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3189A - Novel α-Glucosyl-Rebaudioside 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Novel α-Glucosyl-Rebaudioside 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3189A
KR20190063189A KR1020170162095A KR20170162095A KR20190063189A KR 20190063189 A KR20190063189 A KR 20190063189A KR 1020170162095 A KR1020170162095 A KR 1020170162095A KR 20170162095 A KR20170162095 A KR 20170162095A KR 20190063189 A KR20190063189 A KR 20190063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baudioside
glucosyl
present
glucosyl rebaudioside
enzy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0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22482B1 (en
Inventor
김영민
이소현
고진아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62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482B1/en
Publication of KR20190063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1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4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20Carbocyclic rings
    • C07H15/24Condensed ring systems having three or more rin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0Transferases (2.)
    • C12N9/1048Glycosyltransferases (2.4)
    • C12N9/1051Hexosyltransferases (2.4.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18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produced by the action of a glycosyl transferase, e.g. alpha-, beta- or gamma-cyclodextr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44Preparation of O-glycosides, e.g. glucosides
    • C12P19/56Preparation of O-glycosides, e.g. glucosides having an oxyge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directly bound to a condensed ring system having three or more carbocyclic rings, e.g. daunomycin, adriamyc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204/00Glycosyltransferases (2.4)
    • C12Y204/01Hexosyltransferases (2.4.1)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α-glucosyl rebaudioside A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α-glucosyl rebaudioside A in which glucose is linked to glucose at position 19 of rebaudioside A by an α-1,6 glycosidic bond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α-glucosyl rebaudioside A which is produced by transferring glucose in sugar to rebaudioside A using a transglycosylase, so that bitterness is reduced while stability is improved. Alpha-glucosyl rebaudioside 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vantageously used for the production of a food composition requiring stability in preservation.

Description

신규한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 및 이의 제조방법{Novel α-Glucosyl-Rebaudioside 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Novel α-Glucosyl-Rebaudioside 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The novel α-

본 발명은 신규한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19 위치의 글루코오스에 새로운 글루코오스가 α-1,6 글리코시드 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부가된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당전이 효소를 이용하여 설탕의 글루코오스를 레바우디오사이드 A에 전이시켜 제조됨으로써, 안정성이 개선되면서도 쓴맛이 감소된 신규한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Glucosyl rebaudioside A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Glucosyl rebaudioside A Glucosyl rebaudioside A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α-glucosyl rebaudioside A which is produced by transferring glucose of sugar to rebaudioside A using a sugar-free enzyme, whereby the bitterness is reduced while the stability is improved.

설탕(자당)은 가장 많이 알려지고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감미료로서, 인스탄트 커피를 비롯한 커피 음료, 쥬스류나 탄산 음료 등의 청량 음료수에 다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웰빙을 추구하는 사회적 기류에 따라 비만, 당뇨 등 성인병과 충치의 원인이 되는 설탕을 줄이거나 설탕을 대신할 수 있는 고감미도의 감미료를 사용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상기의 설탕을 대신할 수 있는 감미료로서 사카린, 아스파탐과 같은 인공감미료는 독성, 알러지 유발 등의 유해성과 안정성의 문제로 인하여 사용이 점차 규제되는 추세에 있어 새로운 감미 소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Sugar (sucrose) is the most widely known and widely used sweetener, and is used in large quantities in soft drinks such as instant coffee, coffee drinks, juices and carbonated drinks. However, according to social trends for well-being, there is an increasing tendency to use sugar-rich sweeteners that can reduce sugar and cause sugar-causing diseases such as obesity and diabetes, and cavities. Artificial sweeteners such as saccharin and aspartame, which can substitute for the above sugar, are in need of new sweetness materials because their use is gradually regulated due to problems of toxicity and allergenic hazards and stability.

스테비아 감미료는 남미 파라과이를 원산지로 하는 국화과의 다년생식물인 스테비아에서 추출한 고감미 물질이다. 스테비아 감미료의 세계적인 소비처는 한국이 약 30%, 일본이 약 27%, 중국이 약 30%이고, 나머지 13%가 기타의 나라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한국에서 식품으로서의 소비 형태는 거의 효소를 이용하여 포도당을 부가해 감미질을 개량한 제품, 즉 효소처리 스테비아(식품첨가물 공전상의 공식명칭) 제품이 전체의 약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스테비아 감미료 중에서 효소처리 스테비아가 가지는 장점은 ① 감미질이 설탕에 가깝고, 쓴 맛이 없으며, 감미도가 설탕의 100~250 배로 높으나 실질적으로 무칼로리이다. ② 열과 산에 안정하여 가공, 보존중의 감미 변화가 적다. ③ 미생물의 영양원이 되기 어렵고, 구강에서는 실질적으로 비우식성이다. ④ 메일라드 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식품가공으로 갈변되기 어렵다. ⑤ 젓갈의 맛을 완화시킨다. ⑥ 산미를 완화시킨다. ⑦ 빙점 강하가 작다. ⑧ 침투압을 올리지 않는다. ⑨ 다른 감미료와의 상승효과가 있어서 감미 코스트의 저감에 유효하다. ⑩ 산뜻한 감미질이며 당질 감미료의 걸죽한 맛을 완화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점과 스테비아 잎 추출물에서의 정제공정 및 효소반응에 의한 감미질 보완에도 불구하고 효소처리 스테비아는 타 당질감미료(설탕, 과당 등)와 비교하여 감미의 상승이 느리고, 뒷맛의 감미가 비교적 오래 남아, 이른바 감미의 마무리가 나쁘다는 특징이 있다. 또 상기 스테비아 감미료에 다량 포함되는 스테비아사이드에는 감미와는 별도로 뒷맛에 독특한 떫은 맛이나 쓴맛을 수반하므로, 커피 음료, 청량 음료수, 알콜 음료에 이용하면 명확히 위화감을 주는 단점이 있다.Stevia Sweetener is a high-sweetening substance extracted from Stevia, a perennial plant of Asteraceae originating in South American Paraguay. Worldwide consumption of stevia sweeteners was found to be about 30% in Korea, about 27% in Japan, about 30% in China and the rest in other countries. In Korea, consumption of food as an ingredient is almost the same as that of enzyme-treated stevia (official name for food additives), which is a product that improves the sweetness by adding glucose using enzymes. Among the stevia sweeteners, the enzyme-treated stevia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1) The sweetness is close to sugar, no bitter taste, and the sweetness is as high as 100 to 250 times that of sugar, but virtually no calories. ② It is stable to heat and acid, and there is little change in sweetness during processing and preservation. ③ It is difficult to become a nutrient source of microorganisms, and it is practically non-oozing in the oral cavity. ④ It does not cause a mail rod reaction, and it is hard to be browned by food processing. ⑤ Relieves the taste of salted fish. ⑥ Relieve sickness. ⑦ Freezing point is small. ⑧ Do not increase infiltration pressure. ⑨ There is synergy with other sweeteners, which is effective in reducing sweetness cost. ⑩ It is refreshing taste and it relaxes the rough taste of carbohydrate sweetener. However, despite the above advantages and the purification process and enzyme reaction in the stevia leaf extract, the enzyme-treated stevia has a slow rise in sweetness compared to other sugar sweeteners (sugar, fructose, etc.)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the finish of so-called sweetness is bad for a long time. In addition, the stevia side, which is contained in a large amount in the above-mentioned stevia sweetener, is accompanied by a bitter taste and a bitter taste distinctive to the aftertaste apart from the sweetness. Thu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when used in a coffee drink, a soft drink or an alcoholic drink,

스테비아의 감미 성분 중 미질이 설탕에 가깝고 감미도가 높은 성분은 레바우디오사이드 A(rebaudioside A)이다. 상기 레바우디오사이드 A는 최근 FDA에 의해서 식품으로의 사용이 허가됨에 따라 코카콜라와 펩시에서도 감미료로서 사용이 되고 있으며, 상기 감미가 우수한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함유하는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The sweetness component of stevia is close to sugar and high in sweetness is rebaudioside A. The above-mentioned rebaudioside A has recently been used as a sweetener in Coca-Cola and Pepsi due to its use as a food by the FDA, and the demand for a product containing the rebaudioside A having excellent sweetness is increasing.

