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309A - Stereoscopic Image Device - Google Patents

Stereoscopic Imag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309A
KR20190054309A KR1020170150432A KR20170150432A KR20190054309A KR 20190054309 A KR20190054309 A KR 20190054309A KR 1020170150432 A KR1020170150432 A KR 1020170150432A KR 20170150432 A KR20170150432 A KR 20170150432A KR 20190054309 A KR20190054309 A KR 20190054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stereoscopic
display unit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4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63088B1 (en
Inventor
권정열
Original Assignee
권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정열 filed Critical 권정열
Priority to KR1020170150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088B1/en
Publication of KR20190054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3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0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88Volumetric displays, i.e. systems where the image is built up from picture elements distributed through a volume
    • H04N13/393Volumetric displays, i.e. systems where the image is built up from picture elements distributed through a volume the volume being generated by a moving, e.g. vibrating or rotating, su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3Image reproducers using image projection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G03H1/268Holographic stere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56Mix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9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1Reproducing mixed stereoscopic images; Reproducing mixed monoscopic and stereoscopic images, e.g. a stereoscopic image overlay window on a monoscopic image back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reoscopic imaging device comprising: an imag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image toward a lower side; a display unit for forming a tetrahedral shape which forms an outward slope by having an upper end coupled with a lower central part of the image output unit, and accommodating a model therein; and a support frame unit for supporting the image out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display unit includes: a stereoscopic image unit for reflecting an actual image of an object which corresponds to adjacent three surfaces among continuous outer surfaces in the tetrahedral shape and is seen through, and an image outputted in the image output unit, and overlapping the image over the actual image of the object seen through to output the same; and a background image unit corresponding to the other surface except the stereoscopic image unit in the tetrahedral shape and projecting a background image outputted in the image out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eper and realistic stereoscopic image by mapping an actual image of an object seen through an outer surface and a reflection image using a reflectiv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ackground screen outputted in the background image unit to overlap an actual image, an image, and a background image, thereby highlighting an image of an object and providing a realistic stereoscopic image. Also, it is possible to minimize a burden of installation load by lightning and simplifying a product, to facilitate maintenance, and to secure price competitiveness due to cheap manufacturing costs.

Description

입체 영상장치 {Stereoscopic Image Device}[0001] Stereoscopic Image Device [

본 발명은 입체 영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와 디스플레이부의 반사면을 이용한 반사 영상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를 맵핑하여 더욱 깊이 있고 사실감 있는 입체 영상을 제공하는 입체 영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for providing a deeper and more realistic stereoscopic image by mapping a reflection image and a background image using a real image of an object and a reflective surface of a display unit will be.

정보통신기술과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에 따라 3차원 입체 영상과 같이 좀 더 현실감 있는 영상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수요는 비약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요구에 맞추어 다양한 입체 영상 기술이 제안되어 왔으며, 이러한 기술로 가상현실을 이용한 기술,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 기술 등이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display technology, the demand for a more realistic image such as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is increasing, and the demand for a device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will increase drastically. A variety of stereoscopic imaging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to meet these demands, and techniques using virtual reality and stereoscopic imaging using holography techniques are available.

가상현실을 이용한 기술은 이용자가 고글 형태의 장치를 착용하고 컴퓨터그래픽을 이용한 가상의 영상을 보는 방식이 대표적인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이용자가 가상의 영상을 보기 위해 별도의 장치를 착용해야 하므로, 이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A technique using virtual reality is a method in which a user wears a goggle type device and views a virtual image using computer graphics. However,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user must wear a separate device for viewing a virtual image, and thus the user can not conveniently use the device.

다른 방법으로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공간에 홀로그램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이 있다. 홀로그램은 기록매질에 참조광과 정보를 기록하고자 하는 물체로부터 반사된 광, 즉 물체광을 입사시켜 참조광과 물체광의 간섭패턴을 기록함으로써 만들어진다.Another method is to embody a holographic image in a space using a holography technique. The hologram is made by recording the reference light in the recording medium and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object to record the information, that is, the object light, and recording the interference pattern of the reference light and the object light.

데니스 게이버(Dennis Garbor)가 홀로그램을 처음 발명한 이후 현재까지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E, Leith 등이 개발한 투 빔 투과 홀로그램(Two beam transmission hologram) 과 Denisyuk 등이 개발한 원 빔 반사 홀로그램(One beam reflection hologram) 그리고 N. Phillips 등이 발전시킨 에지릿 홀로그램(Edge-lit hologram) 등이 있다.Since Dennis Garbor first invented the hologram, the most common methods to date have been the two beam transmission holograms developed by E and Leith and the one-beam holograms developed by Denisyuk reflection hologram, and Edge-lit hologram developed by N. Phillips et al.

