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6517A - Flagpole to reduce flag tangles - Google Patents

Flagpole to reduce flag tang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6517A
KR20190056517A KR1020170153555A KR20170153555A KR20190056517A KR 20190056517 A KR20190056517 A KR 20190056517A KR 1020170153555 A KR1020170153555 A KR 1020170153555A KR 20170153555 A KR20170153555 A KR 20170153555A KR 20190056517 A KR20190056517 A KR 20190056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g
flagpole
hole
fixed
hoi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5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41113B1 (en
Inventor
황정호
남창우
이희동
윤상헌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53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113B1/en
Publication of KR20190056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5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1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2Flagp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17/0091Anti-foiling flagpoles; Sliding means to avoid foiling of flags on the p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08Devices for avoiding twisting of the fla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25Raising or low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s a flagpole comprising: a flagpole lengthily formed, wherein a storage space is formed; a fixing rotation module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wherein at least a portion rotates around a circumference; and a raising unit including a pulley disposed on the flagpole and a raising string which is lengthily formed, and of which one side is coupled to the fixing rotation module by passing through the pulley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to cover the circumference of the flagpole, wherein the flagpole is coupled to a portion.

Description

깃발 엉킴을 저감하는 깃발 게양대{FLAGPOLE TO REDUCE FLAG TANGLES}{FLAGPOLE TO REDUCE FLAG TANGLES}

본 발명은 국기 또는 상호 등을 게양하는 깃발게양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장소나 공공기관 등에 설치된 깃대에서 외력에 의해 깃발이 엉키거나 게양줄이 꼬여서 보기 흉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깃발 엉킴을 방지하는 깃발게양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g hoist for hoisting a flag or a mutual aid,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ag hoist for preventing a phenomenon in which a flag is tangled due to an external force or a hoist is twisted by an external force, To the flag hoist.

일반적으로 많은 분야에서 깃발이나 국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국경일에는 각 가정에서 깃발을 매달은 깃대를 벽면 등에 설치하는 방법으로 국기를 게양하고 있다.In general, flags and flags are used in many fields. In Korea, on national holidays, flags are hanged on each wall of the households.

특히 전 세계에서 깃발이나 국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깃발이 엉키지 않도록 하는 깃대가 많이 개발되어 있으며, 가정용의 경우 회전 깃대를 사용하여 깃발의 엉킴에 대한 저감효과를 가지고 있다.Especially, we use flags and flags all over the world, and many flagpoles have been developed to prevent the flag from tangling. In the case of home use, the flagpole is used to reduce flag tangling.

또한, 높은 곳에 깃발을 게양하는 경우 별도의 게양줄에 깃발을 묶어 도르레를 이용해 승하강 시킴으로써 깃발을 게양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Also, in case of raising a flag on a high place, a flag is tied on a separate hoist line and the flag is lifted by using a pulley.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 갑작스런 돌풍이나 태풍 등의 영향으로 깃발이 깃대에 감기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깃발의 게양상태가 불량해져 깃발이 휘날리는 효과를 떨어뜨리게 된다However, in such a case, the flag will be wound on the flagpole due to sudden gusts or typhoons, and this causes the flap to be hoisted poorly and the effect of the flag will be reduced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개발된 깃발게양대의 경우 기본적인 깃대를 중심으로, 상부에 별도의 회전부재를 구비하며, 회전부재에는 각종 깃발을 게양줄에 매달아주기 위한 상, 하부 연결고리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conventionally developed flags of the flags have a separate rotating member on the upper part of the basic flagpole, and the rotating member includes upper and lower connecting links for hanging various flags on the hoop .

여기서, 회전부재의 경우 외력에 의해 깃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깃발의 감김이 발생하는 경우 함께 회전하여 깃발을 감김을 방지할 수 있다.Here, in the case of the rotating member, the rotating member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ut the flagpole by an external force, and when the flag is wound, it can be rotated together to prevent the flag from being woun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사용자가 깃발을 게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며, 깃대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깃발의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lift the flag, and when the height of the flag is relatively high,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flag.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a method for solving such problems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써, 외력에 의해 깃발의 엉킴 또는 게양줄의 꼬임 현상을 방지하여 미관상 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깃발게양대를 제공함에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ags stand capable of preventing flap tangling or twisting of hoisting ropes by external force,

또한 깃대 내부에 도르래와 결합되는 회전부가 구비되어 바람과 같은 자연현상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으며, 깃발의 엉킴과 더불어 게양줄의 꼬임도 방지할 수 있는 깃발게양대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flagpole is provided with a rotating part coupled with the pulley, and can be safeguarded from natural phenomena such as win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wisting of the hoisting ropes as well as the tangling of the flag.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깃발게양대는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고정홀이 형성된 깃대와, 상기 깃대의 상단에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가능하게 착탈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깃대의 둘레방향으로 따라 회전하는 고정회전모듈과, 상기 깃대의 상부에서 상기 고정회전모듈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도르래와, 길게 형성되어 상기 깃대 외부에서 깃발이 고정되고 상기 도르래를 경유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되는 게양줄을 포함하는 게양부 및 상기 게양줄이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승강되고, 상기 고정회전모듈과 접촉되면서 상기 깃발이 하기 되는 위치를 제한하는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flag lifting b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long flap,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 fixing hole for communicating the receiving space with the outside, A fixed rotating modul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ed frame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ed frame and having at least a part thereof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lag frame by an external force; a pulley coupled with the fixed rotating module at the top of the flag frame, And a hoisting rope fixed to the receiving space and including a hoisting rop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via the pulley and a hoisting rope fixed to the hoisting rope, And a lifting portion for limiting the lifting portion.

