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026A - An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n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026A
KR20190059026A KR1020170156543A KR20170156543A KR20190059026A KR 20190059026 A KR20190059026 A KR 20190059026A KR 1020170156543 A KR1020170156543 A KR 1020170156543A KR 20170156543 A KR20170156543 A KR 20170156543A KR 20190059026 A KR20190059026 A KR 20190059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efrigerant
liquid
heat exchang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5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하정훈
김성호
진근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6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9026A/en
Priority to PCT/KR2018/014468 priority patent/WO2019103495A1/en
Priority to DE112018005940.5T priority patent/DE112018005940T5/en
Publication of KR20190059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02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25B39/028Evaporators having distribu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0Refrigerant piping for use inside the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0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25B41/42Arrangements for diverging or converging flows, e.g. branch lines or jun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4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4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 F25B43/043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for compression ty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25B9/0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2Details of evapo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d an evaporator. Moreover, the air conditioner comprises: a gas-liquid separating device separating a refrigerant introduced from the expansion valve into a liquid refrigerant and a gas refrigerant; a liquid pipe connecting the gas-liquid separating device to the evaporator for the liquid refrigerant separated from the gas-liquid separating device to flow; and a gas pipe connecting the gas-liquid separating device to the evaporator for the gas refrigerant separated from the gas-liquid separating device to flow. The evaporator has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pipes in which the refrigerants flow. Moreover, a number of the liquid pipe and the gas pipe correspond to a number of the heat exchange pipes.

Description

공기조화기{AN AIR CONDITIONER}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공기조화기는 소정공간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되며,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매 사이클이 구동되어, 상기 소정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is a device for keeping the air in a predetermined space in a most suitable condi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nd purpose. Generally,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device, and an evaporator, and a refrigerant cycle for compressing, condensing, expanding, and evaporating the refrigerant is driven to cool or heat the predetermined space.

이때, 상기 소정공간은 상기 공기조화기가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제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조화기가 가정이나 사무실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은 집 또는 건물의 실내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가 자동차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은 사람이 탑승하는 탑승 공간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space may be variously suggested according to the place where the air conditioner is used. For example, when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n a home or an office, the predetermined space may be an indoor space of a house or a building. In addition, when the air conditioner is disposed in a vehicle, the predetermined space may be a boarding space on which a person is boarded.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상기 소정공간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는, 냉매의 흐름에 따라 냉방 운전으로 작동할 수도 있고 난방 운전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은 순환하는 냉매의 흐름에 따라 결정된다.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indoor unit install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and an outdoor unit supplying refrigerant to the indoor unit.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may operate in a cooling operation or a heating operation depending on the flow of the refrigerant. The cooling operation or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low of circulating refrigerant.

상기 공기조화기가 냉방 운전으로 작동할 때 냉매의 흐름을 설명하면, 상기 실외기에 구비되는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로 기능하는 실외 열교환기를 거쳐서 액체 냉매가 된다. 상기 액체 냉매가 상기 실내기로 공급되면, 증발기로 기능하는 실내 열교환기에서 냉매가 팽창되면서 기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기화 현상에 의해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주변 공기의 온도가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 팬이 회전하면 온도가 하강된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주변 공기는 상기 소정공간으로 토출되어 상기 소정공간이 냉방될 수 있다.When the air conditioner operates in the cooling operation mode,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becomes the liquid refrigerant through the outdoor heat exchanger functioning as the condenser. When the liquid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indoor unit, the refrigerant expands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functioning as the evaporator, and vaporization may occur. The temperature of the ambient air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is lowered by the vaporization phenomenon. When the indoor unit fan rotates, ambient air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whose temperature is lowered is discharged to the predetermined space, so that the predetermined space can be cooled.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으로 작동할 때 냉매의 흐름을 설명하면, 상기 실외기의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가 실내기로 공급되면, 응축기로 기능하는 실내 열교환기에서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가 액화될 수 있다. 상기 액화 현상에 의해 방출된 에너지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주변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실내기 팬이 회전되면 온도가 상승된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주변 공기가 상기 소정공간으로 토출되어 상기 소정공간이 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화된 냉매는 메인 팽창장치에서 팽창된 후 증발기로 기능하는 실외 열교환기로 유입되어 기화될 수 있다.When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gas refrigerant is supplied from the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to the indoor unit,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gas refrigerant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serving as the condenser is liquefied . The energy released by the liquefaction phenomenon raises the temperature of the ambient air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When the indoor fan is rotated, the surrounding air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whose temperature is raised is discharged to the predetermined space, and the predetermined space is heated. Further, the liquefied refrigerant may be introduced in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which is expanded in the main expansion device and then functions as an evaporator, and may be vaporized.

이와 같이, 상기 실내 열교환기 및 상기 실외 열교환기는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기능하며 열교환된다. 특히, 상기 증발기는 액체 냉매를 증발시켜 기체 냉매로 상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Thus,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function as a condenser or an evaporator and are heat-exchanged. Particularly, the evaporator serves to evaporate the liquid refrigerant and change the phase of the liquid refrigerant into the gas refrigerant.

본 출원인은 상기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기술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문헌을 출원하여 등록된 바 있다.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studied the technique for increasing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evaporator and filed and filed the following documents.

[선행문헌 1] : 등록특허 제10-1615445호, 공기조화기[Prior Art 1]: Registration No. 10-1615445, air conditioner

상기 선행문헌 1에는, 증발기의 흡입 측에 기액분리기를 설치하여, 상기 기액분리기에서 분리된 액체 냉매는 상기 증발기로 유동시키고, 기체 냉매는 압축기로 유동시킨다.In the prior art 1, a gas-liquid separator is provided on the suction side of the evaporator, the liquid refrigerant separated from the gas-liquid separator flows to the evaporator, and the gas refrigerant flows to the compressor.

이때, 상기 증발기를 유동하는 냉매의 유량이 적거나 상기 공기조화기가 저부하 조건에서 운전되는 경우, 상기 증발기의 열교환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At this time, when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evaporator is small or when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under the low load condition, the heat exchanging efficiency of the evaporator is lowered.

자세하게는, 중력의 영향으로 액체 냉매가 상기 증발기의 하부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그에 따라, 상기 증발기 내에서 유량의 불균등이 발생되며, 열교환효율의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Specifically, a phenomenon that the liquid refrigerant lean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vaporator due to the influence of gravity occurs. As a result, unevenness of the flow rate is generated in the evaporator, and heat exchange efficiency is lowered.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증발기의 열교환효율을 극대화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maximizes heat exchange efficiency of an evaporator.

특히, 저유량 조건에서 고효율을 내도록,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저용량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w capacity air conditioner which is generally used in the home so as to achieve high efficiency under low flow rate conditions.

자세하게는, 상기 증발기로 제공되는 냉매를 기상냉매와 액상냉매로 분리하여 상기 증발기에 형성된 각 패스에 균일하게 유동시키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refrigerant provided to the evaporator is separated into a gaseous refrigerant and a liquid refrigerant and flows uniformly in each pass formed in the evaporator.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가 포함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팽창밸브에서 유입된 냉매를 액체 냉매 및 기체 냉매로 분리하는 기액분리기, 상기 기액분리기에서 분리된 액체 냉매가 유동되도록, 상기 기액분리기와 상기 증발기를 연결하는 액배관 및 상기 기액분리기에서 분리된 기체 냉매가 유동되도록, 상기 기액분리기와 상기 증발기를 연결하는 기배관이 포함되고, 상기 증발기에는 냉매가 각각 유동되는 복수의 열교환배관이 구비되고, 상기 액배관 및 상기 기배관은 상기 복수의 열교환배관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된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d an evaporator.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gas-liquid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refrigerant introduced from the expansion valve into liquid refrigerant and gas refrigerant, A liquid pipe connecting the gas-liquid separator and the evaporator so that the separated liquid refrigerant flows, and a gas pipe connecting the gas-liquid separator and the evaporator such that the gas refrigerant separated from the gas-liquid separator flows,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pipes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and the liquid pipe and the pipe pipe are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eat exchange pipes.

복수의 액배관에는 동일한 양의 액체 냉매가 각각 유동되고, 복수의 기배관에는 동일한 양의 기체 냉매가 각각 유동되어, 상기 복수의 열교환배관에는 동일한 양의 액체 냉매 및 기체 냉매가 각각 유동될 수 있다.The same amount of liquid refrigerant flows through each of the plurality of liquid pipes and the same amount of gas refrigerant flows through each of the plurality of gas pipes so that the same amount of liquid refrigerant and gas refrigerant can flow respectively into the plurality of heat exchange pipes .

상기 기액분리기에는 냉매가 유동되는 관(Pipe) 형태로 각각 마련되는 냉매유입부 및 냉매토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냉매유입부의 일 단은 상기 냉매토출부의 일 측에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팽창밸브에 연결될 수 있다.The gas-liquid separator is provided with a refrigerant inlet and a refrigerant outlet, each of which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ip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One end of the refrigerant inle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refrigerant outlet, Lt; / RTI >

상기 냉매토출부의 직경은 상기 냉매유입부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efrigerant inflow portion.

상기 냉매토출부는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냉매유입부는 바닥면과 소정의 경사(c)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refrigerant inflow portion may be disposed to form a predetermined inclination (c) with the bottom surface.

상기 소정의 경사(c)는 30도 이상, 45도 이하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inclination (c) may be 30 degrees or more and 45 degrees or less.

