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709A - The fabrication method of fine particle of biodegradable polymer, the fabrication method of injection including the same, and reactor for manufacturing fine particle of biodegradable polymer - Google Patents

The fabrication method of fine particle of biodegradable polymer, the fabrication method of injection including the same, and reactor for manufacturing fine particle of biodegradable polym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709A
KR20190062709A KR1020170161178A KR20170161178A KR20190062709A KR 20190062709 A KR20190062709 A KR 20190062709A KR 1020170161178 A KR1020170161178 A KR 1020170161178A KR 20170161178 A KR20170161178 A KR 20170161178A KR 20190062709 A KR20190062709 A KR 20190062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degradable polymer
polymer microparticles
solution
microparticles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1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2441B1 (en
Inventor
권한진
문호상
정민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Priority to KR1020170161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441B1/en
Publication of KR20190062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7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4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24Treatment for improving the free-flowing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1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6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being biodegrad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25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6Flowable or injectable impla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16Biodegradable 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A production method of biodegradable polymeric microparticles comprises the steps of injecting a dispersion solution in which biodegradable polymers are dispersed in a continuous reactor; injecting an emulsified solution into the continuous reactor to produce biodegradable polymeric microparticles in Taylor-Couette fluid flow; discharging a discharge liquid containing the biodegradable polymeric microparticles in the continuous reactor and stabilizing the biodegradable polymeric microparticles by injecting the discharged liquid into a reactor in which a stabilized liquid is stirred; and separating the biodegradable polymeric microparticles.

Description

연속반응을 이용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의 제조 방법, 및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용 반응기{THE FABRICATION METHOD OF FINE PARTICLE OF BIODEGRADABLE POLYMER, THE FABRICATION METHOD OF INJECTION INCLUDING THE SAME, AND REACTOR FOR MANUFACTURING FINE PARTICLE OF BIODEGRADABLE POLYM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using a continuous reaction,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 reactor for prepar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ND REACTOR FOR MANUFACTURING FINE PARTICLE OF BIODEGRADABLE POLYMER}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의 제조 방법, 및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용 반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크기와 형태의 조절이 용이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의 제조 방법, 및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용 반응기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 reactor for prepar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nd to a reactor for preparing biodegradable polymeric microparticles.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biodegradable polymeric microparticle preparation method and a biodegradable polymeric microparticle reactor.

현재 이용되는 주사제용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방법은 유화 용매 증발법(Emulsification Solvent Evaporation Method), 스프레이 건조법(Spray dry Method), 기계적 분쇄 방법(Mechanical milling Method) 등이 있다.Currently,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for injection are prepared by emulsification solvent evaporation method, spray drying method, mechanical milling method, and the like.

유화 용매 증발법(Emulsification-Solvent Evaporation Method)은 유기 용매에 고분자를 녹인 분산 용액과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유화 용액을 강하게 교반시켜 미세 입자를 형성하는 방법이다. 에멀젼은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이기 때문에 뭉침(Coalescence), 융합(Fusion), 상분리(Creaming) 등의 과정을 거쳐 수상과 유기상이 서로 분리되려고 하기 때문에 강력한 교반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회분식 반응으로는 대량합성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Emulsification-Solvent Evaporation Method is a method of forming fine particles by strongly stirring a dispersion solution in which an polymer is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and an emulsion solution containing a surfactant. Since the emulsion is in a thermodynamically unstable state, a strong agitating force is required because the aqueous phase and the organic phas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rough processes such as coalescence, fusion, and creaming. Therefore, There are difficult disadvantages.

한국 특허 번호 제10-1418888호를 참조하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고분자를 녹인 유기상에 발포성 염을 녹인 수용액을 첨가하여 친수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재분산, 유화시키는 이중 유화단계를 포함하는 미립 담체 제조방법도 알려져 있다 다만, 상기 미립 담체는 생분해성, 높은 공극율을 가지고 있으나 기계적 강도가 약하고, 강력한 교반력이 필요하여 회분식반응(Batch reaction)을 이용한 양산 공정의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Korean Patent No. 10-1418888 discloses a method for preparing a microcapsule comprising a double emulsification step of redispersing and emulsify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hydrophilic salt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hydrophilic surfactant dissolved in an organic phase in which an aliphatic polyester polymer is dissolved, However, the above particulate carrier has biodegradability and high porosity, but it has a weak mechanical strength and a strong agitating forc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apply a mass production process using a batch reaction.

한국 특허 번호 제10-1725279를 참조하면, 공업적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방법으로 스프레이 드라이(Spray dry)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를 DMSO(Dimethyl Sulfoxide)에 용해시킨 후 저온의 탄화수소 용액에 분사시켜 DMSO 및고분자 용액을 냉동시킨 후 저온의 염 수용액에서 DMSO를 제거함으로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다만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는 높은 공극율,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고 있으나 과량의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 원가가 매우 높고 넓은 입도분포를 가지고 있어 입자 크기의 제어가 어렵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Korean Patent No. 10-1725279, a spray dry method is used as a method capable of industrial mass production. It is a method to prepar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by dissolving a biodegradable polymer in DMSO (dimethyl sulfoxide), injecting it into a low temperature hydrocarbon solution, freezing the DMSO and the polymer solution, and then removing DMSO from the low temperature salt aqueous solution. However,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have a high porosity and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but they have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ion cost is very high using an excessive amount of organic solvent and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has a wide particle size distribution, making it difficult to control the particle size.

따라서, 생체 적합성, 생분해성, 입자모양, 입자크기,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고분자 미세 입자를 보다 쉽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대량합성 공정개발이 요구되어 왔다.Accordingly, there has been a demand for development of a mass synthesis process which can easily and inexpensively produce polymer fine particles having excellent biocompatibility, biodegradability, particle shape, particle size, and mechanical strength.

현재까지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들은 주로 회분식 공정(batch process)으로 제조되고 있고 있는데, 이는 목적하는 크기, 가교도 및 구조를 가지는 단분산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기에는 제약이 크다.Until now,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have been produced mainly by a batch process, which has a limitation in producing monodisperse polymer particles having a desired size, degree of crosslinking and structure.

예를 들면, 미국 등록 특허 제5863996호는 고분자 입자의 회분식 제조 공정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고분자 입자의 회분식 제조 공정에서는 목적물을 얻기 위하여, 단량체 또는 단량체를 포함하는 반응물을 회분식 반응기 내로 공급하고, 중합 반응을 수행하는 공정에 이어서, 중합체의 냉각, 제거 및 세척 공정 등의 등의 다수의 공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회분식 공정에서는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는 데에 장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도 크게 상승한다.For example, U.S. Pat. No. 5,863,996 discloses a batch process for preparing polymeric particles. In order to obtain a desired product in such a batch process of polymer particles, a step of supplying a reactant containing a monomer or a monomer into a batch reactor and performing a polymerization reaction, followed by a step of cooling, removing and washing the polymer, . Thus, in the batch process, it takes a long time to produce the polymer particles,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also greatly increased.

고분자 입자가 각종 용도에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단분산성(monodispersity) 등의 물성이 우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 공정에서는 다분산 입자가 생성되는 등 제조된 입자의 물성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In order for the polymer particles to be effectively applied to various uses, it is necessary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monodispersity are excellent. However, in the conventional process,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mainta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oduced particles such as polydisperse particles.

