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677A - 향상된 기계 저항성을 갖는 연료 탱크 - Google Patents

향상된 기계 저항성을 갖는 연료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677A
KR20190064677A KR1020197015634A KR20197015634A KR20190064677A KR 20190064677 A KR20190064677 A KR 20190064677A KR 1020197015634 A KR1020197015634 A KR 1020197015634A KR 20197015634 A KR20197015634 A KR 20197015634A KR 20190064677 A KR20190064677 A KR 20190064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diameter
tank
transition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뵈른 크리엘
데이비드 힐
베누아 드보
Original Assignee
플라스틱 옴니엄 어드벤스드 이노베이션 앤드 리서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11165495A external-priority patent/EP2511068A1/en
Application filed by 플라스틱 옴니엄 어드벤스드 이노베이션 앤드 리서치 filed Critical 플라스틱 옴니엄 어드벤스드 이노베이션 앤드 리서치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12/056236 external-priority patent/WO2012139962A1/en
Publication of KR20190064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6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177Fuel tanks made of non-metallic material, e.g. plastics, or of a combination of non-metallic and metall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3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filters, the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43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pumps, the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36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preventing overfilling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486Fuel tank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the tank or parts thereof are essentially made from
    • B60K2015/03493Fuel tank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the tank or parts thereof are essentially made from made of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61Details of the tank inlet comprising a filler pipe shutter, e.g. trap, door or flap for fuel in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2 개의 대향 벽 부분들, 및 이 2 개의 벽 부분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화 부재를 갖는 연료 탱크로서, 강화 부재는 단부들에서 단면의 직경과 적어도 하나의 중간 지점에서 단면의 직경 사이에 적어도 1.8 의 비율을 갖는 중공 필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향상된 기계 저항성을 갖는 연료 탱크{FUEL TANK WITH IMPROVED MECHANICAL RESISTANCE}
본 발명은 향상된 기계 저항성을 갖는 연료 탱크에 관한 것이다.
차량들을 위해서 구성된 플라스틱 연료 탱크들은 이들의 하측 스킨 (skin) 에서 휨의 허용가능한 최대 진폭들을 특정하는 사양들 (specifications) 을 만족해야 한다. 이 사양들에 명시된 휨들은 일반적으로, 탱크가 어떤 온도 (일반적으로 40 ℃) 에서 주어진 시간 기간 동안 (전형적으로 몇 주) 어떤 양의 연료를 담고 있는 노화 테스트들 (ageing tests) 동안에 만족되어야 한다. 이러한 사양들의 목적은 차량들이 그들의 최저 지상고를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고 탱크의 스킨이 차량의 고온지점들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 차량들에서의 연료 시스템은 주위 압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압력에서 특정한 양의 액체 연료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하이브리드 차량들 및, 좀더 구체적으로, 연료를 이용하지 않고 아마도 몇 달 주행할 수도 있도록 구성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들의 도입으로, 하루 주기 (diurnal cycles) 때문에 활성화된 탄소 캐니스터 (carbon canister) 를 통해서 잠재적으로 유출될 수도 있는 방출물을 제한하도록 연료 탱크 내의 압력을 유지하는 것은 시스템 설계자들의 관심사이다. 또한, 압력을 유지하는 것은 연료의 조성이 저장 동안에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그러나, 탱크들은 이 내측 압력에 견디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인 이름의 특허 출원 WO 2010/122065 에 설명된 바와 같이, 2 개의 대향 탱크 표면들을 내측 필라 (pillar) 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함으로써 탱크 강화가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강화는 약간 모순적인 다음 3 개의 테스트들을 통과할 필요가 있다:
ㆍ 매우 강한 필라를 요구하는 압력하의 장기 노화 변형.
ㆍ 시스템 기능성들의 어떠한 저하도 없는 상온에서 그리고 1 m 에서 조종 낙하 (handling drop).
ㆍ 충격 동안에 탱크 스킨 상에 어떠한 손상도 없는 고속 충격 저항성; 이것은 - 40 ℃ 에서 6 m 낙하 테스트 또는 SLED 테스트를 특징으로 한다.
