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5563A - Calling device for elevator car - Google Patents

Calling device for elevator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5563A
KR20190055563A KR1020170152415A KR20170152415A KR20190055563A KR 20190055563 A KR20190055563 A KR 20190055563A KR 1020170152415 A KR1020170152415 A KR 1020170152415A KR 20170152415 A KR20170152415 A KR 20170152415A KR 20190055563 A KR20190055563 A KR 20190055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oustic signal
elevator car
call button
sound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4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현주
전종백
Original Assignee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70152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5563A/en
Publication of KR20190055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56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lling device which provides calls for an elevator car and an arrival forecast of the car by outputting acoustic signals of which output patterns are set differently together with visual information, thereby enabling blind people as well as the general public to conveniently use the elevator car. The calling device for an elevator car comprises: an up call button (120) and a down call button (122), which call the elevator car; and an acoustic signal controller (110) for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when operating the up call button (120) or the down call button (122) and performing the control operation so as to provide an arrival forecast of the elevator car in response to the button operation by outputting a differentiated acoustic signal. When the up call button (120) is operated by the acoustic signal controller (110), the acoustic signal is output once. When the down call button (122) is operated, the acoustic signal is output twice. In addition, upward arrival forecast of the car is provided as an acoustic signal of scale type such as do-mi-sol-do, and downward arrival forecast of the car is predicted by outputting an acoustic signal of a scale type such as sol-mi-do.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장치{CALLING DEVICE FOR ELEVATOR CAR}[0001] CALLING DEVICE FOR ELEVATOR CAR [0002]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 외부에 위치한 승강장에서 호출버튼 조작과 그 조작에 따라 카가 해당 층으로 도착할 때 차별화된 음향신호를 출력하여 일반인뿐만 아니라 장애인도 엘리베이터를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ling device for an elevator ca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lling device for an elevator ca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lling device for an elevator car, which outputs a differentiated sound signal when a car arrives at a flo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lling device for an elevator car which is more convenient to use.

엘리베이터는 권양기/ 윈치(winch) 연결 로프의 방식에 따라 승강기를 움직이는 기계장치이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각 층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측면에 설치된 호출버튼을 눌러서 엘리베이터가 호출버튼을 누른 층에 도착하여 도어가 열리면 탈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호출버튼이 눌리면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는 이를 감지해서 해당 층이 선택되었음을 호출 등록 램프를 점등함으로써 승객에게 알려주고, 해당 층으로 승객을 안내하는 서비스를 진행한다. An elevator is a mechanism that moves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manner of winch / winch connection ropes. Such an elevator is configured to press the call button provided on the side of the elevator door of each floor so that the elevator arrives at the floor where the call button is pressed and the door can be opened when the door is opened. When the call button is pressed, the general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detects this, and informs the passenger of the fact that the floor is selected by lighting the call registration lamp, and carries out a service of guiding the passenger to the floor.

그런데 이와 같은 대부분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일반 이용자를 기준으로 설계되고 있어 장애가 있는 이용자는 엘리베이터 이용에 많은 불편을 감수해야 했다.However, most of such elevator devices are designed on the basis of general users, so that a user with a disability has to take many inconveniences in using the elevator.

