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1379A - 차량 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1379A
KR20190061379A KR1020170159699A KR20170159699A KR20190061379A KR 20190061379 A KR20190061379 A KR 20190061379A KR 1020170159699 A KR1020170159699 A KR 1020170159699A KR 20170159699 A KR20170159699 A KR 20170159699A KR 20190061379 A KR20190061379 A KR 20190061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service
vehicle
virtual zone
vehicl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기
디 라오 디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알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알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알피시스템
Priority to KR1020170159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1379A/ko
Publication of KR20190061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3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Abstract

차량 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하며, 차량 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은 차량과 상기 사용자단말간의 가상의 영역인 가상 존을 관리하는 가상존관리부, 상기 가상 존에 위치한 사용자단말로부터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을 인증하는 사용자단말인증부 및 상기 가상 존에 참여한 사용자단말로 상기 가상 존에 대응되는 차량 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VEHICLE SERVICE}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차량 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 장치(In-vehicle apparatus)가 마스터(master)로 동작하고, 사용자단말인 스마트 디바이스들이 슬래이브(slave)로 동작하는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차량 내의 가상 존에 위치한 사용자단말이 차량 내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량 내에 전자장비가 늘어나면서 차량 내에서 차량과 관련된 정보 또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사용자의 사용자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사용자단말의 정보를 차량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미러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과 사용자단말간에 데이터의 송수신을 하기 위해 차량과 사용자단말 각각은 무선통신 방법으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래서 차량과 사용자단말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무선 통신이 안정적이고 고속일 때 데이터의 송수신이 원할하여 차량 내에서 차량의 정보 또는 멀티미디어를 안정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차량 내의 무선 통신이 불안정하거나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없을 경우에는 차량과 사용자단말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어려워 차량에서 사용자단말의 멀티미디어를 이용하거나 또는 사용자단말에서 차량의 정보를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하여 선행기술 문헌인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4-0040981호에서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제어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차량 내 장치가 마스터로 동작하고 사용자단말이 슬래이브로 동작하는 에드혹(AD-HOC)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차량 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차량 내 장치가 일정한 가상 존을 생성할 수 있고, 가상 존에 내에 위치한 사용자단말을 인증함으로써 차량 내 장치와 사용자단말간에 연결통신을 생성하는 차량 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사용자단말이 차량 내 서비스를 흥미기반, 상황기반 또는 의도기반 등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 차량 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과 상기 사용자단말간의 가상의 영역인 가상 존을 관리하는 가상존관리부, 상기 가상 존에 위치한 사용자단말로부터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을 인증하는 사용자단말인증부 및 상기 가상 존에 참여한 사용자단말로 상기 가상 존에 대응되는 차량 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이 차량 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과 상기 사용자단말간의 가상의 영역인 가상 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가상 존에 위치한 사용자단말로부터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을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존에 참여한 사용자단말로 상기 가상 존에 대응되는 차량 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내 서비스제공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차량과 상기 사용자단말간의 가상의 영역인 가상 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가상 존에 위치한 사용자단말로부터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을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존에 참여한 사용자단말로 상기 가상 존에 대응되는 차량 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며, 차량 내 서비스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으로서, 차량과 상기 사용자단말간의 가상의 영역인 가상 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가상 존에 위치한 사용자단말로부터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을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존에 참여한 사용자단말로 상기 가상 존에 대응되는 차량 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차량 내 장치가 마스터로 동작하고 사용자단말이 슬래이브로 동작하는 에드혹(AD-HOC)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차량 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차량 내 장치가 일정한 가상 존을 생성할 수 있고, 가상 존에 내에 위치한 사용자단말을 인증함으로써 차량 내 장치와 사용자단말간에 연결통신을 생성하는 차량 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사용자단말이 차량 내 서비스를 흥미기반, 상황기반 또는 의도기반 등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 차량 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먼저 정의한다.
