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1004A - 듀얼 모드 채널 추정 필드를 갖는 프레임 포맷 - Google Patents

듀얼 모드 채널 추정 필드를 갖는 프레임 포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1004A
KR20190061004A KR1020197009882A KR20197009882A KR20190061004A KR 20190061004 A KR20190061004 A KR 20190061004A KR 1020197009882 A KR1020197009882 A KR 1020197009882A KR 20197009882 A KR20197009882 A KR 20197009882A KR 20190061004 A KR20190061004 A KR 20190061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f
complementary sequences
frame
complementary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9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1450B1 (ko
Inventor
아미차이 산데로비치
알렉산더 페트루 에이탄
아사프 야콥 카셔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61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04Channel estimation of multiple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Channel estimation of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04L25/0226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sounding signals per 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08Modulated-carrier systems arrangements for allowing a transmitter or receiver to use more than one type of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양상들은, 상이한 프로세싱 능력들을 갖는 디바이스들을 수용할 수 있는 듀얼 모드 채널 추정 필드(CEF)들을 갖는 프레임들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를 제공한다. 몇몇 예들에서, 생성된 프레임은, 별개의 채널들 상에서의 송신을 위한 제1 부분, 및 채널 본딩을 사용하는 송신을 위한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제2 부분은, 제1 상보 시퀀스들(-Gb)을 포함하는 트레이닝 필드(610), 제2 상보 시퀀스들(-Ga)을 포함하는 제1 채널 추정 필드(CEF, 620), 및 트레이닝 필드의 제1 상보 시퀀스들 중 하나 및 제1 CEF의 제2 상보 시퀀스들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제2 CEF(630)를 갖는다.

Description

듀얼 모드 채널 추정 필드를 갖는 프레임 포맷
[0001]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Frame Format with Dual Mode Channel Estimation Field"으로 2016년 10월 1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시리얼 넘버 제 62/406,270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는, 2017년 9월 24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 15/713,690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그 출원은 그들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0002]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예컨대, 상이한 프로세싱 능력들을 갖는) 상이한 타입들의 디바이스들을 수용할 수 있는 "듀얼 모드" 채널 추정 필드들을 갖는 프레임들을 생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0003]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대해 요구되는 대역폭 요건들을 증가시키는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높은 데이터 스루풋들을 달성하면서 채널 리소스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 단말들이 단일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게 하기 위한 상이한 방식들이 개발되고 있다.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기술은, 차세대 통신 시스템들에 대한 인기있는 기술로서 최근에 나타난 하나의 그러한 접근법을 표현한다. MIMO 기술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과 같은 수 개의 신생 무선 통신 표준들에서 채택되었다. IEEE 802.11 표준은 단거리 통신들(예컨대, 수십 미터 내지 수백 미터)에 대하여 IEEE 802.11 위원회에 의해 개발된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에어 인터페이스 표준들의 세트를 나타낸다.
[0004] MIMO 시스템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다수(NT개)의 송신 안테나들 및 다수(NR개)의 수신 안테나들을 이용한다. NT개의 송신 및 NR개의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형성된 MIMO 채널은, 공간 채널들로 또한 지칭되는 NS개의 독립적인 채널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여기서, NS≤min{NT, NR} 이다. NS개의 독립적인 채널들 각각은 차원(dimension)에 대응한다. 다수의 송신 및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생성된 부가적인 차원수(dimensionality)들이 이용되면, MIMO 시스템은 개선된 성능(예컨대, 더 높은 스루풋 및/또는 더 큰 신뢰도)을 제공할 수 있다.
[0005] 단일 액세스 포인트(AP) 및 다수의 사용자 스테이션(STA)들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동시 송신들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방향 둘 모두에서 상이한 스테이션들을 향해 다수의 채널들 상에서 발생할 수 있다. 많은 난제들이 그러한 시스템들에 존재한다.
[0006]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일반적으로, 별개의 채널들 상에서의 송신을 위한 제1 부분, 및 채널 본딩(channel bonding)을 사용하는 송신을 위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 ― 제2 부분은 상보 시퀀스들에 의해 형성된 트레이닝 필드, 상보 시퀀스들에 의해 형성된 제1 채널 추정 필드(CEF), 및 트레이닝 필드의 마지막 상보 시퀀스 및 제1 CEF의 시작 상보 시퀀스들에 의해 형성된 제2 CEF를 가짐 ―, 및 송신을 위해 프레임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0007]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일반적으로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프레임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프레임의 제1 부분은 별개의 채널들 상에서 획득되고, 프레임의 제2 부분은 채널 본딩을 사용하여 획득되며, 제2 부분은 제1 상보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트레이닝 필드, 제2 상보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제1 채널 추정 필드(CEF), 및 트레이닝 필드의 제1 상보 시퀀스들 중 하나 및 제1 CEF의 제2 상보 시퀀스들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제2 CEF를 갖는다. 프로세싱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제1 CEF 또는 제2 CEF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0008]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은 또한, 위에서 설명된 장치들 및 동작들에 대응하는 다양한 방법들, 수단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을 제공한다.
[0009] 본 개시내용의 위에서-언급된 특성들이 상세히 이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더 구체적인 설명이 양상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양상들 중 일부는 첨부된 도면들에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들이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통상적인 양상들만을 예시하는 것이므로,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하는데, 이는 상기 설명이 다른 균등하게 유효한 양상들을 허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0010]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다이어그램이다.
[0011]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액세스 포인트 및 예시적인 사용자 단말들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0012]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른, 듀얼 모드 채널 추정 필드(CEF)들을 가질 수 있는 예시적인 프레임 포맷을 예시한다.
[0013]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른, 상이한 길이의 GI들을 갖는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을 예시한다.
[0014] 도 4a는 도 4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0015]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른, 상이한 길이의 GI들을 갖는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을 예시한다.
[0016] 도 5a는 도 5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0017]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듀얼 모드 채널 추정 필드(CEF)를 예시한다.
[0018]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른, 도 6의 예시적인 듀얼 모드 채널 추정 필드(CEF)가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예시한다.
[0019] 도 8은 도 6의 예시적인 듀얼 모드 채널 추정 필드(CEF)를 이용하여 달성가능할 수 있는 예시적인 상관 성능을 예시한다.
[0020]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양상들은 상이한 길이들의 GI 시퀀스들을 갖는 프레임 포맷들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를 제공한다.
[0021]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완전히 설명된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제시되는 임의의 특정한 구조 또는 기능으로 제한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이들 양상들은, 본 개시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것이고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당업자들에게 완전히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교시들에 기반하여, 당업자는,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다른 양상과 독립적으로 또는 그 양상과 조합하여 구현되는지에 관계없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양상을 커버하도록 의도됨을 인식해야 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수의 양상들을 사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부가하여 또는 그 다양한 양상들 이외의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 및 기능을 사용하여 실시되는 그러한 장치 또는 방법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양상이 청구항의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0022] 단어 "예시적인"은 "예, 예시, 또는 예증으로서 기능하는 것"을 의미하도록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양상은 다른 양상들에 비해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서 반드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0023] 특정한 양상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만, 이들 양상들의 많은 변경들 및 치환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 바람직한 양상들의 몇몇 이점들 및 장점들이 언급되지만,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특정한 이점들, 사용들, 또는 목적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은 상이한 무선 기술들, 시스템 구성들, 네트워크들, 및 송신 프로토콜들에 광범위하게 적용가능하도록 의도되며, 이들 중 몇몇은 바람직한 양상들의 다음의 설명 및 도면들에서 예로서 예시된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은 제한하기보다는 단지 본 개시내용을 예시할 뿐이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들의 등가물들에 의해 정의된다.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0024]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법들은, 직교 멀티플렉싱 방식에 기반한 통신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브로드밴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통신 시스템들의 예들은, 공간 분할 다중 액세스(SDM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시스템들, 단일-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 시스템들 등을 포함한다. SDMA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속하는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하기 위해 충분히 상이한 방향들을 이용할 수 있다. TDMA 시스템은, 송신 신호를 상이한 시간 슬롯들로 분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 단말들이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공유하게 허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시간 슬롯은 상이한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다. OFDMA 시스템은, 전체 시스템 대역폭을 다수의 직교 서브-캐리어들로 분할하는 변조 기법인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을 이용한다. 이들 서브-캐리어들은 또한 톤들, 빈들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OFDM을 이용하여,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독립적으로 데이터로 변조될 수 있다. SC-FDMA 시스템은,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분산된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송신하기 위한 인터리빙된 FDMA(IFDMA), 인접한 서브-캐리어들의 블록 상에서 송신하기 위한 로컬화된 FDMA(LFDMA), 또는 인접한 서브-캐리어들의 다수의 블록들 상에서 송신하기 위한 향상된 FDMA(EFDMA)를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볼들은 OFDM을 이용하여 주파수 도메인에서 전송되고, SC-FDMA을 이용하여 시간 도메인에서 전송된다.
