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125A - Stairway snow melting structure using carbon heat - Google Patents

Stairway snow melting structure using carbon he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125A
KR20190064125A KR1020170163442A KR20170163442A KR20190064125A KR 20190064125 A KR20190064125 A KR 20190064125A KR 1020170163442 A KR1020170163442 A KR 1020170163442A KR 20170163442 A KR20170163442 A KR 20170163442A KR 20190064125 A KR20190064125 A KR 20190064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at
carbon heating
waterproof connecto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4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39895B1 (en
Inventor
전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레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레테크
Priority to KR1020170163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895B1/en
Publication of KR20190064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1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8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6Surfaces thereof; Protecting means for edges or corners thereof
    • E04F11/17Surfa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2Heaters specially designed for de-icing or protection against ic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irway snow melting structure using carbon heating, which is possible to prevent a stairway from being frozen during cold weather so as to prevent accidents that pedestrians of the old, the infirm and children slip on the frozen stairway to fall to be hurt in advance and is possible to be more simply installed on the stairway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heating board parts to each other, thereby having excellent constructability.

Description

탄소발열을 이용한 계단 융설구조{Stairway snow melting structure using carbon heat}Stairway snow melting structure using carbon heating.

본 발명은 추운날씨에 계단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결빙된 계단에서 노약자나 유아 등의 보행자가 미끄러지면서 넘어져 다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복수의 발열판부를 서로 연결하여 계단에 보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이 매우 좋은 탄소발열을 이용한 계단 융설구조에 관하나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reventing stairs from freezing in cold weather, preventing pedestrians such as elderly people and infants from sliding in the freezing stairs and falling down to prevent accidental injuries, and more particularly,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heating plate portions It can be installed more easily on the stairs, so it can be regarded as a stair snow melting structure using carbon heat which is very good in workability.

일반적으로, 계단 논슬립은 계단의 모서리부분에 설치하여 계단 모서리의 마모를 대신하고, 보행자의 안전을 유도하여 보행에 도움을 주기 위한 미끄럼 방지용 안전장치로, 평상시의 보행 중 미끄러져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한 미끄럼 방지턱을 말하며, 최근에는 계단의 수평면과 수직면이 접하는 모서리 부분에 논슬립의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정확하게 밀착고정되어 미끄럼 방지 성능을 높여 안전사고를 줄임은 물론 논슬립이 계단이 모서리 부분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계단 논슬립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14446호로 제안된 바 있다.Generally, the stairs non-slip is installed on the corner of the stairs to replace the abrasion of the edge of the stairs. It is a non-slip safety device to help the pedestrians to safety by walking. In recent years,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of the non-slip are tightly fixed to the corner portion wher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ides of the stai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enhancing the slip prevention performance, thereby reducing safety accidents. A stepwise non-slip preventing the separation is prop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14446.

그러나, 극지방과 같은 추운날씨에 계단이 노출될 경우 상기 계단 논슬립이 결빙되어 계단을 보행하는 보행자 특히 노약자나 유아 등이 미끄러지면서 넘어져 다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stairs are exposed in cold weather like polar regions, pedestrians walking on the stairs are freezing in the stair nonslip, and in particular, elderly people or infants slip and fall, causing safety accidents.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14446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1444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추운날씨에 계단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결빙된 계단에서 노약자나 유아 등의 보행자가 미끄러지면서 넘어져 다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복수의 발열판부를 서로 연결하여 계단에 보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이 매우 좋은 탄소발열을 이용한 계단 융설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airs from freezing in cold weather, so that a pedestrian such as an elderly person or an infant slips on a frozen stairway and falls,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stepped snow-melting structure using carbon heat, which can be installed more easily on a stairway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heating plate parts to each oth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의 상부에 구비되고 고정홈이 형성되는 열전도판과, 상기 열전도판의 고정홈내에 고정되는 탄소발열선과, 상기 열전도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바닥판재로 구성되어 계단의 수평면에 각각 안착되는 복수의 발열판부와; 복수의 상기 발열판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계단의 수직면에 구비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을 이용한 계단 융설구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t conductive plate, including: a heat insulating layer; a heat conduction plate provided on the heat insulating layer and having a fixing groove; a carbon heating line fixed in the fixing groove of the heat conduction plate; A plurality of heating plate parts formed of a bottom plate material and each mounted on a horizontal plane of the step; And a finishing cover provided on a vertical surface of the step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the heating plate parts.

여기서, 상기 열전도판의 하부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fixing groove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heat conduction plate.