직선 필라는 약간 큰 단면에 근거해서 필라 내측 응력을 감소할 수 있어 직선 필라가 가장 자명한 구성이지만, 직선 필라는 고속 충격 테스트, 예를 들어 낙하 또는 SLED 테스트들 (즉, 전형적 충돌 속도와 감속을 시뮬레이션하는 테스트) 동안에 양호한 결과들을 가질 수 없었다. 제 2 단계에서, 낙하 또는 SLED 테스트들과 같은 고속 충격 테스트 동안에 필라 파단을 개시하도록 필라의 내측에 작은 노치들이 추가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테스트 결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지 않았다.
상기 언급된 특허 출원 WO 2010/122065 에서, 바람직하게는 필라가 건축학적 용어의 의미에서 필라, 즉 양 단부들에서 더 큰 단면들을 갖고 중심에서 더 작은 단면을 갖는 원통형 구조체 (달리 말하면, 그 단부들로부터 그 중심까지 감소하는 단면) 인 점이 특정된다.
놀랍게도 위에서 언급된 3 개의 요건들 (테스트들) 이 단부들에서 단면의 직경과 중심에서 단면의 직경 사이에 적어도 1.8 의 비율 및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의 비율을 갖는 필라에 의해서 만족될 수 있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필라가 만들어지는 재료에 따라서, 이러한 비율은 또한 5 이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2 개의 대향 벽 부분들, 및 이 2 개의 벽 부분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화 부재를 갖는 연료 탱크에 관한 것이며, 강화 부재는 단부들에서 단면의 직경과 적어도 하나의 중간 지점에서 단면의 직경 사이에 적어도 1.8 의 비율을 갖는 중공 필라를 포함한다.
용어 "연료 탱크" 는 다양하고 변하는 환경 및 이용 조건들 하에서 연료를 저장할 수 있는 불침투성 탱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 탱크의 예는 차량들에 구비된 탱크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탱크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지며, 달리 말하면 적어도 하나의 합성 수지 폴리머를 포함하는 재료로 만들어 진다.
모든 타입의 플라스틱이 적합할 수도 있다. 열가소성 수지 카테고리에 속하는 플라스틱들이 특히 적합하다.
용어 "열가소성 수지" 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들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임의의 열가소성 폴리머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폴리머" 는 호모폴리머들과 코폴리머들 (특히, 2 원 (binary) 또는 3 원 (ternary) 코폴리머들) 양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코폴리머들의 예들은 랜덤 코폴리머들, 선형 블록 코폴리머들, 다른 블록 코폴리머들 및 그래프트 (graft) 코폴리머들이다.
종종 이용되는 하나의 폴리머는 폴리에틸렌이다. 뛰어난 결과들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을 이용하여 얻어지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탱크는 또한, 예를 들어 EVOH (부분 가수분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와 같은 연료 불침투성 수지 층을 포함한다. 또는, 탱크는 탱크가 연료에 대해서 불침투성이 되도록 표면 처리 (불소화 또는 설폰화) 될 수도 있다.
2 개의 HPDE 층들 사이에 EVOH 층을 포함하는 다층 연료 탱크는 본 발명의 프레임에서 성공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탱크는 2 개의 대향하는 벽 부분들, 즉 서로 대향하는 탱크 벽의 두 부분들을 연결하는 강화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두 분들은 하측 벽 부분 (차량에 하방으로 향하도록 장착되고 연료의 중량 하에서 크리프 (creep) 될 수도 있는 부분) 및 상측 벽 부분 (상방을 향하도록 장착되고 사용중 거의 또는 전혀 크리프되지 않는 부분) 이다.