그러나, 상기 레바우디오사이드 A는 수용액상에서 쉽게 침전이 되는 등 매우 불안정한 물성을 지니고 있어 식품 소재, 특히 음료의 소재로 널리 이용되기에는 한계가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rebaudioside A has a very unstable physical property such as being easily precipitated in an aqueous solution, and thus it has a limit to be widely used as a material for food, particularly for beverage.

또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상기 레바우디오사이드 A로부터 당전이 레바우디오사이드 M을 제조하는 방법(특허문헌 1)이 개발되었으나, 상기 방법은 매우 고가의 기질인 UDP(Sigma사 기준 1g 당 100 만원 이상)를 이용하고 있어 경제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a method for producing rebaudioside M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above-mentioned rebaudioside A (Patent Document 1) has been developed. However, the above method has been applied to a very expensive substrate such as UDP 10,000 won or more) is used,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economical efficiency is remarkably deteriorated.

KR 10-2016-0111998 AKR 10-2016-0111998 A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안정성이 개선되면서도 쓴맛이 감소된 신규한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first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vel? -Glucosyl rebaudioside A with improved bitter taste while improving stabilit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상기 신규한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 second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economically preparing the novel? -Glucosyl rebaudioside A.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세 번째 과제는 상기 안정성이 개선되면서도 쓴맛이 감소된 신규한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hird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containing the novel? -Glucosyl rebaudioside A having the above-mentioned stability but with a reduced bitter tast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19 위치의 글루코오스에 글루코오스가 α-1,6 글리코시드 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부가된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제공한다.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Glucosyl rebaudioside A wherein glucose at the 19-position of rebaudioside A is linked by an? -1,6 glycoside bond to the gluco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lucosyl rebaudioside A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또한, 본 발명은 당전이 효소의 존재 하에 레바우디오사이드 A 및 설탕으로부터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Glucosyl rebaudioside A comprising the steps of: preparing? -Glucosyl rebaudioside A from rebaudioside A and sugar in the presence of a glycogen synthase to prov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당전이 효소는 글루칸수크라아제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lycoconjugate enzyme may be glucan sucro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글루칸수크라아제는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EG001 균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lucan sucrose can be obtained from a strain of Leuconostoc lactis EG00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당전이 효소는 당전이 효소 유전자를 함유하는 벡터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대장균, 바실러스, 효모, 코리네박테리움 또는 아그로박테리움으로부터 생산된 것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lycoprotein may be produced from recombinant E. coli, Bacillus, yeast, Corynebacterium or Agrobacterium transformed with a vector containing a glycosyltransferase gene.

상기 당전이 효소 유전자는 서열목록 1의 서열을 갖는 것일 수 있다.The glycosyltransferase gene may have the sequence of Sequence Listing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수율은 85% 이상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yield of the α-glucosyl rebaudioside A may be 85% or mor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어 수용액상에서의 안정성이 개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제공한다. 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Glucosyl rebaudioside A, which is prepar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has improved stability in an aqueous solu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ood composition comprising the above-mentioned α-glucosyl rebaudioside A.

본 발명의 신규한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는 안정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쓴맛이 감소되어 감미질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The novel? -Glucosyl rebaudioside A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mproves the stability but also has a reduced bitter taste and improved sweetness.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신규한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경제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는 보존상 안정성을 요구하는 식품 조성물의 제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vel? -Glucosyl rebaudioside A can be economically obtained. Therefore, the above-mentioned? -Glucosyl rebaudioside A can be usefully used for the production of a food composition requiring preservation phase stability.

도 1은 류코노스톡 락티스 유래의 글루칸수크라아제의 존재 하에 설탕 및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반응시켜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합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화학 반응식이다.
도 2는 실시예의 당전이 산물을 최초 반응 시간으로부터 2 시간 간격으로 HPLC 성분 분석을 실시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레바우디오사이드 A가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로 효소 전환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실시예에서 얻은 최종 반응 산물을 LC/MS/MS를 통해 분자량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1H-NMR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13C-NMR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1D-NOESY 스펙트럼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gCOSY 스펙트럼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gHSQCAD 스펙트럼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gHMBC 스펙트럼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2D-TOCSY 스펙트럼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a는 상기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 수용액의 농도별, 보존기간별 상온 안정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1b는 레바우디오사이드 A 수용액의 농도별, 보존기간별 상온 안정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레바우디오사이드 A 수용액과 상기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 수용액 각각의 pH에 따른 안정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a는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온도에 따른 열 안정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3b는 상기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온도에 따른 열 안정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hemical reaction formula showing the process of synthesizing? -Glucosyl rebaudioside A by reacting sugar and rebaudioside A in the presence of glucan sucrose derived from licorobactolactus.
FIG. 2 shows the results of HPLC analysis of the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intervals of 2 hours from the initial reaction time, showing the degree of conversion of rebaudioside A to the enzyme with? -Glucosyl rebaudioside A over time will be.
3 show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molecular weight of the final reaction product obtained in the examples through LC / MS / MS.
4 shows the results of 1 H-NMR analysis of? -Glucosyl rebaudiosid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the results of 13 C-NMR analysis of? -Glucosyl rebaudiosid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1D-NOESY spectrum analysis result of? -Glucosyl rebaudiosid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shows the results of analysis of gCOSY spectrum of? -Glucosyl rebaudiosid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shows the gHSQCAD spectral analysis result of? -Glucosyl rebaudiosid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the results of analysis of gHMBC spectrum of? -Glucosyl rebaudiosid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shows a 2D-TOCSY spectrum analysis result of? -Glucosyl rebaudiosid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A is a graph showing the stability at room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aqueous solution of? -Glucosyl rebaudioside A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and FIG. 11B is a graph showing the stability at room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aqueous solution of rebaudioside A and storage period.
FIG. 12 is a graph showing the stability of the aqueous solution of the rebaudioside A and the aqueous solution of the .alpha.-glucosyl rebaudioside A according to the pH.
13A is a graph showing the thermal stability of rebaudioside A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FIG. 13B is a graph showing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α-glucosyl rebaudioside A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레바우디오사이드 A 19 위치의 글루코오스에 글루코오스가 α-1,6 글리코시드 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부가된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α-glucosyl rebaudioside A in which glucose is linked by α-1,6 glycosidic bonds to glucose at the position of rebaudioside A 19 of rebaudioside A to provide.

