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899A - 10마이크로미터 이하 크기의 미세먼지 호흡기 질환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10마이크로미터 이하 크기의 미세먼지 호흡기 질환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899A
KR20190065899A KR1020170165504A KR20170165504A KR20190065899A KR 20190065899 A KR20190065899 A KR 20190065899A KR 1020170165504 A KR1020170165504 A KR 1020170165504A KR 20170165504 A KR20170165504 A KR 20170165504A KR 20190065899 A KR20190065899 A KR 20190065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measuring device
humidity
respiratory disease
ultrafin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원
Original Assignee
최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원 filed Critical 최정원
Priority to KR1020170165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5899A/ko
Publication of KR20190065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8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7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with screening; with classification by filt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05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with fil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5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with mechanical, e.g. inertial, classification, and investigation of sorted collections
    • G01N15/102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056Microstructural devices for other than electro-optical measur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2001/2285Details of probe structures
    • G01N2001/2288Filter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발생 환경을 온도와 습도 풍량에 따라서 조절이 가능하며, 이에 대해 얼마나 인체에 유해한지 측정 및 연구 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 장치이다.

Description

10마이크로미터 이하 크기의 미세먼지 호흡기 질환 측정 장치{Ultrafine dust respiratory disease measuring device less than 10 micrometer size}
본 발명은 미세먼지의 측정에 있어서 기존의 대기 농도를 기반으로 한 측정법을 나타내는 것과 차별을 가지는 형태이다. 10마이크로미터 이하 크기의 미세먼지가 대기 환경 즉, 온도, 습도, 기압, 풍량 등에 따라 인체의 호흡기관인 코, 기관지, 폐 중 어느 부위에 더 악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볼 수 있도록 한다. 미세먼지가 발생되는 환경을 조절할 수 있으며 그러한 미세먼지가 인체의 기관과 흡사한 곳의 필터를 지나며 어느 부위에 미세먼지가 쌓이는지 알아볼 수 있는 장치이다.
PM10의 경우 상대습도가 높아질수록 호흡기와 기관지에서 걸러지는 비율이 높기 때문에 인체에 덜 유해하게 된다. 하지만 그 습도의 정도와 관련하여 인체의 어느 부위에서 걸러지게 되는지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상대습도가 증가할수록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하며 상대습도 70% 이상에서는 세척효과로 인해 미세먼지의 농도가 급격히 감소한다.
기존의 미세먼지 측정 도구 중 빛 굴절이나 시료 채취를 통하지 않은 센서를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 도구의 경우 습도 측정기와 같은 메커니즘으로 사용을 하며, 이로 인해 습도가 높은 지역에서 실제 미세먼지의 양과 관계없이 미세먼지 농도가 더욱 높게 측정이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미세먼지의 경우 상대습도가 낮을수록 인체의 유해성이 높아지게 된다. 왜냐하면 건조한 대기에서 미세먼지는 호흡기를 통해 걸러지지 않고 폐까지 유입이 되기 때문이다. 본 측정 장치에서는 상대 습도의 정도에 따라 미세먼지가 얼마나 필터를 통해 잘 걸러지는 지를 확인을 할 수 있으며, 또한 abs,폴리에틸렌, 종이류의 불완전 연소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종류를 구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일정량의 미세먼지를 유입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가 유입된 환경의 온도 및 습도 풍량을 조율할 수 있다. 미세먼지가 함유된 대기를 인체의 호흡기와 같은 부위를 통과 시키며 필터에 남은 미세먼지를 포집 관찰을 통해 대기환경에 따라 미세먼지가 인체에 어떠한 유해성을 가지는지 연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으로 제작 된 연구 장치로 미세먼지의 인체 유해 메커니즘에 대해 다면적으로 접근하여 연구할 수가 있다.
도 1은 미세먼지를 함유한 대기 측정과 연구를 위한 측정기기의 구성도이다. 미세먼지가 투여된 후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콘트롤 기기가 있으며, 팬을 통해 인체 호흡기와 유사한 수준의 필터를 공기가 지나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실제 연구 장치를 제작한 것으로 각 부위에 대해 설명을 하면 이러하다.① 미세먼지 포집 장치, ② 미세먼지 필터, ③ 미세먼지 필터 탈부착 부위, ④ 가습장치, ⑤온열장치, ⑥ 온습도 조절 컨트롤 타워, ⑦ 미세먼지 대기 구성, ⑧ 질소산화물 흡입관, ⑨ 연소 부위
⑨에서 연소를 통해 초미세먼지 발생시킨 후 ⑧(질소산화물 흡입구)을 통해 ⑦로 미세먼지가 이동. B부위로 이동된 미세먼지는 대기 환경 조정이 가능. B부위의 조정 된 미세먼지는 ③(인체호흡기와 유사한 기준의 필터 내장)을 통해 ①로 잔여 미세먼지 검출을 확인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도 2를 바탕으로 설명하면 ⑨에서 연소를 통해 초미세먼지 발생시킨 후 ⑧(질소산화물 흡입구)을 통해 ⑦로 미세먼지가 이동. B부위로 이동된 미세먼지는 대기 환경 조정이 가능. B부위의 조정 된 미세먼지는 ③(인체호흡기와 유사한 기준의 필터 내장)을 통해 ①에서 잔여 미세먼지 검출을 확인한다.

