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491A - 블록체인상에서 공유 분산장부와 외부 저장장치에 정보를 분리저장하여 구현한 안전한 전자상거래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상에서 공유 분산장부와 외부 저장장치에 정보를 분리저장하여 구현한 안전한 전자상거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491A
KR20190059491A KR1020170157150A KR20170157150A KR20190059491A KR 20190059491 A KR20190059491 A KR 20190059491A KR 1020170157150 A KR1020170157150 A KR 1020170157150A KR 20170157150 A KR20170157150 A KR 20170157150A KR 20190059491 A KR20190059491 A KR 20190059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data
block
stored
block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화
Original Assignee
박동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화 filed Critical 박동화
Priority to KR1020170157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9491A/ko
Publication of KR20190059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4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9Keeping log of transactions for guaranteeing non-repudiation of a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7Use of message has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04L2209/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록체인 기법에 의하여 관리되는 분산장부와 전자거래에 필요한 각종 컨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분산 스토리지와 연동하여 안전한 전자상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데이터의 저장시 거래내역과 같이 높은 보안성이 요구되며 다른 노드와 공유를 하여야 하는 정보는 블록체인내 저장하며 이를 온체인데이터(On chain data)라 하며 제안서나 상품소개서같은 용량이 큰 데이터는 블록체인외에 저장하며 이를 오프체인데이터(Off chain data)라하며 이와같이 상이한 목적의 데이터를 분리하여 처리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안전한 전자상거래가 이루어 지도록 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상에서 공유 분산장부와 외부 저장장치에 정보를 분리저장하여 구현한 안전한 전자상거래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e-commerce with shared and distributed ledger coupled with outer storage devices}
본 발명은 온라인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록체인 기법에 의하여 관리되는 분산장부와 전자거래에 필요한 각종 컨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분산 스토리지와 연동하여 안전한 전자상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 기술은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과 같은 가상화폐를 구현하기 위하여 고안된 기술이다. 기존의 온라인 결제방식은 별도의 은행을 통하여 하는 구조이나 가상화폐는 거래은행 없이 당사자간에 화폐를 유통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거래의 내역이 무결하게 보존이 되고 변경이나 삭제등 해킹에 보호가 되어야 하며 블록체인은 이러한 요건을 충족 시킨다.
블록체인은 보안을 위하여 정보의 저장장소를 중앙의 안전한 곳에 보관한다는 개념을 뒤집고 분산하여 관리함으로써 중앙의 서버없이 안전한 거래를 가능하게 한다. 기존의 통상적인 환경에서는 정보의 공유와 보안은 양립하는 개념이 강했다, 즉, 정보의 공유를 강화하면 보안성이 떨어지고 보안성을 강화하면 정보의 공유가 제약을 받게 마련이었지만 블록체인은 이 두가지를 모두 만족하는 유일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블록체인의 분산장부는 거의 실시간으로 동기화가 되므로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게 되며 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비용을 현저히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블록체인 기술은 비단 가상화폐 뿐만 아니라 물류, 전자상거래 및 저작권 거래등 다양한 비즈니스 환경에 적용이 가능하며, 더불어 적은 비용으로 높은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하여준다.이러한 블록체인은 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기존의 정보처리 개념의 근간을 바꾸어 놓을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은행이 없는 금융거래 및 중계서버가 없는 전자상거래와 같이 정보기술분야의 개념을 송두리째 바꾸어 놓을 기술로 평가 받고 있다.