[0025] 본 명세서의 교시들은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장치들(예컨대, 노드들)에 포함(예컨대, 그 장치들 내에서 구현 또는 그 장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본 명세서의 교시들에 따라 구현된 무선 노드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액세스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0026] 액세스 포인트("AP")는 노드 B,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NC"), 이벌브드 노드 B(eNB), 기지국 제어기("BSC"),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TS"), 기지국("BS"), 트랜시버 기능("TF"), 라디오 라우터, 라디오 트랜시버, 기본 서비스 세트("BSS"), 확장 서비스 세트("ESS"), 라디오 기지국("RBS"), 또는 몇몇 다른 용어를 포함하거나, 그들로서 구현되거나, 그들로서 알려질 수 있다.
[0027] 액세스 단말("AT")은, 가입자 스테이션, 가입자 유닛, 모바일 스테이션,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사용자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사용자 장비, 사용자 스테이션, 또는 몇몇 다른 용어를 포함하거나, 그들로서 구현되거나, 그들로서 알려질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전화기, 코드리스(cordless) 전화기,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기,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 무선 연결 능력을 갖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스테이션("STA"),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몇몇 다른 적절한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교시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은 전화기(예컨대, 셀룰러 전화기 또는 스마트폰), 컴퓨터(예컨대, 랩톱),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예컨대, 개인 휴대 정보 단말),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예컨대, 뮤직 또는 비디오 디바이스, 또는 위성 라디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또는 유선 매체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노드는 무선 노드이다. 그러한 무선 노드는, 예컨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네트워크(예컨대, 광역 네트워크, 이를테면 인터넷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한 또는 그 네트워크로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0028] 도 1은 액세스 포인트들 및 사용자 단말들을 갖는 다중-액세스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시스템(100)을 예시한다. 간략화를 위해,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110)만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들과 통신하는 고정형 스테이션이며, 기지국 또는 몇몇 다른 용어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고정형 또는 이동형일 수 있고, 모바일 스테이션, 무선 디바이스 또는 몇몇 다른 용어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10)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 상에서 임의의 주어진 순간에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들(120)과 통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즉, 순방향 링크)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사용자 단말들로의 통신 링크이고, 업링크(즉, 역방향 링크)는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로의 통신 링크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다른 사용자 단말과 피어-투-피어 통신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기(130)는 액세스 포인트들에 커플링하고 그들에 대한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한다.
[0029] 다음의 본 개시내용의 일부들이 공간 분할 다중 액세스(SDMA)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들(120)을 설명할 것이지만, 특정한 양상들의 경우, 사용자 단말들(120)은 SDMA를 지원하지 않는 몇몇 사용자 단말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양상들에 대해, 액세스 포인트(AP)(110)는 SDMA 및 비-SDMA 사용자 단말들 둘 모두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편리하게, 더 오래된 버전들의 사용자 단말들("레거시" 스테이션들)이 산업분야(enterprise)에서 계속해서 배치되게 허용하여, 그들의 유효 수명을 연장하면서, 더 새로운 SDMA 사용자 단말들이 적절한 것으로 간주될 때 도입되게 허용할 수 있다.
[0030] 시스템(100)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 상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 다수의 송신 및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을 이용한다. 액세스 포인트(110)에는 Nap개의 안테나들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액세스 포인트(110)는 다운링크 송신들을 위한 다중-입력(MI) 및 업링크 송신들을 위한 다중-출력(MO)을 표현한다. K개의 선택된 사용자 단말들(120)의 세트는 다운링크 송신들을 위한 다중-출력 및 업링크 송신들을 위한 다중-입력을 집합적으로 표현한다. 순수한 SDMA에 대해, K개의 사용자 단말들에 대한 데이터 심볼 스트림들이 몇몇 수단에 의해 코드, 주파수 또는 시간으로 멀티플렉싱되지 않으면, Nap≥K≥1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심볼 스트림들이 TDMA 기법, CDMA에 관해서는 상이한 코드 채널들, OFDM에 관해서는 서브대역들의 디스조인트 세트(disjoint set)들 등을 사용하여 멀티플렉싱될 수 있으면, K는 Nap보다 더 클 수 있다. 각각의 선택된 사용자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로 사용자-특정 데이터를 송신하고 그리고/또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사용자-특정 데이터를 수신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선택된 사용자 단말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안테나들(즉, Nut≥1)이 장착될 수 있다. K개의 선택된 사용자 단말들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수의 안테나들을 가질 수 있다.
[0031] 시스템(100)은 시분할 듀플렉스(TDD) 시스템 또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스템일 수 있다. TDD 시스템에 대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공유한다. FDD 시스템에 대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한다. 또한, MIMO 시스템(100)은 송신을 위해 단일 캐리어 또는 다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할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는 (예컨대, 비용들을 낮게 유지하기 위해) 단일 안테나 또는 (예컨대, 부가적인 비용이 지원될 수 있는 경우) 다수의 안테나들이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들(120)이 송신/수신을 상이한 시간 슬롯들로 분할함으로써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공유하면, 시스템(100)은 또한 TDMA 시스템일 수 있으며, 각각의 시간 슬롯은 상이한 사용자 단말(120)에 할당된다.
[0032] 도 2는, MIMO 시스템(100)에서의 액세스 포인트(110) 및 2개의 사용자 단말들(120m 및 120x)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예시한다. 액세스 포인트(110)에는 Nap개의 안테나들(224a 내지 224ap)이 장착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120m)에는 Nut,m개의 안테나들(252ma 내지 252mu)이 장착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120x)에는 Nut,x개의 안테나들(252xa 내지 252xu)이 장착되어 있다. 액세스 포인트(110)는 다운링크를 위한 송신 엔티티 및 업링크를 위한 수신 엔티티이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120)은 업링크를 위한 송신 엔티티 및 다운링크를 위한 수신 엔티티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송신 엔티티"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장치 또는 디바이스이고, "수신 엔티티"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장치 또는 디바이스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아랫첨자 "dn"은 다운링크를 나타내고, 아랫첨자 "up"는 업링크를 나타내며, 업링크 상에서의 동시 송신을 위해 Nup개의 사용자 단말들이 선택되고, 다운링크 상에서의 동시 송신을 위해 Ndn개의 사용자 단말들이 선택되며, Nup는 Ndn과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고, Nup 및 Ndn은 정적인 값들일 수 있거나 각각의 스케줄링 간격 동안 변할 수 있다. 빔-스티어링(beam-steering) 또는 몇몇 다른 공간 프로세싱 기법이 액세스 포인트 및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될 수 있다.
