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050A - Apparatus for enhancing fine particle adsorption power of plants through electrical ground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enhancing fine particle adsorption power of plants through electrical groun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050A
KR20190054050A KR1020190055856A KR20190055856A KR20190054050A KR 20190054050 A KR20190054050 A KR 20190054050A KR 1020190055856 A KR1020190055856 A KR 1020190055856A KR 20190055856 A KR20190055856 A KR 20190055856A KR 20190054050 A KR20190054050 A KR 20190054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electrode
carbon
grounding
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8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74611B1 (en
Inventor
김형주
송학진
양영헌
김창중
이우성
윤태항
심석영
장민주
이상현
정우영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55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611B1/en
Publication of KR20190054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0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6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improving fine particle adsorption of a plant through electrical grounding, comprising: a flowerpot which grows a plant indoors; the plant which is grown in the flowerpot; an electrode which is positioned at a root part of the plant, is easily applied to soil, and uses a conductor having low electrical resistance; a wire which connects the electrode and the ground to ground the ground; and a grounding unit which is positioned in an end unit of the wire, and grounds the grou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improve an air purifying ability of the plant by improving a dust removing ability of the plant when electrical grounding is connected to the flowerpot grown indoors, thereby being usefully applied to real life.

Description

전기적 지면 접지를 통한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Apparatus for enhancing fine particle adsorption power of plants through electrical grounding}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enhancing fine particle adsorption power of a plant through electrical grounding,

본 발명은 전기적 지면 접지를 통한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생육되는 화분에 전기적 지면 접지를 연결하였을 때 식물이 갖는 분진 제거 능력 등이 더욱 향상되어, 식물의 공기 정화능력을 더욱 증가시킴으로써 실생활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전기적 지면 접지를 통한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enhancing the attraction force of fine particles of a plant through electrical grounding,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enhancing a fine particle adsorption capacity of a plant through electric grounding which can be applied to real life by further increasing the air purification ability.

우리나라는 중국의 급격한 산업화로 인한 미세먼지와 중국발 황사 등으로 대기오염이 심각한 상황이다. 최근 미세먼지 오염도가 크게 증가하며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 공기 중 미세입자의 오염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미세먼지의 가장 큰 문제는 발생원인을 쉽게 제거하거나 규제, 차단 등이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는 점이다. 따라서 미세먼지 문제를 사회적으로 빠르게 해결하기 보다는 개인 차원에서의 완화방안을 강구해야 하는 실정이다. Air pollution is serious in Korea due to the rapid industrialization of China and fine dust and yellow dust from China. Recently, the degree of fine dust pollution has been greatly increased, and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awareness of contamination of airborne fine particles such as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The biggest problem of fine dust is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remove the cause easily, to regulate, to block, and so on. Therefore, rather than solving the problem of fine dust quickly, it is necessary to seek mitigation measures at the individual level.

이들을 완화하는 방법 중에는 마스크,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거나 오염도가 심한 날은 외출을 자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공기청정기는 전기를 사용하여 경제적 손실을 야기한다. 이런 문제로 해결하는 한 방법으로서 실내 식물의 배양이 알려져 있다. 식물은 빛과 물을 제외한 추가 에너지공급 없이 공기 중 미세입자의 흡착이 가능하며, 이산화탄소 제거 및 산소 발생 등 다양한 긍정적 효과가 얻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식물의 실내 배양은 그 화분이 전기적으로 지면으로부터 절연되어 있기 때문에, 식물이 일반적인 대지 및 경작지에서 생육하는 환경과는 큰 차이가 있다. Most of these methods are to use a mask or an air cleaner, or to refrain from going out on a day when the pollution is severe. Especially air purifiers use electricity to cause economic losses. Cultivation of indoor plants is known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Plants are known to be able to adsorb fine particles in the air without additional energy supply except light and water, and have various positive effects such as carbon dioxide removal and oxygen generation. However, indoor cultivation of plants differs greatly from the environment in which plants grow on general land and arable land, because the pollen is electrically isolated from the ground.

특히, 일반적인 식물의 경작지는 지면 그 자체이며, 이는 전기적으로 0 전위를 갖는 일렉트론 싱크(electron sink)이다. 이는 공기 중의 각종 전자기파, 이온, 전하입자 등에 대하여 부착 및 전자의 지면이동을 통한 중성화가 가능하다. 반면 실내 식물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별도의 화분에서 자라나기 때문에 공기 중의 정전기 발생입자, 각종 이온의 중화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일정 수준의 전하를 갖는 입자(분진 등)이 식물의 표면에 부착된다면, 더 이상의 동일한 극성을 갖는 입자의 부착이 힘들다. In particular, the cultivation area of a common plant is the ground itself, which is an electron sink having an electric potential of zero. This is possible to attach to various electromagnetic waves, ions, charge particles, etc. in the air and to neutralize the electrons by ground movement. On the other hand, since indoor plants are grown in separate electrically isolated pots, it is considered impossible to neutralize static particles and various ions in the air. Thus, if particles with a certain level of charge (such as dust) adhere to the surface of a plant, attachment of particles having the same polarity is more difficult.