블록체인 기법은 기존의 중앙집중 방식의 데이터 교환방식을 벗어나 클라우드 상에 연결되어 있는 노드(물리적인 컴퓨터 및 스토리지 등)간에 직접 정보처리를 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블록체인의 원리를 간략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상에 컴퓨터나 모바일기기와 같은 여러대의 노드가 연결되어 있고 A 라는 사용자가 B 라는 사용자에게 거래를 위하여 주문서를 발송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 A 의 컴퓨터를 노드 A 라고 하고 사용자 B 의 컴퓨터를 노드 B 라고 할 경우 노드 A 에서 노드 B 에게 주문서를 보내기 위하여 노드 A 에서는 하나의 거래내역을 기록한 새로운 블록을 생성한다. 이후 블록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거래내역이 담긴 블록을 연결된 모든 노드에 전송하며 블록을 수신한 노드는 자격검증 프로토콜에 의하여 블록의 정당성을 검증하며, 자격검증방식에 의하여 블록의 정당성이 검증되면 기존의 블록체인에 추가되게 된다. 추가된 블록에는 이전 블록의 해쉬값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중간의 블록을 해팅하여 정보를 변경하게 되면 해당 블록체인은 이후의 자격검증에서 배제되며 다른 노드에 있는 자격검증을 통과한 블록체인이 공유하게 된다. 따라서 해킹를 하기위하여서는 주어진 시간안에 노드의 모든 블록체인을 모두 변경하여야 하는데 매우 많은 자원이 소모하게 되므로 해팅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된다. 도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블록과 노드가 증가할수록 보안성은 더욱 강화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블록체인 기술에 프로그램이 가능한 방식으로 이 프로그램에 거래행위에 대한 규칙을 기술하여 처리하도록 하여 보다 지능적인 처리가 가능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대표적으로 이더리움(Ethereum) 이라는 가상화폐를 구현한 기술로서 기존의 블록체인에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구조를 지원하므로서 스마트계약 (Smart contract)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스마트계약의 기법을 전자상거래에 적용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거래가 이루어 지도록 서비스 할 수 있다.
이와같이 블록체인은 데이터 위조방지, 해커의 해킹방지, 투명한 거래 보장및 거래의 즉각적인 추적 및 확인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중계시스템이 없이 네트워크에 연결된 누구와도 직접 신속하에 거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블록체인 기술의 원리를 이용하여 중계서버가 없는 Peer-to-Peer 방식의 전자상거래를 구현하고 또한 거래에 따른 보안 및 거래성립에 대한 검증이 가능하고 거래에 드는 비용이 매우 저렴하고 안전한 전자상거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전자상거래시스템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하여 구현하고자 한다. 특히, 전자상거래시 생성되는 제안서, 입찰/견적서 및 주문/계약서와 같은 각종 문서들의 관리 및 무결성 검증을 위하여 블록체인의 분산장부와 외부의 분산 스토리지(Storage)를 결합한 하이브리드(Hybride) 방식의 구현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통하여, 중앙의 서버에 의한 거래 및 중앙 저장소가 없이 각각의 노드에 분산된 블록체인 분산장부와 분산된 스토리지에 의하여 기존 시스템에 비하여 현저히 적은 자원과 비용으로 전자상거래시스템을 구현하도록 하는데 과제가 있다.
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기존의 중앙집중적인 관리시스템이 아닌 분산된 환경에서 개인대 개인(Peer-to-Peer) 환경에서 당사간의 직접적인 거래를 하도록 시스템 환경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에따라 개개인의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블록체인을 지원하는 플랫폼이 모든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모든 사용자는 블록체인 사용을 위한 앱이나 브라우저에 접속이 되어야 하며 블록체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상기 환경에서 생성되는 모든 문서정보는 프로토콜 규약에 따라서 생성, 수정 및 삭제를 하여야 하며 이러한 처리를 할수 있는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하나 이상의 정보의 중계를 위한 서버와 콘텐츠 정보의 저장을 위한 하나 이상의 분산된 스토리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분산장부 및 분산 스토리지에 의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방법에 따르면 중앙서버의 경량화 및 주요 정보의 분산저장에 따른 저장소의 경량화를 실현하게 되며 이러한 중앙처리 장비의 경량화를 통하여 구축 및 운영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자상거래에 참여하는 참여사의 입장에서 기존의 경우 다수의 전자상거래 사이트에 회원등록 등 사전에 가입절차를 거친 후 개별 사이트별로 정보조회 및 참여를 위한 작업을 각각 대응하여야 하므로 과도한 업무부담을 감수하여야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상거래의 경우는 블록체인내에서 표준화된 데이터 구조와 절차를 준수한다면 다수의 서비스를 하나의 서비스에 의하여 처리가 가능하므로 업무의 단순화를 통하여 업무량을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전자구매시스템의 구매처리를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전자구매시스템의 구매처리를 위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3은 전자판매시스템의 판매처리를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는 전자판매시스템의 판매처리를 위한 처리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술한 문서나 시스템명은 발명의 실시예를 표기하기 위하여 예시한것으로 반드시 해당내용으로 한정하는것이 아니다. 가령 하기의 계약서라고 기술한것은 계약서외에 계약의 행위에 필요한 모든 문서를 포함하는것으로 단지 계약서만을 한정하는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분산장부 및 분산 스토리지에 의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방법에서는 종래 중앙의 서버와 저장장치에 의한 중앙집중형 구조가 아닌 분산된 노드에 블록체인 기법에 의한 분산장부에 의한 거래내역 관리와 전자상거래에 필요한 각종 자료등을 저장하는 분산 스토리지(Storage) 에 의한 안전한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온라인구매시스템(이하 구매시스템)과 온라인판매시스템(이하 판매시스템)을 구분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거래당사자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블록체인에 의한 분산장부의 처리를 위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이 지원되어야 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이란 블록체인 기술을 상업적인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블록체인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스마트계약(Smart contract)을 지원하는 이더리움(Ethereum)에서 주도하는 EEA(Enterprise Ethereum Alliance)나 리눅스재단이 주도하는 하이퍼렛저(Hyper ledger) 또는 R3CEV에서 주도하는 코다(Corda)등이 있다.
