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251A - Clothes dus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lothes dus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251A
KR20190054251A KR1020170150307A KR20170150307A KR20190054251A KR 20190054251 A KR20190054251 A KR 20190054251A KR 1020170150307 A KR1020170150307 A KR 1020170150307A KR 20170150307 A KR20170150307 A KR 20170150307A KR 20190054251 A KR20190054251 A KR 20190054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hook
mannequin
hanger
gar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3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기병
Original Assignee
김기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병 filed Critical 김기병
Priority to KR1020170150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4251A/en
Publication of KR20190054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2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dusting apparatus, comprising: a cabinet which has an internal space unit with a front opening; an opening/closing door engaged with one side of the cabinet by a hinge to open or block the space unit of the cabinet; a hanger placed on an upper side of the space unit of the cabinet; a hook hanging on the hanger; a mannequin which includes: a frame connected to the hook, and a net-shaped support formed on the frame to have a three-dimensional shape to put clothes on; an air compressor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space unit of the cabinet; and an outer dusting means which includes: an outer nozzle rod installed on an internal wall of the space unit of the cabinet to have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ipe which connects the air compressor to the outer nozzle rod, and which clears away the dust attached to an external surface of the clothes put on the mannequin by using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s of the outer nozzle rod.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the clothes dusting apparatus which is able to clear away even dust on an internal surface of the clothes put on a mannequin.

Description

의류 더스팅 장치{CLOTHES DUSTING APPARATUS}{CLOTHES DU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떨어내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비닛의 행거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마네킹에 의류를 입혀 놓은 상태에서 압축 공기를 이용해 먼지를 떨어내어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의류 더스팅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dust adhering to cloth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othes detachable by using compressed air in a state in which a mannequin which can be fixed by hanging on a hanger of a cabinet, Sting device.

의류에 부착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떨어내어 제거하기 위한 기술로는,As a technique for removing and removing foreign matter such as dust attached to clothes,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630408호 (2006.09.25.등록, 이하 '문헌 1'이라고 함) 『먼지제거 및 살균기능을 가지는 옷장』이 제시되어 있는바,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30408 (registered on September 25, 2006,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1") "Wardrobe having dust removing and sterilizing function"

문헌 1은 본체의 내측으로 의류수납실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의류수납실의 하측에는 제 1 내지 제 3수용부가 구획되어 구비되며, 제 1 또는 제 3수용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송풍팬과 이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가 설치되고, 송풍팬으로부터 송풍관이 연장되어 의류수납실과 연통되며, 의류수납실의 측판에는 적외선 방열기가 설치되고, 제 2수용부 내에는 흡입팬과 이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가 설치되며, 의류수납실로부터 흡입관이 연장되어 제 2수용부와 연통되고, 제 2수용부의 내부에는 흡입팬의 작용에 의해 의류수납실로부터 흡입되는 먼지를 집진하기 위한 집진함이 인출입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비되며, 의류수납실과 본체사이의 공간 내에는 옷걸이에 회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모터가 설치되고, 모터와 옷걸이를 연결하기 위한 회전로드가 의류수납실을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옷의 보관 중에 옷에 묻어 있는 먼지 등의 오염물질들을 제거하고 살균작업을 수행하여 각종 세균의 번식을 막아 옷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고 실내 공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먼지제거 및 살균기능을 가지는 옷장에 관한 기술이다.Reference 1 discloses a garment storage chamber which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e first to third storage portions are provided below the garment storage chamber.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third storage portions is provided with a blowing fan An infrared radiator is provided on a side plate of the garment storage chamber and a suction fan and a motor for driving the suction fan are installed in the second storage portion And a dust collecting box for collecting the dust sucked from the garment storage chamber by the action of the suction fa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so as to be pulled out from the garment storage chamber, A motor for apply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clothes hanger is provided in a space between the garment storage chamber and the main body, Is rotatably pierced through the garment storage room to remove contaminants such as dust from the clothing during storage of the clothes, and sterilization is performed to prevent the propagation of various bacteria to keep the clothes clea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rdrobe having dust removing and sanitizing function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839519호 (2008.06.12.등록, 이하 '문헌 2'라고 함) 『의류용 먼지제거장치』가 제시되어 있는바,As another techniqu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39519 (registered on June 12, 2008,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2") "Apparatus for removing garbage dust"

문헌 2는 전면 상부 및 하부에 도어가 각각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가 제거공간부 및 수거공간부로 구획되며 측면에 유입구 및 상면에 덕트가 연결되는 배출구가 마련된 상태로 저면에 완충용 댐퍼가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제거공간부 및 수거공간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면 중앙에 배출공이 형성되는 유도판과, 상기 유도판의 하부 수거공간부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는 수거통과, 의류에 존재하는 세균을 살균/소독하기 위해 상기 제거공간부의 내벽에 장착되는 자외선램프와, 상기 제거공간부의 상부 내측에 횡 방향으로 설치되며 외주면 상부에 옷걸이의 고정을 위한 다수의 걸이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걸이대와, 상기 걸이대의 양단이 각각 연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상기 걸이공의 옷걸이에 걸린 의류의 먼지를 진동으로 털어내기 위해 구비되는 구동부와, 상기 본체와 연결된 덕트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집진장치와, 상기 집진장치, 구동부, 자외선램프의 조작을 위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는 구동제어기를 포함함으로써, 착용 후 의류에 묻어 있는 먼지를 진동을 통해 용이하게 분리함과 동시에 살균처리 할 수 있도록 한 의류용 먼지제거장치에 관한 기술이다.Reference 2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 door is openably and closably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ront face, the interior is divided into a removal space portion and a collection space portion, and a buffering damper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with an inlet port and a discharge port, An induction plate provided between the removal space portion and the collection space portion and having an exhaust ho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a collection bin retractably housed in the lower collection space portion of the induction plate; An ultraviolet lamp mounted on an inner wall of the removal space part for disinfection / disinfection, a hook installed in an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removal space part and having a plurality of hooks for fixing the clothes hanger on the upper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ce, Both ends of the clothes hanger are supported in a state in which they can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a driving controller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for operating the dust collecting device, the driving unit, and the ultraviolet lamp.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ust collecting device provided on a front end of the duct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removing apparatus for clothes, which is capable of easily separating and sterilizing dust through vibration.