이 강화 부재는 정의상 강성이고, 즉 탱크의 수명에 걸쳐서 이 강화 부재는 수 mm 를 초과해서 변형되지 않고, 이상적으로는 1 mm 미만으로 변형된다. 사실은, "변형" 은 변형이 2 개의 탱크 벽 부분들을 분리할 수도 있다는 의미에서 팽창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부재는, 길이에 걸쳐서 변하는 단면, 및 전체 체적의 무시할 수 있는 퍼센티지 (전형적으로 0.2 % 내지 0.5 %) 를 나타내는 벽 두께를 갖는 중공 필라, 즉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의 중공 몸체 (벽의 구성 재료로 채워지지 않은 내측 체적을 한정하는 벽) 의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위의 "내측 체적" 은 중공 필라 형상의 하나의 외측 벽에 의해서 한정된다. 이 실시형태가 첨부된 도 2 에 도시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내측 체적" 은 동일 재료의 몇 개의 리브들 (평행한 슬라이스들 (slices)) 사이의 체적일 수도 있으며, 이 리브들의 외측 포위면은 중공 필라의 형상을 갖는다. 이 실시형태는 첨부된 도 4 에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라는 그 단부들에서 큰 단면을 갖고 적어도 하나의 중간 부분에서 감소된 단면을 갖는다. 단면의 "직경" 은 단면이 안에 끼워지는 원의 직경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감소된 직경을 갖는 부분은 필라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감소된 직경을 갖는 부분은 필라에서 최대 응력 위치를 커버 (cover) 하도록 위치된다. 일반적으로, 감소된 직경을 갖는 부분은 필라 길이의 최대 90 % 상에서, 바람직하게는 필라 길이의 최대 70 % 상에서, 그리고 이상적으로는 필라 길이의 최대 50 % 상에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감소된 직경을 갖는 중간 지점은 필라의 전체 길이의 90 % 를 초과하여 연장되지 않고 필라에서 최대 응력 위치를 커버하도록 위치된다.
특히 상기 필라가, 예를 들어 통기 기능과 같은 다른 기능을 충족하는 경우에, 이 위치는 (최대 내측 체적을 갖도록) 필라 길이의 최대 20 % 까지로 한정될 수도 있다. 또한, 실제로 이 비율은 필라의 길이 (상기 비율은 길이가 감소될 때 증가한다) 및, 또한 실제로 최소 직경이 단지 하나의 단면 (또는 필라의 매우 제한된 영역) 에서 만나도록 (최소 직경 단면의) 영역이 점변적 (evolutive) 일 수 있는 단면의 직경에 의존한다. 즉,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최소 직경 단면을 갖는 중간 지점의 영역에서 단면의 직경은 일정하지 않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필라의 양 단부들에는 연결 플랜지들이 구비되고, 즉 필라의 전체 원통형 표면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직하고 탱크 내측 표면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는 부분들이 구비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필라의 단부의 단면의 직경은 연결 플랜지의 외측 직경이다. 일반적으로, 플랜지들은 중공이고, 플랜지들의 바로 아래 또는 바로 위의 필라의 하측 부분 또는 상측 부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들을 갖는 보링 (boring) /구멍을 포함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필라의 직경에서 전이가 있는 필라 길이 중 2 개 부분들, 즉 플랜지 영역에서 제 1 전이부 및 필라의 중심에서 제 2 전이부가 존재한다. 제 1 전이부는, 용접부의 폭 (또는 다른 고정 수단) 이 바람직하게는 필라 몸체의 폭보다 실질적으로 더 크고, 그래서 용접부가 바람직하게는 플랜지에 근접하다는 사실 때문이다. 제 2 전이부는 바람직하게는 탱크 양쪽 벽 부분들 (예를 들어 상측 및 하측 충격들) 로부터 균등한 성능을 보장하도록 실질적으로 중간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필라는 회전 대칭 축을 갖고, 그리고 필라는, 상기 축을 포함하는 수직 평면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디아볼라 (diabola) 의 형상 (또는 일정한 직경의 중간 부분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연결되는 2 개의 대향 포물선의 형상 또는 포물선 상측들로부터 상기 중간 부분의 중심을 향해서 감소하는 직경의 부분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연결되는 2 개의 대향 포물선의 형상) 을 갖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단면을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디아볼로의 중간 부분의 각 측상에서 포물선 표면은 위에서 언급된 플랜지까지 연장되는 원통형 부분에 의해서 연장된다. 후자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랜지의 직경과 원통형 부분의 직경 사이의 비율은 적어도 1.2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의 비율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부분의 직경과 중간 부분 직경 사이의 비율은 적어도 1.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2 의 비율이다.
앞에서 언급된 강화 필라는 바람직하게는 연료 저항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에 기초하고, 그리고 만약 필라가 탱크에 용접된다면, 필라는 바람직하게는 탱크의 재료 (적어도 표면에서) 와 양립할 수 있는 재료에 기초한다.