이러한 상업적인 블록체인 프로토콜은 가상화폐에서 사용하는 퍼블릭 (Public) 블록체인 방식과는 다르게 특정 그룹에서만 사용하는 프라이빗(Private)방식 또는 지정한 그룹만 참여할 수 있는 컨소시움(Consortium)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전자상거래를 하기 위하여서는 서버(103)에서 제공한 댑(DApp = Distributed App)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거나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문서의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한 Hash값과 거래내역정보와 같이 보안과 무결성이 요구되는 데이터의 경우는 블록체인내의 분산장부에 저장하며 이를 온체인데이터(Onchain data) 라고 한다. 상기의 온체인데이터는 체인형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자격검증에 의하여 새로운 블록이 추가되게 되므로 무결성이 보장된다. 이와달리 제안요청서나 견적요청서와 같이 구매를 위한 명세서(통칭하여 RFx라 함)자료와 공급자가 제출하는 제안서 및 낙찰사와 공급계약을 체결하는 계약서와 같은 문서가 생성되며 이러한 데이터는 용량이 크므로 온체인데이터에 저장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데이터는 블록체인 바깥에 저장하게 되는데 이를 오프체인데이터(Off chain data)라고 하며 분산 스토리지에 저장하거나 자신의 로컬 시스템에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오프체인데이터는 자신의 개인키(또는 인증서)에 의하여 암호화 및 전자서명을 하여 해킹에 대비하게 되며 해당문서의 Hash값을 추출하여 온체인데이터에 저장함으로써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할 수 있게된다.
상기 Hash값은 데이터에 의하여 생성되는 단방향 값으로 Hash값으로 원천 데이터를 복구를 할수 없으며 원천 데이터가 1바이트라도 변경되면 Hash값이 변경되므로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할 수 있다.
구매시스템은 구매자 위주의 전자상거래 방식으로 구매자가 공고등을 통해 제안요청서(RFP) 또는 견적요청서(RFQ)를 공지하면 이에 공급자는 제안서 또는 가격견적서 등을 제출하여 참가 신청을 하게된다. 단, 상기 RFP 와 RFQ를 통칭하여 RFx라고 명명한다. 이후 구매자는 참여사가 제출한 제안서 및 견적서를 검토하여 최적의 공급자를 선정하게 되는데 이을 낙찰이라고 하며 이와같은 선정방식을 역경매 또는 입찰이라고 한다. 이러한 입찰은 과거에는 오프라인에서 직접 문서에 의하여 실시하였으나 근래에 와서는 온라인으로 처리하고 있으며 일부는 오프라인과 같이 병행하여 처리하기도 한다.
도 1은 전자구매시스템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처리하는 구성도 및 처리 구성도이다. 구매자(101)는 제안요청서(RFx)를 등록한다. 등록한 제안요청서는 DApp 에서 조회하거나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게시하게 된다. 상기 제안요청서는 분산 스토리지(104)의 오프체인데이터 저장소로 저장이 된다. 이후 공급자에 의해 제안요청서의 검색 및 조회시에는 상기 저장된 원본데이터를 분산 스토리지(104)에서 읽은 후 제공하게 된다. 이후 제안에 참여(107)를 하기위하여 제안서(108)를 작성하게 되며 제안서에서 온체인데이터와 오프체인데이터를 분리한 후 오프체인데이터의 해쉬값(109)을 생성한 후 이전에 분리한 온체인데이터(거래내역)와 같이 분산장부(110)에 저장한다.
