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5991A - 복합 함상 발사대 - Google Patents

복합 함상 발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5991A
KR20190055991A KR1020170152934A KR20170152934A KR20190055991A KR 20190055991 A KR20190055991 A KR 20190055991A KR 1020170152934 A KR1020170152934 A KR 1020170152934A KR 20170152934 A KR20170152934 A KR 20170152934A KR 20190055991 A KR20190055991 A KR 20190055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sile
unit
gun
hull
launc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재훈
박도재
Original Assignee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2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5991A/ko
Publication of KR20190055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9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1/00Arrangements of guns or missile launchers;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3/00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 F41A23/24Turret gun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군사용 함선에 장착되는 복합 함상 발사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함상 발사대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 구동 가능한 포신을 가지고 탄환을 장전하여 표적에 발사하는 함포부와, 상기 함포부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함상에서 지지하는 함포 지지부와, 상기 함포부의 측면에 마련된 미사일 발사부, 그리고 상기 함포부에 결합되어 상기 미사일 발사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 구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미사일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 함상 발사대{COMPOUND NAVAL PROJECTILE}
본 발명은 군사용 함선에 장착되는 복합 함상 발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군사용 함선에는 다양한 무기의 함포가 여러대 장착된다. 함포는 근접거리의 적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하 방향으로 움직여 고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갑판 상에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함포는 제2차 세계 대전까지 군함의 주무기로서 함포의 구경, 관통력, 사거리 등의 성능이 함선의 장갑과 함께 전투의 승패를 결정하는 중요한 무기로 사용되어 왔다.
현대에 와서는 레이더와 미사일의 발달로 함포의 중요성이 점차 줄어들어 현재는 연안 경비, 자위 무기, 육상 지원, 대공 무기용으로 사용되는 중소구경의 작은 함포들이 주로 사용된다. 한편으로는 전자 기술의 발달로 함포의 정밀도, 발사속도, 및 사거리가 대폭 증가하였다.
그런데, 함포와 미사일은 별개로 배치되며, 별도의 인원으로 사격 및 발사를 통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포와 미사일을 별개로 운용함으로써, 함선의 공간 활용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운용 인력도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함포와 미사일 발사대가 복합된 복합 함상 발사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함상 발사대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 구동 가능한 포신을 가지고 탄환을 장전하여 표적에 발사하는 함포부와, 상기 함포부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함상에서 지지하는 함포 지지부와, 상기 함포부의 측면에 마련된 미사일 발사부, 그리고 상기 함포부에 결합되어 상기 미사일 발사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 구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미사일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미사일 발사부는 상기 함포부의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미사일 지지부는 상기 함포부의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된 상기 미사일 발사부의 발사 각도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함포 지지부는 상기 함포부를 지지하는 함포 지지 프레임과, 상기 함포 지지 프레임을 좌우 방향으로 선회시키기 위한 함포 회전축, 그리고 상기 함포 회전축에 회전 동력을 공급하는 함포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사일 지지부는 상기 미사일 발사부를 지지하는 미사일 지지 프레임과,상기 지지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미사일 회전축, 그리고 상기 미사일 회전축에 회전 동력을 공급하는 미사일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사일 지지부의 상기 미사일 구동 모터는 상기 함포부에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함상 발사대는 함포와 미사일 발사대를 복합적으로 함께 운용하여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함상 발사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함포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미사일 지지부가 미사일 발사부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미사일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미사일 지지부의 구동 모터가 함포부에 내장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척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함상 발사대(101)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함상 발사대(101)는 군사용 함선에 장착되어 포탄과 같은 발사체와 미사일을 발사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함상 발사대(101)는 함포부(200), 함포 지지부(300), 미사일 발사부(400), 및 미사일 지지부(500)를 포함한다.