[0033] 업링크 상에서, 업링크 송신을 위해 선택되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120)에서, TX 데이터 프로세서(288)는 데이터 소스(286)로부터 트래픽 데이터를 그리고 제어기(280)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288)는 사용자 단말에 대해 선택되는 레이트와 연관되는 코딩 및 변조 방식들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프로세싱(예컨대, 인코딩, 인터리빙, 및 변조)하고,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TX 공간 프로세서(290)는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해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Nut,m개의 안테나들에 대해 Nut,m개의 송신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트랜시버들(254)의 각각의 송신기 유닛(TMTR)은 업링크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각각의 송신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고 프로세싱(예컨대,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상향변환)한다. 트랜시버들(254)의 Nut,m개의 송신기 유닛들은 Nut,m개의 안테나들(252)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로의 송신을 위해 Nut,m개의 업링크 신호들을 제공한다.
[0034] Nup개의 사용자 단말들은 업링크 상에서의 동시 송신을 위해 스케줄링될 수 있다. 이들 사용자 단말들 각각은 그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해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업링크 상에서 그의 송신 심볼 스트림들의 세트를 액세스 포인트에 송신한다.
[0035] 액세스 포인트(110)에서, Nap개의 안테나들(224a 내지 224ap)은 업링크 상에서 송신하는 모든 Nup개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을 수신한다. 각각의 안테나(224)는 수신된 신호를 트랜시버들(222)의 각각의 수신기 유닛(RCVR)에 제공한다. 트랜시버들(222)의 각각의 수신기 유닛은 트랜시버(254)의 송신기 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상보적인 프로세싱을 수행하며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RX 공간 프로세서(240)는 트랜시버들(222)의 Nap개의 수신기 유닛들로부터의 Nap개의 수신된 심볼 스트림들에 대해 수신기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하며, Nup개의 복원된 업링크 데이터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수신기 공간 프로세싱은 채널 상관 매트릭스 인버전(CCMI), 최소 평균 제곱 에러(MMSE), 소프트 간섭 소거(SIC) 또는 몇몇 다른 기법에 따라 수행된다. 각각의 복원된 업링크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추정치이다. RX 데이터 프로세서(242)는 디코딩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각각의 복원된 업링크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해 사용되는 레이트에 따라 그 각각의 복원된 업링크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예컨대,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한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는 저장을 위해 데이터 싱크(244)에 및/또는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해 제어기(230)에 제공될 수 있다.
[0036] 다운링크 상에서, 액세스 포인트(110)에서, TX 데이터 프로세서(210)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스케줄링되는 Ndn개의 사용자 단말들에 대한 데이터 소스(208)로부터의 트래픽 데이터, 제어기(230)로부터의 제어 데이터, 및 가능하게는 스케줄러(234)로부터의 다른 데이터를 수신한다. 다양한 타입들의 데이터가 상이한 전송 채널들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TX 데이터 프로세서(210)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대해 선택되는 레이트에 기반하여 그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프로세싱(예컨대, 인코딩, 인터리빙 및 변조)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210)는 Ndn개의 사용자 단말들에 대해 Ndn개의 다운링크 데이터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TX 공간 프로세서(220)는 Ndn개의 다운링크 데이터 심볼 스트림들에 대해 (프리코딩 또는 빔포밍과 같은)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하며, Nap개의 안테나들에 대해 Nap개의 송신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트랜시버들(222)의 각각의 송신기 유닛은 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각각의 송신 심볼 스트림을 수신 및 프로세싱한다. 트랜시버들(222)의 Nap개의 송신기 유닛들은 Nap개의 안테나들(224)로부터 사용자 단말들로의 송신을 위해 Nap개의 다운링크 신호들을 제공한다.
[0037] 각각의 사용자 단말(120)에서, Nut,m개의 안테나들(252)은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 Nap개의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한다. 트랜시버들(254)의 각각의 수신기 유닛은 연관된 안테나(252)로부터의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싱하고,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RX 공간 프로세서(260)는 트랜시버들(254)의 Nut,m개의 수신기 유닛들로부터의 Nut,m개의 수신된 심볼 스트림들에 대해 수신기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하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복원된 다운링크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수신기 공간 프로세싱은 CCMI, MMSE 또는 몇몇 다른 기법에 따라 수행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270)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복원된 다운링크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예컨대,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한다.
[0038] 각각의 사용자 단말(120)에서, 채널 추정기(278)는 다운링크 채널 응답을 추정하며, 채널 이득 추정치들, SNR 추정치들, 잡음 분산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다운링크 채널 추정치들을 제공한다. 유사하게, 채널 추정기(228)는 업링크 채널 응답을 추정하고, 업링크 채널 추정치들을 제공한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제어기(280)는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에 대한 다운링크 채널 응답 매트릭스 Hdn,m에 기반하여 그 사용자 단말에 대한 공간 필터 매트릭스를 도출한다. 제어기(230)는 유효 업링크 채널 응답 매트릭스 Hup,eff에 기반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공간 필터 매트릭스를 도출한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제어기(280)는, 피드백 정보(예컨대,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고유벡터들, 고유값들, SNR 추정치들 등)를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들(230 및 280)은, 각각, 액세스 포인트(110) 및 사용자 단말(120)에서 다양한 프로세싱 유닛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0039] 예시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들(120)은,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예시적인 포맷에 따라)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프리앰블 포맷을 갖는 하나 이상의 고효율 WLAN(HEW) 패킷들(150)을, 예컨대, UL MU-MIMO 송신의 일부로서 액세스 포인트(110)에 전송할 수 있다. 각각의 HEW 패킷(150)은 하나 이상의 (예컨대, 4개까지의) 공간 스트림들의 세트 상에서 송신될 수 있다. 특정한 양상들에 대해, HEW 패킷(150)의 프리앰블 부분은 톤-인터리빙된 LTF들, 서브대역-기반 LTF들, 또는 하이브리드 LTF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40] HEW 패킷(150)은 사용자 단말(120)의 패킷 생성 유닛(287)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패킷 생성 유닛(287)은 사용자 단말(120)의 프로세싱 시스템, 예컨대 TX 데이터 프로세서(288), 제어기(280), 및/또는 데이터 소스(286)에서 구현될 수 있다.
[0041] UL 송신 이후, HEW 패킷(150)은 액세스 포인트(110)의 패킷 프로세싱 유닛(243)에 의해 프로세싱(예컨대, 디코딩 및 해석)될 수 있다. 패킷 프로세싱 유닛(243)은 액세스 포인트(110)의 프로세싱 시스템에서, 이를테면 RX 공간 프로세서(240), RX 데이터 프로세서(242), 또는 제어기(230)에서 구현될 수 있다. 패킷 프로세싱 유닛(243)은 패킷 타입(예컨대, 수신된 패킷이 따르는 IEEE 802.11 표준에 대한 수정안)에 기반하여, 수신된 패킷들을 상이하게 프로세싱할 수 있다. 예컨대, 패킷 프로세싱 유닛(243)은, IEEE 802.11 HEW 표준에 기반하여 HEW 패킷(150)을 프로세싱할 수 있지만, 레거시 패킷과 연관된 표준 수정안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레거시 패킷(예컨대, IEEE 802.11a/b/g에 따르는 패킷)을 해석할 수 있다.
[0042] 특정한 표준들, 이를테면 현재 개발 단계에 있는 IEEE 802.11ay 표준은 기존의 표준들(예컨대, 802.11ad 표준)에 따른 무선 통신들을 60GHz 대역으로 확장시킨다. 그러한 표준들에 포함될 예시적인 특징들은 채널 어그리게이션 및 채널-본딩(CB)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채널 어그리게이션은 별개로 유지되는 다수의 채널들을 이용하는 반면, 채널 본딩은 다수의 채널들의 대역폭을 단일(광대역) 채널로서 처리한다.
듀얼 모드 채널 추정 필드를 갖는 예시적인 프레임 포맷
[0043] 60GHz 통신을 위한 새로운 표준 11ay는 태스크 그룹 TGay 하의 802.11 작업 그룹에서 개발 중에 있다. 이것은 기존의 802.11TGad (DMG-지향성 멀티-기가비트) 표준의 향상이며, 따라서 E-DMG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표준은 MIMO 및 채널 본딩/채널 어그리게이션과 같은 방법들을 사용함으로써 60GHz에서 PHY 스루풋을 증가시킨다.