상기 냉매토출부는, 상기 냉매유입부와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되는 제 1 냉매토출부 및 상부에 위치되는 제 2 냉매토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냉매토출부에는 상기 액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냉매토출부에는 상기 기배관이 연결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 is composed of a first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 located at a lower portion and a second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with respect to a portion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inflow portion, and the liquid pipe is connected to the first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 And the gas pipe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

상기 열교환배관에는, 제 1 열교환배관, 제 2 열교환배관 및 제 3 열교환배관이 포함되고, 상기 액배관에는, 상기 제 1 열교환배관과 연결되는 제 1 액배관, 상기 제 2 열교환배관과 연결되는 제 2 액배관 및 상기 제 3 열교환배관과 연결되는 제 3 액배관이 포함되고, 상기 기배관에는, 상기 제 1 열교환배관과 연결되는 제 1 기배관, 상기 제 2 열교환배관과 연결되는 제 2 기배관 및 상기 제 3 열교환배관과 연결되는 제 3 기배관이 포함될 수 있다.Wherein the heat exchange pipe includes a first heat exchange pipe, a second heat exchange pipe and a third heat exchange pipe, and the liquid pipe includes a first liquid pipe connected to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a second liquid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heat exchange pipe, And a third liquid pipe connected to the third heat exchange pipe, wherein the first pipe is connected to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and the second pipe is connected to the second heat exchange pipe, And a third pipe connected to the third heat exchange pipe.

상기 제 1 열교환배관에는 상기 제 1 액배관 및 상기 제 1 기배관에서 유입된 냉매가 열교환되고, 상기 제 2 열교환배관에는 상기 제 2 액배관 및 상기 제 2 기배관에서 유입된 냉매가 열교환되며, 상기 제 3 열교환배관에는 상기 제 3 액배관 및 상기 제 3 기배관에서 유입된 냉매가 열교환되어, 상기 제 1 내지 3 열교환배관에서 토출된 냉매는, 합지되어 상기 압축기로 유동될 수 있다.The first liquid pipe and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first pipe are heat-exchanged and the second liquid pipe and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second pipe are heat-exchanged in the second heat exchange pipe, The third heat exchange pipe is heat 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third liquid pipe and the third pipe,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first to third heat exchange pipes may be connected to the compressor.

상기 제 1 액배관, 상기 제 2 액배관 및 상기 제 3 액배관에는 동일한 양의 냉매가 유동되며, 상기 제 1 기배관, 상기 제 2 기배관 및 상기 제 3 기배관에는 동일한 양의 냉매가 유동될 수 있다.The same amount of refrigerant flows into the first liquid pipe, the second liquid pipe, and the third liquid pipe, and the same amount of refrigerant flows in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pipe .

상기 제 1 액배관, 상기 제 2 액배관 및 상기 제 3 액배관에는 소정의 비율로 냉매가 유동되며, 상기 제 1 기배관, 상기 제 2 기배관 및 상기 제 3 기배관에는 소정의 비율로 냉매가 유동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flows in a predetermined ratio to the first liquid pipe, the second liquid pipe and the third liquid pipe, and the refrigerant flows to the first pipe, the second pipe and the third pipe at a predetermined ratio Can flow.

상기 제 1 액배관, 상기 제 2 액배관 및 상기 제 3 액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냉매가 유동되며, 상기 제 1 기배관, 상기 제 2 기배관 및 상기 제 3 기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냉매가 유동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flows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liquid pipe, the second liquid pipe and the third liquid pipe, and the refrigerant flows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pipe, the second pipe and the third pipe .

상기 제 2 냉매토출부에는 상기 기배관으로 유동되는 냉매를 차폐하는 기액배관이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gas-liquid pipe for shielding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pipe.

상기 증발기는 실외 열교환기일 수 있다.The evaporator may be an outdoor heat exchanger.

상기 냉매는 R32일 수 있다.The refrigerant may be R3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증발기에 구비된 복수 개의 패스에 액체냉매 및 기체냉매를 균등하게 분배함에 따라, 상기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refrigerant and the gaseous refrigerant are uniformly distributed to the plurality of paths provided in the evaporator, thereby improving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evaporator.

또한, 그에 따라 공기조화기 전체의 효율이 상승되고, 외부조건 변화에 따라 효율이 달라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공기조화기의 구동에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fficiency of the entire air conditioner is increased and the efficiency is not changed according to changes in external conditions, there is an advantage that reliability can be secured in driving the air conditioner.

특히, 냉매의 유량이 적거나 저부하 조건에서 중력의 영향에 의한 냉매의 쏠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Particular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frigerant from leaning due to the influence of gravity under a low load or a low load.

또한, 액체 냉매와 기체 냉매로 분리하여 각각의 배관을 상기 증발기에 연결함에 따라, 보다 확실하게 냉매를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frigerant is separated into the liquid refrigerant and the gas refrigerant, and each piping is connected to the evaporator, the refrigerant can be more evenly distributed.

또한, 간단한 형상을 갖는 기액분리기를 설치함에 따라, 제작비용, 설치비용 및 설치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urther, by providing a gas-liquid separator having a simpl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installation cost, and installation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실외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I-I'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냉매 흐름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기액분리기 및 증발기에서 냉매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기액분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3 is an exploded view of an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refrigerant flow in an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refrigerant flow in a gas-liquid separator and an evaporator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a gas-liquid separator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pirit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upon reading and understanding the spirit of the invention, may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concep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실외기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에는, 냉방 또는 난방을 제공하는 소정공간에 설치되는 실내기(1) 및 상기 실내기(1)와 연결되어 냉동사이클을 형성하는 실외기(10)가 구비된다.1,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door unit 1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space for providing cooling or heating, and an outdoor unit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1 to form a refrigeration cycle 10 are provided.

일반적으로 상기 실내기(1)는 실내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실외기(10)는 실외공간에 설치된다. 도 1에서는 기재의 편의상 상기 실내기(1)와 상기 실외기(10)를 함께 도시하였다.Generally, the indoor unit 1 is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and the outdoor unit 10 is installed in an outdoor space. In FIG. 1, the indoor unit 1 and the outdoor unit 10 are shown togeth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상기 실내기(1)와 상기 실외기(10)는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유동되는 냉매는 R32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R32 냉매는 비교적 소량으로 높은 효율을 낼 수 있는 고효율 친환경 냉매로 주목받고 있다.The indoor unit (1) and the outdoor unit (10) can be connected to a refrigerant pipe through which refrigerant flows. At this time,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rrespond to R32. The R32 refrigerant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highly efficient eco-friendly refrigerant capable of achieving high efficiency with a relatively small amount.

또한, 상기 실내기(1) 및 상기 실외기(10)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unit 1 and the outdoor unit 1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도 2 및 도 3에서 상기 실내기(1) 및 실외기(10)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1, an example of the indoor unit 1 and the outdoor unit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도 2는 도 1의 I-I'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1)는 실내공간의 벽에 부착되는 벽걸이형 실내기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벽걸이형 실내기는 일반적으로 가정에 사용되며 비교적 적은 용량에 해당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indoor unit 1 may correspond to a wall-mounted indoor unit attached to a wall of an indoor space. The wall-mounted type indoor unit is generally used in the home and corresponds to a relatively small capacity.

상기 실내기(1)에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실내 열교환기(4) 및 실내 송풍팬(3)이 배치되는 케이스(1a) 및 상기 케이스(1a)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실내기(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b)이 포함된다. 이때, 넓은 의미에서, 상기 전면 패널(1b)은 상기 케이스(1a)의 일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The indoor unit 1 is provided with a case 1a which forms an outer appearance and in which an indoor heat exchanger 4 and an indoor air blowing fan 3 are disposed and a case 1a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case 1a, And a front panel 1b that forms a front appearance. At this time, in a broad sense, the front panel 1b can be understood as a constitution of the case 1a.

상기 케이스(1a)에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2) 및 상기 흡입구(2)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된 후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5)가 포함된다.The case 1a includes a discharge port 5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is introduced and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 2 is heat-exchanged and discharged into the indoor space.

상기 흡입구(2)는 상기 케이스(1a)의 상부에 적어도 일부분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구(2)에는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흡입그릴(2a)이 형성될 수 있다.The suction port (2) is formed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a). In addition, a suction grille 2a for preventing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may be formed in the suction port 2. [

상기 토출구(5)는 상기 케이스(1a)의 하부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5)의 일측에는, 상기 토출구(5)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하여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는 토출 베인(5a)이 포함된다.The discharge port 5 may be formed by opening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1a. A discharge vane 5a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ischarge port 5 so as to be movable for opening or closing the discharge port 5.

상기 토출 베인(5a)이 개방되면, 상기 케이스(1a) 내에서 조화된 공기가 실내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토출 베인(5a)은, 상기 토출 베인(5a)의 하부가 상방으로 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5)에는 토출그릴(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discharge vane 5a is opened, harmonized air can be discharged into the indoor space in the case 1a. For example, the discharge vane 5a may be opened by rota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vane 5a upward. The discharge port 5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grill (not shown).

상기 케이스(1a)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2)에서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 되는 실내 열교환기(4)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4)는 실내 송풍팬(3)의 흡입 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실내 열교환기(4)는 복수 개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An indoor heat exchanger (4) is installed in the case (1a) for heat exchange with the air sucked from the suction port (2). The indoor heat exchanger (4)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suction side of the indoor blowing fan (3). That is, the indoor heat exchanger 4 may be formed by bending a plurality of the indoor heat exchangers 4.

