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191A - Machi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Machin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191A
KR20190062191A KR1020180136367A KR20180136367A KR20190062191A KR 20190062191 A KR20190062191 A KR 20190062191A KR 1020180136367 A KR1020180136367 A KR 1020180136367A KR 20180136367 A KR20180136367 A KR 20180136367A KR 20190062191 A KR20190062191 A KR 20190062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machining
operator
setting screen
communica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3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0829B1 (en
Inventor
고이치 마키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Publication of KR20190062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1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8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3Process monitoring, e.g. flow or thickness monito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76Production flow monitoring, e.g. for increasing through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chining apparatus suitable for handling confidential information without creating inconvenient work for an operator. The machining apparatus (10) machines a workpiece, and comprises: a cutting means (14) to machine a workpiece; a touch panel (12) having a setting screen related to machining; and a control means (21) to control the machining means and the touch panel. The control means includes: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22) to connect to a user terminal of an operator via near field communication to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and a display control unit (23) to control display of the setting screen. The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a variety of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on the setting screen only when the user terminal (30) is in a communication area of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Description

가공 장치{MACHINING APPARATUS}MACH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 수단을 구비한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with display means.

종래, 반도체 웨이퍼 등의 피가공물은, 절삭 장치, 연삭 장치, 연마 장치, 레이저 가공 장치 등의 가공 장치에 의해 각종 가공이 실시되고 있다. 이들 가공 장치에 있어서는, 가공 유닛의 가공 조건 등의 조작 지령을 받아들이는 터치 패널식의 표시 모니터를 구비하고, 표시 모니터를 입력 수단 및 표시 수단으로 겸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가공 장치에서는, 표시 모니터에 가공 조건의 설정 화면이 표시되고, 설정 화면이 터치된 각종 파라미터 등이 입력됨으로써, 가공 장치에 대해 가공 조건이 반영된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workpiece such as a semiconductor wafer has been subjected to various machining by a machining device such as a cutting device, a grinding device, a grinding device, and a laser machining device. In these processing apparatuses, there is known a touch panel type display monitor which accepts an operation command such as processing conditions of a processing unit, and a display monitor is also used as input means and display means (for example, refer to Patent Document 1 Reference). In the machining apparatu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a machining condition setting screen is displayed on a display monitor, and various parameters or the like to which a setting screen is touched are input, thereby processing conditions are reflected on the machining apparatus.

상기 서술한 표시 모니터에서는, 가공 장치나 가공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오퍼레이터는 가공 조건 등의 기밀 정보를 오입력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가공 장치의 오퍼레이터를 많이 두는 양산 공장 등에서는, 오퍼레이터를 레벨별로 나누어 레벨에 따라 가공 조건의 입력을 규제하는 운용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이 경우, 가공 장치나 피가공물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의 설정 화면에서는 입력에 로크가 걸리도록 하고, 오퍼레이터의 레벨에 따라 개별적으로 부여된 패스워드 등이 가공 장치의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됨으로써 설정 화면의 로크가 해제된다.In the above-described display monitor, an operator who lacks knowledge of a machining apparatus or machining may input confidential information such as machining conditions. Therefore, in a mass production factory or the like in which many operators of the machining apparatus are provided, an operation is proposed in which an operator is divided into levels and the input of machining conditions is regulated according to the level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2).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lock the input on the setting screen of the information affecting the machining device and the workpiece, and a password or the like individually assigned to the level of the operator is read by the reading device of the machining device, Is released.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000701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2-00070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010745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4-010745

그러나,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가공 장치에서는, 오퍼레이터의 패스워드 등을 판독 단말로 판독하여 로크를 해제해야만 하여, 오퍼레이터의 해제 작업이 번거로운 것으로 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오퍼레이터의 양손이 무언가를 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제 작업을 실시할 수 없어, 작업 효율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processing apparatu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the password of the operator or the like must be read out to the reading terminal and the lock must be released, so that the operation of releasing the operator becomes cumbersome. For example, when both hands of the operator are doing something, the releasing operation can not be performed, and the working efficiency is bad.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오퍼레이터에게 번거로운 작업을 발생시키지 않고, 기밀 정보의 취급에 적합한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chining apparatus suitable for handling confidential information without causing troublesome work for an operator.

본 발명의 일 양태의 가공 장치는,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가공 장치로서,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가공 수단과, 가공에 관한 설정 화면을 구비하는 표시 수단과, 그 가공 수단 및 그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그 제어 수단은, 조작자의 사용자 단말과 근접 무선 통신으로 접속하여 그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 제어부와, 그 설정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고, 그 근접 무선 통신의 통신 에어리어에 그 사용자 단말이 있는 동안만 그 표시 제어부는 그 사용자 단말의 각종 정보를 그 설정 화면에 표시하고, 입력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ach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chining apparatus for machining a workpiece, comprising: machining means for machining a workpiece; display means having a setting screen for machining; Wherein the control means comprises a communication control section for performing a clos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of the operator and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and a display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setting screen, The display control section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on the setting screen only when the user terminal is present in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terminal, and allows the input.

이 구성에 의하면, 가공 장치의 통신 에어리어에 사용자 단말이 들어옴으로써, 설정 화면에 대한 액세스가 허가되기 때문에, 조작자에게 번거로운 작업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다. 또, 가공 장치의 통신 에어리어에 사용자 단말이 있을 때만, 사용자 단말의 각종 정보가 설정 화면에 표시되고, 사용자 단말이 통신 에어리어 밖에 있을 때에는 각종 정보가 설정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가 없다. 조작자가 가공 장치로부터 멀어진 시점에서 설정 화면으로부터 각종 정보가 사라지기 때문에, 다른 조작자가 설정 화면에 부정 액세스해도 각종 정보가 열람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기밀 정보의 취급이 용이해짐과 함께, 조작자에게 번거로운 작업을 발생시키지 않고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user terminal is brought into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machining apparatus, access to the setting screen is permitted, so that a troublesome work does not occur to the operator. In addition, variou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setting screen only when the user terminal exists in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processing apparatus, and various information is not displayed on the setting screen when the user terminal is outside the communication area.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disappear from the setting screen at the time when the operator is away from the processing apparatus, so that various information is prevented from being read even if the other operator illegally accesses the setting screen. In this way, the handling of confidential information is facilitated, and the efficiency of the work can be improved without generating troublesome work for the operator.

본 발명의 일 양태의 가공 장치에 있어서, 그 근접 무선 통신의 통신 에어리어에 그 사용자 단말이 소정 시간 머물러 있는 경우에, 그 사용자 단말이 그 통신 에어리어에 있는 동안만 그 표시 제어부는 그 각종 정보를 그 설정 화면에 표시하고, 입력을 허용한다.In th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terminal stays in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display control unit only stores the various information in the communication area while the user terminal is in the communication area. Displays on the setting screen and allows input.

본 발명의 일 양태의 가공 장치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한 소정의 액션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그 근접 무선 통신의 통신 에어리어에 그 사용자 단말이 들어오고 또한 그 검지 수단이 그 조작자의 소정의 액션을 검지한 경우에, 그 근접 무선 통신의 통신 에어리어에 그 사용자 단말이 있는 동안만 그 표시 제어부는 그 각종 정보를 그 설정 화면에 표시하고, 입력을 허용한다.In th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predetermined action by an operator is provided. The user terminal enters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detection means detects a predetermined When the action is detected, the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the various information on the setting screen only when the user terminal is present in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and allows the input.

본 발명의 일 양태의 가공 장치에 있어서, 그 사용자 단말은, 그 설정 화면에 표시하게 하는 가공 조건을 포함하는 그 각종 정보가 격납된 정보 격납부를 구비하고, 그 통신 에어리어에 그 사용자 단말이 있는 동안 또는 가공 동작 동안에, 그 표시 제어부가 당해 사용자 단말의 그 정보 격납부에 격납된 그 각종 정보를 그 설정 화면에 표시하게 한다.In th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has an information storage section in which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processing conditions to be displayed on the setting screen are stored, and the user terminal is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area The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the various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of the user terminal on the setting screen.

