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970A - 자기공명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기공명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970A
KR20190058970A KR1020170156439A KR20170156439A KR20190058970A KR 20190058970 A KR20190058970 A KR 20190058970A KR 1020170156439 A KR1020170156439 A KR 1020170156439A KR 20170156439 A KR20170156439 A KR 20170156439A KR 20190058970 A KR20190058970 A KR 20190058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ed
display unit
magnetic resonance
image
resonance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지
김지혜
이현민
임진호
최승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6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8970A/ko
Priority to PCT/KR2018/014461 priority patent/WO2019103492A1/ko
Publication of KR20190058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9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Abstract

자기공명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위한 대상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대상체의 위치 조정을 가이드하는 영상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공명영상장치는, 자기공명영상 촬영에 관한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대상체에 대한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는, 대상체의 위치에 대한 기준선을 표시하고, 대상체의 위치 조정을 가이드 하는 눈금을 표시한다.

Description

자기공명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자기공명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위한 대상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대상체의 위치 조정을 가이드하는 영상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영상 장치는 환자의 정보를 획득하여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의료용 영상 장치는 X선 장치, 초음파 진단 장치,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 자기공명영상장치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자기공명영상장치는 영상 촬영 조건이 상대적으로 자유롭고, 연부 조직에서의 우수한 대조도와 다양한 진단 정보 영상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의료용 영상을 이용한 진단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은 인체에 해가 없는 자장과 비전리 방사선인 RF를 이용하여 체내의 수소 원자핵에 핵자기공명 현상을 일으켜 원자핵의 밀도 및 물리화학적 특성을 영상화한 것이다.
이러한 자기공명영상장치는 RF(Radio Frequency) 펄스를 송신하는 RF 송신 코일 및 여기된 원자핵이 방출하는 전자파 즉, 자기공명(Magnetic Resonance; MR) 신호를 수신하는 RF 수신 코일을 포함한다.
자기공명영상 촬영이 정확하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대상체가 촬영 영역 내에 정확히 위치해야 하며, 대상체가 촬영 영역 내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환자의 위치를 조정해야 한다. 최근에는 대상체가 촬영 영역 내에 위치했는지 판단하고, 대상체의 위치 조정을 가이드 하는 영상을 제공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위한 대상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대상체의 위치 조정을 가이드 하는 영상을 제공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공명영상장치는,
자기공명영상 촬영에 관한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대상체에 대한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대상체의 위치에 대한 기준선을 표시하고, 상기 대상체의 위치 조정을 가이드 하는 눈금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눈금을 상기 기준선에 표시하고, 상기 눈금은 상기 대상체의 위치가 상기 촬영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정도를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대상체에 대한 촬영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영역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대상체에 대한 촬영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시상 촬영(sagittal view) 영역, 관상 촬영(coronal view) 영역 및 축방향 촬영(axial view) 영역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대상체에 대한 환자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환자 정보는, 상기 환자의 성명, 생년월일, 성별, 식별번호, 상기 대상체의 위치 및 상기 대상체의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대상체에 RF 신호를 조사하는 RF 코일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RF 코일 정보는, 상기 RF 코일의 종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대상체의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된 기준선에 대해 상기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이 상기 표시된 촬영 영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 내에 표시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이 상기 표시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동일한 거리 내에 표시되는지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이 상기 표시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하로 동일한 거리 내에 표시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이 상기 기준선에 표시된 눈금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표시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에 병변이 표시되는지 결정하고, 상기 표시된 촬영 영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 내에 상기 병변이 표시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대상체의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체가 상기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체에 대한 촬영 방향에 따라 동시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영역별로 상기 대상체가 상기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공명영상장치 제어방법은,