그리고 상기 고정회전모듈은, 상기 깃대 상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캡 및 상기 캡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깃대 단부와 억지끼움 되도록 돌기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캡과 연결되는 베어링이 구비되는 회전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결합부재와 상기 깃대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The fixed rotation module includes a cap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flag and a rotation coupling member provided inside the cap to form a protrusion for interference with the end of the flag and a bearing connected to the cap, And the rotary coupling member and the flagpole can be screwed together.

또한 상기 고정회전모듈은, 상부에 상기 게양줄이 삽입되는 제1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관통홀은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편심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stationary rotation module may include a first through hole into which the hoisting rope is inserted, and the first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eccentricity about the rotation axis along a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고정회전모듈 하부에서 승강되게 구비되고, 중심부에 상기 제1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게양줄이 관통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elevating portion may be provided to be lifted up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xed rotation module, and a second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so that the hoist rope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is penetrated.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부를 상기 고정홀에 고정시키도록 둘레의 일부에 적어도 하나의 이동홀이 형성될 수 있다.Also, at least one moving hole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periphery of the elevating part so as to fix the elevating part to the fixing hole.

그리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부를 상기 고정홀에 고정시키도록 둘레의 일부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이동홀이 형성되는 판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vating portion may include a panel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moving holes formed in a part of a periphery thereof so as to fix the elevating portion to the fixing hole.

또한 상기 승강부는, 길게 형성되어 단부가 상기 이동홀에 고정되고, 일부가 상기 고정홀에 고정되는 승강줄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evating portion may include a lifting bar which is elongated and has an end fixed to the moving hole and a part fixed to the fixing hole.

그리고 상기 게양부는, 외부에 별도의 와인딩모터(WINDING-MOTOR)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홀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 상기 게양줄의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깃발이 승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Further, the hoisting unit may include a WINDING-MOTOR provided on the outside thereof, and an end of the hoisting rope extending outwardly through the hole may be coupled to control the hoisting and lifting of the flags.

또한 상기 게양부는, 단부에 상기 깃대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의 링 형상의 고리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고리부재는 상기 깃발의 게양에 대응하여 깃대의 길이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isting portion may have a ring-shaped annular member at its end portion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flagpole, and the annular member may be provided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agpole corresponding to the hoist of the flag.

그리고 상기 고리부재는, 상기 깃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게양줄이 외력에 의해 흔들리는 것 제한될 수 있다.The loop member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lagpole so that the hoisting rope is restricted from being shaken by an external force.

또한 상기 게양부는, 상기 게양줄 팽창시키도록 상기 고리부재와 상기 깃발 하부 사이에 무게추가 구비될 수 있다.Further, the hoisting unit may be provided with a weight between the loop member and the lower part of the flags to expand the hoisting ropes.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국기게양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0006] The flag lif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깃발과 연결된 고정회전모듈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바람에 영향을 받아서 깃발이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xed rotating module connected to the flag is rotatably provided to prevent the flag from being woun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wind.

둘째, 게양부가 깃대의 내부와 외부가 연결되는 단일형상으로 구비되어 게양부가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oisting part is provided in a single shape in whic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lagpole are connected so that the hoisting par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wisted.

셋째, 게양부가 도르래에서 깃발을 경유하여 무게추에 결합되고 또한 단부에 깃발의 승강에 대응하여 깃대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의 고리부재가 구비되어 깃발이 수평방향으로 절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ir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flag can be prevented from being folded horizontally by being provided with a loop member which is coupled to the weight by way of a flag in the hoisting unit pulley, and which surrounds the circumference of the flag pole in correspondence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flag at the end thereof have.

넷째, 고정회전모듈이 모듈 형태로 구비되어 기존의 깃대에 결합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는 장점이 있다.Fourth,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xed rotation modul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module so that it can be coupled to an existing flagpole.

다섯째, 승강부의 구성이 간단하여 깃발을 게양한 후 고정홀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손쉽게 게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fth,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elevating part is simple, and the flag can be easily elevated by fixing it to the fixing hole after lifting the flag.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발게양대의 외부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발게양대에서 깃대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발게양대에서 내부 구성이 나타난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발게양대에서 고정회전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발게양대에서 승강부가 승강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발게양대에서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발게양대에서 승강부가 상부로 이동됨에 따라 깃발이 하부로 이동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발게양대에서 승강부가 하부로 이동됨에 따라 깃발이 상부로 이동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발게양대에서 승강부룰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발게양대에서 승강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appearance of a flag ho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llustrates the shape of a flagpole at a flag ho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flag ho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fixed rotation module in a flag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lifting and lowering part of a flag lifting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rotated by a wind in a flag ho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flag is moved downward as the lifting unit is moved upward in a flag lifting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flag is moved upward as a lifting unit is moved downward from a flag lifting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9 is a view of a lifting and lowering member in a flags ho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variation of a lifting unit in a flag lifting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drawings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ore easi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You will know.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noted that 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re denoted by the same names and numerals, but are substantially not identical to elements of the prior art.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so,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certain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은 깃발게양대에 관한 것으로, 높은 곳에 위치한 깃발(F)이 바람(W)이나 자연현상에 의해 줄에 꼬이거나 깃발(F)이 엉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회전모듈(200)이 구비된 깃발게양대에 대한 발명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lag baskets, in which flags (F) located at high places are provided with flags with fixed rotation modules (200) to prevent twisting of the flags (F) The invention relating to the hoisting zon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발게양대의 외부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발게양대에서 깃대(100)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발게양대에서 내부 구성이 나타난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발게양대에서 고정회전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appearance of a flag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a flag base 100 in a flag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ixed rotation module in a flag platfor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먼저 본 발명의 구성은 크게 깃대(100), 고정회전모듈(200), 승강부(300), 게양부(400)을 포함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agpole 100, a fixed rotation module 200, a lifting unit 300, and a hoisting unit 400.

