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620A - 슬러지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620A
KR20190053620A KR1020170149699A KR20170149699A KR20190053620A KR 20190053620 A KR20190053620 A KR 20190053620A KR 1020170149699 A KR1020170149699 A KR 1020170149699A KR 20170149699 A KR20170149699 A KR 20170149699A KR 20190053620 A KR20190053620 A KR 20190053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air
spray
supply pipe
heating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7132B1 (ko
Inventor
정민우
고상수
Original Assignee
정민우
(주)태광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우, (주)태광에코 filed Critical 정민우
Priority to KR1020170149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132B1/ko
Publication of KR20190053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6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sewage, house, or town ref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6B15/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8Drying or remov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건조할때 사용하는 건조장치는 판형상으로 형성된 히팅보드와, 상기 히팅보드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 분무실로 가열된 공기를 주입하면 주입된 공기는 공기 분무실 내부로 확산되어 고르게 퍼진상태에서 히팅보드의 분무 플레이트에 형성된 분부공을 통해 공기가 스며나가는것처럼 분무됨으로 인해 건조물과 근접되게 설치하여도 타지않기때문에 온도조절이 용이함은 물론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넓은 면적을 동시에 균일하게 건조하여 건조능력을 향상시키고,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흡입하여 배출함으로 인해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러지 건조장치{The heating device}
본 발명은 슬러지를 건조할때 사용하는 건조장치는 판형상으로 형성된 히팅보드와, 상기 히팅보드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 분무실로 가열된 공기를 주입하면 주입된 공기는 공기 분무실 내부로 확산되어 고르게 퍼진상태에서 히팅보드의 분무 플레이트에 형성된 분부공을 통해 공기가 스며나가는것처럼 분무됨으로 인해 건조물과 근접되게 설치하여도 타지않기때문에 온도조절이 용이함은 물론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넓은 면적을 동시에 균일하게 건조하여 건조능력을 향상시키고,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흡입하여 강제 배출함으로 인해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석연료는 석탄·석유·천연가스 같은 지하 자원을 이용하는 연료로서 현재 인류가 이용하고 있는 에너지의 대부분이 이에 해당한다.
상기와 같은 화석연료는 현대에 이르러 산업발달로 인하여 사용량이 급격히 늘어났고, 사용량의 증가로 인하여 매장량이 감소하면서 연료부족이라는 심각한 문제점을 않고 있다.
대체연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하수도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나 종이 및 직물 등의 각종 슬러지를 수거하여 건조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건조기를 통해 건조하는데, 상기 건조기의 건조방식은 열풍으로 하는 방식으로 주로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건조기는 건조실 내부에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팬에 의해 강제 송풍하는 방식으로 건조실 내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데 이럴 경우 송풍팬에 의한 강한 바람으로 인해 건조물이 날리거나 공기 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기존의 건조장치는 마이크로 웨이브 건조방식, 히터 건조방식, 간접 건조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건조방식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방식으로 건조물을 건조하는데 전기료가 많이 들고 건조효율이 낮으며, 고르게 건조가 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조물과 마이크로 히터부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히터식 건조방법은 건조물 상부에 히터를 직접 설치하여 직접 가열하는 것으로 빠른시간에 건조를 할 수 있으나, 건조물과 히터 사이의 간격 및 건조시간 등을 정확하게 조정하지않으며 건조물이 쉽게 타버리고, 반대로 히터와 건조물 사이에 간격이 너무 많이 벌어지면 그 사이에 유입되는 공기량이 많아 건조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간접 건조방식은 건조물에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는 방식으로 다수개의 분사공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분사 파이프를 사용한다.
상기 분사 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 분사 파이프의 지름이 작거나 길이가 긴상태에서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경우, 공기 자체가 가열되어 팽창된 상태이므로 좁은 공간인 분사 파이프 내부에 지속적으로 주입하는 과정에서 많은 압력이 발생하여 입구인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로 주입하여 공급하기가 용이하지않다.
반대로 분사 파이프의 지름을 크게 하거나 길이를 짧게하는 경우 공기 압력이 작아지나 건조 면적도 적어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사 파이프의 길이가 길거나 지름이 작은 경우 더 큰 공압을 필요로하고, 공기를 더 멀리 보내기 위해서는 용량이 더 큰 펌프가 필요하다.
