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535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535A
KR20190052535A KR1020170148296A KR20170148296A KR20190052535A KR 20190052535 A KR20190052535 A KR 20190052535A KR 1020170148296 A KR1020170148296 A KR 1020170148296A KR 20170148296 A KR20170148296 A KR 20170148296A KR 20190052535 A KR20190052535 A KR 20190052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oor
supporter
cove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2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42380B1 (en
Inventor
이명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8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380B1/en
Publication of KR20190052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5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3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meshing gear wheels, one of which being mounted at the wing pivot axis; operated by a motor acting directly on the wing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15/7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responsive to the weight or other physical contact of a person or obj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4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aspect, a refrigerator comprises: a cabinet defining a storage chamber; a refrigerator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hamber; a detection apparatus installed in the cabinet, and provided with a sensor receiving a push force pressurizing the refrigerator door to detect input of an opening command of the refrigerator door; a pressurization apparatus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door, and transmitting the push force pressurizing the refrigerator door to the detection apparatus; and a door opening device provided with a push member operated to open the refrigerator door.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명세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냉장고는 캐비닛에 구비된 저장실에 음식물과 같은 대상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는 가전기기이다. 상기 저장실은 단열벽으로 둘러싸이므로 상기 저장실 내부는 외부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 A refrigerator is a household appliance that can store objects such as foods at a low temperature in a storage room provided in a cabinet. Since the storage chamber is surrounded by the heat insulating wall, the inside of the storage chamber can be maintained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external temperature.

상기 저장실의 온도 대역에 따라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구분될 수 있다. The storage room may be divided into a refrigerator compartment or a freezer compartment according to a temperature zone of the storage compartment.

사용자는 도어를 이용하여 저장실을 개폐한다. 대상물을 저장실에 넣거나 저장실에서 꺼내기 위해서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도어는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도어와 캐비닛 사이에는 가스켓이 구비된다.The user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room using the door. The user opens the door to put the object into or out of the storage room. Generally, the door is rotatably installed in a cabinet, and a gasket is provided between the door and the cabinet.

따라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가스켓이 도어와 캐비닛 사이에서 밀착되어 저장실의 냉기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가스켓의 밀착력이 증가될 수록 냉기 누설 방지 효과가 증가될 수 있다. Thus, in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the gasket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oor and the cabinet to prevent leakage of cold air in the storage compartment. As the adhesion of such a gasket is increased, the effect of preventing cold air leakage can be increased.

상기 가스켓의 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스켓은 고무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스켓 내부에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스켓의 밀착력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그만큼 도어의 개방 시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In order to increase the adhesion of the gasket, the gasket may be formed of a rubber magnet, and a magnet may be provided in the gasket. However, when the adhesion of the gasket increases, a large force is required to open the door.

최근에는 오토 클로징 기능이 구현된 냉장고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오토 클로징 기능은 상기 가스켓의 밀착력, 자력 그리고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 등을 사용하여 냉장고의 도어가 조금 열려 있을 때 자동적으로 냉장고의 도어가 닫히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Recently, a refrigerator in which an auto-closing function is implemented is provided. This auto closing function mean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closing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whe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s slightly opened by using the adhesion force of the gasket, the magnetic force and the elastic force by the spring.

또한, 오토 클로징 기능은 냉장고가 전방으로 조금 기울어진 경우에도 냉장고의 도어가 저절로 열리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auto-closing function means that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s not opened automatically even when the refrigerator is slightly inclined forward.

따라서, 최근에 제공되는 냉장고는 이전의 냉장고에 비해서 도어를 개방하는 데 많은 힘이 소요된다. 왜냐하면, 냉장고의 도어를 열기 위해서 가스켓의 밀착력, 자력 그리고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 보다 큰 힘으로 사용자가 도어를 당겨야 하기 때문이다. Therefore, the refrigerator provided recently requires a lot of force to open the door compared to the previous refrigerator. This is because, in order to ope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the user has to pull the door with a force greater than the elasticity of the gasket, the magnetic force and the spring.

근래에는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도어 개방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a door opening device for automatically opening a door has been proposed.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40030호(공개일 2011.04.20)에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이 개시된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0040030 (published on April 20, 2011), which is a prior art document, discloses a method of opening a refrigerator door.

선행문헌의 경우, 냉장고 도어에 도어 핸들이 구비되며, 도어 핸들에 조작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에 도어 개방장치가 구비된다. 사용자가 조작부를 조작하면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구성하는 푸쉬로드가 도어를 밀어 도어를 개방시킨다.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the refrigerator door is provided with a door handle, and the door handle is provided with an operating section. A door opening device is provided in the cabinet forming the storage space.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unit, the push rod constituting the door opening device pushes the door to open the door.

그런데, 선행문헌에 의하면, 사용자가 직접 핸들을 잡아 조작부를 조작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번거로운 문제가 있으며, 사용자가 음식물이나 식품을 들고 있는 경우 등과 같이 양손이 자유롭지 못한 상태에서는 조작부를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the user must manually operate the operating portion to operate the operating por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is troublesome and the operating portion is difficult to operate in a state in which both hands are not free, have.

본 발명의 과제는,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도어 개방명령을 사용자가 쉽게 입력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a user can easily input a door opening command for opening a door.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자의 양손이 자유롭지 못한 상태에서도 도어 개방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inputting a door opening command even when both hands of a user are not free.

본 발명의 과제는, 도어의 조립 과정에서 조립 오차가 발생되어도 도어 개방명령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detecting an input of a door opening command even if an assembly error occurs in the assembly process of the door.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에 설치되며, 센서를 구비하는 감지 기구와, 저장실을 개폐하는 상기 냉장고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냉장고 도어를 가압하는 푸시력을 상기 감지 기구로 전달하기 위한 가압 기구와, 상기 감지 기구에 의해서 도어 개방명령이 입력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냉장고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작동하는 도어 개방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sensing mechanism provided in 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a sensing device having a sensor; and a refrigerator door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 door opening device for opening the refrigerator door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oor opening command is inputted by the detection mechanism.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가압 기구는 상기 감지 기구에 접촉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the refrigerator door is closed, the pressure mechanism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nsing mechanism.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도어를 푸시하기 위한 푸시 부재를 포함하고, 도어 개방명령이 입력된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에 의해서 푸시 부재가 도어 또는 힌지 어셈블리를 밀어서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oor opening device is provided in the cabinet and includes a push member for pushing the door. When the door opening instruction is detected, the push member pushes the door or the hinge assembly by the control unit, Can be opened.

상기 가압 기구는, 탄성 부재에 의해서 탄성 지지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가 감지 기구를 가압할 수 있다. The pressing mechanism includes a pressing portion elastically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and the pressing portion can press the sensing mechanism.

상기 센서는 센서 커버 내측에 위치되고, 가압부가 센서 커버를 가압함으로써, 센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ensor is located inside the sensor cover, and the pressing portion presses the sensor cover,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sensor.

상기 센서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의 센서 서포터에 의해서 지지되어 푸시력이 상시 센서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센서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The sensor is supported by a sensor supporter made of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so that damage of the sensor can be prevented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pushing force to the sensor at all times.

상기 센서는 상기 센서 커버를 지지하는 센서 서포터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상기 센서 커버와 접촉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sensor can receive elastic force from a sensor supporter supporting the sensor cover, and can maintain contact with the sensor cover.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가구장 도어 또는 냉장고 도어를 푸시하는 것에 의해서 도어 개방명령이 입력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냉장고 앞에서 선 상태에서 손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위 또는 사용자가 들고 있는 물건 등으로 쉽게 도어 개방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since the door opening command can be inputted by pushing the furniture long door or the refrigerator door, the user can easily enter the door open command in the line state in front of the refrigerator, Can be input.

또한, 가구장 도어 또는 냉장고 도어를 푸시하는 것에 의해서 도어 개방명령이 입력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양손 각각에 물건을 들고있거나 또는 양손으로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와 같이 양손이 자유롭지 못한 상황에서도, 팔, 몸과 같은 부위로 가구장 도어를 푸시하여 쉽게 도어 개방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door opening command can be inputted by pushing the furniture door or the refrigerator door, even when the user is not free of both hands, such as when the user is holding goods with both hands or holding goods with both hands, It becomes possible to easily input the door opening command by pushing the furniture entrance door to the body-like portion.