[0044] 새로운 표준의 모드들 중 하나는 SISO 단일 캐리어(SC) 동작 모드이다. 이러한 모드는 레거시 802.11ad SC 모드와 매우 유사하다. 레거시 802.11ad 모드와 이러한 모드의 차이들은 높은 불균일 성상도들의 부가, 상이한 길이의 LDPC 코드 및 짧고 긴 GI(가드 간격)의 부가일 수 있다.
[0045] 도 3은, 별개의 무선 채널들에서 송신될 수 있는 레거시 부분(레거시 디바이스들에 의해 디코딩가능한 K-STF, L-CEF, L-헤더들) 및 EDMG 부분들(헤더 A1/A2)을 갖는 (예컨대, SISO SC 동작 모드에 대한) 예시적인 프레임 포맷(300)을 예시한다.
[0046] 예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은 또한, 채널 본딩(예컨대, 2개 이상의 채널들을 본딩함)을 사용하여 송신된 다른(광대역)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부분은 짧은 트레이닝 필드(EDMG-STF), 채널 추정 필드(CEF)를 갖고, 그들에는 데이터 페이로드가 뒤따를 수 있다. WB 신호의 경우, EDMG STF로 시작하면, 시간 도메인 프로세싱은, 상이한 대역폭, 상이한 필터링, 및 상이한 블록 사이즈들로 인해 레거시 호환가능 신호(L-STF-투-EDMG-A 헤더)의 시간 도메인 프로세싱과는 상이할 수 있다.
[0047]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은, 상이한 프로세싱 능력들을 갖는 디바이스들을 수용할 수 있는 "듀얼" 모드 채널 추정 필드(CEF)에 대한 시퀀스 설계들을 이용하는 프레임 포맷들을 제공한다. 예컨대, 듀얼 모드 CEF는, CEF(의 마지막 골레이(Golay) 시퀀스) 이후에 부가적인 프로세싱 시간을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 뿐만 아니라 STF 시간 동안(CEF 이전에) 부가적인 프로세싱 시간을 사용할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들을 수용할 수 있다.
[0048]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른, 듀얼 모드 CEF를 갖는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400)을 예시한다. 동작들(400)은, 예컨대, 액세스 포인트 또는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49] 동작들(400)은 402에서, 별개의 채널들 상에서의 송신을 위한 제1 부분, 및 채널 본딩을 사용하는 송신을 위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함으로써 시작하며, 제2 부분은 제1 상보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트레이닝 필드, 제2 상보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제1 채널 추정 필드(CEF), 및 트레이닝 필드의 제1 상보 시퀀스들 중 마지막 상보 시퀀스 및 제1 CEF의 제2 상보 시퀀스들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제2 CEF를 갖는다. 404에서, 프레임은 송신을 위해 출력된다.
[0050]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른, 듀얼 모드 CEF를 갖는 프레임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500)을 예시한다. 동작들(500)은, 예컨대, 위에서 설명된 동작들(400)에 따라 생성된 프레임을 프로세싱하도록 스테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51] 동작들(500)은 502에서, 프레임을 획득함으로써 시작하며, 여기서, 프레임의 제1 부분은 별개의 채널들 상에서 획득되고, 프레임의 제2 부분은 채널 본딩을 사용하여 획득되며, 제2 부분은 제1 상보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트레이닝 필드, 제2 상보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제1 채널 추정 필드(CEF), 및 트레이닝 필드의 제1 상보 시퀀스들 중 하나 및 제1 CEF의 제2 상보 시퀀스들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제2 CEF를 갖는다. 504에서, 스테이션은 제2 CEF에 기반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한다.
[0052]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몇몇 경우들에서, 듀얼 모드 CEF를 갖는 (SC) 광대역 프리앰블 부분(600)은, 제2 상보 시퀀스(예컨대, -Ga)로 종료하는 제1 상보 시퀀스(예컨대, -Gb)를 EDMG-STF(610)에서 반복함으로써 인에이블링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를 이용하여, 수신 디바이스는 EDMG-CEF(620) [Gu,Gv] 또는 시프트된 EDMG-CEF(630) [Gu',Gv']에 기반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여기서, Gu'=[-Ga,Gu(1- 마지막 -Ga)] 및 Gv'=[-Ga,Gv(-마지막 -Ga)]이다.
[0053] 이러한 접근법은 상이한 타입들의 디바이스들이 상이한 타이밍에 따라 채널 추정을 수행하게 허용한다. 예컨대, 도 7a에 예시된 바와 같이, CEF 이전에 부가적인 프로세싱 시간을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은 EDMG-CEF(620)에 기반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CEF 이후에 부가적인 프로세싱 시간을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은 시프트된 EDMG-CEF(630)에 기반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0054] 이러한 방식으로, 수신 디바이스는, 예컨대, 자신의 프로세싱 능력들에 의존하여 EDMG-CEF(620) 또는 시프트된 EDMG-CEF(630)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수신 디바이스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조건들(예컨대, 이용가능한 프로세싱 리소스들, 레이턴시 요건들 등)에 기반하여 어느 CEF(시프트된 또는 비-시프트된)를 사용할지를 판정할 수 있다.
[0055] 예시된 바와 같이, EDMG-STF(610)의 마지막 골레이 시퀀스(-Ga)(612)는 EDMG-CEF(620)에 대한 사이클릭 패턴을 제공하는 반면, EDMG-STF(610)의 제2 내지 마지막 골레이 시퀀스(-Gb)(614)는 시프트된 EDMG-CEF(630)에 대한 순환 패턴을 제공한다(예컨대, -Ga(612) 및 -Gb(614)는, 각각, EDMG-CEF(620) 및 시프트된 EDMG-CEF(630)에 대한 사이클릭 프리픽스들을 본질적으로 형성함).
[0056] 도 8은 시프트된 EDMG-CEF(630)를 사용하는 상관 성능이 오리지널(비-시프트된) EDMG-CEF(620)와 어떻게 유사할 수 있는지를 예시한다.
[0057] 몇몇 경우들에서, 적어도 EDMG-CEF 및 시프트된 EDMG-CEF 내의 상보(골레이) 시퀀스들의 길이들(샘플들의 수)은 채널 본딩의 폭에 의존할 수 있다(예컨대, CB는 시퀀스 길이를 결정할 수 있음). 예컨대, CB2의 경우, 256의 길이들이 사용될 수 있고, CB4의 경우, 512의 길이들이 사용될 수 있는 반면, CB3의 경우, 384(3x128)의 길이들이 사용될 수 있다.
[0058]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몇몇 경우들에서, 광대역 프리앰블 부분은 단일 캐리어 신호로서 전송(및 시간 동기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반면, 후속 데이터 페이로드는 상이한 변조들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0059]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의 다양한 동작들은, 대응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수단은, 회로, 주문형 집적회로(ASIC), 또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면들에 도시된 동작들이 존재하는 경우, 그들 동작들은, 유사한 넘버링을 갖는 대응하는 대응부 수단-플러스-기능 컴포넌트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5에 예시된 동작들(400 및 500)은 도 4a 및 5a에 예시된 수단들(400A 및 500A)에 대응한다.