따라서, 식물의 분진 입자 제거 능력은 그 한계에 도달하게 되며, 이때 별도의 접지 장치를 통해 표면 부착물의 지면으로의 전자 이동을 통한 중성화가 이루어진다면, 식물의 극성입자 부착 능력은 다시 일정 수준으로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Thus, if the ability of the plant to remove dust particles reaches its limit, and the neutralization through electron transfer to the surface of the surface attachment through a separate grounding device is performed, then the polar particle attachment capacity of the plant is again increased to a certain level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4526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45268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의 화분에서 생육되는 각종 식물을 지면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접지를 적용하여 식물의 공기 중 미세먼지 흡착력을 향상시켜, 실내 공기 정화 시 미세먼지 필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전기적 지면 접지를 통한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improving the attracting power of fine dust in air of a plant by applying a grounding to electrically connect various plants grown in pots of a room to the ground, And an apparatus for enhancing the attraction force of fine particles of a plant through ground ground.

또한, 토양에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전기적 저항이 낮은 전도체를 사용하여 토양 내부에 장기간 적용이 가능하며, 식물의 뿌리와 전도체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여, 식물의 집진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적 지면 접지를 통한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pply it to the soil for a long time by using the conductor which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soil and the electric resistance is low. By adopting the structure that maximize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lant roots and the conductor,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enhancing the attracting power of fine particles of plants through electrical grounding which can be greatly improv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식물을 실내에서 생육하기 위한 화분과, 상기 화분에 심겨지어 생육되는 식물과, 상기 식물의 뿌리 부분에 위치하며, 토양에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전기적 저항이 낮은 전도체를 사용하는 전극과, 상기 전극과 지면을 연결하여 접지시키기 위한 전선과, 상기 전선의 단부에 구비되어 지면과 접지시키는 접지부를 포함하는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nt for growing a plant indoors, a plant cultivated in the pot, a plant located in a root portion of the plant,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enhancing a fine particle adsorption force of a plant including an electrode using a conductor having a low resistance, an electric wire for grounding the electrode by connecting the electrode to the ground, and a grounding portion provided at an end of the electric wire,

상기 전극은 토양 내부에 장기간 적용이 가능한 전도체 소재로서, 카본 펠트(carbon felt), 카본 섬유사(carbon thread), 카본 플레이트(carbon plate), 카본 바(carbon ba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The electrod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arbon felt, a carbon thread, a carbon plate, and a carbon bar. .

상기 전극이 카본 펠트(carbon felt), 카본 플레이트(carbon plate)로 이루어진 경우, 식물의 뿌리가 들어갈 수 있는 구멍이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electrode is formed of a carbon felt or a carbon plate, at least one hole into which the root of the plant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전극은 식물의 뿌리와 접촉 면적을 높이기 위해 메쉬(mesh), 다공성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de may include a mesh or a porous plate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roots of the plant.

한편, 상기 전극은 식물의 뿌리와 접촉하도록 식물의 뿌리가 들어갈 수 있는 구멍이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는 카본 플레이트와, 상기 카본 플레이트의 하면에 원통형으로 배열되는 다수개의 카본 바로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lectrode may be composed of a carbon plate having at least one hole through which a root of a plant can be inserted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a root of a plant, and a plurality of carbon rods arranged in a cylindrical shape at a lower surface of the carbon plate.

본 발명에서, 상기 접지부는 구리(Cu)를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portion may be made of copper (Cu).

또한, 상기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전선고정부가 상기 화분의 임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Further, a wire fixing part capable of fixing the electric wire can be installed at any position of the flowerpot.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식물을 실내에서 생육하기 위한 화분과, 상기 화분에 심겨지어 생육되는 식물과, 상기 식물의 뿌리 부분에 위치하는 화분의 하단면이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되어 식물 뿌리의 모양을 유지하면서 전극에 잘 접촉하도록 유도하는 유도면과, 상기 유도면과 식물의 뿌리 사이에서 상기 유도면의 굴곡을 따라 설치되며, 토양에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전기적 저항이 낮은 전도체를 사용하는 전극과, 상기 전극과 지면을 연결하여 접지시키기 위한 전선과, 상기 전선의 단부에 구비되어 지면과 접지시키는 접지부를 포함하는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nt for growing a plant in a plant, a plant growing in planting in the plant, and a plant for growing the plant such that a lower end face of the plant pot located at the root of the plant protrudes upward A guide surface which is bent and gu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while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root of the plant and a guide surface provided along the bending of the guide surface between the guide surface and the root of the plant,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enhancing a fine particle adsorption force of a plant including an electrode using a low conductor, a wire for connecting the electrode to the ground to ground the electrode, and a grounding portion provided at an end of the wire to ground the ground.