또한, 냉장고 도어의 제조 과정에서 제조 오차가 발생하거나 또는 냉장고 도어의 조립 과정에서 조립 오차가 발생하여도 감지 기구가 도어 개방명령의 입력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Fur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etection mechanism can detect the input of the door opening command even if a manufacturing error occur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refrigerator door or an assembly error occurs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refrigerator do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가 빌트인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 기구가 캐비닛에 설치되고, 가압부 기구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가압 기구와 감지 기구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 기구와 가압 기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 기구와 가압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힌지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블럭도.
도 11 내지 도 13은 도어 개방장치에 의해서 냉장고 도어가 개방될 때의 힌지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도 11 내지 도 13에서의 힌지 어셈블리에서 제1힌지, 제3힌지, 제7힌지 및 제6힌지를 순차적으로 연결한 선의 이동 궤적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FIG. 1 is a view showing a built-in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ns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abinet and a pressing part mechanism is installed in a door.
4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e pressure mechanism and the sensing mechanism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closed;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nsing mechanism and a press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nsing mechanism and a press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of FIG. 5;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op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hing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3 are views showing the state of the hinge assembly when the refrigerator door is opened by the door opening device.
FIG. 14 is a view showing movement trajectories of lines formed by successively connecting the first hinge, the third hinge, the seventh hinge, and the sixth hinge in the hinge assembly of FIGS. 11 to 13; FIG.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of the refrigerator door is completed;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 connected, " " coupled, " or " connected. &Qu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가 빌트인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 기구가 캐비닛에 설치되고, 가압부 기구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가압 기구와 감지 기구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built-in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ns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abinet and a pressing part mechanism is installed in a door, FIG. 4 is a view showing a layout relationship between a pressing mechanism and a sensing mechanism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는, 주방의 가구에 빌트인될 수 있다. 1 to 4, the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uilt in kitchen furniture.

일 예로 주방이나 특정 공간, 또는 기타 공간에 가구장(1)이 설치되고, 상기 가구장(1) 내에 상기 냉장고(1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가구장(1)은 가구장 도어(2)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urniture shelf 1 may be installed in a kitchen, a specific space, or other space, and the refrigerator 10 may be accommodated in the furniture shelf 1. The furniture shelf (1) may include a furniture entrance door (2).

상기 냉장고(10)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11)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1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10 may include a cabinet 11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and a refrigerator door 1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상기 캐비닛(11)은 상기 가구장(1) 내로 수용되고, 상기 냉장고 도어(13)는, 상기 가구장 도어(2)에 연결될 수 있다. The cabinet 11 is accommodated in the furniture shelf 1 and the refrigerator door 13 can be connected to the furniture shelf door 2.

상기 가구장 도어(2)의 회전 시 상기 가구장 도어(2)와 연결된 상기 냉장고 도어(13)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저장실이 개방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door (13) connected to the furniture door (2) can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storage room when the furniture door (2) is rotated.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3)가 상기 저장실을 닫은 상태에서는 상기 가구장 도어(2)가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외측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13)를 커버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13)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When the refrigerator door 13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the furniture door 2 covers the refrigerator door 13 from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door 13, As shown in Fig.

상기 냉장고(10)는, 상기 가구장 도어(2) 또는 상기 냉장고 도어(13)에 연결되어 상기 가구장 도어(2) 및 상기 냉장고 도어(13)가 함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의 힌지 어셈블리(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10 includes a plurality of hinge assemblies (not shown) connected to the furniture door 2 or the refrigerator door 13 to allow the furniture door 2 and the refrigerator door 13 to rotate together 30).

상기 복수의 힌지 어셈블리(30)는 일측이 상기 가구장 도어(2) 또는 상기 냉장고 도어(13)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캐비닛(11)에 연결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hinge assemblies 30 may be connected to the furniture door 2 or the refrigerator door 13 and the other side thereof may be connected to the cabinet 11.

상기 복수의 힌지 어셈블리(30) 각각은 복수의 링크를 포함하는 다관절 힌지 어셈블리일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hinge assemblies 30 may be a multi-joint hinge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links.

상기 복수의 힌지 어셈블리(30) 각각은, 다수의 힌지를 포함하고, 각 힌지는 상기 힌지의 회전을 위한 힌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힌지는 제1힌지 축을 포함하고, 제2힌지는 제2힌지 축을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hinge assemblies 30 includes a plurality of hinges, and each hinge may include a hinge axis for rotation of the hinge. In one example, the first hinge includes a first hinge axis and the second hinge may comprise a second hinge axis.

상기 복수의 힌지 어셈블리(30)는 상부 힌지 어셈블리와, 하부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hinge assemblies 30 may include an upper hinge assembly and a lower hinge assembly.

상기 냉장고(10)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상부 힌지 어셈블리를 푸시하여 상기 상부 힌지 어셈블리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가구장 도어(2) 및 상기 냉장고 도어(13)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도어 개방장치(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10 may include a door opening device 12 for rotating the furniture door 2 and the refrigerator door 13 together by pushing the upper hinge assembly and operating the upper hinge assembly, (20).

상기 도어 개방장치(20)는, 상기 상부 힌지 어셈블리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일 예로 상기 캐비닛(11)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20)는 상기 냉장고 도어(13)가 상기 저장실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 힌지 어셈블리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The door opening device 2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1 to operate the upper hinge assembly. The door opening device 20 may be located behind the upper hinge assembly with the refrigerator door 13 closed.

<감지 기구와 가압 기구의 배치><Arrangement of Detecting Mechanism and Pressurizing Mechanism>

상기 냉장고(10)는 도어 개방명령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기구(40)와, 감지 기구(40)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기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10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mechanism 40 for sensing an input of a door open command and a pressing mechanism 50 for pressing the sensing mechanism 40.

상기 감지 기구(40)는, 사용자가 상기 가구장 도어(2)를 푸시하는 힘(푸시력)을 전달받아 감지함으로써, 상기 도어 개방명령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The detection mechanism 40 can detect the input of the door open command by receiving and sensing the force (pushing force) by which the user pushes the furniture long door 2.

상기 가압 기구(50)는, 사용자가 상기 가구장 도어(2)를 푸시하는 힘(푸시력)을 전달받아 상기 감지 기구(40)를 가압할 수 있다. The pushing mechanism 50 can press the sensing mechanism 40 by receiving a force (pushing force) by which the user pushes the furniture long door 2.

상기 감지 기구(40)가 상기 가구장 도어(2)의 푸시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감지 기구(40)는 상기 캐비닛(1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 기구(40)를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 기구(50)는 상기 냉장고 도어(13)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냉장고 도어(13)에는 브라켓(13a)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13a)에 상기 가압 기구(50)가 결합될 수 있다. The sensing mechanism 40 may be installed in the cabinet 11 so that the sensing mechanism 40 senses the pushing force of the furniture door 2. The pressure mechanism 50 may be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door 13 to press the sensing mechanism 40. For example, the refrigerator door 13 may be provided with a bracket 13a, and the pressing mechanism 50 may be coupled to the bracket 13a.

상기 감지 기구(40)는 상기 캐비닛(11)에 직접 설치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으나, 브라켓에 의해서 상기 캐비닛(11)에 설치될 수 있다. The sensing device 40 may be installed directly in the cabinet 11 or may be installed in the cabinet 11 by means of a bracket.

상기 감지 기구(40)는, 상기 캐비닛(11)의 상면이나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는 일 예로 상기 감지 기구(40)가 상기 캐비닛(11)의 하면에 설치되는 것이 도시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 기구(50)는 상기 냉장고 도어(13)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감지 기구(40)와 마주보도록 상기 냉장고 도어(11)의 상측이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압 기구(50)가 상기 가구장 도어(2)의 배면에서 상기 감지 기구(40)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detection mechanism 4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cabinet 11. FIG. 3 shows that the sensing mechanism 40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binet 11 as an example. The pressure mechanism 5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refrigerator door 11 so as to face the sensing device 40 when the refrigerator door 13 is closed. Alternatively, the pressing mechanism 50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urniture door 2 so as to face the sensing mechanism 40.

이때, 상기 냉장고 도어(13)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가압 기구(50)에 의해서 상기 감지 기구(40)가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감지 기구(40)는 상기 캐비닛(11)의 상면 또는 하면에서 앞쪽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nsing mechanism (4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cabinet (11) so that the sensing mechanism (40) can be pressed by the pressing mechanism (50) while the refrigerator door (13) Lt; / RTI &gt;

이 경우, 상기 감지 기구(40) 또는 상기 가압 기구(50)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상기 가압 기구(50)가 상기 감지 기구(40)를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pressing mechanism 50 can press the sensing mechanism 40 while reducing the size of the sensing mechanism 40 or the pressing mechanism 50.

다른 예로서, 상기 캐비닛(11)의 하측에는 기계실(14)이 위치될 수 있고, 상기 감지 기구(40)는 상기 기계실(14)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가압 기구(50)는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하면이나 상기 가구장 도어(2)의 배면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machine room 14 may be positioned below the cabinet 11, and the sensing mechanism 40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chine room 14. In this case, the pressurizing mechanism 5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3 or 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furniture door 2.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가압 기구(50)가 냉장고 도어(13) 또는 가구장 도어(2)에 설치되므로,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단열을 위한 발포 과정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외부 케이스의 일부가 변형되더라도 상기 감지 기구(40)가 상기 가압 기구(50)를 통해 상기 가구장 도어(2)의 푸시력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Since the pressing mechanism 50 is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door 13 or the furniture door 2 in the process of foaming for the insulation of the refrigerator door 13, The detection mechanism 40 can sense the pushing force of the furniture door 2 through the pressing mechanism 50 even if a part of the furniture door 2 is deformed.

