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007A - IoT 노드 자동 구성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IoT 노드 자동 구성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007A
KR20190062007A KR1020170160966A KR20170160966A KR20190062007A KR 20190062007 A KR20190062007 A KR 20190062007A KR 1020170160966 A KR1020170160966 A KR 1020170160966A KR 20170160966 A KR20170160966 A KR 20170160966A KR 20190062007 A KR20190062007 A KR 20190062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node
iot
identifier
nod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6219B1 (ko
Inventor
박주영
허미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60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219B1/ko
Publication of KR20190062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환경에서 센서, 구동기 등 노드(node)의 관리 및 데이터 획득 과정을 용이하게 하는 IoT 노드 자동 구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IoT 노드 자동 구성 시스템은 IoT 노드의 값에 대해 요청/응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메모리 및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제어기는 IoT 노드의 기자재 프로파일을 획득하여 제조사별 식별자 및 어드레스의 매핑 테이블을 구축하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식별자 기반의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면, 식별자 기반의 데이터 요청을 IoT 노드 별 레지스터 주소 기반 데이터 요청으로 자동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IoT 노드 자동 구성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UTO CONFIGURATION OF IoT NODES}
본 발명은 IoT 환경에서 센서, 구동기 등 노드(node)의 관리 및 데이터 획득 과정을 용이하게 하는 IoT 노드 자동 구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센서, 구동기 등 제품 별로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의 주소(어드레스, address) 정보를 기초로 제어 응용(SW)을 설계하여 이용한다.
이러한 제어 응용을 이용하는 경우, 기정의된 제조사별 레지스터 주소를 기반으로 하여 각 노드의 데이터 획득을 위한 요청/응답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새로운 노드가 장착되는 등 노드의 변경이 발생한 경우, 제어 응용 자체를 새로 코딩하여야만 이용 가능하여 변경된 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인스톨된 IoT 노드에 대한 제조사별 식별자와 레지스터의 매핑 테이블을 자동 구성하고, 식별자 기반의 요청을 어드레스 기반의 요청으로 자동 변환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IoT 노드의 추가 등 변경이 일어난 경우에도 어플리케이션 자체의 수정이 불필요하며 범용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IoT 노드 자동 구성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IoT 노드 자동 구성 시스템은 IoT 노드의 값에 대해 요청/응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메모리 및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제어기는 IoT 노드의 기자재 프로파일을 획득하여 제조사별 식별자 및 어드레스의 매핑 테이블을 구축하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식별자 기반의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면, 식별자 기반의 데이터 요청을 IoT 노드 별 레지스터 주소 기반 데이터 요청으로 자동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IoT 노드 자동 구성 방법은 IoT 노드의 연결을 인식하고, 인식된 IoT 노드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IoT 노드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IoT 노드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어드레스에 대한 기자재 프로파일을 획득하는 단계 및 식별자 기반의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이를 IoT 노드 별로 레지스터 주소 기반 데이터 요청으로 자동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노드 자동 구성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제어 응용 SW)은 식별자 기반의 요청을 전달(릴레이)하는 common SW로 구성되고, 자동 구성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식별자 기반 요청을 레지스터 기반 요청으로 자동 변환하여 IoT 노드의 값에 대한 요청/응답을 수행하는 바, IoT 노드의 추가, 교체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여도 어플리케이션(제어 응용 SW)의 코드 수정 작업이 일체 불필요하고, 적응적이며 범용적으로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합 노드 제어기가 적용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통합 노드 제어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데이터 획득 과정을 나타내는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IoT 노드 자동 구성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IoT 노드 자동 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이 제안된 배경에 대하여 먼저 서술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합 노드 제어기(10)가 적용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노드(20)로서 센서 #a, 센서 #b, 센서 #c, 구동기 #d가 설치(연결)되어 있고, 센서와 구동기로부터 획득된 아날로그 값은 입출력부(IO, 11)와 ADC(12)를 거쳐 프로세서(14)로 전달된다.