또한 기술적으로 원하는 모양과 크기의 입자를 결정하는 유화 단계에서 회분식반응기의 일반적인 교반 방법으로는 제조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를 일으키는 가장 큰 원인은 유기 용제에 용해된 고분자 용액과 물에 녹여진 유화 용액이 균일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분리되는 현상에서 주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는 유기용매와 물이 빠르게 섞이지 못하고 분리되며, 일부가 유화되지 못해 입자를 생성하지 못하거나 모양이 일그러지기 때문이다.In addition, i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produce by a general stirring method of the batch reactor in the emulsification step of determining particles of a desired shape and size technically. The main cause of this problem is the polymer solution dissolved in the organic solvent and the emulsified solution dissolved in the water can not maintain the uniform state, and the main cause can be found. This is because the organic solvent and water can not be quickly mixed and separated, and some of them can not be emulsified to generate particles or distort their shape.

한국 특허 번호 제10-1418888호Korean Patent No. 10-1418888 한국 특허 번호 제10-1725279호Korean Patent No. 10-1725279 미국 등록 특허 제5863996호United States Patent No. 5863996

M. Kanouni, H. L. Rosano, N. Naouli, Adv. Colloid Interface Sci. 99 (2002) 229-254; A. J. Webster, M. E. Cates, Langmuir, 14 (1998) 2068-2079M. Kanouni, H. L. Rosano, N. Naouli, Adv. Colloid Interface Sci. 99 (2002) 229-254; A. J. Webster, M. E. Cates, Langmuir, 14 (1998) 2068-2079

본 발명의 목적은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크기와 형태의 조절이 용이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which facilitates mass production of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nd facilitates the control of size and shape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본 발명의 목적은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크기와 형태의 조절이 용이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포함하는 주사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n injection compris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which are easy to mass-produce and which can easily control the size and shape of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본 발명의 목적은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크기와 형태의 조절이 용이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제조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용 반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ctor for produc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which can easily produce mass-produced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with ease in size and shape of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 방법은 연속 반응기에, 생분해성 고분자가 분산된 분산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 유화 용액을 상기 연속 반응기에 주입하여, 쿠에트 테일러 유체 흐름으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연속 반응기에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포함하는 토출액을 토출하고, 안정화액이 교반된 반응기에 상기 토출액을 주입하여,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안정화하는 단계, 및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produc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jecting a dispersion solution in which a biodegradable polymer is dispersed into a continuous reactor, injecting an emulsion solution into the continuous reactor, Generat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discharg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in the continuous reactor, inject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into the reactor in which the stabilizing liquid has been stirred, And separat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상기 분산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PDO),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및 그 이성질체 및 폴리카프로락톤(Polycarprolactone, PCL)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의 평균 분자량은 50,000 내지 300,000인 것일 수 있다.In the step of injecting the dispersion solution, the biodegradable polymer is selected from among polydioxanone (PDO), polylactic acid (PLA) and its isomers and polycarprolactone (PCL)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macromolecular polymer may be from 50,000 to 300,000.

상기 분산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분산 용액은 용매를 포함한다. 상기 용매는 과불소알콜, DMF (N,N-Dimethylforamide), DMSO (Dimethyl sulfoxide), 염소화탄화수소, 탄화수소 및 알킬알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의 함량은, 상기 분산 용액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인 것일 수 있다.In the step of injecting the dispersion solution, the dispersion solution includes a solvent. The solvent includes at least one of perfluoro alcohol, N, N-dimethylformamide (DMF), dimethyl sulfoxide (DMSO), chlorinated hydrocarbons, hydrocarbons and alkyl alcohols. The content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may be 1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dispersion solution.

상기 분산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분산 용액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에틸렌옥사이드 삼원 공중합체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삼원 공중합체의의 평균분자량은 7,000 내지 15,000이고, 상기 삼원 공중합체의 함량은, 상기 분산 용액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인 것일 수 있다.In the step of injecting the dispersion solution, the dispersion solution further comprises a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polyethylene oxide terpolymer.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terpolymer may be 7,000 to 15,000, and the content of the terpolymer may be 1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dispersion solution.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크기는 1 내지 300㎛인 것일 수 있다.In the step of produc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the size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may be 1 to 300 μm.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는 안면 성형 필러, 남성 보형물, 또는 요실금 치료제에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may be used for a facial forming filler, a male implant, or a therapeutic agent for urinary incontinence.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유화 용액은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및 그 염, 대두 레시틴(soybean Lecithin), 및 모노글리세리드(monoglycer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step of produc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the emulsifying solution may contain at least one of polyvin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an and salts thereof, soybean lecithin, and monoglyceride .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안정화하는 단계에서, 상기 안정화액은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및 그 염, 대두 레시틴(soybean Lecithin), 및 모노글리세리드(monoglycer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In the step of stabiliz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the stabilizing liquid may contain at least one of polyvin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an and salt thereof, soybean lecithin, and monoglyceride To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제의 제조 방법은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수용액에 알긴산(Alginic acid) 및 그 염, 히알루론산(Hyalurinic acid) 및 그 염,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lmethyl cellulose) 및 그 염, 덱스트란(Dextran) 및 그 염, 콜라겐(collagen), 젤라틴(Gelatin), 및 엘라스틴(Elastin)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고, 동결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는 연속 반응기에, 생분해성 고분자가 분산된 분산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 유화 용액을 상기 연속 반응기에 주입하여, 쿠에트 테일러 유체 흐름으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연속 반응기에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포함하는 토출액을 토출하고, 안정화액이 교반된 반응기에 상기 토출액을 주입하여,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안정화하는 단계, 및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preparing an injectable prepa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repar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dd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lginic acid and its salt, hyaluronic acid and its salt, Providing at least one of Carboxylmethyl cellulose and its salt, Dextran and its salts, collagen, Gelatin, and Elastin, and lyophilizing it. Preparing the aqueous solution comprises the steps of injecting a dispersion solution in which a biodegradable polymer is dispersed into a continuous reactor, injecting an emulsion solution into the continuous reactor to produc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in a Kuett Taylor fluid flow, Discharging a discharged liquid contain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in the continuous reactor and injecting the discharged liquid into a reactor in which the stabilized liquid is stirred to stabilize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nd separating the particles.

상기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는 상기 수용액을 기준으로 10 내지 80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In preparing the aqueous solution,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10 to 80% by weight based on the aqueous solution.

상기 수용액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제공할 때,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는 상기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가 포함된 상기 수용액을 기준으로, 30 내지 60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When the carboxymethylcellulose is provided to the aqueous solution,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30 to 60% by weight based on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carboxymethylcellulose.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크기는 10 내지 300㎛인 것일 수 있다.The size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fine particles may be 10 to 300 탆.

상기 동결 건조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멸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멸균하는 단계는 감마선 멸균, 에틸렌옥사이드 멸균, 또는 감압 멸균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And sterilizing the lyophilized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The sterilization may be performed by gamma sterilization, ethylene oxide sterilization, or vacuum sterilization.

상기 주사제는 안면 성형 필러, 남성 보형물, 또는 요실금 치료제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The injection may be a facial forming filler, a male implant, or a therapeutic agent for urinary incontine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용 반응기는 쿠에트 테일러 유체 흐름으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가 형성되는 연속 반응기, 유화 용액을 상기 연속 반응기에 투입하는 제1 투입구, 생분해성 고분자가 분산된 분산 용액을 상기 연속 반응기에 투입하는 제2 투입구, 상기 연속 반응기에서 생성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포함하는 반응액을 토출하는 반응액 토출부, 및 상기 반응액에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분리하는 연속 원심 분리기를 포함한다.The reactor for produc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inuous reactor in which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re formed by a Kuett Taylor fluid flow, a first inlet for injecting an emulsified solution into the continuous reactor, a biodegradable polymer A second inlet for introducing the dispersion solution into the continuous reactor, a reaction solution discharging part for discharging the reaction solution contain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produced in the continuous reactor, and a second solution inlet for discharg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fine And a continuous centrifuge separating the particles.