본 발명에서의 용어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는 본 발명의 당전이 효소에 의해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19 위치의 글루코오스에, 선택적으로 하나의 글루코스가 α-1,6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되어진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의미한다.The term "? -Glucosyl rebaudioside A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glucose at the 19-position of rebaudioside A by the sugar chain enzym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ptionally one glucose is? -1,6 glycoside Glucosyl rebaudioside A linked through a linkage.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는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기질로 하여 상기 당전이 효소에 의해 레바우디오사이드 A 19 위치의 글루코오스에 α-1,6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글루코오스 하나가 부가된 형태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O-α-D-glucosyl(1˝→6ㅄ)-rebaudioside A)이다.Preferably, the? -Glucosyl rebaudioside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duced by reacting the rebaudioside A as a substrate with an α-1,6 glycoside bond glucose, and one can be added form, more preferably a α- glucosyl rebaudioside a (O -α-D-glucosyl (1˝ → 6 ㅄ) -rebaudioside a)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1) through to be.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서, 상기 당전이 효소는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에서 생산되는 글루칸수크라아제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glycoconjugate enzyme is glucan sucrose produced from Leuconostoc lactis .

기존의 당전이 효소는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13위치의 글루코오스 또는 19위치의 글루코오스 등에 무작위로 글루코오스를 1 내지 12개까지 부가하므로, 레바우디오사이드 A 19위치의 글루코오스에 알파 형태로, 선택적으로 한 개의 포도당만을 부가할 수가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류코노스톡 락티스에서 생산되는 글루칸수크라아제가 레바우디오사이드 A와 설탕을 이용하여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레바우디오사이드 A 19 위치의 글루코오스에 선택적으로 하나의 글루코오스만을 α-1,6 글리코시드 결합으로 연결시킨다는 것을 최초로 규명하였으며, 이는 화학식 1로 나타내는 신규한 α-1,6 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가 기존의 레바우디오사이드 A에 비해 안정성이 개선되고, 쓴맛이 감소하여 감미질이 향상되는 것을 최초로 규명하였다.Conventional glycoprotein enzymes randomly add up to 1 to 12 glucose to glucose at the 13-position of the rebaudioside A or glucose at the 19-position, so that the glucose at the position of the rebaudioside A 19 is selectively added in an alpha form, Only one glucose could not be adde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the glucan sucrose produced from leuconostolactus is reacted with the rebaudioside A and the glucose at the rebaudioside A 19 position of the rebaudioside A using sugar, -1,6 glucosidic linkage. This indicates that the novel α-1,6 glucosyl rebaudioside A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is improved in stabili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rebaudioside A, and the bitterness And the improvement of the color quality was first confirmed.

본 발명에 따른 α-1,6 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는 종래의 베타 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에 비해 안정성 및 감미질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The α-1,6 glucosyl rebaudiosid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rmed that the stability and the taste of the α-1,6 glucosyl rebaudioside A are greatly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β-glucosyl rebaudioside A.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당전이 효소의 존재 하에 레바우디오사이드 A 및 설탕으로부터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ocess for preparing α-glucosyl rebaudioside A, comprising the steps of: preparing α-glucosyl rebaudioside A from rebaudioside A and sugar in the presence of a pre- A < / RTI >

상기의 당전이 효소는 당전이 효소 유전자를 함유하는 벡터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대장균, 바실러스, 효모, 코리네박테리움 또는 아그로박테리움으로부터 대량으로 생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당전이 효소는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로부터 유래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글루칸수크라아제일 수 있다.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은 5’-ATCCATGGATAGTAACCAAAACACAACTGGTT-3’이다.The glycoprotein may be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from recombinant E. coli, Bacillus, yeast, Corynebacterium or Agrobacterium transformed with a vector containing the glycosyltransferase gene. The glycoconjugate enzyme may be a glucan sucrose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derived from Leuconostoc lactis .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is 5'-ATCCATGGATAGTAACCAAAACACAACTGGTT-3 '.

상기 글루칸수크라아제는 당전이 반응을 통해 설탕으로부터 당을 분해시켜 글루칸(glucans)으로 불리는 D-glucose polymers의 합성을 촉매하는 효소이다. 설탕으로부터 합성된 글루칸은 주쇄에 글루코오스(glucose) 단위가 α-(1-2), α-(1-3), α-(1-4), α-(1-6) 등 다양한 결합으로 연결된 호모폴리머(homopolymer)로서 글루칸수크라제의 종류에 따라 가지(chains) 결합의 종류, 비율 및 길이가 각각 달라진다. 따라서 다양하게 존재하는 글루칸수크라아제는 서로 높은 유사성을 갖더라도 글루코시딕 결합의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글루칸을 합성할 수 있다.
The glucan sucrose is an enzyme which catalyzes the synthesis of D-glucose polymers called glucans by decomposing sugars from sugars through sugar chain reaction. Glucans synthesized from sugar are linked to the main chain by various bonds such as α- (1-2), α- (1-3), α- (1-4), α- (1-6) As a homopolymer, the kind, proportion and length of chains bonds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glucan sucrase. Therefore, various glucan sucrose can synthesize various glucans according to the type of glucosidic bond even if they have high similarity to each other.

본 발명자들은 상기 글루칸수크라아제를 대량 생산하기 위하여,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진 유전자는 pET22b(+) 발현 벡터의 NcoI과 NotI 사이에 삽입하여 재조합 DNA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 벡터는 pET22b(+), pET 계열의 벡터, pHCE, pGEX 계열, pTRP, pMAL 계열 등의 단백질 발현벡터를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In order to mass-produce the glucan sucrose, the present inventors prepared a recombinant DNA by inserting the gen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between NcoI and NotI of the pET22b (+) expression vecto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mbinant vector containing the gene can be exemplified by protein expression vectors such as pET22b (+), pET family vectors, pHCE, pGEX family, pTRP and pMAL family.

본 발명에서, "벡터(vector)"는 적합한 숙주 내에서 DNA를 발현시킬 수 있는 적합한 조절 서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DNA 서열을 함유하는 DNA 제조물을 의미한다. 벡터는 플라스미드, 파지 입자 또는 간단하게 잠재적 게놈 삽입물일 수 있다. 적당한 숙주로 형질전환되면, 벡터는 숙주 게놈과 무관하게 복제하고 기능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경우에 게놈 그 자체에 통합될 수 있다. 플라스미드가 현재 벡터의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이므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플라스미드" 및 "벡터"는 때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상, 플라스미드 벡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vector" means a DNA product containing a DNA sequence operably linked to a suitable regulatory sequence capable of expressing the DNA in an appropriate host. The vector may be a plasmid, phage particle or simply a potential genome insert. Once transformed into the appropriate host, the vector may replicate and function independently of the host genome, or, in some cases, integrate into the genome itself. As the plasmid is the most commonly used form of the current vector, the terms "plasmid" and "vector" are sometimes used interchangeably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plasmid vector.

본 발명의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 제조방법에서, 상기 글루칸수크라아제는 필요에 따라 유리 형태로 사용하거나 또는 고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글루칸수크라아제의 고정화는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인 기제결합, 교차결합, 봉입 또는 캡슐화 등에 의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교차 결합은 예를 들면 글루타르알데히드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기제결합은 흡착 결합 또는 공유 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봉입은 겔, 마이크로캡슐 또는 섬유 형태의 반투과성 막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효소를 고정화하여 사용하면 효소의 재이용, 효소의 회수 및 정제 공정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In the method for preparing? -Glucosyl rebaudioside 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lucan sucrose can be used in a glass form or immobilized if necessary. Immobilization of glucan sucrase can be carried out by a method known in the art, such as base binding, cross-linking, encapsulation or encapsulation. The cross-linking can be carried out using, for example, glutaraldehyde, and the base bond can be carried out by adsorption bonding or covalent bonding, and the sealing can use a semipermeable membrane in the form of gel, microcapsule or fiber. When the enzyme is immobilized by the above metho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use of the enzyme, the recovery and purification of the enzyme can be shortened.