상기 실내 송풍팬(3)에는, 원주 방향으로 흡입된 공기를 원주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횡류팬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실내 송풍팬(3)에는, 고정부재로서의 팬 본체(3a) 및 상기 팬 본체(3a)의 일 측에 고정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3b)가 포함된다. 즉,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3b)는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형태를 갖는다.The indoor air blowing fan (3) includes a cross flow fan for discharging the air suck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indoor air blowing fan 3 includes a fan body 3a as a fixing member and a plurality of blades 3b fixed to one side of the fan body 3a and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at is, the plurality of blades 3b ar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케이스(1a)의 내부에는, 상기 실내 송풍팬(3)의 외주면 근처에 배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로 가이드(8, 9)가 설치된다. 상기 유로 가이드(8, 9)에는, 리어 가이드(8) 및 스테빌라이저(9)가 포함된다.Inside the case 1a, there are provided flow guides 8 and 9 arranged nea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door air blowing fan 3 and guiding the flow of air. The flow guides 8 and 9 include a rear guide 8 and a stabilizer 9.

상기 리어 가이드(8)는, 상기 케이스(1a)의 후측에서 상기 실내 송풍팬(3)의 흡입 측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상기 리어 가이드(8)는, 상기 실내 송풍팬(3)이 회전될 때 상기 실내 송풍팬(3) 측으로 흡입 공기가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리어 가이드(8)는, 상기 실내 송풍팬(3)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실내 송풍팬(3)에서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ar guide (8) extends from the rear side of the case (1a) to the suction side of the indoor blowing fan (3). The rear guide 8 guides the intake air to the indoor ventilation fan 3 smoothly when the indoor ventilation fan 3 is rotated. Further, the rear guide 8 can prevent the air flowing by the indoor air blowing fan 3 from peeling off from the indoor air blowing fan 3.

상기 스테빌라이저(9)는, 상기 실내 송풍팬(3)의 토출 측에 배치된다. 상기 스테빌라이저(9)는, 상기 실내 송풍팬(3)의 외주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실내 송풍팬(3)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실내 열교환기(4)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리어 가이드(8)와 스테빌라이저(9)는, 상기 실내 송풍팬(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The stabilizer (9) is dispos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indoor air blowing fan (3). The stabilizer 9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door air blowing fan 3 to preven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indoor air blowing fan 3 from flowing back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4 side. The rear guide 8 and the stabilizer 9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door air blowing fan 3.

상기 실내 열교환기(4)의 하측에는, 공기와 냉매의 열교환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저장될 수 있는 드레인부(6)가 제공된다.A drain portion 6 is provided below the indoor heat exchanger 4 to store condensed water generated during heat exchange between air and refrigerant.

상기 케이스(1a)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 중 이물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7)가 제공된다. 상기 필터(7)는 상기 흡입구(2)의 내측에 상기 실내 열교환기(4)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필터(7)에서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4)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A filter (7)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2) is provided in the case (1a). The filter (7) is arranged to surround the indoor heat exchanger (4) inside the suction port (2). The air filtered by the filter (7) can flow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4) side.

이와 같은 실내기(1)의 형상은 예시적이며 상기 실내기(1)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indoor unit 1 is an example, and the indoor unit 1 may have various shape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3 is an exploded view of an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0)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되도록 마련된다.1 and 3, an outdoor unit 10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to exchange heat with outdoor air.

상기 실외기(10)에는, 외관을 형성하며 다수의 부품을 내장하는 케이스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에는, 전방패널(11), 후방패널(12), 상면패널(13) 및 측면패널(14, 15)이 포함된다.The outdoor unit (10) includes a case which forms an appearance and contains a large number of parts. The case includes a front panel 11, a rear panel 12, an upper panel 13, and side panels 14 and 15.

상기 전방패널(11)은 상기 실외기(10)의 전면을 구성하며, 상기 실외기(10)의 외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전방토출구(11a)가 구비된다.The front panel 11 constitutes a front surface of the outdoor unit 10 and a front discharge port 11a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outdoor unit 10 is provided.

상기 후방패널(12)은 상기 실외기(10)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전방패널(11)과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후방패널(12)에는 상기 실외기(1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후방흡입구(12a)가 구비된다.The rear panel 12 is spaced rearward from the front panel 11 so as to form an inner space of the outdoor unit 10. Also, the rear panel 12 is provided with a rear suction port 12a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to the outdoor unit 10.

상기 측면패널은 상기 실외기(10)의 양측면을 구성하며, 좌측패널(14) 및 우측패널(15)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패널(14) 및 상기 우측패널(15)은 상기 전방패널(11) 및 상기 후방패널(12)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실외기(10)의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좌측패널(14) 및 상기 우측패널(15)에는, 측면흡입구(14a, 15a)가 각각 구비된다.The side panels constitute both side surfaces of the outdoor unit 10 and include a left panel 14 and a right panel 15. The left panel 14 and the right panel 15 are coupled to the front panel 11 and the rear panel 12 to form an internal space of the outdoor unit 10. The left panel 14 and the right panel 15 are provided with side suction ports 14a and 15a, respectively.

상기 상면패널(13)은 상기 실외기(10)의 상면을 구성하도록, 상기 전방패널(11), 상기 후방패널(12) 및 상기 측면패널(14, 15)의 상부에 결합된다.The upper panel 13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front panel 11, the rear panel 12 and the side panels 14 and 15 so as to constitute the upper surface of the outdoor unit 10.

또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실외기(10)의 하면을 이루는 베이스(17)가 더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17)의 하면이 설치위치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실외기(10)가 설치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Further, the case further includes a base 17 constitu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outdoor unit 10. As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7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 outdoor unit 10 can be fixed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그에 따라, 상기 실외기(10)에는 상기 케이스에 의해서 둘러싸인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후술할 압축기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17)의 상면에는 상기 압축기 등이 장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outdoor unit 10 is formed with an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case, and a compressor or the like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That is, the compressor or the like may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7.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10)에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2a, 14a, 15a)와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1a)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1a)는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흡입구(12a, 14a, 15a)는 케이스의 후방 또는 측방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토출구 및 상기 흡입구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다양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utdoor unit (10) is provided with the suction ports (12a, 14a, 15a) for sucking outdoor air and the discharge port (11a) through which the sucked air is discharged. The discharge port 11a may be formed in the front of the case, and the suction ports 12a, 14a, and 15a may be formed on the rear or side of the case.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discharge port and the suction port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and may be located at various positions.

또한, 상기 실외기(10)에는, 압축기 등이 설치된 전장실을 커버하는 서비스패널(16)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패널(16)은 상기 실외기(10)의 전면에서 일측면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outdoor unit (10) may further include a service panel (16) that covers an electric room including a compressor and the like. The service panel 16 may be formed to be rounded to one sid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outdoor unit 10.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패널(16)은 상기 실외기(10)의 전면에서 우측면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패널(16)의 일 단이 상기 전방패널(11)의 우측단에 체결되고, 서비스패널(16)의 타 단이 상기 우측패널(15)의 전단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패널(16)은 하나의 패널로 구비되어, 전방과 측방을 동시에 개방 및 폐쇄할 수 있게 하므로, 설치자 또는 관리자는 전장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ice panel 16 may be rounded from the front to the right of the outdoor unit 10, and one end of the service panel 16 is fastened to the right end of the front panel 11 , And the other end of the service panel 16 can be fastened to the front end of the right panel 15. The service panel 16 is provided as one panel, and can open and close the front and the side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installer or the manager can easily access the electric room.

또한, 상기 서비스패널(16)에는, 서비스창과 서비스커버(16a)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창은 서비스패널(16)을 관통한 개구이며, 상기 서비스커버(16a)는 상기 서비스창을 개폐하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the service panel 16 may include a service window and a service cover 16a. The service window is an opening through the service panel 16, and the service cover 16a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service window.

상기 서비스창은, 사용자가 실외기(10)의 상태를 판단하고 조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서비스창을 통해서 외부에 노출되므로, 설치자가 상기 서비스패널(16)을 전부 분리하지 않고, 상기 서비스커버(16a)만을 제거하여 실외기(1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The service window may b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a display unit that allows the user to determine and operate the state of the outdoor unit 10. [ At this time, since the display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rvice window, the installer can remove the service panel 16 and remove only the service cover 16a to check the state of the outdoor unit 10. [

또한, 상기 서비스창은 실외기(1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비스커버(16a)는 실외기(1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패널(16)의 우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rvice window may b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outdoor unit 10. That is, the service cover 16a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outdoor unit 10, and may be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rvice panel 16 as shown in FIGS. 2 and 3, for example.

상기 서비스창이 상기 실외기(10)의 측면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실외기(10)가 베란다나 건물의 벽면 등의 협소한 공간에 배치되어 전면에 접근이 힘든 경우에도, 상기 실외기(10)의 일 측면에 설치된 서비스창을 통해서 상기 실외기(1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service window is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outdoor unit 10 so that even when the outdoor unit 10 is disposed in a narrow space such as a veranda or a wall of a building and is difficult to access the front sid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state of the outdoor unit 10 through a service window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10.

또한, 상기 실외기(10)에는, 상기 베이스(17)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열교환실과 전장실로 구분하는 분리벽(18)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분리벽(18)은 상기 열교환실 내부의 수분이 상기 전장실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outdoor unit 10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wall 18 extending upward from the base 17 to divide the interior space into a heat exchange chamber and an electric compressor chamber. The separating wall 18 prevents the moisture in the heat exchange chamber from penetrating into the electric field chamber.

상기 분리벽(18)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이며, 일 단이 상기 베이스(17)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분리벽(18)은 상기 전장실에 배치되는 구성들과 대응되도록 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separating wall 18 is a plat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one end thereof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7. The separating wall 18 may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so as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s disposed in the electric field chamber.