[0060] 예컨대, 수신하기 위한 수단, 획득하기 위한 수단, 및 통신하기 위한 수단은, 도 2에 예시된 사용자 단말(120)의 수신기(예컨대, 트랜시버(254)의 수신기 유닛) 및/또는 안테나(들)(252), 또는 도 2에 예시된 액세스 포인트(110)의 수신기(예컨대, 트랜시버(222)의 수신기 유닛) 및/또는 안테나(들)(224)일 수 있다.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도 2에 예시된 사용자 단말(120)의 송신기(예컨대, 트랜시버(254)의 송신기 유닛) 및/또는 안테나(들)(252), 또는 도 2에 예시된 액세스 포인트(110)의 송신기(예컨대, 트랜시버(222)의 송신기 유닛) 및/또는 안테나(들)(224)일 수 있다. 출력하기 위한 수단은 또한 송신기일 수 있거나, 또는 예컨대, 송신을 위해 프로세서로부터 RF 전단으로 프레임을 출력하기 위한 버스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채널 추정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또는 판정하기 위한 수단은, 예컨대, 도 2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프로세서들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0061] 몇몇 경우들에서, 프레임을 실제로 송신하기보다는, 디바이스는 송신을 위해 프레임을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는, 송신을 위하여 RF 전단에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레임을 출력할 수 있다. 유사하게, 프레임을 실제로 수신하기보다는,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을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는, 송신을 위하여 RF 전단으로부터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레임을 획득(또는 수신)할 수 있다.
[0062]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결정하는"은 광범위하게 다양한 액션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결정하는"은 계산, 컴퓨팅, 프로세싱, 도출, 조사, 룩업(예컨대, 표,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의 룩업), 확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하는"은 수신(예컨대, 정보를 수신), 액세싱(예컨대, 메모리 내의 데이터에 액세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하는"은 해결, 선정, 선택,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0063]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일 리스트의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지칭하는 어구는 단일 멤버들을 포함하여 그 아이템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예로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b, a-c, b-c, 및 a b c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멤버들(aa, bb, 및/또는 cc)의 배수들을 포함하는 조합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0064] 본 개시내용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지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컨대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0065] 본 개시내용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직접적으로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저장 매체들의 몇몇 예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플래시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등을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단일 명령 또는 다수의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 개의 상이한 코드 세그먼트들에 걸쳐, 상이한 프로그램들 사이에, 그리고 다수의 저장 매체들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0066]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은 설명된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계들 또는 액션들을 포함한다. 방법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은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서로 상호교환될 수 있다. 즉, 단계들 또는 액션들의 특정 순서가 명시되지 않으면, 특정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의 순서 및/또는 사용은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다.
[0067]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로 구현되면,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은 무선 노드 내의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은 버스 아키텍처로 구현될 수 있다. 버스는, 프로세싱 시스템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설계 제약들에 의존하여 임의의 수의 상호연결 버스들 및 브리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는, 프로세서, 머신-판독가능 매체들,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링크시킬 수 있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네트워크 어댑터를 버스를 통해 프로세싱 시스템에 연결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어댑터는 PHY 계층의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도 1 참조)의 경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예컨대, 키패드, 디스플레이, 마우스, 조이스틱 등)는 또한,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버스는 또한, 타이밍 소스들, 주변기기들, 전압 조정기들, 전력 관리 회로들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링크시킬 수 있으며, 이들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따라서, 더 추가적으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0068] 프로세서는, 머신-판독가능 매체들 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하여, 일반적인 프로세싱 및 버스를 관리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범용 및/또는 특수-목적 프로세서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DSP 프로세서들, 및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다른 회로를 포함한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디스크립션(description) 언어 또는 다른 용어로 지칭되는지에 관계없이, 명령들, 데이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하도록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머신-판독가능 매체들은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판독 전용 메모리), PROM(프로그래밍가능 판독-전용 메모리), EPROM(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판독-전용 메모리), EEPROM(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판독-전용 메모리), 레지스터들, 자기 디스크들, 광학 디스크들, 하드 드라이브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예로서 포함할 수 있다. 머신-판독가능 매체들은 컴퓨터-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프로그램 제품은 패키징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69] 하드웨어 구현에서, 머신-판독가능 매체들은 프로세서로부터 분리된 프로세싱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들이 용이하게 인식할 바와 같이, 머신-판독가능 매체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일부는 프로세싱 시스템 외부에 있을 수 있다. 예로서, 머신-판독가능 매체들은 송신 라인,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반송파, 및/또는 무선 노드로부터 분리된 컴퓨터 제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머신-판독가능 매체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일부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으며, 예컨대, 그 경우는 캐시 및/또는 범용 레지스터 파일들일 수 있다.
[0070] 프로세싱 시스템은, 프로세서 기능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및 머신-판독가능 매체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외부 메모리를 갖는 범용-프로세싱 시스템으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외부 버스 아키텍처를 통해 다른 지원 회로와 함께 링크된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싱 시스템은, 프로세서, 버스 인터페이스, (액세스 단말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지원 회로, 및 단일 칩으로 통합된 머신-판독가능 매체들의 적어도 일부를 갖는 ASIC(주문형 집적 회로)로 구현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FPGA들(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들), PLD들(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들), 제어기들, 상태 머신들, 게이팅된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회로, 또는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회로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전체 설계 제약들에 의존하여 프로세싱 시스템에 대한 설명된 기능을 어떻게 최상으로 구현할지를 인식할 것이다.
[0071] 머신-판독가능 매체들은 다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싱 시스템으로 하여금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단일 저장 디바이스에 상주하거나 다수의 저장 디바이스들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예로서, 소프트웨어 모듈은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하드 드라이브로부터 RAM으로 로딩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의 실행 동안, 프로세서는 액세스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명령들 중 일부를 캐시로 로딩할 수 있다. 그 후, 하나 이상의 캐시 라인들은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범용 레지스터 파일로 로딩될 수 있다. 아래에서 소프트웨어 모듈의 기능을 참조할 경우, 그러한 기능이 그 소프트웨어 모듈로부터 명령들을 실행할 경우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됨을 이해할 것이다.
[0072]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이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 통신 매체들 및 컴퓨터 저장 매체들 둘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그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부, 자기 디스크 저장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반송(carry) 또는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연결수단(connection)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지칭된다. 예컨대,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IR),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학 디스크(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disk), 및 Blu-ray®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따라서, 몇몇 양상들에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예컨대, 유형의(tangible)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다른 양상들에 대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예컨대, 신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것들의 조합들이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0073] 따라서, 특정한 양상들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명령들이 저장된 (및/또는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명령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하여 실행가능하다. 특정한 양상들의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패키징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0074] 추가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및 기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은 적용가능할 때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에 의해 다운로딩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다른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예컨대, 그러한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버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은 저장 수단(예컨대, RAM, ROM, 컴팩트 디스크(CD) 또는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어서,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이 저장 수단을 디바이스에 커플링하거나 제공할 시에 다양한 방법들을 획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및 기법들을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법이 이용될 수 있다.
[0075] 청구항들이 상기에 예시되는 바로 그 구성 및 컴포넌트들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다양한 변형들, 변경들 및 변화들이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장치의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 동작 및 세부사항들에서 행해질 수 있다.

