개공정
S4:합지공정 S5:제2절개공정
S6:부착공정 S7:재단공정
17:고정필름원지 18:개폐필름원지
100:개폐라벨 19:절취라인
1: receptacle 2: receptacle
3: accommodation space 4: open space
5: Fixing film 6: Attachment section
7: laminated film 8: incision line
9: outlet 10: opening / closing film
11: pressure-sensitive adhesive 12: fixed attachment section
13: non-fixed attachment section 14: fold induction line
15: fold inducing incision 16: incision film
17: non-cutting point S1: film stock preparation process
S2: film surface processing step S3: first cutting step
S4: laminating step S5: second cutting step
S6: Attaching step S7: Cutting step
17: Fixed film original 18: Opening / closing film original
100: open / close label 19: cut line

Claims (8)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 일부 또는 전체에 걸쳐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수용본체,
상기 개방부의 면적 이상의 면적을 갖는 필름 형태이고 하부면에는 부착구간이 형성되어 상기 부착구간이 상기 수용본체 표면에 부착됨에 따라 상기 개방부를 덮어 막고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 내 피 수용체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필름,
상기 인출구보다 큰 면적을 갖는 필름 형태이고 하부면에는 점착제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이 상기 고정필름 표면에 부착되되 일측에는 항시 고정필름에 고정부착되어 있는 고정부착구간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인출구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필름 표면에 탈부착 가능한 비 고정부착구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착구간과 비 고정부착구간 간 경계지점에는 접이 유도라인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비 고정부착구간이 상기 접이 유도라인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면서 상기 인출구를 개폐하는 개폐필름,
상기 인출구와 동일한 모양 및 면적을 갖는 필름 형태이고 일측단부가 고정필름 중 상기 인출구의 일측 테두리와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필름의 하부면 중 상기 접이 유도라인이 형성된 지점에 적층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필름의 상하 회동 과정에서 상기 인출구 테두리와의 경계지점을 중심으로 함께 상하 회동하되 아래쪽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인출구에 정확히 일치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인출구 전체를 막는 절개필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라벨을 갖는 포장패키지.
A receiving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on a part or the entire upper side thereof and the receiving space exposed through the opening,
And an attachment sect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o cover the opening section as the attachment section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and an outlet for withdrawing the receptor in the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The fixed film,
And a lower surface of the fixing film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fixing film. At one side of the fixing film, a fixed attachment section fixedly attached to the fixing film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a non-fixed attachment sec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xed film in a covering state, and a folding guide line is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fixed attachment section and the non-fixed attachment section, An opening / closing film for vertically rot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Wherein the film is in the form of a film having the same shape and area as that of the outflow port and is lamin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 / close film at a position where the folding guide line is formed in a state where one end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one side edge of the outflow opening of the fixing film, The film is rotated vertically together with the boundary point with the edge of the outlet in the up-and-down rotation of the film, and is rotated downwar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outlet so as to exactly coincide with the outlet,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label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package.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 일부 또는 전체에 걸쳐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수용본체에 부착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기 위해 사용되되,,
상기 개방부의 면적 이상의 면적을 갖는 필름 형태이고 하부면에는 부착구간이 형성되어 상기 부착구간이 상기 수용본체 표면에 부착됨에 따라 상기 개방부를 덮어 막고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 내 피 수용체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필름,
상기 인출구보다 큰 면적을 갖는 필름 형태이고 하부면에는 점착제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이 상기 고정필름 표면에 부착되되 일측에는 항시 고정필름에 고정부착되어 있는 고정부착구간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인출구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필름 표면에 탈부착 가능한 비 고정부착구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착구간과 비 고정부착구간 간 경계지점에는 접이 유도라인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비 고정부착구간이 상기 접이 유도라인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면서 상기 인출구를 개폐하는 개폐필름,
상기 인출구와 동일한 모양 및 면적을 갖는 필름 형태이고 일측단부가 고정필름 중 상기 인출구의 일측 테두리와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필름의 하부면 중 상기 접이 유도라인이 형성된 지점에 적층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필름의 상하 회동 과정에서 상기 인출구 테두리와의 경계지점을 중심으로 함께 상하 회동하되 아래쪽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인출구에 정확히 일치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인출구 전체를 막는 절개필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패키지용 개폐라벨.
Wherein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r an entirety of an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and the receiving spac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to be use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an attachment sect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o cover the opening section as the attachment section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and an outlet for withdrawing the receptor in the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The fixed film,