상기 글루칸수크라아제의 반응 온도는 20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고, pH 범위는 4.5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5이며, 반응시간은 3 내지 10 시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시간이다.The reaction temperature of the glucan sucrose is 20 to 50 캜, preferably 25 to 35 캜, more preferably 30 캜, the pH range is 4.5 to 6.0, preferably 5, and the reaction time is 3 to 10 hours , Preferably 5 to 8 hours, more preferably 6 hours.

본 발명의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 제조방법에서, 상기 레바우디오사이드 A 및 설탕은 합성 또는 시판되고 있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In the method for producing? -Glucosyl rebaudioside 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baudioside A and sugar may be synthesized or commercially available without any limitation.

도 1은 류코노스톡 락티스 유래의 글루칸수크라아제의 존재 하에서 설탕(기질) 및 레바우디오사이드 A(당 수용체)를 반응시켜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합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화학 구조식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합성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① 먼저 기질인 설탕(당 공여체)이 글루칸수크라아제에 의해 포도당과 과당으로 분해되고, ② 이 중 과당을 유리되고, 포도당은 글루칸 수크라아제에 결합하여 글루코실 효소 중간체를 형성하게 되며, ③ 상기 글루코실 효소 중간체가 -OH 결합을 갖는 화합물(수용체)인 레바우디오사이드 A에 결합하게 된다. ④ 그리고, 상기 포도당이 레바우디오사이드 A에 전이되어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가 합성되는 것이다. 상기 합성 과정에서, 글루코실 효소 중간체와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높은 친화력으로 인해 85% 이상의 수율로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가 합성될 수 있다.
1 is a graph showing the process of synthesizing? -Glucosyl rebaudioside A by reacting sugar (substrate) and rebaudioside A (sugar receptor) in the presence of glucan sucrose derived from leucono stokreactis It is a structural formula. 1, the process for synthesizing? -Glucosyl rebaudioside 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First, sugar (sugar donor) as a substrate is decomposed into glucose and fructose by glucan sucrose; Fructose is liberated, glucose is bound to glucan sucrose to form glucosyl enzyme intermediate, and (3) the glucosyl enzyme intermediate is bound to rebaudioside A, which is a compound (acceptor) having -OH bond. (4) Then, the glucose is transferred to rebaudioside A to synthesize? -Glucosyl rebaudioside A. In the above synthesis process,? -Glucosyl rebaudioside A can be synthesized at a yield of 85% or more due to the high affinity of the glucosyl enzyme intermediate and rebaudioside A.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반응산물로부터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만을 분리 및 정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 및 정제하여 수득한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는 액체 형태 그대로 사용하거나 상기 액체를 농축하여 사용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건조시켜 분말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separating and purifying only? -Glucosyl rebaudioside A from the reaction product. The α-glucosyl rebaudioside A obtained by the separation and purification can be used as it is in a liquid form, or it can be used by concentrating the liquid, or, if necessary, drying and pulverizing it.

상기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85% 이상의 수율로 얻을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obtain? -Glucosyl rebaudioside A in a yield of 85% or more.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는 특히 수용액 상에서의 안정성이 개선되므로, 수용액 상에서 30일 이상 보존하여도 98% 이상이 가용성 있는 형태로 존재한다.
The? -Glucosyl rebaudioside A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improved stability in an aqueous solution, and therefore, it is present in a form in which more than 98% of the? -Glucosyl rebaudioside A is soluble even after being stored for 30 days or more in an aqueous solution.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weetener composition comprising? -Glucosyl rebaudioside A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본 발명의 안정성이 개량된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은, 레바우디오사이드 A가 가지는 불안정한 물성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맛의 질을 변화시키며, 설탕과 같이 신맛, 짠맛, 떫은맛, 단맛, 쓴맛 등 각종 물질의 다른 미감과 조화되므로, 보통의 일반 식품의 미감 개량 또는 품질 개량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e sweetener composition comprising the improved α-glucosyl rebaudioside A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mproves the problems such as unstabl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baudioside A, changes the quality of the taste, , It can be widely used for aesthetic improvement or quality improvement of ordinary food, since it is harmonized with other aesthetics of various substances such as sour taste, salty taste, bitter taste, sweet taste and bitter taste.

예를 들면, 간장, 분말간장, 된장, 분말된장, 젓갈, 마요네즈, 드레싱, 식초, 초간장, 중화요리 재료, 튀김요리용 간장, 국수용 간장, 소스, 케첩, 불고기 소스, 카레, 스튜 재료, 복합 조미료, 미림, 테이블 슈거, 커피 슈거 등 각종 조미료의 감미료로서, 또는 미감 개량제, 품질 개량제 등으로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For example, soy sauce, soy sauce, powdered soy sauce, soy sauce, powdered soybean paste, salted fish paste, mayonnaise, dressing, vinegar, And can be advantageously used as sweeteners for various seasonings such as seasoning, mirin, table sugar, coffee sugar, and the like as a sweetener or a taste improving agent.

또한, 예를 들면 생과자, 밥풀 과자, 떡류, 만두, 팥소류, 양갱, 젤리, 카스테라, 알사탕, 빵, 비스킷, 크래커, 쿠키, 파이, 푸딩, 버터크림, 카스타드 크림, 슈크림, 와플, 스펀지 케이크, 도넛, 초콜렛, 츄잉검, 카라멜, 캔디 등의 각종 과자, 아이스크림, 샤베트 등의 빙과류, 과실의 시럽절임 등의 시럽류, 플라워 페이스트, 땅콩 페이스트, 과일 페이스트 등의 페이스트류, 잼, 마멀레이드, 시럽절임, 당과 등의 과실, 야채의 가공 식품류, 빵류, 국수류, 쌀밥류, 인조 고기 등 곡류 가공식품류, 햄, 소시지 등의 축산제품류, 어육 햄, 어육 소시지, 어묵, 튀김 등의 어육제품, 성게, 오징어젓, 초 다시마, 찢은 오징어, 복어의 미림 말림 등의 각종 진미류, 김, 산채, 말린 오징어, 작은 물고기, 조개 등으로 제조되는 해산물 조림류, 콩자반, 포테이토 샐러드, 다시마 말이 등의 반찬식품, 유제품, 어육, 축육, 과실, 야채의 병조림, 통조림류, 합성 술, 과실 술, 양주, 리큐어 등의 주류, 커피, 코코아, 쥬스, 탄산음료, 락트산 음료, 유산균 음료 등의 청량음료수, 푸딩 믹스, 핫케이크 믹스 등의 프리믹스분류, 즉석 쥬스, 즉석 커피, 즉석 팥죽, 즉석 수프 등의 즉석식품 등의 각종 식품에의 감미료로서, 또는 미감개량제, 품질개량제 등으로서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for example, a pastry, a cupcake, a rice cake, a bun, a bean jam, an omelette, a jelly, a castella, Jam, marmalade, syrup, etc., such as syrups, fruit pastes, peanut pastes, and fruit pastes such as syrups, such as various kinds of pastry such as donuts, chocolate, chewing gum, caramel, candy, ice- Fish meat products such as fish meat, fish sausage, fish cake, fried fish, sea urchin, fish sauce, fish sauce, fish sauce, , Seaweed prepared by various kinds of delicacies such as seaweed, chopped squid, dried fish of persimmon, fried fish, dried seaweed, dried squid, small fish, shellfish, soybean cake, potato salad, Such as liquor, coffee, cocoa, juice, carbonated beverage, lactic acid beverage, lactic acid beverage, etc., such as side dishes, dairy products, fish meat, poultry, fruit, vegetable bottles, canned foods, synthetic liquor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vantageously used as sweeteners for various foods such as instant drinks such as soft drinks, pudding mixes, and hot-coke mixes, instant foods such as instant juice, instant coffee, instant bean jam and instant soup, or as a taste improving agent and a quality improving agent .