‘차량 내 서비스’는 차량 내에서 사용자단말 또는 차량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차량의 정보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단순히 사용자가 요청하는 정보를 제공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맞춤형 정보를 능동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가상 존’은 차량과 사용자단말간에 통신연결을 형성될 수 있는 일정한 영역이면서 가상 존에 위치한 사용자단말로 차량 내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가상의 영역이다.
이러한 가상 존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차량 내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서비스가 그룹핑되어 하나의 서비스인 ‘포괄서비스’ 예를 들어, 흥미서비스, 상황서비스, 의도서비스 중 어느 하나가 가상 존에 매칭된 경우, ‘가상 존’은 각 사용자단말(10) 별로 포괄서비스에 그룹핑된 서비스가 달리 제공될 수 있다.
위에 정의한 용어 이외에 설명이 필요한 용어는 아래에서 각각 따로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은 근거리 통신인WiFi, 4G, 블루투스 및 기타 스마트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과 같은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차량 내부의 폐쇄 된 환경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10)과 통신하여 차랑(20)을 기준으로 일정한 영역인 가상 존(Z)에 위치한 사용자단말(10)로 차량 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은 차량 내에 위치하는 차량 내 장치와 차량 내 장치에 접속하는 사용자단말(10)로 구성될 수 있다.
차량 내 장치는 컴퓨팅이 가능한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이터 획득을 위한 센서 예를 들어, 가속도계, 자이로 미터, 자력계, 건강 센서와 같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10)과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단말(10)은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은, 입출력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및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작업의 수행 결과 또는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1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operation panel) 및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키보드, 물리 버튼, 터치 스크린,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출력부(110)는 다양한 입출력을 지원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입출력부(1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부(120)는 인증정보관리부(121), 사용자단말인증부(122), 가상존관리부(123), 서비스검색부(124) 또는 서비스제공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인증정보관리부(121)는 차량 내 서비스를 제공받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단말(10)에 대한 인증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우선, 인증정보관리부(121)는 사용자단말(10)의 식별 또는 차량 내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정보관리부(121)는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로써 즉, 전화번호, 기기정보(IMEI: 15 자리 숫자)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ID 등 차량 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단말(10)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 상의 등록블록(Registered Block)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인증정보관리부(121)는 차량 내 서비스를 제공한 사용자단말(10)에 대한 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정보관리부(121)는 차량 내 서비스를 제공하여 통신연결된 기록이 있는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 예를 들어 블루투스 ID를 데이터 베이스 상의 페어링블록(Paired Block)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인증정보관리부(121)는 시간 프레임 유효성, 서비스 액세서가 초과한 횟수 등과 같이 차량 내 서비스의 해지조건이 만족된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의 해지블록(Revoked Block)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인증정보관리부(121)는 사용자단말(10)의 신뢰성에 따라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의 신뢰블록(Trusted Block)과 비신뢰블록(Untrusted Block)으로 나누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며, 등록되지 않았으나 차량 내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의 비등록블록(Non-reputed Block)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단말인증부(122)는 가상 존(Z)에 위치한 사용자단말(10)로부터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단말(10)을 인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단말인증부(122)는 가상 존(Z)에 위치한 사용자단말(10)에 대한 복수의 식별정보 예를 들어, 전화번호, 기기번호(IME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ID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인증부(122)는 인증정보관리부(121)에 등록된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단말(10)을 인증할 수 있다.
우선, 사용자단말인증부(122)는 차량 내 서비스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단말(10)이 등록된 사용자단말(10)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인증부(122)는 가상 존(Z)에 위치한 사용자단말(10)의 전화번호를 획득하여 등록블록에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단말(10)의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단말인증부(122)는 인증정보관리부(121)를 통해 비등록블록에 사용자단말(10)의 전화번호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단말인증부(122)는 등록된 사용자단말(10)에 대해 차량 내 서비스의 제공이 종료된 사용자단말(10)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0)의 전화번호가 등록블록에 저장되어 있으면, 사용자단말인증부(122)는 사용자단말(10)의 전화번호가 해지블록에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고, 해지블록에 저장되어 있으면 사용자단말(10)의 인증을 종료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단말(10)의 전화번호가 해지블록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단말인증부(122)는 인증정보관리부(121)를 통해 사용자단말(10)의 전화번호를 신뢰블록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차량 내 서비스의 제공이 종료되지 않은 사용자단말(10)이면, 사용자단말인증부(122)는 사용자단말(10)을 인증할 수 있고, 차량 내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가상존관리부(123)는 차량과 사용자단말(10)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존(Z)을 관리할 수 있다.