그리고, 상기 열전도판의 하부에 상기 고정홈이 내측에 형성되는 하부가 개방된 고정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lower portion of the heat conductive plate is formed with a fixing protrusion formed at an inner side of the fixing groove.

또한, 상기 열전도판의 상부에 열전달핀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재의 하부에 상기 열전달핀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heat transfer fin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eat conduction plate, and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bottom plate to insert the heat transfer fin.

나아가, 상기 열전도판의 양단부가 상기 바닥판재의 양단부로부터 일정폭 내측으로 위치하고, 상기 열전도판의 일측부에 구비되고, 저면에 상기 탄소발열선을 수용하는 타측이 개방된 홈이 형성되는 일측마감재와; 상기 열전도판의 타측부에 구비되고, 저면에 전측과 후측이 개방된 홈이 형성되는 타측마감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one end of the heat conduction plate is positioned at a certain width inward from both ends of the bottom plate and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eat conduction plate, and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conduction plate receiving the carbon heating line is opened. And an other side finishing material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plate and having grooves with front and rear opening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더불어, 상기 마감커버의 내측면에 상기 탄소발열선을 연결하기 위한 방수커넥터를 수용하는 홈이 상하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groove for receiving the waterproof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carbon heating wir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nishing cover is formed up and down.

아울러, 상기 마감커버는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수커넥터 또는 상기 방수커넥터 주변에 발광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a part of the finishing cover is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and a light emitting portion is provided around the waterproof connector or the waterproof connector.

그리고, 상기 바닥판재는 목재, 석재, 합성수지, 금속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plate is made of any one of wood, stone, synthetic resin, and metal.

본 발명은 계단에 설치되는 복수의 발열판부의 탄소발열선이 발산하는 고온의 열을 통해 추운날씨에 계단이 결빙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어 결빙된 계단에서 노약자나 유아 등의 보행자가 미끄러지면서 넘어져 다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복수의 상기 발열판부를 서로 연결하여 계단에 보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이 매우 좋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easily prevent freezing of stairs in cold weather due to high temperature heat emitted by carbon heating lines of a plurality of heating plate portions provided at the stairs, so that a pedestrian such as a senior citizen or infant slips and falls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al injuries beforehand, and moreover,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install the plurality of heating plate parts on the stairs b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heating plate par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탄소섬유발열을 이용한 계단 융설구조의 발열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절개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8은 발열판부와 마감커버가 계단에 설치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복수의 발열판부와 복수의 마감커버가 계단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2는 탄소발열선의 직렬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3은 탄소발열선의 병렬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4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eating plate portion of a step-wise snow-melting structure using carbon fiber heating,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4 to 8 are perspective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process of installing the heating plate portion and the finish cover on the step,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heating plate portions and a plurality of finish covers are installed at the steps,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9,
11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9,
1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ries connection state of carbon heating wires,
1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rbon heating wires are connected in parallel,
1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trol state of the control uni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탄소섬유발열을 이용한 계단 융설구조의 발열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절개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확대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eating plate portion of a step-wise snow-melting structure using carbon fiber heat,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FIG. 1 and FIG. 3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FIG.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탄소섬유발열을 이용한 계단 융설구조는 크게, 복수의 발열판부(10)와 마감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tepped snow-melting structure using carbon fiber heat,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heating plate parts 10 and a finishing cover.

먼저, 상기 발열판부(1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열층(110), 열전도판(120), 탄소발열선(130) 및 바닥판재(140)로 구성되어 계단의 수평면에 안착된다.1 to 3, the heating plate portion 10 is composed of a heat insulating layer 110, a heat conduction plate 120, a carbon heating line 130, and a bottom plate 140, and is seated on a horizontal plane of the step.

상기 단열층(110)은 스티로폼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져 계단의 수평면에 안착될 수 있다.The heat insulating layer 11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styrofoam and may be mounted on a horizontal plane of the stairs.

상기 단열층(110)을 통해 상기 탄소발열선(130)이 발산하는 고온이 열이 상기 단열층(1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계단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high temperature at which the carbon heating line 130 radiates through the heat insulating layer 1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step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110.

상기 열전도판(120)은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단열층(110)의 상부에 안착구비된다.The heat conduction plate 12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aluminum and is mounted on the heat insulating layer 110.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열전도판(120)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는 상기 열전도판(12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바닥판재(140)이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121)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bottom plate member 140 is protruded in a lower direction of the thermally conductive plate 120 at a lower front side and a lower rear sid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plate 120 to support the load May be formed.