또한 이전에 분리한 오프체인데이터는 자신의 개인키로 암호화 및 전자서명(111)을 실시한 후 분산 스토리지(104)에 원본을 저장한다. 이때 상대방의 공개키가 있을경우 공개키에 의한 암호화를 실시하여 보안성을 강화한다.
또한 상기의 오프체인데이터의 경우는 분산스토리지(104)외에 사용자가 지정한 별도의 컴퓨터(102)에 저장하여 관리하는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제안 참여사의 처리가 종료된 후 구매자는 접수된 제안서(109)를 조회하여 공급자 선정(112)을 한다. 공급자 선정 후 계약을 위하여 계약서 또는 발주서(113)를 발행하게 되며 이 데이터도 또한 온체인데이터와 오프체인데이터를 분리한 후 오프체인데이터는 암호화 및 전자서명(115)한 후 오프체인데이터에 저장소에 저장하며 해쉬값(114)과 계약내역은 분산장부(105)에 저장한다.
도 2는 전자구매시스템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처리하는 구성도 및 처리 흐름도이다. 구매자(S201)는 제안요청서(RFx)를 등록(S204)하면 분산 스토리지에 원본을 저장(S205)한다. 등록한 제안요청서는 DApp 에서 조회하거나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게시하게 된다. 이후 공급자(S202)에 의해 제안요청서의 검색 및 조회(S206)시에는 상기 저장된 원본데이터를 분산 스토리지(S205)에서 읽은 후 제공하게 된다. 이후 제안에 참여를 결정하면(S207)를 제안서를 작성(S208)하게 되며 작성한 제안서에서 온체인데이터와 오프체인데이터를 분리(S209)한 후 오프체인데이터의 해쉬값을 생성(S210)한 후 이전에 분리한 거래내역이 담긴 온체인데이터(S211)와 같이 분산장부에 저장(S212)한다. 또한 이전에 분리한 오프체인데이터(S209)는 자신의 개인키로 암호화 및 전자서명(S213)을 실시한 후 분산 스토리지에 원본을 저장(S214)한다. 이때 상대방의 공개키가 있을경우 공개키에 의한 암호화를 실시하여 보안성을 강화한다.
상기와 같이 제안 참여사의 처리가 종료된 후 구매자(S201)는 접수된 제안서를 조회(S215)하여 공급자 선정(S216)을 한다. 공급자 선정 후 계약을 위하여 계약서 또는 발주서를 작성(S217)하게 되며 이 데이터도 또한 온체인데이터와 오프체인데이터를 분리(S218)한 후 오프체인데이터의 해쉬값을 생성(S219)하여 이전에 분리한 거래내역이 담긴 온체인데이터(S220)와 같이 분산장부(S221)에 저장한다. 또한 이전에 분리한 오프체인데이터(S218)는 자신의 개인키로 암호화 및 전자서명(S222)을 실시한 후 분산 스토리지에 원본을 저장(S223)한다. 이때 상대방의 공개키가 있을경우 공개키에 의한 암호화를 실시하여 보안성을 강화한다.
또한 상기의 오프체인데이터의 경우는 분산스토리지(S205, S214, S223)외에 사용자가 지정한 별도의 컴퓨터에 저장하여 관리하는것이 가능하다.
이후에는 판매시스템에 대한 내용으로서 기본적인 처리 방식은 구매시스템과 동일하다. 판매시스템은 판매자 위주의 전자상거래 방식으로 판매자가 상품 및 판매정책을 공고하면 이에 구매자는 결제와 함께 주문서 또는 발주서등을 제출하여 구매요청을 하고 판매자가 배송을 하고 필요하다면 배송내역이 담긴 송장(Invoice)를 구매자가에 발송한다. 국제 무역의 경우는 절차에 따라 선하증권(B/L)과 Invlice를 보낸다.
도 3은 전자판매시스템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처리하는 구성도 및 처리 구성도이다. 판매자(301)는 판매할 상품을 등록한다. 등록한 상품정보는 DApp 에서 조회하거나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게시하게 된다. 상기 산품정보는 분산 스토리지(304)의 오프체인데이터 저장소로 저장이 된다. 이후 구매자에 의해 상품의 검색 및 조회시에는 상기 저장된 원본데이터를 분산 스토리지(304)에서 읽은 후 제공하게 된다. 이후 상품구매(307)를 하기위하여 주문서(308)를 작성하게 되며 주문서에서 온체인데이터와 오프체인데이터를 분리한 후 오프체인데이터의 해쉬값(309)을 생성한 후 이전에 분리한 온체인데이터(거래내역)와 같이 분산장부(310)에 저장한다.