상기 투과형 홀로그램은 기록시 참조광과 물체광을 기록매질에 대해 같은 방향으로 입사시키며, 재생시에는 참조광이 기록매질에 기록된 홀로그램을 투과하도록 하여 참조광과 반대방향에서 홀로그램이 재생되도록 한다.The transmissive hologram allows the reference light and the object light to be incident on the recording medium in the same direction during recording and allows the reference light to transmit through the hologram recorded in the recording medium so that the hologram is reproduc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eference light.

상기 반사형 홀로그램은 기록시 참조광과 물체광을 기록매질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입사시키며, 재생시에는 참조광이 홀로그램을 반사하도록 하여 참조광과 같은 방향에서 홀로그램이 재생되도록 한다.The reflection type hologram causes reference light and object light to enter the recording medium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cording medium during recording, and the reference light reflects the hologram at the time of reproduction so that the hologram is reproduc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eference light.

종래의 홀로그램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아직까지 기술적으로 문제점들이 많이 있어서, 최근에는 시청자가 홀로그램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반사막을 이용하여 영상을 반사 합성하여 3차원으로 보이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되었다.In order to reproduce a conventional hologram, there are many technical problems. Recently, a technique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viewer reflects an image using a reflective film so that the viewer can recognize the hologram as a three-dimensional image.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홀로그램은 제작된 홀로그램 크기만큼의 입체영상만을 관측할 수 있었기 때문에 큰 입체영상을 관측하려면 홀로그램의 크기도 크게 제작하여야 한다. 따라서 홀로그램의 크기에 비례하여 관측할 수 있는 입체영상의 크기도 제한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hologram of this type can only observe the stereoscopic image of the size of the produced hologram, the size of the hologram must be made large in order to observe a large stereoscopic image.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ize of the stereoscopic image that can be observed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hologram is limited.

또한, 반사막을 이용한 영상의 반사 합성만으로는 사실감 있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re is a limitation in realizing realistic stereoscopic images only by reflection synthesis of images using a reflection film.

(특허문헌 0001) 한국 등록특허 제10-1349972호 (2014.01.03. 등록)(Patent Document 0001) Korean Patent No. 10-1349972 (Registered on March 31, 2014)

(특허문헌 0002) 한국 등록특허 제10-1102610호 (2011.12.28. 등록)
(Patent Document 0002) Korean Patent No. 10-1102610 (Registered on December 28, 2011)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사면체의 형상에서 연속하는 외측면 중 인접하는 세면은 투시되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와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이미지를 반사하여 투시되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 위에 영상 이미지를 맵핑하여 출력하고 나머지 한면은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배경 이미지를 투영하여, 실제 이미지와 영상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가 포개져 사실감 있는 입체 영상을 제공하는 입체 영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processing an image of an object to be imaged by reflecting an actual image of an object to be imaged and an image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unit, And the other is to project a background image output from the video output unit to provide a realistic stereoscopic image by superimposing an actual image, a video image, and a background imag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제 이미지와 반사 영상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의 조합을 통해 구현되는 사실감이 있는 입체 영상에 LED의 색조명과 음파센서를 통해 음악에 맞추어 컨트롤 가능한 기능을 추가하여 사람들에게 흥미를 제공하고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입체 영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listic sensible stereoscopic image realized through a combination of an actual image, a reflective image, and a background image by adding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color tune of the LED and the music through a sound sensor, And to provide a stereoscopic image device capable of maximizing the effect of the advertise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부의 인접하는 세면에 동일한 영상을 출력하여 사방에서 동일한 입체 영상 즉, 내부의 사물에 맞는 맵핑 콘텐츠를 사방에서 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세면에 각각 서로 다른 영상을 출력하여 각각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내부의 사물 즉 실제의 사물과 표현되는 정보 전달을 다양하게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좌, 우 양측면에 선택적으로 입체영상을 출력하여 좌,우 양측에 서로 다른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게 함으로써 고객에게 제공되는 영상과 사용자의 영상이 다르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입체 영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which can output the same image to the adjacent three sides of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same stereoscopic image can be viewed from all directions,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display various images of an internal object, that is, an actual object and information represented by displaying different images, and selectively output stereoscopic images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to display different images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the image provided to the customer and the image of the user can be displayed differentl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장치는 하방을 향해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 상기 영상출력부의 하부 중심부에 상단이 결합되어 외향 경사면을 이루는 사면체의 형상를 이루고, 내부에 모형물이 내장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영상출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면체의 형상에서 연속하는 외측면 중 인접하는 세면에 해당되어 투시되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와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이미지를 반사하여 상기 투시되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 위에 상기 영상 이미지를 포개어 출력하는 입체영상부와, 상기 사면체의 형상에서 입체영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한면에 해당되어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배경 이미지를 투영하는 배경 이미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reoscopic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n imag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image downward; A display unit having a shape of a quadrangular pyramid having an outwardly inclined surface coupled with an upper end at a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image output unit and having a built-in model therein; And a support frame part for supporting the image output part and the display part, wherein the display part displays an actual image of an object to be viewed on the adjacent three sides of consecutive outer surfaces in the shape of the tetrahedron, And a background image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unit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of the tetrahedron excluding the stereoscopic image unit, wherein the stereoscopic image is a stereoscopic image, And a background image portion to be projected.