상기 열전도판(120)에는 1개의 고정홈(122) 또는 2개 이상의 복수의 고정홈(122)이 상기 열전도판(12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One or more fixing grooves 122 or two or more fixing grooves 122 may be formed in the heat conductive plate 120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backward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of the heat conductive plate 120.

상기 탄소발열선(130)은 탄소섬유발열선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열전도판(120)의 고정홈(122)내에 고정된다.The carbon heating line 130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such as a carbon fiber heating line, and is fixed in the fixing groove 122 of the heat conduction plate 120.

상기 바닥판재(140)는 상기 열전도판(120)의 상부에 안착구비된다.The bottom plate 140 is seated on the heat conduction plate 120.

다음으로, 상기 열전도판(120)의 고정홈(122)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턱(121)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열전도판(1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3, the fixing groove 122 of the heat conductive plate 120 may be formed below the heat conductive plate 120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ing jaws 121. As shown in FIG.

상기 열전도판(120)의 하부에 상기 고정홈(122)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하기 위해, 상기 열전도판(120)의 하부에 1개의 고정턱(123) 또는 2개 이상의 복수의 고정턱(123)이 상기 지지턱(121)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열전도판(12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xing jaws 123 or two or more fixing jaws 123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heat conductive plate 120 to more easily form the fixing grooves 122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eat conductive plate 120. [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backward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of the heat conductive plate 120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ribs 121.

상기 고정턱(123)의 내측에 상기 고정홈(1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턱(123)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122)내에 작업자가 상기 탄소발열선(130)을 보다 용이하게 삽입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턱(123)은 하부가 개방된 'C'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grooves 123 may be formed inside the fixing jaws 123 and the operator may easily place the carbon heating wires 130 in the fixing grooves 122 formed inside the fixing jaws 123 The fixing jaw 123 may be formed in a 'C' shape having an open bottom so as to be inserted and fixed.

상기 열전도판(120)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지지턱(121)과 상기 고정턱(123)은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단열층(110)의 상부를 상기 단열층(110)의 하부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단열층(110)의 상부 내측으로 각각 인입될 수 있다. The supporting jaw 121 and the fixing jaw 123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eat conductive plate 120 press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110 made of styrofoam downwardly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110, (Not shown).

한편, 상기 고정홈(122)은 상기 열전도판(120)의 상부에 형성될 수도 있겠으나, 상기 고정홈(122)을 형성하기 위한 상부가 개방된 'C'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고정턱(123)을 수용하는 홈을 상기 바닥판재(140)의 하부에 가공형성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음으로, 바람직하게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열전도판(120)의 하부에 상기 고정홈(122)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고정턱(123)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The fixing groove 122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conductive plate 120. The fixing groove 122 may b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groove 122, 3,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grooves 122 ar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eat conductive plate 120 because grooves for receiving the tucks 123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140. [ The fixing jaw 123 may be formed.

다음으로, 상기 탄소발열선(130)이 발산하는 고온의 열이 상기 열전도판(12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바닥판재(140)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열전도판(120)의 상부에는 상기 열전도판(12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열전달핀(124)이 상기 열전도판(12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Next, in order to more easily transfer the high-temperature heat radiated by the carbon heating line 130 to the bottom plate 140 provided on the heat conduction plate 120, as shown in FIG. 3 The heat transfer fins 124 protru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heat conduction plate 120 may be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 conduction plate 120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back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of the heat conduction plate 120 .

상기 열전달핀(124)과 마주보는 상기 바닥판재(140)이 하부에는 상기 열전달핀(124)이 삽입되는 삽입홈(14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An insertion groove 141 into which the heat transfer fin 124 is inserted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ttom plate member 140 facing the heat transfer fin 124.

도 4 내지 도 8은 발열판부와 마감커버가 계단에 설치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복수의 발열판부와 복수의 마감커버가 계단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S. 4 to 8 are perspective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process of installing the heating plate portion and the finishing cover on the stairs,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heating plate portions and a plurality of finishing covers are installed on the stairs.

다음으로, 계단(3)의 복수의 수평면(31)에는 도 4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 상기 발열판부(10)가 수평안착된 상태로 볼트고정, 접착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4 to 8, a plurality of the heating plate portions 10 may be fixed in various ways such as bolt fixing, adhesive fixing, and the like in a horizontally mounted state on a plurality of horizontal surfaces 31 of the step 3 .

