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6105A - Sound Absorbing Material With Multilayered Structure - Google Patents

Sound Absorbing Material With Multilayered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6105A
KR20190056105A KR1020170153192A KR20170153192A KR20190056105A KR 20190056105 A KR20190056105 A KR 20190056105A KR 1020170153192 A KR1020170153192 A KR 1020170153192A KR 20170153192 A KR20170153192 A KR 20170153192A KR 20190056105 A KR20190056105 A KR 20190056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slice
base
absorbing material
sound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1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83629B1 (en
Inventor
권재경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에이에스 filed Critical (주)제이에이에스
Priority to KR1020170153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629B1/en
Publication of KR20190056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1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6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57Solid slabs or blocks
    • E04B2001/8461Solid slabs or blocks layered
    • E04B2001/8471Solid slabs or blocks layered with non-planar interior transition surfaces between layers, e.g. faceted, corrug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absorbing material of a multilayered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ound absorbing material of a multilayered structure which is installed on an indoor wall to attenuate various frequencies, stacks one or more pieces of slice foam to form a concave portion and a convex portion on the front to increase an aesthetic sense and acoustic absorption coefficient, and can be easily exchanged when a portion is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allows one end thereof to be affixed to an indoor wall, has a protruding portion and a concave portion in front thereof, is formed into a single body, and comprises: base foam wherein protruding portions and concave portions with an inclined surface on the front are separated at regular intervals; first slice foam stack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s of the base foam; second slice foam stack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lice foam; and an adhesive layer formed between the base foam and the first slice foam and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slice foam.

Description

다층구조의 흡음재{Sound Absorbing Material With Multilayered Structure}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Absorbing Material with Multilayered Structure

본 발명은 다층구조의 흡음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벽면에 설치되어 다양한 주파수를 감쇄시키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 폼을 적층시켜 전방에 오목부와 돌출부를 형성하여 미적감 및 흡음계수를 증대하고, 외부의 충격에 인한 부분파손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다층구조의 흡음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absorbing material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und absorbing material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which is provided on an inner wall surface to attenuate various frequencies to laminate one or more slice foams to form a concave portion and a protruding portion in front, To a sound absorbing material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replaced when a partial breakage due to an external impact occurs.

흡음재(吸音材)란, 소리를 흡수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건축재료로, 구조에 따라 다공질 흡음재와 판상(板狀) 흡음재로 구분된다. Sound absorbing material (sound absorbing material) is a building material used for absorbing sound, and it is divided into a porous sound absorbing material and a plate sound absorbing material according to its structure.

상기 다공질 흡음재는 표면과 내부에 미세한 기포(氣泡) 또는 미세관(管) 모양의 구멍이 형성되고, 이와 같은 구멍 내부의 공기가 음파에 의해 진동하여 생긴 마찰 때문에 소리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흡수된다.The porous sound-absorbing material has fine bubbles or fine-tube-shaped holes formed on its surface and inside, and the sound energy is converted into heat energy and absorbed due to the friction caused by the air inside the holes being vibrated by the sound waves .

그리고 상기 판상 흡음재는, 음파가 판을 진동시키면서 소리에너지를 소모함으로써 흡음 효과를 얻는다.The plate-like sound absorbing material obtains a sound absorbing effect by consuming sound energy while the sound waves vibrate the plate.

한편 이와 같은 흡음재는, 흡음 성능의 확보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솜이나 펄프를 주재료로 하여 제작된다. 그리고 솜이나 펄프와 같은 재료를 바인더, 난연재, 방수재, 방청재 등과 같은 혼화재(混和材)를 첨가한 후, 소정의 형상 및 크기로 성형 및 절단하여 패널의 형태로 사용한다.On the other hand, such a sound-absorbing material is generally made of cotton or pulp as a main material in order to secure a sound-absorbing performance. Then, a material such as cotton or pulp is mixed with an admixture such as a binder, a flame retardant, a waterproofing material, an anti-rust material, etc., and then formed and cut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size to be used in the form of a panel.