깃대(10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측면상에 깃발(F)이 게양 또는 하기 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160)이 형성되며, 수용공간(160) 내부에 고정회전모듈(2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lagpole 100 is elongated in one direction and a receiving space 160 is formed therein so that the flag F can be raised or lowered on a side surface thereof and the stationary rotating module 200 is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160 .

깃대(100)가 국기를 게양한다면 상부에는 국기봉이 장착될 수 있다.If the flagpole 100 hovers the flag, a flagpole may be mounted on the top.

계속해서 깃대(100)의 측면에서 승강되는 깃발(F)은 일측이 깃대(10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도르래(420)를 통해 승강된다.The flag F, which is lifted and lowered from the side of the flagpole 1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lagpole 100 and ascended and descended through the pulley 42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깃대(100)의 상부에 게양부(400)가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 hoisting part 400 protrudes upward from the top of the flagpole 100.

게양부(400)는 깃대(100)의 상부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는 도르래(420)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측이 도르래(420)를 경유하여 수용공간(160) 내부로 향하고 타측은 깃대(100)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길이방향 중 일부에 깃발(F)이 결합되는 게양줄(440)을 포함한다.The hoisting part 400 is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with a pulley 420 protru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flagpole 100 and has one side directed to the inside of the receiving space 160 via the pulley 420, 100 and a hoisting rope 440 to which a flag F is coupled in a part of the length direction.

여기서 게양줄(44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와이어(Wire) 또는 내구성이 강한 밧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길이 방향 중 깃대(100) 외측에 배치된 일부에 깃발(F)이 결합된다.Here, the hoisting rope 440 may be a commonly used wire or a durable rope or the like, and the flag F is coupled to a portion disposed outside the middle hoop 100.

그리고 결합된 깃발(F)이 형태가 유지되도록 게양줄(440)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직선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And the hoisting rope 440 may be kept straight from the top to the bottom so that the combined flag F is maintained in shape.

이에 따라 게양줄(440) 중 깃발(F)이 결합된 부분의 하부에 무게추(Z)가 형성되어 게양줄(440)이 직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a weight Z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ortion of the hoisting rope 440 where the flag F is coupled, so that the hoisting rope 440 can maintain a straight line.

여기서 무게추(Z)는 게양줄(440)에 결합된 형태를 가지고 있거나, 내부에 홀(HOLE)이 형성되어 게양줄(440)이 관통될 수 있다.Here, the weight Z may have a shape coupled to the hoisting rope 440, or a hoop may be formed in the hoof rope 440 to penetrate the hoisting rope 440.

이렇게 무게추(Z)를 관통한 게양줄(440)은 다시 깃대(10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다.The hoisting rope 440 passing through the weights Z is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flagpole 100 again.

구체적으로 도르래(420)와 무게추(Z) 사이에 깃발(F)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은 도르래(420)를 경유하여 수용공간(160)으로 삽입되고, 타측은 깃발(F)을 지나 무게추(Z)를 경유하여 깃대(100)의 둘레에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o prevent the flags F from shaking between the pulley 420 and the weight Z,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60 via the pulley 420 and the other side is passed through the flag F And can be coupled to the periphery of the flagpole 100 via the weight Z. [

이 때, 깃대(100)에 결합된 게양줄(440)의 타측은 깃대(10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의 고리부재(R)가 형성되어 깃대(100)의 외측 둘레는 승강하도록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other side of the hoisting rope 440 coupled to the flagpole 100 is provided with a ring member R, which surrounds the circumference of the flagpole 100, so th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gpole 100 is raised and lowered.

이는 게양부(400)에 의해 승강되는 깃발(F)을 따라 게양줄(440) 또한 승강하게 되므로, 깃대(1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고리부재(R)가 깃대(10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깃발(F)의 게양 또는 하기에 용이하게 작용된다.This is because the hoisting rope 440 also ascends and descends along with the flags F raised and lowered by the hoisting part 400 so that the hoisting ropes R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isting ropes 100, So as to easily raise or lower the flag F.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Z)는 구(GLOBULAR)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 일뿐, 다각형, 원뿔형 또는 비정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weight Z is formed in a GLOBULAR shape, but it is only an embodiment and may be provided in a polygonal, conical or irregular shape.

하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깃대(100)와의 마찰을 최소화 하기 위해 구 형상으로 구비되었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ovided in a spherical shape in order to minimize the friction with the flagpole 100.

계속해서 깃대(100) 내부에서 깃발(F)을 승강시키는 고정회전모듈(200)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fixed rotation module 200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flag F inside the flagpole 100. [

고정회전모듈(200)은 깃대(100)상에 구비되어 적어도 일부가 둘레를 따라 회전하도록 구비된다.The fixed rotation module 200 is provided on the flagpole 100 and is at least partially provided to rotate around the periphery.

또한 고정회전모듈(200)은 깃대(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게양부(400)과 함께 승강되도록 구비된다.Also, the fixed rotation module 200 is provided inside the flagpole 100 and is elevat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hoisting part 400.