대상체에 대한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에 상기 대상체의 위치에 대한 기준선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기준선에 상기 대상체의 위치 조정을 가이드 하는 눈금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을 표시하는 것은, 상기 대상체에 대한 촬영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영역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을 표시하는 것은, 상기 대상체에 대한 촬영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시상 촬영 영역, 관상 촬영 영역 및 축방향 촬영 영역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체에 대한 환자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환자 정보는, 상기 환자의 성명, 생년월일, 성별, 식별번호, 상기 대상체의 위치 및 상기 대상체의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체에 RF 신호를 조사하는 RF 코일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RF 코일 정보는, 상기 RF 코일의 종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된 대상체의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된 기준선에 대해 상기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이 상기 표시된 촬영 영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 내에 표시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이 상기 표시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동일한 거리 내에 표시되는지 결정하고, 상기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이 상기 표시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하로 동일한 거리 내에 표시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이 상기 기준선에 표시된 눈금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표시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에 병변이 표시되는지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된 촬영 영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 내에 상기 병변이 표시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된 대상체의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체가 상기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위한 대상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대상체의 위치 조정을 가이드 하는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부정확한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방지할 수 있고, 환자의 위치를 효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정보나 자기공명영상 촬영에 사용되는 코일의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자기공명영상 촬영에 필요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공명영상장치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공명영상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공명영상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대상체의 영상이 표시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결정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여부가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공명영상장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영상"은 이산적인 영상 요소들(예를 들어, 2차원 영상에 있어서의 픽셀들 및 3차원 영상에 있어서의 복셀들)로 구성된 다차원(multi-dimensional)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은 X-ray, CT, MRI, 초음파 및 다른 의료 영상 시스템에 의해 획득된 대상체의 의료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본 명세서에서 "대상체(object)"는 사람 또는 동물, 또는 사람 또는 동물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는 피부, 간, 심장, 자궁, 뇌, 유방, 복부 등의 장기, 또는 혈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상체"는 팬텀(phantom)을 포함할 수도 있다. 팬텀은 생물의 밀도와 실효 원자 번호에 아주 근사한 부피를 갖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신체와 유사한 성질을 갖는 구형(sphere)의 팬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자"는 의료 전문가로서 의사, 간호사, 임상 병리사, 의료 영상 전문가 등이 될 수 있으며, 의료 장치를 수리하는 기술자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 에서는 자기공명영상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기공명영상장치 외에 다른 의료 영상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e; MRI) 시스템은 자기 공명(magnetic resonance, MR)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자기 공명 신호를 영상으로 재구성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자기 공명 신호는 대상체로부터 방사되는 RF신호를 의미한다.
MRI시스템은 주자석이 정자장(static magnetic field)을 형성하여, 정자장 속에 위치한 대상체의 특정 원자핵의 자기 쌍극자 모멘트 방향을 정자장 방향으로 정렬시킨다. 경사자장 코일은 정자장에 경사 신호를 인가하여, 경사자장을 형성시켜, 대상체의 부위 별로 공명 주파수를 다르게 유도할 수 있다.
RF 코일은 영상 획득을 원하는 부위의 공명 주파수에 맞추어 RF신호를 조사할 수 있다. 또한, RF 코일은 경사자장이 형성됨에 따라, 대상체의 여러 부위로부터 방사되는 서로 다른 공명 주파수의 MR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를 통해 MRI시스템은 영상 복원 기법을 이용하여 MR신호로부터 영상을 획득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공명영상장치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공명영상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MRI시스템(1)은 오퍼레이팅부(10), 제어부(30) 및 스캐너(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0)는 복수 개의 구성 요소로 분리되어, MRI시스템(1)의 각 구성 요소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스캐너(50)는 내부 공간이 비어 있어, 대상체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예컨대, 보어(bore)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캐너(50)의 내부 공간에는 정자장 및 경사자장이 형성되며, RF신호가 조사된다.
스캐너(50)는 정자장 형성부(51), 경사자장 형성부(52), RF 코일부(53), 이송 테이블(55) 및 디스플레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정자장 형성부(51)는 대상체에 포함된 원자핵들의 자기 쌍극자 모멘트의 방향을 정자장 방향으로 정렬하기 위한 정자장(static magnetic field)을 형성한다. 정자장 형성부(51)는 영구 자석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냉각 코일을 이용한 초전도 자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경사자장 형성부(52)는 제어부(30)와 연결된다. 제어부(30)로부터 전송 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정자장에 경사를 인가하여, 경사자장을 형성한다. 경사자장 형성부(52)는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경사자장을 형성하는 X, Y, Z 코일을 포함하며, 대상체의 부위 별로 공명 주파수를 서로 다르게 유도할 수 있도록 촬영 위치에 맞게 경사 신호를 발생 시킨다.
