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725A -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 - Google Patents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725A
KR20190059725A KR1020170157618A KR20170157618A KR20190059725A KR 20190059725 A KR20190059725 A KR 20190059725A KR 1020170157618 A KR1020170157618 A KR 1020170157618A KR 20170157618 A KR20170157618 A KR 20170157618A KR 20190059725 A KR20190059725 A KR 20190059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nection pipe
pipe
supply
tap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9449B1 (ko
Inventor
지현숙
Original Assignee
지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현숙 filed Critical 지현숙
Priority to KR1020170157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449B1/ko
Publication of KR20190059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3/0410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수도물에 나노버블을 발생시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도모하도록;
수도물이 공급되는 수도공급관과 연결되어 수도물이 공급되는 유입관과 상기 수도공급관과 연결되어 수도물이 이동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어 외부로 물을 배출하도록 된 배수노즐이 배치되며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연결관에 관접속하여 수도물을 유입받아 상기 연결관으로 재공급하는 중에 여과하여 정수하도록 된 정수필터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되 정수필터와 상기 배수노즐사이의 상기 연결관에 관접속하여 수도물을 유입받아 상기 연결관으로 재공급하는 중에 나노버블을 발생시키어 상기 배출노즐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물에 나노버블을 함유하도록 된 나노버블발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Water purifier for domestic nano bubble generation}
본 발명은, 일반가정에서 수도물의 공급되는 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수도물을 정수처리하여 제공하도록 된 가정용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수도물에 나노버블을 발생시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도모하도록 된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을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는 그 형태에 따라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는 수도꼭지부착형과, PET통의 물을 자연낙하 과정에서 정수하는 탁상형(비 배관형)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물을 정수하는 정수방식에 따라 필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이온수기식 등으로 나눌 수 있는바, 대체로 자연여과식과 역삼투압식이 많이 쓰이고 있다.
상기에서 필터여과식은, 주로 수도꼭지에 정수기를 직접 연결하여 물이 마이크로필터 및 은활성탄필터를 거치면서 불순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한번에 많은 물을 정수해야 하므로 필터의 구멍이 커져 바이러스, 중금속, 발암물질(트리할로메탄), 화학오염물질, 미세물질 등의 제거가 어렵고 필터를 자주 갈아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역삼투압식은 각종 불순물이 섞여있는 물에 압력을 주어 물이 반투막을 통과할 때 불순물은 걸러주고 순수한 물과 용존산소 및 미량의 미네랄만을 통과시켜 정수하는 방식으로, 오염물질뿐 아니라 미네랄까지 제거한다는 점과 수압이 약한 곳에서 워터 펌프를 설치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온교환수지식은 첨단소재인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센물을 단물로 바꾸는 장치로서 중금속을 걸러내므로 수도관이 오래된 지역에서 사용하면 좋지만 발암물질인 트리할로메탄을 제거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이온수기식은 이온수기에 정수기능을 부착하여 정수 된 물을 알칼리성과 산성으로 분리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주로 의료용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다양한 구성을 가지는 정수기는 대개 본체의 내부에 원수공급밸브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정수필터 및 각 정수필터를 차례로 거치면서 정화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탱크가 설치되고, 본체의 외부 전면에 저장탱크의 정화된 물을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 코크가 설치되는 형태를 갖는 것이 보통이다.
