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046A - 보험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보험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046A
KR20190054046A KR1020190055588A KR20190055588A KR20190054046A KR 20190054046 A KR20190054046 A KR 20190054046A KR 1020190055588 A KR1020190055588 A KR 1020190055588A KR 20190055588 A KR20190055588 A KR 20190055588A KR 20190054046 A KR20190054046 A KR 20190054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rance
information
customer
terminal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준우
김옥균
김진일
Original Assignee
보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보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5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4046A/ko
Publication of KR20190054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0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험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험정보 처리방법은 고객 단말기에서 보험에 대한 상담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상담에 대한 내용을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보험 관련 전문가에 대응하는 전문가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문가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상담에 대한 답변 내용을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험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Insurance Information}
본 발명은 보험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몇 개씩의 보험에 가입하고 있다.
그러나 보험사 및 보험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약관도 복잡하기 때문에 고객의 입장에서는 각 보험의 보장내용, 담당 설계사 등의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보험서버에서 보험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보험정보에 관련한 보험관련정보를 고객 단말기로 제공하는 보험정보 처리 장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험정보 처리방법은 고객 단말기에서 보험에 대한 상담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상담에 대한 내용을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보험 관련 전문가에 대응하는 전문가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문가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상담에 대한 답변 내용을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상담에 대한 내용을 가공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보험관련 전문가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문가로부터 전달받은 답변 내용을 선택하고, 선택한 상기 답변내용을 가공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선택된 답변 내용에 대응하는 상기 전문가에 대한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선택된 답변 내용에 대응하는 상기 전문가에게 평가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험정보 처리장치는 보험에 대한 상담을 요청하는 고객 단말기, 보험에 관련된 전문가 단말기 및 상기 상담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상담에 대한 내용을 적어도 하나의 보험 관련 전문가에 대응하는 상기 전문가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문가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상담에 대한 답변 내용을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험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는 고객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보험서버에서 보험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취합/분류하여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서, 고객은 보다 용이하게 자신이 가입한 보험에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험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보험정보 처리방법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보험관련 정보를 분류/정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보험관련 정보의 업데이트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8은 보험관련 메시지에 대응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검색 내용에 대응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31은 고객 단말기로 제공되는 보험관련 정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 내지 도 33은 분석정보와 진단정보의 다른 형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 내지 도 36은 담당 보험 설계사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 내지 도 39는 담당 보험 설계사에게 정보 열람 권한을 부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0 내지 도 43은 보험 설계사를 호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4 내지 도 48은 보험 관련 상담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9 내지 도 50은 설계사 단말기의 활동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1 내지 도 56은 정보공유회원에게 보험관련 정보를 공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험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A 및/또는 B'는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험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보험정보 처리 장치(10)는 고객 단말기(100), 관리서버(110) 및 보험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는 설계사 단말기(130)와 관리자 단말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객 단말기(100)는 고객의 정보(고객정보)를 관리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서버(110)는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보험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아울러, 관리서버(110)는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보험정보를 가공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관리서버(110)는 보험정보 및/또는 보험정보를 가공한 정보를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전송)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관리서버(110)는 고객정보에 대응하여 보험서버(120)로부터 추출한 보험정보를 그대로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하거나, 추출한 보험정보를 소정의 가공처리를 통해 가공하여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관리서버(110)가 제공하는 보험정보 및/또는 보험정보를 가공한 정보를 보험정보에 대응하는 보험관련 정보라고 할 수 있다. 즉, 보험관련 정보는 보험정보를 가공한 정보이거나 보험정보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보험서버(120)는 고객의 보험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보험서버(120)는 고객 단말기(100) 및/또는 관리서버(110)로 고객정보에 대응되는 보험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설계사 단말기(130)는 보험 설계사에 대응하는 단말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사 단말기(130)는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기(100)와 연결(Link)되어, 고객에 대응하는 보험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연락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140)는 적어도 하나의 보험 설계사 단말기(130)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대응하는 단말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기(140)는 고객 단말기(100)와 설계사 단말기(130)와의 연결을 모니터링(Monitoring)할 수 있다.
관리서버(11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2의 경우와 같이, 관리서버(110)는 고객 정보부(110a), 추천 정보부(110b), 추출부(11c), 통계정보부(110d), 가공부(110e), 진단부(110f), 보험정보 분석부(110g), 업데이트부(110h), 취합부(110i), 설계사 정보부(110j), 연결 관리부(110k), 알림 정보부(110l), 관리자 정보부(110m), 상담 내용 분석부(110n), 전문가 연결부(110o), 상담 내용 가공부(110p) 및 공유회원 관리부(110q)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 정보부(110a)는 고객의 정보(고객정보)를 저장/관리/제공할 수 있다.
추출부(110c)는 보험서버(120)에서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보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만약, 고객 단말기(100)에서 보험서버(120)에 접속하여 보험정보를 추출하는 경우에는 고객 정보부(110a) 및 추출부(110c)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추천정보부(110b)는 고객에게 추천할 추천정보를 생성/저장/관리/제공할 수 있다.
통계정보부(110d)는 통계정보를 생성/저장/관리/제공할 수 있다.
가공부(110e)는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보험정보를 가공처리할 수 있다.
진단부(110f)는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보험정보를 진단하여, 진단정보를 생성/저장/관리/제공할 수 있다.
보험정보분석부(110g)는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보험정보를 분석/평가하여 평가정보를 생성/저장/가공/관리/제공할 수 있다.
업데이트부(110h)는 주기적 및/또는 비주기적으로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보험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취합부(110i)는 다양한 보험정보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취합/정리/분류할 수 있다.
설계사 정보부(110j)는 설계사 단말기(130)에 대응하는 설계사에 대한 정보를 저장/관리/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설계사 정보부(110j)는 설계사의 이름, 성별, 연령, 최종 학력, 자격증명, 활동지역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가공/관리/제공할 수 있다.
연결 관리부(110k)는 고객 단말기(100)와 설계사 단말기(130)와의 연결(Link)을 관리할 수 있다.
알림 정보부(110l)는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보험정보를 분석하여 알림정보를 생성/저장/관리/제공할 수 있다.
관리자 정보부(110m)는 적어도 하나의 설계사 단말기(130)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관리/제공할 수 있다.
상담 내용 분석부(110m)는 고객이 고객 단말기(100)에 입력한 상담 내용을 분석하여, 상담 내용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담 내용 분석부(110m)는 상담 내용에서 키워드(Keyword)를 추출하고, 키워드에 따라 상담 내용을 판별/분류할 수 있다.
전문가 연결부(110o)는 상담 내용에 따라 적절한 전문가를 추천/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객이 고객 단말기(100)에 입력한 상담 내용이 자동차 보험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 경우, 전문가 연결부(110o)는 자동차 보험에 대응하는 전문가의 단말기(설계사 단말기(130) 등)에 상담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상담 내용 가공부(110p)는 고객이 입력한 상담 내용을 적절히 가공하여 전문가(설계사 단말기(130))에게 제공할 수 있다.
공유회원 관리부(110q)는 고객이 설정한 공유회원에 대한 정보를 저장/관리/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보험정보 처리장치(10)를 이용한 보험정보 처리방법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보험정보 처리방법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보험정보 처리방법에서는 먼저 고객 단말기(100)에서 고객정보를 관리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S100).
여기서, 고객정보는 보험서버(120)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험서버(120)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는 인증정보 및 증권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정보는 공인인증서의 키 정보, 비밀번호, 주민번호, 지문정보, 홍채인식 및 음성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증권정보는 증권번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이 고객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관리서버(110)에 접속하여 고객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고객 단말기(100)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앱(App) 설치에 연동하여 고객 단말기(100)에 대응하는 정보가 관리서버(110)로 전송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는, 고객 정보는 이미지(Image) 정보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객이 보험 증권사진을 찍어서 관리서버(110)에 업로드하는 방법으로 고객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관리서버(110)에서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미지로부터 고객의 정보와 관련한 텍스트(Text)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후, 관리서버(110)는 고객 단말기(100)가 전송한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보험서버(120)에 접속할 수 있다(S200).