함포부(200)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 구동 가능한 포신(210)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함포부(200)는 중소 구경을 갖는 속사포의 무기이며, 탄환을 장전한 후에 표적을 향하여 탄환을 발사하여 적의 인명 살상 및 전투함을 침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함포부(200)의 포신(210)은 약 30㎜의 구경을 가질 수 있으며, 대공, 대함, 및 상륙군에 대한 화력 지원 등의 다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함포부(200)는 자동 장전 장치를 사용해 발사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함포부(200)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장갑을 가질 수 있다. 즉, 함포부(200)는 후술할 함포 지지부(300), 미사일 발사부(400), 및 미사일 지지부(500) 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장갑으로 보호된다.
함포 지지부(300)는 함포부(200)를 좌우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함상에서 지지한다. 즉, 함포 지지부(300)는 함포부(200)가 표적에 대해 자유롭게 사격을 가할 수 있도록 함포부(200)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거치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포 지지부(300)는 함포부(200)를 지지하는 함포 지지 프레임(350)과, 함포 지지 프레임(350)을 좌우 방향으로 선회시키기 위한 함포 회전축(360), 그리고 함포 회전축(360)에 회전 동력을 공급하는 함포 구동 모터(370)를 포함할 수 있다.
함포 지지 프레임(350)의 상부에는 함포부(200)가 결합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함포 지지 프레임(350)에는 함포부(200)가 표적에 대하여 사격을 가할 때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여 함포부(200)가 보다 안정적인 사격을 할 수 있게 완충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앞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미사일 발사부(400)는 함포부(200)의 측면에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미사일 발사부(400)가 함포부(200)의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된다.
미사일 발사부(400)의 내부에는 미사일이 적재된다. 구체적으로, 미사일 발사부(400)의 내부에는 유도 미사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미사일이 적재될 수 있다. 미사일 발사부(400)의 내부에 적재된 미사일은 미사일 발사부(400)의 발사구가 개방되면서 발사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에서, 미사일 발사부(400)는 육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사일 발사부(400)는 다양한 형태의 다면체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미사일 지지부(500)는 함포부(200)에 결합되어 미사일 발사부(40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 구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미사일 지지부(500)는 함포부(200)의 좌우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미사일 발사부(400)의 발사 각도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함포부(200)의 좌측에 위치한 미사일 발사부(400)와 함포부(200)의 우측에 위치한 미사일 발사부(400)는 서로 다른 발사 각도를 가지고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사일 지지부(500)는 미사일 발사부(400)를 지지하는 미사일 지지 프레임(550)과, 지지 프레임(550)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미사일 회전축(560), 그리고 미사일 회전축(560)에 회전 동력을 공급하는 미사일 구동 모터(570)를 포함할 수 있다.
미사일 지지 프레임(550)의 상부에는 미사일 발사부(400)가 거치된다. 미사일 발사부(400)는 착탈 가능하게 미사일 지지 프레임(550)에 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미사일 발사부(400)가 보관 중인 미사일을 모두 발사한 후에는, 미사일 발사부(400) 전체를 교체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사일 발사부(400)가 미사일 지지 프레임(550)에 거치된 상태로, 미사일 발사부(400)의 내부에 새로운 미사일을 장전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미사일 지지부(500)의 미사일 구동 모터(570)는 함포부(200)에 내장될 수 있다.
함포부(200)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장갑을 가지므로, 미사일 구동 모터(570)를 함포부(200)에 내장시킴으로써, 교전 시 미사일 구동 모터(570)가 타격 받아 손상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즉, 교전 중 미사일 발사부(400)가 동작 불능 상태로 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함상 발사대(101)는 함포부(200)와 미사일 발사부(400)를 복합적으로 함께 운용하여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함포부(200)와 미사일 발사부(400)를 통합 운용하므로, 운용 인원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함선의 공간 활용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교전시 미사일 발사부(400)가 동작 불능 상태로 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복합 함상 발사대
200: 함포부
210: 포신
300: 함포 지지부
350: 함포 지지 프레임
360: 함포 회전축
370: 함포 구동 모터
400: 미사일 발사부
500: 미사일 지지부
550: 미사일 지지 프레임
560: 미사일 회전축
570: 미사일 구동 모터