본 발명의 일 양태의 가공 장치에 있어서, 그 제어 수단은, 추가로 그 사용자 단말을 관리하는 관리부를 구비하고, 그 관리부는, 액세스 가능한 사용자 단말에 액세스권을 관련지어 관리하고 있고, 그 표시 제어부가, 그 액세스권에 따른 설정 화면에서 그 사용자 단말의 그 각종 정보를 표시하게 한다.In th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ans further includes a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user terminal, the management unit associates the access right with an accessible user terminal, and the display control unit , And displays the variou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on the setting screen corresponding to the access right.

본 발명의 일 양태의 가공 장치에 있어서, 그 제어 수단은, 그 사용자 단말에 데이터를 백업한다.In the processing apparatus of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ans backs up data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에 의하면, 가공 장치의 통신 에어리어에 사용자 단말이 있을 때만, 사용자 단말의 각종 정보가 설정 화면에 표시됨으로써, 기밀 정보의 취급이 용이해짐과 함께, 조작자에게 번거로운 작업을 발생시키지 않고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setting screen only when the user terminal exists in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machining apparatus, so that the handling of confidential information is facilitated and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

도 1 은 본 실시형태의 절삭 장치의 정면 모식도이다.
도 2 는 비교예의 조작 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의 자동 로그인의 설명도이다.
도 5 는 본 실시형태의 가공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1 is a front schematic view of a cut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diagram showing a display example of an operation screen of a comparative exampl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uch panel of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utomatic logi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5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mach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절삭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의 절삭 장치의 정면 모식도이다. 도 2 는, 비교예의 조작 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공 장치로서 절삭 장치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가공 장치는 터치 패널을 구비하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a cut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front schematic view of a cut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diagram showing a display example of an operation screen of a comparative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utting apparatus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machining apparatus, but the machining apparatu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provided with a touch panel.

가공 장치 (10) 의 케이싱 외면 (11) 에는, 표시 수단으로서 조작자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터치 패널 (12) 이 형성되어 있고, 터치 패널 (12) 에 의해 각종 가공 조건이 설정된다. 터치 패널 (12) 에는 설정 화면이 표시되어 있고, 설정 화면에는 각종 가공 조건이 입력된다. 케이싱 내부에는, 피가공물 (W) 을 유지하는 척 테이블 (13) 과, 피가공물 (W) 을 가공하는 가공 수단으로서 절삭 수단 (14) 이 형성되어 있다. 가공 장치 (10) 의 케이싱 내부에 피가공물 (W) 이 도입되면, 척 테이블 (13) 상에 유지된 피가공물 (W) 이 절삭 수단 (14) 에 의해 분할 예정 라인을 따라 절삭된다.In the casing outer surface 11 of the processing apparatus 10, a touch panel 12 for receiving an operation of an operator as display means is formed, and various processing conditions are set by the touch panel 12. [ A setting screen is displayed on the touch panel 12, and various processing conditions are input on the setting screen. A chuck table 13 for holding a workpiece W and a cutting means 14 are formed as processing means for machining the workpiece W in the casing. When the workpiece W is introduced into the casing of the machining apparatus 10, the workpiece W held on the chuck table 13 is cut along the line to be divided by the cutting means 14.

도 2 의 비교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가공 장치 (40) 에서는, 터치 패널 (41) 에 로그인 화면이 표시되어 있고, 로그인 화면에서 사용자 ID 와 패스워드의 입력을 받아들이고 있다. 조작자의 로그인에 의해 설정 화면에 대한 액세스가 허용되고, 설정 화면에서 가공 조건 (디바이스 데이터) 의 입력, 열람, 편집 등이 실시된다. 설정 화면에서 가공 조건이 설정되면, 가공 장치 (40) 의 메모리에 가공 조건이 기억되어, 메모리로부터 가공 조건을 판독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통상은 가공 장치 (40) 에서 가공 조건 등의 기밀 정보가 관리되며, 패스워드로 가공 장치 (40) 의 시큐리티를 확보하고 있다.As shown in the comparative example of Fig. 2, in the general processing device 40, the login screen is displayed on the touch panel 41, and input of the user ID and password is accepted on the login screen. Access to the setting screen is permitted by the operator's login, and input, browsing, and editing of the processing conditions (device data) are performed on the setting screen. When the machining conditions are set on the setting screen, machining conditions are stored in the memory of the machining device 40, and machining conditions can be read out from the memory. In this manner, confidential information such as machining conditions and the like are usually managed in the machining device 40, and the security of the machining device 40 is secured by a password.

요즈음은 패스워드 누설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부정 로그인에 의해 제삼자가 가공 장치 (40) 내의 기밀 정보를 훔쳐 볼 우려가 있다. 가공 조건의 편집, 열람시에는 가공 장치 (40) 까지 조작자가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가공 조건의 파라미터를 자유롭게 검토할 수 없다. 가공 장치 (40) 에 로그인하기 위해서, 터치 패널 (41) 의 로그인 화면에서 사용자 ID 와 패스워드를 입력해야만 하여, 조작자에게 있어서 번거로운 작업으로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가공 장치에서는, 기밀 정보의 시큐리티를 확보하면서, 조작자의 작업 효율화가 요구되고 있다.Password leakage is a problem these days,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third party steals confidential information in the processing device 40 due to an incorrect login. The parameters of the machining conditions can not be freely reviewed because the operator has to move to the machining apparatus 40 at the time of editing or viewing the machining conditions. A user ID and a password have to be input on the login screen of the touch panel 41 in order to log into the processing device 40, which is a troublesome operation for the operator. As described above, in the machining apparatus,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of the operator while securing the security of confidential information.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자의 사용자 단말 (30) 과 가공 장치 (10) 를 근접 무선 통신으로 접속하고 (도 3 참조), 가공 장치 (10) 의 통신 에어리어에 사용자 단말 (30) 이 있을 때만, 사용자 단말 (30) 의 각종 정보를 설정 화면에 표시하게 하고 있다. 사용자 단말 (30) 에서 가공 조건 등의 기밀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부정 로그인에 의해 제삼자가 가공 장치 (10) 에 액세스해도 기밀 정보를 훔쳐 보는 경우가 없다. 사용자 단말 (30) 에 가공 조건이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장소나 시간에 상관없이 가공 조건의 파라미터를 검토할 수 있다. 또한, 근접 무선 통신을 이용한 자동 로그인에 의해 조작자의 작업의 효율화가 도모되고 있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only when the user terminal 30 of the operator and the machining apparatus 10 are connected by clos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see Fig. 3) and the user terminal 30 is present in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machining apparatus 10 , And displays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30 on the setting screen. By managing confidential information such as processing conditions in the user terminal 30, even if a third party accesses the machining apparatus 10 by illegal log-in, there is no case where the confidential information is stolen. Since the machining conditions ar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30, the parameters of the machining conditions can be examined regardless of the place and time. In addition, the efficiency of the operator's work is being promoted by automatic login using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이하, 도 3 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또한, 통신 시스템은 도 3 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공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이 통상적으로 구비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Hereinafter, th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s a block diagram of th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the communication system is not limited to Fig. 3, and it is assumed that the communication system is provided for a configuration that is conventionally provided by th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user terminal.