아울러, 관리서버(110)는 보험서버(120)에서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보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300).
스크랩핑(Scraping) 기술을 이용하여 보험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웹 스크랩핑(Web Scraping) 및/또는 스크린 스크랩핑(Screen Scraping) 기술을 이용하여 보험서버(120)에서 보험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크랩핑 기술은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스크랩핑 기술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관리서버(110)는 추출한 보험정보를 고객이 확인하기 편리하도록 가공할 수 있다(S400).
보험서버(120)에서 추출한 보험정보가 고객이 확인하기에 충분히 용이한 경우에는 보험정보를 가공하는 단계(S400)는 생략될 수 있다.
이후, 관리서버(110)는 가공되거나 가공되지 않은 보험정보를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전송)할 수 있다(S500). 이에 따라, 보험관련 정보는 보험서버(120)로부터 추출된 보험정보와 동일한 부분을 포함하거나 보험정보로부터 가공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110)는 고객의 요청 시에 가공되거나 가동되지 않은 보험정보를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관리서버(110)는 보험정보에 대한 분석정보 및 진단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분석정보와 진단정보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명확히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보험서버(120)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가 관리서버(11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만약, 보안 등의 이유로 인해 고객 단말기(100)에 보험서버(120)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되는 경우에는 고객 단말기(100)가 보험서버(12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5 내지 도 6을 살펴보면, 고객 단말기(100)에서 고객정보를 관리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S100).
이후, 고객 단말기(100)는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보험서버(120)에 접속할 수 있다(S200).
아울러, 고객 단말기(100)는 보험서버(120)에서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보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300). 이러한 경우에도, 고객 단말기(100)는 스크랩핑 기술을 이용하여 보험서버(120)로부터 보험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고객 단말기(100)는 추출한 보험정보를 관리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S600).
그러면, 관리서버(110)는 추출한 보험정보를 고객이 확인하기 편리하도록 가공할 수 있다(S400).
이후, 관리서버(110)는 가공되거나 가공되지 않은 보험정보를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전송)할 수 있다(S500).
이처럼, 고객 단말기(100)가 보험서버(120)에 접속하여 보험정보를 추출하거나 관리서버(110)가 보험서버(120)에 접속하여 보험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고객 단말기(100)가 보험서버(120)에 접속하여 보험정보를 추출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보험서버(120)에서 추출한 보험정보에 관련한 정보, 즉 보험관련 정보를 한곳으로 모아서 고객이 확인하기 쉽도록 제공할 수 있다. 즉, 보험서버(120)에서는 고객의 보험관련 정보를 분류/정리하고 취합하여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7 내지 도 12는 보험관련 정보를 분류/정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고객 단말기(100)에서는 보험관련 정보를 보험사별로 분류하고, 이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7의 경우와 같이, 고객 단말기(100)의 화면상에 보험사의 종류(삼성생명, 교보생명, AIG 생명, 메리츠 생명 등)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이 원하는 보험사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험사 중 삼성생명을 선택하면, 도 8의 경우와 같이, 고객 단말기(100)의 화면상에는 고객이 해당 보험사(삼성생명)에 가입한 보험(모든 보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이 삼성생명에 가입한 보험 중에서 소정 보험, 예컨대 aaa 암보험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도 9의 경우와 같이, 고객 단말기(100)의 화면상에는 aaa 암보험에 대한 상세 정보가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고객 단말기(100)의 화면상에 aaa 암보험의 보장내용, 해지 환급금, 보험금 납입 내역, 악관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에서, 고객이 '약관보기'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고객 단말기(100)의 화면상에 aaa 암보험의 약관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고객 단말기(100)에 제공되는 보험관련 정보로서 보장내용, 해지환급금, 보험금 납입내역 및 약관의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되는 보험관련 정보는 보험 종류 정보, 만기 정보, 해지 환급금 정보, 담당 보험 설계사 정보, 보험사 정보, 약관 정보, 계약자 정보, 피보험자 정보, 수익자 정보, 법정 상속자 정보, 보험 납입금 정보 및 보험료 납부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담당 보험 설계사 정보는 설계사의 자격증 정보 등 자격증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는, 고객 단말기(100)에서는 보험관련 정보를 보험 종류별로 분류하고, 이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0의 경우와 같이, 고객 단말기(100)의 화면상에 보험의 종류(암보험, 종신보험, 연금보험, 저축보험, 치과보험 등)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이 원하는 보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험 종류 중 저축보험을 선택하면, 도 11의 경우와 같이, 고객 단말기(100)의 화면상에는 고객이 가입한 저축보험(모든 저축보험)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고객이 삼성생명에 ddd 저축보험을 가입하고, 흥국생명에 eee 저축보험을 가입한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여기서, 고객이 소정의 저축보험, 예컨대 삼성생명의 ddd 저축보험을 선택하면, 고객 단말기(100)의 화면에는 삼성생명의 ddd 저축보험에 대한 상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보험관련 정보를 보험사별 혹은 보험종류 별로 분류/정리/취합하는 또 다른 방법이 도 12에 게시되어 있다.
도 12의 (A)는 보험관련 정보를 보험사별로 분류/정리/취합하는 경우에 해당될 수 있고, 도 12의 (B)는 보험관련 정보를 보험종류 별로 분류/정리/취합하는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도 12와 같은 방법으로 보험정보를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경우에는, 고객은 자신이 가입한 보험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험정보에 변경 내용이 있는 경우, 보험관련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관리서버(110)는 변경된 내용을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보험관련 정보의 업데이트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관리서버(110) 및/또는 고객 단말기(100)에서는 주기적으로(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보험서버(120)에 접속하여 보험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보험관련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의 경우와 같이, 지정일인지의 여부를 판단(S700)하고, 판단결과 지정일인 경우에 고객 단말기(100) 또는 관리서버(110)는 보험서버(120)에 접속(S710)할 수 있다.
이후, 접속한 보험서버(120)에서 보험정보를 추출하고(S720), 추출한 보험정보를 이용하여 보험관련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730).
여기서, 지정일은 매주 특정 요일, 매달 특정일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일은 매주 월요일로 설정하면 매주 월요일마다 보험서버(120)에서 보험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보험관련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혹은, 보험료 납부일의 다음날을 지정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보험료 납부일이 매달 1일인 경우에, 매달 2일을 지정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험료 납부 내역을 반영하여 보험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는, 보험서버(120)에서 보험정보를 추출(S720)한 이후에 추출한 보험정보에 이전의 보험정보와 다른 부분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업데이트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보험서버(120)에서 추출한 보험정보에 변경된 부분이 포함된 경우에 선택적으로 업데이트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비주기적인 업데이트 방법도 적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험관련 메시지(Message)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4의 경우와 같이, 고객 단말기(100)에서는 보험관련 메시지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800), 판단결과 보험관련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보험관련 메시지의 내용을 분석할 수 있다(S810).
여기서, 보험관련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 메일 및 메신저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으로 고객 단말기(100)로 수신될 수 있다.
보험관련 메시지의 내용 분석은 고객 단말기(100)에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고객 단말기(100)에서는 보험관련 메시지를 관리서버(110)로 전송하고, 관리서버(110)에서 보험관련 메시지의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보험관련 메시지의 내용 분석 결과, 보험 내용이 변경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20).
제 S820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보험 내용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변경내용을 이용하여 보험관련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830).