그리고, 상기 입체 영상장치는 상기 사물에 매칭되는 영상이미지와 배경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영상출력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output of the image output unit to output a video image and a background image matching the object.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 내부의 사물은 동작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물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영상출력부가 상기 사물의 동작에 매칭되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in the display unit may be operated, an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object and the image output unit may output an image matched with the objec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3면으로 복사 분할하여 상기 복사 분할된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인접한 세면이 동일하게 디스플레이 되게 하거나,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3면으로 각각 서로 다른 영상이 출력되게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인접하는 세면에 서로 다른 제품의 정보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게 하거나,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2개면으로 서로 다른 영상이 출력되게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디스플레이 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divides the image reproduced by the image output unit into three planes to make the radiographic divided images display the same three sides of the display unit, or the image reproduced by the image output unit is divided into three planes So that different images of different products are displayed on the adjacent three sides of the display unit or different images are displayed on the two sides of the image to be reproduced by the image output unit, On the right side and the right side, respectively.

상기 영상출력부는 사물의 사이즈에 맞춰서 제작된 콘텐츠를 맵핑하여 사물 자체 또는 사물의 외면으로 표현이 가능하여 다양한 홀로그램 입체 콘텐츠를 제작하는 홀로그램 입체 콘텐츠 제작모듈과, 상기 홀로그램 입체 콘텐츠 제작모듈로부터 제작된 홀로그램 입체 콘텐츠를 기반으로 홀로그램 이미지 객체 또는 영상을 생성하는 홀로그램 객체 생성모듈과, 상기 홀로그램 객체 생성 모듈로부터 생성된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logram stereoscopic content creation module may include a hologram stereoscopic content creation module for creating various hologram stereoscopic contents by mapping the content p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an object and expressing the stereoscopic content by an object or an outer surface of the object, A hologram object generation module that generates a hologram image object or an image based on stereoscopic contents, and an output module that outputs an image generated from the hologram object generation module.

상기 출력모듈은 입체 영상을 출력하는 입체영상 출력모듈과, 배경 이미지 영상을 출력하는 배경 이미지 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put module includes a stereoscopic image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a stereoscopic image and a background image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a background image.

상기 입체 영상장치는 음향정보를 저장하여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사물에 조사되는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audio output unit for storing and outputting sound information, and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illuminating device for illuminating the object.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내부의 사물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바닥면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턴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turntab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so as to rotate an object inside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외면을 통해 투시되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와 디스플레이부의 반사면을 이용한 반사 영상 이미지를 맵핑하여 더욱 깊이 있고 사실감 있는 입체 영상을 제공하고, 이에 더하여 배경 이미지부에 출력되는 배경화면을 제공하여 실제 이미지와 영상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가 포개져 사물의 이미지를 더욱 부각시키고 사실감 있는 입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al image of an object to be viewed through an outer surface is mapped to a reflection image using a reflection surface of a display unit to provide a deeper and more realistic stereoscopic image, A screen is provided so that an actual image, a video image and a background image are superimposed to further highlight an image of an object and provide a realistic stereoscopic image.

또한, 실제 이미지와 반사 영상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의 조합을 통해 구현되는 사실감이 있는 입체 영상에 더하여 LED의 색조명과 음파센서를 통해 음악에 맞추어 컨트롤 가능한 기능이 추가됨으로써 사람들에게 재미와 흥미를 증폭시키고,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o realistic stereoscopic images realized through a combination of real images and reflective image and background image, the function of controlling the music according to the tint name and sound sensor of LED is added, thereby enhancing the fun and interest to the people, The effect of the advertisement can be maximized.