여기서, 상기 전극은 토양 내부에 장기간 적용이 가능한 전도체 소재인 탄소 펠트(carbon felt), 탄소 섬유사(carbon thread), 탄소 플레이트(carbon plate), 탄소봉(carbon bar)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The electrod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arbon felt, a carbon thread, a carbon plate, and a carbon bar, which are conductive materials that can be applied for a long time in the soil .

상기 전극이 카본 펠트(carbon felt), 카본 플레이트(carbon plate)로 이루어진 경우, 식물의 뿌리와 접촉하도록 식물의 뿌리가 들어갈 수 있는 구멍이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electrode is made of carbon felt or a carbon plate, at least one or more holes into which the roots of the plant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root of the plant.

또한, 상기 전극은 식물의 뿌리와 접촉 면적을 높이기 위해 메쉬(mesh), 다공성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de may include a mesh or a porous plate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roots of the plan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도면은 화분의 하단면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guide surfaces may be formed on the lower end face of the flowerpot.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의 화분에서 생육되는 각종 식물을 지면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접지를 적용하여 식물의 공기 중 미세먼지 흡착력을 향상시켜, 실내 공기 정화 시 미세먼지 필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grounding is applied so as to electrically connect various plants grown in pots of a room to the ground, thereby enhancing the fine dust adsorption power of the plant air and functioning as a fine dust filter There is an effect.

또한, 토양에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전기적 저항이 낮은 전도체를 사용하여 토양 내부에 장기간 적용이 가능하며, 식물의 뿌리와 전도체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여, 식물의 집진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pply it to the soil for a long time by using the conductor which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soil and the electric resistance is low. By adopting the structure that maximize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lant roots and the conducto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greatly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극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전극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미세입자 흡착력을 실험하기 위한 실험장치를 도시한 사진이다.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adsorbing fine particles of a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electrod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enhancing a fine particle adsorption capacity of a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lectrode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enhancing a fine particle adsorption capacity of a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enhancing the attraction force of fine particles of a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perimental apparatus for testing the fine particle adsorption for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adsorbing fine particles of a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는 식물을 실내에서 생육하기 위한 화분(10)과, 상기 화분(10)에 심겨지어 생육되는 식물(20)과, 상기 식물(20)의 뿌리(22) 부분에 위치하며, 토양에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전기적 저항이 낮은 전도체를 사용하는 전극(30)과, 상기 전극(30)과 지면을 연결하여 접지시키기 위한 전선(40)과, 상기 전선(40)의 단부에 구비되어 지면과 접지시키는 접지부(50)를 포함한다. The apparatus for enhancing the fine particle adsorption of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ot 10 for growing a plant indoors, a plant 20 planted in the pot 10, a root 22 of the plant 20, An electric wire 40 for grounding the electrode 30 by connecting the ground to the electric wire 40, and an electric wire 40 for grounding the electrode 30, And a grounding part 50 which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grounding part to ground the grounding part.

즉, 본 발명은 집안, 사무실, 강의실 등 실내에서 키우는 식물을 이용하여 공기 중 미세먼지의 흡착력을 향상시켜 공기정화를 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화분(10)은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배양토가 담길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 또는 어떠한 소재를 사용하여도 무관하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purify air by enhancing the attracting force of fine dust in the air by using a plant that grows indoors such as a house, an office, a lecture room, etc. The pots (10) Any form or any material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possible.

상기 화분(10) 내의 하부,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20)의 뿌리(22) 부분에 에 전극(30)이 위치할 수 있다. The electrode 30 may be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ollen 10, preferably at the root 22 portion of the plant 20.

상기 전극(30)은 토양 내부에 장기간 적용이 가능한 전도체 소재로서, 카본 펠트(carbon felt), 카본 섬유사(carbon thread), 카본 플레이트(carbon plate), 카본 바(carbon ba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The electrode 30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arbon felt, a carbon thread, a carbon plate, and a carbon bar. .

물론 전극으로 금속 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금속의 경우 부식성이 있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 시 용해된 금속에 의해 식물에 대한 독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비부식성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토양에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전기적 저항이 낮은 전도체인 카본 소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전극(30)을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Of course metal may be used as electrode, but metal is corrosive, so it may be toxic to plants due to metal dissolved in long-term use, so it is preferable to use non-corrosive material and it can be applied to soil easily It is most preferable to construct the electrod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carbon material which is a conductor having a low electrical resistance.

한편, 상기 접지부(50)는 지면에 위치하고 필요에 따라 지면 아래 10 내지 100㎝에 설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외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상기 접지부(50)는 구리(Cu)를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The ground unit 50 may be disposed at a distance of 10 to 100 cm below the ground, and preferably at a distance of 50 c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unit 50 may be formed of copper (Cu).