예를 들면, 도 15의 경우와 같이, 고객 단말기(100)에 보험사, 예컨대 삼성생명에서 담당 설계사를 '홍길동'에서 '임꺽정'으로 변경한다는 내용을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는, 삼성생명의 서버, 즉 삼성생명에 대응되는 보험서버(120)에서 고객 단말기(100)로 담당 설계사의 변경을 알리는 보험관련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에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관리서버(110) 및/또는 고객 단말기(100)에서는 메시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보험 설계사가 변경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후, 보험관련 정보에서 담당 설계사를 변경하는 업데이트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시지를 분석하여 메시지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서 메시지의 구문 분석, 키워드(Keyword) 분석 등의 다양한 분석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제 S820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보험 내용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는 보험관련 메시지가 단순히 알림관련 내용을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40).
제 S840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보험관련 메시지가 알림관련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고객 단말기(100)의 화면에 내용을 표시하여 고객에게 알릴 수 있다(S850).
반면에, 제 S840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보험관련 메시지가 알림관련 내용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다른 기능(Default)을 수행할 수 있다(S860). 예를 들면, 해당 전화번호는 보험관련 전화번호가 아닌 것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객 단말기(100)에 수신되는 다수의 메시지 중에서 보험관련 메시지를 판별하기 위해 보험관련 전화번호를 고객 단말기(100) 및/또는 관리서버(110)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6의 경우와 같이, 삼성생명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교보생명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AIG 생명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고객 단말기(100)로 15xx-0001번호로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고객 단말기(100)에서는 해당 번호가 삼성생명에 대응되는 번호인 것을 확인하고, 해당 메시지를 분석하거나 혹은 해당 메시지를 관리서버(110)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관리서버(110)에서 앱이 설치된 고객 단말기(100)를 모니터링하여 고객 단말기(100)에 해당 번호(15xx-0001)로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고, 고객 단말기(100)에 해당 메시지를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관리서버(110)는 보험서버(12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보험서버(12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고객 단말기(100)로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관리서버(110)는 메시지의 내용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보험관련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 단말기(100) 및/또는 관리서버(110)에 미리 저장되는 보험관련 전화번호는 보험사의 전화번호, 보험 설계사 전화번호 등일 수 있다.
만약, 보험 설계사가 변경되고, 이를 보험서버(120)에서 고객 단말기(100)로 메시지를 이용하여 알리는 경우에는 해당 메시지에 포함된 보험 설계사의 전화번호를 판별하고, 변경된 설계사의 전화번호를 담당 설계사의 전화번호로 변경하는 등 보험관련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고객 단말기(100)가 보험관련 메시지를 수신한다는 것은 보험서버(120)가 고객 단말기(100)로 보험관련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에 대응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보험서버(120)가 고객 단말기(100)로 보험관련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관리서버(120)는 보험관련 메시지의 내용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보험관련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고객 단말기(100)에 보험관련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관리서버(100)는 메시지의 내용에 대응하여 소정 정보를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17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7 내지 도 18은 보험관련 메시지에 대응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고객 단말기(100)에서 수신한 메시지는 고객 단말기(100)에서 분석하거나 관리서버(110)에서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고객 단말기(100)에서는 수신한 메시지를 1차적으로 분석하여 메시지에 보험관련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 수신한 메시지에 보험관련 내용이 포함된 경우에는 고객 단말기(100)에서는 해당 메시지를 관리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보험관련 내용이 포함된 메시지를 보험관련 메시지라고 할 수 있다.
그러면, 관리서버(110)에서는 고객 단말기(100)가 전송한 메시지의 내용을 2차적으로 상세히 분석할 수 있다.
관리서버(110)에서는 고객 단말기(100)가 수신한 보험관련 메시지에 대응하여 고객 단말기(100)로 소정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의 (A)와 같이 고객 단말기(100)에 고객이 AA 대학병원에서 소정 금액(10만원)의 병원비를 카드로 결제한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병원비는 의료와 관련한 보험에 관련이 있으므로, 관리서버(110)에서는 고객 단말기(100)에 대응하는 고객이 가입한 보험을 분석하여 병원비를 청구할 수 있는 보험이 있는지를 판별하고, 판별한 정보를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도 17의 (B)와 같이 고객 단말기(100)에 고객이 BB 자동차 공업사에서 소정 금액(50만원)의 비용을 카드로 결제한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관리서버(110)에서는 도 17의 (B)의 메시지를 분석하여(카드결제 내역에서 가맹점이 자동차 공업사이고, 결제비용이 50만원인 것을 근거로 하여) 고객이 자동차의 수리에 50만원의 비용을 지출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10)에서는 고객이 가입한 보험 중 자동차에 관련한 보험이 있는지의 확인하고, 그에 관련한 정보를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8의 경우와 같이, 관리서버(110)는 고객이 가입한 자동차 보험의 종류 및 자동차 보험에 대응하는 담당 설계사에 대한 정보를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고객이 이미 가입한 자동차 보험에서 보장받을 수 있는 내용에 대한 정보를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고객 단말기(100)에서 보험관련 내용을 검색(웹검색(Web Searching) 등)하는 경우, 관리서버(100)는 검색의 내용에 대응하여 소정 정보를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9 내지 도 21은 검색 내용에 대응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관리서버(110)는, 고객 단말기(100)가 웹(Web) 상에서 검색한 보험관련 내용을 근거로 하여, 고객 단말기(100)에게 검색한 내용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9와 같이, 고객은 고객 단말기(100)에서 웹 검색을 실시할 수 있다(S1700). 예를 들면, 고객이 고객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자동차 보험사의 홈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자동차 보험 관련 기사를 검색할 수 있다.
또는, 도 20의 경우와 같이, 고객은 고객 단말기(100)의 검색창에 '차동차 사고'를 입력하여 자동차 사고에 대해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관리서버(110)는 고객의 웹 검색 내용을 분석할 수 있다(S1710).
아울러, 관리서버(110)는 고객의 웹 검색 내용에서 보험관련 내용을 추출할 수 있다(S1720).
예를 들면, 관리서버(110)는 고객의 웹 검색 내용에서 자동차 사고, 자동차 보험 등의 내용을 추출할 수 있다.
이후, 관리서버(110)는 고객 단말기(100)로 자동차 보험에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1의 경우와 같이, 관리서버(110)는 고객 단말기(100)로 고객의 연령대, 성별 등을 고려하여 선호도가 높은 자동차 보험을 추천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현재 고객이 자동차 보험에 가입하고 있는 상태라면, 가입한 자동차 보험의 보장 내용을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하거나, 가입한 자동차 보험의 만기일에 대한 정보, 보험 갱신에 대한 정보 등을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관리서버(110)는 고객의 보험정보를 분석하여 알림 정보, 통계 정보, 추천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 표현하면, 보험관련 정보는 알림 정보, 통계 정보 및 추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22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2 내지 도 31은 고객 단말기로 제공되는 보험관련 정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2를 살펴보면, 관리서버(110)가 고객 단말기(100)로 보험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500)에서는 관리서버(110)는 고객 단말기(100)로 알림정보를 제공하거나(S510), 통계정보를 제공하거나(S520), 추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530).
알림정보, 통계정보 및 추천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설계사 단말기(130) 및/또는 관리자 단말기(140)로 제공(전송)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알림정보, 통계정보 및 추천정보는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관리서버(110)가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보험관련 정보는 정보의 속성에 따라 분석정보와 진단정보로 분류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통계정보는 분석정보의 일례라고 볼 수 있고, 추천정보는 진단정보의 일례라고 볼 수 있다.
먼저, 알림정보에 대해 첨부된 도 23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3을 살펴보면, 알림정보는 변경알림정보, 이상보험 알림정보, 미납 알림정보, 가입 알림정보, 해지 알림정보, 중복 알림정보, 만기 알림정보 및 실효 알림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변경알림 정보는 보험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보험정보의 변경을 알리기 위해 관리서버(110)가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정보라고 볼 수 있다.