본 발명에 따른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는 우수한 물리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단독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기타 감미제, 예를 들면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스테비오사이드, 효소처리 스테비오사이드, 기존의 레바우디오사이드 A, 레바우디오사이드 D 또는 E, 에리스리톨, 말티톨, 솔비톨 및 글루시톨 등과 같은 감미제와 혼합하여 다양한 식품의 감미료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감미료 조성물의 형태는 분말, 미분, 과립, 결정, 정제 등의 고형물, 수용액, 용액 등의 어떤 형태라도 좋다.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도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Glucosyl rebaudiosid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other sweetening agents such as glucose, sucrose, stevioside, enzyme-treated stevioside, It can be used as a sweetener composition for various foods by mixing it with a sweetener such as Bovine Aster, Bovidoside A, Rebaudioside D or E, erythritol, maltitol, sorbitol and glucitol. The form of the sweetener composition may be powder, Crystals, tablets, and other solids, aqueous solutions, solutions, and the like. The production method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본 발명에 따른 감미료 조성물은 그 형태에 따라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식품에 배합 가능한 담체를 적절히 배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담체로서는 유당, 포도당, 과당, 설탕 등의 당류; 소르비톨, 에리스리톨, 락티톨, 말티톨, 만니톨, 크실리톨, 환원 파라티노스 등의 당 알코올류; 이소말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프럭토올리고당 등의 올리고당류; 덱스트린, 셀룰로오스, 아라비아검 및 콘스타치 등의 다당류; 및 물 등을 들 수 있다.The sweetener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uitably contain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or a carrier which can be formulated into a food according to the form thereof. Examples of such carriers include sugars such as lactose, glucose, fructose, and sugar; Sugar alcohols such as sorbitol, erythritol, lactitol, maltitol, mannitol, xylitol and reduced paratinose; Oligosaccharides such as isomaltooligosaccharide, galacto-oligosaccharide, and fructo-oligosaccharide;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cellulose, gum arabic and corn starch; And water.

또한, 음식품이나 의약품에 통상 사용되는 향료, 색소, 산미료, 방부제 등을 첨가해도 좋고,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추가로 별개의 감미 성분이나 정미 성분이 아닌 증량제나, 담체 등으로 사용되는 것을 함유할 수 있다.
In addition, fragrances, pigments, acidulants, preservatives and the like which are commonly used in food and drink or pharmaceuticals may be added. Further, as far a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aired, additional additives such as an extender, ≪ / RTI >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ood composition comprising? -Glucosyl rebaudioside A prepared 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본 발명에 따른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감미료로서 다양한 식품에 첨가하는 경우 식품의 감미질을 개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When? -Glucosyl rebaudiosid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to various foods as a sweetener, the sweetness of food can be improved and the stability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서 식품은, 음료, 캔디, 빙과, 요구르트, 초콜렛 등 감미를 필요로 하는 식품 전반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food" refers to all foods requiring sweetness such as drinks, candy, ice cream, yogurt, and chocolate.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howeve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se embodiments are for further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실시예Example

가. 당전이 효소(글루칸수크라아제)의 준비end. Preparation of sugar-free enzyme (glucan sucrase)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EG001 균주 유래의 글루칸수크라아제를 대장균(DH5α)에서 대량생산하기 위하여, 하기 서열번호 1의 유전자를 발현 벡터인 pET-22b(+)의 NcoI-NotI 부위에 삽입하여 재조합 DNA를 제조하였다. 글루칸수크라아제의 PCR 증폭을 위해 류코노스톡 락티스 EG001 균주의 염색체 DNA를 분리하고, NcoI 사이트에 삽입시킨 서열번호 1의 정방향 프라이머, NotI 사이트에 삽입시킨 서열번호 2의 역방향 프라이머를 제작하였다.In order to mass-produce glucan sucrose derived from Leuconostoc lactis strain EG001 in E. coli (DH5?), The gene of SEQ ID NO: 1 shown below was introduced into the NcoI-NotI site of pET-22b (+) To prepare a recombinant DNA. For PCR amplification of glucan sucrose, the chromosomal DNA of the strain Ryukono Stock Lactus EG001 was isolated, and the reverse primer of SEQ ID NO: 2 inserted into the forward primer of SEQ ID NO: 1 and the NotI site inserted into the NcoI site was constructed.

[서열번호 1] : 5'-ATCCATGGATAGTAACCAAAACACAACTGGTT-3'[SEQ ID NO: 1]: 5'-ATCCATGGATAGTAACCAAAACACAACTGGTT-3 '

[서열번호 2] : 5'-ATGCGGCCGCCATATTGACGAGATCACCGTTG-3'[SEQ ID NO: 2]: 5'-ATGCGGCCGCCATATTGACGAGATCACCGTTG-3 '

PCR 증폭은 2U Taq polymerase(Solgent사), 10배 polymerase buffer(MgCl2 포함) 5㎕, 10 mM dNTP 1㎕, 각 프라이머(2 ㅅM) 5㎕, 주형 DNA(염색체 DNA) 100 ng을 함유하는 PCR 반응용액(50 ㎕)을 준비한 후, 유전자 증폭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PCR amplification was carried out using 5 μl of 2U Taq polymerase (Solgent), 10 μl of polymerase buffer (containing MgCl 2 ), 1 μl of 10 mM dNTP, 5 μl of each primer (2 μM) and 100 ng of template DNA (chromosomal DNA) PCR reaction solution (50 ㎕) was prepared and then performed using a gene amplifier.

PCR 반응은 95 ℃에서 5분간 변성(denaturation)을 수행한 후, 95 ℃에서 30초 변성, 55 ℃에서 30초 어닐링(annealing), 72 ℃에서 연장(extension)을 30회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72 ℃에서 10분 연장을 수행하고, 4 ℃에서 유지시켰다. 상기 방법으로 획득한 PCR 생산물은 pGEM T-easy vector(Promega사)에 cloning 후 NcoI-NotI으로 처리하여 pET-22b(+) expression vector의 NcoI-NotI 부위에 subcloning하여 재조합 벡터를 제조하였다.The PCR reaction was denaturation at 95 ° C for 5 minutes, denaturation at 95 ° C for 30 seconds, annealing at 55 ° C for 30 seconds, and extension at 72 ° C for 30 times. Finally, extension at 72 ° C for 10 min was performed and maintained at 4 ° C. The PCR product obtained by this method was cloned into pGEM T-easy vector (Promega), treated with NcoI-NotI and subcloned into NcoI-NotI site of pET-22b (+) expression vector to prepare a recombinant vector.