또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501850호 (2015.03.05.등록, 이하 '문헌 3'이라고 함) 『의류 먼지 제거 장치』가 제시되어 있는바,As another techniqu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01850 (registered on May 5, 2015,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3") "Apparatus for removing garment dust"

문헌 3은 의류를 거치하고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옷걸이부와, 상기 옷걸이부의 공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의류를 털어 먼지를 발생시키는 제거부와, 상기 옷걸이부의 공간부와 연결되며 상기 발생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거부는 회전력을 부여하는 모터구동유닛와, 상기 옷걸이부의 공간부의 중심에 형성되며 상기 모터구동유닛에 의해 회전되고 나사산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유닛과, 상기 회전축유닛의 나사산을 따라서 회전 및 상하 운동을 하여 상기 의류의 내부에서 상기 의류를 털어 먼지를 발생시키는 먼지떨이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먼지떨이유닛에 구비된 와이어가 탄성을 가지도록 하여 의류의 종류에 따라 휘어지는 특성을 가지는 경우 의류의 전체적 윤곽이나 겉감을 손상시키지 않고 먼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의류 먼지 제거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Reference 3 discloses a hanger for a clothes hanger, which comprises a hanger portion for receiving a garment and forming a space portion therein, a removing portion provided in a space portion of the hanger portion for removing dust from the clothes, A rotating shaft unit formed at a center of a space portion of the hanger portion and rotated by the motor driving unit and having a thread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dust separating unit that generates a dust by shaking the clothes inside the garment by rotating and moving up and down along a thread of the dust separating unit. Thus, the wire provided in the dust separating unit has elasticity, If it has the characteristic, it does not damage the overall outline or outer surface of the garment, One is the description of the clothing dust removal device to remove more than good.

또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774855호 (2017.08.30.등록, 이하 '문헌 4'라고 함) 『의류 먼지 제거기』가 제시되어 있는바,As another techniqu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74855 (registered on May 30, 2017,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4") "Garment Dust Remover"

문헌 4는 내부에 진동자 및 집진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상부 일측에서 위로 연장 형성되고 복수의 흡입공이 형성되는 제1측벽 및 베이스부의 상부 타측에서 제1측벽과 이격되어 위로 연장 형성되고 복수의 흡입공이 형성되는 제2측벽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제1측벽과 제2측벽 사이에서 베이스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의류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포함하되, 거치대에 거치된 의류에 부착된 이물질은 진동자의 진동에 의해 의류에서 분리되고, 의류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흡입공을 통해 집진부에 축적됨으로써, 의류에 부착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진동을 주어 분리시킨 후 주변 공기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의류 먼지 제거기에 관한 기술이다.Reference 4 discloses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base portion having a vibrator and a dust collecting portion therein, a first sidewall exten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formed thereon, and a second sidewall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idewall, And a second sidewall on which the suction hole of the first sidewall and the second sidewall are formed; and a mount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between the first sidewall and the second sidewall and capable of mounting clothes, And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clothes is accumulated in the dust collecting part through the suction hole to separate foreign matter such as dust attached to the clothes by vibrating and sucking and removing the surrounding air. .

문헌 1.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630408호 (2006.09.25.등록)Documen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30408 (Registered on September 25, 2006) 문헌 2.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839519호 (2008.06.12.등록)Document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39519 (Registered on June 12, 2008) 문헌 3.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501850호 (2015.03.05.등록)Literature 3.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01850 (Registered on May 5, 2015) 문헌 4.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774855호 (2017.08.30.등록)Document 4.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74855 (Registered on August 30, 2017)

본 발명은 캐비닛 내에 구비된 행거에 마네킹을 걸어 고정한 후 마네킹에 의류를 입혀 놓은 상태에서 토출되는 압축 공기를 이용해 먼지를 떨어내도록 한 의류 더스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rment duster apparatus that fixes a mannequin to a hanger provided in a cabinet and fixes the mannequin with clothes, and uses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to remove dust.

나아가 본 발명은 마네킹 내에 압축 분사 구조를 마련하고, 마네킹 또한 내외로 압축 공기 통과가 가능한 네트형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마네킹에 입혀 놓은 의류의 내표면까지 먼지를 떨어낼 수 있도록 한 의류 더스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arment dusting apparatus capable of discharging dust to the inner surface of a garment put on a mannequin by providing a compression injection structure in the mannequin and a net structure in which a mannequin is also allowed to pass through the compressed air inside and outside The purpose is to provide.