변경알림 정보는 보험에 대한 수익자의 변경을 알리는 수익자 변경 알림정보, 담당 보험 설계사의 변경을 알리는 설계사 변경 알림정보, 보험에 대한 내용의 변경을 알리는 내용 변경 알림정보, 보험료의 변경을 알리는 보험료 변경 알림정보, 보험기간의 변경을 알리는 보험기간 변경 알림정보 및 계약자의 변경을 알리는 계약자 변경 알림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용 변경 알림 정보는 보장내용의 변경을 알리는 보장 내용 변경 알림정보 및 계약 내용의 변경을 알리는 계약 내용 변경 알림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의 경우와 같이, 관리서버(110)는 고객이 가입한 소정의 보험이 갱신되어 보험료가 변경되는 경우 보험료의 변경을 알리는 보험료 변경 알림정보를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입 알림정보는 고객 단말기(100)에 대응하는 고객이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보험에 가입하는 경우, 보험 가입을 알리기 위해 관리서버(110)가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정보라고 할 수 있다.
해지 알림정보는 고객 단말기(100)에 대응하는 고객이 적어도 하나의 보험을 해지한 경우, 보험 해지를 알리기 위해 관리서버(110)가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정보라고 할 수 있다.
중복 알림정보는 고객 단말기(100)에 대응하는 고객이 중복되는 보험에 가입한 경우, 보험의 중복가입을 알리기 위해 관리서버(110)가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정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실비보험을 2개 가입한 경우 관리서버(110)는 고객 단말기(100)로 2개의 실비보험에 가입했다는 내용의 정보(중복 알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관리서버(110)는 고객이 가입한 2개의 실비보험에 대한 상세정보(종류, 보험료, 보장내용, 해지 환급금 등)를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기 알림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보험의 만기를 알리기 위해 관리서버(110)가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정보라고 할 수 있다.
미납 알림정보는 보험료 미납에 대한 정보를 알리기 위해 관리서버(110)가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정보라고 할 수 있다.
보험료 미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고객 단말기(100) 및/또는 관리서버(110)는 보험료 납입일 다음날에 보험서버(120)에 접속하여 보험료 납입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효 알림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보험의 실효를 알리기 위해 관리서버(110)가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정보라고 볼 수 있다.
이상보험 알림정보는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는 보험(이상보험)에 대한 정보를 알리기 위해 관리서버(110)가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정보라고 할 수 있다.
관리서버(110)는 납부하는 보험료를 고려하여 이상보험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5의 경우와 같이, 관리서버(110)는 소정 종류의 보험에 대해 고객의 보험료를 분석할 수 있다(S900).
이후, 해당 종류의 보험의 보험료가 미리 설정된 제 1 기준금액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S910)하고, 판단결과 해당 종류의 보험의 보험료가 제 1 기준금액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보험을 이상보험으로 감지할 수 있다(S920).
이후, 관리서버(110)는 해당 종류의 보험에 대한 정보를 고객 단말기(100) 또는 설계사 단말기(130)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해당 종류의 보험에 대한 정보를 다른 서버(예컨대, 금융 감독원의 서버)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해당 종류의 보험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별도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차후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해당 종류의 보험에 대한 정보를 다른 기관의 서버(예컨대, 수사기관의 서버)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관리서버(110)는 고객 '홍길동'의 생명보험의 보험료가 너무 과도하게 높아서 제 1 기준금액을 넘는 경우에 해당 보험을 이상보험이라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관리서버(110)는 고객 '홍길동'을 이상 고객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의 내용은 고객 '홍길동'에 대해 소정 종류의 보험이 다수개이고, 다수개의 보험의 보험료의 합계가 제 1 기준금액을 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기준금액이 1000만원인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여기서, 고객 '홍길동'이 총 11개의 서로 다른 생명보험을 가입하고, 각각의 생명보험에 보험료를 100만원씩 납부한다고 하면, 고객 '홍길동'의 생명보험의 총 보험료가 1100만원으로 제 1 기준금액보다 높다.
이러한 경우, 관리서버(110)는 고객 '홍길동'을 이상고객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고, 고객 '홍길동'이 가입한 11개의 생명보험을 이상보험이라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위의 내용은 계약자와 피보험자가 다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처럼, 관리서버(110)는 소정 종류의 보험에 대해 보험금액을 미리 설정된 제 1 기준금액 이상 납부하는 고객에 대해 알림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관리서버(110)는 고객이 동일한 종류의 보험을 복수 가입한 경우에는 납부하는 보험료와 보험을 계약을 체결한 기간을 고려하여 이상보험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6의 경우와 같이, 관리서버(110)는 고객이 가입한 보험계약들을 분석할 수 있다(S1000).
이후, 고객이 가입한 소정 종류의 보험들의 보험료의 합계가 미리 설정된 제 2 기준금액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S1010)하고, 판단결과 해당 종류의 보험들의 보험료가 제 2 기준금액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종류의 보험들의 계약 체결 날짜가 미리 설정된 기준기간 이내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20).
제 S1020단계에서 판단결과, 동일한 종류의 보험들의 계약 체결 날짜가 미리 설정된 기준기간 이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보험들을 이상보험으로 판단/감지할 수 있다(S920).
이후, 감지한 이상보험에 대한 정보를 알릴 수 있다(S930).
예를 들어, 제 2 기준금액이 500만원이고, 기준기간이 1년인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여기서, 고객 '임꺽정'이 총 10개의 서로 다른 생명보험을 가입하고, 각각의 생명보험에 보험료를 60만원씩 납부한다고 하면, 고객 '임꺽정'의 생명보험의 총 보험료가 600만원으로 제 2 기준금액보다 높다. 이러한 경우에는, 고객 '임꺽정'이 가입한 생명보험들의 보험료의 총합계는 앞서 설명한 제 1 기준금액보다는 낮을 수 있다.
아울러, 고객 '임꺽정'이 10개의 생명보험을 6개월 동안 집중적으로 가입했다고 가정하면, 관리서버(110)는 고객 '홍길동'을 이상고객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고, 고객 '홍길동'이 가입한 10개의 생명보험을 이상보험이라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위의 내용은 계약자와 피보험자가 다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처럼, 관리서버(110)는 소정 종류의 보험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기간 이내에 보험금액을 제 2 기준금액 이상 계약한 고객에 대해 알림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통계정보에 대해 첨부된 도 27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서는 관리서버(110)는 보험정보를 분석하여, 보험정보에 대응하는 통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통계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계정보는, 도 27의 경우와 같이, 보험사별 통계정보, 보험상품별 통계정보, 보험 설계사별 통계정보, 성별 통계정보, 지역별 통계정보 및 연령별 통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110)는 복수의 고객 단말기(10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고객 단말기(100)들로부터 보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보험정보를 분석하여 다양한 통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8의 경우와 같이, 관리서버(110)는 자동차 보험에 대한 통계정보를 도식적으로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8의 통계정보는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40대 남성이 가입한 자동차 보험에 대한 통계정보, 즉 자동차 보험에 대한 선호도에 대한 통계정보일 수 있다.
추천정보에 대해 첨부된 도 29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서는 관리서버(110)는 보험정보를 분석하여, 보험정보에 대응하는 추천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추천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천정보는, 도 29의 경우와 같이, 보험 설계사 추천정보, 추천 보험 정보, 보험사 추천정보, 보험 해지 추천 정보 및 추가 납입 추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110)는 통계정보를 근거로 하여 추천정보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0의 (A)와 같이,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40대 남성 고객인 '홍길동'에게 저축보험을 추천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도 30의 (B)의 경우와 같이, 관리서버(110)에서는 다수의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보험정보를 분석하여 경기지역의 40대 남성이 가입한 저축보험을 분석하여 선호도가 가장 높은 저축보험을 판별할 수 있다.
아울러, 관리서버(110)는 경기지역 40대 남성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저축보험(교보생명의 bb 저축보험)을 '홍길동' 고객에게 추천할 수 있다.