또한 이전에 분리한 오프체인데이터는 자신의 개인키로 암호화 및 전자서명(311)을 실시한 후 분산 스토리지(304)에 원본을 저장한다. 이때 상대방의 공개키가 있을경우 공개키에 의한 암호화를 실시하여 보안성을 강화한다.
또한 상기의 오프체인데이터의 경우는 분산스토리지(304)외에 사용자가 지정한 별도의 컴퓨터(302)에 저장하여 관리하는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제안 참여사의 처리가 종료된 후 구매자는 접수된 주문서(309)를 조회하여 주문확정여부를 결정하고 배송(312)을 한다. 상품배송 후 송장(313) 구매자에게 발행하게 되며 이 데이터도 또한 온체인데이터와 오프체인데이터를 분리한 후 오프체인데이터는 암호화 및 전자서명(315)한 후 오프체인데이터에 저장소에 저장하며 해쉬값(314)과 계약내역은 분산장부(305)에 저장한다.
도 4는 전자판매시스템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처리하는 구성도 및 처리 흐름도이다. 판매자(S401)는 판매할 상품을 등록(S404)하면 분산 스토리지에 원본을 저장(S405)한다. 등록한 상품정보는는 DApp 에서 조회하거나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게시하게 된다. 이후 구매자(S402)에 의해 상품의 검색 및 조회(S406)시에는 상기 저장된 원본데이터를 분산 스토리지(S405)에서 읽은 후 제공하게 된다. 이후 상품구매를 결정하면(S407)를 주문서를 작성(S408)하게 되며 작성한 주문서에서 온체인데이터와 오프체인데이터를 분리(S409)한 후 오프체인데이터의 해쉬값을 생성(S410)한 후 이전에 분리한 거래내역이 담긴 온체인데이터(S411)와 같이 분산장부에 저장(S412)한다. 또한 이전에 분리한 오프체인데이터(S409)는 자신의 개인키로 암호화 및 전자서명(S413)을 실시한 후 분산 스토리지에 원본을 저장(S414)한다. 이때 상대방의 공개키가 있을경우 공개키에 의한 암호화를 실시하여 보안성을 강화한다.
상기와 같이 구매자의 처리가 종료된 후 판매자(S401)는 접수된 주문서를 조회(S415)하여 주문확정 및 배송(S416)을 한다. 상품배송 후 구매자에게 송장을 작성(S417)하게 되며 이 데이터도 또한 온체인데이터와 오프체인데이터를 분리(S418)한 후 오프체인데이터의 해쉬값을 생성(S419)하여 이전에 분리한 거래내역이 담긴 온체인데이터(S420)와 같이 분산장부(S421)에 저장한다. 또한 이전에 분리한 오프체인데이터(S418)는 자신의 개인키로 암호화 및 전자서명(S422)을 실시한 후 분산 스토리지에 원본을 저장(S423)한다. 이때 상대방의 공개키가 있을경우 공개키에 의한 암호화를 실시하여 보안성을 강화한다.
또한 상기의 오프체인데이터의 경우는 분산스토리지(S405, S414, S423)외에 사용자가 지정한 별도의 컴퓨터에 저장하여 관리하는것이 가능하다.
도 5는 오프체인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항 인덱싱 처리에 관한 설명이다. 블록체인의 일반적인 블록의 구조는 헤더(501)부와 페이로드(502)부로 구분된다. 헤더부에는 이전블록의 해쉬값과 자격검증을 하기위한 해답과 트랜잭션 그룹의 해쉬값을 가지고 있다. 또한, 페이로드부에는 각각 거래한 내역정보를 담은 트랜잭션들로 구성되어 있다.