RF 코일부(53)는 제어부(30)와 연결되어, 제어부(30)로부터 전송 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대상체에 RF신호를 조사하고, 대상체로부터 방출되는 MR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RF 코일부(53)는 세차 운동을 하는 원자핵을 향하여 세차운동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RF신호를 대상체에게 전송한 후 RF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고, 대상체로부터 방출되는 MR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RF 코일부(53)는 원자핵의 종류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를 생성하는 RF 송신 코일과, 원자핵으로부터 방사된 전자파를 수신하는 RF 수신 코일로서 각각 구현되거나 또는 송/수신 기능을 함께 갖는 하나의 RF 송수신 코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RF 송신 코일은 대상체 전체에 RF 펄스를 송신하는 전신코일(whole-volume coil)로서 구현될 수 있고, RF 수신 코일 또한 대상체 전체에서 여기된 MR신호를 받아들이는 전신 코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신 코일은 바디 코일(body coil)이라고도 한다.
또한, RF 수신 코일은 스캐너(50)와 독립적인 외부 장치 상에 마련되어, 대상체에 장착될 수 있다.
스캐너(50)의 외측 및/또는 내측에는 디스플레이부(40)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는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되어, 사용자 또는 대상체에게 의료 영상 촬영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캐너(50)에는 대상체의 상태에 관한 모니터링정보를 획득하여 전달하는 대상체 모니터링정보 획득부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 모니터링정보 획득부(미도시)는 대상체의 움직임, 위치 등을 촬영하는 카메라(미도시), 대상체의 호흡을 측정하기 위한 호흡 측정기(미도시), 대상체의 심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ECG 측정기(미도시), 또는 대상체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체온 측정기(미도시)로부터 대상체에 관한 모니터링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부(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0)는 대상체에 관한 모니터링정보를 이용하여 스캐너(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30)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제어부(30)는 스캐너(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스캐너(50) 내부에서 형성되는 신호들의 시퀀스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오퍼레이팅부(10)로부터 수신 받은 펄스 시퀀스(pulse sequence) 또는 설계한 펄스 시퀀스에 따라 경사자장 형성부(52) 및 RF 코일부(53)를 제어할 수 있다.
펄스 시퀀스란, 경사자장 형성부(52), 및 RF 코일부(53)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경사자장 형성부(52)에 인가하는 펄스(pulse) 신호의 강도, 인가 지속시간, 인가 타이밍 등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펄스 시퀀스에 따라 경사 파형, 즉 전류 펄스를 발생시키는 파형 발생기(미도시), 및 발생된 전류 펄스를 증폭시켜 경사자장 형성부(52)로 전달하는 경사 증폭기(미도시)를 제어하여, 경사자장 형성부(52)의 경사자장 형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RF 코일부(5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는 공명 주파수의 RF 펄스를 RF 코일부(53)에 공급하여 RF신호를 조사할 수 있고, RF 코일부(53)가 수신한 MR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는 제어신호를 통해 송수신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칭부(예컨대, T/R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동작 모드에 따라 RF신호의 조사 및 MR신호의 수신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칭부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부(30)는 대상체가 위치하는 이송 테이블(55)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촬영이 수행되기 전에, 제어부(30)는 대상체의 촬영 부위에 맞추어, 이송 테이블(55)을 미리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는 제어신호를 통해 디스플레이부(40)의 온/오프 또는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MRI시스템(1)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프로그램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오퍼레이팅부(10)는 MRI시스템(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오퍼레이팅부(10)는 영상 처리부(11), 입력부(12) 및 출력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1)는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어부(30)로부터 수신 받은 MR신호를 저장하고,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영상 복원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저장한 MR신호로부터 대상체에 대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처리부(11)는 메모리의 k-공간(예컨대, 푸리에(Fourier) 공간 또는 주파수 공간이라고도 지칭됨)에 디지털 데이터를 채워 k-공간 데이터가 완성되면, 프로세서를 통해 다양한 영상 복원기법을 적용하여(예컨대, k-공간 데이터를 역 푸리에 변환하여) k-공간 데이터를 영상으로 복원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11)가 MR신호에 대해 적용하는 각종 신호 처리는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채널 RF 코일에 의해 수신되는 복수의 MR신호를 병렬적으로 신호 처리하여 영상으로 복원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11)는 복원한 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또는 후술할 바와 같이 제어부(30)가 통신부(60)를 통해 외부의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12)는 사용자로부터 MRI시스템(1)의 전반적인 동작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는 사용자로부터 대상체 정보, 파라미터 정보, 스캔 조건, 펄스 시퀀스에 관한 정보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부(12)는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음성 인식부, 제스처 인식부,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