Claims (6)

  1. 상하 방향으로 회전 구동 가능한 포신을 가지고 탄환을 장전하여 표적에 발사하는 함포부;
    상기 함포부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함상에서 지지하는 함포 지지부;
    상기 함포부의 측면에 마련된 미사일 발사부; 및
    상기 함포부에 결합되어 상기 미사일 발사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 구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미사일 지지부
    를 포함하는 복합 함상 발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사일 발사부는 상기 함포부의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함상 발사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사일 지지부는 상기 함포부의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된 상기 미사일 발사부의 발사 각도를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함상 발사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포 지지부는,
    상기 함포부를 지지하는 함포 지지 프레임과;
    상기 함포 지지 프레임을 좌우 방향으로 선회시키기 위한 함포 회전축; 그리고
    상기 함포 회전축에 회전 동력을 공급하는 함포 구동 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함상 발사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사일 지지부는,
    상기 미사일 발사부를 지지하는 미사일 지지 프레임과;
    상기 미사일 지지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미사일 회전축; 그리고
    상기 미사일 회전축에 회전 동력을 공급하는 미사일 구동 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함상 발사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사일 지지부의 상기 미사일 구동 모터는 상기 함포부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함상 발사대.
KR1020170152934A 2017-11-16 2017-11-16 복합 함상 발사대 KR201900559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934A KR20190055991A (ko) 2017-11-16 2017-11-16 복합 함상 발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934A KR20190055991A (ko) 2017-11-16 2017-11-16 복합 함상 발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991A true KR20190055991A (ko) 2019-05-24

Family

ID=66680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934A KR20190055991A (ko) 2017-11-16 2017-11-16 복합 함상 발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599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589B1 (ko) 2021-02-22 2021-07-20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명중평가장치, 이를 구비하는 함정전투체계, 및 명중평가방법
CN113281197A (zh) * 2021-05-13 2021-08-20 中物院成都科学技术发展中心 一种可多维运动的垂直轻气炮
FR3139193A1 (fr) * 2022-08-30 2024-03-01 Naval Group Système modulaire et polyvalent de lancement de munitions et plateforme navale comportant au moins un tel systè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589B1 (ko) 2021-02-22 2021-07-20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명중평가장치, 이를 구비하는 함정전투체계, 및 명중평가방법
CN113281197A (zh) * 2021-05-13 2021-08-20 中物院成都科学技术发展中心 一种可多维运动的垂直轻气炮
CN113281197B (zh) * 2021-05-13 2022-11-15 中物院成都科学技术发展中心 一种可多维运动的垂直轻气炮
FR3139193A1 (fr) * 2022-08-30 2024-03-01 Naval Group Système modulaire et polyvalent de lancement de munitions et plateforme navale comportant au moins un tel système
WO2024047051A1 (fr) * 2022-08-30 2024-03-07 Naval Group Système modulaire et polyvalent de lancement de munitions et plateforme navale comportant au moins un tel systè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5991A (ko) 복합 함상 발사대
US9032856B2 (en) Trainable launcher
US4524674A (en) Military vehicles
US20160009412A1 (en) Launch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a hand-held weapon
EP3431915A2 (en) Recoilless underwater firearm
RU2642019C2 (ru) Высокоточная комплексная тактическая ракетная установка ближнего действия
RU2624258C2 (ru) Комплекс оружия для поражения наземных береговых объектов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с подводных носителей
RU2366887C1 (ru) Башня танка
RU70359U1 (ru) Разведывательно-огневой комплекс вооружения танка
KR20050113168A (ko) 함선 상에 대구경 포를 통합하는 방법
RU2697694C1 (ru) Способ поражения подводной цели
RU2612037C2 (ru) Разведывательно-огневой комплекс вооружения танка
JP2014517241A (ja) 保護された銃眼およびその装甲車両
KR20200071574A (ko) 함정용 발사 시스템
KR20150034974A (ko) 수평 이동이 가능한 함포 이동장치
RU2218543C2 (ru) Танк
RU2582437C1 (ru) Многоцелевой ракетный комплекс
RU206960U1 (ru) Боевая машина тяжелой огнеметной системы
RU221963U1 (ru) Боевая машина тяжелой огнеметной системы на шасси базового танка
RU2816418C1 (ru) Комплекс вооружения танка
RU211989U1 (ru) Боевой модуль
Malinovskiy THE HISTORY OF NAVAL ARTILLERY DEVELOPMENT
Lawrence THE EVOLUTION OF UNITED STATES MILITARY FIREPOWER
CN201196556Y (zh) 坦克炮管装甲防护装置
KR101801889B1 (ko) 비살상 탄환 발사기의 발사각도를 변경하는 조준장치 및 그 조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