또한, 분사 파이프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주입하면 분사 파이프의 내경이 좁은 상태이므로 분사 파이프의 일측 단부에서 주입되는 공기는 높은 압력이 발생하고 타측 단부는 공기가 주입되는 일측 단부와 동일한 공기량이 주입되지 않아 분사되는 공기량에 차이가 있어 건조 효율이 떨어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분사 파이프의 좁은 내경으로 인해 내부에 많은 압력이 발생하고 공기압이 주입구 쪽에 압축되어 있어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어 균일하게 공기가 분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사 파이프를 사용하여 건조물을 건조하는 방식은 공기를 고압으로 분사함으로 인해 건조물이 날리거나 흐트러져 서로 겹쳐 건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간접열에 의해 건조하는 방식은 히터에서 가열된 공기를 분사 파이프로 공급하는데 분사 파이프와 컨베이어 벨트의 간격이 크면 더운 공기가 금방 냉각되어 건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사 파이프와 컨베이어 벨트의 간격이 짧으면 분사 파이프 전체 온도가 균일하지 않고 주입구쪽과 반대쪽의 온도차이가 발생하여 건조 효율이 떨어짐은 물론 공기를 분사하기 때문에 하중이 가벼운 건조물인 경우에는 컨베이어 벨트에서 날리거나 흐트러짐으로 인해 분말은 건조하기가 쉽지않다.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2 - 0000377호" 열풍 건조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조물을 건조할 때 건조물과 히팅보드와의 거리를 근접한 상태에서 건조하여도 건조물이 타지않도록 방지하는 것은 물론 건조물이 날리거나 흐트러지지않으며 건조물의 위치에 상관없이 균일하게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건조물을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는 바로 흡입하여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은 건조물을 건조하는 건조장치에 있어서,
건조물을 안착하고 건조 및 이동할 수 있도록 컨베어방식으로 구동되는 건조대; 와
공기를 가열하여 메인 공급 파이프로 공급하는 히터부; 와
상기 히터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분기 파이프로 공급하는 메인 파이프; 와
상기 메인 공급 파이프에서 공급하는 공기를 건조물을 건조하는 건조대로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메인 공급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분기된 다수개의 분기 공급 파이프; 와
상기 분기 파이프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건조대에 올려진 건조물을 건조할 수 있도록 건조물의 상면에 판형상으로 각각 설치되어 내부로 주입된 가열된 공기를 분무공을 통해 스며나가도록 분무하여 건조하는 히팅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슬러지 건조장치는 슬러지인 건조물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종래와 같이 가열된 공기를 분사하는게 아니라 분무공을 통해 스며나가는 것처럼 분무하여 건조과정에서 건조물이 날리거나 흐트러지는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판형상의 히팅보드를 사용함으로 인해 가열된 공기가 주입호퍼를 통해 주입되면서 주입된 공기 자체가 가열된 열풍임으로 인해 내부로 확산되어 히팅보드의 분무 플레이트 전체에 형성된 분무공을 통해 균일한 압력으로 공기가 분무됨으로 인해 건조 면적이 커져 건조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와 분사 파이프를 사용하는게 아니라 판형상의 히팅보드를 사용함으로 인해 동시에 넓은 면적을 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증기 배출 덕트부가 설치되어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흡입하여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를 분무공을 통해 분무함으로 인해 건조물에 분무된 공기가 바로 확산되지않고 공기를 분사하는 방식보다 오래 머물러있어 건조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압력을 향상시키기위해 압축 용량이 더 큰 펌프 및 송풍팬을 사용하지않아 경제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히팅보드를 이용한 건조장치를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 히팅보드를 이용한 건조장치를 일부 확대해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히팅보드를 이용한 건조장치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히팅보드를 도시해 보인 전체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히팅보드에서 분무 플레이트만 분리해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히팅보드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히팅보드를 도시해 보인 결합 단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히팅보드를 이용한 건조장치를 도시해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히팅보드를 이용한 건조장치를 일부 확대해 보인 정면도이다.