상기 열전도판(120)의 양단부가 상기 바닥판재(140)의 양단부로부터 일정폭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열전도판(120)의 중심부와 상기 열전도판(120)의 일측사이의 좌우길이(L1)는 상기 바닥판재(140)의 중심부와 상기 바닥판재(140)의 일측 사이의 좌우길이(L2)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열전도판(120)의 중심부와 상기 열전도판(120)의 타측 사이의 좌우길이(L3)는 상기 바닥판재(140)의 중심부와 상기 바닥판재(140)의 타측 사이의 좌우길이(L4)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4, the central portion of the thermally conductive plate 120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thermally conductive plate 1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one sid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plate 120, The left and right lengths L 1 may be shorter than the left and right lengths L 2 between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140 and one side of the bottom plate 140, The left and right length L 3 between the other side of the heat conductive plate 120 may be shorter than the left and right length L 4 between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140 and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plate 140.

그리고,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열전도판(120)의 일측부에는 상기 바닥판재(140)의 일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일측마감재(3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열전도판(120)의 타측부에는 상기 바닥판재(140)의 타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타측마감재(40)가 구비될 수 있다.4, a side finishing material 3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eat conduction plate 120 so as to be positioned at a lower side of the bottom plate 140, And the other side finishing material 4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ottom plate 140 so as to be positioned in the other lower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material 140.

상기 일측마감재(30)와 상기 타측마감재(40)는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one side finishing material 30 and the other side finishing material 4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aluminum.

도 10은 도 9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상기 일측마감재(30)의 저면에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소발열선(130)의 후술할 제 1탄소발열선(도 12의 131)의 일측부를 수용하는 홈(301)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a groove 301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ne-side finishing material 30 to accommodate one side of a first carbon heating line (131 in FIG. 12) of the carbon heating line 130 described later.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마감재(30)의 홈(301)의 일측은 폐쇄될 수 있고, 상기 일측마감재(30)의 홈(301)의 타측은 개방될 수 있다.10, one side of the groove 301 of the one side finishing material 30 may be closed and the other side of the groove 301 of the one side finishing material 30 may be opened.

상기 타측마감재(40)의 저면에는 상기 탄소발열선(130)의 후술할 제 1탄소섬유발열선(도 12의 131)의 타측부와 제 2탄소섬유발열선(도 12의 132) 또는 제 1탄소섬유발열선(도 13의 131)의 타측부와 제 2, 3탄소섬유발열선(도 13의 132, 133)을 수용하는 홈(401)이 형성될 수 있다.The other side of the first carbon fiber heating cable (131 in FIG. 12) and the second carbon fiber heating cable (132 in FIG. 12) or the first carbon fiber heating cable (131 in Fig. 13) and grooves 401 for receiving the second and third carbon fiber heating wires (132 and 133 in Fig. 13) can be formed.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마감재(40)의 홈(401)의 일측 및 전측과 후측은 각각 개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one side, front side and rear side of the groove 401 of the other side finishing material 40 may be opened respectively.

상기 타측마감재(40)의 상부 후측에는 상기 마감커버(20)의 후술할 홈(도 4의 201)과 연통되는 절개홈(도 4의 202)이 상기 타측마감재(40)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4) communicating with a groove (201 in FIG. 4) described later of the finishing cover 20 is form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other side finishing material 40 in the forward direction from the rear side of the other side finishing material 40 Can be formed to extend horizontally.

또한, 상기 바닥판재(140)의 타측부 후측에도 상기 절개홈(202)이 상기 바닥판재(140)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The cutout groove 202 may extend horizontally from the rear side of the bottom plate 140 to the rea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plate 140.

도 11은 도 9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다음으로, 상기 마감커버(20)는 도 4 내지 도 9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발열판부(1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사이마다 위치하도록 계단(3)의 수직면(32)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각각 수직구비될 수 있다.4 to 9 and 11, the finishing cover 20 is disposed on the vertical surface 32 of the step 3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opposite sides of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the heating plate portions 10 Bolt fixing, and the like.

상기 계단(3)의 수직면(32)과 마주보는 상기 마감커버(20)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상기 발열판부(10)의 상기 탄소발열선(130)을 연결하기 위한 방수커넥터(50)를 수용하는 홈(201)이 계단(3)의 수직면(32)의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A waterproof connector 50 for connecting the carbon heating wires 130 of a plurality of the heating plate portions 10 is receiv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finishing cover 20 facing the vertical surface 32 of the step 3 The grooves 201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rtical surface 32 of the step 3.

도 12는 탄소발열선의 직렬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1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ries connection state of carbon heating wires.