상기 열교환실은, 실외 열교환기(24) 및 실외 송풍팬(32) 등이 배치되는 공간이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24)를 통과하는 냉매와 상기 실외 송풍팬(32)에 의해서 유동하는 외부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The heat exchange chamber is a space in which 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and the outdoor air blowing fan 32 are disposed and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and the outdoor air flowing by the outdoor air blowing fan 32 It is a space where heat exchange takes place.

상기 실외 열교환기(24)는 외부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며, 상기 공기 조화기가 냉방 운전하는 경우에는 응축기의 기능을, 상기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하는 경우에는 증발기의 기능을 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24)는 냉매가 유동되는 열교환배관과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면전을 넓여주는 열교환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exchanges heat between the outside air and the refrigerant, and functions as a condenser when the air conditioner performs cooling operation and as an evaporator when the air conditioner performs heating operation. 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may include a heat exchange pipe through which refrigerant flows, and a heat exchange fin that enlarges the heat exchange appearance between the refrigerant and the air.

상기 실외 송풍팬(32)은 모터(31) 및 모터마운트(33)와 연결되어 상기 실외기(10) 내부의 공기를 강제대류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실외 송풍팬(32)은 상기 모터(31)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31)의 구동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The outdoor air blowing fan 32 is connected to the motor 31 and the motor mount 33 so that the air inside the outdoor unit 10 can be forcedly convected. In detail, the outdoor air blowing fan 32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31 and can be rotat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31.

상기 모터(31)는 상기 모터마운트(33)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마운트(33)는 상기 모터(31) 및 상기 모터(31)에 결합된 상기 실외 송풍팬(32)을 지지할 수 있다.The motor 31 may be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motor mount 33. That is, the motor mount 33 can support the motor 31 and the outdoor blowing fan 32 coupled to the motor 31.

상기 모터마운트(33)는 상기 베이스(17)와 상기 상면패널(13) 사이에 형성되는 구조물로 이해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마운트(33)의 일 단은 상기 베이스(17)의 상면에 체결되고, 타 단은 상기 상면패널(13)의 하면과 인접하게 배치된다.The motor mount 33 is understood to be a structure formed between the base 17 and the upper panel 13. Therefore, one end of the motor mount 33 is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7,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anel 13.

상기 모터(31) 및 상기 실외 송풍팬(32)은 상기 모터마운트(33)의 전면에 체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모터(31) 및 상기 실외 송풍팬(32)은 상기 전방토출구(11a)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될 수 있다.The motor 31 and the outdoor blowing fan 32 may be fasten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otor mount 33. Particularly, the motor 31 and the outdoor blowing fan 32 can be fasten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ront discharge port 11a.

상기 실외기(10)를 관통하는 공기의 유동을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모터(31)에 의해 상기 실외 송풍팬(32)이 회전되며 공기의 유동이 발생된다. 상기 실외기(10)의 후면 및 측면에 마련된 흡입구(12a, 14a, 15a)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4)를 통과하며 냉매와 열교환을 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24)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전면토출구(11a)를 통해 상기 실외기(10)의 외부로 토출된다.Describing in detail the flow of air through the outdoor unit 10, the outdoor air blowing fan 32 is rotated by the motor 31 to generate air flow. Air sucked through the inlets (12a, 14a, 15a) provided on the rear and side surfaces of the outdoor unit (10) passes through 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and performs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outdoor unit (10) through the front discharge port (11a).

이와 같이 유동되는 실외 공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24)를 유동하는 냉매가 열교환될 수 있다.The outdoor air flowing in this way and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can be heat-exchanged.

상기 전장실은, 압축기(21) 및 전장부(22) 등이 위치하는 공간이다.The electric room is a space in which the compressor (21) and the front section (22) are located.

상기 압축기(21)는 냉매를 압축하도록 상기 베이스(18)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21)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압축방법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압축기(21)는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 작동가스가 흡입 또는 토출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왕복동식 압축기일 수 있다.The compressor (21) is fixed to the base (18) to compress the refrigerant. The compressor 21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shapes and various compression methods. For example, the compressor 21 may be a reciprocating compressor that compresses the refrigerant while linearly reciprocating the piston in the cylinder so that a compression space in which the working gas is sucked or discharged is formed between the piston and the cylinder.

상기 전장부(22)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전장실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장부(22)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각종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front portion 22 may be positioned above the electric field chamber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moisture. The controller 22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various configurations of the air conditioner.

또한, 상기 실외기(10)의 내부공간에는 다양한 장치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various devices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outdoor unit 10.

이와 같은 실외기(10)의 형상은 예시적이며 상기 실외기(1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실외기(10)에 구비되는 장치을 참고하여, 상기 실외기(10)에 유동되는 냉매의 흐름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shape of the outdoor unit 10 is an example, and the outdoor unit 10 may have various shapes. Hereinafter, the flow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outdoor unit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pparatus provided in the outdoor unit (1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냉매 흐름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냉매의 흐름을 도시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구성 중 일부만을 도시하고, 각 구성을 연결하는 냉매배관을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실내기(1)와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실외기(10)의 외부로 연장되는 냉매배관은 생략하고 도시하였다.4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refrigerant flow in an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only a part of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to show the flow of the refrigerant, and a refrigerant pipe connecting the components is schematically shown. The refrigerant pipe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outdoor unit 10 for connection with the indoor unit 1 is omitt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10)에는, 상기 압축기(21) 및 상기 실외 열교환기(2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실외기(10)에는, 메인 팽창장치(27), 어큐뮬레이터(26), 유동전환부(25), 오일분리기(미도시), 기액분리기(100) 및 다수의 냉매배관이 구비된다.As described above, the outdoor unit (10) is provided with the compressor (21)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The outdoor unit 10 is provided with a main expansion unit 27, an accumulator 26, a flow switching unit 25, an oil separator (not shown), a gas-liquid separator 100 and a plurality of refrigerant pipes.

상기 메인 팽창장치(27)는 응축기에서 응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액상 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팽창시키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팽창장치(27)에는, 전자팽창장치(EEV, Electric Expansion Valve)가 포함될 수 있다.The main expansion device (27) is configured to expand the liquid refrigerant in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state condensed in the condenser to the liquid refrigerant in the low-pressure state. For example, the main expansion device 27 may include an electric expansion valve (EEV).

즉, 상기 메인 팽창장치(27)는 개도량(opening rate)을 변경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개도량은 pulse단위로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팽창장치(27)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개도량이 변경될 수 있다.That is, the main expansion device 27 is provided to change the opening rate. At this time, the opening amount can be controlled in a pulse unit, and the opening amount of the main expansion device 27 can be chang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이때, 상기 개도량이 증가한다는 것은 밸브가 열린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개도량이 감소한다는 것은 밸브가 닫힌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개도량이 증가되면 유동되는 냉매의 양이 증가되고, 상기 개도량이 감소되면 유동되는 냉매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crease in the opening amount means that the valve is opened, and the decrease in the opening amount means that the valve is closed. Also, when the opening amount is increased, the amount of refrigerant flowing increases, and when the opening amount is decreased, the amount of refrigerant flowing can be reduced.

상기 어큐뮬레이터(26)는 냉매가 상기 압축기(21)로 유입되기 전, 즉 상기 압축기(21)의 입구 측에 배치되어 기상 냉매를 분리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26)에서 분리된 기상 냉매는 상기 압축기(21)로 유입된다.The accumulator 26 is disposed before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compressor 21, that is, at the inlet side of the compressor 21 to separate the gaseous refrigerant. The gaseous refrigerant separated from the accumulator (26) flows into the compressor (21).

상기 유동전환부(25)는 상기 압축기(21)의 출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기(21)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방향을 전환시킨다. 즉, 상기 유동전환부(25)는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에 따라 상기 실외 열교환기(24) 또는 상기 실내기 측으로 냉매를 유동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유동전환부(25)는 사방밸브(four-way valve)로 구비될 수 있다.The flow switching unit 25 is disposed at the outlet side of the compressor 21 and switches the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21. That is, the flow switching unit 25 causes the refrigerant to flow toward 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or the indoor unit in accordance with the cooling operation and the heating operation. For example, the flow switching unit 25 may be provided as a four-way valve.

상기 오일분리기는 상기 압축기(21)의 출구 측에 배치되며 상기 압축기(21)에서 토출된 냉매 중 오일을 분리한다.The oil separator is disposed at the outlet side of the compressor (21) and separates oil from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21).

상기 기액분리기(100)는 증발기의 흡입 측에 배치되어, 유동되는 냉매를 기체 냉매와 액체 냉매로 분리시켜 유동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액분리기(100)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4)의 일 측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실외 열교환기(24)가 증발기로 기능하는 경우, 상기 실외 열교환기(24)의 흡입 측에 배치된다.The gas-liquid separator 100 is disposed on the suction side of the evaporator, and can separate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gas refrigerant and the liquid refrigerant. As shown in FIG. 4, the gas-liquid separator 10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In particular, when 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functions as an evaporator, it is disposed on the suction sid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기액분리기(100)는 분리된 기체 냉매와 액체 냉매를 모두 상기 증발기로 유동시킨다. 특히, 상기 실외 열교환기(24)가 증발기로 기능하는 경우, 상기 실외 열교환기(24)로 유동되는 냉매를 기체 냉매와 액체 냉매로 분리하여 상기 실외 열교환기(24)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자세하게 후술한다.In addition, the gas-liquid separ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both the separated gas refrigerant and the liquid refrigerant to flow to the evaporator. In particular, when 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functions as an evaporator,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can be separated into gas refrigerant and liquid refrigerant and supplied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상기 다수의 냉매배관에는 각 구성을 연결하여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배관이 구비된다. 설명의 편의상 각 냉매배관을 제 1 배관 내지 제 6 배관으로 구분한다.The plurality of refrigerant pipes are provided with refrigerant pipes through which respective components are connected to flow the refrigera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each refrigerant pipe is divided into a first pipe to a sixth pipe.

