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0298A - 드립커피추출장치 - Google Patents

드립커피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0298A
KR20190060298A KR1020170158365A KR20170158365A KR20190060298A KR 20190060298 A KR20190060298 A KR 20190060298A KR 1020170158365 A KR1020170158365 A KR 1020170158365A KR 20170158365 A KR20170158365 A KR 20170158365A KR 20190060298 A KR20190060298 A KR 20190060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extracting
extraction
guide ba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4170B1 (ko
Inventor
김성규
Original Assignee
(주)콩볶는사람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콩볶는사람들 filed Critical (주)콩볶는사람들
Priority to KR1020170158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170B1/ko
Publication of KR20190060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립커피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추출작업용기에 원두가루와 물을 넣은 후 압력을 가함으로 드립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드립커피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드립커피추출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잔의 커피를 동시에 추출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드립커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커피 드립작업을 기계를 통하여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간단히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드립커피추출장치 {omitted}
본 발명은 드립커피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추출작업용기에 원두가루와 물을 넣은 후 압력을 가함으로 드립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드립커피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커피를 구입하여 음용하거나, 티백 또는 인스턴트 커피 등을 이용하여 음용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원두커피 분말 원재료를 구입하여, 개인적으로 커피를 제조하여 음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러한 원두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방식은 매우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커피 추출 방법에는 달임법(Decoction), 우려내기(Infusion), 여과법(Brewing), 가압추출법(Pressed Extraction)이 있다.
그 중, 여과법(Brewing)은 추출용기 안에 커피가루를 넣고 그 위에 뜨거운 물을 부어 밑의 용기에 떨어진 커피를 음용하는 방식으로, 커피메이커, 핸드드립(Hand Drip), 워터드립(Water Drip)이 있다.
그 중 핸드드립(Hand Drip)을 이용한 커피는 추출시간이 오래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카페에서 커피를 구입해 커피를 마시는 문화가 대중화된 현대사회에서는 커피추출시간이 오래걸리는 것을 해결되어야하며, 좀 더 빨리 커피를 제공할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13214호 (2016.04.1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78973호 (2016.11.17)
본 발명의 목적은 드립커피추출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잔의 커피를 동시에 추출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드립커피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커피추출작업이 수행되며, 추출작업용기(140)가 탈부착되기 위한 체결보조부(113)가 형성되는 커피추출몸체부(110); 커피가 추출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작동부재(130)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추출동작부(120); 상기 커피추출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추출동작부(12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추출동작부(120)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130); 상기 커피추출몸체부(110)와 탈부착가능한 형태로서, 상기 추출동작부(120) 의 하부에 위치하되, 커피가루와 물을 포함한 추출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추출작업용기(140); 상기 추출작업용기(140)의 하부면에 체결되며, 추출물을 걸러서 커피가 추출되도록 거름망(151)이 형성되는 추출필터부(150); 상기 추출작업용기(140)의 하부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추출필터부(150)로부터 걸러진 커피가 배출되는 추출물배출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추출동작부(120)는 작동부재(130)와 연결되어, 피스톤로드(125), 제1가이드바(126), 제2가이드바(127)가 각각 통과되기 위함 홈이 형성되는 지지부(121); 제1가이드바(126)가 통과되기 위한 홈의 부분에 형성되어 제1가이드바(126)의 상하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레일(122); 제2가이드바(127)가 통과되기 위한 홈의 부분에 형성되어 제2가이드바(127)의 상하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레일(123); 상기 제1가이드레일(122)과 제2가이드레일(123) 사이에 위치하되, 내부에 피스톤로드(125)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중앙실린더(124); 상기 중앙실린더(124)의 내부에 수용되되, 중앙실린더(124)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하강되도록 형성되는 피스톤로드(125); 상기 제1가이드레일(122)을 따라서 상하로 움직이도록 형성되는 제1가이드바(126); 상기 제2가이드레일(122)을 따라서 상하로 움직이도록 형성되는 제2가이드바(127); 