보험추천 정보에 포함되는 추천보험은 보장내용별 추천보험, 금액별 추천보험, 수익률별 추천보험 및 보장기간별 추천보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단말기(100)가 관리서버(110)로 종신보험에 대한 보험 추천을 요청하고, 보험 추천에 대한 조건으로 납입 보험금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관리서버(110)는 복수의 종신보험 중에서 납입 보험금이 가장 낮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종신보험을 선택하고, 선택한 종신보험을 고객 단말기(100)로 추천보험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관리서버(110)는 고객의 라이프 스타일, 연령대, 성별, 직업, 거주지를 고려하여 선호도가 높은 보험을 추천보험으로서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라이프 스타일은 취미 및/또는 직업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관리서버(110)는 고객이 변액보험을 가입한 경우, 변액보험에 할당되는 펀드를 수익률에 따라 변경할 것을 고객 단말기(100)로 추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고객이 해지를 신청하는 경우에, 관리서버(110)는 고객이 가입한 보험 중에서 손해가 상대적으로 적거나 혹은 손해가 가장 적은 보험을 해지 보험으로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1의 경우와 같이, 고객이 2개의 저축보험(제 1 저축보험과 제 2 저축보험)을 가입한 상태에서, 고객이 2개의 저축보험 중 어느 하나를 해지하고자 해지 신청을 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관리서버(110)에서는 제 1 저축보험과 제 2 저축보험을 분석하여 손해가 상대적으로 적은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저축보험의 경우 총납입금이 600만원이고 해지환급금이 550만원으로 해지환급율이 91.7%이고, 제 2 저축보험의 경우 총납입금이 600만원이고 해지환급금이 560만원으로 해지환급금이 93.4%라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관리서버(110)에서는 제 1 저축보험과 제 2 저축보험 중 해지 시 손해가 적은 제 1 저축보험을 해지할 것으로 추천정보로서 고객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는, 해지 추천 정보는 해지환급금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해지 추천 정보는 총 납입기간, 남은 납입 횟수, 보장 내용, 총 납입금 등 다양한 항목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보험 해지에 대한 추천정보는 관리서버(110)가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고객에게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보험을 해지할 것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고객의 해지 요청이 없이도 관리서버(110)가 자체적으로 해지 보험을 선택하고, 고객에게 추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관리서버(110)는 또 다른 형태로 분석정보 및/또는 진단정보를 작성하여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32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앞서 설명한 통계정보, 추천정보, 알림정보도 분석정보 또는 진단정보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다.
도 32 내지 도 33은 분석정보와 진단정보의 다른 형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관리서버(110)는, 고객의 보험정보의 분석을 통해, 고객의 보험정보를 진단한 진단정보를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32의 (A)와 같이, 관리서버(110)는 고객이 가입한 보험정보를 분석하여 어떠한 종류의 보험이 부족한지를 진단한 진단정보를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관리서버(110)는 부족한 보험을 보충하기 위한 추천 보험을 추천정보로서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관리서버(110)는, 도 32의 (B)의 경우와 같이, 진단정보를 도식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관리서버(110)는 경기지역의 40대 남성인 '홍길동' 고객이 가입한 보험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경기지역의 40대 남성의 통계정보와 비교하여 도 32의 (B)와 같이 '홍길동' 고객에 대한 진단정보를 작성할 수 있다.
도 32의 (B)를 해석하면, 고객 '홍길동'의 저축성 보험은 경기지역 40대 남성의 평균 대비 98%수준이고, 고객 '홍길동'의 보장성 보험은 경기지역 40대 남성의 평균 대비 60%수준이고, 고객 '홍길동'의 저축성 보험에서 사망 보험금은 경기지역 40대 남성의 평균 대비 30%수준일 수 있다.
도 33을 살펴보면, 관리서버(110)는, 고객이 가입한 보험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보험 계약을 유지하는 경우 받을 수 있는 연금액수를 분석한 분석정보를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분석정보와 진단정보는 일정부분 중첩(Overlap)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고객이 고객 단말기(100)에서 원하는 담당 보험 설계사를 직접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34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34 내지 도 36은 담당 보험 설계사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4를 살펴보면, 고객 단말기(100)에서 보험 설계사 설정요청을 관리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S1100). 이미 보험 설계사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고객 단말기(100)에서 보험 설계사의 변경 요청을 관리서버(110)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면, 관리서버(110)에서는 고객의 요청 및/또는 고객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S1110).
고객 단말기(100)에서는 보험 설계사의 설정 요청 시에 보험 설계사에 대응하는 조건정보(보험 설계사에 대한 요구조건)를 관리서버(110)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면, 관리서버(110)에서는 고객의 요청, 고객 정보 및/또는 고객의 조건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보험 설계사에 대한 조건정보는 지역, 성별 및 연령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5의 (A)의 경우와 같이, 고객은 원하는 설계사의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경력 10년 이상의 수상경력이 있는 40대 남성이며 경기도 수원에 사는 설계사'와 같이 고객이 원하는 조건정보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후, 관리서버(110)는 적어도 하나의 보험에 대해 선택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보험 설계사에 대한 정보를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S1120). 그러면, 선택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보험 설계사에 대한 정보가 고객 단말기(100)의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5의 (B)의 경우와 같이, 고객의 요구조건에 대응하는 선택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보험 설계사에 대한 정보를 고객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보험 설계사에 대한 정보는 보험 설계사의 지역에 대한 정보(거주지역 혹은 활동지역), 보험 설계사의 연령대에 대한 정보, 보험 설계사의 성별에 대한 정보 및 대표상품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보험 설계사에 대한 정보는 보험 설계사의 자격증명에 대한 정보, 예컨대, 설계사가 보유하고 있는 자격증, 설계사의 경력증명 및 설계사의 수상경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은 고객 단말기(100)에 표시된 선택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보험 설계사의 정보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S1130).
그러면, 선택된 정보에 대응하는 보험 설계사를 고객 단말기(100)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담당 보험 설계사로 지정할 수 있다(S1140).
예를 들어, 고객이 '김태희'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고객의 담당 보험 설계사로 '김태희' 설계사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담당 보험 설계사는 각각의 보험별로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는 보험사별로 담당 보험 설계사를 지정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관리서버(110)는 고객 단말기(100)로 적어도 하나의 선택가능한 보험 설계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에, 보험 설계사의 선호도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객은 보험 설계사를 선택하기 위한 충분한 자료를 획득할 수 있다.
보험 설계사의 선호도의 일례가 도 36에 게시되어 있다. 도 36에 게시된 보험 설계사의 선호도는 다수의 고객들이 입력한 선호도의 평균값인 것이 가능하고, 보험 설계사의 고객의 수에 대응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고객은 조건정보를 설정하지 않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관리서버(110)가 고객의 정보(고객정보)를 분석하여, 고객과 유사한 연령대이며, 유사한 지역(거주지역, 활동지역)의 적어도 하나의 설계사를 자체적으로 설정하고, 설정한 적어도 하나의 설계사에 대한 정보를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담당 보험 설계사에게 담당 고객의 정보 혹은 담당 고객의 보험관련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37 내지 도 3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37 내지 도 39는 담당 보험 설계사에게 정보 열람 권한을 부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7을 살펴보면, 관리서버(110)에서는 고객의 담당 설계사를 확인할 수 있다(S1200).
고객 단말기(100)에서는 담당 설계사에게 열람을 허용할 정보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다(S1210).