출력부(13)는 영상 처리부(11)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3)는 사용자가 MRI시스템(1)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3)는 스피커, 프린터,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는 전술한 스캐너(50)의 외측 및/또는 내측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기술되는 실시예는 출력부(13)가 디스플레이로서 구현되는 것으로서 기술하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디스플레이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지털 광원 처리(Digital Light Processing: DLP)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enal),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전기 발광(Electro Luminescence: EL) 패널,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 전기변색 디스플레이(Electrochromic Display: E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도 1에서는 오퍼레이팅부(10), 제어부(30)를 서로 분리된 객체로 도시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기기에 함께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오퍼레이팅부(10), 및 제어부(30) 각각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들이 다른 객체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처리부(11)는, 제어부(30)에서 수신한 MR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또는, 제어부(30)가 직접 변환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MRI시스템(1)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장치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도 1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2는 특정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한 자기공명영상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MRI시스템(1)은 도 1에서와 같이 스캐너(50) 내부로 환자가 삽입되어 촬영이 진행되는 경우도 있지만, 도 2에서와 같이 환자(1000)의 신체 일부가 자기공명영상장치(2)에 삽입되어 촬영이 진행되는 경우도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자기공명영상장치(2)는 특정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환자(1000)는 무릎, 팔과 같은 신체의 특정 부위를 자기공명영상장치(2)의 보어 형상의 내부 공간에 삽입할 수 있고, 자기공명영상장치(2)의 사용자(2000)는 자기공명영상장치(2)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환자(1000)의 신체 부위가 촬영을 진행하기에 적합한 위치에 놓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2000)는 환자(1000)의 신체 부위가 촬영을 진행하기에 적합한 위치에 놓이지 않은 경우에는 신체 부위의 위치를 조정하여 정확한 지점에 위치한 후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공명영상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대상체의 영상이 표시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5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결정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공명영상장치(2)는 자기공명영상 촬영에 관한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12), 자기공명영상장치(2)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30), 대상체에 대한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 및 자기공명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0), 자기공명영상장치(2)의 제어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50)를 포함한다.
입력부(12)는 사용자(2000)로부터 자기공명영상장치(2)의 전반적인 동작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2000)는 입력부(12)를 통해 환자(1000)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2000)는 입력부(12)를 통해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수행하기 위한 대상체 명칭 및 대상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대상체에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된 환자 정보(4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40)에는 환자의 성명, 생년월일, 성별,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41)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0)에는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수행하기 위한 대상체의 명칭 및 위치에 관한 정보(42)가 표시될 수 있고, 자기공명영상장치(2)에 사용되는 RF 코일의 종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43)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200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환자 정보(41) 및 코일 정보(43)를 확인함으로써, 자기공명영상 촬영 중에 환자 정보(41) 및 코일 정보(43)를 추가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는 자기공명영상장치(2)의 동작과 관련된 버튼(12a, 12b)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2000)는 버튼(12a, 12b)을 통해 자기공명영상장치(2)의 전반적인 동작에 관한 명령 및 디스플레이부(40)의 동작 및 화면 표시에 관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는 제어부(30)의 통제에 따라 대상체에 대한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을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0)는 표시된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에서 대상체의 위치에 대한 기준선을 표시하고, 대상체의 위치 조정을 가이드 하는 눈금을 기준선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에서처럼 환자(1000)가 다리의 무릎 부분을 자기공명영상장치(2)에 삽입하여 보어 내에 거치하면, 디스플레이부(40)는 거치된 무릎에 대한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DSV; Diameter Spherical Volume)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40)는 대상체에 대한 촬영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영역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40)는 대상체인 무릎에 대한 촬영 영역을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영상을 중심으로 무릎의 위치에 대한 기준선 및 눈금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는 대상체인 무릎에 대한 시상 촬영 영역(44; sagittal view)을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시상 촬영 영역(44)에 대해 기준선(44L) 및 기준선(44L) 상의 눈금(44M)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대상체에 대한 시상 촬영 영역(44)은 해부학적 중심을 포함하는 시상면(sagittal plane)을 기준으로 하는 촬영 방향에 대한 영역이다.