글루칸수크라아제의 과잉생산을 위하여, 상기 제조된 재조합 벡터를 대장균[BL21(DE3)](Novagen사)에 도입하였고, 얻어진 형질전환체를 100 ㎕/ml 앰피실린(ampicillin)이 첨가된 LB 액체배지에서 37 ℃에서 16 시간 동안 200 rpm으로 진탕배양하였다. 그 후 0.1 mM IPTG를 첨가하여 20 ℃에서 12 시간 동안 200 rpm으로 진탕배양하여 효소의 과잉생산을 유도하였다. 배양체를 원심분리하여 침전된 균체를 회수하고, 0.85% NaCl로 두 번 세척하였다. 회수된 균체에 1 mM PMSF(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protease inhibitor cocktail(Roche사) 및 10 mM imidazole이 첨가된 100 mM Tris-Cl(pH 7.4)을 가하여 초음파로 파쇄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상기 상등액은 Ni-NTA agarose를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The resulting recombinant vector was introduced into Escherichia coli [BL21 (DE3)] (Novagen) for the production of glucan sucrose, and the resulting transformant was inoculated into an LB liquid containing 100 μl / ml ampicillin Lt; RTI ID = 0.0 > 37 C < / RTI > for 16 hours. Then, 0.1 mM IPTG was added and incubated at 20 rpm for 20 hours at 200 rpm to induce the overproduction of the enzyme. The cultures were centrifuged to recover precipitated cells and washed twice with 0.85% NaCl. 100 mM Tris-Cl (pH 7.4) supplemented with 1 mM PMSF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protease inhibitor cocktail (Roche) and 10 mM imidazole was added to the recovered cells, and the supernatant was recovered by centrifugation . The supernatant was purified by chromatography using Ni-NTA agarose.

나.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제조I. Production of? -glucosyl rebaudioside A

총 부피 20 mL에 상기 가.에서 제조된 글루칸수크라아제 5 mL, 레바우디오사이드 A 80 mM, 설탕 400 mM 및 30 mM의 소듐 아세테이트 완충용액(pH 5.2)를 첨가하여 30 ℃에서 6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5 mL of the glucan sucrose prepared in (a), 80 mM of rebaudioside A, 400 mM of sugar and 30 mM of sodium acetate buffer (pH 5.2) prepared in (a) above was added to a total volume of 20 mL, and the mixture was incubated at 30 ° C for 6 hours Lt; / RTI >

그 후, 상기 반응물을 90 ℃에서 10 분 동안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킨 후 분리 및 정제를 위해 Diaion HP-20 및 C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아세토나이트릴 농도구배(0-50%)를 통해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얻을 수 있었다.
The reaction was then heated at 90 < 0 > C for 10 min to inactivate the enzyme and then eluted through an acetonitrile concentration gradient (0-50%) using Diaion HP-20 and C18 column chromatography for separation and purification alpha -glucosyl rebaudioside A was obtained.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실험예 1. 당전이 효소(글루칸수크라아제)의 효소 활성 측정Experimental Example 1. Measurement of enzymatic activity of glycosaminoglycans (glucan sucrose)

실험예 1-1. 시간 경과에 따른 HPLC 분석Experimental Example 1-1. HPLC analysis over time

상기 가.에서 제조된 당전이 효소의 활성(당전이 반응)을 측정하기 위한 HPLC 분석 조건은 다음과 같다.
The HPLC analysis conditions for measuring the activity of the glycosylase (glycosylation reaction) prepared in the above (a) are as follows.

<HPLC 분석조건><HPLC analysis conditions>

- HPLC: Prominence, Shimadzu, Kyoto, Japan- HPLC: Prominence, Shimadzu, Kyoto, Japan

- 검출기: UV-VIS 검출기 (210 nm)- Detector: UV-VIS detector (210 nm)

- 펌프 A, B: LC-20AD- Pump A, B: LC-20AD

- 유속: 1.0 ml/min- Flow rate: 1.0 ml / min

- 칼럼: ZORBAX 300SB-C18 column (5 μm, 4.6 ㅧ 150 mm, USA)Column: ZORBAX 300SB-C18 column (5 [mu] m, 4.6 [mu] m, 150 mm, USA)

- 시료 주입량: 10 μl- Sample injection amount: 10 μl

- 칼럼 온도: 30℃- Column temperature: 30 ° C

- 이동상 용매 A: H2O- mobile phase solvent A: H2O

- 이동상 용매 B: Acetonitrile
- mobile phase solvent B: Acetonitrile

당전이 효소의 활성은 레바우디오사이드 A에 포도당 1 분자를 결합시켜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로 전환되는지를 효소전환반응으로 확인하였다. The activity of this enzyme was confirmed by enzyme conversion to determine whether rebaudioside A was converted to? -Glucosyl rebaudioside A by binding a glucose molecule to the enzyme.

특히, 실시예 나.에서의 당전이 산물을 최초 반응 시간으로부터 2 시간 간격으로 HPLC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기 2 시간 간격으로 당전이 산물을 측정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레바우디오사이드 A(Retention time: 23.931 min)가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Retention time: 20.996 min)로 전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articularly, the product of the reaction in Example B was subjected to HPLC component analysis at intervals of 2 hours from the initial reaction time. FIG. 2 shows the result of measurement of the precursor product at intervals of 2 hours. As shown in FIG. 2, it was confirmed that the retention time (23.931 min) was converted to? -Glucosyl rebaudioside (retention time: 20.996 min) with the elapse of time.

실험예 1-2. 당전이 수율Experimental Example 1-2. This yield

상기 실험 1-1에서의 HPLC 성분 분석을 통해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당전이 수율을 계산한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당전이 수율은 86.35%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From the analysis of the HPLC component in Experiment 1-1, the yield of yie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calculated to be 86.35%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1).

[수학식 1][Equation 1]

당전이 수율(%) = (C - C(Re A))/C × 100(%) = (C - C (Re A)) / C * 100

(C: 최초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농도, C(Re A): 최종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농도)
(C: concentration of initial rebaudioside A, C (Re A): concentration of final rebaudioside A)

실험예 2.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구조분석Experimental Example 2. Structural analysis of? -Glucosyl rebaudioside A