예컨대, 상기 접지부(50)는 직경 1cm 이상의 구리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use a copper rod having a diameter of 1 cm or more as the grounding portion 50.

한편, 상기 전극(30)과 접지부(50)는 전선(40)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선(40)은 지면에 의한 전기적 자극을 화분(10)에 식재된 식물(20)에게 전극(30)을 통하여 전달해 주기 위해서 전도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The electrode 30 and the grounding unit 5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ire 40. The electric wire 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20 of the plant 20, 30) to be conductive.

본 발명에서는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식물의 뿌리(22)와 전극(30)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여 식물의 집진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극(30)의 구조를 다양하게 구성하는데 특징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aximiz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roots 22 of the plant and the electrode 30 in constructing the device for enhancing the fine particle adsorption capacity of plants, (30).

먼저, 상기 전극(3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본 펠트(carbon felt) 또는 카본 플레이트(carbon plate) 등 얇은 두께를 가지는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electrode 30 may be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thin thickness such as a carbon felt or a carbon plate.

이와 같이, 상기 전극(30)이 카본 펠트(carbon felt) 또는 카본 플레이트(carbon plate)로 이루어지는 경우, 식물의 뿌리가 들어갈 수 있는 구멍이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where the electrode 30 is formed of carbon felt or carbon plat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hole into which the root of the plant can be inserted is formed.

도 2는 본 발명의 전극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극(30)은 식물의 뿌리가 들어갈 수 있는 구멍(32)이 한 개형성되거나(c), 식물의 뿌리와 접촉 면적을 높이기 위해 메쉬(mesh)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a), 식물이 뿌리와 많은 면에서 접촉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구멍(32)이 형성된 다공성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electrod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electrode 30 is formed with one hole 32 into which the root of the plant can be inserted, or (c) (A) may be made of a porous plat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32 formed therein so that the plant can contact the roots on many surfaces.

이외에도 상기 전극(30)은 카본 바(carbon bar)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de 30 may be formed of a carbon bar.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상기 전극(30)이 카본 바(carbon bar)로 이루어지어 식물(20)이 식재된 화분(10)의 토양에 꽂혀진 것을 나타낸다. FIG. 3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enhancing a fine particle adsorption force of a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30 is made of a carbon bar, 10) in the soil.

이 경우에도 상기 카본 바(carbon bar)는 식물(20)의 뿌리(22) 부분에 설치되어 뿌리(22)와 접하게 위치하는 것이 좋다. Also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rbon bar is installed at the root 22 of the plant 20 and is in contact with the root 22.

또한, 상기 전극(30)이 카본 바(carbon bar)로 이루어지는 경우, 본 발명의 전극(30)과 식물(20) 뿌리(22)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상기 전극(3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물의 뿌리와 접촉하도록 식물의 뿌리가 들어갈 수 있는 구멍(32)이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는 카본 플레이트(34)와, 상기 카본 플레이트(34)의 하면에 원통형으로 배열되는 다수개의 카본 바(36)로 구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maximiz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electrod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oots 22 of the plant 20 when the electrode 30 is made of carbon bar, A carbon plate 34 having at least one or more holes 32 into which roots of the plant can be inserted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roots of the plant; And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arbon bars 36.

여기서, 상기 카본 플레이트(34)는 판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플렉시블한 카본 펠트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 메쉬 소재나 다공성 플레이트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 the carbon plate 34 may be replaced with a flexible carbon felt as long as it is in the form of a plate,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mesh material and the porous plate exemplifi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또한, 상기 카본 바(36)는 필요에 따라 길이, 굵기, 개수, 위치 등의 가감이 가능하여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한 것 이외에도 미소전극이 사용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arbon bar 36 may be variously modified in length, thickness, number, position, etc., as needed. In addition to those shown in FIG. 4, a microelectrode may also be used.

이와 같이 식물의 뿌리가 들어갈 수 있는 구멍이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는 카본 플레이트(34)와, 상기 카본 플레이트(34)의 하면에 원통형으로 배열되는 다수개의 카본 바(36)로 구성된 전극(30)은 식물의 뿌리(22)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식물의 집진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n electrode 30 composed of a carbon plate 34 in which at least one hole into which a root of a plant can be inserted and a plurality of carbon bars 36 arranged in a cylindrical shap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rbon plate 34, Thereby maximizing the contact area of the roots 22 of the plant and greatly enhancing the gathering power of the plant.