또한, 영상출력방식에 따라 재생되는 영상을 3개면으로 복사 분할하여 출력되게 하고 분할 출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의 인접하는 세면에 동일하게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사방에서 동일한 입체 영상 즉, 내부의 사물에 맞는 맵핑 콘텐츠를 사방에서 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영상출력부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부의 인접하는 세면에 각각 서로 다른 영상이 출력되게 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세면에 서로 다른 정보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게 할 수도 있으며, 영상출력부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2개면으로 서로 다른 영상이 출력되게 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디스플레이 되게 할 수 있음으로써 교육용, 홍보용, 상담용, 프로모션 행사, 전시용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image reproduced according to the video output method is divided into three parts and outputted, and the divided output image is displayed on the adjacent three sides of the display unit, thereby displaying the same stereoscopic image, i.e., The image reproduced by the video output unit may output different images to the adjacent three sides of the display unit so that different information images may be displayed on the three sides of the display unit, The images to be reproduced can be display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unit so that different images can be displayed on the two sides of the display unit,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variously utilize them for educational, promotional, counseling, promotional, and exhibition purposes.

또한, 제품을 경량화 및 단순화시켜 설치 하중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저렴한 제작비용에 따른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burden on the installation load by simplifying and lighter the product, and it is easy to maintain,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price competitiveness according to the low production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장치에서 실물 이미지와 반사되는 영상 이미지의 맵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apping principle of a real image and a reflected image in a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escrib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the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not on the name of a simple term, but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ever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including " an element throughout the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ddition, "... part", "..." Module " or the like means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장치는 하방을 향해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100)와, 영상출력부의 하부 중심부에 상단이 결합되어 외향 경사면을 이루는 사면체의 형상을 이루고, 내부에 사물(210)이 내장되어 외면을 통해 투시되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와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이미지를 반사하여 투시되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 위에 영상 이미지를 포개어 입체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200)와, 영상출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사물에 매칭되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영상출력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1 to 5, 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output unit 100 for outputting an image downward, an upper end coupled to a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image output unit, And the image 210 is embedded in the inside of the image to reflect the actual image of the object viewed through the outer surface and the image outputted from the image output unit to superimpose the image on the actual image of the object to be viewed, And a support frame unit 300 for supporting the video out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400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video output unit to output an image matching the object.

먼저, 지지프레임부(300)는 상부프레임(310)과 바닥프레임(320) 그리고, 상부프레임(310)과 바닥프레임(320)을 연결하는 측면프레임(330)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upporting frame part 300 may include an upper frame 310 and a bottom frame 320 and a side frame 330 connecting the upper frame 310 and the bottom frame 320.

지지프레임부(300)의 상부프레임(310)에는 영상출력부(100)가 장착된다. The image output unit 100 is mounted on the upper frame 310 of the support frame unit 300.

영상출력부(100)는 상부프레임(310)의 저면에 결합되거나, 상부프레임(310)의 저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상부프레임(310)의 내부에 안착되어 하방을 향해 영상이 출력되도록 장착된다.The video output unit 100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frame 310 or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frame 310 so as to be positioned inside the upper frame 310 and output an image downward.

영상출력부(100)는 사물의 사이즈에 맞춰서 제작된 콘텐츠를 맵핑하여 사물 자체 또는 사물의 외면으로 표현이 가능하여 다양한 홀로그램 입체 콘텐츠를 제작하는 홀로그램 입체 콘텐츠 제작모듈(110)과, 홀로그램 입체 콘텐츠 제작모듈로부터 제작된 홀로그램 입체 콘텐츠를 기반으로 홀로그램 이미지 객체 또는 영상을 생성하는 홀로그램 객체 생성모듈(120)과, 홀로그램 객체 생성 모듈로부터 생성된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image output unit 100 includes a hologram stereoscopic content creation module 110 for mapping a content p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an object to produce various hologram stereoscopic contents that can be displayed as an object or an outer surface of an object, A hologram object generation module 120 for generating a hologram image object or an image based on the hologram stereoscopic content produced from the module, and an output module 130 for outputting an image generated from the hologram object generation module.

여기서, 출력모듈(130)은 입체 영상을 출력하는 입체영상 출력모듈(131)과, 배경 이미지 영상을 출력하는 배경 이미지 출력모듈(132)로 구분될 수 있다.Here, the output module 130 may be divided into a stereoscopic image output module 131 for outputting a stereoscopic image and a background image output module 132 for outputting a background image.