도 3은 실시예에서 얻은 최종 반응 산물을 LC/MS/MS를 통해 분자량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최종산물의 분자량을 확인하기 위해 Agilent 6410B(Agilent Technology, wilmington, DE, USA)의 ESI source가 장착 된 LC/MS/MS 질량 분석기와 함께 라인에 설치된 Surveyor HPLC를 사용했다. 분리는 역상 컬럼(Agilent XDB_C18, 5 um, 2.0 mm×15 cm)에서 수행 하였다. 주입 부피는 5 μL, 이동상 성분은 A = water, 0.1% formic acid; B = acetonitrile, 0.1% formic acid; Glucosyl stevioside는 20분 동안 0.23 mL/min 유속으로 B buffer 선형 구배(10-100%)에 따라 용출되었다. 이온은 electrospray ionization interface을 사용하여 positive ionization mode에서 생성되었다. Fragmenter 전위는 130 V, interface heater는 300℃, 스캔 범위는 m/z 100에서 1000까지 수행되었다. 상기 도 3을 살펴보면, 레바우디오사이드 A 분자량(M.W. 967.01)에 포도당이 결합하여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M.W. 1129.01)이 합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show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molecular weight of the final reaction product obtained in the examples through LC / MS / MS. To verify the molecular weight of the final product, we used Surveyor HPLC in line with an LC / MS / MS mass spectrometer equipped with an ESI source from Agilent 6410B (Agilent Technology, Wilmington, DE, USA). Separation was carried out on a reversed phase column (Agilent XDB_C18, 5 μm, 2.0 mm × 15 cm). The injection volume was 5 μL, the mobile phase component was A = water, 0.1% formic acid; B = acetonitrile, 0.1% formic acid; Glucosyl stevioside was eluted with a B buffer linear gradient (10-100%) at a flow rate of 0.23 mL / min for 20 min. Ions were generated in a positive ionization mode using an electrospray ionization interface. The Fragmenter potential was 130 V, the interface heater was 300 ° C, and the scan range was from 100 to 1000 m / z . Referring to FIG. 3, it was confirmed that α-glucosyl rebaudioside A (MW 1129.01) was synthesized by binding glucose to the molecular weight of rebaudioside A (MW 967.01).

실험예 3.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구조분석Experimental Example 3. Analysis of structure of? -Glucosyl rebaudioside A

핵자기공명(NMR) 스펙트럼 측정법을 통해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당전이 반응산물의 구조를 분석하여 확인하였다.The structure of the reaction product obtained in the above example was analyzed and confirmed by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metry.

상기 반응산물을 20 mg씩 pyridine-d5에 용해시켜 사용하였으며, 이를 핵자기 공명(NMR) 분석을 통하여 1H-NMR(도 4 참조), 13C-NMR(도 5 참조), 1D-NOESY(도 6 참조), gCOSY(도 7 참조), gHSQCAD(도 8 참조), gHMBC(도 9 참조), 2D-TOCSY(도 10 참조) 스펙트럼을 얻어, 분자구조를 결정하였다.The reaction product was dissolved in pyridine-d5 in an amount of 20 mg. The reaction product was analyzed by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to find 1 H-NMR (see FIG. 4), 13 C- (See FIG. 6), gCOSY (see FIG. 7), gHSQCAD (see FIG. 8), gHMBC (see FIG. 9) and 2D-TOCSY (see FIG. 10) spectra.

상기 측정 결과(도 4 내지 도 10)를 분석한 결과, 류코노스톡 락티스 유래의 글루칸수크라아제에 의해 레바우디오사이드 A에 글루코오스가 전이되어, 구체적으로, α-1,6 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above measurement results (Fig. 4 to Fig. 10), glucose was transferred to rebaudioside A by glucan sucrose derived from Ryukono Stock Lactis, and specifically, α-1,6 glucosyl It was confirmed that Boudioside A was generated.

실험예 4.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 수용액의 보존 안정성Experimental Example 4: Storage stability of aqueous solution of? -Glucosyl rebaudioside A

농도별로 0.04%(w/v), 0.1%(w/v), 0.5%(w/v), 1%(w/v) 및 2%(w/v)의 레바우디오사이드 A 수용액과 실시예의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 수용액 각각을 25 ℃에서 30일 동안 보존하여 안정성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Was performed with 0.04% (w / v), 0.1% (w / v), 0.5% (w / v), 1% (w / v) and 2% (w / v) aqueous solution of levodioxide A Glucosyl rebaudioside A aqueous solution was stored at 25 캜 for 30 days to conduct the stability test.

시간 경과별로 각 수용액의 상층액만 취한 뒤 실험예 1-1.의 HPLC 분석 조건으로 상온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도 11a는 상기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 수용액의 농도별, 보존기간별 상온 안정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1b는 레바우디오사이드 A 수용액의 농도별, 보존기간별 상온 안정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도 11을 살펴보면, 수용액 상에서 상기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가 레바우디오사이드 A보다 더욱 안정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Only the supernatant of each aqueous solution was taken over time, and stability at room temperature was confirmed by HPLC analysis conditions of Experimental Example 1-1. FIG. 11A is a graph showing the stability at room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aqueous solution of? -Glucosyl rebaudioside A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and FIG. 11B is a graph showing the stability at room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aqueous solution of rebaudioside A and storage period. 11, it was confirmed that the α-glucosyl rebaudioside A was more stable than the rebaudioside A in the aqueous solution.

실험예 5.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 수용액의 pH 및 열 안정성Experimental example 5. pH and thermal stability of aqueous solution of? -Glucosyl rebaudioside A

실험예 5-1.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 수용액의 pH 안정성Experimental Example 5-1. pH stability of aqueous solution of? -glucosyl rebaudioside A

0.04%(w/v)의 레바우디오사이드 A 수용액과 실시예의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 수용액 각각을 브리튼-로빈슨 완충액(pH 1.4-10)으로 80 ℃에서 2 시간 동안 건열 반응시킨 후 각 반응산물을 HPLC 분석하였다. 도 12는 레바우디오사이드 A 수용액과 상기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 수용액 각각의 pH에 따른 안정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도 12를 살펴보면, 수용액 상에서 상기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 및 레바우디오사이드 A 모두 pH 1.4에서 pH 10까지 80% 이상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상기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가 레바우디오사이드 A보다 더욱 안정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n aqueous solution of 0.04% (w / v) rebaudioside A and an aqueous solution of? -Glucosyl rebaudioside A of the example were subjected to dry heat reaction at 80 ° C for 2 hours with Britain-Robinson buffer (pH 1.4-10) Each reaction product was analyzed by HPLC. FIG. 12 is a graph showing the stability of the aqueous solution of the rebaudioside A and the aqueous solution of the .alpha.-glucosyl rebaudioside A according to the pH. 12, it was confirmed that both the α-glucosyl rebaudioside A and the rebaudioside A showed stability of 80% or more from pH 1.4 to pH 10 in the aqueous solution.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α-glucosyl rebaudioside A was more stable than the rebaudioside A.

실험예 5-2.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 수용액의 열 안정성Experimental Example 5-2. Thermal stability of aqueous solution of? -glucosyl rebaudioside A

0.04%(w/v)의 레바우디오사이드 A 수용액과 실시예의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 수용액을 각각 40 ℃, 80℃ 및 120 ℃에서 2 시간 동안 건열 반응시킨 후 각 반응산물을 HPLC 분석하였다. 도 13a는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온도에 따른 열 안정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3b는 상기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온도에 따른 열 안정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도 13을 살펴보면, 레바우디오사이드 A 및 상기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 모두 고온에서도 분해되는 물질 없이 열에 안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aqueous solution of 0.04% (w / v) rebaudioside A and the aqueous solution of? -Glucosyl rebaudioside A of the example were subjected to dry heat reaction at 40 ° C, 80 ° C and 120 ° C for 2 hours, Respectively. 13A is a graph showing the thermal stability of rebaudioside A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FIG. 13B is a graph showing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α-glucosyl rebaudioside A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Referring to FIG. 13, it was confirmed that both rebaudioside A and α-glucosyl rebaudioside A were stable to heat without decomposition even at high temperatures.