이와 같은 종래의 흡음재는 열가소성 페트(PET,Polyethyleneterephtalate)수지로 1이하의 밀도를 이루게 성형한 육면 입체물의 흡음 단열용 몸체(Body)(12) 및Such a conventional sound absorbing material is a body 12 for sound insulation and heat insulation of a six-sided solid body molded to have a density of 1 or less with a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상기 몸체(12)의 어느 표면이 열가소성으로 인한 상의 변화로 그 부위의 잔류보풀이 제거되고 타 부위와는 차별되는 강도를 갖는 동시에 육안으로 식별가능한 엠보싱 무늬를 갖는 평탄면으로 이루어진 무늬를 갖는 흡음단열재(10)이다. Wherein the surface of the body (12) is made of a flat surface having an embossed pattern that is visually identifiable and has a strength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portions, (10).

상기와 같이 단일형태의 흡음단열재는 환경 및 다양한 주파수가 발생시 흡음률이 떨어지고 일부분이 파손시 교체할 수 부분교체가 불가능하여 수리비용이 증대함과, 사용자의 다양한 형상을 요구시 쉽게 교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ingle type sound-absorbing thermal insulator has a problem that the sound absorption rate is low when the environment and various frequencies are generated, the part can not be replaced when it is damaged, and the repair cost is increased, .

대한민국 특허 제0415253호.Korean Patent No. 0415253.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주파수를 감쇄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 폼을 적층시켜 전방에 오목부와 돌출부를 형성하여 미적감 및 흡음률을 증대하고, 외부의 충격에 인한 부분파손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다양한 형상을 요구시 쉽게 변형할 수 있는 다층구조의 흡음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und absorbing device and a sound absorbing device, which are capable of attenuating various frequencies by laminating at least one slice foam, And to provide a sound absorbing material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which can be easily changed when a partial breakage due to an external impact is caused and can be easily deformed when various shapes of the user are required.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벽면에 일단이 접착되고 이의 전방에 돌출부와 오목부를 구비하며 단일체로 형성된 흡음재에 있어서, 전방에 경사면이 구비된 돌출부와 오목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베이스 폼과 상기 베이스 폼의 돌출부 상부에 적층되는 제1슬라이스 폼과 상기 제1슬라이스 폼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슬라이스 폼과 상기 베이스 폼과 제1슬라이스 폼 사이와 제1슬라이스 폼과 제2슬라이스 폼 사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흡음재에 의해 달성된다.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lso achieved by a sound absorbing material formed as a single body having a protruding portion and a concave portion at one end thereof adhered to a wall of an interior of the room and having a protruding portion provided with an inclined surface forwardly and a base foam having a concave portion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first slice foam laminated on the top of the protrusion of the base foam, a second slice foam laminated on top of the first slice foam, and an adhesive layer between the base foam and the first slice foam, and between the first slice foam and the second slice foam,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또한, 상기 제1슬라이스 폼은 상기 베이스 폼의 돌출부 넓이와 제2슬라이스 폼의 하부 넓이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폼의 홈부 중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lice foam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protrusion of the base foam and the width of the second slice foam,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groove of the base foam.

또한, 상기 제1슬라이스 폼의 통공 내주면에는 다수의 엠보싱 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embossing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slice foam.

또한, 상기 베이스 폼의 홈부 중심부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결착되어 주파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분할유도슬라이스 폼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split induction slice foam having an insertion groov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a groove portion of the base foam and being fixed to the insertion groove to project a frequency so as to inject a frequency.

또한, 상기 베이스 폼, 제1슬라이스 폼, 제2슬라이스 폼은 수지 발포체, 글라스울 및 락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ase foam, the first slice foam, and the second slice foam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 resin foam, a glass wool, and a lacquer.

또한, 상기 베이스 폼, 제1슬라이스 폼, 제2슬라이스 폼의 밀도는 각각 서로 다른 밀도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다층구조의 흡음재. Further, the density of the base foam, the first slice foam, and the second slice foam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베이스 폼, 제1슬라이스 폼, 제2슬라이스 폼의 밀도(kg/㎥)는 각각이 서로 다른 밀도(kg/㎥)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ensity (kg / m 3) of the base foam, the first slice foam, and the second slice foam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density (kg / m 3).

