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7645A - 가열로 장치 - Google Patents

가열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7645A
KR20190057645A KR1020170154829A KR20170154829A KR20190057645A KR 20190057645 A KR20190057645 A KR 20190057645A KR 1020170154829 A KR1020170154829 A KR 1020170154829A KR 20170154829 A KR20170154829 A KR 20170154829A KR 20190057645 A KR20190057645 A KR 20190057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eating furnace
unit
opened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4619B1 (ko
Inventor
우재춘
한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54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619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81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labs; for bil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56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in a horizontal straight path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62Heat-treating apparatus with a cooling or quenching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0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adapted for treating the charge in vacuum or special atmosphere
    • F27B9/045Furnaces with controlled atmosp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9/40Arrangements of controlling or monito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편을 가열하는 가열로; 상기 가열로에 배치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연결되는 구동부;및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의 개방 시, 상기 주편의 두께 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 높이를 조절하는 가열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열로 장치{APPARATUS FOR HEATING FURNACE}
실시예는 가열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연, 후판, 선재등 모든 압연 라인(Line)에서는 우선 가열로에서 열원을 연소하여 가열로 내를 1000도 이상으로 가열하고, 이 가열로 내부에 주편를 넣고 가열한다. 가열로는 대부분 예열대, 1가열대, 2가열대, 3가열대, 균열대로 구분된다. 2가열대, 3가열대가 가장 높게 온도가 설정이 되고, 균열대에서 약간 낮은 온도로 전체적으로 표면과 중심부 온도를 일치시키는 작업을 한다.
가열로의 입측 도어(Door)가 열리면 장입기(Charger)가 주편을 가열로 안으로 넣어준다. 반면, 가열로의 출측 도어가 열리면 추출기(Extractor)가 가열로 안에 들어가서 주편을 빼낸다. 이때, 입측 도어나 출측 도어가 열릴 때, 가열로 내부의 온도가 하락하고, 가열로 내부의 분위기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43954호(2012.05.07, 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는 "가열로의 공기 유입 차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가열로의 입구와 출구에 설치된 가스분사노즐이 가열로의 배기관과 배가스배관으로 연결되어 배가스커튼을 형성함으로써, 가열로의 열손실과 외부공기 침투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본 문헌의 구성은 입구와 출구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배가스커튼만으로 가열로의 열손실과 분위기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입측 도어나 출측 도어가 열릴 때, 가열로 내부의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가열로 내부의 분위기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가열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면, 주편을 가열하는 가열로와, 상기 가열로에 배치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연결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의 개방 시, 상기 주편의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 높이를 조절하는 가열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방 높이는 상기 주편의 두께의 1.5배 내지 2배 이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분할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의 개방 시, 상기 주편의 폭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상기 분할도어를 선택적으로 상기 개방 높이만큼 개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의 폭 방향의 중심을 지나는 기준선을 기준하여, 복수 개의 상기 분할도어는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선에서 어느 한 측에 배치되어 상기 개방 높이만큼 개방된 상기 분할도어와, 상기 기준선에서 다른 한 측에 배치되어 상기 개방 높이만큼 개방된 상기 분할도어는, 상기 기준선을 기준하여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상기 분할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분할도어의 폭은, 다른 분할도어의 폭과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 시, 상기 주편의 상면에 가연가스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사부는 상기 도어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노즐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노즐은 복수 개의 단위노즐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단위노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도어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는 도어본체와, 상기 도어본체의 후방에 배치되며 냉각수를 포함하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과 상기 분사부와 연결하여 상기 분사부의 분사 높이를 조절하는 분사높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사높이조절부와 연결되어, 상기 개방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분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로 내부의 열손실을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로 내부의 분위기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외부 공기가 가열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가열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가열로 내부로 장입되는 주편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어의 전면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어의 측면도,
도 7은 도어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주편의 폭에 대응하여, 분할도어의 선택적 개폐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분사부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분사부의 단위노즐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설명하는 주편이라 함은 강판을 만들기 위한 반제품으로서, 그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슬라브(slab), 블롬(bloom), 필렛(billet)로 구분되어 불려질 수 있다. 가열로는 이러한 주편을 예열하거나 가열하는 장치이다. 그런데. 가열로 내부에 주편을 장입하거나 추출할 때, 도어가 열리면서, 가열로 내부가 외부로 개방되어, 가열로 내부의 온도가 떨어지고, 가열로 내부의 분위가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었다.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 장치는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도어가 열리더라도, 가열로 내부가 외부로 개방되는 것을 최소화하고자 안출된 장치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가열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 장치는, 가열로(100)와, 도어(200)와, 구동부(300)와,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로(100)는 주편(10)을 대략 1200~1300℃의 적정 온도로 가열하는 장치로서, 판재 등의 제품으로 가공하기 위한 열간압 연공정의 전 공정에 배치된다. 가열로(100)의 내부에는 가열 공간이 마련된다.