본 발명 슬러지 건조장치는 수분이 포함된 슬러지는 건조하기위해 넓은 면적에 균일한 공기 압력으로 가열된 공기를 분무하여 건조하는 구성이다.
상기 건조장치(11)는 건조물을 안착하고 건조 및 이동할 수 있도록 컨베어방식으로 구동되는 건조대(14)로 구성된다.
상기 건조대는 컨베어 벨트방식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컨베어 벨트의 상면에 건조물을 올려놓으면 일정한 속도로 히터보드를 통과하며 건조물을 건조하고 마지막 단계에서 건조물을 낙하하는 방식으로 건조물을 건조한다.
히터부는 공기를 가열하여 메인 공급 파이프(13)로 공급하고, 상기 메인 공급 파이프(13)는 히터부(12)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분기 공급 파이프(15)로 공급한다.
상기 메인 공급 파이프(13)에서 공급하는 공기를 건조물을 건조하는 건조대(14)로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메인 공급 파이프(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분기 공급 파이프(15)가 분기되어 배열된다.
상기 분기 공급 파이프(15)는 히팅보드(1)와 부착된 주입호퍼(7)와 연결되고, 상기 주입호퍼는 공급되는 공기를 히팅보드 내부에 위치한 공기 분무실로 주입하고, 그러면 히팅보드는 판형상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분무 플레이트 전체에 분무공이 배열된 상태이므로 분무공을 통해 공기 분무실오 주입된 공기를 분무공을 통해 스며나가도록 분무하여 건조한다.
상기 건조장치는 건조물을 건조할 때 건조물과 히팅보드와의 거리를 근접한 상태에서 가열된 공기를 분무하여 건조하기때문에 건조물이 타지않으며 건조물이 날리거나 흐트러지지않거 건조물의 위치에 상관없이 균일하게 건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장치는 건조대를 다단으로 설치하여 건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 히팅보드를 이용한 건조장치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로서 건조에 올려진 건조물을 히팅보드에 의해 건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중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분기 파이프와 마주하는 반대방향에는 수증기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수증기 흡입 파이프가 설치되고, 상기 수증기 흡입 파이프에는 건조대인 컨베어벨트 저면에 위치하도록 수중기 흡입 덕트부가 설치된다.
또한, 분기 공급 파이프에는 수중기 흡입 덕트부와 대응하는 위치인 컨베어벨트 저면에 각각 위치하도록 수증기 배출 분사공이 각각 형성되어 가열된 공기를 분사하여 수증기가 흡입 덕트부로 이동하도록 가압한다.
상기 수증기 배출 분사공도 콘베어벨트의 저면에 위치하는 게 바람직하다.
상기 수증기 흡입 덕트부는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수증기를 배관에 의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건조대를 구성하는 컨베어벨트의 저면에 설치하는게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 히팅보드를 도시해 보인 전체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히팅보드에서 분무 플레이트만 분리해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히팅보드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히팅보드를 도시해 보인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 건조장치에 설치된 히팅보드(1)는 넓은 면적을 균일한 공기압력으로 분무하여 건조할 수 있도록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성으로서 크게 베이스 플레이트(3), 분무 플레이트(2), 조립스틱(4), 간격 유지스틱(5)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히팅보드(1)는 판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3)와 다수개의 분무공(8)이 배열된 분무 플레이트(2)를 마련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는 가장자리 둘레와 중앙에 조립공(9)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주입호퍼(7)를 결합할 수 있도록 주입구(6)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와 포개지는 분무 플레이트(2)는 가장자리 둘레와 중앙에 조립공(9)이 형성되고, 조립공(9)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전체에는 분무공(8)이 배열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3)와 분무 플레이트(2)를 서로 포개는 과정에서 간격을 형성하여 공기 분무실(10)을 형성한다.