따라서 종래에도 엘리베이터 장치에 장애인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30655호는 장애인이나 몸이 불편한 환자 등이 엘리베이터를 쉽게 호출할 수 있도록 풋 버튼의 구성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시각 장애인의 불편을 해소하도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74895호에는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기 위하여 시각 장애인용 점자가 표시되는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Accordingly, conventionally, various methods for the convenienc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have been proposed in the elevator apparatus. For example, Korean Registration Practice No. 20-0430655 discloses a configuration of a foot button so that a disabled person or a patient who is physically uncomfortable can easily call an elevator. Further,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074895 discloses a device for displaying a braill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to call an elevator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a visually impaired person.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비록 엘리베이터의 사용이 일부 개선되었다고 할 수 있지만,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이나 카의 도착 기능은 여전히 시각적인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장애인을 위한 배려를 완전하게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시각 장애인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할 것이다. 즉,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 및 엘리베이터 카가 도착하는 상황이 현재도 램프 점등과 같은 시각적인 구성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어, 시각 장애인이 카의 호출과 카의 도착 상황을 쉽게 인지할 수 없었다. However, even though the use of the elevator can be said to be partially improved by such a configuration, the function of the elevator car call or the arrival of the car still does not completely solve the consideration for the disabled person in that it only provides visual functions.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visually impaired. That is, the situation in which the elevator car call and the elevator car arrive still totally depends on the visual configuration such as lamp lighting,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can not easily recognize the car call and the car arrival situation.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 및 도착 상황을 기존의 시각적인 구성과 함께 청각적인 수단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시각 장애인도 더 편리하게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lling device for an elevator car which makes it possibl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to more easily use the elevator by providing the calling and arrival status of the elevator car through auditory means together with the existing visual configuration .

그리고 이러한 목적은 장애가 없는 일반인에게도 카의 호출 효과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And this purpose may provide the role of increasing the calling effect of the car to the general public without the disord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카를 호출하는 상승호출버튼 및 하강호출버튼; 상기 상승호출버튼 또는 하강호출버튼을 조작할 때와, 그 버튼 조작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의 도착예보를 차별화된 음향신호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음향신호 제어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도착예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도착예보 점멸등; 그리고 상기 음향신호 제어부가 상기 음향신호를 출력할 때, 호출버튼 램프와 도착예보 점멸등 중 하나 이상을 점등시키는 승장통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n elevator car comprising: a rising call button and a descending call button for calling an elevator car; An acoustic signal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elevating call button or the descending call button and outputting the arrival forecast of the elevator car as a differentiated acoustic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tton; An arrival forecast flasher for visually displaying an arrival forecast of the elevator car; And a wake-up communication control unit for turning on at least one of a call button lamp and an arrival forecast flasher when the acoustic signal controller outputs the acoustic signal.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호출하기 위한 호출버튼이 조작되었을 때 제1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제1 음향신호 출력부와, 호출된 엘리베이터 카가 해당 층으로 접근하게 될 때 카의 도착예보를 알리는 제2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제2 음향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신호 제어부는 상기 제1 음향신호와 제2 음향신호의 출력을 제어한다. A first sound sign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first sound signal when the call button for calling up the elevator car is operated; and a second sound sign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econd sound signal for informing arrival forecast of the car when the called elevator car approaches the floor And the sound signal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of the first sound signal and the second sound signal.

상기 제1 음향신호 출력부는, 상기 상승호출버튼이 조작되면 음향신호를 1회 출력하고, 상기 하강호출버튼이 조작되면 음향신호를 2회 출력한다. The first sound signal output unit outputs the sound signal once when the up call button is operated, and outputs the sound signal twice when the down call button is operated.

상기 제2 음향신호 출력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상승방향 도착예보는 점진적으로 음계가 올라가는 형식의 낮은음 '도'음부터 '미'음, '솔'음, 높은음 '도'음 형식으로 상승하는 느낌의 제1 음계형식의 음향신호를 출력하여 예보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하강방향 도착예보는 점진적으로 음계가 내려가는 형식의 '솔'음, '미'음, 낮은음 '도'음 형식으로 하강하는 느낌의 제2 음계형식의 음향신호를 출력하여 예보한다. The second sound signal output un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elevator arrival forecast of the elevator car gradually increases from a low sound 'Do' to a 'Min' sound, a 'Sol' sound, and a High sound ' Of the elevator car is predicted by outputting a sound signal of the first scale type of the elevator car, and the elevator car arrival forecast of the elevator car gradually descends to a gradual slope of ' And outputs the sound signal of the second scale format.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장치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승/하강 호출버튼을 눌렀을 때, 그 호출버튼과 일체로 구성된 램프가 점등되는 것에 더하여 승강 또는 하강 호출버튼에 따라 음향신호를 1회 또는 2회 출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호출버튼 조작에 따라 해당 층으로 접근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도착 예보도 상승방향 또는 하강방향을 구분하여 서로 다르게 셋팅된 음향신호를 출력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음향신호가 출력될 때 호출버튼 램프 및 도착예보 점멸등도 함께 점등되도록 하였다.According to the elevator car cal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evator user presses the up / down call button, the lamp integrally formed with the call button is turned on, and in addition, Or two times. In addition, the arrival forecast of the elevator car approaching the flo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all button also outputs an acoustic signal that is set differently from the ascending direction or the descending direction. When these sound signals are outputted, the call button lamp and the arrival forecast flasher are also turned on.