가공 장치 (10) 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가공 수단으로서 절삭 수단 (14) 이 형성됨과 함께, 입력 수단 및 표시 수단으로서 터치 패널 (12) 이 형성되어 있다. 터치 패널 (12) 에는, 조작자의 액세스권에 따라 가공에 관한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 설정 화면은, 액세스권에 따른 오퍼레이트 화면, 메인터넌스 화면 등이 포함된다. 터치 패널 (12) 및 절삭 수단 (14) 에는, 터치 패널 (12) 의 패널 조작에 따라 절삭 수단 (14) 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21) 이 접속되어 있다. 터치 패널 (12) 에서 가공 조건 등의 각종 정보가 입력되면, 가공 장치 (10) 의 메모리에 일시적으로 각종 정보가 기억된다.In the machining apparatus 10, the cutting means 14 is formed as the machining means as described above, and the touch panel 12 is formed as the input means and the display means. In the touch panel 12, a setting screen relating to machining is display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or's access right. The setting screen includes an operation screen according to the access right, a maintenance screen, and the like. A control means 21 for controlling the cutting means 14 is connected to the touch panel 12 and the cutting means 14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anel of the touch panel 12. [ When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such as machining conditions are input in the touch panel 12,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re temporarily stored in the memory of the machining apparatus 10. [

제어 수단 (21) 에는, 조작자의 사용자 단말 (30) 과 근접 무선 통신으로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 (30) 과 통신하는 통신 제어부 (22) 와, 터치 패널 (12) 의 설정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 (23) 가 형성되어 있다. 통신 제어부 (22) 에는 통신 수단 (24) 이 접속되어 있으며, 통신 제어부 (22) 에서 통신 수단 (24) 의 통신 처리를 제어하고 있다. 통신 수단 (24) 은, 안테나, 변복조 회로, 증폭기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근접 무선 통신의 통신 방식에 따른 변복조, 부호화, 복호화 등의 신호 처리를 실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근접 무선 통신으로서, 예를 들어 Bluetooth (등록 상표) 가 채용되어,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 (30) 만이 가공 장치 (10) 에 액세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페어링이란, Bluetooth 기기 (기기 정보) 를 서로 등록하여, 등록 기기에 대한 접속을 허가하는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The control means 21 includes a communication control section 22 that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30 of the operator by clos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30 and a display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setting screen of the touch panel 12 A control unit 23 is formed. A communication unit 24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2 and a communication process of the communication unit 24 is controlled b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2. [ The communication means 24 includes an antenna, a modulation / demodulation circuit, an amplifier, and the like, and performs signal processing such as modulation / demodulation, coding, and decoding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Bluetooth (registered trademark) is employed as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and only the paired user terminal 30 is accessible to the processing device 10. [ Pairing indicates a process of registering Bluetooth devices (devic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and permitting connection to the registered devices.

또, 통신 제어부 (22) 는, 정기적으로 통신 에어리어를 감시하고 있으며, 통신 에어리어에서 가공 장치 (10) 에 액세스 가능한 사용자 단말 (30) 의 유무를 검출하고 있다. 통신 제어부 (22) 가 통신 에어리어에서 사용자 단말 (30) 을 검출하면, 사용자 단말 (30) 에 대해 후술하는 자동 로그인 처리가 실시되고, 통신 제어부 (22) 가 통신 에어리어에서 사용자 단말 (30) 을 놓치면, 사용자 단말 (30) 에 대해 로그아웃 처리가 실시된다. 표시 제어부 (23) 는, 사용자 단말 (30) 에서 로그인하면, 터치 패널 (12) 에 대해 사용자 단말 (30) 의 액세스권에 따른 설정 화면을 표시하게 한다. 즉, 터치 패널 (12) 에는 조작자의 액세스권의 레벨에 따라 설정 화면의 표시가 규제된다.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2 regularly monitors the communication area and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ser terminal 30 accessible to the processing device 10 in the communication area. When the communication control section 22 detects the user terminal 30 in the communication area, an automatic login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is performed on the user terminal 30 and when the communication control section 22 misses the user terminal 30 in the communication area , The logout processing is performed on the user terminal 30. The display control unit 23 causes the touch panel 12 to display a setting screen corresponding to the access right of the user terminal 30 when the user terminal 30 logs in. That is, the display of the setting screen is regulated on the touch panel 12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the operator's access right.

이 경우, 제어 수단 (21) 에는 사용자 단말 (30) 을 관리하는 관리부 (25) 가 형성되어 있으며, 관리부 (25) 에서 가공 장치 (10) 에 액세스 가능한 사용자 단말 (30) 에 액세스권이 관련지어 관리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부 (25) 에서는, 사용자 단말 (30) 의 사용자 ID 또는 기기 정보 등의 식별 정보마다 조작자의 레벨에 따른 액세스권이 관리되고 있다. 표시 제어부 (23) 는, 로그인 후의 사용자 단말 (30) 의 식별 정보로부터 액세스권을 판독 출력하여, 액세스권에 의해 일부의 설정 화면의 표시를 규제하고 있다. 조작자에게 필요한 설정 화면만을 표시하게 함으로써, 지식이 부족한 작업자에 의해 설정이 다시 쓰여지는 경우가 없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1 is provided with a management unit 25 that manages the user terminal 30. The management unit 25 associates an access right with the user terminal 30 that can access the machining apparatus 10, . More specifically, in the management unit 25, the access right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operator is managed for ea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user ID of the user terminal 30, device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display control section 23 reads out the access right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30 after login, and restricts the display of a part of the setting screen by the access right. Only the setting screen required by the operator is displayed so that the setting is not rewritten by the operator who is not knowledgeable.

제어 수단 (21) 에는, 조작자의 자동 로그인을 제어하는 인증부 (26) 가 형성되어 있다. 인증부 (26) 는, 통신 에어리어의 사용자 단말 (30) 로부터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수신하여, 가공 장치 (10) 내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 (30) 을 인증하고 있다. 사용자 ID 나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고, 근접 무선 통신에 의해 가공 장치 (10) 에 로그인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자의 로그인 작업이 간략화되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있다. 또한, 페어링에 의해 사용자 단말 (30) 의 기기 정보가 가공 장치 (10) 에 등록되어 있으면,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사용한 인증을 생략하고 로그인해도 된다.The control means (21) is provided with an authentication section (26)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login of the operator. The authentication unit 26 receives the user ID and the password from the user terminal 30 in the communication area and authenticates the user terminal 30 with reference to the database in the processing device 10. [ It is possible to log into the processing device 10 by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without inputting a user ID or a password, so that the login operation of the operator is simplified and the work efficiency is improved. If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30 is registered in the machining apparatus 10 by pairing, the authentication using the user ID and the password may be omitted and logged in.

인증부 (26) 는, 통신 에어리어에 일정 시간 머문 사용자 단말 (30) 을 인증하여 로그인시켜도 된다. 이로써, 단지 가공 장치 (10) 부근을 통과한 사용자 단말 (30) (조작자) 을 로그인시키는 경우가 없다. 또, 가공 장치 (10) 에 조작자에 의한 소정의 액션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 (27) 을 형성하여, 검지 수단 (27) 으로 소정의 액션을 검지했을 때에 사용자 단말 (30) 을 인증하여 로그인시켜도 된다. 소정의 액션은, 가공 장치 (10) 부근에 사용자 단말 (30) 이 머물러 있는 것을 검출 가능하면 되어, 예를 들어, 가공 장치 (10) 의 케이싱에 대한 조작자의 접촉, 터치 패널 (12) 의 터치, 가공 장치 (10) 에 대한 호출 등이어도 된다. 따라서, 검지 수단 (27) 은, 접촉 검지, 음성 검지가 가능한 센서로 구성된다.The authentication unit 26 may authenticate the user terminal 30 staying in the communication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log in. Thereby, there is no case in which the user terminal 30 (operator) that has just passed around the processing apparatus 10 is logged in.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detecting means 27 for detecting a predetermined action by the operator on the processing device 10 so that the user terminal 30 is authenticated and logged when a predetermined action is detected by the detecting means 27 . The predetermined action may be such that it is possible to detect that the user terminal 30 remains in the vicinity of the processing device 10 so that the touch of the operator with respect to the casing of the processing device 10, , A call to the machining apparatus 10, or the like. Therefore, the detection means 27 is constituted by a sensor capable of contact detection and voice detection.