프로세서(14)로부터 하달된 명령은 통신 모듈(15)을 통해 외부로 전달된다.
예컨대 각 노드(20)의 값(value)은 예컨대 온도, 습도, 조도, 토양 수분 등에 관한 정보이고, 이들은 제품의 제조사별로 정의된 메모리 어드레스(address)에 저장된다.
제어기(10)의 어플리케이션(13)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어드레스별로 저장되는 데이터가 무엇인지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구축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어플리케이션(13)은 노드의 값이 어느 어드레스에 저장되는지(즉, 어드레스 맵)를 알아야만 코딩할 수 있었다.
예컨대, 노드(20)의 센서 #a가 획득한 온도값이 어드레스 #100번에 저장되면, 어플리케이션(13)은 해당 사항을 매핑 테이블에 포함시키고, 사용자로부터 온도값을 알고 싶다는 요청이 오게 되면, #100번에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오라는 명령을 프로세서(14)를 통해 하달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통합 노드 제어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기(10)의 어플리케이션(13) 및 프로세서(14)는 제조사별, 모델별 레지스터 맵에 대한 요청과 응답을 수행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통합 노드 제어기(10)는 하드웨어 및 어플리케이션(제어 응용)을 포함하여 구현되는데, remote 방식의 구현 양태로서, 통신 모듈을 이용한 네트워킹에 의해서 제어 응용과 프로세서가 연결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종래 기술에 따른 레지스터 주소 기반의 요청/응답에 대하여, 도 3을 통해 상술한다.
도 3을 참조하면, A사가 제조한 통합 노드(20A)는 센서 #a 값을 어드레스 #1번에, 센서 #b 값을 어드레스 #2번에, 센서 #c 값을 어드레스 #3번에, 구동기 #d 값을 어드레스 #4번에 저장하도록 설계된 것임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B사가 제조한 통합 노드(20B)는 구동기 #e 값을 어드레스 #1번에, 센서 #f 값을 어드레스 #2번에, 센서 #g 값을 어드레스 #3번에 저장하도록 설계된 것임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3)은 각각의 value가 어느 주소의 어드레스에 저장되는지 알고 있어야만, 즉 어드레스 맵을 숙지하여야만 코딩될 수 있었던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은 센서 #a 값, #b값, #c값 및 구동기 #d값을 알고 싶다는 요청(GET_VAL{센서#a, 센서#b, 센서#c, 구동기 #d})을 보낸다.
어플리케이션(13)은 각 요청값을 획득하기 위하여, 각 요청값이 저장된 어드레스 번호를 지칭하여 value를 요청하는 레지스터 주소 기반의 요청(GET_VAL{Addr#1, Addr#2, Addr#3, Addr#4})을 configuration하여 프로세서(14)로 전달하고, 프로세서(14)는 이를 통합 노드(20A)로 전송한다.
프로세서(14)는 통합 노드로(20A)부터 이에 대한 응답(PUT_VAL{Addr#1, Addr#2, Addr#3, Addr#4})을 수신하여 이를 어플리케이션(13)으로 전달하고, 어플리케이션(13)은 사용자 요청값을 UI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기에 앞서, 레지스터 주소 기반의 응답(PUT_VAL{Addr#1, Addr#2, Addr#3, Addr#4})을 식별자 기반의 응답(PUT_VAL{센서#a, 센서#b, 센서#c, 구동기#d})으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300)이 센서 #g 값, #f값 및 구동기 #e값을 알고 싶다는 요청(GET_VAL{센서#g, 센서#f, 구동기 #e})를 보내면, 어플리케이션(13)은 기구축된 어드레스 맵을 이용하여, 어드레스 번호를 지칭하며 value를 요청하는 레지스터 주소 기반의 요청(GET_VAL{Addr#3, Addr#2, Addr#1)으로 configuration하여 프로세서(14)로 전달하고, 프로세서(14)는 이를 통합 노드(20B)로 전송한다.
