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568A - Apparatus having automatic feeder for labeling tube for blood test - Google Patents

Apparatus having automatic feeder for labeling tube for blood t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568A
KR20190065568A KR1020170164846A KR20170164846A KR20190065568A KR 20190065568 A KR20190065568 A KR 20190065568A KR 1020170164846 A KR1020170164846 A KR 1020170164846A KR 20170164846 A KR20170164846 A KR 20170164846A KR 20190065568 A KR20190065568 A KR 20190065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collection
collection tube
blood
blood vessel
lab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8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92888B1 (en
Inventor
이창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Priority to KR1020170164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888B1/en
Publication of KR20190065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5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8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3/00Labelling other than flat surfaces
    • B65C3/06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 B65C3/08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 B65C3/14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the container being positioned for labelling with its centre-line vertical
    • B65C3/16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the container being positioned for labelling with its centre-line vertical by rolling the labels onto cylindrical containers, e.g.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2Devices for moving articles, e.g. containers, past labelling station
    • B65C9/04Devices for moving articles, e.g. containers, past labelling station having means for rotating the articles

Landscapes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labeling blood collection tubes having an automatic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labeling blood collection tubes having an automatic supply apparatus comprises: the blood collection tube supply apparatus which vertically inserts the blood collection tubes into a labeler main frame in succession; and the labeler main frame placed on a lower side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supply apparatus to receive the supplied blood collection tubes and perform labeling on the blood collection tubes. The blood collection tube supply apparatus comprises: a storage unit which stores the blood collection tubes; a blood collection tube moving space placed on one end unit of the storage unit to have a side surface whose width gradually decreases to allow the blood collection tubes to be easily removed from the storage unit and to fall into a supply hole; and a blood collection tube mover which pushes the blood collection tubes inside the storage unit to allow the target blood collection tubes to move into the blood collection tube moving space. A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rollers. A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is inclined to be lower towards one end uni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method to perform labeling of a blood collection tube by having the blood collection tubes stand vertically.

Description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APPARATUS HAVING AUTOMATIC FEEDER FOR LABELING TUBE FOR BLOOD TES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od vessel labeling apparatus having an automatic feeding device,

본 발명은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수직방향으로 투입된 채혈관에 라벨링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od vessel label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labeling blood vessels in a vertical direction.