또한, 본 발명의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는 상기 전극(30)과 접지부(50) 사이의 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상기 전선(40)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전선고정부(6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선고정부(60)는 상기 화분(10)의 임의 위치, 예컨대 화분(10)의 외주면 한 부분에 설치되어 전선(40)을 잡아줌으로써, 전선(40)이 외부의 충격 등에도 전극(30)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접지부(50)에 의해 안정적으로 접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apparatus for enhancing a fine particle adsorption capacity of a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ire fixing part 60 for fixing the wire 40 so as to stably connect the electrode 30 and the grounding part 50, . In this case, the electric wire fixing part 60 is installed at a certain position of the pollen 10, for example, at one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llen 10 to catch the electric wire 40, So that it can be stably grounded by the grounding part (50) while maintaining the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electrode (30).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device for enhancing a fine particle adsorption force of a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adsorbing fine particles of a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제1,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식물(20)을 실내에서 생육하기 위한 화분(110)과, 상기 화분 내에서 토양에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전기적 저항이 낮은 전도체를 사용하는 전극(30)과, 상기 전극(30)과 지면을 연결하여 접지시키기 위한 전선(40)과, 상기 전선(40)의 단부에 구비되어 지면과 접지시키는 접지부(50)를 포함한다.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 pot 110 for growing the plant 20 indoors and a potentiometer 110 capable of easily applying to the soil in the pot, An electric wire 40 for grounding the electrode 30 by connecting the ground to the ground and a grounding portion 50 provided at the end of the electric wire 40 and grounding the grounding surface, .

그러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의 화분(110)은 상기 식물(20)의 뿌리(22) 부분에 위치하는 하단면이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되어 식물 뿌리의 모양을 유지하면서 전극(30)에 잘 접촉하도록 유도하는 유도면(12)이 구비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However, the pollen 110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in such a manner that the lower end surface located at the root 22 of the plant 20 protrudes upward, And a guide surface 12 for guiding the guide member 12 in contact with the guide surface 12.

상기 유도면(12)은 상기 식물의 뿌리(22)와 전극(30)이 잘 접촉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극(30)은 유도면(12)과 식물의 뿌리(22) 사이에서 상기 유도면(12)의 굴곡을 따라 설치된다. The induction surface 12 is formed to guide the root 22 of the plant and the electrode 30 in good contact with each other. The electrode 30 is disposed between the induction surface 12 and the root 22 of the plant Is installed along the curvature of the guide surface (12).

이와 같이, 유도면(12)이 구비되는 화분(110)에 식물(20)을 식재하면 상기 전극(30)이 유도면(12)과 식물의 뿌리(22) 사이에 위치하여 전극(30)과 뿌리(22)가 접촉하는 면적을 늘릴 수 있으므로,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When the plant 20 is planted in the pot 110 equipped with the induction surface 12, the electrode 30 is positioned between the induction surface 12 and the root 22 of the plan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of the roots 22, so that the fine particle adsorption of plants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상기 유도면(12)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분(110)의 하단면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식물(20)의 뿌리(22)가 어떠한 형태로 뻗어나가든지 상관없이 뿌리(22)와 전극(30)이 접촉되는 면적을 늘려 식물의 공기정화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6, a plurality of guide surfaces 12 may be formed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pollen 110, and the root 22 of the plant 20,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root 22, 22 and the electrode 30 can be increased so that the air cleaning ability of the plant can be further improved.

이 경우도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전극(30)은 토양 내부에 장기간 적용이 가능한 전도체 소재인 탄소 펠트(carbon felt), 탄소 섬유사(carbon thread), 탄소 플레이트(carbon plate)가 적용될 수 있다. In this case,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electrode 30 is formed of a carbon felt, a carbon thread, a carbon plate, Can be applied.

또한, 상기 전극(30)이 카본 펠트(carbon felt), 카본 플레이트(carbon plate)로 이루어진 경우, 식물의 뿌리와 접촉하도록 식물의 뿌리가 들어갈 수 있는 구멍이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식물의 뿌리와 접촉 면적을 높이기 위해 메쉬(mesh), 다공성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electrode 30 is made of carbon felt or carbon plate, at least one or more holes into which the root of the plant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root of the plant, A mesh, and a porous plate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roots of the filter.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미세입자 흡착력을 알아보기 위해 실제 집진력 증가를 확인할 수 있는 실험장치를 준비하여 실험한 결과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in order to examine the fine particle adsorption for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 experimental apparatus capable of confirming the actual collecting force increase will be described an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미세입자 흡착력을 실험하기 위한 실험장치를 도시한 사진으로서, 본 실험장치에 사용된 식물은 장미허브를 사용하였고, 40g의 배양토에 식재하였다. 접지에 사용한 전극은 카본 펠트(carbon felt, 8㎝ x 4㎝)로서, 카본 펠트를 식물 뿌리와 접촉하도록 설치하였다. 카본 펠트(Carbon felt)는 전선으로 접지와 연결하였다. 공기펌프를 사용하여 반응기 내부로 공기를 2.2L/min의 속도로 유입하였고,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배기 부분에 공기필터(pore size 0.2㎛)를 설치하였다. 5일, 10일 동안 장치를 설치한 뒤 공기필터의 질량변화를 측정하여 식물에 흡착되지 않고 공기필터에 여과된 미세입자의 양을 확인하였다. FIG. 7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perimental apparatus for testing the fine particle adsorption p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ts used in this experimental apparatus were planted in a 40 g culture soil using a rose herb. The electrode used for grounding was carbon felt (8 cm x 4 cm), and the carbon felt was placed in contact with the plant roots. The carbon felt was connected to the ground by a wire. Air was introduced into the reactor at a rate of 2.2 L / min using an air pump, and an air filter (pore size 0.2 μm) was installed at the exhaust portion where the internal air flows out. After 5 days and 10 days of installation, the mass change of the air filter was measured to confirm the amount of fine particles that were not adsorbed on the plant and filtered on the air filter.