또한, 상기 베이스 폼의 밀도는 62~80kg/㎥로 형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스 폼의 밀도는 40~62kg/㎥로 형성되며 상기 제2슬라이스 폼의 밀도는 22~36kg/㎥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ensity of the base foam is 62 to 80 kg / m 3, the density of the first slice foam is 40 to 62 kg / m 3, and the density of the second slice foam is 22 to 36 kg / m 3 .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층구조의 흡음재는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 친화적이며 자기소화성, 재활용 등 우수한 성능을 지닌 재료로서, 장시간 노출되어도 풍화되지 않으며, 다양한 주파수를 감쇄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 폼을 베이스 폼에 적층시켜 전방에 오목부와 돌출부를 형성하여 미적감 및 흡음률을 증대하고, 상기 베이스 폼의 상부에 적층되는 슬라이스 홈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쉽게 변형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has excellent performance such as self-extinguishing property and recycling.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not weathered even when exposed for a long tim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cave portion and a protruding portion at the front to increase the aesthetic feeling and the sound absorption rate and to easily provide the slice grooves stacked on the base foam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user.

또한, 슬라이스 다층구조의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부분파손시 그 일부분을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lice multilayer structure is formed, when a partial breakage is caused by an external impact, a part of the slice multilayer structure can be easily replaced.

도 1은 종래의 흡음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층구조의 흡음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층구조의 흡음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4b는 본 발명의 제2슬라이스 폼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5a는 본 발명의 제1슬라이스 폼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5b는 도 5a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다층구조의 흡음재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다층구조의 흡음재를 나타낸 실시예.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ound absorbing material;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und absorbing material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ound absorbing material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and 4b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slice foam of the present invention.
5A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slice fo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nother embodiment of Figure 5a.
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of the multilay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ound absorbing material of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적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to ordinary or private meaning,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 of the term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층구조의 흡음재(1)는 실내 벽면에 일단이 접착되고 이의 전방에 돌출부와 오목부를 구비하며 단일체로 형성된 흡음재에 있어서, 전방에 경사면(13)이 구비된 돌출부(12)와 오목부(14)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베이스 폼(10)과 상기 베이스 폼(10)의 돌출부(12) 상부에 적층되는 제1슬라이스 폼(20)과 상기 제1슬라이스 폼(20)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슬라이스 폼(30)과 상기 베이스 폼(10)과 제1슬라이스 폼(20) 사이와 제1슬라이스 폼(20)과 제2슬라이스 폼(30) 사이에는 접착층(4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As shown in FIGS. 2 to 3,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one end bonded to an inner wall surface and a protruding portion and a concave portion in front of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1, A first slice foam 20 stacked on the protrusions 12 of the base foam 10 and a base foam 10 formed by spacing the protrusions 12 and the recesses 14 at regular intervals; A second slice foam 30 stacked on top of the first slice foam 20 and a second slice foam 30 between the base foam 10 and the first slice foam 20 and between the first slice foam 20 and the second slice foam 30 And an adhesive layer 40 is formed therebetween.

상기 베이스 폼(10)과 제1슬라이스 폼(20) 사이와 제1슬라이스(20) 폼과 제2슬라이스 폼(30) 사이에는 접착층은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아크릴계수지. 실리콘 계 수지 또는 에폭시계 수지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 가압할 수 있다. Between the base foam 10 and the first slice foam 20 and between the first slice foam 20 and the second slice foam 30, the adhesive layer is made of acrylic resin to improve the adhesive strength. An adhesive such as a silicone-based resin or an epoxy-based resin may be used and pressure may be applied if necessary.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층구조의 흡음재(1)는 베이스 폼(10)의 돌출부(12)에 제1슬라이스 폼(20)이 적층되고 상기 제1슬라이스 폼(20)의 상부에 제2슬라이스 폼(30)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제1슬라이스 폼(20)은 상기 베이스 폼(10)의 경사면(13)과 대응되어 사다리꼴로 형성되고 제2슬라이스 폼(30)은 원뿔형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인 형상이 가장 널리 사용되는 계란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ultilayer structure in which a first slice foam 20 is laminated on a protrusion 12 of a base foam 10 and a second slice foam 20 is formed on the first slice foam 20 The first slice foam 20 is formed to have a trapezoid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loped surface 13 of the base foam 10 and the second slice foam 30 has a conical shap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in the form of an egg plate which is widely us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층구조의 흡음재(1)는 베이스 폼(10)의 돌출부(12)에 제1슬라이스 폼(20)이 적층되고 상기 제1슬라이스 폼(20)의 상부에 제2슬라이스 폼(30)이 적층되어 이루어져 전방부분이 파손시 파손된 일부분만을 부분교체하여 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1 of the multi-lay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irst slice foam 20 laminated on the protruding portion 12 of the base foam 10 and the second slice foam 20 on the first slice foam 20, (30) are laminated so that only a part of the front part, which is broken at the time of breakage, can be partially replaced and repaired.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층구종의 흡음재(1)는 베이스 폼(10)에 제1슬라이스 폼(20)과 제2슬라이스 폼(30)이 적층하여 계란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양한 환경 및 사용자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하여 흡음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슬라이스 폼(20)과 제2슬라이스 폼(30)이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최상에 설치되는 제2슬라이스 폼(30)이 둥근형, 별모형, 삼각형 등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미적감을 증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1 of the multi-layer ty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in the form of an egg plate by stacking the first slice foam 20 and the second slice foam 30 on the base foam 10, The first slice foam 20 and the second slice foam 30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slice foam 30 (see FIG. 4A) and the second slice foam 30 ) This round, star, triangle, etc. can increase the aesthetic sense in various shapes.