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는 기준선(44L)의 위치 및 형태는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고, 기준선(44L)상에 표시되는 눈금(44M)의 개수 및 눈금 사이의 간격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0)는 대상체의 시상 촬영 영역(44)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시상 촬영 영역(44)상에 A(Anterior), P(Posterior), S(Superior), I(Inferior)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는 대상체인 무릎에 대한 관상 촬영 영역(45; coronal view)을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관상 촬영 영역(45)에 대해 기준선(45L) 및 기준선(45L) 상의 눈금(45M)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대상체에 대한 관상 촬영 영역(45)은 해부학적 중심을 포함하는 관상면(coronal plane)을 기준으로 하는 촬영 방향에 대한 영역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0)는 대상체의 관상 촬영 영역(45)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관상 촬영 영역(45)상에 R(Right), L(Left), S(Superior), I(Inferior)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는 대상체인 무릎에 대한 축방향 촬영 영역(46; axial view)을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축방향 촬영 영역(46)에 대해 기준선(46L) 및 기준선(46L) 상의 눈금(46M)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대상체에 대한 축방향 촬영 영역(46)은 해부학적 중심에 대한 축방향 면(Axial plane)을 기준으로 하는 촬영 방향에 대한 영역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0)는 대상체의 축방향 촬영 영역(46)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축방향 촬영 영역(46)상에 R(Right), L(Left), A(Anterior), P(Posterior)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는 대상체에 대한 촬영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영역을 동시에 표시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40)는 도 4에서와 같이, 무릎에 대한 촬영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시상 촬영(sagittal view) 영역, 관상 촬영(coronal view) 영역 및 축방향 촬영(axial view) 영역을 동시에 표시할 수도 있고, 이 중 어느 하나만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200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대상체에 대한 시상 촬영(sagittal view) 영역, 관상 촬영(coronal view) 영역 및 축방향 촬영(axial view) 영역을 모두 확인함으로써 대상체가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위해 적합한 지점에 위치하였는지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기공명영상 촬영이 올바르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위해 미리 지정된 지점에 대상체가 위치해야 한다. 대상체가 미리 지정된 지점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는 촬영 영역 내에 대상체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공명영상장치(2)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촬영 영역에 대한 영상에 기초하여,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대상체의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에 대한 영상 인식에 기초하여 촬영 영역에 표시된 기준선에 대해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촬영 영역의 중심(44c)을 기준으로 대상체의 영상이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 내에 표시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무릎의 시상 촬영 영역(44)의 중심(44c)을 기준으로, 무릎의 영상이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즉, 대상체가 무릎인 경우에, 무릎에 대한 자기공명영상 촬영이 올바르게 수행되기 위해서 대상체가 위치해야 되는 영역에 대한 데이터는 저장부(50)에 저장되어 있고, 제어부(30)는 저장부(50)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상 촬영 영역(44)에 표시된 무릎의 영상이 중심(44c)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 내에 표시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무릎의 관상 촬영 영역(45)의 중심(45c) 및 축방향 촬영 영역(46)의 중심(46c)을 기준으로, 무릎의 영상이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촬영 영역의 기준선 및 기준선에 표시된 눈금을 기준으로, 대상체의 영상이 좌우 또는 상하로 동일한 거리 내에 표시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무릎의 시상 촬영 영역(44)의 기준선(44L) 및 눈금(44M)을 기준으로, 무릎의 영상이 좌우로 동일한 거리 내에 표시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무릎에 대한 자기공명영상 촬영이 올바르게 수행되기 위해서 대상체가 위치해야 되는 영역에 대한 좌우 거리에 대한 데이터는 저장부(50)에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30)는 저장부(50)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상 촬영 영역(44)에 표시된 무릎의 영상이 기준선(44L) 및 눈금(44M)을 기준으로 좌우로 동일한 거리 또는 동일한 비율로 표시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무릎의 관상 촬영 영역(45)의 기준선(45L) 및 눈금(45M)을 기준으로, 무릎의 영상이 상하로 동일한 거리 내에 표시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는 저장부(50)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상 촬영 영역(45)에 표시된 무릎의 영상이 기준선(45L) 및 눈금(45M)을 기준으로 좌우로 동일한 거리 또는 동일한 비율로 표시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무릎의 축방향 촬영 영역(46)의 기준선(46L) 및 눈금(46M)을 기준으로, 무릎의 영상이 좌우 또는 상하로 동일한 거리 또는 동일한 비율로 표시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에 병변(f)이 표시되는지 결정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촬영 영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 내에 병변(f)이 표시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저장부(50)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대상체 영상에 대한 영상 분석을 통해 대상체에 병변(f)의 존재 여부와 병변(f)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무릎의 시상 촬영 영역(44)의 중심(44c)을 기준으로, 무릎에 포함된 병변(f)의 영상이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 내에 표시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즉, 대상체에 병변(f)이 존재하는 경우 병변(f)에 대한 영상이 무릎에 대한 촬영 영역(44) 내에 위치해야 병변(f)에 대한 자기공명영상 촬영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30)는 무릎에 포함된 병변(f)이 무릎에 대한 시상 촬영 영역(44)의 중심(44c) 쪽에 위치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무릎의 관상 촬영 영역(45)의 중심(45c) 및 축방향 촬영 영역(46)의 중심(46c)을 기준으로, 무릎에 포함된 병변(f)의 영상이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 내에 표시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30)는 자기공명영상장치(2)에 포함된 구성일 수도 있고, 자기공명영상장치(2)와는 별개의 컴퓨터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성일 수도 있다.