도어(200)는 가열로(100)에 배치된다. 도어(200)는 입측 도어(200A)와 출측 도어(200B)가 배치될 수 있다. 입측 도어(200A)는 가열로(100)의 입구(101)에 배치된다. 그리고 출측 도어(200B)는 가열로(100)의 출구(102)에 배치된다. 이러한 도어(200)는 사각의 판형일 수 있다.
구동부(300)는 도어(200)를 움직인다. 구동부(300)는 도어(200)와 연결되어, 도어(2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300)는 유압, 공압 또는 모터로 구동되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구동부(300)에 연결되어, 가열로(100)의 입구(101)나 출구(102)가 개폐되도록 도어(200)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입측 도어(200A)가 상승 이동하여, 입구(101)가 열리면, 장입기(1)는 주편(10)을 가열로(100) 내부로 장입한다. 주편(10)이 가열로(100) 내부로 장입되면, 장입기(1)는 가열로(100)의 외부로 빠지고, 입측 도어(200A)가 하강 이동하여, 입구(101)가 닫힌다. 주편(10)에 대한 가열작업이 완료되면, 출측 도어(200B)가 상승 이동하여, 출구(102)가 열리면, 추출기(2)는 주편(10)을 가열로(100) 내부에서 추출한다. 주편(10)이 가열로(100)에서 추출되면, 추출기(2)는 가열로(100)의 외부로 빠지고, 출측 도어(200B)가 하강 이동하여, 출구(102)가 닫힌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열로(100)는 예열대(110)와, 가열대(120)와, 균열대(130)로 구분이 될 수 있다. 가열대(120)가 가장 높게 온도가 설정된다. 균열대(120)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유지하여 주편(10)의 표면 온도와 중심부의 온도를 일치시키는 작업을 한다.
도 3은 가열로 내부로 장입되는 주편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z축은 가열로(100)의 높이 방향을 나타내며, 도 3의 y축은 주편(10)의 이동방향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열로(100)의 전방에 센서(420)가 배치될 수 있다. 센서(420)는 주편(10)을 감지한다. 주편(10)이 감지되면, 제어부(400)는 구동부(300)를 작동시킨다. 구동부(300)가 작동되면, 도어(200)가 상승 이동하고, 가열로(100)의 입구(101)가 개방된다. 이때, 도어(200)가 상승 이동하면, 가열로(100)의 입구(101)가 개방된다. 입구(101)가 완전 개방되면, 가열로(100)의 열손실과 가열로(100)에서 분위기 가스누출이 상당할 것이다. 이에 실시예는, 주편(10)의 두께(t)에 대응하여, 도어(200)의 개방 높이(h)를 조절하고자 한다.