일 예로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배면은 가스켓에 의해서 상기 캐비닛(11)의 전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3)를 푸시하더라도 상기 가스켓에 의해서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배면과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은 최소 거리 만큼 이격된 상태가 된다. For example,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3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1 by a gasket. Even if the refrigerator door 13 is pushed,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3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1 are separated by a minimum distance by the gasket.

만약, 상기 냉장고 도어(13)가 상기 감지 기구(40)를 직접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배면과 상기 감지 기구(40) 간의 거리는 최소 거리 보다 작게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If the refrigerator door 13 is configured to press the sensing device 40 directly, the distance between the back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3 and the sensing device 40 may be designed to be smaller than the minimum distance.

그런데,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배면이 단열을 위한 발포 과정에서 변형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배면과 상기 캐비닛(11)의 전면 간의 거리가 증가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3 may be deformed during the foaming process for heat insulation to increase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3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1. [

이 경우에는, 상기 가구장 도어(2)를 푸시하여도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배면과 상기 감지 기구(40) 간의 거리가 상기 최소 거리 보다 커지게 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13)가 상기 감지 기구(40)를 가압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The distance between the back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3 and the sensing device 40 becomes larger than the minimum distance even if the furniture door door 2 is pushed,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mechanism 40 can not be pressed.

그러나, 본 실시 예와 같이 냉장고 도어(13)의 발포 완료 후 상기 냉장고 도어(13) 또는 가구장 도어(2)에 가압 기구(50)가 설치되고, 가압 기구(50)가 감지 기구(40)를 가압하므로, 냉장고 도어(13)의 배면 일부가 변형되더라도, 도어 개방명령의 입력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Howeve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fter the refrigerator door 13 is completely foamed, the refrigerator door 13 or the furniture door 2 is provided with the pressing mechanism 50,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input of the door open command even if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3 is deformed.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가구장 도어(2)를 푸시하는 것에 의해서 도어 개방명령이 입력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냉장고 앞에서 선 상태에서 손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위 또는 사용자가 들고 있는 물건 등으로 쉽게 도어 개방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door opening command can be inputted by pushing the furniture long-term door 2, the user can easily open the door with the hand in front of the refrigerator, It becomes possible to input a command.

또한, 상기 가구장 도어(2)를 푸시하는 것에 의해서 도어 개방명령이 입력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양손에 또는 양손으로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와 같이 양손이 자유롭지 못한 상황에서도, 팔, 몸과 같은 부위로 가구장 도어를 푸시하여 쉽게 도어 개방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door opening command can be inputted by pushing the furniture long door 2, even when the user is not free of both hands, such as when holding the goods with both hands or both hands, It is possible to easily input the door opening command by pushing the furniture entrance door.

상기 감지 기구(40)에 의해서 도어 개방명령이 입력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도어 개방장치(20)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냉장고 도어(13)는 자동적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냉장고 도어(13)를 개방하는 데 필요한 힘이 현저히 줄어들거나 힘이 요구되지 않게 된다.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oor opening command is inputted by the sensing mechanism 40, the refrigerator door 13 is automatically opened by driving the door opening device 20. [ Therefore, the force required for the user to open the refrigerator door 13 is not significantly reduced or no force is required.

한편, 도 1에서는 냉장고(10)가 빌트인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 개시되나, 빌트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냉장고(10)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도어 개방장치(20), 힌지 어셈블리(30), 감지 기구(40), 및 가압 기구(50)에 대한 기술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즉, 사용자가 직접 상기 냉장고 도어(13)를 푸시함으로써, 도어 개방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다만, 가압 기구(50)는 냉장고 도어(13)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1, the refrigerator 10 is used in a built-in state. However, even when the refrigerator 10 is used without being built-in, the door opening device 20, the hinge assembly 30, The detection mechanism 40, and the pressure mechanism 50 can be applied as they are. That is, the user can input the door opening command by pushing the refrigerator door 13 directly. However, the pressurizing mechanism 50 may be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door 13. [

<감지 기구 및 가압 기구의 상세 구조><Detailed Structure of Detection Mechanism and Pressure Mechanism>

이하에서는 감지 기구(4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detection mechanism 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 기구와 가압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 기구와 가압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nsing mechanism and a press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nsing mechanism and a press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 기구(40)는,센서(410)와, 상기 센서(410)를 지지하는 센서 서포터(420: supporter)와, 상기 센서(410)를 커버하는 센서 커버(sensor cover: 440)를 포함할 수 있다. 4 to 7, the sensing mechanism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410, a sensor supporter 420 supporting the sensor 410, 410 and a sensor cover 440 covering the sensor cover 440.

또한, 상기 감지 기구(40)는, 상기 서포터(420)를 수용하는 홀더(holder: 430)와, 상기 센서 커버(440)에 결합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커버 서포터(cover supporter: 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mechanism 40 may further include a holder 430 for receiving the supporter 420 and a cover supporter 450 coupled to the sensor cover 440 and elastically deformable .

상기 센서(410)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푸시력)의 크기에 대응하여 신호(일 예로 전압)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센서(410)는 일 예로 압전 소자일 수 있다. The sensor 410 can output a signal (e.g.,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a force (pushing force) externally applied. The sensor 410 may be, for example, a piezoelectric element.

상기 서포터(420)는 외력에 의해서 탄성 변형되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서포터(42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er 42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elastical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For example, the supporter 420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상기 서포터(420)는, 베이스(base: 421)와, 상기 베이스(421)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리브(4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er 420 may include a base 421 and a plurality of support ribs 422 protruding from the base 421.

상기 복수의 지지리브(422)는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지지리브(422)는 상기 베이스(421)의 양 단부에서 돌출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upport ribs 422 may be spaced apart.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upport ribs 422 may protrude from both ends of the base 421.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은 상기 센서(410)의 제1면으로 전달되고, 상기 센서(410)의 제1면과 반대면인 제2면은 상기 복수의 지지리브(422)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410)의 제2면은 상기 베이스(421)와 이격된다. A force externally applied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sensor 410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of the sensor 410 is seated on the plurality of support ribs 422. [ Thus, the second surface of the sensor 410 is spaced apart from the base 421.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지지리브(422)에 의해서 상기 센서(410)의 제1면이 가압되더라도 상기 센서(41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지지리브(422) 사이의 간격에 의해서 상기 센서(410)의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ensor 410 can be stably supported even if the first surface of the sensor 410 is pressed by the plurality of support ribs 422, and the sensor 410 can be stably supported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ribs 422 So that the sensor 410 can be deformed.

상기 센서(410)가 변형 가능한 경우 상기 센서(410)로 과도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센서(410)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f the sensor 410 is deformab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nsor 410 from being damaged or damaged even when an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sensor 410.

상기 센서 커버(420)는 상기 센서(410)를 보호하며, 상기 가압 기구(50)가 직접 상기 센서(41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The sensor cover 420 protects the sensor 410 and prevents the pressing mechanism 50 from contacting the sensor 410 directly.

상기 센서 커버(440)는, 상기 홀더(430)를 수용하는 홀더 수용부(441)와, 상기 홀더 수용부(441)에서 돌출되며 상기 센서(410)를 수용하는 센서 수용부(44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cover 440 includes a holder accommodating portion 441 for accommodating the holder 430 and a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442 protruding from the holder accommodating portion 441 and accommodating the sensor 410 can do.

상기 홀더 수용부(441)는 일 예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430)도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holder receiving portion 44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for example. Also, the holder 43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상기 센서(410)는 일 예로 얇은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수용부(442)는, 일 예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nsor 410 may be formed in a thin disc shape, for example, and the sensor receiving portion 442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상기 센서 커버(440)는, 상기 커버 서포터(450)와 결합되기 위한 서포터 결합부(4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서포터 결합부(444)가 상기 홀더 수용부(441)에 형성될 수 있다. The sensor cover 44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er coupling portion 444 for coupling with the cover supporter 450. For example, a plurality of supporter engaging portions 444 may be formed in the holder accommodating portion 441.

상기 홀더(430)는, 상기 센서 서포터(420)의 수용을 위한 개구(4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432)를 통해 상기 센서 서포터(420)가 상기 홀더(43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 서포터(420)의 일부는 상기 홀더(43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The holder 430 may include an opening 432 for receiving the sensor supporter 420. A portion of the sensor supporter 420 can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430 while the sensor supporter 420 is received in the holder 430 through the opening 432. [

일 예로, 상기 베이스(421)는 상기 홀더(430) 내에 위치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리브(422)의 일부는 상기 홀더(43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base 421 may be positioned within the holder 430, and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upport ribs 422 may protrude out of the holder 430.