이와 같이 상기 제2슬라이스 폼(30)이 미적감을 증대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흡음을 증대하기 위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라이스 폼(20)은 상기 베이스 폼(10)의 돌출부(12) 넓이와 제2슬라이스 폼(30)의 하부 넓이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폼(10)의 오목부(14) 중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24)이 형성되어 이루어져 주파수 음이 상기 제1슬라이스 폼(20)의 통공(24)으로 유입되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주파수가 흡음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더욱더 주파수를 산란하여 흡음될 수 있도록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슬라이스 폼(20)의 통공(24) 내부면에는 다수의 엠보싱 돌기(22)가 형성되어 이루어져 주파수의 산란을 증대하여 흡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second slice foam 3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o increase the aesthetic sense. 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sound absorption, the first slice foam 20 may be formed as a protrusion of the base foam 10, (24)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cave portion (14) of the base foam (10) The first slice foam 20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frequency to be absorbed without flowing into the through hole 24 of the first slice foam 20 and flowing out to the outside. Further, as shown in FIG. 5B, A plurality of embossing projections 22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4 of the foam 20 to increase the scattering of the frequency,

상기와 같이 상기 제2슬라이스 폼(30)에 통공(24)과 엠보싱 돌기(22)에 의해 주파수를 흡음토록 하고 있으나 보다 주파수를 분산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폼(10)의 오목부(14) 중심부에 삽입홈(14-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4-2)에 결착되어 주파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분할유도슬라이스 폼(5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6, the frequency of the frequency is absorbed by the through hole 24 and the embossing protrusion 22 in the second slice foam 30 as described above. However, as shown in FIG. 6, And a split induction slice foam 50 protruding forward so as to inject a frequency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4-2 with an insertion groove 14-2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ncave portion 14 .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 폼(10)에 분할유도슬라이스 폼(50)이 더 구비되거나 상기 제1슬라이스 폼(20)에 통공(24)과 엠보싱 돌기(22)가 형성되어 용이하게 주파수를 흡음할 수 있으나 보다 흡음재 설치환경 및 다양한 주파수에 따라 적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폼(10), 제1슬라이스 폼(20), 제2슬라이스 폼(30)은 수지 발포체, 글라스울 및 락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split-induction slice foam 50 is further provided on the base foam 10 or the through-hole 24 and the embossing protrusion 22 are formed on the first slice foam 20, The first slice foam 20, and the second slice foam 30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 resin foam, a glass wool, and a lacquer so that the base foam 10, the first slice foam 20, and the second slice foam 30 can be applied to a sound-

즉, 상기 베이스 폼(10), 제1슬라이스 폼(20), 제2슬라이스 폼(30)은 수지 발포체, 부직포, 직포, 글라스울 및 락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폼(10)에 적층되는 구조로써 흡음재 설치환경 및 다양한 주파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적층할 있어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at is, the base foam 10, the first slice foam 20, and the second slice foam 30 are formed of a resin foam, a nonwoven fabric, a woven fabric, a glass wool, and a lacquer to be laminated on the base foam 1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by selectively stacking the user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and various frequencies.