구체적으로 깃대(100)의 내측 상부에는 수용공간(160)과 연통되는 개구부(120)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회전모듈(200)은 개구부(120)를 통해 깃대(100)에 결합되며, 고정회전모듈(200)을 상하로 관통하는 제1관통홀(220)이 형성되며, 게양줄(440)과 함께 도르래(420)가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고정회전모듈(200) 및 고정회전모듈(200) 하부에서 승강되게 구비되고 제1관통홀(220)을 관통한 게양줄(440)이 관통되도록 제2관통홀(320)이 형성되는 승강부(300)를 포함한다.The stationary rotation module 200 is coupled to the flagpole 100 through the opening 120, and the stationary rotation module 200 is coupled to the flagpole 100 through the opening 120. [ A fixed rotation module 200 and a fixed rotation module 200 in which a first through hole 220 passing through the module 200 is formed and a pulley 440 and a pulley 420 are coupled and rotated together, And a lifting unit 300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320 formed to be lifted from the lower portion and through which the hoisting rope 440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20 passes.

여기서 고정회전모듈(200)은 깃대(100) 상측 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개구부(120)를 폐쇄하는 캡(240)과, 캡(240) 내부에 구비되어 깃대(100) 단부와 억지끼움 되도록 걸림돌기(264)가 형성되고 캡(240)과 연결되는 베어링(262)이 구비되는 회전결합부재(260)를 포함한다.The fixed rotation module 200 includes a cap 240 that closes the opening 120 in the form of wrapping the upper end of the flagpole 100 and a cap 240 that is provided in the cap 240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end of the flagpole 100, And a rotation coupling member 260 having a bearing 262 formed with a cap 264 and connected to the cap 240.

걸림돌기(264)는 회전결합부재(260)의 상측 둘레에서 돌출되어 하부를 향해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돌기(264)와 회전결합부재(260) 사이에 깃대(100)의 상측 단부가 삽입된다.The upper end of the flagpole 100 is inserted between the engaging protrusion 264 and the rotary engaging member 260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flagpole 100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protrusion 264, do.

이와 같은 형태로 회전결합부재(260)는 깃대(100)의 단부와 끼움결합 된 후 고정부재(280)를 통해 결합되어 고정되고, 회전결합부재(260) 내측 베어링(262)이 캡(240)과 연결되어 베어링(262)과 함께 캡(240)이 회전되게 된다.The rotation coupling member 260 is engaged with the end of the flagpole 100 and then is coupled and fixed via the fixing member 280 and the rotation coupling member 260 inner bearing 262 is engaged with the cap 240, So that the cap 240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bearing 262.

여기서 고정부재(280)는 볼트와 너트 결합 방식이거나 스터드 결합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결합부재(260)가 깃대(100)와 억지끼움 결합 된 후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Here, the fixing member 280 may be a bolt-nut coupling type or a stud coupling type,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s long as the rotary coupling member 260 can be fixed after being tightly coupled with the flagpole 100 And thus the scope of the right is not limited.

고정회전모듈(200)과 승강부(300)의 베어링(262)구조는 도 4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 structure of the bearing 262 of the fixed rotation module 200 and the elevation part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계속해서 캡(2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20)에 안착되어 회전되고, 캡(240)의 둘레 중 일부에는 도르래(420)가 결합되어 있으며 도르래(420)를 경유한 게양줄(440)이 삽입되도록 제1관통홀(220)이 형성되어 있다.The cap 240 is seated on the opening 120 and rotat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pulley 420 is coupled to a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cap 240 and the hoisting rope 440 The first through-hole 220 is formed.

여기서 고정회전모듈(200)은 제1관통홀(220)이 고정회전모듈(200)의 중심에서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도르래(420)는 제1관통홀(220)과 인접하여 장착될 수 있도록 연장부재(422)가 형성되어 있다.Here, the fixed rotation module 200 includes a first through hole 220 which is eccentrically rotatable from the center of the fixed rotation module 200, and the pulley 420 is mounted adjacent to the first through hole 220 An extension member 422 is formed.

연장부재(422)는 도르래(420)의 양측면에서 도르래(420)가 회전가능하도록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은 길게 연장되어 고정회전모듈(200) 외측 상부에 결합된다.One end of the extension member 422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pulley 420 so as to be rotatable on both sides of the pulley 420 and the other side of the extension member 422 is extend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xed rotation module 200.

연장부재(422)는 도르래(420)가 고정회전모듈(200)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도르래(4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간격을 유지한다.The extension member 422 is spaced such that the pulley 420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bove the fixed rotation module 200 so that the pulley 420 can be rotated.

이 때, 연장부재(422)는 도르래(420)가 깃대(100)의 둘레의 외측에 구비되도록 연장시켜서 깃발(F)이 승강하는데 용이하도록 도르래(420)를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ongated member 422 is extended so that the pulley 420 is provided outside the periphery of the flagpole 100, so that the pulley 420 is separated from the flapper 420 so that the flag F is easy to ascend and descend.

계속해서 승강부(300)는 상부에 제2관통홀(320)이 형성되고 고정회전모듈(200) 내부의 수용공간(160)상에서 승강되도록 구비된다.The elevating part 300 is formed to have a second through hole 320 at the upper part thereof and to be elevated and lowered in the receiving space 160 inside the fixed rotating module 200.

그리고 제2관통홀(320)에는 제1관통홀(220)을 관통한 게양줄(440)이 삽입된다.The second through hole 320 is inserted with a hoop 440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20.

여기서 게양줄(440)은 제1관통홀(220)을 관통하여 제2관통홀(320)에삽입되며 승강부(300)는 게양줄(440)을 통해 깃발(F)을 승강시킨다.The hoisting rope 440 passe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20 a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320 and the hoisting portion 300 lifts the flag F through the hoisting ropes 440.