여기서, 개방 높이(h1)란, 입구(101) 또는 출구(도 1의 102) 개방 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주편(10)을 지지하는 지지부(20)의 상단에서 도어(200)의 하단까지 수직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는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도어(200)의 개방 시, 주편(10)의 두께(t)에 대응하여, 도어(200)의 개방 높이(h1)를 조절한다. 개방 높이(h1)는 주편(10)의 두께(t)의 1.5 배 내지 2배 이내의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편(10)이 슬라브이며, 슬라브의 두께(t)가 250mm 내지 300mm 인 경우, 개방 높이(h1)는 375mm 내지 600mm 범위 이내일 수 있다. 도어(200)를 이와 같은 개방 높이(h1)로 조절하면, 불필요하게 가열로(100)의 입구(101)를 완전히 개방할 필요가 없다. 개방 높이(h1)에서는 주편(10)이 가열로(100)의 내부로 용이하게 장입이 되면서도, 주편(10)과 도어(200)의 간극을 최소화하여, 가열로(100) 내부의 열이 손실되거나, 가열로(100) 내부의 분위기 가스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주편(10)의 두께(t)은 작업자 또는 감지부(420)에 의해 입력부(410)에 입력될 수 있다. 감지부(420)는 가열로(100)에 장입되는 주편(10)의 두께(t)를 감지하여 입력부(410)에 입력할 수 있다. 감지부(420)는 주편(10)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획득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주편(10)의 두께(t)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도어(200)를 개방할 때, 가열로(100)의 높이 방향뿐만 아니라, 가열로(100)의 폭 방향으로도, 외부로 노출되는 가열로(100)의 입구(101)의 면적 또는 출구(102)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가열로(100) 내부의 열이 손실되거나, 가열로(100) 내부의 분위기 가스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도 5는 도어의 전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어(200)는 복수 개의 분할도어(201,202,203,204,205,206,207,208,209,210,21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분할도어(201,202,203,204,205,206,207,208,209,210,211)는 가열로(100)의 폭 방향(도 5의 x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각각의 분할도어(201,202,203,204,205,206,207,208,209,210,211)는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각각의 분할도어(201,202,203,204,205,206,207,208,209,210,211)는 도어(200)의 높이 방향(도 5의 z축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의 C는 도어(200)의 높이 방향(도 5의 z축 방향)으로 도어(200)의 폭 방향(도 5의 x축 방향)의 중심을 지나는 기준선을 의미한다. 기준선(C)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분할도어(201,202,203,204,205,206,207,208,209,210,211)는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장입되는 주편(10)의 좌우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분할도어(201,202,203,204,205,206,207,208,209,210,211)는 그 폭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기준선(C)에 가깝게 배치된 어느 하나의 분할도어(202)의 폭(E1)이 기준선(C)에 멀리 배치된 분할도어(204)의 폭(E2)보다 클 수 있다. 분할도어(202)의 폭이 상이한 경우, 보다 다양한 폭을 갖는 주편(10)에 적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6은 도어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어(200)는 도어본체(220)와, 차단판(230)과, 분사부(240)와, 분사조절높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본체(220)는 가열로(100)의 입구(101)와, 출구(102)를 막는 역할을 한다.
차단판(230)은 도어본체(220)의 배면에 배치된다. 차단판(230)의 내부에는 냉각수(231)가 충진되어, 도어본체(220)의 일정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막는다. 제어부(400)는 냉각수(231)를 공급하는 공급모듈과 연결되어, 가열로(100)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해서, 도어본체(220)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으로 높아 도어본체(220)의 변형이 예상되면, 차단판(230)에 냉각수(231)를 공급할 수 있다.
분사부(240)는 가연 가스를 주편(10)에 분사하는 장치이다. 분사부(240)가 가연 가스를 분사하면 화염이 발생한다. 이러한 분사부(240)는 차단판(23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분사조절높이부(250)는 분사부(240)의 위치를 조절하여, 가연 가스의 분사위치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도어본체(220)에는 센서(260)가 배치될 수 있다. 센서(260)는 도어(200) 근처에 주편(10)이 있는지 감지하는 장치이다.
도 7은 도어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분할도어(201,202,203,204,205,206,207,208,209,210,211)에는 각각 차단판(230)과 분사조절높이부(250)와 분사부(240)가 구분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300) 또한, 각각의 분할도어(201,202,203,204,205,206,207,208,209,210,211)에 배치되어, 분할도어(201,202,203,204,205,206,207,208,209,210,211)의 독립적인 움직임을 구현한다.
도 8 및 도 9는 주편의 폭에 대응하여, 분할도어의 선택적 개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주편(10)이 가열로(100)에 장입될 때, 제어부(400)는 주편(10)의 폭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분할도어(201,202,203,204,205,206,207,208,209,210,211)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 높이(h1)만큼 개방시킨다. 주편(10)의 폭은 작업자 또는 감지부(420)를 통해 제어부(400)의 입력부(410)에 입력될 수 있다.
