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162A -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새싹 재배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새싹 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162A
KR20190064162A KR1020170163514A KR20170163514A KR20190064162A KR 20190064162 A KR20190064162 A KR 20190064162A KR 1020170163514 A KR1020170163514 A KR 1020170163514A KR 20170163514 A KR20170163514 A KR 20170163514A KR 20190064162 A KR20190064162 A KR 20190064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sing
plate
cultivation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6940B1 (ko
Inventor
박찬원
박만선
Original Assignee
박찬원
박만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원, 박만선 filed Critical 박찬원
Priority to KR1020170163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940B1/ko
Publication of KR20190064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20Cereals
    • A01G22/22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4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 A01G31/047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with containers inside rotating drums or rota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e.g. carou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새싹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관리 인력을 최소화하여 새싹의 재배 효율을 최대화하고, 노인이나 장애인 등도 쉽게 새싹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며, 새싹을 대량으로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레일통으로부터 도어의 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새싹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새싹 재배장치{SPROUT CULTIVATION APPARATUS EASY OPEN AND CLOSE OF DOOR}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새싹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관리 인력을 최소화하여 새싹의 재배 효율을 최대화하고, 노인이나 장애인 등도 쉽게 새싹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며, 새싹을 대량으로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레일통으로부터 도어의 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새싹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묘상자는 볍씨를 파종하여 어린 모로 키워 이양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일정한 규격의 판에 상토를 채운 다음 그 위에 볍씨를 파종하고, 볍씨를 복토한 후, 볍씨에 대한 출아조건(수분, 온도, 영양분)을 유지시키면 씨앗에서 새싹이 나오고 모로 생육하게 된다. 생육한 모는 이양기를 이용하여 논에 이양되고 생육 생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볍씨가 파종된 육묘상자는 못자리에 직상하거나 하우스 등에서 앵글 및 파이프 조립식, 합성수지 조립식 또는 아파트형으로 제작된 거치대에 육묘상자를 적층시킨 상태로 출아시켜 모를 키우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출아방법에 있어서, 못자리에 직상하는 방법은 공간의 제약이 따르며 관리에 어려움이 있고, 하우스에 볍씨를 육묘하는 방법은 육묘상자를 거치대에 적층시키고 그 육묘상자가 적층된 거치대를 하우스 내에 보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각각의 육묘상자에 씨앗이 출아되기 위한 최적의 조건(수분, 온도)을 균일하게 조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고정식으로 형성되어 하우스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있고, 육묘시설을 설치하고 관리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29375호(2017.06.14.)에는 '새싹 재배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새싹 재배기는 도어의 개폐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29375호(2017.06.14.) '새싹 재배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리 인력을 최소화하여 새싹의 재배 효율을 최대화하고, 노인이나 장애인 등도 쉽게 새싹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며, 새싹을 대량으로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레일통으로부터 도어의 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새싹 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후단부가 개방되며 중앙부를 중심으로 씨앗이 수용되는 복수의 재배공간(111a)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케이싱(111)과, 상기 케이싱(111)의 전단부를 차단하며 상기 각 재배공간(111)을 개폐하는 도어(113)가 구비되는 전판(112)과, 상기 케이싱(111)의 후단부를 차단하며 상기 각 재배공간(111)으로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115)이 구비되는 후판(114) 및 양단부가 상기 전,후판(112,114)을 통과하는 회전축(116)을 포함하는 재배통(110); 상기 재배통(1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20); 및 상기 회전축(116)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재배통(110)이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재배공간(111a)은, 상기 케이싱(111)의 내부에 상기 회전축(116)을 중심으로 복수의 분기벽(111b)이 방사상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분기벽(111b) 간에 형성되는 새싹 재배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전판(112)에는, 전후가 개방되면서 상기 각 재배공간(111a)과 