입체영상 출력모듈(131)은 디플레이부(200)의 연속하는 세면에 해당되는 반사면에 대응되게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The stereoscopic image output module 131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corresponding to reflection surfaces corresponding to successive three sides of the display portion 200. [

또한, 입체영상 출력모듈(131)은 제어부에 기 설정된 영상출력방식에 따라 재생되는 영상을 3개면으로 복사 분할하여 출력되게 할 수 도 있고, 재생되는 영상을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부의 연속하는 세면에 각각 서로 다른 영상이 출력되게 제어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tereoscopic image output module 131 may radiate an image reproduc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image output method to a controller in three-sided manner, output the stereoscopic image, selectively output the image to be reproduced, So that different images may be output to the respective faces of the user.

그리고, 배경 이미지 출력모듈(132)은 입체영상을 출력하는 세면을 제외한 나머지 한면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사물의 배경화면을 제공하는 이미지를 출력한다. 즉, 사물(모형)이 인형인 경우, 인형이 사는 집을 배경화면을 제공하거나, 사물(모형)이 자동차인 경우, 자연을 배경으로 하는 화면을 제공하여 사물이 더욱 돋보이게 하고 사실감있는 입체화면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The background image output module 132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other surface except for the three-sided image for outputting the stereoscopic image, and outputs an image providing a background image of the object. In other words, when the object (model) is a doll, a background image is provided to the house where the doll resides, or when the object (model) is an automobile, a screen with a natural background is provided to further enhance the objects and provide a realistic stereoscopic image I can do it.

그리고, 상부프레임(310)과 바닥프레임(320) 사이에는 상단이 상부프레임(310)의 중심부에 결합되고 저면이 바닥프레임(320)의 상면에 안착되는 디스플레이부(200)가 구비된다. A display unit 200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frame 310 and the floor frame 320 and has an upper end coupled to a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frame 310 and a lower surfac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frame 320.

디스플레이부(200)는 복수의 반사판이 결합되어 각뿔을 형성하는 사면체 형상으로 이루어 질수 있다. The display unit 200 may have a tetrahedron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reflectors are combined to form a pyramid.

여기서, 디스플레이부는 사면체의 형상에서 연속하는 외측면 중 인접하는 세면에 해당되어 투시되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와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이미지를 반사하여 투시되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 위에 영상 이미지를 포개어 출력하는 입체영상부(201)와, 사면체의 형상에서 입체영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한면에 해당되어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배경 이미지를 투영하는 배경 이미지부(2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Here, the display unit reflects the actual image of the object to be viewed and the image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unit corresponding to the adjacent three sides of the continuous outer surface in the shape of the tetrahedron, and superimposes and outputs the image image on the actual image of the object being viewed And a background image unit 202 for projecting a background image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unit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of the tetrahedron excluding the stereoscopic image unit.

입체영상부(201)는 인접하는 세면이 대각선상으로 외향 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지고, 배경 이미지부(202)는 수직의 면으로 이루어진다. The stereoscopic image part 201 is composed of a plane whose sides adjoining each other are diagonally outwardly inclined, and the background image part 202 is formed of a vertical plane.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00)의 내부에는 사물(제품의 모형물)(210)이 내장된다. 이때, 사물(210)은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사물의 동작은 사물을 동작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제어하는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Inside the display unit 200, an object (a model of a product) 210 is embedded. At this time, the object 210 may be operatively coupled, and the operation of the object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400 that controls a driving unit (not shown) that operates the object.

또한, 디스플레이부(200) 내부에는 사물을 회전시킬 수 있는 턴테이블(220)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턴테이블(220) 위에 사물이 놓여짐으로써 턴테이블(220)의 회전에 따른 사물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00 may include a turntable 220 that can rotate an object. An object may be placed on the turntable 220 to rotate the turntable 220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turntable 220 .

이처럼 사물(210)은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동적인 모션이 가능하여 다양하고 사실감 있는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턴테이블의 구동부 및 사물을 동작시키는 구동부는 일반적인 공지기술을 적용한다.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210 is capable of dynamic mo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0, thereby realizing various realistic stereoscopic images. Here, the driving unit for the turntable and the driving unit for operating the object are generally known technologies.

그리고, 디스플레이(200)부의 입체영상부(201)를 이루는 반사판은 투명체로 구비되어 내부의 사물이 투시되고 영상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홀로그램 영상을 생성한다. The reflection plate constituting the stereoscopic image unit 201 of the display unit 200 is provided as a transparent body so that an object inside is viewed and a hologram image is generated by reflecting an image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unit.