다음으로, 상기 열전도판(120)에 2개 이상의 복수의 상기 고정홈(12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소발열선(130)은 일예로, 직렬연결될 수 있다.12, the carbon heating line 130 may be connected in series, for example, in a state where two or more fixing grooves 122 are formed in the heat conduction plate 120 at regular intervals.

이를 위해, 상기 탄소발열선(130)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제 1, 2탄소발열선(131, 1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carbon heating line 13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carbon heating lines 131 and 132.

상기 제 1탄소발열선(131)은 'ㄹ'형태 등의 지그재그형태로 복수의 상기 고정홈(122)을 통과할 수 있다.The first carbon heating wire 131 may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fixing grooves 122 in a zigzag shape such as an 'e' shape.

상기 제 2탄소발열선(132)은 상기 제 1탄소발열선(131)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탄소발열선(131)의 타측부 외측에 상기 제 1탄소발열선(131)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carbon heating line 132 is disposed outside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arbon heating line 13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carbon heating line 131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first carbon heating line 131 It can be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제 1탄소발열선(131)의 타측부 전측과 상기 제 2탄소발열선(132)의 전측 및 상기 제 1탄소발열선(131)의 타측부 후측과 상기 제 2탄소발열선(132)의 후측에 각각 상기 방수커넥터(50)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carbon heating line 131 and the second carbon heating line 132 ar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arbon heating line 131,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carbon heating line 132, the rea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arbon heating line 131, A waterproof connector 50 may be provided.

상기 방수커넥터(50)는 암방수커넥터(510)와 수방수커넥터(520)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waterproof connector 50 may include a waterproof connector 510 and a waterproof connector 520.

상기 암방수커넥터(510)는 제 1탄소발열선(131)의 타측부 후측과 상기 제 2탄소발열선(132)의 후측에 구비될 수 있다.The waterproof connector 510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carbon heating line 131 and on the rear side of the second carbon heating line 132.

상기 수방수커넥터(520)는 상기 제 1탄소발열선(131)의 타측부 전측과 상기 제 2탄소발열선(132)의 전측에 구비될 수 있다.The waterproof connector 520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arbon heating line 131 and at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carbon heating line 132.

상기 암방수커넥터(510)와 상기 수방수커넥터(520)의 구비위치가 서로 뒤바뀔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ositions of the waterproof connector 510 and the waterproof connector 520 may be reversed.

제 1탄소발열선(131)의 타측부 후측과 상기 제 2탄소발열선(132)의 후측은 상기 타측마감재(40)의 절개홈(202)과 상기 바닥판재(140)의 절개홈(202)을 각각 수직으로 통과할 수 있다.The rea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arbon heating line 131 and the rear side of the second carbon heating line 132 are formed by cutting the cutout groove 202 of the other side finishing material 40 and the cutout groove 202 of the bottom plate material 140 It can pass vertically.

어느 하나의 발열판부(10)의 암방수커넥터(510)가 다른 하나의 발열판부(10)의 수방수커넥터(520)에 연결되고, 어느 하나의 발열판부(10)의 수방수커넥터(520)가 또 다른 하나의 발열판부(10)의 암방수커넥터(510)에 연결됨에 따라 복수의 상기 발열판부(10)가 보다 용이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waterproof connector 510 of one of the heating plate portions 10 is connected to the waterproof connector 520 of the other heating plate portion 10 and the waterproof connector 520 of one of the heating plate portions 10 is connected to the waterproof connector 520 of the other heating plate portion 10. [ The plurality of heating plate portions 1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easily by being connected to the waterproof connector 510 of another heating plate portion 10. [

도 13은 탄소발열선의 병렬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1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rbon heating wires are connected in parallel.

다른예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소발열선(130)은 병렬연결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arbon heating line 130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as shown in FIG.

이를 위해, 상기 탄소발열선(130)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2탄소발열선(131, 132)과 제 3탄소발열선(1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13, the carbon heating line 130 may include the first and second carbon heating lines 131 and 132 and the third carbon heating line 133.

상기 제 3탄소발열선(133)은 상기 제 2탄소발열선(132)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2탄소발열선(132)의 타측 외부방향에 상기 제 2탄소발열선(132)을 따라 전후연장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third carbon heating line 133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arbon heating line 132 along the second carbon heating line 13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cond carbon heating line 132 As shown in FIG.

상기 제 2, 3탄소발열선(132, 133)의 후측과 전측에 각각 상기 암방수커넥터(510)와 수방수커넥터(520)가 구비될 수 있겠으나, 상기 암방수커넥터(510)와 상기 수방수커넥터(520)의 구비위치가 서로 뒤바뀔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female waterproof connector 510 and the waterproof connector 52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and front sides of the second and third carbon heating lines 132 and 133, The positions of the connectors 520 may be reversed.