종래 채혈관 라벨링 장치는 채혈관을 옆으로 눕혀서 채혈관을 굴리면서 이동 시키고, 눕힌 상태로 라벨링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눕힌 상태로 라벨링을 하게되면, 채혈관의 이동 경로가 복잡해져 장치의 부피와 내부 구성이 복잡해 지는 문제가 존재하였다.Conventionally, the blood vessel labeling apparatus moved the blood vessels while rolling the blood vessels with the blood vessels lying on their sides and labeling them with the blood vessels laid down. However, labeling in such a laid-down state has complicated the volume and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device because of the complicated movement path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한국등록특허 제10-1764689호Korean Patent No. 10-1764689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채혈관을 라벨링하는 방식을 제안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labeling blood vessels in a vertical standing stat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another technical problem which i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는, 채혈관을 순차적으로 라벨러 본체에 수직 삽입하는 채혈관 공급장치; 및 상기 채혈관 공급장치의 하부에 배치되고, 채혈관을 공급받아 채혈관에 라벨링 처리를 수행하는 라벨러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채혈관 공급장치는, 채혈관이 수납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일 단부에 위치하고, 수납부를 이탈한 채혈관이 공급홀로 낙하하도록 측면의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채혈관 이동공간; 목적하는 채혈관이 상기 채혈관 이동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납부의 채혈관을 밀어주는 채혈관 이동기를 포함하되, 상기 수납부의 밑면은 복수개의 롤러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lood vessel labeling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n automatic feeding device, comprising: a blood vessel supplying device for vertically inserting blood collection tubes vertically into a labeler body; And a labeler main body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feeding device and performing labeling processing on a blood collection tube supplied with the blood collection tube, wherein the blood collection tube feeding device comprises: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 blood collection tube; A vein moving space which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receiving part and whose side width is gradually narrowed so as to drop the blood vessel into the feeding hole while leaving the receiving part; And a blood vessel moving device for pushing the blood collection tube of the receiving part so that a desired blood vessel can be moved to the blood vessel moving space,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roller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밑면은 상기 일 단부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may be inclined so as to become lower toward the one en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채혈관 공급장치는, 상기 채혈관 이동공간을 개방시키거나 닫을 수 있는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lood collection tube feed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 closing part that can open or close the blood collection tube moving sp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 채혈관을 눕혀 굴리는 형태로 이동 및 라벨링을 수행하는 장치에 비하여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며, 장치의 부피가 매우 축소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채혈관에 기 인쇄된 영역을 검출하고 기 인쇄된 영역부터 라벨링을 수행함으로써 채혈관의 둘레가 가려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도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of the device is simple and the volume of the device is greatly reduced as compared with a device for performing movement and labeling in a form in which a blood vessel is laid down by a conventional method.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blocking the periphery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by detecting an area pre-printed on the blood collection tube and performing labeling from the pre-printed area.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채혈관 공급장치100가 채혈관10을 라벨러 본체200에 공급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채혈관 공급장치100의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3c와 도 3d는 일 실시예에서 수납부110의 깊이와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채혈관10이 라벨러 본체200에 투입되고 라벨링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는 라벨링 작업이 완료된 후 채혈관10이 배출구29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0은 인쇄지가 기울어진 경우 라벨링 시작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od vessel labeling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n automatic fee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to 2D are diagram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supplying the blood collection tube 10 to the labeler main body 200 by the blood collection tube fee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and 3B are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feeding apparatus 100. FIG.
FIGS. 3C and 3D are views for explaining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depth and width of the storage part 110 in one embodiment.
FIGS. 4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ocess in which the blood collection tube 10 is inserted into the labeler body 200 and labeled.
9 shows that the blood collection tube 10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90 after the labeling operation is completed.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labeling starting point when the printing paper is inclin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 or" having ", or the like, specify that there is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ize of each compon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the sake of explanation and does not mean a size actually applied.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object), 실행 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및/또는 컴퓨터(comput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컴퓨터의 양쪽이 모두 본 명세서의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wholly hardware, partially hardware, partially software, or entirely software. The terms " unit, "" device, "or " system" or the like refer to a computer-related entity such as hardware,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or software. A processor, an object, an executable, a thread of execution, a program, and / or a computer, for example, a computer, but is not limited to, a computer. For example, both an application running on a computer and a computer may correspond to a part, module, device or system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1000는 채혈관10을 순차적으로 라벨러 본체200에 수직 삽입하는 채혈관 공급장치100 및 채혈관 공급장치1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채혈관10을 공급받아 채혈관10에 라벨링을 수행하는 라벨러 본체200로 구성된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od vessel labeling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n automatic fee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blood vessel labeling apparatus 1000 having an automatic feeder is disposed below a blood vessel supplying apparatus 100 and a blood collection tube feeding apparatus 100 that vertically insert a blood collection tube 10 into a labeler body 200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labeler main body 200 for performing labeling on the blood collection tube 10 by supplying the blood 10 to the blood collection tube 10.

라벨러 본체200는, 라벨링 처리장치1000의 동작상태 또는 다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3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 labeler main body 20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300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labeling processing apparatus 1000 or other information.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채혈관 공급장치100가 채혈관10을 라벨러 본체200에 공급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구성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 도 1의 라벨링 처리장치1000에서 외부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다.FIGS. 2A to 2D are diagram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supplying the blood collection tube 10 to the labeler main body 200 by the blood collection tube fee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to 2D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outer case is removed from the labeling processing apparatus 1000 of FIG. 1 to examin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채혈관 공급장치200는, 채혈관10이 수납되는 수납부110, 수납부110의 일 단부에 위치하고, 수납부110를 이탈한 채혈관10A이 공급홀130로 낙하하도록 측면의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채혈관 이동공간120, 및 목적하는 채혈관이 채혈관 이동공간12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납부110의 채혈관10을 밀어주는 채혈관 이동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blood collection tube feeding device 200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storage section 110 and the storage section 110 in which the blood collection tube 10 is stored and is formed so that the width of the side surface gradually narrows so that the blood vessel 10A falls into the supply hole 130 while leaving the storage section 110 A blood vessel moving space 120, and a blood vessel moving device 140 for pushing the blood collection tube 10 of the storage unit 110 so that a desired blood vessel can move to the blood vessel moving space 120. [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10는, 서로 다른 깊이를 갖는 복수의 영역111,11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길이가 다른 채혈관이 동일한 높이로 수납부110에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부의 각 영역의 깊이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A, the housing 11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111 and 112 having different depths. That is, the depths of the respective areas of the storage part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blood vessels having different lengths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part 110 at the same height.

도 2a를 참조하면 채혈관 이동기140가 일렬로 정렬된 채혈관10을 뒤에서 밀어서 가장 앞(채혈관 이동공간120 측)으로 하나의 채혈관10A이 밀려 수납부110 밖으로 나온 상태를 나타낸다. 도 2a에서 채혈관 10A는 공중에 부유된 상태로서 곧 아래로 낙하될 것이다. Referring to FIG. 2A, the blood collecting tube changer 140 pushes the blood vessel 10 in a line while being rearranged, and one blood vessel 10A is pushed to the forefront (the blood vessel moving space 120 side) and out of the receiving section 110. In Fig. 2A, the blood collection tube 10A is suspended in the air and will soon fall down.