Claims (46)

  1.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 ― 상기 프레임은: 별개의 채널들 상에서의 송신을 위한 제1 부분, 및 채널 본딩(channel bonding)을 사용하는 송신을 위한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분은 제1 상보 시퀀스(complementary sequence)들을 포함하는 트레이닝 필드, 제2 상보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제1 채널 추정 필드(CEF), 및 상기 트레이닝 필드의 제1 상보 시퀀스들 중 하나 및 상기 제1 CEF의 제2 상보 시퀀스들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제2 CEF를 가짐 ―; 및
    송신을 위해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필드의 제1 상보 시퀀스들 중 마지막 상보 시퀀스는 상기 제1 CEF의 제2 상보 시퀀스들 중 마지막 상보 시퀀스와 동일하며,
    상기 마지막 상보 시퀀스들 둘 모두는 사이클릭 패턴을 형성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필드의 제1 상보 시퀀스들 중 마지막에서 두번째 상보 시퀀스는 상기 제2 CEF의 제2 상보 시퀀스들의 서브세트의 마지막 상보 시퀀스와 동일하며,
    상기 두번째 상보 시퀀스 및 상기 서브세트의 마지막 상보 시퀀스 둘 모두는 사이클릭 패턴을 형성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제2 부분은 상기 채널 본딩을 사용하는 단일 캐리어(SC) 송신으로서의 송신을 위해 출력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제2 부분은 상기 채널 본딩을 이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송신으로서의 송신을 위해 출력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필드의 제1 상보 시퀀스들 및 상기 제1 CEF의 제2 상보 시퀀스들은 골레이(Golay) 코드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CEF에 포함된 상기 제1 상보 시퀀스들 중 하나는 상기 트레이닝 필드의 마지막 상보 시퀀스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트레이닝 필드의 마지막 상보 시퀀스는 Ga 골레이 코드 시퀀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채널 본딩의 폭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상보 시퀀스들 또는 상기 제2 상보 시퀀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보 시퀀스의 길이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 추정 필드는 상기 제1 채널 추정 필드의 시프트된 버전인,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0.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프레임은: 별개의 채널들 상에서의 송신을 위한 제1 부분, 및 채널 본딩을 사용하는 송신을 위한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분은 제1 상보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트레이닝 필드, 제2 상보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제1 채널 추정 필드(CEF), 및 상기 트레이닝 필드의 제1 상보 시퀀스들 중 하나 및 상기 제1 CEF의 제2 상보 시퀀스들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제2 CEF를 가짐 ―; 및
    송신을 위해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필드의 제1 상보 시퀀스들 중 마지막 상보 시퀀스는 상기 제1 CEF의 제2 상보 시퀀스들 중 마지막 상보 시퀀스와 동일하며,
    상기 마지막 상보 시퀀스들 둘 모두는 사이클릭 패턴을 형성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필드의 제1 상보 시퀀스들 중 마지막에서 두번째 상보 시퀀스는 상기 제2 CEF의 제2 상보 시퀀스들의 서브세트의 마지막 상보 시퀀스와 동일하며,
    상기 두번째 상보 시퀀스 및 상기 서브세트의 마지막 상보 시퀀스 둘 모두는 사이클릭 패턴을 형성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제2 부분은 상기 채널 본딩을 사용하는 단일 캐리어(SC) 송신으로서의 송신을 위해 출력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제2 부분은 상기 채널 본딩을 이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송신으로서의 송신을 위해 출력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필드의 제1 상보 시퀀스들 및 상기 제1 CEF의 제2 상보 시퀀스들은 골레이 코드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CEF에 포함된 상기 제1 상보 시퀀스들 중 하나는 상기 트레이닝 필드의 마지막 상보 시퀀스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트레이닝 필드의 마지막 상보 시퀀스는 Ga 골레이 코드 시퀀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본딩의 폭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상보 시퀀스들 또는 상기 제2 상보 시퀀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보 시퀀스의 길이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 추정 필드는 상기 제1 채널 추정 필드의 시프트된 버전인,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9.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 상기 프레임은: 별개의 채널들 상에서의 송신을 위한 제1 부분, 및 채널 본딩을 사용하는 송신을 위한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분은 제1 상보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트레이닝 필드, 제2 상보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제1 채널 추정 필드(CEF), 및 상기 트레이닝 필드의 제1 상보 시퀀스들 중 하나 및 상기 제1 CEF의 제2 상보 시퀀스들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제2 CEF를 가짐 ―; 및
    송신을 위해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필드의 제1 상보 시퀀스들 중 마지막 상보 시퀀스는 상기 제1 CEF의 제2 상보 시퀀스들 중 마지막 상보 시퀀스와 동일하며,
    상기 마지막 상보 시퀀스들 둘 모두는 사이클릭 패턴을 형성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필드의 제1 상보 시퀀스들 중 마지막에서 두번째 상보 시퀀스는 상기 제2 CEF의 제2 상보 시퀀스들의 서브세트의 마지막 상보 시퀀스와 동일하며,
    상기 두번째 상보 시퀀스 및 상기 서브세트의 마지막 상보 시퀀스 둘 모두는 사이클릭 패턴을 형성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제2 부분은 상기 채널 본딩을 사용하는 단일 캐리어(SC) 송신으로서의 송신을 위해 출력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제2 부분은 상기 채널 본딩을 이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송신으로서의 송신을 위해 출력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필드의 제1 상보 시퀀스들 및 상기 제1 CEF의 제2 상보 시퀀스들은 골레이 코드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CEF에 포함된 상기 제1 상보 시퀀스들 중 하나는 상기 트레이닝 필드의 마지막 상보 시퀀스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트레이닝 필드의 마지막 상보 시퀀스는 Ga 골레이 코드 시퀀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본딩의 폭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상보 시퀀스들 또는 상기 제2 상보 시퀀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보 시퀀스의 길이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 추정 필드는 상기 제1 채널 추정 필드의 시프트된 버전인,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8.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 ― 상기 프레임은: 별개의 채널들 상에서의 송신을 위한 제1 부분, 및 채널 본딩을 사용하는 송신을 위한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분은 제1 상보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트레이닝 필드, 제2 상보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제1 채널 추정 필드(CEF), 및 상기 트레이닝 필드의 제1 상보 시퀀스들 중 하나 및 상기 제1 CEF의 제2 상보 시퀀스들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제2 CEF를 가짐 ―; 및
    상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스테이션.
  29.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프레임을 생성하고 ― 상기 프레임은: 별개의 채널들 상에서의 송신을 위한 제1 부분, 및 채널 본딩을 사용하는 송신을 위한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분은 제1 상보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트레이닝 필드, 제2 상보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제1 채널 추정 필드(CEF), 및 상기 트레이닝 필드의 제1 상보 시퀀스들 중 하나 및 상기 제1 CEF의 제2 상보 시퀀스들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제2 CEF를 가짐 ―; 및
    송신을 위해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0. 프레임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 ― 상기 프레임의 제1 부분은 별개의 채널들 상에서 획득되고, 상기 프레임의 제2 부분은 채널 본딩을 사용하여 획득되며, 그리고 상기 제2 부분은 제1 상보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트레이닝 필드, 제2 상보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제1 채널 추정 필드(CEF), 및 상기 트레이닝 필드의 제1 상보 시퀀스들 중 하나 및 상기 제1 CEF의 제2 상보 시퀀스들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제2 CEF를 가짐 ―; 및
    상기 제1 CEF 또는 상기 제2 CEF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조건들에 기반하여, 상기 채널 추정을 상기 제2 CEF에 기반할지 또는 상기 제1 CEF에 기반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조건들은, 상기 장치의 이용가능한 프로세싱 리소스들 또는 레이턴시 요건들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턴시 요건들은, 상기 장치가 상기 프레임을 획득한 이후의 시간 기간 내에 상기 프레임에 대한 응답을 생성하도록 요구하며; 그리고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제1 시간 기간이 임계치 값 이하이면, 상기 채널 추정이 상기 제2 CEF에 기반한다고 결정하고; 또는
    상기 제1 시간 기간이 임계치 값보다 크면, 상기 채널 추정이 상기 제1 CEF에 기반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 추정 필드는 상기 제1 채널 추정 필드의 시프트된 버전인,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5. 프레임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프레임의 제1 부분은 별개의 채널들 상에서 획득되고, 상기 프레임의 제2 부분은 채널 본딩을 사용하여 획득되며, 그리고 상기 제2 부분은 제1 상보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트레이닝 필드, 제2 상보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제1 채널 추정 필드(CEF), 및 상기 트레이닝 필드의 제1 상보 시퀀스들 중 하나 및 상기 제1 CEF의 제2 상보 시퀀스들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제2 CEF를 가짐 ―; 및
    상기 제1 CEF 또는 상기 제2 CEF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조건들에 기반하여, 상기 채널 추정을 상기 제2 CEF에 기반할지 또는 상기 제1 CEF에 기반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조건들은, 상기 장치의 이용가능한 프로세싱 리소스들 또는 레이턴시 요건들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턴시 요건들은, 상기 장치가 상기 프레임을 획득한 이후의 시간 기간 내에 상기 프레임에 대한 응답을 생성하도록 요구하며; 그리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제1 시간 기간이 임계치 값 이하이면, 상기 채널 추정이 상기 제2 CEF에 기반한다고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시간 기간이 임계치 값보다 크면, 상기 채널 추정이 상기 제1 CEF에 기반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 추정 필드는 상기 제1 채널 추정 필드의 시프트된 버전인,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40. 프레임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 ― 상기 프레임의 제1 부분은 별개의 채널들 상에서 획득되고, 상기 프레임의 제2 부분은 채널 본딩을 사용하여 획득되며, 그리고 상기 제2 부분은 제1 상보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트레이닝 필드, 제2 상보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제1 채널 추정 필드(CEF), 및 상기 트레이닝 필드의 제1 상보 시퀀스들 중 하나 및 상기 제1 CEF의 제2 상보 시퀀스들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제2 CEF를 가짐 ―; 및
    상기 제1 CEF 또는 상기 제2 CEF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조건들에 기반하여, 상기 채널 추정을 상기 제2 CEF에 기반할지 또는 상기 제1 CEF에 기반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조건들은, 상기 장치의 이용가능한 프로세싱 리소스들 또는 레이턴시 요건들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턴시 요건들은, 상기 장치가 상기 프레임을 획득한 이후의 시간 기간 내에 상기 프레임에 대한 응답을 생성하도록 요구하며; 그리고
    상기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제1 시간 기간이 임계치 값 이하이면, 상기 채널 추정이 상기 제2 CEF에 기반한다고 결정하기 위한 수단; 또는
    상기 제1 시간 기간이 임계치 값보다 크면, 상기 채널 추정이 상기 제1 CEF에 기반한다고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4.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 추정 필드는 상기 제1 채널 추정 필드의 시프트된 버전인,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5.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 상기 프레임의 제1 부분은 별개의 채널들 상에서 수신되고, 상기 프레임의 제2 부분은 채널 본딩을 사용하여 획득되며, 그리고 상기 제2 부분은 제1 상보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트레이닝 필드, 제2 상보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제1 채널 추정 필드(CEF), 및 상기 트레이닝 필드의 제1 상보 시퀀스들 중 하나 및 상기 제1 CEF의 제2 상보 시퀀스들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제2 CEF를 가짐 ―; 및
    상기 제1 CEF 또는 상기 제2 CEF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는, 무선 스테이션.