제 1 배관(40)은 상기 메인 팽창장치(27)와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로 연장되는 냉매배관이며, 제 2 배관(42)은 상기 메인 팽창장치(27)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24)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이다.The first pipe 40 is connected to the main expansion device 27 and extends to the indoor unit. The second pipe 42 connects the main expansion device 27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Refrigerant piping.

이때, 상기 기액분리기(100)는 상기 제 2 배관(42)에 설치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기액분리기(100)는 또한, 상기 기액분리기(100)는 상기 제 2 배관(42)의 적어도 일부로 이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as-liquid separator 100 is installed in the second pipe 42.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gas-liquid separator 100 can also be understood as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pipe 42.

또한, 제 3 배관(44)은 상기 실외 열교환기(24)와 상기 유동전환부(25)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이며, 제 4 배관(46)은 상기 어큐뮬레이터(26)를 통과하여 상기 유동전환부(25)와 상기 압축기(21)의 흡입 측을 연결하는 냉매배관이다. 이때, 상기 제 4 배관(46)에는 상기 어큐뮬레이터(26)가 설치된다.The third pipe 44 is a refrigerant pipe connecting 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and the flow switching unit 25 and the fourth pipe 46 passes through the accumulator 26, (25) and the suction side of the compressor (21). At this time, the accumulator (26) is installed in the fourth pipe (46).

또한, 제 5 배관(48)은 상기 압축기(21)의 토출 측과 상기 유동전환부(25)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이며, 제 6 배관(50)은 상기 유동전환부(25)에서 상기 실내기로 연장되는 냉매배관이다.The fifth pipe 48 is a refrigerant pipe connecting the discharge side of the compressor 21 and the flow switching unit 25. The sixth pipe 50 is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It is an extended refrigerant piping.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에서 냉매의 흐름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low of the refrigerant in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condition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냉방운전을 하는 경우, 냉매의 흐름을 도 4에서 점선화살표로 도시하였다. 냉방운전은 상기 실내기(1)가 설치된 실내공간에 냉기를 공급하는 경우에 해당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24)는 응축기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실내기(1)에 배치되는 실내 열교환기(4)가 증발기로 기능하며 상기 실내공간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cooling operation, the flow of the refrigerant is indicated by a dotted arrow in Fig. Cooling operation corresponds to a case where cool air is supplied to the indoor space in which the indoor unit 1 is installed,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functions as a condenser. In addition, the indoor heat exchanger (4) disposed in the indoor unit (1) functions as an evaporator and can supply cold air to the indoor space.

그에 따라, 상기 제 6 배관(50)을 통해 상기 실내 열교환기(4)에서 증발된 저온저압의 냉매가 상기 실외기(10)로 유입된다. 상기 유동전환부(25)는 상기 제 6 배관(50)과 상기 제 4 배관(46)을 연결하고, 그에 따라 냉매는 상기 어큐뮬레이터(26)를 통과하여 상기 압축기(21)로 유입된다.Accordingly, the low-temperature and low-pressure refrigerant evaporat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4) flows into the outdoor unit (10) through the sixth pipe (50). The flow switching unit 25 connects the sixth piping 50 and the fourth piping 46 so that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compressor 21 through the accumulator 26.

상기 압축기(21)에서 고온고압으로 토출된 냉매는 상기 제 5 배관(48) 및 상기 제 3 배관(44)을 따라 유동된다. 그리고, 냉매는 응축기로 기능하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4)에서 응축되고, 상기 제 2 배관(42) 및 상기 제 1 배관(40)을 따라 상기 실내기로 유입되어 상기와 같이 순환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21)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flows along the fifth pipe (48) and the third pipe (44). The refrigerant is condensed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functioning as a condenser and flows into the indoor unit along the second pipe 42 and the first pipe 40 so as to be circulated as described above.

이때, 상기 메인 팽창장치(27)는 완전히 개방되어 유동되는 냉매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액분리기(100)는 냉매가 유동되는 일 냉매배관으로 기능한다.At this time, the main expansion device 27 may not have any influence on the refrigerant being completely opened and flowing. In addition, the gas-liquid separator 100 functions as one refrigerant pip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한편,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을 하는 경우, 냉매의 흐름을 도 4에 실선화살표로 도시하였다. 난방운전은 상기 실내기(1)가 설치된 실내공간에 온기를 공급하는 경우에 해당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24)는 증발기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실내기(1)에 배치되는 실내 열교환기(4)가 응축기로 기능하며 상기 소정의 공간에 온기를 공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heating operation, the flow of the refrigerant is indicated by a solid line arrow in FIG. The heating operation corresponds to a case of supplying warm air to the indoor space in which the indoor unit 1 is installed,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functions as an evaporator. In addition, the indoor heat exchanger (4) disposed in the indoor unit (1) functions as a condenser and can supply warmth to the predetermined space.

그에 따라, 상기 제 1 배관(40)을 통해 상기 실내기(1)에서 응축된 냉매가 상기 실외기(1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팽창장치(27)에서 팽창되어 상기 제 2 배관(42)을 따라 상기 기액분리기(100)를 통과하여 상기 실외 열교환기(24)로 유동된다.Accordingly,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indoor unit (1) flows into the outdoor unit (10) through the first pipe (40). The refrigerant is expanded in the main expansion device 27 and flows along the second pipe 42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through the gas-liquid separator 100.

상기 실외 열교환기(24)는 상기 기액분리기(100)를 통과하여 유동된 냉매와 실외 공기를 열교환시켜 냉매를 증발시킨다. 증발된 냉매는 상기 제 3 배관(44)을 따라 상기 유동전환부(25)로 유동되고, 상기 유동전환부(25)는 상기 제 3 배관(44)과 상기 제 4 배관(46)을 연결한다. 즉, 상기 냉방모드와는 서로 다른 배관을 연결한다.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exchanges heat between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gas-liquid separator (100) and outdoor air to evaporate the refrigerant. The evaporated refrigerant flows along the third pipe 44 to the flow switching unit 25 and the flow switching unit 25 connects the third pipe 44 and the fourth pipe 46 . That is, different pipes are connected to the cooling mode.

그리고, 냉매는 상기 제 4 배관(46)을 따라 상기 어큐뮬레이터(26)를 통과하여 상기 압축기(21)로 유입된다. 상기 압축기(21)에서 고온고압으로 토출된 냉매는 상기 제 5 배관(48)으로 유동되어, 상기 유동전환부(25)에서 상기 제 6 배관(50)을 따라 유동된다. 그리고, 냉매는 상기 제 6 배관(50)을 따라 상기 실내기로 유입되어 상기와 같이 순환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accumulator (26) along the fourth pipe (46) and flows into the compressor (21).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21 at a high temperature and a high pressure flows into the fifth pipe 48 and flows along the sixth pipe 50 in the flow switching unit 25. The refrigerant may flow into the indoor unit along the sixth pipe 50 and may be circulated as described abov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기액분리기 및 증발기에서 냉매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시, 즉, 상기 실외 열교환기(24)가 증발기로 기능하는 경우 냉매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기액분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illustrating a refrigerant flow in a gas-liquid separator and an evaporator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the flow of the refrigerant when the air conditioner is in the heating operation, that is, when 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functions as the evaporator. 6 is a view showing a gas-liquid separator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팽창밸브(27)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기액분리기(100)로 유동되고, 상기 기액분리기(100)에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24)로 유동된다. 또한, 상기 실외 열교환기(24)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압축기(21)로 유동될 수 있다.5, the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xpansion valve 27 flows into the gas-liquid separator 100, and flows from the gas-liquid separator 100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as shown in FIG. Further,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may flow into the compressor (21).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기액분리기(100)는 냉매유입부(102) 및 냉매토출부(104, 10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냉매유입부(102)는 상기 팽창밸브(27)와 연결되고, 상기 냉매토출부(104, 106)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4)와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6, the gas-liquid separator 100 includes a refrigerant inlet 102 and a refrigerant outlet 104, 106. At this time, the refrigerant inlet portion 102 is connected to the expansion valve 27,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s 104 and 106 are connected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상기 냉매유입부(102) 및 상기 냉매토출부(104, 106)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되는 공간이 마련된 관(Pipe)의 형태로 구비된다. 그에 따라, 상기 냉매유입부(102) 및 상기 냉매토출부(104, 106)는 각각 직경을 가진다.The refrigerant inlet portion 102 and the refrigerant outlet portions 104 and 106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 pipe provided with a spac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Accordingly, the coolant inlet portion 102 and the coolant outlet portions 104 and 106 have diameters, respectively.

설명의 편의상, 상기 냉매유입부(102)의 직경을 a라 하고 상기 냉매토출부(104, 106)의 직경을 b라 한다. 이때, a는 b보다 작은 값에 해당된다. 즉, 상기 냉매토출부(104, 106)는 상기 냉매유입부(102)보다 큰 직경으로 마련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iameter of the refrigerant inlet portion 102 is a and the diameter of the refrigerant outlet portion 104, 106 is b. In this case, a corresponds to a value smaller than b. That is, the refrigerant discharging portions 104 and 106 are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refrigerant inflow portion 102.