아울러 본 발명은 마네킹이 토출된 압축 공기에 의해 좌우로 흔들릴 수 있도록 하여 정지된 의류 보다 흔들리는 의류의 먼지가 더 잘 떨어지는 것을 이용한 의류 더스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el dusting apparatus using damping of dampness of clothes shaken more than static clothes by allowing the manikin to swing left and right by the discharged compressed air.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더스팅 장치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방 개구(開口)형 내부 공간부를 갖는 캐비닛;A cabinet having a front opening type internal space portion;

상기 캐비닛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캐비닛의 공간부를 개방하거나 차단하게 되는 개폐도어;An opening / closing door hinged to one side of the cabinet to open or close the space of the cabinet;

상기 캐비닛의 공간부 상측에 배치되는 행거;A hanger disposed above the space portion of the cabinet;

상기 행거에 걸리게 되는 후크;A hook which is caught on the hanger;

상기 후크에 연결되는 프레임, 그리고 의류를 입혀 놓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입체적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네트(net)형 서포트로 이루어진 마네킹;A frame connected to the hook, and a net type support formed to have a three-dimensional shape in the frame for covering the garment;

상기 캐비닛의 공간부 상측에 설치되는 에어컴프레서; 및An air compressor installed above the space of the cabinet; And

상기 캐비닛의 공간부 내벽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토출공을 갖는 아우터노즐로드, 그리고 상기 에어컴프레서와 상기 아우터노즐로드를 상호 연결하는 배관으로 이루어져, 상기 마네킹에 입혀 놓은 의류 외표면에 부착된 먼지를 상기 아우터노즐로드의 각 토출공으로 토출된 압축 공기를 이용해 떨어내기 위한 아우터더스팅수단;An outer nozzle rod installed on an inner wall of the space portion of the cabinet and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pipe connecting the air compressor and the outer nozzle rod to each other, Outer dusting means for discharging the dust by using compressed air discharged to each discharge hole of the outer nozzle rod;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더스팅 장치는,A garment d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각종 의류를 벗어 마네킹에 걸친 상태에서 의류 내외로 토출되는 압축 공기를 이용해 먼지를 떨어내도록 함으로써, 먼지 제거 성능이 우수하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카트리지를 통해 의류를 살균하거나 탈취하는 등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어 시장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By removing the various clothes and using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garment in the state of covering the mannequins, dust is removed, thereby providing excellent dust removing performance, miniaturization, and convenience of sterilizing or deodorizing clothes through cartridges This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secure market competitivenes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더스팅 장치를 나타낸 정단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일부 측단면 구성도,
도 3은 이너더스팅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 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A"에 대한 후크와 행거, 스윙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및 결합, 입체 구성도,
도 7은 스윙수단에 의해 회동 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8은 도 3의 "B"에 대한 마네킹의 단면 구성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 apparel d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 side sectional view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for showing inner fastening means,
Figs. 4 to 6 show a hook and hanger for " A " in Fig. 3, separation and coupling for showing the swing means,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being rotated by the swing means;
8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the mannequin for " B "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도 1을 기준으로 에어컴프레서 측을 상부 또는 상방, 포집부재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The direction of the air compressor is referred to as the upper or upper side and the collecting member side is referred to as the lower or lower side with reference to Fig.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더스팅 장치는,1 to 8, a garment d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크게 캐비닛(10), 개폐도어(20), 행거(30), 후크(40), 마네킹(50), 에어컴프레서(60), 아우터더스팅수단(70)으로 이루어진다.The hanger 30, the hook 40, the mannequin 50, the air compressor 60 and the outer dusting means 70. The cabinet 10,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 the hanger 30, the hook 40,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Looking at each configuration,

캐비닛(10)은The cabinet (10)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1 and 2,

전방 개구(開口)형 내부 공간부(11)The front opening (open) type internal space portion (11)

를 포함하는 사각 박스형 구조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여기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공간부(11)를 상하로 구획하게 되는 구획판(12)과, 상기 공간부(11)에서 상기 구획판(12)에 의해 구획된 상부 측 공간부(11)에 형성되는 외기 흡기부(13)와, 상기 공간부(11)에서 상기 구획판(12)에 의해 구획된 하부 측 공간부(11)에 형성되는 배기부(14)를 더 포함한다.1, the cabinet 10 includes a partition plate 12 for partitioning the space portion 11 up and down and a partition wall 12 for partitioning the space portion 11 by the partition plate 12, An air intake portion 13 formed in the side space portion 11 and an exhaust portion 14 formed in the lower space portion 11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plate 12 in the space portion 11, .

이때 상기 흡기부(13)와 배기부(14)는 흡기 및 배기 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링부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intake unit 13 and the exhaust unit 14 are preferably provided with filtering members for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when intake and exhaust are performed.

따라서 상기 에어컴프레서(60)에 의해 압축 공기 생성 시 상기 흡기부(13)를 통해 흡기된 외기를 이용하게 되고, 상기 마네킹(50)을 향해 토출된 압축 공기는 상기 배기부(14)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Therefore, when compressed air is generated by the air compressor 60, the outside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unit 13 is used, and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toward the mannequin 50 is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unit 14 to the outside .

개폐도어(20)는The opening / closing door (2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2,

상기 캐비닛(10)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캐비닛(10)의 공간부(11)를 개방하거나 차단하게 되는 도어 구조로 이루어진다.And a door structure hinged to one side of the cabinet 10 to open or close the space 11 of the cabinet 10.

상기 개폐도어(20)에는 손잡이와, 상기 캐비닛(10)의 공간부(11)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별도의 투시창이 구비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and a separate window for visually checking the space 11 of the cabinet 10 from the outside.