  46.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프레임을 획득하고 ― 상기 프레임의 제1 부분은 별개의 채널들 상에서 획득되고, 상기 프레임의 제2 부분은 채널 본딩을 사용하여 획득되며, 그리고 상기 제2 부분은 제1 상보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트레이닝 필드, 제2 상보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제1 채널 추정 필드(CEF), 및 상기 트레이닝 필드의 제1 상보 시퀀스들 중 하나 및 상기 제1 CEF의 제2 상보 시퀀스들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제2 CEF를 가짐 ―; 그리고
    상기 제1 CEF 또는 상기 제2 CEF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97009882A 2016-10-10 2017-09-25 듀얼 모드 채널 추정 필드를 갖는 프레임 포맷 KR1023914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06270P 2016-10-10 2016-10-10
US62/406,270 2016-10-10
US15/713,690 2017-09-24
US15/713,690 US11108603B2 (en) 2016-10-10 2017-09-24 Frame format with dual mode channel estimation field
PCT/US2017/053295 WO2018071165A1 (en) 2016-10-10 2017-09-25 Frame format with dual mode channel estimation fiel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004A true KR20190061004A (ko) 2019-06-04
KR102391450B1 KR102391450B1 (ko) 2022-04-26

Family

ID=6182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882A KR102391450B1 (ko) 2016-10-10 2017-09-25 듀얼 모드 채널 추정 필드를 갖는 프레임 포맷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108603B2 (ko)
EP (1) EP3523937B1 (ko)
KR (1) KR102391450B1 (ko)
CN (1) CN110089079B (ko)
AU (1) AU2017343457B2 (ko)
BR (1) BR112019007071A2 (ko)
SG (1) SG11201901861PA (ko)
WO (1) WO20180711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8603B2 (en) * 2016-10-10 2021-08-31 Qualcomm Incorporated Frame format with dual mode channel estimation field
KR102225545B1 (ko) * 2017-04-20 2021-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6962117A (zh) * 2022-04-19 2023-10-27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3748A (ko) * 2013-04-15 2015-12-2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에 대한 하위-호환가능한 프리앰블 포맷들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Family Cites Families (8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9060B2 (en) 1995-05-19 2011-09-13 Martino Rocco L Telephone/transaction entry device and system for entering transaction data into databases
US7856068B1 (en) * 2005-06-28 2010-12-21 Ralink Technology Corporation Nested preamble for multi input multi output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US7738538B1 (en) * 2005-08-01 2010-06-15 Ralink Technology Corporation Flexible and in-band signaling for nested preamble
US8429502B2 (en) * 2005-11-16 2013-04-23 Qualcomm Incorporated Frame format for millimeter-wave systems
US8332732B2 (en) * 2006-11-30 2012-12-11 Qualcomm Incorporated Common air interface supporting single carrier and OFDM
TWI473484B (zh) * 2008-03-10 2015-02-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用於多重輸入多重輸出(mimo)通信系統的實體層收斂協定(plcp)封包結構
CN103812816B (zh) * 2008-05-15 2017-04-26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有效的物理层前导格式
US20100111229A1 (en) * 2008-08-08 2010-05-06 Assaf Kasher Method and apparatus of generating packet preamble
WO2010027864A2 (en) * 2008-08-26 2010-03-11 Marvell World Trade Ltd. Physical layer data unit format
WO2010037100A1 (en) * 2008-09-29 2010-04-01 Marvell World Trade Ltd. Physical layer data unit format
CN101626360B (zh) * 2009-07-31 2011-11-09 清华大学 数字信号传输方法及系统
US8891592B1 (en) * 2009-10-16 2014-11-18 Marvell International Ltd. Control physical layer (PHY) data unit
US8665974B2 (en) * 2011-02-10 2014-03-04 Marvell World Trade Ltd. Multi-clock PHY preamble design and detection
US8462829B2 (en) * 2011-11-03 2013-06-11 Sandia Researc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in a lossy environment
US8705661B2 (en) * 2012-02-29 2014-04-22 Wilocity, Ltd. Techniques for channel estimation in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systems
US9338032B2 (en) * 2013-12-02 2016-05-10 Intel IP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channel estimation and signal demodulation
US9668169B2 (en) * 2014-01-09 2017-05-30 Qualcomm Incorporated Bandwidth indication in a frame
US20150263877A1 (en) * 2014-03-11 2015-09-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eamble
US20150365195A1 (en) * 2014-06-16 2015-12-17 Qualcomm Incorporated Interleaving in ofdma data tone plans
WO2015198140A1 (en) * 2014-06-27 2015-12-30 Techflux, Ltd. Detecting format of data
US10050816B2 (en) * 2014-07-18 2018-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ak to average power redu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ing spectral mask filling
US10044635B2 (en) * 2014-12-09 2018-08-07 Qualcomm Incorporated Frame formats for channel bonding and MIMO transmissions
US20160261319A1 (en) * 2015-03-05 2016-09-08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estimation for bonded channels
US10021695B2 (en) * 2015-04-14 2018-07-10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data frames
US10211893B2 (en) * 2015-04-17 2019-02-19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channel estimation using Golay sequences
US9749087B2 (en) * 2015-04-30 2017-08-29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multi-user wireless communication
US9949259B2 (en) * 2015-05-07 2018-04-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payload in WB SC, aggregate SC, duplicate SC, OFDM transmission frames
US10033564B2 (en) * 2015-07-27 2018-07-24 Qualcomm Incorporated Frame format for facilitating channel estimation for signals transmitted via bonded channels
US9825782B2 (en) * 2015-07-27 2017-11-21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estimation
US9918329B2 (en) * 2015-07-30 2018-03-13 Intel IP Corporation Station (STA)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on primary and secondary channel resources
US10244531B2 (en) * 2015-09-03 2019-03-26 Qualcomm Incorporated Re-channelization of sub-carriers
EP3348014A1 (en) * 2015-09-10 2018-07-1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channel estimation and simultaneous beamforming training for multi-input multi-output (mimo) communications
US10602510B2 (en) * 2015-09-11 2020-03-24 Lg Electronics Inc. Operation method in wireless LA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9893785B2 (en) * 2015-09-11 2018-02-13 Intel IP Corporation Enhanced beamforming training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9838107B2 (en) * 2015-10-16 2017-12-05 Lg Electronics Inc. Multiple beamforming training
US10142005B2 (en) * 2015-11-02 2018-11-27 Lg Electronics Inc. Beamforming training
US20170134928A1 (en) * 2015-11-06 2017-05-11 Qualcomm Incorporated Mobility support for wlan devices
US20170134126A1 (en) * 2015-11-06 2017-05-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header data portion of a frame
US10187497B1 (en) * 2015-12-15 2019-01-22 Marvell International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data frame configuration on the physical layer for high-data rate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US20170187435A1 (en) * 2015-12-23 2017-06-29 Intel IP Corporation Initiating and protecting 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s in communication networks
US10085261B2 (en) * 2016-01-07 2018-09-25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an enhanced directional multi gigabit (EDMG) support indication