연통되는 복수의 유출입구(112a)가 형성되고, 상기 전판(112)은, 상기 케이싱(111)의 전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유출입구(112a)의 외측을 이루는 링판(112b); 상기 회전축(116)의 전단부가 통과하고, 상기 유출입구(112a)의 내측을 이루는 내측판(112c); 및 상기 링판(112b)과 상기 내측판(112c)을 연결하면서 상기 유출입구(112a)의 양측을 이루며, 상기 분기벽(111b)과 접하는 복수의 연결판(112d)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113)는, 상기 재배공간(111a)보다 큰 면적을 가지면서 후면 가장자리가 상기 유출입구(112a)를 이루는 둘레 외측에 안착되며, 상기 연결판(112d)은,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도어(113) 간으로 인입되는 내부가이드돌기(112e)가 형성되고, 상기 링판(112b)은, 상기 도어(113)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외부가이드돌기(112f)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113)는, 상기 내,외부가이드돌기(112e,112f)에 의해 상기 유출입구(112a)로 가이드되면서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새싹 재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이싱(111)은, 상기 재배공간(111a)의 외측이 둘레 방향으로 복수면을 이루면서 다각통 형태를 이루며, 전,후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전,후판(112,114)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113)에는, 상기 재배공간(111a)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가시창(113b)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재배통(110)은, 상기 케이싱(11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링 형태의 레일(117)을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일(117)은, 외측 둘레가 원형을 이루고, 내측 둘레가 상기 케이싱(111)의 외측 둘레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며 상기 케이싱(111)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재배통(110)과 함께 회전되고, 상기 후판(114)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외측 둘레가 상기 케이싱(111)보다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레일(117)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이루고,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재배통(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121); 및 상기 지지프레임(12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후판(114) 및 상기 레일(117)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재배통(110)은, 상기 레일(117)을 상기 후판(114)에 고정하는 복수의 연결바(11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113)의 전면 양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도어(113)의 양측을 보강하는 보강바(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인이나 장애인 등도 쉽게 새싹을 재배할 수 있으며, 관리 인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새싹의 재배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새싹을 대량으로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질 수 있음으로써 노인이나 장애인 등의 경우에도 쉽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새싹 재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새싹 재배장치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새싹 재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새싹 재배장치에서 전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새싹 재배장치에서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새싹 재배장치에서 거치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에서 거치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새싹 재배장치(이하 "새싹 재바장치"라 한다)(100)는 전,후단부가 개방되며 중앙부를 중심으로 씨앗이 수용되는 복수의 재배공간(111a)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케이싱(111)과, 상기 케이싱(111)의 전단부를 차단하며 상기 각 재배공간(111)을 개폐하는 도어(113)가 구비되는 전판(112)과, 상기 케이싱(111)의 후단부를 차단하며 상기 각 재배공간(111)으로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115)이 구비되는 후판(114) 및 양단부가 상기 전,후판(112,114)을 통과하는 회전축(116)을 포함하는 재배통(110), 상기 재배통(1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20) 및 상기 회전축(116)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재배통(110)이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재배공간(111a)은 4개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축(116)을 중심으로 상기 케이싱(111)의 내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면서 각 재배공간(111a)에 대한 씨앗의 독립적인 재배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재배공간(111a)은 상기 케이싱(111)의 내부에 상기 회전축(116)을 중심으로 복수의 분기벽(111b)이 방사상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분기벽(111b) 간에 형성된다. 즉, 상기 재배공간(111a) 간에는 상기 분기벽(111b)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재배통은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재배공간(111a)으로는 브로콜리, 적무, 콜라비, 배추, 유채, 다채, 보리, 청경채, 겨자, 알파파, 클로버, 크레스, 적양배추, 팥, 밀, 보리, 순무, 부추, 케일, 홍화, 아마 등이 재배될 수 있도록 씨앗이 수용된다.
상기 재배공간(111a)은 외측이 상기 재배통(110)의 외측 둘레를 이루며, 내측이 상기 회전축(116)을 향한다.