트랜잭션의 구조(503)를 살펴보면 거래내역정보가 있으며 이더리움과 같이 프로그램밍이 가능한 블록체인에서는 프로그램 코드가 존재한다. 여기에 더하여 본 발명에 필요한 인덱싱 키값(504)와 리소스 정보(505)를 추가하여 생성한다. 여기서 리소스정보(505, 508)라는 것은 오프체인 데이터가 실제 저장되어있는 물리적인 위치정보이다. 본 발명은 인덱싱 키값(504)을 이용하여 별도의 리소스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506)을 통하여 저장된 리소스 정보(508)를 구한 후 오프체인스토리지(507)에 접근하는 방식과 트랜잭션(503)에서 직접 리소스 정보(505)를 가지고 있다가 오프체인스토리지(507)로 접근하는 방식으로 구분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이와같은 방식은 외부데이터의 상황에 따라 유연한 시스템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요한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인터텟(601)에 연결된 모든 노드들에게 블록체인 프로토콜에 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602), 본 발명의 처리를 중계해주는 서비스 중계 시스템(603)과 거래를 하는 사용자로서 공급자(604)와 구매자(605)로 구상된다.
105, 110, 305, 310 : 분산장부(거래내역이 블록체인에 의하여 관리되는 장부)
103, 303 : 중계서버(DApp의 배포, 데이터의 처리를 하는 서버)
104, 304 : 분산 스토리지(블록체인 외부에 있는 저장장치로서 사용자의 컴퓨터를 포함함)

Claims (9)

  1.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사용자간의 거래와 관련한 행위로 인하여 발생하는 블록의 생성 및 블록의 자격검증 처리와 검증결과 적합한 블록의 기존블록에 추가 저장 및 해쉬값에 의한 블록연결등 블록의 생성처리와 연결된 사용자의 노드와의 분산장부 동기화 처리를 수행하는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부;
    사용자로 부터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블록의 생성, 검증 및 체인내 저장처리가 가능하고 저장된 데이터의 확인 또는 무결성검증 등 저장정보의 관리가 가능한 분산애플리케이션(DApp)부;
    상기 사용자가 작성하거나 기 작성된 각종문서를 저장 또는 조회를 하기위하여 중계를 하는 중계서버 시스템부;
    상기 사용자가 작성하거나 기 작성된 문서를 저장하고 조회하도록 해주는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부;
    상기 사용자가 작성하거나 기 작성된 문서중 블록체인내 저장되어 관리되어야할 정보와 블록체인외부에 저장되어 관리되어야 할 정보를 분리하여 인덱싱 처리기법 또는 리소스정보 관리기법에 의하여 연관성을 가지고 연동이 가능한 기능을 포함하는 안전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애플리케이션부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작동하며 작성된 문서를 온체인데이터(On chain data)와 오프체인데이터(Off chain data)로 분리하여 온체인데이터는 블록체인 분산장부에 저장하며, 오프체인데이터는 분산된 스토리지 또는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하여 관리하며 분리된 데이터가 서로 연관성을 가지고 있도록 인덱싱 또는 리소스정보에 의하여 관리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서버 시스템부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기능을 가지며 각종 문서를 저장 또는 검색 조회를 처리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스토리지 시스템부는 사용자가 생성한 오프체인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며 블록체인내에 저장된 온체인데이터와의 연관성을 제공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스토리지 시스템부와 동일하게 사용자의 컴퓨터에 사용자가 생성한 오프체인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며 블록체인내에 저장된 온체인데이터와의 연관성을 제공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6. 전자상거래중 전자구매시스템에 있어서,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내역을 기술한 제안요청서(RFx)를 분산 스토리지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한 제안요청서를 공급자가 조회시 분산스토리지로 부터 읽어서 제공하는 단계;
    공급자가 제안에 참여시 제안서 및 견적서/입찰서를 작성하는 단계;
    상기 작성된 제안서 및 견적서/입찰서를 블록체인에 저장할 온체인데이터와 블록체인 외부에 저장할 오프체인데이터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분리된 데이터중 온체인데이터는 블록체인 분산장부에 자격검증을 거친후 저장하고 오프체인데이터는 블록체인 외부의 분산스토리지 또는 지정하는 장비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공급자가 제출한 제안서를 구매자가 조회하여 공급자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공급자와 계약서(또는 발주서)를 작성하는 단계;
    상기 작성한 계약서를 블록체인에 저장할 온체인데이터와 블록체인 외부에 저장할 오프체인데이터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분리된 데이터중 온체인데이터는 블록체인 분산장부에 자격검증을 거친후 저장하고 오프체인데이터는 블록체인 외부의 분산스토리지 또는 지정하는 장비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상거래 방법;
  7. 전자상거래중 온라인판매시스템에 있어서, 판매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분산 스토리지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한 상품을 구매자가 조회시 분산스토리지로 부터 읽어서 제공하는 단계;
    구매자가 상품구매시 주문서를 작성하는 단계;