US20170201298A1 (en) * 2016-01-11 2017-07-13 Intel Corporation Multiuser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setup frame
US20170208154A1 (en) * 2016-01-13 2017-07-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hysical protocol data unit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device for same
US20170207905A1 (en) * 2016-01-14 2017-07-20 Qualcomm Incorporated Fly feedback
CN108605244B (zh) * 2016-02-29 2021-08-13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发送装置、发送方法、接收装置和接收方法
US10333669B2 (en) * 2016-03-02 2019-06-25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ngle channel, bonded channel, and MIMO OFDM frames with fields to facilitate AGC, timing, and channel estimation
WO2017151932A1 (en) * 2016-03-02 2017-09-08 Marvell Semiconductor, Inc. Multiple traffic class data aggreg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10141994B2 (en) * 2016-03-10 2018-11-2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 for reducing responding sector sweep time for millimeter-wave devices
EP3427401B1 (en) * 2016-03-10 2021-01-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oncurrent mimo beamforming training in mmw wlan systems
US10321487B2 (en) * 2016-03-10 2019-06-11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 for increasing throughput for channel bonding
US20170295595A1 (en) * 2016-04-08 2017-10-12 Intel IP Corporation Directional 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with interference avoidance
US10063302B2 (en) * 2016-04-15 2018-08-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Short SSW frame format for SLS beamforming process between enabled, associated stations and method of preparing wireless communication
US10587442B2 (en) * 2016-05-03 2020-03-10 Intel IP Corporation Enhanced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preamble frame
US10075224B2 (en) * 2016-05-04 2018-09-11 Intel IP Corporation Golay sequences for wireless networks
US9793964B1 (en) * 2016-05-04 2017-10-17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a MIMO transmission with golay sequence set
EP3444965B1 (en) * 2016-05-06 2020-07-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Beam optimiz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WO2017197189A1 (en) * 2016-05-12 2017-11-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ingle user hybrid mimo for mmwave wireless networks
EP4033676A1 (en) * 2016-05-12 2022-07-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beamforming feedback in mmwave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10230561B2 (en) * 2016-06-30 2019-03-12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a 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 (PLCP) protocol data unit (PPDU)
EP3479642A4 (en) * 2016-07-07 2020-01-08 LG Electronics Inc. -1- METHOD AND APPARATUS FOR ASSOCIATION BETWEEN A STATION AND AN ACCESS POI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075766B1 (ko) * 2016-07-15 2020-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80020374A1 (en) * 2016-07-18 2018-01-18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indication signaling
JP2019528595A (ja) * 2016-07-21 2019-10-10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ミリメートル波(mmw)wlanシステム内の多入力多出力(mimo)セットアップ
WO2018034701A1 (en) * 2016-08-18 2018-02-22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a channel estimation field with golay sequences
US10461983B2 (en) * 2016-08-25 2019-10-29 Intel Corporation Guard intervals for wireless networks
US20180062903A1 (en) * 2016-08-31 2018-03-01 Qualcomm Incorporated Frame format with multiple guard interval lengths
CN109863804A (zh) * 2016-09-08 2019-06-07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毫米波(mmW)系统的多信道设置机制和波形设计
KR102382716B1 (ko) * 2016-09-08 2022-04-06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mmW WLAN 시스템들에서의 다중 채널 송신
US10355896B2 (en) * 2016-09-09 2019-07-16 Intel Corporation Optimized channel estimation field for enhanced directional multi-gigabit network
US20180092092A1 (en) * 2016-09-27 2018-03-29 Intel IP Corporation Subband 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 aggregation
US11108603B2 (en) * 2016-10-10 2021-08-31 Qualcomm Incorporated Frame format with dual mode channel estimation field
KR102489750B1 (ko) * 2016-11-03 2023-01-17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지향 송신을 위한 강화한 동적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2593395B1 (ko) * 2016-11-03 2023-10-23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밀리미터파 wlan을 위한 다차원 빔 미세조정 절차 및 시그널링
US9794879B1 (en) * 2016-12-23 2017-10-17 Intel IP Corporation Power saving mechanism for MU-MIMO transmissions
US10432279B2 (en) * 2017-01-02 2019-10-01 Qualcomm Incorporated Long beamforming training field sequences
US10727994B2 (en) * 2017-01-09 2020-07-28 Qualcomm Incorporated Using sequences of pilot repetitions for receiver adaptation
PL3528445T3 (pl) * 2017-01-10 2022-01-24 Lg Electronics Inc. Sposób nadawania i odbierania sygnału w systemie bezprzewodowej sieci lokalnej (wlan) oraz urządzenie do realizacji tego sposobu
KR102152853B1 (ko) * 2017-04-19 2020-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25545B1 (ko) * 2017-04-20 2021-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40023682A (ko) * 2017-05-05 2024-02-22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미모 채널 접근
WO2018236718A1 (en) * 2017-06-19 2018-12-27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TRANSMISSION CODING
CN109121206B (zh) * 2017-06-22 2021-08-31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通信节点
WO2019013432A1 (ko) * 2017-07-11 2019-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567821B1 (en) * 2017-07-12 2021-06-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la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3748A (ko) * 2013-04-15 2015-12-2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에 대한 하위-호환가능한 프리앰블 포맷들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rlos. C. "Specification Framework for TGay" IEEE standard document (2016.08. 1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08603B2 (en) 2021-08-31
EP3523937A1 (en) 2019-08-14
KR102391450B1 (ko) 2022-04-26
AU2017343457A1 (en) 2019-03-28
WO2018071165A1 (en) 2018-04-19
EP3523937B1 (en) 2022-04-20
AU2017343457B2 (en) 2021-10-14
SG11201901861PA (en) 2019-04-29
BR112019007071A2 (pt) 2019-07-02
CN110089079A (zh) 2019-08-02
US20180102927A1 (en) 2018-04-12
CN110089079B (zh)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67120C (en) Frame formats for channel bonding and mimo transmissions
KR102392680B1 (ko) 효율적인 빔포밍 기법
US9998571B2 (en) Legacy-compatible control frames
US10432279B2 (en) Long beamforming training field sequences
US8761234B2 (en) Rate selection for frames in wireless devices
EP3568925A1 (en) Fragmented beamforming for wireless devices
US20180020374A1 (en) Multipl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indication signaling
CN107005382B (zh) 用于无线通信的方法及装置
AU2017343457B2 (en) Frame format with dual mode channel estimation field
EP3507956B1 (en) Frame format with multiple guard interval lengths
US201402696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gmentation of modulation coding sche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