따라서, 승강장에서 대기하는 승객, 특히 시각장애인의 경우 호출버튼 조작에 따른 반응 인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엘리베이터 카의 도착예보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효과는 실질적으로 승강장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이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시각 장애인도 탑승 준비를 미리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늦은 탑승으로 인해 카 도어의 닫힘 동작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기대도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assenger waiting on the platform, particularly the visually impaired, can improve the reaction perception ability by operating the call button, and also can easily recognize the arrival forecast of the elevator car. In addition, since the elevator car can be conveniently used at the platform,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prepare for boarding in advance. Therefore, a safety accident that may occur due to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due to a late boarding It can be anticipated to be prevented from origin.

그리고 본 발명은 이러한 시각 장애인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도 램프 점등에 따른 시각적인 효과와 음향신호의 청각적인 효과를 함께 제공받는다는 점에서 카 호출과 도착정보를 쉽게 알 수 있어 기존의 엘리베이터 카의 이용 환경을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visual effect of the lamp lighting and the auditory effect of the acoustic signal are provided together with not only the visually impaired but also the general user, it is easy to know the car call and the arrival information so that the use environment of the existing elevator car There is also an effect to improve.

도 1은 본 발명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장치에서 호출버튼 조작시 음향신호의 출력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장치에서 카의 도착상태에 따른 음향신호의 출력과정을 보인 흐름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alling device of an elevator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showing an output process of an acoustic signal when a call button is operated in a calling apparatus of an elevator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showing an output process of an acoustic signal according to the arrival state of a car in a calling apparatus of an elevator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와 연결되는 승장통신 제어부(100)가 구비된다. 이러한 승장통신 제어부(100)가 실질적으로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능을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shown in Fig. 1, a wake-up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0 connected to an elevator car is provided. It can be said that such a winning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0 substantially manages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승장통신 제어부(100)에는 음향신호 제어부(110)가 연결된다. 음향신호 제어부(100)는 카의 호출과 그리고 해당 층으로 카가 접근하게 될 때 미리 설정한 음향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음향신호 제어부(110)가 제공된다는 것은 일반적인 사람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것이고, 이러한 음향신호는 음성신호보다 더 효과적으로 알림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이 더 쉽게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 및 도착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음성신호의 경우 주변 소음의 크기에 따라 어떤 정보인지 정확하게 듣지 못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The audio signal control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victory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0. The acoustic signal controller 100 controls the call of the car and the output of a predetermined sound signal through the speaker when the car approaches the corresponding floor. Here, the provision of the sound signal controller 110 means that a sound signal is output rather than a general sound signal, and that the sound signal can provide notification information more effectively than a sound signal. This makes it easier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recognize the calling and arrival information of the elevator car. That is, in the case of a voice signal,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hear certain information accurately depending on the magnitude of ambient noise.