또한 일 실시예에서 수납부110의 밑면은 일 단부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기울어진 것일수 있다. 따라서 중력에의해 채혈관이 이동공간120 쪽으로 이동되는 힘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이동기140의 힘이 덜 필요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수납부110의 밑면은 복수개의 롤러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채혈관과 수납부110 밑면과의 마찰력이 줄어들어 이동기140의 힘이 덜 필요하게 될 수도 있다. Also, in one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may be inclined to be lowered toward one end. Therefore, the gravitational force can be applied to move the blood collection tube toward the movement space 120. Therefore, the force of the mobile device 140 may be less necessary. In another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11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rollers. Therefor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blood collection tub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110 may be reduced, and the force of the moving unit 140 may be less necessary.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채혈관 공급장치는, 상기 채혈관 이동공간을 개방시키거나 닫을 수 있는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개폐부는 채혈관 이동공간에 손을 넣는 것과 같은 물리적인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여닫는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이동공간 120에 채혈관이 밀집되어 채혈관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채혈관 공급장치 전체 케이스를 열지 않고, 개폐부만을 개방함으로써 이동공간120의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 개폐부의 면적은 이동공간의 단면적에 대응되거나 이보다 소정 크기 작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lood collection tube feed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 closing part capable of opening or closing the blood vessel moving space.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may be a device that opens and closes to apply physical force such as putting a hand into the blood vessel moving space. For example,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blood collection tube is densely packed in the moving space 120 and the blood collection tube is clogged. In this case, the problem of the moving space 120 may be solved by opening only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without opening the entire case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feeding device. To this end, the area of the opening / closing part may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oving space or may be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size.

도 2b를 참조하면, 도 2a에 비해 채혈관10A가 약간 낙하한 상태를 나타낸다. 채혈관10A이 낙하될 수 있도록 채혈관 이동공간120의 일정 부분의 폭d는 채혈관의 지름보다 클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채혈관10A이 이동공간120에 끼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채혈관 이동공간120의 측면의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형태이기 때문에 낙하하는 채혈관10A는 측면을 타고 일률적으로 공급홀130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10는 복수의 열column로 병렬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병렬로 배치된 경우라도 채혈관 이동기140가 채혈관을 하나씩 채혈관 이동공간120으로 밀어준다면 공급홀130에는 하나의 채혈관이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2B, the blood collection tube 10A slightly drops as compared with FIG. 2A. The width d of a certain portion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moving space 120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so that the blood collection tube 10A can be dropped. Otherwise, the blood collection tube 10A may be caught in the movement space 120. In addition, since the width of the sides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moving space 120 gradually decreases, the blood collection tube 10A which is falling can be uniformly moved to the feeding hole 130 along the side surface. As shown in FIG. 2B, the storage part 110 may be configured in parallel with a plurality of column columns. If the blood vessel moving device 140 pushes the blood collection tubes one by one into the blood vessel moving space 120 even if the blood vessels are arranged in parallel, one blood collection vessel can be sequentially moved to the feeding hole 130.

도 2c 및 도 2d를 참조하면 채혈관 10A이 공급홀130에 투입되어 라벨러 본체200로 들어가는 상태가 나타난다. 만일 채혈관 이동기140가 짧은 시간간격으로 채혈관을 밀어 넣더라도, 공급홀130은 하나이고, 채혈관 이동공간120은 병목 형태를 갖기 때문에 채혈관이 순차적으로 공급홀130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채혈관 이동공간120은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기 때문에 복수의 채혈관10이 밀려 들어와도 이들을 수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컨대 채혈관 이동공간120이 일정한 공간을 갖지 않는다면, 동시에 복수의 채혈관이 수납부110를 이탈한 경우 복수의 채혈관10이 라벨러 본체200로 가는 길목에 막혀버릴 수도 있다.2C and 2D, the blood collection tube 10A is inserted into the supply hole 130 and enters the labeler main body 200. FIG. Even if the blood collecting tube changer 140 pushes the blood collection tube at a short time interval, the blood supply tube 130 can be moved to the supply hole 130 sequentially because the supply hole 130 is one and the blood collection tube moving space 120 has a bottleneck shape. In addition, since the blood vessel moving space 120 secures a certain spa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even when a plurality of blood vessels 10 are pushed in, they can be accommodated. For example, if the blood vessel moving space 120 does not have a predetermined space, a plurality of blood collection tubes 10 may be blocked by a path leading to the labeler main body 200 if a plurality of blood collection tubes are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portion 110 at the same time.