이후, 관리서버(110)는 담당 설계사에게 소정의 정보의 열람을 허용할 수 있다(S1220). 즉, 고객의 담당 보험 설계사에게 고객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8의 경우와 같이, 고객 단말기(100)에서는 고객 인적사항 및 설계사의 당사 보험에 대한 정보를 설계사에게 공개할 것인지(타입 A) 혹은 고객의 모든 보험에 대한 정보를 설계사에게 공개할 것인지(타입 B)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객 단말기(100)에서 타입 A를 선택하면, 고객 단말기(100)에 대응하는 사용자, 즉 고객의 담당 설계사는 자신의 설계사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고객의 인적사항 및 고객의 당사 보험에 대한 정보를 열람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반면에, 고객 단말기(100)에서 타입 B를 선택하면, 고객의 담당 설계사는 자신의 설계사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고객이 가입한 모든 보험에 대한 정보를 열람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9의 경우와 같이, 고객 '홍길동'이 삼성생명에 aa 저축보험과 bb 종신보험과 cc 연금보험을 가입하고, 삼성생명에 대응하는 담당 설계사는 '김태희'이고, 교보생명에 aaa 저축보험과 bbb 종신보험과 ccc 연금보험을 가입하고, 교보생명에 대응하는 담당 설계사는 '송혜교'이고, AIG생명에 aaaa 저축보험과 bbbb 종신보험과 cccc 연금보험을 가입하고, AIG생명에 대응하는 담당 설계사는 '전지현'인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고객 단말기(100)에서 타입 B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설계사 '김태희'는 당사 보험인 삼성생명의 aa 저축보험, bb 종신보험, cc 연금보험 뿐만 아니라, 타사의 보험인 aaa 저축보험, bbb 종신보험, ccc 연금보험, aaaa 저축보험, bbbb 종신보험, cccc 연금보험에 대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열람할 수 있다.
이처럼, 담당 보험 설계사는 소속된 보험사(당사)에 대응하는 보험 및 다른 보험사(타사)에 대응하는 보험에 대한 고객의 보험관련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열람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고객의 담당 보험 설계사가 제 1 보험사에 소속된 경우, 담당 보험 설계사는 제 1 보험사에 대응되는 보험 및 제 1 보험사와 다른 제 2 보험사에 대응되는 보험에 대한 고객의 보험관련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열람할 수 있다.
이후, 담당 설계사들의 선호도를 평가할 수 있다(S1230).
예를 들면, 담당 설계사들의 선호도는 정보 열람 권한을 허용한 고객의 수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고객의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보험 설계사의 선호도는 높아질 수 있다.
또는, 보험 설계사가 열람할 수 있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보험 설계사의 선호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8의 경우와 같이, 고객 단말기(100)에서 타입 A를 선택하면 담당 설계사에게 선호도 1점이 부여되고, 타입 B를 선택하면 담당 설계사에게 선호도 2점이 부여될 수 있다.
각각의 고객이 설정한 선호도를 합산하여 설계사의 선호도가 최종적으로 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에게 비용을 청구하거나 혹은 보험 설계사에게 비용을 청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험 설계 설계사에게 비용을 청구하는 경우에는, 정보 열람 권한을 허용한 고객의 수에 따라 보험 설계사에게 차등적으로 과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보험 설계사를 용이하게 호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40 내지 도 4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40 내지 도 43은 보험 설계사를 호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객 단말기(100)에서 소정 보험에 대한 이벤트(보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보험에 지정된 보험 설계사의 단말기로 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도 40의 경우와 같이, 고객은 고객 단말기(100)에서 소정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1300).
예를 들면, 고객은 고객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된 카톡, 라인, 인스타그램 등의 메신저의 입력창에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에 대한 정보는 도움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고객은 고객 단말기(100)에 소정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벤트에 대한 정보는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고객 단말기(100)에 입력된 이벤트에 대한 정보는 관리서버(110)로 전송될 수 있다(S1310).
그러면, 관리서버(110)에서는 고객 단말기(100)에서 전송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S1320).
이후, 관리서버(110)는 고객 단말기(100)에서 전송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보험 설계사를 확인할 수 있다(S1330).
이후, 관리서버(110)는 확인한 담당 설계사를 호출할 수 있다(S1340).
예를 들면, 도 41의 (A)의 경우와 같이, 고객은 고객 단말기(100)에서 소정의 메신저 입력창에 '자동차 사고가 났어요, 도와주세요.'라는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관리서버(110)는 고객이 메신저에 입력한 이벤트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고객이 현재 자동차 보험에 대한 설계사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관리서버(110)는 고객의 자동차 보험의 담당 설계사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담당 설계사(담당 설계사의 설계사 단말기(130))에게 고객이 도움이 필요한 상황이라는 것을 알릴 수 있다. 즉, 고객의 자동차 보험의 담당 설계사를 호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 자동차 보험의 담당 설계사는 메신저를 통해 고객과 접촉할 수 있다.
또는, 도 41의 (B)의 경우와 같이, 관리서버(110)는 고객의 자동차 보험에 대한 담당 설계사의 연락처를 메신저에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고객이 담당 설계사의 연락처를 모르는 상황 혹은 위급한 상황에서도 고객은 쉽게 담당 설계사와 용이하게 연락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고객이 메신저를 이용하여 이벤트 정보(예컨대, 자동차 사고)를 입력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보험 이벤트에 대한 정보는 보험 이벤트에 대한 이미지(Imag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2의 경우와 같이, '홍길동' 고객이 자신이 자동차 사고에 대한 사진(이미지)을 찍어서 관리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자동차 사고에 대한 사진을 메신저에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관리서버(110)는 고객이 전송한 이미지(사진 등)를 분석하여 고객이 현재 자동차 사고를 당했음을 인지하고, 고객이 가입한 자동차 보험의 설계사를 호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처럼, 고객 단말기(100)에서 소정 보험에 대한 도움 요청을 하는 경우, 관리서버(110)는 해당 보험에 지정된 보험 설계사의 단말기, 즉 설계사 단말기(130)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고객이 고객 단말기(100)에 보험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입력하면, 앱에서 자동으로 보험 설계사를 호출/연결할 수 있다.
또는, 고객 단말기(100)의 화면에 담당 설계사를 호출하기 위한 핫키(Hot Key)를 표시하고, 고객은 핫키를 이용하여 원터치로 보험 설계사를 호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3의 경우와 같이, 보험관련 정보를 보험사별로 분류하는 경우에, 각각의 보험사의 담당 설계사에 대응하는 핫키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객은 담당 설계사의 연락처를 모르는 상황에서도 고객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된 핫키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담당 설계사를 호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43의 경우는 각각의 보험사별로 담당 설계사가 지정되는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만약, 개별 보험별로 담당 설계사가 다른 경우에는 개별 보험별로 핫키가 설정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고객 단말기(100)에 상담 내용을 입력하는 경우(고객이 상담을 요청하는 경우)에 관리서버(110)는 입력된 상담 내용을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에게 상담을 의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44 내지 도 4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44 내지 도 48은 보험 관련 상담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4를 살펴보면, 먼저 고객 단말기(100)에서 상담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S1400). 여기서, 상담 내용은 보험에 관련한 상담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고객 단말기(100)에 입력된 상담 내용은 관리서버(110)로 전송(S1480)되고, 관리서버(110)에서는 상담 내용을 분석할 수 있다(S1490).
이후, 관리서버(110)는 상담 내용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를 선택할 수 있다(S1491).
여기서, 전문가는 보험에 대한 전문가로서 보험 설계사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5의 경우와 같이, 고객이 고객 단말기(100)에 보험에 관련된 상담 내용을 입력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여기서, 상담 내용은 미리 설정된 메신저의 입력창에 입력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가능한 메신저로는 카톡, 라인, 인스타그램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관리서버(110)는 도 45와 같은 상담 내용을 분석하여 고객이 실비보험에 대해 상담을 요청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후, 관리서버(110)는 실비보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설계사를 선택하고, 선택한 설계사의 단말기, 즉 설계사 단말기(130)로 상담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S1410).