그리고 이와 같은 음향신호는 엘리베이터 카를 호출하기 위한 호출버튼(120, 122)이 조작되었을 때 출력되는 제1 음향신호와, 호출된 엘리베이터 카가 해당 층에 접근하게 될 때 카의 도착을 알리는 제2 음향신호로 구분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제1 음향신호 출력부(부름 음향신호 출력부라고 하기도 함)(112) 및 제2 음향신호 출력부(도착예보 음향신호 출력부라고 하기도 함)(114)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음향신호 출력부(112) 및 제2 음향신호 출력부(114)는 음향신호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된다.Such an acoustic signal includes a first acoustic signal output when the call button 120, 122 for calling the elevator car is operated, a second acoustic signal indicating the arrival of the car when the called elevator car approaches the floor, A first sound signal output unit (also referred to as a call sound signal output unit) 112 and a second sound signal output unit (also referred to as an arrival forecast sound signal output unit) 114 are provided for this purpose . The first sound signal output unit 112 and the second sound signal output unit 114 are controlled by the sound signal controller 110.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음향신호 및 제2 음향신호는 카의 운행방향에 따라 그 음향신호의 출력패턴이 상이하게 셋팅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제1 음향신호의 경우 상승호출버튼(120)이 조작된 경우 1회의 음향신호가 출력되고, 하강호출버튼(122)이 조작된 경우 2회의 음향신호가 출력된다. 이때 상승호출버튼(120) 및 하강호출버튼(122)과 일체로 마련된 램프(120a, 122a)도 점등되어 시각적인 효과도 함께 제공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ound signal and the second sound signal are set to have different output patterns of the sound signals according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car.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first sound signal, one sound signal is output when the up call button 120 is operated, and two times when the down call button 122 is operated. At this time, the lamps 120a and 122a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rising call button 120 and the descending call button 122 are also illuminated to provide a visual effect.

그리고 제2 음향신호의 경우에는 카의 도착예보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승방향 도착예보는 점차 음의 높이(소리)가 커지는 음계형식으로, 예를 들면 음계가 올라가는 형식의 낮은음 '도'음부터 '미'음, '솔'음, 높은음 '도'음 형식으로 상승하는 느낌의 음향신호를 출력하여 예보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하강방향 도착예보는 점차 음의 높이(소리)가 작아지는 음계형식으로, 예를 들면 '솔'음, '미'음, 낮은음 '도'음 형식으로 하강하는 느낌의 음향신호를 출력하여 예보한다. 여기서, 상승방향 도착예보 및 하강방향 도착예보는 단순히 음의 높이가 커지거나 작아지는 것 외에 음의 개수도 다르게 하여 쉽게 차별화되도록 한다. 이때 음계형식의 음향신호가 출력될 때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하도록 상기 상승호출버튼(120) 및 하강호출버튼(122)의 각 램프(120a, 122a)와 후술하는 상승방향 도착예보 점멸등(130) 및 하강방향 도착예보 점멸등(132)도 점등된다. In the case of the second sound signal, the arrival forecast function of the car is provided. The upcoming arrival forecast is a scales in which the height (sound) of the sound gradually increases. For example, And the elevation car arrival forecast of the elevator car gradually becomes a scales in which the height (sound) of the sound gradually decreases. , For example, a sound signal having a feeling of descending in the form of 'sole', 'mi', 'low', and 'low' sounds. Here, the ascending direction arrival forecast and the descending arrival forecast simply differ in the number of notes in addition to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itch of the sound. At this time, each of the lamps 120a and 122a of the up call button 120 and the down call button 122, the up direction arrival forecasting flasher 130 and the downward direction arrival forecasting lamp 130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to provide a visual effect when a scaled acoustic signal is output. The descending arrival forecast flashing lamp 132 is also turned 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승방향 도착예보 점멸등(130)과 하강방향 도착예보 점멸등(132)은 엘리베이터 카가 도어 오픈영역에 진입하게 될 경우 작동되도록 승강장에 설치된다. 이처럼, 호출버튼용 램프(120a, 122a)와 함께 상기 상승방향 도착예보 점멸등(130)과 하강방향 도착예보 점멸등(132)도 점등되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에게는 시각적인 효과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고, 아울러 음향신호의 출력으로 인해 시각 장애인도 카의 도착 방향을 알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scending direction arrival forecasting flasher 130 and the descending arrival forecasting flasher 132 are installed on the platform to operate when the elevator car enters the door open area. Since the rising direction arrival forecasting flashing light 130 and the falling direction arrival forecasting flashing light 132 are also lighted together with the call button lamps 120a and 122a,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provide a visual effect to the general user, The output of the signal enables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to know the arrival direction of the car.