상기 피스톤로드(125)와 제1가이드바(126)와 제2가이드바(127)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대(128); 상기 연결대(128)의 하부에 위치하며, 추출작업용기(14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피스톤로드(125)가 하강됨으로써 추출작업용기(140)에 수용된 추출물을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가압부(1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추출작업용기(140)는 물과 원두가루를 포함한 추출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몸체(141); 커피추출몸체부(110)와 탈부착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고정체결홈(142); 추출필터부(150)가 체결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용기몸체(141)의 하부 내부에 홈의 형태로 형성되는 필터체결부(143);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결홈(142)은 체결보조부(113)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크기의 체결홈(142a)이 하나 형성되고, 홈의 일측에 상기 체결보조부(113)의 상부면보다 작은 크기의 연장홈(142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추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드립커피추출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잔의 커피를 동시에 추출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드립커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커피 드립작업을 기계를 통하여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간단히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추출작업용기(140)와 추출필터부(15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출작업용기(140)를 분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위"(또는 "아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의 위(또는 아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직접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간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부(위, 상)', '하부(아래, 하)', '좌측', '우측', '전면', '후면' 등의 표현은 절대적 기준으로서의 방향이나 위치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할 때 해당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상대적 표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은 드립커피추출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추출작업용기(140)에 원두가루와 물을 넣은 후, 가압부(129)를 통하여 추출작업용기(140) 내부를 가압함으로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드립커피추출장치(100)는 커피추출몸체부(110), 추출동작부(120), 전환레버(130), 추출작업용기(140), 추출필터부(150), 추출물배출부(160), 거치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2를 참고하여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커피추출몸체부(110)는 커피추출작업이 수행되도록 하는 곳으로,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작업이 수행되도록 생성된 공간인 추출작업부(111)와 추출된 커피가 배출되는 공간인 커피추출부(112)로 나뉘어 구성된다.
또한 추출작업부(111)의 표면에는 추출작업용기(140)를 탈부착하도록 소정간격으로 체결보조부(113)가 형성되며, 이의 위치는 추출작업용기(140)가 체결되기에 적절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동작부(120)는 커피가 추출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작동부재(130)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추출동작부(120)는 지지부(121), 제1가이드레일(122), 제2가이드레일(123), 중앙실린더(124), 피스톤로드(125), 제1가이드바(126), 제2가이드바(127), 연결대(128), 가압부(129)로 구성된다.
지지부(121)는 작동부재(130)와 연결되어, 피스톤로드(125), 제1가이드바(126), 제2가이드바(127)가 각각 통과되기 위함 홈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21)은 피스톤로드(125)가 통과되는 제1홈(121a)과, 상기 제1홈(121a)의 일측에 제1가이드바(126)가 통과되는 제2홈(121b), 상기 제1홈(121a)의 타측에 제2가이드바(127)가 통과되는 제3홈(121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이드레일(122)은 상기 제1가이드바(126)가 통과되기 위한 홈의 부분에 형성되어 제1가이드바(126)의 상하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제2가이드레일(123)은 상기 제2가이드바(127)가 통과되기 위한 홈의 부분에 형성되어 제2가이드바(127)의 상하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중앙실린더(124)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122)과 제2가이드레일(123) 사이에 위치하되, 내부에 피스톤로드(125)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앙실린더(124)는 작동부재(130)의 움직임에 따라 피스톤로드(125)에 압력을 가하여 피스톤로드(125)가 하방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피스톤로드(125)는 상기 중앙실린더(124)의 내부에 수용되되, 중앙실린더(124)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하강되는 것이다.
상기 중앙실린더(124)는 에어실린더가 바람직하며, 에어실린더는 공지된 에어실린더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원통형의 중앙실린더(124)의 길이방향으로 피스톤로드(125)가 이동가능하게 된다.
제1가이드바(126)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122)을 따라서 상하로 움직이는 것이며, 제2가이드바(127)는 상기 제2가이드레일(122)을 따라서 상하로 움직이는 것이다.