And a lower surface of the fixing film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fixing film. At one side of the fixing film, a fixed attachment section fixedly attached to the fixing film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a non-fixed attachment sec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xed film in a covering state, and a folding guide line is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fixed attachment section and the non-fixed attachment section, An opening / closing film for vertically rot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Wherein the film is in the form of a film having the same shape and area as that of the outflow port and is lamin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 / close film at a position where the folding guide line is formed in a state where one end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one side edge of the outflow opening of the fixing film, The film is rotated vertically together with the boundary point with the edge of the outlet in the up-and-down rotation of the film, and is rotated downwar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outlet so as to exactly coincide with the outlet,
And an opening / closing member for opening / closing the pack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필름은 일측이 상기 일출구 테두리 중 상기 개폐필름의 접이 유도라인 하측 지점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체가 상기 개폐필름의 하부면 중 접이 유도라인 형성지점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라벨을 갖는 포장패키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t-off film is attach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film at a point where the folding line is formed, with one side thereof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folding guide line of the opening / Having a packaging pack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필름은 복수개의 적층필름이 상하 중첩된 다중 필름 형태이고 각 적층필름 중 최 상단에 위치한 적층필름을 제외한 나머지 적층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인출구의 테두리라인을 따라 절개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필름이 상기 인출구로부터 최초 절개 분리되기 전 상태에서 상기 절개필름을 인출구로부터 떼어낼 때 사전에 절개형성되어 있던 상기 절개라인을 따라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라벨을 갖는 포장패키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film is a multi-film type in which a plurality of laminated films are vertically overlapped and at least one of the laminated films except the laminated film positioned at the uppermost one of the laminated films has a cutting line formed along a frame line of the outgoing port And the incision film is incised along the incision line previously formed when the incision film is detached from the withdrawal port in a state before the incision film is firstly separated from the withdrawal port.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필름은 상기 수용본체의 개방부 전체를 덮은 상태에서 테두리가 하부면이 상기 수용본체 표면에 열융착 형태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라벨을 갖는 포장패키지.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ixing film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in such a manner that the lower surface thereof is thermally welded to the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in a state where the fixing film covers the entire opening portion of the receiving bod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본체의 수용공간은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나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필름의 인출구는 고정필름 중 각 수용공간 상에 각각 형성되고 각 고정필름마다 개폐필름과 절개필름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개폐라벨을 갖는 포장패키지.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accommodating main body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or more spaces and the outlets of the fixing films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accommodating spaces of the fixing films and the opening films and the cutting films are formed for the respective fixing films Packaging package with packaging open / close label.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필름 중 상기 개폐필름의 고정부착구간 주변에는 절취라인이 상기 고정필름 중 상기 비 절개구간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착구간 주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착구간이 당겨지면서 상기 고정필름이 상기 절취라인을 따라 상기 비 절개구간부터 떼어져 분리되고 이 과정에서 개폐필름과 절개필름이 함께 동시에 떼어져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개폐라벨을 갖는 포장패키지.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 cut line is formed around the fixed attachment section from the non-cut section of the fixed film around the fixed attachment section of the opening film,
Wherein the fixing film is separated from the non-cut section along the cut line by pulling the fixed attachment section, and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and the cut film are simultaneously peeled off and separated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Having a packaging package.
제1항 또는 제2항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개폐필름원지와 고정필름원지를 개별적으로 준비시키는 필름원지 준비공정,
상기 개폐필름원지 하부면에 점착제를 도포시키는 작업과 상기 개폐필름원지 표면 및 상기 고정필름원지 표면에 인쇄하는 작업 중 어느하나 이상을 실시하는 형태의 필름표면 가공공정,
상기 고정필름원지에 상기 인출구 및 절개필름을 절개 형성시키는 제1절개공정,
상기 필름표면 가공공정과 상기 제1절개공정 사이에 진행되거나 상기 제1절개공정 이후에 실시되고 상기 개폐필름원지의 하부면이 상기 고정필름원지 상부면 중 상기 인출구가 형성되는 지점을 덮는 형태로 적층 합지시키는 합지공정,
합지공정 이전 또는 이후에 실시되고 상기 개폐필름에 접힙유도 절개부를 절개 형성시키는 제2절개공정,
합지되어 있는 상기 개폐필름원지 및 고정필름원지 간 결합체 중 상기 개폐필름 및 고정필름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경로를 따라 커팅하여 개폐필름과 고정필름 간 결합체를 생성하는 재단공정,
상기 재단공정과 상기 제2절개공정 사이 또는 상기 재단공정 이후에 실시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필름원지와 고정필름원지간 결합체 또는 상기 개폐필름과 고정필름 간 결합체를 수용본체 상단부에 부착고정시켜 수용본체 내부를 밀폐시키는 부착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패키지 제조방법.






