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975A - 선박용 스케그 - Google Patents

선박용 스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975A
KR20190052975A KR1020170148873A KR20170148873A KR20190052975A KR 20190052975 A KR20190052975 A KR 20190052975A KR 1020170148873 A KR1020170148873 A KR 1020170148873A KR 20170148873 A KR20170148873 A KR 20170148873A KR 20190052975 A KR20190052975 A KR 20190052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plate
skeg
pin
ship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령
김수형
김희정
손혜종
송지수
양희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8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2975A/ko
Publication of KR20190052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9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8Shape of aft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 Y02T70/1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항성능이 개선되며 조종성능 또한 향상되고 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선박용 스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체의 선미에 하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스케그 핀, 상기 스케그 핀의 하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윙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선박용 스케그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선박용 스케그{Skeg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스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항성능이 개선되며 조종성능 또한 향상되고 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선박용 스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10)은 이동을 위하여, 스크류 등의 추진수단을 갖거나 또는 예인선 등에 의해 예인되어 이동된다.
이러한 선박(10) 중 길이가 짧고 방형계수(Cb)가 큰 선박(10)등은 조종성능이 일반선 대비 좋지 않은 경향이 있다.
이러한 선박(10)의 조종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스케그(Skeg: 20)라는 부가물을 설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케그(20)는 선미측의 선저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돌출된 핀(fin)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일반적으로 선체 등이 회전될 때 스케그(20)의 양 측면간에 압력차이가 발생되어 이러한 압력차이로서 선체의 조종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핀(fin)형상의 스케그(20) 주변에 흐르는 수류의 흐름을 시뮬레이션한 그림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핀(fin)형상의 스케그(20)는 그 측면에 흐르는 수류에서 와류(vortex)가 발생하여 스케그(20)의 양 측면간의 압력 차이가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형상의 스케그(20)의 하단 끝에서 압력차이에 의해 수류가 측면에서 넘어가는 현상이 발생되어 스케그(20)의 양 측면간의 압력차이가 더 줄어들어 조종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케그의 조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용 스케그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출원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체 선미의 선저면으로터 하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스케그 핀, 상기 스케그 핀의 하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윙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선박용 스케그가 개시된다.
상기 스케그 핀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선체의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각 스케그 핀에 상기 윙 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윙 플레이트는 상기 스케그가 마주보는 측으로는 연장되지 아니하고, 선체 외측방향을 향해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윙 플레이트는 선수측이 선미측보다 더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경사진 상태의 상기 윙 플레이트의 저면측에 형성되는 압력이 상기 윙 플레이트의 상면측에 형성되는 압력보다 크도록, 상기 윙 플레이트는 주변을 흐르는 수류가 수평선상과 이루는 각도보다 더 작은 각도를 형성하도록 상기 윙플레이트의 선수측 선단부가 더 하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윙 플레이트는, 복수개가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윙 플레이트는 상기 스케그 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윙 플레이트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스케그 핀과 상기 윙 플레이트의 결합부위에 구비되는 각도조절부, 상기 윙 플레이트의 저면에 작용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상기 압력센서에서 측정되는 압력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각도조절부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윙 플레이트는, 상기 스케그 핀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스케그 핀의 양 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윙 플레이트의 외측 끝단부에 하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박용 스케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케그 주변에 와류의 발생이 감소되며, 압력차이가 유지되어 조종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스케그의 윙 플레이트 후측에 