따라서, 상기 복수의 지지리브(422)에 상기 센서(410)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410)는 상기 홀더(430)와 이격될 수 있어, 상기 센서(410)가 상기 홀더(430)와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 sensor 410 can be separated from the holder 430 in a state where the sensor 410 is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support ribs 422 so that the sensor 410 can be separated from the holder 430 Direct contact can be prevented.

상기 센서 서포터(420)가 상기 홀더(43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430)가 상기 홀더 수용부(441)에 수용될 수 있다. The holder 430 may be received in the holder receiving portion 441 while the sensor supporter 420 is received in the holder 430. [

상기 커버 서포터(cover supporter: 450)는, 상기 센서(410) 및 상기 홀더(430)가 상기 센서 커버(44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 커버(440)에 결합된다. The cover supporter 450 is coupled to the sensor cover 440 while the sensor 410 and the holder 430 are accommodated in the sensor cover 440.

상기 커버 서포터(450)는, 서포터 바디(452)와, 상기 서포터 바디(452)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장되는 탄성 지지부(45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ver supporter 450 may include a supporter body 452 and an elastic supporter 454 extending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supporter body 452.

상기 서포터 바디(452)에는 개구(453)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지지부(454)는 상기 개구(453)의 두 지점을 연결할 수 있다. An opening 453 is formed in the supporter body 452 and 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454 can connect two points of the opening 453. [

상기 커버 서포터(450)는, 상기 탄성 지지부(454)가 탄성 복원력을 축적한 상태로 상기 홀더(43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지지부(45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커버 서포터(450)는 상기 홀더(430)를 가압하고, 상기 홀더(430)에 설치된 센서 서포터(420)는 상기 센서(410)를 상기 센서 커버(440) 측으로 가압한다. The cover supporter 450 can support the holder 430 with 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454 accumulating elastic restoring force. The cover supporter 450 presses the holder 430 by 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supporter 454 and the sensor supporter 420 installed in the holder 430 presses the sensor 410 against the sensor cover 440).

따라서, 상기 센서(410)가 상기 센서 커버(440)와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nsor 410 can be kept in contact with the sensor cover 440.

본 실시 예의 경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이 상기 센서 커버(440)를 통해 상기 센서(410)로 전달되므로, 상기 센서(410)가 상기 센서 커버(440)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이 상기 센서(410)로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어 상기 센서(410)의 감지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e force exerted from the outside is transmitted to the sensor 410 through the sensor cover 440. When the sensor 410 is kept in contact with the sensor cover 440, The applied force can be accurately transmitted to the sensor 410 so that the sensing accuracy of the sensor 410 can be improved.

상기 커버 서포터(450)는, 상기 센서 커버(440)와 결합되기 위한 커버 결합부(4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부(456)에는 상기 센서 커버(440)의 서포터 결합부(444)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돌기(457)가 형성될 수 있다. The cover supporter 45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engaging portion 456 for engaging with the sensor cover 440. The cover cover 456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457 to be fitted into the supporter coupling portion 444 of the sensor cover 440.

이와 반대로, 상기 서포터 결합부(444)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 결합부(456)에 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Conversely, protrusions may be formed in the supporter engaging portion 444, and holes may be formed in the cover engaging portion 456 to insert the projections.

상기 감지 기구(40)는, 상기 센서 커버(440)와 상기 커버 서포터(45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 커버(440)와 상기 커버 서포터(450)를 수용하는 센서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mechanism 40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housing that accommodates the sensor cover 440 and the cover supporter 450 in a state where the sensor cover 440 and the cover supporter 450 are coupled to each other .

상기 센서 하우징은, 제1하우징(460)과, 상기 제1하우징(460)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47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housing may include a first housing 460 and a second housing 470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460.

상기 제2하우징(470)은 일 예로 상기 제1하우징(46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housing 47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460, for example.

상기 제1하우징(460)은, 하측 개구(462)를 가지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470)은 상기 하측 개구(462)를 커버할 수 있다. The first housing 46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lower opening 462. The second housing 470 may cover the lower opening 462.

상기 제1하우징(460)의 전면벽(461)에는 상기 센서 커버(440)가 위치하기 위한 슬롯(463)이 형성될 수 있다. A slot 463 for positioning the sensor cover 440 may be formed on the front wall 461 of the first housing 460.

상기 슬롯(463)은 상기 센서 커버(440)의 센서 수용부(442)가 수용될 수 있도록 라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lot 463 may include a round portion for receiving the sensor receiving portion 442 of the sensor cover 440.

일 예로, 상기 센서 커버(440)의 센서 수용부(442)는 상기 슬롯(463)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홀더 수용부(442)는 상기 제1하우징(46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nsor receiving portion 442 of the sensor cover 440 may be located in the slot 463, and the holder receiving portion 442 may be located inside the first housing 460.

상기 센서 수용부(442)가 상기 슬롯(463)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 수용부(442)의 전면은 상기 제1하우징(460)의 전면벽(461)에서 상기 가압 기구(50)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가압 기구(50)와 상기 센서 수용부(442)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front surface of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442 faces the pressing mechanism 50 from the front wall 461 of the first housing 460 with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442 positioned in the slot 463. [ Can be protruded. This is to facilitate contact between the pressing mechanism 50 and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442.

또한, 상기 제1하우징(460)에는, 상기 커버 서포터(450)의 탄성 지지부(454)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465)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housing 460 may have a seating groove 465 for receiving 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454 of the cover supporter 450.

상기 탄성 지지부(454)가 탄성 복원력을 가지도록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지지부(454)가 안착될 수 있다. 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454 can be seated while 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454 is pressed to have an elastic restoring force.

또한, 상기 제1하우징(460)에는, 상기 센서(410)에 연결되는 와이어(미도시)가 통과하는 홀(464)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housing 460 may have a hole 464 through which a wire (not shown) connected to the sensor 410 passes.

상기 제2하우징(470)은, 상기 제1하우징(460)에 삽입되며 상기 센서 커버(440)의 상기 홀더 수용부(441)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472)와, 상기 슬롯(462)에 삽입되며, 상기 센서 수용부(442)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47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housing 470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472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460 and supporting the holder receiving portion 441 of the sensor cover 440,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474 for supporting the sensor receiving portion 442.

상기 제2지지부(474)가 상기 센서 수용부(442)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지지부(474)는 라운드진 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 portion 474 may include a rounded groove so that the second support portion 474 supports the sensor receiving portion 442.

한편, 상기 가압 기구(50)는, 상기 센서 커버(440)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520)와, 상기 가압부(520)를 수용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가압부(52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5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sing mechanism 50 includes a pressing portion 520 capable of pressing the sensor cover 440, a frame receiving the pressing portion 520, and a pressing portion 520 in the frame. And an elastic member 550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elastic member 550.

상기 프레임은, 수용 공간(512)을 형성하는 프레임 바디(510)와, 상기 프레임 바디(510)의 수용 공간(512)을 커버하는 프레임 커버(5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rame may include a frame body 510 defining a receiving space 512 and a frame cover 540 covering the receiving space 512 of the frame body 510.

상기 프레임 바디(510)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에는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브라켓(13a)과 결합되기 위한 브라켓 결합부(5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결합부(516)에는 체결홀(517)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rame body 51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bracket coupling portion 516 for coupling with the bracket 13a of the refrigerator door 13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 coupling hole 517 may be formed in the bracket coupling portion 516.

상기 브라켓(13a)과 상기 브라켓 결합부(516)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홀(517)에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브라켓(13a)이 상기 브라켓 결합부(516)가 형성하는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13a)과 상기 브라켓 결합부(516)가 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브라켓(13a)에 대하서 상기 감지 기구(50)가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may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517 in a state where the bracket 13a and the bracket fastening portion 516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bracket 13a and the bracket engaging portion 516 can be fastened by the fastening member in a state where the bracket 13a is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bracket engaging portion 516. [ In this case, the detection mechanism 50 can be prevented from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bracket 13a.

상기 프레임 바디(510)는 상기 가압부(520)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51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rame body 510 may include an opening 515 through which the pressing portion 520 penetrates.

상기 가압부(520)는 상기 개구(515)를 통해 상기 프레임 바디(5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압부(520)는 상기 프레임 바디(510)에서 상기 감지 기구(40)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The pressing portion 520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rame body 510 through the opening 515. For example, the pressing portion 520 may protrude from the frame body 510 toward the sensing mechanism 40.

상기 프레임 커버(540)에는 상기 프레임 바디(510)에 결합되기 위한 체결 후크(542)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커버(540)에는 상기 체결 후크(542)가 결합되기 위한 후크 결합 슬롯(514)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rame cover 540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ok 542 to be coupled to the frame body 510 and a hook engaging slot 514 for fastening the fastening hook 542 to the frame cover 540 .

또한, 상기 프레임 커버(540)는 상기 탄성 부재(550)의 일단이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 커버(540)에는 상기 탄성 부재(55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지지리브(544)가 구비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550 may be supported on the frame cover 540 and a supporting rib 544 may be provided on the frame cover 540 to stably support the elastic member 550. have.