상기 상승방향 도착예보 점멸등(130)과 하강방향 도착예보 점멸등(132)은 그 점등상태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가 도어 오픈영역에 진입하면 단순히 점멸등을 점등시키게 하는 것부터 제2 음향신호의 출력과 대응하여 음계의 높낮이에 맞춰 점멸등의 개수를 달리하거나 색상을 다르게 표시하거나 또는 밝기 정도를 다르게 하여 점등시킬 수 있다. 그만큼 시각적인 효과와 함께 미적인 기능도 제공 가능하다. The ascending direction arrival forecasting flashing light 130 and the descending arrival forecasting flashing light 132 may vary their lighting states. For example, when the cage enters the open area of the door, the flashing light is simply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second sound signal, the number of the flashing lights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cale of the scale, . It can provide a visual effect as well as an aesthetic function.

미설명 부호 140은 행선층 및 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이다. Reference numeral 140 denotes a display section for displaying a traveling layer and a direction.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호출장치에서 호출버튼(120, 122)을 직접 조작할 경우와, 호출버튼 조작에 따라 카가 해당층에 도착할 경우 각각 음향신호가 다르게 출력되는 바, 이를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살펴본다.Next, the operation of the calling apparatus of the elevator car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lling buttons 120 and 122 are directly operated by the calling device and when the car arrives at the corresponding floor according to the calling button operation, the sound signals are outputted differently, respectively. Referring to FIGS. 2 and 3 together .

먼저, 본 발명인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장치에서 호출버튼(120, 122)를 조작할 때의 음향신호의 출력과정은 도 2를 참조한다. 일반인 또는 시각 장애인이 승강장에서 호출버튼(120, 122)을 조작한다(S100). 시각 장애인의 호출버튼 조작은 버튼위에 형성된 점자나 돌기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First, referring to FIG. 2, the process of outputting an acoustic signal when the call buttons 120 and 122 are operated in the calling apparatus of the elevator car of the present invention. A general person or a blind person operates the call buttons 120 and 122 on the platform (S100). The call button oper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will be able to use the dot or protrusion formed on the button.

호출버튼은 상승호출버튼(120)과 하강호출버튼(122)으로 구분된다. 상승호출버튼(120)이 조작되면(S101), 제1 음향신호 출력부(112)는 기 설정된대로 음향신호를 1회 출력한다(S103). 따라서, 시각 장애인은 이러한 음향신호 출력에 따른 청각적인 효과로 인해 카의 상승호출버튼(120)이 조작되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반면 하강호출버튼(122)이 조작되면(S102), 제1 음향신호 출력부(112)는 기 설정된대로 음향신호를 2회 출력한다(S104). 그러기 때문에 1회 출력상태와 비교할 수 있고, 쉽게 카의 하강호출버튼(122)이 조작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The call button is divided into an up call button 120 and a down call button 122. When the rising call button 120 is operated (S101), the first sound signal output unit 112 outputs the sound signal once as preset (S103). Accordingly,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up call button 120 of the car has been operated due to the auditory effect due to the sound signal output.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scending call button 122 is operated (S102), the first sound signal output unit 112 outputs the sound signal twice as preset (S104). Therefore, it can be compared with the one-time output state, and it can be easily recognized that the descending call button 122 of the car has been operated.

그리고 제 103 단계와 제 104 단계에서 음향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상승호출버튼(120) 및 하강호출버튼(122)과 일체로 형성된 램프(120a, 122a)도 함께 점등된다. 따라서 일반인은 청각적인 효과와 더불어 시각적으로도 확인이 가능하다. When the sound signals are output in steps 103 and 104, the lamps 120a and 122a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 call button 120 and the down call button 122 are also turned on. Therefore, the general public can visually confirm the auditory effect.