상기 공기 분무실(10)로 주입된 공기가 베이스 플레이트(3)와 분무 플레이트의 측면으로 배출되지않게 베이스 플레이트(3)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조립공(9)에 조립스틱(4)을 밀착하고, 내부에 형성된 조립공(9)에는 간격 유지스틱(5)을 밀착한 다음 분무 플레이트(2)를 조립스틱(4)과 간격 유지스틱(5)에 밀착한 다음 조립공(9)에 볼트를 조임 체결하여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3)와 분무 플레이트(2)를 조립하면 주입구(6)를 제외한 가장자리 측면은 조립스틱(4)으로 밀폐하여 내부에 형성된 공기 분무실(10)로 공기를 주입하면 분무공(8)으로만 공기가 분무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간격유지스틱(5)은 베이스 플레이트(3)와 분무 플레이트(2)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고 지지하는 것은 물론 주입구(6)를 통해 주입된 공기가 골고루 퍼지도록 유도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상기 주입구(6)에는 히터에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파이프에서 분기된 파이프와 연결되어 주입구로 공기를 주입하도록 주입호퍼(7)가 부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 히팅보드(1)는 주입호퍼(7)를 통해 판형상으로 형성된 공기 분무실(10)로 주입되는 공기는 가열된 상태이므로 주입호퍼(7)를 통해 주입되면 공기 분무실(10) 내부로 확산되어 공기 분무실(10)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상기 공기 분무실(10)에 주입된 공기는 주입구(6)를 통해 지속적으로 주입되고 미리 주입된 공기는 자연스럽게 지속적으로 주입된 압력에 의해 분무공(8)을 통해 분무된다.
상기 분무공(8)을 통해 분부되는 공기는 분사되는게 아니라 자연스럽게 분무공(8)으로 스며나가는것처럼 분무됨으로 인해 건조물이 날리거나 흐트러지지 않는다.
한편, 분무공(8)의 지름은 0.6 ~ 0.9㎜ 범위이며, 0.8㎜로 사용하는게 바람직하다.
상기 분무공(8)의 크기가 너무 크면 주입호퍼 주변과 반대쪽 내부에 위치한 공기의 압력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물론 분무공을 통해 분부되는게 아니라 공기량이 많아져 분사되어 건조물이 날리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 히팅보드(1)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연접되게 다수개의 히팅보드(1)를 설치한 다음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 건조물을 올려놓는다.
상기 히팅보드(1)와 건조물의 거리는 최대한 근접하여도 가열된 공기자체가 분무되기때문에 건조물이 타거나 날리지않는다.
따라서 건조물에 히팅보드(1)를 근접한 상태에서 가열된 공기를 공기 분무실(10)로 지속적으로 주입하면 주입된 공기는 공기 분무실(10) 내부에서 확산되어 고르게 분포된 상태에서 분무공(8)을 통해 스며나가는것처럼 분무되어 건조한다.
상기 히팅보드(1)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넓은 면적을 동시에 건조할 수 있어 건조효율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1: 히팅보드 2: 분무 플레이트
3: 베이스 플레이트 4: 조립스틱
5; 간격 유지스틱 6: 주입구
7: 주입호퍼 8: 분무공
9: 조립공 10: 공기 분무실
11: 건조장치 12: 히터부
13: 메인 공급 파이프 14: 건조대
15: 분기 공급 파이프 16: 수증기 흡입 덕트부
17: 수증기 배출 분사공 18: 수증기 흡입 배출 파이프

Claims (3)

  1. 건조물을 건조하는 건조장치(11)에 있어서,
    건조물을 안착하고 건조 및 이동할 수 있도록 컨베어방식으로 구동되는 건조대(14); 와
    공기를 가열하여 메인 공급 파이프(13)로 공급하는 히터부(12); 와
    상기 히터부(12)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분기 공급 파이프(15)로 공급하는 메인 공급 파이프(13); 와
    상기 메인 공급 파이프(13)에서 공급하는 공기를 건조물을 건조하는 건조대(14)로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메인 공급 파이프(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분기된 다수개의 분기 공급 파이프(15); 와
    상기 분기 공급 파이프(15)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건조대에 올려진 건조물을 건조할 수있도록 건조물의 상부에 판형상으로 각각 설치되어 내부로 주입된 가열된 공기를 분무공을 통해 스며나가도록 분무하여 건조하는 히팅보드(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보드(1)는 판형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3)와 다수개의 분무공(8)이 배열된 분무 플레이트(2)를 마련한 다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의 전면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된 조립스틱(4)과, 상기 조립스틱(4)의 전면으로 가장자리가 부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3)의 일면을 밀폐하도록 조립된 분무 플레이트(2)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와 분무 플레이트(2) 사이에 형성된 공기 분무실(10)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분무 플레이트(2) 사이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일측에 주입구(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슬러지 건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대에는 건조물을 건조할때 발생하는 수증기를 배관에 의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분기 공급 파이프의 반대방향에는 수증기 흡입 배출 파이프가 설치되고, 상기 수증기 흡입 배출 파이프에는 수증기 흡입 덕트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분기 공급 파이프에는 수증기 흡입 덕트부에서 수증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가열된 공기를 분사하도록 수증기 배출 분사공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장치.