행거(30)는The hanger (30)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1 to 6,

상기 캐비닛(10)의 공간부(11) 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And is disposed above the space portion 11 of the cabinet 10,

상기 캐비닛(10)의 공간부(11) 상측 좌우 내벽에 연결되는 수평형 행거바(31),A horizontal hanger bar 31 connected to the upper left and right inner walls of the space 11 of the cabinet 10,

상기 행거바(31) 중단(中端)에 후방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되 상하로 개구된 형태의 리세스(recess)(32), 그리고A recess 32 formed to be recessed rearward at the middle end of the hanger bar 31 and opened upward and downward,

상기 리세스(32) 상부 측 바닥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관통되게 형성되는 사각홀(33)A square hole 33 formed to penetrate rearwardly obliquely on the bottom of the upper side of the recess 32,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행거바(31)는 원형의 단면 구조를 갖고, 상기 리세스(32)와 상기 사각홀(33)은 사각의 단면 공간 구조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hanger bar 31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the recess 32 and the square hole 33 have a square cross-sectional spatial structure.

후크(40)는The hook (40)

도 1,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1 and 4 to 6,

상기 행거(30)에 걸리게 되는 것으로,As the hanger 30 is caught,

후술할 마네킹(50)의 프레임(51) 상단(上端)에 연결되는 후크바디(41), 그리고A hook body 41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rame 51 of the mannequin 5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후크바디(41) 상단에 연결되고 후방으로 경사진 형태의 후크로드(42)A hook rod 42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ok body 41 and inclined rearward,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후크바디(41)는 상기 행거(30)의 리세스(32)에 삽입 안착되고, 상기 후크로드(42)는 상기 행거(30)의 사각홀(3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행거(30)에 상기 후크(40)가 걸려 고정되거나 빠져나와 해제되는 탈장착 동작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hook body 41 is inserted into the recess 32 of the hanger 30, and the hook rod 42 is inserted into the square hole 33 of the hanger 30, The hook 40 can be hooked and fixed or released to be released.

그리고 상기 후크바디(41)와 상기 후크로드(42)는 상기 행거(30)의 리세스(32)와 사각홀(33)에 각각이 삽입된 상태에서 좌우로의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상기 행거(30)의 리세스(32)와 사각홀(33)의 단면 공간 구조와 대응되는 사각의 단면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hook body 41 and the hook rod 42 are inserted into the recess 32 and the square hole 33 of the hanger 30 so that the movement of the hanger 30 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patial structure of the recess 32 and the square hole 33 of the first embodiment.

마네킹(50)은The mannequin (50)

도 1,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1, 3 and 8,

상기 후크(40)의 후크바디(41)에 연결되는 프레임(51), 그리고A frame 51 connected to the hook body 41 of the hook 40,

상기 프레임(51)에 형성되는 서포트(52)A support (52) formed on the frame (51)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51)은 의류의 형상에 맞게 동일 또는 유사한 뼈대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일 예로 의류가 와이셔츠나 양복 상의일 경우 몸통과 양 어깨를 갖는 구조이거나 양 어깨로부터 연장된 두 팔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예로 의류가 청바지 등의 하의일 경우 골반과 두 다리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3, the frame 51 has a skeleton structure that is the same or similar to that of the garment. For example, when the garment is a dress shirt or a suit, And a structure including two arms extending from the shoulder. In another example, the garment may have a structure having a pelvis and two legs in the case of a jeans bottom or the like.

결국 상기 프레임(51)은 의류 종류와 형태에 맞게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the frame 51 can have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type and shape of the clothes.

그리고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서포트(52)는 상기 프레임(51)을 덮는 형태로 상기 프레임(51)에 연결되며 의류를 입혀 놓기 위해 의류 내부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입체적인 형상을 갖고 내외로 통기(通氣)가 가능한 네트(net)형 구조로 이루어진다.8, the support 52 is connected to the frame 51 in a form of covering the frame 51, and has a three-dimensional shape which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inner structure of the clothes for putting on clothes, And a net-like structure in which the air can be blown.

에어컴프레서(60)는The air compressor (6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1,

상기 캐비닛(10)의 공간부(11) 상측, 즉 상기 구획판(12)에 의해 구획된 상부 측 공간부(11)에 설치되고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공지의 공기압축기 구조로 이루어진다.And a known air compressor structure installed in the upper space portion 11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plate 12 above the space portion 11 of the cabinet 10 to generate compressed air.

아우터더스팅(outer dusting)수단(70)은The outer dusting means (70)

상기 마네킹(50)에 입혀 놓은 의류 외표면에 부착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떨어내기 위한 것으로,For removing foreign matter such as dust adher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lothes put on the mannequin 50,

상기 캐비닛(10)의 공간부(11), 즉 상기 구획판(12)에 의해 구획된 하부 측 공간부(11) 내벽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토출공(711)을 갖는 아우터노즐로드(71), 그리고An outer nozzle rod 12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711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binet 10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lower space portion 11 partitioned by the space portion 11 of the cabinet 10, (71), and

상기 에어컴프레서(60)와 상기 아우터노즐로드(71)를 상호 연결하는 배관(72)A pipe 72 for interconnecting the air compressor 60 and the outer nozzle rod 71,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아우터노즐로드(71)는 상기 캐비닛(10)의 공간부(11) 양 내벽에 각각 설치되게 한 쌍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아우터노즐로드(71)는 상하 길이를 갖도록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 상기 아우터노즐로드(71)의 각 토출공(711)은 상기 마네킹(50)을 향하는 토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 the outer nozzle rods 71 are provided on both inner walls of the space portion 11 of the cabinet 10,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nozzle rod 71 is vertically arranged so as to have a vertical length and each discharge hole 711 of the outer nozzle rod 71 has a discharge structure directed toward the mannequin 50 Do.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아우터노즐로드(71)는 전후로 나누어져 나란히 배치되는 두 분체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분체에 연결되는 상기 배관(72)에는 개폐밸브(73)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 2, the pair of outer nozzle rods 71 are composed of two powder structures which are divided and arranged side by side, and the piping 72 connected to each powder is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valve 73 do.