    상기 작성된 주문서를 블록체인에 저장할 온체인데이터와 블록체인 외부에 저장할 오프체인데이터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분리된 데이터중 온체인데이터는 블록체인 분산장부에 자격검증을 거친후 저장하고 오프체인데이터는 블록체인 외부의 분산스토리지 또는 지정하는 장비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구매자가 제출한 주문서를 판매자가 조회하여 판매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확정된 주문에 대하여 판매자가 배송 및 송장(또는 선하증권등 배송을 증빙하는 문서)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작성한 송장을 블록체인에 저장할 온체인데이터와 블록체인 외부에 저장할 오프체인데이터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분리된 데이터중 온체인데이터는 블록체인 분산장부에 자격검증을 거친후 저장하고 오프체인데이터는 블록체인 외부의 분산스토리지 또는 지정하는 장비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상거래 방법;
  8. 제 6항과 7항에 있어서, 블록체인내 분산장부에 저장할 온체인데이터에는 보관할 거래내역정보와 오프체인데이터의 해쉬값을 저장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확보하는 전자상거래 방법;
  9. 제 6항과 7항에 있어서, 블록체인 외부에 저장할 오프체인데이터는 암호화 및 전자서명으로 보안성을 확보하고 작성자 신원을 확인할수 있도록 하는 전자상거래 방법;
KR1020170157150A 2017-11-23 2017-11-23 블록체인상에서 공유 분산장부와 외부 저장장치에 정보를 분리저장하여 구현한 안전한 전자상거래시스템 KR201900594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150A KR20190059491A (ko) 2017-11-23 2017-11-23 블록체인상에서 공유 분산장부와 외부 저장장치에 정보를 분리저장하여 구현한 안전한 전자상거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150A KR20190059491A (ko) 2017-11-23 2017-11-23 블록체인상에서 공유 분산장부와 외부 저장장치에 정보를 분리저장하여 구현한 안전한 전자상거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491A true KR20190059491A (ko) 2019-05-31

Family

ID=66657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150A KR20190059491A (ko) 2017-11-23 2017-11-23 블록체인상에서 공유 분산장부와 외부 저장장치에 정보를 분리저장하여 구현한 안전한 전자상거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9491A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9373A (zh) * 2019-06-26 2019-11-01 杭州慧牧科技有限公司 一种区块链账本存储系统、存储查询方法及删除方法
CN111813866A (zh) * 2020-07-30 2020-10-23 河南中盾云安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改进的区块链账本同步方法
KR102182750B1 (ko) * 2019-09-16 2020-11-25 주식회사 마크애니 블록체인을 이용한 데이터 유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44967A (ko) * 2019-06-20 2020-12-3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지불 방법
KR20210010298A (ko) 2019-07-17 2021-01-27 손태규 국제 전자상거래 시스템
KR20210012783A (ko) * 2019-07-26 2021-02-03 주식회사 옵티로 화상 위·변조 방지 기술을 적용한 국제복합운송에서의 운송화물 상태 확인 시스템
CN112532718A (zh) * 2020-11-26 2021-03-19 中国船舶工业系统工程研究院 基于区块链的海上装备数据共享系统、方法和介质
CN112667749A (zh) * 2021-03-16 2021-04-1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10043278A (ko) * 2019-10-11 2021-04-21 삼정데이타서비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계약 관리 방법
KR20210066326A (ko) * 2019-11-28 2021-06-07 서울외국어대학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자산 서비스를 위한 분산원장기술 보안 플랫폼을 활용한 이용자 신원 공유 시스템
CN113259130A (zh) * 2021-06-21 2021-08-1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交易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以及介质
KR20210107456A (ko) * 2020-02-24 2021-09-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력 계량 장치, 전력 계량 서버 및 블록 체인 기반의 전력 계량 방법
US11323245B2 (en) 2019-08-06 2022-05-03 Jeju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Method for linking block-chain using hyper-chain, and apparatus therefor
KR20220111389A (ko) * 2021-02-02 2022-08-09 주식회사 다해줘테크 블록체인 기반 패션 제조 플랫폼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967A (ko) * 2019-06-20 2020-12-3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지불 방법
CN110399373A (zh) * 2019-06-26 2019-11-01 杭州慧牧科技有限公司 一种区块链账本存储系统、存储查询方法及删除方法
CN110399373B (zh) * 2019-06-26 2024-02-02 杭州慧牧科技有限公司 一种区块链账本存储系统、存储查询方法及删除方法
KR20210010298A (ko) 2019-07-17 2021-01-27 손태규 국제 전자상거래 시스템
KR20210012783A (ko) * 2019-07-26 2021-02-03 주식회사 옵티로 화상 위·변조 방지 기술을 적용한 국제복합운송에서의 운송화물 상태 확인 시스템
US11323245B2 (en) 2019-08-06 2022-05-03 Jeju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Method for linking block-chain using hyper-chain, and apparatus therefor
US11669500B2 (en) 2019-09-16 2023-06-06 Markany,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data using block chain