주편(10)의 폭이 3500mm로서, 비교적 큰 폭(w1)을 갖는 주편(10)이 가열로(100)에 장입되거나 가열로(100)에서 추출되는 경우, 도어(200)의 양단에 배치된 분할도어(206,211)을 제외한 모든 분할도어(202,203,204,205,206,207,208,209,210)들을 개방 높이(h1)만큼 상승 이동시킬 수 있다. 해당 주편(10A)의 폭(W1)은 상승 이동된 분할도어(202,203,204,205,206,207,208,209,210)들의 폭의 합산값에 대응할 수 있다.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주편(10)의 폭이 3000mm로서, 앞선 도 8의 주편(10A)보다 폭이 작은 주편(10B)이 장입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도어(200)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 모두 4개의 분할도어(206,205,210,211)를 제외한 나머지 분할도어(202,203,204,205,206,207,208,209,210)들을 개방 높이(h1)만큼 상승 이동시킬 수 있다. 해당 주편(10B)의 폭(W2)은 상승 이동된 분할도어(204,203,202,201,207,208,209)들의 폭의 합산값에 대응할 수 있다.
도 8의 경우, 주편(10A)의 양 측면은 도어(200)의 양단에 배치된 분할도어(206,211)에 의해 커버된다. 도 9의 경우, 주편(10B)의 양 측면은 도어(200)의 양단에 배치된 분할도어(206,205,210,211)에 의해 커버된다. 이처럼, 도어(200)가 개방될 때, 가열로(10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다양한 폭을 갖는 주편(10)에 대응하여, 가열로(100)의 입구(101)나 출구(120)가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0은 분사부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분사부의 단위노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분사부(240)는 복수 개의 노즐(241)과 노즐(241)과 연결된 가스공급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노즐(241)은 하향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노즐(241)은 도어(200)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노즐(241)을 통해 가연 가스가 분사된다. 가스공급부(242)는 노즐(241)에 가연 가스를 공급한다. 주편(10)이 가열로(100)에 장입될 때, 제어부(400)는 개방되는 분할도어(201,202,203,204,205,206,207,208,209,210,211)에 배치된 노즐(241)은 장입되는 주편(10)을 향하여 가연 가스를 분사한다. 개방되지 않는 분할도어(201,202,203,204,205,206,207,208,209,210,211)에 배치된 노즐(241)은 작동 하지 않는다.
가연 가스가 분사되면, 화염이 발생하고, 발생된 화염은 가열로(100)의 내부와 외부를 커튼처럼 열적으로 차단하여, 도어(200)를 개방할 때, 가열로(100) 내부의 열이 손실되거나, 가열로(100) 내부의 분위기 가스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분사된 가연 가스에 의해, 주편(10)의 상면에 배치되 스케일이 제거될수 있다. 한편, 차단판(230)의 하부에는 주편(10)을 가이드하는 롤러(232)가 배치될 수 있다.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각각의 노즐(421)은 복수 개의 단위노즐(421a)을 포함할 수 있다. 단위노즐(421a)들 중 일부는 도어(200)의 전방(F) 또는 후방(R)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주편(10)의 장입 방향 또는 추출 방향을 따라서 화염이 발생한다. 그 결과, 주편(10)의 장입 방향 또는 추출 방향으로 화염 발생영역이 넓어지고, 이에 가열로(100) 내부의 열의 손실을 보다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특히, 분사부(240)가 도어(200)의 전방(F) 또는 후방(R)을 향하여 틸팅 운동하도록 배치되어, 주편(10)의 장입 방향 또는 추출 방향으로 화염 발생영역을 더욱 넓힘으로써, 가열로(100) 내부의 열의 손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분사부(24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분사부(240)는 분사높이조절부(250)를 포함한다. 이때, 분사부(240)는 차단판(23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분사높이조절부(250)는 차단판(230)과 분사부(240)에 연결된다. 분사높이조절부(250)는 그 길이가 확장되고 축소 가능한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단위노즐(421a)이 배치된 분사부(240)는 분사높이조절부(250)의 신축에 대응하여 힌지축(P)을 중심으로 틸팅운동을 한다.