일 예로 상기 탄성 부재(550)는 코일 스프링으로서 제1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지지리브(544)는 상기 프레임 커버(540)에 접촉한 상기 탄성 부재(550)의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550 is disposed to extend in a first direction as a coil spring, and the support ribs 544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of the elastic member 550 contacting the frame cover 540 The movement in the second direction can be prevented.

상기 탄성 부재(550)의 타단은 상기 가압부(520)에 접촉될 수 있다.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550 may be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ortion 520.

상기 탄성 부재(550)는 상기 가압부(520)가 상기 감지 기구(40)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압부(520)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The elastic member 550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pressing portion 52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 520 presses the sensing mechanism 40.

상기 가압부(520)는, 가압부 바디(521)와, 상기 가압부(521)에 결합되는 접촉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sing portion 520 may include a pressing portion body 521 and a contact portion 530 coupled to the pressing portion 521.

상기 가압부 바디(521)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주면에 상기 탄성 부재(550)가 지지되는 지지벽(522)이 구비될 수 있다. The pressing part body 521 is not limited but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supporting wall 522 on which the elastic member 550 is supported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가압부 바디(521)에는 상기 가압부 바디(521)가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 방지부(5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리 방지부(526)는 상기 가압부 바디(521)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pressing portion body 521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526 for preventing the pressing portion body 521 from falling out of the frame.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526 may protrude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pressing portion body 521.

이때, 상기 가압부 바디(521)에서 상기 분리 방지부(526)를 제외한 부분의 반경은 상기 프레임 바디(510)의 슬롯(515)의 반경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adius of the portion of the pressing body 521 excluding the detachment preventing portion 526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radius of the slot 515 of the frame body 510.

반면, 상기 가압부 바디(521)에서 상기 분리 방지부(526)의 반경 또는, 상기 가압부 바디(521)의 중심에서 상기 분리 방지부(526)까지의 거리는 상기 프레임 바디(510)의 슬롯(515)의 반경 보다 크게 형성된다. The radius of the detachment preventing portion 526 or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pressing body 521 to the detachment preventing portion 526 in the pressing body 521 may be greater than a distance 515).

상기 접촉부(530)는,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접촉부(53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ntact portion 53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For example, the contact portion 530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상기 접촉부(530)는 상기 가압부 바디(52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지지벽(522)에는 끼움 홀(524)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530)는 상기 끼움 홀(524)을 관통할 수 있다. The contact portion 530 may be fitted to the pressing portion body 521. For example, the supporting wall 522 may have a fitting hole 524, and the contacting portion 530 may penetrate the fitting hole 524.

상기 접촉부(530)는, 제1부분(531)과, 상기 제1부분(531) 보다 직경이 작은 제2부분(532)과, 상기 제2부분(532) 보다 직경이 큰 제3부분(53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act portion 530 includes a first portion 531, a second portion 532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portion 531 and a third portion 533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portion 532 ).

상기 끼움 홀(524)의 직경은 상기 제2부분(532)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The diameter of the fitting hole 524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portion 532.

따라서, 상기 제3부분(533)를 가압하여 직경을 줄인 상태에서 상기 끼움 홀(524)을 강제로 통과시키게 되면, 상기 제2부분(532)이 상기 끼움 홀(524)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부분(531)은 상기 지지벽(522)에 접촉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third portion 533 is pressed to force the insertion hole 524 in a state where the diameter is reduced, the second portion 532 is held in the insertion hole 524 And the first portion 531 may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wall 522.

이때, 상기 접촉부(530)가 상기 가압부 바디(5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부분(532)은 상기 가압부 바디(521)에서 상기 감지 기구(40)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portion 532 may protrude from the pressing portion body 521 toward the sensing mechanism 40 in a state where the contact portion 530 is coupled to the pressing portion body 521.

상기 제3부분(533)의 직경은 상기 가압부 바디(521)의 내주면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550)가 상기 가압부 바디(521)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530)와 간섭되지 않고 상기 지지벽(522)에 지지될 수 있다. The diameter of the third portion 533 may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pressing portion body 521. Therefore, the elastic member 550 can be supported on the support wall 522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contact portion 530 in a state where the elastic member 550 is inserted into the pressing portion body 521.

위에서는 상기 가압부(520)에서, 접촉부(520)가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가압부(520) 전체가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tact portion 520 is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in the pressing portion 520. Alternatively, the pressing portion 520 may be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as a whole.

또는, 상기 가압부(520) 중에서 적어도 상기 프레임(520)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Alternatively, at least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520 outwardly of the frame 520 may be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그리고, 상기 가압 기구(5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550)는 탄성 복원력을 축적한 상태로 상기 가압부(520)를 가압한다. When the pressing mechanism 50 is assembled, the elastic member 550 presses the pressing portion 520 in a state wher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accumulated.

일 예로 상기 냉장고 도어(13)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550)에 의해서 상기 가압부(520)는 상기 센서 커버(440)에 접촉될 뿐만 아니라, 상기 센서 커버(440)를 가압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a state where the refrigerator door 13 is closed, the pressing portion 520 not only contacts the sensor cover 440 by the elastic member 550, but also presses the sensor cover 440 have.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냉장고 도어(13)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520)가 상기 센서 커버(440)를 가압한 상태가 되므로, 상기 가구장 도어(2)와 결합된 냉장고 도어(13)를 상기 캐비닛(11)에 연결하는 과정에서 조립 오차가 발생되어도 상기 가압부(520)가 상기 센서 커버(440)와 접촉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ressing portion 520 presses the sensor cover 440 while the refrigerator door 13 is closed, the refrigerator door 13 coupled to the furniture door 2 Even when an assembly error occurs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sensor cover 440 to the cabinet 11, the pressing portion 520 can be kept in contact with the sensor cover 440.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가압부(520)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냉장고 도어(13)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 기구(50)와 상기 감지 기구(40)의 충돌에 의한 소음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at least a part of the pressing portion 520 is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when the refrigerator door 13 is closed, the pressing mechanism 50, So that the noise caused by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can be reduced.

<도어 개방장치 구조> <Structure of door opening devic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op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 개방장치(20)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도어 개방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door opening device 20 may include a driving unit and a door opening unit 240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unit.

상기 도어 개방부(240)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면서 상기 상부 힌지 어셈블리를 민다. The door opening part 240 receives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part and pushes the upper hinge assembly while moving.

상기 도어 개방장치(20)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도어 개방부(240)가 설치되기 위한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oor opening device 20 may further include a case for installing the driving part and the door opening part 240.

상기 케이스는, 상기 캐비닛(11)의 상면에 설치되는 하부 케이스(220)와, 상기 하부 케이스(220)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se may include a lower case 22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1 and an upper case 210 coupled to the lower case 220.

상기 하부 케이스(220)에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도어 개방부(240)가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상부 케이스(210)는 상기 구동부 및 상기 도어 개방부(240)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and the door opening unit 240 may be mounted on the lower case 220 and the upper case 210 may cover the upper side of the driving unit and the door opening unit 240.

상기 구동부는, 구동 모터(251)와, 상기 구동 모터(251)의 동력을 상기 도어 개방부(240)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driving motor 251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252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251 to the door opening unit 240.

상기 구동 모터(251)는 일 예로 양방향 회전 가능한 모터일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251)는 상기 하부 케이스(220)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상기 하부 케이스(22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252)는 상기 하부 케이스(22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상기 하부 케이스(220)에 장착될 수 있다. The driving motor 251 may be a motor capable of rotating in both directions. The driving motor 251 may be mounted to the lower case 220 from below the lower case 220 to upward.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252 may be mounted to the lower case 220 from above to below the lower case 220.

상기 동력 전달부(252)는 복수의 기어(2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어(253)는 상기 구동 모터(251)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도어 개방부(240)의 구동을 위한 힘을 상기 도어 개방부(240)로 전달하는 감속 기어이다.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252 may include a plurality of gears 253. The plurality of gears 253 is a reduction gear that transmits a force for driving the door opening unit 240 to the door opening unit 240 by reduc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motor 251.

상기 복수의 기어(253)는 상기 도어 개방부(240)와 직접 연결되는 연결 기어(25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gears 253 may include a connection gear 255 directly connected to the door opening 240.

상기 도어 개방장치(20)는 상기 구동 모터(251)의 제어를 위한 피씨비(2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피씨비(290)는 상기 하부 케이스(220)에 설치될 수 있다. The door opening device 20 may include a PCB 29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251.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the PCB 290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case 220.

상기 구동 모터(251)가 상기 하부 케이스(220)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상기 하부 케이스(220)에 장착되므로, 상기 피씨비(290)와 상기 구동 모터(251)의 용이한 연결을 위하여 상기 피씨비(290)는 상기 하부 케이스(220)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피씨비(290)에는 상기 도어 개방부(24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홀 센서(292)가 설치될 수 있다. The driving motor 251 is mounted to the lower case 220 from below the lower case 220 so that the PC 290 and the driving motor 251 can be easily connected to each other.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ase 220. [ A hall sensor 292 used to sense the position of the door opening 240 may be installed in the PCB 290.