한편, 사용자 단말 (30) 에는 정보 격납부 (31) 에 격납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 (32) 이 형성되어 있다. 각종 정보에는, 예를 들어, 가공 조건의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 (30) 의 표시 수단 (32) 으로 파라미터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사용자 단말 (30) 을 가지고 있으면, 장소나 시간을 고르지 않고 가공 조건의 파라미터를 검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30) 의 통신 수단 (33) 은, 안테나, 변복조 회로, 증폭기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근접 무선 통신의 통신 방식에 따른 변복조, 부호화, 복호화 등의 신호 처리를 실시한다. 또, 사용자 단말 (30) 에는, 단말 각 부의 각종 처리를 통괄 제어하는 제어 수단 (34) 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on the user terminal 30, display means 32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31 is formed. Since parameters of processing conditions are included in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for example, parameters can be confirmed by the display means 32 of the user terminal 30. [ Therefore, if the operator has the user terminal 30,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parameters of the machining conditions without selecting the place or time. The communication means 33 of the user terminal 30 is provided with an antenna, a modulation / demodulation circuit, an amplifier, and the like, and performs signal processing such as modulation / demodulation, coding, and decoding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The user terminal 30 is also provided with a control means 34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various processes of the respective units of the terminal.

이 통신 시스템에서는, 근접 무선 통신의 통신 에어리어에 사용자 단말 (30) 이 있는 동안만, 가공 장치 (10) 의 표시 제어부 (23) 가 사용자 단말 (30) 의 각종 정보를 터치 패널 (12) 의 설정 화면에 표시하게 하여, 설정 화면에 대한 입력을 허용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 (30) 이 가공 장치 (10) 의 통신 에어리어에 들어와 로그인하면, 사용자 단말 (30) 로부터 가공 장치 (10) 에 정보 격납부 (31) 내의 각종 정보가 송신되어, 가공 장치 (10) 의 메모리에 일시적으로 사용자 단말 (30) 의 각종 정보가 기입된다. 이로써, 가공 장치 (10) 의 터치 패널 (12) 에는, 사용자 단말 (30) 의 각종 정보가 반영된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The display control section 23 of the processing apparatus 10 sets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30 to the setting of the touch panel 12 only when the user terminal 30 is in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So that input on the setting screen is allowed. 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terminal 30 enters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machining apparatus 10 and logs in, various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31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30 to the machining apparatus 10,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30 are temporarily written in the memory of the device 10. [ Thereby, the setting screen reflecting variou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30 is displayed on the touch panel 12 of the machining apparatus 10. [

사용자 단말 (30) 이 가공 장치 (10) 의 통신 에어리어로부터 멀어져 로그아웃되면, 가공 장치 (10) 의 터치 패널 (12) 로부터 설정 화면이 사라져, 가공 장치 (10) 의 메모리로부터 사용자 단말 (30) 의 각종 정보가 소거된다. 각종 정보가 가공 조건인 경우에는, 가공 장치 (10) 의 가공 동작 중에 가공 조건이 가공 장치 (10) 의 메모리로부터 소거되는 경우는 없지만, 가공 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 가공 조건이 메모리로부터 소거된다. 가공 장치 (10) 에 사용자 단말 (30) 의 각종 정보가 남지 않기 때문에, 부정 로그인에 의해 제삼자가 가공 장치 (10) 에 액세스해도 사용자 단말 (30) 의 각종 정보를 훔쳐 보게 되는 경우가 없다. 또, 가공 장치 (10) 의 제어 수단 (21) 은, 메모리로부터 사용자 단말 (30) 의 각종 정보를 소거할 때에, 각종 조건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30) 에 백업하고 있다.The setting screen disappears from the touch panel 12 of the machining apparatus 10 and the user terminal 30 is moved from the memory of the machining apparatus 10 to the user terminal 30. [ Is erased. When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re machining conditions, the machining conditions are not erased from the memory of the machining apparatus 10 during the machining operation of the machining apparatus 10, but the machining conditions are erased from the memory when the machining operation is completed.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30 are not left in the processing device 10 so that the third party does not steal variou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30 even if the third party accesses the processing device 10 by the incorrect login. The control means 21 of the machining apparatus 10 backs up data including various conditions to the user terminal 30 when eras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30 from the memory.

이와 같이, 가공 장치 (10) 측에서 가공 조건 등의 기밀 정보를 관리하는 대신에, 사용자 단말 (30) 측에서 가공 조건 등의 기밀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 사용자 단말 (30) 에서 가공 조건을 관리함으로써, 가공 장치 (10) 에서의 가공 조건의 누설을 방지함과 함께, 사용자 단말 (30) 을 휴대하면서 장소나 시간에 상관없이 가공 조건의 파라미터를 검토할 수 있다. 또한, 가공 장치 (10) 의 제어 수단 (21) 및 사용자 단말 (30) 의 제어 수단 (34) 은,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나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메모리는, 용도에 따라 ROM (Read Only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의 1 개 또는 복수의 기억 매체로 구성된다. 메모리에는, 예를 들어, 구동 제어용의 각종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Thus, instead of managing confidential information such as machining conditions on the side of the machining apparatus 10, the user terminal 30 manages confidential information such as machining conditions. By managing the machining conditions in the user terminal 30,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kage of the machining conditions in the machining apparatus 10 and to examine the parameters of the machining conditions regardless of the place or time while carrying the user terminal 30 . The control means 21 of the machining apparatus 10 and the control means 34 of the user terminal 30 are constituted by a processor or a memory for executing various processes. The memory is composed of one or a plurality of storage media such as a ROM (Read Only Memory) and a RAM (Random Access Memory) depending on the purpose. In the memory, various programs for drive control, for example, are stored.

여기에서, 도 4 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자동 로그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의 자동 로그인의 설명도이다. 여기에서는, 가공 장치와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사전에 페어링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Here, automatic logi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utomatic logi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ere, it is assumed that the machining apparatus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re paired in advance.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30A) 을 가진 조작자 (A) 가 가공 장치 (10) 의 통신 에어리어 (19) 에 들어오면, 가공 장치 (10) 에 의해 조작자 (A) 가 자동 로그인된다. 가공 장치 (10) 의 설정 화면에는 사용자 단말 (30A) 에 격납된 가공 조건 등의 각종 정보가 표시되고, 조작자 (A) 의 조작에 의해 가공 장치 (10) 의 가공 동작이 개시된다. 통신 에어리어 (19) 에 사용자 단말 (30A) 이 있는 동안 또는 가공 동작 동안만, 가공 장치 (10) 의 표시 제어부 (23) (도 3 참조) 가 사용자 단말 (30A) 의 정보 격납부 (31) (도 3 참조) 에 격납된 각종 정보를 가공 장치 (10) 의 설정 화면에 표시하게 하고 있다.4A, when the operator A having the user terminal 30A enters the communication area 19 of the processing device 10, the operator A automatically logs in by the processing device 10. [ Various information such as machining conditions stored in the user terminal 30A is displayed on the setting screen of the machining apparatus 10 and the machining operation of the machining apparatus 10 is start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A. [ The display control section 23 (see FIG. 3) of the processing apparatus 10 can be used only when the user terminal 30A is in the communication area 19 or during the machining operation, 3) is displayed on the setting screen of the processing device 10. [0064]