상기 연속 반응기는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가 생성되는 반응부, 상기 실린더의 일측에 배치되는 교반 모터, 및 상기 반응부와 이격되고, 상기 교반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교반봉을 포함한다.The continuous reactor includes a reaction part generat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 stirring moto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ylinder, and a stirring rod spaced apart from the reaction part and driven by the stirring motor.

상기 교반 모터는 10 내지 2000rpm의 회전 속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The stirring motor may have a rotation speed of 10 to 2000 rpm.

상기 제1 투입구는 상기 반응부의 1/4 지점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inlet may be disposed at a quarter of the reaction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크기와 형태의 조절이 용이하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duc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ss production of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is easy, and the size and shape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can be easily controll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크기와 형태의 조절이 용이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주사제에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j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can be easily mass-produced and easily controlled in size and shape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용 반응기에 의하면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크기와 형태의 조절이 용이하다.According to the reactor for manufactur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mass-produc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nd it is easy to control the size and shape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제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용 반응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 내지 3의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촬영한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연속 반응기 내에서의 체류 시간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촬영한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은 교반 속도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x200 배율의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x1,000 배율의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x5,000 배율의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x10,000 배율의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1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j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produc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actor for produc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lectron micrograph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of Examples 1 to 3. FIG.
5 is an electron micrograph of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ccording to the residence time in a continuous reactor.
FIG. 6 is a photograph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fine particles according to the stirring speed.
FIG. 7 is a photograph of a biodegradable polymer fine particle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n electron microscope at x200 magnification.
FIG. 8 is a photograph of a biodegradable polymer fine particle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n electron microscope at an x1,000 magnification.
9 is a photograph of a biodegradable polymer fine particle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n electron microscope at an x5,000 magnification.
10 is a photograph of a biodegradable polymer fine particle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n electron microscope at x10,000 magnification.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enlarged from the actual for the sake of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부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lso, where a portion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or the like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portion,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on" another portion,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portion in between. On the contrary,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or the like is referred to as being "under"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underneath" another part but also another part in the middle.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폴리머 조성물 및 배합물의 양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 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 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Unless otherwise specified, all numbers, values, and / or representations that express the amounts of components, reaction conditions, polymer compositions, and combinations used herein are intended to include those numb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n all cases the term " about " is to be construed as an approximation reflecting the various uncertainties of the measurement. Also, where a numerical range i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such a range is contiguous and includes all values from the minimum value of this range to the maximum value including the maximum value, unless otherwise indicated. Further, when such a range refers to an integer, all integers including the minimum value to the maximum value including the maximum value are includ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가 변수에 대해 기재되는 경우, 상기 변수는 상기 범위의 기재된 종료점들을 포함하는 기재된 범위 내의 모든 값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5 내지 10"의 범위는 5, 6, 7, 8, 9, 및 10의 값들뿐만 아니라 6 내지 10, 7 내지 10, 6 내지 9, 7 내지 9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5.5, 6.5, 7.5, 5.5 내지 8.5 및 6.5 내지 9 등과 같은 기재된 범위의 범주에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10% 내지 30%"의 범위는 10%, 11%, 12%, 13% 등의 값들과 30%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들뿐만 아니라 10% 내지 15%, 12% 내지 18%, 20% 내지 30%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10.5%, 15.5%, 25.5% 등과 같이 기재된 범위의 범주 내의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range is described for a variabl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variable includes all values within the stated range including the end points described in the range. For example, a range of " 5 to 10 " may include any subrange, such as 6 to 10, 7 to 10, 6 to 9, 7 to 9, etc., as well as values of 5, 6, 7, 8, 9, And will also be understood to include any value between integers that are reasonable within the scope of the stated ranges such as 5.5, 6.5, 7.5, 5.5 to 8.5 and 6.5 to 9, and so on. Also, for example, a range of " 10% to 30% " may range from 10% to 15%, 12% to 12%, as well as all integers including values of 10%, 11%, 12%, 13% And any arbitrary integer within the range of ranges described, such as 10.5%, 15.5%, 25.5%, and the like, including any subranges such as 18%, 20%

먼저,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a method for produc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nd a method for producing an injection contain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제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1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j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produc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제의 제조 방법은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S10), 및 수용액에 알긴산(Alginic acid) 및 그 염, 히알루론산(Hyalurinic acid) 및 그 염,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lmethyl cellulose) 및 그 염, 덱스트란(Dextran) 및 그 염, 콜라겐(collagen), 젤라틴(Gelatin), 및 엘라스틴(Elastin)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고, 동결 건조하는 단계(S20)를 포함한다.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S10)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준비하는 단계는 연속 반응기에, 생분해성 고분자가 분산된 분산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S100), 유화 용액을 연속 반응기에 주입하여, 쿠에트 테일러 유체 흐름으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생성하는 단계(S200), 연속 반응기에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포함하는 토출액을 토출하고, 안정화액이 교반된 반응기에 토출액을 주입하여,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안정화하는 단계(S300), 및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분리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method for preparing an injectable prepa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repar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S10), add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lginic acid and its salt, hyaluronic aci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t least one of Hyalurinic acid and its salts, Carboxylmethyl cellulose and salts thereof, Dextran and its salts, collagen, Gelatin, and Elastin, And lyophilization (S20). Step S10 of preparing an aqueous solution includes prepar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1 and 2, the preparation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comprises the steps of injecting a dispersion solution in which a biodegradable polymer is dispersed into a continuous reactor (S100), injecting an emulsion solution into a continuous reactor, (S200) of produc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by Taylor fluid flow, discharging a discharge contain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in a continuous reactor, injecting a discharge liquid into a reactor in which the stabilized liquid is stirred, Stabilizing the fine particles (S300), and separat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fine particles (S400).

먼저, 연속 반응기에, 생분해성 고분자가 분산된 분산 용액을 주입한다(S100).First, a dispersion solution in which a biodegradable polymer is dispersed is injected into a continuous reactor (S100).

분산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S100)에서,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PDO),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및 그 이성질체 및 폴리카프로락톤(Polycarprolactone, PCL) 중에서 선택된다.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은 과불소알콜류에 녹일 수 있다. 과불소알콜은 불소원자가 3 내지 13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콜화합물로, 예를 들면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판올이 포함될 수 있다.In step S100 of injecting the dispersion solution, the biodegradable polymer is selected from polydioxanone (PDO), polylactic acid (PLA) and its isomers and polycarprolactone (PCL). Polydioxanone can be dissolved in perfluoroalcohols. The perfluoroalcohol is an alcohol compound having 1 to 6 carbon atoms substituted with 3 to 13 fluorine atoms, for example, 1,1,1,3,3,3-hexafluoro-2-propanol.

생분해성 고분자의 평균 분자량은 50,000 내지 300,000인 것일 수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의 평균 분자량은 50,000 미만이면 분해 속도가 빨라 필러용 생체소재로서의 가치가 떨어지고, 생분해성 고분자의 평균 분자량은 300,000 초과이면 높은 점탄성으로 인해 가공이 어려운 관계로 균일한 크기와 품질의 입자를 만들기 어렵다.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may be from 50,000 to 300,000. When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is less than 50,000, the biodegradable polymer has a low degradation rate and the biodegradable polymer has an average molecular weight of more than 300,000, which is difficult to process due to high viscoelasticity. It is difficult to make.