상기 제1가이드바(126)와 제2가이드바(127)는 피스톤로드(125)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피스톤로드(125)이 중앙실린더(124)의 압력에 의해 하방으로 움직일 때, 제1가이드바(126)와 제2가이드바(127)도 함께 움직인다(도 3 참고).
연결대(128)는 상기 피스톤로드(125)와 제1가이드바(126)와 제2가이드바(127)와 연결되는 것이다.
가압부(129)는 상기 연결대(128)의 하부에 위치하며, 추출작업용기(14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피스톤로드(125)가 하강됨으로써 추출작업용기(140)에 수용된 추출물을 가압하는 것이다.
상기 가압부(129)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4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의 개수는 드립커피추출장치(100)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압부(129)는 가압지지바(129a)와 가압지지판(129b)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가압지지바(129a)는 긴 막대 형태로 연결대(128)의 하부에 형성되며, 가압지지판(129b)은 상기 가압지지바(129a)의 하부에 위치하며 추출작업용기(140)의 내부바닥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129)는 추출작업용기(14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가압부(129)의 가압지지판(129b)이 추출작업용기(140)의 내부로 수용되어 추출작업용기(140)의 내부에 들어있는 물과 원두가루가 결합된 추출물을 압박하여 누르도록 할 수 있다(도 3 참고).
즉, 도 3과 같이 가압부(129)가 추출작업용기(140)의 내부에 수용되어 누르는 방향(n1)으로 눌러짐으로써 커피가 추출되어 배출방향(n2)으로 추출된 커피(2)가 배출될 수 있다.
작동부재(130)는 상기 커피추출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추출동작부(12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추출동작부(120)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작동부재(130)는 상하운동을 할 수 있는 손잡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작동부재(130)를 손으로 내리면, 도 3과 같이 작동부재(130)와 연결된 추출동작부(120)가 누르는 방향(n1)으로 하강하여 추출작업용기(140)의 내부에 수용됨으로 커피추출작업이 수행된다.
추출작업용기(140)는 상기 커피추출몸체부(110)와 탈부착가능한 형태로서, 상기 추출동작부(120)의 가압부(129)의 하부에 위치하되, 커피가루와 물을 포함한 추출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다.
도 4, 5를 참고하여 추출작업용기(14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추출작업용기(140)는 용기몸체(141), 고정체결홈(142), 필터체결부(143)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몸체(141)는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물과 원두가루 등이 수용되는 부분으로 물과 원두가루를 포함한 추출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추출작업용기(140)는 커피추출몸체부(110)와 탈부착되도록 하기 위해 고정체결홈(142)이 추가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체결홈(142)은 추출작업용기(140)가 커피추출몸체부(110)에 체결될수 있도록 소정의 홈이 형성되며 커피추출몸체부(110)의 체결보조부(113)에 체결되어 커피추출몸체부(110)에 고정된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고정체결홈(142)의 형태를 설명하면, 고정체결홈(142)은 체결보조부(113)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크기의 체결홈(142a)이 하나 형성되고, 홈의 일측에 상기 체결보조부(113)의 상부면보다 작은 크기의 연장홈(142b)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체결홈(142)이 도면과 같이 용기몸체(141)의 양측에 2개 형성될 때, 2개의 체결홈(142a)에 각각 형성된 연장홈(142b)의 위치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도 6(a)와 같이 고정체결홈(142)의 체결홈(142a)에 체결보조부(113)가 체결된 후 고정회전방향(g)으로 추출작업용기(140)를 회전시킴으로 도 6(b)와 같이 체결보조부(113)의 위치가 연장홈(142b)으로 이동되어 추출작업용기(140)가 커피추출몸체부(110)에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필터체결부(143)는 추출필터부(150)가 체결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이의 형태는 도 5의 단면도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고하면, 상기 필터체결부(143)는 용기몸체(141)의 하부 내부에 홈의 형태로 형성되며 추출필터부(150)가 체결되어 빠지지 않도록 제1체결돌기(143a)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추출필터부(150)는 상기 추출작업용기(140)의 하부면에 체결되며, 추출물을 걸러서 커피가 추출되도록 거름망(15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추출필터부(150)는 필터체결부(143)의 제1체결돌기(143a)와 대응되는 제2체결돌기(152)가 추가로 형성되어 필터체결부(143)의 제1체결돌기(143a)와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추출물배출부(160)는 상기 추출작업용기(140)의 하부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추출필터부(150)로부터 걸러진 커피를 배출하는 곳이다.