순수 HDPE 또는 유리 섬유들 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충전제 (천연 또는 폴리머 섬유들) 로 충전된 HDPE, POM (폴리-옥시-메틸렌), PEEK (폴리 에테르 에테르 케톤), PPA (폴리프탈이미드) 등은 적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조되는 플라스틱 필라들이다. 또한, 이것은 2-재료 필라, 즉 2-재료 필라의 일 부분은 HDPE 와 양립할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지고 그리고 2-재료 필라의 다른 부분은 제한된 변형 및/또는 크리프를 갖는 재료 (POM, PA, PEEK, PPA, 금속 등) 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는, 필라는 저항성 목적 (필라의 몸체) 및 부착의 필요성 (필라의 플랜지들) 을 위해서 2 개의 재료들 (더 바람직하게는: HDPE 및, POM 또는 폴리옥시메틸렌과 같은 강화된 그리고/또는 강화하는 재료) 로 구성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2 개의 부분들은 바람직하게는 오버몰딩 (overmoulding) 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단면/직경이 줄어드는/감소되는 필라 길이의 2 부분들: 오버몰딩 영역에서 제 1 전이 부분 및 필라의 중심에서 제 2 전이 부분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중공 필라의 적어도 일 부분은 탱크 내에서 능동적 역할 (가스제거, 계측, 연료 트랩 (fuel trap) 등) 을 갖는 액세서리 구성 부재이다. 일반적으로, 논의되는 액세서리는 챔버/하우징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능동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그리고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중공 필라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 부분을 구성한다. 즉, 위에서 언급된 특허 출원 WO 2010/122065 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중공 필라의 벽이 바람직하게는 액세서리의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고, 이 출원의 내용은 참조에 의해서 본 특허 출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의 제 1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르면, 중공 필라는 그 내측 체적에, 탱크의 내부와 외부를 일반적으로 캐니스터 또는 다른 오염 제어 장치를 통해서 연결하는 통기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하위 변형예에 있어서, 중공 필라는 액체/증기 분리기 (즉 LVS), 즉 중공 필라가 연료 증기 중에 존재하는 증기 액적의 억제를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내측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중공 체적이다.
다른 바람직한 하위 변형예에 있어서, 액세서리는 ROV 및/또는 FLVV 타입의 밸브이고, 그리고 필라에 일체화된 능동 구성요소는 플로우트 (float) 이다. 이 경우에, 중공 필라의 적어도 일 부분은 플로우트가 안에서 슬라이딩하는 챔버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의 제 2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르면, 중공 필라는 과충전 방지 장치 (OPD) 를 위한 하우징으로서 작동한다. 이 변형예에서, 중공 필라의 적어도 일 부분은 OPD 가 안에 위치되는 챔버를 구성한다. 다음으로, 다양한 ROV 들은 입구에서 이 OPD 장치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하위 변형예에 있어서, LVS 기능과 OPD 기능을 필라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의 제 3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르면, 중공 필라는 연료 트랩 (즉, 액세서리가 연료 트랩이다) 으로서 작동하고, 이 목적을 위해서, 그 내측 체적 내에 연료 펌프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흡입 지점을 포함하고, 그리고 특히 매우 바람직하게는, 필터를 포함하여 펌프가 이를 통해서 흡입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의 제 4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르면, 중공 필라는 용량 계측기를 포함하고, 그리고 이 계측기를 위한 보호 챔버로서 작동한다 (즉, 이를테면 계측기의 보호 하우징을 구성한다). 이 경우에, 중공 필라의 기능들은 (연료의 움직임에 의한) 파동들의 영향을 필터링하고 그래서 연료 레벨 측정의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것; 기생 캐패시턴스로부터 측정 요소를 보호하는 것 (이 목적을 위한 재료의 선택에 의해서); 및 감지 요소 상에 퇴적되는 연료 필름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앞에서 언급된 다양한 변형예들은 하나의 동일 탱크 내에서, 또는 심지어 하나의 동일 필라 내에서 결합될 수도 있다는 점이 주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4 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간단한 형상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필라를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3 차원 버젼을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대안적인 강화 해결책을 도시한다.
도 1 은 (단면들 직경의 일정한 증가를 갖는) 간단한 형상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필라를 도시한다; 다음의 도면부호들은 다음의 구성요소들을 특정한다.