생분해성 고분자의 함량은, 분산 용액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높은 점도로 인해 유화 용액과 교반시 쿠에트 테일러 유체 흐름을 만들기 어렵거나 유화 농도가 낮을 경우 입자를 형성하지 못한다.The content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may be 1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dispersion solution. Outside of this range, it is difficult to form a quartetail fluid stream during stirring with the emulsified solution due to its high viscosity or to form particles when the emulsification concentration is low.

분산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S100)에서, 분산 용액은 용매를 포함한다. 용매는 과불소알콜, DMF (N,N-Dimethylforamide), DMSO (Dimethyl sulfoxide), 염소화탄화수소, 탄화수소 및 알킬알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In the step (S100) of injecting the dispersion solution, the dispersion solution includes a solvent. The solvent includes at least one of perfluoro alcohol, N, N-dimethylformamide (DMF), dimethyl sulfoxide (DMSO), chlorinated hydrocarbons, hydrocarbons and alkyl alcohols.

분산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S100)에서, 분산 용액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에틸렌옥사이드 삼원 공중합체를 더 포함한다. 삼원 공중합체의의 평균 분자량은 7,000 내지 15,000일 수 있다. 삼원 공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은 7,000 미만이면 입자의 표면이 고르지 않고, 삼원 공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은 15,000 초과이면 높은 점도로 인해 구형의 미세입자 제조가 어렵다. 삼원 공중합체의 함량은, 분산 용액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입자내의 침투성과 점도의 차이로 인해 생성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형상을 제어하기 어렵다.In the step (S100) of injecting the dispersion solution, the dispersion solution further comprises a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polyethylene oxide terpolymer.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terpolymer may be from 7,000 to 15,000. When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terpolymer is less than 7,000, the surfaces of the particles are uneven, and when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terpolymer is more than 15,000, it is difficult to produce spherical fine particles because of high viscosity. The content of the terpolymer may be 1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dispersion solution.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shape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generated due to the difference in permeability and viscosity in the particles outside the above range.

삼원 공중합체는 생분해성 미세 입자의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삼원 공중합체는 생성되는 생분해성 미세 입자의 표면에 흡착되어 입자 사이에서 흡착막을 생성하여 입자간의 응집을 막아준다.The terpolymer can determine the shape of biodegradable microparticles. The terpolymer is adsorbed on the surface of the produced biodegradable fine particle to form an adsorbed film between the particles to prevent coagulation between particles.

다음으로, 유화 용액을 연속 반응기에 주입하여, 쿠에트 테일러 유체 흐름으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생성한다(S200).Next, the emulsified solution is injected into a continuous reactor to produc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in a Kuett Taylor fluid flow (S200).

유화 용액은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및 그 염, 대두 레시틴(soybean Lecithin), 및 모노글리세리드(monoglycer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emulsifying solution may contain at least one of polyvin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an and salts thereof, soybean lecithin, and monoglyceride.

유화 용액이 폴리비닐알콜을 포함할 때, 유화 용액은 폴리비닐알콜을 물 또는 물과 알킬알콜 혼합 용액에 용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폴리비닐알콜의 함량은 유화 용액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계면활성제로 작용하는 PVA의 유화작용이 약화되어 미세입자를 만들기 어렵다. When the emulsifying solution contains polyvinyl alcohol, the emulsifying solution can be used by dissolving the polyvinyl alcohol in water or a mixture of water and an alkyl alcohol. At this time, the content of polyvinyl alcohol may be 1 to 10 wt% based on the emulsified solution. Outside of the above range, the emulsifying action of the PVA serving as a surfactant is weakened, making it difficult to form fine particles.

폴리비닐알콜은 50,000 내지 200,000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삼원 공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은 50,000 미만이면 유화작용이 매우 떨어지며, 삼원 공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이 200,000 초과이면 높은 농도로 인해 테일러 흐름을 원활히 형성하기 어렵다. The polyvinyl alcohol may have an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0 to 200,000. If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terpolymer is less than 50,000, the emulsification action is very poor. If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terpolymer exceeds 200,000, it is difficult to smoothly form the Taylor flow due to the high concentration.

유화 용액은 계면 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양쪽성의 계면 활성제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모노라우레이트 (트윈 20 상품),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팔미테이트 (트윈 40 상품),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트윈 60 상품),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올레에이트 (트윈 80 상품), 및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트리올레에이트(트윈 85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mulsifying solution may contain a surfactant. As the surfactant, any of anionic, cationic or amphoteric surfactants can be used. Surfactants include, for example,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Tween 20 product),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Tween 40 product),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Tween 60 product), poly 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Tween 80 product),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trioleate (Tween 85 product).

유화 용액을 분산 용액이 주입된 연속 반응기에 제공되면, 유화가 일어난다. 이 때 유화는 1 내지 30 분간 유화하는 것일 수 있다. 1분 미만으로 유화가 진행되면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가 충분히 생성되지 않고, 30분 초과로 유화가 진행되면 제공되는 외력 대비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생산성이 떨어진다.When an emulsified solution is supplied to a continuous reactor into which a dispersion solution is injected, emulsification occurs. In this case, the emulsion may be emulsified for 1 to 30 minutes. When the emulsification is carried out for less than 1 minut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re not sufficiently produced, and when emulsification proceeds for more than 30 minutes, productivity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decreases compared to the external force.

이 때,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가 생성되고, 이는 일반적인 기계적 교반법, 예를 들어 마그네틱 바를 이용한 교반법, 기계적 시트어(mechanical stirrer) 또는 균질기를 사용한 교반법이 아닌 쿠에트 테일러 유체 흐름을 적용한 방법이다. 쿠에트 테일르 유체 흐름은 회분식 교반법에 비하여, 강력한 교반력을 갖고, 회분식 반응과는 다르게 반응시간과 연속 반응기 내부를 통과하는 시간과 비례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At this tim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re produced, which can be obtained by a general mechanical stirring method, for example, a stirring method using a magnetic bar, a stirring method using a mechanical stirrer or a homogenizer, a method using a Kuett Taylor fluid flow to be. Unlike the batchwise agitation method, the quettiell fluid flow has a strong agitating force and ha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roportional to the reaction time and the time passing through the continuous reactor, unlike the batch reaction.

안정화액이 교반된 반응기에 토출액을 주입하여,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안정화한다(S300). 안정화액은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또는 계면 활성제를 물 또는 물과 알킬알콜 혼합용액에 용해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안정화액이 폴리비닐알콜을 포함할 때, 폴리비닐알콜의 함량은 안정화액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의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re stabilized by injecting the effluent into the reactor in which the stabilizing liquid is stirred (S300). The stabilizing liquid may be prepared by dissolving polyvinyl alcohol or a surfactant in water or a mixed solution of water and an alkyl alcohol. When the stabilizing liquid contains polyvinyl alcohol, the content of polyvinyl alcohol may be 0.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stabilizing liquid.

안정화액은 10,000 내지 100,000 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비닐알콜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의 평균 분자량이 10,000 미만이면 입자의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폴리비닐알콜의 평균 분자량이 100,000 초과이면 세척과정에서 제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안정화액은 단일 성분의 수용액 또는 계면 활성제와 알킬알콜의 혼합 용액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stabilizing liquid may comprise polyvinyl alcohol having an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 to 100,000. If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vinyl alcohol is less than 10,000,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particles. If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vinyl alcohol is more than 100,000, the removal is difficult in the washing process. The stabilizing liquid may contain a single component aqueous solution or a mixed solution of a surfactant and an alkyl alcohol.