상기 추출물배출부(160)는 추출작업용기(140)에서 추출작업이 수행되어 걸러진 커피가 배출방향(n2) 배출되는 곳으로 이를 통해서 커피가 추출된다.
거치부(170)는 추출물배출부(160)의 하부에 위치하되, 추출물배출부(160)로부터 배출된 커피를 수용하도록 하는 수용용기(200)가 거치되는 곳이다.
상기 거치부(170)는 추출배출부(160)의 바로 하부에 수용용기(200)가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거치부(170)에 거치된 수용용기(200)로 배출된 커피가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수용용기(200)는 추출된 커피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가진 것으로 상기 거치부(170)에 거치되어 추출배출부(160)로부터 배출된 커피를 수용한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도면에서는 추출작업용기(140)와 이를 누르는 가압부(129), 커피배출부(160), 거치부(170)가 4개로 구성되었지만 이의 갯수와 형태는 드립커피추출장치(100)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드립커피추출장치(100)를 이용하여 여러 잔의 커피를 동시에 추출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드립커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커피 드립작업을 기계를 통하여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간단히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 추출물
2 커피
100 드립커피추출장치
110 커피추출몸체부
111 추출작업수행부
112 커피추출부
113 체결보조부
120 추출동작부
121 지지부
122 제1가이드레일
123 제2가이드레일
124 중앙실린더
125 피스톤로드
126 제1가이드바
127 제2가이드바
128 연결대
129 가압부
129a 가압지지바
129b 가압지지판
130 작동부재
140 추출작업용기
141 용기몸체
142 고정체결홈
142a 체결홈
142b 연장홈
143 필터체결부
150 추출필터부
151 거름망
160 커피배출부
170 거치부
200 수용용기

Claims (3)

  1. 커피추출작업이 수행되며, 추출작업용기(140)가 탈부착되기 위한 체결보조부(113)가 형성되는 커피추출몸체부(110);
    커피가 추출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작동부재(130)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추출동작부(120);
    상기 커피추출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추출동작부(12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추출동작부(120)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130);
    상기 커피추출몸체부(110)와 탈부착가능한 형태로서, 상기 추출동작부(120) 의 하부에 위치하되, 커피가루와 물을 포함한 추출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추출작업용기(140);
    상기 추출작업용기(140)의 하부면에 체결되며, 추출물을 걸러서 커피가 추출되도록 거름망(151)이 형성되는 추출필터부(150);
    상기 추출작업용기(140)의 하부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추출필터부(150)로부터 걸러진 커피가 배출되는 추출물배출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추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동작부(120)는
    작동부재(130)와 연결되어, 피스톤로드(125), 제1가이드바(126), 제2가이드바(127)가 각각 통과되기 위함 홈이 형성되는 지지부(121);
    제1가이드바(126)가 통과되기 위한 홈의 부분에 형성되어 제1가이드바(126)의 상하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레일(122);
    제2가이드바(127)가 통과되기 위한 홈의 부분에 형성되어 제2가이드바(127)의 상하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레일(123);
    상기 제1가이드레일(122)과 제2가이드레일(123) 사이에 위치하되, 내부에 피스톤로드(125)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중앙실린더(124);
    상기 중앙실린더(124)의 내부에 수용되되, 중앙실린더(124)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하강되도록 형성되는 피스톤로드(125);
    상기 제1가이드레일(122)을 따라서 상하로 움직이도록 형성되는 제1가이드바(126);
    상기 제2가이드레일(122)을 따라서 상하로 움직이도록 형성되는 제2가이드바(127);
    상기 피스톤로드(125)와 제1가이드바(126)와 제2가이드바(127)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대(128);
    상기 연결대(128)의 하부에 위치하며, 추출작업용기(14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피스톤로드(125)가 하강됨으로써 추출작업용기(140)에 수용된 추출물을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가압부(1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추출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작업용기(140)는
    물과 원두가루를 포함한 추출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몸체(141);
    커피추출몸체부(110)와 탈부착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고정체결홈(142);
    추출필터부(150)가 체결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용기몸체(141)의 하부 내부에 홈의 형태로 형성되는 필터체결부(143);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결홈(142)은
    체결보조부(113)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크기의 체결홈(142a)이 하나 형성되고, 홈의 일측에 상기 체결보조부(113)의 상부면보다 작은 크기의 연장홈(142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추출장치.