한편 위와 같이 이동공간의 형태가 아래로 오목한 형태를 갖는 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기계적인 장치를 통해서 채혈관이 하나씩 공급홀130로 이동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다른 기계적인 장치는 수직으로 세워진 채혈관이 경사면을 따라 수납되고 경사면의 아래쪽 단부에 공급홀130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채혈관을 집어서 공급홀로 이동시키는 로봇암일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shape of the moving space is concave downward, and the blood collection tubes may be moved to the supply holes 130 through other mechanical devices. For example, the other mechanical device may be a robot arm which is vertically erected and accommodates blood vessels along a slope and has a feed hole 130 at a lower end of a slope, or a robotic arm that picks up a blood collection tube and moves it to a feed hole.

도 3a 및 도 3b는 채혈관 공급장치100의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진 채혈관 세트들이 서로 다른 수납부 영역111,112에 수납되어 있다. 수납부 영역112의 채혈관 일부는 채혈관 이동기140에의해 외부로 토출된다. 채혈관 이동기140는 리니어 모터와 같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직선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으며, 제어부(미도시)의 명령에 따라서 채혈관10을 하나씩 수납부110에서 이탈 시킬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영역111,112에는 채혈관 이동기140가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채혈관10A는 공급홀130에 들어가고 채혈관 10B가 채혈관 10A를 뒤따라 채혈관 이동공간120으로 이동해 있다. FIGS. 3A and 3B are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feeding apparatus 100. FIG. Referring to FIG. 3A, blood vessel sets having different lengths are housed in different receiving sections 111 and 112. FIG. A part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of the storage section 11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blood vessel moving device 140. The blood collection tube moving device 140 can move in a linear direction by an actuator such as a linear motor and can separate the blood collection tubes 10 one by one from the storage part 110 in response to a command from a controller (not shown). Referring to FIG. 3A, in an embodiment, the plurality of regions 111 and 112 may include a blood vessel locator 140, respectively. 3A, the blood collection tube 10A enters the supply hole 130, and the blood collection tube 10B follows the blood collection tube 10A and moves to the blood vessel moving space 120. FIG.

도 3b를 참조하면 수납부110의 각 영역111,112의 깊이는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난다. 도 3b에서 깊이 차이는h1으로 도시된다. 수납부110의 각 영역의 깊이가 상이함으로 인해 수납부110에 수납된 채혈관의 길이가 서로 다르더라도 길이가 긴 채혈관이 깊이가 깊은 수납부에 수납됨으로써 수납부의 윗면을 구성하는 채혈관10의 캡들이 형성하는 윗면은 평행하게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B, the depths of the areas 111 and 112 of the storage part 11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Fig. 3B the depth difference is shown as h1. Even if the lengths of the blood vessel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1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due to the different depths of the respective portions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the blood vessels are stored in the receiving portion having a deep depth, The upper surfaces formed by the cap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may be parallel.

도 3c와 도 3d는 일 실시예에서 수납부110의 깊이와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1구조물k1은 일정한 높이를 갖고 수납부110부의 밑면에 설치됨으로써 다른 수납부110와의 높이차이h1을 만들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제2구조물k2은 1자 형태로 수납부110의 윗면에 설치되어 수납부의 윗면 폭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물을 통해서 일정한 규모의 수납부110가 있더라도 구비한 채혈관10의 사이즈에 맞게 수납부의 공간을 조절할 수 있다.FIGS. 3C and 3D are views for explaining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depth and width of the storage part 110 in one embodiment. Referring to FIG. 3C, the first structure k1 has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thereby making a height difference h1 between the first structure k1 and the other receiving portion 110. Referring to FIG. 3D, the second structure k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part 110 in a one-letter shape to reduce the width of the top surface of the storage part. The space of the receiving por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lood vessel 10 even if the receiving portion 110 has a certain size.

도 4 내지 도 8은 채혈관10이 라벨러 본체200에 투입되고 라벨링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 내지 도 8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을 제외하고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단 제어부는 필수적 구성이나 컨트롤러 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정보처리장치로서 도시되지 않았다. FIGS. 4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ocess in which the blood collection tube 10 is inserted into the labeler body 200 and labeled. 4 to 8 are omitted,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necessary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not shown as an essential configuration or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a controller or a processor.