이와같이 승강장에서 호출버튼(120, 122)을 조작했을 때, 종래에 단순히 호출버튼 램프(120a, 122a)만 점등되어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것에 비해 서로 차별화된 음향신호를 출력하고 있어, 버튼 작동에 따른 반응 인지능력이 향상된다. 그만큼 시각 장애인이 엘리베이터 카를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us, when the call buttons 120 and 122 are operated on the platform, only the call button lamps 120a and 122a are conventionally turned on to output differentiated sound signals as compared with those for providing a visual effect, The response recognition ability is improved. This means that the visually impaired can use the elevator car comfortably.

다음은 엘리베이터 카의 도착 여부에 따른 음향신호 출력이다. 상기와 같이 승강장에서 상승호출버튼(120) 또는 하강호출버튼(122)이 조작되면 엘리베이터 카는 그 조작된 층으로 운행되기 시작할 것이다. 이때 종래에는 단순히 행선층 및 방향표시부(140)에 현재의 층수와 주행방향만 표시되고 있어서 일반인은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반면 시각 장애인은 엘리베이터 카의 도착 상황을 전혀 인지할 수가 없었다. The following is the sound signal outpu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elevator car arrives. When the elevation call button 120 or the descending call button 122 is operated on the platform as described above, the elevator car will start to operate on the operated floor. At this time, conventionally, only the current number of floors and the traveling direction are displayed in the traveling floor and direction display unit 140, so that the public can easily confirm this, while the visually impaired can not recognize the arrival state of the elevator car at all.

따라서 시각 장애인은 엘리베이터 카가 도착된 이후에 주변 사람들에게 카의 주행방향을 물어본 다음 탑승하게 되며, 이 경우 그만큼 탑승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탑승할 때 카 도어가 닫히는 경우로 말미암아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도사리고 있었다. Therefore, visually impaired people ask the people around the car after the elevator car arrives and then board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time for boarding becomes longer and the car door is closed when boarding. I was slaughtering.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시각 장애인도 승강장에서 카의 도착여부를 쉽게 인지하고 탑승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출버튼(120, 122) 조작 후 엘리베이터 카는 상승 또는 하강 방향으로 운행하고, 이러한 운행에 따라 해당 층으로 접근하게 된다(S110).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to easily recognize the arrival of the car at the platform and prepare for boarding. That is, as shown in FIG. 3, after the operation of the call buttons 120 and 122, the elevator car runs in the ascending or descending direction, and approaches the corresponding flo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S110).

그러면 승장통신 제어부(100)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해당 층(즉 호출버튼이 조작된 층)으로 접근하는 운행방향을 판단하고, 이러한 판단에 따라 음향신호 제어부(110)는 서로 다른 음향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해당 층으로 접근하는 엘리베이터 카가 상승방향으로 도착할 경우(S111), 제2 음향신호 출력부(114)는 음이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느낌으로 낮은음 도 - 미 - 솔 - 높은음 도 음계의 음향신호를 출력한다(S113). 반면, 엘리베이터 카가 하강방향으로 도착할 경우에는(S112), 제2 음향신호 출력부(114)는 음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느낌으로 솔 - 미 - 낮은음 도 음계의 음향신호를 출력한다(S114). 따라서 시각 장애인은 대기중인 현재 층에서 어느 방향으로 가는 엘리베이터 카가 도착하는지를 알 수 있고, 자신이 가고자 하는 방향의 엘리베이터 카의 경우 탑승 준비를 할 수 있게 된다. Then, the winning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0 determines the driving direction in which the elevator car approaches the corresponding floor (that is, the floor where the call button is operated), and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ation, the acoustic signal controller 110 controls to output different sound signals do. For example, when the elevator car approaching the floor arrives in the elevation direction (S111), the second acoustic signal output unit 114 outputs a sound signal of a low sound level, a non-sol-high sound level, (S113). 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vator car arrives in the downward direction (S112), the second sound signal output unit 114 outputs the sound signal of the soul-less-low sound level with a feeling that the sound gradually decreases (S114). Therefore, the visually impaired can know which direction the elevator car arrives from the current floor in the waiting area, and prepare for boarding the elevator car in the direction that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wants to go.