제 2탄소발열선(132)의 타측부 후측과 상기 제 3탄소발열선(133)의 후측은 상기 타측마감재(40)의 절개홈(202)과 상기 바닥판재(140)의 절개홈(202)을 각각 수직으로 통과할 수 있다.The rea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arbon heating line 132 and the rear side of the third carbon heating line 133 are connected to the cutout groove 202 of the other side finishing material 40 and the cutout groove 202 of the bottom plate material 140, It can pass vertically.

상기 제 1탄소발열선(131)의 타측부 후측은 상기 암방수커넥터(510)와 상기 수방수커넥터(5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탄소발열선(132)의 후측에 연결될 수 있다.The rea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arbon heating line 131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second carbon heating line 132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waterproof connector 510 and the waterproof connector 520.

상기 제 1탄소발열선(131)의 타측부 전측은 상기 암방수커넥터(510)와 상기 수방수커넥터(5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3탄소발열선(133)의 전측에 연결될 수 있다.The front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arbon heating line 131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third carbon heating line 133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waterproof connector 510 and the waterproof connector 520.

상기 탄소발열선(130)은 전선 등의 전원공급라인(6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고온의 열을 발산할 수 있다.The carbon heating line 130 may be supplied with power through a power supply line 60 such as an electric wire to emit heat at a high temperature.

일예로,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선 등의 전원공급라인(60)의 전측부에도 상기 암방수커넥터(510) 또는 상기 수방수커넥터(520)가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2 and 13, the waterproof connector 510 or the waterproof connector 520 may be provided on a front portion of a power supply line 60 such as a wire.

상기 전원공급라인(60)의 전측부에 구비된 상기 암방수커넥터(510) 또는 상기 수방수커넥터(520)는 계단(3)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1개의 발열판부(10)의 수방수커넥터(520) 또는 암방수커넥터(51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The waterproof connector 510 or the waterproof connector 520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power supply line 60 is connected to the waterproof connector (not shown) of one heating plate portion 10 located at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step 3 520 or the waterproof connector 510, respectively.

도 14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trol state of the control unit.

다음으로, 상기 전원공급라인(60)의 후측부와 연결되는 컨트롤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어부(70)가 구비될 수 있다.Next, a controller 70, which may be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power supply line 60, may be provided.

그리고,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이머(80), 온도센서(90) 및 발광부(100)가 구비될 수 있다.14, a timer 80, a temperature sensor 90, and a light emitting unit 100 may be provided.

상기 타이머(80)는 상기 제어부(70)에 누름식버튼 또는 다이얼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소발열선(130)의 작동시간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The timer 80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such as a push button or a dial button on the controller 70 so as to set an operation time interval of the carbon heating line 130.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탄소발열선(130)이 상기 타이머(80)에 설정된 작동시간간격으로 고온의 열을 발산할 수 있도록 상기 탄소발열선(130)으로 전원공급부(710)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 may supply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710 to the carbon heating line 130 so that the carbon heating line 130 can radiate heat of a high temperature at an operation time interval set in the timer 80 .

상기 온도센서(90)는 상기 바닥판재(140)의 외면 또는 상기 마감커버(20)의 외면 등 다양한 위치게 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발열판부(10) 또는 상기 마감커버(20) 주면의 외부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90 may be provided at various positions such as an out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40 or an outer surface of the finish cover 20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surface of the plurality of the heating plate portions 10 or the finish cover 20 Can be detected.

상기 발광부(100)는 LED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져 상기 마감커버(20)의 홈(201)에 수용된 방수커넥터(50)의 외면 또는 상기 마감커버(20)의 홈(201)에 수용된 방수커넥터(50) 주변에 위치하도록 상기 마감커버(20)의 홈(201) 내면에 볼트고정, 접착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10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LEDs or the like and may b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proof connector 50 housed in the groove 201 of the finish cover 20 or the waterproof connector 50 housed in the groove 201 of the finish cover 20. [ 50, the bolts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201 of the finishing cover 20, or may be fixed in various ways.

상기 발광부(100)는 전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별도의 전원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마감커버(20)의 홈(201)내에 위치한 탄소발열선(130)과 연결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100 may be connected to the carbon heating line 130 located in the groove 201 of the finishing cover 20 through a separate power supply line such as a wire.