가공 장치 (10) 에 조작자 (A) 가 로그인할 생각이 없어도, 가공 장치 (10) 의 근방을 조작자 (A) 가 지나갈 때마다 자동 로그인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가공 장치 (10) 의 통신 에어리어 (19) 를 수십 ㎝ 로 설정해 둠으로써, 의도치 않은 자동 로그인을 방지해도 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통신 에어리어 (19) 에 소정 시간 머문 사용자 단말 (30A) (조작자 (A)) 만을 자동 로그인하도록 해도 된다. 통신 에어리어 (19) 에 사용자 단말 (30A) 이 소정 시간 머물러 있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 (30A) 이 통신 에어리어 (19) 에 있는 동안만, 표시 제어부 (23) (도 3 참조) 가 사용자 단말 (30A) 의 각종 정보를 설정 화면에 표시하게 한다.Even if the operator A does not intend to log in the processing apparatus 10,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operator A is automatically logged in the vicinity of the processing apparatus 10 every time the operator A passes. In this case, unintentional automatic log-in may be prevented by setting the communication area 19 of the processing apparatus 10 to several tens of centimeters. Also, as described above, only the user terminal 30A (operator A) staying in the communication area 19 for a predetermined time may be automatically logged in. The display control section 23 (refer to FIG. 3) can not access the user terminal 30A only while the user terminal 30A is in the communication area 19, when the user terminal 30A stays in the communication area 19 for a predetermined time, ) On the setting screen.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통신 에어리어 (19) 에서 조작자가 가공 장치 (10) 에 소정의 액션을 일으킨 경우에 자동 로그인하도록 해도 된다. 사용자 단말 (30A) 이 통신 에어리어 (19) 에 들어오고, 또한 가공 장치 (10) 의 검지 수단 (27) (도 3 참조) 이 조작자의 소정의 액션을 검지한 경우에, 통신 에어리어 (19) 에 사용자 단말 (30A) 이 있는 동안만, 표시 제어부 (23) (도 3 참조) 가 사용자 단말 (30A) 의 각종 정보를 설정 화면에 표시하게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 (30A) 이 가공 장치 (10) 에 의도치 않게 로그인했다고 하더라도, 가공 장치 (10) 로부터 사용자 단말 (30A) 이 멀어지면 바로 로그아웃되기 때문에 특별히 문제가 되는 경우는 없다.Further,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or may automatically log in when a predetermined action is caused in the machining apparatus 10 in the communication area 19. When the user terminal 30A enters the communication area 19 and the detecting means 27 (see FIG. 3) of the processing device 10 detects a predetermined action by the operator, the communication area 19 The display control section 23 (see FIG. 3) causes variou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30A to be displayed on the setting screen only while the user terminal 30A is present. Even if the user terminal 30A unintentionally logs in the machining apparatus 10, there is no particular problem since the user terminal 30A is immediately logged out as soon as the user terminal 30A moves away from the machining apparatus 10. [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공 장치 (10) 에 조작자 (A) 가 로그인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가공 장치 (10) 의 관리 리스트에는, 우선 순위의 1 위에 사용자 ID 「000A」, 액세스권의 레벨 「Lv1」, 스테이터스 정보 「로그인 중」이 설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자 (B) 가 사용자 단말 (30B) 을 가지고 가공 장치 (10) 의 통신 에어리어 (19) 에 들어오면, 조작자 (B) 의 자동 로그인이 거부되어, 우선 순위의 2 위에 사용자 ID 「000B」, 액세스권의 레벨 「Lv1」, 스테이터스 정보 「대기 중」이 설정된다. 이와 같이, 먼저 로그인한 조작자가 있는 경우에는, 나중에 통신 에어리어 (19) 에 들어온 조작자는 무시된다.4B,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or A is logged in to the machining apparatus 10, the management list of the machining apparatus 10 includes a user ID "000A" and a level "Lv1" , And status information " login " are set. In this state, when the operator B enters the communication area 19 of the processing apparatus 10 with the user terminal 30B, the automatic login of the operator B is rejected and the user ID " 000B ", the level of permission" Lv1 ", and the status information" on standby "are set. In this way, if there is an operator who is logged in first, the operator who enters the communication area 19 later is ignored.

도 4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세스권의 레벨이 높은 조작자 (C) 가 사용자 단말 (30C) 을 가지고 가공 장치 (10) 의 통신 에어리어 (19) 에 들어오면, 조작자 (A) 가 로그인 중이기 때문에, 조작자 (C) 의 자동 로그인이 거부된다. 이 때, 조작자 (B) 보다 조작자 (C) 의 액세스권의 레벨이 높기 때문에, 조작자 (B) 보다 조작자 (C) 의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된다. 따라서, 관리 리스트의 우선 순위의 2 위에 사용자 ID 「000C」, 액세스권의 레벨 「Lv2」, 스테이터스 정보 「대기 중」이 설정되고, 우선 순위의 3 위에 사용자 ID 「000B」, 액세스권의 레벨 「Lv1」, 스테이터스 정보 「대기 중」이 설정된다.4C, when the operator C having a high level of access rights enters the communication area 19 of the processing apparatus 10 with the user terminal 30C, the operator A is in the process of logging in. C) is automatically denied login. At this time, since the level of the access right of the operator C is higher than that of the operator B, the priority of the operator C is set higher than that of the operator B. Therefore, the user ID "000C", the permission level "Lv2" and the status information "waiting" are set to the second priority in the management list, the user ID "000B", the permission level "Lv1" , The status information " on standby " is set.

도 4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자 (A) 가 가공 장치 (10) 로부터 로그아웃하면, 우선 순위의 2 위의 조작자 (C) 가 앞당겨져 로그인된다. 따라서, 관리 리스트가 다시 쓰여져, 우선 순위의 1 위에 사용자 ID 「000C」, 액세스권의 레벨 「Lv2」, 스테이터스 정보 「로그인 중」이 설정되고, 우선 순위의 2 위에 사용자 ID 「000B」, 액세스권의 레벨 「Lv1」, 스테이터스 정보 「대기 중」이 설정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조작자에 의해 가공 장치 (10) 에 대한 로그인이 겹치는 경우에는, 액세스권의 레벨이 높은 조작자가 우선적으로 로그인된다.As shown in Fig. 4D, when the operator A logs out of the processing apparatus 10, the second operator C in the priority order is advanced and logged. Therefore, the management list is rewritten, and the user ID "000C", the permission level "Lv2" and the status information "login" are set to the priority one and the user ID "000B" , &Quot; Lv1 ", and status information " on standby " are set. In this manner, when the plurality of operators overlap the login to the machining apparatus 10, the operator having a high permission level is logged in first.

또한, 통신 에어리어 (19) 로부터 사용자 단말 (30A) 이 멀어졌을 때에 조작자가 자동 로그아웃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조작자 (A) 의 조작에 의해 수동 로그아웃되어도 된다. 통신 에어리어 (19) 에서 수동 로그아웃한 경우에는, 가공 장치 (10) 의 통신 에어리어 (19) 에 조작자 (A) 가 머물러 있어도 자동 로그인되는 경우는 없다. 조작자 (A) 가 통신 에어리어 (19) 에 사용자 단말 (30A) 을 가지고 다시 들어오거나, 가공 장치 (10) 에 대해 상기의 소정의 액션을 일으킴으로써 재로그인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operator is automatically logged out when the user terminal 30A moves away from the communication area 19, and may be manually logged out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A. Even if the operator A remains in the communication area 19 of the processing device 10, the user is not automatically logged in when the user manually logs out from the communication area 19. The operator A can re-log in by bringing the user terminal 30A back into the communication area 19 or causing the predetermined action for the processing device 10 to occur.

또, 조작자 (A) 가 통신 에어리어 (19) 로부터 멀어졌다고 하더라도, 가공 장치 (10) 의 가공 동작 중에는 다른 조작자 (B, C) 에 의한 가공 장치 (10) 로의 자동 로그인이 허가되는 경우가 없다. 다만, 가공 장치 (10) 의 가공 동작 중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가공 장치 (10) 의 가공 동작이 일시적으로 정지되기 때문에, 조작자 (A) 가 자동 로그아웃되고 다른 조작자 (B, C) 의 자동 로그인이 허용되어도 된다. 이로써, 조작자 (A) 가 가공 장치 (10) 로부터 멀어져 있는 동안에 에러가 발생해 있어도, 가공 장치 (10) 에 조작자 (B, C) 를 로그인시킴으로써, 조작자 (B, C) 에게 에러에 대처하게 하여 가공 장치 (10) 를 재빨리 복귀시킬 수 있다.Even if the operator A is moved away from the communication area 19, automatic login to the machining apparatus 10 by the other operators B and C is not permitted during the machining operation of the machining apparatus 10. [ However, when an error occurs during the machining operation of the machining apparatus 10, the machining operation of the machining apparatus 10 is temporarily stopped, so that the operator A is automatically logged out and the automatic operation of the other operators B and C Login may be allowed. This enables the operators B and C to cope with the error by logging in the operators B and C to the processing device 10 even if an error occurs while the operator A is away from the processing device 10 The machining apparatus 10 can be returned quickly.