즉, 통상적으로 정수기는, 본체 내부에 상수도의 원수급수밸브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침전필터, 살균필터, 이온필터, 카본필터, 멤브레인필터, 세라믹필터 등의 다수의 정수필터(filter)를 통해 정화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를 거쳐 여과된 물을 저장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정수탱크와, 상기 본체의 외부 전면에 상기 정수탱크에 저장된 정화된 물을 상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코크를 가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정수기에 있어서는, 정수탱크 안으로 미세한 입자의 이물질이나 세균 등이 유입되는 문제가 있고, 정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오랜 시간 동안 인출하지 않고 방치하면 할수록 이물질이나 세균 등에 의한 물의 오염 정도가 더욱 심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근자에는, 정수된 물에 나노버블을 발생시켜 나노버블이 함유된 상태로 물을 제공하여 오염원을 살균처리함은 물론, 인체의 유익한 기능을 부여하여 음용자의 건강을 도모하도록 하도록 된 정수기들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7-0037363호(명칭: 정수기)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정화하는 필터 부; 상기 필터 부를 거쳐 여과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정수 탱크; 상기 정수 탱크에 생기 액을 공급하도록 상기 정수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는 생기 탱크; 상기 정수 탱크에 저장된 물을 자화시키도록 상기 정수 탱크의 부에 설치되는 자화 유닛; 및 상기 자화 유닛을 통과하는 물에 버블이 혼입(混入)되도록 배수관의 중간에 설치되는 버블 발생기를 포함하는 정수기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출원번로 제20-2010-0007110호(명칭; 버블발생기를 구비한 가정용 소독수생성장치)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소독수가 생성되는 소독수생성부, 소독수생성부에 소요되는 전기를 공급하고 소독수의 생성에 필요한 제어를 하는 제어부, 그리고 생성한 소독수를 사용할 때 버블을 발생시키는 버블발생기로 구성된 소독수생성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1.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7-0037363호 2. 한국실용신안출원번로 제20-2010-0007110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나노버블발생 정수기들은, 나노버블의 발생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고품질의 나노버블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가정에서 수도물의 공급되는 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수도물에 나노버블을 효율적으로 발생시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도모하도록 된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는, 수도물이 공급되는 수도공급관과 연결되어 수도물이 공급되는 유입관과 상기 수도공급관과 연결되어 수도물이 이동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어 외부로 물을 배출하도록 된 배수노즐이 배치되며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연결관에 관접속하여 수도물을 유입받아 상기 연결관으로 재공급하는 중에 여과하여 정수하도록 된 정수필터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되 정수필터와 상기 배수노즐사이의 상기 연결관에 관접속하여 수도물을 유입받아 상기 연결관으로 재공급하는 중에 나노버블을 발생시키어 상기 배수노즐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물에 나노버블을 함유하도록 된 나노버블발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나노버블발생수단은, 내부에 물이 경유하도록 된 공간부를 가지는 발생관과, 상기 발생관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관을 통해 이동하는 물을 공급받도록 된 유입캡과, 상기 발생관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관에 관접속하여 물을 상기 연결관을 재공급하도록 된 토출캡을 가지는 나노발생몸체와; 상기 연결관과 상기 유입캡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관을 이동하는 물을 상기 발생관으로 공급하는 물공급경로와 외부에서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발생관으로 공급하도록 된 공기공급경로가 구비된 인젝터와; 상기 인젝터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된 공기공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는, 일반가정에서 수도물의 공급되는 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수도물에 나노버블을 효율적으로 발생시키도록 된 나노발생수단을 통해 고품질의 나노버블을 형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효율을 증대함은 물론, 사용자의 건강을 더욱 효율적으로 증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 예에 의한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를 보인 개략 정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를 보인 개략 측단면 예시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를 구성하는 나노버블발생수단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 예에 의한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1)는, 수도물이 공급되는 수도공급관(11)과 연결되어 수도물이 공급되는 유입관(21)과 상기 수도공급관(11)과 연결되어 수도물이 이동하는 연결관(22)과 상기 연결관(22)과 연결되어 외부로 물을 배출하도록 된 배수노즐(23)이 배치되며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연결관(22)에 관접속하여 수도물을 유입받아 상기 연결관(22)으로 재공급하는 중에 여과하여 정수하도록 된 정수필터(24)와; 상기 본체(2)의 내부에 배치되되 정수필터(24)와 상기 배수노즐(23)사이의 상기 연결관(22)에 관접속하여 수도물을 유입받아 상기 연결관(22)으로 