즉, 입체영상부(201)를 통해 투시되는 실제 사물 이미지와,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부의 반사판에 반사되어 생성되는 홀로그램 영상이 맵핑되어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사실감 있는 입체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게 된다. 이는 종래 영상과 영상의 맵핑으로 출력되는 입체 영상 콘텐츠보다 더욱 사실감 있는 입체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게 된다. That is, the real object image viewed through the stereoscopic image unit 201 and the hologram image generated by reflecting the image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unit on the reflection plate of the display unit are mapped and displayed to provide realistic stereoscopic image contents. This provides more realistic stereoscopic image contents than the stereoscopic image contents which are output by mapping the conventional image and the image.

여기서, 입체영상부(201) 반사판은 특수 굴절 효과를 위해 아크릴 등과 같은 투명재질의 광학유리를 이용하는데, 광학 유리의 특수 굴절효과에 의해 관람자는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반사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 내의 공간에 있는 사물과 포개져 맵핑되게 보여진다. Here, the reflection plate of the stereoscopic image unit 201 uses a transparent optical glass such as acrylic for the special refraction effect. Due to the special refraction effect of the optical glass, the viewer can see the image reflected by the display unit in a space It appears to be mapped with an object and an overlay.

또한, 입체영상부(201)는 액정 내지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하여 패널 상에 직접 영상을 표현하는 직시형 투명 디스플레이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컨대, 투명한 기판 상에 광을 투사하는 방식으로 목적 영상을 표시하는 투사형 투명 디스플레이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so, the stereoscopic image unit 201 may be a direct view type transparent display that displays an image directly on a panel using a liquid crystal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rojection type transparent display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n object image by projecting light onto a transparent substrate.

그리고, 입체영상부(201)는 입체 영상장치의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The stereoscopic image unit 201 may be output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use of 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예를 들어, 교육용으로 사용할 때에는 영상출력부(100)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3면으로 복사 분할하여 출력되게 하고, 분할 출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200)의 인접한 세면 동일하게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사방에서 동일한 입체 영상콘텐츠를 볼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in case of using for educational purposes, the image reproduced from the video output unit 100 is divided into three planes to be output, and the divided images are displayed on the same three sides of the display unit 200, It may be possible to view the image contents.

또한, 홍보용을 사용할 때에는 영상출력부(100)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3면으로 각각 서로 다른 영상이 출력되게 하여 디스플레이부(200)의 인접하는 세면에 서로 다른 제품의 정보 영상이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관람객의 시선을 끌여 들일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using the publicity information, images reproduced by the video output unit 100 are output to three different images, and information images of different products are displayed on the adjacent three sides of the display unit 200, To be drawn.

또한, 고객과의 상담이나 정보제공에 사용할 때에는 영상출력부(100)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2개면으로 서로 다른 영상이 출력되게 하여 디스플레이부(20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고객이 보는 디스플레이면과 사용자가 보는 디스플레이면의 정보가 다르게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used for consultation or information provision with a customer, images reproduced by the video output unit 100 are display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unit 200, respectively, Information on the display surface and the display surface viewed by the user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이에 더하여, 배경 이미지부(202)에는 배경화면을 제공하여 사물을 더욱 돋보이게 하고 사실감 있는 입체화면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a background image is provided in the background image unit 202 to enhance the object and to provide a realistic stereoscopic image.

이러한 출력방식은 영상출력부(100)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400)의 사용자 설정모드에 따라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상부프레임(310)의 전면부 또는 상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작이 용이하도록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This output method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mode of the control unit 400 that controls the output of the video output unit 100. [ Here, the controller 400 may be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r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310 to facilitate a user's operation, and may be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for easy operation.

이에 더하여 입체 영상장치는 음향정보를 저장하여 출력하는 음향출력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500)에는 음파센서가 구비되어 음악에 맞춰 사물의 모션 컨트롤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즉, 출력되는 음향의 음파를 감지하는 음파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은 제어부(400)는 턴테이블의 구동을 제어하여 사물의 모션이 음악에 맞춰 구동되게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acoustic output unit 500 for storing and outputting acoustic information. The sound output unit 500 may be provided with a sound sensor to enable motion control of objects in accordance with music. That is, the control unit 400 receiving the signal from the sound wave sensor that senses the sound wave of the outputted sound may control the driving of the turntable so that the motion of the object is driven according to the music.