즉, 가상존관리부(123)는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과 사용자단말(10) 사이에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도록 차량공간에 생성되는 가상의 영역인 가상 존(Z)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가상존관리부(123)는 사용자단말인증부(122)를 통해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단말(10)로 기 생성되어 차량 내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 존(Z)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단말(10)이 기 생성된 가상 존(Z)에 대한 참여를 거부하면, 가상존관리부(123)는 새로운 가상 존(Z)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가상 존(Z)에 대해 식별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존관리부(123)는 사용자단말(10)로 생성된 가상 존(Z)에 대한 참여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단말(10)이 가상 존(Z)에 대한 참여를 요청하면, 가상존관리부(123)는 가상 존(Z)에 사용자단말(10)을 참여시킬 수 있으며, 가상 존(Z)의 식별정보와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존관리부(123)는 생성된 가상 존(Z)에 대해 10자리의 문자열로 구성된 식별정보를 할당할 수 있고, 가상 존(Z)에 위치하여 통신연결된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가상 존(Z)은 하나의 차량에 개수의 제한 없이 생성될 수 있으며, 각 가상 존(Z)에는 제한없이 사용자단말(10)이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차량에 12개의 사용자단말(10)이 접근하는 경우, 가상존관리부(123)는 1개의 가상 존(Z)을 생성하거나 또는 각 사용자단말(10)별로 가상 존(Z) 12 개를 생성하여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존관리부(123)는 사용자단말(10)의 요청에 따라 가상 존(Z)에서 이탈하거나 가상 존(Z)이 변경된 경우, 기존 사용자단말(10)이 위치한 가상 존(Z)에서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를 삭제할 수 있고, 새로이 참여한 가상 존(Z)의 식별정보와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존관리부(123)는 제 1 가상 존(Z)에 매칭되어 제 1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단말(10)을 제 2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 2 가상 존(Z)으로 사용자단말(10)을 전환시킬 수 있고 사용자단말(10)과 매칭된 가상 존(Z) 식별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상 존(Z)과 가상 존(Z)에 위치한 사용자단말(10)을 관리하기 위해 가상존관리부(123)는 관리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고, 가상 존(Z)의 식별정보와 가상 존(Z)에 위치한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를 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가상존관리부(123)는 가상 존(Z)에서 제공되는 차량 내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해 관리테이블 상의 각 가상 존(Z)의 식별정보와 차량 내 서비스의 식별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상 존에서 제 1 사용자단말이 차량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가상존관리부(123)는 제 1 가상 존의 식별정보 ‘Z1’ 과 제 1 사용자단말이 ‘ID1’ 을 매칭하고, 제 1 가상 존에서 제공되는 차량 내 서비스인 차량정보의 서비스 식별정보인 ‘S1’을 각각 매칭하여 관리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 1 가상 존에서 제 1 사용자단말과 제 2 사용자단말이 포괄서비스에 포함되는 서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가상존 관리부(123)는 제 1 가상 존의 식별정보’Z1’과 제 1 사용자단말과 제 2 사용자단말 ‘ID1, ID2’를 매칭하고, 제 1 가상 존에 포괄서비스의 식별정보 ‘I1’을 매칭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존 관리부(123)는 제 1 사용자단말의 식별정보 ‘ID1’과 제 2 사용자단말의 식별정보 ‘ID2’ 에 포괄서비스 ‘I1’에 포함되는 제 1 서비스(S1)과 제 2 서비스(S2)의 식별정보를 각각 매칭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검색부(124)는 가상 존(Z)에 참여한 사용자단말(10)의 요청에 따라 차량 내 서비스를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비스검색부(124)는 