예를 들어, a는 6.35mm이상으로 구비되고, b는 23mm이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냉매의 종류, 유량 등과 같은 실제 설계를 고려한 예시적인 수치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a보다 b가 큰 어떠한 수치도 무관하다.For example, a may be provided at 6.35 mm or more, and b may be provided at 23 mm or less. This is not an exemplary value considering the actual design such as the kind of refrigerant, the flow rate, etc., and any value greater than b is not relevant.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매토출부(104, 106)는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냉매토출부(104, 106)는 중력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refrigerant discharging units 104 and 106 are provided to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In other words, the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s 104 and 106 may be arranged to extend in the gravity direction.

이때, 상기 냉매유입부(102)는 상기 냉매토출부(104, 106)의 일 측에 내부가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냉매유입부(102)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c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설치된다. 이때, c는 30도 이상, 45도 이하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frigerant inflow portion 102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s 104 and 106 so that the inside is communicated. Further, the coolant inflow portion 102 is installed to be inclined by a c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At this time, c may be 30 degrees or more and 45 degrees or less.

또한, 도 4 및 도 5에서는 냉매의 유동방향을 도시하기 위해, 상기 기액분리기(100)와 상기 메인 팽창장치(27)를 이격하여 도시하였으나, 상기 냉매유입부(102)는 상기 메인 팽창장치(27)와 상기 냉매토출부(104, 106)를 연결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냉매유입부(102)의 일 단은 상기 냉매토출부(104, 106)에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메인 팽창장치(27)에 연결된다.4 and 5, the gas-liquid separator 100 and the main expansion device 27 are shown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order to illustrate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However, the refrigerant introduction part 102 may be formed in the main expansion device 27)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s (104, 106). In other words, one end of the refrigerant inlet portion 102 is coupled to the refrigerant outlet portion 104, 106,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main expansion device 27.

상기 냉매유입부(102)의 길이는 d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d는 상기 메인 팽창장치(27)에서 상기 냉매토출부(104, 106)까지 냉매가 유동되는 길이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d는 160mm이상일 수 있다.The length of the refrigerant inlet 102 may be d. Also, d may be understood as the length of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main expansion device 27 to the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s 104 and 106. At this time, d may be 160 mm or more.

상기 냉매토출부는 상기 냉매유입부(102)와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되는 제 1 냉매토출부(104) 및 상부에 위치되는 제 2 냉매토출부(106)로 구성된다.The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 includes a first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 104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and a second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 106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with respect to a portion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inlet portion 102.

상기 기액분리기(100)에서 냉매의 유동을 설명하면, 상기 팽창밸브(27)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냉매유입부(102)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냉매토출부(104, 106)로 유동된다. 이때, 중력에 의해 기체 냉매는 상부로 유동되며, 액체 냉매는 하부로 유동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expansion valve 27 flows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102 and flows into the refrigerant outlet 104 and the refrigerant discharging unit 106 through the gas-liquid separator 100. At this time, the gas refrigerant flows upwardly by gravity, and the liquid refrigerant can flow downward.

따라서, 상기 제 1 냉매토출부(104)로 액체 냉매가 유동되고, 상기 제 2 냉매토출부(106)로 기체 냉매가 유동된다. 이때, 실제로 상기 제 1 냉매토출부(104)로 기체 냉매가 유동되거나 상기 제 2 냉매토출부(106)로 액체 냉매가 유동될 수 있으나 이는 아주 작은 값으로 무시한다.Accordingly, the liquid refrigerant flows into the first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 104, and the gas refrigerant flows into the second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 106. At this time, the gas refrigerant may actually flow into the first refrigerant discharge part 104 or the liquid refrigerant may flow into the second refrigerant discharge part 106, but this is negligible.

이와 같이, 상기 기액분리기(100)는 냉매를 기체 냉매와 액체 냉매로 분리시킬 수 있다.Thus, the gas-liquid separator 100 can separate the refrigerant into the gas refrigerant and the liquid refrigerant.

이때, 상기 b가 상기 a보다 큰 값은 냉매가 보다 잘 분리되기 위함이다. 즉, 보다 좁은 공간에서 넓은 공간으로 유동되어 부피가 확장되는 과정에서 기체 냉매와 액체 냉매로 보다 잘 분리될 수 있다.At this time, if b is larger than a, the refrigerant is more easily separated. That is, the refrigerant can be separated into a gas refrigerant and a liquid refrigerant in a process of flowing from a narrow space to a wide space and expanding its volume.

또한, 상기 d는 냉매가 기체와 액체로 잘 분리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d가 너무 작은 길이로 구비되면, 상기 냉매토출부(104, 106)에 도달되었을 때 냉매의 유속이 너무 빨라 잘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d means a length enough to allow the refrigerant to be well separated into gas and liquid. For example, if the length d is too small,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at the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s 104 and 106 may be too fast to be separated.

또한, 상기 c는 냉매의 유속이 비교적 크지 않도록 유동될 수 있는 각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c가 너무 큰 각도로 구비되면, 냉매가 비교적 빠른 속도로 유동되며 액체 냉매가 상기 냉매 유입부(102)의 내측에 밀착되어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매토출부(104, 106)에 도달되었을 때 상측으로 유동될 가능성이 있다.Also, c means an angle at which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can be made relatively large. For example, if the c is provided at an excessively large angle, the refrigerant flows at a relatively high speed and the liquid refrigerant can be moved close to the inside of the refrigerant inlet portion 102.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efrigerant may flow upward when it reaches the refrigerant discharging sections 104 and 106.

따라서, 앞서 기재한 상기 a 내지 d의 수치는 예시적인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refore, the numerical values of a to d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and not restrictive.

이와 같이 분리된 기체 냉매 및 액체 냉매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4)로 각각 유동된다. 이때, 액체 냉매가 유동되는 배관을 액배관(110)이라 하고, 기체 냉매가 유동되는 배관을 기배관(120)이라 한다.The separated gas refrigerant and liquid refrigerant flow in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Here, the pipe through which the liquid refrigerant flows is referred to as a liquid pipe 110, and the pipe through which the gas refrigerant flows is referred to as a pipe pipe 120.

또한, 상기 기배관(120)에는, 기액밸브(1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시 상기 기배관(120)으로 냉매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시 상기 기액밸브(130)는 상기 기배관(120)으로 냉매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The gas pipe 120 may be provided with a gas-liquid valve 130. This is to prevent the refrigerant from flowing into the pipe 120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n addition,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the gas-liquid valve 130 can block the flow of the refrigerant to the gas pipe 120.

자세하게는, 소정의 조건에서 상기 기액밸브(130)가 개방되어 상기 기배관(120)으로 냉매가 유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동되는 냉매의 유량이 적은 저유량조건이거나 공기조화기가 저부하 조건에서 운전되는 경우, 상기 기액밸브(130)가 개방되어 상기 기배관(120)으로 냉매가 유동될 수 있다.Specifically, under a predetermined condition, the gas-liquid valve 130 may be opened to allow refrigerant to flow into the pipe 120. For example, when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is low and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under a low load condition, the gas-liquid valve 130 may be opened and the refrigerant may flow into the pipe 120.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시 상기 기액밸브(130)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메인 팽창장치(27)를 통과하는 냉매는 모두 상기 액배관(110)으로 유동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상기 액배관(110)을 유동하는 기체냉매의 양이 액체 냉매의 양보다 매우 적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액배관(110)에는 액체냉매가 유동된다고 할 수 있다.When the gas-liquid valve 130 is closed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ll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main expansion device 27 flows to the liquid pipe 110. In this case, since the amount of the gas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liquid pipe 110 is much smaller than the amount of the liquid refrigerant, the liquid refrigerant flows into the liquid pipe 110 in this case.

이때, 상기 액배관(110) 및 상기 기배관(120)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액배관(110) 및 상기 기배관(120)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되며, 이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4)의 패스 수와 대응된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the liquid pipe 110 and the pipe 120 may be provided. The liquid pipe 110 and the pipe 120 ar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nd correspond to the number of passes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상기 실외 열교환기(24)는 냉매가 유동되는 열교환배관(242, 244, 246)과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면적을 넓여주는 열교환핀(2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교환배관은 각각 냉매가 유동되는 복수의 열교환배관으로 구성된다.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may include heat exchange pipes 242, 244, and 246 through which refrigerant flows, and a heat exchange fin 240 that expands a heat exchange area between the refrigerant and the air. At this time, the heat exchange pip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pipes through which refrigerant flows.

자세하게는, 상기 열교환배관에는 제 1 열교환배관(242), 제 2 열교환배관(244) 및 제 3 열교환배관(246)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열교환배관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eat exchange pipe includes a first heat exchange pipe 242, a second heat exchange pipe 244, and a third heat exchange pipe 246. The number of such heat exchange pipes is an exemplary one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numbers.

또한, 이와 대응하여, 상기 액배관(110)에는, 상기 제 1 열교환배관(242)과 연결되는 제 1 액배관(112), 상기 제 2 열교환배관(244)와 연결되는 제 2 액배관(114) 및 상기 제 3 열교환배관(246)과 연결되는 제 3 액배관(116)이 포함된다.The first liquid pipe 112 connected to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242 and the second liquid pipe 114 connected to the second heat exchange pipe 244 are connected to the liquid pipe 110, And a third liquid pipe 116 connected to the third heat exchange pipe 246.