결국 외부 제어에 의해 상기 개폐밸브(73) 제어 시, 하나의 분체에 연결된 개폐밸브(73)는 개방하고, 다른 하나의 분체에 연결된 개폐밸브(73)는 차단하게 되면 하나의 분체 측 토출공(711)으로 압축 공기가 토출되고,As a result, when the on-off valve 73 is controlled by the external control, the on-off valve 73 connected to one powder is opened and the on-off valve 73 connected to the other powder is shut off, 711,

반대로 하나의 분체에 연결된 개폐밸브(73)는 차단하고, 다른 하나의 분체에 연결된 개폐밸브(73)는 개방하게 되면 다른 하나의 분체 측 토출공(711)으로 압축 공기가 토출된다.On the contrary, the open / close valve 73 connected to one powder is shut off, and when the open / close valve 73 connected to the other powder is opened, the compressed air is discharged to the other powder side discharge hole 711.

따라서 상기 각 개폐밸브(73)가 서로 번갈아가며 개폐 동작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마네킹(50)에 입혀 놓은 의류 일측과 타측을 번갈아가며 압축 공기가 해당 측으로 토출됨으로써, 상기 마네킹(50)에 입혀 놓은 의류 외표면에 부착된 먼지를 떨어내게 된다.Accordingly, the open / close valves 73 are alternately opened and closed, and the compressed air is alternately discharged to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garment put on the mannequin 50, The dust adhe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lothes is dropp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더스팅 장치는 이너더스팅수단(80)을 더 포함하는데,Meanwhile, the apparel d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inner skinning means 80,

상기 이너더스팅(inner dusting)수단(80)은The inner dusting means (80)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1 to 3,

상기 마네킹(50)의 프레임(51)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마네킹(50)의 서포트(52) 내에 가지 형태로 배치되는 이너노즐로드(81),An inner nozzle rod 81 supported by a frame 51 of the mannequin 50 and arranged in a branch in the support 52 of the mannequin 50,

상기 이너노즐로드(81)의 가지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토출구(82), 그리고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82 formed along the branch direction of the inner nozzle rod 81, and

상기 배관(72)과 상기 이너노즐로드(81)를 상호 연결하는 중계부(83)A relay unit 83 for interconnecting the pipe 72 and the inner nozzle rod 81,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너노즐로드(81)는 하나의 관체에서 여러 갈래로 분기(分岐)되는 가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토출구(82)는 의류 내표면을 향하는 토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nozzle rod 81 is formed into a branch shape which branches off from a tube in several branches, and each of the discharge ports 82 has a discharge structure directed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garment.

그리고 상기 중계부(83)는 상기 행거(30)의 행거바(31) 내부에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상기 배관(72)과 연결되는 내부 유로(831)와, 상기 행거바(31) 하부 측 외주연에 상하 관통되어 상기 유로(831)와 서로 연통되는 토출홀(832)과, 후술할 스윙수단(90)의 플랜지(91)와 디스크(92), 대응플랜지(94)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토출홀(832)과 연통되는 중계유로(833)로 이루어진다.The relay unit 83 includes an internal flow path 831 formed in the hanger bar 31 of the hanger 3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connected to the pipe 72, A discharging hole 832 penetrating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edge and communicating with the flow path 831 and a flange 91 of the swing means 90 to be described later and a disk 92 and a corresponding flange 94 And a relay passage 833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hole 832.

이때 상기 중계유로(833)는 상기 이너노즐로드(81) 내부와 서로 연통된다.At this time, the relay passage 833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inner nozzle rod 81.

따라서 상기 마네킹(50)에 입혀 놓은 의류 내표면에 부착된 먼지를 상기 이너노즐로드(81)의 각 토출구(82)에서 토출된 압축 공기를 이용해 떨어내게 된다.Accordingly, the dust adher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garment put on the mannequin 50 is discharged by using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from each discharge port 82 of the inner nozzle rod 81.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더스팅 장치는 스윙수단(90)을 더 포함하는데,Meanwhile, the apparel d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swing means 90,

상기 스윙(swing)수단(90)은The swing means (90)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6 and 7,

상기 후크(40)의 후크바디(41)와 상기 마네킹(50)의 프레임(51)에 개재(介在)되고 상기 개폐밸브(73)에 의해 각 분체가 서로 번갈아가며 압축 공기 토출 시 상기 마네킹(50) 및 이에 입혀 놓은 의류가 함께 예각(銳角) 범위 내에서 좌우로 회동되게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The hook body 41 of the hook 40 and the frame 51 of the mannequin 50 are interposed so that the powders alternate with each other by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73 and the mannequin 50 ) And the garment put on them are guided to be turned right and left together within an acute angle range,