채혈관10은 채혈관 캡11, 바디12로 구성될 수 있다. 캡11은 다양한 외형 및 색을 가질 수 있다. 바디12는 다양한 지름과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디12에는 채혈관 제조사에의해 부착된 인쇄물13이 기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The blood collection tube 10 may be composed of a blood collection tube cap 11 and a body 12. The cap 11 can have various shapes and colors. The body 12 may have various diameters and lengths. Further, the body 12 may be preliminarily printed with the printed matter 13 attached by the blood vessel maker.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채혈관10이 라벨러 본체200로 수직으로 투입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라벨러 본체200는 수직 삽입되는 채혈관이 투입되는 투입구20, 삽입된 채혈관10의 밑면을 받치는 받침대270, 및 삽입된 채혈관10의 바디에 소정의 정보가 인쇄된 라벨지를 라벨링하는 라벨링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blood collection tube 10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labeler body 200. In one embodiment, the labeler main body 200 is provided with an inlet 20 through which a blood vessel is inserted vertically, a pedestal 270 which receives the bottom of the blood vessel 10 inserted therein, and a label sheet on which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printed on the body of the inserted blood vessel 10 And a labeling unit 260.

받침대270는 채혈관의 길이에 따라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받침대 270의 높이 조절에 따라서 투입된 채혈관1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라벨링부260는 높이가 조절된 채혈관10에 라벨지를 라벨링할 수 있다. 채혈관10의 길이는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받침대270는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채혈관10의 라벨링 대상 영역이 라벨링 가능 영역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라벨링 대상 영역은 사용자가 해당 채혈관10에 라벨지를 붙이고자 하는 위치로서, 바디12의 일 영역일 수 있다. 또한 라벨링 가능 영역은 라벨링부260가 라벨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3차원 공간상의 위치를 의미한다. The height of the pedestal 27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and the height of the blood vessel 10 can be adjusted while the height of the pedestal 270 is adjusted. The labeling unit 260 can label the label sheet with the height adjusted. Since the length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10 may vary, the pedestal 270 can be positioned in the labelable area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10. Here, the labeling target area is a position where the user wants to attach the label sheet to the blood collection tube 10, and may be one area of the body 12. The labelable area means a position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where the labeling unit 260 can perform the labeling operation.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라벨러 본체200는 삽입된 채혈관의 길이를 측정하는 근접센서210(210A, 210B), 채혈관10의 라벨링 대상 영역이 라벨링 가능 영역에 위치하도록, 측정된 채혈관의 길이에 따라서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어부(미도시), 및 삽입된 채혈관의 캡 색을 판별하는 컬러 센서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in an embodiment, the labeler main body 200 includes a proximity sensor 210 (210A, 210B) that measures the length of a blood vessel while being inserted, and a length of the blood vessel that is measured so that the labeling target region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10 is located in the labelable area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edestal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blood vessel, and a color sensor 220 for discriminating the cap color of the inserted blood vessel.

여기서 소정의 정보는 해당 채혈관이 이용되는 환자에 대한 정보, 해당 환자의 질환에 대한 정보 또는 해당 환자로부터 얻어야 하는 생체 정보 등일 수 있으며, 상기 소정의 정보는 캡 색과 상기 채혈관 길이를 참조하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소정의 정보는 캡의 형태를 더 참조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Here,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a patient to which the blood collection tube is used, information on a disease of the patient, biometric information to be obtained from the patient, and the like, It can be determined. Or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with further reference to the shape of the cap.

수직 삽입된 채혈관10은 우선 받침대270에 받쳐지고 근접센서210에의해 길이가 측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근접센서210A와 210B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해 있는바, 두 근접센서 210A와 210B가 모두 채혈관을 인식하는 경우 채혈관의 길이는 근접센서210A의 측정 가능 높이에서부터 받침대270의 초기 위치까지로 측정될 수 있다. 또한 근접센서210A에서는 채혈관10이(임의 물체가) 인식되지 않고 근접센서210B에서만 채혈관10이 인식되면 두 근접센서210에서 측정된 경우보다 짧은 길이로 채혈관10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정확한 길이는 앞서 두 근접센서의 인식한 경우에 대한 설명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The blood vessel 10 with the vertically inserted blood is supported on the first pedestal 270 and the length can be measured by the proximity sensor 210. Referring to FIG. 5, the proximity sensors 210A and 210B are located at different heights. When the two proximity sensors 210A and 210B recognize the blood vessel, the length of the blood vessel is measured from the measurable height of the proximity sensor 210A to the initial Position. ≪ / RTI > Also, in the proximity sensor 210A, if the blood collection tube 10 is recognized (any object is not recognized) and the blood collection tube 10 is recognized only from the proximity sensor 210B, the length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10 can be determined to be shorter than that measured by the two proximity sensors 210. The exact length can be determined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for the recognition of the two proximity sensors.