그리고 제 113 단계와 제 114 단계에서 상기 음계 형식의 음향신호가 출력될 때 상승 또는 하강 방향의 호출버튼 램프(120a, 122a)가 점등되는 것 이외에, 승장통신 제어부(100)는 상기 호출버튼 램프(120a, 122a)와 별도로 구성된 상승방향 도착예보 점멸등(130) 또는 하강방향 도착예보 점멸등(132)도 함께 점등시키게 된다. 따라서 승강장에서 대기하는 승객은 음향신호와 함께 램프(120a, 122a) 및 점멸등(130, 132)을 통해 카의 도착여부를 알 수 있다.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fact that the call button lamps 120a and 122a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are turned on when the scaled sound signals are output in steps 113 and 114, the winning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call button lamps Direction arrival forecast flashing light 130 or the descending-direction arrival forecasting flashing light 132, which are separately configured from the lightening-up forecasting flashing lights 120a and 120a. Therefore, the passengers waiting at the platform can know the arrival of the car through the lamps 120a and 122a and the flashers 130 and 132 together with the acoustic signal.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 및 카의 도착 상태를 단지 램프 점등과 같은 시각적인 수단으로만 제공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이 감수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하고자 카의 호출과 카의 도착상태를 서로 다르게 출력되도록 셋팅된 음향신호를 이용함으로써, 시각 장애인도 엘리베이터 카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levator car call and the arrival state of the car only by a visual means such as lamp lighting, so that the visibility of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be reduced.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can use the elevator car safely and convenientl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hat modifications, variations and equivalents of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승장통신 제어부
110: 음향신호 제어부
112: 제1 음향신호 출력부
114: 제2 음향신호 출력부
120: 상승호출버튼
122: 하강호출버튼
120a: 상승호출버튼 램프
122a: 하강호출버픈 램프
130: 상승방향 도착예보 점멸등
132: 하강방향 도착예보 점멸등
100: win /
110: acoustic signal controller
112: first sound signal output section
114: Second sound signal output section
120: Lift call button
122: descending call button
120a: rising call button lamp
122a: call down
130: rising direction arrival forecast flashing light
132: Falling arrival forecast blinking light

Claims (4)