접지에 따른 공기 필터 질량 변화 (Carbon felt 1차)Air filter mass change due to grounding (Carbon felt first) 시료sample 0일0 days 5일 후After 5 days 증가량Increase 접지grounding 39.0414 g39.0414 g 39.0420 g39.0420 g 0.6 mg0.6 mg 비 접지Ungrounded 39.0420 g39.0420 g 39.0439 g39.0439 g 1.9 mg1.9 mg

접지에 따른 공기 필터 질량 변화 (Carbon felt 2차)Air filter mass change due to grounding (Carbon felt second) 시료sample 0일0 days 10일 후After 10 days 증가량Increase 접지grounding 39.0412 g39.0412 g 39.0430 g39.0430 g 1.8 mg1.8 mg 비 접지Ungrounded 39.0416 g39.0416 g 39.0441 g39.0441 g 2.5 mg2.5 mg

[표 1] 은 접지의 유·무에 따른 각 공기필터의 질량 변화 결과이다. 전극은 carbon felt를 사용하였다. 식물에 접지를 적용하여 5일간 공기를 주입한 경우, 공기필터의 질량변화는 0.6mg이었으나, 접지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1.9mg으로 공기필터의 질량변화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10일간 진행한 2차 결과(표 2.)에서도 마찬가지로 확인되었다. [Table 1] shows the results of mass change of each air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ce / absence of grounding. The electrode was carbon felt. The mass change of the air filter was 0.6mg when the ground was applied to the plant for 5 days, but the mass change of the air filter was 1.9mg when the ground was not applied. These results were similarly confirmed in the secondary results for 10 days (Table 2).

접지에 따른 공기 필터 질량 변화 (Carbon bar)Air filter mass change due to ground (Carbon bar) 시료sample 0일0 days 5일 후After 5 days 증가량Increase 접지grounding 39.0417 g39.0417 g 39.0425 g39.0425 g 0.8 mg0.8 mg 비 접지Ungrounded 39.0419 g39.0419 g 39.0434 g39.0434 g 1.5 mg1.5 mg

접지에 따른 공기 필터 질량 변화 (Carbon thread)Air filter mass change due to ground (Carbon thread) 시료sample 0일0 days 5일 후After 5 days 증가량Increase 접지grounding 39.0420 g39.0420 g 39.0430 g39.0430 g 1.0 mg1.0 mg 비 접지Ungrounded 39.0414 g39.0414 g 39.0432 g39.0432 g 1.8 mg1.8 mg

[표 3] 은 접지의 유·무에 따른 각 공기필터의 질량 변화 결과이다. 전극은 carbon bar를 사용하였다. 식물에 접지를 적용하여 5일간 공기를 주입한 경우, 공기필터의 질량변화는 0.8mg이었으나, 접지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1.5mg으로 공기필터의 질량변화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Table 3 shows the results of the mass change of each air filter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grounding. The electrode was a carbon bar. The mass change of the air filter was 0.8mg when the ground was applied to the plants and the mass change of the air filter was 1.5mg when the ground was not applied.

[표 4] 는 접지의 유·무에 따른 각 공기필터의 질량 변화 결과이다. 전극은 carbon thread를 사용하였다. 식물에 접지를 적용하여 5일간 공기를 주입한 경우, 공기필터의 질량변화는 1.0mg이었으나, 접지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1.8mg으로 공기필터의 질량변화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이는 접지 시,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이 증가하여 공기필터에 여과된 미세입자의 양이 줄었다고 생각된다.[Table 4] shows the result of mass change of each air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ce / absence of ground. The electrode was a carbon thread. The mass change of the air filter was 1.0mg when the ground was applied to the plant and the mass change of the air filter was 1.8mg when the ground was not applied when the air was injected for 5 days. It is considered that the amount of fine particles filtered in the air filter is decreased when the grounding force is increas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는 실내의 화분에서 생육되는 각종 식물을 지면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식물의 공기 중 미세먼지 흡착력을 향상시키고, 특히 초 미세먼지 입자(PM 2.5 ~ 10)의 흡착이 가능하여 실내 공기 정화 시 미세먼지 필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for enhancing the adsorption of fine particles of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attracting power of fine dust in the air of plants by electrically connecting various plants grown in the pots of the room with the ground, ) Can be adsorbed and can function as a fine dust filter when purifying indoor air.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 but is capable of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self-evident.