1: 연료 탱크 쉘 (shell)
2: 연료 탱크의 핀치 (pinch) 라인 (즉, 2 개의 성형 전 (pre-moulded) 패리슨 (parison) 부분들의 용접 라인)
3: 강화 부재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필라의 전체적 디아볼로 형상이 도 2 에 도시되고, 부착 직경부 (AD) 및 최소 부분 직경부 (MSD) 에 의해서 특징지워질 수 있다.
부착 직경부는 약간 큰 탱크 표면을 잡기 위해서 매우 크게 선택되고, 탱크 내에 압력이 있을 때 변형이 거의 0 으로 한정된다. 실제로, 탱크 쉘 경계면에서 작은 단면이라면, 도 3 에 설명된 바와 같이 필라들의 수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도 3 은 2 개의 필라들 (1, 1') 사이에 약간 큰 거리를 갖는 직선 필라 구성을 도시한다. 이 구성은 양 필라들 사이의 탱크 (2) 의 중심 지점에서 큰 변형을 허여하며, 이것은 변형 값 및 차량 환경에 의존해서 추가적인 필라를 사이에 필요로 할 수도 있다.
반면에 디아볼로 형상에서 가장 작은 직경 부분은 충격 부분의 모든 방향들에서 용이한 파단 구역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고충격 테스트들은 시뮬레이션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이 구성을 착안하기가 자명하지 않았다. 이 구성은, 고속 충격 테스트 (낙하 및/또는 SLED 테스트) 동안에 탱크 쉘을 파손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용이한 파단 영역이 결합된 탱크가 압력을 받을 때 탱크 변형을 제한하는 강화 플라스틱 연료 탱크를 얻을 수 있는 유일한 구성인 거 같다.
최종 강화 필라 형상은 부착 직경부 (AD) 와 최소 부분 직경부 (MSD) 사이에 적어도 인자 1.8,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인자 2 의 전체 치수 비율을 갖는다.
이 발명을 이용하여 얻는 결과들은 강화 플라스틱 기반 연료 탱크의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스틸 연료 탱크와 비교하여 상당한 중량 감소를 가능하게 하고 이에 의해서 배기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다른 필라 구성으로는, 350 밀리바에서 탱크 변형을 전형적으로 최대 10 mm 까지 제한하고 고충격 저항 요건들을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필라의 구조체는 파단 지점을 제어하도록 앞의 실시형태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형상지어진 일련의 리브들로 구성된다. 이 실시형태에 대한 장점은 부재의 중심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복잡성이 감소되는 것이다. 리브들이 모두 동일한 드로우 라인 (line of draw) 으로 있고 그리고 중공 내부를 가질 필요가 없으므로, 단부 상의 부재를 성형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슬라이드들 (slides) 이 충분히 덜 복잡해진다.

Claims (12)

  1. 2 개의 대향 벽 부분들, 및 상기 2 개의 대향 벽 부분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화 부재를 갖는 연료 탱크로서,
    상기 강화 부재는 중공 필라 (pillar) 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 필라는 상기 중공 필라의 단부들에서의 단면의 직경과 적어도 하나의 중간 지점에서의 단면의 직경 사이에 적어도 1.8 의 비율을 갖는, 연료 탱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는 플라스틱 연료 탱크인, 연료 탱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대향 벽 부분들은, 각각 상기 탱크가 장착될 차량에서 하방을 향하도록 지향되는 하측 벽 부분과, 상기 탱크가 장착될 차량에서 상방을 향하도록 지향된 상측 벽 부분인, 연료 탱크.