재공급하는 중에 나노버블을 발생시키어 상기 배수노즐(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물에 나노버블을 함유하도록 된 나노버블발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유입관(21)을 통해 상기 수도공급관(11)에서 공급되는 수도물을 유입받아, 상기 연결관(22)을 경유하여 상기 배수노즐(23)로 배출하는 중에 상기 정수필터(24)와 상기 나노버블발생수단을 통과하면서 정수함과 더불어 나노버블을 형성하여 배출함으로써, 사용효율을 증대함은 물론, 사용자의 건강을 더욱 효율적으로 증진하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1)에서, 상기 나노버블발생수단은, 내부에 물이 경유하도록 된 공간부를 가지는 발생관(31)과, 상기 발생관(31)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관(22)을 통해 이동하는 물을 공급받도록 된 유입캡(32)과, 상기 발생관(31)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관(22)에 관접속하여 물을 상기 연결관을 재공급하도록 된 토출캡(34)을 가지는 나노발생몸체(3)와; 상기 연결관(22)과 상기 유입캡(32)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관(22)을 이동하는 물을 상기 발생관(31)으로 공급하는 물공급경로와 외부에서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발생관(31)으로 공급하도록 된 공기공급경로가 구비된 인젝터(35)와; 상기 인젝터(35)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된 공기공급부재(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인젝터(35)를 통해 상기 유입캡(32)을 경유하여 상기 발생관(31)으로 공급되어 상기 토출캡(34)을 통해 상기 연결관(22)으로 재공급되는 물과 공기가 혼합된 혼합수가 상기 발생관(31)의 내부에서 나노버블화되어 공급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1)에서, 상기 공기공급부재(36)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의 내부에 수용되며 압축공기가 수용된 압축공기저장통(361)과, 상기 압축공기저장통(361)의 토출구와 상기 인젝터(35)의 공기공급경로를 연결하는 공기연결관(362)과, 상기 공기연결관(362)에 관접속되어 공기의 공급을 개폐하도록 된 공기개폐밸브(3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압축공기저장통(361)에 압축된 공기를 상기 공기연결관(362)을 통해 상기 인젝터(35)로 공급하여 나노버블발생에 필요한 공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한현, 상기 연결관(22)과 상기 인젝터(35)의 사이에는 물의 공급유무를 개폐하도록 된 물공급개폐밸브(25)가 구비되어, 필요시에 물을 상기 나노버블발생수단으로 공급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1)는,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제어하여 상기 공기개폐밸브(363) 및 물공급개폐밸브(25)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을 통해 상기 배수노즐(23)에서 정수된 물을 배출하도록 조작하도록 된 조작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조작스위치를 통해 상기 제어수단을 제어하여, 물의 사용이 필요할 때에는, 상기 공기개폐밸브(363) 및 물공급개폐밸브(25)를 개방하여 상기 수도공급관(11)에서 공급되는 공급수압에 의해 상기 연결관(22)을 이동하는 수도물을 여과하는 상기 정수필터(24)에 의해 정수된 물과 상기 압축공기저장통(361)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상기 발생관(31)으로 공급하여 나노버블을 발생시킨 후, 상기 배수노즐(23)을 통해 공급하게 된다.
즉, 수도물을 공급하는 원수의 공급압력을 통해 상기 연결관(22)과 상기 정수필터(24) 및 상기 발생관(31)의 내부를 물이 이동하게 되어, 별도의 펌프 등과 같은 장치들이 필요하지 않아 구성이 더욱 단순화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1)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1)를 통해 수도물을 정수함과 아울러 나노버블화하여 공급받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본체(2)에 구비된 상기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상기 공기개폐밸브(363) 및 물공급개폐밸브(25)를 개방하면, 상기 수도공급관(11)에서 공급되는 공급수압에 의해 수도물이 상기 연결관(22)을 통해 공급되어 상기 정수필터(24)를 경유하는 중에 정수처리 된 후, 상기 연결관(22)으로 재공급된 다음, 상기 인젝터(35)를 통해 상기 나노버블발생수단으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공기개폐밸브(363)의 개방에 따라, 상기 압축공기저장통(361)에 저장된 압축공기가 상기 인젝터(35)를 통해 상기 나노버블발생수단으로 공급되어, 상기 발생관(31)의 내부에서 정수된 물과 혼합됨과 아울러, 나노버블화 된 후, 상기 연결관(22)으로 제공된 후, 상기 배수노즐(23)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그리고, 배출되는 물의 배출을 중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상기 공기개폐밸브(363) 및 물공급개폐밸브(25)를 폐쇄하면, 수도물과 압축공기의 공급이 폐쇄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관(22)에서의 수도물의 이동이 중지되어, 상기 배수노즐(23)에서의 물의 배출이 중단된다.
이와 같이, 정수된 물의 나노버블화가 필요시에만 이루어지게 되어, 압축공기의 소모가 극소화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1)를 구성하는 나노버블발생수단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1)에서, 상기 발생관(31)에는, 상기 유입캡(32)에서 유입된 물과 공기가 혼합된 혼합수가 상기 토출캡(34)으로 이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며 상기 발생관(31)의 내부에 끼움 삽입되면서 상기 발생관(31)의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분할하는 외주면을 가지고 일 부위에 혼합수가 관통하면서 이동하도록 된 관통공(332)이 형성된 '판(板:board)' 형상의 충돌판(331)들과; 상기 충돌판(331)들의 표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종단이 근접된 타 충돌판(331)의 표면에 접촉되면서 사이 간격을 형성하도록 된 이격돌편(3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나노발생체(33)가 구비된다.