10: 화분 12: 유도면
20: 식물 22: 뿌리
30: 전극 32: 구멍
40: 전선 50: 접지부
60: 전선고정부
10: pollen 12: guiding surface
20: Plant 22: root
30: electrode 32: hole
40: wire 50: ground
60:

Claims (14)

식물을 실내에서 생육하기 위한 화분;
상기 화분에 심겨지어 생육되는 식물;
상기 식물의 뿌리 부분에 위치하며, 토양에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전기적 저항이 낮은 전도체를 사용하는 전극;
상기 전극과 지면을 연결하여 접지시키기 위한 전선; 및
상기 전선의 단부에 구비되어 지면과 접지시키는 접지부;
를 포함하는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
Pots for growing plants indoors;
Plants planted in the pots;
An electrode which is located at the root of the plant and is easily applicable to the soil and uses a conductor having a low electrical resistance;
A wire for grounding the electrode and ground; And
A grounding portion provided at an end of the electric wire and grounding the grounding portion;
Wherein the fine particles adsorbing force of the plant is improv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토양 내부에 장기간 적용이 가능한 전도체 소재로서, 카본 펠트(carbon felt), 카본 섬유사(carbon thread), 카본 플레이트(carbon plate), 카본 바(carbon ba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de is a conductive material that can be applied to the soil for a long time and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 felt, carbon fiber thread, carbon plate, and carbon bar Wherein the fine particles adsorbing force of the plant is increas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카본 펠트(carbon felt), 카본 플레이트(carbon plate)로 이루어진 경우, 식물의 뿌리가 들어갈 수 있는 구멍이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t least one hole into which the root of the plant can be inserted is formed when the electrode is made of a carbon felt or a carbon plat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식물의 뿌리와 접촉 면적을 높이기 위해 메쉬(mesh), 다공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lectrode comprises a mesh and a porous plate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roots of the plan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식물의 뿌리와 접촉하도록 식물의 뿌리가 들어갈 수 있는 구멍이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는 카본 플레이트와, 상기 카본 플레이트의 하면에 원통형으로 배열되는 다수개의 카본 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lectrode comprises a carbon plate having at least one or more holes through which the roots of the plant can enter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roots of the plant and a plurality of carbon rods arranged in a cylindrical shap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rbon plate. Apparatus for enhancing fine particle adsorp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구리(Cu)를 소재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ound portion is made of copper (Cu).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전선고정부가 상기 화분의 임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wire fixing part capable of fixing the electric wire is installed at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flowerpot.
식물을 실내에서 생육하기 위한 화분;
상기 화분에 심겨지어 생육되는 식물;
상기 식물의 뿌리 부분에 위치하는 화분의 하단면이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되어 식물 뿌리의 모양을 유지하면서 전극에 잘 접촉하도록 유도하는 유도면;
상기 유도면과 식물의 뿌리 사이에서 상기 유도면의 굴곡을 따라 설치되며, 토양에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전기적 저항이 낮은 전도체를 사용하는 전극;
상기 전극과 지면을 연결하여 접지시키기 위한 전선; 및
상기 전선의 단부에 구비되어 지면과 접지시키는 접지부;
를 포함하는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
Pots for growing plants indoors;
Plants planted in the pots;
The lower surface of the pollen located at the root of the plant is bent so as to protrude upward so as to induce the plant to closely contact the electrode while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root of the plant.
An electrode installed along the curvature of the induction surface between the induction surface and the root of the plant and being easily applicable to the soil and having a low electric resistance;
A wire for grounding the electrode and ground; And
A grounding portion provided at an end of the electric wire and grounding the grounding portion;
Wherein the fine particles adsorbing force of the plant is improved.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토양 내부에 장기간 적용이 가능한 전도체 소재인 탄소 펠트(carbon felt), 탄소 섬유사(carbon thread), 탄소 플레이트(carbon p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lectrod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arbon felt, a carbon thread, and a carbon plate, which are conductive materials that can be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soil for a long period of time. Devic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카본 펠트(carbon felt), 카본 플레이트(carbon plate)로 이루어진 경우, 식물의 뿌리와 접촉하도록 식물의 뿌리가 들어갈 수 있는 구멍이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
The method of claim 9,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electrode is made of a carbon felt or a carbon plate, at least one hole into which the root of the plant can be inserted is formed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root of the plant. Enhancing devic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식물의 뿌리와 접촉 면적을 높이기 위해 메쉬(mesh), 다공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electrode comprises a mesh and a porous plate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roots of the plan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구리(Cu)를 소재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ground portion is made of copper (Cu).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전선고정부가 상기 화분의 임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 wire fixing part capable of fixing the electric wire is installed at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flowerpo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도면은 화분의 하단면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미세입자 흡착력 향상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 plurality of guide surfaces are formed on the lower end face of the flowerpot.