양압이 형성되므로 이러한 양압이 선박의 추진압력으로 작용되어 저항성능이 개선되어 선박추진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선박의 흘수에 따라 윙 플레이트 후측에 형성되는 양압이 최대가 되는 각도로 상기 윙플레이트의 각도가 조절되므로 선박추진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스케그가 구비된 선미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스케그 주변에 흐르는 수류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스케그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압력 차이 분포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스케그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선박용 스케그 주변에 흐르는 수류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4의 선박용 스케그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압력 차이 분포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4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4의 선박용 스케그 주변의 수류의 압력을 시뮬레이션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스케그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선박용 스케그 주변의 수류의 흐름 및 압력을 시뮬레이션한 도면;
도 11은 윙 플레이트가 경사진 형태의 선박용 스케그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윙 플레이트가 경사지며 분할된 형태의 선박용 스케그를 도시한 측면도;
도 13 및 도 14은 선체의 흘수에 따라 선미 측 주변에 흐르는 수류의 높이방향(수면방향) 유동속도의 크기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스케그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5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스케그(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그 핀(110) 및 윙 플레이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케그 핀(110)은 선미의 선저(12)면에 구비되며, 상기 선저면(12)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돌출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윙 플레이트(120)는 상기 스케그 핀(110)으로부터 선체의 수평방향인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윙 플레이트(120)는 상기 스케그 핀(110)의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선체의 전후방향으로도 연장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케그 핀(110)은 복수개가 선체의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스케그 핀(110)에 상기 윙 플레이트(12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한 쌍일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 여러 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윙 플레이트(120)가 구비된 스케그 주위에 흐르는 수류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그 주위를 흐르는 수류에 발생되는 와류(vortex)가 윙 플레이트(120)가 없는 형태의 도 2에 비하여 현저하게 줄어들음을 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조종성능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케그 핀(110)의 하단에 윙 플레이트(120)가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됨으로 인해, 스케그 핀(110)의 일측면의 수류가 타측면으로 넘어가는 현상이 방지되어, 스케그 핀(110)의 양 측면간의 압력차이가 보다 잘 유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선박용 스케그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될 수도 있다.
즉, 스케그 핀(110) 측면의 하단부에서 상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상기 스케그 핀(110)의 양 측면으로 윙 플레이트(120)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윙 플레이트(120)의 양 끝단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윙 플레이트(120)를 스케그 핀(110) 하단에서 상측에 이격시킨 위치에서 연장하는 것은, 선박 건조시 스케그 핀(110)의 하단부에 반목등을 고일 수 있어 용접작업에 필요한 공간의 확보가 어려운 문제 때문일 수도 있으며, 용접작업시 끝단부에 용접하는 것보다는 용접부위 주위에 공간이 있는 쪽이 더 안정적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윙 플레이트(120)의 끝단에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부(1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수류로 인해 발생하는 저항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돌출부(122)의 돌출길이는 상기 스케그 핀(110)의 하단부의 높이보다 더 아래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선체의 선미부의 저면에 한 쌍의 스케그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케그는 스케그 핀(110)의 양측으로 연장형성된 윙 플레이트(120)를 구비하고 있을 때 상기 스케그 주변의 수류의 압력을 시뮬레이션한 도면으로서, 색상이 짙을수록(보다 파란색일수록) 압력이 낮을 수 있다.