상기 홀 센서(292)는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된 상기 도어 개방부(24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홀 센서(292)는 상기 하부 케이스(220)의 하측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hall sensor 292 may sense the position of the door opening 240 located in the case. For this purpose, the hall sensor 292 may be positioned in the case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lower case 220.

상기 하부 케이스(220)는, 상기 도어 개방부(240)의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슬롯(2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부(240)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슬롯(221)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된다. The lower case 220 may include a slot 221 through which a part of the door opening 240 passes. A part of the door opening part 240 is located in the case and the other part is protruded out of the case through the slot 221.

본 발명에서 상기 도어 개방부(240)가 상기 냉장고 도어(13)를 개방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방향이 전후 방향이고, 상기 전후 방향과 수직한 방향이 좌우 방향인 것으로 가정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opening unit 240 moves to open the refrigerator door 13 is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rear direction is the left-right direction.

상기 상부 케이스(210)는, 상기 하부 케이스(220)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220)에 안착된 상기 동력 전달부(252) 및 상기 도어 개방부(240)를 커버할 수 있다. The upper case 210 may cover the power transmission part 252 and the door opening part 240 that are coupled to the lower case 220 and are seated in the lower case 220.

상기 도어 개방부(240)는, 상기 구동 모터(251)의 동력을 전달받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푸시 부재(24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oor opening unit 240 may include a push member 241 that receives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251 and mov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상기 푸시 부재(241)는, 롤러(2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 부재(241)의 앞쪽 부분에 상기 롤러(245)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push member 241 may further include a roller 245. The roller 245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a front portion of the push member 241. [

상기 푸시 부재(241)가 일 예로 상부 힌지 어셈블리와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롤러(245)의 일부는 상기 푸시 부재(241)의 전단부(243a)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위치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roller 245 may be protruded forward from the front end 243a of the push member 241 so that the push member 241 is prevented from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upper hinge assembly.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 개방을 위하여 상기 도어 개방부(24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롤러(245)가 상기 상부 힌지 어셈블리와 접촉하므로, 상기 푸시 부재(241)가 상부 힌지 어셈블리와 직접 접촉하는 경우에 비하여 마찰 소음이 줄어들 수 있고, 상기 도어 개방부(24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ller 245 contacts the upper hinge assembly during the movement of the door opening 240 to open the door, the push member 241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upper hinge assembly The friction noise can be reduced and the door opening portion 24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상기 도어 개방부(240)가 상기 상부 힌지 어셈블리를 미는 과정에서 상기 푸시 부재(241)의 전단부(243a)가 상기 상부 힌지 어셈블리와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푸시 부재(241)의 전단부(243a)는 라운드질 수 있다. The front end portion 243a of the push member 241 is prevented from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upper hinge assembly when the door opening portion 240 pushes the upper hinge assembly. 243a may be rounded.

<힌지 어셈블리><Hinge assembly>

본 발명에서 상부 힌지 어셈블리와 하부 힌지 어셈블리의 구조는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일 예로 상부 힌지 어셈블리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 부호는 30을 사용하기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hinge assembly and the lower hinge assembly have the same structure, and therefore, the upper hinge assembly will be described below, and the reference numeral 30 will be us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힌지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hing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힌지 어셈블리(30)는, 상기 캐비닛(11)에 설치되는 제1힌지 프레임(310)과, 상기 가구장 도어(2) 또는 상기 냉장고 도어(13)에 고정되는 제2힌지 프레임(320)과, 상기 제1힌지 프레임(310) 및 상기 제2힌지 프레임(320)에 연결되는 링크 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2 and 9, the upper hinge assembly 30 includes a first hinge frame 310 installed in the cabinet 11 and a second hinge frame 310 installed in the furniture door 2 or the refrigerator door 13 And a link unit 330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frame 310 and the second hinge frame 320. The first hinge frame 320 and the second hinge frame 320 may be fixed to each other.

상기 제2힌지 프레임(320)은 일 예로 상기 냉장고 도어(13)에 고정되는 도어 고정부(322)와, 상기 도어 고정부(322)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링크 유닛(330)이 연결되는 링크 연결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hinge frame 320 includes a door fixing part 322 fixed to the refrigerator door 13 and a second fixing part 322 located on the door fixing part 322 and connected to the link unit 330. [ And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324.

상기 도어 개방부(240)는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개방을 위하여 상기 링크 유닛(330)을 민다. The door opening part 240 pushes the link unit 330 to open the refrigerator door 13.

상기 링크 유닛(330)은, 상기 도어 개방부(240)로부터 미는 힘을 전달받아 상기 냉장고 도어(13)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저장실을 개방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 중심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동하는 복수의 링크(332, 340, 350, 36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nk unit 330 receives a pushing force from the door opening unit 240 to open the storage chamber while the refrigerator door 13 rotates about the rotation center, (340), (350), (360), respectively.

상기 링크 유닛(330)은, 제1힌지(314)에 의해서 상기 제1힌지 프레임(310)에 연결되는 제1링크(33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nk unit 330 may include a first link 332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frame 310 by a first hinge 314.

상기 링크 유닛(330)은 상기 제1힌지(314)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링크(332)에 연결되는 제2링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링크(340)는 제2힌지(342)에 의해서 상기 제1링크(3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link unit 33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link 340 connected to the first link 332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inge 314. The second link 34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link 332 by a second hinge 342.

이때, 상기 제2링크(340)의 복수의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다관절 링크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부재 중 일 부재에 상기 제2힌지(342)가 형성되고, 복수의 부재중 다른 부재에 제6힌지(344)가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plurality of members of the second link 340 may be a multi-joint link rotatably connected. In this case, the second hinge 342 may be formed on one member of the plurality of members, and the sixth hinge 344 may be formed on another member among the plurality of members.

상기 링크 유닛(330)은, 상기 제1힌지(314)와 상기 제2힌지(342) 사이 영역에서 상기 제1링크(3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ink unit 33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link 350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link 332 in a region between the first hinge 314 and the second hinge 342 have.

상기 제3링크(350)는, 제3힌지(352)에 의해서 상기 제1링크(3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third link 35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link 332 by a third hinge 352.

상기 링크 유닛(330)은 상기 제3링크(350) 및 상기 제1힌지 프레임(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링크(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ink unit 330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link 360 rotatably connected to the third link 350 and the first hinge frame 310.

상기 제4링크(360)는 제4힌지(362)에 의해서 상기 제3링크(3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제5힌지(364)에 의해서 상기 제1힌지 프레임(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fourth link 36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third link 350 by a fourth hinge 362 and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hinge frame 310 by a fifth hinge 364. [ Lt; / RTI &gt;

이때, 상기 제4힌지(362)는 상기 제1힌지(314) 보다 상기 냉장고 도어에 가깝게 위치된다. At this time, the fourth hinge 362 is located closer to the refrigerator door than the first hinge 314.

또한, 상기 제2링크(340)는, 제6힌지(344)에 의해서 상기 제2힌지 프레임(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3링크(350)는, 제7힌지(354)에 의해서 상기 제2힌지 프레임(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link 34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hinge frame 320 by a sixth hinge 344 and the third link 350 may be connected to the seventh hinge 354, The second hinge frame 320 can be rotated.

상기 제6힌지(344)와 상기 제7힌지(354)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3힌지(352)와 상기 제2힌지(342) 사이의 거리 보다 짧다. The distance between the sixth hinge 344 and the seventh hinge 354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hinge 352 and the second hinge 342.

그리고, 상기 제4링크(360)의 길이는 상기 제1링크(332)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된다. The length of the fourth link 360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link 332.

<도어 개방장치의 작동 설명 및 힌지 어셈블리의 동작 설명> &Lt; Description of Operation of Door Opening Device and Explanation of Operation of Hinge Assembly >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블럭도이고, 도 11 내지 도 13은 도어 개방장치에 의해서 냉장고 도어가 개방될 때의 힌지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에는 냉장고 도어가 닫힌 모습이 도시된다. FIG. 10 is a block diagram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1 to 13 illustrate a state of a hinge assembly when a door of a refrigerator is opened by a door opening device. Fig. 11 shows a state in which the refrigerator door is closed.

도 14는 도 11 내지 도 13에서의 힌지 어셈블리에서 제1힌지, 제3힌지, 제7힌지 및 제6힌지를 순차적으로 연결한 선의 이동 궤적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4 is a view showing movement trajectories of a line sequentially connecting the first hinge, the third hinge, the seventh hinge and the sixth hinge in the hinge assemblies of FIGS. 11 to 13, and FIG. Fig.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사용자의 도어 개방명령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410)와, 상기 센서(410)의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 개방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 개방을 위하여 작동하는 구동 모터(251)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는 일 예로 상기 피씨비(290)로 구동 모터(251)의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10,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ensor 410 for detecting an input of a door open command of a user, and a controller 410 for determining whether a door open command is input based on a signal of the sensor 410 And a control unit 15 for operating a driving motor 251 that operates to open the door. The control unit 15 may transmit the control signal of the driving motor 251 to the PC 290, for example.