또, 가공 장치 (10) 의 가공 동작 중에 에러가 발생하여 어시스트가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자 권한으로 대응 가능한 조작이나 표시 내용을 제한해도 된다. 예를 들어, 오토 셋업의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오토 셋업 패스라고 하는 에러 리커버리 항목을 화면에 표시하지 않게 한다. 이로써, 조작자가 안이하게 에러 리커버리 항목을 선택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When an error occurs during the machining operation of the machining apparatus 10 and an assist is required, the manipulation that can be handled by the user authority or the display contents may be limited. For example, when an auto setup error occurs, do not display an error recovery item called an auto setup pass on the screen. Thereby, it is possible to restrict the operator from easily selecting the error recovery item.

도 5 를 참조하여, 가공 장치에 있어서의 자동 로그인에서부터 가공 동작의 완료까지의 동작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는, 본 실시형태의 가공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With reference to Fig. 5, the flow of the operation from the automatic login to the completion of the machining operation in the machin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Fig. 5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machi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자 (X) 가 사용자 단말 (30X) 을 가지고 가공 장치 (10) 에 가까워지면, 사용자 단말 (30X) 로부터 가공 장치 (10) 에 조작자 (X) 의 식별 정보로서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 또는 기기 정보가 통지되어, 조작자 (X) 가 가공 장치 (10) 에 자동 로그인한다 (스텝 S01). 다음으로, 표시 제어부 (23) (도 3 참조) 에 의해 관리부 (25) (도 3 참조) 로부터 조작자 (X) 의 액세스권이 취득되어, 액세스권에 따른 설정 화면이 터치 패널 (12) 에 표시된다 (스텝 S02).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 (30) 로부터 각종 정보로서 가공 조건이 가공 장치 (10) 에 송신되고, 표시 제어부 (23) 에 의해 가공 장치 (10) 의 설정 화면에 가공 조건이 표시된다 (스텝 S03).5, when the operator X approaches the machining apparatus 10 with the user terminal 30X, the user X from the user terminal 30X to the machining apparatus 10 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perator X And the password or the device information are notified, and the operator X automatically logs in the machining apparatus 10 (step S01). 3) acquires an access right of the operator X from the management unit 25 (see FIG. 3), and a setting screen corresponding to the access right is displayed on the touch panel 12 (refer to FIG. 3) Step S02). Next, the machining conditions ar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30 a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o the machining apparatus 10, and the machining conditions are displayed on the setting screen of the machining apparatus 10 by the display control section 23 (step S03).

다음으로, 조작자 (X) 의 조작에 의해 가공 장치 (10) 의 가공 동작이 개시되고 (스텝 S04), 조작자 (X) 가 사용자 단말 (30X) 을 가지고 가공 장치 (10) 의 통신 에어리어로부터 멀어지면, 표시 제어부 (23) 에 의해 터치 패널 (12) 로부터 설정 화면이 지워진다 (스텝 S05). 조작자 (X) 가 가공 장치 (10) 로부터 멀어져 있는 동안에 가공 장치 (10) 에 에러가 발생하면, 조작자 (X) 가 자동 로그아웃되고 다른 조작자의 로그인이 허용된다 (스텝 S06). 조작자 (Y) 가 사용자 단말 (30Y) 을 가지고 가공 장치 (10) 에 가까워지면, 사용자 단말 (30X) 로부터 가공 장치 (10) 에 조작자 (Y) 의 식별 정보가 통지되어 조작자 (Y) 가 가공 장치 (10) 에 자동 로그인한다 (스텝 S07).Next, the machining operation of the machining apparatus 10 is start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X (step S04). When the operator X moves away from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machining apparatus 10 with the user terminal 30X , The display control section 23 clears the setting screen from the touch panel 12 (step S05). If an error occurs in the processing apparatus 10 while the operator X is away from the processing apparatus 10, the operator X is automatically logged out and login of the other operator is permitted (step S06). When the operator Y approaches the machining apparatus 10 with the user terminal 30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perator Y is notified from the user terminal 30X to the machining apparatus 10, (Step S07).

다음으로, 표시 제어부 (23) 에 의해 관리부 (25) 로부터 조작자 (Y) 의 액세스권이 취득되어, 액세스권에 따른 설정 화면이 터치 패널 (12) 에 표시된다 (스텝 S08). 이 경우, 터치 패널 (12) 에 오퍼레이트 화면이 표시되어, 조작자 (Y) 에 의해 가공 장치 (10) 의 에러가 대처된다 (스텝 S09). 가공 장치 (10) 의 가공 동작이 완료되면, 가공 장치 (10) 의 메모리에는 로그 정보를 남기고 가공 조건이 자동 삭제된다 (스텝 S10). 또한, 로그 정보에는 로그인 시각, 가공 개시 시각, 에러 발생 시각, 조작자의 사용자 ID 등의 각종 가동 로그가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공 장치 (10) 로부터 가공 조건 등의 기밀 정보가 삭제되어 로그 정보만이 남겨진다.Next, the display control unit 23 acquires the access right of the operator Y from the management unit 25, and a setting screen corresponding to the access right is displayed on the touch panel 12 (step S08). In this case, an operation screen is displayed on the touch panel 12, and an error of the machining apparatus 10 is coped with by the operator Y (step S09). When the machining operation of the machining apparatus 10 is completed, the machining conditions are automatically deleted, leaving log information in the memory of the machining apparatus 10 (step S10). In addition, the log information includes various operation logs such as login time, processing start time, error occurrence time, user ID of the operator, and the like. In this way, confidential information such as machining conditions and the like is deleted from the machining apparatus 10, and only log information is left.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가공 장치 (10) 에 의하면, 가공 장치 (10) 의 통신 에어리어에 사용자 단말 (30) 이 들어감으로써, 설정 화면에 대한 액세스가 허가되기 때문에, 조작자에게 번거로운 작업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다. 또, 가공 장치 (10) 의 통신 에어리어에 사용자 단말 (30) 이 있을 때만, 사용자 단말 (30) 의 각종 정보가 설정 화면에 표시되고, 사용자 단말 (30) 이 통신 에어리어 밖에 있을 때에는 각종 정보가 설정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가 없다. 조작자가 가공 장치 (10) 로부터 멀어진 시점에서 설정 화면으로부터 각종 정보가 사라지기 때문에, 다른 조작자가 설정 화면에 부정 액세스해도 각종 정보가 열람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기밀 정보의 취급이 용이해짐과 함께, 조작자에게 번거로운 작업을 발생시키지 않고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ocessing apparatus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user terminal 30 enters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machining apparatus 10, access to the setting screen is permitted, . Variou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30 is displayed on the setting screen only when the user terminal 30 is present in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processing device 10. When the user terminal 30 is outside the communication area, It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disappear from the setting screen when the operator is away from the processing apparatus 10, so that various informa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rowsed even if the other operator illegally accesses the setting screen. In this way, the handling of confidential information is facilitated, and the efficiency of the work can be improved without generating troublesome work for the operator.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근접 무선 통신으로서 Bluetooth 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가공 장치의 부근에서 통신 가능한 통신 규격이면 되어, 예를 들어, 수 미터 정도의 통신 에어리어의 통신 규격, 또한 수 ㎝ 내지 1 미터 정도의 단거리의 통신 에어리어의 각종 통신 규격이 사용되어도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Bluetooth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a communication standard capable of communicating in the vicinity of the processing apparatus. For example, even if communication standards of a communication area of about several meters and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of a communication area of a short distance of several centimeters do.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 단말은, 가공 장치에 근접 무선 통신 가능한 단말이면 되어,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의 휴대전화, 태블릿형 단말,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형 PC 로 구성된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may be a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close to the processing device, for example, a mobile phone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type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증부가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로 조작자를 인증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증부는, 조작자를 인증 가능하면 되어, 지문, 성문 (聲紋), 망막, 얼굴 등의 생체 정보를 사용한 생체 인증을 이용하여 인증해도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thentication unit authenticates the operator with the user ID and passwor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The authentication unit may authenticate the operator using biometric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a fingerprint, a voiceprint, a retina, and a face.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리부에서 사용자 단말에 액세스권을 관련지어 관리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마다 액세스권을 설정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nagement unit manages the access rights to the user terminals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The processing apparatus does not need to set an access right for each user terminal.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공 장치의 제어 수단이 사용자 단말에 데이터를 백업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공 장치의 제어 수단은 사용자 단말에 데이터를 백업하지 않아도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means of the machining apparatus backs up data to the user termina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The control means of the processing device does not have to back up the data to the user terminal.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그인 중의 조작자가 가공 장치의 통신 에어리어로부터 벗어나면, 표시 수단으로부터 설정 화면을 지우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공 동작 동안에는, 가공 조건 등의 각종 정보를 설정 화면에 표시하게 해도 된다. 또, 가공 동작 중이라 하더라도, 권한이 없는 조작자에게는, 기밀에 관한 파라미터를 설정 화면에 표시하지 않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screen is erased from the display means when the operator during login is out of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processing apparatu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During the machining operation, various information such as machining conditions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on the setting screen.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unauthorized operator from displaying the confidentiality parameters on the setting screen even during the machining operation.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 수단으로서 입력 기능을 구비한 터치 패널을 예시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수단은 입력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표시 모니터로 구성되어도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touch panel having an input function as the display means is exemplifi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The display means may be constituted by a display monitor having no input function.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공 장치로서 워크를 절삭하는 절삭 장치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을 구비한 다른 가공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삭 장치, 연마 장치, 레이저 가공 장치, 플라즈마 에칭 장치, 에지 트리밍 장치, 익스팬디드 장치, 브레이킹 장치, 및 이것들을 조합한 클러스터 장치 등의 다른 가공 장치에 적용되어도 된다. 따라서, 가공 수단은 연삭 가공, 연마 가공, 레이저 가공, 에칭 가공, 익스팬디드 가공, 브레이킹 가공 등으로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cutting apparatus for cutting a work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cutting apparatu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other machining apparatuses having a touch panel.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other machining apparatuses such as a grinding apparatus, a grinding apparatus, a laser processing apparatus, a plasma etching apparatus, an edge trimming apparatus, an expanding apparatus, a braking apparatus, and a cluster apparatus in which these apparatuses are combined. Therefore, the processing means is to process the workpiece by grinding, grinding, laser machining, etching, expanding, braking, or the like.