계단(3)을 이용하고자 하는 보행자가 상기 발광부(100)가 발광하는 빛을 육안으로 보행자가 계단(3)의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계단(3) 보행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상기 마감커버(20)는 적어도 일부분, 일예로 상기 마감커버(20)의 상부, 하부, 일측, 타측, 중간부 중 어느 한부분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전체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 pedestrian who wishes to use the stairs 3 can see the light emitted by the light emitting unit 100 with the naked ey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tairs 3 can be more easily recognized by the pedestrian so as to help the stairs 3 to walk At least a part of the finishing cover 20, for example, one of the upper, lower, one side, the other side, and the middle of the finishing cover 2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or the whole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제어부(70)에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값과 상기 온도센서(90)가 측정한 외부 온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탄소발열선(130)의 열발산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 may control whether or not the carbon heating line 130 dissipates heat by comparing the reference temperature value preset in the controller 70 with the external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90 .

상기 온도센서(90)가 측정한 외부 온도값이 기준 온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탄소발열선(130)이 상기 전원공급부(7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고온의 열을 발산할 수 있다.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90 is less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value, the carbon heating line 130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7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70, It can diverge.

상기 온도센서(90)가 측정한 외부 온도값이 기준온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탄소발열선(130)으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탄소발열선(130)이 고온의 열을 발산하지 못하게 된다.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90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value, the power supply to the carbon heating line 130 is cut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70 so that the carbon heating line 130 is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It will not be able to radiate heat.

이로서, 겨울철이 아닌 여름철에 불필요하게 상기 탄소발열선(130)이 열을 발산하지 않게 되어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us, unnecessary heating of the carbon heating line 130 during the summer, not in winter, can prevent unnecessary power wastage.

다음으로, 상기 바닥판재(140)는 목재, 석재, 합성수지, 금속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Next, the bottom plate 140 may be made of any one of wood, stone, synthetic resin, and metal.

특히, 상기 바닥판재(140)의 내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바닥판재(140)는 방부목에 비해 열전도율이 우수하고, 쪼개짐, 뒤틀림 등이 적은 합성목재로 이루어질수 있다.Particularly, the bottom plate 140 may be made of a synthetic wood having a thermal conductivity superior to that of the anticorrosive material and having little splitting, distortion, etc.,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bottom plate 140 may be greatly improved.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계단(3)에 설치되는 복수의 발열판부(10)의 탄소발열선(130)이 발산하는 고온의 열을 통해 추운날씨에 계단(3)이 결빙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어 결빙된 계단(3)에서 노약자나 유아 등의 보행자가 미끄러지면서 넘어져 다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복수의 상기 발열판부(10)를 서로 연결하여 계단(3)에 보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이 매우 좋은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kes it easier to freeze the stairs 3 in cold weather through the high temperature heat emitted by the carbon heating lines 130 of the plurality of heating plate portions 10 provided in the stairs 3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the heat generating plates 1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from occurring in the stairs 3 ),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workability.

10; 발열판부, 20; 마감커버.10; A heating plate portion, 20; Dead cover.

Claims (8)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의 상부에 구비되고 고정홈이 형성되는 열전도판과, 상기 열전도판의 고정홈내에 고정되는 탄소발열선과, 상기 열전도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바닥판재로 구성되어 계단의 수평면에 각각 안착되는 복수의 발열판부와;
복수의 상기 발열판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계단의 수직면에 구비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을 이용한 계단 융설구조.
A heat conductive plate provided on the heat insulating layer and having a fixing groove formed therein, a carbon heating line fixed in the fixing groove of the heat conductive plate, and a bottom plate provided on the heat conductive plate, A plurality of heating plate portions that are seated;
And a finishing cover provided on a vertical surface of the step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heating plate part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의 하부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을 이용한 계단 융설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xing groove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heat conduction plat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의 하부에 상기 고정홈이 내측에 형성되는 하부가 개방된 고정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을 이용한 계단 융설구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fixing jaw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eat conduction plat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groove is formed at an inner side of the fixing groo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의 상부에 열전달핀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재의 하부에 상기 열전달핀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을 이용한 계단 융설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eat transfer fin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eat conduction plate,
Wherein a bottom of the bottom plate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heat transfer fin is inser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의 양단부가 상기 바닥판재의 양단부로부터 일정폭 내측으로 위치하고,
상기 열전도판의 일측부에 구비되고, 저면에 상기 탄소발열선을 수용하는 타측이 개방된 홈이 형성되는 일측마감재와;
상기 열전도판의 타측부에 구비되고, 저면에 전측과 후측이 개방된 홈이 형성되는 타측마감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을 이용한 계단 융설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both end portions of the heat conductive plate are positioned inside of a predetermined width from both end portions of the bottom plate member,
A side finishing material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eat conduction plate and having a groove on an underside of the bottom thereof, the side end of the finishing material receiving the carbon heating line;
And a second side finishing material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heat conduction plate and having grooves with front and rear sides opened on the bottom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커버의 내측면에 상기 탄소발열선을 연결하기 위한 방수커넥터를 수용하는 홈이 상하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을 이용한 계단 융설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groove for receiving a waterproof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carbon heating wir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nishing cover is vertically forme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커버는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수커넥터 또는 상기 방수커넥터 주변에 발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을 이용한 계단 융설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t least a part of which is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And a light emitting portion is provided around the waterproof connector or the waterproof connec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재는 목재, 석재, 합성수지, 금속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을 이용한 계단 융설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ttom plate is made of one of wood, stone, synthetic resin and metal.
KR1020170163442A 2017-11-30 2017-11-30 Stairway snow melting structure using carbon heat KR1020398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442A KR102039895B1 (en) 2017-11-30 2017-11-30 Stairway snow melting structure using carbon he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442A KR102039895B1 (en) 2017-11-30 2017-11-30 Stairway snow melting structure using carbon he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125A true KR20190064125A (en) 2019-06-10
KR102039895B1 KR102039895B1 (en) 2019-11-27