연속 반응기를 통과한 토출액은 이미 제조된 안정화 용액이 교반되고 있는 반응기로 연속적으로 주입이 되어 안정화 과정을 거친다. 토출액은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포함한다. 연속 반응기는 감압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감압 장치에 의해 유기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The effluent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continuous reactor is continuously injected into the reactor in which the stabilizing solution already prepared is stirred and stabilized. The effluent contains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The continuous reactor may include a decompression device, and the organic solvent may be removed by the decompression device.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분리한다(S400). 연속형 원심분리기 또는 고속 교반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와 용액을 분리한다. 알킬알콜과 물 또는 물 단독으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세척할 수 있다. 알킬알콜은 예를 들어,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re separated (S400).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nd the solution are separated using a continuous centrifuge or a high-speed stirring centrifuge. The alkyl alcohol and water or water alone can be used to wash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lkyl alcohols can be, for example, ethanol.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는 크기별로 분류할 수도 있다. 용액과 분리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분체기를 사용하여 크기별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기 체별(size sieving)기를 사용하여 건식 또는 습식으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크기별로 분류할 수 있다.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may be classified by size.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separated from the solution can be classified by size using a powder mill. For exampl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can be sized by dry or wet using size sieving machines.

습식으로 분체할 경우, 동결 건조를 추가적으로 시행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분류할 수도 있다.When wet-pulverized, freeze-drying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to remove water and then be classified.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크기는 1 내지 300㎛인 것일 수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크기란 예를 들어,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입경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The size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fine particles may be 1 to 300 탆. The size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may be, for example, the particle size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크기가 1㎛ 미만이면,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제조할 때, 크기를 제어하기 어렵고,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크기가 300㎛ 초과이면, 주사제용으로 사용되기 적합하지 않다.If the size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is less than 1 탆,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size when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re prepared, and if the size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is more than 300 탆,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re not suitable for injection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제의 제조 방법은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부형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부형제는 예를 들어, 알긴산(Alginic acid) 및 그 염, 히알루론산(Hyalurinic acid) 및 그 염,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lmethyl cellulose) 및 그 염, 덱스트란(Dextran) 및 그 염, 콜라겐(collagen), 젤라틴(Gelatin), 및 엘라스틴(Elast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제의 제조 방법은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부형제를 제공하고, 동결 건조하는 단계(S20)를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preparing an inj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providing an excipient to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The excipient may be, for example,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hyaluronic acid and salts thereof, carboxymethyl cellulose and salts thereof, dextran and its salts, collagen, Gelatin, and elastin. ≪ Desc / Clms Page number 7 > The method for preparing an inj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roviding an excipient to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nd lyophilizing (S20).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S10)에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는 수용액을 기준으로 10 내지 80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농도가 낮아 고르게 분산시키기 어렵고, 80 중량% 초과이면 낮은 수분 함량으로 동결 건조 및 부형제와의 혼합이 어렵다.In step S10 of preparing an aqueous solution,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10 to 80% by weight based on the aqueous solution. When the content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fine particles is less than 10% by weight, the concentration is low and it is difficult to disperse evenly. When the biodegradable polymer fine particles are more than 80%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freeze-dry and mix with the excipient.

상기 수용액에 따라혼합액의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와 부형제의 비율은 2:8 내지 8:2의 중량비%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부형제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들을 적정 농도로 고르게 분산 시키기 어렵다.Depending on the aqueous solution, the ratio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to the excipient in the mixture may be in a weight ratio of 2: 8 to 8: 2. If it is out of the above range, it is difficult to disperse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evenly at an appropriate concentration, out of the range in which the content of the excipient can be controlled.

이 때, 3롤밀(Three roll mill)을 사용하여 높은 점도의 혼합액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mixed liquid having a high viscosity can be evenly dispersed by using a three roll mil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제의 제조 방법은 동결 건조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멸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멸균하는 단계는 예를 들어, 감마선 멸균, 에틸렌옥사이드 멸균, 또는 감압 멸균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The method for preparing an inj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sterilizing the lyophilized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The step of sterilizing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by gamma sterilization, ethylene oxide sterilization, or vacuum sterilization.

주사제는 안면 성형 필러, 남성 보형물, 또는 요실금 치료제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안면 성형 필러에 사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크기는 10 내지 100㎛일 수 있다. 남성 보형물 또는 요실금 치료제에 사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크기는 100 내지 300㎛일 수 있다.Injection may be used as a facelift filler, a male implant, or a treatment for urinary incontinence. The size of the biodegradable polymeric microparticles used in the face-forming filler may be 10 to 100 mu m. The size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used for male implant or urinary incontinence treatment agent may be 100 to 300 탆.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제의 제조 방법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 방법은 쿠에트 테일러 유체 흐름을 사용하여,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크기와 형태의 조절이 용이하다.The method of producing an injectable ag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produc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mass-produc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using a Kuett Taylor fluid flow , It is easy to control the size and shape of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용 반응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제의 제조 방법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 방법과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하고, 동일 또는 유사한 것은 생략한다.Hereinafter, a reactor for produc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j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produc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the same or similar features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용 반응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actor for produc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용 반응기(100)는 제1 투입구(9), 제2 투입구(10), 연속 반응기(100), 반응액 토출부(11), 및 연속 원심 분리기(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용 반응기(100)는 유화 용액 보관소(1), 분산 용액 보관소(2), 폐액 배출구(13),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 회수부(14)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a reactor 100 for produc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nlet 9, a second inlet 10, a continuous reactor 100, (11), and a continuous centrifuge (12). The reactor 100 for produc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mulsion solution storage 1, a dispersion solution storage 2, a waste solution outlet 13, a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 recovery unit 14, .

연속 반응기(100)에서는 쿠에트 테일러 유체 흐름으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가 형성된다. 코에트 테일러 유체 흐름은 제1 투입구(9)로부터 제공된 유화 용액 및 제2 투입구(10)로부터 제공된 생분해성 고분자가 분산된 분산 용액이 서로 교반되어 형성된다. 제1 투입구(9)는 유화 용액 보관소(1)와 연결된다. 제2 투입구(10)는 분산 용액 보관소(2)와 연결된다.In the continuous reactor (100),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re formed by the Kuett Taylor fluid flow. The Coet Taylor fluid flow is formed by stirring the emulsion solution provided from the first inlet 9 and the dispersion solution in which the biodegradable polymer provided from the second inlet 10 is dispersed. The first inlet 9 is connected to the emulsion solution storage 1. The second inlet (10) is connected to the dispersion solution storage (2).

연속 반응기(100)에서 생성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포함하는 반응액은 반응액 토출부(11)로 토출된다. 반응액 토출부(11)로 토출된 반응액은 연속 원심 분리기(12)에서 폐액과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로 분리된다. 폐액은 폐액 배출구(13)로 배출된다.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 회수부(14)에서 회수된다.The reaction liquid contain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produced in the continuous reactor (100) is discharged to the reaction liquid discharge portion (11). The reaction liquid discharged to the reaction liquid discharge portion 11 is separated into waste liquid and biodegradable polymer fine particles in a continuous centrifuge (12). The waste liquid is discharged to the waste liquid discharge port (13).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re recovered in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 retrieval section (14).

연속 반응기(100)는 내부 실린더(5), 온도 조절부, 외부 실린더(7), 및 반응부(8)를 포함한다. 내부 실린더(5)는 고속으로 회전되어 반응액을 교반시키는 역할을 한다. 외부 실린더(7)에는 주입구 토출구 등이 장착되어있고 반응내부를 보호하는 역할 을 한다. 온도 조절부(6)는 반응부(8)와 외부 실린더(7) 사이에 냉각장치가 연결되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반응부(8)는 반응액이 채워지는 빈 공간으로서 코에트 테일러 유체 흐름에 의해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가 형성된다.The continuous reactor 100 includes an inner cylinder 5, a temperature regulating portion, an outer cylinder 7, and a reaction portion 8. The inner cylinder 5 is rotated at a high speed to stir the reaction liquid. The outer cylinder 7 is equipped with an injection orifice and serves to protect the inside of the reaction. The temperature regulating part 6 can control the temperature by connecting a cooling device between the reaction part 8 and the outer cylinder 7. The reaction part (8) is an empty space filled with the reaction liquid, and the biodegradable polymer fine particle is formed by the Koet Taylor fluid flow.