차량 내 서비스를 구성하는 복수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사용자단말(10)로 제공할 수 있고, 제공된 리스트 중 사용자단말(10)로부터 획득되는 키워드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검색부(124)는 흥미기반, 상황기반 및 의도기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사용자가 차량 내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서비스검색부(124)는 차량 내 서비스를 흥미서비스, 상황서비스 또는 의도서비스로 그룹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검색부(124)는 사용자의 흥미를 기반으로 차량 내 서비스를 그룹핑할 수 있다. 즉, ‘헐리우드’를 기준으로 ‘헐리우드 영화’과 ‘헐리우드 음악’ 서비스가 그룹핑된 흥미서비스의 식별정보와 흥미서비스에 포함되는 헐리우드 영화’과 ‘헐리우드 음악’ 각각의 식별정보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서비스검색부(124)는 사용자의 상황을 기반으로 차량 내 서비스를 그룹핑할 수 있다. 즉, ‘집으로 이동’을 기준으로 ‘헐리우드 음악’, ‘한국 음악’, ‘중국 음악’ 서비스가 그룹핑된 상황서비스의 식별정보와 상황서비스에 포함되는 ‘헐리우드 음악’, ‘한국 음악’, ‘중국 음악’ 각각의 식별정보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검색부(124)는 사용자에게 가상 존(Z)에 매칭되어 사용자가 제공받을 수 있는 차량 내 서비스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검색부(124)는 차량 내 서비스로서 선택된 서비스가 포괄서비스인 경우, 포괄서비스에 대한 세부 서비스 리스트인 흥미서비스 리스트, 상황서비스 리스트, 의도서비스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검색부(124)는 사용자단말(10)로 차량 내 서비스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10)부터 획득되는 검색어에 기초하여 차량 내 서비스 리스트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검색부(124)가 사용자단말(10)가 흥미, 상황, 의도 등과 같이 포괄서비스를 검색하면, 검색된 포괄서비스를 구성하는 서비스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검색부(124)는 사용자단말(10)이 흥미를 기반으로 차량 내 서비스를 검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검색부(124)는 흥미서비스 중 ‘헐리우드’ 에 대한 흥미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흥미서비스에 포함된 ‘헐리우드 영화’ 또는 ‘헐리우드 음악’을 포함하는 서비스리스트를 사용자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서비스검색부(124)는 ‘자동차 모니터링’이라는 흥미를 사용자단말(10)로부터 수신하여 차량 내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흥미서비스에 그룹핑된 서비스인 ‘자동차 제어’, ‘동작 모니터링’, ‘연료 모니터링’ 및 ‘운전자 행동’을 포함하는 서비스리스트와 각 흥미서비스에 대한 설명을 사용자단말(1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10)로부터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선택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검색부(124)는 사용자단말(10)이 상황 기반으로 차량 내 서비스를 검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검색부(124)는 ‘집으로 가는 중’이라는 상황을 사용자단말(10)로부터 수신하여 차량 내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상황서비스에 그룹핑된 서비스인 ‘헐리우드 음악’, ‘한국 음악’, ‘중국 음악’을 포함하는 서비스리스트와 각 상황서비스에 대한 설명을 사용자단말(1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10)로부터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선택받을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검색부(124)는 사용자단말(10)이 의도 기반으로 차량 내 서비스를 검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검색부(124)는 ‘차량 컨디션과 관련된 서비스’ 사용자단말(10)의 의도를 수신하여 차량 내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의도서비스에 그룹핑된 ‘차량 모니터링 그리고 대쉬보드’, ‘차량 유지’, ‘배터리 모니터링’을 포함하는 서비스리스트와 각 의도서비스에 대한 설명을 사용자단말(1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10)로부터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선택받을 수 있다.