또, 피가공물로서, 가공의 종류에 따라, 반도체 기판, 무기 재료 기판, 패키지 기판 등의 각종 워크가 사용되어도 된다. 반도체 기판으로는, 실리콘, 비소화갈륨, 질화갈륨, 실리콘 카바이드 등의 각종 기판이 사용되어도 된다. 무기 재료 기판으로는, 사파이어, 세라믹스, 유리 등의 각종 기판이 사용되어도 된다. 반도체 기판 및 무기 재료 기판은 디바이스가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디바이스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패키지 기판으로는, CSP (Chip Size Package), WLCSP (Wafer Level Chip Size Package), 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SIP (System In Package), FOWLP (Fan Out Wafer Level Package) 용의 각종 기판이 사용되어도 된다. 또, 워크로서, 디바이스 형성 후 또는 디바이스 형성 전의 리튬탄탈레이트, 리튬니오베이트, 또한 생(生)세라믹스, 압전 소자가 사용되어도 된다.As the material to be processed, various kinds of work such as a semiconductor substrate, an inorganic material substrate, and a package substrate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type of processing. As the semiconductor substrate, various substrates such as silicon, gallium arsenide, gallium nitride, and silicon carbide may be used. As the inorganic material substrate, various substrates such as sapphire, ceramics, and glass may be used.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nd the inorganic material substrate may or may not have devices formed thereon. Although various substrates for CSP (Chip Size Package), WLCSP (Wafer Level Chip Size Package), 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SIP (System In Package) and FOWLP (Fan Out Wafer Level Package) do. Lithium tantalate, lithium niobate, raw ceramics, and piezoelectric elements after device formation or prior to device formation may also be used as the work.

또, 통신 시스템은, 상기한 통신 시스템의 일례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 시스템은,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가공 장치와, 가공 장치에 근접 무선 통신으로 접속 가능한 사용자 단말을 구비한 통신 시스템으로서, 가공 장치에는,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가공 수단과, 가공에 관한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가공 수단 및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제어 수단은 조작자의 사용자 단말과 근접 무선 통신으로 접속하는 통신 제어부와, 표시 수단의 설정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가 형성되고, 사용자 단말에는 설정 화면에 표시하게 하는 각종 정보가 격납되고, 통신 에어리어에 사용자 단말이 있는 동안만, 표시 제어부가 사용자 단말의 각종 정보를 설정 화면에 표시하게 하고, 설정 화면에 대한 입력을 허용하는 구성이면 된다.The communication system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of the communication system. A communication system is provided with a machining device for machining a workpiece and a user terminal connectable to the machining device by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The machining device includes machining means for machining the workpiece, An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processing means and the display means, wherein the control means includes a communication control portion for performing a clos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of the operator, and a display control portion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setting screen of the display means Various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setting screen is stored in the user terminal, and the display control section causes variou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be displayed on the setting screen only while the user terminal is in the communication area, It is sufficient to permit such a configuration.

또, 본 실시형태 및 변형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를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조합한 것이어도 된다.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modification have been describe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embodiment and the modification may be wholly or partly combined.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로 변경, 치환, 변형되어도 된다. 나아가서는,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되는 다른 기술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른 방식으로 실현할 수 있으면, 그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되어도 된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실시형태를 커버하고 있다.The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other ways by the progress of the technology or other techniques derived from it, it may be carried out by using the method. Accordingly, the appended claims cover all embodiments that ma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가공 장치의 기밀 정보의 누설 방지에 적용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기밀 정보의 누설 방지가 필요한 다른 장치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leakage prevention of the confidential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apparatus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apparatuses in which leakage of confidential information is required to be prevent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퍼레이터에게 번거로운 작업을 발생시키지 않고, 기밀 정보를 취급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고, 특히, 가공 조건을 기밀로 취급하는 가공 장치에 유효하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nabling confidential information to be handled without generating cumbersome work to an operator, and is particularly effective for a processing apparatus that treats processing conditions in an airtight manner.

10 : 가공 장치
12 : 터치 패널 (표시 수단)
14 : 절삭 수단 (가공 수단)
21 : 제어 수단
22 : 통신 제어부
23 : 표시 제어부
25 : 관리부
26 : 인증부
27 : 검지 수단
30 : 사용자 단말
31 : 정보 격납부
19 : 통신 에어리어
W : 피가공물
10: Processing device
12: Touch panel (display means)
14: Cutting means (machining means)
21: control means
22:
23:
25:
26:
27: Detection means
30: User terminal
31: Information storage
19: Communication Area
W: Workpiece