이에 더하여 입체 영상장치는 사물에 조사되는 조명장치(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장치(600)는 RGB LED 색조명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확보함으로써 사물을 돋보이게 하며, 색조명을 통해 화려한 연출이 가능하게 한다. In addition, 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tion device 600 irradiated on an object. The lighting device 600 uses the RGB LED tint name to secure visibility, thereby enhancing objects, and enables a colorful presentation through a tint nam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사물이 내장되어 외면을 통해 투시되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와 디스플레이부의 반사면을 이용한 반사 영상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를 맵핑하여 더욱 깊이 있고 사실감 있는 입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deeper and more realistic stereoscopic image by mapping an actual image of an object, which is embedded in an object inside, through the outer surface, and a reflection image and a background image using a reflection surface of the display unit.

또한, 실제 이미지와 반사 영상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 조합을 통해 구현되는 사실감이 있는 입체 영상에 더하여 LED의 색조명과 음파센서를 통해 음악에 맞추어 컨트롤 가능한 기능이 추가됨으로써 사람들에게 재미와 흥미를 증폭시키고,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realistic stereoscopic images realized through a combination of real images and reflective images and background images, the ability to control music according to the tint name and sound sensor of LEDs is added to increase the fun and interest of people, Can be maximized.

또한, 영상출력방식에 따라 재생되는 영상을 3개면으로 복사 분할하여 출력되게 하고 분할 출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의 인접하는 세면에 동일하게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사방에서 동일한 입체 영상 즉, 내부의 사물에 맞는 맵핑 콘텐츠를 사방에서 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영상출력부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인접하는 세면에 각각 서로 다른 영상이 출력되게 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세면에 서로 다른 정보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게 할 수도 있으며, 영상출력부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2개면으로 서로 다른 영상이 출력되게 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디스플레이 되게 할 수 있음으로써 교육용, 홍보용, 상담용, 프로모션 행사, 전시용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reproduced according to the video output method is divided into three parts and outputted, and the divided output image is displayed on the adjacent three sides of the display unit, thereby displaying the same stereoscopic image, i.e., The image reproduced by the video output unit may output different images to the adjacent three sides so that different information images may be displayed on the three sides of the display unit, It is possible to display various image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unit so that different images can be displayed on two sides of the image, so that it can be variously used for educational, promotional, counseling, promotion, exhibition and the like.

또한, 제품을 경량화 및 단순화시켜 설치 하중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저렴한 제작비용에 따른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ight and simplification of the product can minimize the burden on the installation load, facilitate maintenance, and ensure price competitiveness due to low manufacturing cost.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may be resorted to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영상출력부 110: 홀로그램 입체 콘텐츠 제작모듈
120: 홀로그램 객체 생성모듈 130: 출력모듈
131: 입체영상출력모듈 132: 배경 이미지 출력모듈
200: 디스플레이부 201: 입체영상부
202: 배경 이미지부 210: 사물
220: 턴테이블 300: 지지프레임부
310: 상부프레임 320: 바닥프레임
330: 측면프레임 400: 제어부
500: 음향출력부 600: 조명장치
100: video output unit 110: hologram stereoscopic content production module
120: Hologram object creation module 130: Output module
131: stereoscopic image output module 132: background image output module
200: display unit 201: stereoscopic image unit
202: background image part 210: object
220: turntable 300: support frame part
310: upper frame 320: bottom frame
330: side frame 400:
500: Sound output unit 600: Lighting unit

Claims (9)