상기 재배공간(111a)은 외측이 둘레 방향으로 복수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싱(111)은 전,후단부가 개방되는 다각통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재배통(110)의 회전시, 상기 재배공간(111a)으로 수용되는 씨앗이 상기 케이싱(111a)과 접촉되면서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케이싱(111)은 전,후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전,후판(112,114)에 연결된다.
상기 케이싱(111)은 전,후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전,후판(112,114)과 안정적으로 접하면서 볼트,너트 등의 체결구에 의한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판(112)에는 전후가 개방되면서 상기 각 재배공간(111a)과 연통되는 복수의 유출입구(112a)가 형성된다.
상기 전판(112)은 상기 케이싱(111)의 전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유출입구(112a)의 외측을 이루는 링판(112b), 상기 회전축(116)의 전단부가 통과하며 상기 유출입구(112a)의 내측을 이루는 내측판(112c) 및 상기 링판(112b)과 상기 내측판(112c)을 연결하면서 상기 유출입구(112a)의 양측을 이루며 상기 분기벽(111b)과 접하는 복수의 연결판(112d)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유출입구(112a)는 상기 링판(112b)이 둘레의 외측을 이루고, 상기 내측판(112c)이 둘레의 내측을 이루며, 이웃하는 연결판(112a) 간이 둘레의 양측을 이루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3)는 상기 재배공간(111a)보다 큰 면적을 가지면서 후면 가장자리가 상기 유출입구(112a)를 이루는 둘레 외측에 안착된다.
상기 연결판(112d)은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도어(113) 간으로 인입되는 내부가이드돌기(112e)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가이드돌기(112e)는 상기 유출입구(112a)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도어(113)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한편, 상기 유출입구(112a)를 닫는 경우, 상기 도어(113)의 양측이 상기 연결판(112d)에 원활하게 안착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링판(112b)은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도어(113)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외부가이드돌기(112f)가 형성된다.
상기 외부가이드돌기(112f)는 상기 유출입구(112a)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도어(113)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한편, 상기 유출입구(112a)를 닫는 경우, 상기 도어(113)의 외측이 상기 링판(112b)에 원활하게 안착되도록 유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새싹 재배장치(100)는 상기 도어(113)에 대한 상기 재배통(110)에서의 분리 즉, 개방과 함께 상기 재배통(11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일정 위치로의 결합 즉, 닫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도어(113)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노인이나 장애인 등도 쉽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새싹 재배장치(100)에 대한 사용과 함께 새싹 재배에 대한 어려움이 최소화가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어(113)에는 매미고리 형태의 잠금장치(140)가 구비되면서 상기 도어(113)를 상기 회전축(116)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16)은 전단부가 사각봉 형태를 이루면서 둘레를 이루는 각 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장치에는 고리가 형성되면서 상기 도어(113)를 상기 회전축(116)에 잠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잠금장치는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루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113)는 보다 안정적인 결속을 위해 볼트나, 나사 등을 포함하는 체결구에 의해 상기 전판에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새싹 재배장치(100)는 상기 도어(113)의 전면 양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도어의 양측을 보강하는 보강바(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바(150)는 상기 도어(113)의 개폐에 따른 탈착 과정시는 물론, 외력에 의한 변형 등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보강바(15)는 상기 도어(113)의 양측이 휘어지는 현상 없이 평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 인해 상기 잠금장치(140)에 의한 상기 도어(113)의 잠금시 상기 도어(113)의 양측이 상기 유출입구(112a)를 이루는 둘레에 안정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어(113)에는 상기 송풍팬(115)의 구동에 따른 상기 재배공간(111a)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출공(113a)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113)에는 상기 재배공간(111a)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가시창(113b)이 구비된다.