프로세서(14)는 통합 노드(20B)로부터 이에 대한 응답(PUT_VAL{Addr#3, Addr#2, Addr#1})을 수신하여 이를 어플리케이션(13)으로 전달하고, 어플리케이션(13)은 사용자 요청값을 UI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기에 앞서, 레지스터 주소 기반의 응답(PUT_VAL{Addr#3, Addr#2, Addr#1})을 식별자 기반의 응답(PUT_VAL{센서#g, 센서#f, 구동기 #e})으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30)로 전송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3)-프로세서(14) 간, 프로세서(14)-통합 노드(20A, 20B) 간의 요청/응답은 레지스터 주소 기반의 요청/응답이며, 어플리케이션(13)은 각 제조사별 어드레스 맵을 숙지한 사람만이 설계할 수 있다.
도 3의 상황에서, 기존에는 특정 온실에 A 제조사의 통합 노드(20A)만이 연결되어 있고, 새로이 B 제조사의 통합 노드(20B)가 추가된 상황을 가정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3)이 A 제조사의 통합 노드(20A)의 어드레스 맵 정보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해당 어플리케이션(13)을 이용하여 B 제조사의 통합 노드(20B)의 센서#g, 센서#f, 구동기#e 값을 불러오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B 제조사의 통합 노드(20B)를 연결함에 따라 그 획득값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서비스 제공자는 B 제조사의 통합 노드(20B)의 어드레스 맵 정보, 즉 어떠한 값이 어떠한 어드레스에 저장되는지에 대하여 알아낸 다음, 어플리케이션(13)을 수정하여 B 제조사와 관련한 configuration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다시 말하면, 종래 기술에 따르면 센서/구동기가 추가되는 등 변경되면, 기구축된 어플리케이션 자체를 바꾸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는 즉 센서 노드 또는 구동기 노드의 메모리 맵을 모두 알고 있어야만 서비스 제공자가 어플리케이션을 그 상황에 맞게 변경시키며 configuration 로직 자체를 바꾸어야만 비로소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configuration을 수행하지 않는 common 어플리케이션을 전제로, 프로세서에 포함되는 자동 구성 모듈이 제조사별 식별자-레지스터에 관한 매핑 테이블을 자동 구성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식별자 기반 요청을 어드레스 기반의 요청으로 자동 변환함으로써, IoT 노드의 추가 등 변동된 상황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수정 없이 적응적으로 적용 가능한 새로운 통합 제어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1) 제어기와 기자재 프로파일 서버 간에는 모델별 레지스터 맵에 대한 요청/응답이 수행되고, 2) 어플리케이션-프로세서 간에는 식별자 기반의 요청/응답이 수행되며, 3) 프로세서-통합 노드 간의 요청은 통합 노드별로 변환된 제조사별 요청이 수행되고, 그 응답은 레지스터 주소 기반의 제조사별 응답이 수행되는 IoT 노드 자동 구성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기자재란, 센싱과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인 IoT 노드와, 구동과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인 IoT 노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IoT 노드 자동 구성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노드 자동 구성 시스템은 IoT 노드의 값에 대해 요청/응답하는 어플리케이션(130)이 저장된 메모리(미도시) 및 어플리케이션(130)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140)를 포함하는 제어기(100)로 구성된다.
어플리케이션(130)은 전술한 종래 기술과는 달리, 식별자 기반의 요청(예: get 온도)를 수신하여 이를 프로세서(140)로 전달(릴레이)하는 common SW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130)과 프로세서(140)는 종래 기술과 달리, 제조사와 무관한 식별자 기반의 요청/응답을 수행한다.
IoT 노드(200)는 센서/구동기를 통칭하는 것이며, 각 개별 센싱단/ 각 개별 구동단을 지칭하는 것 역시 포함하는 개념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자재는 센싱과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IoT 노드, 구동 및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IoT 노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100)는 내부 통신 모듈(150)을 포함하고, 내부 통신 모듈(150)은 IoT 노드(200)의 통신모듈(210)과 통신한다.