즉, 상기 유입캡(32)과 상기 토출캡(34)의 사이공간에 배치된 상기 발생관(31)의 내부에 마련된 상기 나노발생체(33)를 통해 혼합수가 이송되는 중에 상기 혼합수에 충돌하중과 이송압력을 인가하여 나노버블을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혼합수가 상기 나노발생체(33)를 경유하면서 충돌을 반복함과 동시에 좁은 이송통로를 경유하면서 압력을 인가받아 함유된 공기가 미세화되면서 나노버블을 발생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충돌판(331)들이 상기 이격돌편(333)에 의해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어, 상기 발생관(31)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이격돌편(333)에 의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배열되어, 상기 발생관(31)의 내부를 관통하면서 이송하는 혼합수가 상기 충돌판(331)에 충돌함과 동시에, 상기 충돌판(331)의 관통공(332)을 관통함과 아울러, 상기 충돌판(331)들의 사이 간격에 형성된 이송통로들을 경유하면서 이송압력을 인가받아 나노버블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에서 관통공(332)들은, 상기 충돌판(331)의 중심(C)에서 일 측방향으로 편위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수의 상기 충돌판(331)들이 서로 연결되면서 배치될 때, 인접된 타 충돌판(331)들에 형성된 관통공(332)의 위치에 대하여 편위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관통공(332)들은, 인접된 위치의 관통공(332)들의 위치에 대하여 상기 충돌판(331)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대치되는 위치에 각각 대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혼합수가 이동하는 중에 상기 관통공(332)들과 상기 충돌판(331)들의 사이 간격을 경유할 때, 지그재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관통공(332)들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된 위치의 관통공(332)들의 위치에 대하여 상기 충돌판(331)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편위되되, 상기 충돌판(331)의 중앙을 중심으로 원호 형상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혼합수가 상기 관통공(332)들과 상기 충돌판(331)들의 사이 간격을 경유할 때, 나선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혼합수에 인가되는 전단압력을 증대시키도록 하여 나노버블의 발생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격돌편(333)은, 상기 충돌판(331)의 중심(C)에서 외측 방향으로 중심(C)과 사이 간격을 가지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충돌판(331)의 중심(C)과 상기 관통공(332)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다수의 상기 충돌판(331)들이 서로 겹치면서 배치될 때, 상기 충돌판(331)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이격돌편(333)과 대칭되는 위치의 외주면이 근접된 위치에 배열되는 상기 충돌판(331)의 외주면과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이격돌편(333)에 의해 사이 간격을 가지게 되어, 서로 근접되는 상기 충돌판(331)들 중 최소한 하나의 충돌판(331)이 경사각을 형성하면서 배열되어, 상기 충돌판(331)들의 사이 간격이 단면상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공간적으로 '깔대기'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혼합수가 상기 충돌판(331)들의 사이간격을 이송하는 중에 점차 좁아지는 공간에 의한 가압 압력을 인가받아 나노버블의 발생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에서 이격돌편(333)은, 상기 관통공(332)을 형성하는 중에 상기 충돌판(331)에서 절곡되는 팁(TIP)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충돌판(331)의 외주면은, 상기 발생관(31)의 내부에서 경사지게 수용되는 중에 상기 발생관(31)의 내주면과 맞춤되게 밀착되는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1)에서, 상기 나노버블발생수단은, 2개 1조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관(22)에 병렬로 연결되어 결합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나노버블발생수단들을 구성하는 각각의 상기 발생관(31)들에는, 혼합수를 가열하거나 냉각하도록 된 가열장치 및 냉각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열장치 및 냉각장치는,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공급바다 구동하도록 된 냉온소자(37)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는, 상기 각각의 발생관(31)들의 사이에 상기 냉온소자(37)가 개재하면서 서로 밀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정수기 11 : 수도공급관
2 : 본체 21 : 유입관
22 : 연결관 23 : 배수노즐
24 : 정수필터 25 : 물공급개페밸브
3 : 나노발생몸체 31 : 발생관
32 : 유입캡 33 : 나노발생체
331 : 충돌판 332 : 관통공
333 : 이격돌편 34 : 토출캡
35 : 인젝터 36 : 공기공급부재
361 : 압축공기저장통 362 : 공기연결관
363 : 공기개폐밸브 37 : 냉온소자
C : 중심

Claims (1)

  1. 수도물이 공급되는 수도공급관과 연결되어 수도물이 공급되는 유입관과 상기 수도공급관과 연결되어 수도물이 이동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어 외부로 물을 배출하도록 된 배수노즐이 배치되며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연결관에 관접속하여 수도물을 유입받아 상기 연결관으로 재공급하는 중에 여과하여 정수하도록 된 정수필터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되 정수필터와 상기 배수노즐사이의 상기 연결관에 관접속하여 수도물을 유입받아 상기 연결관으로 재공급하는 중에 나노버블을 발생시키어 상기 배수노즐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물에 나노버블을 함유하도록 된 나노버블발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나노버블발생수단은,