상기 가시창(113b)은 상기 재배통(110)이 정지된 상태는 물론, 상기 재배통(110)의 회전시에도 씨앗이나 새싹의 상태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새싹 재배장치(100)는 상기 재배통(110)이 회전되는 경우에도 상기 재배통(110)을 정지함이 없이 상기 재배공간(111a)에 대한 확인을 할 수 있다.
상기 재배통(110)은 상기 케이싱(11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링 형태의 레일(117) 및 상기 레일(117)을 상기 후판(114)에 고정하는 복수의 연결바(118)를 더 포함한다.
상기 레일(117)은 외측 둘레가 원형을 이루고, 내측 둘레가 상기 케이싱(111)의 외측 둘레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며 상기 케이싱(111)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재배통(110)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연결바(118)는 양단부가 나사나, 볼트 등을 포함하는 체결구에 의해 상기 레일(117) 및 상기 후판(114)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바(118)는 상기 레일(117)이 상기 후판(114)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레일(117)이 상기 재배통(11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연결바(118)는 상기 구동부(130)의 미구동 상태에서 상기 새싹 재배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 등이 손 등으로 파지한 후 인위적인 가압에 의해 상기 재배통(110)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재배통(110)에 대한 점검이나 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황에 따라 상기 재배공간(110a)으로의 수분 등의 공급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후판(114)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외측 둘레가 상기 케이싱(111)보다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레일(117)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재배통(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121) 및 상기 지지프레임(12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후판(114) 및 상기 레일(117)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122)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러(122)는 상기 지지프레임(121)으로부터 상기 레일(117) 및 상기 후판(114)을 지지하면서 상기 구동부(130)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상기 재배통(11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
상기 구동부(130)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축(116)의 후단부와 연결되면서 구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116)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재배통(110)이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지지프레임(121)으로부터 상기 구동부(130)를 지지하는 고정프레임(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일(117)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한 쌍의 레일판(117a)으로 분기되면서 상기 케이싱(11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118)은 한 쌍의 레일판(117a)으로 분기되면서 상기 케이싱(111)의 양단부에 상기 전,후판(112,114)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111)으로의 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상기 재배통(110)의 하중이 상기 케이싱(111)의 양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레일(117)로 집중되면서 상기 가이드롤러(122)와의 접촉에 의한 변형이나 마모에 의해 상기 재배통(110)이 상하 방향으로 흔들리거나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이를 신속히 분리,교체하기 위함이다.
상기 레일(117)은 상기 한 쌍의 레일판(117a) 간을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재(1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19)는 사각 판 형태를 이루며, 나사나 볼트 등을 포함하는 체결구에 의해 이웃하는 레일판(117a)의 단부에 고정되면서 상기 레일판(117a) 간을 연결한다.
상기 새싹 재배장치(100)는 상기 레일(117)에 대한 교체시 상기 재배통(110)의 전면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거치부(1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거치부(160)는 상기 케이싱(11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부(120) 즉, 상기 지지프레임(121)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판(161), 상,하부가 개방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16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부재(162),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재(162)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거치바(163), 상기 거치바(163)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조절부재(16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케이싱(111)에 접하거나 상기 케이싱(111)으로부터 이격되는 거치판(164) 및 상단부는 상기 거치판(164)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지지판(161)을 통과하는 한 쌍의 가이드바(165)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판(164)은 상기 조절부재(162)의 회전에 따라 상기 거치바(163)와 함께 승,하강되면서 상기 재배통(110)과 접하거나, 이격된다.
상기 조절부재(162)는 베어링 등에 의해 상기 지지판(16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165)는 상기 거치바(163)를 중심으로 전후 또는 양측에 배치되며, 상부가 상기 거치바(163)에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판(161)을 통과한다.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165)는 상기 조절부재(162)의 회전에 따라 상기 거치판(164)이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거치판(161)의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거치판(164)은 평상시 상기 케이싱(111)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다 상기 레일(117)에 대한 점검이나 교체시 상기 조절부재(162)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재배통(110)에 접촉되는 한편, 상기 재배통(110)을 지지한다.