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케그 핀(110)이 형성된 선저(12)면에서의 선체외측면(영역 B) 보다, 스케그 핀(110)의 선체 내측면(영역 A)에 낮은 압력에 형성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선체 내측면 측의 선저(12)면에서의 압력회복이 악화되어 선체에 진동등의 악영향 및 추진효율의 악화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그(100)가 복수개 설치되는 경우, 상기 윙 플레이트(120)는 상기 스케그 핀(110)을 기준으로, 상기 스케그가 마주보는 측으로는 연장되지 아니하고, 선체 외측방향을 향해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그(100) 주변을 흐르는 수류의 와류(Vortex)도 현저하게 줄어듦을 볼 수 있으며, 아울러, 스케그 핀(110) 주변의 선저(12)측에 형성되는 압력도 균일해져 압력회복이 원할하게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즉, 조종성능 극대화를 위해서는 상기 윙 플레이트(120)를 상기 스케그 핀(110)의 양 측으로 연장하며, 조종성능과 저항성능을 모두 고려할 때에는 상기 윙 플레이트(120)를 상기 스케그 핀(110)의 선체 외측면을 향하는 측면에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윙 플레이트(120)는 그 선수측 단부가 선미측 단부보다 더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미의 선저(12)면은 일반적으로 후측으로 갈수록 상승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선미의 선저(12)면 인근을 흐르는 수류(WS)의 흐름은 경사지게 형성된 선저(12)면을 따르는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윙 플레이트(120)는 상기 선미의 선저(12) 부근에 흐르는 수류의 흐름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와 평행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선미의 선저(12)부근에 흐르는 수류(WS)의 흐름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보다 상기 윙 플레이트(120)가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가 더 작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윙 플레이트(120)의 상측면 보다 상기 윙 플레이트(120)의 하측면의 압력이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윙 플레이트(120)의 상측면에는 음압이 형성되며, 하측면에는 양압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윙 플레이트(120)은 상기 윙 플레이트(120)의 선수측 단부가 하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윙 플레이트(120) 주변을 흐르는 수류의 흐름과 상기 윙 플레이트(120)는 받음각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윙 플레이트(120)의 상측면 보다 상기 윙 플레이트(120)의 하측면의 압력이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윙 플레이트(120)의 상측면에는 음압이 형성되며, 하측면에는 양압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윙 플레이트(120)의 하측면에 형성된 양압이 상기 윙 플레이트(120)를 음압이 형성된 측으로 밀어주게 되는 힘이 발생되는데, 상기 윙 플레이트(120)가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양압에 의해 밀어주게 되는 힘에 의해 선체를 선수측으로 밀어주게 되는 분력이 발생되며, 이는 저항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윙 플레이트(12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분할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3 및 도 14은 선체의 흘수에 따라 선미 측 주변에 흐르는 수류의 높이방향(수면방향) 유동속도의 크기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13는 흘수가 낮을 때 선미 측 주변에 흐르는 유동의 흐름 및 높이방향 유동속도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도 14는 흘수가 깊을 때 선미 측 주변에 흐르는 유동의 흐름 및 높이방향 속도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수류의 높이방향 속도는 파란색으로 갈수록 낮으며, 붉은색으로 갈수록 높을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낮은 흘수 대비 깊은 흘수로 갈수록 높이방향에 대해서 큰 값을 가지는 유동 흐름이 발생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윙 플레이트(120)의 선수측 단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류의 흐름의 각도가 깊은 흘수로 갈수록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제로 선박이 운항시 파도 등의 영향으로 인해 선체가 상하"?袖막? 움직이는 핏치(Pitch)운동이 발생되며, 이 때에도 상기 윙 플레이트(120)의 선수측 단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류의 흐름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흘수의 변화 및 핏치 운동에 따른 상기 윙 플레이트(120)의 선수측 단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류의 흐름 각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최적성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상기 윙 플레이트(12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스케그(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스케그(200)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스케그 핀(210) 및 윙 플레이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윙 플레이트(220)는 상기 스케그 핀(210)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윙 플레이트(220)의 회전축은 상기 선체의 횡방향을 향하며, 상기 윙 플레이트(220)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윙 플레이트(22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240)는 상기 일단은 상기 스케그 핀(21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윙 플레이트(220)의 회전축과 이격된 위치에 결합되어 신축되면서 상기 윙 플레이트(220)를 회전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실린더의 양 단은 상기 스케그 핀(210) 및 윙 플레이트(22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2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250)는 상기 윙 플레이트(120)의 저면에 작용되는 수류에 의한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센서(250)에서 측정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부(240)를 제어하여 상기 윙 플레이트(220)의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2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압력센서(250)에서 측정되는 압력에 의한 수평방향 분력이 최대가 되는 각도로 상기 윙 플레이트(220)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흘수 및 피치 운동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윙 플레이트(220)의 선수측 단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류의 흐름 각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윙 플레이트(220)의 저면에 작용되는 압력이 최대가 되는 각도로 상기 윙 플레이트(22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윙 플레이트(220)에 선수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선박의 운항 조건에서 최대로 작용될 수 있어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출원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선체 20: 스케그