실험예 6.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음료(콜라) 안정성Experimental Example 6. Beverage (Cola) Stability of? -Glucosyl rebaudioside A

기포가 제거된 콜라에 레바우디오사이드 A와 실시예의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각각 0.04%(w/v)의 농도로 첨가하고, 각각의 콜라 시료를 4 ℃, 24 ℃, 40 ℃, 80 ℃에서 48시간 동안 건열 반응시켰다. 그 후, 0 시간, 24 시간, 48 시간마다 상기 시료를 HPLC를 통해 분해 정도를 확인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The bubble-free cola rebaudioside A and the α-glucosyl rebaudioside A of the example were respectively added at a concentration of 0.04% (w / v), and each of the cola samples was stored at 4 ° C., Deg.] C and 80 [deg.] C for 48 hours. Thereafter, the degree of decomposition of the sample was confirmed by HPLC at 0 hours, 24 hours, and 48 hour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구분division 콜라(pH 2.49)에 용해된 상태에서의 안정성Stability in solution in cola (pH 2.49) 4 ℃4 ℃ 24 ℃24 40 ℃40 ℃ 60 ℃60 ° C 80 ℃80 ℃ 24h24h 48h48h 24h24h 48h48h 24h24h 48h48h 24h24h 48h48h 24h24h 48h48h 레바우디오사이드 ARebaudioside A 100100 100100 100100 100100 99.7799.77 99.0799.07 88.2588.25 78.5478.54 25.4525.45 7.227.22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
α-glucosyl
Rebaudioside A
100100 100100 100100 100100 99.8899.88 99.2199.21 91.0391.03 82.2282.22 32.5532.55 11.5911.59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콜라에 용해된 상태에서는 레바우디오사이드 A 및 상기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 모두 40 ℃ 이상의 온도에서 분해되기 시작하였고, 레바우디오사이드 A에 비해 상기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가 더욱 안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shown in Table 1, both of the rebaudioside A and the α-glucosyl rebaudioside A dissolved in the cola began to decompose at a temperature of 40 ° C. or higher, and the α - glucosyl rebaudioside A was more stable.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erms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mentioned above,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cover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s fall within the tru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s (11)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19 위치의 글루코오스에 글루코오스가 α-1,6 글리코시드 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부가된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Glucosyl rebaudioside A. Glucosyl rebaudioside to which glucose is attached at the 19-position of rebaudioside A by an α-1,6 glycoside bo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인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
[화학식 1]
Figure pat0000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Glucosyl rebaudioside A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Glucosyl rebaudioside A.
[Chemical Formula 1]
Figure pat00003
당전이 효소의 존재 하에 레바우디오사이드 A 및 설탕으로부터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제조방법.Glucosyl rebaudioside A in the presence of said enzyme in the presence of said enzyme and a step of preparing? -Glucosyl rebaudioside A from rebaudioside A and sugar in the presence of said enzym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당전이 효소는 글루칸수크라아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3,
Glucosyl rebaudioside A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lycoconjugate enzyme is glucan sucros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글루칸수크라아제는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EG001 균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제조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glucan sucrose is obtained from a strain of Leuconostoc lactis EG001. The method for producing? -Glucosyl rebaudioside A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lucan sucrose is obtained from a strain of Leuconostoc lactis EG00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당전이 효소는 당전이 효소 유전자를 함유하는 벡터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대장균, 바실러스, 효모, 코리네박테리움 또는 아그로박테리움으로부터 생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3,
Glucosyl rebaudioside A, which is produced from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Bacillus, yeast, Corynebacterium or Agrobacterium transformed with a vector containing a glycosyltransferase gene, Wa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당전이 효소 유전자는 서열번호 1의 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Glucosyl rebaudioside A, wherein the glycosyltransferase gene has the sequence of SEQ ID NO: 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당전이 효소가 설탕의 글루코오스를 상기 레바우디오사이드 A에 전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3,
Glucosyl rebaudioside A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zyme of the sugar chain transposes glucose of the sugar to the rebaudioside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수율이 8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yield of? -Glucosyl rebaudioside A is 85% or more.
제1항 또는 제2항의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A sweetener composition comprising? -Glucosyl rebaudioside A according to claim 1 or 2. 제1항 또는 제2항의 α-글루코실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A food composition comprising? -Glucosyl rebaudioside A according to claim 1 or 2.
KR1020170162095A 2017-11-29 2017-11-29 Novel α-Glucosyl-Rebaudioside 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21224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095A KR102122482B1 (en) 2017-11-29 2017-11-29 Novel α-Glucosyl-Rebaudioside 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095A KR102122482B1 (en) 2017-11-29 2017-11-29 Novel α-Glucosyl-Rebaudioside 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189A true KR20190063189A (en) 2019-06-07
KR102122482B1 KR102122482B1 (en) 2020-06-15

Family

ID=66849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095A KR102122482B1 (en) 2017-11-29 2017-11-29 Novel α-Glucosyl-Rebaudioside 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48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591A (en) * 2009-03-26 2010-10-0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Glucansucrase derived from leuconostoc lacti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160111998A (en) 2014-01-28 2016-09-27 페푸시코인코포레이팃드 Rebaudioside m enzymatic preparation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591A (en) * 2009-03-26 2010-10-0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Glucansucrase derived from leuconostoc lacti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160111998A (en) 2014-01-28 2016-09-27 페푸시코인코포레이팃드 Rebaudioside m enzymatic preparation metho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rbohydrate Research, 2017.1.31.(온라인 공개일), Vol. 440-441, Pages 51-6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482B1 (en) 202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4227A (en) NOVEL α-GLUCOSYL STEVIOSID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N107532189B (en) Method for the enzymatic modification of steviol glycosides, modified steviol glycosides obtainable thereby and their use as sweeteners
KR101559478B1 (en) Method for Preparing Natural High Intensity Sweetener Rebaudiside A by Using Enzymatic Conversion
US11878992B2 (en) Crystallization of steviol glycosides
KR20200133250A (en) High-purity steviol glycoside
JPS58149697A (en) Preparation of beta-1,3-glycosyl stevioside
KR20190015334A (en) Glycosylated steviol glycosid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glycosylated steviol glycoside composition
JP2022530706A (en) Uridine diphosphate-dependent glycosyltransferase
CN112391426A (en) Glucosyl stevia composition
BR112017021066B1 (en) STEVIOL GLYCOSIDES,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STEVIOL GLYCOSIDE, COMPOSITION, RELATED USES, FOOD, PET FOOD AND BEVERAGE
JP2002045145A (en) Sweeten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210125474A (en) High Purity Steviol Glycoside
KR20200132940A (en) High-purity steviol glycoside
KR20210129679A (en) High Purity Steviol Glycoside
WO2005021564A1 (en) Cyclic maltosyl maltose, cyclic maltosyl maltose synthase,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JP4147038B2 (en) Rakan fruit glycosides with improved tas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S62146599A (en) Production of rebaudioside a
CN107849081B (en) Steviol glycoside compositions
JP4164367B2 (en) Branched cyclic tetrasaccharide, production method and use thereof
WO2002088374A1 (en) Process for producing isomaltose and use thereof
US20190169220A1 (en) Crystallization of steviol glycosides
WO2002055708A1 (en) POLYPEPTIDE HAVING α-ISOMALTOSYLGLUCOSACCHARIDE SYNTHASE ACTIVITY
JP5952442B2 (en) Method for improving taste of high intensity sweetener
KR20190063189A (en) Novel α-Glucosyl-Rebaudioside 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5447754B2 (en) Method for improving taste of high intensity sweete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