또한, 상기 기배관(120)에는, 상기 제 1 열교환배관(242)과 연결되는 제 1 기배관(122), 상기 제 2 열교환배관(244)와 연결되는 제 2 기배관(124) 및 상기 제 3 열교환배관(246)과 연결되는 제 3 기배관(126)이 포함된다.The first pipe 122 connected to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242 and the second pipe 124 connected to the second heat exchange pipe 244 are connected to the pipe 120, And a third pipe 126 connected to the third heat exchange pipe 246.

이때, 상기 액배관(112, 114, 116)과 상기 기배관(122, 124, 126)은 합지되어 상기 열교환배관(242, 244, 246)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액배관(112, 114, 116)과 상기 기배관(122, 124, 126)이 합지되는 합지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배관(242, 244, 246)의 외측일 수도 있고, 상기 열교환배관(242, 244, 246)의 내측일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liquid pipes 112, 114, and 116 and the pipe pipes 122, 124, and 126 may be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 pipes 242, 244, and 246, respectively.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 the joint portions where the liquid pipes 112, 114, and 116 and the pipe pipes 122, 124, and 126 are joined are disposed outside the heat exchange pipes 242, 244, and 246 And may be the inside of the heat exchange pipes 242, 244, and 246.

이와 같이, 상기 열교환배관(242, 244, 246)의 일 단은 상기 액배관(112, 114, 116) 및 상기 기배관(122, 124, 126)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배관(242, 244, 246)의 타 단은 상기 제 3 배관(44)과 연결된다.One end of each of the heat exchange pipes 242, 244 and 246 is connected to the liquid pipes 112, 114 and 116 and the pipe pipes 122, 124 and 126, respectively. The other end of the heat exchange pipes 242, 244 and 246 is connected to the third pipe 44.

그에 따라, 도 5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을 하는 경우, 즉, 상기 실외 열교환기(24)가 증발기로 기능하는 경우 냉매의 유동을 설명한다. 이때, 상기 기액밸브(130)는 개방된 상태로 상기 메인 팽창장치(27)에서 상기 기액분리기(100)로 유동된 냉매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액체냉매와 기체냉매로 분리된다.Accordingly, referring to Fig. 5,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flow of the refrigerant when the air conditioner performs the heating operation, that is, when 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functions as the evaporator. At this time, the refrigerant flowed from the main expansion device 27 to the gas-liquid separator 100 in the open state of the gas-liquid valve 130 is separated into the liquid refrigerant and the gas refrigerant as described above.

액체냉매는 상기 기액분리기(100)의 제 1 냉매토출부(104)를 따라 상기 액배관(110)으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액체 냉매는 상기 제 1 액배관(112), 상기 제 2 액배관(114) 및 상기 제 3 액배관(116)로 분할되어 상기 제 1 열교환배관(242), 상기 제 2 열교환배관(244) 및 상기 제 3 열교환배관(246)으로 각각 유입된다.Liquid refrigerant flows to the liquid pipe 110 along the first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 104 of the gas-liquid separator 100. [ The liquid refrigerant is divided into the first liquid pipe 112, the second liquid pipe 114 and the third liquid pipe 116 to be discharged to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242, the second heat exchange pipe 244 and the third heat exchange pipe 246, respectively.

한편, 기체냉매는 상기 기액분리기(100)의 제 2 냉매토출부(106)를 따라 상기 기배관(120)으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기체 냉매는 상기 제 1 기배관(122), 상기 제 2 기배관(124) 및 상기 제 3 기배관(126)로 분할되어 상기 제 1 열교환배관(242), 상기 제 2 열교환배관(244) 및 상기 제 3 열교환배관(246)으로 각각 유입된다.On the other hand, the gas refrigerant flows to the gas pipe 120 along the second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 106 of the gas-liquid separator 100. The gas refrigerant is divided into the first gas pipe 122, the second gas pipe 124 and the third gas pipe 126 to be supplied to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242, the second heat exchange pipe 244 and the third heat exchange pipe 246, respectively.

상기 제 1 열교환배관(242), 상기 제 2 열교환배관(244) 및 상기 제 3 열교환배관(246)에서 열교환된 냉매는 토출되고, 합지되어 상기 제 3 배관(44)을 따라 상기 압축기(21)로 유동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heat-exchanged in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242, the second heat exchange pipe 244 and the third heat exchange pipe 246 is discharged and connected to the compressor 21 along the third pipe 44, Lt; / RTI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에는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150)가 구비된다. 도 7에 도시된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7,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50 for controll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7 is illustrative and the configuration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50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압축기(21)의 구동, 상기 메인 팽창장치(27)의 개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압축기(21)의 구동을 통해 부하를 조절하거나, 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팽창장치(27)를 통해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거나, 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driving of the compressor 21, the opening of the main expansion device 27, and the like. In more detail, the load can be adjusted by driving the compressor 21, or information on the load can be stored. In addition,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can be adjusted through the main expansion device 27, or information on the flow rate can be stored.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기액밸브(130)를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50)는 난방운전시 저유량, 저부하와 같은 조건에서 상기 기액밸브(130)를 개방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gas-liquid valve 130.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50 may open the gas-liquid valve 130 under the conditions such as a low flow rate and a low load during a heating operation.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 1 액배관(112), 상기 제 2 액배관(114) 및 상기 제 3 액배관(116)으로 동일한 양의 냉매가 유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배관(122), 상기 제 2 기배관(124) 및 상기 제 3 기배관(126)으로 동일한 양의 냉매가 유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same amount of the refrigerant to flow through the first liquid pipe 112, the second liquid pipe 114, and the third liquid pipe 116. Also,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ame amount of refrigerant to flow through the first, second, and third pipes 122, 124, and 126.

상기와 같은 냉매유동은 하드웨어(장치) 측면에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한 것으로 포함한다.The refrigerant flow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on the hardware (device) side and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50.

상기와 같은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 열교환배관(242), 상기 제 2 열교환배관(244) 및 상기 제 3 열교환배관(246)에 동일한 양의 액체 냉매 및 기체 냉매가 각각 유동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 1 열교환배관(242), 상기 제 2 열교환배관(244) 및 상기 제 3 열교환배관(246)에서 효율적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24)의 증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The same amount of liquid refrigerant and gas refrigerant can flow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242, the second heat exchange pipe 244 and the third heat exchange pipe 246, respectively. Accordingly, efficient heat exchange is performed in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242, the second heat exchange pipe 244 and the third heat exchange pipe 246, and the evaporation efficiency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is improved .

특히, 냉매의 유량이 적거나, 저부하 조건에서 각 열교환배관(242, 244, 246)에 액체 냉매와 기체 냉매가 동일하게 분배됨에 따라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다. 즉, 상기 기액분리기(100)에 의해 액체 냉매와 기체 냉매를 균등하게 분배하여 중력 등에 의한 냉매 쏠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is improved as the liquid refrigerant and the gas refrigerant are equally distributed to the respective heat exchange pipes 242, 244, and 246 under a low refrigerant flow rate or a low load condition. That is, the liquid refrigerant and the gas refrigerant can be equally divided by the gas-liquid separator 100 to prevent the refrigerant from leaking due to gravity or the like.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냉매가 상기 제 1 내지 3 액배관(112, 114, 116) 또는 상기 제 1 내지 3 기배관(122, 124, 12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유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매의 유량이 매우 적은 경우, 상기 제 3 액배관(116) 및 상기 제 3 기배관(126)으로 냉매가 유동되지 않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50 may control the refrigerant to flow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liquid pipes 112, 114 and 116 or the first to third pipe units 122, 124 and 126. For example, when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is very small, the third liquid pipe 116 and the third pipe 126 are controlled so that the refrigerant does not flow.

그에 따라, 상기 제 3 열교환배관(246)으로는 냉매가 유동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냉매의 유량이 매우 적은 경우, 상기 실외 열교환기(24)의 일부에서만 열교환이 발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frigerant may not flow into the third heat exchange pipe 246. That is, when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is very small, heat exchange can be controlled to occur only in a part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24).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냉매가 소정의 비율로 상기 제 1 내지 3 액배관(112, 114, 116) 또는 상기 제 1 내지 3 기배관(122, 124, 126)로 유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refrigerant to flow to the first to third liquid pipes 112, 114, and 116 or the first to third pipes 122, 124, and 126 at a predetermined ratio .

예를 들어, 설치되는 실외기의 형태에 따라, 각 열교환배관(242, 244, 246)의 열교환효율이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배관(242)의 열교환효율이 다른 열교환배관(244, 246)의 열교환효율보다 높다고 가정하면, 상기 제 1 열교환배관(242)으로 더 많은 양의 냉매를 유동시킬 수 있다.For exampl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each of the heat exchange pipes 242, 244, and 246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outdoor unit installed. A larger amount of refrigerant can be flowed into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242, assuming that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242 is higher than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other heat exchange pipes 244 and 246.

예를 들어, 상기 제 1 액배관(112) 및 상기 제 1 기배관(122)으로는 전체의 50%, 상기 제 2 액배관(114) 및 상기 제 2 기배관(124)으로는 전체의 25%, 상기 제 3 액배관(116) 및 상기 제 3 기배관(126)으로는 전체의 25%에 해당되는 냉매가 유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50% of the total amount of the first liquid pipe 112 and the first main pipe 122, 25% of the total amount of the second liquid pipe 114 and the second main pipe 124, %, And the third liquid pipe 116 and the third liquid pipe 126, so that the refrigerant corresponding to 25% of the entire refrigerant flows.