    내부에 물이 경유하도록 된 공간부를 가지는 발생관과, 상기 발생관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관을 통해 이동하는 물을 공급받도록 된 유입캡과, 상기 발생관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관에 관접속하여 물을 상기 연결관을 재공급하도록 된 토출캡을 가지는 나노발생몸체와; 상기 연결관과 상기 유입캡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관을 이동하는 물을 상기 발생관으로 공급하는 물공급경로와 외부에서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발생관으로 공급하도록 된 공기공급경로가 구비된 인젝터와; 상기 인젝터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된 공기공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
KR1020170157618A 2017-11-23 2017-11-23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 KR101999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618A KR101999449B1 (ko) 2017-11-23 2017-11-23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618A KR101999449B1 (ko) 2017-11-23 2017-11-23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725A true KR20190059725A (ko) 2019-05-31
KR101999449B1 KR101999449B1 (ko) 2019-07-11

Family

ID=66657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618A KR101999449B1 (ko) 2017-11-23 2017-11-23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4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538A (ko) * 2019-04-12 2020-10-21 최병환 살균 및 음이온발생 성능이 향상된 육각 자화수기 공급구조
KR20200120539A (ko) * 2019-04-12 2020-10-21 최병환 냉온수 기능과 향상된 살균 및 음이온발생 기능이 부여된 자화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363A (ko) 2005-09-30 2007-04-04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기판의 탑재 기구 및 기판 처리 장치
KR20080093533A (ko) * 2007-04-17 2008-10-22 최수영 정수기
KR20100007110U (ko) 2008-12-31 2010-07-08 주식회사 앤케어 휴대용 파라핀베스장치
JP2012106166A (ja) * 2010-11-16 2012-06-07 Sharp Corp 気液混合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浄水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363A (ko) 2005-09-30 2007-04-04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기판의 탑재 기구 및 기판 처리 장치
KR20080093533A (ko) * 2007-04-17 2008-10-22 최수영 정수기
KR20100007110U (ko) 2008-12-31 2010-07-08 주식회사 앤케어 휴대용 파라핀베스장치
JP2012106166A (ja) * 2010-11-16 2012-06-07 Sharp Corp 気液混合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浄水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538A (ko) * 2019-04-12 2020-10-21 최병환 살균 및 음이온발생 성능이 향상된 육각 자화수기 공급구조
KR20200120539A (ko) * 2019-04-12 2020-10-21 최병환 냉온수 기능과 향상된 살균 및 음이온발생 기능이 부여된 자화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449B1 (ko)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0897B2 (ja) 水素水製造装置
US10159939B2 (en) Reverse osmosis system
KR100858971B1 (ko) 살균장치를 구비한 중앙정수시스템, 그 중앙정수시스템의살균방법 및 청소방법
KR101999449B1 (ko)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
CN102674610A (zh) 一种多功能美容机
JP2011056498A (ja) 高濃度溶解水生成装置および高濃度溶解水生成システム
WO2012063583A1 (ja) 浄水装置および浄水装置の消毒殺菌方法
KR20190105420A (ko)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
CN205151978U (zh) 一种臭氧净水设备
ATE492517T1 (de) Anlage zur reinigung von wasser
JPH10174973A (ja) 連続通水式電解水生成装置の洗浄・殺菌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機構を備えた電解水生成装置並びにこれに使用される流路切換弁装置
JP6459127B2 (ja) 水処理装置
KR100439730B1 (ko) 정수기의 산소공급장치
KR20180059126A (ko) 기체 혼합 액체를 이용한 세정 장치의 출수 모듈 구조
KR200260159Y1 (ko) 정수기의 산소공급장치
KR20190102812A (ko) 가정용 나노버블발생 정수기
KR200405857Y1 (ko) 냉이온수기용 냉수통
CN204644013U (zh) 二次供水净化系统
WO2005037720A1 (ja) ミネラル水供給装置
JP2014004568A (ja) 水処理装置
KR20090089715A (ko) 초미세기포 발생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CN102463036A (zh) 净水槽,净水装置和净水装置的清洗方法
KR102305014B1 (ko) 마이크로 버블 기능수 제조장치
CN201062216Y (zh) 一种臭氧灭菌净水机
CN208151145U (zh) 一种药用净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