연속 반응기(100)는 교반 모터(3), 구동축(4), 교반봉을 더 포함한다. 교반 모터(3)는 교반봉을 회전 시키는 것일 수 있다. 교반봉은 교반 모터(3)에 의해 구동된다. 교반봉은 내부 실린더(5)에 제공된 유화 용액과 분산 용액을 교반한다. 교반봉은 구동축(4)에 중심으로, 교반 모터(3)에서 외력을 제공받아 구동된다. 교반봉은 반응부(8)와 이격된다.The continuous reactor (100) further includes a stirring motor (3), a driving shaft (4), and a stirring rod. The stirring motor 3 may rotate the stirring rod. The stirring rod is driven by the stirring motor 3. The stirring rod stirs the emulsion solution and dispersion solution provided in the inner cylinder (5). The agitating rod is driven by receiving an external force from the agitating motor 3 at the center of the drive shaft 4. [ The stir rod is spaced apart from the reaction part 8.

교반 모터(3)는 10 내지 2000 rpm의 회전 속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10 rpm 미만이면 유화 용액과 분산 용액이 충분히 교반되지 않고, 2000 rpm 초과이면 제공되는 외력대비 교반 효율이 높지 않다.The stirring motor 3 may have a rotation speed of 10 to 2000 rpm. If it is less than 10 rpm, the emulsified solution and the dispersion solution are not sufficiently stirred, and if it exceeds 2000 rpm, the stirring efficiency of the external force is not high.

제1 투입구(9)는 반응부(8)의 1/4 지점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으며, 충분한 회전력을 받는 지점에서 투입되어 강력한 교반력에 의해 구형의 미세입자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The first inlet 9 may be disposed at a quarter of the reaction part 8, and may be injected at a point receiving a sufficient rotational force to form spherical fine particles by a strong agitating for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용 반응기는 쿠에트 테일러 유체 흐름을 사용하여,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크기와 형태의 조절이 용이하다.
The reactor for produc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Kuett Taylor fluid flow to facilitate the mass production of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nd to control the size and shape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It is easy.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by way of specific examples.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 1: 폴리디옥사논 미세 입자의 제조
Example 1: Preparation of polydioxanone fine particles

평균 분자량이 100,000인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90g과 삼원 공중합체 F-127(바스프사 제품, 평균분자량 12,600), 삼원 공중합체 F-68(바스프사 제품, 평균분자량 8,400) 60g을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파놀(Hexafluoroisopropanol) 1500mL에 투입한 후 교반하여 혼합하였다.90 g of polydioxanone having an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0 and 60 g of a terpolymer F-127 (product of BASF, average molecular weight 12,600) and a terpolymer F-68 (product of BASF, average molecular weight 8,400) were dissolved in hexafluoro Was added to 1500 mL of isopropanol (Hexafluoroisopropanol), followed by stirring and mixing.

상기 폴리디옥사논 분산 용액을 쿠에트 테일러 유체 흐름을 이용한 연속반응기에 10mL/min의 속도로 투입하면서 5% PVA(평균분자량 130,000) 용액 7,500mL를 동시에 50mL/mL의 속도로 투입하였다. 반응기 내 체류시간은 10분을 유지한 후 반응액이 토출될 수 있도록 조절하였다.7,500 mL of 5% PVA (average molecular weight 130,000) solution was simultaneously added at a rate of 50 mL / mL while the dispersion solution of polydioxanone was fed into a continuous reactor using a Kuett Taylor fluid flow at a rate of 10 mL / min. The residence time in the reactor was maintained for 10 minutes and the reaction solution was adjusted to be discharged.

토출되는 반응액을 1% PVA(평균분자량 93,500) 7,500mL 용액에 투입하면서 교반시켰다. 토출액을 모두 투입한 후 감압 하에 24시간 교반시키면서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파놀을 제거하여 생성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안정화시켰다.The reaction solution to be discharged was stirred while being added to a 7,500 mL solution of 1% PVA (average molecular weight: 93,500). After the completion of the discharge, hexafluoroisopropanol was removed under reduced pressure with stirring for 24 hours to stabilize the result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가 포함된 반응액을 원심 분리기로 고액 분리하여 불순불이 제거된 폴리디옥사논 미세 입자를 얻었다. 이를 다시 900 mL 증류수로 5회 세척 후 원심 분리를 진행하여 잔류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하고 동결건조하여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인 폴리디옥사논 미세 입자를 완성하였다.The reaction liquid contain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was separated by solid - liquid separation using a centrifuge to obtain polydioxanone fine particles from which the impurity was removed. This was washed five times with 900 mL of distilled water and centrifuged to remove residual impurities completely and lyophilized to complete polydioxanone microparticles as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이 때, 연속 반응기의 유속을 500rpm, 1500rpm, 2000rpm으로 변화시키면서 생분해성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였다.At this time, the biodegradable polymer particles were produced by changing the flow rates of the continuous reactor at 500 rpm, 1500 rpm, and 2000 rpm.

또한, 연속 반응기에 투입되는 고분자 분산 용액과 유화 용액의 반응기 내 체류시간을 1 내지 10분까지 변화시키면서 생분해성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였다.
Also, biodegradable polymer particles were prepared by changing the residence time of the polymer dispersion solution and the emulsion solution in the reactor to 1 to 10 minutes.

실시예 2: 폴리락틴산 미세 입자의 제조
Example 2: Preparation of polylactic acid microparticles

폴리디옥사논 대신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파놀 대신 다이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The procedure of Example 1 was repeated except that polylactic acid was used in place of polydioxanone and dichloromethane was used in place of hexafluoroisopropanol.

실시예 3: 폴리락틴산 미세 입자의 제조
Example 3: Preparation of polylactic acid microparticles

폴리디옥사논 대신 폴리카프로락톤(Poly caprolactone),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파놀 대신 다이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The procedure of Example 1 was repeated except that poly caprolactone was used instead of polydioxanone and dichloromethane was used instead of hexafluoroisopropanol.

물성 측정Property measurement

1. 도 4는 실시예 1 내지 3의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촬영한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제조할 경우, 생분해성 고분자의 종류에 상관 없이 동일한 형태의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Fig. 4 is an electron micrograph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of Examples 1 to 3. Fig. Referring to FIG. 4, when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were prepared by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of the same type could be formed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2. 도 5는 연속 반응기 내에서의 체류 시간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촬영한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체류시간이 길수록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원활히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FIG. 5 is an electron micrograph of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ccording to the residence time in a continuous reactor. It was confirmed that the biodegradable polymer fine particles can be produced smoothly as the retention time becomes longer.

3. 도 6은 교반 속도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촬영한 사진이다. 교반 속도가 빠를수록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원활히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FIG. 6 is a photograph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fine particles according to the stirring speed. It was confirmed that the biodegradable polymer fine particles can be produced smoothly as the stirring speed is increased.