또한, 필요에 따라 각 배관에서 액체 냉매와 기체 냉매의 비율이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는 각 배관에 설치되는 밸브 등에 의해 구현될 수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밸브는 유량제어밸브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portions of the liquid refrigerant and the gas refrigerant in each piping can be controlled differently if necessary. Such control can be realized by a valve or the like provided in each pipe. For example, the valve may be a flow control valve.

10 : 실외기 21 : 압축기
24 : 실외 열교환기 27 : 팽창밸브
100 : 기액분리기 102 : 냉매유입부
104 : 제 1 냉매토출부 106 : 제 2 냉매토출부
110 : 액배관 120 : 기배관
10: outdoor unit 21: compressor
24: outdoor heat exchanger 27: expansion valve
100: gas-liquid separator 102: refrigerant inlet
104: first refrigerant discharging part 106: second refrigerant discharging part
110: liquid pipe 120: gas pipe

Claims (15)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가 포함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팽창밸브에서 유입된 냉매를 액체 냉매 및 기체 냉매로 분리하는 기액분리기;
상기 기액분리기에서 분리된 액체 냉매가 유동되도록, 상기 기액분리기와 상기 증발기를 연결하는 액배관; 및
상기 기액분리기에서 분리된 기체 냉매가 유동되도록, 상기 기액분리기와 상기 증발기를 연결하는 기배관;이 포함되고,
상기 증발기에는 냉매가 각각 유동되는 복수의 열교환배관이 구비되고,
상기 액배관 및 상기 기배관은 상기 복수의 열교환배관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d an evaporator,
A gas-liquid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refrigerant introduced from the expansion valve into liquid refrigerant and gas refrigerant;
A liquid pipe connecting the gas-liquid separator and the evaporator so that the liquid refrigerant separated from the gas-liquid separator flows; And
And a gas pipe for connecting the gas-liquid separator and the evaporator so that the gas refrigerant separated from the gas-liquid separator flows,
The evaporato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pipes through which refrigerant flows,
Wherein the liquid pipe and the pipe pipe are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eat exchange pipes.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액배관에는 동일한 양의 액체 냉매가 각각 유동되고,
복수의 기배관에는 동일한 양의 기체 냉매가 각각 유동되어,
상기 복수의 열교환배관에는 동일한 양의 액체 냉매 및 기체 냉매가 각각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ame amount of liquid refrigerant flows in each of the plurality of liquid pipes,
The same amount of gas refrigerant flows in each of a plurality of pipe lines,
Wherein the same amount of liquid refrigerant and gas refrigerant flow through the plurality of heat exchange pipes,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기에는 냉매가 유동되는 관(Pipe) 형태로 각각 마련되는 냉매유입부 및 냉매토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냉매유입부의 일 단은 상기 냉매토출부의 일 측에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팽창밸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as-liquid separator is provided with a refrigerant inflow portion and a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 each of which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ipe through which refrigerant flows,
Wherein one end of the refrigerant inflow portion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expansion valv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토출부의 직경은 상기 냉매유입부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diameter of the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efrigerant inflow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토출부는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냉매유입부는 바닥면과 소정의 경사(c)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refrigerant inlet portion is disposed to form a predetermined inclination (c) with the floor surfa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경사(c)는 30도 이상, 45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redetermined inclination (c) is 30 degrees or more and 45 degrees or les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토출부는, 상기 냉매유입부와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되는 제 1 냉매토출부 및 상부에 위치되는 제 2 냉매토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냉매토출부에는 상기 액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냉매토출부에는 상기 기배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 is composed of a first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 located at a lower portion and a second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 located at an upper portion with respect to a portion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inlet portion,
The liquid pipe is connected to the first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
And the pipe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배관에는, 제 1 열교환배관, 제 2 열교환배관 및 제 3 열교환배관이 포함되고,
상기 액배관에는, 상기 제 1 열교환배관과 연결되는 제 1 액배관, 상기 제 2 열교환배관과 연결되는 제 2 액배관 및 상기 제 3 열교환배관과 연결되는 제 3 액배관이 포함되고,
상기 기배관에는, 상기 제 1 열교환배관과 연결되는 제 1 기배관, 상기 제 2 열교환배관과 연결되는 제 2 기배관 및 상기 제 3 열교환배관과 연결되는 제 3 기배관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heat exchange pipe includes a first heat exchange pipe, a second heat exchange pipe and a third heat exchange pipe,
Wherein the liquid pipe includes a first liquid pipe connected to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a second liquid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heat exchange pipe, and a third liquid pipe connected to the third heat exchange pipe,
Wherein the pipe includes a first pipe connected to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a second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heat exchange pipe, and a third pipe connected to the third heat exchange pipe. Air condition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교환배관에는 상기 제 1 액배관 및 상기 제 1 기배관에서 유입된 냉매가 열교환되고,
상기 제 2 열교환배관에는 상기 제 2 액배관 및 상기 제 2 기배관에서 유입된 냉매가 열교환되며,
상기 제 3 열교환배관에는 상기 제 3 액배관 및 상기 제 3 기배관에서 유입된 냉매가 열교환되어,
상기 제 1 내지 3 열교환배관에서 토출된 냉매는, 합지되어 상기 압축기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liquid pipe and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first pipe are heat-exchanged in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And the second liquid pipe and the second pipe are heat exchanged with the second heat exchange pipe,
And the third liquid pipe and the third pipe are heat exchanged with the third heat exchange pipe,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first to third heat exchange pipes is connected to the compresso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배관, 상기 제 2 액배관 및 상기 제 3 액배관에는 동일한 양의 냉매가 유동되며,
상기 제 1 기배관, 상기 제 2 기배관 및 상기 제 3 기배관에는 동일한 양의 냉매가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ame amount of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first liquid pipe, the second liquid pipe, and the third liquid pipe,
Wherein the same amount of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first pipe, the second pipe, and the third pip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배관, 상기 제 2 액배관 및 상기 제 3 액배관에는 소정의 비율로 냉매가 유동되며,
상기 제 1 기배관, 상기 제 2 기배관 및 상기 제 3 기배관에는 소정의 비율로 냉매가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efrigerant flows in the first liquid pipe, the second liquid pipe and the third liquid pipe at a predetermined ratio,
Wherein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first pipe, the second pipe, and the third pipe at a predetermined ratio.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배관, 상기 제 2 액배관 및 상기 제 3 액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냉매가 유동되며,
상기 제 1 기배관, 상기 제 2 기배관 및 상기 제 3 기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냉매가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efrigerant flows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liquid pipe, the second liquid pipe and the third liquid pipe,
Wherein the refrigerant flows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pipe, the second pipe, and the third pip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냉매토출부에는 상기 기배관으로 유동되는 냉매를 차폐하는 기액배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refrigerant discharg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gas-liquid pipe for shielding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gas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실외 열교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vaporator is an outdoor heat exchang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는 R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rigerant is R32.
KR1020170156543A 2017-11-22 2017-11-22 An air conditioner KR20190059026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543A KR20190059026A (en) 2017-11-22 2017-11-22 An air conditioner
PCT/KR2018/014468 WO2019103495A1 (en) 2017-11-22 2018-11-22 Air conditioner
DE112018005940.5T DE112018005940T5 (en) 2017-11-22 2018-11-22 air conditio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543A KR20190059026A (en) 2017-11-22 2017-11-22 An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026A true KR20190059026A (en) 2019-05-30

Family

ID=66631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543A KR20190059026A (en) 2017-11-22 2017-11-22 An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90059026A (en)
DE (1) DE112018005940T5 (en)
WO (1) WO2019103495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8890A (en) * 2020-12-21 2021-04-09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Heat pump system and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6469B2 (en) * 1995-02-10 2001-10-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Evaporator for air conditioner
JP2001033111A (en) * 1999-07-19 2001-02-09 Fujitsu General Ltd Air conditioner
JP2002195671A (en) * 2000-12-27 2002-07-10 Fujitsu General Ltd Multi-roof type air conditioner
JP2002243183A (en) * 2001-02-20 2002-08-28 Fujitsu General Ltd Air conditioner
KR20120122690A (en) * 2011-04-29 201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A gas-liquid separator and an air conditioner with the same
KR101615445B1 (en) 2014-08-14 2016-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An air conditio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8890A (en) * 2020-12-21 2021-04-09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Heat pump system and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8005940T5 (en) 2020-07-30
WO2019103495A1 (en)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0290A (en) Air conditioner
WO2006003860A1 (en) Multi-type air conditioner
KR20190059026A (en) An air conditioner
US7069740B2 (en) Accumulato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080016760A (en) Multi-airconditioner
KR100533006B1 (en) Multi-air conditioner capable of heating and cooling simultaneously for home
KR100621243B1 (en) Multi-airconditioner
KR20180007528A (en) Air Conditioner
KR100539744B1 (en) Multi-air conditioner capable of heating and cooling simultaneously for building
KR102623720B1 (en) Refrigerator incorporated with air conditioner
KR102614569B1 (en) Refrigerator incorporated with air conditioner and a system for discharging air including the same
KR100626460B1 (en) Multi-airconditioner
KR101089499B1 (en) Multi-airconditioner
KR102439236B1 (en) An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US20240085071A1 (en) Air conditioner
KR100564441B1 (en) Multi-airconditioner
KR20100081850A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203580B1 (en) Heat pump type air conditioner
KR100564449B1 (en) Multi-airconditioner
KR20080058782A (en) Multi-airconditioner
KR20230022630A (en) Refrigerator incorporated with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KR20240036384A (en) An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KR20230022638A (en) Refrigerator incorporated with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KR100618210B1 (en) Multi-airconditioner
KR20210115517A (en) Air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