내부 통신 모듈(150) 및 IoT 노드(200)의 통신모듈(210)은 IoT 노드 (200)의 식별 정보(모델 식별자, 넘버, 텍스트, 바코드, 이미지 등)의 요청/응답, IoT 노드별로 변환된 데이터 요청, 레지스터 주소 기반의 응답을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100)의 외부 통신 모듈(160)은 기자재 프로파일 서버(400)로 IoT 노드(200)의 모델별 레지스터 맵을 요청하고, 그 응답(기자재 프로파일)을 수신하여 자동 구성 모듈(141)로 전달한다.
기자재 프로파일 서버(400)는 클라우드, 퍼스널 등의 다양한 양태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이며, 이하에서는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기자재 프로파일 서버"로 그 명칭을 예시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기자재 프로파일 서버는 모든 제조사의 IoT 노드의 프로파일을 저장/관리하는 통합 서버일 수 있고, 또는 각 제조사별 IoT 노드의 프로파일을 저장/관리하는 개별 서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자동 구성 모듈(141)을 포함하고, 자동 구성 모듈(141)은 IoT 노드(200)의 기자재 프로파일을 획득하여 제조사별 식별자 및 어드레스의 매핑 테이블, 즉 제조사별 매핑테이블(141-2)을 구축한다.
자동 구성 모듈(141)이 획득하는 기자재 프로파일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자재 프로파일 서버(400)로부터 획득하거나, 또는 IoT 노드(200)로부터 직접 획득한다.
일례로, IoT 노드(200)가 모델 식별자를 전송하면(이 때, 모델 식별자의 전송은 제어기 인터페이스가 새롭게 활성화됨에 따라, 제어기가 새로운 IoT 노드의 연결을 인식하고, 새로운 IoT 노드로 모델 식별자의 회신을 요청함에 따른 응답으로써 전송됨), 제어기(100)는 모델 식별자를 이용하여 기자재 프로파일 서버(400)로부터 해당 IoT 노드의 기자재 프로파일을 획득한다.
이 때, 제어기(100)는 수신된 모델 식별자에 대한 레지스터 맵 정보가 제조사별 매핑 테이블(141-2)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먼저 확인하고,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기자재 프로파일 서버(400)로 해당 IoT 노드의 기자재 프로파일을 요청한다.
다른 예로서, IoT 노드(200)가 모델 식별자와 자신의 기자재 프로파일을 전송하면, 제어기(100)가 이를 수신한다.
또 다른 예로서, IoT 노드(200)가 모델 식별자를 전송하면, 제어기(100)는 해당 모델 식별자에 대해 제조사별 매핑테이블(141-2)에 레지스터 맵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IoT 노드(200)로 기자재 프로파일 전송을 요청하고, IoT 노드(200)로부터 기자재 프로파일을 직접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구성 모듈(141)은 어플리케이션(130)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기반의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면, 식별자-레지스터 변환기(141-1)를 통해 식별자 기반의 데이터 요청을 IoT 노드 별 레지스터 주소 기반 데이터 요청으로 자동 변환하여, 이를 내부 통신 모듈(150)을 통해 IoT 노드(200)로 전송한다.
예컨대, A사 제품은 센싱한 온도값을 #100번 어드레스에 저장하고, B사 제품은 센싱한 온도값을 #1000번 어드레스에 저장하는 경우, 자동 구성 모듈(141)은 "온도값을 달라"는 요청을 #100번 어드레스에 저장된 값을 가져오라는 요청과, #1000번 어드레스에 저장된 값을 가져오라는 요청으로 자동 변환한다.
이 때, 자동 구성 모듈(141)은 식별자 기반의 데이터 요청을 IoT 노드 별 레지스터 주소 기반 데이터 요청으로 자동 변환하되, 하나의 메시지로 구성 가능하면 단일 기자재 레지스터 주소 기반의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하나의 메시지로 구성되지 않으면 복수 기자재 레지스터 주소 기반의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130)은 식별자 기반의 요청을 그대로 프로세서(140)로 전달하는 것으로, configuration 과정이 어플리케이션(130)에서 수행되지 않는다.