Claims (1)

  1. 아두이노를 바탕으로 한 온습도 조절 콘트롤 기기를 제작하며, 이를 미세먼지 측정기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미세먼지 측정함에 농도가 아닌 필터에 걸러지는 상황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하여 실제 인체에 얼마나 해로운지에 대해 알아볼 수 있도록 연구하는 장치이다.
KR1020170165504A 2017-12-04 2017-12-04 10마이크로미터 이하 크기의 미세먼지 호흡기 질환 측정 장치 KR201900658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504A KR20190065899A (ko) 2017-12-04 2017-12-04 10마이크로미터 이하 크기의 미세먼지 호흡기 질환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504A KR20190065899A (ko) 2017-12-04 2017-12-04 10마이크로미터 이하 크기의 미세먼지 호흡기 질환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899A true KR20190065899A (ko) 2019-06-12

Family

ID=66846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504A KR20190065899A (ko) 2017-12-04 2017-12-04 10마이크로미터 이하 크기의 미세먼지 호흡기 질환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58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8759A (ko) * 2021-10-25 2023-05-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먼지 유해성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세 먼지의 유해성 평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8759A (ko) * 2021-10-25 2023-05-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먼지 유해성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세 먼지의 유해성 평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72484A1 (en) Device and method for non-invasive analysis of particles during medical ventilation
CN107422109B (zh) 仿真系统及工矿环境粉尘仿真方法
Todea et al. Inter-comparison of personal monitors for nanoparticles exposure at workplaces and in the environment
CN206772753U (zh) 一种口罩动态呼吸阻力自动测试装置
Mahjoub Mohammed Merghani et al. A review on the applied techniques of exhaled airflow and droplets characterization
CN204260747U (zh) 一种呼吸监测与呼气分析系统
JP2009031227A (ja) 浮遊粒子状物質の測定装置
WO2019172853A1 (en) Integrated fit testing ventilator for facemasks
CN102866091A (zh) 一种基于β射线法的颗粒物差分浓度测量系统
CN107560986A (zh) 一种多通道pm2.5检测装置
CN103792171A (zh) 一种实际大气环境中评价pm2.5口罩过滤效率的装置
Corbin et al. Systematic experimental comparison of particle filtration efficiency test methods for commercial respirators and face masks
KR20190065899A (ko) 10마이크로미터 이하 크기의 미세먼지 호흡기 질환 측정 장치
Wu et al. Transient and continuous effects of indoor human movement on nanoparticle concentrations in a sitting person's breathing zone
Dudalski Experimental measurements of human cough airflows from healthy subjects and those infected with respiratory viruses
KR102268711B1 (ko) 검진 시스템 및 날숨 검진 장치
CN107036950A (zh) 一种动态烟尘浓度仪检测系统及其检定方法
CN108120659A (zh) 一种具有自归零校准的粒子浓度检测系统和方法
CN206627401U (zh) 一种颗粒物防护效果测试装置
CN206504979U (zh) 一种空气粉尘检测装置
KR101854986B1 (ko) 나노입자 분석방법 및 이의 시스템
CN207472723U (zh) 一种具有自归零校准的粒子浓度检测系统
KR20220016748A (ko) 초미세먼지 호흡기 질환 측정 장치
CN109253953A (zh) 一种可测量多种颗粒物质量浓度的方法和系统
CN210487545U (zh) 一种电动口罩送风量检测装置以及电动口罩送风量和净化性能检测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