본 실시 예에서 승강부(3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게양줄(440)이 고정되게 구비되고, 둘레의 일부에는 이동홀(340)이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lifting unit 3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lifting rope 440 is fixed and a moving hole 340 is formed in a part of the periphery.

승강부(300)에 게양줄(440)이 결합되는 것은, 승강부(300)를 관통하는 홈에 게양줄(440)이 삽입 결합 될 수 있고, 또는 게양줄(440)이 승강부(30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승강부(300) 하부에서 매듭이 지어질 수도 있다.The reason why the hoisting rope 440 is coupled to the hoisting portion 300 is that the hoisting rope 440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passing through the hoisting portion 300 or the hoisting rope 440 can be inserted into the hoisting portion 300, And may be knot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ing portion 300. [

승강부(300) 둘레에 형성된 이동홀(340)에는 승강줄(360)이 연결된다.The lifting and lowering line 360 is connected to the moving hole 340 formed around the lifting unit 300.

승강줄(360)은 사용자가 승강부(300)를 당겨서 깃발(F)을 상부로 이동시킬 때 파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깃발이 상부로 이동되면 승강줄(360)은 깃대(100)에 매듭을 묶여지게 된다.The lifting strap 360 is configured to grasp the lifting strap 300 when the user pulls the lifting strap 300 to move the flap F upward. When the flag is moved upward, the lifting strap 360 is tied to the flagstick 100 .

이를 위해 깃대(100)의 둘레의 일부에는 고정홀(140)이 형성되어 있다.For this purpose, a fixing hole 140 is formed in a part of the periphery of the flagpole 100.

고정홀(14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있으며, 깃대(100) 외부에서 사용자가 승강부(300)를 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통로가 된다.At least one of the fixing holes 140 is formed, and a passage for moving the elevating part 300 downward is provided outside the flagpole 100 by the user.

한편, 승강부(300)는 깃발(F)을 하강시키기 위해 승강줄(360)을 풀어서 승강부(300)를 상부로 이동시키는데, 이때 승강부(300)는 고정회전모듈(200)의 하면에 접촉되면서 깃발(F)의 하강을 정지시킨다.The lifting unit 300 lifts the lifting unit 360 to move the lifting unit 300 upward by moving the lifting unit 360 to lower the flag F. At this time, Thereby stopping the descent of the flag F while being contacted.

계속해서 도 5 내지 도 8을 통해 고정회전모듈(200) 및 승강부(300)에 따른 깃발(F)의 이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movement of the flag F according to the fixed rotation module 200 and the elevation unit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FIG.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발게양대에서 승강부(300)가 승강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발게양대에서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발게양대에서 승강부(300)가 상부로 이동됨에 따라 깃발이 하부로 이동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발게양대에서 승강부(300)가 하부로 이동됨에 따라 깃발이 상부로 이동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lifting unit 300 being lifted and lowered in a flag lifting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wind lifting structure in a flag lifting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flag is moved downward as the lifting unit 300 is moved upward in a flag lifting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lags are moved upward as the lifting unit 300 is moved downward from the flag lifting base.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회전모듈(200)의 상부에는 연장부재(422)에 의해 도르래(420)가 상향 이격되어 결합되어 있고, 도르래(420)에 경유된 게양줄(440)이 제1관통홀(220)에 삽입된다.As shown in the figure, a pulley 420 is upwardly spac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rotation module 200 by an extension member 422. A hoisting rope 440 passed through the pulley 420 is coupled to the first through hole 220).

이렇게 제1관통홀(220)이 고정회전모듈(200)의 상부에서 일측으로 소정 편심되어 형성된 것은 도르래(420)가 결합되는 위치에 따른 것으로 깃대(100)의 외측 둘레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야 하는 도르래(420)가 깃발(F)을 지지하는 힘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The first through hole 220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eccentric shape from the upper part of the stationary rotation module 200 to the position where the pulley 420 is engaged and is protrude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gpole 100 So that the pulley 420 supporting the flag F can be minimized.

여기서 제1관통홀(220)에 삽입되는 게양줄(440)은 일측이 도르래(420)를 통해 제1관통홀(220)을 관통하여 제2관통홀(320)에 삽입되고, 이동홀(340)에 연결된 승강줄(360)은 고정홀(140)에 연결되어 깃발(F)의 상하 방향을 따른 위치를 고정시킨다.The hoist rope 440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22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320 through one end of the first through hole 220 through the pulley 420, Is connected to the fixing hole 140 to fix the position of the flag F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이 때, 승강부(300)이 고정홀(140)에 감겨서 매듭지어 질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elevating part 300 may be wound around the fixing hole 140 to be knotted.

계속해서Continue

여기서 승강부(300)는 승강줄(360)의 매듭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동홀(340)이 복수로 구비되고, 승강줄(360)은 이동홀(340)(520)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에 매듭지어서 고정할 수 있다.Here, the elevating part 3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ving holes 340 to facilitate the knotting of the lifting line 360, and the lifting line 36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knot It can be fixed and fixed.

이렇게 하부로 이동된 승강부(300)에 의해 깃발(F)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The flag F is moved upward by the lifting unit 300 moved downward.