상기 거치판(164)은 상기 레일(117)에 대한 점검이나 교체 후에는 상기 조절부재(162)의 회전에 따라 하강되면서 상기 재배통(110)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상기 거치부(160)는 상기 지지프레임(121)으로부터 상기 재배통(110)의 전면 하부를 지지하므로 인해 상기 재배통(110)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레일(117)에 대한 점검이나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새싹 재배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새싹 재배장치 110 : 재배통
111 : 케이싱 111a : 재배공간
111b : 분기벽 112 : 전판
112a : 유출입구 112b : 링판
112c : 내측판 112d : 연결판
112e : 내부가이드돌기 112f : 외부가이드돌기
113 : 도어 113a : 배출공
113b : 가시창 114 : 후판
115 : 송풍팬 116 : 회전축
117 : 레일 117a : 레일판
118 : 연결바 119 : 연결부재
120 : 지지부 121 : 지지프레임
122 : 가이드롤러 123 : 고정프레임
130 : 구동부 140 : 잠금장치
150 : 보강바 160 : 거치부
161 : 지지판 162 : 조절부재
163 : 거치바 164 : 거치판
165 : 가이드바

Claims (5)

  1. 전,후단부가 개방되며 중앙부를 중심으로 씨앗이 수용되는 복수의 재배공간(111a)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케이싱(111)과, 상기 케이싱(111)의 전단부를 차단하며 상기 각 재배공간(111)을 개폐하는 도어(113)가 구비되는 전판(112)과, 상기 케이싱(111)의 후단부를 차단하며 상기 각 재배공간(111)으로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115)이 구비되는 후판(114) 및 양단부가 상기 전,후판(112,114)을 통과하는 회전축(116)을 포함하는 재배통(110);
    상기 재배통(1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20); 및
    상기 회전축(116)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재배통(110)이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재배공간(111a)은,
    상기 케이싱(111)의 내부에 상기 회전축(116)을 중심으로 복수의 분기벽(111b)이 방사상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분기벽(111b) 간에 형성되는 새싹 재배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전판(112)에는,
    전후가 개방되면서 상기 각 재배공간(111a)과 연통되는 복수의 유출입구(112a)가 형성되고,
    상기 전판(112)은,
    상기 케이싱(111)의 전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유출입구(112a)의 외측을 이루는 링판(112b);
    상기 회전축(116)의 전단부가 통과하고, 상기 유출입구(112a)의 내측을 이루는 내측판(112c); 및
    상기 링판(112b)과 상기 내측판(112c)을 연결하면서 상기 유출입구(112a)의 양측을 이루며, 상기 분기벽(111b)과 접하는 복수의 연결판(112d)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113)는,
    상기 재배공간(111a)보다 큰 면적을 가지면서 후면 가장자리가 상기 유출입구(112a)를 이루는 둘레 외측에 안착되며,
    상기 연결판(112d)은,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도어(113) 간으로 인입되는 내부가이드돌기(112e)가 형성되고,
    상기 링판(112b)은,
    상기 도어(113)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외부가이드돌기(112f)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113)는,
    상기 내,외부가이드돌기(112e,112f)에 의해 상기 유출입구(112a)로 가이드되면서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새싹 재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1)은,
    상기 재배공간(111a)의 외측이 둘레 방향으로 복수면을 이루면서 다각통 형태를 이루며, 전,후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전,후판(112,114)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113)에는,
    상기 재배공간(111a)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가시창(113b)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새싹 재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통(110)은,
    상기 케이싱(11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링 형태의 레일(117)을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일(117)은,
    외측 둘레가 원형을 이루고, 내측 둘레가 상기 케이싱(111)의 외측 둘레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며 상기 케이싱(111)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재배통(110)과 함께 회전되고,
    상기 후판(114)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외측 둘레가 상기 케이싱(111)보다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레일(117)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이루고,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재배통(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121); 및
    상기 지지프레임(12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후판(114) 및 상기 레일(117)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새싹 재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통(110)은,
    상기 레일(117)을 상기 후판(114)에 고정하는 복수의 연결바(11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의 탈착이 용이한 새싹 재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13)의 전면 양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도어(113)의 양측을 보강하는 보강바(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새싹 재배장치.