4.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x200 배율의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x1,000 배율의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x5,000 배율의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x10,000 배율의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4. FIG. 7 is a photograph of a biodegradable polymer fine particle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t an electron microscope of x200 magnification. FIG. 8 is a photograph of a biodegradable polymer fine particle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n electron microscope at an x1,000 magnification. 9 is a photograph of a biodegradable polymer fine particle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n electron microscope at an x5,000 magnification. 10 is a photograph of a biodegradable polymer fine particle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n electron microscope at x10,000 magnification.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는 대량으로 생산하여도 크기와 형태의 조절이 용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7 to 10,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prepared by the method for produc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ontrolled in size and shape even if they are produced in a large amount .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n-restrictive in every respect.

1: 유화 용액 보관소 2: 분산 용액 보관소
3: 교반 모터 4: 구동축
5: 내부 실린더 6: 온도 조절부
7: 외부 실린더 8: 반응부
9: 제1 투입구 10: 제2 투입구
11: 반응액 토출부 12: 연속 원심 분리기
13: 폐액 배출구 14: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 회수부
1: emulsion solution storage 2: dispersion solution storage
3: Stirring motor 4: Drive shaft
5: inner cylinder 6: temperature control unit
7: outer cylinder 8: reaction part
9: First inlet 10: Second inlet
11: reaction liquid discharging part 12: continuous centrifugal separator
13: waste liquid outlet 14: biodegradable polymer fine particle collecting part

Claims (18)

연속 반응기에, 생분해성 고분자가 분산된 분산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
유화 용액을 상기 연속 반응기에 주입하여, 쿠에트 테일러 유체 흐름으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연속 반응기에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포함하는 토출액을 토출하고, 안정화액이 교반된 반응기에 상기 토출액을 주입하여,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안정화하는 단계; 및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 방법.
Injecting a dispersion solution in which a biodegradable polymer is dispersed into a continuous reactor;
Injecting an emulsified solution into the continuous reactor to produc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in a Kuett Taylor fluid flow;
Discharging a discharged liquid contain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in the continuous reactor and injecting the discharged liquid into a reactor in which the stabilized liquid is stirred to stabilize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nd
And separat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from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PDO),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및 그 이성질체,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PGA) 및 그 이성질체, 및 폴리카프로락톤(Polycarprolactone, PCL)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의 평균 분자량은 50,000 내지 300,000인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injecting the dispersion solution,
The biodegradable polym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dioxanone (PDO), polylactic acid (PLA) and its isomers, polyglycolic acid (PGA) and its isomers, and polycarprolactone Selected,
Wherein the biodegradable polymer has an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0 to 300,0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분산 용액은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용매는
과불소알콜, DMF (N,N-Dimethylforamide), DMSO (Dimethyl sulfoxide), 염소화탄화수소, 탄화수소 및 알킬알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의 함량은, 상기 분산 용액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인 것인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injecting the dispersion solution,
Wherein the dispersion solution comprises a solvent,
The solvent
At least one of perfluoro alcohol, N, N-dimethylformamide (DMF), dimethyl sulfoxide (DMSO), chlorinated hydrocarbons, hydrocarbons and alkyl alcohols,
Wherein the content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is 1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dispersion solu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분산 용액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에틸렌옥사이드 삼원 공중합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삼원 공중합체의의 평균분자량은 7,000 내지 15,000이고,
상기 삼원 공중합체의 함량은, 상기 분산 용액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인 것인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injecting the dispersion solution,
Wherein the dispersion solution further comprises a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polyethylene oxide terpolymer,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terpolymer is 7,000 to 15,000,
Wherein the content of the terpolymer is 1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dispersion solu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크기는 1 내지 300㎛인 것인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produc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Wherein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have a size of 1 to 300 mu 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는
안면 성형 필러, 남성 보형물, 또는 요실금 치료제에 사용되는 것인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Wherein the biodegradable polymeric microparticles are used for facial forming fillers, male implants, or urinary incontinence treatmen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유화 용액은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및 그 염, 대두 레시틴(soybean Lecithin), 및 모노글리세리드(monoglycer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produc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Wherein the emulsifying solution contains at least one of polyvin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an and salt thereof, soybean lecithin, and monoglycer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안정화하는 단계에서,
상기 안정화액은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및 그 염, 대두 레시틴(soybean Lecithin), 및 모노글리세리드(monoglycer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stabiliz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Wherein the stabilizing liquid comprises at least one of polyvin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an and salt thereof, soybean lecithin, and monoglyceride. The method for produc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abilizing liquid comprises at least one of polyvin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an and salts thereof, soybean lecithin, and monoglyceride.
제1항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수용액에 알긴산(Alginic acid) 및 그 염, 히알루론산(Hyalurinic acid) 및 그 염,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lmethyl cellulose) 및 그 염, 덱스트란(Dextran) 및 그 염, 콜라겐(collagen), 젤라틴(Gelatin), 및 엘라스틴(Elastin)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고, 동결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사제의 제조 방법.
Prepar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prepared according to claim 1; And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hyaluronic acid and salts thereof, carboxymethyl cellulose and salts thereof, dextran and salts thereof, collagen, gelatin, ), And elastin (Elastin), followed by lyophiliz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는 상기 수용액을 기준으로 10 내지 80 중량% 포함되는 것인 주사제의 제조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In preparing the aqueous solution,
Wherein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re contained in an amount of 10 to 80% by weight based on the aqueous solu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제공할 때,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는 상기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가 포함된 상기 수용액을 기준으로, 30 내지 60 중량% 포함되는 것인 주사제의 제조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n carboxymethylcellulose is provided in the aqueous solution,
Wherein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re contained in an amount of 30 to 60% by weight based on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carboxymethyl cellulos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크기는 10 내지 300㎛인 것인 주사제의 제조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ize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is 10 to 300 mu 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 건조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멸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멸균하는 단계는
감마선 멸균, 에틸렌옥사이드 멸균, 또는 감압 멸균으로 수행되는 것인 주사제의 제조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erilizing the lyophilized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The sterilizing step
Gamma-ray sterilization, ethylene oxide sterilization, or vacuum steriliz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제는 안면 성형 필러, 남성 보형물, 또는 요실금 치료제로 사용되는 것인 주사제의 제조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injection is used as a facial forming filler, a male implant, or a treatment for urinary incontinence.
쿠에트 테일러 유체 흐름으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가 형성되는 연속 반응기;
유화 용액을 상기 연속 반응기에 투입하는 제1 투입구;
생분해성 고분자가 분산된 분산 용액을 상기 연속 반응기에 투입하는 제2 투입구;
상기 연속 반응기에서 생성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포함하는 반응액을 토출하는 반응액 토출부; 및
상기 반응액에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를 분리하는 연속 원심 분리기;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용 반응기.
A continuous reactor in which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re formed by a Kuett Taylor fluid flow;
A first inlet for introducing the emulsified solution into the continuous reactor;
A second inlet through which the dispersion solution in which the biodegradable polymer is dispersed is injected into the continuous reactor;
A reaction solution discharging part for discharging a reaction solution contain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produced in the continuous reactor; And
And a continuous centrifugal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from the reaction solu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반응기는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가 생성되는 반응부;
실린더의 일측에 배치되는 교반 모터; 및
상기 반응부와 이격되고, 상기 교반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교반봉을 포함하는 것인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용 반응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ntinuous reactor
A reaction part generat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fine particles;
A stirring moto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ylinder; And
And a stirring rod spaced from the reaction part and driven by the stirring motor. The reactor for produc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ccording to claim 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모터는
10 내지 2000rpm의 회전 속도를 갖는 것인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용 반응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stirring motor
And having a rotation speed of 10 to 2000 rpm.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입구는 상기 반응부의 1/4 지점에 배치되는 것인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 입자의 제조용 반응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first inlet is disposed at a quarter point of the reaction part.
KR1020170161178A 2017-11-29 2017-11-29 The fabrication method of fine particle of biodegradable polymer, the fabrication method of injection including the same, and reactor for manufacturing fine particle of biodegradable polymer KR1020124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178A KR102012441B1 (en) 2017-11-29 2017-11-29 The fabrication method of fine particle of biodegradable polymer, the fabrication method of injection including the same, and reactor for manufacturing fine particle of biodegradable polym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178A KR102012441B1 (en) 2017-11-29 2017-11-29 The fabrication method of fine particle of biodegradable polymer, the fabrication method of injection including the same, and reactor for manufacturing fine particle of biodegradable polym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709A true KR20190062709A (en) 2019-06-07
KR102012441B1 KR102012441B1 (en) 2019-08-20