하방을 향해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
상기 영상출력부의 하부 중심부에 상단이 결합되어 외향 경사면을 이루는 사면체의 형상를 이루고, 내부에 모형물이 내장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영상출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면체의 형상에서 연속하는 외측면 중 인접하는 세면에 해당되어 투시되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와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이미지를 반사하여 상기 투시되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 위에 상기 영상 이미지를 포개어 출력하는 입체영상부와, 상기 사면체의 형상에서 입체영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한면에 해당되어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배경 이미지를 투영하는 배경 이미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장치.
An imag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image downward;
A display unit having a shape of a quadrangular pyramid having an outwardly inclined surface coupled with an upper end at a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image output unit and having a built-in model therein; And
And a support frame part for supporting the image output part and the display part,
Wherein the display unit reflects an actual image of an object to be viewed and corresponding to an adjacent three of consecutive outer surfaces in a shape of the tetrahedron and an image image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unit to display the image image on an actual image of the object being viewed And a background image unit for projecting a background image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unit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shape of the tetrahedron excluding the stereoscopic image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영상장치는 상기 사물에 매칭되는 영상이미지와 배경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영상출력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output of the image output unit to output a video image and a background image matching the objec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내부의 사물은 동작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물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영상출력부가 상기 사물의 동작에 매칭되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 object in the display unit is provided to be operable,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bject so that the image output unit outputs an image matched with the operation of the objec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3개면으로 복사 분할하여 상기 복사 분할된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인접한 세면이 동일하게 디스플레이 되게 하거나,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3면으로 각각 서로 다른 영상이 출력되게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인접하는 세면에 서로 다른 제품의 정보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게 하거나,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2개면으로 서로 다른 영상이 출력되게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디스플레이 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ler divides the image reproduced by the image output unit into three planes to allow the radiograph divided images to be displayed on the same three sides of the display unit or the images reproduced by the image output unit are divided into three And the other image is display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information images of different products are displayed on the adjacent three sides of the display unit, Respectively, based on the image dat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부는 사물의 사이즈에 맞춰서 제작된 콘텐츠를 맵핑하여 사물 자체 또는 사물의 외면으로 표현이 가능하여 다양한 홀로그램 입체 콘텐츠를 제작하는 홀로그램 입체 콘텐츠 제작모듈과, 상기 홀로그램 입체 콘텐츠 제작모듈로부터 제작된 홀로그램 입체 콘텐츠를 기반으로 홀로그램 이미지 객체 또는 영상을 생성하는 홀로그램 객체 생성모듈과, 상기 홀로그램 객체 생성 모듈로부터 생성된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logram stereoscopic content creation module may include a hologram stereoscopic content creation module for creating various hologram stereoscopic contents by mapping the content p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an object and expressing the stereoscopic content by an object or an outer surface of the object, A hologram object generation module that generates a hologram image object or an image based on stereoscopic contents, and an output module that outputs an image generated from the hologram object generation modu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모듈은 입체 영상을 출력하는 입체영상 출력모듈과, 배경 이미지 영상을 출력하는 배경 이미지 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output module includes a stereoscopic image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a stereoscopic image, and a background image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a background im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영상장치는 음향정보를 저장하여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reoscopic image device further comprises an acoustic output unit for storing and outputting the acoustic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영상장치는 상기 사물에 조사되는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lighting device illuminated to the obje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내부의 사물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바닥면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턴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unit further comprises a turntab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so as to rotate an object inside.
KR1020170150432A 2017-11-13 2017-11-13 Stereoscopic Image Device KR1020630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432A KR102063088B1 (en) 2017-11-13 2017-11-13 Stereoscopic Imag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432A KR102063088B1 (en) 2017-11-13 2017-11-13 Stereoscopic Imag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309A true KR20190054309A (en) 2019-05-22
KR102063088B1 KR102063088B1 (en) 2020-01-07

Family

ID=66680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432A KR102063088B1 (en) 2017-11-13 2017-11-13 Stereoscopic Imag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08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445Y1 (en) * 2003-02-27 2003-05-27 배근화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er
KR100999576B1 (en) * 2009-04-10 2010-12-08 주식회사 마이마스 Reflection-type hologram device
KR101102610B1 (en) 2010-11-26 2012-01-04 하준영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KR101349972B1 (en) 2011-09-16 2014-01-16 전준호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hologram of statu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445Y1 (en) * 2003-02-27 2003-05-27 배근화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er
KR100999576B1 (en) * 2009-04-10 2010-12-08 주식회사 마이마스 Reflection-type hologram device
KR101102610B1 (en) 2010-11-26 2012-01-04 하준영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KR101349972B1 (en) 2011-09-16 2014-01-16 전준호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hologram of stat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088B1 (en) 202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576B1 (en) Reflection-type hologram device
US10520889B2 (en)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 three-dimensional scenes which include transparent objects in a holographic system
US8075138B2 (en) System and methods for angular slice true 3-D display
US7513623B2 (en) System and methods for angular slice true 3-D display
JP6267764B2 (en) Equipment for displaying information media especially for advertising purposes
KR20150060306A (en) Floating type hologram player
US20070081207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mbining holograms with computer graphics
CN102317873A (en) The system and method that is used for colored motion holography
KR20100001261A (en) 3-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using a hologram optical element
WO2006057157A1 (en) Three-dimensional video display apparatus
KR101102610B1 (en)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Bimber Combining optical holograms with interactive computer graphics
KR20170073119A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based on hologram
TW200419297A (en) 3-D image display unit
KR20170082338A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based on hologram
JP6618048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image recording medium
KR102015340B1 (en) Stereoscopic Image Device
KR102063088B1 (en) Stereoscopic Image Device
KR102192585B1 (en) Holographic display device
KR102063092B1 (en) Stereoscopic Image Device
US6822772B2 (en) Holographic display
KR101986687B1 (en) Hologram apparatus using hologram box include three­dimensional scanning type and the method thereof
JP2000019635A (en) Display device
KR101560063B1 (en) Blended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US20230121150A1 (en)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