한편, 고정회전모듈(200)은 깃발(F)이 회전함에 대응하여 게양부(400)과 함께 바람(W)에 대응하여 회전된다.Meanwhile, the fixed rotation module 200 is rotated in response to the wind W together with the lifting part 400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flag F.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결합부재(260)의 중심부는 베어링(262)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ational coupling member 260 is formed in the form of a bearing 262. [

구체적으로 중심부에 제1관통홀(220)이 형성된 베어링(262)과 캡(240)은나사 결합되어 있어서 깃발(F)의 회전에 대응하여 함께 이동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bearing 262 having the first through-hole 220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thereof and the cap 24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re moved together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f the flag F.

따라서 고정회전모듈(200)은 캡(240)을 통해 개구부(120)을 밀폐할 수 있으며, 중심부에 배치된 베어링(262)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Therefore, the stationary rotation module 200 can seal the opening 120 through the cap 240 and is rotatable by the bearing 262 disposed at the center.

이와 같은 베어링(262) 형태는 고정회전모듈(200) 및 승강부(300)에 적용되어 고정회전모듈(200) 및 승강부(300)가 수용공간(160)의 내측면에 고정되어도 게양부(400)가 회전될 수 있다.The bearing 262 may be applied to the fixed rotation module 200 and the elevation portion 300 so that the fixed rotation module 200 and the elevation portion 300 ar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60, 400 can be rotated.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설명을 하였으며, 다음 도 6 내지 도 8을 통해 본 발명의 깃발게양대의 회전 및 게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the rotation and hoisting of the flag lifting bas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to FIG.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회전모듈(200)의 상부에 게양부(400)가 구비되고, 깃대(1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된 게양줄(440)에는 깃발(F)이 결합되어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a hoisting part 400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xed rotation module 200, and a flag F is coupled to the hoisting rope 440 dispo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agpole 100.

도 6의 (a)는 본 실시예에 따라 왼쪽에서 바람(W)이 깃발(F)을 향해 불어오고 있다.6 (a) shows the wind W blowing from the left toward the flag F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종래의 경우, 바람(W)에 의해 깃발(F)이 엉키게 되거나 게양줄(440)이 꼬이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In the conventional case, the flag F is tangled by the wind W or the hoisting rope 440 is twisted frequently.

하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게양줄(440)이 깃대(100)의 외측에 한 줄만 구비되어 꼬이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다.However, as shown in the drawing, the hoisting ropes 440 are provided only on the outer side of the flagpole 100 and are not twisted.

또한 바람(W)이 불어오면 바람(W)에 대응하지 않고 회전하는 모습을 도 6의 (b)를 통해 알 수 있다.Also, when the wind W is blown, a state in which the wind W does not correspond to the wind W can be seen through FIG. 6 (b).

따라서 바람(W)이 불어서 깃발(F)의 형태를 알아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recognizing the shape of the flag F because the wind W blows.

결론적으로 바람(W)이 불어옴에 따라 고정회전모듈(200)가 회전하면서 바람(W)에 맞대응 하지 않고 회전되게 된다.As a result, as the wind W blows, the stationary rotation module 200 rotates without being adjusted to the wind W as it rotates.

또한 고정회전모듈(200)을 중심으로 깃발(F)과 게양부(400)가 함께 회전하게 되어 줄꼬임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Also, the flag F and the hoisting part 400 are rotated together with the fixed rotation module 200 as a center, so that the twist is not generated.

여기서 바람(W)에 의해 고정회전모듈(20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고정회전모듈(200)와 게양줄(440)로 연결되는 승강부(300) 또한 함께 이동할 수 있다.Here, when the fixed rotation module 20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wind W, the elevation part 300 connected to the fixed rotation module 200 and the rising rope 440 can also move together.

이와 같은 형태로 깃발(F)에 바람(W)이 불어오면서 깃발(F)과 함께 게양부(400) 및 고정회전모듈(200)가 함께 회전되어 줄꼬임이 발생되지 않고 장비에 손상을 가하지 않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In this manner, as the wind W blows on the flag F, the lifting unit 400 and the fixed rotation module 200 are rotated together with the flag F so that the twist does not occur and the equipment is not damaged .

다음 고정회전모듈(200)가 승강되는 모습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as to how the stationary rotating module 200 is moved up and down.

도 7에서 승강부(300)가 고정회전모듈(20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깃대(100)의 외측에서는 깃발(F)이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7, the elevation part 3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xed rotation module 200 and the flag F is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outside of the flag 100. [

승강부(300)와 깃발(F)은 게양줄(440)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부(300)의 승강에 대응하여 깃발(F)이 승강하게 된다.The flag F is raised or lowered in response to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section 300 because the ascending / descending section 300 and the flag F are connected by the ascending line 440.

여기서 승강부(300)는 상부에 고정회전모듈(200)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는 위치가 제한되고, 이 때 깃발(F)은 완전하게 하강 되어 있다.Here, the elevation part 300 is restricted in its upper position by the fixed rotation module 200, and the flag F is completely lowered at this time.

그리고 깃발(F)의 위치에 따라 승강부(300)에서 연장된 승강줄(360)을 고정홀(140)에 고정하여 깃발(F)을 정지시켜서 게양되는 상황에 맞춰 깃발(F)을 손쉽게 게양할 수 있다.The flag F is fixed by fixing the lifting rope 360 extending from the lifting unit 300 to the fixing hole 14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lag F so that the flag F can be easily hoisted can do.

계속해서 깃대(100)의 외부에는 무게추(Z)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부(300)는 상부로 올라가게 된다.Since the weights Z ar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flagpole 100, the elevation part 300 is raised to the upper part.

그리고 승강부(300)에 결합된 승강줄(360)을 통해 승강부(300)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깃발(F)은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lifting unit 300 is moved downward through the lifting rope 360 coupled to the lifting unit 300, the flag F moves upwar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300)가 하부로 이동됨에 따라 깃발(F)이 상부로 이동한다.As shown in FIG. 7, as the lifting unit 300 is moved downward, the flag F moves upward.