제어부(30)는 자기공명영상장치(2)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프로그램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5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8 내지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여부가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0)는 대상체인 무릎에 대한 시상 촬영 영역(44), 관상 촬영 영역(45), 축방향 촬영 영역(46)을 표시할 수 있고,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대상체의 촬영 영역에 대한 영상 분석에 기초하여 촬영 영역에 표시된 기준선에 대해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0)는 대상체에 대한 촬영 방향에 기초한 촬영 영역을 나타내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상 촬영 영역(44)에 대한 표시(47a), 관상 촬영 영역(45)에 대한 표시(47b) 및 축방향 촬영 영역(46)에 대한 표시(47c)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대상체의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에 기초하여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는 제어부(3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체에 대한 촬영 방향에 따라 동시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영역별로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대상체의 촬영 영역에 기초할 때, 시상 촬영 영역(44), 관상 촬영 영역(45) 및 축방향 촬영 영역(46)에 표시된 대상체의 위치가 모두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하지 않았음을 판단할 수 있다.
즉, 대상체인 무릎이 자기공영영상 촬영을 위한 적합한 지점에 위치하지 않았으므로,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이 촬영 영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 내에 표시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이 기준선을 기준으로 좌우 또는 상하로 동일한 거리 내에 표시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대상체의 왈영 영역에 기초할 때, 시상 촬영 영역(44)에 표시된 대상체의 위치는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하고, 관상 촬영 영역(45) 및 축방향 촬영 영역(46)에 표시된 대상체의 위치는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하지 않았음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대상체의 영상이 시상 촬영 영역(44)의 중심(44c)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 내에 표시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이 시상 촬영 영역(44)의 기준선(44L)을 기준으로 좌우 또는 상하로 동일한 거리 내에 표시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대상체의 시상 촬영 영역(44)에 기초하여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제어부(30)가 송출한 신호에 기초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0)는 시상 촬영 영역(44)에 대한 표시(47a)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2000)는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된 시상 촬영 영역(44)에 대한 표시(47a)를 확인하고, 대상체에 대한 관상 촬영 영역(45) 및 축방향 촬영 영역(46)에서의 위치를 적합한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대상체의 왈영 영역에 기초할 때, 관상 촬영 영역(45)에 표시된 대상체의 위치는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하고, 시상 촬영 영역(44) 및 축방향 촬영 영역(46)에 표시된 대상체의 위치는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하지 않았음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대상체의 영상이 관상 촬영 영역(45)의 중심(45c)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 내에 표시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이 관상 촬영 영역(45)의 기준선(45L)을 기준으로 좌우 또는 상하로 동일한 거리 내에 표시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대상체의 관상 촬영 영역(45)에 기초하여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제어부(30)가 송출한 신호에 기초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0)는 관상 촬영 영역(45)에 대한 표시(47b)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2000)는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된 관상 촬영 영역(45)에 대한 표시(47b)를 확인하고, 대상체에 대한 시상 촬영 영역(44) 및 축방향 촬영 영역(46)에서의 위치를 적합한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대상체의 왈영 영역에 기초할 때, 시상 촬영 영역(44), 관상 촬영 영역(45) 및 축방향 촬영 영역(46)에 표시된 대상체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함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대상체의 영상이 시상 촬영 영역(44)의 중심(44c), 관상 촬영 영역(45)의 중심(45c) 및 축방향 촬영 영역(46)의 중심(46c)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 내에 표시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이 시상 촬영 영역(44)의 기준선(44L), 관상 촬영 영역(45)의 기준선(45L) 및 축방향 촬영 영역(46)의 기준선(46L)을 기준으로 좌우 또는 상하로 동일한 거리 내에 표시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대상체의 시상 촬영 영역(44), 관상 촬영 영역(45) 및 축방향 촬영 영역(46)에 기초하여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제어부(30)가 송출한 신호에 기초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0)는 시상 촬영 영역(44)에 대한 표시(47a), 관상 촬영 영역(45)에 대한 표시(47b) 및 축방향 촬영 영역(46)에 대한 표시(47c)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2000)는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된 시상 촬영 영역(44)에 대한 표시(47a), 관상 촬영 영역(45)에 대한 표시(47b) 및 축방향 촬영 영역(46)에 대한 표시(47c)를 확인할 수 있고, 대상체가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위해 적합한 지점에 위치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공명영상장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위해 대상체가 자기공명영상장치(2)의 보어 내부에 삽입되면 디스플레이부(40)는 제어부(30)의 통제에 따라 대상체에 대한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을 표시한다(300). 또한, 디스플레이부(40)는 표시된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에 대상체의 위치에 대한 기준선을 표시하고(310), 기준선에 대상체의 위치 조정을 가이드 하는 눈금을 표시할 수 있다(320).