다음으로, 도 4,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10)가 온된 상태에서는 상기 냉장고(10)는 도어 개방명령의 입력을 대기한다. Next, referring to FIGS. 4 and 11 to 15, when the refrigerator 10 is turned on, the refrigerator 10 waits for input of a door open command.

상기 도어 개방명령을 대기하는 중에, 상기 제어부(15)는 도어 개방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While waiting for the door open command, the controller 15 may determine whether a door open command has been input.

일 예로,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개방을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가구장 도어(2)를 푸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가구장 도어(2)를 푸시하면, 상기 가구장 도어(2)를 푸시하는 힘(푸시력)이 상기 냉장고 도어(13) 및 가압 기구(50)에 의해서 상기 감지 기구(40)로 전달된다. For example, the user may push the furniture door 2 to open the refrigerator door 13. [ When the user pushes the furniture entrance door 2, the force (pushing force) pushing the furniture entrance door 2 is transmitted to the detection mechanism 40 by the refrigerator door 13 and the pushing mechanism 50 .

일 예로, 상기 가압 기구(50)에 의해서 전달되는 푸시력에 의해서 상기 센서 커버(440)가 가압되고, 상기 센서 커버(440)가 센서(410)를 가압하여, 상기 센서(410)에서 신호가 출력된다. The sensor cover 440 is pressed by the pushing force transmitted by the pressing mechanism 50 and the sensor cover 440 presses the sensor 410 so that the signal from the sensor 410 .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센서(410)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신호가 기준 시간 이상 출력되는 경우 도어 개방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5 may determine that a door open command is input when the sensor 410 outputs a signal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for a reference time or more.

그 이유는, 사용자가 도어 개방 의도를 가지고 상기 가구장 도어(2)를 푸시하지 않고, 일시적으로 사용자가 가구장 도어에 부딪히거나 사용자 외의 물건이 상기 가구장 도어(2)에 충돌하는 등과 같이 의도치 않게 외력이 상기 가구장 도어(2)에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냉장고 도어(13)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is is because the user does not push the furniture entrance door 2 with the intention of opening the door and temporarily hits the furniture entrance door by the user or the article other than the user collides with the furniture entrance door 2 So as to prevent the refrigerator door (13) from being opened when an external force is unintentionally applied to the furniture entrance door (2).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어부(15)가 상기 센서(410)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신호가 기준 시간 이상 출력되는 경우에만 도어 개방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기준 시간은 변경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ler 15 determines that the door open command is input only when the sensor 410 outputs a signal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for a reference time or more. At this time, the reference time may be changed.

도어 개방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개방을 위하여 도어 개방장치(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open command has been input, the controller 15 may operate the door opening device 20 to open the refrigerator door 13.

일 예로, 상기 제어부(15)가 도어 개방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개방을 위하여, 상기 구동 모터(251)의 제 1 방향 회전을 위한 명령을 생성 및 전송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ontroller 15 determines that the door open command has been input, the controller 15 controls the drive motor 251 to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Lt; / RTI &gt;

그러면, 상기 피씨비(290)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구동 모터(251)가 제 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 전달부(25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은 상기 도어 개방부(240)는 상기 제1링크(332)를 밀게 된다. 즉, 상기 도어 개방부(240)는 초기 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링크(332)를 민다. Then, the driving motor 251 can be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control of the PCB 290. The door opening part 240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power transmission part 252 pushes the first link 332. That is, the door opening part 240 moves forward at the initial position and pushes the first link 332.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 개방부(240)는 상기 제1링크(332)에서 상기 제3힌지(352)와 제2힌지(342) 사이 영역을 민다. Specifically, the door opening part 240 pushes the area between the third hinge 352 and the second hinge 342 on the first link 332.

그러면, 도 12를 기준으로, 상기 제1링크(332)는 상기 제1힌지(314)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제4링크(360)는 상기 제5힌지(364)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12, the first link 332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bout the first hinge 314 as a rotation center. Further, the fourth link 360 is rotated clockwise about the fifth hinge 364 as a rotation center.

이러한 상기 제1링크(332)와 상기 제4링크(360)의 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서 상기 냉장고 도어(13)가 상기 캐비닛(11)에서 멀어지면서 회전하게 된다. The refrigerator door 13 is rotated away from the cabinet 11 by the clockwise rotation of the first link 332 and the fourth link 360.

이때, 상기 제4링크(360)의 길이가 상기 제1링크(332)의 길이 보다 짧으므로, 상기 제1링크(332)의 회전 시 상기 제1링크(332)의 회전 각도 보다 상기 제4링크(360)의 회전 각도가 크다. 따라서, 상기 제4링크(360)는 상기 제1링크(332)에 의한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회전 시 회전 각도를 증폭하는 역할을 한다. Since the length of the fourth link 360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link 332,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first link 332 is smaller than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first link 332 when the first link 332 rotates, (360) is large. Therefore, the fourth link 360 serves to amplify the rotation angle of the refrigerator door 13 when the first link 332 rotates.

따라서, 실제로 상기 제1링크(332)의 회전 각도 보다 더 큰 각도로 상기 냉장고 도어(13)가 회전될 수 있다. Thus, the refrigerator door 13 can be rotated at an angle that is actually larger than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first link 332.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6힌지(344)와 상기 제7힌지(354)를 연결하는 가상의 연결선(L)은 상기 냉장고 도어(13) 상에 위치되며 상기 냉장고 도어(13)와 함께 이동한다. 14, a hypothetical connection line L connecting the sixth hinge 344 and the seventh hinge 354 is located on the refrigerator door 13 and moves together with the refrigerator door 13 do.

도 14와 같이 상기 도어 개방부(240)의 이동 거리가 증가될 수록 상기 연결선(L)은 상기 캐비닛(11)에서 멀어짐과 동시에 회전하게 되어 소정 각도를 이룰때까지 이동한다. 상기 소정 각도는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개방 각도와 동일하다. As shown in FIG. 14, as the moving distance of the door opening unit 240 increases, the connecting line L moves away from the cabinet 11 and rotates until it reaches a predetermined angle. The predetermined angle is the same as the opening angle of the refrigerator door (13).

이때, 상기 연결선(L)은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캐비닛(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한다. At this time, the connection line L rotates and horizontally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abinet 11. [

상기 냉장고 도어(13)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6힌지(344) 및 제7힌지(354)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과 평행하면서 상기 제5힌지(364)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 또는 평면에 위치되거나 상기 수평선 또는 상기 평면 보다 캐비닛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The sixth hinge 344 and the seventh hinge 354 are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1 and extend along the horizont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ifth hinge 364, Or positioned in a plane or closer to the cabinet than the horizontal line or plane.

예를 들어, 상기 냉장고 도어(13)가 닫히면, 상기 제5힌지(364), 제6힌지(344), 및 제7힌지(354)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과 평행한 공통면 상에 위치되거나, 상기 제6힌지(344) 및 상기 제7힌지(354)는 상기 제5힌지(364) 보다 앞쪽에 위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refrigerator door 13 is closed, the fifth hinge 364, the sixth hinge 344, and the seventh hinge 354 are placed on a common plane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1 Or the sixth hinge 344 and the seventh hinge 354 may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fth hinge 364. [

반면, 상기 냉장고 도어(13)가 개방되면, 상기 제6힌지(344) 및 제7힌지(354)는, 상기 제5힌지(354)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 보다 상기 캐비닛(11)에서 멀게 위치된다. 일 예로, 상기 제6힌지(344) 및 제7힌지(354)는, 상기 제5힌지(364)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 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When the refrigerator door 13 is opened, the sixth hinge 344 and the seventh hinge 354 are positioned farther away from the cabinet 11 than a horizont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ifth hinge 354, do. For example, the sixth hinge 344 and the seventh hinge 354 are positioned forward of a horizont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ifth hinge 364. [

도 15와 같이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개방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상기 도어 개방부(240)의 위치를 도어 개방 위치라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5, the position of the door opening unit 240 in a state where the opening of the refrigerator door 13 is completed may be referred to as a door opening position.

상기 도어 개방부(240)가 상기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 개방부(240)의 전부는 상기 캐비닛(11)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된다. 즉, 상기 도어 개방부(240)가 상기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 개방부(240)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 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opening part 240 is moved to the door opening position, all of the door opening part 240 is overlapped with the cabinet 11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door opening part 240 may be positioned behind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1 in a state where the door opening part 240 is moved to the door opening position.