KR102182750B1 (ko) * 2019-09-16 2020-11-25 주식회사 마크애니 블록체인을 이용한 데이터 유통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43278A (ko) * 2019-10-11 2021-04-21 삼정데이타서비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계약 관리 방법
KR20210066326A (ko) * 2019-11-28 2021-06-07 서울외국어대학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자산 서비스를 위한 분산원장기술 보안 플랫폼을 활용한 이용자 신원 공유 시스템
US11852664B2 (en) 2020-02-24 2023-12-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ower metering apparatus, power metering server, and power metering method based on blockchain
KR20210107456A (ko) * 2020-02-24 2021-09-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력 계량 장치, 전력 계량 서버 및 블록 체인 기반의 전력 계량 방법
CN111813866B (zh) * 2020-07-30 2021-03-16 河南中盾云安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改进的区块链账本同步方法
CN111813866A (zh) * 2020-07-30 2020-10-23 河南中盾云安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改进的区块链账本同步方法
CN112532718A (zh) * 2020-11-26 2021-03-19 中国船舶工业系统工程研究院 基于区块链的海上装备数据共享系统、方法和介质
CN112532718B (zh) * 2020-11-26 2023-10-10 中国船舶工业系统工程研究院 基于区块链的海上装备数据共享系统、方法和介质
KR20220111389A (ko) * 2021-02-02 2022-08-09 주식회사 다해줘테크 블록체인 기반 패션 제조 플랫폼
WO2022193985A1 (zh) * 2021-03-16 2022-09-2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667749B (zh) * 2021-03-16 2021-05-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667749A (zh) * 2021-03-16 2021-04-1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259130A (zh) * 2021-06-21 2021-08-1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交易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以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9491A (ko) 블록체인상에서 공유 분산장부와 외부 저장장치에 정보를 분리저장하여 구현한 안전한 전자상거래시스템
Hasan et al. Blockchain-based proof of delivery of physical assets with single and multiple transporters
EP3776441B1 (en) Digital asset exchange
JP7340206B2 (ja) 自己規制取引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20240144263A1 (en) Systems and Methods to Validate Transactions For Inclusion in Electronic Blockchains
TWI822653B (zh) 以令牌化來進行以區塊鏈為基礎的匯兌
US202103905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ilding blockchains for verifying assets for smart contracts
Ha et al. DeM-CoD: novel access-control-based cash on delivery mechanism for decentralized marketplace
JP2020035436A (ja) ペットフードのトレーサビリティシステム
KR20190089506A (ko) 블록체인상에서 공유 분산장부와 외부 저장장치에 정보를 분리저장하여 구현한 안전한 전자계약시스템
WO20182227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t review management with distributed database
CN109074580A (zh) 在区块链上安全转移实体的方法和系统
KR20190000747A (ko) 블록체인기법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식
JP2020528178A (ja) ブロックチェーン依存動作セット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TW200907843A (en) Trusted third party clearing house for lead tracking
US11488156B2 (en) Confidential asset transaction system
US200802945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electronic transaction network designed to facilitate dual, bilateral buyer-driven and bilateral seller-driven conditional early payment incentive offers, acceptances, and payments
CN117616410A (zh) 计算机分片环境中的多方计算
Serban et al. The concept of decentralized and secure electronic marketplace
US20230012276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centralized E-Commerce
Chiquito et al. Survey on decentralized auctioning systems
Ferrara et al. Physical Assets Tokenization for Blockchain Market
Aljohani et al. A Smart Contract-based Decentralized Marketplace System to Promote Reviewer Anonymity
KR101962286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공유재화를 등록하는 공유경제 관리 장치
US20230028112A1 (en) Confidential asset transa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