제어부(30)는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에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에 병변이 포함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고(330). 병변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촬영 영역의 기준선에 대해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350).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이 표시된 촬영 영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 내에 표시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이 표시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좌우 또는 상하로 동일한 거리 내에 표시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0)의 판단 결과,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촬영 영역에서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으면, 제어부(30)는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고(360), 디스플레이부(40)는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370).
사용자(2000)는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위한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하면, 입력부(12)를 통해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진행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380).
제어부(30)의 판단 결과,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에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에 병변이 포함된 경우에는, 제어부(30)는 영상에 표시된 병변이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 내에 표시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340).
제어부(30)의 판단 결과,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촬영 영역의 중심에 병변이 위치했으면 제어부(30)는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고(360), 디스플레이부(40)는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370).
사용자(2000)는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위한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하면, 입력부(12)를 통해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진행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380).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 MRI 시스템
2 : 자기공명영상장치
12 : 입력부
30 : 제어부
40 : 디스플레이부
50 : 저장부

Claims (24)

  1. 자기공명영상 촬영에 관한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대상체에 대한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대상체의 위치에 대한 기준선을 표시하고, 상기 대상체의 위치 조정을 가이드 하는 눈금을 표시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눈금을 상기 기준선에 표시하고,
    상기 눈금은 상기 대상체의 위치가 상기 촬영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정도를 가이드 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대상체에 대한 촬영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영역을 동시에 표시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대상체에 대한 촬영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시상 촬영(sagittal view) 영역, 관상 촬영(coronal view) 영역 및 축방향 촬영(axial view) 영역을 동시에 표시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대상체에 대한 환자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환자 정보는, 상기 환자의 성명, 생년월일, 성별, 식별번호, 상기 대상체의 위치 및 상기 대상체의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대상체에 RF 신호를 조사하는 RF 코일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RF 코일 정보는, 상기 RF 코일의 종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대상체의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된 기준선에 대해 상기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이 상기 표시된 촬영 영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 내에 표시되는지 결정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이 상기 표시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동일한 거리 내에 표시되는지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이 상기 표시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하로 동일한 거리 내에 표시되는지 결정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이 상기 기준선에 표시된 눈금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표시되는지 결정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에 병변이 표시되는지 결정하고,
    상기 표시된 촬영 영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 내에 상기 병변이 표시되는지 결정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대상체의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체가 상기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체에 대한 촬영 방향에 따라 동시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영역별로 상기 대상체가 상기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
  14. 대상체에 대한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에 상기 대상체의 위치에 대한 기준선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기준선에 상기 대상체의 위치 조정을 가이드 하는 눈금을 표시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 제어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을 표시하는 것은,
    상기 대상체에 대한 촬영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영역을 동시에 표시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 제어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을 표시하는 것은,