따라서, 상기 도어 개방부(240)가 상기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도어 개방부(240)가 상기 캐비닛(11)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제1링크(332)의 후방에서 상기 제1링크(332)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Therefore, even if the door opening part 240 moves to the door opening position, the door opening part 240 does not protrude forward of the cabinet 11, And remains in contact with the link 332.

상기 도어 개방부(240)가 상기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구동 모터(251)는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251)가 정지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구동 모터(251)는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도어 개방부(24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When the door opening part 240 is moved to the door opening position, the driving motor 251 is stopped. When the set time elapses after the drive motor 251 is stopped, the drive motor 251 is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이와 같이 상기 도어 개방부(240)가 상기 상부 힌지 어셈블리(30)를 밀어 상기 냉장고 도어(13)를 개방시킴에 따라서,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개방을 위한 상기 도어 개방부(240)의 이동 거리가 줄어들 수 있다. As the door opening part 240 pushes the upper hinge assembly 30 to open the refrigerator door 13, the door opening part 240 for opening the refrigerator door 13 is moved The distance can be reduced.

이와 같이 상기 도어 개방부(240)의 이동 거리가 줄어들게 되면 상기 도어 개방부(240)의 길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도어 개방부(240)의 길이 및 이동 거리가 줄어 들어도 상기 힌지 어셈블리(30)에 의해서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개방 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If the moving distance of the door opening part 240 is reduced, the length of the door opening part 240 can be reduced. Also, even if the length and movement distance of the door opening part 240 are reduced, the opening angle of the refrigerator door 13 can be increased by the hinge assembly 30.

또한,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개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개방부(240)가 상기 힌지 어셈블리(30)의 후방에 위치되므로, 상기 도어 개방부(24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Since the door opening part 240 is positioned behind the hinge assembly 30 when the refrigerator door 13 is completely opened, the door opening part 24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have.

위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힌지 어셈블리, 일 예로 상기 상부 힌지 어셈블리를 푸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상기 냉장고 도어(13) 또는 가구장 도어(2)를 직접 푸시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door opening device has been described as pushing the hinge assembly, for example, the upper hinge assembly. Alternatively, the door opening device pushes the refrigerator door 13 or the furniture door 2 directly It is possible to do that.

10: 냉장고 11: 캐비닛
13: 냉장고 도어 20: 도어 개방장치
30: 힌지 어셈블리
40: 감지 기구
410: 센서 420: 센서 서포터
430: 홀 440: 센서 커버
450: 커버 서포터 460: 제1하우징
470: 제2하우징
50: 가압 기구
510: 프레임 바디 520: 가압부
521: 가압부 바디 530: 접촉부
540: 프레임 커버 550: 탄성 부재
10: Refrigerator 11: Cabinet
13: refrigerator door 20: door opening device
30: Hinge assembly
40:
410: sensor 420: sensor supporter
430: Hole 440: Sensor cover
450: Cover supporter 460: First housing
470: second housing
50: Pressurizing device
510: frame body 520:
521: Pressurizing body 530:
540: frame cover 550: elastic member

Claims (10)

저장실을 정의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를 가압하는 푸시력을 전달받아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개방명령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는 감지 기구;
상기 냉장고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냉장고 도어를 가압하는 푸시력을 상기 감지 기구로 전달하기 위한 가압 기구; 및
상기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작동하는 푸시 부재를 구비하는 도어 개방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A cabinet defining a storage compartment;
A refrigerator door for opening / closing the storage room;
A sensor installed in the cabinet for sensing an input of an open command of the refrigerator door in response to a pushing force for pressing the refrigerator door;
A pressing mechanism provided on the refrigerator door for transmitting a pushing force for pressing the refrigerator door to the sensing mechanism; And
And a pusher member operative to open the refrigerator do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감지 기구는 상기 가압 기구와 접촉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ing mechanism is in contact with the pressurizing mechanism while the refrigerator door is clos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기구는,
상기 감지 기구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를 수용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가압부가 상기 감지 기구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압부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ing mechanism includes:
A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sensing mechanism,
A frame accommodating the pressing portion,
And an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pressing por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 presses the sensing mechanism within the fram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일부는 상기 프레임의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 변경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3,
A part of the pressing portion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through the opening of the frame,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an outwardly projecting portion of the frame is formed of an elastically changeable materi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가압부 바디와,
상기 가압부 바디에 끼움 결합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감지 기구와 접촉되는 냉장고.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ressing portion includes a pressing portion body,
And a contact portion which is fitted to the pressing portion body and is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And the contact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sensing mechanism.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기구는,
상기 센서를 수용하는 센서 커버와,
상기 센서를 지지하는 센서 서포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 기구는 상기 센서 커버와 접촉되는 냉장고.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sensing mechanism includes:
A sensor cover for accommodating the sensor,
Further comprising a sensor supporter for supporting the sensor,
Wherein the pressing mechanism is in contact with the sensor cov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서포터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돌출되며 상기 센서와 접촉되는 복수의 지지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서포터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ensor supporter comprises a base and a plurality of support ribs projecting from the base and contacting the sensor,
Wherein the sensor supporter is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서포터를 수용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와 상기 센서가 상기 센서 커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 서포터와 결합되는 커버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holder for receiving the sensor supporter,
And a cover supporter coupled with the sensor supporter while the holder and the sensor are housed in the sensor cov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서포터는, 상기 홀더를 지지하는 서포터 바디와,
상기 서포터 바디에서 연장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서포터는 탄성력을 축적한 상태로 상기 홀더를 상기 센서 측으로 가압하는 냉장고.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ver supporter includes a supporter body for supporting the holder,
And an elastic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supporter body and being elastically deformable,
Wherein the cover supporter presses the holder toward the sensor in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force is accumulat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기구는,
상기 센서 커버와 상기 커버 서포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 커버와 상기 커버 서포터를 수용하는 센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하우징에는 상기 센서 커버가 위치하기 위한 슬롯이 구비되며,
상기 슬롯에 상기 센서 커버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 커버는 상기 센서 하우징에서 상기 가압 기구를 향하여 돌출되는 냉장고.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nsing mechanism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sensor housing for receiving the sensor cover and the cover supporter in a state where the sensor cover and the cover supporter are engaged,
Wherein the sensor housing is provided with a slot through which the sensor cover is positioned,
Wherein the sensor cover protrudes from the sensor housing toward the pressing mechanism in a state where the sensor cover is positioned in the slot.
KR1020170148296A 2017-11-08 2017-11-08 Refrigerator KR1024423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296A KR102442380B1 (en) 2017-11-08 2017-11-08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296A KR102442380B1 (en) 2017-11-08 2017-11-08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535A true KR20190052535A (en) 2019-05-16
KR102442380B1 KR102442380B1 (en) 2022-09-14

Family

ID=66672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296A KR102442380B1 (en) 2017-11-08 2017-11-08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38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3330A1 (en) * 2022-02-28 2023-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8342A (en) * 1995-11-17 1997-06-24 배순훈 Refrigerator Door Automatic Switch
KR20060082939A (en) * 2005-01-13 2006-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JP2007093038A (en) * 2005-09-27 2007-04-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eration detection device in automatic door opening/closing device and refrigerator
KR20130058087A (en) * 2010-01-04 2013-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1537377B1 (en) * 2014-04-16 2015-07-16 주식회사 지산시스템 Automatic Open And Shut Apparatus For Refrigerator Do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8342A (en) * 1995-11-17 1997-06-24 배순훈 Refrigerator Door Automatic Switch
KR20060082939A (en) * 2005-01-13 2006-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JP2007093038A (en) * 2005-09-27 2007-04-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eration detection device in automatic door opening/closing device and refrigerator
KR20130058087A (en) * 2010-01-04 2013-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1537377B1 (en) * 2014-04-16 2015-07-16 주식회사 지산시스템 Automatic Open And Shut Apparatus For Refrigerator Do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3330A1 (en) * 2022-02-28 2023-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380B1 (en)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10048B1 (en) Refrigerator
KR102630165B1 (en) Refrigerator possible with open the door
US10054362B2 (en) Refrigerator
EP3165856B1 (en) Refrigerator
CN110476030B (en) Refrigerator with a door
EP2299214B1 (en) Refrigerator
KR20180110373A (en) Refrigerator
US11866980B2 (en) Refrigerator
KR102579885B1 (en) Refrigerator
WO2009110675A2 (en) Apparatus for adjusting level of refrigerator
KR102530693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orlling the same
US20230095878A1 (en) Refrigerator
KR102342576B1 (en) Refrigerator
AU2020223666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52535A (en) Refrigerator
KR101977985B1 (en) Refrigerator
US20240060714A1 (en) Method for installing a camera on an interior-compartment wall of a domestic appliance, and domestic appliance
KR20170014565A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90075671A (en) Refrigerator
KR20190025303A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6829802A (en) Electric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10207877A1 (en) Refrigerator
KR20230128827A (en) Refrigerator
KR200181934Y1 (en) Kimchi for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