한편, 서비스제공부(125)는 서비스검색부(124)를 통해 검색된 차량 내 서비스 중 사용자단말(10)이 선택한 차량 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단말(10)이 기 생성된 가상 존(Z)에 참여한 경우, 서비스제공부(125)는 관리테이블을 참조하여 기 생성된 가상 존(Z)의 식별정보에 매칭된 서비스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차량 내 서비스를 사용자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단말(10)이 새로 생성된 가상 존(Z)에 참여한 경우, 서비스제공부(125)는 서비스검색부(124)를 통해 사용자단말(10)로 차량 내 서비스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고, 선택된 차량 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제공부(125)는 차량 내 서비스인 비디오 스트리밍, 음악 스트리밍, 차량제어, 차량 모니터링 중 사용자단말(10)로부터 선택받은 서비스인 비디오 스트리밍을 사용자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단말(10)이 참여한 가상 존(Z)에 매칭된 서비스가 흥미서비스, 상황서비스 또는 의도서비스인 경우에는 가상 존(Z)에 참여한 사용자별로 각 포괄서비스에 그룹핑된 세부 서비스를 달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헐리우드’ 흥미서비스가 선택된 가상 존(Z)에 제 1 및 제 2 사용자단말(10)이 참여한 경우, 서비스제공부(125)는 각 사용자단말(10) 별로 ‘헐리우드 음악’, ‘헐리우드 영화’를 달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제공부(125)는 가상존관리부(123)의 관리테이블에 가상 존(Z)의 식별정보에 매칭된 각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 별로 각 사용자가 선택한 포괄서비스의 식별정보를 매칭되도록 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3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30)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가 지원하는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일 수 있다.
메모리(140)에는 파일,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도 3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서비스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서비스제공방법은 도 2 에 도시된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 에 도시된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서비스제공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우선,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은 차량 내 서비스를 제공받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S3001).
즉,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은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을 초기화하면서 차량 내 서비스를 제공받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은 사용자단말(10)의 전화번호를 사용자로부터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의 등록블록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은 차량으로부터 일정한 반경내의 가상 존(Z)에 위치한 사용자단말(10)로부터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단말(10)을 인증할 수 있다(S3002).
즉,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은 차량으로부터 일정한 반경 이내인 차량 내 서비스를 제공할 범위인 가상 존(Z) 접근한 사용자단말(10)을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사용자단말(10)로부터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은 사용자단말(10)이 방출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감지하면, 사용자단말(10)로부터 식별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0)의 전화번호, 기기정보, 블루투스 ID 등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은 획득된 사용자단말(10)이 S3001단계에서 등록된 사용자단말(10)인지 데이터베이스의 등록블록을 기초로 판단할 수 있고(S3003),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단말(10)은 사용자단말(10)인증을 중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사용자단말(10)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는 사용자단말(10)이 차량 내 서비스의 제공이 중단된 사용자단말(10)인지 데이터베이스의 해지블록을 기초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해지블록에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은 사용자단말(10)이 신뢰블록에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를 기록하고 사용자단말(10)을 인증할 수 있다.
이후,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는 인증된 사용자단말(10)로 차량 내 서비스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매칭된 가상 존(Z)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3004).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은 사용자에게 기 생성된 가상 존(Z)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메시지를 사용자단말(10)로 제공하여 가상 존(Z)에 참여여부를 질의할 수 있다(S3005).
예를 들어,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은 사용자단말(10)로 검색된 차량 내 서비스에 대응되는 가상 존(Z)에 초대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기 생성된 가상 존(Z)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은 새로운 가상 존(Z)을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10)로 새롭게 생성된 가상 존(Z)에 참여시킬 수 있고, 가상 존(Z)의 식별정보와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를 매칭시킬 수 있다(S3006).