이 때 깃발(F) 하부에 연장된 게양줄(440)은 무게추(Z)를 관통하여 깃대(10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hoisting ropes 440 extending under the flags F are provided in such a manner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flagpoles 100 through the weights Z.

따라서 깃대(100)의 이동에 대응하여 깃대(100)의 둘레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periphery of the flagpole 100 in correspondence with the movement of the flagpole 100.

계속해서 승강부(300)가 하강하게 되어 깃발(F)이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되면, 승강줄(360)을 고정홀(140)에 고정한다.When the flag F is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descent of the lifting unit 300, the lifting strap 360 is fixed to the fixing hole 140.

깃발(F)을 게양하기 위해 사용자가 깃대(100) 외부에서 승강줄(360)을 당겨서 게양할 수도 있고, 별도의 와인딩 모터(WINDING MOTOR)(미도시)에 결합되어 깃발(F)을 승강 시킬 수 있다.In order to lift the flag F, the user may lift the lifting rope 360 from the outside of the flagpole 100 and may lift the flag F by being coupled to a separate WINDING MOTOR (not shown) .

따라서 상기 와인딩모터에 의해 깃발(F)이 게양 또는 하강 될 수 있다.Thus, the flag F can be lifted or lowered by the winding motor.

다음 도 9 및 도 10을 통해 승강부(300)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9 and 10, the structure of the lifting unit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발게양대에서 승강부(300)룰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깃발게양대에서 승강부(300)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a lifting unit 300 in a flag lifting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lifting unit 300 in a flag lifting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3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둘레의 일부에 이동홀(340)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lifting unit 3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moving hole 340 is formed in a part of the periphery.

그리고 승강부(300)의 내부에 제1관통홀(220)을 관통한 게양줄(440)이 삽입 고정된다.A lifting rope 440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20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lifting portion 300.

승강줄(360)은 이동홀(340)에 매듭되어 고정되고, 고정홀(140)에 고정되어 깃발(F)을 승강을 정지시킨다.The lifting and lowering line 360 is fixed to the moving hole 340 by being knotted and fixed to the fixing hole 140 to stop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flag F. [

승강부(300)는 이동홀(340)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elevating part 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moving holes 340.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홀(340)을 승강부(300)의 둘레에 별도의 판넬 형상의 판넬부재(370)가 결합되고, 상기 판넬부재(370)에는 복수의 이동홀(34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게양줄(440)이 승강부(300)를 관통하여 하부에서 매듭지어져 있다.10, a separate panel-shaped panel member 370 is coupled to the moving hole 340 around the elevating part 300, and a plurality of moving holes 340 are formed in the panel member 370 Respectively. The hoisting rope 440 passes through the elevating portion 300 and is knotted at the bottom.

이와 같이 승강부(300)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게양줄(440)이 고정되어 고정회전모듈에서 제1관통홀(220)로 삽입되지 않는 체적을 가진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동홀(340)이 측면에 형성되어 고정홀(140)에 결합이 가능하다면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elevating part 30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s long as the hoisting rope 440 is fixed and has a volume not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220 in the fixed rotating module And the movable hole 340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and can be coupled to the fixing hole 14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and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깃대
120: 개구부
140: 고정홀
160: 수용공간
200: 고정회전모듈
220: 제1관통홀
240: 캡
260: 회전결합부재
262: 베어링
264: 걸림돌기
280: 고정부재
300: 승강부
320: 제2관통홀
340: 이동홀
360: 승강줄
370: 판넬부재
400: 게양부
420: 도르래
422: 연장부재
440: 게양줄
R: 고리부재
W: 바람
F: 깃발
Z: 무게추
M: 와인딩모터
100: Flagstaff
120: opening
140: Fixing hole
160: reception space
200: Fixed rotation module
220: first through hole
240: cap
260:
262: Bearings
264:
280: Fixing member
300:
320: second through hole
340: moving hole
360: lifting and lowering line
370: Panel member
400:
420: Pulley
422: extension member
440: Hoist line
R: ring member
W: Wind
F: Flag
Z: weight weight
M: Winding motor