12: 선저면 100: 선박용 스케그
110: 스케그 핀 120: 윙 플레이트
200: 선박용 스케그 210: 스케그 핀
220: 윙 플레이트 230: 회전축
240: 각도 조절부 250: 압력센서
260: 제어부

Claims (7)

  1. 선체 선미의 선저면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스케그 핀;
    상기 스케그 핀의 측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윙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선박용 스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그 핀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선체의 횡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며, 각 스케그 핀에 상기 윙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선박용 스케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윙 플레이트는 상기 스케그 핀으로부터, 상기 스케그가 마주보는 측으로는 연장되지 아니하고, 선체 측면 외측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선박용 스케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윙 플레이트는 선수측이 선미측보다 더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경사진 상태의 상기 윙 플레이트의 저면측에 형성되는 압력이 상기 윙 플레이트의 상면측에 형성되는 압력보다 크도록,
    상기 윙 플레이트는 주변을 흐르는 수류가 수평선상과 이루는 각도보다 더 작은 각도를 형성하도록 상기 윙플레이트의 선수측 단부가 하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선박용 스케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윙 플레이트는, 복수개가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구비되는 선박용 스케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윙 플레이트는 상기 스케그 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윙 플레이트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
    상기 윙 플레이트의 저면에 작용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상기 압력센서에서 측정되는 압력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각도조절부를 조절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선박용 스케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윙 플레이트는,
    상기 스케그 핀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스케그 핀의 양 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윙 플레이트의 외측 끝단부에 하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가 더 구비되는 선박용 스케그.
KR1020170148873A 2017-11-09 2017-11-09 선박용 스케그 KR201900529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873A KR20190052975A (ko) 2017-11-09 2017-11-09 선박용 스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873A KR20190052975A (ko) 2017-11-09 2017-11-09 선박용 스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975A true KR20190052975A (ko) 2019-05-17

Family

ID=6667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873A KR20190052975A (ko) 2017-11-09 2017-11-09 선박용 스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29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7713A (zh) * 2021-04-07 2021-06-18 浙江海洋大学 一种用于螺旋桨式船舶的涡流发生器及船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7713A (zh) * 2021-04-07 2021-06-18 浙江海洋大学 一种用于螺旋桨式船舶的涡流发生器及船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1664B2 (en) Method for maintaining the heading of a ship
US8863681B2 (en) Ventilated hydrofoils for watercraft
JP2006347285A (ja) 船舶の船尾部構造及びその設計方法
KR101464187B1 (ko) 선박에 구비되는 제어핀 및 그 제어핀을 구비하는 선박
KR20110018276A (ko) 수상선박용 수중익
KR20190052975A (ko) 선박용 스케그
KR101248290B1 (ko) 측방향 선박 러더
KR20090051010A (ko) 흘수선 아래로 포일이 장착된 선박
KR20090106118A (ko) 선박의 유동 박리 제어장치
KR101383823B1 (ko) 콴다 효과를 적용한 고정식 핀 안정기
KR20110101002A (ko) 선박의 러더
US7938076B2 (en) Keel mechanism for sailboats
KR20160031790A (ko) 선박용 추진 조향 시스템 및 그 선박용 추진 조향 시스템의 전가동러더
KR101468227B1 (ko)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가변형 빌지 킬을 이용한 횡요운동 제어방법
KR20140075929A (ko) 선박용 러더벌브구조
US5231947A (en) Ship's rudder
US5317982A (en) Ship
KR102289493B1 (ko) 선미 구조
KR200396908Y1 (ko) 핀을 이용한 선박 냉각 배출수의 유동제어장치
KR20130037280A (ko) 러더 및 이를 갖춘 선박
CN107054599B (zh) 船尾整流构造及船舶
KR102245494B1 (ko) 선박용 러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50144696A (ko) 선미(船尾) 정류판(整流板) 및 선박
JPS6036556Y2 (ja) 船尾渦打消しフイン付き船舶
KR20130021052A (ko) 선박의 비대칭 비틀림 유동제어 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