4. A process for producing the above-mentioned product of claim 1 or 2,
A film raw paper preparing step for separately preparing the opening and closing film raw paper and the fixed film raw paper,
A film surface processing step of carrying out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of applying an adhesiv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 / close film raw paper and a job of printing the surface of the open / close film raw paper and the surface of the stationary film raw paper,
A first cutting step of forming the cut-out opening and the cut-out film on the fixed film stock,
Wherein the opening face of the open / close film original is placed between the film surface processing step and the first incision process or after the first incision process,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 Laminating lapping process,
A second cutting step, which is carried out before or after the lapping step and which cuts the folding induced incision into the opening / closing film,
A cutting step of cutting the open / close film and the fixed film between the opened and closed film stock and the fixed paper film along a path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open / close film and the fixed film,
And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opening / closing film between the opening / closing film base and the fixing film base or the combination between the opening / closing film and the fixing film on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body, Adhesion process to seal the inside
≪ / RTI >






KR1020170165506A 2017-12-04 2017-12-04 Opening and closing labels for packages, and packages having the sam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packages KR2019006590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506A KR20190065901A (en) 2017-12-04 2017-12-04 Opening and closing labels for packages, and packages having the sam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packag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506A KR20190065901A (en) 2017-12-04 2017-12-04 Opening and closing labels for packages, and packages having the sam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packag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901A true KR20190065901A (en) 2019-06-12

Family

ID=66845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506A KR20190065901A (en) 2017-12-04 2017-12-04 Opening and closing labels for packages, and packages having the sam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packag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590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200001808A1 (en) * 2022-02-02 2023-08-02 Lunica Holding S R L Multipack for wet and/or dry wipes or cloth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200001808A1 (en) * 2022-02-02 2023-08-02 Lunica Holding S R L Multipack for wet and/or dry wipes or cloth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3678C2 (en) Package containing wrapper with reclosable opening for extraction, appropriate method of packing and machine
US8499959B2 (en) Packet with a closure for its outlet, e.g. for articles storage and dispensing
BR0012770B1 (en) packaging, packaging component, and processes for making a sealed package, and for providing a shaving cartridge in a shaver.
KR20200035959A (en) Semi-rigid tissue package
KR20040071189A (en) Packaging for multiple media disc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EP3466837B1 (en) Wet sheet package
TWI663102B (en) A peelable lab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a wound reel of peelable labels,and packaging for at least one article or substance
US20220106097A1 (en) Container For Consumer Goods With Reclosable Flap
JP2011037519A (en) Packaging for disposable soft contact lens
JP2007153383A (en) Tissue carton pack
WO2018079496A1 (en) Wet sheet packaging body
KR20190065901A (en) Opening and closing labels for packages, and packages having the sam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packages
JPH10167355A (en) Packaged body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ES2371427T3 (en) FLAT CONTAINER.
JP2004026197A (en) Label for sealed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3592664B1 (en) A pull tab for a container for consumer goods and container comprising with pull tab
EP3132696B1 (en) Pouch for a cigarette paper booklet, cigarette paper dispenser, flexible sheet laminate for manufacturing a pouc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pouch
EP3936460A1 (en) Box-shaped insert element for insertion into a box-shaped container
JP2011078511A (en) Cosmetic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2022154992A (en) Pillow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094135B2 (en) Resealable cart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ackage using the same
EP3601100B1 (en) Container for consumer goods with reclosable flap
JP2022083599A (en) Carton for bag-in-carton
JP3512393B2 (en) Blister packaging bags
JP3046824U (en) Cut flower storage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