상기 후크(40)의 후크바디(41) 하단(下端)에 연결되는 원판형 플랜지(91),A disk-shaped flange 91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ook body 41 of the hook 40,

상기 마네킹(50)의 프레임(51) 상단에 형성되는 원판형 디스크(92),A disk-shaped disk 92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rame 51 of the mannequin 50,

상기 디스크(92) 외주연에서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스토퍼(93),A pair of stoppers 93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disk 92 to face each other,

볼트 등에 의해 상기 플랜지(91)와 상호 결합되는 대응플랜지(94),A corresponding flange 94 which is mutually coupled with the flange 91 by bolts or the like,

상기 대응플랜지(94)의 상부면에 하방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92)가 삽입 안착되는 제1지지공간부(95), 그리고A first support space part 95 which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flange 94 so as to be downwardly inserted and into which the disk 92 is inserted,

상기 지지공간부(95)에서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각 스토퍼(93)가 삽입 안착되는 제2지지공간부(96)And a second support space portion 96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support space portion 95 and opposed to each other to receive the respective stoppers 9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지지공간부(96)는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이에 안착된 상기 스토퍼(93)의 회동 각도가 예각을 이루도록 부채꼴 형상의 공간 구조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second support space portion 96 has a fan-shaped spatial structure so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stopper 93 seated on the second support space portion 96 becomes an acute angle.

따라서 상기 아우터더스팅수단(70)에서 아우터노즐로드(71)의 각 분체에서 서로 번갈아가며 압축 공기 토출 시 상기 디스크(92)가 좌우로 회동됨에 따라 이와 연결된 상기 마네킹(50) 또한 좌우로 회동되어 흔들리게 되는데, 이는 정지된 의류 보다 좌우로 흔들리게 되는 의류의 먼지가 더 잘 떨어짐을 유도하기 위함이다.Therefore, when the disk 92 is turned to the left or to the right when the compressed air is discharged alternately in each powder of the outer nozzle rod 71 in the outer dusting unit 70, the mannequin 50 connected to the disk 92 is also turned to the left and right This is to induce the dust of the garment to be shaken to the left or to the right rather than the stopped garment to fall bett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더스팅 장치는 카트리지(100)를 더 포함하는데,Meanwhile, the apparel d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cartridge 100,

상기 카트리지(100)는The cartridge (10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1,

상기 캐비닛(10)의 공간부(11)에서 상기 구획판(12)에 의해 구획된 상부 측 공간부(11)에 배치되고 살균, 탈취, 항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분이 저장된 카트리지몸체(101),A cartridge body 101 disposed in an upper space portion 11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plate 12 in the space portion 11 of the cabinet 10 and storing at least one of sterilization, deodorization,

상기 카트리지몸체(101)와 상기 배관(72)을 상호 연결하는 중계배관(102), 그리고A relay pipe 102 for interconnecting the cartridge body 101 and the pipe 72, and

상기 중계배관(102) 상에 설치되는 중계개폐밸브(103)The relay on / off valve (103) provided on the relay pipe (10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압축 공기 이동 시 상기 중계개폐밸브(103)가 개방되면 상기 카트리지몸체(101)에 저장된 살균, 탈취, 항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분이 함께 이동하게 되어 의류 측으로 압축 공기와 함께 토출된다.As a result, when the intermediate opening / closing valve 103 is opened during the compressed air movement, at least one component of sterilization, deodorization, and antibacterial stored in the cartridge body 101 moves together and is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compressed air to the clothes side.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의 공간부(11)에는 상기 카트리지몸체(101)가 수용되기 위한 별도의 수납부(15)가 형성될 수 있다.A separate receiving portion 15 for receiving the cartridge body 101 may be formed in the space portion 11 of the cabinet 1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더스팅 장치는 필터부재(110)와 포집부재(120)를 더 포함하는데,Meanwhile, the dust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lter member 110 and a collecting member 12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1,

상기 필터부재(110)는 상기 캐비닛(10)의 공간부(11) 하부 측에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The filter member 11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space portion 11 of the cabinet 10 so as to be spaced from the floor,

상기 포집부재(120)는 서랍식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공간부(11)에서 상기 필터부재(110) 하부 측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부재(110)를 통과한 먼지 등의 이물질을 포집하게 된다.The collecting member 120 has a drawer structure and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member 110 in the space portion 11 to collect foreign matter such as dus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member 110.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의류 더스팅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invention.

10 : 캐비닛
11 : 공간부 12 : 구획판
13 : 흡기부 14 : 배기부
15 : 수납부
20 : 개폐도어
30 : 행거
31 : 행거바 32 : 리세스
33 : 사각홀
40 : 후크
41 : 후크바디 42 : 후크로드
50 : 마네킹
51 : 프레임 52 : 서포트
60 : 에어컴프레서
70 : 아우터더스팅수단
71 : 아우터노즐로드 711 : 토출공
72 : 배관 73 : 개폐밸브
80 : 이너더스팅수단
81 : 이너노즐로드 82 : 토출구
83 : 중계부 831 : 유로
832 : 토출홀 833 : 중계유로
90 : 스윙수단
91 : 플랜지 92 : 디스크
93 : 스토퍼 94 : 대응플랜지
95, 96 : 제1 및 제2 지지공간부
100 : 카트리지
101 : 카트리지몸체 102 : 중계배관
103 : 중계개폐밸브
110 : 필터부재
120 : 포집부재
10: Cabinet
11: space part 12: partition plate
13: intake part 14: exhaust part
15:
20: Opening and closing door
30: Hanger
31: hangers bar 32: recess
33: square hole
40: Hook
41: hook body 42: hook rod
50: Mannequins
51: Frame 52: Support
60: Air Compressor
70: outer duster means
71: outer nozzle rod 711: discharge hole
72: piping 73: opening / closing valve
80: Inner dustering means
81: Inner nozzle rod 82: Outlet port
83: Relay unit 831:
832: Discharge hole 833:
90: Swing means
91: flange 92: disk
93: Stopper 94: Corresponding flange
95, 96: first and second support space portions
100: Cartridge
101: Cartridge body 102: Relay piping
103: Relay opening / closing valve
110: Filter element
120: collecting member