Family

ID=66849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178A KR102012441B1 (en) 2017-11-29 2017-11-29 The fabrication method of fine particle of biodegradable polymer, the fabrication method of injection including the same, and reactor for manufacturing fine particle of biodegradable polym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441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1882A (en) * 2019-06-11 2019-07-26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A kind of polylactic acid microsphere,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CN111057351A (en) * 2019-12-02 2020-04-24 苏州市新广益电子有限公司 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environment-friendly packaging bag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WO2020122268A1 (en) * 2018-12-11 2020-06-18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Method for manufacturing biodegradable polymeric microparticles by using continuous reac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injection comprising same, and reactor for manufacturing biodegradable polymeric microparticles
KR20210064037A (en) * 2019-11-25 2021-06-02 (주)리젠바이오참 Method for preparing scaffold composition for tissue regeneration using non-sponsored emulsion diffusion method
KR102377283B1 (en) * 2021-08-26 2022-03-22 정민욱 Membrane emulsification method and device of parallel type for produc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sphere, and Producing method of injection composition using the same
KR102403559B1 (en) * 2021-08-04 2022-06-02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Biodegradable polymer microsphere with hydrophilic surface using plasma treatment techniqu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WO2022119008A1 (en) * 2020-12-03 2022-06-09 (주)리젠바이오참 Method for producing scaffold composition for tissue regeneration using non-spontaneous emulsion dispersion method
WO2022134381A1 (en) * 2020-12-24 2022-06-30 海南赛诺实业有限公司 High-crystalline modified pga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939B1 (en) * 2020-03-25 2020-11-04 권한진 The filler making method of mixture of biodegradable, fine polymer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3996A (en) 1980-12-30 1999-01-26 National Research Development Corporation Solution polymerization to form sol of crosslinked particles
US20140120169A1 (en) * 2012-10-26 2014-05-01 Board Of Trustees Of Michigan State University Device and method for encapsulation of hydrophilic materials
KR101418888B1 (en) 2011-04-15 2014-07-1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orous hollow microsphere and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01217B1 (en) * 2014-07-17 2015-03-10 최명 Process for preparing polydioxanone particles for filler
KR20170015450A (en) * 2017-01-31 2017-02-0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ecursor
KR101725279B1 (en) 2015-10-27 2017-04-10 주식회사 바임 Manufacturing method of polymeric microparticles having network structur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3996A (en) 1980-12-30 1999-01-26 National Research Development Corporation Solution polymerization to form sol of crosslinked particles
KR101418888B1 (en) 2011-04-15 2014-07-1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orous hollow microsphere and Manufacturing the same
US20140120169A1 (en) * 2012-10-26 2014-05-01 Board Of Trustees Of Michigan State University Device and method for encapsulation of hydrophilic materials
KR101501217B1 (en) * 2014-07-17 2015-03-10 최명 Process for preparing polydioxanone particles for filler
KR101725279B1 (en) 2015-10-27 2017-04-10 주식회사 바임 Manufacturing method of polymeric microparticles having network structure
KR20170015450A (en) * 2017-01-31 2017-02-0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ecursor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ontinuous Emulsion Polymerization(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Vol. 80, 1931-1942 (2001))* *
M. Kanouni, H. L. Rosano, N. Naouli, Adv. Colloid Interface Sci. 99 (2002) 229-254; A. J. Webster, M. E. Cates, Langmuir, 14 (1998) 2068-2079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268A1 (en) * 2018-12-11 2020-06-18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Method for manufacturing biodegradable polymeric microparticles by using continuous reac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injection comprising same, and reactor for manufacturing biodegradable polymeric microparticles
CN110051882A (en) * 2019-06-11 2019-07-26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A kind of polylactic acid microsphere,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KR20210064037A (en) * 2019-11-25 2021-06-02 (주)리젠바이오참 Method for preparing scaffold composition for tissue regeneration using non-sponsored emulsion diffusion method
CN111057351A (en) * 2019-12-02 2020-04-24 苏州市新广益电子有限公司 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environment-friendly packaging bag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WO2022119008A1 (en) * 2020-12-03 2022-06-09 (주)리젠바이오참 Method for producing scaffold composition for tissue regeneration using non-spontaneous emulsion dispersion method
WO2022134381A1 (en) * 2020-12-24 2022-06-30 海南赛诺实业有限公司 High-crystalline modified pga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102403559B1 (en) * 2021-08-04 2022-06-02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Biodegradable polymer microsphere with hydrophilic surface using plasma treatment techniqu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2377283B1 (en) * 2021-08-26 2022-03-22 정민욱 Membrane emulsification method and device of parallel type for produc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sphere, and Producing method of injection composition using the same
WO2023027401A1 (en) * 2021-08-26 2023-03-02 정민욱 Parallel-type membrane emulsification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spheres, and injection formulation preparation method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441B1 (en) 201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2709A (en) The fabrication method of fine particle of biodegradable polymer, the fabrication method of injection including the same, and reactor for manufacturing fine particle of biodegradable polymer
KR102051044B1 (en) The fabrication method of filler of biodegradable polymer, ans the fabrication method of injection including the same
US9029431B2 (en) Porous p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them
KR101423741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n artificial latex
JP6117449B2 (en) Method for producing polydioxanone particles for filler
Laredj-Bourezg et al. Emulsions stabilized with organic solid particles
CN115151282A (en) Method for prepar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for filler, and method for preparing injection comprising same
CN109880016B (en) Method for continuously preparing water-in-oil type high internal phase emulsion and polymer porous material
CN101595168A (en) Cellulose fine particle and dispersion liquid thereof and dispersion
JP7047058B2 (en) Method for producing biodegradable polymer fine particles and biodegradable polymer fine particles produced thereby
KR101706254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polymeric microparticles for restoring or regenerating biological tissue
CN114931554B (en) Degradable microsphere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EP3006488B1 (en)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microparticles, dispersion liquid and resin composition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microparticles
CN117940116A (en) Parallel membrane emulsifying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spheres and preparation method of injection using same
Lefroy et al. Relationship between size and cellulose content of cellulose microgels (CMGs) and their water-in-oil emulsifying capacity
TWI378104B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pastable polymers
Matthew et al. Mixing and flow-induced nanoprecipitation for morphology control of silk fibroin self-assembly
KR102556294B1 (en) Method for producing sulfone polymer micro-particles for sls 3d printing
CN109999000A (en)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Biodegradable high molecular porous microsphere
JPH0326729A (en) Preparation of porous polymer microsphere
KR102072968B1 (en) The fabrication method of fine particle of biodegradable polymer and a biodegradable material for recovering tissues
KR100661093B1 (en) Method for encapsulating active substances by coacervation of polymers in non-chlorinated organic solvent
WO202012226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iodegradable polymeric microparticles by using continuous reac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injection comprising same, and reactor for manufacturing biodegradable polymeric microparticles
JPH04303849A (en) Production of resin particles
KR20230147951A (en)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lactic-acid-based microbe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