KR1020170149699A 2017-11-10 2017-11-10 슬러지 건조장치 KR101987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699A KR101987132B1 (ko) 2017-11-10 2017-11-10 슬러지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699A KR101987132B1 (ko) 2017-11-10 2017-11-10 슬러지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620A true KR20190053620A (ko) 2019-05-20
KR101987132B1 KR101987132B1 (ko) 2019-06-10

Family

ID=66678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699A KR101987132B1 (ko) 2017-11-10 2017-11-10 슬러지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1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4897A (zh) * 2019-05-31 2019-08-09 贵州西部丽城生态环境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生活垃圾填埋场的渗滤液处理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200B1 (ko) 2019-04-30 2019-12-31 조영재 과열증기를 이용한 양방향 건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061B1 (en) * 2002-05-03 2003-09-29 Nokwon C & I Co Ltd Conveyor-type drying system having air injection device
KR100793828B1 (ko) * 2006-07-19 2008-01-10 (주)청명씨에스 과열증기를 이용한 슬러지 열처리장치
KR20120000377U (ko) 2010-07-07 2012-01-13 윤인숙 자석걸이구
KR101110698B1 (ko) * 2010-10-08 2012-02-16 신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슬러지 건조용 이송 컨베이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061B1 (en) * 2002-05-03 2003-09-29 Nokwon C & I Co Ltd Conveyor-type drying system having air injection device
KR100793828B1 (ko) * 2006-07-19 2008-01-10 (주)청명씨에스 과열증기를 이용한 슬러지 열처리장치
KR20120000377U (ko) 2010-07-07 2012-01-13 윤인숙 자석걸이구
KR101110698B1 (ko) * 2010-10-08 2012-02-16 신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슬러지 건조용 이송 컨베이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4897A (zh) * 2019-05-31 2019-08-09 贵州西部丽城生态环境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生活垃圾填埋场的渗滤液处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132B1 (ko)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132B1 (ko) 슬러지 건조장치
KR20120084220A (ko) 슬러지 건조장치
CN204963490U (zh) 一种木材烘干设备
KR101615428B1 (ko) 비닐하우스용 온풍 공급장치
KR101958600B1 (ko) 열풍 반사판을 구비한 저온 건조장치
CN104611871A (zh) 一种纺织品定型烘干一体机
CN204902461U (zh) 一种多层均匀受热的木材干燥装置
CN207471925U (zh) 一种自动清洗蒸汽烘干脱水机
CN204417844U (zh) 一种纺织品定型烘干一体机
CN203053173U (zh) 碳纤维远红外/空气能烘干设备
CN216347648U (zh) 沥青混合料加热烘干设备
CN203518440U (zh) 一种烘干室
KR20190052501A (ko) 건조기용 히팅보드
CN205124854U (zh) 蒸烤箱超声波加湿器
KR20110131450A (ko) 열풍 및 안개분사를 통한 폐수 건조장치
CN204460976U (zh) 一种微波真空干燥机
KR20200011502A (ko) 건조기용 히팅보드
CN204530196U (zh) 一种定型烘干一体机
CN105747388A (zh) 一种高效率循环式鞋用烘干机
CN206600796U (zh) 一种水煤浆燃烧系统
CN207262895U (zh) 一种拉丝蛋白食品烘干机
CN204974376U (zh) 烘干室
CN104388143A (zh) 两段连续式褐煤提质系统
CN114344953B (zh) 一种水-蜡乳化液的破乳化干燥装置及方法
CN214469937U (zh) 一种膳食纤维颗粒用微波烘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