즉,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130)은 식별자 기반의 요청을 전달하는 common SW로서, IoT 노드(200)가 새로이 추가되는 경우에도 그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매핑 차원에서의 어플리케이션(130)에 대한 코딩 수정 과정은 일체 불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100)의 내부 통신 모듈(150)은 레지스터 주소 기반 데이터 요청에 대한 응답을 IoT 노드(200)의 통신모듈(210)로부터 수신하여, 자동 구성 모듈(141)로 전달한다.
자동 구성 모듈(141)은 식별자-레지스터 변환기(141-1), 제조사별 매핑 테이블(141-2)을 이용하여, 레지스터 주소 기반의 데이터 응답을 식별자 기반의 데이터 응답으로 자동 변환하여 어플리케이션(13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디스플레이)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노드 자동 구성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40), 내부 통신 모듈(150), 외부 통신 모듈(160)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40)는 자동 구성 모듈(141)을 포함하고, 자동 구성 모듈(141)은 식별자-레지스터 변환기(141-1) 및 제조사별 매핑 테이블(141-2)을 포함한다.
도 5는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각 세부 구성요소가 아닌 제어기(100)로 도시하여 시퀀스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제어기(100)는 IoT 노드(200)가 새로이 설치된 이벤트를 감지한다(S100).
이 때, 제어기단 인터페이스가 새로이 활성화(activation)되면, 프로세서(140)는 새로운 IoT 노드(200)가 연결되었음을 인지하고, 내부 통신 모듈(150)을 통해 IoT 노드(200)의 식별 정보(모델 식별자)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150).
모델 식별자는 넘버, 텍스트, 바코드,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태로서 전송되는 것으로, 해당 IoT 노드의 모델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IoT 노드(200)의 통신 모듈(210)로부터, 제어기(100)의 내부 통신 모듈(150)은 IoT 노드(200)의 모델 식별자를 회신한다(S150).
제어기(100)는 수신한 IoT 노드(200)의 모델 식별자를 확인하여, 제조사별 매핑 테이블(141-2)에 이미 포함된 모델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조사별 매핑 테이블(141-2)에 그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모델인 경우, 제어기(100)의 외부 통신 모듈(160)을 통해 기자재 프로파일 서버(400)로 IoT 노드(200)의 모델 식별자를 전송하며, 기자재 프로파일을 요청한다(S250).
도 5는 기자재 프로파일 서버(400)로부터 해당 IoT 노드(200)의 기자재 프로파일을 획득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IoT 노드(200)로부터 기자재 프로파일을 직접 획득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ㄴ
기자재 프로파일 서버(400)는 클라우드, 퍼스널 등 다양한 양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며, IoT 노드(200)의 모델 식별자를 참조하여 해당 기재자 프로파일을 전송하며(S300), 이는 외부 통신 모듈(160)을 통해 자동 구성 모듈(141)로 전송된다.
제어기(100)의 프로세서(140)에 포함되는 자동 구성 모듈(141)은 기자재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제조사별 매핑 테이블을 구축한다(S350).
이 과정에서 IoT 노드(200)는 센서 #a값, 센서 #b값, 센서#c값, 센서 #d값을 각각 어드레스 #1, 어드레스 #2, 어드레스 #3, 어드레스 #4에 저장시키도록 설계된 것임을 가정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식별자 기반의 데이터 요청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한다(S400).
어플리케이션(130)은 수신한 식별자 기반의 데이터 요청, GET_VAL{센서#a, 센서#b, 센서#c, 센서#d}를 바이패스(bypass)하여 제어기(100)의 프로세서(140)로 전달한다(S450).
제어기(100)의 자동 구성 모듈(141)은 식별자 기반의 데이터 요청에 대해 auto configuration을 수행하여, IoT 노드(200)의 레지스터 주소 기반 데이터 요청 GET_VAL{Addr#1, Addr#2, Addr#3, Addr#4}으로 자동 변환한다(S500).