따라서 근접센서210에 의해 측정된 채혈관10의 길이가 설정된 길이보다 길거나 짧은 경우 받침대270는 높이를 높이거나 낮춰서 채혈관10이 적절한 위치(라벨링 가능 영역)에 위치할 수 있게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length of the blood vessel 10 measured by the proximity sensor 210 is longer or shorter than the predetermined length, the pedestal 270 can raise or lower the height so that the blood vessel 10 can be positioned at a proper position (labelable area).

채혈관10이 라벨링 가능 영역에 위치하거나, 또는 채혈관이 수직 삽입되어 받침대270에 위치한 즉시, 컬러 센서220는 채혈관 캡11의 색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 컬러센서220의 정확한 색 감지를 위해서 채혈관10을 일정 시간 동안 고정시키는 고정기구230가 구비될 수도 있다. 고정기구는 투입구20의 양측에 위치하고, 직선 양방향 운동 가능하며, 채혈관10을 잡을 수 있도록 오목한 단부를 가질 수 있다.The color sensor 220 can sense the color of the blood vessel cap 11 as soon as the blood collection tube 10 is positioned in the labelable area or the blood collection tube is vertically inserted and placed on the pedestal 270. [ The sense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A fixing mechanism 230 for fixing the blood collection tube 10 for a predetermined time may be provided for accurate color detection of the color sensor 220. [ The fastening mechanism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inlet 20, is linearly bi-directional, and can have a concave end to hold the blood collection tube 10.

도 6은 높이가 조절된 채혈관10이 라벨링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라벨러 본체200는 높이가 조절된 채혈관10을 회전시키는 롤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라벨링부260는 소정각도 회전된 채혈관10에 라벨지를 라벨링할 수 있다. 6 shows a process in which the blood vessel 10 is subjected to labeling processing with its height adjusted. Referring to FIG. 6,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beler body 200 may further include a roller 240 for rotating the blood vessel 10 with its height adjusted. In this case, the labeling unit 260 may label the label sheet 10 with the blood vessel 10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일반적으로 채혈관10은 제조사에 의해 소정의 인쇄지가 부착되어 판매된다. 즉 인쇄지13가 이미 채혈관의 바디12의 대부분을 덮고 있는 상태이다. 그런데 이러한 인쇄지13가 부착된 채혈관 위에 소정 정보를 가진 라벨지를 더 붙이게 되면 채혈관의 바디12의 일정 부분의 둘레를 모두 가려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러 본체200는 삽입된 채혈관을 촬영하여 채혈관에 기부착된 인쇄지 영역을 검출하는 이미지 센서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Generally, the blood collection tube 10 is sold with a predetermined printing paper attached by a manufacturer. That is, the printing paper 13 is already covering most of the body 12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However, if such a label paper hav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attached to the blood vessel with the print paper 13 attached thereto, there may arise a problem that the periphery of a certain portion of the body 12 of the blood vessel is completely covered. In order to overcome such a problem, the labeler main body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sensor 280 for detecting a print area attached to the blood vessel by photographing a blood vessel with the blood vessel inserted.

도 7은 채혈관의 인쇄물 영역을 검출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280를 포함하는 라벨러 본체200의 내부 주요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롤러는 상기 라벨링부260가 상기 인쇄지13 위에 라벨링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채혈관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렇게 회전된 채혈관10에 대하여 라벨링부260는 라벨링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즉 라벨링부260의 라벨링 시작 위치가 기부착된 인쇄지13 영역의 단부로 맞춰지도록 채혈관이 적절히 회전되어 라벨링부260의 라벨링 가능 영역에 위치되어 라벨링 작업이 시작될 수 있다.7 is an internal main configuration diagram of a labeler main body 200 including an image sensor 280 for detecting a print area of a blood collection tube. Referring to FIG. 6, the roller may rotate the blood collection tube 10 so that the labeling unit 260 can label the printing paper 13. The labeling unit 260 can start the labeling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blood vessel 10 rotated in this manner. The blood collection tube is properly rotated so that the labeling start position of the labeling unit 260 is aligned with the end of the region of the print paper 13 to which the label is attached, and is positioned in the labelable area of the labeling unit 260 so that the labeling operation can be started.

또한 일 실시예에서, 라벨링부는, 기부착된 인쇄지 영역의 최외곽 모서리 지점 E1 또는 두 번째 모서리 지점E2부터 라벨링을 시작할 수도 있다. 도 10은 인쇄지가 기울어진 경우 라벨링 시작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두 번째 모서리 지점E2은 최외각 모서리E1와 수직방향으로 이웃하는 모서리를 의미한다. Also in one embodiment, the labeling section may start labeling from the outermost edge point E1 or the second edge point E2 of the pre-attached print paper area.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labeling starting point when the printing paper is inclined. Referring to FIG. 10, the second corner point E2 refers to an edge vertically adjacent to the outermost corner E1.