KR1020170158365A 2017-11-24 2017-11-24 드립커피추출장치 KR102274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365A KR102274170B1 (ko) 2017-11-24 2017-11-24 드립커피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365A KR102274170B1 (ko) 2017-11-24 2017-11-24 드립커피추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298A true KR20190060298A (ko) 2019-06-03
KR102274170B1 KR102274170B1 (ko) 2021-07-08

Family

ID=66848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365A KR102274170B1 (ko) 2017-11-24 2017-11-24 드립커피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17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252A (ko) * 2002-03-18 2003-09-26 박종온 원두커피제조기
US20120186456A1 (en) * 2011-01-26 2012-07-2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Brewing system
US20130052321A1 (en) * 2011-08-23 2013-02-28 Yu-Kun LIU Apparatus and method for brewing coffee
KR101499737B1 (ko) * 2014-11-07 2015-03-10 (주)미스터커피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 장치
KR101613214B1 (ko) 2014-06-05 2016-04-19 (주)지티빈스 대량생산이 가능한 액상음료 추출장치
KR101678973B1 (ko) 2014-08-29 2016-11-23 산덴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음료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252A (ko) * 2002-03-18 2003-09-26 박종온 원두커피제조기
US20120186456A1 (en) * 2011-01-26 2012-07-2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Brewing system
US20130052321A1 (en) * 2011-08-23 2013-02-28 Yu-Kun LIU Apparatus and method for brewing coffee
KR101613214B1 (ko) 2014-06-05 2016-04-19 (주)지티빈스 대량생산이 가능한 액상음료 추출장치
KR101678973B1 (ko) 2014-08-29 2016-11-23 산덴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음료 공급 장치
KR101499737B1 (ko) * 2014-11-07 2015-03-10 (주)미스터커피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170B1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1257B2 (en) French coffee press
US10285532B2 (en) Espresso coffee extraction device
WO2005055734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liquid and extracting tea essence from a tea bag
US20120328750A1 (en) Device for removing the spent flavor base from a french press beverage brewing apparatus after use
CN107205579A (zh) 用于在含有冲泡产品的容器上穿孔的装置
US9060643B2 (en) Extraction device for immersion beverage primary liquid
CN108720600B (zh) 意式浓咖啡型便携式饮料提取器
KR20190060298A (ko) 드립커피추출장치
EP3332677A2 (en) Portable drink extractor using pressure
US6155164A (en) Juicer
KR101711415B1 (ko) 휴대용 압력식 음료 추출기
KR20090006840U (ko) 커피 템퍼
KR101610588B1 (ko) 커피 압출기
KR101629694B1 (ko) 커피 추출 기능이 향상된 장치
KR101244376B1 (ko) 분말커피 추출용 리셉터클
CN202891615U (zh) 饮料容器用过滤装置
US20090071343A1 (en) French press spent grounds keeper
CN205625610U (zh) 一种饮料冲泡装置
DE102017003909B4 (de) Getränkezubereiter für Heißgetränke
DE60026359D1 (de) Filter mit einer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 automatische kaffeemaschine
CN217338223U (zh) 一种滤压机构及法压壶
CN211559737U (zh) 一种带底座的无锅炉手动咖啡机
EP2887846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offee brewing
JP6789588B1 (ja) だし汁製造装置
NL1041544B1 (en) Coffee brewing means for pre-filled coffee-p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