Family

ID=66848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442A KR102039895B1 (en) 2017-11-30 2017-11-30 Stairway snow melting structure using carbon he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89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479B1 (en) * 2019-10-31 2020-05-28 최재원 Anti-freezing systems for preventing freezing on walkw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5917A (en) * 2000-01-07 2001-07-19 Asahi Woodtec Corp Illumination staircas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455939B1 (en) * 2004-04-12 2004-11-10 이용기 A heat-pipe heating apparatus for heat-panel
KR20110059673A (en) * 2009-11-28 2011-06-03 도호준 Thermal conduction clip of hot-water pipe
KR20150004141A (en) * 2013-07-02 2015-01-12 (주)이테크 Heating device for stairs
KR101614446B1 (en) 2014-01-28 2016-04-29 허택인 Non-Slip for Stair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5917A (en) * 2000-01-07 2001-07-19 Asahi Woodtec Corp Illumination staircas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455939B1 (en) * 2004-04-12 2004-11-10 이용기 A heat-pipe heating apparatus for heat-panel
KR20110059673A (en) * 2009-11-28 2011-06-03 도호준 Thermal conduction clip of hot-water pipe
KR20150004141A (en) * 2013-07-02 2015-01-12 (주)이테크 Heating device for stairs
KR101614446B1 (en) 2014-01-28 2016-04-29 허택인 Non-Slip for Stai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479B1 (en) * 2019-10-31 2020-05-28 최재원 Anti-freezing systems for preventing freezing on walkw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895B1 (en)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5915B2 (en) Outdoor-use heating mat system
US10113273B2 (en) Interlocking heated patio stones and system
CA2163067C (en) Heated ice-melting blocks for steps
US6051812A (en) Snow and ice melting blanket device
US2912555A (en) Detachable ice and snow melting panels for traffic bearing surfaces
KR101101624B1 (en) A snow melting carpet for frozen prevention
US20200149716A1 (en) Recessed lighting fixture
KR20190064125A (en) Stairway snow melting structure using carbon heat
US20170335523A1 (en) Snow Melting Apparatus
KR20150004141A (en) Heating device for stairs
KR20180128271A (en) Thawing light sidewalk block
JP2002250016A (en) Braille block with heater
KR101905577B1 (en) Mat for de­icing use the carbon fiber heating line
KR20200069750A (en) Anti-freezing footstep stairs including carbon heating fiber
US61276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driveways and walkways free of ice and snow
ES2247018T3 (en) DEFLECTOR ASSEMBLY FOR MECHANICAL STAIRCASE OR MOBILE HALL.
CN211923280U (en) Snow melting step
KR101570813B1 (en) Snow melting Block System and Connecting Installation Method Thereof
CA2700769A1 (en) Radiant heating tile system
JP3174979U (en) Guiding device and snow melting device
KR20150022119A (en) Snow melting Braille Block and Connecting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102543401B1 (en) Non-slip LED carbon heating mat
JP3077680U (en) Multi-sided snow melting mat
CA2001833C (en) Electrical de-icer device
CA2805100A1 (en) Bearing surface heat dissipating equipment for heated carpeting for outdoor stairs and building entr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