Claims (6)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가공 장치로서,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가공 수단과, 가공에 관한 설정 화면을 구비하는 표시 수단과, 그 가공 수단 및 그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그 제어 수단은, 조작자의 사용자 단말과 근접 무선 통신으로 접속하여 그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 제어부와, 그 설정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고,
그 근접 무선 통신의 통신 에어리어에 그 사용자 단말이 있는 동안만 그 표시 제어부는 그 사용자 단말의 각종 정보를 그 설정 화면에 표시하고, 입력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장치.
A machining apparatus for machining a workpiece,
A processing means for processing the workpiece, a display means having a setting screen for machining,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machining means and the display means,
Wherein the control means includes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of the operator by clos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and a display control unit that controls display of the setting screen,
The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on the setting screen only when the user terminal is present in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and allows the input.
제 1 항에 있어서,
그 근접 무선 통신의 통신 에어리어에 그 사용자 단말이 소정 시간 머물러 있는 경우에, 그 사용자 단말이 그 통신 에어리어에 있는 동안만 그 표시 제어부는 그 각종 정보를 그 설정 화면에 표시하고, 입력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user terminal stays in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the various information on the setting screen only while the user terminal is in the communication area, and permits the input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한 소정의 액션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그 근접 무선 통신의 통신 에어리어에 그 사용자 단말이 들어오고 또한 그 검지 수단이 그 조작자의 소정의 액션을 검지한 경우에, 그 근접 무선 통신의 통신 에어리어에 그 사용자 단말이 있는 동안만 그 표시 제어부는 그 각종 정보를 그 설정 화면에 표시하고, 입력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predetermined action by an operator,
When the user terminal enters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detecting means detects the predetermined action of the operator, the display control unit only displays the user's terminal in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And displays the various information on the setting screen to allow input.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사용자 단말은, 그 설정 화면에 표시하게 하는 가공 조건을 포함하는 그 각종 정보가 격납된 정보 격납부를 구비하고,
그 통신 에어리어에 그 사용자 단말이 있는 동안 또는 가공 동작 동안에, 그 표시 제어부가 당해 사용자 단말의 그 정보 격납부에 격납된 그 각종 정보를 그 설정 화면에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user terminal has an information storage section in which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a processing condition to be displayed on the setting screen is stored,
And the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the various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of the user terminal on the setting screen while the user terminal exists in the communication area or during the machining operation.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제어 수단은, 추가로 그 사용자 단말을 관리하는 관리부를 구비하고,
그 관리부는, 액세스 가능한 사용자 단말에 액세스권을 관련지어 관리하고 있고,
그 표시 제어부가, 그 액세스권에 따른 설정 화면에서 그 사용자 단말의 그 각종 정보를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control means further comprises a management section for managing the user terminal,
The management unit manages the access right to the accessible user terminal,
And the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the variou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on the setting screen corresponding to the access right.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제어 수단은, 그 사용자 단말에 데이터를 백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the control means backs up the data to the user terminal.
KR1020180136367A 2017-11-27 2018-11-08 Machining apparatus KR10251082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26530A JP6934407B2 (en) 2017-11-27 2017-11-27 Processing equipment
JPJP-P-2017-226530 2017-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191A true KR20190062191A (en) 2019-06-05
KR102510829B1 KR102510829B1 (en) 2023-03-15

Family

ID=66844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367A KR102510829B1 (en) 2017-11-27 2018-11-08 Machining apparatu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34407B2 (en)
KR (1) KR102510829B1 (en)
CN (1) CN109860075B (en)
TW (1) TWI791685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845A (en) * 2020-03-26 2021-10-07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75824B2 (en) * 2019-05-09 2023-05-18 村田機械株式会社 machine tool system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1151A (en) * 1992-12-15 1994-06-28 Mitsubishi Electric Corp Id card and semiconductor-manufacturing system using same
KR20080053365A (en) * 2005-10-14 2008-06-12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emiconductor
KR20110048503A (en) * 2008-03-18 2011-05-11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고쿠사이 덴키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system
JP2012000701A (en) 2010-06-15 2012-01-05 Disco Corp Processing device
JP2014010745A (en) 2012-07-02 2014-01-20 Disco Abrasive Syst Ltd Processing device
CN105404216A (en) * 2014-09-08 2016-03-16 罗伯特·博世有限公司 Assembly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JP2019125736A (en) * 2018-01-18 2019-07-25 株式会社Kokusai Electric Substrate processing system,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substrate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0402B2 (en) * 2000-03-09 2010-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Finder device and optical apparatus using the same
US8855830B2 (en) * 2009-08-21 2014-10-07 Allure Energy, Inc.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5678468B2 (en) * 2010-05-06 2015-03-04 株式会社リコー Image processing system and operation management method
JP2011255472A (en) * 2010-06-10 2011-12-22 Disco Corp Machining device
JP5937510B2 (en) * 2010-11-25 2016-06-22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mmunication equipment
JP2014063423A (en) * 2012-09-24 2014-04-10 Disco Abrasive Syst Ltd Processing device
JP6098232B2 (en) * 2013-03-01 2017-03-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Store support system, portable terminal,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JP5935771B2 (en) * 2013-07-30 2016-06-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Laser processing system
JP5907624B2 (en) * 2013-09-13 2016-04-26 シャープ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E102013220865A1 (en) * 2013-10-15 2015-04-16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operation of a machine tool by means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6206099B2 (en) * 2013-11-05 2017-10-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Image display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system, and head-mounted display device
JP6382554B2 (en) * 2014-03-31 2018-08-29 パナソニック デバイスSunx株式会社 Laser processing equipment
KR20160016579A (en) * 2014-07-31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based on a specific zone
JP6149822B2 (en) * 2014-08-21 2017-06-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CN105527845A (en) * 2014-10-20 2016-04-27 上海本星电子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household control system and intelligent control software system
TW201618928A (en) * 2014-11-24 2016-06-01 弘訊科技股份有限公司 Injection molding apparatus
JP6194876B2 (en) * 2014-12-12 2017-09-1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JPWO2016199251A1 (en) * 2015-06-10 2017-07-27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Equipment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equipment maintenance apparatus and program
JP6575326B2 (en) * 2015-11-27 2019-09-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Image forming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gram
JP6661354B2 (en) * 2015-12-04 2020-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1151A (en) * 1992-12-15 1994-06-28 Mitsubishi Electric Corp Id card and semiconductor-manufacturing system using same
KR20080053365A (en) * 2005-10-14 2008-06-12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emiconductor
KR20110048503A (en) * 2008-03-18 2011-05-11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고쿠사이 덴키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system
JP2012000701A (en) 2010-06-15 2012-01-05 Disco Corp Processing device
JP2014010745A (en) 2012-07-02 2014-01-20 Disco Abrasive Syst Ltd Processing device
CN105404216A (en) * 2014-09-08 2016-03-16 罗伯特·博世有限公司 Assembly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JP2019125736A (en) * 2018-01-18 2019-07-25 株式会社Kokusai Electric Substrate processing system,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substrate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845A (en) * 2020-03-26 2021-10-07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60075B (en) 2023-10-03
TW201925936A (en) 2019-07-01
KR102510829B1 (en) 2023-03-15
CN109860075A (en) 2019-06-07
TWI791685B (en) 2023-02-11
JP6934407B2 (en) 2021-09-15
JP2019096175A (en)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4754B2 (en) Methods for locating an antenna within an electronic device
US68710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to a computer system
CN107103245B (en) File authority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KR102510829B1 (en) Machining apparatus
US1029855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storage and management of credentials and encryption keys
JP2008047085A (en) Data security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ing usb device
KR101318170B1 (en) data sharing system using a tablets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CN103839011A (en) Protecting method and device of confidential files
CN101169810A (en) Electronic device possessing fingerprint identification system and its usage method
US20170201528A1 (en) Method for providing trusted service based on secure area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10740494B2 (en) Central and delegate security processors for a computing device
CN105006045A (en) NFC cell phone dynamic password entrance guard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787319A (en) Iris recognition-based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same
CN112478966A (en) Elevator, debugging method, debugging platform and debugging terminal thereof
CN104715172B (en) A kind of application program launching method and device
CN101609489B (en) Secure input method for computer and system
JP2009081487A (en) Security terminal unit, computer program,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KR101603988B1 (en) System for context-aware service
KR102274163B1 (en) System of credential management for mobile access authentication using secure module
KR20200051185A (en) Security system based on user terminal
KR101578383B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user device using profile
KR20130078499A (en) An atm equipped with an epp integrated pin pad with hall sensor and the method of self-detecting the detachment of the pin pad
US20170265078A1 (en) File encryption, decryption and accessvia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0472105B1 (en) Stand-alone type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 and protection method of stand-alone type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
KR102086082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login for legacy system using wear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