Claims (4)

전방 개구(開口)형 내부 공간부(11)를 갖는 캐비닛(10);
상기 캐비닛(10)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캐비닛(10)의 공간부(11)를 개방하거나 차단하게 되는 개폐도어(20);
상기 캐비닛(10)의 공간부(11) 상측에 배치되는 행거(30);
상기 행거(30)에 걸리게 되는 후크(40);
상기 후크(40)에 연결되는 프레임(51), 그리고 의류를 입혀 놓기 위해 상기 프레임(51)에 입체적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네트(net)형 서포트(52)로 이루어진 마네킹(50);
상기 캐비닛(10)의 공간부(11) 상측에 설치되는 에어컴프레서(60); 및
상기 캐비닛(10)의 공간부(11) 내벽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토출공(711)을 갖는 아우터노즐로드(71), 그리고 상기 에어컴프레서(60)와 상기 아우터노즐로드(71)를 상호 연결하는 배관(72)으로 이루어져, 상기 마네킹(50)에 입혀 놓은 의류 외표면에 부착된 먼지를 상기 아우터노즐로드(71)의 각 토출공(711)으로 토출된 압축 공기를 이용해 떨어내기 위한 아우터더스팅수단(7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의류 더스팅 장치.
A cabinet (10) having a front opening (open) type inner space portion (11);
An opening / closing door (20) hinged to one side of the cabinet (10) to open / close the space (11) of the cabinet (10);
A hanger (30) disposed above the space (11) of the cabinet (10);
A hook (40) hooked on the hanger (30);
A mannequin 50 consisting of a frame 51 connected to the hook 40 and a net-shaped support 52 formed to have a three-dimensional shape in the frame 51 for covering clothing;
An air compressor 60 installed above the space 11 of the cabinet 10; And
An outer nozzle rod 71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space 11 of the cabinet 10 and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71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n outer nozzle rod 71 connected to the air compressor 60 and the outer nozzle rod 71, The dust adher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lothes put on the mannequin 50 is discharged by using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to each discharge hole 711 of the outer nozzle rod 71, Outer dustering means 70;
The garment duster device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네킹(50)의 프레임(511)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마네킹(50)의 서포트(52) 내에 가지 형태로 배치되는 이너노즐로드(81)와,
상기 이너노즐로드(81)의 가지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토출구(82)와,
상기 배관(72)과 상기 이너노즐로드(81)를 상호 연결하는 중계부(83)
으로 이루어져, 상기 마네킹(50)에 입혀 놓은 의류 내표면에 부착된 먼지를 상기 이너노즐로드(81)의 각 토출구(82)로 토출된 압축 공기를 이용해 떨어내기 위한 이너더스팅수단(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더스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nner nozzle rod 81 supported by the frame 511 of the mannequin 50 and arranged in a branch in the support 52 of the mannequin 50,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82 formed along the branch direction of the inner nozzle rod 81,
A relay unit 83 for interconnecting the pipe 72 and the inner nozzle rod 81,
An inner dusting means 80 for dusting dust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garment put on the mannequin 50 by using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to each discharge port 82 of the inner nozzle rod 81 Further comprising a garment slotting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40)는 상기 프레임(51) 상단(上端)에 연결되는 후크바디(41)와, 상기 후크바디(41) 상단에 연결되고 후방으로 경사진 형태의 후크로드(42)로 이루어지고,
상기 행거(30)는 상기 캐비닛(10)의 공간부(11) 상측 좌우 내벽에 연결되는 수평형 행거바(31)와, 상기 행거바(31) 중단(中端)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40)의 후크바디(41)가 삽입 안착되는 리세스(recess)(32)와, 상기 리세스(32) 상부 측 바닥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관통 형성되어 상기 후크(40)의 후크로드(42)가 삽입되는 사각홀(33)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크(40)의 후크바디(41)와 후크로드(42)는 단면이 사각이고, 이에 대응되게 상기 행거(30)의 리세스(32)와 사각홀(33) 또한 단면 공간이 사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더스팅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ook 40 includes a hook body 41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rame 51 and a hook rod 42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ok body 41 and inclined rearward,
The hanger 30 includes a horizontal hanger bar 31 connected to the upper left and right inner walls of the space 11 of the cabinet 10 and a hanger 30 formed at the middle end of the hanger bar 31, And a hook rod 42 of the hook 40 is inserted into the recess 32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ecess 32 so as to be inclined rearwardly. And a square hole 33,
The hook body 41 and the hook rod 42 of the hook 40 are rectangular in cross section and correspondingly the recess 32 and the square hole 33 of the hanger 30 also have a rectangular cross- Wherein the garment dusting device is a garment dusting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더스팅수단(70)의 아우터노즐로드(71)는 상기 캐비닛(10)의 공간부(11) 양 내벽에 각각 설치되게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아우터노즐로드(71)는 전후로 나누어져 배치되는 두 분체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아우터노즐로드(71)에서 각 분체에 연결되는 상기 배관(72)에는 개폐밸브(73)가 구비되고,
상기 후크(40)의 후크바디(41)와 상기 마네킹(50)의 프레임(51)에 개재(介在)되고 상기 개폐밸브(73)의 개폐 동작에 의해 각 분체가 서로 번갈아가며 압축 공기 토출 시 상기 마네킹(50) 및 이에 입혀 놓은 의류가 함께 예각(銳角) 범위 내에서 좌우로 회동되게 안내하는 스윙수단(9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더스팅수단(70)의 배관(72)에 연결되어 압축 공기 이동 시 함께 이동되는 살균, 탈취, 항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분이 포함된 카트리지(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더스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outer nozzle rod 71 of the outer duster unit 70 is provided on both inner walls of the space 11 of the cabinet 10,
The pair of outer nozzle rods 71 are composed of two powder structures that are divided and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The pipe 72 connected to each powder in the pair of outer nozzle rods 71 is provided with an on-off valve 73,
Wherein the hook body (41) of the hook (40) and the frame (51) of the mannequin (50) interpose each other by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73) Further comprising swing means (90) guiding the mannequin (50) and the garment clothed therewith to pivot left and right within an acute angle range,
Further comprising a cartridge (100) connected to the piping (72) of the outer dusting means (70)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r more components of sterilization, deodorization, Sting device.
KR1020170150307A 2017-11-13 2017-11-13 Clothes dusting apparatus KR2019005425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307A KR20190054251A (en) 2017-11-13 2017-11-13 Clothes dus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307A KR20190054251A (en) 2017-11-13 2017-11-13 Clothes dus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251A true KR20190054251A (en) 2019-05-22