    상기 대상체에 대한 촬영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시상 촬영 영역, 관상 촬영 영역 및 축방향 촬영 영역을 동시에 표시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 제어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환자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환자 정보는, 상기 환자의 성명, 생년월일, 성별, 식별번호, 상기 대상체의 위치 및 상기 대상체의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 제어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에 RF 신호를 조사하는 RF 코일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RF 코일 정보는, 상기 RF 코일의 종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 제어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대상체의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된 기준선에 대해 상기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 제어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이 상기 표시된 촬영 영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 내에 표시되는지 결정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 제어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이 상기 표시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동일한 거리 내에 표시되는지 결정하고;
    상기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이 상기 표시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하로 동일한 거리 내에 표시되는지 결정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이 상기 기준선에 표시된 눈금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표시되는지 결정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 제어방법.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되는 대상체의 영상에 병변이 표시되는지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된 촬영 영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 내에 상기 병변이 표시되는지 결정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 제어방법.
  24.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대상체의 자기공명영상 촬영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체가 상기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 제어방법.
KR1020170156439A 2017-11-22 2017-11-22 자기공명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5897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439A KR20190058970A (ko) 2017-11-22 2017-11-22 자기공명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8/014461 WO2019103492A1 (ko) 2017-11-22 2018-11-22 자기공명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439A KR20190058970A (ko) 2017-11-22 2017-11-22 자기공명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970A true KR20190058970A (ko) 2019-05-30

Family

ID=66631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439A KR20190058970A (ko) 2017-11-22 2017-11-22 자기공명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58970A (ko)
WO (1) WO201910349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6044B2 (en) * 2004-08-25 2011-10-25 Washington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overlapped medical image slices
JP2014513622A (ja) * 2011-03-29 2014-06-05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ニューロモデュレイション コーポレイション 治療刺激提供システムのための通信インタフェース
JP6173673B2 (ja) * 2011-12-14 2017-08-02 東芝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KR101665032B1 (ko) * 2014-11-13 2016-10-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기 공명 영상 장치 및 자기 공명 영상의 처리 방법
KR101786954B1 (ko) * 2016-09-08 2017-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공명 영상 처리 장치 및 자기 공명 영상의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3492A1 (ko)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962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rgical Imaging
US10872427B2 (en) Image guided patient setup for radiotherapy
EP32178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or predicting the position of a target
US20150047125A1 (en) Apparatus for capturing medical image and method of adjusting table thereof
US1046632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agnetic resonance image
US20210343396A1 (en) Automatic setting of imaging parameters
US11501460B2 (en) Magnetic resonance imaging system and method
CN105534539B (zh) 通过移动成像床扩大跟踪体积
US20190170838A1 (en) Coil apparatus,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coil apparatus
US9767569B2 (en)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nd magnetic resonance image processing method
KR101659577B1 (ko) 자기 공명 영상 장치 및 자기 공명 영상의 생성 방법
KR101909070B1 (ko) Rf 수신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국부 코일 장치
KR101755600B1 (ko) 자기공명 영상장치에 사용되는 rf 수신 코일 유닛
KR101821353B1 (ko) 자기 공명 영상 장치
KR20190058970A (ko) 자기공명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46530B1 (ko) 자기공명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408832B1 (en) Image guided patient setup for radiotherapy
US20210330271A1 (en)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medical imaging processing method
EP3747387B1 (en) Wrong level surgery prevention
US20220321801A1 (en) Display control device
KR101733801B1 (ko) 자기 공명 영상 장치 및 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