그리고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은 사용자단말(10)로 제공받을 수 있는 차량 내 서비스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고, 리스트로부터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선택받을 수 있다(S3007).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은 사용자단말(10)로 차량 내 서비스를 구성하는 서비스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고, 제공된 서비스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은 사용자에게 ‘음악듣기’ ‘영화보기’ 등과 같은 서비스가 포함된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고, 제공된 리스트 중 ‘영화보기’ 가 선택되면, ‘영화보기’ 서비스의 식별정보를 사용자가 참여한 가상 존(Z)의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은 복수의 서비스가 그룹핑되어 하나의 서비스로서 제공되는 흥미서비스, 상황서비스 또는 의도서비스 등과 같은 포괄서비스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공된 포괄서비스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포괄서비스를 선택받으면,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은 사용자단말(10)로 선택된 포괄서비스에 그룹핑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고, 어느 하나를 선택받으면 선택된 서비스의 식별정보와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 그리고 가상 존(Z)의 식별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은 흥미기반, 상황기반 또는 의도기반 각각에 따라 차량 내 서비스를 그룹핑하여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흥미기반으로 차량 내 서비스를 분류하여 저장한 경우,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은 차량 내 서비스를 ‘헐리우드’와 연관된 서비스인 ‘헐리우드 음악’, ‘헐리우드 영화’를 그룹핑하여 하나의 흥미서비스로 설정할 수 있으며, 흥미서비스에 대해 식별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이후,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100)는 가상 존(Z)에 참여한 사용자단말(10)로 사용자단말(10)로부터 선택된 차량 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3008).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도 ~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
110: 입출력부
120: 제어부
121: 인증정보관리부 122: 사용자단말인증부
123: 가상존관리부 124: 서비스검색부
125: 서비스제공부

Claims (12)

  1. 차량 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과 상기 사용자단말간의 가상의 영역인 가상 존을 관리하는 가상존관리부;
    상기 가상 존에 위치한 사용자단말로부터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을 인증하는 사용자단말인증부; 및
    상기 가상 존에 참여한 사용자단말로 상기 가상 존에 대응되는 차량 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하는,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획득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차량 내 서비스를 검색하는 서비스검색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검색부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흥미, 상황 및 의도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키워드를 획득하고, 획득된 키워드에 연관된 포괄서비스를 검색하는,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은,
    상기 차량 내 서비스를 제공받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단말의 식별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단말에 대한 인증정보를 관리하는 인증정보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존관리부는,
    상기 사용자단말로 적어도 하나의 가상 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어느 하나의 가상 존에 대한 참여요청을 획득하면, 상기 가상 존에 매칭된 차량 내 서비스의 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단말을 매칭하는,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
  6.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이 차량 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과 상기 사용자단말간의 가상의 영역인 가상 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가상 존에 위치한 사용자단말로부터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을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존에 참여한 사용자단말로 상기 가상 존에 대응되는 차량 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내 서비스제공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 서비스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획득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차량 내 서비스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내 서비스제공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흥미, 상황 및 의도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키워드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키워드에 연관된 포괄서비스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내 서비스제공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 서비스제공방법은,
    상기 차량 내 서비스를 제공받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단말의 식별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내 서비스제공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 서비스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단말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어느 하나의 가상 존에 대한 참여요청을 획득하면, 상기 가상 존에 매칭된 차량 내 서비스의 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단말을 매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내 서비스제공방법.
  11. 제 6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2. 차량 내 서비스제공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며, 제 6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170159699A 2017-11-27 2017-11-27 차량 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613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699A KR20190061379A (ko) 2017-11-27 2017-11-27 차량 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699A KR20190061379A (ko) 2017-11-27 2017-11-27 차량 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379A true KR20190061379A (ko) 2019-06-05

Family

ID=66844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699A KR20190061379A (ko) 2017-11-27 2017-11-27 차량 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13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9765B2 (en) Sharing user context and preferences
US11652821B2 (en) One step security system in a network storage system
US9112849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creation of hotspots for media control
US1013354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sonalizing user experience based on diversity metrics
US9256637B2 (en) Suggesting media content based on an image capture
US20130347117A1 (en) Automated accounts for media playback
US11301584B2 (en) Automated personalized out-of-the-box and ongoing in-application settings
US11943217B2 (en) Association via broadcast
US11539771B2 (en) System and methods of de-centralized content collection, distribution, and control
US201901382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displayles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190061379A (ko) 차량 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9311384B1 (en) Providing recommendations
KR20180062421A (ko) 커뮤니티 연동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30091449A (ko) 고객 맞춤형 화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KR20200142759A (ko)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것의 계정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