레지스터 주소 기반 데이터 요청을 수신(S550)한 IoT 노드(200)는 레지스터 주소 기반 데이터 응답 PUT_VAL{Addr#1, Addr#2, Addr#3, Addr#4}을 제어기(100)의 자동 구성 모듈(141)로 전송한다(S600).
자동 구성 모듈(141)은 레지스터 주소 기반 데이터 응답을 식별자 기반 데이터 응답, 즉 PUT_VAL{센서#a, 센서#b, 센서#c, 센서#d}로 자동변환하여(S650), 어플리케이션(130)을 통해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한다(S700, S75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30)은 식별자 기반 데이터 요청 및 식별자 기반 데이터 응답을 각각 제어기(100)와 사용자 단말(300)로 바이패스하는 구성으로서, 어떠한 configuration 역할도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새로운 IoT 노드가 연결되는 경우에도, 어플리케이션 자체에 대한 수정이 전혀 필요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기(100)의 자동 구성 모듈(140)에 의해 auto-configuration이 수행되는 바, 새로운 IoT 노드가 연결된 상황에서 적응적이고 범용적으로 IoT 노드를 관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어기 11: 입출력부
12: ADC 13: 어플리케이션
14: 프로세서 15: 통신모듈
20: 노드 30: 사용자 단말
100: 제어기 130: 어플리케이션
140: 프로세서 141: 자동 구성 모듈
141-1: 식별자-레지스터 변환기 141-2: 제조사별 매핑테이블
150: 내부 통신모듈 160: 외부 통신모듈
200: IoT 노드 210: 통신모듈
300: 사용자 단말 400: 기자재 프로파일 서버

Claims (11)

  1. IoT 노드의 값에 대해 요청/응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IoT 노드의 기자재 프로파일을 획득하여 제조사별 식별자 및 어드레스의 매핑 테이블을 구축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식별자 기반의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식별자 기반의 데이터 요청을 상기 IoT 노드 별 레지스터 주소 기반 데이터 요청으로 자동 변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oT 노드 자동 구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제어기 인터페이스가 새롭게 활성화됨에 따라, 새로운 IoT 노드가 연결되었음을 인식하고 상기 새로운 IoT 노드로 모델 식별자의 회신을 요청하는 것
    인 IoT 노드 자동 구성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기자재 프로파일 서버로 상기 연결된 IoT 노드의 레지스터 맵을 요청하고, 획득된 상기 IoT 노드의 기자재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것
    인 IoT 노드 자동 구성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IoT 노드로부터 기자재 프로파일을 수신하는 것
    인 IoT 노드 자동 구성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식별자 기반의 데이터 요청을 상기 IoT 노드 별 레지스터 주소 기반 데이터 요청으로 자동 변환하여, 하나의 메시지로 구성되면 단일 기자재 레지스터 주소 기반의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하고, 하나의 메시지로 구성되지 않으면 복수 기자재 레지스터 주소 기반의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것
    인 IoT 노드 자동 구성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IoT 노드로부터 레지스터 주소 기반의 데이터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레지스터 주소 기반의 데이터 응답을 식별자 기반의 데이터 응답으로 자동 변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
    인 IoT 노드 자동 구성 시스템.
  7. (a) IoT 노드의 연결을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IoT 노드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IoT 노드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oT 노드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어드레스에 대한 기자재 프로파일을 획득하는 단계; 및
    (c) 식별자 기반의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이를 상기 IoT 노드 별로 레지스터 주소 기반 데이터 요청으로 자동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노드 자동 구성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기자재 프로파일 서버로 상기 IoT 노드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기자재 프로파일을 수신하고, 제조사별 식별자 및 레지스터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
    인 IoT 노드 자동 구성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IoT 노드로부터 상기 기자재 프로파일을 직접 수신하는 것
    인 IoT 노드 자동 구성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사용자 단말이 전송한 상기 식별자 기반의 데이터 요청을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식별자 기반의 데이터 요청을 그대로 전달 받고, 상기 기자재 프로파일을 참조하여 상기 식별자 기반의 데이터 요청을 상기 레지스터 주소 기반 데이터 요청으로 자동 변환하는 것
    인 IoT 노드 자동 구성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d) 상기 레지스터 주소 기반 데이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IoT 노드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식별자 기반의 데이터 응답으로 자동 변환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IoT 노드 자동 구성 방법.