예컨대 기부착된 인쇄지가 비스듬하게 부착된 경우, 라벨링부는 기부착된 인쇄지 영역의 최외각 모서리 지점E1부터 기부착된 인쇄지 방향으로 라벨링을 시작하여 기울어진 인쇄지 영역을 가릴 수 있다. 또는 두 번째 모서리 지점E2부터 라벨링을 시작할 수도 있다. 두 번째 모서리 지점부터 시작하더라도 최외각 모서리 지점E1과 두 번째 모서리 지점은 비스듬하므로 채혈관이 가려지지 않을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attached printing paper is attached at an angle, the labeling section may start labeling from the outermost corner point E1 of the pre-attached printing paper area to the attached printing paper direction to cover the tilted printing paper area. Alternatively, labeling may be started from the second corner point E2. Even when starting from the second corner point, the outermost corner point E1 and the second corner point are oblique, so that the blood vessel can not be covered.

또한 일 실시예에서 라벨링부는 모서리 지점E3 또는 E4까지만 라벨링할 수 도 있다.Also, in one embodiment, the labeling section may label only up to corner point E3 or E4.

일 실시예에서 라벨링 작업 전, 라벨링 작업 중 또는 라벨링 작업 후 롤러240는 소정거리 뒤로 이동할 수 있다. 채혈관 캡의 둘레가 채혈관 바디보다 크기 때문에 배출구290로 채혈관이 배출될 때, 채혈관 캡이 롤러240에 걸리지 않기 위함이다. In one embodiment, the roller 240 may be moved a predetermined distance before, during, or after the labeling operation. The blood collection tube cap is not caught by the roller 240 when the blood collection tube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290 because the periphery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cap is larger than the blood collection tube body.

도 8은 인쇄물이 부착된 채혈관 위에 라벨링되는 종래 문제점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종래 방식의 경우 제조사의 인쇄물13을 고려하지 않고 새로운 라벨지14를 라벨링 함으로써 채혈관의 둘레가 모두 가려져 채혈관 내 혈액의 양이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 제조사의 인쇄물13 위에 새로운 라벨지14를 라벨링 함으로써 채혈관의 전체 길이에 있어서 내부를 볼 수 있는 영역을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채혈관 내 혈액의 양과 상태를 보다 전체적으로 알 수 있는 이점이 있다.FIG. 8 shows a conventional problem in which a print is adhered onto a blood vessel with adhered thereto, and a comparison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in the conventional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eriphery of the blood vessel is obscured by labeling the new label 14 without considering the manufacturer's printed matter 13, so that the amount or state of the blood in the blood vessel can not be visually confirmed. In the case of the invention, labeling the new label paper 14 on the print 13 of the manufacturer has the advantage of ensuring a viewable area in the entire length of the blood collecting tube, thereby allowing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quantity and condition of the blood in the blood collection tube .

도 9는 라벨링 작업이 완료된 후 채혈관10이 배출구29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나타낸다. 배출된 채혈관10은 저장소로 이동하여 보관될 수 있다. 저장소는 라벨러 본체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일정한 공간일 수 있다.9 shows that the blood collection tube 10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90 after the label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discharged blood vessel 10 can be moved to the reservoir and stored. The reservoir may be a constant spac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labeler body 200.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 채혈관
100 : 채혈관 공급장치
200 : 라벨러 본체
300 : 디스플레이
1000 : 라벨링 처리장치
10: Blood vessel
100: blood vessel supply device
200: the labeler main body
300: Display
1000: Labeling processing device

Claims (3)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로서,
채혈관을 순차적으로 라벨러 본체에 수직 삽입하는 채혈관 공급장치; 및 상기 채혈관 공급장치의 하부에 배치되고, 채혈관을 공급받아 채혈관에 라벨링 처리를 수행하는 라벨러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채혈관 공급장치는,
채혈관이 수납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일 단부에 위치하고, 수납부를 이탈한 채혈관이 공급홀로 낙하하도록 측면의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채혈관 이동공간;
목적하는 채혈관이 상기 채혈관 이동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납부의 채혈관을 밀어주는 채혈관 이동기를 포함하되,
상기 수납부의 밑면은 복수개의 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
A blood vessel labeling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n automatic feeder,
A blood vessel supply device for sequentially inserting the blood collection tubes into the labeler main body; And a labeler main body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lood collecting tube feeding device and performing a labeling process on a blood vessel by receiving a blood collecting tube,
Wherein the blood collection tube feeding device comprises: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blood collection tube;
A vein moving space which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receiving part and whose side width is gradually narrowed so as to drop the blood vessel into the feeding hole while leaving the receiving part;
And a blood vessel moving device for pushing the blood collection tube of the storage part so that a desired blood vessel can be moved to the blood vessel moving sp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roll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밑면은 상기 일 단부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is inclined to be lowered toward the one e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혈관 공급장치는,
상기 채혈관 이동공간을 개방시키거나 닫을 수 있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ood collection tube feeding device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n opening / closing unit for opening / closing the blood vessel moving space.
KR1020170164846A 2017-12-04 2017-12-04 Apparatus having automatic feeder for labeling tube for blood test KR1020928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846A KR102092888B1 (en) 2017-12-04 2017-12-04 Apparatus having automatic feeder for labeling tube for blood t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846A KR102092888B1 (en) 2017-12-04 2017-12-04 Apparatus having automatic feeder for labeling tube for blood te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568A true KR20190065568A (en) 2019-06-12
KR102092888B1 KR102092888B1 (en) 2020-03-24