상기와 같이 상기 베이스 폼(10)에 적층되는 제1슬라이스 폼(20)과 제2슬라이스 폼(30)이 보다 다양한 주파수의 흡음률을 더욱더 증대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폼(10), 제1슬라이스 폼(20), 제2슬라이스 폼(30)의 밀도(kg/㎥)는 각각이 서로 다른 밀도(kg/㎥)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slice foam 20 and the second slice foam 30 laminated on the base foam 10 can be further improved in the sound absorption ratio of the base foam 10 and the first slice foam 30, (Kg / m < 3 >) of the second slice foam 20 and the second slice foam 30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densities (kg / m < 3 >

즉, 상기 베이스 폼(10), 제1슬라이스 폼(20), 제2슬라이스 폼(30)의 밀도(kg/㎥)는 각각이 서로 다른 밀도(kg/㎥)로 형성되어 고, 중, 저 주파수가 발생되는 다양한 환경에서 주파수를 흡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at is, the density (kg / m3) of the base foam 10, the first slice foam 20, and the second slice foam 30 are respectively set to different densities (kg / m3)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requency can be absorbed in various environments where the frequency is generated.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 폼(10), 제1슬라이스 폼(20), 제2슬라이스 폼(30)의 밀도(kg/㎥)가 각각 다른 밀도(kg/㎥)로 구성시 상기 베이스 폼의 밀도(kg/㎥)는 62~80㎥로 형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스 폼의 밀도(kg/㎥)는 40~62kg/㎥로 형성되며 상기 제2슬라이스 폼의 밀도(kg/㎥)는 22~36kg/㎥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density (kg / m3) of the base foam 10, the first slice foam 20 and the second slice foam 30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kg / m3), the density (kg (Kg / m 3) of the first slice foam is in the range of 40 to 62 kg / m 3 and the density (kg / m 3) of the second slice foam is in the range of 22 to 36 kg / As shown in Fig.

즉, 베이스 폼(10) 위로 갈 수 있도록 저밀도 형성되어 다양한 주파수를 단계별로 흡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at is, it is formed at a low density so as to go over the base foam 10, so that various frequencies can be absorbed in stages.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층구조의 흡음재는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 친화적이며 자기소화성, 재활용 등 우수한 성능을 지닌 재료로서, 장시간 노출되어도 풍화되지 않으며, 다양한 주파수를 감쇄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 폼을 베이스 폼에 적층시켜 전방에 오목부와 돌출부를 형성하여 미적감 및 흡음률을 증대하고, 상기 베이스 폼의 상부에 적층되는 슬라이스 홈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쉽게 변형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has excellent performance such as self-extinguishing property and recycling.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not weathered even when exposed for a long tim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cave portion and a protruding portion at the front to increase the aesthetic feeling and the sound absorption rate and to easily provide the slice grooves stacked on the base foam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user.

또한, 슬라이스 다층구조의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부분파손시 그 일부분을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lice multilayer structure is formed, when a partial breakage is caused by an external impact, a part of the slice multilayer structure can be easily replaced.

1 : 다층구조의 흡음재
10 : 베이스 폼 12 : 돌출부
13 : 경사면 14 : 오목부
14-2 : 삽입홈
20 : 제1슬라이스 폼 22 : 엠보싱 돌기
24 : 통공
30 : 제2슬라이스 폼
40 : 접착층
50 : 분할유도슬라이스 폼
1: Sound absorbing material of multi-layer structure
10: base foam 12:
13: inclined surface 14: concave portion
14-2: insertion groove
20: first slice foam 22: embossing projection
24: Through hole
30: second slice foam
40: adhesive layer
50: Split induction slice foam

Claims (7)