Family

ID=6668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307A KR20190054251A (en) 2017-11-13 2017-11-13 Clothes dus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4251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93917A (en) * 2020-08-20 2020-11-27 焦培刚 New energy automobile safety charging device
KR20210149562A (en) * 2020-06-02 2021-12-09 주식회사 룰루랄라랩 the apparatus for removing of the hair attached to companion animal and clothes
CN114737379A (en) * 2022-04-28 2022-07-12 丁悄杰 Clothing hanging and cleaning system for clothing produ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408B1 (en) 2004-03-29 2006-09-29 마등산업개발 주식회사 Wardrobe capable of removing dust and disinfecting
KR100839519B1 (en) 2007-07-12 2008-06-19 이종범 Dust removal apparatus for clothes
KR101501850B1 (en) 2013-11-21 2015-03-1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Dust removal apparatus for clothes
KR101774855B1 (en) 2015-12-07 2017-09-05 최정진 Dust removal apparatus for cloth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408B1 (en) 2004-03-29 2006-09-29 마등산업개발 주식회사 Wardrobe capable of removing dust and disinfecting
KR100839519B1 (en) 2007-07-12 2008-06-19 이종범 Dust removal apparatus for clothes
KR101501850B1 (en) 2013-11-21 2015-03-1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Dust removal apparatus for clothes
KR101774855B1 (en) 2015-12-07 2017-09-05 최정진 Dust removal apparatus for cloth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9562A (en) * 2020-06-02 2021-12-09 주식회사 룰루랄라랩 the apparatus for removing of the hair attached to companion animal and clothes
CN111993917A (en) * 2020-08-20 2020-11-27 焦培刚 New energy automobile safety charging device
CN114737379A (en) * 2022-04-28 2022-07-12 丁悄杰 Clothing hanging and cleaning system for clothing production
CN114737379B (en) * 2022-04-28 2024-05-07 广州希利服饰有限公司 Clothing hanging and cleaning system for clothing produ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4251A (en) Clothes dusting apparatus
KR101954032B1 (en) Apparel cleaning management system
EP3705618B1 (en) Clothes manager
AU2003200781A1 (en) Dust Collecting Filter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0768076B1 (en) A dust collector for duster
TWI630301B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13058346A1 (en) Wardrobe with ion generating device
KR100630408B1 (en) Wardrobe capable of removing dust and disinfecting
CN206809949U (en) A kind of dust exhaust apparatus for forming machine automatic filtering net cleaning system
ITRA20070042A1 (en) CONTROL UNIT FOR CENTRALIZED VACUUM CLEANERS.
KR200488452Y1 (en) duster precipitation device
CN108855476A (en) A kind of pharmaceutical production processing multi-purpose pneumatic screening device
KR20180065594A (en) Clothes Cleaning Apparatus
KR100802021B1 (en) Air-conditioner
KR102565395B1 (en) Clothes Handling Apparatus
KR100751764B1 (en) Exhaust filter for vacuum cleaner
KR101930518B1 (en) Portable case having a garment mounting portion where anions are generated
KR20070088012A (en) Clothing cleaning apparatus
JP2008039270A (en) Garment stocker
KR101988375B1 (en) Industrial vacuum cleaner with filter dusting structure using air switching
JP3584711B2 (en) Closet dust collection structure
KR101774855B1 (en) Dust removal apparatus for clothes
KR102377169B1 (en) Kit for drying laundry for dehumidifier
JP2007321335A (en) Clean room
JP3149190U (en) Equipment for removing odors, fungi and pollen from clot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