Family

ID=66845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846A KR102092888B1 (en) 2017-12-04 2017-12-04 Apparatus having automatic feeder for labeling tube for blood t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888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6577A (en) * 1998-07-01 2000-01-18 N Tec:Kk Infeed device
KR20100032785A (en) * 2008-09-18 2010-03-26 씨브이씨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Specification-attaching apparatus
CN204776364U (en) * 2015-07-13 2015-11-18 青岛华诺医学科技有限公司 Test tube conveying mechanism and test tube label pasted equipment
JP2016527089A (en) * 2013-04-15 2016-09-08 エナジウム リミテッド Test tube gripper, test tube labeling unit, and test tube prepar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764689B1 (en) 2015-09-08 2017-08-14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Apparatus for recognizing and labeling tube for blood test automatically
KR101770353B1 (en) * 2015-08-25 2017-09-12 주식회사 아세테크 Labeling apparatus
CN206569376U (en) * 2017-01-19 2017-10-20 杭州世诺科技有限公司 Piece-picking type vacuum blood collection tube conveying separation and detent mechanism
KR101796898B1 (en) * 2017-06-21 2017-11-13 주식회사 크레도웨이 Blood collection tube automatic supplying device for labeling machin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6577A (en) * 1998-07-01 2000-01-18 N Tec:Kk Infeed device
KR20100032785A (en) * 2008-09-18 2010-03-26 씨브이씨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Specification-attaching apparatus
JP2016527089A (en) * 2013-04-15 2016-09-08 エナジウム リミテッド Test tube gripper, test tube labeling unit, and test tube prepar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204776364U (en) * 2015-07-13 2015-11-18 青岛华诺医学科技有限公司 Test tube conveying mechanism and test tube label pasted equipment
KR101770353B1 (en) * 2015-08-25 2017-09-12 주식회사 아세테크 Labeling apparatus
KR101764689B1 (en) 2015-09-08 2017-08-14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Apparatus for recognizing and labeling tube for blood test automatically
CN206569376U (en) * 2017-01-19 2017-10-20 杭州世诺科技有限公司 Piece-picking type vacuum blood collection tube conveying separation and detent mechanism
KR101796898B1 (en) * 2017-06-21 2017-11-13 주식회사 크레도웨이 Blood collection tube automatic supplying device for label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888B1 (en) 202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3445A (en) Apparatus for providing tube for blood test in vertical direction
CN1221921C (en) Automatic card issuing device with indicating function
US8706293B2 (en) Vending machine with automated detection of product position
JP5317478B2 (en) Medal cup holder
JP6544351B2 (en) Drug sorting apparatus and drug sorting method
EP2168877A2 (en) Tablet cassette of automatic tablet packing apparatus
US20030057230A1 (en) Medication dispenser
US20160137426A1 (en) Sample processing apparatus and sample processing method
US9248927B2 (en) Work insertion device
KR20190083729A (en) Laser marking apparatus for drug
KR20190063032A (en) Apparatus for labeling tube for blood test in vertical direction
KR20190065564A (en) Apparatus for aligning and processing labelfor tube for blood test
KR20190065568A (en) Apparatus having automatic feeder for labeling tube for blood test
CN105899932B (e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ablet
CN104755875B (en) Slider examination device for slider assembling-machine
US6938896B2 (en) Automatic card dispensing unit with display capability
KR20200113446A (en) Apparatus for providing tube for blood test in vertical direction with separable input part
CN214913290U (en) Game device
JP2007296310A (en) Pusher game apparatus
EP0892302A1 (en) Defined orientation slide projector and slides
JP2018132315A (en) Test tube preparing apparatus
CN218847831U (en) Digital pressure tester
KR102162359B1 (en) Automatic packing apparatus for tablets
JP6988965B2 (en) Drug recognition device
KR20140057944A (en) Automatic packing apparatus for tabl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