예를 들면, 도 46의 경우와 같이, 관리서버(110)는 고객의 상담 내용을 제 1 설계사 단말기(131), 제 2 설계사 단말기(132), 제 3 설계사 단말기(133), 제 4 설계사 단말기(134) 및 제 5 설계사 단말기(135)로 전달(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관리서버(110)는 고객 단말기(100)가 전송한 상담 내용을 편집 혹은 가공하여 각각의 설계사 단말기(131-135)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관리서버(110)는 고객 단말기(100)가 전송한 상담 내용을 그대로 각각의 설계사 단말기(131-135)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는, 관리서버(110)는 고객이 입력한 상담 내용에 대응하여 하나의 전문가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고객 단말기(100)에서 메신저 입력창에 제 1 질문을 입력하는 경우, 관리서버(110)는 제 1 질문에 대응하는 제 1 전문가를 고객 단말기(100)에 연결할 수 있다. 또는, 고객 단말기(100)에서 메신저 입력창에 제 1 질문과 다른 제 2 질문을 입력하는 경우, 관리서버(110)는 제 2 질문에 대응하는 제 2 전문가를 고객 단말기(100)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담 내용을 전달받은 각각의 설계사 단말기(131-135)에서는 고객의 상담 내용을 분석할 수 있다(S1420). 즉, 고객의 상담 내용을 전문가의 입장에서 분석할 수 있다.
이후, 각각의 설계사 단말기(131-135)에서는 상담 내용에 대한 답변을 작성(S1430)하고, 작성한 답변을 관리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S1440).
그러면, 관리서버(110)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설계사 단말기(130)로부터 수신한 답변 내용을 편집 혹은 가공(S1450)하고, 가공한 답변 내용을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S1460).
관리서버(110)는 적어도 하나의 설계사 단말기(130)로부터 수신한 답변 내용을 그대로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관리서버(110)는 적어도 하나의 설계사 단말기(130)로부터 전달받은 답변 내용을 모두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관리서버(110)는 적어도 하나의 설계사 단말기(130)로부터 전달받은 답변 내용을 선택하고, 선택한 답변내용을 가공하거나 가공하지 않고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즉, 관리서버(110)는 답변 내용을 선별하여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고객 단말기(100)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설계사 단말기(130)에 대응되는 답변 내용을 화면상에 표시하여 고객으로 하여금 답변 내용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7의 경우와 같이, 고객 단말기(100)의 화면상에 적어도 제 1, 2, 3 설계사 단말기(131, 132, 133)에 대응되는 답변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관리서버(110)는 답변 내용을 전송한 순서에 따라 고객 단말기(100)로 답변 내용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5 설계사 단말기(131-135) 중에서 제 3, 2, 4, 1, 5 설계사 단말기(133, 132, 134, 131, 135)의 순서로 답변 내용을 관리서버(110)로 전송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관리서버(110)는 제 3 설계사 단말기(133)에 대응하는 답변 내용을 우선적으로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고객으로 하여금 제 3 설계사 단말기(133)에 대응하는 답변 내용을 먼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관리서버(110)는 선택된 답변 내용에 대응하는 전문가에 대한 정보, 즉 설계사에 대한 정보를 고객 단말기(100)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서버(110)는 답변에 대응하는 설계사의 이름, 성별, 전문분야, 보험사 및 활동지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서버(110)는 고객 단말기(100)가 전송한 상담에 대한 내용을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보험 관련 전문가에 대응하는 전문가 단말기(설계사 단말기(130))에게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상담에 대한 답변 내용을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관리서버(110)에서는 상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즉 보험 설계사를 미리 설정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8의 경우와 같이, 치과보험에 대해서는 A 설계사를 설정하고, 자동차 보험에 대해서는 B 설계사를 설정하고, 외제차 사고에 대해서는 C 설계사를 설정하고, 실비보험에 대해서는 D 설계사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고객 단말기(100)에서 앞선 도 45의 경우와 같이 실비보험에 대한 상담 내용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관리서버(110)는 고객의 상담 내용을 D 설계사에 대응하는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8에서는 하나의 전문분야에 대해 하나씩의 전문가(보험 설계사)를 설정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전문분야에 대해 복수의 전문가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고객 단말기(100)에서는 답변 내용을 전달받은 이후에 답변 내용을 평가할 수 있다(S1470).
예를 들면, 고객 단말기(100)에서는 답변 내용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할 수 있다. 아울러, 고객 단말기(100)에서 입력한 평가 정보는 관리서버(11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관리서버(110)에서는 전문가(설계사)에게 평가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전문가에게 부여된 평가 점수는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문가에게 부여된 평가점수는 인력관리 업체에 전달되어, 전문가의 스카웃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만족도가 높은 답변 내용과 그에 대응하는 상담 내용은 다른 고객들에게 공개될 수 있도록 자료실에 저장되거나 혹은 게시판에 게시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보험 설계사를 관리하는 관리자도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설계사의 활동을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49 내지 도 5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49 내지 도 50은 설계사 단말기의 활동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관리자는 적어도 하나의 보험 설계사를 모니터링하는 관리자일 수 있다.
아울러, 관리자에 대응되는 단말기를 관리자 단말기(140)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자 단말기(140)는 보험 대리점의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도 49를 살펴보면, 관리서버(110)에서는 설계사 단말기(130)의 정보 열람 권한을 분석(S1500)하여, 설계사 단말기(130)와 고객의 연결(Link)에 대한 연결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510). 여기서, 연결정보는 설계사 단말기(130)의 고객의 보험관련 정보에 대한 열람 권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계사 단말기(130)가 제 1 고객의 보험관련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은 경우에, 설계사 단말기(130)는 제 1 고객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결정보는 설계사 단말기(130)와 고객의 연결정보를 모니터링을 위한 모니터링 정보의 일부라고 보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관리서버(110)는 연결정보를 관리자 단말기(140)로 제공(전송)할 수 있다(S1520).
그러면, 관리자 단말기(140)에서는 설계사 단말기(130)의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설계사 단말기(130)에 대응하는 보험 설계사의 활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S1530).
예를 들어, 설계사 단말기(130)에서 보험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열람할 수 있는 고객의 수가 10명이라고 하면, 설계사 단말기(130)에 대응하는 보험 설계사의 고객이 10명이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만약, 지난 1주일 동안 설계사 단말기(130)가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고객의 수가 10명에서 15명으로 증가한 경우에는, 관리자 단말기(140)는 설계사 단말기(130)에 대응하는 보험 설계사가 지난 1주일 동안 고객 5명을 추가로 유치한 것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관리자 단말기(140)는 간접적으로 설계사의 활동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설계사 단말기(130)와 고객 사이의 연결정보는 고객의 정보 중 설계사 단말기가 열람할 수 있는 정보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관리서버(110)는 설계사 단말기(130)와 고객 단말기(100) 사이의 통화, 메시지 송수신을 모니터링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140)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면, 관리사 단말기(140)에서는 설계사 단말기(130)와 고객 단말기(100) 사이의 통화, 메시지 송수신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설계사의 활동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50의 경우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140)의 화면에는 소정의 설계사 단말기(100)에 정보 열람 권한을 부여한 고객의 수(30)에 대한 정보와 설계사 단말기(100)와 통화한 고객 단말기(100)의 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140)의 화면에 표시된 모니터링 정보만을 확인하는 것으로 설계사들의 활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어서, 관리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모니터링 정보는 설계사 단말기(100)가 열람할 수 있는 정보의 종류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0에서와 같이, 모니터링 정보 중 연결정보는 소정의 설계사 단말기(100)에 당사에 관련한 보험관련 정보에 대한 정보 열람 권한을 부여한 고객의 수(10)에 대한 정보와 설계사 단말기(100)에 당사 및 타사의 모든 보험관련 정보에 대한 정보 열람 권한을 부여한 고객의 수(2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고객의 보험관련 정보를 고객과 관련된 정보공유 회원, 예컨대 가족 구성원이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공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51 내지 도 5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51 내지 도 56은 정보공유회원에게 보험관련 정보를 공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보험정보 처리 장치(10)는 정보공유 회원의 단말기, 즉 회원 단말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원 단말기(15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회원 단말기(15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앱이 설치되지 않아도 무방할 수 있다.
도 52를 살펴보면, 고객 단말기(100)에서 정보공유 회원을 설정할 수 있다(S1600).