KR1020170160966A 2017-11-28 2017-11-28 IoT 노드 자동 구성 시스템 및 방법 KR102006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966A KR102006219B1 (ko) 2017-11-28 2017-11-28 IoT 노드 자동 구성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966A KR102006219B1 (ko) 2017-11-28 2017-11-28 IoT 노드 자동 구성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007A true KR20190062007A (ko) 2019-06-05
KR102006219B1 KR102006219B1 (ko) 2019-08-02

Family

ID=66844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966A KR102006219B1 (ko) 2017-11-28 2017-11-28 IoT 노드 자동 구성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2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5260A (ko) * 2007-12-17 2009-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 기반 시스템과 wsn 노드와의 연동을 위한 고유식별자를 이용한 주소 변환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59728A (ko) * 2008-11-25 2010-06-04 성종우 메타데이터에 기반한 센서노드 관리장치 및 방법
JP2010206350A (ja) * 2009-03-02 2010-09-16 Oki Electric Ind Co Ltd センサデータ統合装置
JP2011118950A (ja) * 2011-03-18 2011-06-16 Hitachi Ltd 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センサデータの検索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5260A (ko) * 2007-12-17 2009-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 기반 시스템과 wsn 노드와의 연동을 위한 고유식별자를 이용한 주소 변환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59728A (ko) * 2008-11-25 2010-06-04 성종우 메타데이터에 기반한 센서노드 관리장치 및 방법
JP2010206350A (ja) * 2009-03-02 2010-09-16 Oki Electric Ind Co Ltd センサデータ統合装置
JP2011118950A (ja) * 2011-03-18 2011-06-16 Hitachi Ltd 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センサデータの検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219B1 (ko) 201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6649B2 (ja) 車両に係るテレマチックサービス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7793017B2 (en) Connection module for sensors
CN106538066B (zh) 用于预调试无线照明控制系统的系统和方法
US9311758B2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method
US11622006B2 (en) Single pair ethernet sensor device and sensor network
KR20000010180A (ko) 무선통신 단말기의 왑(wap) 서버 어드레스 지정방법
KR20140076692A (ko) 차량 진단 게이트웨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N111727410A (zh) 智能建筑装置的发现和控制
US20180113429A1 (en) Function connection unit comprising a service module
US10230657B2 (en) BUS system, method of operating a BUS system, and fluidic system with a BUS system
CN104412566A (zh) 用于处理资源的地址的方法和节点
KR100680218B1 (ko) 빌딩관리시스템 및 그의 통신방법
US10445256B2 (en) Function connection unit
KR20190062007A (ko) IoT 노드 자동 구성 시스템 및 방법
CN112083938A (zh) 车辆及其管理用户设置菜单的方法
US20110153790A1 (en) Open access point, terminal and internet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US7076310B2 (en) Electronic apparatus for a bus system
WO2014111991A1 (ja) 車両装置と携帯端末との動作適合化方法、車両装置と携帯端末とを備える車両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情報センタ
CN109417537B (zh) 通信适配器、电气设备、电气设备系统、控制通信适配器的方法
KR101899967B1 (ko) 차량의 네트워크 제어기 감시 방법
US201401598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configuration of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KR101909095B1 (ko) 이기종 기기의 호환성을 위한 스마트홈 게이트웨이의 정보 변환 시스템
US10528497B2 (en) Bus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 bus arrangement
KR101543148B1 (ko) 직접 디지털 제어기의 하위 모듈 자동 검색 방법
US10044557B2 (en) Configuration method for a wi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