여기서, 분사높이조절부(250)는 제어부(4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분사 높이(h2)를 조절할 수 있다. 분사 높이(h2)란, 주편(10)에서 상면에서 단위노즐(421a)까지의 수직거리를 의미한다. 각각의 단위노즐(421a)는 분사 높이(h2)가 상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주편(10)의 두께(t)가 고려된 개방 높이(h1)가 입력되면, 이에 대응하는 분사 높이(h2)가 유지되도록 분사높이조절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0)의 개방 높이(h1)를 고려하여, 분사부(240)를 통해 화염이 발생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주편(10)에 대응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가열로(100) 내부의 열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 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주편
100: 가열로
101: 입구
102: 출구
200: 도어
220: 도어본체
230: 차단판
240: 분사부
300: 구동부
400: 제어부

Claims (10)

  1. 주편을 가열하는 가열로;
    상기 가열로에 배치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연결되는 구동부;및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의 개방 시, 상기 주편의 두께 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 높이를 조절하는 가열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높이는 상기 주편의 두께의 1.5배 내지 2배 이내인 가열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분할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의 개방 시, 상기 주편의 폭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상기 분할도어를 선택적으로 상기 개방 높이만큼 개방시키는 가열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폭 방향의 중심을 지나는 기준선을 기준하여, 복수 개의 상기 분할도어는 대칭되게 배치되는 가열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선에서 어느 한 측에 배치되어 상기 개방 높이만큼 개방된 상기 분할도어와, 상기 기준선에서 다른 한 측에 배치되어 상기 개방 높이만큼 개방된 상기 분할도어는, 상기 기준선을 기준하여 대칭되게 배치되는 가열로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분할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분할도어의 폭은, 다른 분할도어의 폭과 상이한 가열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 시, 상기 주편의 상면에 가연 가스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는 가열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도어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노즐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노즐은 복수 개의 단위노즐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단위노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도어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가열로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도어본체와, 상기 도어본체의 후방에 배치되며 냉각수를 포함하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과 상기 분사부와 연결하여 상기 분사부의 분사 높이를 조절하는 분사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가열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사높이조절부와 연결되어, 상기 개방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분사 높이를 조절하는 가열로 장치.
KR1020170154829A 2017-11-20 2017-11-20 가열로 장치 KR102024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829A KR102024619B1 (ko) 2017-11-20 2017-11-20 가열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829A KR102024619B1 (ko) 2017-11-20 2017-11-20 가열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645A true KR20190057645A (ko) 2019-05-29
KR102024619B1 KR102024619B1 (ko) 2019-09-24

Family

ID=66672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829A KR102024619B1 (ko) 2017-11-20 2017-11-20 가열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6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6924A (ko) * 2002-12-24 2004-07-01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의 장입도어 제어장치
KR20120057989A (ko) * 2010-11-29 2012-06-07 현대제철 주식회사 가열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35067B1 (ko) * 2013-03-28 2014-08-27 현대제철 주식회사 가열로용 열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6924A (ko) * 2002-12-24 2004-07-01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의 장입도어 제어장치
KR20120057989A (ko) * 2010-11-29 2012-06-07 현대제철 주식회사 가열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35067B1 (ko) * 2013-03-28 2014-08-27 현대제철 주식회사 가열로용 열차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619B1 (ko) 201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567B1 (ko) 스트립 연속 주조 장치 및 그 사용방법
KR20080053274A (ko) 슬래브, 박 슬래브, 프로파일 등을 세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89568B1 (ko) 스카핑 설비 및 스카핑 방법
JP5473259B2 (ja) 鋳片の冷却方法
KR20190057645A (ko) 가열로 장치
JP2010520060A (ja) 厚さ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及びそのための方法
KR20080111850A (ko) 가열로의 소재 추출영역 스케일 처리장치
KR101237071B1 (ko) 가열로 및 그 제어방법
KR101790003B1 (ko) 온도측정장치, 이를 구비하는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
US202200993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and preheating a metal charge in a melting furnace
KR101612466B1 (ko) 슬래그 냉각커버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냉각방법
KR101051292B1 (ko) 슬라브용 스케일 제거장치
JP5736657B2 (ja) 加熱炉の冷却方法及び冷却装置
KR20130074301A (ko) 쉬라우드 노즐 지지 장치
KR101424441B1 (ko) 압연기용 가열로
KR101257399B1 (ko) 가열로 및 그 제어방법
US7048032B2 (en) Device for continuously casting molten metals
KR101310650B1 (ko) 외부공기 유입에 의한 가열로의 온도강하 방지장치
KR102207706B1 (ko) 스카핑 장치 및 스카핑 방법
KR101246234B1 (ko) 가열로 및 그 제어방법
CN114222827A (zh) 中间加热站
KR101555101B1 (ko) 수직 소둔로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160139974A (ko) 폐열 재활용 소둔로 시스템
JPH04354811A (ja) 走行,昇降および傾動自在な出銑樋
KR100761736B1 (ko) 수직소둔로의 냉각쿨러 노즐 클리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