엘리베이터 카를 호출하는 상승호출버튼(120) 및 하강호출버튼(122);
상기 상승호출버튼(120) 또는 하강호출버튼(122)을 조작할 때와, 그 버튼 조작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의 도착예보를 차별화된 음향신호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음향신호 제어부(110);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도착예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도착예보 점멸등(130, 132); 그리고
상기 음향신호 제어부(110)가 상기 음향신호를 출력할 때, 호출버튼 램프(120a, 122a)와 도착예보 점멸등(130, 132) 중 하나 이상을 점등시키는 승장통신 제어부(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장치.
An elevation call button 120 and a descending call button 122 that call the elevator car;
An acoustic signal controller 110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up call button 120 or the descending call button 122 and outputting an arrival forecast of the elevator car as a differentiated acoustic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tton;
An arrival forecast flasher (130, 132) for visually displaying an arrival forecast of the elevator car; And
And a winning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0) for lighting at least one of the call button lamps (120a, 122a) and the arrival forecast blinkers (130, 132) when the sound signal controller (110) outputs the sound signal Of the elevator ca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호출하기 위한 호출버튼(120, 122)이 조작되었을 때 제1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제1 음향신호 출력부(112)와,
호출된 엘리베이터 카가 해당 층으로 접근하게 될 때 카의 도착예보를 알리는 제2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제2 음향신호 출력부(1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신호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음향신호와 제2 음향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acoustic signal output unit (112) for outputting a first acoustic signal when the call button (120, 122) for calling the elevator car is operate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acoustic signal output section (114) for outputting a second acoustic signal indicating an arrival forecast of the car when the called elevator car approaches the floor,
And the acoustic signal controller (110) controls the output of the first acoustic signal and the second acoustic sign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신호 출력부(112)는,
상기 상승호출버튼(120)이 조작되면 음향신호를 1회 출력하고,
상기 하강호출버튼(122)이 조작되면 음향신호를 2회 출력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acoustic signal output unit 112 outputs,
When the up call button 120 is operated, the sound signal is output once,
When the descent call button (122) is operated, outputs an acoustic signal tw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음향신호 출력부(114)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상승방향 도착예보는 점진적으로 음의 소리가 커지는 제1 음계형식의 음향신호를 출력하여 예보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하강방향 도착예보는 점진적으로 음의 소리가 작아지는 제2 음계형식의 음향신호를 출력하여 예보하며,
상기 제1 음계형식은 음계가 올라가는 형식의 낮은음 '도'음부터 '미'음, '솔'음, 높은음 '도'음 형식으로 상승하는 느낌의 음계 형식이고, 상기 제 2 음계형식은 점진적으로 음계가 내려가는 형식의 '솔'음, '미'음, 낮은음 '도'음 형식으로 하강하는 느낌의 음계로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acoustic signal output unit 114,
The elevator arrival forecast of the elevator car is predicted by outputting an acoustic signal of a first scales type in which a loud sound is gradually increased,
The arrival forecast of the elevator car in the downward direction predicts the output of the acoustic signal of the second scale type gradually decreasing the sound of the sound,
Wherein the first musical scale type is a musical scale type in which the musical scale is raised in a form of a low-level 'Do' sound, a 'Min' sound, a 'Sol' sound and a high- The calling device of the elevator car is composed of a musical scale with a feeling of descending in the form of a 'soul' sound of a downward scale, a 'mi' sound, and a low sound '
KR1020170152415A 2017-11-15 2017-11-15 Calling device for elevator car KR2019005556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415A KR20190055563A (en) 2017-11-15 2017-11-15 Calling device for elevator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415A KR20190055563A (en) 2017-11-15 2017-11-15 Calling device for elevator c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563A true KR20190055563A (en) 2019-05-23

Family

ID=66681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415A KR20190055563A (en) 2017-11-15 2017-11-15 Calling device for elevator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556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316B1 (en) * 2022-11-29 2023-05-26 주식회사 한림기업 Elevator system with improved technical performance of safety and convenience for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when boarding and using elevato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316B1 (en) * 2022-11-29 2023-05-26 주식회사 한림기업 Elevator system with improved technical performance of safety and convenience for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when boarding and using elevato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88984A1 (en) Elevator system control providing specialized service features
KR101045842B1 (en) Apparatus for recogniging voice of elevator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same
JP5880161B2 (en) Elevator with broadcasting system
KR20190055563A (en) Calling device for elevator car
KR101655360B1 (en) Elevator for disabled person
KR101530468B1 (en) Elevator device
CN108861916B (en) Car operating panel for an elevator car with at least two car doors
JP6079478B2 (en) Board call registration device
JP5831164B2 (en) Elevator car operation panel
US11518647B2 (en) Elevator and elevator landing guidance device
JP2001139240A (en) Elevator
JPH11335012A (en) Elevator guide device
JP4421008B2 (en) Elevator with special operation function
JP2005162463A (en) Call registering device of elevator
JP2003335471A (en) Elevator device
JP2004149251A (en) Automatic calling system for lifting means between stories of building
JP2008044751A (en) Elevator control system
JP7367097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evacuation operation method during power outage
KR200234019Y1 (en) Voice guiding device to a selected floor for elevator
CN109987466A (en) A kind of elevator used convenient for blind person
JP2020083543A (en) Elevator apparatus
JP7457507B2 (en) An elevator that outputs voice when you touch the Braille
JP2009292600A (en) Elevator also served for wheelchair
KR200187706Y1 (en) Elevator being capable of checking passenger to get in
CN113086784A (en) Elevator calling system and elevator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30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710

Effective date: 2020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