KR1020170163514A 2017-11-30 2017-11-30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새싹 재배장치 KR102046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514A KR102046940B1 (ko) 2017-11-30 2017-11-30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새싹 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514A KR102046940B1 (ko) 2017-11-30 2017-11-30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새싹 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162A true KR20190064162A (ko) 2019-06-10
KR102046940B1 KR102046940B1 (ko) 2019-11-20

Family

ID=66848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514A KR102046940B1 (ko) 2017-11-30 2017-11-30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새싹 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9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68609A (zh) * 2022-05-26 2022-08-09 山西农业大学玉米研究所(山西省农业科学院玉米研究所) 一种藜麦栽培高密高产值栽培方法
CN115004987A (zh) * 2021-12-21 2022-09-06 江苏安全技术职业学院 一种用于大棚增湿的机电一体化风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613B1 (ko) * 2014-09-26 2015-01-02 김진갑 회전형 씨앗 발아장치
KR101729375B1 (ko) 2013-09-17 2017-06-14 주식회사 상진그린테크 새싹 재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375B1 (ko) 2013-09-17 2017-06-14 주식회사 상진그린테크 새싹 재배기
KR101478613B1 (ko) * 2014-09-26 2015-01-02 김진갑 회전형 씨앗 발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04987A (zh) * 2021-12-21 2022-09-06 江苏安全技术职业学院 一种用于大棚增湿的机电一体化风机
CN115004987B (zh) * 2021-12-21 2023-10-03 江苏安全技术职业学院 一种用于大棚增湿的机电一体化风机
CN114868609A (zh) * 2022-05-26 2022-08-09 山西农业大学玉米研究所(山西省农业科学院玉米研究所) 一种藜麦栽培高密高产值栽培方法
CN114868609B (zh) * 2022-05-26 2023-06-23 山西农业大学玉米研究所(山西省农业科学院玉米研究所) 一种藜麦栽培高密高产值栽培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940B1 (ko)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11498B1 (en) Air seed meter with adjustable singulator
US20020144461A1 (en) Rotary plant growing apparatus
KR20190064162A (ko)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새싹 재배장치
KR20200025855A (ko) 새싹 재배장치
CN204131957U (zh) 谷物播种机用防堵种箱
KR20150121318A (ko) 비료방출량 조절기능을 가진 이앙기용 시비장치
KR101327379B1 (ko) 농작물 재배 시스템
WO2019001113A1 (zh) 一种种花装置
KR20190064161A (ko) 레일의 탈착이 용이한 새싹 재배장치
JP4963460B2 (ja) 播種方法および播種装置
CN107306527A (zh) 一种组合气吸式播种机以及气吸式播种系统
CN208675732U (zh) 间隔可调的蔬菜播种机
CN214155547U (zh) 一种高效的山茶苗育苗装置
JP2007512831A (ja) 育苗装置
KR20090008270U (ko) 모종재배장치
KR20160047108A (ko) 종자용 외통마늘의 뿌리 탈망기
KR101958765B1 (ko) 파종기
WO2020111320A1 (ko) 식물 재배기 회전 유니트
KR20190105453A (ko) 새싹재배기
KR101590304B1 (ko) 잔존씨앗 제거가 용이한 씨앗파종기
CN218404172U (zh) 一种微生物菌肥生产用培养装置
CN220778734U (zh) 一种育苗栽培基质消毒装置
CN217850405U (zh) 一种农业育苗用种子培育箱
KR200338130Y1 (ko) 버섯재배장치
KR102665223B1 (ko) 새싹재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