예를 들면, 도 53의 경우와 같이, '홍길동' 고객은 본인의 보험관련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공유할 정보 공유 회원으로 회원1(박지선, 처), 회원2(홍xx, 아들) 및 회원3(홍xx, 딸)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고객 단말기(100)에서 정보공유회원들에게 공개할 정보의 정류를 설정할 수 있다(S1610).
예를 들면, 도 54의 경우와 같이, 고객인 '홍길동'은 정보공유회원에게 공개할 정보로서 고객명(계약자명), 보험명, 보험의 보장 내용, 보험정 정보, 수익자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회원1(박지선, 처), 회원2(홍xx, 아들) 및 회원3(홍xx, 딸)은 '홍길동' 고객의 보험관련 정보 중 고객명(계약자명), 보험명, 보험의 보장 내용, 보험정 정보 및 수익자 정보 중 열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회원1(박지선, 처), 회원2(홍xx, 아들) 및 회원3(홍xx, 딸)의 회원 단말기(150)에 본 발명에 따른 보험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만약, 회원1(박지선, 처), 회원2(홍xx, 아들) 및 회원3(홍xx, 딸)의 회원 단말기(150)에 본 발명에 따른 보험앱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관리서버(110)는 메신저, 문자 메시지, 메일 등의 형태로 고객이 공개 설정한 보험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정보공유회원으로 가족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정보공유회원은 보험의 수익자, 피보험자, 법정 상속자 및 가족 구성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 단말기(100)에서 공개 정보를 설정하면, 설정한 공개정보는 관리서버(11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관리서버(110)는 회원 단말기(150)로 정보공유에 대해 알리는 정보공유 알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620).
그러면, 도 55의 경우와 같이, 회원 단말기(150)의 화면상에서는 정보공유를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관리서버(110)는 회원 단말기(150)에서 정보공유에 대해 확인을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1630)하여, 확인하지 않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다른 기능(Default)을 수행할 수 있다(S1680). 예를 들면, 고객 단말기(100)에 해당 회원 단말기(150)의 사용자가 정보공유회원으로서 부적합하다는 내용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반면에, 제 S1630단계에서 판단결과, 회원 단말기(150)에서 정보공유에 대해 확인하는 경우에는 관리서버(110)는 정보공유회원 등록을 승인할 수 있다(S1640).
예를 들어, 도 55의 경우에서, 회원 단말기(150)의 사용자가 Yes 메뉴를 선택하면 관리서버(110)는 정보공유회원 등록을 승인할 수 있다. 반면에, 도 55의 경우에서, 회원 단말기(150)의 사용자가 No 메뉴를 선택하면 정보공유회원 등록은 취소될 수 있다.
이후, 승인된 정보공유회원에게 고객의 보험관련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S1650).
이처럼, 보험관련 정보의 공유는 고객과 정보공유회원 사이에 상호 확인(Cross Check) 이후에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승인되어 등록된 정보공유회원은 취소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단말기(100)에서 설정된 정보공유회원 중 회원1(박지선, 처)을 정보공유회원에서 제외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정보공유회원에게 담당 보험 설계사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관리서버(110)는 정보공유회원에게 공개한 보험관련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정보공유회원의 담당 보험 설계사에게 공개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만약, 보험의 계약자와 피보험자가 다른 경우에는 계약자가 고객이 되고, 피보험자가 정보공유회원으로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 표현하면, 소정의 제 1 보험에 대한 피보험자와 계약자가 다른 경우, 관리서버(110)는 제 1 보험에 대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피보험자에게 공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부모가 자녀의 보험을 가입한 경우, 부모는 계약자이고, 자녀는 피보험자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자녀의 보험관련 정보를 부모 및 자녀에게 공개할 수 있다.
도 52에서, 정보공유회원의 설정 이후에 고객이 가입한 보험에 대한 보험금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660).
판단결과, 보험금이 발생한 경우에는 보험금 발생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정보공유회원의 회원 단말기(150)로 전송하여 알릴 수 있다(S1670).
예를 들면, 도 56의 경우와 같이, 고객 '홍길동'의 사망에 따라 사망 보험금이 발생하였음을 고객 '홍길동'의 정보공유회원인 회원1(박지선, 처)의 회원 단말기(150)로 알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객에게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보험금의 발생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보공유회원에 대한 정보(메일주소, 전화번호 등)는 관리서버(110)에 미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고객 단말기, 설계사 단말기 및 보험서버와 연결된 관리서버에서, 보험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고객 정보에 대응되어 보험서버로부터 추출된 보험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고객 단말기로부터 보험과 관련된 상담 내용을 포함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보험과 관련 상담 내용에 대한 답변 내용을 설계사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답변 내용을, 상기 설계사 단말기에 대응되는 보험 설계사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보험 설계사에 대한 담당 설계사 지정을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담당 설계사로 지정되는 보험 설계사에 대하여, 상기 저장된 보험관련 정보에 대한 열람 권한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험정보 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과 관련 상담 내용을 가공하여 적어도 하나의 설계사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설계사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답변 내용을 가공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달한 답변 내용에 대한 고객의 평가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설계사 단말기들로부터 각각 수신한 답변 내용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객 단말기에서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고객 단말기; 및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보험에 대한 상담 요청을 수신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고객 정보에 대응되어 보험서버로부터 추출된 보험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보험과 관련된 상담 내용을 포함하는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보험과 관련 상담 내용에 대한 답변 내용을 설계사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답변 내용을 상기 설계사 단말기에 대응되는 보험 설계사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달하며,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보험 설계사에 대한 담당 설계사 지정을 요청받고, 상기 담당 설계사로 지정되는 보험 설계사에 대하여 상기 저장된 보험관련 정보에 대한 열람 권한을 설정하는 보험정보 처리장치.
KR1020190055588A 2019-05-13 2019-05-13 보험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900540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588A KR20190054046A (ko) 2019-05-13 2019-05-13 보험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588A KR20190054046A (ko) 2019-05-13 2019-05-13 보험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054A Division KR20180070540A (ko) 2018-06-19 2018-06-19 보험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046A true KR20190054046A (ko) 2019-05-21

Family

ID=66675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588A KR20190054046A (ko) 2019-05-13 2019-05-13 보험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40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827B1 (ko) 2020-01-09 2020-09-07 주식회사 그레이드헬스체인 건강사고의 발생확률을 예측하는 건강등급 평가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827B1 (ko) 2020-01-09 2020-09-07 주식회사 그레이드헬스체인 건강사고의 발생확률을 예측하는 건강등급 평가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228077B (zh) 在协调响应于在政策下进行承保的请求的服务和/或支付中用于自动质量管理和识别错误、遗漏和/或偏差的系统、方法和平台
Hillerman et al. Applying clustering and AHP methods for evaluating suspect healthcare claims
KR101837843B1 (ko) 보험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US8688474B2 (en) Patient health record access system
US20150332184A1 (en) Application Risk and Control Assessment
US20140317020A1 (e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a user
US20120271743A1 (en) Global Risk Administration Method and System
KR101867241B1 (ko) 보험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US20100235228A1 (en) Service provider evaluation and feedback collection and rating system
US11880887B1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interactive communications related to insurance data
US20140310026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customer-driven insurance claim management
US1158234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personalization and intelligent routing
US1177606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ally matching online user profiles
US201500260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packages of licensable assets
De et al. Consent for targeted advertising: the case of Facebook
KR20180093843A (ko) 스크래핑을 이용한 보험 정보 제공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및 시스템
KR101931905B1 (ko) 보험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803656B1 (ko) 보험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90054046A (ko) 보험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Sadowski Total life insurance: Logics of anticipatory control and actuarial governance in insurance technology
Marshall et al. Health care needs assessment in prisons: a toolkit
KR101828162B1 (ko) 보험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837850B1 (ko) 보험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80070540A (ko) 보험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80026699A (ko) 보험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