KR1020190055856A 2019-05-13 2019-05-13 Apparatus for enhancing fine particle adsorption power of plants through electrical grounding KR1020746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856A KR102074611B1 (en) 2019-05-13 2019-05-13 Apparatus for enhancing fine particle adsorption power of plants through electrical groun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856A KR102074611B1 (en) 2019-05-13 2019-05-13 Apparatus for enhancing fine particle adsorption power of plants through electrical groundin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286A Division KR20190036267A (en) 2017-09-27 2017-09-27 Apparatus for enhancing fine particle adsorption power of plants through electrical groun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050A true KR20190054050A (en) 2019-05-21
KR102074611B1 KR102074611B1 (en) 2020-02-06

Family

ID=66676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856A KR102074611B1 (en) 2019-05-13 2019-05-13 Apparatus for enhancing fine particle adsorption power of plants through electrical groun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61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5995U (en) * 1994-09-20 1995-09-19 栄次 丸子 Plant, flower tree electronic shower equipment
JPH08131881A (en) * 1994-11-07 1996-05-28 Kajima Corp Dust remover
JP2005323542A (en) * 2004-05-14 2005-11-24 Heathcoat Clearway Kk Plant-growth promoting system
KR20140045268A (en) 2012-10-08 2014-04-16 김재훈 Method of plant growth
KR20160021382A (en) * 2014-08-14 2016-02-2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fostering growth of pla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5995B2 (en) * 1994-06-24 2000-03-06 株式会社山武 Digital electropneumatic position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5995U (en) * 1994-09-20 1995-09-19 栄次 丸子 Plant, flower tree electronic shower equipment
JPH08131881A (en) * 1994-11-07 1996-05-28 Kajima Corp Dust remover
JP2005323542A (en) * 2004-05-14 2005-11-24 Heathcoat Clearway Kk Plant-growth promoting system
KR20140045268A (en) 2012-10-08 2014-04-16 김재훈 Method of plant growth
KR20160021382A (en) * 2014-08-14 2016-02-2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fostering growth of 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611B1 (en) 202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5126B1 (en) Method for enhancing collection efficiency and providing surface sterilization of an air filter
CN103878068B (en) A kind of half wet electrostatic dedusting purifier
JP5599564B2 (en) Anti-fungal method by conidial adsorption using dielectric polarization, flying organism removal device, and plant protection device
KR20110074525A (en) Two-sided fixing structure, exhibiting or indicating apparatus using sam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plant growing apparatus
CN105834209B (en) A method of Sedum alfredii Hance remediating heavy metal soil is assisted using AC field
JP2006255690A (en) Antifungal method by conidium adsorption using dielectric polarization, removal device of flying living being, and plant protection device
CN109876647A (en) Microorganism electrochemical intensified ecotype indoor air-purification device and method
CN106076632A (en) Plant air anion field is utilized to gather the method and device of dust in room air
KR20190054050A (en) Apparatus for enhancing fine particle adsorption power of plants through electrical grounding
KR102370818B1 (en) Vertical Type Modular Planter Capable of Fine Dust Removing Function
CN105149332B (en) A kind of microorganism and the method for plant combined restoration of soil polluted by heavy metal
KR20190036267A (en) Apparatus for enhancing fine particle adsorption power of plants through electrical grounding
CN205701045U (en) Plant air anion field is utilized to gather the device of dust in room air
KR19980068414A (en) Plant Growth Applied to Electromagnetic Field
KR101574741B1 (en) The method of Radioactive contamination soil remediation by halophyte
CN212482931U (en) Rice sampling device for rhizosphere soil convenient to equipment
CN206199870U (en) A kind of contaminated soil is intercepted repairs structure
JP2012524547A (en) Air quality improvement system
CN204786822U (en) Environmental air purifier
CN107950225B (en) Health-care function forest ecological community configuration device
CN105170632B (en) A kind of method of magnetotactic bacteria and bracketplant renovation of heavy metal polluted soil with combined
Tong et al. Investigation of the potential and mechanism of clove for mitigating airborne particulate matter emission from stationary sources
CN204637873U (en) A kind of ceramic purifying filter screen box
CN108865880A (en) A kind of screening has the device and method of the electric heavy metal resistance microorganism for moving ability
Acosta-Coll et al. Substrate treatment for the increment of electric power potential from plants microbial fuel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