  4. 제 1 항에 있어서,
    감소된 직경을 갖는 상기 중간 지점은 상기 필라의 전체 길이의 90 % 를 초과하여 연장되지 않고, 상기 필라의 최대 응력 위치를 커버 (cover) 하도록 위치되는, 연료 탱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지점의 영역에서 단면의 직경은 일정하지 않은, 연료 탱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의 양 단부들에는 연결 플랜지들이 구비된, 연료 탱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는 단면의 직경이 일정하지 않은 2 개의 전이 부분들, 즉 플랜지 영역에 있는 제 1 전이 부분과 실질적으로 상기 필라의 중심에 있는 제 2 전이 부분을 포함하는, 연료 탱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는 회전 대칭 축, 및 상기 회전 대칭 축을 포함하는 수직 평면에서 보았을 때 디아볼로 (diabolo) 의 형상을 갖는 부분, 또는 일정한 직경의 중간 부분 또는 포물선 상측들로부터 상기 중간 부분의 중심을 향해서 감소하는 직경의 중간 부분에 의해서 연결된 2 개의 대향 포물선의 형상을 갖는 부분을 포함하는 단면을 갖는, 연료 탱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아볼로의 중간 부분의 각 측상의 포물선 표면은 연결 플랜지까지 연장되는 원통형 부분에 의해서 연장되고, 그리고 상기 플랜지의 직경과 상기 원통형 부분의 직경 사이의 비율은 적어도 1.25 이고 상기 원통형 부분의 직경과 중간 부분의 직경 사이의 비율은 적어도 1.5 인, 연료 탱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는 2 개의 상이한 재료들로 구성되고, 그리고 상이한 재료들로 만들어진 2 개의 부분들은 오버몰딩 (overmoulding) 되는, 연료 탱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는 단면의 직경이 일정하지 않은 2 개의 전이 부분들, 즉 오버몰딩 영역에 있는 제 1 전이 부분과 실질적으로 상기 필라의 중심에 있는 제 2 전이 부분을 포함하는, 연료 탱크.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필라는 중공 필라 형상의 하나의 외측 벽에 의해서 한정되는 내측 체적을 갖는, 연료 탱크.
KR1020197015634A 2011-04-12 2012-04-04 향상된 기계 저항성을 갖는 연료 탱크 KR201900646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74427P 2011-04-12 2011-04-12
US61/474,427 2011-04-12
EP11165495.0 2011-05-10
EP11165495A EP2511068A1 (en) 2011-04-12 2011-05-10 Process for manufacturing a plastic fuel tank
US201161487387P 2011-05-18 2011-05-18
US61/487,387 2011-05-18
US201161490053P 2011-05-25 2011-05-25
US61/490,053 2011-05-25
EP11169114 2011-06-08
EP11169114.3 2011-06-08
PCT/EP2012/056236 WO2012139962A1 (en) 2011-04-12 2012-04-04 Fuel tank with improved mechanical resistan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7540A Division KR102002746B1 (ko) 2011-04-12 2012-04-04 향상된 기계 저항성을 갖는 연료 탱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4487A Division KR102217701B1 (ko) 2011-04-12 2012-04-04 향상된 기계 저항성을 갖는 연료 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677A true KR20190064677A (ko) 2019-06-10

Family

ID=668483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634A KR20190064677A (ko) 2011-04-12 2012-04-04 향상된 기계 저항성을 갖는 연료 탱크
KR1020207014487A KR102217701B1 (ko) 2011-04-12 2012-04-04 향상된 기계 저항성을 갖는 연료 탱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4487A KR102217701B1 (ko) 2011-04-12 2012-04-04 향상된 기계 저항성을 갖는 연료 탱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190064677A (ko)
BR (1) BR112013024369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859A (en) * 1899-02-07 gardiner
DE19627742C2 (de) * 1996-07-10 2000-08-03 Mannesmann Vdo Ag Kraftstoffbehält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6338420B1 (en) 1999-06-08 2002-01-15 Delphi Technologies, Inc. Motor vehicle fuel tank and method
JP2007237776A (ja) 2006-03-06 2007-09-20 Fts:Kk 樹脂製燃料タンク
DE102009036911B4 (de) 2009-08-11 2016-03-03 Magna Steyr Fuel Systems Gmbh Treibstoffbehälter für Kraftfahrzeuge mit Zugan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3024369B1 (pt) 2021-03-30
KR20200059323A (ko) 2020-05-28
KR102217701B1 (ko) 2021-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746B1 (ko) 향상된 기계 저항성을 갖는 연료 탱크
US10940754B2 (en) Tank comprising a reinforcement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reinforcement member
US20160067905A1 (en) Plastic fuel tank with improved creep resistance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JP2012506337A (ja) 気液分離器を装備した換気システムを含む燃料タンク
KR20190064677A (ko) 향상된 기계 저항성을 갖는 연료 탱크
US10322629B2 (en) Tank with internal connecting member and method for assembling such a tank
EP3184342B1 (en) Valve apparatus with a weight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