실내 벽면에 일단이 접착되고 이의 전방에 돌출부와 오목부를 구비하며 단일체로 형성된 흡음재에 있어서,
전방에 경사면이 구비된 돌출부와 오목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베이스 폼과;
상기 베이스 폼의 돌출부 상부에 적층되는 제1슬라이스 폼과;
상기 제1슬라이스 폼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슬라이스 폼과;
상기 베이스 폼과 제1슬라이스 폼 사이와 제1슬라이스 폼과 제2슬라이스 폼 사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흡음재.
1. A sound absorbing material formed as a single body having one end attached to an inner wall surface and a protruding portion and a recessed portion in front of the inner wall surface,
A base foam having protrusions provided with inclined surfaces in front and recesse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first slice foam laminated on the protrusion of the base foam;
A second slice foam stacked on top of the first slice foam;
And an adhesive layer is formed between the base foam and the first slice foam and between the first slice foam and the second slice foa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스 폼은 상기 베이스 폼의 돌출부 넓이와 제2슬라이스 폼의 하부 넓이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폼의 홈부 중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흡음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lice foam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protrusion width of the base foam and the lower width of the second slice foam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groove portion of the base foa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스 폼의 통공 내주면에는 다수의 엠보싱 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흡음재.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plurality of embossing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slice foa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폼의 홈부 중심부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결착되어 주파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분할유도슬라이스 폼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흡음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plit induction slice foam having an insertion groov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a groove portion of the base foam and being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to project a frequency so as to eject the frequenc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폼, 제1슬라이스 폼, 제2슬라이스 폼은 수지 발포체, 글라스울 및 락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흡음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foam, the first slice foam, and the second slice foam are made of a resin foam, a glass wool, and a lacqu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폼, 제1슬라이스 폼, 제2슬라이스 폼의 밀도는 각각이 서로 다른 밀도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흡음재.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ensity of the base foam, the first slice foam, and the second slice foam are respectively formed at different densiti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폼의 밀도는 62~80kg/㎥로 형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스 폼의 밀도는 40~62kg/㎥로 형성되며 상기 제2슬라이스 폼의 밀도는 22~36kg/㎥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흡음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ensity of the first slice foam is formed to be 40 to 62 kg / m 3, and the density of the second slice foam is formed to be 22 to 36 kg / m 3. A sound absorbing material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KR1020170153192A 2017-11-16 2017-11-16 Sound Absorbing Material With Multilayered Structure KR1020836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192A KR102083629B1 (en) 2017-11-16 2017-11-16 Sound Absorbing Material With Multilayered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192A KR102083629B1 (en) 2017-11-16 2017-11-16 Sound Absorbing Material With Multilayered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105A true KR20190056105A (en) 2019-05-24
KR102083629B1 KR102083629B1 (en) 2020-03-02

Family

ID=66680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192A KR102083629B1 (en) 2017-11-16 2017-11-16 Sound Absorbing Material With Multilayered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62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606U (en) * 1993-06-14 1995-01-24 株式会社田原工務店 Sound absorbing wedge
KR100189343B1 (en) * 1995-12-29 1999-06-01 유관철 A porous sound-absorbing panel
KR20010095002A (en) * 2001-03-24 2001-11-03 김황봉 A sound absorption for room
KR100415253B1 (en) 2001-11-10 2004-01-16 고두헌 Sound Absorption And Insulating Material With a pattern
KR200346790Y1 (en) * 2003-11-27 2004-04-08 이근영 Sound absorption block that have multilayer struc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606U (en) * 1993-06-14 1995-01-24 株式会社田原工務店 Sound absorbing wedge
KR100189343B1 (en) * 1995-12-29 1999-06-01 유관철 A porous sound-absorbing panel
KR20010095002A (en) * 2001-03-24 2001-11-03 김황봉 A sound absorption for room
KR100415253B1 (en) 2001-11-10 2004-01-16 고두헌 Sound Absorption And Insulating Material With a pattern
KR200346790Y1 (en) * 2003-11-27 2004-04-08 이근영 Sound absorption block that have multilayer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629B1 (en)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824B1 (en) The sound-absorbing panel
JP5531343B2 (en) Partition panel
CN2911069Y (en) Honeycomb-rib type sound gobo
JP6379413B2 (en) Sound absorption panel using core material and perforated board material
KR100744973B1 (en) Assembly bottom panel of building
KR101322038B1 (en) System for absorbing sound
KR20190056105A (en) Sound Absorbing Material With Multilayered Structure
CN211080635U (en) Sound insulation wave absorbing plate
KR101838718B1 (en) Panel vibration type sound absorptive material
CN102737627B (en) Low-frequency noise-reduction compound template with reverse quadratic residue diffusion structure
KR101410045B1 (en) Micro perforated board using sound-absorbing material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400107Y1 (en) The sound-absorbing panel
JP6944057B2 (en) Laminate
CN219973764U (en) Sound absorbing plate based on ultra-microporous structure
CN212765189U (en) Music broadcast sound-proof structure
CN211312908U (en) Metal sound absorption board structure
KR20110013860A (en) Double sandwich panel for use of sound absorbing
KR200490900Y1 (en) Sound proof panel
KR102495144B1 (en) Sound-absorbing panel capable of absorbing broadban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und-absorbing panel
JP6569968B2 (en) Sound absorption panel using core material
KR200312430Y1 (en) Sound-absorbing panel
JP3206319U (en) Architectural board
KR101322079B1 (en) Panel for absorbing sound
JP2021194869A (en) Laminate
KR200182668Y1 (en) Adiabatic and sound-absorbing material for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