Claims (11)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연통하는 고정홀이 형성된 깃대;
상기 깃대의 상단에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가능하게 착탈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깃대의 둘레방향으로 따라 회전하는 고정회전모듈;
상기 깃대의 상부에서 상기 고정회전모듈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도르래와, 길게 형성되어 상기 깃대 외부에서 깃발이 고정되고 상기 도르래를 경유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되는 게양줄을 포함하는 게양부; 및
상기 게양줄이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승강되고, 상기 고정회전모듈과 접촉되면서 상기 깃발이 하기 되는 위치를 제한하는 승강부;
를 포함하는 깃발 게양대.
A flagpole formed to be long and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having a fix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A stationary rotating module rotatably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lagpole with a rotating shaft and rotated at least partial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lagpole by an external force;
A hoisting portion coupled to the fixed rotation module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lagpole and rotated together therewith; a hoisting portion formed of a long hoist, the hoist portion having a flag fixed outside the flagpole and received in the receiving space via the sheath; And
A lifting portion for lifting the lifting rope within the accommodating space with the hoisting rope fixed and restricting the position where the flag is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xed rotating module;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회전모듈은,
상기 깃대 상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캡; 및
상기 캡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깃대 단부와 억지끼움 되도록 돌기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캡과 연결되는 베어링이 구비되는 회전결합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결합부재와 상기 깃대는 나사 결합되는 깃발 게양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rotation module includes:
A cap coupled to surround the top of the flagpole; And
A rotatable engaging member provided inside the cap and formed with a protrusion for interference with the end of the flag, and a bearing connected to the cap,
/ RTI >
Wherein the rotating coupling member and the flagpole are screwed toge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회전모듈은,
상부에 상기 게양줄이 삽입되는 제1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관통홀은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편심되어 형성되는 깃발 게양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rotation module includes:
And a first through hole into which the hoisting rope is inserted, wherein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eccentricity about the rotating shaft along a vertical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고정회전모듈 하부에서 승강되게 구비되고, 중심부에 상기 제1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게양줄이 관통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는 깃발 게양대.
The method of claim 3,
The elevating unit includes:
Wherein a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fixed rotation module so as to pas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부를 상기 고정홀에 고정시키도록 둘레의 일부에 적어도 하나의 이동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발 게양대.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levating unit includes:
And at least one moving hole is formed in a part of the periphery so as to fix the elevation portion to the fixing ho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부를 상기 고정홀에 고정시키도록 둘레의 일부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이동홀이 형성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하는 깃발 게양대.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levating unit includes:
And a moving member formed with a plurality of moving holes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part of the periphery so as to fix the elevation portion to the fixing hole.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길게 형성되어 단부가 상기 이동홀에 고정되고, 일부가 상기 고정홀에 고정되는 승강줄을 포함하는 깃발 게양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The elevating unit includes:
And a lifting bar which is elongated and has an end fixed to the moving hole and a part fixed to the fixing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양부는,
외부에 별도의 와인딩모터(WINDING-MOTOR)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홀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 상기 게양줄의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깃발이 승강되도록 제어하는 깃발 게양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above-
A separate winding motor is provided on the outside,
And an end of the hoisting rope extending outward through the fixing hole is coupled to control the flag to be lifted or lowe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양부는,
단부에 상기 깃대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의 링 형상의 고리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고리부재는 상기 깃발의 게양에 대응하여 깃대의 길이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깃발 게양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above-
Wherein a ring-shaped annular member is formed at an end portion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flagpole, and the annular member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agpole corresponding to the hoist of the fla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재는,
상기 깃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게양줄이 외력에 의해 흔들리는 것 제한하는 깃발 게양대.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ring member comprises:
And a flag stoppe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lagpole to restrict the hoop chain from being shaken by an external for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게양부는,
상기 게양줄 팽창시키도록 상기 고리부재와 상기 깃발 하부 사이에 무게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발 게양대.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above-
And a weight is added between the loop member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lag to inflate the hoisting line.
KR1020170153555A 2017-11-17 2017-11-17 Flagpole to reduce flag tangles KR1020411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555A KR102041113B1 (en) 2017-11-17 2017-11-17 Flagpole to reduce flag tang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555A KR102041113B1 (en) 2017-11-17 2017-11-17 Flagpole to reduce flag tang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517A true KR20190056517A (en) 2019-05-27
KR102041113B1 KR102041113B1 (en) 2019-11-27

Family

ID=66679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555A KR102041113B1 (en) 2017-11-17 2017-11-17 Flagpole to reduce flag tang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11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874Y1 (en) 2021-09-29 2024-03-20 강영광 Shamanic Obanggi that prevents twist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6655A (en) * 1999-08-19 2001-02-27 Saito Tekko Kk Hoisting device
US20070006794A1 (en) * 2003-06-20 2007-01-11 Paul Swenson Halyard system for a flag pole
CN101781943A (en) * 2010-01-19 2010-07-21 深圳市红门科技股份有限公司 Flag hoisting and lowering mechanism of flag po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6655A (en) * 1999-08-19 2001-02-27 Saito Tekko Kk Hoisting device
US20070006794A1 (en) * 2003-06-20 2007-01-11 Paul Swenson Halyard system for a flag pole
CN101781943A (en) * 2010-01-19 2010-07-21 深圳市红门科技股份有限公司 Flag hoisting and lowering mechanism of flag po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113B1 (en)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6517A (en) Flagpole to reduce flag tangles
US4286722A (en) Container loading crane with rotatable hoisting frame
JP2000229772A5 (en)
KR101033695B1 (en) Flag hoisting unit
JP2009084922A (en) Banner/flag hoisting device
CN109319700A (en) A kind of telescopic device and lifting device
US20180093871A1 (en) Load Securing Pulley System
KR20190011149A (en) The Flag Pole Of The Rotating Type
JP3143275U (en) Flagpole
JP5331539B2 (en) Derrick for steel tower assembly and dismantling
US4234165A (en) Luminaire lowering device
CN113493166A (en) Hoisting device
KR101883270B1 (en) Expansion Unit for Anti-rolled of Flag and Flagpole Having The Same
CN117023429B (en) Folding-preventing device for rocker arm holding pole
KR102537937B1 (en) Flag hanging device
CN212503693U (en) Tower crane is attached to ann and is torn open hoisting accessory
CN216471888U (en) Lifting structure of underwater prying block
JP3184619U (en) Solar shading device
CN219194305U (en) Hoist and mount self-traction ware and lifting device
CN218498682U (en) Lifting support insulation device for connecting wires during extra-high voltage alternating current-direct current insulation test
JP3136485B2 (en) Net lifting method and device
KR200258109Y1 (en) Shaft for hoist a flag
CN220376173U (en) Portal crane with underneath-arranged cable drum
CN220339430U (en) Deep well environment detection device
CN102864962B (en) Rotary derrick c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